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2758A - 메시지 중계 방법 및 시스템, 인코더 및 디코더 - Google Patents

메시지 중계 방법 및 시스템, 인코더 및 디코더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2758A
KR20090102758A KR1020097012916A KR20097012916A KR20090102758A KR 20090102758 A KR20090102758 A KR 20090102758A KR 1020097012916 A KR1020097012916 A KR 1020097012916A KR 20097012916 A KR20097012916 A KR 20097012916A KR 20090102758 A KR20090102758 A KR 200901027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node
receiver
primary
piggyback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2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1431B1 (ko
Inventor
존 앤더슨 퍼거스 로스
마이클 제임스 하트만
해롤드 우드러프 쥬니어 톰린슨
존 에릭 허쉐이
Original Assignee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filed Critical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Publication of KR20090102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27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1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14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41Arrangements at the transmitter e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45Arrangements at the receiver end
    • H04L1/0047Decoding adapted to other signal detection operation
    • H04L1/0048Decoding adapted to other signal detection operation in conjunction with detection of multiuser or interfering signals, e.g. iteration between CDMA or MIMO detector and FEC deco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32Carrier system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s of two or more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s H04L27/02, H04L27/10, H04L27/18 or H04L27/26
    • H04L27/34Amplitude- and 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e.g. quadrature-amplitude modulated carrier systems
    • H04L27/3488Multiresolu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2Channe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ignal
    • H04L5/04Channe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ignal the signals being represented by different amplitudes or polarities, e.g. quadriple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 H04W74/0841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with collision treatment
    • H04W74/085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with collision treatment collision avoid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2001/0092Error 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opology of the transmission link
    • H04L2001/0093Point-to-multipoi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네트워크(예를 들어, 무선 네트워크) 내의 노드 간에 메시지를 중계하는 시스템 및/또는 방법이 제공된다. 소정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노근 간에는 실질적으로 동시적인 통신이 달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보조 메시지(1204)는 주요 메시지(1202) 상으로 피기백될 수 있다. 네트워크 내의 메시지는 송신기에 대한 수신기 노드의 신호 대 잡음 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송신기(1212)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로 큐잉 및 전송될 수 있다. 메시지의 큐잉은 피기백 통신에 사용될 수 있는 메시지를 나타내는 링크 세트에 의존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충돌 문제를 감소시키고, 통신 내의 지연을 감소시키고/거나 처리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네트워크를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메시지 중계 방법 및 시스템, 인코더 및 디코더{PIGGYBACK NETWORKS}
본 출원은 2006년 12월 19일에 출원된 미국 출원 번호 11/640,994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안의 내용 전체는 본 명세서에서 참조로서 인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예시적인 실시예는 네트워크(예를 들어, 무선 네트워크) 내의 노드 사이에서 메시지를 중계하는 시스템 및/또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시적인 실시예는 노드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실질적으로 동시적인 통신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하나의 보조 메시지(secondary message)가 주요 메시지(primary message)상에 피기백(piggyback)되고, 송신기에 대한 수신기 노드의 신호 대 잡음 비율(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큐잉되며 송신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로 전송된다. 메시지의 큐잉은 피기백 통신이 가능한 메시지를 나타내는 링크 세트에 의존하여 수행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전형적으로 메시지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노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무선 네트워크에서, 송신기의 RF 출력은 신호 수신이 가능한 브로드캐스트 영역을 생성한다. 점대점 정보 링크의 제공은 무선 통신과 연관된 기본적인 문제점들 중 하나이다. 예를 들어, 도 1(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수신기(R1) 및 수신기(R2) 모두는 송신기(T3)의 브로드캐스트 영역 내에 존재한다. 송신기(T3)로부터 수신기(R1)로 통신되는 메시지는 송신기(T3)로부터 수신기(R2)로 통신되는 메시지와는 다를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소정 형태로 신호를 분리할 필요가 있다. 이 문제점에 대한 하나의 잘 알려진 해결책은 상이한 물리 계층을 통해 송신을 수행하는 것과 관련된다. 예를 들어, 신호는 주파수, 신호 또는 보다 일반적으로 낮은 교차 상관을 갖는 파형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사실, 종래의 통신 기술은 소정 형태의 직교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신호 분리를 제공한다.
직교 시그널링과 관련하여 실용적인 장점이 다수 존재한다. 따라서, 다른 대안은 좀처럼 고려되지 않는데, 그 이유는 특히 비-직교성 시그널링은 소정의 상황에서는 반직관적(counterintuitive)인 것으로 보일 수 있기 때문이다.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시그널링은 데이터 충돌을 야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가 보다 복잡해짐에 따라(예를 들어, 다수의 송신기 및 수신기를 포함하고 메시지가 다수의 경로를 통해 동시에 전파되도록 함으로써), (통신될 메시지를 포함하는) 메시지는 충돌하거나 또는 상충된다. 통신량이 더 많아질수록, 충돌 문제는 더 악화될 수 있다. 그에 따른 전형적인 결과는 시스템 효율의 저하인데, 그 이유는 두 개의 프레임이 충돌하는 경우, 양 프레임 내에 포함된 데이터는 대개 손실되기 때문이다.
오버래핑 무선 전파 경로를 갖는 노드로의 무선 송신을 조정하기 위해, 종래의 네트워크는 충돌 중재 프로토콜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프로토콜은 예를 들어 알로하(Aloha) 프로토콜을 포함한다. 알로하 프로토콜은 채널이 각 소스에 대한 프레임을 전송하도록 비어있는 시기를 나타내는, 규칙적인 간격으로 전송되는 신호(때때로 비콘(beacons)으로 지칭됨)를 채용한다. 충돌이 예상되는 경우, 송신기는 뒤로 물러날 수 있고 나중에 프레임 전송을 시도할 수 있다.
기본적인 알로하 프로토콜에 대한 개선 및/또는 대안을 제공하고 충돌 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네트워크 처리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다양한 프로토콜이 개발되었다. 예를 들어, CSMA 프로토콜은 충돌이 발생할 여부를 예측하려는 네트워크 내의 각 노드를 잠재적으로 포함한다. 충돌이 예상되는 경우, 송신기는 전송을 중단하고, 소정의 기간(예를 들어, 랜덤한 기간)을 대기하며, 그런 다음 다시 전송을 시도한다. 또 다른 예로서, TDMA 프로토콜은 네트워크를 액세스하기 위해 단일 주파수에 걸쳐 유일한 타임 슬롯들을 할당하는 것에 기초하며, 그에 따라 간섭의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FDMA 프로토콜에서, 주어진 대역폭은 보다 작은 주파수 대역, 또는 분할구역(subdivisions)으로 분할된다. 각 분할구역은 그 자신의 캐리어 주파수를 가지며, 제어 메카니즘이 사용되어 둘 이상의 기지국이 동일한 분할구역에서 동시에 전송하는 일이 없도록 보장하며, 그에 따라 각 분할구역에 대해 수신기가 지정된다. OFDM 프로토콜은 주어진 부대역에 걸쳐 채널 효과가 일정(예를 들어, 평탄)하도록 하기에 충분히 작은 부대역으로 주파수 스펙트럼을 분할한다. 그런 다음, 변조가 부대역을 통해 전송된다. 적절히 구현되는 경우, 채널(예를 들어, 다중경로)의 고속 변경 효과는 사라지는데, 그 이유는 이러한 효과는 단일 심볼의 전송 동안에 발생하고 따라서 수신기측에서는 페이딩을 갖는 평탄부로서 취급되기 때문이다.
유감스럽게도, 이들 기법은 전통적인 형태의 네트워크 통신에 대한 소정의 문제점을 보상하도록 설계되었지만, 이들 기법은 여전히 몇몇 단점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프로토콜은 일반적으로 임의의 주어진 송신에서 단일 메시지를 전송한다. 송신 대상 노드가 아니면서 메시지를 수신한 임의의 노드는 간단히 그 메시지를 무시해버린다. 이것은 시간, 주파수 및/또는 대역폭의 낭비를 야기하다. 또한, 이들 프로토콜은 충돌 문제를 감소시키고 처리량을 증가시키도록 설계되었지만, 여전히 추가의 개선이 필요하다. 따라서, 예를 들어 네트워크 내의 다수의 노드로의 동시적 전송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충돌 문제를 더 감소시키고 처리량을 증가시키는 시스템 및/또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종래 기술에서 필요하다.
도 1(a)는 두 개의 수신기가 하나의 송신기의 브로드캐스트 영역 내에 위치한 상황을 나타내는 도면,
도 1(b)는 높은 SNR을 갖는 수신기와 낮은 SNR을 갖는 수신기가 위성의 브로드캐스트 영역 내에 위치한 상황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제 1 송신기와 동일한 신호 공간을 사용하는 제 2 송신기가 제공되는 경우에도 에러없는 디코딩이 가능한 상황을 나타내는 도면,
도 3(a)는 비-직교성 시그널링이 브로드캐스트 시그널링과 연계하여 사용될 수 있는 방식에 대한 하나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b)는 비-직교성 시그널링이 양방향 시그널링과 연계하여 사용될 수 있는 방식에 대한 하나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c)는 분할없는 예시적인 통신 송수신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 및 도 5는 예시적인 피기백된 메시지의 예시적인 브로드캐스트 동안 낮은 SNR 링크 및 높은 SNR 링크에 이용가능한 수학적으로 투영된 브로드캐스트 레이트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다중 액세스 채널 통신에 대해 단일 사용자 용량의 백분율로서 이용가능한 수학적으로 투영된 추가적인 용량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TDMA 기반 다중 액세스 채널 통신을 위해 전송된 전체 에너지에 기초한 용량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세 개의 노드 간의 세 개의 링크를 포함하는 간단한 메시 네트워크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노드들이 동일한 송신 전력을 갖는다는 가정 하에, 도 8에 도시된 세 개의 노드 시스템에 대해 수학적으로 투영된 시스템 용량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 및 도 11은 각각 감쇠 지수 2 및 3을 갖는 간단한 경로 손실 모델에 기초한 1 내지 6명의 사용자 수신에 대해 수학적으로 투영된 용량 대 거리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제 1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피기백 인코딩 모듈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 따른 피기백 디코딩 모듈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 따라 세 개의 데이터 스트림을 인코딩하는 피기백 인코딩 모듈에 대한 예시적인 블록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 따라 세 개의 데이터 스트림을 디코딩하는 피기백 디코딩 모듈에 대한 예시적인 블록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스위치를 구현하는 단일-다중 피기백 디코더를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주요 데이터만이 전송된 경우 수신될 수 있는 신호의 추정치를 제공하는 예시적인 메카니즘을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가 피기백될 수 있는 방식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흐름도,
도 19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가 피기백될 수 있는 방식을 자세히 나타내는 도면,
도 20(a)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 상이한 애퍼처를 갖는 두 개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통신하는 예시적인 송신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0(b)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두 개의 안테나를 사용함으로써 도 20(a)의 송신기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예시적인 수신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2-사용자 이진 브로드캐스트 채널에 대한 예시적인 레이트 곡선을 나타내는 도면.
소정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메시지를 중계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송신기로부터 통신될 주요 메시지 및 적어도 하나의 보조 메시지가 식별될 수 있다. 주요 메시지는 제 1 수신 노드용으로 지정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보조 메시지는 제 2 수신기 노드용으로 지정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보조 메시지가 주요 메지시 상에 피기백될 수 있음을 나타내는 신호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보조 메시지는 주요 메시지 상에 피기백될 수 있다. 상기 신호는 송신기 노드에 대한 제 1 수신기 노드와 제 2 수신기 노드의 특성에 부분적으로 기초할 수 있다. 피기백된 메시지는 전송될 수 있다.
소정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메시지를 중계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송신기 노드 및 적어도 두 개의 수신기 노드가 식별될 수 있다. 송신기 노드로부터 전송될 주요 메시지와 적어도 하나의 보조 메시지가 식별될 수 있고, 각 메시지는 메시지 큐에 저장되고, 각 메시지는 데이터의 패킷을 포함한다. 전송될 주요 메시지의 다음 패킷이 결정될 수 있다. 다음 패킷에 대해 피기백을 지원할 수 있는 네트워크 내의 노드 간의 가능한 파트너 링크가 식별될 수 있다. 피기백이 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에 응답하여 보조 메시지 각각의 패킷을 주요 메시지의 다음 패킷 상으로 피기백함으로써 완전한 메시지가 생성될 수 있다. 이 완전한 메시지는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신호는 송신기 노드에 대한 적어도 두 개의 수신기 노드의 관련 신호-대-잡음 비율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할 수 있다.
소정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메시지를 중계하는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송신기 노드와 적어도 두 개의 수신기 노드를 포함할 수 있는데, 송신기 노드 및 적어도 두 개의 수신기 노드는 그들 사이에서 적어도 주요 메시지와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를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주요 메시지 및 적어도 하나의 보조 메시지는 송신기 노드에 대한 적어도 두 개의 수신기 노드의 신호-대-잡음 비율의 비교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송신기 노드로부터 적어도 두 개의 수신기 노드로 전송될 수 있다. 주요 메시지 및 적어도 하나의 보조 메시지는 상기 비교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피기백될 수 있다.
소정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메시지를 중계하는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송신기로부터 통신될 주요 메시지와 적어도 하나의 보조 메시지를 식별하는 수단- 상기 주요 메시지는 제 1 수신기 노드용으로 지정되고 적어도 하나의 보조 메시지는 제 2 수신기 노드용으로 지정됨 -과, 적어도 하나의 보조 메시지가 주요 메시지 상으로 피기백될 수 있다는 신호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보조 메시지를 주요 메시지 상으로 피기백하여 피기백된 메시지를 형성하는 수단- 상기 신호는 송신기 노드에 대한 제 1 수신기 노드 및 제 2 수신기 노드의 특성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함 -과, 피기백된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송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소정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메시지를 중계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송신기 노드의 제 1 안테나에 의해 통신될 제 1 메시지와 송신기 노드의 제 2 안테나에 의해 통신될 제 2 메시지가 식별될 수 있다. 제 1 안테나 및 제 2 안테나는 실질적으로 다른 안테나 애퍼처(apertures)를 가질 수 있다. 제 1 메시지 및 제 2 메시지는 네트워크의 가까운 영역과 먼 영역 간의 브레이크포인트 차이에 의존하여 제 1 안테나 및 제 2 안테나를 사용하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채널을 통해 실질적으로 동시에 실질적으로 비-직교성으로 통신될 수 있다.
소정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메시지를 중계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송신기 노드는 두 개의 송신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 송신 안테나는 별개의 애퍼처를 갖는다. 수신기 노드는 두 개의 수신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는데, 각 수신 안테나는 송신 안테나의 안테나 애퍼처에 대응하는 별개의 애퍼처를 갖는다. 송신기 노드는 네트워크의 가까운 영역과 먼 영역 간의 브레이크포인트 차이에 의존하여 제 1 안테나를 사용하는 제 1 메시지와 제 2 안테나를 사용하는 제 2 메시지를 실질적으로 동일한 채널을 통해 실질적으로 동시에 실질적으로 비-직교성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소정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메시지를 중계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로부터 통신될 주요 메시지 및 적어도 하나의 보조 메시지가 식별될 수 있다. 상기 주요 메시지는 하나 이상의 제 1 수신기 노드용으로 지정되고 적어도 하나의 보조 메시지는 하나 이상의 제 2 수신기 노드용으로 지정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보조 메시지는 주요 메시지 상으로 피기백되어 실질적으로 비-직교성의 피기백된 메시지를 형성하며 그에 따라 주요 메시지 및 적어도 하나의 보조 메시지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채널을 통해 실질적으로 동시에 송신될 수 있다.
소정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메시지를 중계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러한 시스템은 송신기 노드와 적어도 두 개의 수신기 노드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기 노드 및 적어도 두 개의 수신기 노드는 그들 사이에 적어도 주요 메시지와 적어도 하나의 보조 메시지를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주요 메시지와 적어도 하나의 보조 메시지는 피기백되어 실질적으로 비-직교성의 피기백된 메시지를 형성하며 그에 따라 주요 메시지 및 적어도 하나의 보조 메시지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채널을 통해 실질적으로 동시에 송신될 수 있다.
소정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노드의 네트워크를 통해 중계되는 메시지를 마련하는 송신기 노드에 사용되는 인코더가 제공된다. 피기백 모듈은 송신기 노드에 대한 수신기 노드의 신호-대-잡음 비율의 비교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 2 수신기 노드용으로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보조 메시지를 적어도 하나의 제 1 수신기 노드용으로 지정된 주요 메시지 상으로 피기백함으로써 피기백된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소정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중계될 메시지를 마련하는 송신기 노드에 사용되는 인코더가 제공된다. 피기백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제 2 수신기 노드용으로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보조 메시지를 적어도 하나의 제 1 수신기 노드용으로 지정된 주요 메시지 상으로 피기백함으로써 피기백된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피기백된 메시지는 실질적으로 비-직교성을 가질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주요 메시지 및 적어도 하나의 보조 메시지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채널을 통해 실질적으로 동시에 송신될 수 있다.
소정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노드의 네트워크를 통해 중계되는 메시지를 처리하는 수신기 노드에 사용되는 디코더가 제공된다. 분리 모듈은 송신기 노드에 대한 수신기 노드의 신호-대-잡음 비율의 비교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 2 수신기 노드용으로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보조 메시지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제 1 수신기 노드용으로 지정된 주요 메시지를 분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주요 메시지와 적어도 하나의 보조 메시지는 수신된 피기백된 메시지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소정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중계되는 메시지를 처리하는 수신기 노드에 사용되는 디코더가 제공된다. 분리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제 1 수신기 노드용으로 지정된 주요 메시지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제 2 수신기 노드용으로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보조 메시지를 분리함으로써 실질적으로 비-직교성의 피기백된 메시지를 분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선택에 따라, 디코더는 예를 들어 모듈의 복잡성 및/또는 구성요소를 줄이기 위해 디코딩 및/또는 피기백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 특징 및 장점은 본 발명의 일부이면서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는 첨부한 도면과 연계하여 후속하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첨부한 도면은 본 발명의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의 이해를 도모한다.
1. 비-직교성 통신 기법의 필요성
비-직교성 신호가 쉽게 분리될 수 있는 환경이 일반적으로 발견된다.
1.1 비-직교성 신호가 분리될 수 있는 예
수신된 신호 세기가 상당히 다른 채널이 잠재적으로 가장 적절하다. 도 1(a)를 다시 참조하면, 수신기(R2)에 의해 수신된 신호는 수신기(R1)에 의해 수신된 신호에 비교해 상당히 감쇠될 것이라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이동 위성 수신기가 이동 안테나의 보다 작은 애퍼처로 인해 고정된 위성 단말기의 수신기보다 상당히 낮은 신호 대 잡음 비율(SNR)에서 동작하는 경우 상당한 경로 손실 차이가 발생하는 여러 상황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약 1 피트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고정된 방향성 안테나는 5.7 GHz에서 약 20dB 이득보다 큰 이득을 제공한다. 제 2 예는 빔 에지에 위치한 위상 단말기는 빔 센터에 위치한 위성 수신기보다 낮은 에너지를 수신한다는 사실에 관련된다. 셋째로, 미터 당 폴리에지(foliage) 감쇠는 주파수에 따라 증가하고, 수신된 세기는 단지 몇 미터 내에서 30dB보다 많게 달라질 수 있다. 넷째로, 방해와 관련된 섀도잉 효과는 또한 수신된 신호 전력을 감소시킨다. 다중경로 채널에서, 시야가 깨끗한 사용자는 예를 들어 약 2의 전파 경로 손실 지수를 가질 수 있지만, 시야가 불투명한 채널은 예를 들어 약 4의 전파 경로 손실 지수를 가질 수 있다. 상당한 경로 손실 차이는 다양한 다른 상황에서도 발생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송신기(T3)와 수신기(R2) 사이에서 유용한 링크 성능을 유지하기 위해, 송신기(T3)는 전형적으로 약 1% 비트 에러 레이트보다 낮은 에러 레이트를 가지는 수신기(R2)의 수신을 보장하기에 충분한 RF 에너지를 전송해야 한다. 송신기(T3)로부터 전송되고, 수신기(R2)로 의도되어 R2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고려한다. 수신기(R1) 및 수신기(R2)는 동일한 브로드캐스트 영역 내에 있기 때문에, 수신기(R1)는 송신기(T3)로부터 수신기(R2)로의 전송을 에러 없이 디코딩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는 수신기(R1)가 수신한 송신기(T3)로부터 수신기(R2)로의 전송은 매우 높은 SNR을 가지기 때문이다. 송신기(T3)와 동일한 신호 공간을 사용하는 제 2 송신기(T4)가 도입되더라도, 송신기(T4)로부터의 신호가 송신기(T3)로부터의 신호에 비해 미약한 경우라면 수신기(R1)가 수신한 송신기(T3)로부터 수신기(R2)로의 전송은 에러없이 디코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도 2에 반영되어 있다.
RF 브래드캐스트 영역 내에 미약한 신호를 부가하는 것은 비-직교성 통신을 달성하기 위한 간단한 방식이다. 이 예의 미약한 신호 정보는 아래의 단계에 따라 디코딩되고, 또한 도 2를 참조하여 기술된다.
1. 수신기(R1)는 RF 신호(S)를 수신한다. 신호(S)는 수신기(R1)용으로 의도된 송신기(T4)로부터 송신된 미약한 신호와, 수신기(R2)용으로 의도된 송신기(T3)로부터 송신된 간섭에 강한 신호와, 잡음이 중첩(예를 들어, 합산)된 것이다.
2. 수신기(R1)는 수신기(R1)가 수신한 송신기(T3)로부터 수신기(R2)로 전송된 강한 신호를 결정 및 복제한다.
3. 수신기(R1)는 송신기(T3)로부터 수신기(R2)로 전송되며 수신기(R1)에 의해 수신된 신호를 신호(S)로부터 추출하여, 송신기(T4)로부터 수신기(R1)로 전송되며 수신기(R1)에 의해 수신된 신호 및 잡음을 남겨둔다.
4. 수신기(R1)는 수신기(R1)가 수신한 송신기(T4)로부터 수신기(R1)로 전송된 정보를 디코딩한다.
이러한 과정은 비-직교성 시그널링을 사용하는 다중 사용자 또는 다중 액세스 채널에 대응한다. 도 3(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송신기(T4,T3)로부터의 신호가 동일한 지점으로부터 송신되는 경우 채널은 브로드캐스트 채널이 된다. 여기서, 미약한 및 강한 신호 합산은 제어 및 동기화된다. 이것은 신호 검출을 간단하게 한다.
도 3(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비-직교성 시그널링이 좀처럼 고려되지 않는 또 다른 부류의 링크는 양방향 링크이다. 이론적으로, 역방향 링크용으로 송신된 신호 세트를 재사용할 수 있다. 이것은 수신된 신호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추출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완전한 추출은 구현하기가 어렵다. 그 이유는 하드웨어 송신 경로와 추정되어야 하는 자가-간섭(self-interfering)하는 수신 신호 사이에는 왜곡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원하는 신호(예를 들어, 송신기(T4)로부터 수신기(R3)로 전송된 신호)와 자가 간섭 신호(예를 들어, 송신기(T3)로부터 수신기(R3)로 전송된 신호) 사이의 동적 범위 차이는 극단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브리스톨 대학의 한 팀에 의해 설계된 "분할 없는(division-free)" 통신 송수신기는 성공적으로 증명되었다. 송신기의 재생성은 도 3(c)에 도시되어 있다. (Chen, S., M. Beach 및 J.McGeehan에 의한 "Division free duplex for wireless applications", Electronics Letters, 34.2, Jan. 1998:22를 참조)
1.2 이상적인 비-직교성 다중-사용자 통신 이론
1.2.1 이상적인 브로드캐스트 채널
비-직교성 시그널링을 지원하는 정보 이론은 Cover에 의해 처음으로 제공되었다. (Cover, T.M. "Broadcast Channel" IEEE Transactions on information Theory, vol. IT-18, Jan. 1972: pp. 2-14를 참조) 하나의 송신기와 두 개의 수신기를 갖는 가우시안 브로드캐스트 채널의 특별한 경우를 이제 설명할 것이다. (Cover, T.M. "Broadcast Channel" IEEE Transactions on information Theory, vol. IT-18, Jan. 1972: pp. 2-14; Cover, T.M. "Comments on Broadcast Channels", IEEE Transactions on Information Theory, vol. IT-44, Oct. 1998: pp. 2524-30; Cover, T.M 및 J.A. Thomas. Elements of Information Theory. New York: John Wile & Sons, 1991를 참조)
용량 함수는 다름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이 함수는 비트/신호 치수를 반영한다. 이 방정식에서, C는 용량이고, P는 신호 전력 제약 및 N은 잡음이다. 따라서, P/N은 신호 대 잡음 비율이다. Cover의 브로드캐스트 원리는 가우시안 브로드캐스트 채널에 대한 용량 영역이 신호 전력 제약(P)과 함께 다음과 같이 주어짐을 나타낸다.
미약한 및 강한 채널에 이용가능한 브로드캐스트 레이트의 예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미약한 경로에 대해 3dB의 기준선 수신 SNR이 가정되었다. 도 5에서, 강한 수신기에 대한 최대 백분율 전력 할당은 10%이다. 사용자 데이터 레이트는 미약한 경로 데이터 레이트에 대해 거의 감소 없이 강한 경로 수신기에 할당될 수 있다. 이동가능한 레이트의 포락선은 시스템 설계에 많은 융통성을 제공한다.
1.2.2 이상적인 다중 액세스 채널
다중 액세스 채널 용량 바운더리는 상이한 사용자가 공통 수신기에 전송할 수 있는 최대 레이트를 정의한다. 모델은 이상적이지만, 자유 공간을 통한 다중 사용자 수신은 어렵다. 다중경로 링크를 통한 다중 사용자 수신은 매우 어렵다(실제로 구현하기 불가능하다면). 그 결과는 공유 신호 세트를 통해 달성될 수 있는 것의 한계를 보여준다.
수신된 전력(P1, P2)을 갖는 2-사용자 가우시안 다중 액세스 채널은 다음과 같다.
가우시안 채널의 최대 결합 레이트는 동일한 전체 전력에서 단일 사용자 채널의 용량과 동일하다. 이 포락선은 일반적으로 무선 네트워크 설계에서는 무시되는데, 그 이유는 채널은 단일 송신기-수신기 쌍에 할당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채널이 T-R 쌍 1에 할당되는 경우, 용량 레이트 쌍은 (C1,0)이고, 채널에서 전송되는 전체 정보는 R1+R2=C1에 의해 주어진다.
채널에 의해 지원될 수 있는 (그러나 사용되지는 않는) 부가적인 정보 전달은 다음과 같다.
단일 사용자 용량의 백분율로서 이용가능한 부가적인 용량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SNR 범위는 터보 코딩된 시스템의 전형적인 동작 영역에 일치하도록 선택되었다.
위의 결과는 최대 전력이 제한된 전송을 가정한다. 이와 달리, 에너지와 관련하여 처리량을 최대화하는 것이 보다 중요할 수 있다. 바운더리를 이해하기 위해, 두 개의 송신 노드가 단기간 전력을 변경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모델이 이제 설명될 것이다. 이 경우, 실제 시스템은 에너지가 P1T1 및 P2T2로 제한된 원하는 신호 수신을 갖는 TDMA일 수 있으며, T1+T2=T이다. 이러한 에너지 제약에서 달성가능한 2-사용자 레이트는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원은 사용자의 슬롯 지속기간이 수신 전력(P1/T1=P2/T2)에 비례하여 할당되는 경우 발견되는 최대 전체 레이트의 위치를 나타낸다. TDMA를 사용하면, Cover 이론의 다중 액세스 용량 바운더리에 도달할 수 있다. 유감스럽게도, TDMA는 이러한 상황에서만 최적이다.
유사한 논의가 FDMA에 대해서 적용될 수 있다. Cover는 대역폭에 걸쳐 공유되는 비례 전력이 다중 액세스 바운더리에 도달함을 보여준다. 유감스럼게도, FDMA는 대개 피크 전송 에너지를 감소시키는 장점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TDMA보다 덜 플렉서블한 것으로 간주된다.
1.3 토폴로지 및 애플리케이션
브로드캐스트 및 다중 액세스 용량 영역은 대부분 연속적인 전송(예를 들어, 위성 통신)을 갖는 스타 네트워크에 직접 적용된다. 이 채널은 부가적인 백색 가우시안 잡음(AWGN) 채널로서 모델링될 수 있다. 고공 비행선은 유사한 통신 특성을 갖는다. 이들 네트워크는 전형적으로 빔 패턴 내에서 다양한 세기에 위치한 상이한 안테나 이득을 갖는 상이한 단말 구성을 포함한다.
결과는 패킷-스위칭 네트워크에 직접 적용가능하지 않으며, 그 이유는 큐, 패킷 오버헤드, 자동 반복 요청(ARQ) 및 프로토콜의 다른 측면은 모델링되지 않기 때문이다. 알더라도, 수신된 SNR은 소정의 정보 전달을 요구한다. 그러나, 곡선은 강한 채널과 미약한 채널을 한 쌍으로 하는 큐잉 시스템의 분야를 제시한다. 하나의 제안된 해결책은 브로드캐스트 채널 인자와 일치하지 않는 추가적인 신호 디멘션을 강한 사용자에게 할당하였다. 추가적인 신호 디멘션은 제 2 사용자에게는 요구되지 않는다. (Jung, K 및 J.M.Shea의 "Simulcast Packet Transmission in Ad Hoc Networks", IEEE Journal on Selected Areas in Communication, vol. 23, March 2005: pp. 486-495를 참조)
보다 복잡한 토폴로지는 ad-hoc 네트워크의 랜덤한 메시이다. 연구자들은 이들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 이론 방안을 개발하려 시도하였다. (Hajek, B 및 A. Ephremiders. "Information Theory and Communication Network: An Unconsummated Union" IEEE Transactions on Information Theory. 44.6, Oct. 1998: pp. 2416-34; Liang-Liang, X. 및 P.R.Kumar "A Network Information Theory of Wireless Communication: Scaling Laws and Optimal Operation" IEEE Transactions on Information Theory. 50.5 May 2004: pp. 748-67; Gupta, P. 및 P.R.Kumar "Towards an Information Theory of Large Networks: An Achievable Rate Region" IEEE Transactions on Information Theory 49.8, Aug 2003을 참조)
다중 사용자 시그널링 및 수신은 소정의 네트워크 내의 운송 용량에 도달할 것을 요구받는다. 관련된 기본적인 문제는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성능을 어떻게 측정할 것인 가이다. 예를 들어, 해결되지 않은 문제점은 네트워크의 원하는 특징을 포착하기 위해 운송 용량이 비트-미터에 기초해야 하는지와, 접속성 또는 처리량 대신에 거리를 강조해야 하는 지와, 실제로 적용가능하며 수학적으로 다루기 쉬운 조치에 관한 것이다. ad-hoc 네트워크와 연관된 이들 기본적인 문제점은 해결되기에는 멀다.
가장 간단한 메시는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세 개의 노드를 갖는다. 모든 노드가 공통 브로드캐스트 영역에 위치해 있다는 가정 하에, 상이한 송수신기 복잡성 모델에서의 전체 시스템 용량은 도 9에 도시되어 있다(이하에서 더 기술된다). 전체 시스템 용량은 모든 링크 상에서 전송된 모든 데이터의 합이다. 각 노드에는 동일한 송신 전력 및 수신기 SNR이 할당된다. 이상적인 모델은 다음과 같다.
1) 하나의 링크만을 가정하는 시분할 시스템은 어느 때라도 사용될 수 있다. 대응하는 시스템 용량은 이다.
2) 분할 없는 듀플렉스를 갖는 시분할은 이다.
3) 모든 링크가 분할 없는 듀플렉스를 통해 (대칭에 의해) 동시에 동작하는 경우 달성된 시스템 용량은 이다.
4) 분할 없는 듀플렉스가 존재하지 않는 동시적인 링크 시스템 용량은 이다.
네 개의 방정식이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이들 방정식은 수신된 전력이 동일한 경우, 분할 없는 전송을 통해 큰 용량 이득이 이용가능하지만, 수신 SNR이 낮은 경우 다중 사용자 브로드캐스트 및 다중 액세스 시스널링에서는 비교적 작은 이득만이 이용가능하다. 높은 SNR(미도시)에서, 사용자가 동일한 수신 SNR을 갖는다면 다중 사용자 전략의 장점은 없다.
1.4 링크 거리 대 용량
링크 거리 대 용량에 대해 논의할 때, 두 개의 기본적인 논쟁이 제기된다. 첫 번째는 노드와 주어진 수신 레이트를 허용하는 그의 근접 이웃 사이의 최대 거리에 관한 것이다. 두 번째는 다중-사용자 수신에 대한 이론 거리 장점에 관한 것이다. 후자의 논쟁은 특히 메시 네트워크, 셀룰러 시스템 및 LEO 위성 시스템을 고려하는 경우 제기된다.
용량 대 거리는 도 10에 도시되어 있으며, 1 내지 6-사용자 수신에 대해 감쇠 지수 2 (자유 공간)를 갖는 간단한 경로 손실 모델에 기초하고 있다. 도 11은 감쇠 지수 3을 갖는 동일한 데이터를 나타낸다. 결과를 해석하는 상이한 방식이 존재한다. 한편으로는, 협력 전송은 네트워크 내의 이웃 간의 거리를 상당히 연장시킬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위성 시스템을 고려하면, 보다 낮은 궤도는 상당히 적은 수의 위성으로도 주어진 수신 레이트를 전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1.5 피기백 시스템 해법
전술한 결과가 주어지면, 수신된 신호 전력 차이가 큰 환경에 다중 사용자 브로드캐스트 시그널링이 적합할 수 있다. 상호 브로드캐스트 영역은 두 개의 링크 세트로 분할될 수 있는데, 즉 예를 들어 보다 저조한 전송을 지원할 수 있는 하나의 링크 세트와, 보다 우수한 전송을 지원하는 다른 링크 세트로 분할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피기백은 동일한 채널 상에서, 또는 동일한 시간-주파수-대역폭 스케일 상에서 동시에 전송될 수 있는 둘 이상의 메시지를 지칭한다(예를 들어, 송신기 A는 수신기(B)에 제 1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고 수신기(C)에 제 2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데, 양 메시지는 단일 메시지 내에 포함되고 양 수신기에 동시에 전송된다). 소정의 비제한적 구현에서, 피기백 통신 기능은 네트워크 내의 노드 간의 각 링크 쌍 간의 SNR 차이를 조사함으로써 보다 정교하게 결정될 수 있다.
2. 예시적인 피기백 기법
피기백 기법을 구현하는 소정의 예시적인 모듈이 이제 설명될 것이다. 물론, 후속하는 설명은 예로서 제한없이 제공된다. 이러한 모듈은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노드에 의해, 네트워크 내의 노드와 연관된 다른 메카니즘 등에 의해 저장 및 실행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모듈은 소스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 간의 소정의 결합으로서 구현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다양한 인코더 및 디코더가 예시적인 모듈과 관련하여 설명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임의의 인코딩/디코딩 프로토콜이 단독으로 또는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소정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 코딩, 층형 코딩, 터보 코딩 등을 구현할 수 있다.
2.1 강한 신호 상에 하나의 미약한 신호를 피기백하는 예시적인 기법
종래의 브로드캐스팅에서, 동일한 데이터가 브로드캐스트 영역 내의 모든 사용자에게 전송된다. 따라서, 송신 전력은 가장 약한 수신기에도 도달하기에 충분하도록 실질적으로 연속적으로 강해야 한다. 이것은 피기백 네트워크에 바람직한 상황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가장 약한 수신기와 가장 강한 수신기 간의 차이가 증가할수록, 독립적인 정보 신호(예를 들어, 제 3 신호)를 전송에 추가할 수 있다. 부가적인 수신기의 SNR은 강한 수신기와 약한 수신기의 중간에서 데시벨 범위로 있을 필요가 있다. 이것은 강한 SNR과 약한 SNR 사이의 차이가 증가함에 따라 제 3 (제 4 등) 사용자의 전력 설정을 보다 플렉서블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한 수신기와 약한 수신기 사이의 대략 40dB 신호 차이는 제 2 피기백 전송(예를 들어, 제 3 신호)을 삽입하는데 합당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트리캐스트(tricast)와 거의 동일한 구성을 야기할 수 있다. 그러나, 보다 넓게는, 이러한 과정은 소정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추가적인 신호(예를 들어, 이하에서 더 설명됨)를 부가하도록 (예를 들어, 조건들이 바람직한 소정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를 통해) 일반화될 수 있다.
도 12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피기백 인코딩 모듈(1200)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주요 인코딩된 데이터(1202) 및 피기백 인코딩된 데이터(1204)는 모듈(1200)에 입력된다. 피기백 인코딩된 데이터(1204)는 주요 인코딩된 데이터(1202)보다 미약하도록 스케일러(1208)에 의해 스케일 팩터(1206)만큼 스케일링될 수 있다. 임의의 수의 스케일 팩터가 사용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관련 신호 세기를 약 100:1의 비율로 감소시키는 스케일 팩터가 일반적으로 충분하나, 이러한 큰 스케일 감소는 모든 구현에서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닐 수 있다. 소정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실제 손실은 알려질 수 있고 데이터는 그에 따라 스케일링될 수 있다. 소정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손실은 (예를 들어, 신호 세기에 있어서 1/r2 대 1/r3 감소를 가정함으로써) 추정될 수 있다. 스케일러(1208) 및 주요 인코딩된 데이터(1202)는 합산기(1210)에 의해 합산되고, 처리된 출력(1212)은 노드의 송신기에 전송될 수 있다.
도 13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피기백 디코딩 모듈(1300)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노드가 피기백 인코더(1200)에 의해 인코딩된 메시지를 수신하면, 수신된 데이터(1302)는 처리될 수 있다. 첫째, 주요 데이터 인코더(1304)는 본래의 주요 데이터(1306)를 디코딩 및 출력할 수 있다. 인코딩된 피기백 데이터는 수신된 데이터(1302)로부터 주요 데이터의 시뮬레이팅된(simulated) 전송을 추출함으로써 검색될 수 있다.
주요 데이터의 전송을 시뮬레이팅하기 위해, 본래의 주요 데이터(1306)는 주요 인코더(1308)에 의해 인코딩되고, 채널 효과(1312)는 결과적인 인코딩된 주요 데이터(1310)와 결합된다. 따라서, 시뮬레이팅된 데이터(1314)가 얻어지고, 그것은 추출기(1316)기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1302)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주요 데이터의 디코딩 및 주요 데이터의 인코딩은 적어도 일부의 처리 선행 시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시뮬레이팅된 데이터(1314)가 추출기(1316)용으로 준비될 때까지 수신된 데이터(1302)를 (예를 들어 메모리 등에) 저장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와 달리, 또는 이에 덧붙여, 하나 이상의 버퍼가 메모리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임의의 지연 메카니즘이 사용되어 시뮬레이팅된 데이터(1314)가 얻어지기 전에 수신된 데이터(1302)의 처리로부터 추출기(1316)를 지연시킬 수 있다.
추출된 출력은 (예를 들어, 스케일링, 채널 효과 등을 보상하기 위해) 피기백 데이터 디코더(1320)에 의해 디코딩될 수 있는 인코딩된 피기백 데이터(1318)를 나타낸다. 끝으로, 피기백 데이터(1322)는 출력될 수 있다.
2.2 두 개의 미약한 신호를 강한 신호 상으로 피기백하는 예시적인 기법
도 14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세 개의 데이터 스트림을 인코딩하는 피기백 인코딩 모듈(1400)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주요 인코딩된 데이터(1402) 및 제 1 및 제 2 피기백 인코딩된 데이터(1404a-b)가 모듈(1400)에 입력된다. 제 1 및 제 2 피기백 인코딩된 데이터(1404a-b)는 모두 주요 인코딩된 데이터(1402)보다 미약하도록 스케일러(1406a-b)에 의해 제각기의 스케일 팩터에 의해 스케일링된다. 합산기(1408)는 주요 인코딩된 데이터(1402)와, 제 1 및 제 2 피기백 인코딩된 데이터(1404a-b)를 합산한다. 처리된 출력(1410)은 노드의 송신기로 전송될 수 있다.
도 15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세 개의 데이터 스트림을 디코딩하는 피기백 디코딩 모듈(1500)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노드가 피기백 인코더(1400)에 의해 인코딩된 메시지를 수신하면, 수신된 데이터(1502)는 처리될 수 있다. 첫째, 주요 데이터 디코더(1504)는 본래의 주요 데이터(1506)를 디코딩 및 출력할 수 있다. 인코딩된 제 1 피기백 데이터는 수신된 데이터(1502)로부터 주요 데이터의 시뮬레이팅된 전송을 추출함으로써 검색될 수 있다.
주요 데이터의 전송을 시뮬레이팅하기 위해, 본래의 주요 데이터(1506)는 주요 인코더(1508)에 의해 인코딩되고, 채널 효과(1512)가 결과적으로 인코딩된 주요 데이터(1510)와 결합된다. 따라서, 시뮬레이팅된 주요 데이터(1514)가 획득되고, 그것은 수신된 데이터(1502)로부터 제 1 추출기(1516)에 의해 추출될 수 있다. 위와 같이, 제 1 추출기(1516)가 수신된 데이터(1502)를 처리하기 전에 지연 메카니즘을 구현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추출된 출력은 인코딩된 제 1 및 제 2 피기백 데이터(1518)를 나타낸다.
프로세스는 본질적으로 메시지에 남겨진 것으로부터 두 개의 피기백 데이터 스트림을 추출할 때까지 반복된다. 따라서, 제 1 피기백 데이터 디코더(1520)는 인코딩된 제 1 및 제 2 제 2 피기백 데이터(1518)를 디코딩한다. 제 1 피기백 데이터(1522)는 이 지점에서 출력될 수 있다. 인코딩된 제 1 피기백 데이터(1522)의 전송은 궁극적으로 제 2 피기백 데이터를 산출하기 위해 인코딩된 제 1 및 제 2 피기백 데이터(1518)로부터 추출될 수 있도록 시뮬레이팅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제 1 피기백 데이터(1522)는 제 1 피기백 인코더(1524)에 의해 인코딩되고, 결과적으로 인코딩된 제 1 피기백 데이터(1526)에 채널 효과(1528)가 적용된다. 시뮬레이팅된 인코딩된 제 1 피기백 데이터(1530)는 인코딩된 제 1 및 제 2 피기백 데이터(1522)로부터 추출기(1532)에 의해 추출될 수 있다. 또 다시, 제 2 추출기(1532)가 제 1 피기백 데이터(1522)를 처리하기 전에 제 2 지연 메카니즘을 구현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인코딩된 제 2 피기백 데이터(1534)는 제 2 피기백 데이터 디코더(1536)에 의해 디코딩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제 2 피기백 데이터(1538)는 출력될 수 있다.
2.2 미약한 신호를 강한 신호 상에 피기백하는 예시적인 일반화된 기법
전술한 기법은 (예를 들어, 인코딩 및 디코딩 브랜치 또는 루프를 부가함으로써) 부가적인 데이터 스트림에 사용될 수 있다. 이들 기법은 부가적인 데이터 스트림이 특히 디코더 모듈에 대한 메시지 내로 삽입되기 때문에 귀찮아질 수 있다. 따라서, 소정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바람직하게는 브랜치를 붕괴시켜 예시적인 단일-다중 피기백 디코더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스를 일반화하고 하나 이상의 스트림을 수용하는 하나의 예시적인 기법은 디코더 내에 스위치를 구현하는 것과 관련된다. 도 16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스위치를 구현하는 단일-다중 피기백 디코더(1600)이다.
도 16에 도시되어 있는 예시적인 모듈에서, 수신된 데이터(1602)는 스위칭 모듈(1604)로 입력된다. 스위치(1604)는 디코딩되어야 하는 데이터(예를 들어, 디코딩 프로세스가 적용되는 범위)를 제어할 수 있다. 스위치(1604)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패리티 비트를 스트림 내에 내장시킴으로써, 간단한 카운트를 유지함으로써 이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데이터 스트림은 스위치(1604)로부터 디코더(1608)로 중계될 수 있으며, 스위치 정보(1606)를 사용하여 디코딩되어야 하는 스트림을 디코더(1608)에 지시할 수 있다. 디코더(1608)는 디코딩된 데이터(1610)를 출력할 수 있다. 스트림으로부터 추출될 전송을 시뮬레이팅하기 위해, 디코딩된 데이터(1610)는 인코더(1612)에 의해 인코딩될 수 있고, 채널 효과(1616)가 인코딩된 데이터(1614)에 적용될 수 있다. 시뮬레이팅된 스트림(1618)은 스위치 데이터(1606)에 의해 지시되는 바 대로, 본래의 데이터 스트림(1602)으로부터 추출기(1620)에 의해 추출될 수 있다. 추출된 출력(1622)은 본래의 수신된 데이터(1602)로서 기능하고 스위치(1604)로 공급된다. 스위치(1604)는 이 때 업데이트될 수 있다(예를 들어, 카운터는 증가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패리트 비트가 변경될 수 있다). 프로세스는 주요 스트림 상에 피기백되는 스트림의 수에 적합한 임의의 횟수만큼 반복될 수 있다. 마지막 루프에서, 추출된 출력(1622)은 스위치를 통과하는 일 없이 직접 출력될 수 있다(미도시). 이와 달리, 또는 그에 덧붙여, 데이터는 스위치를 통과할 수 있지만, 스위치 데이터(1606)는 디코딩할 데이터는 없고 데이터는 디코딩 데이터(1610)로서 출력될 수 있음을 디코더(1608)에 알려주며, 프로세스는 인코더(1612)에서 또는 그 후에 중단된다(예를 들어, 인코딩 및 추출할 데이터가 남아있지 않기 때문에).
도 17은 주요 데이터가 전송된 경우에만 수신될 수 있는 신호의 추정을 제공하는 예시적인 메카니즘이다. 달리 설명하면, 이 프로세스는 수신된 신호와 본래의 코딩된 스트림 사이에서 가장 잘 맞는 매칭을 계산하는 선택사항인 추가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단계는 인코딩된 메시지를 디코딩하는 경우 필요한 동기화 파라미터를 개선하기 위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7의 출력(1706)은 도 16의 시뮬레이팅된 스트림(1618)에 대응한다. 송신기와 수신기 사이에서, 다양한 채널 효과는 송신된 신호가 수신되기 전에 그 신호를 왜곡시킬 수 있다. 이들은 자유 공간 손실 및 섀도잉에 관련된 감쇠와, 캐리어 위상 및 심볼 타이밍의 모호성 및 표류와, 스펙트럼 및 다중경로 페이딩과, 하드웨어 왜곡 등과 관련된다. 디코딩된 데이터(1702)는 채널 효과 블록(1704)에 입력되고 재 인코딩되어, 전송된 신호의 이상적인 복제를 생성한다. 채널 효과 추정기는 이들 효과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측정하고 전송된 신호의 이상적인 복제를 수정하려 시도하며, 재 인코딩된 채널 효과 출력(1706)으로서 출력한다. 채널 효과 추정기의 품질을 측정하기 위해 상관 블록(1708)이 사용된다. 보다 높은 상관은 채널 효과 파라미터가 보다 큰 충실도로 측정됨을 나타낸다. 상관 블록은 상관 신호 및 상관 메트릭을 출력하며, 이는 채널 효과 추정기에 공급된다. 일부 경우, 예를 들어 상과 출력에 대한 미분과 같은 연산의 실행은 에러 신호로서 사용되어 채널 효과 추정기의 품질을 개선할 수 있다.
3.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피기백하는 예시적인 기법
3.1 노드 간의 예시적인 전송
전술한 바와 같이, 송신기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노드는 송신기에 대해 미약한 신호를 가진다는 문제점이 일반적으로 고려된다(예를 들어, 송신기로부터 멀리 위치한 노드는 송신기에 인접하게 위치한 노드에 비해 낮은 SNIR을 갖는다). 적어도 이러한 이유로 인해, 종래의 통신은 한번에 단 하나의 메시지만을 전송하며, 수신 영역 내의 임의의 노드는 부적합한 메시지를 무시한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서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이 특징을 기술적 장점으로서 이용할 수 있되,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가까운 노드 및 한 이상의 멀리 있는 노드로 데이터를 실질적으로 동시에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예시적인 실시예는 대역폭의 재사용을 허용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주파수 재사용 기법과 연관된 장점과 대략 유사한 장점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소정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하나의 가까운 노드와 하나의 멀리 있는 노드로 메시지를 통신하도록 구현되는 경우 대역폭을 실질적으로 이중으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실시예는 (예를 들어, 제각기의 SNR에 의해 추론되는) 거리에 기초한 필터링 통신으로 여겨질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소정의 예시적인 기법에 따라 전송/수신된 통신은 수신된 SNR의 큰 차이를 갖는 다수의 노드에 동시적인 전송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전술한 충돌 문제를 감소시킬 수 있고 네트워크 처리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라우팅에 대한 충돌이 감소된 하나의 방안은 다음과 같다.
3.1.1 메시지를 전송하는 예시적인 기법
도 18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가 피기백될 수 있는 방식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단계(S1802)에서, 전송될 다음 패킷의 링크 SNR이 결정된다. 그런 다음, 단계(S1804)에서 다음 패킷에 대해 피기백을 허용하는 가능한 파트너 링크가 결정된다. 단계(1806)에서 피기백이 가능한 것으로 결정되면, 단계(S1808)에서 데이터는 피기백되고 단계(S1810)에서 전송된다. 그러나, 단계(S1806)에서 피기백이 가능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되면, 데이터는 피기백되지 않고 단계(S1810)에서 종래의 방식으로 전송된다. 이 과정은 간단한 주요 메시지 및 보조 메시지를 초과하여 피기백 및 전송하는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루핑(loop)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이 과정은 링크 SNR 추정치의 리스트가 각 노드마다 이용가능하다는 것을 가정한다. 정적 네트워크에서, 링크 SNR은 미리 알려질 수 있다. 그러나, 또 다른 상황에서(예를 들어, 동적 네트워크가 제공되는 경우), 링크 SNR은 진행 중(예를 들어, 메시지가 하나의 노드에서 다음 노드로 전달되는 동안, 메시지가 하나의 노드에서 다음 노드로 전달되려 하는 경우)에 추정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피기백 채널과 관련된 데이터 레이트 상승을 포함하는) 링크 당 이용가능한 데이터 레이트 추정치는 라우팅, 네트워크 및 토폴로지 관리 프로토콜에 공급될 수 있다. 소정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가능한 토폴로지 최적화의 일 예는 시스템이 네트워크에 걸친 보다 적은 수의 홉(hop) 및 용량에 기초하여 최적화되도록 분할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각 세트 내에 적합한 가까운 및 먼 통신 노드를 포함하도록 인접 및 안테나 패턴 빔(예를 들어, 방향성 안테나의 브로드캐스트 영역)을 정렬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빔 내에 다수의 링크(예를 들어, 가까운 링크 및 먼 링크)가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 다른 예로서,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노드는 실질적으로 일정한 피드백을 다른 노드에 제공할 수 있고, 링크 SNR은 이 정보에 기초하여 예시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전력 제어는 CDMA 프로토콜 구현과 유사하게 SNR을 추정하는 메카니즘을 제공할 수 있다. 이 정보가 이용가능하지 않은 경우, 데이터는 임의의 방식으로 피기백될 수 있다(또한, 예외사항은 수신기에서 또는 네트워크 내에서 차후에 처리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또는 그에 덧붙여, 데이터는 종래의 방식으로 전송될 수 있다.
도 19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가 피기백될 수 있는 방식을 자세히 나타낸다. 도 19는 예시적인 단계(S1808)를 보다 자세히 나타낸다. 특히, 단계(S1902)에서, 각 노드에서의 패킷의 큐는 파트너 링크를 사용하는 대부분 순방향 패킷에 대해 탐색된다. 그러나, 보다 일반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는 알려져 있는, 추정된 등의 피기백 링크 세트에 따라 큐잉된다. 파트너 링크는 주요 데이터 및 보조 데이터와 연관된 링크이다. 예를 들어, 주요 데이터가 A에서 B로 전송되고 보조 데이터는 C로 전송되는 경우, 전송 A->C 및 A->는 파트너 링크일 수 있다. 결과적인 패킷은 피기백 패킷으로 표시될 수 있다. 다음 패킷을 선택하는데 사용되는 선택 기준은 선택에 따라 파트너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큐로부터 다음 패킷을 선택하는 동일한 메카니즘은 가능한 파트너 리스트로부터 피기백 패킷을 선택할 수 있다. 잠재적인 피기백 채널에 대해 링크 SNR 및 매칭 큐를 추정함으로써, 통신 네트워크에서 지연은 감소되고, 처리량은 증간될 수 있다.
단계(S1904)에서 다음 패킷 및/또는 피기백 패킷(들)은 링크 SNR에 따라 스케일링될 수 있다. 스케일링은 예를 들어 두 링크의 상대적 SNR에 의존할 수 있다. 네트워크의 동작 파라미터(예를 들어, 비트 에러 레이트, 패킷 에러 레이트 등)는 다양한 가중 팩터를 제시할 수 있기 때문에, 최적의 가중이 실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단계(S1906)에서, 다음 패킷 및/또는 피기백 패킷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단계(S1810)에서 결합된 패킷은 전송될 수 있을 것이다. 또 다시, 이 프로세스는 주요 메시지 및 보조 메시지보다 많은 다중 메시지 피기백을 수용하기 위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루핑될 수 있다.
도 19에 도시되어 있는 프로세스의 예로서, 브로드캐스트 영역 내에 다섯 개의 링크가 있는 시스템을 가정한다. 네 개의 링크는 가능한 파트너 링크로서 추정된다. 파트너 링크가 다음 패킷의 수신기보다 높은 수신 SNR 20 dB를 갖도록 하는 것이 기준일 수 있다. 두 개의 링크가 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더 가정한다. 큐는 이들 링크 중 하나를 사용하는 대부분 순방향 패킷에 대해 탐색될 수 있다. 탐색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계산 강화(예를 들어, 링크 파트너를 사전결정하고 콘텐츠 어드레스가능 메모리를 사용함)가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이 예는 예시적으로 제공될 뿐이며 제한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링크 세트 정보는 전술한 기법에 덧붙여 또는 그와는 별개로 다양한 방식으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스(A)로부터 수신지(C)로 두 개의 패킷이 스케쥴링된 것으로 가정한다. A가 C에 직접 도달한 경우, 네트워크는 A에서 C 링크를 두 번 사용할 것을 선택할 수 있다. 이제 A에서 B는 A에서 C의 파트너 링크인 것으로 가정한다. 이 경우, B를 경유하여 C로 전송되는 A(A에서 B로, 그 다음 B에서 C로)는 두 개의 패킷을 전달할 수 있는 방법이다. 이러한 구성을 사용하는 네트워크 알고리즘(예를 들어 네트워크 라우팅 알고리즘) 구현은 지연 감소, 처리량 증가 등의 네트워크 리소스 이점을 가질 수 있다.
3.1.2 메시지를 수신하는 예시적인 기법
대응하여, 낮은 SNR을 갖는 수신기는 통상적인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는 반면, 보다 높은 SNR을 갖는 수신기는 이 수신기에 피기백 링크가 할당된 경우에 피기백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소정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스트림의 비트(예를 들어 어드레싱 비트)는 의도된 수신기(들)를 식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어드레싱에 필요한 비트의 수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 내의 노드의 수, 메시지가 동신에 전송될 수 있는 노드의 수 등에 의존할 수 있다.
터보 코드를 채용하는 기본적인 시뮬레이션은 피기백 패킷이 분리될 수 있음을 증명하도록 생성되었다. 이러한 예시적인 시뮬레이션에서, 각각의 전송된 블록은 채널 세기 차이만큼 스케일링된 보조 코드워드에 부가된 주요 코드워드를 포함하였다. 20dB 및 30dB의 관련 채널 차이에서는 성능 저하가 발견되지 않았지만, 10dB 전력 차이에서 보다 미약한 수신기에서는 0.6 dB Eb/No 손실이 관찰되었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및 다른 예시적인 구현 측면은 모델링되지 않았지만, 소정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이러한 측면을 수용하도록 구현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3.2 예시적인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변형
소정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하나의 송신기 노드가 방향성 안테나를 가지고 있고 하나 이상의 수신기 노드가 그와 연관된 전반향 안테나를 가지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하다. 따라서, 송신기와 수신기 간의 거리는 소정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보다 빠른 전송을 가능하게 하도록 이용할 수 있는 SNR 구성을 생성하는 거리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전방향 안테나로부터 전반향 안테나로의 통신은 또한 유사한 구성을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예를 들어 위성 네트워크, 셀룰러 네트워크, PDA가 서버와 통신하는 네트워크 등에서 발견될 수 있다.
피기백 통신이 구현될 수 있는 또 다른 구성은 동일한 위치에서 두 개의 상이한 안테나 애퍼처(apertures)를 사용하는 것과 관련된다. 예를 들어, 도 20(a)-(b)는 송신기와 수신기 모두가 두 개의 안테나를 포함하는 또 다른 변형을 지칭하는데, 각 송신기 안테나는 상이한 애퍼처를 갖는다. 특히, 도 20(a)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각 안테나가 상이한 애퍼처를 갖는 두 개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통신하는 예시적인 송신기를 나타내며, 도 20(b)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두 개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도 20(a)의 송신기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예시적인 수신기를 나타낸다. 이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두 개의 메시지의 전송은 동일한 주파수 상에서 동일한 변조를 통해 그러나 두 개의 상이한 안테나 애퍼처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송신기(2000)는 안테나 애퍼처(A)(2002)를 통해 하나의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고 안테나 애퍼처(B)(2004)를 통해 다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가까운 영역/먼 영역 천이는 상이한 최대 치수를 갖는 안테나 애퍼처(A)(2002) 및 B(2004)를 제공함으로써 대략 2D2/λ(D는 안테나 애퍼처의 최대 치수이고 λ는 파장임)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가까운/먼 브레이크포인트는 두 개의 전송에 대해 다를 것이다. 그 결과, 송신기쪽을 가리키는 라인을 따라 거리(d)만큼 떨어져 있는 두 개의 수신 안테나(2012,2014)를 구비한 수신기(2010)는, (α가 적절히 설정되는 경우) 합산기(2018)에서 수신 안테나(2014)의 출력에 부가되는 경우 스케일러(2016)에 의해 수신 안테나(2012)의 출력에 적절히 (예를 들어 -α의 팩터 만큼) 가중치를 부여함으로써 송신기 안테나 애퍼처(A)(2002) 또는 송신기 애퍼처(B)(2004)로부터의 전송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다.
먼 영역 브레이크포인트 및 송신 전력을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이 두 개의 애퍼처 기반 통신 실시예는 또한 가장 먼 수신기가 보다 덜 먼 수신기로의 전송으로부터 임의의 인지가능 간섭을 수신하지 않도록 구현될 수 있고 따라서 가장 먼 수신기는 두 개의 안테나 애퍼처 및 가중 결합기를 사용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예를 들어, 하나의 안테나는 주로 예를 들어 대략 1/r2에서 강하(drop-off)하는 필드에 대한 통신 신호를 방출하고, 다른 안테나는 주로 예를 들어 대략 1/r3에서 강하하는 필드에 대한 통신 신호를 방출할 수 있다. 비교적 떨어져 있는 수신기는 대략 1/r3에서 강하하는 방출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이와 달리, 또는 그에 덧붙여, 송신기에 인접한 수신기는 차동 안테나를 사용함으로써 대략 1/r3 신호의 SNR을 강화할 수 있다.
또 다른 선택사항의 변형예는 유한 워드-길이, 확장가능 워드, 무한 워드(또는 시뮬레이팅된 무한 워드-길이) 등을 사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아날로그-디지털 해법은 또한 소정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성능에 대한 SNR 에러 레이트의 영향을 (예를 들어, SNR을 추정하고 그에 따라 잉여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고려할 수 있다.
전술한 예시적인 실시예는 (예를 들어, SNR을 사용하는) 물리 계층에 대한 액세스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그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소정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링크 비트 에러 레이트 및/또는 패킷 에러 레이트와 함께 링크 성능의 상당한 차이를 이용하여 결합 전송 레이트를 결정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2-사용자 이진 브로드캐스트 채널에 대한 예시적인 레이트 곡선이 도 21에 도시되어 있는데, 사용자 1은 10E-6 BER에서 동작한다. (Cover, T.M 및 J.A. Thomas. Element of Information Theory. New York: John Wile & Sons, 1991을 참조) 사용자 2의 성능이 저조한 링크는 이동 위성 채널에서 발생할 수 있는 BER의 범위를 반영하도록 선택되었다. 곡선은 시분할 다중화(TDM)를 통한 브로드캐스트 코딩의 장점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미약한 채널이 20% BER인 경우, TDM은 사용자 2가 0.24 비트/전송을 요구할 때 사용자 1이 0.14 비트/전송에서 동작하도록 할 수 있고, (0.21, 0.24)의 결합 레이트가 브로드캐스트 코딩에 이용가능하다. 위성 채널 페이딩은 시간에 걸쳐 상관되고 곡선에서는 모델링되지 않는다. 또한, 멀티캐스트와 같은 다른 기법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소정의 기법과 연계하여 또는 그를 대체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대부분 무선 통신에 관해 설명되고 있지만, 본 발명이 그렇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몇몇 기술은, 예를 들어 공용 통신 버스를 사용하는 시스템과 같은 유선 시스템에 적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가장 실용적이고 바람직한 것으로 현재 고려되는 것과 관련하여 설명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에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 내에 포함되는 다양한 수정물 및 등가의 장치를 포괄하는 것으로 의도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위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예는 다른 실시예와 함께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일 실시예의 양상은 다른 실시예의 양상과 조합되어 또 다른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게 한다.

Claims (47)

  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메시지를 중계하는 방법에 있어서,
    송신기로부터 통신될 주요 메시지(primary message)와 적어도 하나의 보조 메시지(secondary message)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주요 메시지는 제 1 수신기 노드용으로 지정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메시지는 제 2 수신기 노드용으로 지정됨 -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메시지가 상기 주요 메지시 상에 피기백(piggyback)될 수 있음을 나타내는 신호에 응답하여, 피기백된 메시지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메시지를 상기 주요 메시지 상으로 피기백하는 단계- 상기 신호는 상기 송신기 노드에 대한 상기 제 1 수신기 노드 및 상기 제 2 수신기 노드의 특성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함 -와,
    상기 피기백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시지 중계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내의 노드 간의 각 링크에 대응하는 특성을 저장하는 리스트를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메시지 중계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는 정적인
    메시지 중계 방법.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는 상기 노드 간의 피드백에 기초하여 유지되는
    메시지 중계 방법.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상기 리스트에 더 기초하는
    메시지 중계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신기 노드의 상기 특성은 상기 송신기 노드에 대한 SNR이고, 상기 제 2 수신기 노드의 상기 특성은 상기 송신기 노드에 대한 SNR인
    메시지 중계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기백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메시지를 스케일 팩터만큼 스케일링하여 스케일링된 메시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주요 메시지와 상기 스케일링된 메시지를 합산하는 단계에 의해 더 실행되는
    메시지 중계 방법.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 노드에 대한 상기 제 1 수신기 노드의 SNR과 상기 송신기 노드에 대한 상기 제 2 수신기 노드의 SNR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스케일 팩터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메시지 중계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요 메시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메시지를 식별하는 상기 단계는 피기백될 수 있고 및/또는 피기백되는 대부분 순방향 패킷에 대한 메시지 큐를 탐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메시지 중계 방법.
  10.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메시지를 중계하는 방법에 있어서,
    송신기 노드 및 적어도 두 개의 수신기 노드를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송신기 노드로부터 전송될 주요 메시지와 적어도 하나의 보조 메시지를 식별하는 단계- 각 메시지는 메시지 큐에 저장되고, 각 메시지는 데이터의 패킷을 포함함 -와,
    전송될 상기 주요 메시지의 다음 패킷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다음 패킷에 대해 피기백을 지원할 수 있는 상기 네트워크 내의 노드 간의 가능한 파트너 링크를 식별하는 단계와,
    피기백이 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에 응답하여 보조 메시지 각각의 패킷을 상기 주요 메시지의 상기 다음 패킷 상으로 피기백함으로써 완전한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완전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신호는 상기 송신기 노드에 대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수신기 노드의 관련 신호-대-잡음 비율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는
    메시지 중계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각 보조 메시지의 패킷을 상기 주요 메시지의 상기 다음 패킷 상으로 피기백하는 상기 단계는,
    각각의 보조 메시지에 대해, 파트너 링크를 사용하는 대부분 순방향 보조 패킷에 대한 메시지 큐를 탐색함으로써 피기백 패킷을 식별하는 단계와,
    링크 신호 대 잡음 비율에 따라 각 피기백 패킷을 스케일링하는 단계와,
    상기 다음 패킷과 각각의 피기백 패킷을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메시지 중계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일링은 상기 송신기에 대한 상기 수신기의 신호 대 잡음 비율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는
    메시지 중계 방법.
  13. 제 10 항 내지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내의 노드 간의 각 링크에 대해 링크 신호 대 잡음 비율을 추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메시지 중계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노드 간의 실질적으로 일정한 피드백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각 파트너 링크에 대한 상기 링크 신호 대 잡음 비율을 추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메시지 중계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은 진행 중에(on the fly) 이루어지는
    메시지 중계 방법.
  16.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메시지를 중계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송신기 노드 및 적어도 두 개의 수신기 노드를 포함하되, 상기 송신기 노드 및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수신기 노드는 그들 사이에 적어도 주요 메시지와 적어도 하나의 보조 메시지를 통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주요 메시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메시지는 상기 송신기 노드에 대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수신기 노드의 신호-대-잡음 비율의 비교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송신기 노드로부터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수신기 노드로 전송되며,
    상기 주요 메시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메시지는 상기 비교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피기백되는
    메시지 중계 시스템.
  17. 제 16 항에 있어서,
    통신될 메시지를 저장하도록 동작가능한 노드와 연관된 메시지 큐를 더 포함하는
    메시지 중계 시스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내의 노드 간의 각 링크에 대한 SNR의 리스트를 더 포함하는
    메시지 중계 시스템.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는 상기 리스트를 업데이트하도록 동작가능한
    메시지 중계 시스템.
  20. 제 18 항 또는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내의 노드 간의 각 링크에 대한 비교를 포함하는 리스트를 더 포함하는
    메시지 중계 시스템.
  21. 제 16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노드는 피기백 메카니즘을 포함하고, 상기 피기백 메카니즘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메시지를 스케일링하여 스케일링된 메시지를 형성하도록 동작가능한 스케일러와,
    상기 스케일링된 메시지와 상기 주요 메시지를 합산하도록 동작가능한 합산기를 포함하는
    메시지 중계 시스템.
  22. 제 17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큐는 피기백될 수 있고 및/또는 피기백되는 대부분 순방향 패킷을 출력하도록 동작가능한
    메시지 중계 시스템.
  23. 제 16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가 상기 송신기 노드에 대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수신기 노드에 대한 상당한 SNR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주요 메시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메시지는 피기백되는
    메시지 중계 시스템.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당한 SNR은 100:1인
    메시지 중계 시스템.
  25.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메시지를 중계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송신기로부터 통신될 주요 메시지와 적어도 하나의 보조 메시지를 식별하는 수단- 상기 주요 메시지는 제 1 수신기 노드용으로 지정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메시지는 제 2 수신기 노드용으로 지정됨 -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메시지가 상기 주요 메지시 상에 피기백될 수 있음을 나타내는 신호에 응답하여, 피기백된 메시지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메시지를 상기 주요 메시지 상으로 피기백하는 수단- 상기 신호는 상기 송신기 노드에 대한 상기 제 1 수신기 노드 및 상기 제 2 수신기 노드의 특성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함 -와,
    상기 피기백된 메시지를 전송하는 송신기를
    포함하는 메시지 중계 시스템.
  26.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메시지를 중계하는 방법에 있어서,
    송신기 노드의 제 1 안테나에 의해 통신될 제 1 메시지와 송신기 노드의 제 2 안테나에 의해 통신될 제 2 메시지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제 1 안테나 및 상기 제 2 안테나는 실질적으로 다른 안테나 애퍼처(apertures)를 가짐 -와,
    상기 네트워크의 가까운 영역과 먼 영역 간의 브레이크포인트 차이에 의존하여 상기 제 1 메시지 및 상기 제 2 메시지를 상기 제 1 안테나 및 상기 제 2 안테나를 사용하여 실질적으로 동일한 채널을 통해 실질적으로 동시에 실질적으로 비-직교성으로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시지 중계 방법.
  27. 제 26 항에 있어서,
    별개의 애퍼처를 갖는 두 개의 안테나를 구비한 수신기 노드에 의해 상기 제 1 메시지 및 상기 제 2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안테나 애퍼처에 의존하여 상기 메시지를 스케일링 및 분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메시지 중계 방법.
  28. 제 26 항 또는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테나는 대략 1/r2의 신호 강하 레이트(signal drop-off rate)를 가지고 상기 제 2 안테나는 대략 1/r3의 신호 강하 레이트를 갖는
    메시지 중계 방법.
  29.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메시지를 중계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각각이 별개의 애퍼처를 갖는 두 개의 송신 안테나를 구비한 송신기 노드와,
    두 개의 수신 안테나를 구비한 수신기 노드- 각 수신 안테나는 상기 송신 안테나의 안테나 애퍼처에 대응하는 별개의 애퍼처를 가짐 -를 포함하되,
    상기 송신기 노드는 상기 네트워크의 가까운 영역과 먼 영역 간의 브레이크포인트 차이에 의존하여 제 1 안테나를 사용하는 제 1 메시지와 제 2 안테나를 사용하는 제 2 메시지를 실질적으로 동일한 채널을 통해 실질적으로 동시에 실질적으로 비-직교성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메시지 중계 시스템.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 노드는 상기 제 1 메시지 및 상기 제 2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 안테나 애퍼처에 의존하여 상기 메시지를 스케일링 및 분리하도록 동작가능한
    메시지 중계 시스템.
  31. 제 29 항 또는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송신 안테나는 대략 1/r2의 신호 강하 레이트를 가지고 상기 제 2 송신 안테나는 대략 1/r3의 신호 강하 레이트를 갖는
    메시지 중계 시스템.
  32.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메시지를 중계하는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 노드로부터 통신될 주요 메시지와 적어도 하나의 보조 메시지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주요 메시지는 하나 이상의 제 1 수신기 노드용으로 지정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메시지는 하나 이상의 제 2 수신기 노드용으로 지정됨 -와,
    상기 주요 메시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메시지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채널을 통해 실질적으로 동시에 송신될 수 있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메시지를 상기 주요 메시지 상으로 피기백하여 실질적으로 비-직교성의 피기백된 메시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시지 중계 방법.
  33. 제 32 항에 있어서,
    수신기 노드가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메시지가 피기백된 메시지인지 여부에 의존하여 상기 메시지를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메시지 중계 방법.
  34. 제 32 항 또는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피기백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 노드와,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 수신기 노드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 2 수신기 노드 사이에서 사전정의된 SNR에 의존하여 수행되는
    메시지 중계 방법.
  35. 제 32 항 내지 제 3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기백된 메시지는 멀티캐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 중계 방법.
  36.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메시지를 중계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송신기 노드 및 적어도 두 개의 수신기 노드를 포함하되, 상기 송신기 노드 및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수신기 노드는 그들 사이에 적어도 주요 메시지와 적어도 하나의 보조 메시지를 통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주요 메시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메시지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채널을 통해 실질적으로 동시에 송신될 수 있도록, 상기 주요 메시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메시지는 피기백되어 실질적으로 비-직교성의 피기백된 메시지를 형성하는
    메시지 중계 시스템.
  37. 제 36 항에 있어서,
    각 수신기 노드는 수신 메시지가 피기백된 메시지인지 여부에 의존하여 상기 수신 메시지를 처리하도록 더 구성되는
    메시지 중계 시스템.
  38. 제 36 항 또는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주요 메시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메시지는 상기 송신기 노드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수신기 노드 간의 사전정의된 SNR에 의존하여 피기백되는
    메시지 중계 시스템.
  39. 제 36 항 내지 제3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요 메시지는 하나 이상의 수신기 노드로 브로드캐스트되는
    메시지 중계 시스템.
  40. 제 36 항 내지 제 3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기백된 메시지는 멀티캐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 중계 시스템.
  41. 노드의 네트워크를 통해 중계되는 메시지를 마련하는 송신기 노드에 사용되는 인코더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 노드에 대한 수신기 노드의 신호-대-잡음 비율의 비교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 2 수신기 노드용으로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보조 메시지를 적어도 하나의 제 1 수신기 노드용으로 지정된 주요 메시지 상으로 피기백함으로써 피기백된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피기백 모듈을 포함하는
    인코더.
  42.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에 기초하여 상기 피기백된 메시지, 상기 주요 메시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하는
    인코더.
  43.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중계될 메시지를 마련하는 송신기 노드에 사용되는 인코더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제 2 수신기 노드용으로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보조 메시지를 적어도 하나의 제 1 수신기 노드용으로 지정된 주요 메시지 상으로 피기백함으로써 피기백된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피기백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주요 메시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메시지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채널을 통해 실질적으로 동시에 송신될 수 있도록, 상기 피기백된 메시지는 실질적으로 비-직교성을 가지는
    인코더.
  44. 송신기 노드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를 처리하는 수신기 노드에 사용되는 디코더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 노드에 대한 상기 수신기 노드의 신호-대-잡음 비율의 비교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 2 수신기 노드용으로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보조 메시지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제 1 수신기 노드용으로 지정된 주요 메시지를 분리하도록 분리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주요 메시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메시지는 수신된 피기백된 메시지 내에 포함되는
    디코더.
  45. 제 44 항에 있어서,
    디코딩 및/또는 피기백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디코더.
  46.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중계되는 메시지를 처리하는 수신기 노드에 사용되는 디코더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제 1 수신기 노드용으로 지정된 주요 메시지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제 2 수신기 노드용으로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보조 메시지를 분리함으로써 실질적으로 비-직교성의 피기백된 메시지를 분리하도록 구성된 분리 모듈을 포함하는
    디코더.
  47. 제 46 항에 있어서,
    디코딩 및/또는 피기백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디코더.
KR1020097012916A 2006-12-19 2007-12-19 메시지 중계 방법 및 시스템, 인코더 및 디코더 KR1014414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640,994 2006-12-19
US11/640,994 US8483240B2 (en) 2006-12-19 2006-12-19 Piggyback networks
PCT/US2007/025825 WO2008082514A1 (en) 2006-12-19 2007-12-19 Piggyback network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2758A true KR20090102758A (ko) 2009-09-30
KR101441431B1 KR101441431B1 (ko) 2014-09-23

Family

ID=39527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2916A KR101441431B1 (ko) 2006-12-19 2007-12-19 메시지 중계 방법 및 시스템, 인코더 및 디코더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483240B2 (ko)
EP (1) EP2095252B1 (ko)
JP (1) JP5394253B2 (ko)
KR (1) KR101441431B1 (ko)
CA (1) CA2672394C (ko)
WO (1) WO20080825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6318B1 (ko) * 2004-09-07 2006-10-18 삼성전자주식회사 CoA 바인딩 프로토콜을 이용한 어드레스 오너쉽인증방법 및 그 시스템
US8457044B2 (en) 2007-09-24 2013-06-04 Qualcomm Incorporated Selective review of bundled messages from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8199681B2 (en) * 2008-12-12 2012-06-12 General Electric Company Software radio frequency canceller
US8976850B2 (en) * 2010-03-11 2015-03-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in a multiple-user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U-MIMO) environment
US8379584B2 (en) * 2010-04-15 2013-02-19 General Electric Company Generalized division free duplexing techniques for decreasing rendevous time
US9647705B2 (en) 2015-07-16 2017-05-09 LGS Innovations LLC Digital self-interference residual cancellation
US10198291B2 (en) 2017-03-07 2019-02-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untime piggybacking of concurrent jobs in task-parallel machine learning programs
US11026066B2 (en) * 2017-09-14 2021-06-01 Airmagnet, Inc. Determining wireless network device location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05894A (en) * 1997-04-04 1999-12-21 Kumar; Derek D. AM-compatible digital broadcasting method and system
US6154661A (en) * 1997-12-10 2000-11-28 Arraycomm, Inc. Transmitting on the downlink using one or more weight vectors determined to achieve a desired radiation pattern
US6175588B1 (en) * 1997-12-30 2001-01-16 Motorola, Inc.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interference suppression using adaptive equalization in a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 system
AU739474B2 (en) * 1998-06-13 2001-10-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non-orthogonal noise power for CDMA communication system
US6961314B1 (en) * 1998-10-30 2005-11-01 Broadcom Corporation Burst receiver for cable modem system
US6597923B1 (en) * 2000-10-23 2003-07-2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er power control
GB2399998B (en) * 2001-02-01 2005-04-13 Fujitsu Ltd Communications systems
US6909755B2 (en) * 2001-03-27 2005-06-21 At&T Corp. Method and system for increasing data throughput in communications channels on an opportunistic basis
JP2002313383A (ja) * 2001-04-11 2002-10-25 Denso Corp 燃料電池システム
US7139334B2 (en) * 2001-06-21 2006-11-21 Bartlett Alan M Cooperative code-enhanced multi-user communications system
US6885711B2 (en) * 2001-06-27 2005-04-26 Qualcomm Inc Turbo decoder with multiple scale selections
US6967598B2 (en) * 2004-02-20 2005-11-22 Bae Systems Information And Electronic Systems Integration Inc Reduced complexity multi-turbo multi-user detector
WO2004071001A1 (en) * 2003-02-03 2004-08-19 Mcgill University System and method for data communication over multi-input, multi-output channels
WO2004075442A2 (en) * 2003-02-19 2004-09-02 Flarion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apparatus of enhanced coding in multi-user communications systems
US7545765B2 (en) * 2003-04-11 2009-06-0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ulti-user diversity forwarding
CN1799075A (zh) * 2003-06-02 2006-07-05 匹兹堡大学高等教育联邦体系 在诸如芯片或印刷电路板的无线无系留装置上的用于从空间获得能量的天线
US8527621B2 (en) * 2003-08-22 2013-09-03 Thomson Licensing Autologging the presence of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KR20050076900A (ko) * 2004-01-26 2005-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송 환경에 따라 피기백의 적용 여부를 적응적으로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랜 통신방법
WO2005104442A2 (en) * 2004-04-15 2005-11-03 Airgo Networks, Inc. Packet concatenation in wireless networks
US8000377B2 (en) * 2004-05-24 2011-08-16 General Dynamics C4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variable rate multiple access short message communications
US7519054B2 (en) * 2005-01-27 2009-04-14 Intel Corporation Replication of multicast data packets in a multi-stage switching system
US7738859B2 (en) * 2005-03-10 2010-06-15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ulti-nod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requesting, reporting and collecting destination-node-based measurements and route-based measurements
US7577438B2 (en) * 2005-04-25 2009-08-18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efficient addressing and power savings in wireless systems
US7869417B2 (en) * 2005-07-21 2011-01-11 Qualcomm Incorporated Multiplexing and feedback support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JP5041715B2 (ja) * 2006-03-15 2012-10-03 富士通株式会社 周波数分割多重送受信装置及びその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394253B2 (ja) 2014-01-22
US8483240B2 (en) 2013-07-09
EP2095252A4 (en) 2014-05-07
JP2010514363A (ja) 2010-04-30
KR101441431B1 (ko) 2014-09-23
CA2672394A1 (en) 2008-07-10
WO2008082514A1 (en) 2008-07-10
EP2095252B1 (en) 2019-11-13
EP2095252A1 (en) 2009-09-02
US20080144666A1 (en) 2008-06-19
CA2672394C (en) 2016-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1431B1 (ko) 메시지 중계 방법 및 시스템, 인코더 및 디코더
US8520569B2 (en) Coverage improvement in wireless systems with fixed infrastructure based relays
KR100788661B1 (ko) 다중입력 다중출력 시스템을 위한 능동 다중경로 생성 방법및 장치
WO2009061660A1 (en) Method and system of threshold selection for reliable relay stations grouping for downlink transmission
JP2011504325A (ja) ダウンリンク伝送に対する機会主義的ハイブリッド中継選択方式の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US11765762B2 (en) Network-enabled connectivity for disadvantaged communication links
CA2672416C (en) System and method for relaying turbo-coded piggyback messages
Escrig Splitting algorithm for DMT optimal cooperative MAC protocols in wireless mesh networks
Kravchuk et al. " Best" relay selection algorithm for wireless networks with cooperative relaying
Bao et al. Multi-connectivity using erasure code for reliable transmission in millimeter wave communications
An et al. Performance Evaluation Of Multi-Hop Relaying IoTs Networks Using Hop-By-Hop Cooperative Transmission Under Impact of Co-channel Interference.
Butcharoen et al. An adaptive cooperative protocol for multi-hop wireless networks
Wei et al. Network coded power adaptation scheme in non-orthogonal multiple-access relay channels
Tadayon et al. A cooperative transmission approach to reduce end-to-end delay in multi hop wireless ad-hoc networks
Kurniawan et al. Successive dirty paper coding: New relaying scheme for cooperative networks
Upadhyay et al. INTERNATIONAL JOURNAL OF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TECHNOLOGY (IJECET)
Ghatkheda-Amravati Amplify and Forward Cooperative Diversity for TSV-Model Based 60 GHz WPA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