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3280A - 살충작용과 기피효과를 동시에 갖는 해충 구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살충작용과 기피효과를 동시에 갖는 해충 구제 조성물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3280A
KR20090103280A KR1020080028783A KR20080028783A KR20090103280A KR 20090103280 A KR20090103280 A KR 20090103280A KR 1020080028783 A KR1020080028783 A KR 1020080028783A KR 20080028783 A KR20080028783 A KR 20080028783A KR 20090103280 A KR20090103280 A KR 200901032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cticidal
repellent
composition
test
pestic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8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관훈
Original Assignee
성인제약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인제약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성인제약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28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03280A/ko
Publication of KR20090103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328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cyclopropane 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24Lauraceae [Laurel family], e.g. laurel, avocado, sassafras, cinnamon or camph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28Myrtaceae [Myrtle family], e.g. teatree or clov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40Liliopsida [monocotyledons]
    • A01N65/42Aloeaceae [Aloe family] or Liliaceae [Lily family], e.g. aloe, veratrum, onion, garlic or chiv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40Liliopsida [monocotyledons]
    • A01N65/48Zingiberaceae [Ginger family], e.g. ginger or galang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A01N25/04Dispersions, emulsions, suspoemulsions, suspension concentrates or g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A01N25/04Dispersions, emulsions, suspoemulsions, suspension concentrates or gels
    • A01N25/06Aeroso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26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in coated particulate form
    • A01N25/28Microcapsules or nanocapsu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Zo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Botan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충을 구제하는 작용과 기피효과를 동시에 나타내는 살충기피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살충기피제 조성물은 람다싸이할로스린과 해충퇴치향, 및 살충성 식물 추출물 등을 주요 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살충기피제 조성물은 독성이 적어서 환경친화적일 뿐만 아니라 효과적인 살충 기피작용 효과를 제공하고, 쯔쯔가무시병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진 털진드기의 방제용 살충기피제로서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살충작용과 기피효과를 동시에 갖는 해충 구제 조성물{Insect Control Composition Having Insecticidal And Repellent Effects}
본 발명은 해충을 구제하는 작용과 기피효과를 동시에 나타내는 살충·기피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살충기피제 조성물은 람다싸이할로스린과 해충퇴치향 및 식물 추출물 등을 주요 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근년에 이르러 지구 온난화로 인한 이상 고온 현상이 점점 빈번하게 발생하고 엘리뇨 현상과 만연된 오염 환경으로 인하여 겨울철 실내에서 파리, 모기를 관찰하는 것은 더 이상 낫선 일이 아니다. 물론, 공단 주변이나 늪지대 인근 등에서의 수풀 모기들의 기하급수적인 증가로 인하여 인근 산업 현장 및 농장의 주민들은 매우 고통을 겪고 있다. 동시에, 파리 모기 뿐만 아니라 각종 해충들, 예컨대, 바퀴벌레, 개미, 빈대, 벼룩, 이, 진드기의 발생도 빈번하게 되었고, 그 중 털진드기는 쯔쯔가무시병(tsutsugamushi)을 유발하는 심각한 해충으로 알려져 있다.
쯔쯔가무시병은 매개체인 털진드기(Leptotrombidium spp.)의 유충이 사람의 조직액을 흡입할 때 구강에 존재하던 오리엔티아 쯔쯔가무시 병원체가 사람에 직접 감염되어 발병하게 된다. 쯔쯔가무시 병은 초원열(scrub typhus)이라고도 불리우며, 그 증상은 고열, 두통, 결막염 및 폐렴을 수반한다. 뿐만 아니라 털진드기는 사람을 공격하여 심한 가려움증과 피부염증을 유발한다. 털진드기의 대표적인 숙주동물로는 등줄쥐(Apodemus agrarius), 갈밭쥐(Microtus fortis) 등의 들쥐들이 알려져 있고, 이에 쯔쯔가무시병을 방제하기 위한 목적으로 털진드기에 대한 살충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쯔쯔가무스병을 유발하는 털진드기에 대해 효능을 보이는 물질로서 디엘드린(dieldrin), 브로모프로필레이트(bromopropylate), 디코폴(dicofol), 펜치온(fenthion), 말라치온(malathion) 등이 지금까지 알려져 있고, D-페노트린(D-phenothrin), 데카메트린(decamethrin), 퍼메트린(permethrin) 역시 쯔쯔가무시병을 매개하는 털진드기에 대해 살비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잔류 독성, 포유동물에 대한 독성, 유익 곤충에 대한 독성, 내성 증가로 인하여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으므로 새로운 형태의 방제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또한, 종래 강력한 살충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델타메스린, 퍼메트린, 카데스린, 에스비올, 바이오알레스린, 에스비오스린, 클로르피리포스, 프로페탐포스, 다이아지논 등도 어느 정도의 주변 해충에 대한 방제효과가 알려져 있으나 털진드 등의 진드기류에 대한 해충의 구제 기능과 기피제의 효과를 제공하기에는 다소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자는 종래의 해충 방제제가 갖는 효능을 더욱 극대화하고, 독성을 저감시키고 해충방제 뿐만 아니라 기피 효과를 나타내는 신규의 제품을 개발하기 위해 예의 연구한 결과, 후술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조성물이 이러한 목적에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면에 있어서, 주변 환경에 해가 되는 해충에 대하여 살충과 기피 기능을 동시에 갖는 살충기피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추가의 일면에 있어서, 인체에 무해하도록 독성을 현저히 저감시킨 상기 살충기피 조성물을 대상 물질(예컨대, 페인트, 직물, 의복, 군복, 타일, 벽지, 모기장, 출입문, 창틀, 방충창, 차광용 발, 블라인드, 합판, 커텐, 카페트, 장판, 주방기기의 실링재, 압출성형품, 표면코팅제, 방충 패킹재료, 가전제품의 플라스틱 성형품, 좀을 방지하기 위한 옷의 덮개 및 건축용 내장마감제 등)에 처리하여 해충을 구제함과 동시에 기피 효과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더욱 추가의 일면에 있어서, 환경친화적이며 인체에 무해한 쯔쯔가무시병의 매개체인 털진드기를 살충기피시킬 수 있는 쯔쯔가무시병 방제제를 제공하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살충기피제 조성물은 독성이 적어서 환경친화적이고 효과적인 살충 기피 작용 효과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쯔쯔가무시병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진 털진드기의 방제용 살충기피제로서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야외활동이나 농업활동시 의복이나 장갑 등의 생활용품에 처리하여 착용함으로써, 쯔쯔가무시병 감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면에 있어서,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람다싸이할로스린 0.1∼55.5%, 해충퇴치향 0.2∼9.0%, 살충성 식물 추출물 0.5∼7.5%, 유화제 0.4∼21.5%, 산화방지제 0.1∼6.5%, 용매 33∼96.8%를 필수 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충작용 및 기피효과를 동시에 가지는 살충기피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피레스로이드계 살충성분인 람다싸이할로스린(Lambda-Cyhalothrin)은 파리, 모기 등 날아다니는 해충과 바퀴벌레, 개미, 진드기, 벼룩 등 기어다니는 해충에 모두 효과를 가지고 있는 광범위 살충제로 에어로솔, 매트, 액체전자모기약, 훈연제, 증산제, 유제 등 다양한 제형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이중 피레스로이드계 살충 성분들은 파리, 모기, 바퀴벌레, 개미 등 냉혈 해충에는 매우 효과적이나 포유동물에 대한 독성이 낮아 여러 선진국이나 세계보건기구(WHO), 그리고 미국 환경 보호국(EPA)에서 가장 안전하며 우수한 살충약제로 인정받은 살충성분이다.
상기 조성에서 람다싸이할로스린의 함량은 중량을 기준으로 0.1∼55.5%인 것이 바람직하고, 적용 목적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5.5%의 함량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해충퇴치향은 시트로넬라(Citronella) 향, 제라늄(Geranium) 향, 페니로얄(Penny royal) 향, 유칼립투스향, 로즈마리향, 세이지향, 페퍼민트향, 라벤더향 및 이들의 혼합향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천연향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해충퇴치향은 일반적으로 식물 정유의 형태로 시판되는 것을 사용할 있으며, 재료를 통상의 추출, 증류 또는 압착을 통하여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해충퇴치향은 일반적으로 허브로 알려져 있기도 하며 이들은 아로마테라피에 사용되고 있어 인체에 무해하므로 불쾌감을 유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살충 기피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에서 해충 퇴치향의 함량은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2∼9.0%인 것이 바람직하고, 적용 목적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6.0%의 함량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살충성 식물 추출물은 고추, 마늘, 생강, 겨자, 회향, 대회향, 정향, 계피, 은행잎 및 양고추냉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식물을 유기 용매로 추출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살충성 식물 추출물은 통상의 유기용매 추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식물의 부위별 분쇄물을 알코올, 희석 알코올, 또는 유기 용매에 혼합하고, 여과하여 용매를 건조시켜 제조한다. 알코올 탄소수 1 내지 5의 저급 알코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메탄올, 프로판올 또는 부탄올, 가장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또는 메탄올을 사용하는 것이 좋고, 희석 알코올은 물에 알코올을 20 내지 90 부피%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기타의 사용 가능한 유기 용매로는 헥산, 클로로포름, 아세톤 또는 에틸아세테이트를 들 수 있으며, 상기 유기용매의 극성에 따라 순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식물은 식물 전체를 추출대상으로 할 수 있으며, 또는 식물 부위별 예컨대, 뿌리, 줄기, 잎, 과육, 꽃, 열매, 종자 및 껍질 각각 일 수 있다. 상기 조성에서 살충성 식물 추출물의 함량은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5∼7.5%인 것이 바람직하고, 적용 목적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5.0%의 함량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산화방지제로는 디부틸 하이드록시톨루엔(dibutyl hydroxy toluene(BHT)), 디부틸 하이드록시아니솔(dibutyl hydroxy anisole(BHA)), 소디움 벤조에이트(sodium benzoat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조성에서 산화방지제의 함량은 중량을 기준으로 0.1∼6.5%인 것이 바람직하고, 적용 목적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5.0%의 함량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유화제로서는 폴리옥시에틸렌 경화피마자유 또는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에테르, 알파-올레핀설포네이트(α-Oleffin Sulfonate), 소디움 도데실설페이트(Sodium Dodecyl Sulfate), 소디움 도데실벤젠설포네이트(Sodium Dodecyl Benzene Sulfonate),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아릴에테르(Polyoxyethylene Alkyl Aryl Ether), 2차-알코올 에톡실레이트(Secondary-Alcohol Ethoxylate), 1차-알코올 에톡실레이트(Primary-Alcohol Ethoxylate),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아릴에테르(Polyoxyethylene Alkyl Aryl Ether), 소디움 디옥틸 설포석시네이트(Sodium Dioctyl Sulfosuccinate)(상품명 AEROSOL OT 또는 CR-DOC70), 트윈류(TWEEN), 소르비탄 모노 올리에이트(Sorbitan Mono Oleate(SPAN 80)), 소르비탄 모노 라우레이트(Sorbitan Mono Laurate(SPAN 20)), 글리세린 모노 올리에이트(Glycerin Mono Oleate(GMO)), 글리세린 모노 라우레이트(Glycerin Mono Laurate(GML)) 등을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조성에서 유화제는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4∼21.5%의 양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적용 목적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20.0%의 함량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용매로서는 메틸피롤리돈, 파라졸(예, 파라졸 124), 등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용매는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33∼96.8%의 양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적용 목적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57.0%의 함량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살충 기피제 조성물은 상기 유효 성분 이외에도 통상의 살충제 또는 살비제에 사용되는 부형제 또는 담체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형제 또는 담체는 사용용이성, 경제성, 제형 또는 살충효과 증진을 위한 통상의 물질일 수 있으며, 그 예로는 향료, 유화제, 알코올, 분산제가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알코올류로는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살충기피 조성물에 있어서 각 성분의 배합 비율은 방제제의 적용방법, 적용부위 및 제형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살충기피제의 제형은 과립제, 로션제, 방향수제, 산제, 시럽제, 액제, 에어로졸제, 분산제, 유제, 현탁제 등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액제 또는 유제로 적용하거나 에어로졸제로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살충 기피제 조성물은 해충, 특히 털진드기 또는 이의 서식처에 분무 또는 살포하거나, 사람의 생활용품 예컨대 의류, 텐트 등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조성물을 마이크로캡슐화하여 옷감용 섬유나 텐트용 천 제조 시 섬유 또는 천 조직에 입힘으로써 이동하거나 움직임에 의해 자연스럽게 캡슐 내 유효물질들이 공기 중으로 방출되는 제형 등을 고려할 수 있다.
상기 살충기피제의 필드 사용 용량은 처리 면적이나 공간에 따라 달리 적용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살충제 사용용량이 바람직하며, 일례로 유효 성분 기준으로 단위 면적(m2) 당 1 내지 1000 mg, 단위 공간(m3) 당 10 내지 500 mg 필드 적용비율은 살충제의 제형과 살포방식 및 대상해충에 따라 달리 적용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살충제의 적용비율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살충제 희석액의 분무 사용시 단위 면적(m2) 당 20 ∼ 60ml, 연무 사용시 단위 면적(m2)당 0.1 ∼ 10ml, 연막 사용시 1 ∼ 50 ml 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분무 사용시 40 내지 50ml/m2 비율로 살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연무 사용시 7ml/m2 비율로 살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추가의 일면에 있어서, 인체에 무해하도록 독성을 현저히 저감시킨 상기 살충기피 조성물을 대상 물질(예컨대, 페인트, 직물, 의복, 군복, 타일, 벽지, 모기장, 출입문, 창틀, 방충창, 차광용 발, 블라인드, 합판, 커텐, 카페트, 장판, 주방기기의 실링재, 압출성형품, 표면코팅제, 방충 패킹재료, 가전제품의 플라스틱 성형품, 좀을 방지하기 위한 옷의 덮개 및 건축용 내장마감제 등)에 처리하여 해충을 구제함과 동시에 기피 효과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을 페인트, 직물, 의복, 군복, 타일, 벽지, 모기장, 출입문, 창틀, 방충창, 차광용 발, 블라인드, 합판, 커텐, 카페트, 장판 및 건축용 내장마감제 등에 처리함으로써 파리, 모기, 바퀴벌레, 개미 등과 같은 해충을 구제하는 작용과 동시에 모기, 빈대, 벼룩, 이, 진드기에 대하여 특히, 쯔쯔가무시병의 매개체인 털진드기에 대하여 기피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한다.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살충기피제의 제조
다음의 표 1에 나타낸 함량에 따라 각각의 살충기피제를 제조하였다.
시험조성물 S1 S2 S3 S4 S5 S6 S7 S8 S9 S10
람다싸이할로스린 0.1 0.5 1.0 2.0 2.5 5.5 10 20 25 55.5
해충퇴치향(로즈마리) 0.2 1.0 2.0 4.0 5.0 7.5 8.0 8.3 8.4 9.0
살충성 식물추출물 0.5 1.0 2.0 2.5 5.0 5.0 6.5 7.0 7.2 7.5
산화방지제(BHT) · · · · · 5.0 5.5 6.0 6.0 6.5
폴리옥시에틸렌 경화피마자유(유화제) 0.2 1.0 1.0 1.0 1.0 7.0 7.0 7.2 7.2 8.0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에테르(유화제) 0.2 2.0 2.0 2.0 2.0 13 13 13 13.2 13.5
메틸피롤리돈(용매) 또는 등유 96.8 91.5 89.0 85.5 81.5 20 20 20 20 ·
파라졸(용매) · · · · · 37 30 18.5 13 ·
향료 2.0 3.0 3.0 3.0 3.0 · · · · ·
상기 로즈마리향은 생잎 300g을 깨끗이 세척하고, 70% 메탄올 3리터에 첨가하여 이를 증류농축시키고 120℃에서 5시간 정도 가열하여 생성된 기체를 냉각시켜 액상으로 얻었다.
상기 살충성 식물 추출물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제조 하였다. 천연 한약재 또는 식품 재료로 사용되는 고추, 마늘, 생강, 겨자, 회향, 대회향, 정향, 계피, 은행잎 및 양고추냉이를 한약재상 및 시장에서 구입하여 각 재료 300 g을 믹서기로 곱게 마쇄하고, 500 ml 삼각플라스크에 넣은 후 여기에 메탄올 200 ml을 혼합하여 실온 암실에서 3일간 방치하였다. 3일 후 여과한 여과액을 회전진공농축기(EYELA autojack NAJ-160, Japan)로 농축하여 추출물을 얻어서 이를 동량 배합하여 사용하였다.
시험예: 살충 및 기피 효과 확인 시험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의 살충 및 기피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에 사용한 위생 해충은 우화후 5∼6일된 빨간집모기(Culex pipiens pallens), 우화후 4∼5일된 집파리(Musca domestica)와 털진드기를 사용하였다.
시험에 사용한 모기, 파리, 털진드기의 공시충은 다음과 같이 확보하였다. 모기 공시충은 담양군 금성면에서 채집한 빨간집모기(Culex pipiens pallens)의 유충을 사육하여 우화된 지 5∼6일된 암컷 성충을 사용하고, 파리 공시충은 담양군 금성면에서 채집한 집파리(Musca domestica) 유충을 사육하여 우화된 지 4∼5일된 성충을 사용하였다.
시험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모기 및 파리에 대해서는 건강한 모기 또는 파리 성충의 유충을 채집하여 사육하였으며 사육한 공시충 성충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S1∼S10의 10가지 시험조성물들을 분무 및 연무(ULV)방법으로 처리하여 살충률을 각각 평가하였다.
시험예 1: 분무 처리에 의한 모기 살충효력시험
상기 시험절차에 따라 모든 시험은 3차에 걸쳐 실시하였으며 1차실험에 성충 25마리를 3회반복 실험하였다. 시험조성물 분무처리 24시간 후 빨간집모기 성충의 사충수 조사하였다.
시험조성물의 분무처리에 따른 빨간집모기 성충(암컷)에 대한 치사율 비교 평가
구 분 시험조성물 총개체수(마리) 치사수(마리) 치사율(%)
시험군 S1 225 208 92.4
S2 225 213 94.7
S3 225 217 96.4
S4 225 220 97.8
S5 225 223 99.1
S6 225 225 100
S7 225 225 100
S8 225 225 100
S9 225 225 100
S10 225 225 100
대조군 무처리 225 0 0
*
시험예 2: 연무 처리에 의한 모기 살충효력시험
시험 조성물 연무처리 24시간 후 빨간집모기 성충의 사충수 조사하고 그 결과를 아래의 표 3에 나타냈다.
시험조성물의 분무처리에 따른 빨간집모기 성충(암컷)에 대한 치사율 비교 평가
구 분 시험조성물 총개체수(마리) 치사수(마리) 치사율(%)
시험군 S1 225 207 92.0
S2 225 210 93.3
S3 225 216 96.0
S4 225 220 97.8
S5 225 221 98.2
S6 225 225 100
S7 225 225 100
S8 225 225 100
S9 225 225 100
S10 225 225 100
대조군 무처리 225 0 0
시험예 3: 분무 처리에 의한 파리 살충효력시험
모든 시험은 3차에 걸쳐 실시하였으며 1차실험에 성충 25마리를 3회반복 실험하였다. 시험조성물 분무 처리 24시간 후 집파리 성충의 사충수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아래의 표 4에 나타냈다.
시험조성물의 분무처리에 따른 집파리 성충에 대한 치사율 비교 평가
구 분 시험조성물 총개체수(마리) 치사수(마리) 치사율(%)
시험군 S1 225 206 91.6
S2 225 211 93.8
S3 225 217 96.4
S4 225 222 98.7
S5 225 223 99.1
S6 225 225 100
S7 225 225 100
S8 225 225 100
S9 225 225 100
S10 225 225 100
대조군 무처리 225 0 0
시험예 4: 연무 처리에 의한 파리 살충효력시험
모든 시험은 3차에 걸쳐 실시하였으며 1차실험에 성충 25마리를 3회반복 실험하였다. 시험조성물 연무처리 24시간 후 집파리 성충의 사충수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아래의 표 5에 나타냈다.
시험조성물의 연무처리에 따른 집파리 성충에 대한 치사율 비교 평가
구 분 시험조성물 총개체수(마리) 치사수(마리) 치사율(%)
시험군 S1 225 208 92.4
S2 225 210 93.3
S3 225 215 95.6
S4 225 221 98.2
S5 225 222 98.7
S6 225 225 100
S7 225 225 100
S8 225 225 100
S9 225 225 100
S10 225 225 100
대조군 무처리 225 0 0
시험예 5: 분무 처리에 의한 털진드기 살충효력시험
본 발명의 조성물에 대한 털진드기에 대한 살충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전남 담양군 금성면 일대의 논둑, 밭주변 및 개울둑에 쥐트랩을 설치하여 등줄쥐를 채집하였으며 채집한 등줄쥐에 기생하고 있는 털진드기를 수집하였다.
털진드기 25마리씩을 SPL Lifesciences사의 페트리디쉬(Polystyrene, 150x25mm)에 넣고 실내 실험실(3m x 2m x 3m)에서 분무기로부터 1.5m 위치에 3개씩 설치하였다. 분무시 노출장보다 50cm 높은 곳에서 분무하였으며 고정된 위치에서 좌, 우로 30초간 40ml/m2 비율로 분무하였다. 분무 후, 10분간 노출시킨 털진드기를 다시 깨끗한 페트리디쉬에 옮겼다.
이를 오염되지 않은 곤충사육실(온도 25ㅁ3℃, 습도 52ㅁ5%, 일장 15L:7D)로 옮겨 24시간후 사망수를 계수하였다. 위생해충인 털진드기에 대한 시험조성물의 분무처리에 따른 살충효과는 처리 24시간 후의 사망률로 결정하였다. 모든 실험은 3회 반복하였고, 모든 시험을 3차에 걸쳐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아래의 표 6에 나타내었다.
시험조성물의 분무처리에 따른 털진드기에 대한 치사율 비교 평가
구 분 시험조성물 총개체수(마리) 치사수(마리) 치사율(%)
시험군 S1 225 222 98.7
S2 225 225 100
S5 225 225 100
S6 225 225 100
대조군 225 0 0
시험예 6: 연무 처리에 의한 털진드기 살충효력시험
또한 상기 시험예 5의 분무처리방법과 동일한 조건하에서 털진드기에 7ml/m2 비율로 연무(ULV)처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의 표 7에 나타냈다.
시험조성물의 연무(ULV) 처리에 따른 털진드기에 대한 치사율 비교 평가
구분 시험조성물 총개체수(마리) 치사수(마리) 치사율(%)
실험군 S1 225 219 97.3
S2 225 225 100
S5 225 225 100
S6 225 225 100
대조군 0 225 0 0
시험예 7: 분무 처리에 의한 모기 기피 효과 검정 시험
3마리의 수컷 쥐(생후 6주, 23∼34g)를 사료(퓨리나 사료) 및 물 공급장치가 구비된 스테인레스제 망사육상자(220x410x200mm)에 위치시키고 상기 사육상자를 통풍시설이 되어 있는 투명 아크릴 재질의 간이 실험실(1mㅧ1mㅧ1m)내의 50cm 지점 높이에 위치시킨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준비한 시험 약제를 260 x 470mm 크기로 재단한 방충망에 처리하여 상기 스테인레스제 망사육상자(220 x 410 x 200mm)의 상면에 접착시키고, 곧이어, 성인제약(주) 부설 한국공중보건방역연구소의 곤충사육실에서 사육한 우화한지 5∼6일된 100마리의 암컷 빨간집 모기(Culex pipiens pallens Coquillett)를 간이 실험실내에 방사하여 사육 상자 내에 쥐를 흡혈하기 위하여 방충망에 내려 않은 모기의 수를 계수하여 기피성을 조사하였다. 기피율(%) = (방충망에 내려 앉지 않은 모기의 수/간이 실험실내에 방사한 총모기수)ㅧ100.
또한, 시험약제를 처리하지 않은 방충망을 상기 기피시험과 동일한 조건으로 실시하여 대조군에 대한 모기의 기피성을 조사하였다. 모든 실험은 각각 3회 반복하여 수행하였다.
시험조성물의 분무처리에 따른 모기기피효과 검정시험 결과
구분 시험조성물 시간변 기피율
1시간 2시간 3시간 4시간 5시간 6시간
실험군 S1 100 97.5 91.0 88.2 80.5 76.2
S2 100 98.7 96.5 92.0 85.8 80.2
S5 100 100 97.0 95.1 93.3 91.0
S6 100 100 100 98.2 96.7 95.3
대조군 미처리 0 0 0 0 0 0
시험예 8: 연무 처리에 의한 모기 기피 효과 검정 시험
상기 실시예 7과 마찬가지 방식으로 연무 처리에 의한 모기 기피 효과를 검정하고 그 결과를 다음의 표 9에 나타냈다.
시험조성물의 연무(ULV)처리에 따른 모기기피효과 검정시험 결과
구분 시험조성물 시간변 기피율
1시간 2시간 3시간 4시간 5시간 6시간
실험군 S1 100 97.5 93.3 91.0 85.8 80.5
S2 100 96.5 95.1 93.3 88.2 85.0
S5 100 98.7 96.5 95.1 93.3 85.8
S6 100 100 100 100 97.0 95.1
대조군 미처리 0 0 0 0 0 0
시험예 9: 피복처리시 모기 기피효과 검정 시험
80cm x 80cm x 60cm망의 한 쪽에는 시험조성물 S1, S2, S5, S6 들을 처리한 피복을, 다른 한쪽에는 약제처리 하지 않은 피복을 설치하고 우화한지 5∼6일된 50마리의 암컷 빨간집 모기(Culex pipiens pallens Coquillett)를 방사하여 동일한 조건하에서 모기의 기피율을 조사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5회까지 pH 9∼11의 약알카리성 세제를 이용하여 세탁하면서 관찰하였다. 결과는 표 10에 각각 정리하였다.
시험조성물의 피복처리에 따른 모기기피효과 검정시험 결과
구분 시험조성물 시험횟수 1 2 3 4 5 6
세탁횟수 - 1 2 3 4 5
실험군 S1 기피율(평균%) 94.8 94.5 94.5 94.0 93.4 92.1
S2 96.0 96.7 95.3 94.1 93.0 90.6
S5 97.3 97.0 96.8 95.1 92.7 91.7
S6 100 98.7 98.0 96.5 95.7 95.3
대조군 미처리 0 0 0 0 0 0
상기 실시예 1의 조성물을 상기 시험예 9와 마찬가지 방식으로 직물, 군복, 벽지, 모기장, 방충창, 방충 패킹재료, 창틀, 차광용 발, 블라인드, 합판, 커텐, 카페트, 장판, 주방기기의 실링재, 압출성형품, 표면코팅제, 가전제품의 플라스틱 성형품, 좀을 방지하기 위한 옷의 덮개 및 건축용 내장마감제 등에 처리하면 파리, 모기, 바퀴벌레, 개미 등과 같은 해충에 살충작용과 기피작용을 동시에 갖는 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이상의 시험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살충 기피 조성물은 대조군에 비하여 탁월한 살충 및 기피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의 실험예에 의해 밝혀진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살충기피제 조성물은 독성이 적어서 환경친화적이고, 효과적인 살충 기피 작용 효과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쯔쯔가무시병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진 털진드기의 방제용 살충기피제로서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야외활동이나 농업활동시 의복이나 토시, 장갑 등의 생활용품에 처리하여 착용함으로써, 쯔쯔가무시병 감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Claims (5)

  1.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람다싸이할로스린 0.1~55.5%, 해충 퇴치향 0.2∼9.0, 살충성 식물 추출물 0.5∼7.5%, 유화제 0.4∼21.5%, 산화방지제 0.1∼6.5%, 용매 33∼96.8%를 필수 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충작용 및 기피효과를 동시에 가지는 살충기피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충퇴치향은 시트로넬라(Citronella) 향, 제라늄(Geranium) 향, 페니로얄(Penny royal) 향, 유칼립투스향, 로즈마리향, 세이지향, 페퍼민트향, 라벤더향 및 이들의 혼합향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천연향을 포함하는 것인 살충기피제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추출물은 고추, 마늘, 생강, 겨자, 회향, 대회향, 정향, 계피, 은행잎 및 양고추냉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식물을 유기 용매로 추출한 것인 살충기피제 조성물.
  4. 제1항에 따른 살충 기피제 조성물을 페인트, 직물, 의복, 군복, 타일, 벽지, 모기장, 출입문, 창틀, 방충창, 차광용 발, 블라인드, 합판, 커텐, 카페트, 장판, 주방기기의 실링재, 압출성형품, 표면코팅제, 방충 패킹재료, 가전제품의 플라스틱 성형품, 좀을 방지하기 위한 옷의 덮개 및 건축용 내장마감제에 처리하여 해충을 구제함과 동시에 기피 효과를 제공하는 방법.
  5. 제1항에 따른 살충 기피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쯔쯔가무시병의 매개체인 털진드기를 살충기피시킬 수 있는 쯔쯔가무시병 방제제.
KR1020080028783A 2008-03-28 2008-03-28 살충작용과 기피효과를 동시에 갖는 해충 구제 조성물 KR200901032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8783A KR20090103280A (ko) 2008-03-28 2008-03-28 살충작용과 기피효과를 동시에 갖는 해충 구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8783A KR20090103280A (ko) 2008-03-28 2008-03-28 살충작용과 기피효과를 동시에 갖는 해충 구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3280A true KR20090103280A (ko) 2009-10-01

Family

ID=41532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8783A KR20090103280A (ko) 2008-03-28 2008-03-28 살충작용과 기피효과를 동시에 갖는 해충 구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03280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26411A1 (ko) * 2013-02-15 2014-08-21 Kim Gun Hee 천연 살충제 조성물
KR20150135865A (ko) 2014-05-26 2015-12-04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천연물의 초임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개미 기피용 조성물
KR20170024774A (ko) * 2015-08-26 2017-03-08 (주)엔바이오 천연친환경성, 고내구성, 무향, 피부무자극성의 항균진드기기피 기능 구현을 위한 섬유가공제
WO2019231190A1 (ko) * 2018-05-29 2019-12-05 (주)국보싸이언스 시트랄을 포함하는 해충 방제용 조성물
KR102221700B1 (ko) * 2020-10-07 2021-03-02 이준 천연 해충 퇴치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천연 해충 퇴치제
KR102230181B1 (ko) * 2020-08-10 2021-03-18 박선은 자동 및 수동 겸용 에어컨실외기의 루버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26411A1 (ko) * 2013-02-15 2014-08-21 Kim Gun Hee 천연 살충제 조성물
KR20150135865A (ko) 2014-05-26 2015-12-04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천연물의 초임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개미 기피용 조성물
KR20170024774A (ko) * 2015-08-26 2017-03-08 (주)엔바이오 천연친환경성, 고내구성, 무향, 피부무자극성의 항균진드기기피 기능 구현을 위한 섬유가공제
WO2019231190A1 (ko) * 2018-05-29 2019-12-05 (주)국보싸이언스 시트랄을 포함하는 해충 방제용 조성물
KR102230181B1 (ko) * 2020-08-10 2021-03-18 박선은 자동 및 수동 겸용 에어컨실외기의 루버장치
KR102221700B1 (ko) * 2020-10-07 2021-03-02 이준 천연 해충 퇴치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천연 해충 퇴치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17269B2 (ja) 有害生物防除配合物並びにその使用
JP2003534354A (ja) 非有害性害虫防除
US20120301532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materials with insecticides and potentiating agents
KR20090103280A (ko) 살충작용과 기피효과를 동시에 갖는 해충 구제 조성물
WO2018026499A1 (en) Arthropod control formulations and methods
EP3503733A1 (en) Insect repellent compounds and compositions, and methods thereof
US20170215432A1 (en) Synergized plant extract/essential oil blend comprising basil oil
Medha et al. A comprehensive review on moth repellent finishing of woolen textiles
JP3597479B2 (ja) 植物から抽出した殺だに性組成物
CN110384113A (zh) 一种防治蚊蝇杀虫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715284B1 (ko) 모기 기피 및 해충 방제 효과가 있는 천연 혼합물,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모기 기피 및 해충 방제 효과가 있는 스프레이용 조성물 및 훈연제의 제조방법
KR101288334B1 (ko) 애엽 및 모과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해충 기피용 조성물
US10226050B2 (en) Synergistic composition of geranium oil with other essential oils for bedbug control
KR101692667B1 (ko) 모기 기피 효과를 갖는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조성물, 그리고 그것을 이용한 수성 도료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수성 도료
CN106922751A (zh) 天然植物灭虫剂
Susilo et al. Response of Riptortus linearis towards the aplication of Bintaro (Cerbera manghas) leaf extract.
JP2015521171A6 (ja) トコジラミの死滅
JP2015521171A (ja) トコジラミの死滅
KR101773442B1 (ko) 흡혈성 절지동물 기피제 조성물
KR101400713B1 (ko) 살충성 정유 및(또는) 식물첨가물을 함유한 살충성 조성물
CN108289442A (zh) 害虫驱避剂和使用其的害虫驱避方法
CN107467083A (zh) 一种八桂生物除虫剂
KR101430492B1 (ko) 흡혈성 절지 동물용 기피제 조성물
CN112586516A (zh) 一种无公害草莓杀虫剂及其制备方法
KR100753964B1 (ko) 천연오일 혼합조성물을 이용한 연막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0401

Effective date: 20101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