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4685A - Socket connector - Google Patents

Socket conn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4685A
KR20090104685A KR1020090026168A KR20090026168A KR20090104685A KR 20090104685 A KR20090104685 A KR 20090104685A KR 1020090026168 A KR1020090026168 A KR 1020090026168A KR 20090026168 A KR20090026168 A KR 20090026168A KR 20090104685 A KR20090104685 A KR 200901046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connector
socket connector
support point
lock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61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37821B1 (en
Inventor
요시또모 마스따니
도시히로 데라시마
Original Assignee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104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468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7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782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2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a single latching a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PURPOSE: A socket connector is provided to secure the rotation of a lock arm and achieve the thinness. CONSTITUTION: A socket connector(10) includes a socket housing(12) and a lock arm(15). The lock arm is connected to an outer side of the socket housing. The lock arm maintains the combination state between the socket connector and a base connector(30) by being combined with a latch unit. The lock arm includes a hook unit, a force-applied point and a supporting point. The hook unit is extended in the first direction from the socket connector to the base connector. The forced point is extended in the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The supporting point is positioned between the hook unit and force-applied point.

Description

소켓 커넥터{SOCKET CONNECTOR}Socket Connector {SOCKET CONNECTOR}

본 발명은 회로 기판에 고정되는 베이스 커넥터와 조합되어 사용되는 소켓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cket connector for use in combination with a base connector fixed to a circuit board.

종래부터, 회로 기판에 고정된 베이스 커넥터와, 소켓 커넥터로 이루어지는 커넥터쌍(이하, 「소켓-베이스 커넥터쌍」이라고도 함)이 알려져 있다. 또한, 소켓-베이스 커넥터쌍에 있어서는, 소켓 커넥터와 베이스 커넥터의 결합 상태를 유지하는 구성으로서, 소켓 커넥터의 소켓 하우징에 로크 아암을 설치하는 동시에, 베이스 커넥터의 베이스 하우징에 래치부를 설치한 것이 있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0-200653호 공보 참조).Background Art Conventionally, connector pairs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socket-base connector pairs") consisting of a base connector fixed to a circuit board and a socket connector are known. Further, in the socket-base connector pair, there i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socket connector and the base connector are held in a coupled state, in which a lock arm is provided in the socket housing of the socket connector and a latch portion is provided in the base housing of the base connector ( See, for exampl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0-200653).

도 23은 종래의 소켓 커넥터에 있어서의 소켓 하우징을, 로크 아암의 지지점부를 지나가도록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소켓 커넥터(110)에 있어서는, 로크 아암(115)은 훅부(115a)와, 역점부(115b)와, 훅부(115a)와 역점부(point of pressure)(115b) 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소켓 하우징(112)의 외면에 연접되는 힌지 형상의 지지점부(115c)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로크 아암(115)은 지지점부(115c)를 중심으로 훅부(115a) 및 역점부(115b)가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래치부(도시하지 않음)는 베이스 하우징의 외면에 연접되는 갈고리부를 갖는다.It is sectional drawing which cut | disconnected the socket housing in the conventional socket connector so that the support point part of the lock arm may pass. As shown in Fig. 23, in the conventional socket connector 110, the lock arm 115 includes a hook portion 115a, a stationary portion 115b, a hook portion 115a, and a point of pressure ( Hinge-shaped support point 115c, which is located between 115b and is connec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ocket housing 112, is provided. The lock arm 115 is configured such that the hook portion 115a and the inverted portion 115b are rotatable about the support point portion 115c. The latch portion (not shown) has a hook portion connec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ase housing.

로크 아암(115) 및 래치부에 따르면, 소켓 커넥터(110)와 베이스 커넥터가 조합된 조합 상태에 있어서, 로크 아암(115)의 훅부(115a)와 래치부가 결합됨으로써, 소켓 커넥터(110)와 베이스 커넥터의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lock arm 115 and the latch portion, in the combined state where the socket connector 110 and the base connector are combined, the hook portion 115a and the latch portion of the lock arm 115 are engaged, whereby the socket connector 110 and the base are combined. The connector can be held in a coupled state.

또한, 소켓 하우징(112)에는 지지점부(115c)와 연접하는 연접부(118)에 있어서의 제1 방향[상기 조합 상태에 있어서, 소켓 커넥터(110)로부터 베이스 커넥터를 향하는 방향](D1)측에, 제1 방향(D1)측으로 개방되는 개방 공간(120)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개방 공간(120)은 상기 조합 상태에 있어서, 베이스 하우징에 있어서의 래치부가 연결되는 주위벽부가 수용되는 공간으로서 기능한다. 개방 공간(120)에 상기 주위벽부가 수용된 경우에는, 연접부(118)에 있어서의 제1 방향(D1)측의 면은 베이스 커넥터와의 접촉면(121)이 된다. 여기서, 접촉면(121)이라 함은, 상기 조합 상태에 있어서, 베이스 커넥터에 있어서의 제2 방향[제1 방향(D1)과 반대 방향의 방향](D2)측의 단부면과 접촉하는 동시에 연접부(118)에 위치하는 면이다.Further, the socket housing 112 has a first direction (direction from the socket connector 110 to the base connector in the combined state) in the connecting portion 118 that is in contact with the support point portion 115c (D1) side. The open space 120 which opens to the 1st direction D1 side is formed in many cases. And the open space 120 functions as a space which accommodates the peripheral wall part to which the latch part in a base housing is connected in the said combination state. When the said peripheral wall part is accommodated in the open space 120, the surface in the 1st direction D1 side in the junction part 118 becomes the contact surface 121 with the base connector. Here, the contact surface 121 is in contact with the end face on the second direction (direction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first direction D1) D2 side in the base connector, and at the same time, the joint portion. It is a plane located at (118).

그런데 최근, 소켓-베이스 커넥터쌍에 있어서는, 회로 기판이 내장되는 기기의 소형화, 박형화 등에 수반하여, 가일층의 박형화가 요망되고 있다.In recent years, in socket-base connector pairs, further thinning has been demanded along with miniaturization, thinning, and the like of devices in which circuit boards are incorporated.

그러나,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종래의 소켓-베이스 커넥터쌍을 단순히 박형화한 경우에는, 소켓 커넥터(110)에 있어서 이하의 문제가 발생한다.However, when the conventional socket-base connector pair as shown in FIG. 23 is simply thinned, the following problems occur in the socket connector 110.

구체적으로는, 소켓 커넥터(110)에 있어서 로크 아암(115)을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역점부(115b)의 선단부 근방을 압박할 필요가 있으나, 소켓 커넥터(110)를 단순히 박형화한 경우에는, 지지점부(115c)로부터 역점부(115b)의 선단부까지의 거리가 매우 짧아진다. 그로 인해, 역점부(115b)를 압박하여 로크 아암(115)을 회전시킬 수 없거나, 혹은 매우 곤란해져 실용상 문제가 된다.Specifically, in order to rotate the lock arm 115 in the socket connector 110, it is necessary to press the vicinity of the tip end of the power point portion 115b, but in the case where the socket connector 110 is simply thinned, the support point portion The distance from 115c to the distal end of the power point portion 115b becomes very short. Therefore, it is impossible to rotate the lock arm 115 by pressing the inversion point 115b, or it becomes very difficult and becomes a problem practically.

따라서, 본 발명은 래치부를 갖고 또한 회로 기판에 고정되는 베이스 커넥터와 조합되어 사용되는 소켓 커넥터에 있어서, 그 박형화와 로크 아암의 회전성의 확보를 양립할 수 있는 소켓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ocket connector which has both a latch portion and a socket connector used in combination with a base connector fixed to a circuit board, so that the thickness thereof and the rotation of the lock arm can be achieved.

(1) 본 발명의 소켓 커넥터는 래치부를 갖고 또한 회로 기판에 고정되는 베이스 커넥터와 조합되어 사용되는 소켓 커넥터이며, 상기 소켓 커넥터는 소켓 하우징과, 상기 소켓 하우징의 외면에 연결되는 동시에 상기 소켓 커넥터와 상기 베이스 커넥터가 조합된 조합 상태에 있어서 상기 래치부와 결합함으로써 상기 소켓 커넥터와 상기 베이스 커넥터의 결합 상태를 유지하는 로크 아암을 구비하고, 상기 로크 아암은 상기 조합 상태에 있어서 상기 소켓 커넥터로부터 상기 베이스 커넥터를 향하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훅부와,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 으로 연장되는 역점부와, 상기 훅부와 상기 역점부 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소켓 하우징의 외면에 연접되는 지지점부를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지지점부를 중심으로 상기 훅부 및 상기 역점부가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점부는 상기 조합 상태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커넥터에 있어서의 상기 제2 방향측의 단부면과 접촉하는 동시에 상기 소켓 하우징에 있어서의 상기 지지점부와 연접하는 연접부에 위치하는 접촉면보다도 상기 제1 방향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1) The socket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ocket connector which has a latch portion and is used in combination with a base connector fixed to a circuit board, the socket connector being connected to a socket housing and an outer surface of the socket housing and simultaneously with the socket connector. And a lock arm that engages with the latch portion in a combined state where the base connector is combined to maintain the engaged state of the socket connector and the base connector, wherein the lock arm is connected to the base from the socket connector in the combined state. A hook portion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toward the connector, a power point portion extending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a support point portion located between the hook portion and the power point portion and connect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socket housing; At the same time, the hook portion and the An inverted point portion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and the support point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end face on the second direction side in the base connector in the combined state, and is connected to the support point portion in the socket housing. It is located in the said 1st direction side rather than the contact surface located, It i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2) 상기 연접부에는 상기 제1 방향측으로 개방되는 제1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2)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1st notch part opened to the said 1st direction side is formed in the said junction part.

(3) 상기 지지점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방향측에는 상기 제1 방향측으로 개방되는 제2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3) It is preferable that the 2nd notch which opens to the said 1st direction side is formed in the said 1st direction side in the said support point part.

(4) 상기 지지점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2 방향측에는 상기 제2 방향측으로 개방되는 제3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4) It is preferable that the 3rd notch which opens to the said 2nd direction side in the said 2nd direction side in the said support point part is formed.

본 발명에 따르면, 래치부를 갖고 또한 회로 기판에 고정되는 베이스 커넥터와 조합되어 사용되는 소켓 커넥터에 있어서, 그 박형화와 로크 아암의 회전성의 확보를 양립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ocket connector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base connector which has a latch part and is fixed to a circuit board, the thickness can be made compatible with ensuring the rotation of the lock arm.

이하에,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Below, 1st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referr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소켓 커넥터와 베이스 커넥터를 분리한 상태로 베이스 커넥터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의 소켓 커넥터와 베이스 커넥터를 조합한 상태로 베이스 커넥터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조합된 상태의 소켓 커넥터 및 베이스 커넥터를, 도 9에 도시하는 A-A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의 소켓 커넥터에 있어서의 소켓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하는 소켓 하우징에 대해, 로크 아암의 지지점부(15c)를 지나가고 또한 제3 방향(D3)을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erspective view seen from the base connector side in the state which removed the socket connector and base connector of 1st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ocket connector and the base connector of the first embodiment as viewed from the base connector side. FIG.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ocket connector and the base connector in a combined state taken along line A-A shown in FIG. 9.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ocket housing in the socket connector of the first embodiment.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ocket housing shown in FIG. 4, cut through the support point portion 15c of the lock arm and along the third direction D3.

도 6은 도 4에 도시하는 소켓 하우징에 대해, 도 10에 도시하는 B-B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하는 소켓 하우징에 대해, 도 9에 도시하는 A-A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제1 실시 형태의 소켓 커넥터와 조합하여 사용되는 베이스 커넥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4에 도시하는 소켓 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4에 도시하는 소켓 하우징의 저면도이다.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shown in FIG. 10 with respect to the socket housing shown in FIG. 4.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shown in FIG. 9 with respect to the socket housing shown in FIG. 4. FIG.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ase connector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socket connector of the first embodiment. FIG. FIG. 9 is a plan view of the pocket housing shown in FIG. 4. FIG. FIG. 10 is a bottom view of the socket housing shown in FIG. 4. FIG.

본 발명의 소켓 커넥터는 베이스 커넥터와 조합되어 사용되는 커넥터이다.The socket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nector used in combination with a base connector.

우선, 제1 실시 형태의 소켓 커넥터(10)와 조합되어 사용되는 베이스 커넥터(30)에 대해 설명한다.First, the base connector 30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socket connector 10 of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소켓 커넥터(10)와 베이스 커넥터(30)가 조합된 상태를 「조합 상태」라고 한다. 또한, 상기 조합 상태에 있어서, 소켓 커넥터(10)로부터 베이스 커넥터(30)를 향하는 방향을 「제1 방향(D1)」이라고 한다. 제1 방향(D1)과 반대 방향의 방향을 「제2 방향(D2)」이라고 한다. 소켓 커넥터(10)에 있어서의 로크 아암(15)의 회전축을 따르는 방향을 「제3 방향(D3)」이라고 한다. 제1 방향(D1) 및 제3 방향(D3)에 직교하는 동시에 로크 아암(15) 또는 래치부(36)를 향하는 방향을 「제4 방향(D4)」이라고 한다. 제4 방향(D4)과 반대 방향의 방향을 「제5 방향(D5)」이라고 한다.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state which the socket connector 10 and the base connector 30 combined is called "combined state." In addition, in the said combination state, the direction toward the base connector 30 from the socket connector 10 is called "1st direction D1."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1st direction D1 is called "2nd direction D2." The direction along the rotation axis of the lock arm 15 in the socket connector 10 is called "third direction D3."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1st direction D1 and the 3rd direction D3, and toward the lock arm 15 or the latch part 36 is called "fourth direction D4."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4th direction D4 is called "5th direction D5."

도 1 내지 도 3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커넥터(30)는 회로 기판(40)의 표면에 고정되는 커넥터이다. 베이스 커넥터(30)는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하우징(31)과, 복수의 단자(35)를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 하우징(31)은 평면에서 볼 때[제1 방향(D1)에서 본 경우에] 대략 직사각 형상의 바닥판부(38)와, 대략 직사각 형상의 바닥판부(38)의 3변에서 세워 설치하는 주위벽부(32)를 구비하고 있다. 주위벽부(32)는 평면에서 볼 때, 그리스 문자의 대문자 「Π」자 형상이다. 주위벽부(32)는 반드시 연속되어 있지는 않지만, 전체적으로「Π」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1-3 and 8, the base connector 30 is a connector fixed to the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40. The base connector 30 includes a base housing 31 made of synthetic resin and a plurality of terminals 35. The base housing 31 is installed in three sides of the bottom plate portion 38 having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and the bottom plate portion 38 having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when viewed in a plan view (when viewed from the first direction D1). The wall part 32 is provided. The peripheral wall part 32 is a capital letter "(pi)" shape of the Greek letter in planar view. The peripheral wall portion 32 is not necessarily continuous, but has a "?" Shape as a whole.

「Π」자 형상의 주위벽부(32)는 전방벽부(32a)와, 한 쌍의 측벽부(32b, 32b)를 구비한다. 전방벽부(32a)는 제4 방향(D4)측에 위치하는 동시에, 제3 방향(D3)으로 연장되어 있다. 측벽부(32b)는 전방벽부(32a)의 양단부로부터 제5 방향(D5)으로 연장되어 있다. 전방벽부(32a)에 있어서의 제4 방향(D4)측의 외면에 래치부(36)가 설치되어 있다.The peripheral wall portion 32 having a "?" Shape includes a front wall portion 32a and a pair of side wall portions 32b and 32b. The front wall part 32a is located in the 4th direction D4 side, and is extended in the 3rd direction D3. The side wall portion 32b extends in the fifth direction D5 from both ends of the front wall portion 32a. The latch part 36 is provided in the outer surface of the 4th direction D4 side in the front wall part 32a.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커넥터(30)의 바닥판부(38)에 있어서의 제4 방향(D4)[전방벽부(32a)]측의 영역은 제2 방향(D2)측으로 융기하여, 받침대부(34)를 형성하고 있다. 받침대부(34)는 전방벽부(32a)에 인접되어 있다. 받침대부(34)는 제3 방향(D3)을 따라서 연장되는 직육면체 형상을 갖고 있다. 받침대부(34)에 있어서의 제3 방향(D3)의 중앙부에는 제1 방향(D1)으로 오목한 동시에 제 4 방향(D4)을 따라서 연장되는 릴리프부(33)가 형성되어 있다. 릴리프부(33)는 조합 상태에 있어서, 소켓 커넥터(10)에 있어서의 스토퍼(23)(상세한 것은 후술)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설치된다.As shown in FIG. 8, the area | region of the 4th direction D4 (front wall part 32a) side in the bottom plate part 38 of the base connector 30 is raised to the 2nd direction D2 side, The pedestal part 34 is formed. The pedestal part 34 is adjacent to the front wall part 32a. The pedestal part 34 h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which extends along the 3rd direction D3. The relief part 33 which is concave in the 1st direction D1 and extended along the 4th direction D4 is formed in the center part of the 3rd direction D3 in the pedestal part 34. The relief part 33 is provided in order to avoid interference with the stopper 23 (detailed later) in the socket connector 10.

또한, 도 1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벽부(32a)에 있어서의 래치부(36)보다도 제3 방향(D3)의 외측의 위치에는 제2 릴리프부(32d)가 형성되어 있다. 제2 릴리프부(32d)는 제1 방향(D1)으로 오목하게 되어 있다. 제2 릴리프부(32d)는 조합 상태에 있어서, 소켓 커넥터(10)에 있어서의 지지점부(15c) 및 연접부(18)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설치된다.1 and 8, the second relief portion 32d is formed at a position outside of the latch portion 36 in the front wall portion 32a in the third direction D3. The second relief portion 32d is concave in the first direction D1. The 2nd relief part 32d is provided in the combined state, in order to avoid interference with the support point part 15c and the connection part 18 in the socket connector 10. As shown in FIG.

단자(35)는 금속편으로 이루어지고, 도 3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받침대부(34)로부터 제2 방향(D2)측으로 돌출되는 소켓측 접속부(35a)와, 기판측 접속부(35b)를 구비한다. 소켓측 접속부(35a)는 조합 상태에 있어서, 소켓 커넥터(10)에 있어서의 케이블(11)의 단자(도시하지 않음)와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기판측 접속부(35b)는 바닥판부(38)를 통해 전방벽부(32a)로부터 제4 방향(D4)측으로 돌출된다. 기판측 접속부(35b)는 회로 기판(40)에 있어서의 배선 등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동시에, 납땜 등에 의해 회로 기판(40)에 기계적으로 고정된다.The terminal 35 is made of a metal piece, and as shown in FIGS. 3 and 8, the socket-side connecting portion 35a and the substrate-side connecting portion 35b protruding from the pedestal portion 34 to the second direction D2 side. It is provided. The socket side connection part 35a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not shown) of the cable 11 in the socket connector 10 in a combined state. The board | substrate side connection part 35b protrudes from the front wall part 32a to the 4th direction D4 side through the bottom plate part 38. As shown in FIG. The board | substrate side connection part 35b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wiring in the circuit board 40 etc., and is mechanically fixed to the circuit board 40 by soldering etc., for example.

한 쌍의 측벽부(32b, 32b)는 그 제4 방향(D4)의 중앙부가, 제3 방향(D3)의 내측을 향해 돌출된 측벽부 볼록부(32c)로 되어 있다.The pair of side wall parts 32b and 32b is the side wall part convex part 32c which the center part of the 4th direction D4 protrudes toward the inside of the 3rd direction D3.

베이스 커넥터(30)에 있어서는, 바닥판부(38)[받침대부(34)를 포함함] 및 「Π」자 형상의 주위벽부(32)에 의해 수용 공간(39)이 형성된다. 수용 공간(39)은 그 제2 방향(D2)측 및 제5 방향(D5)측이 개방되어 있다. 조합 상태에 있어서, 수 용 공간(39)에는 소켓 하우징(12)에 있어서의 제1 방향(D1)측의 대부분이 수용된다.In the base connector 30, the accommodating space 39 is formed by the bottom plate portion 38 (including the support portion 34) and the peripheral wall portion 32 having a "?" Shape. The storage space 39 has its second direction D2 side and fifth direction D5 side open. In the combined state, the accommodation space 39 accommodates most of the first direction D1 side in the socket housing 12.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하우징(31)의 전방벽부(32a)의 외면[제4 방향(D4)측의 면]에는 래치부(36)가 설치되어 있다. 래치부(36)는 소켓 커넥터(10)에 있어서의 로크 아암(15)의 훅부(15a)(상세한 것은 후술)와 결합한다. 래치부(36)의 외면측에는, 경사면부(37b)와, 결합 돌기(37a)가 설치되어 있다. 경사면부(37b)는 래치부(36)에 있어서의 제2 방향(D2)측으로부터 제1 방향(D1)을 향하는 동시에 제4 방향(D4)을 향해 경사진다. 결합 돌기(37a)는 경사면부(37b)에 있어서의 제1 방향(D1)측에 위치한다.As shown in FIG. 1 and FIG. 3, a latch portion 36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surface on the fourth direction D4 side) of the front wall portion 32a of the base housing 31. The latch portion 36 engages with the hook portion 15a (details later) of the lock arm 15 in the socket connector 10.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37b and the engaging projection 37a ar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side of the latch portion 36.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37b is inclined toward the first direction D1 from the second direction D2 side in the latch portion 36 and toward the fourth direction D4. The engaging projection 37a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first direction D1 in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37b.

다음에, 전술한 베이스 커넥터(30)와 조합되어 사용되는, 제1 실시 형태의 소켓 커넥터(10)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socket connector 10 of the first embodiment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base connector 30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의 소켓 커넥터(10)는 소켓 하우징(12)과, 로크 아암(15)과, 케이블(11)을 구비한다.As shown to FIG. 1 and FIG. 2, the socket connector 10 of 1st Embodiment is equipped with the socket housing 12, the lock arm 15, and the cable 11. As shown in FIG.

소켓 하우징(12)은 전체적으로 볼 때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갖고 있다. 로크 아암(15)은 소켓 하우징(12)의 제4 방향(D4)측의 외면에 연결되어 있다. 케이블(11)의 단자(도시하지 않음)는 소켓 하우징(12)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케이블(11)의 단자는 조합 상태에 있어서, 베이스 커넥터(30)의 단자(35)와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케이블(11)의 타단부측은 소켓 하우징(12)으로부터 제5 방향(D5)으로 연장되어 있다.The socket housing 12 has an approximate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s a whole. The lock arm 15 is connec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ocket housing 12 in the fourth direction D4. The terminal (not shown) of the cable 11 is disposed inside the socket housing 12. The terminals of the cable 11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s 35 of the base connector 30 in a combined state. The other end side of the cable 11 extends from the socket housing 12 in the fifth direction D5.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크 아암(15)은 제1 방향(D1)으로 연 장되는 훅부(15a)와,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는 역점부(15b)와, 지지점부(15c)를 구비한다. 지지점부(15c)는 훅부(15a)와 역점부(15b) 사이에 위치하고, 소켓 하우징(12)의 외면에 연접된다. 로크 아암(15)은 지지점부(15c)를 중심으로 훅부(15a) 및 역점부(15b)가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1 to 7, the lock arm 15 includes a hook portion 15a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D1, an inverted portion 15b extending in the second direction D2, and a supporting point. The part 15c is provided. The support point portion 15c is located between the hook portion 15a and the power point portion 15b and is connec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ocket housing 12. The lock arm 15 is configured such that the hook portion 15a and the inverted portion 15b are rotatable about the support point portion 15c.

훅부(15a)는 전체적으로 볼 때 판 형상이다. 훅부(15a)의 선단부[제1 방향(D1)측의 단부]는 제5 방향(D5)측으로 돌출되는 결합 돌기로 되어 있다. 훅부(15a)는 지지점부(15c)를 지지점으로 하여, 제3 방향(D3)을 따르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훅부(15a)는 제5 방향(D5)측을 향해, 또는 제4 방향(D4)측을 향해, 소정 각도의 범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역점부(15b)가 제5 방향(D5)으로 회전된 상태에 있어서, 훅부(15a)에는 제5 방향(D5)을 향해 회전하도록 압박력이 발생한다.The hook portion 15a has a plate shape as a whole. The distal end portion (the end portion on the first direction D1 side) of the hook portion 15a is a engaging projection that projects toward the fifth direction D5 side. The hook part 15a rotates around the rotating shaft which follows the 3rd direction D3, using the support point part 15c as a support point. The hook portion 15a is rotatable in a range of a predetermined angle toward the fifth direction D5 side or toward the fourth direction D4 side. In a state where the power point portion 15b is rotated in the fifth direction D5, a pressing force is generated in the hook portion 15a to rotate toward the fifth direction D5.

역점부(15b)는 전체적으로 볼 때 판 형상이다. 역점부(15b)의 선단부[제2 방향(D2)측의 단부]는 제4 방향(D4)측으로 팽출되는 팽출부로 되어 있다. 이 팽출부는 역점부(15b)를 손가락 등으로 압박할 때의 압박 용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역점부(15b)는 지지점부(15c)를 사이에 두고, 훅부(15a)와 제2 방향(D2)측의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다. 역점부(15b)는 지지점부(15c)를 지지점으로 하여, 제3 방향(D3)을 따르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역점부(15b)는 제4 방향(D4)측을 향해 또는 제5 방향(D5)측을 향해, 소정 각도의 범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The emphasis point 15b has a plate shape as a whole. The distal end portion (end portion on the second direction D2 side) of the power point portion 15b is a bulge portion that expands in the fourth direction D4 side. This bulging part is provided in order to improve the easiness of pressing at the time of pressing the power point part 15b with a finger | tip or the like. The power point portion 15b is position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hook portion 15a and the second direction D2 side with the support point portion 15c interposed therebetween. The power point portion 15b rotates around the rotational axis along the third direction D3 with the support point portion 15c as the support point. The focus point 15b is rotatable in a range of a predetermined angle toward the fourth direction D4 side or toward the fifth direction D5 side.

소켓 하우징(12)은 접촉면(21)을 갖는다. 접촉면(21)은 소켓 하우징(12)에 있어서의 지지점부(15c)와 연접하는 연접부(18)에 위치한다. 접촉면(21)은 조합 상태에 있어서, 베이스 커넥터(30)에 있어서의 제2 방향(D2)측의 단부면과 접촉하는 면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접촉면(21)은 베이스 커넥터(30)의 주위벽부(32)의 전방벽부(32a)에 있어서의 제2 방향(D2)측의 단부면과 접촉한다.The socket housing 12 has a contact surface 21. The contact surface 21 is located at the junction part 18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support point part 15c in the socket housing 12. The contact surface 21 is a surface which contacts the end surface on the side of the 2nd direction D2 in the base connector 30 in a combined state. In this embodiment, the contact surface 21 is in contact with the end surface on the side of the second wall D32 in the front wall portion 32a of the peripheral wall portion 32 of the base connector 30.

도 5, 도 9, 도 10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점부(15c)는 제3 방향(D3)으로 이격하여 2개(1쌍) 설치된다. 즉, 지지점부(15c)는 제3 방향(D3)으로는 비연속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 3, 도 5, 도 7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점부(15c)는 접촉면(21)보다도 제1 방향(D1)측에 위치하고 있다.As shown in FIG. 5, FIG. 9, FIG. 10, etc., two (one pair) support point parts 15c are spaced apart in the 3rd direction D3. That is, the support point part 15c is discontinuous in the 3rd direction D3. 3, 5, 7, etc., the support point part 15c is located in the 1st direction D1 side rather than the contact surface 21. As shown in FIG.

도 1, 도 6, 도 7, 도 10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켓 하우징(12)의 연접부(18)는 제1 방향(D1)측으로 개방되는 제1 절결부(19)를 구비한다. 제1 절결부(19)는 제3 방향(D3)에서 본 경우에 직사각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제1 절결부(19)는 제3 방향(D3)의 전체 영역에 걸쳐져 있다. 연접부(18)는 제1 절결부(19)보다도 제4 방향(D4)측 및 제5 방향(D5)측에 존재하고 있다.As shown in FIG. 1, FIG. 6, FIG. 7, FIG. 10, etc., the connection part 18 of the socket housing 12 is equipped with the 1st cutout part 19 opened to the 1st direction D1 side. The first cutout 19 has a rectangular shape when viewed from the third direction D3. In addition, the 1st notch 19 extends over the whole area | region of the 3rd direction D3. The junction part 18 exists in the 4th direction D4 side and the 5th direction D5 side rather than the 1st notch 19. As shown in FIG.

도 1, 도 6, 도 7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켓 하우징(12)은 개방 공간(20)을 구비한다. 개방 공간(20)은 연접부(18)에 있어서의 제1 방향(D1)측에 형성되어 있고, 제1 방향(D1)측으로 개방되는 공간이다.As shown in FIG. 1, FIG. 6, FIG. 7, etc., the socket housing 12 is equipped with the open space 20. As shown in FIG. The open space 20 is formed in the 1st direction D1 side in the junction part 18, and is a space opened to the 1st direction D1 side.

개방 공간(20)은 상기 조합 상태에 있어서, 주위벽부(32)[즉, 전방벽부(32a)]가 수용되는 공간이다. 주위벽부(32)에는 베이스 커넥터(30)에 있어서의 래치부(36)가 연결된다.The open space 20 is a space in which the peripheral wall portion 32 (that is, the front wall portion 32a) is accommodated in the combined state. The latch portion 36 in the base connector 30 is connected to the peripheral wall portion 32.

도 1, 도 5, 도 6, 도 10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켓 하우징(12)은 스토 퍼(23)를 구비한다. 스토퍼(23)는 훅부(15a)가 지지점부(15c)를 중심으로 회전했을 때에, 개방 공간(20)으로의 훅부(15a)의 과잉 진입을 저지하기 위해 설치된다. 「개방 공간(20)으로의 훅부(15a)의 과잉 진입을 저지한다」에는, 개방 공간(20)으로 훅부(15a)를 전혀 진입시키지 않는 경우가 포함되는 것 외에, 개방 공간(20)에 훅부(15a)가 진입했다고 해도 지지점부(15c)의 기능을 잃지 않는 범위에서 개방 공간(20)으로의 훅부(15a)의 진입을 저지하는 경우가 포함된다. 지지점부(15c)의 기능을 잃게 되는 예로서는, 지지점부(15c)의 파단, 파괴, 소성 변형 등을 들 수 있다.As shown in FIG. 1, FIG. 5, FIG. 6, FIG. 10, etc., the socket housing 12 is provided with the stopper 23. As shown in FIG. The stopper 23 is provided to prevent excessive entry of the hook portion 15a into the open space 20 when the hook portion 15a is rotated about the support point portion 15c. In addition, the "blocking excessive entry of the hook part 15a into the open space 20" includes the case where the hook part 15a is not made to enter the open space 20 at all, and it hooks in the open space 20. Even if 15a enters, the case where the entrance of the hook part 15a to the open space 20 is prevented in the range which does not lose the function of the support part 15c is included. Examples of the loss of the function of the supporting point portion 15c include breaking, breaking, plastic deformation, and the like of the supporting point portion 15c.

스토퍼(23)는 소켓 하우징(12)에 있어서의, 로크 아암(15)의 회전축 방향[제3 방향(D3)]의 중심부에 마주보는 위치에 1개 설치되어 있다.One stopper 23 is provided in the socket housing 12 at a position facing the center of the rotation arm direction (third direction D3) of the lock arm 15.

스토퍼(23)는 소켓 커넥터(10)와 베이스 커넥터(30)를 조합할 때에, 릴리프부(33)(도 8 참조)의 내부로 안내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스토퍼(23)는 조합 상태에 있어서 릴리프부(33)와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된다. 스토퍼(23)는 릴리프부(33)보다도 약간 작은 형상을 갖고 있다.The stopper 23 is formed to guide the inside of the relief portion 33 (see FIG. 8) when the socket connector 10 and the base connector 30 are combined. In this embodiment, the stopper 23 is provided in the position facing the relief part 33 in a combined state. The stopper 23 has a shape slightly smaller than the relief part 33.

도 4, 도 9, 도 10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켓 하우징(12)에 있어서의 제4 방향(D4)을 따르는 한 쌍의 외면에는 제3 방향(D3)의 내측을 향해 오목한 외면 오목부(24, 24)가 형성되어 있다. 외면 오목부(24)는 조합 상태에 있어서, 베이스 커넥터(30)의 측벽부 볼록부(32c)(도 8 참조)와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된다. 외면 오목부(24)는 측벽부 볼록부(32c)보다도 약간 큰 형상을 갖고 있다. 따라서, 소켓 커넥터(10)와 베이스 커넥터(30)를 조합할 때에, 측벽부 볼록부(32c)는 제1 방 향(D1)으로 외면 오목부(24)에 삽입되어, 삽입 가이드로서 기능한다.As shown in FIG. 4, FIG. 9, FIG. 10 etc., the outer surface recessed part concave toward the inner side of the 3rd direction D3 in the pair of outer surfaces along the 4th direction D4 in the socket housing 12 24 and 24 are formed. The outer surface recessed part 24 is provided in the position which opposes the side wall part convex part 32c (refer FIG. 8) of the base connector 30 in a combined state. The outer surface recessed part 24 has a shape slightly larger than the side wall part convex part 32c. Therefore, when combining the socket connector 10 and the base connector 30, the side wall part convex part 32c is inserted in the outer surface recessed part 24 in the 1st direction D1, and functions as an insertion guide.

소켓 하우징(12)에 있어서는, 제2 방향(D2)측에 있어서의 제4 방향(D4)을 따르는 모서리부는 제3 방향(D3)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플렌지부(12a)를 형성하고 있다. 플렌지부(12a)는 소켓 커넥터(10)의 착탈 시에 소켓 하우징(12)의 파지 용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설치된다.In the socket housing 12, the edge part along the 4th direction D4 in the 2nd direction D2 side extends to the outer side of the 3rd direction D3, and forms the flange part 12a. The flange portion 12a is provided to improve the ease of gripping the socket housing 12 when the socket connector 10 is attached or detached.

도 1, 도 2, 도 3, 도 8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켓 커넥터(10)와 베이스 커넥터(30)는 다음과 같이 조합되어, 소켓-베이스 커넥터쌍이 형성된다. 측벽부 볼록부(32c)와 외면 오목부(24)를 마주보게 하고, 개방 공간(20)과 주위벽부(32)의 전방벽부(32a)를 마주보게 하고, 스토퍼(23)와 릴리프부(33)를 마주보게 하는 동시에, 지지점부(15c)와 제2 릴리프부(32d)를 마주보게 한 상태에 있어서, 소켓 커넥터(10)와 베이스 커넥터(30)를, 제1 방향(D1) 또는 제2 방향(D2)으로 상대적으로 접근시킨다. 그 결과, 측벽부 볼록부(32c)가 외면 오목부(24)에 삽입되고, 주위벽부(32)의 전방벽부(32a)가 개방 공간(20)에 삽입되고, 스토퍼(23)가 릴리프부(33)에 삽입되는 동시에, 지지점부(15c)가 제2 릴리프부(32d)에 삽입된다.1, 2, 3, 8 and the like, the socket connector 10 and the base connector 30 are combined as follows to form a socket-base connector pair. The side wall convex portion 32c and the outer concave portion 24 face each other, and the front space 32a of the open space 20 and the peripheral wall portion 32 face each other, and the stopper 23 and the relief portion ( 33) and the socket connector 10 and the base connector 30 in the first direction D1 or in the state in which the support point portion 15c and the second relief portion 32d face each other. Relatively approach in two directions (D2). As a result, the side wall part convex part 32c is inserted in the outer surface recessed part 24, the front wall part 32a of the circumferential wall part 32 is inserted in the open space 20, and the stopper 23 is a relief part. At the same time, the support point portion 15c is inserted into the second relief portion 32d.

또한,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크 아암(15)의 훅부(15a)는 래치부(36)의 경사면부(37b)를 미끄럼 이동하여, 지지점부(15c)를 중심으로 제4 방향(D4)으로 회전하면서, 결합 돌기(37a)를 타고 넘어 래치부(36)에 결합한다. 이와 같이, 훅부(15a)와 래치부(36)가 결합됨으로써, 소켓 커넥터(10)와 베이스 커넥터(30)의 결합 상태가 유지된다.1 and 3, the hook portion 15a of the lock arm 15 slides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37b of the latch portion 36 to move the fourth portion around the support point portion 15c. While rotating in the direction D4, the engaging protrusion 37a rides over and engages the latch portion 36. In this manner, the hook portion 15a and the latch portion 36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maintain the engaged state of the socket connector 10 and the base connector 30.

한편, 소켓 커넥터(10)와 베이스 커넥터(30)의 결합 상태를 해제할 때에는, 역점부(15b)를 압박함으로써, 훅부(15a)가 지지점부(15c)를 중심으로 제4 방향(D4)으로 회전한다. 그 상태에서, 소켓 커넥터(10)와 베이스 커넥터(30)를 제1 방향(D1) 또는 제2 방향(D2)으로 상대적으로 이격시킴으로써, 소켓 커넥터(10)와 베이스 커넥터(30)의 결합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releasing the engagement state of the socket connector 10 and the base connector 30, the hook portion 15a is pressed in the fourth direction D4 about the support point portion 15c by pressing the power point portion 15b. Rotate In this state, the socket connector 10 and the base connector 30 are relatively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the first direction D1 or the second direction D2, whereby the coupling state of the socket connector 10 and the base connector 30 is improved. You can turn it off.

이상의 구성을 갖는 제1 실시 형태의 소켓 커넥터(10)에 따르면, 이하의 효과가 발휘된다.According to the socket connector 10 of 1st Embodiment which has the above structure, the following effects are exhibited.

제1 실시 형태의 소켓 커넥터(10)에 있어서는, 지지점부(15c)는 접촉면(21)보다도 제1 방향(D1)측에 위치하고 있다. 그로 인해, 소켓 커넥터(10)의 박형화를 도모한 경우에 있어서도, 지지점부(15c)로부터 역점부(15b)의 선단부까지의 거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역점부(15b)를 압박하여 로크 아암(15)을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즉, 소켓 커넥터(10)의 박형화와 로크 아암(15)의 회전성의 확보를 양립할 수 있다.In the socket connector 10 of the first embodiment, the support point portion 15c is located on the first direction D1 side than the contact surface 21. Therefore, even when the socket connector 10 is thinned, the distance from the support point portion 15c to the tip end portion of the power point portion 15b can be sufficiently secured. Therefore, the lock arm 15 can be rotated easily by pressing the inversion part 15b. That is, the thickness of the socket connector 10 and the securing of the rotation of the lock arm 15 can be compatible.

또한, 소켓 하우징(12)에 있어서의 연접부(18)에는 제1 방향(D1)측으로 개방되는 제1 절결부(19)가 형성되어 있다. 그로 인해, 소켓 커넥터(10)와 베이스 커넥터(30)의 착탈을 반복함으로써, 지지점부(15c)를 중심으로 하는 훅부(15a) 및 역점부(15b)의 회전이 반복되었다고 해도, 로크 아암(15)의 지지점부(15c)로의 응력의 부담이 적다. 그 결과, 로크 아암(15)이 줄거나, 로크 기능이 충분히 기능하지 않게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Moreover, the 1st notch part 19 which opens to the 1st direction D1 side is formed in the connection part 18 in the socket housing 12. As shown in FIG. Therefore, even if rotation of the hook part 15a and the inversion part 15b centering on the support part 15c is repeated by repeating attachment / detachment of the socket connector 10 and the base connector 30, the lock arm 15 Stress on the support point portion 15c is less. As a result, it can suppress that the lock arm 15 decreases or a lock function does not fully function.

다음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다른 실시 형태에 대해서는, 주로 제1 실시 형태와는 상이한 점을 설명하고,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다른 실시 형태에 대해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점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에 대한 설명이 적절하게 적용된다.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효과가 발휘된다.Next,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bout another embodiment, a different point from 1st embodiment is mainly described,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about the same structure as 1st embodiment, and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The description about 1st Embodiment applies suitably about the point which does not describe a different embodiment in particular. Also in other embodiment, the same effect as a 1st embodiment is exhibited.

도 11은 제2 실시 형태의 소켓 커넥터에 있어서의 소켓 하우징을 도시하는 부분 저면도(도 10 대응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하는 C-C선 단면도(도 7 대응도)이다.It is a partial bottom view (FIG. 10 correspondence drawing) which shows the socket housing in the socket connector of 2nd Embodiment. 1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shown in FIG. 11 (corresponding to FIG. 7).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의 소켓 커넥터(10)에 있어서의 소켓 하우징(12)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소켓 하우징(12)에 비해, 제1 절결부(19)의 위치 및 형상이 주로 상이하다. 그 밖의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As shown to FIG. 11 and FIG. 12, the socket housing 12 in the socket connector 10 of 2nd Embodiment is compared with the socket housing 12 in 1st Embodiment, and has a 1st notch ( The position and shape of 19) are mainly different.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in the first embodiment.

구체적으로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 절결부(19)는 소켓 하우징(12)의 연접부(18)에 형성되어, 제1 방향(D1)측으로 개방되는 동시에 제5 방향(D5)측으로 개방되어 있다. 또한, 제1 절결부(19)는 제2 방향(D2)을 향해, 또한 제5 방향(D5)을 향해 경사져 있다. 제1 절결부(19)는 제3 방향(D3)의 전체 영역에 걸쳐져 있다.Specifically,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first cutout 19 is formed at the connecting portion 18 of the socket housing 12, is opened toward the first direction D1 and is simultaneously opened in the fifth direction D5. It is open to the side. In addition, the first notch 19 is inclined toward the second direction D2 and toward the fifth direction D5. The first cutout 19 extends over the entire region in the third direction D3.

도 13은 제3 실시 형태의 소켓 커넥터에 있어서의 소켓 하우징을 도시하는 부분 저면도(도 11 대응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하는 D-D선 단면도(도 11 대응도)이다.It is a partial bottom view (FIG. 11 correspondence drawing) which shows the socket housing in the socket connector of 3rd Embodiment. 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D-D shown in FIG. 13 (corresponding to FIG. 11).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실시 형태의 소켓 커넥터(10)에 있어서의 소켓 하우징(12)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소켓 하우징(12)에 비해, 제1 절결부(19)의 형상이 주로 상이하다. 그 밖의 구성은 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As shown to FIG. 13 and FIG. 14, the socket housing 12 in the socket connector 10 of 3rd Embodiment is compared with the socket housing 12 in 2nd Embodiment, and the 1st notch part ( The shape of 19) is mainly different.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in the second embodiment.

구체적으로는,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 절결부(19)는 제3 방향(D3)의 전체 영역에 걸쳐져 있지 않고, 연접부(18)에 있어서의 제3 방향(D3)의 중앙부에만 형성되어 있다. 연접부(18)는 제1 절결부(19)보다도 제3 방향(D3)의 외측에 존재하고 있다.Specifically, in the third embodiment, the first cutouts 19 do not span the entire region in the third direction D3, but only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third direction D3 in the junction 18. Formed. The junction part 18 exists in the outer side of the 3rd direction D3 rather than the 1st notch 19. As shown in FIG.

도 15는 제4 실시 형태의 소켓 커넥터에 있어서의 소켓 하우징을 도시하는 부분 저면도(도 10 대응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하는 E-E선 단면도(도 7 대응도)이다.It is a partial bottom view (FIG. 10 correspondence drawing) which shows the socket housing in the socket connector of 4th Embodiment. FIG. 1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E-E shown in FIG. 15 (corresponding to FIG. 7).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4 실시 형태의 소켓 커넥터(10)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소켓 커넥터(10)에 비해, 연접부(18)에 제1 절결부(19)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그 대신에, 지지점부(15c)에 제2 절결부(16)가 형성되어 있는 점이 주로 상이하다. 그 밖의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As shown to FIG. 15 and FIG. 16, the socket connector 10 of 4th Embodiment has the 1st notch 19 at the connection part 18 compared with the socket connector 10 in 1st Embodiment. Is not formed, and the point where the 2nd notch 16 is formed in the support part 15c instead is mainly different.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in the first embodiment.

구체적으로는,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지지점부(15c)에 제2 절결부(16)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절결부(16)는 지지점부(15c)에 있어서의 제1 방향(D1)측에 형성되어, 제1 방향(D1)측으로 개방되어 있다. 제2 절결부(16)는 제3 방향(D3)에서 본 경우에 직사각 형상을 갖고 있고, 또한 제3 방향(D3)의 전체 영역에 걸쳐져 있다.Specifically, in the fourth embodiment, the second cutouts 16 are formed in the supporting point portions 15c. The 2nd notch 16 is formed in the 1st direction D1 side in the support point part 15c, and is open to the 1st direction D1 side. The second notch 16 has a rectangular shape when viewed from the third direction D3 and spans the entire region of the third direction D3.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지지점부(15c)에 제2 절결부(16)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지지점부(15c) 자체의 강성이 낮아지고, 특히 제5 방향(D5)으로의 훅 부(15a)의 회전성이 향상된다.In the fourth embodiment, since the second cutout portion 16 is formed in the support point portion 15c, the rigidity of the support point portion 15c itself is lowered, and the hook portion 15a in the fifth direction D5 is particularly preferred. ), The rotation is improved.

도 17은 제5 실시 형태의 소켓 커넥터에 있어서의 소켓 하우징을 도시하는 부분 저면도(도 15 대응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하는 F-F선 단면도(도 16 대응도)이다.It is a partial bottom view (FIG. 15 correspondence) which shows the socket housing in the socket connector of 5th Embodiment. 1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F-F shown in FIG. 17 (corresponding to FIG. 16).

도 17 및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5 실시 형태의 소켓 커넥터(10)에 있어서의 지지점부(15c)는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지지점부(15c)에 비해, 제2 절결부(16)의 형상이 주로 상이하다. 그 밖의 구성은 제4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As shown to FIG. 17 and FIG. 18, the support point part 15c in the socket connector 10 of 5th Embodiment is compared with the 2nd notch part 15 compared with the support point part 15c in 4th Embodiment. The shape of 16) is mainly different.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in the fourth embodiment.

구체적으로는,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2 절결부(16)는 제3 방향(D3)의 전체 영역에 걸쳐져 있지 않고, 지지점부(15c)에 있어서의 제3 방향(D3)의 중앙부에만 형성되어 있다. 지지점부(15)는 제2 절결부(16)보다도 제3 방향(D3)의 외측에 존재하고 있다.Specifically, in the fifth embodiment, the second cutouts 16 do not span the entire region in the third direction D3, but only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third direction D3 in the support point portion 15c. Formed. The support point portion 15 is located outside the second cutout portion 16 in the third direction D3.

도 19는 제6 실시 형태의 소켓 커넥터에 있어서의 소켓 하우징을 도시하는 부분 평면도(도 9 대응도)이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하는 C-G선 단면도(도 7 대응도)이다.It is a partial top view (FIG. 9 correspondence drawing) which shows the socket housing in the socket connector of 6th Embodiment. 2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G shown in FIG. 19 (corresponding to FIG. 7).

도 19 및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6 실시 형태의 소켓 커넥터(10)는 제1 실시 형태의 소켓 커넥터(10)에 비해, 제1 절결부(19)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그 대신에, 제3 절결부(17)가 형성되어 있는 점이 주로 상이하다. 그 밖의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As shown to FIG. 19 and FIG. 20, the socket connector 10 of 6th Embodiment does not have the 1st notch 19 rather than the socket connector 10 of 1st Embodiment, Instead, The point where the 3rd notch 17 is formed is mainly different.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in the first embodiment.

구체적으로는, 제6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지지점부(15c)에 제3 절결부(17) 가 형성되어 있다. 제3 절결부(17)는 지지점부(15c)에 있어서의 제2 방향(D2)측에 형성되어, 제2 방향(D2)측으로 개방되어 있다. 제3 절결부(17)는 제3 방향(D3)에서 본 경우에 직사각 형상을 갖고 있고, 또한 제3 방향(D3)의 전체 영역에 걸쳐져 있다.Specifically, in the sixth embodiment, the third notch 17 is formed in the support point portion 15c. The 3rd notch 17 is formed in the 2nd direction D2 side in the support point part 15c, and is open to the 2nd direction D2 side. The third cutout 17 has a rectangular shape when viewed from the third direction D3 and spans the entire region of the third direction D3.

제6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지지점부(15c)에 제3 절결부(17)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지지점부(15c) 자체의 강성이 낮아지고, 특히 제4 방향(D4)으로의 역점부(15b)의 회전성이 향상된다.In the sixth embodiment, since the third cutout portion 17 is formed in the support point portion 15c, the rigidity of the support point portion 15c itself is lowered, and in particular, the reverse point portion 15b in the fourth direction D4. ), The rotation is improved.

도 21은 제7 실시 형태의 소켓 커넥터에 있어서의 소켓 하우징을 도시하는 부분 저면도(도 19 대응도)이다. 도 22는 도 21에 도시하는 H-H선 단면도(도 20 대응도)이다.FIG. 21 is a partial bottom view (FIG. 19 correspondence) which shows the socket housing in the socket connector of 7th Embodiment. 2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H-H shown in FIG. 21 (corresponding to FIG. 20).

도 21 및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7 실시 형태의 소켓 커넥터(10)에 있어서의 지지점부(15c)는 제6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지지점부(15c)에 비해, 제3 절결부(17)의 형상이 주로 상이하다. 그 밖의 구성은 제6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As shown to FIG. 21 and FIG. 22, the support point part 15c in the socket connector 10 of 7th Embodiment is compared with the 3rd notch | portion part 15 compared with the support point part 15c in 6th Embodiment. The shape of 17) is mainly different.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in the sixth embodiment.

구체적으로는, 제7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3 절결부(17)는 제3 방향(D3)의 전체 영역에 걸쳐져 있지 않고, 지지점부(15c)에 있어서의 제3 방향(D3)의 중앙부에만 형성되어 있다. 지지점부(15c)는 제3 절결부(17)보다도 제3 방향(D3)의 외측에 존재하고 있다.Specifically, in the seventh embodiment, the third notched portion 17 does not span the entire area of the third direction D3, but only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third direction D3 in the support point portion 15c. Formed. The support point part 15c exists outside the 3rd notch 17 in the 3rd direction D3.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하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was described,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embodiment mentioned above, It can change suitably.

예를 들어, 지지점부(15c)의 개수, 위치, 크기, 형상, 간격 등에 특별히 제한은 없다. 또한, 스토퍼(23)의 개수, 위치, 크기, 형상, 간격 등에 특별히 제한은 없다. 또한, 제1 절결부(19), 제2 절결부(16) 및 제3 절결부(17)의 위치, 크기, 형상 등에 특별히 제한은 없다.For example, there is no restriction | limiting in particular in the number, position, size, shape, space | interval, etc. of the support point part 15c. The number, position, size, shape, spacing, etc. of the stoppers 23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In addition, there is no restriction | limiting in particular in the position, size, shape, etc. of the 1st cutout part 19, the 2nd cutout part 16, and the 3rd cutout part 17. FIG.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소켓 커넥터와 베이스 커넥터를 분리한 상태로 베이스 커넥터측에서 본 사시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erspective view seen from the base connector side in the state which removed the socket connector and base connector of 1st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도 2는 제1 실시 형태의 소켓 커넥터와 베이스 커넥터를 조합한 상태로 베이스 커넥터측에서 본 사시도.The perspective view seen from the base connector side in the state which combined the socket connector and base connector of 1st Embodiment.

도 3은 조합된 상태의 소켓 커넥터 및 베이스 커넥터를, 도 9에 도시하는 A-A선으로 절단한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ocket connector and the base connector in a combined state taken along line A-A shown in FIG. 9;

도 4는 제1 실시 형태의 소켓 커넥터에 있어서의 소켓 하우징의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ocket housing in the socket connector of the first embodiment;

도 5는 도 4에 도시하는 소켓 하우징에 대해, 로크 아암의 지지점부(15c)를 지나가고 또한 제3 방향(D3)을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third direction D3 of the socket housing shown in FIG. 4 after passing through the supporting point portion 15c of the lock arm. FIG.

도 6은 도 4에 도시하는 소켓 하우징에 대해, 도 10에 도시하는 B-B선으로 절단한 단면도.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shown in FIG. 10 with respect to the socket housing shown in FIG. 4. FIG.

도 7은 도 4에 도시하는 소켓 하우징에 대해, 도 9에 도시하는 A-A선으로 절단한 단면도.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shown in FIG. 9 with respect to the socket housing shown in FIG. 4. FIG.

도 8은 제1 실시 형태의 소켓 커넥터와 조합하여 사용되는 베이스 커넥터를 도시하는 사시도.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se connector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socket connector of the first embodiment;

도 9는 도 4에 도시하는 소켓 하우징의 평면도.9 is a plan view of the socket housing shown in FIG. 4;

도 10은 도 4에 도시하는 소켓 하우징의 저면도.FIG. 10 is a bottom view of the socket housing shown in FIG. 4. FIG.

도 11은 제2 실시 형태의 소켓 커넥터에 있어서의 소켓 하우징을 도시하는 부분 저면도(도 10 대응도).Fig. 11 is a partial bottom view (Fig. 10 correspondence) showing the socket housing in the socket connector of the second embodiment.

도 12는 도 11에 도시하는 C-C선 단면도(도 7 대응도).1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shown in FIG. 11 (corresponding to FIG. 7).

도 13은 제3 실시 형태의 소켓 커넥터에 있어서의 소켓 하우징을 도시하는 부분 저면도(도 11 대응도).FIG. 13 is a partial bottom view (FIG. 11 correspondence) which shows the socket housing in the socket connector of 3rd Embodiment. FIG.

도 14는 도 13에 도시하는 D-D선 단면도(도 11 대응도).FIG. 14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D-D shown in FIG. 13 (corresponding to FIG. 11).

도 15는 제4 실시 형태의 소켓 커넥터에 있어서의 소켓 하우징을 도시하는 부분 저면도(도 10 대응도).Fig. 15 is a partial bottom view (Fig. 10 correspondence) showing the socket housing of the socket connector of the fourth embodiment;

도 16은 도 15에 도시하는 E-E선 단면도(도 7 대응도).1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E-E shown in FIG. 15 (corresponding to FIG. 7).

도 17은 제5 실시 형태의 소켓 커넥터에 있어서의 소켓 하우징을 도시하는 부분 저면도(도 15 대응도).17 is a partial bottom view (FIG. 15 correspondence) which shows the socket housing in the socket connector of 5th Embodiment.

도 18은 도 17에 도시하는 F-F선 단면도(도 16 대응도).FIG. 18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F-F shown in FIG. 17 (corresponding to FIG. 16).

도 19는 제6 실시 형태의 소켓 커넥터에 있어서의 소켓 하우징을 도시하는 부분 평면도(도 9 대응도).19 is a partial plan view (FIG. 9 correspondence diagram) which shows the socket housing in the socket connector of 6th Embodiment.

도 20은 도 19에 도시하는 G-G선 단면도(도 7 대응도).2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G-G shown in FIG. 19 (corresponding to FIG. 7).

도 21은 제7 실시 형태의 소켓 커넥터에 있어서의 소켓 하우징을 도시하는 부분 저면도(도 19 대응도).Fig. 21 is a partial bottom view (Fig. 19 correspondence) which shows the socket housing in the socket connector of the seventh embodiment.

도 22는 도 21에 도시하는 H-H선 단면도(도 20 대응도).FIG. 2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H-H shown in FIG. 21 (corresponding to FIG. 20).

도 23은 종래의 소켓 커넥터에 있어서의 소켓 하우징을, 로크 아암의 지지점부를 지나가도록 절단한 단면도.Fig. 2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ocket housing of the conventional socket connector cut through the support point of the lock arm.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소켓 커넥터10: socket connector

11 : 케이블11: cable

12 : 소켓 하우징12: socket housing

15 : 로크 아암15: lock arm

30 : 베이스 커넥터30: base connector

31 : 베이스 하우징31: base housing

32 : 주위벽부32: peripheral wall

38 : 저판부38: bottom plate

40 : 회로 기판40: circuit board

Claims (4)

래치부를 갖고 또한 회로 기판에 고정되는 베이스 커넥터와 조합되어 사용되는 소켓 커넥터이며,A socket connector having a latch portion and used in combination with a base connector fixed to a circuit board, 상기 소켓 커넥터는,The socket connector, 소켓 하우징과,Socket housing, 상기 소켓 하우징의 외면에 연결되는 동시에 상기 소켓 커넥터와 상기 베이스 커넥터가 조합된 조합 상태에 있어서 상기 래치부와 결합함으로써 상기 소켓 커넥터와 상기 베이스 커넥터의 결합 상태를 유지하는 로크 아암을 구비하고,A lock arm which is connect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socket housing and maintains the socket connector and the base connector in engagement with the latch unit in a combined state where the socket connector and the base connector are combined; 상기 로크 아암은,The lock arm is, 상기 조합 상태에 있어서 상기 소켓 커넥터로부터 상기 베이스 커넥터를 향하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훅부와,A hook portion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from the socket connector toward the base connector in the combined state;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역점부와,A power point portion extending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상기 훅부와 상기 역점부 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소켓 하우징의 외면에 연접되는 지지점부를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지지점부를 중심으로 상기 훅부 및 상기 역점부가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And a support point portion located between the hook portion and the power point portion and connect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socket housing, the hook portion and the power point portion being rotatable about the support point portion, 상기 지지점부는,The support point portion, 상기 조합 상태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커넥터에 있어서의 상기 제2 방향측의 단부면과 접촉하는 동시에 상기 소켓 하우징에 있어서의 상기 지지점부와 연접하는 연접부에 위치하는 접촉면보다도 상기 제1 방향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커넥터.In said combined state, it contacts with the end surface of the said 2nd direction side in the said base connector, and is located in the said 1st direction side rather than the contact surface located in the connection part which connects with the said support point part in the said socket housing. Socket connec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접부에는 상기 제1 방향측으로 개방되는 제1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커넥터.The socket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nect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first cutout portion that is opened toward the first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점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방향측에는 상기 제1 방향측으로 개방되는 제2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커넥터.The socket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second cutout portion that is open to the first direction side is formed on the first direction side at the support point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점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2 방향측에는 상기 제2 방향측으로 개방되는 제3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커넥터.The socket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third cutout portion that is open to the second direction side is formed on the second direction side at the support point portion.
KR1020090026168A 2008-03-31 2009-03-27 Socket connector KR10153782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92006 2008-03-31
JP2008092006A JP5134416B2 (en) 2008-03-31 2008-03-31 Socket conn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4685A true KR20090104685A (en) 2009-10-06
KR101537821B1 KR101537821B1 (en) 2015-07-17

Family

ID=41156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6168A KR101537821B1 (en) 2008-03-31 2009-03-27 Socket connector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134416B2 (en)
KR (1) KR101537821B1 (en)
CN (1) CN101552388B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7875A (en) 2021-01-27 2023-10-05 닛산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Film-forming composition with multiple bonds
KR20230140556A (en) 2021-01-27 2023-10-06 닛산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Resist underlayer film forming composition containing reaction product of acid dianhydrid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01684A1 (en) 1998-07-03 2000-01-13 Nec Corporation (meth)acrylate derivatives bearing lactone structure, polymers, photoresist compositions and process of forming patterns with the same
WO2017075383A1 (en) * 2015-10-29 2017-05-04 Molex, Llc Power connector
CN116865040A (en) * 2021-06-08 2023-10-10 华为技术有限公司 Connector, adapter, connector assembly and communicatio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29410B2 (en) * 1993-12-13 1999-08-03 矢崎総業株式会社 connector
JP2002252063A (en) * 2001-02-26 2002-09-06 Jst Mfg Co Ltd Connector assembly with lock mechanism
JP2002313419A (en) * 2001-04-10 2002-10-25 Asahi Kasei Corp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JP2002313491A (en) * 2001-04-16 2002-10-25 Sumitomo Wiring Syst Ltd Connector
JP4430275B2 (en) * 2001-09-27 2010-03-10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Discrete wire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ion structure
JP2005209406A (en) * 2004-01-20 2005-08-04 Jst Mfg Co Ltd Connector with locking mechanism
JP4818833B2 (en) * 2006-06-30 2011-11-16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Flat flexible cable harnes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7875A (en) 2021-01-27 2023-10-05 닛산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Film-forming composition with multiple bonds
KR20230140556A (en) 2021-01-27 2023-10-06 닛산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Resist underlayer film forming composition containing reaction product of acid dianhydri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52388B (en) 2013-08-21
JP2009245799A (en) 2009-10-22
JP5134416B2 (en) 2013-01-30
CN101552388A (en) 2009-10-07
KR101537821B1 (en) 2015-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25250B2 (en) Connector guide member and electrical connector device having the same
KR101575907B1 (en) Socket connector
WO2010029647A1 (en) Connector device
KR20090104685A (en) Socket connector
JP5660113B2 (en) Electrical connector
US9065211B2 (en) Lever-type connector
KR101586088B1 (en) Socket connector
KR20150110418A (en) Connector Assembly
KR20060051140A (en) Electric connector mounted with cover body
JP5090055B2 (en) connector
JP5134415B2 (en) Socket connector
JP2006032285A (en) Socket
US9153908B2 (en) Lever-type connector
US11322885B2 (en) Lever-type connector
JP2019128985A (en) Waterproof connector and waterproof connector attachment structure
JP2016136462A (en) Electric connector
JP3108135U (en) Earphone socket structure
JP5310681B2 (en) Electronic equipment
JP3189195U (en) Card connector
JP5786932B2 (en) Terminal bracket for electrical connector
JP2014123494A (en) Connector
TWI509906B (en) Electrical connector
JP2002015814A (en) Connector for preventing wrong insertion
WO2016011605A1 (en) Digital card connector
JP2010102971A (en) Connector for memory c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