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5360A - 원격지에서 응급구호장치의 상태를 파악하는응급구호장치를 이용한 구호시스템 및 구호방법 - Google Patents

원격지에서 응급구호장치의 상태를 파악하는응급구호장치를 이용한 구호시스템 및 구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5360A
KR20090105360A KR1020080030773A KR20080030773A KR20090105360A KR 20090105360 A KR20090105360 A KR 20090105360A KR 1020080030773 A KR1020080030773 A KR 1020080030773A KR 20080030773 A KR20080030773 A KR 20080030773A KR 20090105360 A KR20090105360 A KR 200901053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relief
communication network
central server
relief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0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9974B1 (ko
Inventor
김기창
한정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유네트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유네트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유네트웍스
Priority to KR1020080030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9974B1/ko
Publication of KR20090105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53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9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9974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Alarm System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격지에서 응급구호장치의 상태를 파악하는 응급구호장치를 이용한 구호시스템 및 구호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하철역이나 학교, 관공서 등의 공공장소에 자동 외부 제세동기나 소화기 등의 응급구호장치를 설치하고, 통신망을 통해 응급구호장치의 상태를 파악하면서 응급상황 발생시 구호요원 또는 응급처치자에게 응급구호장치의 위치와 사용방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원격지에서 응급구호장치의 상태를 파악하는 응급구호장치를 이용한 구호시스템 및 구호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공장소에 설치된 응급구호장치의 현 상태를 원격지에서 인력의 출동없이 파악할 수 있어서 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응급상황에서 사용성을 높일 수 있으며, 응급상황 발생시 원격지에서 신속하게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빠른 시간안에 구호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응급구호장치, AED(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통신망, WCDMA, Wibro, 응급환자

Description

원격지에서 응급구호장치의 상태를 파악하는 응급구호장치를 이용한 구호시스템 및 구호방법{EMERGENCY RELIEF SYSTEM AND METHOD WITH EMERGENCY DEVICE MONITORED FROM REMOTE AREA}
본 발명은 원격지에서 응급구호장치의 상태를 파악하는 응급구호장치를 이용한 구호시스템 및 구호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하철역이나 학교, 관공서 등의 공공장소에 자동 외부 제세동기나 소화기 등의 응급구호장치를 설치하고, 통신망을 통해 응급구호장치의 상태를 파악하면서 응급상황 발생시 구호요원 또는 응급처치자에게 응급구호장치의 위치와 사용방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원격지에서 응급구호장치의 상태를 파악하는 응급구호장치를 이용한 구호시스템 및 구호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심장은 혈액을 효과적으로 방출시키기 위하여 심근을 일정한 순서에 따라서 작용시키는 명령체계를 가지고 있다. 다시 말해 심장은 일정한 순서에 따라서 수축과 팽창을 되풀이하면서 동맥에 혈액을 공급한다. 만약, 심장이 정해진 순서에 따라 움직이지 않으면 심장은 효율적으로 동맥에 혈액을 공급할 수 없다.
심장이 일정한 순서에 따라 움직이지 않는 경우를 심실세동(Cardiac fibrillation)이라 하는데, 심실세동은 심실근이 무질서하게 움직이는 경우이다.
심실세동이 일정한 시간 동안 지속되면 환자는 회복할 수 없는 치명적인 손상을 입거나 사망할 수도 있다.
또한 정상적인 경우보다 심장이 더 빨리 뛰는 것을 심실빈맥이라고 한다. 심실세동이나 심실빈맥이 발생한 경우에는 제세동기(Defibrillator)를 이용하여 환자에게 소정의 전기충격을 가하게 되는데, 환자에게 전기충격이 가해지면 환자의 심장이 정상적인 동작을 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제세동기는 병원 응급실이나 구급차 내부에 설치되어 있어서 응급환자가 발생했을 때 환자의 가슴에 전극을 부착한 상태에서 생체신호에 따라 적절한 크기의 펄스를 가하게 된다.
그런데, 일반인들이 공공장소에서 심실세동이나 심실빈맥을 일으켜 응급상황이 발생했을 때에는 현장에서 최대한 신속하게 응급처치를 해 주어야 생존확률을 높일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서 공공장소에 자동 외부 제세동기(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ED)를 설치하고, 응급상황시 환자에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경우가 있다.
공공장소에 설치된 AED는 언제라도 정상적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전원이나 상태, 설치위치 등을 실시간으로 파악하여야 한다. 그러나 지금까지 개시된 AED는 양방향으로 통신을 할 수 없어서 장치의 현재상태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관리자가 직접 현장에 나가서 장치를 점검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응급상황이 벌어져서 119와 같은 구호기관에 구조요청이 들어왔을 때, 주변에 AED가 설치되어 있는지를 먼저 응급처치자에게 알려주어 신속하게 응급처치를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서비스가 시행되지 않아서 아까운 인명을 구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원격지에서 응급구호장치의 상태를 파악하는 응급구호장치를 이용한 구호시스템 및 구호방법으로서, 공공장소에 설치된 응급구호장치의 현재상태와 위치 등을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응급상황이 벌어졌을 때 구호기관 및 응급처치자에게 신속하게 정보를 제공해줄 수 있도록 하는 원격지에서 응급구호장치의 상태를 파악하는 응급구호장치를 이용한 구호시스템 및 구호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WCDMA나 Wibro 등과 같은 무선통신망이나 Ethernet이나 PLC 등과 같은 유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응급구호장치와 중앙서버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많은 비용을 들이지 않고도 안정적이고 범용적인 통신망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하는 원격지에서 응급구호장치의 상태를 파악하는 응급구호장치를 이용한 구호시스템 및 구호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응급구호장치를 이용하여 응급상황을 대처한 환자의 심장박동수 등의 생체신호를 파악하고, 이를 병원이나 119 구조대에 전송하여 정확한 후속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원격지에서 응급구호장치의 상태를 파악하는 응급구호장치를 이용한 구호시스템 및 구호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공공장소에 설치된 응급구호장치의 상태를 통신망을 통해 중앙서버가 원격지에서 파악하고, 응급상황 발생시 구호 기관 또는 응급처치자에게 대응정보를 제공하는 구호시스템으로서,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중앙서버와 접속하며, 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태정보를 상기 중앙서버에 전송하는 응급구호장치와;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응급구호장치와 접속하며, 상기 응급구호장치로부터 전송된 상태정보를 수집하고, 응급상황 발생시 구호기관 또는 응급처치자에게 상기 응급구호장치의 위치를 통보하며, 상기 응급구호장치를 사용한 응급환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하여 구호기관이나 병원 시스템에 전송하는 중앙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응급구호장치는 응급환자의 심장박동을 체크하여 심실세동이나 심실빈맥이 발생하면 전기충격을 가하여 정상적인 심 장박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자동 외부 제세동기, 화재발생시에 소화가스를 분사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소화기, 산소를 공급하여 호흡을 도와주는 산소호흡기, 유독가스를 여과하는 방독면, 응급구호장치를 보관하는 보관함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동 외부 제세동기는 내부 장치를 제어하는 CPU와; 상기 자동 외부 제세동기의 작동상태나 사용방법을 음성으로 출력하는 스피커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전원부의 전압 또는 전류를 측정하는 센서와; 심실세동이나 심실빈맥이 발생한 응급환자에게 전기충격을 가하는 전기충격기와; 상기 통신망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자동 외부 제세동기는 응급상황이 벌어진 현장의 음성을 입력하는 마이크와; 응급상황이 벌어진 현장의 영상을 입력하는 카메라;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마이크와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음성과 영상은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중앙서 버로 전송되며, 상기 스피커는 상기 중앙서버로부터 전송되는 구호요원의 안내음성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응급구호장치는 상기 응급환자의 심장박동수, 체온, 혈압, 호흡횟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측정하는 생체신호측정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생체신호측정부에서 측정된 생체신호는 상기 통신망을 통해 중앙서버, 구호기관, 병원 중 어느 한 곳 이상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응급구호장치는 GPS 위성시스템과 접속하여 현재 위치를 파악하는 GPS모듈;을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통신망은 이더넷(Ethernet), 전력선통신망, PNA 방식의 유선 통신망과; WCDMA, CDMA, Wibro, ZIGBEE, Bluetooth, UWB, WLAN 방식의 무선 통신망;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공공장소에 설치된 응급구호장치와 원격지의 중앙서버를 이용하여 원격지에서 상기 응급구호장치의 상태를 파악하고, 응급상황 발생시 구호기관 또는 응급처치자에게 대응정보를 제공하는 구호방법으로서, 원격지에 설치된 상기 중앙서버가 통신망을 통해 상기 응급구호장치와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중앙서버가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응급구호장치로부터 상기 응급구호장치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응급구호장치로부터 기기 작동에 오류가 생겼다는 이상상황 발생신호를 수신한 중앙서버가 상기 응급구호장치의 유지보수를 위한 관리자 출동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화재나 응급환자 발생과 같은 응급상황 발생시 상기 중앙서버가 구호기관 또는 응급처치자에게 상기 응급구호장치의 위치를 통보하는 단계와; 상기 응급구호장치가 상기 응급구호장치를 사용한 응급환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하여 메모리 내에 임시로 저장하고,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생체신호를 상기 통신망을 통해 중앙서버, 구호기관, 병원 중 어느 한 곳 이상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응급구호장치는 응급환자의 심장박동을 체크하여 심실세동이나 심실빈맥이 발생하면 전기충격을 가하여 정상적인 심장박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자동 외부 제세동기, 화재발생시에 소화가스를 분사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소화기, 산소를 공급하여 호흡을 도와주는 산소호흡기, 유독가스를 여과하는 방독면, 응급구호장치를 보관하는 보관함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응급구호장치가 측정하는 생체신호는 상기 응급환자의 심장박동수, 체온, 혈압, 호흡횟수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응급상황 발생시 상기 자동 외부 제세동기가 상기 응급환자의 몸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응급환자의 심장박동을 체크하여 심실세동이나 심실빈맥이 발생하면 전기충격을 가하여 정상적인 심장박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통신망은 이더넷(Ethernet), 전력선통신망, PNA 방식의 유선 통신망과; WCDMA, CDMA, Wibro, ZIGBEE, Bluetooth, UWB, WLAN 방식의 무선 통신망;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공장소에 설치된 응급구호장치의 현 상태를 원격지에서 인력의 출동없이 파악할 수 있어서 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응급상황에서 사용성을 높일 수 있으며, 응급상황 발생시 원격지에서 신속하게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빠른 시간안에 구호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지에서 응급구호장치의 상태를 파악하는 응급구호장치를 이용한 구호시스템 및 구호방법을 설명한다.
응급구호장치를 이용한 구호시스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호시스템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2는 응급구호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본 발명이 주로 적용되는 응급구호장치는 환자의 몸에 전극을 부착한 상태에서 환자의 상태를 자동으로 측정하면서 심실세동이나 심실빈맥이 발생했을 때 자동으로 전기충격을 가하는 자동 외부 제세동기(AED)이지만, 이외에도 환자가 응급상황이 발생한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다른 구호장비에도 본 발명의 시스템과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화기, 산소호흡기, 방독면, 보관함도 본 발명에서 기술하는 응급구호장치의 범주에 들어갈 수 있다. 보관함은 응급구호장치를 수용하는 함으로서, 통신장비가 구비되어 응급구호장치의 보관상태와 반출여부 등을 원격지에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산소호흡기나 방독면에도 통신장비를 설치하여 응급환자가 착용한 상태 에서 데이타를 송수신하도록 한다면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자동 외부 제세동기는 공공장소에서 심장질환이 발생하여 쓰러진 응급환자(10)의 몸에 부착된 상태에서 응급환자(10)의 심장박동을 체크하여 심실세동이나 심실빈맥이 발생하면 전기충격을 가하여 정상적인 심장박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소화기와 방독면은 화재로 인하여 유독가스가 발생하는 상황에서 사용되며, 산소호흡기는 호흡이 정지된 응급환자에게 강제로 산소를 공급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는 자동 외부 제세동기, 소화기, 산소호흡기, 방독면, 보관함 등을 모두 통칭하여 응급구호장치라고 표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응급구호장치(100)는 공공장소(지하철역, 학교, 관공서, 공원 등)에 설치된다. 응급구호장치(100)는 통신망(300)과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장치가 구비되는데, 응급구호장치(100)는 통신망(300)을 통해 원격지의 중앙서버(200)와 접속할 수 있다.
중앙서버(200)는 응급구호장치(100)의 상태를 관리하고, 응급상황이 발생했을 때 관련기관에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응급구호장치(100)와 중앙서버(200)는 통신망(300)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각종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본 발명의 통신망(300)은 유선통신망과 무선통신망을 모두 합한 개념이다. 유선통신망으로는 이더넷(Ethernet), 전력선통신망(PLC), PNA(Phoneline Network Alliance)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무선통신망으로는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 ZIGBEE, Bluetooth, UWB(Ultra Wide Band), WLAN(Wireless LAN)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응급구호장치(100)는 언제 발생할지 알 수 없는 응급사태에 사용되는 장치이므로 항상 최적의 상태로 유지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수시로 작동상태를 파악하여야 하는데, 대부분의 응급구호장치(100)가 중앙서버(200)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 설치되므로 직접 관리자가 출동하여 상태를 파악하려면 시간적으로나 비용적으로 많은 부담이 생길 수 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하여 응급구호장치(100) 내부에 자신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하고, 측정된 상태정보를 수시로 중앙서버(200)로 전송하여 최적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관리한다.
중앙서버(200)는 응급구호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이상상황이 발생하면 응급구호장치(100)의 유지보수를 위한 관리자가 출동하도록 신호를 전송한다.
또한, 응급환자(10)가 발생하는 등 응급상황 발생신호가 접수되면 응급환자(10)가 있는 곳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 설치된 응급구호장치(100)에 대한 정보를 구호기관이나 응급처치자(목격자, 안전요원, 응급요원 등)에게 통보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급구호장치(100)는 각종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고 통신신호를 변환시키는 CPU(102), 자체적으로 발생한 데이터 및 무선통신망(300)을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104), 응급구호장치(100)의 작동상태를 문자나 숫자, 도형을 통해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LCD(106), 응급구호장 치(100)의 작동상태나 사용방법 또는 중앙서버(200)를 통하여 전송되는 구호요원의 안내 목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108)를 포함한다.
또한 현장에 출동한 구호요원 또는 응급처치자의 목소리를 입력하는 마이크(110)와, 응급환자(10)의 상태나 주변환경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112)를 더 포함한다. 마이크(110)와 카메라(112)를 통해 입력된 음성과 영상은 통신망(300)을 통해 중앙서버(200)로 전송된다. 원격지에 있는 구호요원은 응급구호장치(100)로부터 전송된 음성과 영상을 토대로 정확한 현장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적절한 처치요령을 현장의 사람에게 전해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응급구호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14)와, 전원부(114)의 상태를 측정하는 센서(116)가 구비된다.
센서(116)는 전원부(114)의 연결상태와 전압, 전류량 등을 수시로 측정하여 CPU(102)에 전달한다.
생체신호측정부(118)는 응급환자(10)의 건강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생체신호를 측정하여 CPU(102)에 전달한다.
일반적으로 응급상황이 발생하여 응급환자(10) 또는 응급처치자가 응급구호장치(100)를 사용하는 경우, 119 구급대 등에 의해 병원으로 이송되기 전까지는 응급구호장치(100)를 지속적으로 사용하게 된다. 이 시간동안 응급구호장치(100)는 응급환자(10)의 상태를 계속 파악하여 기록하고, 생성된 응급환자(10)의 생체신호 정보를 병원 등에 제공함으로써 짧은 시간내에 정확한 치료방법을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생체신호측정부(118)가 측정하는 생체신호에는 응급환자(10)의 심장박동수, 체온, 혈압, 호흡횟수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 밖의 신체정보를 측정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
전기충격기(120)는 자동 외부 제세동기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응급환자(10)의 몸에 부착된 전극을 통해 환자의 상태에 맞게 적절한 크기의 전기충격을 가해서 심장박동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CPU(102)는 생체신호측정부(118)로부터 전송되는 생체신호를 분석하여 이상상황이 발생하는지를 판단하고, 심실세동이나 심실빈맥 등의 심장이상 상황이 발생하면 전기충격기(120)가 작동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밖에도 산소호흡기에는 산소공급튜브가 설치되어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양의 산소를 공급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통신모듈(122)은 CPU(102)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각종 통신프로토콜에 따라 유무선 통신신호로 변환하여 통신망(300)을 통해 중앙서버(200)로 전송한다. 또한 중앙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통신신호를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여 CPU(102)로 전송한다.
통신모듈(122)은 응급구호장치(100)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지만, 외장형으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자동 외부 제세동기와 같이 심장 박동수를 측정하여 이상이 생겼을 때 전기충격을 가하는 장치의 경우에는 무선 통신신호에 의하여 오작동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응급구호장치(100) 내부에 무선 전파를 송출하는 통신모듈(122)이 설치될 경우, 기기의 오작동이 일어날 수도 있으므로, 이런 경우에는 외부(설치장소, 보관함 등)에 통신장비를 설치하고, 응급구호장치(100)에는 통신장비와 연결할 수 있는 포트(port)나 인터페이스(interface)만 구비함으로써 무선 전파에 의한 오작동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GPS모듈(124)은 GPS 위성신호를 포착하여 현재 응급구호장치(100)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모듈이다. 관리자는 응급구호장치(100)의 현재 위치와 이동경로 등을 파악할 수 있으며, 가속도센서(도면 미도시) 등을 추가로 설치하여 이상상황 발생여부를 추측할 수도 있게 된다.
또한, USN(Ubiquitous Sensor Network)을 이용하여 응급구호장치(100)가 현재 위치에서 아무런 이유없이 일정한 범위 밖으로 이동할 때에는 도난경보가 울리도록 할 수도 있다.
중앙서버(200)는 응급구호장치(100)의 현재 위치를 파악한 후, 지도에 현위치를 표시하여 구조대의 단말기 등에 표시함으로써 정확한 출동과 구조가 가능해진다.
한편, 응급상황 발생지점을 담당하는 CCTV를 조정하여 환자에 대한 조치상태를 영상으로 확인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응급상황 발생신호가 특정 위치에서 발생하면, 응급환자(10)가 있는 위치를 담당하는 CCTV를 조정하여 응급환자(10)를 비추도록 하고, 수집된 영상정보를 구호기관(400)에 전송하여 정확한 위치와 현재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또한 중앙서버(200)와 응급구호장치(100) 사이에 여러 개의 게이트웨이(도면 미도시)를 설치하고, 다수의 응급구호장치(100)를 몇 개의 그룹으로 묶어 하나의 게이트웨이가 관리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중앙서버(200)는 구호기관(119 구조대, 구호단체, 봉사단체, 병원 등; 400)과 유무선 통신망(300)을 통해 연결되며, 응급구호장치(100)로부터 이상신호가 발생하면 구호기관(400)에 이 사실을 알리고 정확한 응급환자(10)의 위치를 알려준다.
또한 응급환자(10) 또는 주변 사람이 응급구호장치(100)에 설치된 경보장치(도면 미도시)를 눌러서 수동으로 응급신호를 발생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도 정확한 위치정보를 구호기관(400)에 제공하여 구조조치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응급구호장치를 이용한 구호방법
도 3은 응급구호장치의 상태를 파악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4는 응급환자 발생시의 구호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전술한 구호시스템을 이용한 구호방법을 자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공공장소에 설치된 응급구호장치(100)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최적의 상태가 되도록 관리한다.(S102) 상태측정은 여러 방법을 통해 할 수 있는데, 중앙서버(200)가 주기적으로 폴링신호(falling signal)을 전송하고, 여기에 응답하여 응급구호장치(100)가 상태정보를 중앙서버(100)로 전송하면 중앙서버(102)는 수신된 데이터를 기록하고 저장한다.(S104)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응급구호장치(100)에 특별한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데이타를 중앙서버(200)로 보내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조건은 응급구호장치(100)의 설치장소나 통신망 상태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중앙서버(200)가 파악하는 상태정보는 응급구호장치(100)의 종류에 따라 달라진다.
즉, 자동 외부 제세동기의 경우에는 배터리 용량/잔량, 위치, 각종 센서나 스위치의 정상 동작 여부 등을 파악한다. 그리고 산소호흡기의 경우에는 충전된 산소량(압력)이나 노즐의 정상작동 여부 등이며, 소화기는 충진된 소화가스의 양을 파악하여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지를 판단한다.
이밖에도 각종 응급구호장치(100)가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조건들을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전송한다.
응급구호장치(100)의 이상상황(기기 작동상의 오류)이 발생하면, 이상상황의 종류에 따라 통신망(300)을 통해 접속하여 원격지에서 교정을 하거나, 유지보수를 위한 관리자가 출동하도록 요청하게 된다.(S106, S108)
만약 중앙서버(200)에 아무런 응급상황 발생신고가 접수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응급구호장치(100) 현재 위치에서 상당히 빨리 이동하고 있거나 인적이 드문장소에 놓여져 있다면 도난이나 훼손에 의한 것일 가능성이 높다. 이 때에는 응급구호장치(100)가 위치한 장소에 경찰이나 관리요원이 출동하도록 제어함으로써 대응할 수 있다.
원격 또는 관리자에 의하여 이상상황이 해소되고 응급구호장치(100)가 원래 위치에서 정상적으로 동작하면 다시 대기상태로 전환된다.(S110)
다음으로 응급상황 발생시 대응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중앙서버(200)는 응급구호장치(100)가 설치된 장소를 중심으로 응급구호가 필요한 상황(화재, 유해가스 누출, 심장질환자, 호흡곤란환자)이 발생하는지를 감시한다.(S202)
이상상황의 발생은 중앙서버(200)의 자체 시스템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구호기관(400)과 연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응급구호장치(100)에 설치된 수동스위치를 응급환자(10)나 주변 사람이 직접 눌러서 신호를 보내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중앙서버(200)가 응급상황 발생을 감지하면,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구호기관(400)에 응급상황을 통보하고, 정확한 위치나 현재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S204)
그리고 현장에 출동한 구호요원이나 응급처치자에게 통신망(300)을 통해 응급구호장치(100)의 사용방법을 알려줄 수 있다.(S206) 응급환자(10)가 직접 수동으로 응급신호를 발생한 경우에는 중앙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사용방법에 따라 응급환자가(10)가 스스로 자가치료를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 외부 제세동기는 심실세동이나 심실빈맥시 사용되므로, 응급환자(10) 스스로 응급구호장치(100)를 사용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따라서 이런 경우에는 주변의 응급처치자에 의하여 대부분의 작동이 이루어진다. 다른 경우(소화기로 화재 진압, 호흡곤란환자가 산소호흡기를 사용, 유독가스가 발생하여 방독면 착용 등)에는 응급구 호장치(100)를 직접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응급구호장치(100)가 응급환자(10)에게 부착되어 정상적으로 동작을 개시하면, 응급구호장치(100)는 현재 응급환자(10)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파악한다. 그러면서 응급환자(10)의 심장박동수가 떨어지는지, 호흡횟수가 감소하는지, 유독가스의 양이 증가하는지 등을 감시하면서 적절한 처치방법을 결정한다. 그러면서 생체신호측정부(118)를 통해 환자의 맥박수나 심장박동 세기, 호흡수, 혈압, 체온 등을 지속적으로 측정하여 메모리(104)에 저장한다.(S208)
측정된 응급환자(10)의 생체신호는 중앙서버(200)로 전송되어 저장된다.
응급상황이 종료되거나 구호차량에 의하여 응급환자(10)가 병원으로 후송된 후에는 중앙서버(200)가 해당 병원 시스템에 응급환자(10)의 생체신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지게 된다.
만약 응급구호장치(100)가 유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중앙서버(200)와 연결되도록 구성된 경우에는 설치장소로부터 떨어진 곳에서 응급처치자가 사용하는 동안에는 유선 통신망과 단절되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생체신호를 전송할 수 없다. 이때에는 응급상황이 진행되는 동안에는 메모리(104)에 생체신호를 저장하기만 하고, 다시 설치장소에 돌아와서 통신망(300)과의 연결이 회복된 후에 저장해두었던 생체신호를 필요한 기관으로 전송하면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 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호시스템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응급구호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응급구호장치의 상태를 파악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응급환자 발생시의 구호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Claims (12)

  1. 공공장소에 설치된 응급구호장치의 상태를 통신망을 통해 중앙서버가 원격지에서 파악하고, 응급상황 발생시 구호기관 또는 응급처치자에게 대응정보를 제공하는 구호시스템으로서,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중앙서버와 접속하며, 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태정보를 상기 중앙서버에 전송하는 응급구호장치와;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응급구호장치와 접속하며, 상기 응급구호장치로부터 전송된 상태정보를 수집하고, 응급상황 발생시 구호기관 또는 응급처치자에게 상기 응급구호장치의 위치를 통보하며, 상기 응급구호장치를 사용한 응급환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하여 구호기관이나 병원 시스템에 전송하는 중앙서버;를 포함하는, 원격지에서 응급구호장치의 상태를 파악하는 응급구호장치를 이용한 구호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급구호장치는
    응급환자의 심장박동을 체크하여 심실세동이나 심실빈맥이 발생하면 전기충격을 가하여 정상적인 심장박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자동 외부 제세동기, 화재발생시에 소화가스를 분사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소화기, 산소를 공급하여 호흡을 도와주는 산소호흡기, 유독가스를 여과하는 방독면, 응급구호장치를 보관하는 보관함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지에서 응급구호장치의 상태를 파악하는 응급구호장치를 이용한 구호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외부 제세동기는
    내부 장치를 제어하는 CPU와;
    상기 자동 외부 제세동기의 작동상태나 사용방법을 음성으로 출력하는 스피커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전원부의 전압 또는 전류를 측정하는 센서와;
    심실세동이나 심실빈맥이 발생한 응급환자에게 전기충격을 가하는 전기충격기와;
    상기 통신망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원격지에서 응급구호장치의 상태를 파악하는 응급구호장치를 이용한 구호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외부 제세동기는
    응급상황이 벌어진 현장의 음성을 입력하는 마이크와;
    응급상황이 벌어진 현장의 영상을 입력하는 카메라;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마이크와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음성과 영상은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중앙서버로 전송되며,
    상기 스피커는
    상기 중앙서버로부터 전송되는 구호요원의 안내음성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지에서 응급구호장치의 상태를 파악하는 응급구호장치를 이용한 구호시스템.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응급구호장치는
    상기 응급환자의 심장박동수, 체온, 혈압, 호흡횟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측정하는 생체신호측정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생체신호측정부에서 측정된 생체신호는 상기 통신망을 통해 중앙서버, 구호기관, 병원 중 어느 한 곳 이상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지에서 응급구호장치의 상태를 파악하는 응급구호장치를 이용한 구호시스템.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응급구호장치는
    GPS 위성시스템과 접속하여 현재 위치를 파악하는 GPS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원격지에서 응급구호장치의 상태를 파악하는 응급구호장치를 이용한 구호시스템.
  7.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은
    이더넷(Ethernet), 전력선통신망, PNA 방식의 유선 통신망과;
    WCDMA, CDMA, Wibro, ZIGBEE, Bluetooth, UWB, WLAN 방식의 무선 통신망;을 포함하는, 원격지에서 응급구호장치의 상태를 파악하는 응급구호장치를 이용한 구호시스템.
  8. 공공장소에 설치된 응급구호장치와 원격지의 중앙서버를 이용하여 원격지에서 상기 응급구호장치의 상태를 파악하고, 응급상황 발생시 구호기관 또는 응급처치자에게 대응정보를 제공하는 구호방법으로서,
    원격지에 설치된 상기 중앙서버가 통신망을 통해 상기 응급구호장치와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중앙서버가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응급구호장치로부터 상기 응급구호장치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응급구호장치로부터 기기 작동에 오류가 생겼다는 이상상황 발생신호를 수신한 중앙서버가 상기 응급구호장치의 유지보수를 위한 관리자 출동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화재나 응급환자 발생과 같은 응급상황 발생시 상기 중앙서버가 구호기관 또는 응급처치자에게 상기 응급구호장치의 위치를 통보하는 단계와;
    상기 응급구호장치가 상기 응급구호장치를 사용한 응급환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하여 메모리 내에 임시로 저장하고,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생체신호를 상기 통신 망을 통해 중앙서버, 구호기관, 병원 중 어느 한 곳 이상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격지에서 응급구호장치의 상태를 파악하는 응급구호장치를 이용한 구호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응급구호장치는
    응급환자의 심장박동을 체크하여 심실세동이나 심실빈맥이 발생하면 전기충격을 가하여 정상적인 심장박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자동 외부 제세동기, 화재발생시에 소화가스를 분사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소화기, 산소를 공급하여 호흡을 도와주는 산소호흡기, 유독가스를 여과하는 방독면, 응급구호장치를 보관하는 보관함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지에서 응급구호장치의 상태를 파악하는 응급구호장치를 이용한 구호방법.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응급구호장치가 측정하는 생체신호는
    상기 응급환자의 심장박동수, 체온, 혈압, 호흡횟수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지에서 응급구호장치의 상태를 파악하는 응급구호장치를 이용한 구호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응급상황 발생시 상기 자동 외부 제세동기가 상기 응급환자의 몸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응급환자의 심장박동을 체크하여 심실세동이나 심실빈맥이 발생하면 전기충격을 가하여 정상적인 심장박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원격지에서 응급구호장치의 상태를 파악하는 응급구호장치를 이용한 구호방법.
  12.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은
    이더넷(Ethernet), 전력선통신망, PNA 방식의 유선 통신망과;
    WCDMA, CDMA, Wibro, ZIGBEE, Bluetooth, UWB, WLAN 방식의 무선 통신망;을 포함하는, 원격지에서 응급구호장치의 상태를 파악하는 응급구호장치를 이용한 구호방법.
KR1020080030773A 2008-04-02 2008-04-02 원격지에서 응급구호장치의 상태를 파악하는응급구호장치를 이용한 구호시스템 및 구호방법 KR1009699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0773A KR100969974B1 (ko) 2008-04-02 2008-04-02 원격지에서 응급구호장치의 상태를 파악하는응급구호장치를 이용한 구호시스템 및 구호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0773A KR100969974B1 (ko) 2008-04-02 2008-04-02 원격지에서 응급구호장치의 상태를 파악하는응급구호장치를 이용한 구호시스템 및 구호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5360A true KR20090105360A (ko) 2009-10-07
KR100969974B1 KR100969974B1 (ko) 2010-07-15

Family

ID=41535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0773A KR100969974B1 (ko) 2008-04-02 2008-04-02 원격지에서 응급구호장치의 상태를 파악하는응급구호장치를 이용한 구호시스템 및 구호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997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5022B1 (ko) * 2010-05-26 2012-06-11 주식회사 대한에스엠 심장제세동기의 운영시스템
KR101358667B1 (ko) * 2012-04-12 2014-02-25 목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재난대응 및 멀티콘텐츠와 상호작용 정보용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및 운용방법
CN113923642A (zh) * 2021-10-13 2022-01-11 北京微纳星空科技有限公司 一种便携式指挥调度箱
CN116668962A (zh) * 2023-08-01 2023-08-29 深圳市博朗耐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5g通信的疏散救援远程监控方法及系统
KR20240079831A (ko) * 2022-11-29 2024-06-05 루씨엠(주) 급성심정지 환자 식별 및 구조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5295B1 (ko) * 2010-08-02 2011-03-29 경도메디칼시뮬레이션 주식회사 위치 확인이 가능한 공공장소 배치용 자동심실제세동기 보관함
KR20160119886A (ko) 2015-04-06 2016-10-17 주식회사 오성전자 전도제 분사를 위한 가압장치가 구비된 제세동기 패드
KR20160119884A (ko) 2015-04-06 2016-10-17 주식회사 오성전자 전도제를 확산시키는 홈을 가진 제세동기 패드
KR20160119885A (ko) 2015-04-06 2016-10-17 주식회사 오성전자 전도제 분사 제어장치를 구비한 제세동기 패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0397A (ko) * 2003-08-22 2005-03-04 김우식 생체신호 측정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피검사자 감시방법
KR100605565B1 (ko) * 2003-11-26 2006-07-28 김우식 소화기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과 그것의 통신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5022B1 (ko) * 2010-05-26 2012-06-11 주식회사 대한에스엠 심장제세동기의 운영시스템
KR101358667B1 (ko) * 2012-04-12 2014-02-25 목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재난대응 및 멀티콘텐츠와 상호작용 정보용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및 운용방법
CN113923642A (zh) * 2021-10-13 2022-01-11 北京微纳星空科技有限公司 一种便携式指挥调度箱
KR20240079831A (ko) * 2022-11-29 2024-06-05 루씨엠(주) 급성심정지 환자 식별 및 구조 시스템
CN116668962A (zh) * 2023-08-01 2023-08-29 深圳市博朗耐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5g通信的疏散救援远程监控方法及系统
CN116668962B (zh) * 2023-08-01 2023-10-03 深圳市博朗耐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5g通信的疏散救援远程监控方法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9974B1 (ko) 2010-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9974B1 (ko) 원격지에서 응급구호장치의 상태를 파악하는응급구호장치를 이용한 구호시스템 및 구호방법
US11980767B2 (en) Medical equipment messaging
US7120488B2 (en) Therapy-delivering portable medical device capable of triggering and communicating with an alarm system
CN207924885U (zh) 安全应急响应系统
CN106372447B (zh) 一种智能医疗病床管理系统的工作方法
US20100160990A1 (en) First aid system, procedure for its operation, and portable first-aid device for use especially in the system
JP2006334369A (ja) 生命危機通報システムおよび病態監視システム
CN110545410B (zh) 基于视频监控的灭火器监测系统
KR20160050992A (ko) 구조정보 인터랙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CN203042462U (zh) 一种移动急救监护系统及救护车
CN109872514A (zh) 安全应急响应系统
CN110660473A (zh) 一种高效求救和院前应急救护系统
KR100978074B1 (ko) 원격 관리형 제세동기와 연계된 응급 구조 시스템 및 이를위한 장치 및 방법
CN107438224A (zh) 基于低功耗广域网lpwan的生命体征监控系统
KR101017379B1 (ko) 원격 관리형 제세동기와 연계된 응급 구조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
KR101157401B1 (ko) 무전기 통신을 이용한 생체신호 응급 전송 시스템
CN110852928A (zh) 一种高效社会志愿应急系统
KR101744246B1 (ko) 마스크를 이용한 위치추적방법 및 시스템
KR101206581B1 (ko) 유비쿼터스 헬스케어용 환자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심장제세동기
CN111009105B (zh) 基于智能穿戴设备的通信方法及系统
EP0535629A1 (en) Integrated medical events emergency rescue system
CN211432857U (zh) 群体生理信息监护系统
US20170068791A1 (en) Preclinical care system
KR20240017626A (ko) 격리 환자를 감시하기 위한 비대면 환자 감시 시스템
TW201926274A (zh) 火災救援系統及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