KR20090107355A - 차량의 현가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의 현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7355A
KR20090107355A KR1020080032828A KR20080032828A KR20090107355A KR 20090107355 A KR20090107355 A KR 20090107355A KR 1020080032828 A KR1020080032828 A KR 1020080032828A KR 20080032828 A KR20080032828 A KR 20080032828A KR 20090107355 A KR20090107355 A KR 200901073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piston
shock absorber
vehicle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2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5057B1 (ko
Inventor
김성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080032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5057B1/ko
Priority to DE102008058394A priority patent/DE102008058394A1/de
Priority to US12/276,160 priority patent/US8065055B2/en
Publication of KR20090107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73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5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50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8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specific signal treatment or control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9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or the arrangement thereof
    • B60G17/01908Acceleration or inclination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2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 B60G17/04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fluid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6Regulating distributors or valves for hydropneumatic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40Type of actuator
    • B60G2202/42Electric actu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4Acceleration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면의 상태에 따라 차량에 전달되는 진동을 전자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차량의 현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노면의 상태에 따라 감쇠력의 가변 특성을 전자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 현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현가 시스템은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설치된 피스톤 로드에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를 제1챔버와 제2챔버로 구획하는 피스톤 밸브와, 상기 피스톤 로드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챔버 및 상기 제2챔버와 연통하는 중공챔버와, 상기 중공챔버를 상부챔버와 하부챔버로 구획하며 상, 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프리 피스톤과, 상기 프리 피스톤의 이동 변위를 제어하여 상기 중공챔버의 체적을 가변하는 체적제어부를 갖는 쇽업소버와, 차량의 상, 하방향의 가속도를 측정하도록 설치된 가속도 센서와, 상기 가속도 센서로부터 전달된 가속도값에 의해 상기 체적제어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쇽업소버, 실린더, 피스톤 로드, 오리피스, 프리 피스톤, 액츄에이터, 체적

Description

차량의 현가 시스템 {SUSPENSION SYSTEM OF AUTOMOBILE}
본 발명은 노면의 상태에 따라 차량에 전달되는 진동을 전자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차량의 현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스톤 로드의 이동 변위에 따라 감쇠력을 변화시킬 수 있으며, 감쇠력의 변화 정도를 전자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차량의 현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주행시 차축이 노면으로 받는 충격이나 진동을 완충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현가 시스템이 설치되며, 이와 같은 현가 시스템의 하나로서 쇽업소버가 사용된다. 상기 쇽업소버는 차축과 차체 사이에 설치되며, 피스톤 로드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실린더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는 가스 또는 오일이 채워지며, 상기 피스톤 로드의 단부에 설치된 피스톤 밸브에 의해 상기 오일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감쇠력이 발생된다.
이와 같이 일반적인 쇽업소버는 노면의 상태 또는 차량의 자세변화에 대해 일정한 감쇠력 특성을 가지는 한계가 있으며, 이에 따라 감쇠력 특성을 낮게 할 경우,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나 차량의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없었고, 이와 반대로 감쇠력 특성을 높게 할 경우, 차량의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 나 승차감이 나빠지는 바, 쇽업소버의 감쇠력 특성을 노면의 상태 또는 차량의 자세변화에 대해 조절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쇽업소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피스톤 로드의 변위에 따른 감쇠력 특성을 가변할 수 있는 쇽업소버가 개발되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쇽업소버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쇽업소버(10)는 자동차의 차체에 연결되는 피스톤 로드(14)와, 바퀴와 연결된 차축에 설치된 실린더(12)를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 로드(14)는 상기 실린더(12)에 왕복 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피스톤 로드(14)의 하단에는 상기 실린더(12) 내의 공간을 리바운드 챔버(RC)와 컴프레션챔버(CC)로 구획하는 피스톤 밸브(16)가 설치된다. 상기 피스톤 밸브(16)에는 리바운드 챔버(RC)와 컴프레션챔버(CC)를 서로 연통하는 인장오리피스(16a)와, 압축오리피스(16b)가 형성되며, 상기 인장오리피스(16a)와 상기 압축오리피스(16b)에는 유체의 유동에 따라 탄성적으로 가변되며 감쇠력을 발생하는 디스크 밸브(18a, 18b)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피스톤 로드(14)의 내부에는 중공챔버(2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중공챔버(20)에는 상하로 이동 가능한 프리 피스톤(22)이 설치되며, 상기 중공챔버(20)는 상기 프리 피스톤(22)에 의해 상부챔버(20a)와 하부챔버(20b)로 구획된다. 또한, 상기 중공챔버(20)는 상기 상부챔버(20a)의 상단과 상기 리바운드 챔버(RC)를 연통하는 관통홀(24)에 의해 제1오리피스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챔버(20b)의 하단과 상기 컴프레션챔버(CC)를 연통하는 축공(25)에 의해 제2오리피스 가 형성된다.
상기 쇽업소버(10)는 상기 피스톤 로드(14)가 작은 변위에서 이동할 경우, 상기 프리 피스톤(22)이 상승 또는 하강하며, 이에 따라 작동유체가 상기 관통홀(24) 또는 상기 축공(25)을 통해 상기 제1오리피스 또는 제2오리피스로 유입 또는 배출됨에 따라 감쇠력을 저하시킨다.
종래 기술에 따른 쇽업소버(10)의 감쇠력 선도인 도 2를 참고하면, X1선은 일반적인 쇽업소버(10)의 감쇠력 선도이고, X2선은 감쇠력 감응식 쇽업소버(10)의 감쇠력 선도이다. 이와 같이, 종래의 쇽업소버(10)는 상기 중공챔버(20)의 체적에 따라 X2선과 같은 감쇠력이 발생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현가 시스템은 충격이나 진동을 완충하는 쇽업소버가 기계적인 구조로만 작동하도록 이루어진 한계가 있으며, 감쇠력을 저하시키는 효과가 크지 않고, 그 감쇠력을 가변하는 성능이 제한적인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노면의 상태에 따라 감쇠력의 가변 특성을 전자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 현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현가 시스템은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설치된 피스톤 로드에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를 제1챔버와 제2챔버로 구획 하는 피스톤 밸브와, 상기 피스톤 로드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챔버 및 상기 제2챔버와 연통하는 중공챔버와, 상기 중공챔버를 상부챔버와 하부챔버로 구획하며 상, 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프리 피스톤과, 상기 프리 피스톤의 이동 변위를 제어하여 상기 중공챔버의 체적을 가변하는 체적제어부를 갖는 쇽업소버와, 차량의 상, 하방향의 가속도를 측정하도록 설치된 가속도 센서와, 상기 가속도 센서로부터 전달된 가속도값에 의해 상기 체적제어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체적제어부는 상기 피스톤 로드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설치되어 일단이 상기 중공챔버에 위치되어 상기 프리 피스톤의 이동을 제한하는 컨트롤 로드와, 상기 피스톤 로드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컨트롤 로드를 상, 하로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적제어부는 상기 컨트롤 로드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중공챔버의 내주면과 밀착하며, 상, 하부를 연통하는 바이패스 유로가 형성된 컨트롤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속도 센서는 상기 쇽업소버의 실린더에 설치되거나 차륜측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더불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속도 센서의 측정값이 클 경우, 상기 프리 피스톤의 이동변위가 감쇠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를 작동하여 상기 컨트롤 로드를 하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현가 시스템은 차량의 주행 및 노면 상태에 따라 감쇠력의 가변 특성을 전자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피스톤 로드의 변위에 따라 가변되는 감쇠력 특성을 가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쇽업소버의 감쇠력 가변 특성을 제어하여 차량의 승차감을 향상시키거나 차량의 자세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현가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현가 시스템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쇽업소버(50)와, 상기 쇽업소버(50)에 설치되어 피스톤 로드의 이동 변위에 따라 상기 쇽업소버(50) 내부의 체적을 가변시켜 감쇠력 특성을 가변시키는 체적제어부(70)와, 상기 체적제어부(7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90)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90)는 차량의 상, 하방향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80)가 연결되며, 상기 가속도 센서(80)에 측정된 가속도값에 따라 상기 체적제어부(70)의 작동을 제어한다.
이와 같이 상기 피스톤 로드의 이동 변위에 따라 감쇠력 특성을 가변시킬 수 있는 쇽업소버(50)를 '주파수 감응형 쇽업소버'라고도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현가 시스템에 적용된 쇽업소버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쇽업소버(50)는 자동차의 차륜측에 연결되는 실린더와, 차체측에 연결되는 피스톤 로드(54)를 포함한다. 상기 피스톤 로드(54)는 상기 실린더(52)에 왕복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단부에 상기 실린더(52)를 컴프레션챔버와 리바운드 챔버로 구획하는 피스톤 밸브(56)가 설치된다. 상기 피스톤 밸브(56)에는 리바운드 챔버와 컴프레션챔버를 서로 연통하는 리바운드 유로(56a)와 컴프레션 유로(56b)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피스톤 밸브(56)의 상면과 하면에는 유체의 유동에 따라 탄성적으로 가변되며 감쇠력을 발생하는 다수의 디스크 밸브(58a, 58b)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피스톤 로드(54)의 내부에는 상, 하로 긴 원통형태로 이루어진 중공챔버(60)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중공챔버(60)에는 프리 피스톤(62)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프리 피스톤(62)은 외주면이 상기 중공챔버(60)의 내측면과 맞닿은 상태로 이동하며, 상기 중공챔버(60)를 상부챔버(60a)와, 하부챔버(60b)로 구획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리 피스톤(62)은 외둘레부에 테프론 수지와 같이 마찰을 저감시킬 수 있는 부재로 마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피스톤 로드(54)는 일반적인 쇽업소버(50)의 피스톤 로드(54)보다 짧게 형성된 메인로드(542)와, 상기 메인로드(542)의 단부에 설치되며 내부가 중공되고 일단이 개구된 로드 연장부(544)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메인로드(542)는 단부에 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로드 연장부(544)의 개구부가 상기 메인로드(542)의 단차부에 고정 설치된다. 또한, 상기 로드 연장부(544)의 타단에는 상기 피스톤 밸브(56)를 결합할 수 있도록 작은 외경으로 단차지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목부(546)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쇽업소버(50)는 상기 중공챔버(60)의 체적을 조절하여 감쇠력 가변 특성을 조절하기 위한 체적제어부(70)가 마련된다.
상기 체적제어부(70)는 상기 상부챔버(60a) 또는 상기 하부챔버(60b)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부챔버(60a)에 설치 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체적제어부(70)는 상기 피스톤 로드(54)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설치된 컨트롤 로드(72)와, 상기 피스톤 로드(54)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컨트롤 로드(72)를 상, 하로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74)를 포함한다. 상기 컨트롤 로드(72)는 일단이 상기 중공챔버(60)에 위치되어 상기 프리 피스톤(62)의 상부와 접촉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프리 피스톤(62)은 상기 컨트롤 로드(72)에 의해 이동을 제한한다.
한편, 상기 컨트롤 로드(72)의 단부에는 상기 상부챔버(60a)를 상, 하부로 구획하는 컨트롤 밸브(76)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밸브(76)는 상기 중공챔버(60)의 내주면, 즉 상기 컨트롤 밸브(76)가 설치된 상부챔버(60a)의 내주면과 밀착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 밸브(76)에는 상, 하부를 연통할 수 있는 바이패스 유로(78)가 형성된다. 이러한 컨트롤 밸브(76)는 상기 컨트롤 로드(72)의 이동시 함께 이동하며, 상기 중공챔버(60)내의 체적량이 일정하게 증감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중공챔버(60)는 상기 리바운드 챔버(RC)를 연통하는 관통홀(64) 및 상기 컨트롤 밸브(76)의 바이패스 유로(78)를 통해 상기 상부챔버(60a)의 상부와 연결되는 제1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챔버(60b)의 하부에 연결되는 목부(546)는 내부가 중공되어 상기 컴프레션챔버(CC)와 연통하는 축공(65)을 연결하는 제2유로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쇽업소버(50)는 상기 제1유로 또는 제2유로를 통해 상기 중공챔버(60)와 상기 리바운드 챔버(RC) 또는 상기 중공챔버(60)와 상기 컴프레션챔 버(CC)로 유, 출입되는 유체에 의해 상기 프리 피스톤(62)이 상하로 이동한다.
즉, 상기 프리 피스톤(62)이 상측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중공챔버(60)의 상부챔버(60a)에 있던 유체는 상기 제1유로를 통해 상기 리바운드 챔버(RC)로 배출되고, 상기 프리 피스톤(62)이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생긴 공간에는 상기 제2유로를 통해 상기 컴프레션챔버(CC) 내의 유체가 상기 중공챔버(60)의 하부챔버(60b)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상기 쇽업소버(50)는 상기 프리 피스톤(62)이 상, 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유체가 상기 피스톤 밸브(56)를 거치지 않고, 상기 중공챔버(60)의 상부챔버(60a) 또는 상기 하부챔버(60b)로 유입 또는 유출되는 과정에서 감쇠력이 저하된다.
한편, 상기 액츄에이터(74)는 상기 제어부(90)로부터 작동이 제어된다.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가속도 센서(80)로부터 측정된 차량의 수직 방향 가속도에 따라 상기 액츄에이터(74)를 작동시킨다. 여기에서, 상기 액츄에이터(74)는 상기 컨트롤 로드(72)를 직진운동 또는 회전 운동시키며 길이를 조절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가속도 센서(80)는 상기 쇽업소버(50)의 실린더(52) 일측에 설치될 수 있으며, 차륜측에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속도 센서(80)는 각각의 쇽업소버(50) 또는 모든 차륜측에 설치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쇽업소버(50) 또는 어느 하나의 차륜측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차량의 수직 가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다른 위치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된 체적제어부(70)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해 상기 제어부(90)의 제어방법 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가속도 센서(80)에서 측정된 가속도값이 클 경우,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액츄에이터(74)를 제어하여 상기 컨트롤 로드(72)를 하강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컨트롤 로드(72)가 하강하면, 상기 프리 피스톤(62)의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감소된다. 따라서, 상기 쇽업소버(50)는 감쇠력이 저하되는 구간이 감소되어 차량의 제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속도 센서(80)에서 측정된 가속도값이 작을 경우,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액츄에이터(74)를 제어하여 상기 컨트롤 로드(72)를 상승시킨다. 상기 컨트롤 로드(72)가 상승하게 되면, 상기 프리 피스톤(62)이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증가된다. 따라서 상기 쇽업소버(50)는 상기 프리 피스톤(62)이 상, 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감쇠력의 발생을 저하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차량의 승차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액츄에이터(74)의 작동에 의해 상기 프리 피스톤(62)이 이동하는 거리를 제한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감쇠력을 가변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현가 시스템에 적용된 쇽업소버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먼저, 도 5는 쇽업소버(50)의 체적제어부(70)가 상기 프리 피스톤(62)의 이동공간을 작게 한 상태이다. 여기에서 상기 프리 피스톤(62)의 두께는 L1이고, 상기 프리 피스톤(62)이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의 길이는 L2가 된다. 즉, 상기 프리 피스톤(62)이 이동할 수 있는 행정거리 Sl은 L2-L1이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쇽업소버(50)는 상기 피스톤 로드(54)가 작은 변위로 이동할 경우, 상기 중공챔버(60) 내의 유체가 관통홀(64) 또는 축공(65)을 통해 입출되며 상기 프리 피스톤(62)이 행정거리 Sl만큼 이동하는 동안의 감쇠력을 저하시키게 된다.
또한, 도 6은 쇽업소버(50)의 체적제어부(70)가 상기 프리 피스톤(62)의 이동공간을 평균적으로 한 상태이다. 여기에서, 상기 프리 피스톤(62)의 두께는 L1이고, 상기 프리 피스톤(62)이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의 길이는 L3이다. 따라서, 상기 쇽업소버(50)는 상기 피스톤 로드(54)가 작은 변위로 이동할 경우, 상기 중공챔버(60) 내의 유체가 관통홀(64) 또는 축공(65)을 통해 입출되며 상기 프리 피스톤(62)이 행정거리 Sm만큼 이동하는 동안의 감쇠력을 저하시키게 된다.
또한, 도 7은 쇽업소버(50)의 체적제어부(70)가 상기 프리 피스톤(62)의 이동공간을 크게 한 상태이다. 여기에서 상기 프리 피스톤(62)의 두께는 L1이고, 상기 프리 피스톤(62)이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의 길이는 L4이다. 따라서, 상기 쇽업소버(50)는 상기 피스톤 로드(54)가 작은 변위로 이동할 경우, 상기 중공챔버(60) 내의 유체가 관통홀(64) 또는 축공(65)을 통해 입출되며 상기 프리 피스톤(62)이 행정거리 Sh만큼 이동하는 동안의 감쇠력을 저하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프리 피스톤(62)이 이동하는 거리를 조절하여 감쇠력 특성을 조절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현가 시스템의 피스톤 로드의 이동변 위에 따라 가변되는 감쇠력 선도이다.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체적제어부(70)가 최대로 하강하여 상기 프리 피스톤(62)이 이동하는 거리를 '0'으로 할 경우, 감쇠력 선도는 X1과 같다. 또한, 상기 프리 피스톤(62)이 이동하는 거리가 증가될 경우, 감쇠력 선도는 X2, X3의 형태로 나타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현가 시스템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 의해 다양한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쇽업소버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쇽업소버의 감쇠력 선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현가 시스템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현가 시스템에 적용된 쇽업소버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현가 시스템에 적용된 쇽업소버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현가 시스템의 피스톤 로드의 이동변위에 따라 가변되는 감쇠력 선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쇽업소버 52 : 실린더
54 : 피스톤 로드 542 : 메인로드
544 : 로드 연장부 546 : 목부
56 : 피스톤 밸브 56a : 리바운드 유로
56b : 컴프레션 유로 58a, 58b : 디스크 밸브
60 : 중공챔버 60a : 상부챔버
60b : 하부챔버 62 : 프리 피스톤
70 : 체적제어부 72 : 컨트롤 로드
74 : 액츄에이터 76 : 컨트롤 밸브
78 : 바이패스 유로 80 : 가속도 센서
90 : 제어부

Claims (5)

  1.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설치된 피스톤 로드에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를 제1챔버와 제2챔버로 구획하는 피스톤 밸브와, 상기 피스톤 로드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챔버 및 상기 제2챔버와 연통하는 중공챔버와, 상기 중공챔버를 상부챔버와 하부챔버로 구획하며 상, 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프리 피스톤과, 상기 프리 피스톤의 이동 변위를 제어하여 상기 중공챔버의 체적을 가변하는 체적제어부를 갖는 쇽업소버와,
    차량의 상, 하방향의 가속도를 측정하도록 설치된 가속도 센서와,
    상기 가속도 센서로부터 전달된 가속도값에 의해 상기 체적제어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현가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적제어부는 상기 피스톤 로드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설치되어 일단이 상기 중공챔버에 위치되어 상기 프리 피스톤의 이동을 제한하는 컨트롤 로드와,
    상기 피스톤 로드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컨트롤 로드를 상, 하로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현가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로드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중공챔버의 내주면과 밀착하며, 상, 하부를 연통하는 바이패스 유로가 형성된 컨트롤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현가 시스템.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속도 센서는 상기 쇽업소버의 실린더에 설치되거나 차륜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현가 시스템.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속도 센서의 측정값이 클 경우, 상기 프리 피스톤의 이동변위가 감쇠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를 작동하여 상기 컨트롤 로드를 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현가 시스템.
KR1020080032828A 2007-11-21 2008-04-08 차량의 현가 시스템 KR1011650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2828A KR101165057B1 (ko) 2008-04-08 2008-04-08 차량의 현가 시스템
DE102008058394A DE102008058394A1 (de) 2007-11-21 2008-11-21 Schwingungsdämpfer zur Steuerung von Dämpfungskraftcharakteristiken
US12/276,160 US8065055B2 (en) 2007-11-21 2008-11-21 Shock absorber for controlling damping force characteristic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2828A KR101165057B1 (ko) 2008-04-08 2008-04-08 차량의 현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7355A true KR20090107355A (ko) 2009-10-13
KR101165057B1 KR101165057B1 (ko) 2012-07-12

Family

ID=41537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2828A KR101165057B1 (ko) 2007-11-21 2008-04-08 차량의 현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50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80771A1 (ko) * 2014-11-20 2016-05-26 진일찬 충격 완충기
KR20200021512A (ko) * 2017-07-26 2020-02-28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완충기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80771A1 (ko) * 2014-11-20 2016-05-26 진일찬 충격 완충기
KR20200021512A (ko) * 2017-07-26 2020-02-28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완충기 및 그 제조 방법
US11796029B2 (en) 2017-07-26 2023-10-24 Hitachi Astemo, Ltd. Shock absorb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5057B1 (ko) 2012-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1050B1 (ko) 쇽업소버
KR101254287B1 (ko) 가변유로를 갖는 쇽업소버의 밸브 구조
KR101288612B1 (ko) 쇽업소버의 밸브 구조
KR101254233B1 (ko) 쇽업소버의 밸브 구조
JP4143782B2 (ja) エア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100894799B1 (ko) 쇽업소버
US8065055B2 (en) Shock absorber for controlling damping force characteristics
US7273138B2 (en)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nd shock absorber using same
KR101876915B1 (ko) 쇽업소버의 피스톤 밸브 어셈블리
US9291231B2 (en) Frequency sensitive type shock absorber
KR100894798B1 (ko) 쇽업소버
JPH023720A (ja) ダンピング調節可能な流体圧衝撃・振動ダンパー
KR20100093775A (ko) 쇽업소버
KR100507756B1 (ko) 자기가변유체를 이용한 쇽 업소버의 감쇠력 가변장치
KR101165057B1 (ko) 차량의 현가 시스템
KR101325743B1 (ko) 쇽업소버의 밸브 구조
KR100872563B1 (ko) 쇽업소버
KR100904150B1 (ko) 쇽업소버
KR101756421B1 (ko) 주파수 감응형 쇽업소버
JP4318071B2 (ja) 油圧緩衝器
JP3781461B2 (ja) 減衰力可変式油圧緩衝器
KR20220015569A (ko) 주파수 감응형 쇽업소버
KR101230549B1 (ko) 쇽업소버
KR101662223B1 (ko) 주파수 감응형 쇽업소버
KR100482108B1 (ko) 하이브리드 가변 감쇠력을 가지는 쇽업소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