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3742A - 유량조절밸브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유량조절밸브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공조장치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103742A KR20090103742A KR1020090023820A KR20090023820A KR20090103742A KR 20090103742 A KR20090103742 A KR 20090103742A KR 1020090023820 A KR1020090023820 A KR 1020090023820A KR 20090023820 A KR20090023820 A KR 20090023820A KR 20090103742 A KR20090103742 A KR 2009010374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ow
- port
- heat exchange
- wall
- control valv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485—Valves for air-conditioning devices, e.g. thermostatic valv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7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temperature regulating devices
- B60H1/00885—Controlling the flow of heating or cooling liquid, e.g. valves or pum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15—Temperature regulation
- B60H2001/00171—Valves on heaters for modulated liquid flow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2001/3471—Details of actuators
- B60H2001/3478—Details of actuators acting on additional damper do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량조절밸브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온도설정에 따라 상기 열교환매체필요부로 유입되는 열교환매체의 양 및 바이패스되는 양을 조절할 수 있는 유량조절밸브 및 이를 이용하여 냉ㆍ난방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유량조절밸브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량조절밸브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온도설정에 따라 상기 열교환매체필요부로 유입되는 열교환매체의 양 및 바이패스되는 양을 조절할 수 있는 유량조절밸브 및 이를 이용하여 냉ㆍ난방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유량조절밸브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자동차 산업에 있어서 세계적으로 환경과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연비 개선을 위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다양한 소비자의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경량화ㆍ소형화 및 고기능화를 위한 연구개발이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차량용 공조시스템에 있어서, 대개 엔진룸 내부에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기 어려운 실정이기 때문에 상기 차량용 공조장치는 소형이면서도 온도 및 풍량 조절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공조장치는 하절기나 동절기에 자동차 실내를 적정온도로 유지하거나 또는 우천 시나 동절기에 자동차의 유리창에 끼게 되는 성에 등을 제거하여 운전자의 전ㆍ후방 시야가 확보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 송풍부에 의해 자동차 실내로 유입된 차량 외부의 공기를 냉각수가 흐르는 증발기 또는 히터코어에 통과시켜 자동차 실내의 각 부위와 연통된 벤트(Vent)를 통하여 냉기 또는 온기 상태로 차량 실내의 여러 방향으로 분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일예를 나타낸 단면도로 상기 도 1 을 참조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는 각각의 도어(11d, 12d, 13d)에 의하여 개도가 조절되는 벤트(11, 12, 13)가 설치된 공조케이스(10)와; 상기 공조케이스(10)의 공기유입구와 연결되어 외기를 송풍하는 송풍부(14); 상기 공조케이스(10) 내부에 구비되는 증발기(E) 및 히터코어(H); 상기 공조케이스(10)의 냉기통로(P1)와 온기통로(P2)의 개도를 조절하는 템프도어(15)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는 냉방 사이클이 가동될 경우, 상기 템프도어(15)는 상기 냉기통로(P1)를 개방함과 동시에 상기 온기통로(P2)를 폐쇄한다. 따라서 상기 송풍부(14)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는 상기 증발기(E)를 통과하면서 증발기(E)의 내부를 유동하는 냉각수와 열교환되어 냉기로 바뀐 뒤, 상기 냉기통로(P1) 쪽으로 유동되고 개방된 벤트(11, 12, 13)들을 통하여 자동차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자동차 실내의 냉방이 수행된다.
또한, 난방 사이클이 가동될 경우, 상기 템프도어(15)는 상기 냉기통로(P1)를 폐쇄함과 동시에 상기 온기통로(P2)를 개방함에 따라 송풍되는 공기는 온기통로(P2)를 통하여 상기 히터코어(H)를 거치면서 상기 히터코어(H)의 내부를 유동하는 냉각수와 열교환되어 온기로 바뀌게 되고 개방된 벤트(11, 12, 13)들을 통하여 자동차 실내로 토출됨으로서 자동차 실내의 난방이 수행된다.
도 2는 종래의 히터코어(H)를 나타낸 사시도로 종래의 히터코어(H)의 대표적인 2가지의 형태를 도시하였으며, 상기 도 2 (a)는 U-turn type의 히터코어를 도시하였고 상기 도 2 (b)는 One-way type의 히터코어를 도시하였다. 상기 도 2를 참조로 종래의 히터코어(H)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종래의 히터코어(H)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나란하게 구비되는 제1헤더탱크(21) 및 제2헤더탱크(22), 상기 제1헤더탱크(21) 또는 제2헤더탱크(22)에 연결되고, 열교환매체가 유입되는 입구파이프(25) 및 열교환매체가 배출되는 출구파이프(26), 상기 제1헤더탱크(21) 및 제2헤더탱크(22)에 양 단이 고정되어 열교환매체 유로를 형성하는 다수개의 튜브(23), 및 상기 튜브(23) 사이에 개재되는 핀(24);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도 1 및 도 2에서 본 발명의 히터코어 및 상기 히터코어가 장착된 차량용 공조장치와 같은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도시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는 상기 증발기와 히터코어가 특정위치에 고정되고 냉ㆍ난방시 상기 냉기통로와 온기통로의 개도를 조절하는 템프도어가 구비되므로 상기 템프도어의 이동반경만큼 엔진룸 내부의 공간이 소요되어야 하고 구조가 복잡하여 공기흐름이 방해되므로 적절한 풍량을 기대하기 어려우며 소음이 큰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히터코어는 히터코어의 내부로 유입되는 냉각수의 양을 조절할 수 없으므로 냉방 사이클이 가동되는 경우에도 상기 히터코어로 고온의 냉각수가 계속 유입됨에 따라 상기 템프도어가 상기 온기통로를 폐쇄하여 온기통로로 공기가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더라도 상기 고온의 냉각수에 의해 공기의 온도가 상승되어 효과적인 냉방을 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판형 밸브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온도 설정에 따라 열교환매체필요부로 유입되는 열교환매체의 양을 정확하게 조절가능하고, 열교환매체가 누설될 위험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유량조절밸브를 제공하며, 상기 유량조절밸브를 이용하여 자동차 실내의 온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템프도어가 구비될 필요가 없으므로 차량 공간을 더욱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유량조절밸브와 보조도어가 연동가능하여 공조장치의 냉ㆍ난방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유량조절밸브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유량조절밸브(300)는 외주면에 제1포트(321) 내지 제4포트(324)가 형성되고, 상기 제1포트(321) 내지 제4포트(324)와 각각 연결되어 열교환매체가 유동가능한 유동부(311, 312, 313, 314)가 4개의 공간으로 구획되도록 복수의 구획벽(301, 302, 303, 304)이 형성되는 본체(310);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연장 성형된 한 쌍의 도어부재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본체(310)의 유동부(301, 302, 303, 304) 영역 중 일부 영역에서 회동되어 열교환매체의 유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판형 밸브(330);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310)는 상기 제1포트(321)가 열교환매체공급부로부터 열교환매체가 유입되도록 상기 열교환매체공급부의 제1입구파이프(211)와 연결되고, 상기 제2포트(322)가 열교환매체필요부(200)로 열교환매체가 이동되도록 상기 열교환매체필요부(200)의 제2입구파이프(212)와 연결되며, 상기 제3포트(323)가 상기 열교환매체필요부(200)로부터 배출된 열교환매체가 유입되도록 상기 열교환매체필요부(200)의 제1출구파이프(213)와 연결되며, 상기 제4포트(324)가 열교환매체가 배출되도록 제2출구파이프(214)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밸브(330)는 상기 제1유동부(311)와 제3유동부(313) 공간을 회동하여 상기 제1입구파이프(211)를 통해 본체(310) 내부로 유입된 열교환매체가 상기 제2입구파이프(212)를 통해 열교환매체필요부(200)로 유입되는 양 및 상기 제2출구파이프(214)를 통해 바이패스되는 양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본체(310)는 상기 제1포트(321)와 상기 제2포트(322) 사이를 구분하는 제1벽(301), 상기 제2포트(322)와 상기 제3포트(323) 사이를 구분하는 제2벽(302), 상기 제3포트(323)와 상기 제4포트(324)를 구분하는 제3벽(303), 상기 제4포트(324)와 상기 제1포트(321)를 구분하는 제4벽(304)이 형성되고, 상기 제1벽(301)과 상기 제2벽(302)에 의해 제2유동부(312), 상기 제2벽(302)과 상기 제3벽(303)에 의해 제3유동부(313), 상기 제3벽(303)과 상기 제4벽(304)에 의해 제4유동부(314), 및 상기 제4벽(304)과 상기 제1벽(301)에 의해 제1유동부(31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1벽(301)은 상기 제1유동부(311)와 제2유동부(312)가 연통되는 제1연통부(316)가 형성되고, 상기 제3벽(303)은 상기 제3유동부(313)와 제4유동부(314)가 연통되는 제2연통부(317)가 형성되며, 상기 제4벽(304)은 상기 제4유동부(314)와 제1유동부(311)가 연통되는 제3연통부(318)가 형성되고, 상기 제2벽(302)은 상기 제2유동부(312)와 제3유동부(313)가 서로 연통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본체(310)의 중심에는 상기 판형 밸브(330)의 회전축을 지지하며, 상기 회전축과 맞닿아 상기 유동부(311, 312, 313, 314) 간의 열교환매체가 유동되지 않도록 하는 중심축지지부(326)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310)를 상측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제1포트(321) 내면의 상기 중심축지지부(326)에 인접한 측의 연장선(L1)은 상기 제1유동부(311)의 외주보다 내측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3포트(323) 내면의 상기 중심축지지부(326)에 인접한 측의 연장선(L2)은 상기 제3유동부(312)의 외주보다 내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본체(310)는 하부 금형(371), 상기 제1유동부(311) 및 제3유동부(313)를 형성하는 상부 금형(372), 상기 제1포트(321)를 형성하며 상기 제1유동부(311)를 형성하는 상부 금형(372)의 일측과 접촉되어 상기 제1포트(321)와 제1유동부(311)가 연속적인 유로를 형성하도록 하는 제1코어(373), 상기 제2포트(322) 및 제2유동부(312)를 형성하는 제2코어(374), 상기 제3포트(323)를 형성하며 상기 제3유동부(313)를 형성하는 상부 금형(372)의 일측과 접촉되어 상기 제3포트(323)와 제3유동부(313)가 연속적인 유로를 형성하도록 하는 제3코어(375), 및 상기 제4포트(324) 및 제4유동부(314)를 형성하는 제4코어(376)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1포트(321)와 제4포트(324)는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포트(322)와 제3포트(323)도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본체(310)는 상기 제4유동부(314)에 상기 제1유동부(311) 또는 제3유동부(313)로부터 이동되어 상기 제2출구파이프(214)로 배출되는 열교환매체가 이웃하는 유동부(311, 313)로 역류됨을 방지하도록 돌출부(315)가 상기 중심축지지부(326)로부터 상기 제4유동부(314) 측으로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벽(301) 내지 제4벽(304)은 상기 중심축지지부(326)로부터 반경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본체(310)의 상면은 상기 판형 밸브(330)가 상측으로부터 상기 제1유동부(311) 및 제3유동부(313)의 공간에 삽입되도록 개방되고, 상기 판형 밸브(330)가 회동되지 않는 제2유동부(312)와 제4유동부(314)의 상면은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유량조절밸브(300)는 상기 본체(310) 상면의 개방된 영역을 밀폐하고, 상기 판형 밸브(330)를 고정하는 덮개(34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유량조절밸브(300)는 상기 본체(310)와 덮개(340) 사이에 내부 열교환매체의 기밀성을 높이는 제1실링부재(35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포트(321, 322, 323, 324)의 단부에는 각각의 포트(321, 322, 323, 324)에 연결되는 상기 제1입구파이프(211), 제2입구파이프(212), 제1출구파이프(213), 및 제2출구파이프(214)의 외면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비드(215)를 고정하는 고정부(325)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판형 밸브(330)는 상기 제1벽(301), 제2벽(302), 제3벽(303), 및 제4벽(304)과 접촉되는 부분에 제2실링부재(331)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유량조절밸브(300)는 상기 판형 밸브(330)의 상부에 상기 판형 밸브(330)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링형부재(36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유량조절밸브(300)는 상기 제1입구파이프(211), 제2입구파이프(212), 제1출구파이프(213), 및 제2출구파이프(214)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본체(310) 하면에 밀착되는 평면부(381), 및 상기 평면부(381)에 수직 방향으로 상기 파이프(211, 212, 213, 214)의 외면에 각각 밀착되어 상기 파이프(211, 212, 213, 214)의 비드(215)가 걸림 고정되도록 돌출되는 지지부(382)가 형성된 케이스(38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382)는 별도의 고정수단(385)에 의해 상기 판형 밸브(330)를 구동하는 구동수단(400)과 체결되는 체결홀(38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케이스(380)는 상기 지지부(382)에 상기 제1입구파이프(211), 제2입구파이프(212), 제1출구파이프(213), 또는 제2출구파이프(214)가 안착되는 "U"자 형상의 안착부(38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유량조절밸브(300)를 이용한 차량용 공조장치(1000)는 각각의 도어에 의해 개도가 조절되는 벤트(Vent)가 형성된 공조케이스(100); 상기 공조케이스(100) 내부에 장착되는 증발기(E); 상기 공조케이스(100) 내부에 장착되고 상술한 바와 같은 유량조절밸브(300)가 구비되는 히터코어(H); 및 냉ㆍ난방설정에 따라 개도를 조절하여 상기 히터코어(H)를 바이패스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보조도어(150); 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유량조절밸브(300)의 구동수단(400)은 상기 보조도어(150)와 연결되어 상기 보조도어(150)를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유량조절밸브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공조장치는 판형 밸브를 이용하여 고온의 열교환매체에 따른 변형의 위험을 줄여 내구성을 높일 수 있으며, 밀폐력을 높여 효과적으로 열교환매체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량조절밸브를 이용한 차량용 공조장치는 열교환매체 공급량을 용이하게 조절가능하여 자동차 실내의 온도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별도의 템프도어가 구비될 필요가 없으므로 차량 공간을 더욱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냉ㆍ난방효율을 높임으로써 자동차 내부를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일반적인 히터코어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량조절밸브가 열교환매체필요부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량조절밸브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상기 도 4에 도시한 유량조절밸브의 분해사시도.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유량조절밸브 본체를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유량조절밸브 본체의 상측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량조절밸브 본체의 단면도.
도 8은 상기 본체의 제작 공정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유량조절밸브가 열교환매체필요부에 장착된 다른 모습을 나타낸 다른 사시도.
도 10a는 본 발명에 유량조절밸브의 케이스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b는 상기 도 10a에 도시한 유량조절밸브의 케이스 분해 사시도.
도 11a 및 도 11b는 각각 최대 냉방시의 유량조절밸브와 공조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12a 및 도 12b는 각각 최대 난방시의 유량조절밸브와 공조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량조절밸브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0 : 차량용 공조장치
100 : 공조케이스
110, 120, 130 : 벤트 110d, 120d, 130d : 벤트도어
140 : 송풍부 150 : 보조도어
E : 증발기
H : 히터코어
200 : 열교환매체필요부
210 : 제1헤더탱크 220 : 제2헤더탱크
211 : 제1입구파이프 212 : 제2입구파이프
213 : 제1출구파이프 214 : 제2출구파이프
215 : 비드
230 : 튜브 240 : 핀
300 : 유량조절밸브
301 : 제1벽 302 : 제2벽
303 : 제3벽 304 : 제4벽
310 : 본체
311 : 제1유동부 312 : 제2유동부
313 : 제3유동부 314 : 제4유동부
315 : 돌출부 316 : 제1연통부
317 : 제2연통부 318 : 제3연통부
321 : 제1포트 322 : 제2포트
323 : 제3포트 324 : 제4포트
325 : 고정부 326 : 중심축지지부
330 : 판형 밸브 331 : 제2실링부재
340 : 덮개
350 : 제1실링부재
360 : 링형부재
371 : 하부 금형 372 : 상부 금형
373 : 제1코어 374 : 제2코어
375 : 제3코어 376 : 제4코어
380 : 케이스
381 : 평면부 382 : 지지부
383 : 안착부 384 : 체결홀
385 : 고정수단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의 유량조절밸브(200)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공조장치(1000)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량조절밸브(300)가 열교환매체필요부(200)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량조절밸브(300)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상기 도 4에 도시한 유량조절밸브(300)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유량조절밸브(300) 본체(310)를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며,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유량조절밸브(300) 본체(310)의 상측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량조절밸브(300) 본체(310)의 단면도이며, 도 8은 상기 본체(310)의 제작 공정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유량조절밸브(300)는 열교환매체공급부(미도시)로부터 열교환매체를 공급받아 열교환매체필요부(200)로 공급되는 열교환매체의 양을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도 3은 열교환매체필요부(200)가 히터코어(H)인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상기 열교환매체필요부(200)는 고온의 열교환매체를 효과적으로 제어 및 공급해야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내부의 라디에이터 등이 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유량조절밸브(300)는 이 외에도 특정 매체의 공급량을 조절해야하는 다양한 구성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량조절밸브(300)의 기본 몸체를 구성하는 본체(310)를 먼저 설명한다.
상기 열교환매체공급부로부터 상기 유량조절밸브(300)로 열교환매체를 전달하는 파이프를 제1입구파이프(211)로, 상기 유량조절밸브(300)로부터 상기 열교환매체필요부(200)로 열전달매체를 전달하는 파이프를 제2입구파이프(212)로, 상기 열교환매체필요부(200)로부터 배출된 열교환매체를 상기 유량조절밸브(300)로 전달하는 파이프를 제1출구파이프(213)로, 상기 유량조절밸브(300)로부터 열교환매체가 배출되는 파이프를 제2출구파이프(214)로 정의한다.
상기 본체(220)는 열교환매체공급부로부터 열교환매체가 유입되도록 상기 열교환매체공급부의 제1입구파이프(211)와 연결되는 제1포트(321), 열교환매체필요부(200)로 열교환매체가 이동되도록 상기 열교환매체필요부(200)의 제2입구파이프(212)와 연결되는 제2포트(322), 상기 열교환매체필요부(200)로부터 배출된 열교환매체가 유입되도록 상기 열교환매체필요부(200)의 제1출구파이프(213)와 연결되는 제3포트(323), 및 열교환매체가 배출되도록 제2출구파이프(214)와 연결되는 제4포트(324)가 형성된다.
즉, 상기 제1포트(321) 내지 제4포트(324)는 상기 열교환매체공급부의 제1입구파이프(211), 제2출구파이프(214), 및 상기 열교환매체필요부(200)의 제2입구파이프(212), 제1출구파이프(213)와 각각 연결된다.
또한, 상기 본체(220)는 상기 제1포트(321)와 상기 제2포트(322) 사이를 구분하며 상기 제1포트(321)와 상기 제2포트(322)가 연통되는 제1연통부(316)가 형성된 제1벽(301), 상기 제2포트(322)와 상기 제3포트(323) 사이를 구분하며, 상기 제2포트(322)와 상기 제3포트(323)가 연통되지 않도록 형성된 제2벽(302), 상기 제3포트(323)와 상기 제4포트(324)를 구분하며, 상기 제3포트(323)와 상기 제4포트(324)가 연통되는 제2연통부(317)가 형성된 제3벽(303), 상기 제4포트(324)와 상기 제1포트(321)를 구분하며 상기 제4포트(324)와 상기 제1포트(321)가 연통되는 제3연통부(318)가 형성된 제4벽(304)이 형성되어 상기 제1벽(301)과 상기 제2벽(302)에 의해 제2유동부(312), 상기 제2벽(302)과 상기 제3벽(303)에 의해 제3유동부(313), 상기 제3벽(303)과 상기 제4벽(304)에 의해 제4유동부(314), 및 상기 제4벽(304)과 상기 제1벽(301)에 의해 제1유동부(311)가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본체(220)의 중심을 기준으로 열교환매체 유동가능한 상기 제1유동부(311), 제2유동부(312), 제3유동부(313), 및 제4유동부(314)가 상기 제1벽(301) 내지 제4벽(304)에 의해 구획되며, 상기 제1벽(301) 내지 제4벽(304)은 상기 제2유동부(312)와 제3유동부(313) 사이를 구획하는 상기 제2벽(302)을 제외하고는 서로 연통된다.
이 때, 상기 제1유동부(311)와 제2유동부(312)가 연통되도록 상기 제1벽(301)이 중공되는 부분을 제1연통부(316), 제3유동부(313)와 제4유동부(314)가 연통되도록 상기 제3벽(303)이 중공되는 부분을 제2연통부(317), 제4유동부(314)와 제1유동부(311)가 연통되도록 상기 제4벽(304)이 중공되는 부분을 제3연통부(318)라 정의한다.
또한, 상기 제1벽(301), 제3벽(303), 및 제4벽(304)은 각각에 형성된 연통부(316, 317, 318)가 판형 밸브(330)와 접촉되어 폐쇄될 수 있는 범위로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본체(310)의 중심에는 상기 판형 밸브(330)의 회전축을 지지하며, 상기 회전축과 맞닿아 상기 유동부(311, 312, 313, 314) 간의 열교환매체가 유동되지 않도록 하는 중심축지지부(326)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310)는 각각의 파이프(211, 212, 213, 214)와 연결되는 포트(321, 322, 323, 324), 유동부(311, 312, 313, 314)를 구획하는 벽(301, 312, 303, 304), 및 상기 벽(301, 312, 303, 304)에 형성되는 연통부(317, 318, 319)의 구성을 하부 금형(371), 상부 금형(372), 및 각각의 코어(373, 374, 375, 376)를 이용하여 일체로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본체(310)는 하부 금형(371), 상기 제1유동부(311) 및 제3유동부(313)를 형성하는 상부 금형(372), 상기 제1포트(321)를 형성하며 상기 제1유동부(311)를 형성하는 상부 금형(372)의 일측과 접촉되어 상기 제1포트(321)와 제1유동부(311)가 연속적인 유로를 형성하도록 하는 제1코어(373), 상기 제2포트(322) 및 제2유동부(312)를 형성하는 제2코어(374), 상기 제3포트(323)를 형성하며 상기 제3유동부(313)를 형성하는 상부 금형(372)의 일측과 접촉되어 상기 제3포트(323)와 제3유동부(313)가 연속적인 유로를 형성하도록 하는 제3코어(375), 및 상기 제4포트(324) 및 제4유동부(314)를 형성하는 제4코어(376)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포트(321)를 형성하는 제1코어(373)와 상기 제3포트(323)를 형성하는 제3코어(373)는 각각 상기 상부 금형(372)의 제1유동부(321) 및 제2유동부(322)를 형성하는 부분과 맞닿아, 상기 본체(310)를 상측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제1포트(321) 내면의 상기 중심축지지부(326)에 인접한 측의 연장선(L1, 상기 제1코어(373)가 삽입되어 상기 제1유동부(311)와 제1포트(321)가 연통되도록 하는 부분)은 상기 제1유동부(311)의 외주보다 내측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3포트(323) 내면의 상기 중심축지지부(326)에 인접한 측의 연장선(L2, 상기 제3코어(375)가 상기 제3유동부(313)와 제3포트(323)가 연통되도록 하는 부분)은 상기 제3유동부(312)의 외주보다 내측으로 형성되도록 한다.(도 7 참조)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상기 상부 금형(372), 하부 금형(371), 및 코어(373, 374, 375, 376)만을 이용하여, 본체(310)의 외부 구성 및 열교환매체가 유동되는 포트(321, 322, 323, 324), 유동부(311, 312, 313, 314), 및 각각의 포트(321, 322, 323, 324)와 유동부(311, 312, 313, 314)를 연결하는 부분을 형성할 수 있어 제조가 용이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상부 금형(372)의 제1유동부(311)를 형성하는 부분은 상기 제1코어(373), 제2코어(374), 및 제4코어(376)와 맞닿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부 금형(372)의 제3유동부(313)를 형성하는 부분은 상기 제3코어(375), 및 제4코어(376)와 맞닿도록 형성되어 열교환매체가 포트(321, 322, 323, 324)와 유동부(311, 312, 313, 314) 공간을 이동되도록 하고, 상기 제2코어(374)는 상기 제2포트(322), 제2유동부(312), 및 제1연통부(316)(제1벽(301)의 상기 제1유동부(311)와 제2유동부(312)를 연통하는 부분)를 형성하도록 하며, 상기 제4코어(376)는 상기 제4포트(324), 제4유동부(314), 제2연통부(317)(제3벽(303)의 상기 제3유동부(313)와 제4유동부(314)를 연통하는 부분), 및 제3연통부(318)(제4벽(304)의 상기 제4유동부(314)와 제1유동부(311)를 연통하는 부분)를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열교환매체가 유동되도록 한다.
이 때, 상기 상부 금형(372)의 제3유동부(313)를 형성하는 부분은 상기 제2코어(374)와 만나지 않도록 형성되어 제2벽(302)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2유동부(312)와 제3유동부(313)는 연통되지 않도록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제3유동부(313)는 상기 열교환매체필요부(200) 내부를 유동한 열교환매체가 유입된 후 상기 제4유동부(314)로 이동되어 배출되는 역할을 하는 공간으로 상기 제2유동부(312)와 제3유동부(313)가 연통되는 경우에, 상기 열교환매체필요부(200) 내부를 유동한 열교환매체가 다시 제2유동부(312) 및 열교환매체필요부(200)로 역류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유량조절밸브(300)는 상기 제2유동부(312)와 제3유동부(313) 사이를 차단하여 배출되는 열교환매체의 역류가능성을 완벽히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유량조절밸브(300) 본체(310)는 상기 열교환매체공급부의 제1입구파이프(211) 및 제2출구파이프(214)를 고정하는 제1포트(321) 및 제4포트(324)가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열교환매체필요부(200)의 제2입구파이프(212) 및 제1출구파이프(213)를 고정하는 제2포트(323) 및 제3포트(323)도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장착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4코어(376)는 상기 본체(310)의 제4유동부(314)에 상기 제1유동부(311) 또는 제3유동부(313)로부터 이동되어 상기 제2출구파이프(214)로 배출되는 열교환매체가 이웃하는 유동부(311, 313)로 역류됨을 방지하도록 돌출부(315)가 상기 중심축지지부(326)로부터 상기 제4유동부(314) 측으로 돌출형성되도록 본체(310) 내측으로 삽입되는 단부에 상기 돌출부(315)에 대응되는 오목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315)는 상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유동부(311) 또는 제3유동부(313)로부터 제1유동부(314)로 이동되는 열교환매체의 흐름을 원활히 하기 위해 양측 면에 소정 각도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포트(321, 322, 323, 324)의 단부에는 각각의 포트(321, 322, 323, 324)에 연결되는 상기 제1입구파이프(211), 제2입구파이프(212), 제1출구파이프(213), 및 제2출구파이프(214)의 외면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비드(215)를 고정하는 고정부(325)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포트(321, 322, 323, 324)와 각각의 파이프(211, 212, 213, 214)의 체결이 더욱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고정부(325)는 상기 본체(31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의 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판형 밸브(330)는 상기 본체(310)의 중심축지지부(326)를 기준으로 상기 제1유동부(311)와 제3유동부(313) 공간을 회동하여 상기 제1입구파이프(211), 및 제1포트(321)를 통해 상기 제1유동부(311)로 유입된 열교환매체가 상기 제2유동부(312)를 지나 상기 제2포트(322) 및 제2입구파이프(212)를 통해 상기 열교환매체필요부(200)로 유입되는 양 및 상기 제4유동부(314)를 지나 상기 제4포트(324) 및 상기 제2출구파이프(214)를 통해 바이패스되는 양을 조절한다.
(판형 밸브(330)의 위치에 따른 열교환매체의 흐름은 아래 도 11a, 12a, 및 13a 도면을 참조로 다시 설명한다.)
상기 판형 밸브(330)는 구동수단(400)과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의 온도 설정에 따라 열교환매체필요부(200)로 유입되는 열교환매체의 양과 상기 열교환매체필요부(200)를 지나지 않고 바이패스되는 열교환매체의 양을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판형 밸브(330)는 최대 난방 또는 최대 냉방시에 상기 제1유동부(311), 제2유동부(312), 제3유동부(313), 또는 제4유동부(314)의 공간을 구획하는 상기 제1벽(301)내지 제4벽(304) 부분과 접촉되어 제1연통부(316), 제2연통부(317), 또는 제3연통부(318)를 차단함으로써 열교환매체의 흐름을 조절하게 되므로, 상기 제1벽(301) 내지 제4벽(304)은 상기 판형 밸브(330)가 상기 제1벽(301) 내지 제4벽(304)에 맞닿도록 상기 중심축지지부(326)로부터 반경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판형 밸브(330)는 상기 제1벽(301) 내지 제4벽(304)과 접촉되는 영역에는 판형 밸브(330)가 더욱 압착되어 열교환매체의 기밀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제2실링부재(331)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판형 밸브(330)의 상부에는 상기 판형 밸브(330)의 회전이 더욱 용이하도록 링형부재(36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링형부재(360)는 테프론과 같은 소재가 이용될 수 있으며, 상기 판형 밸브(33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판형 밸브(330)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는 수단이라면 그 재질에 제한됨이 없이 이용될 수 있다.
종래의 원형 볼밸브는 부피가 크고, 고온의 열교환매체에 의해 변형이 유발될 경우에 밸브를 작동하기 어려워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데 반해, 본 발명의 유량조절밸브(300)는 상기 판형 밸브(330)가 작은 부피를 가지고 있어 열교환매체가 보다 원활히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보다 많은 양의 열교환매체가 용이하게 유통되도록 하고, 고온의 열교환매체에 의한 변형 가능성을 낮출 수 있으며, 변형이 일어난다 하더라도 밸브(33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력이 급격히 상승되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열교환매체의 공급량을 용이하게 제어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량조절밸브(300)는 상기 판형 밸브(330)가 상측으로부터 상기 제1유동부(311) 및 제3유동부(313)의 공간에 삽입되도록 상기 본체(310)의 상면이 개방되어 상기 판형 밸브(330)의 조립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판형 밸브(330)가 회동되지 않는 부분인 상기 제2유동부(312)와 제4유동부(314)의 상면은 폐쇄되도록 함으로써 열교환매체가 누설될 가능성을 최소화 한다.
이 때, 상기 본체(310) 상면의 형상은 상부 금형(372)의 형상을 조절하여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덮개(340)는 상기 본체(310) 상면의 개방된 영역을 밀폐하고, 상기 판형 밸브(330)를 고정하는 구성으로, 상기 도 5에 도시한 도면은 상기 본체(310)의 상측과 덮개(340)가 별도의 체결부재에 의해 연결된 예를 도시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유량조절밸브(300)는 상기 본체(310)와 덮개(340) 사이에 제1실링부재(350)가 더 구비되어 상기 본체(310) 내부를 유동하는 열교환매체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유량조절밸브(300)가 열교환매체필요부(200)에 장착된 다른 모습을 나타낸 다른 사시도이고, 도 10a는 본 발명에 유량조절밸브(300)의 케이스(380)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0b는 상기 도 10a에 도시한 유량조절밸브(300)의 케이스(380)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 도 9 내지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량조절밸브(300)는 상기 제1입구파이프(211), 제2입구파이프(212), 제1출구파이프(213), 및 제2출구파이프(214)의 체결시, 상기 파이프들(211, 212, 213, 214)의 이탈을 방지하는 케이스(3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300)는 상기 유량조절밸브(300) 본체(310)의 하면에 밀착되는 평면부(381)와, 상기 비드(215)가 걸림고정되도록 상기 평면부(381)에 수직으로 돌출형성되는 지지부(382)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본 발명의 유량조절밸브(300)는 상기 케이스(300)가 구비됨에 따라 1차적으로 상기 각각의 포트(321, 322, 323, 324) 단부에 형성된 고정부(325)를 통해 상기 파이프들(211, 212, 213, 214)을 고정하고, 상기 케이스(300)의 지지부(382)에 의해 2차적으로 고정하여 상기 파이프들(211, 212, 213, 214)이 이탈됨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 케이스(380)는 상기 지지부(382)에 상기 제1입구파이프(211), 제2입구파이프(212), 제1출구파이프(213), 또는 제2출구파이프(214)의 외면과 접촉되는 부분(상기 파이프(211, 212, 213, 214) 길이방향에 수직인 면과 접촉되는 부분)에는 "U"자 형상의 안착부(383)가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211, 212, 213, 214)가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상기 케이스(380)가 이탈될 가능성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지지부(382)는 별도의 고정수단(385)에 의해 상기 구동수단(400)과 체결되는 체결홀(38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382)와 고정수단(385) 사이에 구동수단(400)이 구비되어 상기 체결홀(384)과 고정수단(385)의 체결에 의해 상기 케이스(380) 및 고정수단(385)을 고정할 수 있다.
도면에서, 구동수단(400)은 액츄에이터로서, 본 발명의 유량조절밸브(300)에 연결되는 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체결부(384)에 고정되어 상기 판형 밸브(330)의 회동을 조절하는 다양한 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유량조절밸브(300)는 상기 구동수단(400)이 유량조절밸브(300)의 상면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경우에, 상기 케이스(380)를 덮는 별도의 덮개가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380)를 고정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그 외 상기 케이스(380)를 상기 유량조절밸브(300)에 밀착고정되도록 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는 각각 최대 냉방시의 유량조절밸브(300)와 공조장치(100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a 및 도 12b는 각각 최대 난방시의 유량조절밸브(300)와 공조장치(1000)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량조절밸브(300)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11b 및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공조장치(1000)는 각각의 도어에 의해 개도가 조절되는 벤트(Vent)가 형성된 공조케이스(100); 상기 공조케이스(100) 내부에 장착되는 증발기(E); 상기 공조케이스(100) 내부에 장착되고 상술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갖는 유량조절밸브(300)가 구비되는 히터코어(H); 및 냉ㆍ난방설정에 따라 개도를 조절하여 상기 히터코어(H)를 바이패스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보조도어(150); 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유량조절밸브(300)의 구동수단(400)은 상기 보조도어(150)와 연결되어 상기 보조도어(150)를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량용 공조장치(1000)는 상기 공조케이스(100)의 공기유입구와 연결되어 외기를 송풍하는 송풍부(140)가 형성되며, 상기 송풍부(140)를 통해 송풍되어 증발기(E)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보조도어(150)에 의해 히터코어(H)를 통과하는 양을 일부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11a 및 도 11b는 최대 냉방시를 나타낸 도면으로, 상기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량조절밸브(300)는 고온의 열교환매체가 히터코어(H)로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판형 밸브(330)가 상기 제1벽(301)의 상기 제1연통부(316) 및 상기 제3벽(303)의 제2연통부(317)를 폐쇄하여 상기 제1포트(321)를 통해 제1유동부(311)로 유입된 열교환매체는 전량 상기 제4벽(403)의 제3연통부(318), 제4유동부(314), 및 제4포트(324)를 지나 상기 제2출구파이프(214)를 통해 배출된다.
이 때, 상기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수단(400)과 연동된 보조도어(150)는 개방되어 상기 증발기(E)를 통과한 공기의 일부가 상기 히터코어(H)를 통과하지 않고 바로 통과되도록 한다.
도 12a 및 도 12b는 최대 난방시를 나타낸 도면으로, 상기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량조절밸브(300)는 고온의 열교환매체가 히터코어(H) 내부로 전량 이동되도록, 상기 판형 밸브(330)는 상기 제4벽(304)의 제3연통부(318)를 밀폐하도록 위치하여 상기 제1입구파이프(211) 및 제1포트(321)를 통해 제1유동부(311)로 유입된 열교환매체는 상기 제1연통부(316), 제2유동부(312), 및 제2포트(322)를 지나 상기 제2입구파이프(212)를 통해 상기 히터코어(H) 내부로 이동된다.
본 발명의 차량용 공조장치(1000)는 상기 제2포트(322)와 제3포트(323) 사이를 구분하는 제2벽(302)이 차단되어 상기 히터코어(H)로 유입되어야 할 열교환매체가 상기 제3유동부(313)로 이동되거나, 상기 히터코어(H)를 유동한 열교환매체가 다시 상기 제2유동부(312), 히터코어(H), 또는 제1유동부(311)로 역류할 가능성을 완벽히 차단할 수 있으며, 판형 밸브(330)를 이용하여 열교환매체의 흐름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히터코어(H) 내부를 유동한 열교환매체는 상기 제1출구파이프(213)를 통해 상기 제3포트(323), 제3유동부(313), 제2연통부(317)를 통과하여 상기 제4유동부(314)로 이동되고, 다시 상기 제4포트(324)를 지나 상기 제2출구파이프(214)를 통해 배출된다.
또한, 상기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도어(150)는 상기 증발기(E)를 통과한 공기가 전량 상기 히터코어(H)를 통과하도록 폐쇄된다.
즉, 본 발명의 차량용 공조장치(1000)는 히터코어(H)에 유량조절밸브(300)가 구비되어 상기 히터코어(H)로 유입되는 열교환매체의 양을 조절하며, 상기 보조도어(150)가 상기 유량조절밸브(300)의 구동수단(400)과 연동되어 사용자의 온도 설정 시에 온도가 더욱 일정하게 변화할 수 있어, 온도 조절이 용이하고 냉ㆍ난방 효율을 더욱 상승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3은 중간 온도 설정 상태의 경우(최대 난방과 최대 냉방의 중간 상태)에 상기 판형 밸브(330)는 상기 제1유동부(311)와 제3유동부(313)의 중간지점에 위치하여 상기 제1입구파이프(211)를 통해 제1유동부(311)로 유입된 열교환매체의 일부는 상기 제1연통부(316), 제2유동부(312), 및 제2포트(322)를 지나 상기 제2입구파이프(212)를 통해 히터코어(H) 내부로 이동되고, 일부는 상기 제3연통부(318), 제4유동부(314), 및 제4포트(324)를 지나 상기 제2입구파이프(212)를 통해 배출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Claims (21)
- 외주면에 제1포트(321) 내지 제4포트(324)가 형성되고, 상기 제1포트(321) 내지 제4포트(324)와 각각 연결되어 열교환매체가 유동가능한 유동부(311, 312, 313, 314)가 4개의 공간으로 구획되도록 복수의 구획벽(301, 302, 303, 304)이 형성되는 본체(310);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연장 성형된 한 쌍의 도어부재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본체(310)의 유동부(301, 302, 303, 304) 영역 중 일부 영역에서 회동되어 열교환매체의 유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판형 밸브(330);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조절밸브.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본체(310)는 상기 제1포트(321)가 열교환매체공급부로부터 열교환매체가 유입되도록 상기 열교환매체공급부의 제1입구파이프(211)와 연결되고, 상기 제2포트(322)가 열교환매체필요부(200)로 열교환매체가 이동되도록 상기 열교환매체필요부(200)의 제2입구파이프(212)와 연결되며, 상기 제3포트(323)가 상기 열교환매체필요부(200)로부터 배출된 열교환매체가 유입되도록 상기 열교환매체필요부(200)의 제1출구파이프(213)와 연결되며, 상기 제4포트(324)가 열교환매체가 배출되도록 제2출구파이프(214)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조절밸브.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밸브(330)는 상기 제1유동부(311)와 제3유동부(313) 공간을 회동하여 상기 제1입구파이프(211)를 통해 본체(310) 내부로 유입된 열교환매체가 상기 제2입구파이프(212)를 통해 열교환매체필요부(200)로 유입되는 양 및 상기 제2출구파이프(214)를 통해 바이패스되는 양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조절밸브.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본체(310)는 상기 제1포트(321)와 상기 제2포트(322) 사이를 구분하는 제1벽(301), 상기 제2포트(322)와 상기 제3포트(323) 사이를 구분하는 제2벽(302), 상기 제3포트(323)와 상기 제4포트(324)를 구분하는 제3벽(303), 상기 제4포트(324)와 상기 제1포트(321)를 구분하는 제4벽(304)이 형성되고,상기 제1벽(301)과 상기 제2벽(302)에 의해 제2유동부(312), 상기 제2벽(302)과 상기 제3벽(303)에 의해 제3유동부(313), 상기 제3벽(303)과 상기 제4벽(304)에 의해 제4유동부(314), 및 상기 제4벽(304)과 상기 제1벽(301)에 의해 제1유동부(31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조절밸브.
- 제 4 항에 있어서,상기 제1벽(301)은 상기 제1유동부(311)와 제2유동부(312)가 연통되는 제1연통부(316)가 형성되고, 상기 제3벽(303)은 상기 제3유동부(313)와 제4유동부(314)가 연통되는 제2연통부(317)가 형성되며, 상기 제4벽(304)은 상기 제4유동부(314)와 제1유동부(311)가 연통되는 제3연통부(318)가 형성되고, 상기 제2벽(302)은 상기 제2유동부(312)와 제3유동부(313)가 서로 연통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조절밸브.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본체(310)의 중심에는 상기 판형 밸브(330)의 회전축을 지지하며, 상기 회전축과 맞닿아 상기 유동부(311, 312, 313, 314) 간의 열교환매체가 유동되지 않도록 하는 중심축지지부(326)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조절밸브.
-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본체(310)를 상측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제1포트(321) 내면의 상기 중심축지지부(326)에 인접한 측의 연장선(L1)은 상기 제1유동부(311)의 외주보다 내측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3포트(323) 내면의 상기 중심축지지부(326)에 인접한 측의 연장선(L2)은 상기 제3유동부(312)의 외주보다 내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조절밸브.
- 제 7 항에 있어서,상기 본체(310)는 하부 금형(371), 상기 제1유동부(311) 및 제3유동부(313)를 형성하는 상부 금형(372), 상기 제1포트(321)를 형성하며 상기 제1유동부(311)를 형성하는 상부 금형(372)의 일측과 접촉되어 상기 제1포트(321)와 제1유동부(311)가 연속적인 유로를 형성하도록 하는 제1코어(373), 상기 제2포트(322) 및 제2유동부(312)를 형성하는 제2코어(374), 상기 제3포트(323)를 형성하며 상기 제3유동부(313)를 형성하는 상부 금형(372)의 일측과 접촉되어 상기 제3포트(323)와 제3유동부(313)가 연속적인 유로를 형성하도록 하는 제3코어(375), 및 상기 제4포트(324) 및 제4유동부(314)를 형성하는 제4코어(376)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조절밸브.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1포트(321)와 제4포트(324)는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포트(322)와 제3포트(323)도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조절밸브.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본체(310)는 상기 제4유동부(314)에 상기 제1유동부(311) 또는 제3유동부(313)로부터 이동되어 상기 제2출구파이프(214)로 배출되는 열교환매체가 이웃하는 유동부(311, 313)로 역류됨을 방지하도록 돌출부(315)가 상기 중심축지지부(326)로부터 상기 제4유동부(314) 측으로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조절밸브.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1벽(301) 내지 제4벽(304)은 상기 중심축지지부(326)로부터 반경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조절밸브.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본체(310)의 상면은 상기 판형 밸브(330)가 상측으로부터 상기 제1유동부(311) 및 제3유동부(313)의 공간에 삽입되도록 개방되고, 상기 판형 밸브(330)가 회동되지 않는 제2유동부(312)와 제4유동부(314)의 상면은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조절밸브.
- 제 12 항에 있어서,상기 유량조절밸브(300)는 상기 본체(310) 상면의 개방된 영역을 밀폐하고, 상기 판형 밸브(330)를 고정하는 덮개(34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조절밸브.
- 제 13 항에 있어서,상기 유량조절밸브(300)는 상기 본체(310)와 덮개(340) 사이에 내부 열교환매체의 기밀성을 높이는 제1실링부재(35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조절밸브.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포트(321, 322, 323, 324)의 단부에는 각각의 포트(321, 322, 323, 324)에 연결되는 상기 제1입구파이프(211), 제2입구파이프(212), 제1출구파이프(213), 및 제2출구파이프(214)의 외면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비드(215)를 고정하는 고정부(325)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조절밸브.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판형 밸브(330)는 상기 제1벽(301), 제2벽(302), 제3벽(303), 및 제4벽(304)과 접촉되는 부분에 제2실링부재(331)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조절밸브.
- 제 16 항에 있어서,상기 유량조절밸브(300)는 상기 판형 밸브(330)의 상부에 상기 판형 밸브(330)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링형부재(36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조절밸브.
- 제 15 항에 있어서,상기 유량조절밸브(300)는 상기 제1입구파이프(211), 제2입구파이프(212), 제1출구파이프(213), 및 제2출구파이프(214)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본체(310) 하면에 밀착되는 평면부(381), 및 상기 평면부(381)에 수직 방향으로 상기 파이프(211, 212, 213, 214)의 외면에 각각 밀착되어 상기 파이프(211, 212, 213, 214)의 비드(215)가 걸림 고정되도록 돌출되는 지지부(382)가 형성된 케이스(38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조절밸브.
- 제 18 항에 있어서,상기 지지부(382)는 별도의 고정수단(385)에 의해 상기 판형 밸브(330)를 구동하는 구동수단(400)과 체결되는 체결홀(38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조절밸브.
- 제 19 항에 있어서,상기 케이스(380)는 상기 지지부(382)에 상기 제1입구파이프(211), 제2입구파이프(212), 제1출구파이프(213), 또는 제2출구파이프(214)가 안착되는 "U"자 형상의 안착부(38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조절밸브.
- 각각의 도어에 의해 개도가 조절되는 벤트(Vent)가 형성된 공조케이스(100); 상기 공조케이스(100) 내부에 장착되는 증발기(E); 상기 공조케이스(100)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 1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유량조절밸브(300)가 구비되는 히터코어(H); 및 냉ㆍ난방설정에 따라 개도를 조절하여 상기 히터코어(H)를 바이패스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보조도어(150); 를 포함하여 형성되고,상기 유량조절밸브(300)의 구동수단(400)은 상기 보조도어(150)와 연결되어 상기 보조도어(150)를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23820A KR101159542B1 (ko) | 2008-03-27 | 2009-03-20 | 유량조절밸브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공조장치 |
PCT/KR2009/001457 WO2009119998A2 (en) | 2008-03-27 | 2009-03-23 | Flow control valve and air conditioner for an automobile equipped with same |
US12/810,583 US9205720B2 (en) | 2008-03-27 | 2009-03-23 | Flow control valve and air conditioner for an automobile equipped with same |
DE200911000204 DE112009000204B4 (de) | 2008-03-27 | 2009-03-23 | Durchflussregelventil und Klimaanlage, die mit demselben ausgestattet ist, für ein Kraftfahrzeu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28446 | 2008-03-27 | ||
KR1020090023820A KR101159542B1 (ko) | 2008-03-27 | 2009-03-20 | 유량조절밸브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공조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03742A true KR20090103742A (ko) | 2009-10-01 |
KR101159542B1 KR101159542B1 (ko) | 2012-06-26 |
Family
ID=41533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23820A KR101159542B1 (ko) | 2008-03-27 | 2009-03-20 | 유량조절밸브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공조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59542B1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09203B1 (ko) * | 2010-11-30 | 2013-09-23 |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 차량용 공조장치 |
KR101313595B1 (ko) * | 2011-05-26 | 2013-10-01 |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 유량조절밸브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공조장치 |
KR101375122B1 (ko) * | 2012-03-22 | 2014-03-17 |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 차량용 공조장치의 유량조절 밸브 |
KR101403437B1 (ko) * | 2011-05-26 | 2014-06-05 |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 유량조절밸브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공조장치 |
US10207566B2 (en) | 2015-10-08 | 2019-02-19 | Hyundai Motor Company | Air conditioning system for vehicle including two condensers and a control door within a duct to selectively control airflow through said two condensers |
US10239380B2 (en) | 2015-12-09 | 2019-03-26 | Hyundai Motor Company | Air conditioning system for vehicle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254324B2 (ja) * | 1994-03-09 | 2002-02-04 | 日本ファーネス工業株式会社 | 4方向流路切替装置 |
JP3381412B2 (ja) * | 1994-10-20 | 2003-02-24 | 株式会社デンソー | 温水式暖房装置 |
JPH08121621A (ja) * | 1994-10-24 | 1996-05-17 | Chubu Electric Power Co Inc | 切替弁 |
-
2009
- 2009-03-20 KR KR1020090023820A patent/KR101159542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09203B1 (ko) * | 2010-11-30 | 2013-09-23 |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 차량용 공조장치 |
KR101313595B1 (ko) * | 2011-05-26 | 2013-10-01 |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 유량조절밸브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공조장치 |
KR101403437B1 (ko) * | 2011-05-26 | 2014-06-05 |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 유량조절밸브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공조장치 |
KR101375122B1 (ko) * | 2012-03-22 | 2014-03-17 |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 차량용 공조장치의 유량조절 밸브 |
US10207566B2 (en) | 2015-10-08 | 2019-02-19 | Hyundai Motor Company | Air conditioning system for vehicle including two condensers and a control door within a duct to selectively control airflow through said two condensers |
US10239380B2 (en) | 2015-12-09 | 2019-03-26 | Hyundai Motor Company | Air conditioning system for vehic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59542B1 (ko) | 2012-06-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80041B1 (ko) | 히터코어 및 상기 히터코어가 장착된 자동차용 공조장치 | |
KR101159542B1 (ko) | 유량조절밸브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공조장치 | |
KR101172696B1 (ko) | 열교환기 | |
US20070293135A1 (en) | Passage opening and closing device | |
US20130045670A1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US9205720B2 (en) | Flow control valve and air conditioner for an automobile equipped with same | |
US9724977B2 (en) | Rear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KR101422647B1 (ko) | 유량조절밸브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공조장치 | |
KR101453288B1 (ko) | 유량조절밸브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공조장치 | |
KR101422610B1 (ko) | 유량조절밸브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공조장치 | |
US7963316B2 (en) | Sealing structure of a rotation unit and air condition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 |
KR101200271B1 (ko) | 차량용 공조장치 | |
CN110871662B (zh) | 车辆用空调装置 | |
KR101450631B1 (ko) | 차량용 공조장치 | |
KR101243653B1 (ko) | 회전형 히터코어를 구비한 자동차용 공조장치 | |
KR20030016820A (ko) | 2층 공기유동형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 |
KR102720059B1 (ko) | 차량용 공조장치 | |
KR101144266B1 (ko) | 열교환기 | |
US9375503B2 (en) | Air conditioner for automobile | |
KR101150233B1 (ko) | 차량 열교환기용 유량조절밸브 | |
KR101510118B1 (ko) |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 |
KR101527903B1 (ko) | 차량용 공조장치 | |
KR101082470B1 (ko) | 열교환기 | |
KR20010063066A (ko) | 일체형 열교환기를 가진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 |
KR20210030762A (ko) | 차량용 공조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519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16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