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0732A - 산마늘 추출물 및 그의 용도 - Google Patents

산마늘 추출물 및 그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0732A
KR20090100732A KR1020080026108A KR20080026108A KR20090100732A KR 20090100732 A KR20090100732 A KR 20090100732A KR 1020080026108 A KR1020080026108 A KR 1020080026108A KR 20080026108 A KR20080026108 A KR 20080026108A KR 20090100732 A KR20090100732 A KR 200901007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acid
garlic
antioxid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6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4206B1 (ko
Inventor
김건희
홍은영
최수임
이제혁
이용수
Original Assignee
덕성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덕성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덕성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26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4206B1/ko
Publication of KR20090100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07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4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42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 A61K36/8962Allium, e.g. garden onion, leek, garlic or ch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9/00General protective or antinoxious agents
    • A61P39/06Free radical scavengers or antioxida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10Preserving against micro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otan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On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Toxicology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산화 활성 및 항균 활성이 있는 산마늘 추출물 및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항산화 활성 및 항균 활성이 있는 산마늘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항산화제용 또는 항균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산마늘, 항산화제, 항균제

Description

산마늘 추출물 및 그의 용도{Extracts of Allium victoriallis L. var. platyphyllum and uses thereof}
본 발명은 항산화 활성 및 항균 활성이 있는 산마늘 추출물 및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환원력(reducing power), 히드록시 라디칼 소거 활성 또는 지질 과산화 억제 활성의 항산화 활성이 있는 산마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그람 양성균주 및 그람 음성 균주에 대해 항균 활성이 있는 산마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항균제는 화학 합성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다. 이들 화학 합성 항균제는 천연 물질로부터 유래된 것이 아니므로, 인간에 대해 잠재적인 독성이 있어, 그 사용이 기피되고 있는 실정이며,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현재 상황에서 소비자들은 항균제가 포함되어 있는 식품을 사용하면서도, 이들에 대한 불안감을 갖고 있다. 특히, 항균제의 과용으로 인하여 이들에 대해 내성인 균주들이 나타나게 되면서, 천연 물질로부터 유래하는 항균제의 개발에 대한 노력은 계속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현재 식품의 장기간 보존과 산폐를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는 BHA(butylated hydroxyanisole), BHT(butylated hydroxytoluene), PG(propyl gallate) 및 TBHQ(tert-butyl hydroquinone) 등 인공 합성 항산화제는 항산화력은 강한 반면에, 열 안정성이 떨어지고 유해 물질을 생성하므로, 안전성 측면에서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새로운 안전한 천연 항산화제, 특히 식품 속에 함유되어 있는 항산화제의 개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로서, 토코페롤, 페놀성 물질, 아스코르브산, 카로티노이드, 함황물질, 질소 화합물 등이 있다.
한편, 산마늘(Allium victoriallis L. var . platyphyllum)은 백합과 식물로서 우리나라 전역에서 특이적으로 자라는 여러 해살이 다년초이다. 산마늘은 전통적으로 위염과 심장 질환의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식용 식물로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자는 산마늘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항균 활성을 밝혀내고, 상기 추출물을 식품 첨가물인 항산화제용 조성물 및 항균제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항산화 활성 및 항균 활성이 있는 식물 추출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식품 산업에 사용할 수 있는, 상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제용 또는 항균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 발명은 항산화 활성 및 항균 활성이 있는 산마늘 추출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원 발명은 산마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제용 또는 항균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항산화 활성 및 항균 활성이 있는 산마늘 추출물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산마늘 추출물은 용매 추출법을 사용하여 산마늘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용매 추출법에서 사용되는 용매로는 에탄올, 메탄올, 프로판올, 클로로포름, 아세톤 등의 유기 용매를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을 사용한다. 에탄올을 용매로 사용하는 경우, 산마늘을 건조시켜 마쇄하고, 마쇄한 분말 시료 10 g 당 100 ml의 에탄올을 첨가한 후, 실온에서 방치하면서 추출한다.
상기 추출물은 산마늘의 잎, 씨, 뿌리, 줄기, 꽃 또는 꽃받침 부위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항산화 활성이 있는 산마늘 추출물은 산마늘의 잎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고, 항균 활성이 있는 산마늘 추출물은 산마늘의 씨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산마늘 각 부위별 추출물은 추출물의 농도 의존적인 방식으로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환원력, 히드록시 라디칼 소거 활성 및 지질 과산화 억제 활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산마늘 잎 추출물은 다른 부위에 비해 뛰어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고, 비타민 E 유사체 항산화제인 트로록스(Trolox)와 유사한 정도의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산마늘 각 부위별 추출물은 추출물의 농도 의존적인 방식으로 균주에 대해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산마늘 각 부위별 추출물은 그램 양성 균주인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리스테리아 모노시토게네스(Listeria monocytogenes),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그람 음성 균주인 살모넬라 콜레라에수이스(Salmonella choleraesuis), 비브리오 파라헤모리티쿠스(Vibrio parahaemolyticus)에 대해 뛰어난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하, 본 발명의 산마늘 각 부위별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제 또는 항균제용 조성물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항산화 활성 및 항균 활성이 있는 산마늘 추출물을 식품 제조시 사용될 수 있는 항산화제 또는 항균제로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항산화제용 조성물은 산마늘 각 부위별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고, 전체 조성물에 대해 산마늘 각 부위별 추출물을 0.1-1 중량%로 함유하고 있다. 본 발명의 항산화제용 조성물은 산마늘 추출물 이외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항산화제 및 이들의 조합을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항산화제는 인공(화학) 항산화제, 천연 항산화제 또는 항산화 상승제(synergist)가 있다. 인공(화학) 항산화제로는 통상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BHT), 부틸히드록시아니솔(BHA), 터셔리부틸히드로퀴논(TBHQ), 몰식자산플로필(PG)가 있다. 천연 항산화제로는 시사몰(sesamol, 참기름 성분), 고시폴(gossypol, 목화씨 성분), 토코페롤, 플라보노이드 화합물 등이 있다. 항산화 상승제로는 자신은 항산화력을 갖지 않지만, 항산화제와 함께 첨가하였을 경우 항산화제의 항산화력을 증강시켜 주는 상승제로,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이소아소크로브산(isoascorbic acid), 구연산(citric acid), 주석산(tartaric acid), 인산, 피틴산(phytic acid), 인 지방질 등과 같은 산성 화합물이 있다.
본 발명의 항균제용 조성물은 산마늘 각 부위별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고, 전체 조성물에 대해 산마늘 각 부위별 추출물을 0.1-1 중량%로 함유하고 있다. 본 발명의 항균제용 조성물은 산마늘 추출물 이외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항균제 및 이들의 조합을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항균제는 라이소자임, 폴리라이신, 프로타민, 콘알부민, 아비딘 등의 단백질과, 아세트산, 벤조산, 알레익산 및 숙신산 등의 유기산, 펙틴 분해물, 갈변 반응 물질, 저급 지방산 에스테르 및 향신료가 있다(양지영, 한종흔, 강현록, 황미경, 이재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16(1), p 37-40, 2001).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사용된 산마늘은 전통적으로 위염과 심장 질환의 치료 를 목적으로 식용 식물로 사용되었으므로, 독성 여부에 대한 평가 없이 식품 첨가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산화제용 또는 항균제용 조성물은 산마늘로부터 유래한 천연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므로, 통상의 합성 항산화제 또는 항균제로 인한 과용 또는 부작용으로 인한 위험 또는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식용 식물로 사용되던 산마늘을 식품 첨가물인 항산화제 또는 항균제로 이용한 것으로서, 소비자들의 불신감을 극복할 수 있다.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 산마늘 각 부위별 추출물의 제조
산마늘은 2005년 6월 서림 농원에서 수확한 것을 꽃, 잎, 꽃 받침, 씨, 줄기, 뿌리의 6개 부위로 나누고, -70℃에서 72시간 동안 동결 건조시킨 다음, 마쇄하여 분말을 얻었다. 얻은 각각의 부위별 건조 분말 10g을 70% 에탄올 100 ml와 함께 25℃에서 300 rpm으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고, 얻은 혼합물을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여과 후 얻은 잔사에 대해 상기 방법을 2회 더 반복하여 여과된 액을 모두 모으고 40℃에서 감압 농축하여 에탄올을 완전히 제거하여, 산마늘 각 부위별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산마늘 각 부위별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산마늘의 각 부위별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Blois 등의 방법(Biols MS. Antioxidative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1958))에 따라 측정하였다.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산마늘 각 부위별 추출물을 에탄올 2.5ml에 녹여 100ppm, 500ppm, 1000ppm 농도의 용액을 만들었다. 각각의 용액에 0.1 mM DPPH 에탄올 용액 1ml를 넣고 실온에서 30분간 반응시켰고, 517 nm에서의 흡광도(A1)를 측정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서 트로록스(Trolox)를 사용하였고, 상기와 동일한 방법을 실시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음성 대조군으로서 추출물을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을 실시하여 흡광도(A0)를 측정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은 다음에 따라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A0-A1)/A0] x 100
도 1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산마늘 각 부위별 추출물은 트로록스에 비해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이 낮지만, 농도 의존적인 방식으로 유의적인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산마늘 각 부위별 추출물의 환원력
산마늘의 각 부위별 추출물의 환원력을 Yildirm 등의 방법(Yildirm A et al.,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Polygonum Meissn extracts, J.Sci.Food Agric . 83:64-69(2003))에 따라 측정하였다.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산마늘 각 부위별 추출물을 증류수 2.5ml에 녹여 100ppm, 500ppm, 1000ppm 농도의 용액을 만들었다. 각각의 용액을 0.2M 소듐 포스페이트 완충용액 2.5ml 및 포타슘 페리시아니드(potassium ferricyanide)(10 mg/ml) 2.5ml와 완전히 혼합하였다. 얻은 혼합물을 50℃에서 20분 동안 반응시킨 후, 트리클로로아세트산(100 mg/ml) 2.5ml를 첨가하였고, 2000rpm에서 10분 동안 원심 분리시켰다. 얻은 상층액 5ml와 증류수 5ml를 완전히 혼합하였고, 페릭 클로라이드(ferric chloride)(1 mg/ml) 1ml를 첨가하였다. 그런 다음, 생성물의 흡광도를 700 nm에서 측정하였다(A1). 양성 대조군으로서 트로록스를 사용하였고, 상기와 동일한 방법을 실시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을 실시하여 음성 대조군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A0).
흡광도 수치가 높을수록 높은 환원력을 나타낸다. 환원력은 다음에 따라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환원력 (%)= [(A0-A1)/A0] x 100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산마늘 각 부위별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인 방식으로 환원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산마늘 잎 추출물은 양성 대조군인 트로록스와 유사한 정도의 환원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히드록시 라디칼 소거 활성
추출물의 Fe3 +/아스코르브산/EDTA/H2O2 시스템에 의해서 발생된 히드록시 라디칼에 대한 소거 활성을 측정하였다(Chung SK et al., Hydroxy radical scavenging effects of species and scavengers from brown mustard, Biosci . Biotechnol. Biochem. 61: 118-123(1997)).
0.1 M 포스페이트 완충 용액(pH 7.4) 1.2 ml에 0.05 M FeSO4H2O 0.1 ml, 0.05M EDTA 0.1 ml, 0.05 M 2-데옥시리보스 0.2 ml를 첨가하여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산마늘 각 부위별 추출물을 DMSO에 녹여 0.1, 0.5, 1 mg/mL로 만든 다음 각각 0.2 ml를 상기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그런 다음, 0.05 M H2O2 0.2 ml를 첨가하였고, 37℃에서 2시간 동안 유지시켰다. H2O2 첨가에 의해 반응이 개시된다. 그런 다음 2.8% 트리클로로아세트산 1 ml를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시켰고, 그런 다음 1% 티오바비투르산(thiobarbituric acid) 1 ml을 첨가하였다. 얻은 반응 종결액을 100℃에서 15분 동안 끓인 후, 냉각시켰다. 그런 다음 얻은 반응액에 대해 530nm에서 흡광도(A1)를 측정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서 트로록스를 사용하였고, 상기와 동일한 방법을 실시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을 실시하여 음성 대조군의 흡광도(A0)를 측정하였다.
산마늘 각 부위별 추출물의 히드록시 라디칼 소거 활성은 다음에 따라 계산하였다.
히드록시 라디칼 소거 활성(%)= [(A0-A1)/A0] x 100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산마늘 각 부위별 추출물은 트로록스에 비해 히드록시 라디칼 소거 활성이 낮지만, 유의적인 히드록시 라디칼 소거 활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지질 과산화 억제 활성
추출물의 지질 과산화 억제 활성은 β-카로틴/리놀레산 시스템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Taga MS et al., Chia seeds as a source of natural lipid antioxidants. J. Am. Oil Chem Soc 61: 928-931(1984)). β-카로틴/리놀레산 시스템은 탈색반응이 발생하며, 항산화 물질 존재시 본래 색을 유지하게 된다.
β-카로틴 클로로포름 용액(2 mg/20 ml) 3 ml에 리놀레산 40 mg을 첨가하고, 용매 클로로포름을 질소 가스 버블링으로 완전히 제거하였다. 얻은 잔여물에 증류수 100 ml을 천천히 넣으면서 격렬하게 잘 섞어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산마늘 각 부위별 추출물을 DMSO에 녹여 0.1, 0.5, 1 mg/mL로 만든 다음 각각 0.2 ml를 시험관에 넣고 상기 혼합물 5 ml에 첨가하였다. 그런 다음 시험관을 40℃ 항온 수조에 넣고 30분 동안 반응시킨 후, 470nm에서 흡광도(A1)를 측정하였다.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을 실시하여 음성 대조 군의 흡광도(A0)를 측정하였다.
산마늘 각 부위별 추출물의 지질 과산화 억제 활성은 다음에 따라 계산하였다.
지질 과산화 억제 활성(%)= [(A0-A1)/A0] x 100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산마늘 각 부위별 추출물은 트로록스에 비해 지질 과산화 억제 활성이 낮지만, 유의적인 지질 과산화 억제 활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산마늘 씨 추출물은 다른 부위에 비해 높은 지질 과산화 억제 활성을 보여주었다.
실험예 5: 산마늘 추출물의 항균 활성 측정
(1) 균주의 배양
항균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그램 양성 균주인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 리스테리아 모노시토게네스(Listeria monocytogenes) KCTC 3710,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 ATCC 14579,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KTCT 3726을 사용하였고, 그람 음성 균주인 살모넬라 콜레라에수이스(Salmonella choleraesuis) ATCC 13312, 비브리오 파라헤모리티쿠스(Vibrio parahaemolyticus) ATCC 17802(Korean Culture Center of Microorganisms(서울, 대한민국) 및 Biological Resource Center(대전, 대한민국) 를 사용하였다. 비브리오 파라헤모리티쿠스는 3% NaCl-NB 배지에서 37℃에서 18시간 동안 배양하였고, 나머지 균주는 NB 배지에서, 37℃에서 1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 배지 확산법에 의한 항균 활성 측정
활성화된 균액을 OD 값이 600 nm에서 0.1이 되도록 희석한 후 한천 배지에 균액을 균일하게 도포하였다. 건조시킨 산마늘 각 부위별 추출물을 10% 에탄올에 녹여 100 mg/ml 용액을 만들었고, 0.45 mm Millipore filter로 제균하여, 산마늘 각 부위별 에탄올 추출물을 얻었다. 직경 8 mm 종이 디스크(paper disc)에 상기 제조한 산마늘 부위별 에탄올 추출물을 200㎍/디스크에 완전히 흡수시킨 후 상기 한천 배지 위에 올려놓았다. 그런 다음 37℃에서 12시간 동안 배양한 후, 균주 저해 환을 확인하였다. 각각의 균주 배양 후 디스크 주위에 생성된 균주 저해 환(inhibition zone)의 직경(mm)에 따라 산마늘 각 부위별 추출물의 항균활성을 비교할 수 있다.
대조군으로 10% 에탄올만을 첨가하여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배양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 앰피실린과 테트라시클린(12.5㎍/디스크)에 대해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항균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각 균주에 대한 항균 저해 환(mm)
산마늘 각 부위 앰피실린 테트라시클린
꽃받침 줄기 뿌리
S. aureus - - 11.0±0.1 - - 14.1±0.3 13±0.5 17±0.3
L. monocytogenes 10.0±0.4 10.3±0.2 11.0±0.1 12.0±0.1 - 13.0±0.1 15±0.3 23±0.5
B. cereus - - - - - 10.0±0.4 23±0.5 14±0.5
B. subtilis 8.5±0.1 8.5±0.1 0.0±0.2 8.5±0.1 - 17.0±0.1 - 16±0.3
S. choleraesuis 8.5±0.1 9.0±0.2 11.0±0.1 12.0±0.1 - 12.0±0.1 12±0.3 19±0.3
V. parahaemolyticus - 10.0±0.4 10.0±0.4 12.0±0.1 - 12.0±0.1 - 17±0.3
10% 에탄올은 균주의 생육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상기 표 1에서 살핀 바와 같이, 산마늘 각 부위별 추출물은 각 균주에 대해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산마늘 뿌리 추출물은 모든 균주에 대해 유의적인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3) 최소 억제 농도(MIC) 측정에 의한 항균 활성 측정
활성화된 균액을 OD 값이 0.1이 되도록 희석하고 각각의 희석 균주 100㎕를 5 ml NB배지에 접종하였다. 상기 산마늘 각 부위별 에탄올 추출물을 각각 0, 625, 1250. 2500, 5000 ppm으로 첨가하였고, 37℃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0, 3시간, 6시간, 12시간, 24시간, 및 48시간 배양이 완료된 후 600 nm에서 OD를 측정하였다.
음성 대조군으로서 산마늘 각 부위별 에탄올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고 배양하였으며, 동일한 방법으로 OD를 측정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서 앰피실린(12.5㎍/ml) 또는 테트라사이클린(12.5㎍/ml)을 첨가하고 배양하였으며, 동일한 방법으로 OD를 측정하였다.
각각의 균주가 배양된 액체 배지로부터 50 μL씩을 따서 NB 배지에 도포한 후 37℃에서 24 시간 배양하였고, 균의 생육 유무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서 살핀 바와 같이, 산마늘 각 부위별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인 방식으로 각 균주에 대해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도 1은 음성 대조군에 대한 산마늘 각 부위별 추출물, 및 트로록스의 처리 농도에 따른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나타낸다.
도 2는 음성 대조군에 대한 산마늘 각 부위별 추출물, 및 트로록스의 처리 농도에 따른 환원력을 나타낸다.
도 3은 음성 대조군에 대한 산마늘 각 부위별 추출물, 및 트로록스의 처리 농도에 따른 히드록시 라디칼 소거 활성을 나타낸다.
도 4는 음성 대조군에 대한 산마늘 각 부위별 추출물, 및 트로록스의 처리 농도에 따른 지질 과산화 억제 활성을 나타낸다.
도 5는 산마늘 각 부위별 추출물, 앰피실린, 및 테트라시클린의 처리 농도 및 배양 시간에 따른 하기 균주의 성장율(O.D. 600nm에서 흡광도)을 나타낸 것이다.
A: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
B:리스테리아 모노시토게네스
C:바실러스 세레우스
D:바실러스 서브틸리스
E:살모넬라 콜레라에수이스
F:비브리오 파라헤모리티쿠스

Claims (8)

  1. 항산화 활성이 있는 산마늘(Allium victoriallis L. var . platyphyllum)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제용 조성물.
  2. 항균 활성이 있는 산마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제용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산마늘 추출물은 에탄올, 메탄올, 프로판올, 클로로포름 및 아세톤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유기 용매로 추출된 것인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마늘 추출물은 산마늘 잎으로부터 추출된 것인 조성물.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산마늘 추출물은 산마늘 씨로부터 추출된 것인 조성물.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리스테리아 모노시토게네스(Listeria monocytogenes),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그람 음성 균주인 살모넬라 콜레라에수이스(Salmonella choleraesuis) 및 비브리오 파라헤모리티쿠스(Vibrio parahaemolyticu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균주에 대해 항균 활성이 있는 것인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마늘 추출물은 전체 조성물에 대해 0.1-1 중량%로 함유되어 있는 것인 조성물.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산마늘 추출물은 전체 조성물에 대해 0.1-1 중량%로 함유되어 있는 것인 조성물.
KR1020080026108A 2008-03-21 2008-03-21 산마늘 추출물 및 그의 용도 KR1009842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6108A KR100984206B1 (ko) 2008-03-21 2008-03-21 산마늘 추출물 및 그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6108A KR100984206B1 (ko) 2008-03-21 2008-03-21 산마늘 추출물 및 그의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0732A true KR20090100732A (ko) 2009-09-24
KR100984206B1 KR100984206B1 (ko) 2010-09-28

Family

ID=41358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6108A KR100984206B1 (ko) 2008-03-21 2008-03-21 산마늘 추출물 및 그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420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1143B1 (ko) * 2011-11-25 2013-10-22 재단법인 경북바이오산업연구원 유산균을 이용한 기능성 발효 산마늘 및 제조방법
RU2535085C2 (ru) * 2012-06-15 2014-12-10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Волгоград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медицин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Министерства здравоохранения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антимикробного средства из надземной части черемши
KR20220046162A (ko) 2020-10-07 2022-04-1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울릉산마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06794B (it) 1987-06-30 1989-05-03 Iris Di Salvioli Michele E C S Fitopreparato per la cura di affezioni cutane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1143B1 (ko) * 2011-11-25 2013-10-22 재단법인 경북바이오산업연구원 유산균을 이용한 기능성 발효 산마늘 및 제조방법
RU2535085C2 (ru) * 2012-06-15 2014-12-10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Волгоград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медицин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Министерства здравоохранения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антимикробного средства из надземной части черемши
KR20220046162A (ko) 2020-10-07 2022-04-1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울릉산마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4206B1 (ko) 2010-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ozarski et al. Nutraceutical properties of the methanolic extract of edible mushroom Cantharellus cibarius (Fries): Primary mechanisms
Senhaji et al. Phytochemical content, antibacterial and antioxidant potential of endemic plant anabasis aretioïdes coss. & moq.(Chenopodiaceae)
Abdelkader et al. Phytochemical study and biological activity of sage (Salvia officinalis L.)
Lim et al. Evaluation of antioxidant, antibacterial and anti-tyrosinase activities of four Macaranga species
Montazeri et al. Phytochemical content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Rosa canina fruit from Iran
Negi et al.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of Punica granatum peel extracts
Paster et al. Antimicrobial activity and inhibition of aflatoxin B1 formation by olive plant tissue constituents
Rummun et al. Bioactivity of nonedible parts of Punica granatum L.: a potential source of functional ingredients
Gheisari et al.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Iranian Bael (Aegle marmelos) fruit against some food pathogens
KR101495309B1 (ko) 김치에서 분리한 신규 유산균 균주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 dsr kf12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Jeong et al.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xtracts from a medicinal plant, sea buckthorn
Ariffin et al. In vitro antibacterial, antioxidant, and cytotoxicity evaluations of Musa paradisiaca cv. Sekaki florets from Sarawak, Malaysia
KR20160057855A (ko) 김치에서 분리한 항진균 활성을 갖는 유산균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0984206B1 (ko) 산마늘 추출물 및 그의 용도
Synowiec et al. Antimicrobial effect of an aqueous extract of rhizome
Chedea et al. Antibacterial action of an aqueous grape seed polyphenolic extract
KR20110120394A (ko) 국화 꽃으로부터 추출된 항균 조성물
KR20160058294A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진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천연 방부제
KR100876667B1 (ko) 육두구, 육계 및 양강 혼합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항균 활성 분획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Hamza et al. Potential antimicrobial, antioxidant and anityrosenase activities achieved by selected species of marine macroalgae
Kumar et al. Functional properties of pomegranate peel in edible coating/film: A review
KHERRAZ et al. ESTIMATION OF TOTAL PHENOLIC AND FLAVONOIDS CONTENT AND ANTI-FREE RADICAL SCAVENGER, ANTIBACTERIAL AND ANTIFUNGAL ACTIVITIES OF EXTRACT OF Matricaria pubescens (DESF.) SCH. BIP. COLLECTED FROM SOUTH EAST OF ALGERIA.
Paneerchelvan et al. Antioxidant, antibacterial and tyrosinase inhibiting activities of extracts from Myristica fragrans Houtt
KR20110120481A (ko) 김치유산균 발효액과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을 항균 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연 방부제 화장료 조성물
WO2013070045A1 (ko) 피톤치드가 함유된 천연 식품보존제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