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6183A - 급수 밸브 및 이를 이용한 수전 - Google Patents

급수 밸브 및 이를 이용한 수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6183A
KR20090106183A KR1020080031735A KR20080031735A KR20090106183A KR 20090106183 A KR20090106183 A KR 20090106183A KR 1020080031735 A KR1020080031735 A KR 1020080031735A KR 20080031735 A KR20080031735 A KR 20080031735A KR 20090106183 A KR20090106183 A KR 200901061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hot water
water supply
couple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1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4331B1 (ko
Inventor
김동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자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자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자타
Priority to KR1020080031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4331B1/ko
Publication of KR20090106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61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4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43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5Arrangements of devices on wash-basins, baths, sinks, or the like for remote control of taps
    • E03C1/055Electrical control devices, e.g. with push buttons, control panels or the like
    • E03C1/057Electrical control devices, e.g. with push buttons, control panels or the like touchless, i.e. using senso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2001/026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with flow restric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C2201/30Diverter valves in faucets or t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9/00Arrangements of valves and flow lines specially adapted for mixing fluids
    • F16K19/006Specially adapted for fauc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세면대 또는 욕실 등의 냉수 및 온수가 섞여 나오는 자동 수전에 적용될 수 있고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설치 및 분해가 용이하며 사용이 편리한 급수 밸브 및 이를 이용한 수전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급수 밸브는, 내부에 공간이 제공되고 이 공간과 연결되는 입수구와 토수구를 포함하는 케이스,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제공되어 입수구를 통하여 공간으로 들어온 물을 토수구로 배출시키거나 차단하는 피스톤 어셈블리, 케이스에 결합되어 피스톤 어셈블리를 구동시키는 구동부, 케이스의 입수구 측에 설치되며 냉수 관로와 온수 관로가 직접 연결되어 냉온수가 혼합되어 입수구로 공급되는 냉온수 공급부를 포함한다.
수전, 급수, 밸브, 냉수, 온수, 센서, 스위치

Description

급수 밸브 및 이를 이용한 수전{Water supply valve and automatic tap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급수 밸브 및 이를 이용한 수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면대 또는 욕실 등의 냉수 및 온수가 섞여 나오는 자동 수전에 적용될 수 있고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설치 및 분해가 용이하며 사용이 편리한 급수 밸브 및 이를 이용한 수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 급수 밸브는 소변기 세척기, 양변기, 수도전 등 물을 공급하는 관로에 설치되며, 적외선 센서가 제공되어 자동으로 물을 공급하거나 차단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러한 자동 급수 밸브는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된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10-0436725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술한 공보에는 적외선 센서의 신호를 받아 일정한 시간동안 모터를 구동하고, 이에 따라 밸브 어셈블리를 개폐하여 물을 배출하거나 차단하며 유지보수가 용이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자동 급수 밸브는 사용이 매우 편리하나 냉수와 온수를 함께 섞어서 사용할 필요가 있는 싱크대와 세면대용 수전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냉수와 온수를 혼합하여 공급할 수 있는 별도의 장치들이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급수 밸브를 개량하여 제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냉수 관로와 온수 관로가 급수 밸브에 직접 결합되어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면서 냉수와 온수가 원활하게 섞여져 사용이 편리하며, 외관상 미려함을 증대시키고, 설치와 수리를 위한 분해 작업이 용이한 급수 밸브 및 이를 이용한 수전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공간이 제공되고 상기 공간과 연결되는 입수구, 토수구를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제공되어 상기 입수구를 통하여 상기 공간으로 들어온 물을 상기 토수구로 배출시키거나 차단하는 피스톤 어셈블리,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피스톤 어셈블리를 구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케이스의 입수구 측에 설치되며 냉수 관로와 온수 관로가 직접 연결되어 냉온수가 혼합되어 상기 입수구로 공급되는 냉온수 공급부를 포함하는 급수 밸브를 제공한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토수구 반대측에 상기 피스톤 어셈블리가 삽입되는 개구부가 제공되고,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부는 제어 유닛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적외선 센서와 스위치의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냉온수 공급부는 상기 케이스에 냉수 관로가 결합되는 냉수 공급 포트, 상기 케이스에 온수 관로가 결합되는 온수 공급 포트, 상기 냉수 공급 포트와 상기 온수 공급 포트를 닫거나 여는 냉온수 조절 밸브, 상기 냉온수 조절밸브에 결합되는 냉온수 조절노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냉온수 공급부는 상기 냉온수 조절 밸브가 상기 케이스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에 고정브라켓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냉온수 조절 밸브에는 연장부재가 결합되며, 상기 냉온수 조절 밸브와 상기 연결부재가 마주하는 부분에는 홈과 돌기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냉온수 조절밸브는 일면이 라운드진 형태로 이루어지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끝 부분에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냉수 공급 포트와 상기 온수 공급 포트를 오픈시키거나 폐쇄하는 제1 연장부 및 제2 연장부,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 사이 부분에 홈으로 제공되며 냉수와 온수가 섞여지는 혼합 공간부, 상기 몸체부의 끝단에 제공되어 상기 입수구의 일부를 개폐하는 입수구 개폐부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며 내부에 공간이 제공되는 커버,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는 냉수와 온수를 함께 공급하는 급수 밸브, 상기 베이스 또는 커버에 결합되는 센서, 상기 베이스 또는 커버에 결합되는 스위치,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센서 또는 상기 스위치의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급수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수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며 내부에 공간이 제공되는 커버,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는 냉수와 온수를 함께 공급하는 급수 밸브, 상기 베이스 또는 커버에 결합되는 센서,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센서의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급수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급수 밸브는 내부에 공간이 제공되고 상기 공간과 연결되는 입수구, 토수구를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제공되어 상기 입수구를 통하여 상기 공간으로 들어온 물을 상기 토수구로 배출시키거나 차단하는 피스톤 어셈블리,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피스톤 어셈블리를 구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케이스의 입수구 측에 설치되며 냉수 관로와 온수 관로가 직접 연결되어 냉온수가 혼합되어 상기 입수구로 공급되는 냉온수 공급부를 포함하는 수전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냉수 관로와 온수 관로가 급수 밸브에 직접 연결되어 구조가 간단하며 연결되는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음으로써 외관의 미려함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조가 간단하여 수전의 설치와 분해 작업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센서와 터치식 스위치가 함께 설치되어 일시적으로 물을 사용할 때뿐만 아니라 세면대 등에 물을 장시간 받아 사용할 때도 매우 편리한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 고, 도 2는 도 1의 주요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로, 자동 수전(이하, '수전' 이라고 함)을 도시하고 있다. 수전은 베이스(1), 커버(3), 급수 밸브(5), 제어유닛(7), 센서(9), 그리고 스위치(11)를 포함한다.
베이스(1)는 커버(3), 급수 밸브(5), 제어 유닛(7), 센서(9) 등이 그 일면에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1)는 세면대 등의 도기(S)에 고정될 수 있다. 즉, 베이스(1)는 그 저면 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로드(R)가 결합되고, 이 로드(R)가 도기(S)를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하여 배치되고 고정너트(N)가 도기(S)의 하부에서 로드(R)에 체결되어 도기(S)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로드(R)는 베이스(1)가 도기(S)에 고정되는 역할만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기(S)의 하부와 고정너트 사이에 고정 브라켓(BL)이 배치되어 고정 너트(N)의 체결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베이스(1)에 결합된 로드(R)에 고정너트(N)가 체결되어 도기(S)에 고정되는 예를 도시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예로 베이스(1)가 도기(S)에 결합될 수 있다.
고정 브라켓(BL)에는 또 다른 고정 브라켓(B2)이 결합될 수 있고, 이 고정 브라켓(B2)에는 배터리 등의 전원 공급부가 결합될 수 있다. 전원(p)은 커넥터(C)로 연결되어 제어 유닛(7)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베이스(1)에는 사람의 손 등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제어 유닛(7)에 그 신호를 전송하는 적외선 센서 등으로 이루어지는 센서(9)가 제공된다. 물론 이러한 센서는 베이스(1)에 결합된 예를 도시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커버(3)에 결합될 수 도 있다. 그리고 베이스(1)에는 센서(9)의 일측에 물을 토출하는 토출구(15)가 제공된 다.
커버(3)는 그 내부에 공간을 가지고 있으며 베이스(1)에 결합되어 베이스(1)에 결합된 부품들을 보호할 수 있다. 커버(3)에는 터치식으로 이루어지는 스위치(11)가 제공된다. 이 스위치(11)는 제어 유닛(7)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온, 오프 상태의 신호를 제어 유닛(7)에 전송하여 물을 지속적으로 토출시키는데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제어 유닛(7)은, 도 3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적외선 센서(9), 스위치(11)의 신호를 입력받아 모터(21)를 제어할 수 있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어 유닛(7)은 적외선 센서(9)를 입력받는 경우 미리 설정된 비교적 짧은 시간 동안(또는 센서의 감지 신호가 지속되고 있는 동안) 밸브 어셈블리가 토수구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하고 다시 밸브 어셈블리가 초기 위치로 복귀하도록 모터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 유닛(7)은 스위치(11)의 온 입력 신호에 따라 모터(21)를 구동하여 밸브 어셈블리가 토수구를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제어하고, 오프 입력 신호에 따라 모터(21)를 구동하여 밸브 어셈블리가 토수구를 폐쇄시키는 방향으로 제어할 수 있다.
급수 밸브(5)는 베이스(1)에 결합된다. 급수 밸브(5)는 냉수 관로(p1)와 온수 관로(p2)가 각각 직접 연결된다. 그리고 급수 밸브(5)는 토수관(13)을 통하여 토출구(15)로 연결된다.
급수 밸브(5)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케이스(5a), 케이스(5a) 내부의 공간에 제공되는 밸브 어셈블리(29), 밸브 어셈블리(29)를 개폐 하는 개폐수단, 그리고 냉온수 공급부(51)를 포함한다.
케이스(5a)는 밸브 어셈블리(29)가 삽입된 후 밸브 어셈블리(29)가 이탈되지 않도록 덮개부재(5b)가 결합된다. 이러한 덮개부재(5b)는 밸브 어셈블리(29)가 삽입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에 설치되는 개구부를 폐쇄하는 것으로 분해 조립을 용이하게 하여 유지 보수를 할 때 작업 공수를 줄이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케이스(5a)는 덮개부재(5b)의 반대편 부분에 물을 배출하는 토수구(5c)가 제공된다. 그리고 케이스(5a)는 측면에 입수구(25a)가 제공된다. 입수구(25a) 측에는 상술한 냉온수 공급부(51)가 제공되고 냉온수 공급부(51)를 통하여 공급된 물이 입수구(25a)로 유입된다.
밸브 어셈블리(29)의 구조는 본 출원인 출원하여 등록된 대한민국 특허번호 제 10-0436725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밸브 어셈블리(29)의 구조 및 작동은 상술한 특허공보에 기재된 예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특허공보에 기재된 설명으로 대치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밸브 어셈블리(29)의 구조를 상술한 공보에 기재된 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밸브 어셈블리(29)를 작동하여 관로를 개폐하는 개폐수단은 모터 등의 구동원(21), 구동원(21)의 동력을 전달하는 제1 동력전달기어(23) 및 제2 동력전달기어(25), 그리고 제2 동력전달기어(25)에 의하여 회전하는 캠(27)을 구비한다. 제어 유닛(7)에 의하여 제어되는 구동원(21)은 제1 동력전달기어(23)와 제2 동력전달기어(25)를 통하여 캠(27)을 회전시켜 밸브 어셈블리(29)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밸브 어셈블리(29)의 동력전달구조와 작동의 설명은 상술한 공보에 개시되어 있 으며 동일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상세한 설명은 상술한 공보에 기재된 설명으로 대치하기로 한다.
냉온수 공급부(51)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급수 밸브(5)의 케이스(5a)와 일체를 이루며 케이스(5a)의 일부가 연장된 부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온수 공급부(51)는 온수 관로(p1)와 냉수 관로(p2)가 결합되는 온수 공급포트(51b)와 냉수 공급포트(51c)가 제공된다. 온수 공급포트(51b)와 냉수 공급포트(51c)는 입수구(25a)와 내부 공간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냉온수 공급부(51)는 온수 공급포트(51b)와 냉수 공급포트(51c)를 닫거나 열 수 있는 냉온수 조절밸브(53), 냉온수 조절밸브(53)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브라켓(55), 연장부재(57) 그리고 냉온수 조절노브(57)를 포함한다.
온수 공급포트(51b)와 냉수 공급포트(51c)는 케이스(5a)의 일부가 연장된 부분의 저면 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8에 도시하고 있음). 그리고 온수 공급포트(51b)와 냉수 공급포트(51c)는 온수 관로(p1)와 냉수 관로(p2)의 일단이 각각 나사 결합으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결합구조는 수전을 싱크대 등의 도기에 시공할 때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시공 후에도 온수 관로(p1)와 냉수 관로(p2)의 연결부분이 커버(3)의 내측으로 배치되므로 외부에서 가려져 외관의 미려함을 해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냉온수 조절밸브(53)는, 도 10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원기둥에서 일부가 잘라진 모양(외측면이 라운드진 상태)으로 이루어지는 몸체부(53a), 몸체부(53)의 끝단에서 연장되어 온수 공급포트(51b)와 냉수 공급포트(51c)를 개폐하는 제1 연장부(53b), 제2 연장부(53c), 냉수와 온수가 혼합되는 공간인 혼합 공간부(53d), 그리고 입수구(25a)의 일부를 개폐할 수 있는 입수구 개폐부(53e)를 포함한다.
상술한 몸체부(53a)는 상술한 입수구(25a) 측에 제공되는 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연장부(53b)와 제2 연장부(53c)가 온수 공급포트(51b)와 냉수 공급포트(51c)를 일정한 비율로 개폐할 수 있다. 즉, 몸체부(53a)는 입수구(25a) 측에 제공되는 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여 상술한 온수 공급포트(51b)와 냉수 공급포트(51c)를 개폐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혼합 공간부(53b)는 온수 공급포트(51b)와 냉수 공급포트(51c)를 통하여 인입된 물이 일시적으로 모여 냉온수가 순간적으로 혼합되는 공간으로 홈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입수구 개폐부(53e)는 혼합된 물이 입수구(25a)로 충분하게 혼합된 후 빠져나가도록 입수구(25a)의 일부를 개폐할 수 있다. 이러한 입수구 개폐부(53e)는 끝면(축과 직각을 이루는 끝면)의 외주면에서 축 중심부까지는 입수구(25a) 측에 접촉하는 면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입수구 개폐부(53e)는 입수구(25a)의 일부를 막거나 오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입수구 개폐부(53e)가 입수구(25a)의 일부를 폐쇄하거나 오픈시킬 수 있는 구조는 혼합된 냉온수 충분히 섞이기 전에 입수구(25a)측으로 급격하게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냉온수 조절밸브(53)는 외주면에 물이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의 씰링 등이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냉온수 조절밸브(53)는 케이스(5a)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 브라켓(55)이 체결부재로 고정된다.
한편, 냉온수 조절밸브(53)는 상술한 입수구 개폐부(53e)의 반대편에 제공되 는 홈(53f)과 걸림턱(53g)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냉온수 조절밸브(53)에는 나사 등의 체결부재에 의하여 연장부재(57)가 결합된다. 연장부재(57)는 대략 냉온수 조절밸브(53)의 홈(53f)과 걸림턱(53g)이 있는 원주와 동일한 직경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연장부재(57)는 냉온수 조절부재(53)의 홈(53f)과 걸림턱(53g)에 대응하여 일체로 결합될 수 있는 모양으로 이루어진다. 즉, 연장부재(57)는 원주면과 직각을 이루는 끝면에 돌기(57a)와 걸림홈(57b)이 제공된다. 이러한 연장부재(57)의 돌기(57a)와 걸림홈(57b)은 냉온수 조절밸브(53)의 홈(53f)과 걸림턱(53g)에 대응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냉온수 조절밸브(53)와 연장부재(57)는 축 방향을 나사공이 형성되어 나사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은 커버(3)를 조립한 후에 연장부재(57)를 냉온수 조절밸브(53)에 결합하게 되는데, 작업자가 단지 연장부재(57)를 냉온수 조절밸브(53)의 일면에 밀착시키고 돌기(57a)와 홈(53g), 그리고 걸림홈(57b)과 걸림턱(53g)이 일치하면 바로 나사 등의 체결부재를 축 방향으로 조이면 되므로 조립 작업이 매우 편리하다.
연장부재(57)는 외주면의 일부가 평면부(57c, 도 11에 도시하고 있음)를 이루어 냉온수 조절노브(59)에 결합된 상태에서 냉온수 조절노브(59)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연장부재(57)에는 냉온수 조절노브(59)가 나사 등의 체결부재에 의하여 결합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여 도기 등으로 이루어지는 세면대 등에 수전을 설치한 후 수리 등을 위하여 분해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베이스(1)에 결합되어 있는 로드(R)가 도기(S)에 제공된 구멍을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관통하도록 배치한 후 고정너트(N)로 조인다. 이때 도기(S)와 고정너트(N) 사이에는 브라켓(BL)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온수 관로(p1)와 냉수 관로(p2)를 각각의 원수 파이프에 고정한다.
그리고 고장 등으로 인하여 커버(3)를 오픈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냉온수 조절용 노브(59)를 고정하는 나사(SC, 도 8에 도시하고 있음)를 풀어 일측으로 당기면 냉온수 조절용 노브(59)가 탈거된다. 그리고 연장부재(57)를 고정하고 있는 나사 등의 체결부재를 풀면 연장부재(57)도 냉온수 조절밸브(53)에서 분리된다. 그리고 커버(3)를 당기면 베이스(1)에 끼움 결합되어 있으므로 쉽게 커버(3)가 탈거된다. 그리고 필요한 수리를 하게 된다. 수리가 끝나면 역순으로 조립을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조립 및 분해가 매우 편리하여 유지 보수가 매우 용이하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냉온수 공급부의 작동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센서(9) 근처에 손을 대면 센서(9)는 컨트롤러(7)에 감지한 신호를 전송한다. 그러면 컨트롤러(7)는 제1 동력전달부재(23)와 p2 동력전달부재(25)를 통하여 구동원의 동력이 캠(27)에 전달되어 캠(27)이 회전되도록 구동원(21)을 제어한다. 캠(27)이 회전하면서 밸브 어셈블리(29)가 토수구(5c)를 개방한다. 밸브 어셈블리(29)가 작동되는 과정은 상술한 공보에 개시된 설명으로 대치하기로 한다. 밸브 어셈블리(29)가 토수구(5c)가 개방되도록 작동되면 온수와 냉수가 섞인 상태로 토출구(15)로 토출될 수 있다.
이때 온수 공급포트(51b)와 냉수 공급포트(51c)를 통하여 공급된 온수 및 냉수는 냉온수 조절밸브(53)의 혼합 공간부(53d)에서 섞이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온수와 냉수가 섞인 물은 입수구(25a)를 통하여 케이스(5a)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사용자가 냉온수의 비율을 조절할 필요가 있으면, 냉온수 조절 노브(59)를 회전시킨다. 그러면 냉온수 조절밸브(53)의 제1 연장부(53b)와 제2 연장부(53c)가 온수 공급포트(51b)와 냉수 공급포트(51c)를 개폐하는 비율이 달라지면서 냉온수가 유입되는 비율이 달라지면서 섞여져 토출구(15)로 배출된다.
그리고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제어 유닛(7)은 모터(21)를 제어하여 밸브 어셈블리(29)가 물을 배출하는 것을 차단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냉온수가 혼합되는 물을 용이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물을 세면대에 받거나 또는 장시간 사용하기를 원할 경우 터치식 스위치(11)를 터치하면 제어 유닛(7)은 그 신호를 전달받아 밸브 어셈블리(29)가 토수구(5c)를 개방하도록 모터를 제어한다. 그러면 물은 토출구(15)를 통하여 지속적으로 배출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사용자가 물을 충분히 사용한 후에 다시 스위치(11)를 터치하면 제어 유닛(7)은 그 신호를 전달받아 밸브 어셈블리(29)가 토수구(5c)를 폐쇄하도록 모터 를 제어한다. 그러면 물이 토출구(15)를 통하여 토출되는 것이 차단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물을 사용하는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수전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수전의 일부를 분해하여 주요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적용되는 회로부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급수 밸브의 외형도이다.
도 5는 도 4의 Ⅴ-Ⅴ부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Ⅵ-Ⅵ부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급수 밸브의 주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저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주요 부분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주요 부분인 냉온수 조절밸브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의 주요 부분인 연장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Claims (17)

  1. 내부에 공간이 제공되고 상기 공간과 연결되는 입수구, 토수구를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제공되어 상기 입수구를 통하여 상기 공간으로 들어온 물을 상기 토수구로 배출시키거나 차단하는 피스톤 어셈블리;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피스톤 어셈블리를 구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케이스의 입수구 측에 설치되며 냉수 관로와 온수 관로가 직접 연결되어 냉온수가 혼합되어 상기 입수구로 공급되는 냉온수 공급부;
    를 포함하는 급수 밸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토수구 반대측에 상기 피스톤 어셈블리가 삽입되는 개구부가 제공되고,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폐쇄부재가 결합되는 급수 밸브.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제어 유닛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적외선 센서와 스위치의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급수 밸브.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냉온수 공급부는
    상기 케이스에 냉수 관로가 결합되는 냉수 공급 포트;
    상기 케이스에 온수 관로가 결합되는 온수 공급 포트;
    상기 냉수 공급 포트와 상기 온수 공급 포트를 닫거나 여는 냉온수 조절 밸브;
    상기 냉온수 조절밸브에 결합되는 냉온수 조절노브;
    를 포함하는 급수 밸브.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냉온수 공급부는
    상기 냉온수 조절 밸브가 상기 케이스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에 고정브라켓이 결합되는 급수 밸브.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냉온수 조절 밸브에는 연장부재가 결합되며, 상기 냉온수 조절 밸브와 상기 연결부재가 마주하는 부분에는 홈과 돌기가 제공되는 급수 밸브.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냉온수 조절밸브는
    일면이 라운드진 형태로 이루어지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끝 부분에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냉수 공급 포트와 상기 온수 공급 포트를 오픈시키거나 폐쇄하는 제1 연장부 및 제2 연장부,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 사이 부분에 홈으로 제공되며 냉수와 온수가 섞여지는 혼합 공간부,
    상기 몸체부의 끝단에 제공되어 상기 입수구의 일부를 개폐하는 입수구 개폐부,
    가 제공되는 급수 밸브.
  8.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며 내부에 공간이 제공되는 커버;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는 냉수와 온수를 함께 공급하는 급수 밸브;
    상기 베이스 또는 커버에 결합되는 센서;
    상기 베이스 또는 커버에 결합되는 스위치;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센서 또는 상기 스위치의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급수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유닛;
    을 포함하는 수전.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급수 밸브는
    내부에 공간이 제공되고 상기 공간과 연결되는 입수구, 토수구를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제공되어 상기 입수구를 통하여 상기 공간으로 들어온 물을 상기 토수구로 배출시키거나 차단하는 피스톤 어셈블리,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피스톤 어셈블리를 구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케이스의 입수구 측에 설치되며 냉수 관로와 온수 관로가 직접 연결되어 냉온수가 혼합되어 상기 입수구로 공급되는 냉온수 공급부,
    를 포함하는 수전.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냉온수 공급부는
    상기 케이스에 냉수 관로가 결합되는 냉수 공급 포트,
    상기 케이스에 온수 관로가 결합되는 온수 공급 포트,
    상기 냉수 공급 포트와 상기 온수 공급 포트를 닫거나 여는 냉온수 조절 밸브,
    상기 냉온수 조절밸브에 결합되는 냉온수 조절노브,
    를 포함하는 수전.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냉온수 공급부는
    상기 냉온수 조절 밸브가 상기 케이스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에 고정브라켓이 결합되는 수전.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냉온수 조절 밸브에는 연장부재가 결합되며, 상기 냉온수 조절 밸브와 상기 연결부재가 마주하는 부분에는 홈과 돌기가 제공되는 수전.
  13.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며 내부에 공간이 제공되는 커버;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는 냉수와 온수를 함께 공급하는 급수 밸브;
    상기 베이스 또는 커버에 결합되는 센서;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센서의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급수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급수 밸브는
    내부에 공간이 제공되고 상기 공간과 연결되는 입수구, 토수구를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제공되어 상기 입수구를 통하여 상기 공간으로 들어온 물을 상기 토수구로 배출시키거나 차단하는 피스톤 어셈블리,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피스톤 어셈블리를 구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케이스의 입수구 측에 설치되며 냉수 관로와 온수 관로가 직접 연결되어 냉온수가 혼합되어 상기 입수구로 공급되는 냉온수 공급부,
    를 포함하는 수전.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냉온수 공급부는
    상기 케이스에 냉수 관로가 결합되는 냉수 공급 포트,
    상기 케이스에 온수 관로가 결합되는 온수 공급 포트,
    상기 냉수 공급 포트와 상기 온수 공급 포트를 닫거나 여는 냉온수 조절 밸브,
    상기 냉온수 조절밸브에 결합되는 냉온수 조절노브,
    를 포함하는 수전.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냉온수 공급부는
    상기 냉온수 조절 밸브가 상기 케이스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에 고정브라켓이 결합되는 수전.
  16.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냉온수 조절 밸브에는 연장부재가 결합되며, 상기 냉온수 조절 밸브와 상기 연결부재가 마주하는 부분에는 홈과 돌기가 제공되는 수전.
  17.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냉온수 조절밸브는
    일면이 라운드진 형태로 이루어지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끝 부분에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냉수 공급 포트와 상기 온수 공급 포트를 오픈시키거나 폐쇄하는 제1 연장부 및 제2 연장부,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 사이 부분에 홈으로 제공되며 냉수와 온수가 섞여지는 혼합 공간부,
    상기 몸체부의 끝단에 제공되어 상기 입수구의 일부를 개폐하는 입수구 개폐부,
    를 포함하는 수전.
KR1020080031735A 2008-04-04 2008-04-04 급수 밸브 및 이를 이용한 수전 KR100964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1735A KR100964331B1 (ko) 2008-04-04 2008-04-04 급수 밸브 및 이를 이용한 수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1735A KR100964331B1 (ko) 2008-04-04 2008-04-04 급수 밸브 및 이를 이용한 수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6183A true KR20090106183A (ko) 2009-10-08
KR100964331B1 KR100964331B1 (ko) 2010-06-17

Family

ID=41535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1735A KR100964331B1 (ko) 2008-04-04 2008-04-04 급수 밸브 및 이를 이용한 수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43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80638A (zh) * 2014-02-10 2016-09-28 高仪股份公司 卫生龙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0490B1 (ko) * 2019-07-09 2021-06-02 이순기 혼합기 일체형 냉온수 혼합 밸브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5335B1 (ko) * 1988-09-14 1993-06-17 이창환 자동수도전
KR100436725B1 (ko) * 2001-04-17 2004-06-22 김동진 급수 밸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80638A (zh) * 2014-02-10 2016-09-28 高仪股份公司 卫生龙头
EP3105379B1 (de) * 2014-02-10 2019-10-23 Grohe AG Sanitärarmat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4331B1 (ko) 2010-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68564B2 (en) Sanitary fitting, particularly kitchen mixer
MXPA05001384A (es) Grifo extraible.
CA2493053C (en) Mixing sillcock
US20150240465A1 (en) All-in-one bath mixer pop-up waste and overflow assembly
US20100287695A1 (en) Valve apparatus and system
KR100964331B1 (ko) 급수 밸브 및 이를 이용한 수전
KR100995955B1 (ko) 급수 밸브
CN111133238B (zh) 电子可控阀和混合阀
CA2415679A1 (en) Laundry faucet
JP3563917B2 (ja) 水栓装置
KR100478083B1 (ko) 보조공급수 연결용 튜브가 접속되는 수도꼭지 연결구
KR20090053968A (ko) 정수기 연결장치와 정수선택 제어장치를 가진 수도꼭지
KR200327570Y1 (ko) 연수기
KR100522563B1 (ko) 연수기
JP3858206B2 (ja) 水栓取付用台座
KR200410596Y1 (ko) 싱크대의 냉,온수 공급장치
JPS61295436A (ja) 給湯装置
KR20170011030A (ko) 절수형 수전 카트리지
JP3174766B2 (ja) ガス栓一体型水栓
KR200395245Y1 (ko) 욕실 급수용 중간밸브
KR20210000324U (ko) 이중 조절 수전
FR2872837A1 (fr) Mitigeur mural de douche ou bain-douche a multifonctions simultanees ou independantes non encastrable
JPH05250044A (ja) 給湯装置
KR200259958Y1 (ko) 냉온수배출장치
JPH03169930A (ja) 湯水混合水栓の離隔操作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