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4404A - 독립전위 추출판을 갖는 다중 홈 노즐 정전분무장치 및정전 분무방법 - Google Patents

독립전위 추출판을 갖는 다중 홈 노즐 정전분무장치 및정전 분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4404A
KR20090104404A KR1020080029814A KR20080029814A KR20090104404A KR 20090104404 A KR20090104404 A KR 20090104404A KR 1020080029814 A KR1020080029814 A KR 1020080029814A KR 20080029814 A KR20080029814 A KR 20080029814A KR 20090104404 A KR20090104404 A KR 200901044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nozzle
groove nozzle
voltage
working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9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7029B1 (ko
Inventor
김경태
김상수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080029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7029B1/ko
Publication of KR20090104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44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7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70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5/00Electrostatic spraying apparatus; Spraying apparatus with means for charging the spray electrically; Apparatus for spra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other electric means
    • B05B5/08Plant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5/00Electrostatic spraying apparatus; Spraying apparatus with means for charging the spray electrically; Apparatus for spra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other electric means
    • B05B5/025Discharge apparatus, e.g. electrostatic spray gu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5/00Electrostatic spraying apparatus; Spraying apparatus with means for charging the spray electrically; Apparatus for spra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other electric means
    • B05B5/16Arrangements for su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5/1608Arrangements for su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electrically conduc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02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performed by spraying
    • B05D1/04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performed by spraying involving the use of an electrostatic field

Landscapes

  • Electrostatic Spraying Apparatu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로 작동유체가 공급되는 복수의 홈 노즐; 홈 노즐의 외경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큰 홀이 각각 형성된 추출판; 홈 노즐에 전기전도성 용액을 공급하는 유체 공급장치; 홈 노즐에 전압을 인가하는 제 1 전압인가부; 및 상기 추출판에 전압을 인가하는 제 2 전압인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분무장치 및 분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독립전위 추출판을 이용하여 홈 노즐을 구현한바, 다중 홈 노즐의 집적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저유량 문제로 인해 적용되지 못했던 응용분야에 정적 분무 노즐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정전분무의 장점인 하전입자 제어를 통하여 친환경 대표면적 페인팅 공정에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정전 분무 장치의 유량 제약을 완화시켜 장치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igure P1020080029814
추출판, 익스트랙터(Extractor), 정전분무, 고유량, 고집적

Description

독립전위 추출판을 갖는 다중 홈 노즐 정전분무장치 및 정전 분무방법 {Multiplexed Grooved Nozzles Electrospray Apparatus Having Extractor of Insulated Electric Potential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다중 홈 노즐 정전분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장 반발력과 공간전하효과를 최소화하고, 방사형으로 분사되는 액적의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추출판(Extractor)을 갖는 다중 홈 노즐 정전 분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전분무장치는 순수하게 전기력 만에 의하여 액체를 작은 액적으로 분열시키는 분무장치로서, 여러 종류의 압력 분무기 또는 액적 발생기 등과 비교하여 많은 장점을 가진다. 이러한 정전 분무장치는 노즐의 형태와 구조가 단순하기 때문에 제작이 용이하고 수백 나노 크기에서 수십 마이크로 크기의 액적을 생성하기 용이하다. 또한, 단분산 분포를 갖고, 하전된 미세 액적을 발생시키는 특징이 있다. 하지만, 콘젯모드는 저유량에서만 나타나고, 이에 따른 작동 전압의 범위도 협소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실제 정전분무가 응용되는 분야는 한정되어 있다. 이러한 저유량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수의 일반적인 노즐을 이용하여 다중 노즐을 제작하더라도 하나의 노즐에서 나오는 유량이 적기 때문에 큰 효과를 얻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
홈 노즐을 사용하는 경우, 단일 노즐로도 일반 노즐에 비하여 비교적 고유량 정전분무가 가능한 멀티젯 모드를 사용한다. 멀티젯 모드의 특성상 노즐팁에서 일반 노즐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강한 전기장이 형성되어 반발력이 커진다. 전기장으로 인한 반발력에 의해 각각의 홈 노즐에서는 안정적인 분무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생성되는 액적의 양이 많기 때문에 이로 인해 발생하는 공간전하효과 또한 증가한다. 이러한 이유로 홈 노즐을 이용한 다중 노즐의 개발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추출판을 사용하여 고집적화된 다중 홈 노즐 정전 분무장치에서도 안정적인 홈 모드 분무가 가능한 다중 홈 노즐 정전 분무장치 및 분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로 작동유체가 공급되는 홈 노즐; 홈 노즐의 외경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큰 홀이 형성된 추출판; 홈 노즐의 일단에 작동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공급장치; 홈 노즐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는 제 1 전압인가부; 및 상기 추출판에 전압을 인가하는 제 2 전압인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홈 노즐 정전 분무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고, 추출판은 홈 노즐의 하단부와 동일한 높이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또 다른 카테고리로써, 본 발명에 따른 다중 홈 노즐 정전 분무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유체 공급장치에서 상기 홈 노즐로 작동유체를 공급하는 단계; 작동유체가 극성 이온을 갖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 1 전압인가부로부터 상기 홈 노즐로 극성전압을 인가하는 단계; 극성 이온을 띠는 작동유체가 상기 홈 노즐의 하단부로 액상의 콘 형상을 갖는 홈 모드를 형성하며 상기 작동유체를 분무하는 단계; 및 상기 홈 노즐에서 발생하는 전기장 반발력 및 공간전하 효과를 감소하고, 홈 노즐에서 분무되는 작동유체의 분무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제 2 전압인가부로부터 추출판으로 극성전압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홈 노즐 정전 분무장치의 정전 분무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독립전위 추출판을 이용하여 다중 홈 노즐을 구현한바, 다중 홈 노즐의 집적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저유량 문제로 인해 적용되지 못했던 응용분야에 정적 분무 노즐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정전분무의 장점인 하전입자 제어를 통하여 친환경 대표면적 페인팅 공정에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정전 분무 장치의 유량 제약을 완화시켜 장치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중 홈 노즐 정전 분무장치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홈 노즐 정전 분무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홈 노즐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홈 노즐의 저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추출판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추출판의 실제 형상을 나타낸 사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추출판의 개략적인 설치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전 분무장치의 홈 노즐(100)은 유체 공급장치(400)에서 공급되는 소정의 작동유체(300)가 지나가기 위해 중공인 관 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홈 노즐(100)의 하단에는 작동유체(300)가 배출되는 복수 개의 돌출부(101) 및 홈(102)이 방사형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홈 노즐(100)의 재질은 제 1 전압인가부(500)로부터 인가되는 극성전압에 따라 공급되는 작동유체(300)가 해당 이온을 갖도록 하기 위해 전압을 인가할 수 있는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좋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판(200)은 홈 노즐(100)의 하단이 관통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홀(201)이 형성된 평판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복수 개의 홀(201)은 각각의 홀(201)이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한다. 추출판(200)은 홈 노즐(100)의 하단과 동일한 높이로 설치되어 홈 노즐 (100)에서 발생하는 전기장 반발력 및 공간전하 효과를 감소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재질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좋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다중 홈 노즐은 추출판(200)에 형성된 복수 개의 홀(201)과 같은 수의 홈 노즐(100)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체 공급장치(400)는 홈 노즐(100)로 작동유체(300)를 공급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유체 공급장치(400)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주사기 펌프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제 1 전압인가부(500)는 홈 노즐(100)로 극성전압을 인가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장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제 2 전압인가부(600)는 홈 노즐(100)에서 발생되는 전기장 반발력 및 공간전하 효과를 최소화하기 위해 추출판(200)으로 극성 전압을 인가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 2 전압인가부(600)에서 추출판(200)으로 제 1 전압인가부(500)와 동일한 극성 전압을 인가하면 홈 노즐(100)에서 분무되는 작동유체(300)의 분사각도는 작아진다. 반면, 제 2 전압인가부(600)에서 추출판(200)으로 제 1 전압인가부(500)와 상반된 전압을 인가하면 홈 노즐(100)에서 분무되는 작동유체(300)의 분사각도는 커지게 되어 넓은 범위까지 작동유체(300)를 분무할 수 있다.
만약, 도 9 및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추출판(200)이 없이 각각의 홈 노즐(100)의 간격이 25mm 및 10mm인 다중 홈 노즐을 각각 제작하는 경우에는 홈 노즐(100)에서 발생하는 쿨롱 반발력과 하전된 액적에 의한 공간전하효과로 인해 각 홈 노즐(100)에서 발생하는 분무모드가 일정하지 않다. 각각의 홈 노즐(100)의 간격이 줄어들수록 이러한 현상은 심화된다.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지 않기 위해서는 각각의 홈 노즐(100)의 간격을 40mm 이상 이격시켜야 한다.
그러나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추출판(200)을 설치한 다중 홈 노즐에서는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가의 홈 노즐(100)의 간격이 25mm는 물론, 각각의 홈 노즐(100)의 간격이 10mm인 경우에도 안정적인 분무모드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는 추출판(200)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보다 다중 홈 노즐의 집적도를 16배 향상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실험장치의 구성>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홈 노즐 정전 분무장치에서 분무되는 작동유체를 가시화하기 위한 개략적인 실험장치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8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홈 노즐 정전 분무장치에서 분무되는 액적의 크기를 측정하기 위한 개략적인 실험장치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험장치에서는 홈 노즐(100)과 전극판(700)의 거리를 30mm로 구성하였다. 미세전류측정기(800)는 전극판(700)에 연결되어 전극판(700)에 흐르는 전류를측정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He-Ne 레이저발생장치(900)는 홈 노즐(100)의 하단부에서 분무되는 작동유체(300)를 가시화하기 위한 He-Ne 레이저(901)를 조사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He-Ne 레이저(901)에 의해 가시화된 작동유체(300)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1000)가 설치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Ar-Ion 레이저발생장치(1100)는 PDPA 수신기(1300)로 Ar-Ion 레이저(1101)를 조사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PDPA 수신기(1300)는 Ar-Ion 레이저발생장치(1100)에서 조사되는 Ar-Ion 레이저(1101)를 받아들여 같은 위상을 가지는 레이저(1101)과 반대 위상을 가지는 레이저(1102)로 나누고 이를 교차도록 조사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두 레이저(1101, 1102)가 교차되는 지점으로 홈 노즐(100)에서 분사되는 액적(303)이 지나가게 되면 두 개의 레이저가 교차되는 지점을 촬영하고 있는 PDPA 수신기(1300)가 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PDPA 수신기(1300)에 입력되 신호를 분석하기 위한 신호처리장치(1400)가 설치된다.
<정전 분무장치의 동작>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홈 노즐 정전 분무방법을 단계별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 먼저, 유체 공급장치(400)인 주사기 펌프로부터 홈 노즐(100)로 작동유체(300)를 공급한다(S100).
다음으로, 작동유체(300)에 극성이온을 띠게 하기 위해 제 1 전압인가부(500)인 전압 발생기로부터 홈 노즐(100)에 고압의 극성 전압을 인가한다(S200).
다음으로, 제 1 전압인가부(500)에서 홈 노즐(100)로 수십 kV의 양(+) 고전압을 걸어주면 홈 노즐(100)이 양극으로 작용하여 작동유체(300) 속의 음(-)이온들이 인력을 받아 홈 노즐(100) 내벽면으로 이동한다. 양(+)이온을 포함한 작동유체(300)는 홈 노즐(100)에 인가된 양(+) 전압과의 반발력으로 인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 노즐(100)의 하단부로 분무 된다(S300). 이때, 작동유쳬(300)는 홈 노즐(100) 하단부에 형성된 다수 개의 돌출부(101) 사이로 형성된 다수의 홈(102)의 모서리 부분에서 발생되는 강한 전기장으로 인해 홈(102)에 액체 콘(301)이 형성된다. 액체 콘(301)으로 형성된 작동유체(300)가 표면 전단응력을 받아 액주(302)로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액주(302)의 끝에서는 액주(302) 표면에서 작용하는 표면파의 교란으로 인하여 액적(303)들로 깨어지며 분무 된다.
마지막으로, 제 2 전압인가부(600)에서 추출판(200)으로 수십 kV의 양(+) 고 전압 또는 음(-) 고전압을 걸어주어 추출판(200)에 전기장을 형성시킨다. 추출판(200)에 형성된 전기장의 효과로 인해 전기장 반발력과 공간전하 효과를 감소시켜 각각의 홈노즐(100)에서 안정화된 분무가 가능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홈 노즐(100)에서 분무되는 작동유체(300)의 분무각도를 조절한다(S400). 이때, 제 2 전압인가부(600)에서 추출판(200)으로 제 1 전압인가부(500)와 동일한 양(+) 전압을 인가하게 되는 경우에는 하전된 액적(303)에 축방향으로 가해지는 전기장이 더 강하게 작용하므로 분무각도가 작아진다.
반면, 제2 전압인가부(600)에서 추출판(200)으로 제 1 전압인가부(500)와 상반된 음(-) 전압을 인가하게 되면 추출판(200)에서 발생되는 전기장이 하전된 액적(303)을 추출판(200) 쪽으로 끌어당겨 분무각도가 커지게 된다. 여기서, 제 2 전압인가부(600)에서 추출판(200)으로 양(+) 전압 또는 음(-) 전압을 인가하더라도 작동유체의 분무 각도는 변화하지만, 도 15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액적의 크기와 홈모드 형성 인가전압은 거의 동일하다. 여기서, 도 14의 수평축 중 A-H는 도 4에 도시된 각각의 측정 지역을 나타내는 것이고, 수직축은 각 지역에서 분무되는 액적의 크기를 측정한 평균값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추출판(200)을 접지로 사용하고, 전극판(700)으로 음(-)의 고전압을 인가하여도 같은 특성을 나타낸다.
<변형예>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정전분무 장치의 유량 제약을 완화시켜 보다 효율적인 장치 개발이 가능하다. 따라서, 반도체, LCD 박막코팅장치 및 선박 또는 자동차등의 대면적 페인팅 장치에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정전분무의 장점인 하전입자 제어를 통하여 친환경 대면적 페인팅 공정에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홈 노즐 정전 분무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홈 노즐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홈 노즐의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추출판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추출판의 실제 형상을 나타낸 사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추출판의 개략적인 설치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홈 노즐 정전 분무장치에서 분무되는 작동유체를 가시화하기 위한 개략적인 실험장치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홈 노즐 정전 분무장치에서 분무되는 액적의 크기를 측정하기 위한 개략적인 실험장치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추출판을 사용하지 않고, 노즐 간격이 25mm인 다중 홈 노즐에서 작동유체가 분무된 형태를 나타낸 사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추출판을 사용하지 않고, 노즐 간격이 10mm인 다중 홈 노즐에서 작동유체가 분무된 형태를 나타낸 사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추출판을 사용한 다중 홈 노즐의 분무형상을 나타내는 사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추출판을 사용하고, 노즐 간격이 25mm인 다중 홈 노즐에서 작동유체가 분무된 형태를 나타낸 사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추출판을 사용하고, 노즐 간격이 10mm인 다중 홈 노즐에서 작동유체가 분무된 형태를 나타낸 사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홈 노즐에서 발생하는 액적의 크기를 측정한 그래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홈 노즐 정전분무방법을 단계별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홈 노즐 101 : 돌출부
102 : 홈 200 : 추출판
201 : 홀 300 : 작동유체
301 : 액체 콘 302 : 액주
303 : 액적 400 : 유체 공급장치
500 : 제 1 전압인가부 600 : 제 2 전압인가부
700 : 전극판 800 : 미세전류측정기
900 : He-Ne 레이저발생기 907 : He-Ne 레이저
1000 : 카메라 1100 : Ar-Ion 레이저발생기
1101 : Ar-Ion 레이저 1102 : 반대 극성의 Ar-Ion 레이저
1200 : PDPA 송신기 1300 : PDPA 수신기
1400 : 신호처리장치

Claims (14)

  1. 내부로 작동유체(300)가 공급되는 복수의 홈 노즐(100);
    상기 홈 노즐(100)의 외경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큰 홀(201)이 각각 형성된 추출판(200);
    상기 홈 노즐(100)의 일단에 작동유체(300)를 공급하는 유체 공급장치(400);
    상기 홈 노즐(100)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는 제 1 전압인가부(500); 및
    상기 추출판(200)에 전압을 인가하는 제 2 전압인가부(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홈 노즐 정전 분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홈 노즐(100)은 전도성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홈 노즐 정전 분무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홈 노즐(100)은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홈 노즐 정전분무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홈 노즐(100)의 하단부에는 복수 개의 돌출부(101) 및 복수 개의 홈(10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홈 노즐 정전 분무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돌출부(101) 및 복수 개의 돌출부 사이에 형성된 홈(102)이 방사형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홈 노즐 정전 분무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홀(201)은 각각의 홀(201)이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 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홈 노즐 정전 분무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판(200)의 재질은 전도성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홈 노즐 정전 분무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판(200)이 상기 홈 노즐(100)의 하단부와 동일한 높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홈 노즐 정전 분무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공급장치(400)는 주사기 펌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홈 노즐 정전 분무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전압인가부(500, 600)는 직류 전압 발생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홈 노즐 정전 분무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공급장치(400)에서 홈 노즐(100)로 공급되는 작동유체(300)는 제 1 전압인가부(500)에서 홈 노즐(100)로 인가되는 극성전압에 따라 해당 극성 이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홈 노즐 정전 분무장치.
  12. 내부로 작동유체(300)가 공급되는 복수의 홈 노즐(100); 상기 홈 노즐(100)의 외경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큰 홀(201)이 각각 형성된 추출판(200); 상기 홈 노즐(100)의 일단에 작동유체(300)를 공급하는 유체 공급장치(400); 및 상기 홈 노즐(100)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는 제 1 전압인가부(500);를 포함하는 다중 홈 노즐 정전 분무장치의 분무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체 공급장치(400)에서 상기 홈 노즐(100)로 작동유체(300)를 공급하는 단계(S100);
    상기 작동유체(300)가 극성 이온을 갖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 1 전압인가부(500)로부터 상기 홈 노즐(100)로 극성전압을 인가하는 단계(S200);
    상기 극성 이온을 띠는 작동유체(300)가 상기 홈 노즐의(100) 하단부에 형성된 다수의 홈(102)에서 액상의 콘(301) 형상을 갖는 홈 모드를 형성하며 상기 작동유체(300)를 분무하는 단계(S300); 및
    상기 홈 노즐(100)에서 발생하는 전기장 반발력 및 공간전하 효과를 감소하고, 홈 노즐(100)에서 분무되는 작동유체(300)의 분무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제 2 전압인가부(600)로부터 추출판(200)으로 극성전압을 인가하는 단계(S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홈 노즐 정전 분무장치의 정전 분무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홈 노즐(100)에서 분무되는 작동유체(300)의 분무각도를 작게 하기 위해 제 1 전압인가부(500)에서 홈 노즐(100)로 인가되는 극성전압과 동일한 극성전압을 제 2 전압인가부(600)에서 추출판(200)으로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홈 노즐 정전 분무방법.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홈 노즐(100)에서 분무되는 작동유체(300)의 분무각도를 크게 하기 위해 제 1 전압인가부(500)에서 홈 노즐(100)로 인가되는 극성전압과 상반되는 극성전압을 제 2 전압인가부(600)에서 추출판(200)으로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홈 노즐 정전 분무방법.
KR1020080029814A 2008-03-31 2008-03-31 독립전위 추출판을 갖는 다중 홈 노즐 정전분무장치 및정전 분무방법 KR100947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9814A KR100947029B1 (ko) 2008-03-31 2008-03-31 독립전위 추출판을 갖는 다중 홈 노즐 정전분무장치 및정전 분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9814A KR100947029B1 (ko) 2008-03-31 2008-03-31 독립전위 추출판을 갖는 다중 홈 노즐 정전분무장치 및정전 분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4404A true KR20090104404A (ko) 2009-10-06
KR100947029B1 KR100947029B1 (ko) 2010-03-11

Family

ID=41534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9814A KR100947029B1 (ko) 2008-03-31 2008-03-31 독립전위 추출판을 갖는 다중 홈 노즐 정전분무장치 및정전 분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702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6298A (ko) * 2019-03-04 2020-09-14 한국과학기술원 고유량 정전분무를 위한 추출판이 결합된 정전분무 시스템 및 이를 통한 정전분무 방법
WO2020235812A1 (ko) * 2019-05-17 2020-11-26 주식회사 이서 미세 입자 농도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5243B1 (ko) * 2017-10-20 2018-08-03 주식회사 애니텍 고전압 기반의 정전 분무를 이용한 전기 집진 시스템
KR101885240B1 (ko) * 2017-10-20 2018-08-03 주식회사 애니텍 배기가스에 포함된 입자상 물질 제거를 위한 정전 분무 방식의 전기 집진 시스템
KR20240043995A (ko) 2022-09-28 2024-04-04 (주)티에이치엔 정전 분무용 노즐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48043A (en) * 1986-08-29 1988-05-31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Electrospray coating process
JP3732526B2 (ja) * 1991-05-29 2006-01-05 ノードソン株式会社 静電粉末コーティング装置
KR100507838B1 (ko) * 2003-07-10 2005-08-17 한국과학기술원 독립전위 가드판을 갖는 정전분무장치 및 그 방법
KR101249193B1 (ko) * 2006-03-02 2013-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전 분무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6298A (ko) * 2019-03-04 2020-09-14 한국과학기술원 고유량 정전분무를 위한 추출판이 결합된 정전분무 시스템 및 이를 통한 정전분무 방법
WO2020235812A1 (ko) * 2019-05-17 2020-11-26 주식회사 이서 미세 입자 농도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14144261A (zh) * 2019-05-17 2022-03-04 怡色公司 用于管理细颗粒浓度的设备和方法
CN114144261B (zh) * 2019-05-17 2024-05-28 怡色公司 用于管理细颗粒浓度的设备和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7029B1 (ko) 2010-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ei et al. High-resolution ac-pulse modulated electrohydrodynamic jet printing on highly insulating substrates
KR100947029B1 (ko) 독립전위 추출판을 갖는 다중 홈 노즐 정전분무장치 및정전 분무방법
Pongrác et al. Influence of water conductivity on particular electrospray modes with dc corona discharge—optical visualization approach
Nguyen et al. Control and improvement of jet stability by monitoring liquid meniscus in electrospray and electrohydrodynamic jet
Gao et al. Mechanisms and modeling of electrohydrodynamic phenomena
KR100947028B1 (ko) 비전도체 정전분무장치 및 정전분무 방법
KR101305768B1 (ko) 정전 분무 인쇄 장치
CN103464319B (zh) 二段电场结构静电喷射系统及阵列与使用方法
Yuan et al. High frequency pulsed electrohydrodynamic printing with controllable fine droplets
Yang et al. Crosstalk elimination for large-scale, high-density electrohydrodynamic printing via optimization of nozzle material and structure
Tran et al. Liquid meniscus oscillation and drop ejection by ac voltage, pulsed dc voltage, and superimposing dc to ac voltages
KR20120083102A (ko) 멀티 젯 방식의 전기방사장치용 동축 홈 노즐, 그 동축 홈 노즐을 이용한 멀티 젯 방식의 전기방사장치, 시스템 및 그 전기방사장치를 이용한 나노섬유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나노섬유
Sen et al. Simulation and parametric study of a novel multi-spray emitter for ESI–MS applications
Yuan et al. Fine droplet generation using tunable electrohydrodynamic pulsation
Kim et al. On-demand electrohydrodynamic jetting with meniscus control by a piezoelectric actuator for ultra-fine patterns
Kang et al. Free-surface electrospray technique using a multi-hole array
KR100507838B1 (ko) 독립전위 가드판을 갖는 정전분무장치 및 그 방법
CN110681505B (zh) 一种电喷雾装置
EP3737506B1 (en) Spray nozzle assembly and spray plume shaping method
Peng et al. Design and evaluation of a linear nozzle array with double auxiliary electrodes for restraining cross-talk effect in parallel electrohydrodynamic jet printing
Raisin et al. A novel actuation technique for the on-demand injection of charge-free conducting droplets in a viscous dielectric liquid
Louste et al. A study of vortex shedding induced by dielectric barrier injection
US2014024650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disperse liquid particle generation
CN111054531A (zh) 一种纳米材料静电喷涂雾化装置
Wang et al. The enhancement ratio of corresponding convection heat transfer coefficient using electrospray evaporative cool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