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7339A - 느릅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궤양 치료용 겔 페이스트제 및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느릅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궤양 치료용 겔 페이스트제 및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7339A
KR20090107339A KR1020080032795A KR20080032795A KR20090107339A KR 20090107339 A KR20090107339 A KR 20090107339A KR 1020080032795 A KR1020080032795 A KR 1020080032795A KR 20080032795 A KR20080032795 A KR 20080032795A KR 20090107339 A KR20090107339 A KR 200901073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gel paste
cmc
preparation
da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2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영창
임윤묵
김윤혜
안성준
김해경
Original Assignee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원자력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032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07339A/ko
Publication of KR20090107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73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61K47/38Cellulose;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10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ulcers, gastritis or reflux esophagitis, e.g. antacids, inhibitors of acid secretion, mucosal protecta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yc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느릅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궤양 치료용 겔 페이스트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한방에서 종기 또는 종창 치료에 사용하는 천연 느릅나무 추출물을 사용하여 부작용없이 조직이 빠르게 재생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가알콜과 생체적합성 고분자를 사용하여 종래 치료제보다 수분증발량을 감소시켜 장시간 최적의 습윤 환경을 조성하고, 감마선 조사를 통해 무균의 치료제를 사용하여 만성창상인 궤양의 치료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겔, 궤양, 느릅나무 추출물

Description

느릅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궤양 치료용 겔 페이스트제 및 이의 제조방법{Gel paste for treatment an ucler including an extract of elm tree and preparing method}
본 발명은 느릅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궤양 치료용 겔 페이스트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느릅나무는 쌍떡잎식물 쐐기풀목 느릅나무과의 낙엽활엽 교목으로 춘유(春楡) 또는 가유(家楡)라고도 하는데, 나무 껍질은 회갈색이고, 작은 가지에 적갈색의 짧은 털이 있다. 봄에 어린 잎은 식용하며 껍질을 유피(楡皮)라는 약재로 쓰는데, 한방에서는 이뇨제 또는 종기와 종창을 치료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영양학적으로 느릅나무의 성분은 껍질에는 플라보노이드, 사포닌, 탄닌 점액질 등이 함유돼 있고, 잎에는 플라보노이드, 열매에는 탄닌, 점액질 등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처는 창상(創傷)이라고도하며, 신체조직의 정상적인 구조의 연속성이 파괴 된 모든 상태로 정의된다. 창상은 치유 속도에 따라서 급성창상, 만상창상으로 분류되는데, 급성창상은 상처 치유 과정이 지연되지 않는 창상으로 일반 봉합창, 찰과상 등이 있다. 이는 적절한 분해 효소가 단백질 합성과 분해에 균형을 이루고, 각질세포가 창상 내로 이동하여 상피화 과정이 진행되어 정상적인 성장인자가 기능이 발휘할 수 있어 빠르게 치유될 수 있다. 반면, 만성창상은 섬유이세포, 내피세포, 각질세포의 증식 감소, 콜라겐 분해효소로 인해 단백질 합성 및 분해를 방해하여 상처 치유가 지연되는 창상으로 욕창, 당뇨병성 궤양, 정맥궤양 등이 대표적이다. 상기 만성창상은 각질세포가 창상 내로 이동하지 못해 심한 비후성 상피화가 진행되며, 과다한 단백질 분해로 성장인자가 정상기능을 수행하지 못해 상처 치유가 지연된다. 이와 같은 경우 외부에서 성장인자를 직접 투입하여 치료할 수 있다.
궤양은 염증이나 괴사로 인해 그 상피가 탈락하여 조직표면이 국소적으로 결손되거나 함몰된 것을 의미하며, 조직의 염증이 진행되면 중성백혈구와 대식세포(大食細胞)에서 나오는 리소좀 효소로 인해 조직이 파괴되나, 조직으로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는 동맥이나 정맥에 문제가 있어서 갑자기 또는 서서히 혈액공급이 안될 때 궤양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염증을 일으킬 수 있는 모든 원인은 궤양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고, 세균에 의한 감염으로 염증이 진행되고 농양이 형성되면 정상 조직의 일부가 파괴되고 이것이 더욱 진행되면 궤양으로 발전한다.
이러한 발생과정으로 인해, 궤양은 피부를 비롯하여 소화기·호흡기·심혈관 ·비뇨생식기 등에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조직의 산소 및 영양분의 결핍으로 인한 궤양은 당뇨병으로 인한 합병증인 주로 발이나 다리에 생기는 당뇨병성 궤양이 대표적이다.
만성창상인 궤양 치유를 위해 요구되는 환경은 궤양부위에 감염 및 이물질,괴사조직이 없어야하고, 재생 상피세포의 유주전개가 가능하도록 습윤한 환경을 조성해주고 계속적으로 성장인자를 공급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한방에서 궤양치료에 사용되고 있는 느릅나무 추출물과 함수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다가알콜 및 생체적합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겔 페이스트를 제조하여 종래 상용화제품보다 수분증발이 적으면서도 동등한 궤양 치료효능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궤양부위를 무균 및 습윤환경을 장시간 유지시키고, 훼손된 조직을 빠르게 재생시킬 수 있는 궤양 치료용 겔 페이스트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상기 궤양 치료용 겔 페이스트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느릅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궤양 치료용 겔 페이스트제를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궤양 치료용 겔 페이스트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느릅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궤양 치료용 겔 페이스트제는 천연 느릅나무 추출물를 사용하여 부작용없이 조직이 빠르게 재생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가알콜과 생체적합성 고분자를 사용하여 종래 치료제보다 수분증발량을 감소시켜 장시간 최적의 습윤환경을 조성하고, 감마선 조사를 통해 무균의 치료제를 사용하여 만성창상인 궤양의 치료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생체적합성 고분자, 다가알콜 및 느릅나무 추출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궤양 치료용 겔 페이스트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겔 페이스트제에 있어서, 상기 생체적합성 고분자는 3 차원의 망상구조여야 하고, 친수성 관능기를 포함함으로써 물을 함유할 수 있는 특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겔 페이스트제를 구성하는 소듐카르보시메틸셀룰로오스(CMC), 가교 CMC, 알긴산염(Alginate), 카라기난(Carageenan), 젤라니틴, 아가, 키토산 등의 고분자가 바람직하다. 이들 중에서, 소듐카르보시메틸셀룰로오스, 가교 CMC 또는 알긴산염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때, 겔 페이스트제의 점도와 함수량을 적절하게 유기하기 위해 상기 생체적합성 고분자의 함량은 1 ~ 20 중량%이 바람직하다. 만약, 생체적합성 고분자의 함량이 1 중량% 미만인 경우 점도가 매우 낮아 페이스트 상태로 제조가 어려운 문제가 있고, 20 중량%를 초과할 경우 생체적합성 고분자의 용해가 어려우며, 상처에 도포하기 어렵고, 건조 후 궤양에 이차적인 상처를 입힐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겔 페이스트에 있어서, 상기 다가알콜은 본 발명의 겔 페이스트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다가알콜은 생체에 영향을 미치는 독성이 없는 것으로서 글리세린, 폴리에틸렌글리콜, 에틸렌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헥실렌글리콜, 소르비톨, 만니톨 등을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이 바람직하고, 이들 중에서 글리세린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이 더욱 바람직하 다. 상기 다가알콜의 함량은 1 ~ 20 중량%가 바람직하다. 만약 다가알콜의 함량이 1 중량% 미만인 경우 페이스트가 전조된 후 궤양에 이차적인 상처를 일으키는 문제가 있고, 20 중량% 초과인 경우 점도를 저하시켜, 페이스트 상에 해당하는 점도를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겔 페이스트제 있어서, 상기 느릅나무 추출물은 종래에 종기나 종창에 효과가 있는 느릅나무의 추출물로서, 느릅나무의 종류에 상관없이 느릅나무의 가지 또는 껍질부위 추출물이면 모두 가능하나, 참느릅나무, 둥근 참느릅나무, 좀참느릅나무, 당느릅나무, 혹느릅나무, 떡느릅나무 등이 바람직하다. 이들 느릅나무의 껍질부위를 건조시킨 것을 당업계에서 널리 알려진 통상의 추출방법으로 추출하거나 상업적으로 시판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추출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건조된 느릅나무를 추출용기에 넣고 적당한 양의 증류수를 넣는다. 이를 적당한 온도에서 24 ~ 36 시간 동안 추출한 후, 거름종이 등으로 여과하여 본 발명에 따른 느릅나무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증류수는 3차 증류수가 바람직하며, 상기 추출시 온도로는 80 ~ 10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느릅나무 추출물의 함량은 1 ~ 6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느릅나무 추출물의 함량이 1 중량% 미만인 경우 약물에 의한 궤양 치료가 어려운 문제가 있고, 60 중량% 초과인 경우 추출물을 얻는 과정이 복잡하고, 추출액 속에 불순물이 다량 함유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생체적합성 고분자, 다가알콜 및 느릅나무 추출물의 혼합물을 항온 수조에서 가열하는 단계(단계 1) 및 상기 단계 1에서 가열된 혼합물에 감마선을 조사하는 단계(단계 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궤양 치료용 겔 페이스트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단계별로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겔 페이스트제 제조방법의 단계 1은 생체적합성 고분자, 다가알콜 및 느릅나무 추출물의 혼합물을 항온 수조에서 가열하는 단계이다.
상기 가열은 생체적합성 고분자, 다가알콜 및 느릅나무 추출물을 완전해 용해시키는 단계로 70 ~ 80 ℃에서 수행할 수 있다. 만약 가열 온도가 70 ℃ 미만이면 궤양 치유효과가 있는 유효성분의 추출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가열은 20 ~ 30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만약 가열 시간이 20시간 미만이면 궤양 치유효과가 있는 유효성문의 추출이 어려운 문제가 있고, 30 시간을 초과하면 원하지 않는 산화물 등이 추출되어 궤양치료에 악영향을 줄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겔 페이스트제 제조방법의 단계 2는 상기 단계 1에서 가열된 혼합물에 감마선을 조사하는 단계이다.
상기 감마선 조사는 멸균하여 궤양에 세균이 침투할 수 있는 가능성을 방지하고, 20 ~ 30 kGy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할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느릅나무 추출물 제조
느릅나무의 껍질부위 10 g을 증류수 500 ㎖에 넣고 75 ℃가 유지되는 항온수조에서 24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이후, 고형분을 200 메쉬 철망에 넣고 짜내어 침전물을 제거하고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느릅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겔 페이스트제의 제조
제조예 1에 CMC 10 중량%을 혼합하고 75 ℃가 유지되는 항온수조에서 24시간 동안 가열한 후, 25 kGy의 감마선을 150 분 동안 조사하여 겔 페이스트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 4> 느릅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겔 페이스트제의 제조
제조예 1에 CMC 10 중량%와 글리세린을 각각 1 중량%(실시예 2), 3 중량%(실시예 3), 5 중량%(실시예 4)으로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 조하였다.
<실시예 5> 느릅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겔 페이스트제의 제조
제조예 1에 가교 CMC 5 중량%을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6 ~ 8> 느릅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겔 페이스트제의 제조
제조예 1에 가교 CMC 5 중량%와 글리세린을 각각 1 중량%(실시예 6), 3 중량%(실시예 7), 5 중량%(실시예 8)으로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9> 느릅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겔 페이스트제의 제조
제조예 1에 알긴산염 5 중량%을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 12> 느릅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겔 페이스트제의 제조
제조예 1에 알긴산염 5 중량%와 글리세린을 각각 1 중량%(실시예 10), 3 중량%(실시예 11), 5 중량%(실시예 12)으로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13 ~ 15> 느릅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겔 페이스트제의 제조
제조예 1에 글리세린 3 중량%와 CMC를 각각 10 중량%(실시예 13), 13 중량%(실시예 14), 15 중량%(실시예 15)으로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16 ~ 18> 느릅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겔 페이스트제의 제조
제조예 1에 글리세린 5 중량%와 CMC를 각각 10 중량%(실시예 16), 13 중량%(실시예 17), 15 중량%(실시예 18)으로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19 ~ 21> 느릅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겔 페이스트제의 제조
제조예 1에 폴리에틸렌글리콜 5 중량%와 CMC를 각각 10 중량%(실시예 19), 13 중량%(실시예 20), 15 중량%(실시예 21)으로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22> 느릅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겔 페이스트제의 제조
제조예 1에 CMC 13 중량%와 글리세린 5 중량%를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23> 느릅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겔 페이스트제의 제조
제조예 1에 CMC 11 중량%와 글리세린 7 중량%를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24> 느릅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겔 페이스트제의 제조
제조예 1에 CMC 9 중량%와 글리세린 9 중량%를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25> 느릅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겔 페이스트제의 제조
제조예 1에 CMC 7 중량%와 글리세린 11 중량%를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26> 느릅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겔 페이스트제의 제조
제조예 1에 CMC 5 중량%와 글리세린 13 중량%를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27> 느릅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겔 페이스트제의 제조
제조예 1에 CMC 13 중량%와 폴리에틸렌글리콜 5 중량%를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28> 느릅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겔 페이스트제의 제조
제조예 1에 CMC 11 중량%와 폴리에틸렌글리콜 7 중량%를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29> 느릅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겔 페이스트제의 제조
제조예 1에 CMC 9 중량%와 폴리에틸렌글리콜 9 중량%를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30> 느릅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겔 페이스트제의 제조
제조예 1에 CMC 7 중량%와 폴리에틸렌글리콜 11 중량%를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31> 느릅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겔 페이스트제의 제조
제조예 1에 CMC 5 중량%와 폴리에틸렌글리콜 13 중량%를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32> 느릅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겔 페이스트제의 제조
제조예 1에 CMC 5 중량%와 폴리에틸렌글리콜 5 중량%를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33> 느릅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겔 페이스트제의 제조
제조예 1에 CMC 7 중량%와 폴리에틸렌글리콜 7 중량%를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34> 느릅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겔 페이스트제의 제조
제조예 1에 CMC 9 중량%와 폴리에틸렌글리콜 9 중량%를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35> 느릅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겔 페이스트제의 제조
제조예 1에 CMC 11 중량%와 폴리에틸렌글리콜 11 중량%를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36> 느릅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겔 페이스트제의 제조
제조예 1에 CMC 13 중량%와 폴리에틸렌글리콜 13 중량%를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37> 느릅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겔 페이스트제의 제조
제조예 1에 CMC 14 중량%와 폴리에틸렌글리콜 14 중량%를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38> 느릅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겔 페이스트제의 제조
제조예 1에 CMC 15 중량%와 폴리에틸렌글리콜 15 중량%를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업적으로 구입가능한 DuoDERM 겔(Convatec Ltd.)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2>
본 발명자가 개발하여 기술이전하여, 상업적으로 판매되고 있는 클리겔(Hugel)을 사용하였다.
<실험예 1> 생체적합성 고분자 및 다가알콜의 종류 또는 함량변화에 따른 점도변화
생체적합성 고분자 및 다가 알콜의 종류 또는 함량을 달리하는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2의 겔 페이스트제와, 감마선을 조사하기 전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2의 겔 페이스트 조성물의 측정하여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글리세린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용액의 점도는 증가하였고, 조사 후에는 전체적으로 점도가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글리세린 함유량에 따른 피부의 당김 변화
본 발명에 따른 겔 페이스트제의 피부당김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도 2 참조), 실시예 5 내지 실시예 8(도 3 참조) 및 실시예 9 내지 실시예 12(도 4 참조)를 사람 팔 안쪽에 바르고 한 시간 단위로 촬영한 사진을 얻었다.
도 2는 느릎나무 추출물과 CMC 10 중량%에 글리세린의 농도를 증가시켜 제조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의 피부당김정도를 측정한 사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는 사람의 팔 위에서 약 1시간 경과 후, 건조되기 시작하였다. 또한, 글리세린이 포함되지 않은 실시예 1이 3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피부에서 떨어져 나가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3은 느릅나무 추출물과 가교CMC 5 중량%에 글리세린의 농도를 증가시켜 제조된 실시예 5 내지 실시예 8의 피부당김정도를 측정한 사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5 내지 실시예 8은 사람의 팔 위에서 약 1시간 경과 후 건조되기 시작하여 약 5시간이 경과하여도 피부에서 떨어져 나가지 않았고, 약 6시간 경과 후 글리세린이 1 중량%가 포함되어있는 실시예 6(b)이 떨어져 나가는 것을 확인하여 CMC보다 가교 CMC가 우수한 피부밀착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도 4는 느릅나무 추출물과 알긴산염 5 중량%에 글리세린의 농도를 증가시켜 제조된 실시예 9 내지 12의 피부당김정도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9 내지 실시예 12는 사람의 팔 위에서 약 3시간이 경과하여도 모두 떨어져 나가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생체적합성 고분자 종류에 따른 피부의 당김 변화
생체적합성 고분자의 종류에 따른 피부의 당김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서, CMC를 포함하는 실시예 3, 가교 CMC를 포함하는 실시예 8 및 알긴산염을 포함하는 실시예 11과 비교예 1을 사람의 팔 안쪽에 바르고 한 시간마다 촬영한 사진을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약 두시간 경과 후 실시예 3이 피부에서 떨어져 나갔고, 4시간 경과 후 실시예 8까지 떨어져 나갔으며 5시간이 경과하여도 실시예 11과 비교예 1은 피부에서 떨어져 나가지 않았다.
<실험예 4> 수분 증발량 측정
피부 위에서의 수분 증발량을 하기 위해, 페트리 디쉬에 실시예 3, 실시예 8, 실시예 11 및 비교예 1을 각각 2 g을 담은 후 37 ℃로 조절된 항온 수조의 수면에 띄어놓고 한 시간 단위로 수분증발량을 측정하여 그 변화를 표 1 및도 6에 나타내었다.
시간 0.5 1 2 3 4 5 6 7 8 9 10 11
실시예 3(g) 0.062 0.057 0.123 0.0959 0.134 0.090 0.123 0.094 0.125 0.102 0.619 0.392
실시예 8(g) 0.063 0.083 0.114 0.095 0.152 0.075 0.102 0.121 0.096 0.113 0.675 0.331
실시예 11(g) 0.066 0.080 0.109 0.101 0.128 0.082 0.106 0.132 0.131 0.108 0.681 0.298
비교예 1(g) 0.068 0.068 0.114 0.077 0.102 0.070 0.087 0.106 0.077 0.096 0.567 0.587
표 1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겔페이스트인 실시예 3, 실시예 8, 실시예 11은 상용화 제품인 비교예 1에 비해 시간에 따른 수분함량 및 증발량이 유사한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5> 생체적합성 고분자 및 다가알콜의 종류 또는 함량변화에 따른 점도변화
생체적합성 고분자 및 다가 알콜의 종류 또는 함량을 달리하는 실시예 13 내지 실시예 21의 겔 페이스트제와, 감마선을 조사하기 전의 실시예 13 내지 실시예 21의 겔 페이스트 조성물의 측정하여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CMC의 농도 및 글리세린과 폴리에틸렌글리콜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용액의 점도는 증가하였고, 조사 후에는 전체적으로 점도가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6> 피부 당김의 변화
CMC 농도가 증가함에 따른 피부의 당김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서, 글리세린 3 중량%와 CMC 10 중량%를 포함하는 실시예 13, CMC 13 중량%를 포함하는 실시예 14 및 CMC 15 중량%를 포함하는 실시예 15를 사람의 팔 안쪽에 바르고 한 시간마다 촬영한 사진을 도 8에 나타내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약 5시간 경과 후 실시예 13이 피부에서 떨어져 나갔고, 8시간이 경과하여도 실시예 14 및 실시예 15는 피부에서 떨어져 나가지 않았다.
<실험예 7> 피부 당김의 변화
CMC 농도가 증가함에 따른 피부의 당김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서, 글리세린 5 중량%와 CMC 10 중량%를 포함하는 실시예 16, CMC 13 중량%를 포함하는 실시예 17 및 CMC 15 중량%를 포함하는 실시예 18을 사람의 팔 안쪽에 바르고 한 시간마다 촬영한 사진을 도 9에 나타내었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약 5시간 경과 후 실시예 16이 피부에서 떨어져 나갔고, 7시간 경과 후 실시예 17이 피부에서 떨어져나갔으나, 8시간이 경과하여도 실시예 18는 피부에서 떨어져 나가지 않았다.
<실험예 8> 피부 당김의 변화
PEG 농도가 증가함에 따른 피부의 당김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서, PEG 5 중량%와 CMC 10 중량%를 포함하는 실시예 19, CMC 13 중량%를 포함하는 실시예 20 및 CMC 15 중량%를 포함하는 실시예 21을 사람의 팔 안쪽에 바르고 한 시간마다 촬영한 사진을 도 10에 나타내었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9 내지 실시예 21 모두 2시간이 지나도 피부에서 떨어져 나가지 않았다.
<실험예 9> 피부 당김의 변화
상용제품과 비교하기 위해서, 실시예 13, 실시예 16, 실시예 19 및 비교예 1을 사람의 팔 안쪽에 바르고 한 시간마다 촬영한 사진을 도 11에 나타내었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가알콜의 함량이 적은 실시예 13은 2시간 경과 후 피부에서 떨어져 나갔으나, 실시예 16 내지 실시예 19 및 비교예 1 모두 4시간이 지나도 피부에서 떨어져 나가지 않았다.
<실험예 10> 생체적합성 고분자 및 다가알콜의 종류 또는 함량변화에 따른 점도변화
생체적합성 고분자 및 다가 알콜의 종류 또는 함량을 달리하는 실시예 22 내지 실시예 31의 겔 페이스트제와, 감마선을 조사하기 전의 실시예 22 내지 실시예 31의 겔 페이스트 조성물의 측정하여 도 12에 나타내었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글리세린과 폴리에틸렌글리콜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용액의 점도는 감소하였고, 감마선 측정 후 점도가 감소하였다.
<실험예 11>
상용제품과 비교하기 위해서, 실시예 23, 실시예 24, 실시예 25 및 비교예 1을 사람의 팔 안쪽에 바르고 한 시간마다 촬영한 사진을 도 13에 나타내었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23, 실시예 24, 실시예 25은 5 시간이 경과하여도 피부에서 떨어져 나가지 않았지만, 비교예 1은 4 시간이 경과하면 피부에서 떨어져 나가 본 발명이 상용화된 제품보다 우수한 접촉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12> 생체적합성 고분자 및 다가알콜의 종류 또는 함량변화에 따른 점도변화
생체적합성 고분자 및 다가알콜의 종류 또는 함량을 달리하는 실시예 32 내지 실시예 38의 겔 페이스트제와, 감마선을 조사하기 전의 실시예 32 내지 실시예 38의 겔 페이스트 조성물의 측정하여 도 14에 나타내었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같이, CMC과 글리세린의 합한 중량%가 증가함에 따라 점도가 증가하였으며, 감마선 조사 후 용액의 점도는 전체적으로 감소하였다.
<실험예 13> 피부 당김의 변화
상용제품과 비교하기 위해서, 실시예 36, 실시예 37, 실시예 38 및 비교예 1을 사람의 팔 안쪽에 바르고 한 시간마다 촬영한 사진을 도 15에 나타내었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36, 실시예 37, 실시예 38 및 비교예 1 모두는 5 시간이 경과하여도 피부에서 떨어져 나가지 않았지만, 비교예 1은 3 시간이 경과하면서 가장자리부터 박리가 나타나 본 발명이 상용화된 제품보다 우수한 지속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14> 수분 증발량 측정
피부 위에서의 수분 증발량을 하기 위해, 페트리 디쉬에 실시예 36, 실시예 37, 실시예 38 및 비교예 1을 각각 1 g을 담은 후 37 ℃로 조절된 항온 수조의 수면에 띄어놓고 한 시간 단위로 수분증발량을 측정하여 그 변화를 표 2 및 도 16에 나타내었다.
시간 0.5 1 2 3 4 5 6 7 8 9
실시예 36(g) 0.308 0.259 0.172 0.087 0.023 0.009 0 0.006 0 0
실시예 37(g) 0.314 0.220 0.152 0.054 0.012 0.005 0.001 0.001 0.001 0.001
실시예 38(g) 0.318 0.213 0.156 0.050 0.011 0.003 0.005 0 0 0
비교예 1(g) 0.281 0.232 0.168 0.075 0.011 0.013 0.007 0.005 0.007 0.007
표 2 0.011및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겔페이스트인 실시예 36, 실시예 37, 실시예 38은 상용화 제품인 비교예 1에 비해 시간에 따른 수분함량 및 증발량이 유사한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15> 궤양 치료 효과
본 발명의 궤양 치료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하기와 같은 동물 실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8주령 쥐(rat)을 면도한 후, 면도한 부위 전체를 소독을 하였다(도 17의 (a)). 다음으로, 피부에 비슷한 크기의 상처를 두 곳에 내고(도 17의 (b)), 상처의 크기를 측정하였다(도 17의 (c)). 이 후, 실시예 36 내지 실시예 38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2를 각각 도포하고(도 17의 (d)) 반창고를 붙였다(도 17의 (e)). 하루에 한번 씩 상처의 크기를 측정하고, 사진촬영 후, 반창고를 갈아주었다. 상기 촬영된 사진을 도 18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실시예 36(도 18의 (a))을 도포한 쥐의 상처는 3일이 경과한 후 상처의 상하길이가 현저히 감소하였고, 7일 경과 후에는 상처의 좌우의 길이가 약 40% 감소하였다. 나아가, 14일 경과 후에는 상처의 크기가 초기 상처에 비해 10% 미만으로 감소하고, 26일 경과 후에는 상처 전체에 피부가 재생된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실시예 37(도 18의 (b))을 도포한 쥐의 상처는 3일이 경과한 후 상처의 상하길이가 약 70% 감소하였고, 7일 경과 후에는 상처 좌우 및 상하 길이가 약 40%으로 감소하였다. 나아가, 14일 경과 후에는 상처의 크기가 초기 상처에 비해 10% 미만으로 감소하고, 26일 경과 후에는 상처 전체에 피부가 재생된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실시예 38(도 18의 (c))을 도포한 쥐의 상처는 3일이 경과한 후 상처의 상하길이가 약 60% 감소하였고, 7일 경과 후에는 상처 좌우 및 상하 길이가 약 80%으로 감소하였다. 특히, 14일 경과 후에는 상처의 크기가 초기 상처에 비해 5% 미만으로 감소하여 가장 빠른 치유속도를 보였으며, 26일 경과 후에는 상처 전체에 피부가 재생된 것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비교예 1(도 18의 (e))은 및 비교예 2(도 18의 (f)) 도포한 쥐의 상처는 3일이 경과한 후 상처의 상하길이가 약 50% 감소하였고, 7일 경과 후에는 상처 좌우 및 상하 길이가 약 30%로 감소하였다. 나아가, 14일 경과 후에는 상처의 크기가 초기 상처에 비해 10% 미만으로 감소하고, 26일 경과 후에는 상처 전체에 피부가 재생된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치료제를 도포하지 않은 쥐(도 18의 (b))는 3일 경과 후에도 상처크기의 감소는 거의 없으며, 7일 경과 후 약 50%로 상처가 감소하였고, 14일 경과 후에도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와 비교하여 가장 큰 상처가 남아있었고, 26일 경과 후에도 재생이 되지않은 부분이 남아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6 내지 실시예 38은 종래의 치료제와 동등하거나 더 우수한 치료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또한, 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험시작 3일, 7일, 14일 및 26일 후의 조직을 각각 채취하여 H&E 염색을 실시하고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도 19 내지 도 22에 나타내었다.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치료제를 도포하지 않은 쥐의 경우 치료 후 7일이 지난 뒤에 조직이 원래의 상태로 돌아오기 시작했으며 이후 회복속도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도포한 쥐보다 느린 것을 확인하였다.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 1을 도포한 쥐의 경우 치료 후 7일이 지난 뒤에 조직이 원래의 상태로 돌아오기 시작하였다.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 2를 도포한 쥐의 경우 도포한 쥐의 경우 치료 후 7일이 지난 뒤에 조직이 원래의 상태로 돌아오기 시작하였다.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36을 도포한 쥐의 경우 도포한 쥐의 경우 치료 후 3일이 지난 뒤에 조직이 원래의 상태로 돌아오기 시작하였으며 이후, 조직이 빠르게 생성되어 회복속도가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37을 도포한 쥐의 경우 도포한 쥐의 경우 도포한 쥐의 경우 치료 후 7일이 지난 뒤에 조직이 원래의 상태로 돌아오기 시작하였으며 이후, 조직이 빠르게 생성되어 회복속도가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38을 도포한 쥐의 경우 도포한 쥐의 경우 도포한 쥐의 경우 치료 후 7일이 지난 뒤에 조직이 원래의 상태로 돌아오기 시작하였으며 이후, 조직이 빠르게 생성되어 회복속도가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형태의 점도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고((가)감마선 조사 전 (나)감사선 조사 후; (a)실시예 1 내지 4,(b)실시예 5 내지 8 (c)실시예 9 내지 12)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형태의 시간에 따라 피부당김 정도를 나타낸 사진이고((a)실시예 1,(b)실시예 2,(c)실시예 3,(d)실시예 4);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형태의 시간에 따라 피부당김 정도를 나타낸 사진이고((a)실시예 5,(b)실시예 6,(c)실시예 7,(d)실시예 8);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형태의 시간에 따라 피부당김 정도를 나타낸 사진이고((a)실시예 9,(b)실시예 10,(c)실시예 11,(d)실시예 12);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형태의 시간에 따라 피부당김 정도를 나타낸 사진이고((a)실시예 3,(b)실시예 8,(c)실시예 11,(d)비교예 1);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형태의 건조 시간에 따른 수분 증발량을 측정한 그래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형태의 점도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고((가)감마선 조사 전 (나)감사선 조사 후; (a)실시예 13 내지 15,(b)실시예 16 내지 18,(c)실시예 19 내지 21);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형태의 시간에 따라 피부당김 정도를 나타낸 사진이고((a)실시예 13,(b)실시예 14,(c)실시예 15);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형태의 시간에 따라 피부당김 정도를 나타낸 사진이고((a)실시예 16,(b)실시예 17,(c)실시예 18);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형태의 시간에 따라 피부당김 정도를 나타낸 사진이고((a)실시예 19,(b)실시예 20,(c)실시예 21);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형태의 시간에 따라 피부당김 정도를 나타낸 사진이고((a)실시예 13,(b)실시예 16,(c)실시예 19,(d)비교예 1);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형태의 점도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고((a)감마선 조사 후 (b)감사선 조사 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형태의 시간에 따라 피부당김 정도를 나타낸 사진이고((a)비교예 1,(b)실시예 23,(c)실시예 24,(d)실시예 25);
도 14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형태의 점도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고((a)감마선 조사 전 (b)감사선 조사 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형태의 시간에 따라 피부당김 정도를 나타낸 사진이고((a)비교예 1,(b)실시예 38,(c)실시예 37,(d)실시예 38);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형태의 건조 시간에 따른 수분 증발량을 측정한 그래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을 이용한 동물 실험을 순서대로 나타낸 사진이고;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형태의 도포 후 시간경과에 따른 궤양크기를 측정하여 나타낸 사진이고((a)실시예 36,(b)실시예 37,(c)실시예 38,(d)치료제를 도포하지 않은 경우 (e)비교예 1,(d)비교예 2);
도 19는 치료제를 도포하지 않은 경우의 조직사진이고((a)치료 3일 후,(b)치 료 7일 후,(c)치료 14일 후,(d)치료 26일 후);
도 20은 비교예 1을 도포한 경우의 조직사진이고((a)치료 3일 후,(b)치료 7일 후,(c)치료 14일 후,(d)치료 26일 후);
도 2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를 도포한 경우의 조직사진이고((a)치료 3일 후,(b)치료 7일 후,(c)치료 14일 후,(d)치료 26일 후);
도 22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를 도포한 경우의 조직사진이고((a)치료 3일 후,(b)치료 7일 후,(c)치료 14일 후,(d)치료 26일 후);
도 23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를 도포한 경우의 조직사진이고((a)치료 3일 후,(b)치료 7일 후,(c)치료 14일 후,(d)치료 26일 후); 및
도 24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를 도포한 경우의 조직사진이다((a)치료 3일 후,(b)치료 7일 후,(c)치료 14일 후,(d)치료 26일 후).

Claims (9)

  1. 생체적합성 고분자, 다가알콜, 느릅나무 추출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궤양 치료용 겔 페이스트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적합성 고분자의 함량은 1 ~ 20 중량%이고, 다가 알콜의 함량은 1 ~ 20 중량%이고, 느릅나무 추출물은 1 ~ 6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양 치료용 겔 페이스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적합성 고분자는 소듐카르보시메틸셀룰로오스(CMC), 가교 CMC, 알긴산염(Alginate), 카라기난(Carageenan), 젤라니틴, 아가 및 키토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고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양 치료용 겔 페이스트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적합성 고분자는 소듐카르보시메틸셀룰로오스, 가교 CMC 또는 알긴산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양 치료용 겔 페이스트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가알콜은 글리세린, 폴리에틸렌글리콜, 에틸렌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헥실렌글리콜, 소르비톨 및 만니톨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1 이상의 혼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양 치료용 겔 페이스트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가알콜은 글리세린,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이의 혼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양 치료용 겔 페이스트제.
  7. 생체적합성 고분자, 다가알콜 및 느릅나무 추출물의 혼합물을 항온 수조에서 가열하는 단계(단계 1); 및 상기 단계 1에서 가열된 혼합물에 감마선을 조사하는 단계(단계 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궤양 치료용 겔페이스트제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의 가열은 70 ~ 80 ℃에서 20 ~ 30 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양 치료용 겔 페이스트제의 제조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감마선은 20 ~ 30 kGy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양 치료용 겔 페이스트제의 제조방법.
KR1020080032795A 2008-04-08 2008-04-08 느릅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궤양 치료용 겔 페이스트제 및이의 제조방법 KR200901073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2795A KR20090107339A (ko) 2008-04-08 2008-04-08 느릅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궤양 치료용 겔 페이스트제 및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2795A KR20090107339A (ko) 2008-04-08 2008-04-08 느릅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궤양 치료용 겔 페이스트제 및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7339A true KR20090107339A (ko) 2009-10-13

Family

ID=41537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2795A KR20090107339A (ko) 2008-04-08 2008-04-08 느릅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궤양 치료용 겔 페이스트제 및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0733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2579B1 (ko) * 2010-09-20 2013-03-19 한국원자력연구원 방사선을 이용한 꿀을 포함하는 궤양 치료용 페이스트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되는 궤양 치료용 페이스트
KR101242573B1 (ko) * 2010-09-20 2013-03-19 한국원자력연구원 꿀을 포함하는 궤양 치료용 겔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되는 궤양 치료용 겔
KR20210020307A (ko) 2019-08-14 2021-02-24 광주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느릅나무속 식물로부터 카테킨 배당체를 고함량 포함하는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2579B1 (ko) * 2010-09-20 2013-03-19 한국원자력연구원 방사선을 이용한 꿀을 포함하는 궤양 치료용 페이스트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되는 궤양 치료용 페이스트
KR101242573B1 (ko) * 2010-09-20 2013-03-19 한국원자력연구원 꿀을 포함하는 궤양 치료용 겔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되는 궤양 치료용 겔
KR20210020307A (ko) 2019-08-14 2021-02-24 광주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느릅나무속 식물로부터 카테킨 배당체를 고함량 포함하는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24271B2 (en) Skin wound dressing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KR100676937B1 (ko) 피부미용 및 상처치료용 수용성 필름 및 그 제조방법
CN101249274B (zh) 促进伤口愈合的白芨多糖水凝胶的制备及其应用
US10207022B2 (en) Chitosan tissue dressing
CN104623718B (zh) 壳聚糖凡士林纱布及其制备方法
CN110507845A (zh) 生物复合透气敷料及其制备方法
JP4703283B2 (ja) 創傷被覆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3061265A (zh) 一种多糖类水凝胶,其制备方法及其应用
CN106344954A (zh) 一种生物抗菌细菌纤维素敷料及其制备方法
KR20090107339A (ko) 느릅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궤양 치료용 겔 페이스트제 및이의 제조방법
CN107427561A (zh) 皮肤伤口治疗组合物
KR101809182B1 (ko) 천연추출물로 이루어진 창상 피복제용 조성물
CN113679883A (zh) 一种含丝素蛋白凝胶敷料的制备方法
CN112023110B (zh) 一类基于竹荪蛋提取物的活性抑菌敷料
CN112675354B (zh) 一种多功能白及医用材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102553868B1 (ko) 점착성 투명 다기능 창상피복재의 제조방법
KR101171864B1 (ko) 피부 점착력이 향상된 알레르기성 피부질환 개선용 수화겔
CN104225577A (zh) 一种双疗程复合细胞生长因子水凝胶及制备方法及与应用
CN114949029A (zh) 一种促进创面愈合的金丝桃提取物及其制备方法
CN106943316A (zh) 可促进皮肤再生的乳液及其制备方法
KR101576244B1 (ko) 알로인을 함유하는 하이드로겔 기반의 창상피복제용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Chelu et al. Aloe Vera-Based Hydrogels for Wound Healing: Properties and Therapeutic Effects. Gels 2023, 9, 539
KR101242573B1 (ko) 꿀을 포함하는 궤양 치료용 겔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되는 궤양 치료용 겔
KR101242579B1 (ko) 방사선을 이용한 꿀을 포함하는 궤양 치료용 페이스트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되는 궤양 치료용 페이스트
RU2589840C1 (ru) Гидрофильный гель для раневого покрыт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0927

Effective date: 20111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