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4233A - 토크조절 드라이버 - Google Patents

토크조절 드라이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4233A
KR20090104233A KR1020080029556A KR20080029556A KR20090104233A KR 20090104233 A KR20090104233 A KR 20090104233A KR 1020080029556 A KR1020080029556 A KR 1020080029556A KR 20080029556 A KR20080029556 A KR 20080029556A KR 20090104233 A KR20090104233 A KR 200901042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support
torque
groove
receiv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9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8946B1 (ko
Inventor
이병주
박재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080029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8946B1/ko
Priority to PCT/KR2008/006352 priority patent/WO2009123384A1/en
Publication of KR20090104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42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8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89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14Arrangement of torque limiters or torque indicators in wrenches or screwdrivers
    • B25B23/142Arrangement of torque limiters or torque indicators in wrenches or screwdrivers specially adapted for hand operated wrenches or screwdrivers
    • B25B23/1422Arrangement of torque limiters or torque indicators in wrenches or screwdrivers specially adapted for hand operated wrenches or screwdrivers torque indicators or adjustable torque limiters
    • B25B23/1427Arrangement of torque limiters or torque indicators in wrenches or screwdrivers specially adapted for hand operated wrenches or screwdrivers torque indicators or adjustable torque limiters by mechan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5/00Screwdr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5/00Screwdrivers
    • B25B15/02Screwdrivers operated by rotating the ha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14Arrangement of torque limiters or torque indicators in wrenches or screwdrivers
    • B25B23/141Mechanical overload release coup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Spanners, Wrenches, And Screw Driver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크조절 드라이버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몸체와, 몸체의 수용공간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며 외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축홈이 형성되어 있는 축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몸체의 수용공간에 고정되고 축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며 축의 연장방향과 직교하도록 형성된 지지면에 축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지지홈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부재와,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몸체의 수용공간에 배치되고, 축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그 축에 끼워지며, 지지부재의 지지면과 마주하는 외면은 축에 근접할수록 지지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으로 된 조절부재를 구비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몸체의 수용공간에 설치되며, 조절부재에 대하여 지지부재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와, 지지홈과 축홈에 각각 끼워지고 경사면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강구들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토크조절 드라이버에 의하면, 토크 조절 시에 진동과 덜컥거리는 소음을 줄여 사용자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토크, 조절, 드라이버

Description

토크조절 드라이버{DRIVER FOR TORQUE ADJUSTMENT}
본 발명은 드라이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트에 걸리는 토크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토크조절 드라이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크조절 드라이버는 나사 및 볼트 등의 체결구를 벽이나 소정의 물체에 조립 및 해체하는 작업에 사용된다. 이러한, 토크조절 드라이버의 일례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토크조절 드라이버는 몸체(2)의 내부에 축(4)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축(4)에 발생되는 토크를 조절하기 위하여, 토크조절 드라이버는 한 쌍의 클러치(6, 8)를 구비한다. 한 쌍의 클러치(6, 8) 중에서 하나의 클러치(6)는 축(4)에 회전력을 발생되게 하는 구동클러치(6)이며, 나머지 하나의 클러치(8)는 축(4)을 따라 진퇴가 가능한 진퇴클러치(8)이다. 구동클러치(6)와 진퇴클러치(8)는 서로 맞물려 결합될 수 있도록 서로 마주하는 면에 톱니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진 토크조절 드라이버는 진퇴클러치(8)가 구동클러치(6)에 결합되어 축(4)에 토크가 전달되며, 진퇴클러치(8)가 구동클러치(6)에서 이탈되어 축(4)이 공회전된다. 이와 같은 작동에 의하여 토크가 조절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토크조절 드라이버는 토크를 조절하기 위한 구조가 복잡하여 토크조절 드라이버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토크를 조절하기 위하여 구동클러치와 진퇴클러치의 결합과 이탈시 발생되는 진동과 덜컥거리는 소음에 의하여 사용자에게 심리적 불안감을 조성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토크조절 드라이버의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토크를 조절하는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는 토크조절 드라이버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토크를 조절함에 있어서, 진동과 덜컥거리는 소음을 줄여 사용자에게 심리적 불안감을 조성하지 않는 토크조절 드라이버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토크를 조절할 수 있는 토크조절 드라이버에 있어서,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몸체와, 몸체의 수용공간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며 외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축홈이 형성되어 있는 축을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몸체의 수용공간에 고정되고 축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며 축의 연장방향과 직교하도록 형성된 지지면에 축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지지홈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부재와,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몸체의 수용공간에 배치되고, 축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 하도록 그 축에 끼워지며, 지지부재의 지지면과 마주하는 외면은 축에 근접할수록 지지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으로 된 조절부재를 구비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몸체의 수용공간에 설치되며, 조절부재에 대하여 지지부재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와, 지지홈과 축홈에 각각 끼워지고 경사면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강구들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토크조절 드라이버에 의하면, 축홈에 삽입되고 이탈되는 강구들에 의하여 토크 조절 시에 진동과 덜컥거리는 소음을 줄여 사용자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토크를 조절하는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는 경제적인 효과가 있으며, 사용자가 토크를 제어하기가 용이하여 사용상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기한 목적들과 그 외의 목적들과 신규한 특징은 상세한 설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읽어 보면, 보다 완전하고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면은 설명을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토크조절 드라이버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몸체(10)는 내부에 수용공간(12)이 형성되어 있다. 몸체(10)의 일단에는 토크의 크기를 설정할 수 있는 설정부재(50)가 나사결 합되어 있으며, 타단에는 탄성재질의 커버(14)가 설치되어 있다. 이 커버(14)는 사용자의 손잡이로 사용된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지지부재(20)는 몸체(10)의 수용공간(12)에 설치되어 있다. 지지부재(20)는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관통구멍(24)을 가지고 있다. 이 관통구멍(24)에 축(30)이 회전가능하게 끼워진다. 또한, 축(30)의 연장방향과 직교하도록 형성된 지지면에 축(30)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3개의 지지홈(22)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각각의 지지홈(22)에 강구(26)가 지지홈(22)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끼워진다.
축(30)은 몸체(10)의 수용공간(12)에 설치되는 지지부재(20)의 관통구멍(24)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져 있으며, 지지부재(20)에 대향되는 축(30)의 단부에 나사 및 볼트 등을 체결할 수 있는 비트가 결합될 수 있도록 비트홀더(34)가 결합되어 있다. 또한, 축(30)의 외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축홈(32)이 형성되어 있다. 축홈(32)은 6개이며, 축(30)의 중심으로 60°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 지지홈(22)에 끼워진 강구(26)의 일부분이 각각의 축홈(32)에 끼워진다. 이와 같은 구조의 의하여 토크를 조절하기 위한 구조가 간단해지며, 토크를 조절할 경우에 진동과 덜컥거리는 소음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조절부재(40)는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몸체(10)의 수용공간(12)에 배치되어 있으며, 축(3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축(30)에 끼워져 있다. 조절부재(40)는 축홈(32)과 지지홈(22)에 끼워져 있는 강구(26)들에 접하는 지지부(42)와 축(30)에 끼워지는 고정부(46)로 구성되어 있다. 지지부재(20)의 지지면과 마주 하는 조절부재(40)의 외면에는 축(30)에 근접할수록 지지부재(40)의 지지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44)이 마련되어 있다.
설정부재(50)는 조절부재(40)와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몸체(10)에 나사결합되어 있다. 설정부재(50)는 축(30)이 관통되는 구멍을 가지며, 내부에 비트홀더(34)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홈(5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조절부재(40)에 대향되는 설정부재(50)의 외면에 고정부재(54)가 설치되어 있다. 고정부재(54)는 설정부재(50)에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탄성부재(60)는 몸체(10)의 수용공간(12)의 설정부재(50)와 조절부재(40) 사이에 끼워져 있다. 즉, 탄성부재(60)는 고정부재(54)와 조절부재(40)의 고정부(46)에 설치된다. 또한, 탄성부재(60)는 코일스프링이며, 조절부재(40)에 대하여 지지부재(20)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지금부터는,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토크조절 드라이버에 대한 작용을 설명한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먼저 본 발명의 토크조절 드라이버의 비트홀더(34)에 비트를 장착한다. 비트가 비트홀더(34)에 장착되어진 이후에, 사용자는 설정부재(50)를 몸체(10)의 내부로 이동시킨다. 설정부재(50)가 몸체(10)의 내부로 이동됨에 따라 탄성부재(60)인 코일스프링은 압축된다. 이 코일스프링의 압축되어진 정도가 설정부재(50)에 의하여 설정된 토크의 크기이다. 탄성부재(60)인 코일스프링이 압축됨과 동시에 조절부재(40)의 경사면(44)은 축홈(32)에 삽입되어 있는 강구(26)들을 가압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나사 및 볼트 등의 체결 작업을 수행하면 축(30)에 토크가 발생되고, 이 토크는 강구(26)들에 전달된다. 강구(26)들에 전달된 토크는 비트홀더(34)에 연결되어 있는 비트에 전달되어 사용자가 체결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나사 및 볼트 등의 체결이 완료되어 축(30)에 설정된 토크의 크기보다 큰 토크가 발생되면, 강구(26)의 작용에 의하여 더 이상의 토크가 전달되지 않게 된다. 즉, 축(30)에 발생되는 토크가 탄성부재(60)인 코일스프링의 압축력보다 큰 경우에 축홈(32)에 끼워져 있는 강구(26)가 조절부재(40)의 경사면(44)을 가압한다. 가압된 조절부재(40)는 설정부재(50)의 방향으로 탄성부재(60)인 코일스프링을 압축시킨다. 압축된 코일스프링에 의하여 조절부재(40)는 축(30)을 따라 설정부재(50)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축홈(32)에 끼워져 있는 강구(26)는 축홈(32)에서 이탈된다. 축홈(32)에서 이탈되어진 강구(26)에 의하여 몸체(10)는 공회전된다. 즉, 몸체(10)가 공회전되어 설정된 토크의 크기보다 더 큰 토크가 축(30)에 전달되지 못하게 된다. 이와 같은 작동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토크조절 드라이버는 토크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토크조절 드라이버의 일예를 나타내는 부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토크조절 드라이버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토크조절 드라이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토크조절 드라이버의 지지부재와 조절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몸체 20: 지지부재
24: 강구 30: 축
34: 비트홀더 40: 조절부재
50: 설정부재 54: 고정부재
60: 탄성부재

Claims (6)

  1. 토크를 조절할 수 있는 토크조절 드라이버에 있어서,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수용공간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며 외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축홈이 형성되어 있는 축과;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의 수용공간에 고정되 상기 축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며 상기 축의 연장방향과 직교하도록 형성된 지지면에 상기 축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지지홈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부재와;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의 수용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축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그 축에 끼워지며, 상기 지지부재의 지지면과 마주하는 외면은 상기 축에 근접할수록 상기 지지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으로 된 조절부재와;
    상기 몸체의 수용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조절부재에 대하여 상기 지지부재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지지홈과 축홈에 각각 끼워지고 상기 경사면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강구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조절 드라이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 결합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설정부재를 더 포 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조절 드라이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조절 드라이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재는 상기 탄성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조절부재와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몸체에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조절 드라이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강구는 3개를 구비하고, 축홈은 6개로 형성하며, 상기 축홈은 상기 축의 중심을 기준으로 60°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조절 드라이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홈의 개수도 3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조절 드라이버.
KR1020080029556A 2008-03-31 2008-03-31 토크조절 드라이버 KR1009689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9556A KR100968946B1 (ko) 2008-03-31 2008-03-31 토크조절 드라이버
PCT/KR2008/006352 WO2009123384A1 (en) 2008-03-31 2008-10-28 Driver for torque adjust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9556A KR100968946B1 (ko) 2008-03-31 2008-03-31 토크조절 드라이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4233A true KR20090104233A (ko) 2009-10-06
KR100968946B1 KR100968946B1 (ko) 2010-07-14

Family

ID=41135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9556A KR100968946B1 (ko) 2008-03-31 2008-03-31 토크조절 드라이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68946B1 (ko)
WO (1) WO20091233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10817A (zh) * 2016-04-27 2016-06-29 厦门南旗佰特精密工具制造有限公司 精密电动螺丝刀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27192A1 (de) 1995-07-26 1997-01-30 Hilti Ag Schraubgerät
JP2000190246A (ja) * 1998-12-21 2000-07-11 Nakamura Seisakusho:Kk トルクドライバー
JP3889947B2 (ja) 2001-10-11 2007-03-07 技研工業株式会社 ナットランナ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8946B1 (ko) 2010-07-14
WO2009123384A1 (en) 2009-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16031B2 (en) Impact tool
US20070034398A1 (en) Impact tool
JP2006064162A (ja) 電動アクチュエータ
GB2476376A (en) Power drill
US9873191B2 (en) Power drill
US10119584B2 (en) Disk brake device with disk pad guiding structure
CN111195815B (zh) 同步紧固装置
US20070179328A1 (en) Impact tool
KR100968946B1 (ko) 토크조절 드라이버
KR20030041582A (ko) 백래쉬없는 선형 스크류장치
US6435285B1 (en) Structure for enhancing torque output of electric drill
US7520690B2 (en) Part positioner and part pressing member
US10535376B1 (en) Hard disk assembly device
CN113483011B (zh) 汽车前端导向架用特种紧固件
JP2004261906A (ja) 電動工具のハンドル構造
CN107956863B (zh) 双输出传动机构的齿隙调整装置
US11648650B1 (en) Torque structure
JP3156358U (ja) トルクを調節可能なラチェットレンチ
KR100378464B1 (ko) 볼 조인트
TWI457214B (zh) 可選擇性安裝工具件之限位套筒結構
KR200492637Y1 (ko) 모듈형 방진 유닛을 갖는 볼 스크류 너트
CN113492308B (zh) 一种压紧螺母的装配系统及其拧紧定位工装
US11235448B1 (en) Overload protected impact driving device
CN113464820B (zh) 电源、接收卡双备份的led显示器
CN114076161B (zh) 摩擦力矩调节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