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0015A -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롤러유닛 요동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롤러유닛 요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0015A
KR20090100015A KR1020080025364A KR20080025364A KR20090100015A KR 20090100015 A KR20090100015 A KR 20090100015A KR 1020080025364 A KR1020080025364 A KR 1020080025364A KR 20080025364 A KR20080025364 A KR 20080025364A KR 20090100015 A KR20090100015 A KR 200901000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rocking
cleaning roller
roller unit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5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3531B1 (ko
Inventor
정광현
지우진
Original Assignee
(주)와이티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와이티에스 filed Critical (주)와이티에스
Priority to KR1020080025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3531B1/ko
Publication of KR20090100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00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3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35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3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 B08B1/32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using rotary clean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17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 H01L21/67028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cleaning followed by drying, rinsing, stripping, blasting or the like
    • H01L21/6704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cleaning followed by drying, rinsing, stripping, blasting or the like for wet cleaning or washing
    • H01L21/67046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cleaning followed by drying, rinsing, stripping, blasting or the like for wet cleaning or washing using mainly scrubbing means, e.g. brush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롤러유닛 요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디스플레이용 패널 표면의 이물질 및 입자를 분리 제거하고 클리닝하는 세정롤러유닛(연마롤러유닛과 클리닝롤러유닛)이 회전하는 가운데 좌우로 요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의 연마 및 클리닝 효과가 향상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외형을 형성하는 프레임 본체의 상부에 횡방향으로 설치되어지되 세정롤러 샤프트의 외주면 상에 롤 브러시가 결합되어 구동모터의 구동에 따른 연속적인 회전을 통해 이송롤러에 의해 이송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표면의 이물질이나 입자를 분리 제거하고 클리닝하는 세정롤러유닛이 구비된 디스플레이 패널용 세정장치에 있어서, 프레임 본체 상부 일측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지되 그 상부로 세정롤러유닛을 구성하는 구동모터가 고정 설치되는 요동판재; 요동판재의 하부의 프레임 본체 상부 양측에 설치되어지되 요동판재를 세정롤러유닛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하는 LM가이드; 및 프레임 본체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지되 요동판재를 LM가이드 방향으로 좌우 이동시켜 세정롤러유닛을 디스플레이 패널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좌우로 요동시키는 요동수단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TFT-LCD, 패널, 글라스, 세정장치, 연마, 클리닝, 요동장치

Description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롤러유닛 요동장치{Oscillating device cleaning roller display panel uni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세정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TFT-LCD 패널을 포함한 FPD용 패널 및 유사한 글라스 등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운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하부면에 묻은 이물질을 연속적으로 제거하는 세정롤러유닛을 좌·우로 요동시켜 이물질의 제거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롤러유닛 요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최근 화상 정보의 전달 매체로써 표시장치의 대형화 및 고품질화에 많은 관심이 집중됨에 따라 지금까지 사용되어 왔던 CRT(Cathode Ray Tube)를 대신하는 각종 평판표시장치가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음은 주지하는 바와 같다. 이러한 평판표시장치들 중의 하나인 액정표시장치는 화질의 색상 측면에서 CRT 이상의 수준으로 월등히 발전되어 세계시장을 지배하는 주력제품이 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액정표시장치를 이루는 일반적인 TFT-LCD 패널(Thin Film Transistor Liquid Crystal Display Panel)의 일반적인 제조공정을 살펴보면 다음 과 같다. 먼저, 개요로써 TFT-LCD 패널의 한 개 픽셀(R, G, B 3개의 서브 픽셀로 이루어진다)은 폭이 약 0.3mm 정도로 미세하다. 물론, 그 안에 들어가는 TFT (Thin Film Transistor)의 크기는 더 작다. 더군다나, 해상도가 1600 x 1200 수준이 되려면 그 픽셀의 수가 무려 192만 개가 되며 여기에 각 서브 픽셀까지 고려한다면 3배(R, G, B)를 해야 하므로 576만 개의 TFT가 필요하다. 그러므로, 전체 공정 자체의 정밀도도 높아야하는 공정으로 반도체 수준의 공정이 요구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TFT-LCD 패널의 제조 공정은 크게 TFT 공정, 컬러 필터(CF) 공정, 셀(Cell) 공정, 모듈 공정으로 나뉘어 진행되는데, TFT 공정과 CF 공정을 거친 두 개의 글라스를 가지고 셀(Cell) 공정을 거쳐 한 개의 패널이 만들어지고, 셀(Cell) 공정을 거친 패널이 모듈 공정을 거쳐 실제로 모니터나 TV에 사용되어지는 TFT-LCD 패널 한 장이 만들어진다.
먼저, TFT(Thin Film Transistor, 박막 트랜지스터) 공정은 기본적인 전극을 형성하는 공정으로, 가장 기본이 되면서도 핵심적인 공정으로 각 셀의 전극을 만들어 주게 된다. 그 공정 순서로는 게이트 전극 생성, 절연막 및 반도체막 생성, 데이터 전극 생성, 보호막 생성, 화소 전극 생성의 5단계를 거치지만 각 단계마다 1회 이상의 패턴 공정이 필요하다. 이 패턴 공정이야말로 TFT-LCD 패널 제조공정의 핵심이라고도 부를 수 있는 공정으로 TFT 공정뿐만 아니라 CF 공정에도 유사한 패턴 공정이 필요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패턴 공정은 그 하나만으로도 매우 정밀하고 복잡한 공정이다. 한 장의 TFT-LCD 패널을 만들기 위해서 적어도 이 공정을 여러 번 거치게 된다. 물론, 그때그때 동일한 증착 재료와 공법을 사용하는 것은 아니지만 개략적인 공정은 비슷하다. 이러한 패턴 공정은 증착, 세정, 감광물질(Photo Registor, 이하 PR) 코팅, 노광, 현상, 식각(Etching 공정), PR 박리(Strip 공정) 및 검사의 순서로 이루어지고, TFT 공정에서만 5번 이상의 공정이 필요하다.
한편, TFT-LCD는 PDP나 OLED(유기 EL)처럼 각 셀이 스스로 발광하는 것이 아니라 백라이트에서 나오는 일정한 빛을 각 셀에 있는 액정의 배열을 조절하여 빛의 밝기를 조절한다. 백라이트 자체는 백색광이므로 액정의 배열을 변화시켜 빛의 양을 조절하지만, 색을 구현하기 위한 R, G, B로 만들기 위해서 CF(Color Filter)가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CF는 TFT-LCD 패널의 상판에 위치하며 TFT 공정과는 별도의 공정을 통해 만들어진다. CF 공정에서도 앞서 설명했던 패턴 공정이 필요하다.
전술한 CF(Color Filter) 공정은 BM(Black Matrix) 공정(증착, 세정, PR 코팅, 노광, 현상, 식각, 박리 순의 패턴 공정이 필요하다), 화소별 공정(이 패턴 공정은 앞서 했던 2가지 공정과는 약간 다른 공정으로 증착과 세정 과정이 필요없이 컬러를 갖는 감광물질을 도포하여 노광과 현상의 공정을 거치면 된다) 및 ITO 공정(Indium Tin Oxide : 투과성과 도전성이 좋으며 화학적, 열적 안정성이 우수한 투명 전극 재료)으로 이루어진다. 이외에도 패널의 타입(VA, IPS, TN 등)에 따라 몇 가지 공정이 더 추가되기도 한다.
그리고, 셀(Cell) 공정은 CF 공정과 TFT 공정에서 만들어진 2개의 글라스를 하나로 합치고 절단하는 공정으로, CF와 TFT 세정, 배향막(Polyamide) 인쇄, 러 빙(Rubbing) 공정, 스페이서(Spacer) 산포, 합착(TFT 기판과 CF 기판을 정밀하게 합착), 절단(합착된 기판을 절단하여 각각의 패널로 분리), 액정 주입, 최종 검사의 순서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TFT-LCD 패널의 제조공정 중 모듈 공정은 완제품 패널을 만들기 위한 마지막 공정으로 셀(Cell) 공정으로 만들어진 패널에 편광판과 PCB, 백라이트유닛 등을 부착하는 최종 단계로, 세정, 편광판 부착, TAB 부착, 탈포(Autoclave), PCB 부착, BLU(Back Light Unit) 조립, 검사의 순서로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TFT 공정, CF(Color Filter) 공정, 셀(cell) 공정 및 모듈 공정을 통해 TFT-LCD 패널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각각의 공정에는 글라스 또는 패널 상의 이물질 및 입자를 제거하는 공정이 있어 각각의 공정을 거치는 가운데 글라스 또는 패널의 세정을 통해 TFT-LCD 패널의 불량화소와 같은 불량을 방지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TFT-LCD 패널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각 공정의 패널(또는 글라스) 상의 이물질 및 입자를 제거하기 위한 종래의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장치로는 면포를 이용한 세정장치, 세정칼날을 이용한 세정장치 및 연마벨트를 이용한 세정장치 등의 기술이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세정장치 중 면포와 세정칼날을 이용한 세정장치의 경우에는 30인치 이상의 대형 패널(또는 글라스)을 세정하는데 있어서는 세정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있고, 연마벨트를 이용한 세정장치의 경우에는 구조가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연마벨트의 교체주기가 매우 짧아 세정공정을 자주 멈추어야 하는 문제가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정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특허출원 제2007-122276호(디스플레이용 패널 세정 시스템 및 방법)의 기술을 출원한 바 있다. 이러한 특허출원 제2007-122276호의 기술은 연마 롤 브러시를 채용한 연마롤러유닛과 클리닝 롤 브러시를 채용한 클리닝롤러유닛의 구성을 통해 연마 롤 브러시와 클리닝 롤 브러시를 연속적으로 회전시키는 가운데 일방향으로 이동된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하부면을 연마 및 클리닝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에 묻은 이물질 및 입자를 세정하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 표면으로부터 이물질 및 입자를 분리 제거하는 한편 이물질 및 입자가 분리 제거된 디스플레이 패널 표면을 클리닝하는 경우 연마롤러유닛과 클리닝롤러유닛의 연마 롤 브러시와 클리닝 롤 브러시는 일방향으로 회전만 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패널 표면의 세정효과에는 한계가 있다.
다시 말해서, 종래 기술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장치를 구성하는 연마롤러유닛과 클리닝롤러유닛의 연마 롤 브러시와 클리닝 롤 브러시는 일방향으로 회전만 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패널 표면에 접촉하여 연마 및 클리닝하는 롤 브러시의 모(毛 : 터럭 또는 털)는 사실상 그 라인만을 연마 및 클리닝하게 된다. 따라서, 롤 브러시의 모(毛)와 모(毛) 사이의 디스플레이 패널 표면은 연마 및 클리닝이 상대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디스플레이용 패널 표면의 이물질 및 입자를 분리 제거하고 클리닝하는 세정롤러유닛(연마롤러유닛과 클리닝롤러유닛)이 회전하는 가운데 좌우로 요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의 연마 및 클리닝 효과가 향상될 수 있도록 한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롤러유닛 요동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디스플레이용 패널 표면의 이물질 및 입자를 분리 제거하고 클리닝하는 세정롤러유닛(연마롤러유닛과 클리닝롤러유닛)이 회전하는 가운데 좌우로 요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롤 브러시를 이루는 모(毛)와 모(毛) 사이의 간극이 세정롤러유닛의 요동으로 인하여 보상이 되도록 하여 디스플레이 패널 전면에 걸쳐 연마 및 클리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롤러유닛 요동장치는 외형을 형성하는 프레임 본체의 상부에 횡방향으로 설치되어지되 세정롤러 샤프트의 외주면 상에 롤 브러시가 결합되어 구동모터의 구동에 따른 연속적인 회전을 통해 이송롤러에 의해 이송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표면의 이물질이나 입자를 분리 제거하고 클리닝하는 세정롤러유닛이 구비된 디스플레이 패널용 세정장치에 있어서, 프레임 본체 상부 일측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지되 그 상부로 세정롤러유닛을 구성하는 구동모터가 고정 설치되는 요동판재; 요동판재의 하부의 프레임 본체 상부 양측에 설치되어지되 요동판재를 세정롤러유닛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하는 LM가이드; 및 프레임 본체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지되 요동판재를 LM가이드 방향으로 좌우 이동시켜 세정롤러유닛을 디스플레이 패널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좌우로 요동시키는 요동수단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요동수단은 요동판재의 일측면 일측에 형성되는 볼트홈 상에 나사 결합을 통해 결합되는 볼트재와 볼트재의 머리를 형성하는 결합뭉치로 이루어진 연결샤프트; 요동판재의 근접된 위치의 프레임 본체 상부에 설치 고정되어지되 모터축의 선단면에는 그 중심으로부터 편심되어 볼트홈이 형성된 요동모터; 요동모터의 모터축 상에 형성된 볼트홈 상에 나사 결합을 통해 결합되는 볼트재와 볼트재의 머리를 형성하는 결합뭉치로 이루어진 요동샤프트; 및 연결샤프트와 요동샤프트 각각의 결합뭉치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연결하되 요동모터의 구동에 따른 요동샤프트의 회전운동이 연결샤프트를 통해 요동판재의 좌우 직선운동으로 변환되도록 하여 세정롤러유닛의 요동이 발생되도록 하는 연결로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연결샤프트의 볼트재에 체결되어지되 요동판재의 볼트홈이 형성된 일측면으로 조임되어 연결샤프트가 요동판재 일측면의 볼트홈 상에 고정되도록 하는 연결샤프트 고정너트가 더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요동샤프트의 볼트재에 체결되어지되 구동모터의 모터축 선단면으로 조임되어 요동샤프트가 모터축 선단면의 볼트홈 상에 고정되도록 하는 요동샤프트 고정너트가 더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연결로드는 일측은 연결샤프트의 연결뭉치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지되 타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볼트홈이 형성된 일정길이의 연결샤프트측 로드; 요동샤프트의 연결뭉치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지되 타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볼트홈이 형성된 일정길이의 요동샤프트측 로드; 및 연결샤프트측 로드와 요동샤프트측 로드 각각의 볼트홈에 대응하는 볼트재가 양단에 형성되어지되 그 양단의 볼트재가 연결샤프트측 로드와 요동샤프트측 로드 각각의 볼트홈에 나사 결합을 통해 연결샤프트측 로드와 요동샤프트측 로드를 연결하여 연결로드 전체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길이조절 로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연결로드의 구성에서 길이조절 로드 양단의 볼트재 각각에 체결되어지되 연결샤프트측 로드와 요동샤프트측 로드 방향으로 조임되어 길이조절 로드와 연결되는 연결샤프트측 로드 및 요동샤프트측 로드를 고정시키는 고정너트가 더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용 패널 표면의 이물질 및 입자를 분리 제거하고 클리닝하는 세정롤러유닛이 회전하는 가운데 좌우로 요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롤 브러시를 이루는 모(毛)와 모(毛) 사이의 간극이 세정롤러유닛의 요동으로 인하여 보상이 되도록 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연마 및 클리닝 효과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롤러유닛 요동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용 세정장치를 보인 평면 구성도, 도 2 는 도 1 의 측면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용 세정장치 중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롤러유닛을 분리하여 보인 평면 구성도, 도 4 는 도 3 의 측면 구성도, 도 5 는 도 3 의 구성에서 세정롤러유닛 요동장치만을 분리 확대하여 보인 평면 구성도, 도 6 은 도 5 의 세정롤러유닛 요동장치 중 연결로드를 분리하여 보인 평면 구성도, 도 7 은 도 4 의 구성에서 세정롤러유닛 요동장치만을 분리 확대하여 보인 측면 구성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롤러유닛 요동장치는 앞서의 목적에서와 같이 세정롤러유닛이 회전하는 가운데 좌우로 요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롤 브러시를 이루는 모(毛)와 모(毛) 사이의 간극이 세정롤러유닛의 요동으로 인하여 보상되도록 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세정효과가 향상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그 구성은 다음의 도 1 내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롤러유닛 요동장치(200)가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장치(100)는 양측에 설치되어 외형을 형성하는 프레임 본체(110), 프레임 본체(110) 상부에 횡방향으로 설치되어지되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을 후방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롤러(120) 및 이송롤러(120) 사이의 프레임 본체(110) 상부에 횡방향으로 설치되어지되 연속적인 회전을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0) 표면의 이물질이나 입자를 분리 제거하고 클리닝하는 세정롤러유닛(130)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도 1 에 도시된 예의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장 치(100)에서 세정롤러유닛(130)은 디스플레이 패널(10) 표면의 이물질이나 입자를 분리 제거하는 연마롤러유닛(130a)과 연마롤러유닛(130a)에 의해 이물질이나 입자가 분리 제거된 디스플레이 패널(10) 표면을 클리닝하는 클리닝롤러유닛(130b)이 이송롤러(120)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세정롤러유닛(130)의 구성에서 연마롤러유닛(130a)은 프레임 본체(110)의 횡방향으로 설치되어지되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연마롤러 샤프트(132a), 연마롤러 샤프트(132a)의 외주면 상에 결합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 표면의 이물질이나 입자를 분리 제거하는 연마 롤 브러시(134a) 및 프레임 본체(110)의 일측 상부에 설치되어 구동을 통해 연마롤러 샤프트(132a)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36a)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연마롤러 샤프트(132a)의 일단은 구동모터(136a)의 모터축 상에 연결되고, 타단은 프레임 본체(110)의 타측 상부에 좌우 이동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은 세정롤러유닛(130)의 구성에서 클리닝롤러유닛(130b)은 프레임 본체(110)의 횡방향으로 설치되어지되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클리닝롤러 샤프트(132b), 클리닝롤러 샤프트(132b)의 외주면 상에 결합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 표면을 클리닝하는 클리닝 롤 브러시(134b) 및 프레임 본체(110)의 일측 상부에 설치되어 구동을 통해 클리닝롤러 샤프트(132b)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36b)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클리닝롤러 샤프트(132b)의 일단은 구동모터(136b)의 모터축 상에 연결되고, 타단은 프레임 본체(110)의 타측 상부에 좌우 이동가능하게 지지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롤러유닛 요동장치(200)의 기술에서 세정롤러유닛(130)을 설명할 경우 세정롤러유닛(130)을 연마롤러유닛(130a)과 클리닝롤러유닛(130b)을 분리하여 설명하지 않고, 연마롤러유닛(130a)과 클리닝롤러유닛(130b)을 통칭하는 세정롤러유닛(130)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연마롤러 샤프트(132a)와 클리닝롤러 샤프트(132b)는 세정롤러 샤프트(132)로, 연마 롤 브러시(134a)와 클리닝 롤 브러시(134b)는 세정 롤 브러시(134)로, 구동모터(136a, 136b)는 구동모터(136)로 구성요소의 명칭과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롤러유닛 요동장치(200)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롤러유닛 요동장치(200)는 프레임 본체(110) 상부 일측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지되 그 상부로 세정롤러유닛(130)을 구성하는 구동모터(136)가 고정 설치되는 요동판재(210), 요동판재(210)의 하부의 프레임 본체(110) 상부 양측에 설치되어지되 요동판재(210)를 세정롤러유닛(13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하는 LM가이드(220) 및 프레임 본체(110)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지되 요동판재(210)를 LM가이드(220) 방향으로 좌우 이동시켜 세정롤러유닛(130)을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좌우로 요동시키는 요동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롤러유닛 요동장치(200)는 요동수단의 구동을 통해 LM 가이드(220) 상에서 요동판재(210)가 좌우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요동판재(210) 상부에 설치 고정된 구동모터(136) 를 포함한 세정롤러유닛(130)을 프레임 본체(110)의 좌우로 요동되도록 한다. 이처럼 세정롤러유닛(130)을 프레임 본체(110)의 좌우로 요동되도록 함으로써 세정롤러유닛(130)은 회전을 하는 가운데 요동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 표면의 이물질이나 입자를 분리 제거하고 클리닝하는 세정과정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롤러유닛 요동장치(200)의 구성에서 요동판재(210)는 그 상부를 통해 세정롤러유닛(130)의 구동모터(136)를 고정시켜 세정롤러 샤프트(132)와 세정 롤 브러시(134) 및 구동모터(136)로 이루어진 세정롤러유닛(130)과 요동판재(210)가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요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 요동판재(210)는 후술하는 요동수단의 구동에 따른 작동에 의해 LM가이드(220)를 따라 요동된다.
그리고, 전술한 LM가이드(220)는 세정롤러유닛(130)의 연속적인 회전과 함께 좌우 요동시 세정롤러유닛(130)의 정확한 가이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 LM가이드(220)는 요동판재(210) 하부의 프레임 본체(110) 상부에 설치되어 요동판재(210)를 좌우로 이동시켜 요동판재(210)의 상부에 고정된 세정롤러유닛(130)이 연속적으로 회전되는 가운데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요동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롤러유닛 요동장치(200)에서 요동수단의 구성을 살펴보면 도 1 내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동판재(210)의 일측면 일측에 형성되는 볼트홈(212) 상에 나사 결합을 통해 결합되는 볼트재(230a)와 볼 트재(230a)의 머리를 형성하는 결합뭉치(230b)로 이루어진 연결샤프트(230), 요동판재(210)의 근접된 위치의 프레임 본체(110) 상부에 설치 고정되어지되 모터축의 선단면에는 그 중심으로부터 편심되어 볼트홈(232a)이 형성된 요동모터(232), 요동모터(232)의 모터축 상에 형성된 볼트홈(232a) 상에 나사 결합을 통해 결합되는 볼트재(234a)와 볼트재(234a)의 머리를 형성하는 결합뭉치(234b)로 이루어진 요동샤프트(234) 및 연결샤프트(230)와 요동샤프트(234) 각각의 결합뭉치(230b, 234b)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연결샤프트(230)와 요동샤프트(234)를 연결하되 요동모터(232)의 구동에 따른 요동샤프트(234)의 회전운동이 연결샤프트(230)를 통해 요동판재(210)의 좌우 직선운동으로 변환되도록 하여 세정롤러유닛(130)의 요동이 발생되도록 하는 연결로드(236)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요동수단은 요동모터(232)의 구동에 따라 모터축 상에 편심 결합된 요동샤프트(234)의 회전이 이루어지면 요동샤프트(234)에 결합된 연결로드(236)는 요동샤프트(234)의 회전운동을 연결샤프트(230)를 통해 요동판재(210)의 좌우 직선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즉, 연결로드(236)는 요동샤프트(234)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서, 전술한 요동수단은 요동모터(232)의 구동에 따라 모터축 상에 편심 결합된 요동샤프트(234)의 회전이 이루어지면 요동샤프트(234)에 결합된 연결로드(236)의 일단은 요동샤프트(234)의 회전방향으로 회전되고, 이러한 연결로드(236) 일단의 회전운동은 연결로드(236) 타단에서는 직선운동인 진퇴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연결로드(236) 타단에서 일어나는 직선운동은 연결로드(236) 타단에 결합된 연결샤프트(230)를 통해 요동판재(210)로 전달되어 결국, 요동판재(210)는 연결로드(236) 타단의 진선운동에 따라 좌우로 요동을 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요동모터(232)의 구동에 따른 요동샤프트(230)의 회전운동을 연결로드(236)를 통해 직선운동으로 변환시켜 요동판재(210)를 좌우 요동시킴으로써 세정롤러유닛(130)의 회전이 이루어지는 가운데 요동되면서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표면을 세정하는 경우 요동에 따라 롤 브러시(134)를 이루는 모(毛)와 모(毛) 사이의 간극이 보상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세정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가 있다.
한편, 전술한 요동수단의 구성에서 요동모터(232)는 도 3 내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동판재(210)에 일전 간격 이격된 프레임 본체(110)의 일측 상부에 설치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238) 상에 설치 고정되고, 연결샤프트(230)와 요동샤프트(234)는 상부와 하부에서 상호 반대의 방향으로 설치된다.
본 발명의 구성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요동수단에는 도 3 내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샤프트(230)의 볼트재(230a)에 체결되어지되 요동판재(210)의 볼트홈(212)이 형성된 일측면으로 조임되어 연결샤프트(230)가 요동판재(210) 일측면의 볼트홈(230a) 상에 고정되도록 하는 연결샤프트 고정너트(240)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샤프트 고정너트(240)는 요동판재(210)의 볼트홈(212) 상에 나사 결합되는 연결샤프트(230)의 돌출되는 길이를 조절한 후 요동판재(210) 일측면의 볼트홈(230a) 상에 연결샤프트(230)의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해서, 연결샤프트(230)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요동판재(210)의 일측면 일측에 형성되는 볼트홈(212) 상에 나사 결합을 통해 결합되는 볼트재(230a)와 볼트재(230a)의 머리를 형성하는 결합뭉치(230b)로 이루어진 것으로, 연결샤프트(230)의 볼트재(230a)를 요동판재(210) 일측면 상의 볼트홈(212)에 나사 결합시 볼트홈(212) 상에 체결되는 볼트재(230a)의 깊이에 따라 요동판재(210)의 일측면 결합된 연결샤프트(230)의 돌출길이는 달라지게 된다. 이때, 연결샤프트(230)의 볼트재(230a) 상에 체결된 연결샤프트 고정너트(240)를 요동판재(210)의 일측면 방향으로 조이게 되면 연결샤프트(230)는 더 이상 볼트홈(212) 상에 조임이 방지된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샤프트 고정너트(240)의 조임에 의해 요동판재(210) 일측면 상의 볼트홈(212)에 연결샤프트 고정너트(240)가 고정된 상태에서 연결사프트(230)를 더 이상 조임하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연결샤프트(230)를 요동판재(210)의 볼트홈(212)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연결샤프트(230)의 분리는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요동수단에는 도 3 내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동샤프트(234)의 볼트재(234a)에 체결되어지되 요동모터(232)의 모터축 선단면으로 조임되어 요동샤프트(234)가 모터축 선단면의 볼트홈(232a) 상에 고정되도록 하는 요동샤프트 고정너트(250)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요동샤프트 고정너트(250)는 요동모터(232)의 모터축 중심으로부터 편심되어 형성된 볼트홈(232a)에 나사 결합되는 요동샤프트(234)의 돌출되는 길이를 조절한 후 요동모터(232)의 볼 트홈(232a) 상에 요동샤프트(234)의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해서, 요동샤프트(234)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요동모터(232)의 모터축 선단면 중심으로부터 편심되어 형성된 볼트홈(232a) 상에 나사 결합을 통해 결합되는 볼트재(234a)와 볼트재(234a)의 머리를 형성하는 결합뭉치(234b)로 이루어진 것으로, 요동샤프트(234)의 볼트재(234a)를 요동모터(232)의 모터축 선단면 상에 편심되어 형성된 볼트홈(232) 상에 나사 결합시 볼트홈(232a) 상에 체결되는 볼트재(234a)의 깊이에 따라 요동모터(232)의 모터축 선단면에 결합된 요동샤프트(234)의 돌출길이는 달라지게 된다. 이때, 요동샤프트(234)의 볼트재(234a) 상에 체결된 요동샤프트 고정너트(250)를 요동모터(232)의 모터축 선단면 방향으로 조이게 되면 요동샤프트(234)는 더 이상 볼트홈(232a) 상에 조임이 이루어지지 않는 고정된 상태가 된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요동샤프트 고정너트(250)의 조임에 의해 요동모터(232)의 모터축 선단면 상에 형성된 볼트홈(232a)에 요동샤프트 고정너트(250)가 밀착 고정된 상태에서 요동사프트(234)를 더 이상 조임하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요동샤프트(234)를 요동모터(232)의 모터축 선단면 상에 형성된 볼트홈(232a)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요동샤프트(234)의 분리는 가능하다.
한편, 전술한 요동수단의 구성에서 연결로드(236)는 요동모터(132)의 모턱축 선단면 중심으로부터 편심되어 설치된 요동샤프트(234)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켜 세정롤러유닛(130)의 요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 연결로드(236)는 도 5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샤프트측 로드(236a)와 요동샤프 트측 로드(236b) 및 길이조절 로드(236c)로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연결로드(236)는 일측은 연결샤프트(230)의 연결뭉치(230b)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지되 타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볼트홈(236a-1)이 형성된 일정길이의 연결샤프트측 로드(236a), 요동샤프트(234)의 연결뭉치(234b)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지되 타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볼트홈(236b-1)이 형성된 일정길이의 요동샤프트측 로드(236b) 및 연결샤프트측 로드(236a)와 요동샤프트측 로드(236b) 각각의 볼트홈(236a-1, 236b-1)에 대응하는 볼트재(236c-1)가 양단에 형성되어지되 그 양단의 볼트재(236c-1)가 연결샤프트측 로드(236a)와 요동샤프트측 로드(236b) 각각의 볼트홈(236a-1, 236b-1)에 나사 결합을 통해 연결샤프트측 로드(236a)와 요동샤프트측 로드(236b)를 연결하여 연결로드(236) 전체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길이조절 로드(236c)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연결로드(236)는 도 5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샤프트(230)의 결합뭉치(230b)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샤프트 로드(236a)의 볼트홈(236a-1) 상에 길이조절 로드(236a) 상단의 볼트재(236c-1)가 나사 결합되는 한편, 길이조절 로드(236a) 하단의 볼트재(236c-1)는 요동샤프트(234)의 연결뭉치(234b)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요동샤프트측 로드(236b)의 볼트홈(236b-1) 상에 나사 결합을 통해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연결로드(236)는 연결샤프트측 로드(236a)와 요동샤프트측 로드(236b)가 양단에 일정길이의 볼트재(236c-1)가 형성된 길이조절 로드(236c)를 통한 나사 결합으로 연결되어지기 때문에 볼트홈(236a-1, 236b-1) 과 볼트재(236c-1)의 결합 깊이에 따라 연결로드(236) 전체의 길이를 조절할 수가 있다. 이처럼 연결로드(236)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결샤프트(230)와 요동샤프트(234) 사이의 거리에 따라 대응할 수가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은 연결로드(236)를 구성하는 길이조절 로드(236c) 양단의 볼트재(236c-1) 각각에는 연결샤프트측 로드(236a) 및 요동샤프트측 로드(236b)를 고정시키는 고정너트(260)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즉, 연결로드(236)의 구성에서 길이조절 로드(236c) 양단의 볼트재(236c-1) 각각에 체결되어지되 연결샤프트측 로드(236a)와 요동샤프트측 로드(236b) 방향으로 조임되어 길이조절 로드(236c)와 연결되는 연결샤프트측 로드(236a) 및 요동샤프트측 로드(236b)를 고정시키는 고정너트(260)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고정너트(260)는 길이조절 로드(236c) 양단의 볼트재(236c-1) 각각에 체결된 상태로 연결로드(236)의 길이 조절을 한 후 고정너트(260) 각각을 연결샤프트측 로드(236a)와 요동샤프트측 로드(236b) 방향으로 조임하여 연결샤프트측 로드(236a)와 길이조절 로드(236c) 사이의 길이 조절 및 요동샤프트측 로드(236b)와 길이조절 로드(236c) 사이의 길이 조절이 더 이상 이루어지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용 세정장치를 보인 평면 구성도.
도 2 는 도 1 의 측면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용 세정장치 중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롤러유닛을 분리하여 보인 평면 구성도.
도 4 는 도 3 의 측면 구성도.
도 5 는 도 3 의 구성에서 세정롤러유닛 요동장치만을 분리 확대하여 보인 평면 구성도.
도 6 은 도 5 의 세정롤러유닛 요동장치 중 연결로드를 분리하여 보인 평면 구성도.
도 7 은 도 4 의 구성에서 세정롤러유닛 요동장치만을 분리 확대하여 보인 측면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세정장치 110. 프레임 본체
120. 이송롤러 130. 세정롤러유닛
132. 세정롤러 샤프트 134. 세정 롤 브러시
136. 구동모터 200. 요동장치
210. 요동판재 220. LM가이드
230. 연결샤프트 232. 요동모터
234. 요동샤프트 236. 연결로드
240. 연결샤프트 고정너트 250. 요동샤프트 고정너트
260. 고정너트

Claims (6)

  1. 외형을 형성하는 프레임 본체의 상부에 횡방향으로 설치되어지되 세정롤러 샤프트의 외주면 상에 롤 브러시가 결합되어 구동모터의 구동에 따른 연속적인 회전을 통해 이송롤러에 의해 이송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표면의 이물질이나 입자를 분리 제거하고 클리닝하는 세정롤러유닛이 구비된 디스플레이 패널용 세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본체 상부 일측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지되 그 상부로 상기 세정롤러유닛을 구성하는 상기 구동모터가 고정 설치되는 요동판재;
    상기 요동판재의 하부의 상기 프레임 본체 상부 양측에 설치되어지되 상기 요동판재를 상기 세정롤러유닛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하는 LM가이드; 및
    상기 프레임 본체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지되 상기 요동판재를 상기 LM가이드 방향으로 좌우 이동시켜 상기 세정롤러유닛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좌우로 요동시키는 요동수단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롤러유닛 요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수단은 상기 요동판재의 일측면 일측에 형성되는 볼트홈 상에 나사 결합을 통해 결합되는 볼트재와 상기 볼트재의 머리를 형성하는 결합뭉치로 이루어진 연결샤프트;
    상기 요동판재의 근접된 위치의 프레임 본체 상부에 설치 고정되어지되 모터 축의 선단면에는 그 중심으로부터 편심되어 볼트홈이 형성된 요동모터;
    상기 요동모터의 모터축 상에 형성된 볼트홈 상에 나사 결합을 통해 결합되는 볼트재와 상기 볼트재의 머리를 형성하는 결합뭉치로 이루어진 요동샤프트; 및
    상기 연결샤프트와 요동샤프트 각각의 결합뭉치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연결하되 상기 요동모터의 구동에 따른 상기 요동샤프트의 회전운동이 상기 연결샤프트를 통해 상기 요동판재의 좌우 직선운동으로 변환되도록 전달하여 상기 세정롤러유닛의 요동이 발생되도록 하는 연결로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롤러유닛 요동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샤프트의 볼트재에 체결되어지되 상기 요동판재의 볼트홈이 형성된 일측면으로 조임되어 상기 연결샤프트가 상기 요동판재 일측면의 볼트홈 상에 고정되도록 하는 연결샤프트 고정너트가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롤러유닛 요동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샤프트의 볼트재에 체결되어지되 상기 요동모터의 모터축 선단면으로 조임되어 상기 요동샤프트가 상기 모터축 선단면의 볼트홈 상에 고정되도록 하는 요동샤프트 고정너트가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롤러유닛 요동장치.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로드는 일측은 상 기 연결샤프트의 연결뭉치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지되 타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볼트홈이 형성된 일정길이의 연결샤프트측 로드;
    상기 요동샤프트의 연결뭉치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지되 타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볼트홈이 형성된 일정길이의 요동샤프트측 로드; 및
    상기 연결샤프트측 로드와 요동샤프트측 로드 각각의 볼트홈에 대응하는 볼트재가 양단에 형성되어지되 그 양단의 볼트재가 상기 연결샤프트측 로드와 요동샤프트측 로드 각각의 볼트홈에 나사 결합을 통해 상기 연결샤프트측 로드와 요동샤프트측 로드를 연결하여 상기 연결로드 전체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길이조절 로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롤러유닛 요동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 로드 양단의 볼트재 각각에 체결되어지되 상기 연결샤프트측 로드와 요동샤프트측 로드 방향으로 조임되어 상기 길이조절 로드와 연결되는 상기 연결샤프트측 로드 및 요동샤프트측 로드를 고정시키는 고정너트가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롤러유닛 요동장치.
KR1020080025364A 2008-03-19 2008-03-19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롤러유닛 요동장치 KR1009235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5364A KR100923531B1 (ko) 2008-03-19 2008-03-19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롤러유닛 요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5364A KR100923531B1 (ko) 2008-03-19 2008-03-19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롤러유닛 요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0015A true KR20090100015A (ko) 2009-09-23
KR100923531B1 KR100923531B1 (ko) 2009-10-27

Family

ID=41358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5364A KR100923531B1 (ko) 2008-03-19 2008-03-19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롤러유닛 요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35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53854A (zh) * 2011-12-31 2012-07-11 上海新阳半导体材料股份有限公司 升降抖动装置
CN111707445A (zh) * 2020-07-22 2020-09-25 安徽欧亚德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屏自动送片装置和测试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0437B1 (ko) 2000-12-27 2007-05-22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세정 장치
KR100825310B1 (ko) * 2001-05-26 2008-04-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기판 세정장비의 브러싱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53854A (zh) * 2011-12-31 2012-07-11 上海新阳半导体材料股份有限公司 升降抖动装置
CN111707445A (zh) * 2020-07-22 2020-09-25 安徽欧亚德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屏自动送片装置和测试系统
CN111707445B (zh) * 2020-07-22 2024-04-16 安徽欧亚德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屏自动送片装置和测试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3531B1 (ko) 2009-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1482B1 (ko) 디스플레이 패널의 인라인 컷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디스플레이 패널 제조방법
US7806986B2 (en) Substrate cleaning apparatus and substrate clean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1040353B1 (ko) 레이저를 이용한 편광필름 절단시스템의 편광필름 흡착장치
KR100796371B1 (ko) 편광판 보호필름 제거장치
JP4359295B2 (ja) ロールストッカー及びこれを利用した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CN100581666C (zh) 显示面板清洗设备
KR100923531B1 (ko)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롤러유닛 요동장치
KR101065790B1 (ko) 편광필름 절단용 레이저 노즐장치
KR100762989B1 (ko) 편광판 보호필름 제거장치
KR101485062B1 (ko) 레이저 가공장치의 착탈식 석션 노즐 장치
CN1706564A (zh) 面板清洗装置及面板的制造方法
KR101298358B1 (ko) 액정표시장치 제조용 연마장치 및 연마방법
KR101103811B1 (ko) 회전식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장치
KR101073672B1 (ko)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장치용 다중 배열 구조의연마롤러유닛
KR100806249B1 (ko)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 방법
KR200417802Y1 (ko) 편광판 보호필름 제거장치
KR20040099220A (ko) 대형 tft-lcd 패널 절단장치
KR20100035449A (ko) 편광필름 절단용 레이저 장치
KR101627849B1 (ko) 회전식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장치용 진공배분장치
KR100625352B1 (ko) 연마벨트를 이용한 tft-lcd 패널 세정장치
KR200386479Y1 (ko) 대형 tft-lcd 패널 세정장치
KR101514944B1 (ko) 균일 흡입 압력 유지형 레이저 가공장치의 착탈식 노즐
KR200417801Y1 (ko) 편광판 보호필름 제거장치
KR20080048337A (ko) 기판건조장치
KR101506895B1 (ko) 플라스틱 유기발광다이오드 패널을 세정하는 세정장치 및 그 세정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