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2239A -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2239A
KR20090102239A KR1020080027546A KR20080027546A KR20090102239A KR 20090102239 A KR20090102239 A KR 20090102239A KR 1020080027546 A KR1020080027546 A KR 1020080027546A KR 20080027546 A KR20080027546 A KR 20080027546A KR 20090102239 A KR20090102239 A KR 200901022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body
terminal
zoom
hinge member
sl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7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80453B1 (ko
Inventor
주원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80027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0453B1/ko
Publication of KR20090102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22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0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04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rotatable camer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단말기 바디와 촬상을 위한 렌즈가 구비된 카메라 바디를 포함한다. 카메라 바디는 렌즈의 광축(光軸) 방향으로 전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카메라 바디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피사체에 대한 줌인(zoom-in)을 구현하고, 카메라 바디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줌아웃(zoom-out)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렌즈의 광축 방향으로 카메라 바디를 전후 이동시키는 것이므로 줌인 줌아웃의 동작이 간결하고, 사용자가 쉽게 익힐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전자 기기이다.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휴대 단말기는,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기도 한다. 이들은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device) 형태로 구현되기도 한다.
이러한 멀티 미디어 기기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된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이 개발되고 있다.
정보통신 분야가 발달함에 따라 전문가 집단이 아닌 일반인들도 기존의 미디어보다 빠르고 직접적인 정보들을 생산해 내면서, 이른바 UCC(User Created Contents) 문화를 형성하기도 한다. 사진이나 동영상을 인터넷에 업로드시킬 수 있는 UCC를 통하여 다른 이용자도 손쉽게 접근하고 감상할 수 있게 되었다. 휴대 단말기에 장착될 수 있는 카메라는 휴대 단말기가 갖는 무선송수신 기능과 결합되어 일반 사용자도 UCC를 생산하거나 서버장치 또는 인터넷으로 전송할 수 있으므로 활용성이 높다.
이렇게 휴대 단말기를 통하여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 상을 확대하거나 축소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가 발생한다. 그런데, 종래의 기술에 의한 휴대 단말기에 의하면, 줌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줌인 또는 줌아웃을 구현할 수 있는 버튼 또는 키를 찾아서 동작시켜야 하므로, 기능 구현이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기 용이한 형태의 휴대 단말기를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말기바디에 카메라바디를 설치하되, 카메라바디의 피사체에 대한 줌인 줌아웃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는 단말기 바디와 촬상을 위한 렌즈가 구비된 카메라 바디를 포함한다. 카메라 바디는 렌즈의 광축(光軸) 방향으로 전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카메라 바디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피사체에 대한 줌인(zoom-in)을 구현하고, 카메라 바디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줌아웃(zoom-out)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렌즈의 광축 방향으로 카메라 바디를 전후 이동시키는 것이므로 줌인 줌아웃의 동작이 간결하고, 사용자가 쉽게 익힐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줌인 및 줌아웃은 카메라 바디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킬 때마다 그 방향으로 한 단계씩 증가 또는 감소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카메라 바디는 단말기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고, 렌즈의 광축이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각을 이룬 상태로 회전될 수 있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단말기바디에는 피사체 및 촬영정보를 표시할 수 있게 디스플레이가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에는 터치입력을 할 수 있도록 터치 입력부가 구비됨으로써, 아이콘 또는 그래픽적으로 표시된 모드세트를 직접 터치시켜 조작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단말기바디와 카메라 바디 사이에는 카메라바디를 특정 회전 각도에서 멈추도록 함과 아울러 단말기바디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힌지모듈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힌지모듈은 단말기바디에 고정되는 제1힌지부재와, 제1힌지부재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부재와, 카메라바디에 고정되며 슬라이드부재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힌지부재 및, 카메라바디가 특정 회전각에서 멈추도록 구성되는 탄성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제1힌지부재와 슬라이드부재 사이에는 슬라이드부재를 원상으로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슬라이드부재에는 자성체가 구비되고, 제1바디에는 슬라이드부재의 이동에 의한 자성체의 자기 변화를 감지하는 자기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제1힌지부재, 슬라이드 부재 및 제2힌지부재는 그 중심에 커넥터가 통과될 수 있게 관통홀이 형성된 샤프트에 구속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슬라이드부재는 축 방향으로 함몰된 형태의 정지홈이 형성되고, 탄성 스토퍼는 정지홈에 걸릴 수 있게 돌기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탄성 스토퍼는 판스프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슬라이드부재에 구속되며, 그 외주에 반경방향으로 함몰된 형태의 정지홈이 형성된 캠부재를 더 구비하고, 탄성 스토퍼는 제2힌지부재에 구속되어 제2힌지부재와 함께 회전될 수 있게 구비되고, 정지홈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카메라바디에는 카메라의 촬영과 관련되거나 촬영된 사진이나 동영상을 재생 또는 편집시키기 위한 복수의 조작버튼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카메라와 관련되는 조작버튼을 집중적으로 배치함으로써, 빠르고 정확한 조작을 용이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전면에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단말기바디; 및 단말기바디의 상단 또는 하단에 그 렌즈의 방향이 디스플레이의 면에 대해 직각을 이루는 상태로 단말기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특정 회전각에서 단말기바디와 조합되어 전체 형상이 바(BAR) 형태로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카메라바디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를 개시한다. 이 경우, 카메라 바디는, 렌즈의 광축(光軸) 방향으로 전후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되, 카메라 바디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피사체에 대한 줌인(zoom-in)을 구현하고, 카메라 바디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줌아웃(zoom-out)을 구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에 의하면, 카메라 바디를 렌즈의 광축(光軸) 방향으로 전후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줌인 또는 줌아웃을 구현하는 것이므로, 피사체에 대한 거리 감각을 줌인 또는 줌아웃으로 연상시켜 동작시킨다는 점에서 줌인 또는 줌아웃 동작이 간결하고, 익히기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휴대 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전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바디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로서, 촬영모드로 사용되고 있는 것을 보인 작동 상태도
도 3은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바디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로서, 화상촬영모드로 사용되고 있는 것을 보인 제2작동 상태도
도 4a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줌인(zoom-in) 방법을 보인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줌아웃(zoom-out) 방법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힌지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6a 내지 도 6c는 줌인 또는 줌아웃을 구현하고 있을 때의 본 발명과 관련된 힌지 모듈의 작동 상태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과 관련된 힌지 모듈의 회전동작을 보이기 위한 작동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선도(block diagram)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휴대 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전면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휴대 단말기(1)는 디스플레이(15)가 구비된 단말기바디(10)와, 단말기바디(10)의 하단에 배치된 카메라바디(30)를 구비하고 있다.
단말기바디(10)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15)를 보호하기 위한 투광성의 윈도우(14)가 설치될 수 있다. 윈도우(14)는 내부의 디스플레이(15)의 화면이 출력되도록 투광성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투광성 영역을 제외한 부분은 불투광성 영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단말기바디(1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윈도우(14)를 고정하는 프론트 케이스(11), 각종 내부 부품들을 지지하는 프레임 역할을 하는 미들 케이스(또는 지지 프레임)(12) 및 후면 외관을 형성하는 리어 케이스(13)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미들 케이스(12)가 생략되는 대신, 프론트 케이스(11)와 리어 케이스(13)만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케이스들(11,12,13)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윈도우(14)의 내측에는 디스플레이(15)와 음향 출력부(16)가 각각 배치된다. 디스플레이(15)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이-페이퍼(e-paper), 또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모듈 등이 될 수 있다.
윈도우(14)와 디스플레이(15)의 사이에는 윈도우(14)에 가해지는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감지수단이 구비됨으로써, 윈도우(14) 상의 임의의 지점에 대한 터치가 있으면 그 지점에 대응되는 항목을 입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6)는 리시버(Receiver) 또는 스피커(speaker)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6)는 통화음 뿐만 아니라 시스템의 각종 알림음 또는 멀티미디어의 재생음 등을 출력할 수 있으며,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는 무선 이동통신을 위한 수단을 갖출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단말기바디(10)의 내부에는 전파 신호를 처리하여 통화가 가능한 음으로 변환하거나, 역으로 사용자의 음성을 전파 신호로 처리하여 송신할 수 있는 수단이 내장된다.
단말기바디(10)의 측면에는 사이드키(또는 사이드버튼)(17)와 외부 인터페이스(18)가 구비될 수 있다. 사이드키(17)는 특정 기능을 디스플레이(15)를 통하여 출력되는 메뉴의 선택에 의하지 않고 곧바로 실행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거나, 커서나 포인터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외부 인터페이스(18)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또는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인터페이스(18)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적외선 포트(IrDA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그리고, 외부 인터페이스(18)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카메라바디(30)의 전면에는 카메라바디(30)에 설치되는 카메라를 조작시키기 위한 조작버튼(34)이 구비된다. 조작버튼(34)은 촬영모드 전환 등을 실행시키는 키들로 할당될 수 있다. 조작버튼(34)을 위한 키는 푸시방식에 의하여 동작시키거나 터치방식으로 동작시킬 수 있게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며, 조그 방식으로 입력되는 방식이 포함될 수 있다.
이외에도 조작버튼(34)은 휴대 단말기(1)의 특정 기능을 수행시키는 키로 할당될 수도 있다.
카메라바디(30)의 일측에는 통화음을 입력하거나 동영상촬영 또는 화상통화시 음을 증폭시키는 마이크(33)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마이크(33)는 단말기 바디(10) 측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카메라바디(30)는 단말기바디(1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카메라바디(30)가 회전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1과 같이 렌즈(31)가 카메라바디(30)의 측면에 위치되어 있으며, 렌즈(31)가 지향되는 방향은 단말기바디(10)의 폭방향에 평행하게 되어 있다. 카메라바디(30)는 렌즈(31)가 단말기 바디(1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며 회전될 수 있게 단말기바디(30)에 연결되어 있다. 달리 설명하면, 렌즈(31)의 방향은 디스플레이(15)의 면에 대해 직각을 이루는 상태로 상기 단말기바디(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카메라바디(30)는 도 1과 같이 회전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단말기바디(10)와 조합되어 전체 형상이 바(bar) 형태로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과 같이 조작버튼(34)과 마이크(33)가 디스플레이(15)와 같은 면에 배치되어 전체 형상이 바 형태로 형성되는 때가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라 할 수 있으며, 카메라바디(30)가 임의의 회전각으로 회전될 때는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이라 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바디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로서, 촬영모드로 사용되고 있는 것을 보인 작동 상태도이다. 도 2에 의하면, 카메라바디(30)는 단말기바디(10)에 대하여 정방향 즉, 카메라 렌즈(31)가 사용자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되어 있다. 이 때 휴대 단말기(1)는 피사체에 대하여 촬영을 할 수 있으며, 촬영될 피사체는 디스플레이(15)를 통하여 미리 볼 수 있게 형성된다. 아울러, 디스플레이(15)는 촬영될 피사체 뿐만 아니라 촬영을 위해 설정된 각종 상태 또는 메뉴 등을 터치입력 가능한 아이콘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카메라바디(30)의 측면에는 촬상 등을 위한 셔터버튼(35)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촬영될 피사체에 대한 사진이나 동영상의 성질 등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15)에 대해 터치시키는 것 외에 카메라바디(30)를 쥔 상태에서 곧바로 조작버튼(34)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기바디(10)를 쥐고 있는 손과 카메라바디(30)를 쥐고 있는 손이 양쪽에서 지지하므로 흔들리지 않고 촬영을 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바디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로서, 화상촬영모드로 사용되고 있는 것을 보인 작동 상태도이다. 도 3에 의하면, 카메라 렌즈(31)는 역방향 즉 사용자 쪽으로 가까와지는 방향으로 회전되어 있다. 이 경우, 카메라 렌즈(31)는 디스플레이(15)를 보고 있는 사용자 자신을 촬영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쪽에 있는 피사체를 촬영하거나 또는 화상통화시 자연적으로 자신을 촬영하여 전송할 수 있다.
카메라바디(30)는 역방향으로 일정 회전각에서 단말기바디(10)를 지면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유지시킬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의하면, 단말기바디(10)는 카메라바디(30)의 지지에 의하여 지면에 대하여 경사진 자세를 유지하고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화상통화시 상대방에게 안정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카메라바디(30) 및 단말기바디(10)의 지면에 닿는 부위에는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의 미끄럼방지부재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방송 수신모드시, 카메라바디(30)는 휴대 단말기(1)를 지지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15)는 채널의 변경이나 볼륨의 증감 또는 방송화면을 조정하거나 저장하기 위한 터치입력 가능한 메뉴를 출력할 수 있다. 나아가, 카메라바디(30)에 설치되는 조작버튼(34)에도 채널의 변경이나 볼륨의 증감을 위한 키값(key value)이 할당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보다 용이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구현하기 위해, 카메라 바디(30)가 회전되었을 때 그 회전방향이 정방향이면 디스플레이에 선택 가능한 모드세트 예를 들어, 사진촬영, 동영상촬영, 컨텐츠 보기 등을 출력시키고, 역방향이면 디스플레이에 선택가능한 모드세트, 예를 들어, 화상통화, 셀프카메라, 방송시청, 셀프카메라 등을 출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메라바디(30)의 회전이 있으면 그 회전 방향에 맞게 선택 가능한 모드세트를 출력시킴으로써, 카메라바디(30)의 상태에 맞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4A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줌인(zoom-in) 방법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줌아웃(zoom-out) 방법을 보인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개시된 것과 같이, 카메라바디(30)는 렌즈(31)의 광축 방향으로 전후방향으로 일정 스트로크(stroke)만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단말기바디(10)에 연결되어 있다. 카메라바디(30)의 이동에 의하여 단말기바디(10)가 따라서 흔들리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카메라바디(30)의 이동 스트로크는 수 mm 이하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A에서 보는 것과 같이, 카메라 바디(30)를 피사체에 가까와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촬상될 피사체가 확대되어 줌인(zoom-in)을 구현한다. 카메라 바디(30)는 전진 또는 후퇴된 상태에서 외력이 제거되면 기준위치로 복귀될 수 있게 연결될 수 있다.
반대로 도 4B에서 보는 것과 같이, 카메라 바디(30)를 피사체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촬상될 피사체가 축소되어 줌아웃(zoom-out)을 구현한다.
즉, 카메라 바디(30)의 피사체에 대한 접근 또는 후퇴의 감각을 그대로 줌인/줌아웃에 적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줌인 또는 줌아웃을 위한 조작이 간결할 뿐만 아니라 익히기 용이한 장점이 있다.
줌인 또는 줌아웃에 의하여 상이 결정되면 카메라 바디(30)에 구비된 조작버튼(34) 또는 셔터버튼(35)을 조작함으로써 사진 또는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 바디(30)의 이동이 감지되면, 그 이동 방향에 맞게 줌인 또는 줌아웃으로 실행된다. 줌인 및 줌아웃은 카메라 바디(30)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1회 이동시킬 때마다 그 방향으로 한 단계씩 증가 또는 감소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전방 또는 후방 중 어느 일방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기준 시간 이상이 흐르면 계속적인 줌인 또는 줌아웃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힌지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개시된 힌지모듈(40)은 단말기바디(10)에 고정되는 제1힌지부재(42)와, 제1힌지부재(42)에 구속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는 슬라이드 부재(43), 스토퍼(44) 및, 카메라바디(30)에 고정되는 제2힌지부재(41)를 포함하고 있다.
제1힌지부재(42), 슬라이드 부재(43), 제2힌지부재(41) 및, 제1탄성 스토퍼(44)는 샤프트(46)에 의하여 결합구속된다. 이들 제1힌지부재(42), 슬라이드 부재(43), 제2힌지부재(41) 및 스토퍼(44)에는 샤프트(46)가 통과할 수 있는 관통홀들(42c,43a,41a,44a)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샤프트(46)에는 단말기바디(10)와 카메라바디(30) 사이를 연결하는 케이블이 통과될 수 있도록 관통홀(46a)이 형성된다. 제1힌지부재(42)의 관통홀(42c)은 슬라이드 부재(43)가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는 공간을 갖도록 장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힌지부재(42)와 제2힌지부재(41)는 단말기 바디(10)의 측면 및 카메라 바디(30)의 측면에 각각 안착될 수 있게 플레이트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단말기바디(10)와 카메라바디(30)에는 제1힌지부재(42) 및 제2힌지부재(41)가 장착될 수 있게 제1힌지부재(42) 및 제2힌지부재(41)의 형상에 대응되는 장착홈들(10b,30b)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제1힌지부재(42) 및 제2힌지부재(41)는 이들 장착홈들(10b,30b)에 나사(80) 결합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1힌지부재(42)와 제2힌지부재(41)에는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홀들(42b,41b)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장착홈들(10b,30b)에는 단말기바디(10)와 카메라바디(3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 또는 에프피시비(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가 통과하는 관통홀(10a,30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케이블 또는 에프피시비는 샤프트(46)에 형성된 관통홀(10a,30a)을 통해 단말기바디(10)와 카메라바디(30)를 연결한다.
제1힌지부재(42)에는 슬라이드 부재(43)를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한 슬라이드 레일(42a)이 형성되어 있다. 도 5에서는 슬라이드 레일(42a)이 대략 'ㄷ'자 단면 형태로 된 것을 예시하고 있으며, 슬라이드 레일(42a)은 슬라이드 부재(43)의 양단을 지지하며 슬라이드 부재(43)가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제2힌지부재(41)에는 스토퍼(44)를 구속(engage)시키기 위한 구속홈(41c)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스토퍼(44)에는 구속홈(41c)에 삽입되어 스토퍼(44)와 제2힌지부재(41) 사이의 회전을 제한하는 구속돌기(44c)가 형성될 수 있다. 구속홈(41c)과 구속돌기(44c)는 이와 반대로 스토퍼(44) 및 슬라이드 부재(43)에 각각 형성될 수도 있으며, 제2힌지부재(41)와 스토퍼(44)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슬라이드 부재(43)는 제1슬라이드 부재(42)에 구속되어 슬라이드 이동된다. 슬라이드 부재(43)가 슬라이드 이동시 기준 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슬라이드 부재(43)는 복귀스프링(48a,48b)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슬라이드 부재(43)에는 축 방향으로 함몰된 형태의 정지홈(43b)이 구비된다. 정지홈(43b)은 반경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카메라바디(30)를 정지시키고자 하는 각도에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카메라바디(30)의 회전을 90도마다 정지시키기 위해 90도의 간격으로 정지홈(43b)이 형성된 경우이다.
스토퍼(44)에는 정지홈(43b)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부(44b)가 형성되며, 돌기부(44b)는 정지홈(43b)에 자체 탄성작용에 의해 걸림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스토퍼(44)는 판 스프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돌기부(44b)는 정지홈(43b)에 걸릴 수 있도록 정지홈(43b)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서 정지홈(43b)과 돌기부(44b) 각각은 상대 회전에 따라 그 걸림이 해제되도록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샤프트(46)와 제2힌지부재(41) 사이에는 슬라이드 부재(43)와 제2힌지부재(41) 사이를 가압하는 스프링(45)이 장착될 수 있다. 스프링(45)는 카메라 바디(30)가 회전시 흔들거리는 것을 방지하고 클릭감을 발생시키기 위한 힘을 발생시킨다.
샤프트(46)에 스프링(45), 슬라이드 부재(43), 제1힌지부재(42), 스토퍼(44) 및 제2힌지부재(41)가 삽입되면, 스냅링(47)이 샤프트(46)의 단부에 끼워짐으로써 힌지모듈(40)의 조립이 완성된다.
도 6A 내지 도 6C는 줌인 또는 줌아웃을 구현하고 있을 때의 본 발명과 관련된 힌지 모듈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6A와 같이, 슬라이드 부재(43) 및 제2힌지부재(41)의 조립체는 제1힌지부재(42)에 대하여 복귀 스프링(48a,48b)에 의하여 기준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도 6B와 같이, 카메라 바디(30)에 고정되어 있는 제2힌지부재(41)가 일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면, 제2힌지부재(41) 및 슬라이드 부재(43)는 슬라이드 레일(42a)에 의하여 그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복귀 스프링(48a,48b)은 변형되며 복원력을 저장한다. 카메라 바디(30)에 가해진 힘이 제거되면 복귀 스프링(48a,48b)의 복원력에 의하여 카메라 바디(30)를 기준위치로 이동시킨다.
제2힌지부재(41) 또는 슬라이드 부재(43)의 이동 방향은 카메라 바디 줌이동 감지부(도시되지 않음, 자성체과 자성체를 감지하는 자기센서 또는 발광부와 발광부의 빛을 감지하는 센서 등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에 의하여 감지됨으로써 그 이동방향에 맞게 줌인/줌아웃을 구현한다.
도 6C와 같이, 카메라 바디(30)에 고정되어 있는 제2힌지부재(41)가 반대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면, 제2힌지부재(41) 및 슬라이드 부재(43)는 슬라이드 레일(42a)에 의하여 그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제2힌지부재(41) 또는 슬라이드 부재(43)의 이동 방향은 카메라 바디 줌이동 감지부에 의하여 감지됨으로써 그 이동방향에 맞게 줌인/줌아웃을 구현한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과 관련된 힌지 모듈의 회전동작을 보이기 위한 작동 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에 개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44)는 정지홈(43b)에 걸림(engage)됨으로써 정지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한다(도 7A). 카메라 바디(30)의 회전이 발생시 스토퍼(44)의 돌기부(44b)는, 도 7B와 같이, 슬라이드 부재(43)와 제2힌지부재(41) 사이의 틈 내에서 변형이 발생되고 다른 정지홈(43b)에 걸리면서 다시 정지상태를 유지시키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제1힌지부재(42)가 카메라바디(30)에, 제2힌지부재(41)가 단말기바디(10)에 각각 고정되는 경우를 기초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반대로 제1힌지부재(42)가 단말기바디(10)에, 제2힌지부재(41)가 카메라바디(30)에 각각 고정되는 경우도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선도(block diagram)이다.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예는 무선통신 모듈(51), 조작부(54), 카메라 모듈(56), 마이크(33), 디스플레이(15), 음향 출력부(16), 카메라바디 회전감지부(61), 단말기바디 자세감지부(59), 외부 인터페이스(18), 방송수신 모듈(58), 메모리(57), 전원공급부(62), 제어부(5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무선통신 모듈(51)은 안테나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50)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하며, 이를 위해 송신할 신호를 변조하여 송신하는 송신부(53)와,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는 수신부(52)를 포함한다. 무선통신 모듈(51)은 음성통화 또는 화상통화를 할 수 있는 동작 대역을 가질 수 있다.
조작부(54)는 디스플레이(15)의 내부에 배치되는 터치 입력부(55)와, 카메라 바디(30)에 장착되는 조작버튼(34)과 셔터버튼(35) 및 사이드키(17)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입력 데이터를 제어부(50)에 제공한다. 조작부(54)는 카메라 모듈(56)에 의하여 촬영된 사진이나 동영상 또는 메모리(57)에 저장된 멀티 미디어를 업로드하기 위하여 인터넷이나 서버에 곧바로 접속할 수 있는 실행키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50)는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50)는 통상적인 기능 제어 이외에 카메라바디 회전감지부(61)의 신호에 따라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된 카메라바디(30)의 회전 방향에 따른 선택가능한 모드세트를 디스플레이(15)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는 단말기바디 자세감지부(59)에 의하여 단말기바디(10)의 자세에 따른 출력을 제어하여 항상 지면에 대하여 정립된 정보를 디스플레이(15)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56)은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15)에 표시 가능한 영상 데이터로 변환되어 출력된다. 카메라 모듈(56)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57)에 저장되거나 무선통신 모듈(51)을 통하여 외부로 전송된다.
카메라 모듈(56)이 사용되는 모드 즉,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또는 화상통화 모드에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15)는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피사체 및 카메라 모듈(56)의 각종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아이콘화된 정보 또는 텍스트를 표시한다.
마이크(33)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무선통신 모듈(51)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된다. 녹음 모드인 경우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메모리(57)에 저장된다. 마이크(33)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는 휴대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음성통화 또는 화상통화 모드인 경우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 출력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가 화상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촬영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15)에 의하여 출력되는 내용은 터치 입력부(55)에 의하여 입력가능한 항목이나 리스트일 수 있다.
음향 출력부(16)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무선통신 모듈(51)로부터 수신된 음향 데이터 또는 메모리(57)에 저장된 음향 데이터를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부(16)는 휴대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6)는 스피커(speaker), 리시버(Receiver), 버저(Buzzer) 등으로 포함한다.
카메라바디 회전감지부(61)는 도 1 내지 메모리(57)B와 같이 구성되는 카메라바디(30)가 단말기바디(10)에 대하여 정방향으로 회전되는지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는지를 감지한다. 이를 위하여 단말기바디(10)에는 자기센서 또는 광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카메라바디(30)에는 마그넷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바디 회전감지부(61)에 의하여 감지된 정보는 제어부(50)에 전달되고, 제어부(50)는 카메라바디(30)의 회전 방향에 따라 디스플레이(15)를 통하여 출력하는 선택가능한 모드세트를 조정하여 출력한다.
카메라바디 줌이동감지부(60)는 카메라 바디(30)가 줌을 위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었는지, 이동의 방향 및 스트로크된 상태에서 유지된 시간 등을 감지하여 제어부(50)에 전달한다. 제어부(50)는 카메라바디 줌이동감지부(60)의 신호를 토대로 디스플레이(15)를 통하여 출력되는 피사체의 이미지를 확대 또는 축소시킨다.
단말기바디 자세감지부(59)는 단말기바디(10)의 지면에 대한 자세를 감지하여, 제어부(50)에 신호를 인가한다. 제어부(50)는 단말기바디 자세감지부(59)의 신호가 있고 휴대 단말기가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모드에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15)에 출력되는 촬영 관련 정보를 항상 정립시켜 출력한다. 이를 위하여 단말기바디 자세감지부(59)는 단말기바디(10)에 설치되어 지자기를 감지하는 지자기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인터페이스(18)는 휴대 단말기 이외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카드 소켓(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등을 휴대 단말기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외부 인터페이스(18)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 단말기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방송수신 모듈(58)은 위성 또는 지상파 등을 통하여 전송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음향 출력부(16), 디스플레이(15)에 출력 가능한 방송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제어부(50)에 출력한다. 또한 방송수신 모듈(58)은 방송과 관련된 부가 데이터(예를 들면, EPG(Electric Program Guide), 채널 리스트 등)를 수신한다. 방송수신 모듈(58)에서 변환된 방송 데이터 및 부가 데이터는 메모리(57)에 저장될 수도 있다.
메모리(57)는 제어부(5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메모리(57)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하드 디스크,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플래시 메모리, 램, 롬 등의 개념을 포함한다.
전원공급부(62)는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단말기바디(10) 및 카메라바디(30)에 공급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휴대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3)

  1. 단말기 바디; 및
    촬상을 위한 렌즈가 구비된 카메라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바디는,
    상기 렌즈의 광축(光軸) 방향으로 전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단말기 바디에 설치되고, 상기 카메라 바디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피사체에 대한 줌인(zoom-in)을 구현하며, 상기 카메라 바디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줌아웃(zoom-out)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줌인 및 줌아웃은 상기 카메라 바디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킬 때마다 그 방향으로 한 단계씩 증가 또는 감소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바디는 상기 단말기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렌즈의 광축이 상기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각을 이룬 상태로 회전될 수 있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바디와 카메라 바디 사이에는 상기 카메라바디를 특정 회전 각도에서 멈추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단말기바디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힌지모듈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모듈은,
    상기 단말기바디에 고정되는 제1힌지부재;
    상기 제1힌지부재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부재;
    상기 카메라바디에 고정되며, 상기 슬라이드부재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힌지부재; 및
    상기 카메라바디가 특정 회전각에서 멈추도록 구성되는 탄성 스토퍼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힌지부재와 슬라이드부재 사이에는 상기 슬라이드부재를 원상으로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재에는 자성체가 구비되고,
    상기 제1바디에는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이동에 의한 상기 자성체의 자기 변화를 감지하는 자기센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8. 제5에 있어서,
    상기 제1힌지부재, 슬라이드 부재 및 제2힌지부재는 그 중심에 커넥터가 통과될 수 있게 관통홀이 형성된 샤프트에 구속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재는 축 방향으로 함몰된 형태의 정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 스토퍼는 상기 정지홈에 걸릴 수 있게 돌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스토퍼는 판스프링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재에 구속되며, 그 외주에 반경방향으로 함몰된 형태의 정지홈이 형성된 캠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탄성 스토퍼는 상기 제2힌지부재에 구속되어 상기 제2힌지부재와 함께 회전될 수 있게 구비되고, 상기 정지홈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바디에는 상기 카메라의 촬영과 관련되거나 촬영된 사진이나 동영상을 재생 또는 편집시키기 위한 복수의 조작버튼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3. 전면에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단말기바디; 및
    상기 단말기바디의 상단 또는 하단에 그 렌즈의 방향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면에 대해 직각을 이루는 상태로 상기 단말기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특정 회전각에서 상기 단말기바디와 조합되어 전체 형상이 바(BAR) 형태로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카메라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바디는,
    상기 렌즈의 광축(光軸) 방향으로 전후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카메라 바디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피사체에 대한 줌인(zoom-in)을 구현하고, 상기 카메라 바디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줌아웃(zoom-out)을 구현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20080027546A 2008-03-25 2008-03-25 휴대 단말기 KR1014804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27546A KR101480453B1 (ko) 2008-03-25 2008-03-25 휴대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27546A KR101480453B1 (ko) 2008-03-25 2008-03-25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2239A true KR20090102239A (ko) 2009-09-30
KR101480453B1 KR101480453B1 (ko) 2015-01-09

Family

ID=41359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27546A KR101480453B1 (ko) 2008-03-25 2008-03-25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045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38898A (zh) * 2018-02-09 2019-08-16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
CN114244989A (zh) * 2021-12-22 2022-03-25 深圳市福日中诺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带有升降式旋转摄像头的智能手表的控制方法
CN110138898B (zh) * 2018-02-09 2024-05-1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8424B1 (ko) 2003-12-30 2006-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드형 휴대용 단말기의 줌카메라
KR100761271B1 (ko) 2005-02-11 2007-09-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내장형 안테나 장치를 갖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0713433B1 (ko) 2006-01-27 2007-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자기 거치 타입 휴대 단말기
KR20070111782A (ko) * 2006-05-19 2007-11-22 백범준 전신 운동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38898A (zh) * 2018-02-09 2019-08-16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
CN110138898B (zh) * 2018-02-09 2024-05-1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
CN114244989A (zh) * 2021-12-22 2022-03-25 深圳市福日中诺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带有升降式旋转摄像头的智能手表的控制方法
CN114244989B (zh) * 2021-12-22 2024-04-16 深圳市福日中诺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带有升降式旋转摄像头的智能手表的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0453B1 (ko) 2015-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6859B1 (ko) 휴대 단말기
KR101785458B1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JP5358733B2 (ja) タッチスクリーン機能を変更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427264B1 (ko) 휴대 단말기
US7916473B2 (en) Portable terminal
US8046033B2 (en) Mobile terminal
EP2106100B1 (en) Slide modul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US20120077555A1 (en) Portable terminal
KR20150101770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EP2106101B1 (en) Slide modul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1480453B1 (ko) 휴대 단말기
KR20160081698A (ko) 화이트 밸런스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KR101604703B1 (ko) 슬라이드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100889107B1 (ko) 복수의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및 이의 카메라활성화 상태 제어 방법
US8024017B2 (en) Slidable mobile terminal having a slide module
KR2018001461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30661B1 (ko) 이동 단말기
KR101474415B1 (ko) 휴대 단말기
KR20180037375A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090123698A (ko) 휴대 단말기
JP2010041542A (ja) 通信端末、通信端末の制御方法、および通信端末のプログラム
KR101427271B1 (ko) 휴대 단말기
KR101413472B1 (ko) 신호발생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101474437B1 (ko) 휴대 단말기
KR20080109286A (ko) 휴대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