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2624A - Platform door device - Google Patents

Platform door device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2624A
KR20090102624A KR1020080135477A KR20080135477A KR20090102624A KR 20090102624 A KR20090102624 A KR 20090102624A KR 1020080135477 A KR1020080135477 A KR 1020080135477A KR 20080135477 A KR20080135477 A KR 20080135477A KR 20090102624 A KR20090102624 A KR 200901026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oor
horizontal
rear end
horizonta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54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051394B1 (en
Inventor
히로마사 츠츠미
Original Assignee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102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262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1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1394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52Frames specially adapted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1/00Means for allowing passage through fences, barriers or the like, e.g. stiles
    • E06B11/02Gates;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Abstract

PURPOSE: A platform door apparatus including a front vertical frame and a rear vertical frame is provided to reduce the load applying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a door body. CONSTITUTION: A platform door apparatus comprises a cover(12) and a door body(14). The cover is installed in on the platform. The cover has a casing(32), and a frame(28) supported with the casing. The door body moves the cover back and forth. The door body includes a frame body(60). The frame body is comprised of a plurality of frame materials(58). The frame body screws of a plurality of frame materials. A plurality of frame materials is made of aluminum or the aluminum alloy.

Description

플랫폼 도어 장치{PLATFORM DOOR DEVICE}Platform Door Device {PLATFORM DOOR DEVICE}

본 발명은 플랫폼에 설치되어서 사용되는 플랫폼 도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tform door device installed and used on the platform.

종래, 일본 특허공개 2004-114824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두껍닫이와 도어 바디(door body)를 갖고, 도어 바디가 두껍닫이에 대하여 진퇴 이동함으로써 승강 통로를 개폐하는 플랫폼 도어 장치가 알려져 있다. 상기 공보에 개시된 플랫폼 도어 장치에서는, 도어 바디는 프레임체 형상으로 조립된 프레임재에 투명판을 끼워 넣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프레임재를 프레임체 형상으로 조립하기 위해서는 프레임재끼리를 용접에 의해 접합하는 것이 행하여지고 있다. Conventionally, a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4-114824, a platform door device having a lid and a door body and opening and closing a lifting passage by moving the door body forward and backward with respect to the lid is known. In the platform door device disclosed in the above publication, the door body has a structure in which a transparent plate is inserted into a frame member assembled into a frame shape. In order to assemble the frame member into a frame body, joining of the frame members by welding is performed.

종래와 같이, 프레임재를 용접해서 프레임체를 제작하는 경우에는 이하의 문제가 있다. 즉, 프레임재를 용접하면 변형이 생기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프레임체를 제작하는 작업은 변형을 수정하면서 작업하게 된다. 프레임재는 어느 정도의 크기를 갖기 때문에 변형 수정의 작업에는 노동력을 필요로 하고, 그 조정 작업은 시간이 걸리는 작업이 되고 있다.As in the related art, when the frame member is welded to produce a frame body, there are the following problems. That is, since welding may cause deformation of the frame member, the work of manufacturing the frame body is performed while correcting the deformation. Since the frame member has a certain size, the work of deformation correction requires labor, and the adjustment work is time-consuming work.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한 플랫폼 도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latform door device which solves the above-mentioned problem.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 바디의 제작 작업에 가해지는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는 플랫폼 도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latform door device that can reduce the burden on the production work of the door body.

본 발명의 일국면에 따르는 플랫폼 도어 장치에 의하면, 플랫폼 도어 장치는 플랫폼 상에 설치할 수 있게 구성되는 두껍닫이체와, 이 두껍닫이체에 진퇴 이동할 수 있게 지지되는 도어 바디를 구비하고, 상기 도어 바디는 복수의 프레임재에 의해 구성되는 프레임체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체는 상기 복수의 프레임재를 서로 체결한 구성이다.According to a platform door devi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tform door device has a lid body configured to be installed on the platform, and a door body supported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on the lid body, wherein the door body has a plurality of The frame body is comprised by the frame material of the said frame body, Comprising: The said frame body is the structure which fastened the said several frame material mutuall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플랫폼 도어 장치의 정면도이다.1 is a front view of a platform doo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플랫폼 도어 장치의 좌측의 두껍닫이체 및 도어 바디를 나타내고 있고, 두껍닫이체 내의 주요부를 실선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2 is a view showing a lid body and a door body on the left side of the platform door device of FIG. 1, and showing main parts in the lid body by solid lines.

도 3은 도 2를 부분적으로 확대해서 두껍닫이체 및 도어 바디의 하부에 있어서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3 is a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lid and the lower part of the door body by partially expanding FIG. 2. FIG.

도 4는 도 3의 IV-IV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It is sectional drawing in the IV-IV line | wire of FIG.

도 5는 도 3의 V-V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V in FIG. 3.

도 6은 도 3의 VI-Vl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Vl of FIG. 3.

도 7은 도 2를 부분적으로 확대해서 두껍닫이체 및 도어 바디의 상부에 있어서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inside in the upper part of a lid | cover body and a door body, partially expanding FIG.

도 8은 도 1의 플랫폼 도어 장치의 좌측의 두껍닫이체 및 도어 바디의 내부를 위로부터 본 상태에서 나타내는 도면이다.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inside of the lid | cover body and the door body of the left side of the platform door apparatus of FIG. 1 in the state seen from the top.

도 9는 연결 부재의 본체부의 사시도이다.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body of the connecting member.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on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referring drawings.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플랫폼 도어 장치(10)는 1쌍의 두껍닫이체(l2,12)와, 각 두껍닫이체(12)에 각각 진퇴 이동할 수 있게 지지되는 도어 바디(14)를 구비하고 있다. 이 플랫폼 도어 장치(10)는 플랫폼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배열됨으로써 플랫폼을 내측과 외측(궤도측)으로 구획한다. 그리고, 도 1과 같이 도어 바디(14)가 두껍닫이체(12)로부터 진출한 위치에 있을 때에는 승강 통로(18)는 폐쇄되고, 반면에 도어 바디(14)가 두껍닫이체(12) 내로 후퇴함으로써 두껍닫이체(12) 사이의 승강 통로(18)가 개방된다. As shown in FIG. 1, the platform door apparatus 10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is a pair of lid | cover lid bodies 12 and 12, and the door body 14 supported so that advancing and moving can be carried out to each lid | cover body 12, respectively. Equipped with. The platform door device 10 is arranged along the edge of the platform to divide the platform into an inner side and an outer side (orbit side). And when the door body 14 is in the position which advanced from the lid body 12 as shown in FIG. 1, the lifting passage 18 will be closed, while the door body 14 will retreat into the lid body 12, and the lid body will be retracted. The lifting passage 18 between 12 is opened.

두껍닫이체(12)는 플랫폼 상에 설치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고, 도어 바디(14)를 수납할 수 있게 정면에서 볼 때에 직사각형상의 상자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양 두껍닫이체(12,12)는 도어 바디(14,14)가 진출하는 개구부(도시 생략)가 마주보는 자세로 서로 이간해서 설치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랫폼 도어 장치(10)가 소위 쌍미닫이식의 가동 펜스로서 구성되어 있다. 단, 플랫폼 도어 장치로서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외미닫이식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The lid 12 is configured to be installed on a platform, and is configured in a rectangular box shape when viewed from the front to accommodate the door body 14. Both lid bodies 12 and 12 are provid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posture in which openings (not shown) through which the door bodies 14 and 14 advance, face each other. That is, in this embodiment, the platform door apparatus 10 is comprised as what is called a double sliding type fence.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s a platform door apparatus, For example, it may be comprised by a sliding type.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좌측의 두껍닫이체(12)를 나타내는 것이다. 우측의 두껍닫이체(12)도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좌측의 두껍닫이체(12) 및 도어 바디(14)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두껍닫이체(12)에는 도어 바디(14)를 개폐 구동하기 위한 구동원으로서 기능하는 모터(20)와, 이 모터(20)의 구동력을 받아서 주행하는 주행체로서의 무단 벨트(2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면 중의 부호 24는 트림 시일(trim seal)이다. FIG. 2 shows the lid 12 on the left side in FIG. 1. Since the right lid 12 has the same configuration, only the left lid 12 and the door body 14 will be described here. As shown in FIG. 2, the lid 12 has a motor 20 which functions as a drive sourc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body 14, and an endless belt as a traveling body which runs under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20 ( 22) is installed. In addition, the code | symbol 24 in a figure is a trim seal.

모터(20)는 기대(28)에 고정되어 있다. 이 기대(28)는, 도어 바디(14)의 이동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연장되도록 두껍닫이체(12) 내에 설치되는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기대(28)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의 압출재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고, 중공상으로 형성되어 있다(도 4∼도 6 참조). The motor 20 is fixed to the base 28. This base 28 is comprised by the member provided in the lid 12 so that it may extend linearly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door body 14. As shown in FIG. The base 28 is comprised by the extruded material of aluminum or an aluminum alloy, and is formed in hollow shape (refer FIG. 4 thru | or 6).

기대(28)는 도 3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 끝부가 각각 브래킷(30)을 통해서 두껍닫이체(12)의 케이싱(32)에 체결되어 있다. 두껍닫이체(12)의 케이싱(32)은 박육의 패널을 상자형으로 조립한 케이싱 본체(34)와, 이 케이싱 본체(34)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는 보강 부재(35)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보강 부재(35)는 강판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기대(28)를 체결하기 위한 브래킷(30)은 볼트·너트에 의해 이 보강 부재(35)에 체결되어 있다. 또한, 케이싱 본체(34)에 있어서의 궤도 측면을 구성하는 패널(37) 및 그 반대 측면을 구성하는 패널(38)에는, 도 4∼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 보강부(40)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본체 보강부(40)는 박육의 패널을 절곡 가공한 것이다. 본체 보강부(40)를 측면 패널(37,38)에 고정함으로써 패널(37,38)의 강성이 향상된다. As shown in FIG. 3, the base 28 is fastened to the casing 32 of the lid 12 via the bracket 30, respectively. The casing 32 of the lid body 12 is comprised by the casing main body 34 which assembled the thin panel in box shape, and the reinforcing member 35 fixed to this casing main body 34 by welding etc. The reinforcement member 35 is comprised by the steel plate. The bracket 30 for fastening the base 28 is fastened to this reinforcement member 35 by a bolt nut. Moreover, as shown in FIGS. 4-6, the main body reinforcement part 40 is each in the panel 37 which comprises the track | orbit side surface in the casing main body 34, and the panel 38 which comprises the opposite side surface. It is installed. The main body reinforcement part 40 is a bending process of the thin panel. The rigidity of the panels 37 and 38 is improved by fixing the body reinforcement portion 40 to the side panels 37 and 38.

기대(28)의 승강 통로(18)측의 끝부에 모터(20)가 고정되는 한편, 기대(28)에 있어서의 승강 통로(18)와는 반대측의 끝부에는 종동 풀리(43)를 지지하는 지지대(44)가 고정되어 있다. 모터(20) 및 지지대(44)는 기대(28)의 상면에 적재된 후에 기대(28)에 고정되어 있다.A support for supporting the driven pulley 43 at the end opposite to the lifting passage 18 in the base 28 while the motor 20 is fixed to the end on the lifting passage 18 side of the base 28 ( 44) is fixed. The motor 20 and the support base 44 are fixed to the base 28 after being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28.

상기 무단 벨트(22)는 모터(20)의 구동축에 고정된 구동 풀리(46)와 상기 종동 풀리(43)에 걸처져 있다. 구동 풀리(46)는 모터(20)의 상방에서 연직 축둘레로 회전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무단 벨트(22)에는 도어 바디(14)에 연결되는 도어 행거(48)가 결합되어 있다. The endless belt 22 spans the drive pulley 46 and the driven pulley 43 fixed to the drive shaft of the motor 20. The drive pulley 46 is arranged to rotate around the vertical axis above the motor 20. The endless belt 22 is coupled to a door hanger 48 connected to the door body 14.

기대(28)에는 도 4∼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니어 레일(50)이 지지되어 있다. 즉, 리니어 레일(50)을 지지하는 부재와 모터(20)를 지지하는 부재가 1개의 부재[기대(28)]에 의해 공용되어 있다. 리니어 레일(50)은 도어 바디(14)를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리니어 레일(50)은 도어 바디(14)의 이동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서 기대(28)의 측면에 고정되어 있다. 리니어 레일(50)에는 슬라이더(52)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슬라이더(52)는 도어 바디(14)에 설치되는 것이고, 슬라이더(52)가 리니어 레일(50)을 따라 슬라이딩함으로써 도어 바디(14)는 개폐 동작한다. The linear rail 50 is supported by the base 28 as shown in FIGS. That is, the member which supports the linear rail 50 and the member which supports the motor 20 are shared by one member (expectation 28). The linear rail 50 is for guiding the door body 14. The linear rail 50 is provided to extend linearly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door body 14 and is fixed to the side of the base 28. The slider 52 is slidable to the linear rail 50. The slider 52 is provided in the door body 14, and the door body 14 opens and closes by sliding the slider 52 along the linear rail 50.

상기 도어 행거(48) 및 상기 슬라이더(52)는 도어 바디(14)에 설치된 연결 부재(55)에 결합되어 있다. 즉, 도어 바디(14)는 복수의 프레임재(58)에 의해 구성되는 프레임체(60)와, 이 프레임체(60)에 결합되는 연결 부재(55)와, 외장 패널(62)을 갖고 있다. 그리고, 도어 행거(48)와 슬라이더(52)가 이 연결 부재(55)에 체결되어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두껍닫이체(12)에는 보조 센서(64) 및 비상 정지 버튼(65)이 설치되어 있다. The door hanger 48 and the slider 52 are coupled to a connecting member 55 installed in the door body 14. That is, the door body 14 has the frame body 60 comprised by the several frame material 58, the connection member 55 couple | bonded with this frame body 60, and the exterior panel 62. As shown in FIG. . The door hanger 48 and the slider 52 are fastened to the connecting member 55. 6, the auxiliary body 64 and the emergency stop button 65 are provided in the lid 12. As shown in FIG.

여기에서, 도어 바디(14)의 프레임체(60)의 구성에 대하여 상술한다. Here, the structure of the frame 60 of the door body 14 is explained in full detail.

프레임체(60)는 도 2, 도 3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문 선단측 종프레임(67), 문 후단측 종프레임(68), 상부 횡프레임(71), 하부 횡프레임(72), 제 1 횡프레임(73), 및 제 2 횡프레임(74)을 갖고 있다. 이들 프레임(67,68,71∼74)은 모두 프레임재(58)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문 선단측 종프레임(67)은 도어 바디(14)의 문 선단에 설치되고, 문 후단측 종프레임(68)은 도어 바디(14)의 문 후단에 설치되며, 상부 횡프레임(71)은 문 선단측 종프레임(67)의 상단부 및 문 후단측 종프레임(68)의 상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하부 횡프레임(72)은 문 선단측 종프레임(67)의 하단부 및 문 후단측 종프레임(68)의 하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있다. 이들 횡프레임(71∼74)과 종프레임(67,68)의 결합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볼트·너트에 의한 체결이다. As shown in FIG. 2, FIG. 3, and FIG. 7, the frame body 60 is the door front side vertical frame 67, the door rear side vertical frame 68, the upper horizontal frame 71, and the lower horizontal frame 72. , First horizontal frame 73, and second horizontal frame 74. These frames 67, 68, 71-74 are all comprised by the frame material 58. As shown in FIG. The door end side vertical frame 67 is installed at the door front end of the door body 14, the door end side vertical frame 68 is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door body 14, and the upper horizontal frame 71 is the door It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front end side frame 67 and the upper end of the door rear end vertical frame 68, respectively, the lower horizontal frame 72 is the lower end of the door front side vertical frame 67 and the rear end of the vertical frame 68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each). Coupling of these horizontal frames 71-74 and vertical frames 67, 68 is fastening by a bolt nut as mentioned later.

이들 문 선단측 종프레임(67), 문 후단측 종프레임(68), 상부 횡프레임(71), 및 하부 횡프레임(72)에 의해 구성되는 프레임체(60)의 직사각형상 부분에는 궤도측 및 그 반대측으로부터 덮도록 상기 외장 패널(62)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문 선단측 종프레임(67)에는 문 선단 고무(76)가 부착되어 있다. The orbital side and the rectangular portion of the frame body 60 constituted by these door front end side vertical frames 67, the door rear end side vertical frames 68, the upper horizontal frame 71, and the lower horizontal frame 72 are provided. The exterior panel 62 is provided so as to cover from the opposite side. The door end rubber 76 is attached to the door end side vertical frame 67.

제 1 횡프레임(73) 및 제 2 횡프레임(74)은 상부 횡프레임(71) 및 하부 횡프레임(72)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이들 횡프레임(73,74)은 상부 횡프레임(71)과 하부 횡프레임(72) 사이의 중간 높이에 배치됨과 아울러 상부 횡프레임(71) 및 하부 횡프레임(72)에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 2 횡프레임(74)은 제 1 횡프레임(73)보다 하방에 배치되고, 이들 제 1 횡프레임(73)과 제 2 횡프레임(74) 사이에는 소정의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The first horizontal frame 73 and the second horizontal frame 74 are formed longer than the upper horizontal frame 71 and the lower horizontal frame 72. These transverse frames 73 and 74 are arranged at the intermediate height between the upper transverse frame 71 and the lower transverse frame 72 and are provided in parallel to the upper transverse frame 71 and the lower transverse frame 72. The second horizontal frame 74 is disposed below the first horizontal frame 73, and a predetermined gap is formed between the first horizontal frame 73 and the second horizontal frame 74.

제 1 횡프레임(73) 및 제 2 횡프레임(74)은 그 문 선단측의 끝부가 문 선단측 종프레임(67)의 중간 위치의 측면에 결합되어 있다. 즉, 문 선단측 종프레임(67)은 제 1 횡프레임(73) 및 제 2 횡프레임(74)에 의해 분단되는 일 없이 상단으로부터 하단에 걸쳐서 연속된 상태로 설치되고, 문 선단측 종프레임(67)의 중간부에는 제 1 횡프레임(73) 및 제 2 횡프레임(74)의 문 선단측의 끝부가 접촉한 상태로 결합되어 있다. 이들 횡프레임(73,74)과 문 선단측 종프레임(67)의 결합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볼트·너트에 의한 체결이다. As for the 1st horizontal frame 73 and the 2nd horizontal frame 74, the edge part of the door front end side is couple | bonded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intermediate position of the door front side vertical frame 67. As shown in FIG. That is, the door front side vertical frame 67 is installed in a continuous state from the top to the bottom without being divided by the first horizontal frame 73 and the second horizontal frame 74, and the door front side vertical frame ( The end of the door front end side of the 1st horizontal frame 73 and the 2nd horizontal frame 74 is couple | bonded with the intermediate part of 67). Coupling of these transverse frames 73 and 74 and the door end side vertical frame 67 is fastening by a bolt nut as mentioned later.

제 1 횡프레임(73) 및 제 2 횡프레임(74)의 문 후단측의 끝부는 문 후단측 종프레임(68)보다 두껍닫이체(12)의 안을 향하는 방향(승강 통로(18)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횡프레임(73) 및 제 2 횡프레임(74)은 그 중간 위치에서 문 후단측 종프레임(68)의 중간 위치에 결합되어 있다. 즉, 문 후단측 종프레임(68)은 제 1 횡프레임(73) 및 제 2 횡프레임(74)에 의해 분단된 상태로 설치됨과 아울러 제 1 횡프레임(73) 및 제 2 횡프레임(74)의 중간 위치에 결합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문 후단측 종프레임(68)은 1개의 프레임재(58)를 상측부(68a), 중간부(68b)와 하측부(68c)로 분할한 것이고, 이 상측부(68a)의 하단부가 제 1 횡프레임(73)의 상면에 결합되며, 중간부(68b)의 상단부가 제 1 횡프레임(73)의 하면에 결합됨과 아울러 중간부(68b)의 하단부가 제 2 횡프레임(74)의 상면에 결합되고, 하측부(68c)의 상단부가 제 2 횡프레임(74)의 하면에 결합되어 있다. 이들 횡프레임(73,74)과 문 후단측 종프레임(68)의 결합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볼트·너트에 의한 체결이다. End portions at the rear end side of the door of the first transverse frame 73 and the second transverse frame 74 are directed toward the inside of the lid body 12 rather than the rear end side frame 68 (direction away from the lift passage 18). Protrudes. In addition, the first horizontal frame 73 and the second horizontal frame 74 are coupled to the intermediate position of the rear end side vertical frame 68 at the intermediate position thereof. That is, the door rear end vertical frame 68 is installed in a state of being divided by the first horizontal frame 73 and the second horizontal frame 74, and the first horizontal frame 73 and the second horizontal frame 74. It is coupled in the middle position of. More specifically, the door rear end side vertical frame 68 is obtained by dividing one frame member 58 into an upper portion 68a, an intermediate portion 68b and a lower portion 68c, and the upper portion 68a. The lower end of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transverse frame 73, the upper end of the intermediate portion 68b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transverse frame 73, and the lower end of the intermediate portion 68b is the second transverse frame ( 74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and the upper end of the lower portion 68c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horizontal frame 74. Coupling of these transverse frames 73 and 74 and the rear end side vertical frame 68 is fastening by a bolt nut as mentioned later.

상부 횡프레임(71)과 하부 횡프레임(72)과 문 선단측 종프레임(67)에는 각각 같은 단면 형상의 프레임재(58)가 사용되고, 또한 제 1 횡프레임(73)과 제 2 횡프레임(74)과 문 후단측 종프레임(68)에는 각각 같은 단면 형상의 프레임재(58)가 사용되고 있다. 이들 프레임재(58)는 모두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의 압출재로 이루어지는 중공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체(60)의 경량화라고 하는 관점에서는 모든 프레임재(58)가 중공 부재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적어도 1개의 프레임재(58)가 중공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면 좋다. 이 경우에 있어서, 단면적이 큰 제 1 횡프레임(73)과 제 2 횡프레임(74)과 문 후단측 종프레임(68)이 중공 부재의 프레임재(58)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rame member 58 having the same cross-sectional shape is used for the upper transverse frame 71, the lower transverse frame 72 and the door front end side vertical frame 67, and the first transverse frame 73 and the second transverse frame ( 74 and the frame material 58 having the same cross-sectional shape are used for the vertical frame 68 at the rear end side of the door, respectively. These frame members 58 are all comprised by the hollow member which consists of extruded materials of aluminum or an aluminum alloy. In addition, although it is preferable that all the frame members 58 are comprised by the hollow member from the viewpoint of weight reduction of the frame 60, at least one frame material 58 should just be comprised by the hollow member.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horizontal frame 73, the second horizontal frame 74, and the rear end side vertical frame 68 having a large cross-sectional area are constituted by the frame member 58 of the hollow member.

모든 프레임재(58)에 볼트 체결용의 부착홈(58a)이 형성되어 있다(도 4∼도 6, 도 8 참조). 이 부착홈(58a)은 프레임재(58)의 압출 성형시에 형성되는 것이며, 프레임재(58)의 길이 방향(즉 압출 방향)의 전체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All the frame members 58 are provided with attachment grooves 58a for bolt fastening (see FIGS. 4 to 6 and 8). This attachment groove 58a is formed at the time of extrusion molding the frame member 58, and is formed over the entirety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at is, the extrusion direction) of the frame member 58.

부착홈(58a)은 볼트의 두부를 감합할 수 있다. 즉, 부착홈(58a)은 안측의 폭이 넓어진 단면 형상을 갖고 있어서 프레임재(58)의 끝부로부터 볼트의 두부를 삽입할 수 있고, 또한 부착홈(58a)을 따라 볼트의 두부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볼트의 두부를 부착홈(58a) 내에 삽입하고, 이 상태에서 볼트를 원하는 위치까지 이동시켜 그 위치에서 상대측의 프레임재(58)와 볼트 체결을 함으로써 프레임재(58)끼리를 체결하거나, 프레임재(58)를 연결 부재(55)에 체결할 수 있다. The attachment groove 58a can fit the head of the bolt. That is, the attachment groove 58a has a cross-sectional shape with a wider inner side so that the head of the bolt can be inserted from the end of the frame member 58, and the head of the bolt can be moved along the attachment groove 58a. It is supposed to be. Therefore, the heads of the bolts are inserted into the attachment grooves 58a, and in this state, the bolts are moved to a desired position, and the frame members 58 are fastened to each other by fastening the bolts with the frame member 58 on the opposite side. The frame member 58 can be fastened to the connecting member 55.

프레임재(58)는 단면 직사각형상의 각이 진 통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부착홈(58a)은 대향하는 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프레임재(58)는 부착홈(58a)이 도어 바디(14)의 면 내에 위치하도록 사용되고 있다. 즉, 볼트가 도어 바디(14)로부터 측방으로 돌출하지 않도록, 예를 들면 프레임체(6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내[프레임체(60)의 폭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프레임재(58)끼리를 체결하기 위해서는 한쪽의 프레임재(58)의 끝부를 다른쪽의 프레임재(58)의 측면에 접촉시키고, 그 접촉 개소에 L자형의 브래킷(80)을 붙여서 이 브래킷(80)과 프레임재(58)를 볼트·너트로 체결하도록 하고 있다. The frame member 58 is formed in an ordinary shape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and the attachment grooves 58a are formed on opposite sides, respectively. The frame member 58 is used such that the attachment grooves 58a are located within the surface of the door body 14. That is, it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space (in the width | variety of the frame body 60) formed, for example by the frame body 60, so that a bolt may not protrude sideways from the door body 14. As shown in FIG. For this reason, in order to fasten the frame members 58, the end of one frame member 58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other frame member 58, and the L-shaped bracket 80 is attached to the contact point. The bracket 80 and the frame member 58 are fastened with bolts and nuts.

상기 연결 부재(55)는 도어 행거(48)와 슬라이더(52)를 도어 바디(14)에 고정하기 위한 부재이다. 이 연결 부재(55)는 제 1 횡프레임(73)과 제 2 횡프레임(74)과 문 후단측 종프레임(68)에 의하여 형성되는 정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상의 공간에 배치되어 있다. The connecting member 55 is a member for fixing the door hanger 48 and the slider 52 to the door body 14. This connecting member 55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rectangular space seen from the front formed by the 1st horizontal frame 73, the 2nd horizontal frame 74, and the door rear-side vertical frame 68. As shown in FIG.

연결 부재(55)는 본체부(82)와, 이 본체부(82)에 체결되는 부착부(83)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부(82)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매의 판재를 절곡함으로써 형성된 부재이고, 대략 직사각형 평판상의 기부(82a), 이 기부(82a)의 상단부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는 상측부(82b), 기부(82a)의 한쪽의 측단부로부터 상측부(82b)와 같은 방향으로 돌출되는 측부(82c), 및 기부(82a)의 하단부로부터 상측부(82b)와 같은 방향으로 돌출되는 하측부(82d)를 갖고 있다. 본체부(82)는 직사각형상의 평판재에 대하여 인접하는 2개의 모서리부를 제거하고, 3방향으로 돌출하는 부위를 절곡함으로써 상측부(82b), 측부(82c) 및 하측부(82d)를 형성한 것이다. 이 때문에, 기부(82a)의 2개소의 모서리부가 원호상으로 움푹 패인 형상으로 되어 있다. The connecting member 55 is provided with the main body 82 and the attachment part 83 fastened to this main body 82. As shown in FIG. 9, the main body portion 82 is a member formed by bending a sheet of plate, and has a base portion 82a having a substantially rectangular flat plate and an upper portion 82b protru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from an upper end portion of the base portion 82a. ), A side portion 82c protruding from one side end portion of the base portion 82a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upper portion 82b, and a lower side portion protruding from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base portion 82a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upper portion 82b. 82d). The main body portion 82 forms an upper portion 82b, a side portion 82c and a lower portion 82d by removing two corner portions adjacent to the rectangular flat plate material and bending the portions projecting in three directions. . For this reason, the two edges of the base 82a are formed in the shape of an arc.

상측부(82b) 및 하측부(82d)는 도어 바디(14)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배치로 되어 있다. 상측부(82b)는 연결 부재(55)와 제 1 횡프레임(73)을 체결하기 위한 부위이고, 하측부(82d)는 연결 부재(55)와 제 2 횡프레임(74)을 체결하기 위한 부위이다. 또한, 본체부(82)의 측부(82c)는 연결 부재(55)를 문 후단측 종프레임(68)에 체결하기 위한 부위이다. 상측부(82b), 하측부(82d) 및 측부(82c)에는 프레임재(58)의 부착홈(58a)에 부착된 볼트를 삽통시키기 위한 볼트 삽통 구멍(82e)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부(82a)에는 부착부(83)를 고정하기 위한 볼트를 삽통시키는 볼트 삽통 구멍(82f)이 형성되어 있다. The upper portion 82b and the lower portion 82d have a horizontal arrangement extending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door body 14. The upper portion 82b is a portion for fastening the connection member 55 and the first horizontal frame 73, and the lower portion 82d is a portion for fastening the connection member 55 and the second horizontal frame 74. to be. In addition, the side portion 82c of the main body portion 82 is a portion for fastening the connecting member 55 to the rear end side frame 68 of the door. A bolt insertion hole 82e for inserting the bolt attached to the attachment groove 58a of the frame member 58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82b, the lower portion 82d and the side portion 82c, respectively. Moreover, the bolt insertion hole 82f which inserts the bolt for fixing the attachment part 83 is formed in the base 82a.

제 1 횡프레임(73)의 부착홈(58a) 및 제 2 횡프레임(74)의 부착홈(58a)은 연결 부재(55)를 체결하는 볼트, 문 후단측 종프레임(68)을 체결하는 볼트, 및 문 선단측 종프레임(67)을 체결하는 볼트를 모두 감합할 수 있다. 즉, 부착홈(58a)은 프레임재(58)의 길이 방향으로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부착홈(58a)의 임의의 위치에 몇 개라도 볼트를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이들 프레임(73,74,67,68)끼리의 체결 및 프레임(73,74,68)과 연결 부재(55)의 체결에는 같은 지름의 볼트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그 밖의 프레임(71,72)의 부착홈도 마찬가지의 구성이다. The attaching groove 58a of the first transverse frame 73 and the attaching groove 58a of the second transverse frame 74 are bolts for fastening the connecting member 55 and bolts for fastening the door rear end longitudinal frame 68. , And bolts for fastening the door end side vertical frame 67 can be fitted. That is, since the attachment grooves 58a are continuously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member 58, any number of bolts can be arranged at any position of the attachment grooves 58a. In addition, bolts having the same diameter are used for fastening the frames 73, 74, 67, and 68 and fastening the frames 73, 74, 68 and the connecting member 55 to each other. In addition, the attachment groove of the other frames 71 and 72 is the same structure.

부착부(83)는 볼트에 의해 본체부(82)의 기부(82a)에 체결되는 부재이고, 정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상을 나타낸다. 이 부착부(83)에는 상기 도어 행거(48)와 상기 슬라이더(52)가 고정되어 있다. 이 슬라이더(52)도 제 1 횡프레임(73)과 제 2 횡프레임(74)과 문 후단측 종프레임(68)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에 배치되어 있고, 도어 바디(14)는 이 부분에서 두껍닫이체(12)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무단 벨트(22)를 구동하는 모터(20)와, 도어 바디(14)를 견인하는 슬라이더(52)가 각각 기대(28)에 고정됨으로써 모터(20)의 설치 높이와 슬라이더(52)의 설치 높이가 근접하고 있다. 이 때문에, 무단 벨트(22)에 연결된 도어 행거(48)와 슬라이더(52)를 공통의 부재(연결 부재(55))에 결합시킬 수 있다. The attachment part 83 is a member fastened to the base 82a of the main body part 82 by a bolt, and shows a rectangular shape from the front. The door hanger 48 and the slider 52 are fixed to the attachment portion 83. This slider 52 is also arrange | positioned in the space formed by the 1st horizontal frame 73, the 2nd horizontal frame 74, and the door rear side vertical frame 68, and the door body 14 is closed in this part. It is supported by the sieve 12. Further, the motor 20 for driving the endless belt 22 and the slider 52 for pulling the door body 14 are fixed to the base 28, respectively, so that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motor 20 and the slider 52 The installation height is approaching. For this reason, the door hanger 48 and the slider 52 connected to the endless belt 22 can be couple | bonded with the common member (connection member 55).

두껍닫이체(12)에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 롤러(85)가 설치되어 있다. 도어 바디(14)는 이 가이드 롤러(85)에 의해서도 자세가 유지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7, the guide roller 85 is provided in the lid 12. As shown in FIG. The posture of the door body 14 is also maintained by this guide roller 85.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플랫폼 도어 장치(10)에서는 프레임재(58)끼리를 체결함으로써 도어 바디(14)의 프레임체(60)를 제작할 수 있으므로, 프레임체(60)의 제작시에 변형 수정 작업이 불필요하게 된다. 이 때문에, 도어 바디(14)의 제작 작업에 가해지는 부담이 경감된다. 또한, 프레임재(58)의 체결 개소를 미리 설정해 둘 수 있으므로 프레임재(58)끼리의 체결 공정을 공장 내에서 행할 수 있고, 또한 그 작업을 자동화할 수도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latform door device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frame body 60 of the door body 14 can be produced by fastening the frame members 58 with each other. No deformation correction is necessary. For this reason, the burden on the manufacturing work of the door body 14 is reduced. Moreover, since the fastening point of the frame material 58 can be set previously, the fastening process of frame material 58 comrades can be performed in a factory, and the operation | work can also be automated.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프레임재(58)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의 압출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므로 철제 프레임재로 이루어지는 프레임체에 비해서 경량화를 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도어 바디(14)의 반송 작업이나 두껍닫이체(12)로의 조립 작업에 필요한 작업자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도어 바디(14)가 경량화됨으로써 두껍닫이체(12)에 의한 도어 바디(14)의 지지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frame material 58 is comprised by the extrusion material of aluminum or an aluminum alloy, compared with the frame body which consists of steel frame materials, weight reduction can be aimed at. For this reason, the burden on an operator required for the conveyance operation | work of the door body 14 and the assembly | work to the lid | cover body 12 can be reduced. In addition, by reducing the weight of the door body 14, the burden of supporting the door body 14 by the lid body 12 can be reduced.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모터(20)와 리니어 레일(50)이 케이싱(32)에 지지된 기대(28)에 지지되어 있어서 기대(28)가 도어 바디(14)의 하중을 받고 있다. 그러나, 도어 바디(14)의 프레임체(60)가 알루미늄제 또는 알루미늄 합금제로 되어 있어서 경량화가 꾀해져 있기 때문에, 기대(28)를 두껍닫이체(12)의 케이싱(32)에 지지시키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두껍닫이체(12) 내에 기대(28)를 지지하기 위한 부재를 별개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진다.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motor 20 and the linear rail 50 are supported by the base 28 supported by the casing 32, and the base 28 receives the load of the door body 14. However, since the frame 60 of the door body 14 is made of aluminum or an aluminum alloy, and the weight is reduced, the structure which supports the base 28 to the casing 32 of the lid 12 is employ | adopted. can do. This eliminates the need to separately provide a member for supporting the base 28 in the lid body 12.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프레임재(58)가 중공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므로, 중실 부재에 의해 구성되는 프레임재로 이루어지는 프레임체에 비해서 경량화를 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도어 바디(14)의 반송 작업이나 두껍닫이체(12)로의 조립 작업에 필요로 하는 작업자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도어 바디(14)가 경량화됨으로써 두껍닫이체(12)에 의한 도어 바디(14)의 지지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특히, 프레임재(58)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의 압출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므로 프레임재(58)가 중공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프레임재(58) 자체의 제작이 번잡해질 일은 없다.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frame member 58 is comprised by the hollow member, weight reduction can be achieved compared with the frame body which consists of a frame member comprised by a solid member. For this reason, the burden on an operator required for the conveyance operation | work of the door body 14, and the assembling work to the lid body 12 can be reduced. In addition, by reducing the weight of the door body 14, the burden of supporting the door body 14 by the lid body 12 can be reduced. In particular, since the frame member 58 is made of an extruded material of aluminum or aluminum alloy, the production of the frame member 58 itself is not complicated even when the frame member 58 is hollow.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횡프레임(73)과 제 2 횡프레임(74)과 문 후단측 종프레임(68)에 각각 같은 단면 형상의 프레임재(58)가 사용되고 있으므로 제 1 횡프레임(73), 제 2 횡프레임(74) 및 문 후단측 종프레임(68)을 1개의 프레임재(58)로부터 잘라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조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same cross-sectional shape frame material 58 is used for the 1st horizontal frame 73, the 2nd horizontal frame 74, and the door rear-side vertical frame 68, the 1st horizontal frame 73 ), The second horizontal frame 74 and the rear end side vertical frame 68 can be cut out from one frame member 58. Therefore, manufacturing cost can be suppressed.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문 후단측 종프레임(68)이 제 1 횡프레임(73) 및 제 2 횡프레임(74)에 의해 분단된 상태로 설치됨과 아울러 제 1 횡프레임(73) 및 제 2 횡프레임(74)의 중간 위치에서 체결되어 있다. 또한, 문 선단측 종프레임(67)이 제 1 횡프레임(73) 및 제 2 횡프레임(74)에 의해 분단되는 일 없이 상단으로부터 하단에 걸쳐서 연속된 상태로 설치됨과 아울러, 제 1 횡프레임(73) 및 제 2 횡프레임(74)의 문 선단측 끝부가 접촉한 상태에서 체결되어 있다. 이 때문에, 문 선단측 종프레임(67), 문 후단측 종프레임(68), 제 1 횡프레임(73) 및 제 2 횡프레임(74)이 같은 면 내에 설치된 상태에서 이들 프레임(67,68,73,74)을 체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어 바디(14)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프레임재(58)끼리를 체결하는 구성을 실현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oor rear end vertical frame 68 is provided in a state of being divided by the first horizontal frame 73 and the second horizontal frame 74, and the first horizontal frame 73 and the second horizontal frame. It is fastened in the intermediate position of the frame 74. Further, the door front side vertical frame 67 is installed in a continuous state from the top to the bottom without being divided by the first horizontal frame 73 and the second horizontal frame 74, and the first horizontal frame ( 73) and the door tip side end portion of the second horizontal frame 74 are fasten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For this reason, these frames 67, 68, while the door front side vertical frame 67, the door rear side vertical frame 68, the first horizontal frame 73, and the second horizontal frame 74 are provided in the same plane. 73, 74) can be tightened.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the structure which fastens the frame materials 58 can be implement | achieved, preventing the thickness of the door body 14 becoming thick.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부 횡프레임(71)과 하부 횡프레임(72)과 문 선단측 종프레임(67)에 각각 같은 단면 형상의 프레임재(58)가 사용되고 있으므로, 상부 횡프레임(71), 하부 횡프레임(72) 및 문 선단측 종프레임(67)을 1개의 프레임재(58)로부터 잘라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조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frame member 58 of the same cross-sectional shape is used for the upper horizontal frame 71, the lower horizontal frame 72, and the door end side vertical frame 67, respectively, the upper horizontal frame 71, The lower transverse frame 72 and the door front end side vertical frame 67 can be cut out from one frame member 58. Therefore, manufacturing cost can be suppressed.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결 부재(55)에 도어 행거(48)와 슬라이더(52)가 접속되어 있다. 즉, 도어 행거(48)에 연결되는 부재[연결 부재(55)]와 슬라이더(52)에 연결하는 부재[연결 부재(55)]가 공용되어 있으므로 부품점수의 삭감을 꾀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oor hanger 48 and the slider 52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member 55. That is, since the member (connection member 55) connected to the door hanger 48 and the member (connection member 55) connecting to the slider 52 are shared, the number of parts can be reduced.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결 부재(55)가 제 1 횡프레임(73)과 제 2 횡프레임(74)이 문 후단측 종프레임(68)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도어 바디(14)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연결 구조를 실현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connecting member 55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space formed by the 1st horizontal frame 73 and the 2nd horizontal frame 74 by the door rear side vertical frame 68, the door body 14 is carried out. The connection structure can be realized while preventing the thickness of the film from being thickened.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경, 개량 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어 바디(14)의 개폐 구동을 벨트 구동 방식으로 했지만, 이것 대신에 랙 앤 피니언 방식으로 해도 좋다. In addition,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aid embodiment, A various change, improvement, etc. are possible in the range which does not deviate from the meaning. For example, in this embodiment, although the opening / closing drive of the door body 14 was made into the belt drive system, you may use the rack and pinion system instead.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문 선단측 종프레임(67)이 1개의 연속된 프레임재(58)에 의해 구성된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 대신에 문 선단측 종프레임(67)도 문 후단측 종프레임(68)과 마찬가지로 상측부, 중간부 및 하측부로 분단된 상태에서 제 1 횡프레임(73) 및 제 2 횡프레임(74)이 체결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In the above embodiment, an example in which the door front side vertical frame 67 is constituted by one continuous frame member 58 is shown. Instead, the door front side vertical frame 67 is also the door rear end vertical frame 68. Similarly, the first transverse frame 73 and the second transverse frame 74 may be fastened in a state of being divided into the upper portion, the middle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실시형태의 개요] Outline of Embodiment

이상의 실시형태를 정리하면 이하와 같다. The above embodiment is summarized as follows.

(1) 본 실시형태에서는, 프레임재끼리를 체결함으로써 도어 바디의 프레임체를 제작할 수 있으므로, 프레임체의 제작시에 변형 수정의 작업이 불필요하게 된다. 이 때문에, 도어 바디의 제작 작업에 가해지는 부담이 경감된다. 또한, 프레임재의 체결 개소를 미리 설정해 둘 수 있으므로 프레임재끼리의 체결 공정을 공장 내에서 행할 수 있고, 또한 그 작업을 자동화할 수도 있다. (1)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frame body of a door body can be manufactured by fastening frame materials, the work of deformation | transformation correction is unnecessary at the time of manufacture of a frame body. For this reason, the burden on the manufacturing work of a door body is reduced. Moreover, since the fastening point of a frame material can be set previously, the fastening process of frame material can be performed in a factory, and the operation can also be automated.

(2) 상기 프레임재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의 압출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바람직한 형태의 프레임체에서는 철제 프레임재로 이루어지는 프레임체에 비해서 경량화를 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도어 바디의 반송 작업이나 두껍닫이체로의 조립 작업에 필요한 작업자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도어 바디가 경량화됨으로써 두껍닫이체에 의한 도어 바디의 지지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2)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frame member is comprised by the extrusion material of aluminum or an aluminum alloy. In the frame body of this preferred form, the weight can be reduced compared to the frame body made of steel frame material. For this reason, the burden on an operator required for the conveyance operation | work of a door body and the assembly | work to a lid body can be reduced. In addition, by reducing the weight of the door bod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burden of supporting the door body by the lid body.

(3) 상기 두껍닫이체는 케이싱과, 이 케이싱에 지지되는 기대를 구비하고, 상기 기대에 상기 도어 바디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와, 상기 도어 바디를 안내하는 리니어 레일이 지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기대가 모터와 리니어 레일을 지지하고 있어서 도어 바디의 하중을 기대에서도 받게 된다. 그러나, 도어 바디의 프레임체가 알루미늄제 또는 알루미늄 합금제로 되어 있어서 경량화가 꾀하여져 있기 때문에, 기대를 두껍닫이체의 케이싱에 지지시키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두껍닫이체 내에 기대를 지지하기 위한 부재를 별개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진다.(3)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lid | cover body is provided with a casing, the base supported by this casing, and the motor for driving the said door body and the linear rail which guides the said door body are supported by the said base. In this preferred embodiment, the base supports the motor and the linear rail, so that the load of the door body is also received from the base. However, since the frame body of the door body is made of aluminum or aluminum alloy, and the weight is reduced, a structure in which the base is supported by the casing of the lid body can be adopted. This eliminates the need to separately install a member for supporting the base in the lid body.

(4) 상기 복수의 프레임재 중 적어도 1개의 프레임재는 중공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바람직한 형태의 프레임체에서는, 중실 부재에 의해 구성되는 프레임재로 이루어지는 프레임체에 비해서 경량화를 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도어 바디의 반송 작업이나 두껍닫이체로의 조립 작업에 필요한 작업자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도어 바디가 경량화됨으로써 두껍닫이체에 의한 도어 바디의 지지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특히, 프레임재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의 압출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프레임재가 중공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프레임재 자체의 제작이 번잡해질 일은 없다. (4)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1 frame material of the said some frame material is comprised by the hollow member. In the frame body of this preferable aspect, compared with the frame body which consists of a frame material comprised by a solid member, weight reduction can be aimed at. For this reason, the burden on an operator required for the conveyance operation | work of a door body and the assembly | work to a lid body can be reduced. In addition, by reducing the weight of the door bod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burden of supporting the door body by the lid body. In particular, when the frame member is made of an aluminum or aluminum alloy extruded member, the production of the frame member itself is not complicated even if the frame member is hollow.

(5) 상기 프레임체는 문 선단측 종프레임, 문 후단측 종프레임과, 상기 문 선단측 종프레임 및 상기 문 후단측 종프레임의 중간 부위에 체결되어서 상기 문 후단측 종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되는 제 1 횡프레임과, 이 제 1 횡프레임보다 하방이며 상기 문 선단측 종프레임 및 상기 문 후단측 종프레임에 체결되어서 상기 문 후단측 종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되는 제 2 횡프레임을 갖고 있어도 되고, 이 경우에는 상기 문 선단측 종프레임, 상기 문 후단측 종프레임, 상기 제 1 횡프레임 및 상기 제 2 횡프레임은 모두 상기 프레임재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 1 횡프레임과 상기 제 2 횡프레임과 상기 문 후단측 종프레임은 각각 같은 단면 형상의 프레임재가 사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제 1 횡프레임, 제 2 횡프레임 및 문 후단측 종프레임을 1개의 프레임재로부터 잘라낼 수 있게 된다. (5) The frame body is coupled to a middle portion of the door leading side vertical frame, the door rear end vertical frame, the door leading side vertical frame and the door rear end vertical frame to protrude from the door rear end vertical frame. It may have a horizontal frame and a 2nd horizontal frame which is lower than this 1st horizontal frame, and is fastened to the said door front side vertical frame and the said door rear end vertical frame, and protrudes from the said door rear end vertical frame,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door front side vertical frame, the door rear side vertical frame, the first horizontal frame and the second horizontal frame are all made of the frame member, and the first horizontal frame and the second horizontal frame and the It is preferable that the frame material of the same cross-sectional shape is used for the vertical frame of the rear end side of a door, respectively. In this preferred embodiment, the first horizontal frame, the second horizontal frame and the rear end side vertical frame can be cut out from one frame member.

(6) 상기 문 후단측 종프레임은 상기 제 1 횡프레임 및 상기 제 2 횡프레임에 의해 분단된 상태로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제 1 횡프레임 및 상기 제 2 횡프레임의 중간 부위에서 체결되고, 상기 문 선단측 종프레임은 상기 제 1 횡프레임 및 상기 제 2 횡프레임에 의해 분단되는 일 없이 상단으로부터 하단에 걸쳐서 연속된 상태로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제 1 횡프레임 및 제 2 횡프레임의 문 선단측 끝부가 접촉된 상태에서 체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문 후단측 종프레임, 문 선단측 종프레임, 제 1 횡프레임 및 제 2 횡프레임이 같은 면 내에 설치된 상태에서 이들 프레임을 체결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 바디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프레임재끼리를 체결하는 구성을 실현할 수 있다. (6) The door rear end side vertical frame is installed in a state of being divided by the first horizontal frame and the second horizontal frame, and is fastened at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first horizontal frame and the second horizontal frame, The door leading side vertical frame is installed in a continuous state from the top to the bottom without being divided by the first horizontal frame and the second horizontal frame, and the door front side of the first horizontal frame and the second horizontal frame. It is preferable to be fastened in the state which the tip contacted. In this preferred embodiment, these frames can be fastened in a state where the door rear end vertical frame, the door front side vertical frame, the first horizontal frame and the second horizontal frame are provided in the same plane. Therefore, the structure which fastens frame members can be realized, preventing the thickness of a door body becoming thick.

(7) 상기 프레임체는 상부 횡프레임과 하부 횡프레임을 갖고 있어도 좋고, 이 경우에는 상기 상부 횡프레임 및 상기 하부 횡프레임은 각각 상기 프레임재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상부 횡프레임과 상기 하부 횡프레임과 상기 문 선단측 종프레임은 각각 같은 단면 형상의 프레임재가 사용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상부 횡프레임, 하부 횡프레임 및 문 선단측 종프레임을 1개의 프레임재로부터 잘라낼 수 있게 된다. (7) The frame body may have an upper transverse frame and a lower transverse frame, in which case the upper transverse frame and the lower transverse frame are each composed of the frame member, and the upper transverse frame and the lower transverse frame It is preferable that the frame material of the same cross-sectional shape is respectively used for the said door front end side vertical frame. In this preferred embodiment, the upper transverse frame, the lower transverse frame and the door leading side vertical frame can be cut out from one frame member.

(8) 본 실시형태와 같이, 상기 제 1 횡프레임과 상기 제 2 횡프레임과 상기 문 후단측 종프레임에 연결되는 연결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연결 부재에는 도어 행거와, 리니어 레일에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더가 접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도어 행거에 연결되는 부재와 슬라이더에 연결되는 부재가 공용되어 있으므로 부품점수의 삭감을 꾀할 수 있다. (8) As in this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connecting member connected to the first horizontal frame, the second horizontal frame, and the rear end side vertical frame, and the connecting member includes a door hanger and a linear rail. It is preferable that the sliding slider is connected. In this preferred embodiment, since the member connected to the door hanger and the member connected to the slider are shared, the number of parts can be reduced.

(9)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제 1 횡프레임과 상기 제 2 횡프레임과 상기 문 후단측 종프레임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도어 바디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연결 구조를 실현할 수 있다. (9)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connection member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space formed by the said 1st horizontal frame, the said 2nd horizontal frame, and the door | frame rear side side frame. In this preferred embodiment, the connecting structure can be realized while preventing the thickness of the door body from becoming thick.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도어 바디의 제작 작업에 가해지는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는 플랫폼 도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platform door apparatus which can reduce the burden on the manufacturing operation of a door body can be provided.

Claims (9)

플랫폼 상에 설치할 수 있게 구성되는 두껍닫이체와, 이 두껍닫이체에 진퇴 이동할 수 있게 지지되는 도어 바디를 구비한 플랫폼 도어 장치로서: A platform door device having a lid body configured to be installed on a platform and a door body supported to move back and forth on the lid body: 상기 도어 바디는 복수의 프레임재에 의해 구성되는 프레임체을 구비하고; The door body includes a frame body constituted by a plurality of frame members; 상기 프레임체는 상기 복수의 프레임재를 서로 체결한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 도어 장치.The frame body is a platform doo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plurality of the frame member is fastened to each other.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프레임재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의 압출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 도어 장치.The frame member is a platform doo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mposed of an extruded material of aluminum or aluminum alloy.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두껍닫이체는 케이싱과, 이 케이싱에 지지되는 기대를 구비하고; The lid body has a casing and a base supported by the casing; 상기 기대에 상기 도어 바디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와, 상기 도어 바디를 안내하는 리니어 레일이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 도어 장치.And a linear rail for guiding the door body and a linear rail for guiding the door body are supported on the base.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복수의 프레임재 중 1개 이상의 프레임재는 중공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 도어 장치.At least one frame member of the plurality of frame members is constituted by a hollow member.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프레임체는 문 선단측 종프레임과, 문 후단측 종프레임과, 상기 문 선단측 종프레임 및 상기 문 후단측 종프레임의 중간 부위에 체결되어서 상기 문 후단측 종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되는 제 1 횡프레임과, 이 제 1 횡프레임보다 하방이며 상기 문 선단측 종프레임 및 상기 문 후단측 종프레임에 체결되어서 상기 문 후단측 종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되는 제 2 횡프레임을 갖고; The frame body is coupled to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door leading side vertical frame, the door rear end vertical frame, the door leading side vertical frame and the door rear end vertical frame, and protrudes from the door rear end vertical frame. And a second transverse frame which is lower than the first transverse frame and is fastened to the door front side vertical frame and the door rear end vertical frame to protrude from the door rear end vertical frame; 상기 문 선단측 종프레임, 상기 문 후단측 종프레임, 상기 제 1 횡프레임 및 상기 제 2 횡프레임은 모두 상기 프레임재에 의해 구성되며; The door leading side vertical frame, the door rear side vertical frame, the first horizontal frame and the second horizontal frame are all made of the frame member; 상기 제 1 횡프레임과 상기 제 2 횡프레임과 상기 문 후단측 종프레임에는 각각 같은 단면 형상의 프레임재가 사용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 도어 장치.And the frame member having the same cross-sectional shape is used for the first horizontal frame, the second horizontal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at the rear end of the door, respectively. 제 5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상기 문 후단측 종프레임은 상기 제 1 횡프레임 및 상기 제 2 횡프레임에 의해 분단된 상태로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제 1 횡프레임 및 상기 제 2 횡프레임의 중간 부위에 체결되고; The door rear end side vertical frame is installed in a state of being divided by the first horizontal frame and the second horizontal frame and fastened to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first horizontal frame and the second horizontal frame; 상기 문 선단측 종프레임은 상기 제 1 횡프레임 및 상기 제 2 횡프레임에 의해 분단되는 일 없이 상단으로부터 하단에 걸쳐서 연속된 상태로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제 1 횡프레임 및 제 2 횡프레임의 문 선단측 끝부가 접촉한 상태에서 체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 도어 장치.The door leading side vertical frame is installed in a continuous state from the top to the bottom without being divided by the first horizontal frame and the second horizontal frame, and the door front side of the first horizontal frame and the second horizontal frame. Platform doo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end is in contact with the contact. 제 5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상기 프레임체는 상부 횡프레임과 하부 횡프레임을 갖고; The frame body has an upper transverse frame and a lower transverse frame; 상기 상부 횡프레임 및 상기 하부 횡프레임은 각각 상기 프레임재에 의해 구성되며; The upper transverse frame and the lower transverse frame are each constituted by the frame member; 상기 상부 횡프레임과 상기 하부 횡프레임과 상기 문 선단측 종프레임에는 각각 같은 단면 형상의 프레임재가 사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 도어 장치.And the frame member having the same cross-sectional shape is used in the upper transverse frame, the lower transverse frame, and the door front end side vertical frame, respectively. 제 5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상기 제 1 횡프레임과 상기 제 2 횡프레임과 상기 문 후단측 종프레임에 연결되는 연결 부재를 구비하고; A connecting member connected to the first transverse frame, the second transverse frame, and the rear end side frame of the door; 상기 연결 부재에는 도어 행거와 리니어 레일에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더가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 도어 장치.And a slider sliding to the door hanger and the linear rail to the connecting member. 제 8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제 1 횡프레임과 상기 제 2 횡프레임과 상기 문 후단측 종프레임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 도어 장치. And the connecting member is disposed in a space formed by the first transverse frame, the second transverse frame, and the rear end side vertical frame of the door.
KR1020080135477A 2008-03-26 2008-12-29 Platform door device KR10105139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81654 2008-03-26
JP2008081654A JP5107766B2 (en) 2008-03-26 2008-03-26 Home door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2624A true KR20090102624A (en) 2009-09-30
KR101051394B1 KR101051394B1 (en) 2011-07-22

Family

ID=41191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5477A KR101051394B1 (en) 2008-03-26 2008-12-29 Platform door devic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107766B2 (en)
KR (1) KR101051394B1 (en)
CN (1) CN101544234B (en)
HK (1) HK1132235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66668A (en) * 2011-02-14 2012-09-06 Kayaba System Machinery Kk Door device
JP5496946B2 (en) * 2011-05-26 2014-05-21 三菱重工交通機器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Platform door equipment
JP5876812B2 (en) * 2012-11-05 2016-03-02 株式会社神戸製鋼所 Movable fence
JP6262806B2 (en) * 2016-06-22 2018-01-17 ナブテスコ株式会社 Platform door equipment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54115B2 (en) * 1995-09-22 2006-03-08 日本車輌製造株式会社 Rail vehicle production method
JPH11268640A (en) * 1998-03-23 1999-10-05 Kinki Sharyo Co Ltd Rolling stock manufacturing method and rolling stock
JP4169391B2 (en) 1998-05-22 2008-10-22 ナブテスコ株式会社 Platform movable fence
JP3038215B1 (en) * 1999-08-30 2000-05-08 川崎重工業株式会社 Railcar interior panel mounting structure
JP2002308089A (en) * 2001-04-18 2002-10-23 Hitachi Ltd Movable fence for platform
JP2003095091A (en) * 2001-09-27 2003-04-03 Kinki Sharyo Co Ltd Car body structure of rolling stock and its production method
JP2003113603A (en) * 2001-10-03 2003-04-18 Mitsubishi Heavy Ind Ltd Lying structure
KR200338182Y1 (en) * 2003-10-06 2004-01-16 주식회사 성신테크 Door structure of automatic door system
JP4276926B2 (en) * 2003-11-07 2009-06-10 ナブテスコ株式会社 Platform door equipment
JP4599140B2 (en) * 2004-02-17 2010-12-1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How to open and close the movable fence and movable fence
JP2006082652A (en) * 2004-09-15 2006-03-30 Kinki Sharyo Co Ltd Method for assembling vehicle body of railway vehicle, and vehicle body of railway vehicle using it
JP4837491B2 (en) * 2006-08-23 2011-12-14 ナブテスコ株式会社 Emergency unlocking device and platform door device
KR100935010B1 (en) * 2007-12-11 2010-01-06 주식회사 디유에이엔아이 Fittings for platform screen door with high rigid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1394B1 (en) 2011-07-22
JP5107766B2 (en) 2012-12-26
HK1132235A1 (en) 2010-02-19
JP2009234373A (en) 2009-10-15
CN101544234B (en) 2011-12-14
CN101544234A (en) 2009-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25536B2 (en) Home door device
US5398453A (en) Vehicle door fram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KR101051394B1 (en) Platform door device
US4593494A (en) Construction of door glass guide in motor vehicle door
KR20160061184A (en) Door structure for motor vehicle
US7438353B2 (en) Guide tube-fixing structure for sunroof device
KR100520594B1 (en) Vehicle door
JP2001247063A (en) Method of manufacturing vehicle door and door structure of vehicle
JP5544001B2 (en) Home door device
US11427259B2 (en) Vehicle pillar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vehicle pillar
JP2005335412A (en) Slide door for vehicle
JP4954747B2 (en) Window regulator
KR20120132376A (en) Platform screen door device
EP1738944B1 (en) Method of assembling sunroof frame, and structure thereof
EP4023472B1 (en) Sunroof unit
JP3833851B2 (en) Door glass lifting device
JP4644161B2 (en) Cable joint structure in sunroof equipment
CN112429092B (en) Side body structure of vehicle
JP2019172084A (en) Front door
JPH0518173Y2 (en)
JP3689640B2 (en) Automatic door device
KR200430946Y1 (en) Door module panel for vehicle
KR101442440B1 (en) Elevator car device
JP3265274B2 (en) Power unit mounting structure of window regulator device
JP2022012718A (en) Vehicle side door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