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6312A - 2개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장치 및 그 사용자인터페이스 방법 - Google Patents
2개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장치 및 그 사용자인터페이스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106312A KR20090106312A KR1020080032555A KR20080032555A KR20090106312A KR 20090106312 A KR20090106312 A KR 20090106312A KR 1020080032555 A KR1020080032555 A KR 1020080032555A KR 20080032555 A KR20080032555 A KR 20080032555A KR 20090106312 A KR20090106312 A KR 2009010631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play
- sub
- content
- contact
- content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2개의 디스플레이를 갖는 장치와 그에 적용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이 개시된다. 장치는 제 1 디스플레이와, 접촉 감지 기능을 구비한 제 2 디스플레이와, 제 2 디스플레이에 의해 감지된 2차원 이동 접촉에 따라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또는 상기 제 2 디스플레이의 표시 내용을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장치는 사용자가 직관적이고 동적으로 장치에 신호를 입력하여 편리하게 장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접촉 입력,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
Description
본 발명은 2개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장치 및 그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고 메인 디스플레이와 상이한 화면을 표시하는 별도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더욱 직관적이고 편리한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 및 그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사용자 전자 기기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들 기기는 대부분 사용자에게 출력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필수적으로 포함하고 있다. 또한 전자 기기는 사용자의 입력을 받기 위한 입력 장치로서 키패드, 키보드 등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기기가 날로 소형화되고 휴대성의 요구가 높아지는 동시에 사용자에게 보다 다양한 화상을 제공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면서 디스플레이의 면적 확장과 입력 장치 소형화가 동시에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상반된 요구에 대응하여, 입력 장치를 별도로 포함하지 않고 (또는 최소한의 입력 장치를 포함하면서) 디스플레이 자체를 입력장치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로서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할 수 있는 장치, 소위 터치 패드를 사용함으로써 디스플레이가 입력 장치의 기능을 동시에 달성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기술은 휴대 전화에 적용될 수 있다. 종래 기술의 일 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에 키패드의 화상이 표시되며, 사용자는 표시되는 화상을 키패드로 이용하고 키에 접촉함으로써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아이콘이 표시되고 사용자는 원하는 아이콘에 접촉함으로써 아이콘에 관련하는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는 단일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므로 장치의 출력과 사용자의 입력을 모두 인식이 용이하도록 표시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단일 디스플레이에서 장치의 출력과 사용자의 입력 내용 중 하나만을 표시하게 되면 사용자는 입력에 의한 장치 출력을 즉시 인식할 수 없게 된다. 장치의 출력과 사용자의 입력을 동시에 표시하는 경우에도 표시 내용이 중첩되어 사용자가 양 표시 내용을 모두 인식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는 손 또는 터치 펜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를 접촉하게 되는데, 이에 의해 표시 내용이 가려지므로 입력 행위에 의해 표시 내용 인식이 방해되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인식한 것으로, 장치의 출력 내용과 사용자의 입력 내용을 동시에 방해 없이 인식할 수 있게 하는 장치 및 그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더욱 직관적이고 편리하게 입력을 수행하고 장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및 그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제 1 디스플레이 및 접촉 감지 기능을 구비한 제 2 디스플레이를 장착한 전자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2 디스플레이에 2차원 이동 접촉 형태로 가해지는 제스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스쳐 입력에 따라 제 1 디스플레이 또는 제 2 디스플레이의 표시 내용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는 제 1 시스템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을 표시하고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는 제 2 시스템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을 표시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2차원 이동 접촉에 따라 상기 제 1 시스템과 상기 제 2 시스템 사이에서 컨텐츠가 이동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스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제 1 디스플레이를 향하는 방향으로의 이동 접촉을 감지하여 상기 제스쳐 입력으로서 수신하고, 상기 표시 내용을 변경하는 단계는 제 2 디스플레이의 표시 내용과 연관된 내용을 제 1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스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제 1 디스플레이의 반대측을 향하는 방향으로의 이동 접촉을 감지하여 상기 제스쳐 입력으로서 수신하고, 상기 표시 내용을 변경하는 단계는 제 1 디스플레이의 표시 내용과 연관된 내용을 제 2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표시 내용을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2차원 이동 접촉의 형태가 저장된 형태에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 1 디스플레이 또는 제 2 디스플레이의 표시 내용을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방법은 제 2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2차원 이동 접촉 형태를 상기 저장된 형태로서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내용을 변경하는 단계는 제 1 디스플레이의 표시 내용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표시 내용을 변경하는 단계는 제 1 디스플레이의 표시 내용을 확대 또는 축소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수신된 제스쳐 입력에 따라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내용 중 적어도 일부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 내용을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내용에 관계된 내용을 상기 제 2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 1 디스플레이 및 접촉 감지 기능을 구비한 제 2 디스플레이를 장착한 전자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는 복수의 제 1 하위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는 각각의 제 1 하위 영역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 2 하위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제 2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하나의 제 2 하위 영역에서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접촉이 감지된 제 2 하위 영역에 대응하는 제 1 하위 영역의 표시 내용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는 시작점과 종료점을 갖는 2차원 이동 접촉을 감지할 수 있으며, 상기 방법은, 상기 2차원 이동 접촉의 시작점과 연관된 위치의 제 2 하위 영역에 대응하는 제 1 하위 영역의 표시 내용에 관계된 컨텐츠를, 상기 2차원 이동 접촉의 종료점과 연관된 위치의 제 2 하위 영역에 대응하는 제 1 하위 영역의 표시 내용에 관계된 기능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는 2차원 이동 접촉을 감지할 수 있으며, 상기 방법은, 상기 2차원 이동 접촉이 상기 제 2 디스플레이의 외부에서 종료되는 경우, 상기 2차원 이동 접촉이 시작하는 지점과 연관된 위치의 제 2 하위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 1 하위 영역의 표시 내용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접촉이 감지된 제 2 하위 영역에 대응하는 제 1 하위 영역의 표시 내용과 관련한 기능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제 1 디스플레이와, 접촉 감지 기능을 구비한 제 2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 2 디스플레이에 의해 감지된 2차원 이동 접촉에 따라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또는 상기 제 2 디스플레이의 표시 내용을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복수의 제 1 하위 영역을 포함하는 제 1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 1 하위 영역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 2 하위 영역을 포함하며, 접촉 감지 기능을 구비한 제 2 디스플레이와, 상기 접촉이 발생하는 제 2 하위 영역에 대응하는 제 1 하위 영역의 표시 내용을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제 1 디스플레이 및 제 2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접속되고, 상기 제 2 디스플레이상에 설치되는 접촉 감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와 제 2 디스플레이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표시 내용을 변경하도록, 2차원 이동 접촉을 감지하고 감지 정보를 제어부에 제공하는 접촉 감지 장치가 제공된다.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복수의 제 1 하위 영역을 포함하는 제 1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 1 하위 영역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 2 하위 영역을 포함하는 제 2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에 접속되고, 상기 제 2 디스플레이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 2 하위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접촉 입력을 감지하는 접촉 감지 장치에 있어서, 접촉이 발생하는 제 2 하위 영역에 대응하는 제 1 하위 영역의 표시 내용을 변경하도록, 접촉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에 접촉 입력 정보를 제공하는 접촉 감지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장치의 출력 내용과 사용자의 입력 내용을 동시에 방해 없이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더욱 직관적이고 편리하게 입력을 수 행하고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는 본 발명이 휴대 전화에 적용된 예에 관한 것이나, 본 발명은 이외에도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 랩탑 컴퓨터 등 다양한 전자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장치(100)는 서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상부 몸체(140)와 하부 몸체(150)를 포함한다. 상부 몸체(140)에는 제 1 디스플레이(110)와 제 2 디스플레이(120)가 설치된다. 디스플레이(110, 120)로서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등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제 2 디스플레이(120)는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로서, 소위 터치 패드로 알려진 기술을 적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 디스플레이(120)는 화상의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 상에 설치된 접촉 감지 장치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접촉에 의해 발생하는 정전기, 압력 또는 커패시턴스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디스플레이(120)는 LCD(1010) 상에 배치된 접촉 감지 장치(1020)를 포함하는데, 접촉 감지 장치(1020)는 장치의 보호를 위한 윈도우(1022), 윈도우(1022)의 배면에 배치되는 투명 전극(1026)을 포함한다. 투명 전극(1026)은 투명 필름(1024) 상에 에칭, 리소그래피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접촉의 2차원적 좌표를 감지할 수 있도록 1 또는 2 이상의 전극군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접촉에 의하여, 도체인 투명 전극(1026) 및 유전체로 기능하는 윈도우(1022)와 투명 필름(1024)에 의한 커패시턴스가 변화되고, 이러한 변화는 배선(1028)을 통해 회로부(1030)에서 감지된다. 회로부(1030)에서 감지된 접촉에 대한 정보는 후술하는 제어부로 제공되어, 제어부가 디스플레이(110, 120)의 표시 내용 및/또는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한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접촉 입력 수단으로서의 제 2 디스플레이(120)의 언급은 실질적으로는 그에 포함되는 접촉 감지 장치(1020)를 언급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는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제 2 디스플레이(120)는 직선, 곡선 등 다양한 형태의 2차원 이동 접촉을 감지할 수 있다. 이로써 감지 가능한 입력의 종류가 증가하고 그에 대응한 제어의 종류도 증가할 수 있다.
하부 몸체(150)에는 키패드(130)가 설치되어 사용자가 제 2 디스플레이(120)를 통하지 않고도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키패드(130)는 설치되지 않아도 좋으나, 제 2 디스플레이(120)의 동작에 따라 보충적인 입력 수단이 필요한 경우에는 키패드(130)가 설치되어 종래 방식의 입력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키패드(130)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는 장치(100)가 하부 몸체(15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키패드(130)의 위치는 하부 몸체(150)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상부 몸체(140)에 설치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의 장치(100)는 이와 같이 2개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제 2 디스플레이(120)만이 접촉을 감지하는 입력장치로도 동작하므로 제 1 디스플레이(110)를 통해서는 완전한 출력 내용의 인식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2개의 디스플레이가 설치되므로 더욱 다양하고 직관적인 사용자 입력이 가능해 진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장치는 제 1 디스플레이(110)와 연결되어 제 1 디스플레이(110)의 표시를 제어하는 제 1 디스플레이 제어부(210)와 제 2 디스플레이(120)와 연결되어 제 2 디스플레이(120)의 표시를 제어하는 제 2 디스플레이 제어부(220)를 포함한다. 특히 제 2 디스플레이 제어부(220)는 제 2 디스플레이(120)에서의 사용자 접촉을 감지하고 이에 따라 적합한 신호를 제어부(230)로 전달할 수 있도록 입력 장치의 제어도 수행한다. 디스플레이 제어부(210, 220)는 제어부(230)에 접속되어 장치의 동작에 따라 적절하게 표시 내용을 변경하고 입출력 신호를 통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0, 120)는 각각 상이한 디스플레이 제어부(210, 220)의 제어를 받으므로 서로 다른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동시에, 동일한 제어부(230)가 이들 디스플레이 제어부(210, 220)를 제어하므로 두 개의 디스플레이가 서로 연동하여 동작하면서 화면을 분할 표시하거나, 서로 동기되어 표시를 변경하는 등의 제어가 가능하다. 특히, 제어부(230)는 감지된 2차원 이동 접촉에 따라 제 1 디스플레이(210) 또는 제 2 디스플레이(220)의 표시 내용을 변경하도록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 제어부(210, 22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30)에는 키패드(130)가 연결되어 키패드(130)를 통한 사용자 입력도 수신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50)도 제어부(230)의 제어 하에서 데이터를 저장/판독한다.
제어부(230)는 장치 전체를 제어하면서 통신부(240)를 통해 다른 장치 또는 네트워크와 신호를 주고 받도록 한다. 통신부(240)는 하나의 구성요소로 표현되었으나, 하나의 장치가 수 개의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경우에는 통신 방식의 수만큼 다양한 통신부가 포함될 수도 있다. 반면, 장치가 통신 기능을 갖지 않는 경우에는 통신부(240)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장치는 다양한 방식으로 2개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하 이를 상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UI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에서, 제어부(230)는 사용자의 2차원 이동 접촉에 따라 제 1 디스플레이(110) 또는 제 2 디스플레이(120)의 표시 내용을 변경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를 제어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접촉 입력을 인가하기 전 제 1 디스플레이(110)에는 화상 A가 표시되고, 제 2 디스플레이(120)에는 화상 B가 표시된다. 이때, 사용자가 제 1 디스플레이(110)를 향하는 2차원 이동 접촉 입력(TA)을 제 2 디스플레이(120)에 인가하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 B가 제 1 디스플레이(110)에 표시되고 화상 A는 제 2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된다. 반대로, 도 3(b)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 1 디스플레이(110)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2차원 이동 접촉 입력(TB)을 인가하면, 도 3(a)의 상태와 같이 제 1 디스플레이(110)에 표 시되던 화상 B가 다시 제 2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되고, 화상 A는 제 1 디스플레이(110)에 표시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화상의 표시를 요구하는 방향으로 접촉 입력을 가하면 그 방향의 디스플레이에 화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디스플레이 표시 내용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UI 방식은 화상 통화 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제 1 디스플레이(110)에 상대방의 화상을 표시하고 제 2 디스플레이(120)에 사용자의 화상을 표시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방향 지정에 따라 표시 상태를 교환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실시형태에서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화상의 표시 내용이 서로 교환되었으나,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화상이 서로 교환되는 것이 아니라 입력 방향에 따른 표시 내용의 이동만이 일어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3의 실시형태에서, 사용자의 입력(TA)에 의해 화상 B가 제 1 디스플레이(110)에 표시되고 제 2 디스플레이(120)에는 제 3 의 화상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입력(TB)에 의해 화상 B 가 제 2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되고 제 1 디스플레이(110)에는 제 3 의 화상이 표시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사용자의 입력(TA)에 따라 화상 B가 제 1 디스플레이(110)에 화상 A와 함께 표시되고, 입력(TB)에 따라 다시 화상 B가 제 2 디스플레이에 분리표시될 수도 있다.
제 2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되는 상기한 제 3 의 화상은 다른 기능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메뉴 또는 아이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 통화가 진행 중인 경우, 제 1 디스플레이(110)에 상대방의 화상이, 제 2 디스플레이(120)에 사용자의 화상이 표시된다. 사용자의 입력(TA)에 따라 사용자의 화상이 제 1 디스플레이(110)에 상대방의 화상과 함께 표시되고, 제 2 디스플레이(120)에는 다른 기능을 위한 아이콘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제 2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된 아이콘들 중 하나를 선택, 실행시킴으로써 화상 통화 중에 다른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사진을 선택함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대방에게 사진을 전송할 수도 있고, 메신저 서비스를 선택함으로써 화상을 보면서 문자 대화를 이용할 수도 있다. 기능 선택 후에는 입력(TB)을 인가하여 다시 최초의 표시 상태로 복귀한다.
또 다르게는 제 1 디스플레이(110)의 화상과 제 2 디스플레이(120)의 화상이 (개념적으로 또는 그래픽 상에서) 연속적인 화상일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제 1 디스플레이(110)에 표시된 화면 중 일부가 제 2 디스플레이(120)로 이동되어 표시되거나, 제 2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된 화상이 제 1 디스플레이(110)에 표시된 화상에 추가되어 표시되는 것이다. 이러한 연속적인 화상은, 특히 메뉴 화면에 적용될 수 있다. 즉, 제 1 디스플레이(110)에 1 내지 9번의 메뉴(또는 아이콘)가 표시되고 제 2 디스플레이(120)에 10번의 메뉴(또는 아이콘)가 표시되는 것이다. 사용자의 입력(TA)에 의해 제 1 디스플레이(110)에는 (1번 메뉴는 제외되고) 2 내지 10의 메뉴가 표시되고, 입력(TB)에 의해 제 1 디스플레이에는 1 내지 8의 메뉴가, 제 2 디스플레이(120)에는 9번의 메뉴가 표시되는 방식이다. 사용자는 제 2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된 메뉴에 접촉 입력을 가함으로써 그 메뉴를 실행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UI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사용자의 접촉 입력은 컨텐츠의 시스템간 이동을 유발한다. 구체적으로, 도 4(a)를 참조하면, 제 1 디스플레이(110)는 제 1 시스템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 본 실시형태에서는 폴더의 아이콘(F)을 표시하고 제 2 디스플레이(120)는 제 2 시스템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 본 실시형태에서는 소정 문서의 아이콘(D)을 표시한다. 표시된 2개의 시스템은 서로 상이한 장치일 수도 있고 동일한 장치 내의 상이한 메모리 영역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디스플레이(110)는 다른 장치의 메모리 영역을 표시하고, 제 2 디스플레이(120)는 장치 내의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혹은 그 반대인 경우도 가능하다.
또한 시스템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은 아이콘(F, D) 외에 다른 장치 사용자의 사진, 특정 식별자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 통화가 진행되고 있는 경우에는 상대방의 화상이 상대방 장치를 식별하도록 하는 내용일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제 1 디스플레이(110)를 향하는 접촉 입력(TC)를 인가하면, 제어부는 문서(D)가 제 1 시스템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이러한 컨텐츠의 이동은 제어부가 통신부 및 메모리(240 및 250; 도 2)를 제어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동시에, 제어부는 제 1 디스플레이(110) 또는 제 2 디스플레이(120)에 이러한 컨텐츠 이동을 상징하는 내용, 예를 들어 전송 상태, 전송 결과, 전송 시작 여부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반대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디스플레이(110)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접촉 입력(TD)를 인가하는 경우, 제 1 디스플레이(110)에 표시된 컨텐츠(D) 가 제 2 디스플레이(110)에 표시된 시스템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컨텐츠의 저장을 원하는 방향으로 접촉 입력을 가하면 그 방향의 디스플레이가 나타내는 시스템에 컨텐츠가 저장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컨텐츠를 시스템 간에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제 2 디스플레이의 직선 방향의 접촉 입력 인식은 화면의 스크롤 신호로 이용될 수도 있다. 즉, 제 2 디스플레이에 소정 방향의 직선 형태로 접촉 입력을 인가하는 때에, 제어부는 그 방향에 따라 제 1 디스플레이의 표시 내용을 이동(scroll)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디스플레이를 입력장치로 하여 제 1 디스플레이의 표시 내용을 상하좌우로 스크롤 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스크롤 시에 제 1 디스플레이의 표시 내용을 손 또는 터치 펜으로 가리지 않으므로 사용자의 표시 내용 인식이 용이해진다.
한편, 제 2 디스플레이의 크기가 제 1 디스플레이보다 작아 그 스크롤 범위가 한정되는 경우, 사용자가 별도의 입력 변경을 유발하기 전까지 스크롤이 계속 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스크롤 신호를 입력한 후에도 연속적으로 제 2 디스플레이에 접촉하고 있는 경우 제어부는 표시 내용을 계속 스크롤 시키고, 접촉이 종료되면 스크롤을 종료하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제 2 디스플레이의 크기가 작더라도 스크롤 범위를 확대할 수 있다.
다르게는 또는 추가적으로는 제 2 디스플레이는 직선의 방향이 아니라 곡선의 방향을 인식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 2 디스플레이는 곡선의 접촉 입력(TF, TG)을 감지한다. 이때,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 입력(TF)의 방향 이 시계 방향인 경우, 제 1 디스플레이(110)에 표시된 내용을 확대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입력을 인식하였음을 확인하기 위해 제 1 디스플레이(110)에 + 기호(P)를 표시할 수도 있다. 반대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 입력(TG)의 방향이 반시계 방향인 경우, 제 1 디스플레이(110)에 표시된 내용을 축소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제 1 디스플레이에 - 기호(M)를 표시하여 동작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곡선의 접촉 입력의 방향을 인식하고 그에 대해 적합한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입력의 종류 및 그에 대응하는 기능을 다양화하고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특히 사진이나 동영상 등의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 이러한 기능을 이용하여 화상의 확대/축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UI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에서, 사용자의 2차원 이동 접촉 입력(TE)은 소정의 형태를 갖는다. 제어부는 이러한 입력을 감지하고, 이를 저장된 형태와 비교한다. 저장된 형태는 사용자가 제 2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입력하여 저장해 둔 것일 수도 있고, 시스템 제조 시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것일 수도 있다. 제어부는 접촉 입력(TE)이 저장된 형태와 대응하는 경우에는, 그 형태에 대응하는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의 활성화는 제 1 디스플레이(110) 또는 제 2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된다.
이와 같이 제 2 디스플레이(120)가 형태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디스플레이 내용이 변경되는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문자 e 형태의 입력(TE)을 인가함으로써 e로 시작하는 서비스, 예를 들어 이메일(e-mail)을 활성화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종래에 여러 단계의 메뉴를 통해 활성화 시켜야 하였던 기능을 한번의 입력만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직관적으로 장치를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형태와 기능의 대응 관계를 직접 설정함으로써 다양한 문자와 기능을 대응시켜 커스터마이즈된 사용이 가능해 진다. 예를 들어, MP3 기능의 활성화에 대해서는 '3', 사진(photo) 메뉴의 활성화에 대해서는 'P', 동영상(video) 기능에 대해서는 'V' 등으로 사용자가 기능의 이름과 직접 연관되어 인식하는 문자를 서비스와 대응시킬 수 있다. 또한 제 2 디스플레이가 상부 몸체에 배치되므로, 슬라이드를 열지 않고도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게 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제 2 디스플레이는 제 1 디스플레이와 개념적으로 대응되어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를 도 7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제 1 디스플레이(110)는 복수의 제 1 하위 영역을 포함하고, 제 2 디스플레이(120)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110)의 제 1 하위 영역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 2 하위 영역(122)을 포함한다. 제 1 디스플레이(110)의 하위 영역은 실질적으로 분리된 기능을 가지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표시상 분리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디스플레이의 하위 영역(A 내지 I)은 하나의 디스플레이 내의 영역이지만, 각각 별개의 아이콘이 표시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각 하위 영역(A 내지 I)은 제 2 디스플레이의 하위 영역(122a 내지 122i)에 각각 대응된다. 반면 제 2 디스플레이(120)의 하위 영역은, 각 영역에서의 접촉 입력이 상이한 입력으로 인식되도록 구별될 수 있다. 이 구별은 물리적 구별일 수도 있고 제어 방식에 있어서의 논리적 구별일 수도 있다. 제어부는 접촉 입력이 인가되는 하위 영역(122)을 감지하고, 그에 대응하는 하위 영역(A 내지 I)의 표시 내용을 변경하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가 제 2 디스플레이(120)에 대한 접촉 입력만으로 가능하다는 것은 사용자의 실제 장치 사용에 있어서의 편의를 증대시킨다. 제 2 디스플레이(120)는 상부 몸체에 설치되지만, 제 1 디스플레이(110)보다 하부 몸체(150)에 가깝다. 따라서 사용자는 하부 몸체(150)를 쥔 상태에서도 엄지손가락만으로 제 2 디스플레이(120)에 접촉 입력을 가할 수 있게 된다. 이는 하부 몸체(150)에서 멀리 떨어진 제 1 디스플레이(110)를 조작하는 것보다 훨씬 용이하다.
일 실시형태에서 사용자가 하위 영역(122) 중 하나에서 접촉 입력을 인가하면, 그에 대응하는 제 1 디스플레이(110)의 하위 영역(A 내지 I)에 표시된 아이콘이 선택되고, 그와 관련되는 기능이 활성화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하위 영역(122a)에 접촉한 경우 하위 영역(A)에 표시된 아이콘이 선택되고 그와 관련되는 기능이 활성화(또는 실행)된다. 이로써, 사용자는 제 1 디스플레이에서의 표시 위치에 대응하여 제 2 디스플레이를 접촉함으로써 직관적이고 용이하게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의 접촉 입력은 한번에 한 하위 영역에만 인가될 필요는 없으며, 2 이상의 하위 영역에 동시에 인가될 수도 있다.
한편, 하위 영역(A 내지I)에 아이콘이 표시되지 않고 여하한 이미지가 표시 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제 2 디스플레이(120)에서의 접촉 입력은 대응되는 하위 영역의 표시 내용과 관련한 기능의 활성화를 유발한다. 예를 들어, 하위 영역(122b)에 접촉 입력이 인가되면, 하위 영역(B)에 표시된 이미지가 선택되고 확대될 수 있다. 이후 확대된 이미지가 제 1 디스플레이(110) 전체에 표시된다. 이러한 실시형태는 특히 장치를 통해 지하철 노선도 또는 지도를 검색하는 경우에 유용하다. 제 1 디스플레이(110)에 전체 지도가 표시된 경우, 제 2 디스플레이(120)의 하위 영역에 접촉 입력을 인가하면 그에 대응하는 제 1 디스플레이(110)의 하위 영역에 표시된 구역의 지도가 확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스크롤 등을 통해 확대된 구역을 더 자세히 검색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디스플레이에서의 2차원 이동 접촉이 감지될 수 있으며, 제어부는 2차원 이동 접촉이 발생하는 제 2 디스플레이의 하위 영역에 대응하는 제 1 디스플레이의 하위 영역의 표시 내용을 변경하도록 제어한다. 다시 도 7 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 2 디스플레이(120)에 2차원 이동 접촉 입력을 인가할 수 있다. 제어부는 2차원 이동 접촉의 시작점과 연관되는 하위 영역과 2차원 이동 접촉의 종료점과 연관되는 하위 영역을 판단하고, 그에 따라 표시 내용을 변경하거나 관련 기능을 활성화한다. 이 실시형태를 드랙 앤 드롭(drag-and-drop) 방식이라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하위 영역(122c)에서 시작하여 하위 영역(122e)에서 종료되는 직선의 접촉 입력을 인가하였다고 하자. 이 경우 제어부는 하위 영역(C)에 표시된 내용이 하위 영역(E)로 이동되어 표시되게 할 수 있다. 이처럼, 접촉 입력 의 인가가 그에 대응하는 표시 내용의 이동을 유발하므로 사용자는 좀더 직관적으로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이러한 표시 내용의 이동은 실질적으로 기능의 활성화를 유발할 수도 있다. 이러한 예에서 하위 영역(E)에는 소정의 기능을 나타내는 기호가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하위 영역(122c)에서 시작하여 하위 영역(122e)에서 종료되는 직선의 접촉 입력은 하위 영역(C)의 표시 내용을 하위 영역(E)의 기호가 나타내는 기능에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위 영역(E)에는 사진의 확대를 나타내는 + 기호가 표시될 수 있으며, 하위 영역(C)에는 사진이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접촉 입력의 인가는 하위 영역(C)의 사진이 확대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표시 내용 자체의 이동이 아니라 개념적인 내용의 이동(즉, 사진의 확대 기능으로의 제공)을 단순한 2차원 이동 접촉 입력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에게 더욱 직관적인 입력 방식을 제공하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제어부는 접촉 입력의 시작만을 인식하고 종료는 인식하지 못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하위 영역(122) 중 하나에서 접촉을 시작하여 제2 디스플레이(120)의 외부에서 접촉을 종료하는 경우, 다시 말하면 화면의 바깥으로 드랙 앤 드롭을 실시하는 경우이다. 이 경우, 직관적으로는 접촉 입력이 시작한 하위 영역(예를 들어, 122g)에 대응되는 하위 영역(G)에 표시된 내용을 시스템에서 제외하고자 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하위 영역(G)에 표시되는 내용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시스템에서 삭제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UI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에서, 제 2 디스플레이(120)는 제 1 디스플레이(110)의 표시 내용의 관련 내용을 표시한다. 이러한 관련 내용은, 제 1 디스플레이 표시 내용의 하위 내용, 확장 내용 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디스플레이(110)에는 메뉴가 표시된다. 사용자가 커서(C)를 이동하여 메뉴 중 하나를 선택한 경우, 그의 하위 메뉴가 제 2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위 메뉴를 가리거나 축소하는 등 상위 메뉴 표시 상태를 변경함이 없이 하위 메뉴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다르게는, 제 1 디스플레이(110)에는 다수의 컨텐츠가 표시되고, 커서(C)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의 정보(예를 들어, 작성자, 용량, 작성 일자, 사진 파일의 제목, 음악 파일의 아티스트 정보, 음악 파일의 앨범 정보 등)가 제 2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될 수도 있다.
한편, 이 경우에는 제 2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된 내용을 가리지 않고 입력을 수행하기 위하여 제 2 디스플레이(120)외에 다른 입력 수단, 예를 들어 키패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술한 실시형태들이 조합되어 적용될 수 있으며, 이를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디스플레이(110)에는 1 내지 3의 메뉴가 표시되며, 사용자가 커서(C)를 이용하여 "Contents"를 선택하면, 그 하위 메 뉴인 "Video" 와 "Photo"가 제 2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된다. 사용자가 하위 메뉴에서 "Photo"를 선택하면 장치는 도 9(b)의 상태로 변화되어, 제 1 디스플레이(110)에는 다수의 사진이 표시되고, 제 2 디스플레이(120)는 이들 사진에 대응되는 하위 영역으로 분할된다. 이러한 분할은 사용자에게 표시되지 않아도 족하며, 사용자의 접촉 입력을 분할하여 인식할 수 있도록 내부 제어 상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제 1 디스플레이(110)의 가운데 영역에는 확대 기능을 나타내는 + 기호가 표시된다. 사용자가 2차원 이동 입력(TH)을 인가하면, 하위 영역(122c)에 대응하는 영역(C)의 사진이 확대 기능에 제공되어 확대되고, 장치는 도 9(c)의 상태로 변화된다.
도 9(c)에서 제 1 디스플레이(110)는 사진을 표시하고, 사용자는 제 2 디스플레이에 직선 입력(TI)을 인가하여 제 1 디스플레이(110)의 표시 내용을 스크롤하거나, 곡선 입력(TJ)을 인가하여 제 1 디스플레이(110)의 표시 내용을 확대/축소할 수 있다. 다르게는 또는 추가적으로는, 직선의 접촉 입력에 의해 제 1 디스플레이(110) 표시 내용의 밝기가 조정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를 통해 사진을 다양하게 편집할 수 있다.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집이 끝나고 사용자가 제 1 디스플레이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입력(TK)을 인가하면, 제 1 디스플레이(110)에 표시된 사진이 제 2 디스플레이(120)로 이동되고 제 1 디스플레이(110)에는 다른 시스템을 나타내는 화면이 표시된다.
이 상태에서, 도 9(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 1 디스플레이(110)를 향하는 입력(TL)을 인가하면 사진은 제 1 디스플레이(110)가 표시하는 시스템으로 전송되고, 제 1 디스플레이(110)에는 전송 상태를 나타내는 화면이 표시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는 서로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방식의 결합 이외에도, 설명된 다양한 실시형태들을 자유롭게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장치의 각 상태에서 이에 적합한 UI 방식이 적용되도록 제어부는 동적으로 UI 방식을 결정한다. 장치의 각 상태에서 어떠한 방식의 제어를 이용할지는 미리 프로그래밍되어 있을 수 있다. 다르게는, 사용자가 프로그래밍하여 커스터마이즈 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형태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설명된 실시형태들을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각 기능 블록들 또는 수단들은 전자 회로, 집적 회로, 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 공지된 다양한 소자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각 별개로 구현되거나 2 이상이 하나로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별개인 것으로 설명된 수단 등의 구성요소는 단순히 기능상 구별된 것으로 물리적으로는 하나의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일한 것으로 설명된 수단 등의 구성요소도 수개의 구성요소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각 방법 단계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그 순서가 변경될 수 있고, 다른 단계가 부가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형태들은 각각 독립하여서뿐만 아니라 적절하게 결합되어 구현 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형태가 아니라 첨부된 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UI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UI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UI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UI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UI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UI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결합 실시형태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UI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접촉 감지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Claims (32)
- 제 1 디스플레이 및 접촉 감지 기능을 구비한 제 2 디스플레이를 장착한 전자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에 있어서,상기 제 2 디스플레이에 2차원 이동 접촉 형태로 가해지는 제스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와,상기 제스쳐 입력에 따라 제 1 디스플레이 또는 제 2 디스플레이의 표시 내용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디스플레이는 제 1 시스템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을 표시하고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는 제 2 시스템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을 표시하며,상기 방법은, 상기 2차원 이동 접촉에 따라 상기 제 1 시스템과 상기 제 2 시스템 사이에서 컨텐츠가 이동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스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제 1 디스플레이를 향하는 방향으로의 이동 접촉을 감지하여 상기 제스쳐 입력으로서 수신하고,상기 표시 내용을 변경하는 단계는 제 2 디스플레이의 표시 내용과 연관된 내용을 제 1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스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제 1 디스플레이의 반대측을 향하는 방향으로의 이동 접촉을 감지하여 상기 제스쳐 입력으로서 수신하고,상기 표시 내용을 변경하는 단계는 제 1 디스플레이의 표시 내용과 연관된 내용을 제 2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표시 내용을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2차원 이동 접촉의 형태가 저장된 형태에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 1 디스플레이 또는 제 2 디스플레이의 표시 내용을 변경하는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 제 5 항에 있어서,제 2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2차원 이동 접촉 형태를 상기 저장된 형태로서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표시 내용을 변경하는 단계는 제 1 디스플레이의 표시 내용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표시 내용을 변경하는 단계는 제 1 디스플레이의 표시 내용을 확대 또는 축소하는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수신된 제스쳐 입력에 따라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내용 중 적어도 일부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상기 표시 내용을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내용에 관계된 내용을 상기 제 2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 제 1 디스플레이 및 접촉 감지 기능을 구비한 제 2 디스플레이를 장착한 전자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에 있어서,상기 제 1 디스플레이는 복수의 제 1 하위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는 각각의 제 1 하위 영역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 2 하위 영역을 포함하며,상기 방법은,상기 제 2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하나의 제 2 하위 영역에서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는 단계와,상기 접촉이 감지된 제 2 하위 영역에 대응하는 제 1 하위 영역의 표시 내용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 제 10 항에 있어서,상기 제 2 디스플레이는 시작점과 종료점을 갖는 2차원 이동 접촉을 감지할 수 있으며,상기 방법은, 상기 2차원 이동 접촉의 시작점과 연관된 위치의 제 2 하위 영역에 대응하는 제 1 하위 영역의 표시 내용에 관계된 컨텐츠를, 상기 2차원 이동 접촉의 종료점과 연관된 위치의 제 2 하위 영역에 대응하는 제 1 하위 영역의 표시 내용에 관계된 기능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 제 10 항에 있어서,상기 제 2 디스플레이는 2차원 이동 접촉을 감지할 수 있으며,상기 방법은, 상기 2차원 이동 접촉이 상기 제 2 디스플레이의 외부에서 종료되는 경우, 상기 2차원 이동 접촉이 시작하는 지점과 연관된 위치의 제 2 하위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 1 하위 영역의 표시 내용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 제 10 항에 있어서,상기 방법은, 상기 접촉이 감지된 제 2 하위 영역에 대응하는 제 1 하위 영역의 표시 내용과 관련한 기능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 제 1 디스플레이와,접촉 감지 기능을 구비한 제 2 디스플레이와,상기 제 2 디스플레이에 의해 감지된 2차원 이동 접촉에 따라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또는 상기 제 2 디스플레이의 표시 내용을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장치.
- 제 14 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 상기 2차원 이동 접촉의 방향이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를 향하는 경우 상기 제 2 디스플레이의 표시 내용과 연관된 내용을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장치.
- 제 14 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 상기 2차원 이동 접촉의 방향이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경우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의 표시 내용과 연관된 내용을 상기 제 2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장치.
- 제 14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디스플레이는 제 1 시스템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을 표시하고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는 제 2 시스템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을 표시하며,상기 제어부는, 상기 2차원 이동 접촉의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시스템과 상기 제 2 시스템 사이에서 컨텐츠가 이동하도록 제어하는장치.
- 제 14 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 상기 2차원 이동 접촉의 형태가 저장된 형태에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또는 상기 제 2 디스플레이의 표시 내용을 변경하도록 제어하는장치.
- 제 14 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 2차원 이동 접촉에 따라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의 표시 내용을 확대 또는 축소하도록 제어하는장치.
- 복수의 제 1 하위 영역을 포함하는 제 1 디스플레이와,상기 제 1 하위 영역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 2 하위 영역을 포함하며, 접촉 감지 기능을 구비한 제 2 디스플레이와,상기 접촉이 발생하는 제 2 하위 영역에 대응하는 제 1 하위 영역의 표시 내용을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장치.
- 제 20 항에 있어서,상기 제 2 디스플레이는 시작점과 종료점을 갖는 2차원 이동 접촉을 감지할 수 있으며,상기 제어부는, 상기 2차원 이동 접촉의 시작점과 연관된 위치의 제 2 하위 영역에 대응하는 제 1 하위 영역의 표시 내용에 관계된 컨텐츠를, 상기 2차원 이동 접촉의 종료점과 연관된 위치의 제 2 하위 영역에 대응하는 제 1 하위 영역의 표시 내용과 관계된 기능에 제공하도록 제어하는장치.
- 제 20 항에 있어서,상기 제 2 디스플레이는 2차원 이동 접촉을 감지할 수 있으며,상기 제어부는, 상기 2차원 이동 접촉이 상기 제 2 디스플레이의 외부에서 종료되는 경우, 상기 2차원 이동 접촉이 시작하는 지점과 연관된 위치의 제 2 하위 영역에 대응하는 제 1 하위 영역의 표시 내용에 관계된 컨텐츠를 삭제하도록 제어하는장치.
- 제 20 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촉이 감지된 제 2 하위 영역에 대응하는 제 1 하위 영역의 표시 내용과 관련한 기능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하는장치.
- 제 1 디스플레이 및 제 2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접속되고, 상기 제 2 디스플레이상에 설치되는 접촉 감지 장치에 있어서,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와 제 2 디스플레이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표시 내용을 변경하도록, 2차원 이동 접촉을 감지하고 감지 정보를 제어부에 제공하는접촉 감지 장치.
- 제 24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디스플레이는 제 1 시스템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을 표시하고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는 제 2 시스템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을 표시하며,상기 접촉 감지 장치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 1 시스템과 상기 제 2 시스템 사이의 컨텐츠가 이동하도록 제어하도록 상기 2차원 이동 접촉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접촉 감지 장치.
- 제 24 항에 있어서,상기 2차원 이동 접촉의 방향이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를 향하는 경우, 상기 제 2 디스플레이의 표시 내용과 연관된 내용을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상기 제어부에 정보를 제공하는접촉 감지 장치.
- 제 24 항에 있어서,상기 2차원 이동 접촉의 방향이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경우,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의 표시 내용과 연관된 내용을 상기 제 2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상기 제어부에 정보를 제공하는접촉 감지 장치.
- 제 24 항에 있어서,상기 접촉 감지 장치는, 상기 2차원 이동 접촉의 형태가 저장된 형태에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또는 상기 제 2 디스플레이의 표시 내용을 변경하도록 제어하도록, 상기 2차원 이동 접촉의 형태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접촉 감지 장치.
- 복수의 제 1 하위 영역을 포함하는 제 1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 1 하위 영역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 2 하위 영역을 포함하는 제 2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에 접속되고, 상기 제 2 디스플레이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 2 하위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접촉 입력을 감지하는 접촉 감지 장치에 있어서,접촉이 발생하는 제 2 하위 영역에 대응하는 제 1 하위 영역의 표시 내용을 변경하도록, 접촉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에 접촉 입력 정보를 제공하는접촉 감지 장치.
- 제 29 항에 있어서,상기 접촉 감지 장치는 시작점과 종료점을 갖는 2차원 이동 접촉을 감지할 수 있으며,상기 제어부가, 상기 2차원 이동 접촉의 시작점과 연관된 위치의 제 2 하위 영역에 대응하는 제 1 하위 영역의 표시 내용에 관계된 컨텐츠를, 상기 2차원 이동 접촉의 종료점과 연관된 위치의 제 2 하위 영역에 대응하는 제 1 하위 영역의 표시 내용과 관계된 기능에 제공하도록 제어하도록, 상기 접촉 감지 장치는 상기 2차원 이동 접촉의 시작점과 종료점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접촉 감지 장치.
- 제 29 항에 있어서,상기 접촉 감지 장치는 2차원 이동 접촉을 감지할 수 있으며,상기 2차원 이동 접촉이 상기 제 2 디스플레이의 표시 화면 외부에서 종료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2차원 이동 접촉이 시작하는 지점과 연관된 위치의 제 2 하위 영역에 대응하는 제 1 하위 영역의 표시 내용에 관계된 컨텐츠를 삭제하도록 제어하도록, 상기 접촉 감지 장치는 상기 2차원 이동 접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접촉 감지 장치.
- 제 29 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가 상기 접촉 입력이 감지된 제 2 하위 영역에 대응하는 제 1 하위 영역의 표시 내용과 관련한 기능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하도록 상기 제어부에 정보를 제공하는접촉 감지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32555A KR20090106312A (ko) | 2008-04-04 | 2008-04-08 | 2개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장치 및 그 사용자인터페이스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31489 | 2008-04-04 | ||
KR1020080032555A KR20090106312A (ko) | 2008-04-04 | 2008-04-08 | 2개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장치 및 그 사용자인터페이스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06312A true KR20090106312A (ko) | 2009-10-08 |
Family
ID=41535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32555A KR20090106312A (ko) | 2008-04-04 | 2008-04-08 | 2개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장치 및 그 사용자인터페이스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90106312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4171941A1 (en) * | 2013-04-18 | 2014-10-23 | Zuse, Inc. | Content display engine for touch-enabled devices |
US9323446B2 (en) | 2011-06-20 | 2016-04-2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pparatus including a touch screen and screen change method thereof |
US9541958B2 (en) | 2011-02-10 | 2017-01-10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having at least two touch screens and information display method thereof |
-
2008
- 2008-04-08 KR KR1020080032555A patent/KR20090106312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541958B2 (en) | 2011-02-10 | 2017-01-10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having at least two touch screens and information display method thereof |
US10152948B2 (en) | 2011-02-10 | 2018-12-1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having at least two touch screens and information display method thereof |
US9323446B2 (en) | 2011-06-20 | 2016-04-2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pparatus including a touch screen and screen change method thereof |
WO2014171941A1 (en) * | 2013-04-18 | 2014-10-23 | Zuse, Inc. | Content display engine for touch-enabled device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40094899A1 (en) | Portable electronic device performing similar operations for different gestures | |
US10430078B2 (en) | Touch screen device,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inserting a character from an alternate keyboard | |
EP2177978B1 (en) |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virtual keypad | |
US8542110B2 (en) | Mobile terminal and object displaying method using the same | |
CN108509115B (zh) | 页操作方法及其电子装置 | |
AU2023202745A1 (en) | Systems, methods, and user interfaces for interacting with multiple application windows | |
KR101152008B1 (ko) | 개체들을 관련시키는 방법 및 장치 | |
US8739053B2 (en) |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transferring object between two display unit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US10686930B2 (en) | Touch scre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providing maps, directions, and location based information | |
KR101586627B1 (ko) | 멀티 터치를 이용한 리스트 관리 방법 및 장치 | |
CN106062691B (zh) | 显示窗口的装置和方法 | |
US20160034132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displayed content on electronic devices | |
US20150149955A1 (en) |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djusting an insertion point marker | |
US20120221978A1 (en) | Touch Scre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and Selecting Application Options | |
KR101528412B1 (ko) | 표시 장치, 유저 인터페이스 방법 및 프로그램 | |
KR20110006547A (ko) | 터치 궤적에 따라 메뉴 정보를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 | |
WO2011010411A1 (ja) | 入力制御装置 | |
KR101818114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 |
EP2743815B1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 |
KR102323440B1 (ko) | 페이지 운용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
KR20090106312A (ko) | 2개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장치 및 그 사용자인터페이스 방법 | |
KR20210079795A (ko) | 웹 브라우저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장치 | |
JP2019204549A (ja) | 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 |
JP2014053746A (ja) | 文字入力装置、文字入力装置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