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9314A - Reading study list for english words and study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Reading study list for english words and study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9314A
KR20090099314A KR1020080024487A KR20080024487A KR20090099314A KR 20090099314 A KR20090099314 A KR 20090099314A KR 1020080024487 A KR1020080024487 A KR 1020080024487A KR 20080024487 A KR20080024487 A KR 20080024487A KR 20090099314 A KR20090099314 A KR 200900993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ul
english
pronunciation
phonetic
symb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44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진우
Original Assignee
이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우 filed Critical 이진우
Priority to KR1020080024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99314A/en
Publication of KR20090099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931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7/00Teaching read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09B19/08Printed or written appliances, e.g. text books, bilingual letter assemblies, ch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A study table for reading English vocabulary and a method of studying English vocabulary thereof are provided to complete the phonic symbol of the English word to the Hangul pronunciation by using the analytic method. The English word unit(100) inscribes the English word for the English studying. The English phonetic symbol unit(200) inscribes the phonic symbol of the English word which is written in the English word unit. The English phonetic symbol unit records the phonic symbol of the English word in the consonant phonic symbol and vowel articulation symbol. A Hangul phonic symbol unit(300) inscribes the Hangul phonic symbol corresponding to the phonic symbol of the English word which is written in the English phonetic symbol unit. A Hangul pronunciation combiner(400) inscribes the Hangul phonic symbol presented by the Hangul phonic symbol unit. A Hangul pronunciation completion unit(500) completes the combined pronunciation through the Hangul pronunciation combiner to a Hangul word. The Hangul pronunciation completion unit completes the Hangul phonic symbol combined through the Hangul pronunciation combiner to the Hangul word.

Description

영어단어 읽기용 학습표 및 이를 이용한 영어단어 학습방법{READING STUDY LIST FOR ENGLISH WORDS AND STUDYING METHOD THEREOF}READING STUDY LIST FOR ENGLISH WORDS AND STUDY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영어단어 읽기용 학습표 및 이를 이용한 영어단어 학습방법에 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영어단어의 발음기호에 대응되는 한글 발음 기호를 일정한 원칙에 따라 분리 및 결합한 후, 이를 한글 발음으로 완성토록 하는 영어단어 읽기용 학습표 및 학습방법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arning table for reading English words and an English word learning method us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after separating and combining Korean phonetic symbols corresponding to phonetic symbols of English words according to a certain principle, they are completed by Korean pronunciation. It is about a learning table and a learning method for reading English words.

사람들이 사회생활을 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시되는 것이 언어이며, 이러한 언어의 중요성은 최근 세계화 추세에 따라 국경의 벽이 허물어지고, 국가간 교류가 활발해짐에 따라 더욱 강조되고 있다.Language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people's social life, and the importance of language is being emphasized as the barriers of borders are broken down along with the recent globalization and the exchange between countries is active.

국가간 교류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될 점이 세계적으로 의사소통이 가능한 공통 언어를 채택하는 것이며, 일반적으로 영어가 이러한 공통언어로서 사용되고 있다. For exchanges between countries, the first priority is to adopt a common language that can communicate globally, and English is commonly used as such a common language.

이러한 영어의 채택은 한글을 모국어로 사용하고 있는 우리나라로서는 영어 를 배워야만 세계화에 발맞춰 나아갈 수 있는 바, 이에 국가적으로 전국민에게 영어 교육정책을 실행하게 되었다.The adoption of English is the only way for Koreans who use Korean as their mother tongue to learn English, so that they can keep pace with globalization.

그러나 우리나라의 영어교육은 영어단어를 읽는데 있어, 영어교재에 나와 있는 단어를 영한사전을 통해 별도의 발음기호를 암기하고 이를 발음하여 영어단어를 앍거나, 또는 영어사전에 나와 있는 영어 발음 기호를 전부 암기하여 영어단어를 읽고 있는 것이 현 실정이다.However, English education in our country is to read English words, memorize the separate pronunciation symbols from the English-English dictionary and pronounce the words in the English-Korean dictionary to pronounce the English words, or all English pronunciation symbols in the English dictionary The current state of memorization is reading English words.

이러한 암기식 방법은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고 있지 않은 우리나라 사람들에게는 어려울 뿐 아니라, 자주 사용하고 있는 영어단어의 발음 기호는 암기하여 읽더라도 생소한 단어를 접할 경우에는 그 단어의 발음기호를 보더라도 쉽게 읽을(발음) 수 없다는 것이 현 실정이다.This memorization method is not only difficult for Korean people who don't use English as their native language, but the phonetic symbols of English words that are used frequently are easily memorized even if they read unfamiliar words. Cannot be pronounced).

즉, 영어 발음 기호를 모두 암기해도 많이 접하지 않은 생소한 영어단어는 어떻게 읽어야 되는지 모르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무조건 발음 기호를 암기하는 것이 아닌 보다 분석적인 방법을 통해 영어단어를 읽을 수 있도록 하는 학습방법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That is, even if you memorize all the English phonetic symbols, unfamiliar English words do not know how to read the case occurs. 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for a learning method to read English words through more analytical methods rather than memorizing phonetic symbols.

이러한 요구에 따라 영어단어를 읽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고 이에 따른 영어단어 읽기 학습방법이 개발되고 있다.In response to these demands, researches on how to read English words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and learning methods for reading English words have been developed.

예를 들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7-0007761호(1997년2월21일 공개)에 "영어발음의 한글표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For example, Korean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10-1997-0007761 (published February 21, 1997) discloses a method for displaying Korean in English pronunciation.

이는 영어 발음을 한글 발음으로 100% 표현하기 어려운 점을 해결하고자 한글 발음으로 표현하기 부족한 부분과 혼동되기 쉬운 부분을 새로운 단어로 표기한 영어발음의 한글표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이 같은 학습방법의 경우 현재 우리나라 영어교육에서 문제시 되고 있는 무조건적인 암기방식에서 벗어나지 못한 방법이다. 이는 기존의 영어 발음 기호에 새로운 한글 발음 기호를 추가로 암기하는 것에 불과한 것으로 여전히 영어 초보자에게 분석적인 방법을 통한 응용력을 발휘해 새로운 영어 단어라도 어려움 없이 읽을 수 있도록 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Hangul notation of English pronunciation, in which new words are used to express parts that are difficult to be confused with Hangul pronunciation to be difficult to express 100% in English pronunciation. However, such a learning method has not escaped the unconditional memorization method that is currently a problem in Korean English education. This is merely to memorize new Hangul phonetic symbols in addition to the existing English phonetic symbols, there is still a problem in that the new English words can be read without difficulty by using an analytical method for English beginners.

그리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70802호(2003년9월2일 공개)에 "영어의 정확한 한글음역표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In addition, Korean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10-2003-0070802 (published on September 2, 2003) discloses an "accurate Hangul transliteration method of English".

이는 영어 단어를 원어민에 최대한 가깝게 발음하기 위해 영어 발음 기호에 대한 한글 표기를 새롭게 표기한 한글음역표기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이 한글음역표기방법 역시 영어 단어에 대한 발음을 원어민에 가깝게 하기 위한 한글 표기방법에만 국한되어 있을 뿐, 근본적으로 영어 초보자에게 분석적인 방법을 통한 응용력을 발휘해 새로운 영어 단어라도 어려움 없이 읽을 수 잇도록 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It relates to the Korean phonetic transcription method of newly writing Korean notation for English phonetic symbols in order to pronounce English words as close as possible to native speakers. However, this Hangul transliteration method is also limited to Hangul notation to make the pronunciation of English words close to native speakers, so that beginners can apply new analytical methods to English beginners without difficulty.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re is a limit.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영어단어의 발음 기호를 자음 및 모음으로 분리하고, 이에 대응되는 한글 발음 기호를 분석적 방법을 통해 일정한 원칙에 따라 분리 및 결합한 후, 이를 한글 발음으로 완성토록 함으로써, 누구나 쉽게 영어 단 어를 읽을 수 있도록 한 영어단어 읽기용 학습표를 제공하는데 있다.Therefore, the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ivide the phonetic symbols of the English words into consonants and vowels, and to separate and combine the Hangul phonetic symbols corresponding to them according to a certain principle through an analytical method, and to complete them in Hangul pronunciation. It is to provide a study table for reading English words to make it easier to read English words.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분석적 방법을 통해 발음 기호를 분리 및 결합하여 한글 발음으로 완성시킨 상기 영어단어 읽기용 학습표의 학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learning the English word reading learning table which is completed by Hangul pronunciation by separating and combining phonetic symbols through an analytical method.

상술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영어단어를 표기하는 영어 단어부; 상기 영어 단어부에 표기된 영어단어의 발음 기호를 표기하는 영어 발음 기호부; 상기 영어 발음 기호부에 표기된 영어단어의 발음 기호에 대응하는 한글 발음 기호를 표기하는 한글 발음 기호부; 상기 한글 발음 기호부를 통해 한글 발음 기호를 조합하는 한글 발음 조합부; 및 상기 한글 발음 조합부를 통해 조합된 발음을 한글 단어로 완성시킨 한글 발음 완성부를 포함하는 영어단어 읽기용 학습표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nglish word unit for writing an English word; An English phonetic symbol unit for representing a phonetic symbol of an English word written on the English word unit; A Hangul phonetic symbol unit for writing a Hangul phonetic symbol corresponding to a phonetic symbol of an English word written on the phonetic phonetic symbol unit; A Hangul pronunciation combination unit to combine Hangul pronunciation symbols through the Hangul pronunciation symbols; And a Hangul pronunciation completion unit that completes the pronunciation combined by the Hangul pronunciation combination unit into a Hangul word.

또한 본 발명의 제 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영어단어를 기재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단계를 통해 기재된 영어단어의 발음 기호를 기재하는 제2 단계; 상기 제2 단계를 통해 기재된 발음 기호에 대응하는 한글 발음 기호를 기재하는 제3 단계; 상기 제3 단계를 통해 기재된 한글 발음 기호를 조합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제4 단계를 통해 조합된 발음을 한글 단어로 완성시키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영어단어 학습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achieve the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step of describing the English word; A second step of describing a phonetic symbol of an English word described through the first step; A third step of writing a Hangul phonetic symbol corresponding to the phonetic symbol described through the second step; Combining the Hangul phonetic symbols described through the third step; And a fifth step of completing the combined pronunciation through the fourth step into a Hangul word.

본 발명에 의한 영어단어 읽기용 학습표 및 이를 이용한 영어단어 학습방법을 사용하면, 맹목적으로 영어단어의 발음 기호를 암기하는 것이 아니라, 분석적 방법을 통해 영어단어의 발음 기호를 한글 발음으로 완성시키도록 함으로써, 어떠한 영어단어라도 어려움 없이 읽을 수 있게 된다.Using the learning table for learning English words and the English word learning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than blindly memorizing the phonetic symbols of the English words, to complete the phonetic symbols of the English words through the analytic method to Hangul pronunciation By doing so, any English word can be read without difficulty.

그리고 분석적 방법을 통해 어떠한 영어단어라도 어려움 없이 읽을 수 있음에 따라 영어에 대한 막연한 강박관념에서 벗어나는데 도움이 된다. 이는 영어학습에 대한 재미를 유발시킬 수 있으며, 또한 영어학습 능률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도록 한 학습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nd analytical methods can help you get rid of vague obsessions with English, as any English word can be read without difficulty. This can induce fun for learning English, and can provide a learning method that can be expecte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learning English.

또한, 분석적인 방법을 통한 영어 단어의 읽기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학습자의 응용력을 향상을 기대할 수 있도록 한 영어단어 학습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by enabling the reading of English words through analytical methods, it is to provide an English word learning method that can be expected to improve the applicability of learners.

또한, 영어단어의 뜻을 학습표에 같이 표기함으로써, 영어단어 읽기 학습을 통해 영어단어 암기까지 동시에 학습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학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by expressing the meaning of the English words in the learning table, through the learning of English words to provide a learning method that provides the effect that can be learned at the same time to memorize English words.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어단어 읽기용 학습표 및 이를 이용한 영어단어 학습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learning table for learning English words and the English word learning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어단어 읽기용 학습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1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learning table for reading English word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영어단어 읽기용 학습표는 영어 단어부(100), 영어 발음 기호부(200), 한글 발음 기호부(300), 한글 발음 조합부(400), 및 한글 발음 완성부(5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learning table for reading English word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English word unit 100, an English pronunciation symbol unit 200, a Korean pronunciation symbol unit 300, a Korean pronunciation combination unit 400, and The Hangul pronunciation completion unit 500 is included.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별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ach compon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영어단어 읽기용 학습표는 영어 단어부(100)와 영어 발음 기호부(200)를 가진다.Referring to FIG. 1, the learning table for reading English word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n English word unit 100 and an English phonetic symbol unit 200.

상기 영어 단어부(100)는 영어 학습을 위한 영어단어를 표기하며, 상기 영어 발음 기호부(200)는 상기 영어 단어부(100)에 표기된 영어단어의 발음 기호를 표기한다.The English word unit 100 denotes an English word for English learning, the English phonetic symbol unit 200 denotes a phonetic symbol of the English word displayed on the English word unit (100).

상기 영어 발음 기호부(200)는 자음 발음 기호와 모음 발음 기호로 표기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자음 발음 기호로는 [p], [b], [t], [d], [k], [g], [f], [l], [m], [n], [㎥], … 등을 포함하며, 모음 발음 기호로는 [i], [

Figure 112008019266714-PAT00001
], [
Figure 112008019266714-PAT00002
], [a], [e], [u], [Λ], … 등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상기 영어 단어부(100)에 'TENT'가 표기되었을 경우, 영어 발음 기호(200)에는 상기'TENT'의 발음 기호인 'tent'가 표기된다.The English phonetic symbols 200 are represented by consonant phonetic symbols and vowel phonetic symbols. In more detail, consonant phonetic symbols include [p], [b], [t], [d], [k], [g], [f], [l], [m], [n], [M 3],. Vowel pronunciation symbols include [i], [
Figure 112008019266714-PAT00001
], [
Figure 112008019266714-PAT00002
], [a], [e], [u], [Λ],… And the like. For example, when 'TENT' is written in the English word unit 100, 'tent', which is the phonetic symbol of 'TENT', is displayed in the English phonetic symbol 200.

상기 예로 들은 자음 발음 기호와 모음 발음 기호는 현재 영어에서 사용되고 있는 자음 21자와 모음 5자의 발음 기호인 자음 및 모음이 모두 포함된다.The consonant and vowel pronunciation symbols in the above examples include both consonants and vowels, which are the pronunciation symbols of 21 consonants and 5 vowels currently used in English.

그리고 본 실시예에 의한 영어단어 읽기용 학습표는 한글 발음 기호부(300)를 가진다.In addition, the learning table for reading English word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Hangul phonetic symbol 300.

상기 한글 발음 기호부(300)는 상기 영어 발음 기호부(200)에 표기된 영어단어의 발음 기호에 대응하는 한글 발음 기호를 표기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영어 발음 기호부(200)에 표기된 자음 발음 기호는 [p] = [프], [b] = [브], [t] = [트], [d] = [드], [k] = [크], [g] = [그], [f] = [프흐], [l] = [르르], [m] = [음], [n] = [은], [㎥] = [응], … 등으로 표기한다. 또한, 모음 발음 기호는 [

Figure 112008019266714-PAT00003
] = [애], [
Figure 112008019266714-PAT00004
] = [어], [a] = [아], [e] = [에], [u] = [우], [Λ] = [어(짧게)], [ou] = [오우] … 등으로 표기한다. 또한, 상기 [m] = [음], [n] = [은], [㎥] = [응] 등은 받침으로 쓰여 표기될 수 있다.The Hangul phonetic symbol 300 displays the Hangul phonetic symbols corresponding to the phonetic symbols of the English words written on the English phonetic symbol 200. In more detail, the consonant phonetic symbols shown in the English phonetic symbols 200 are [p] = [f], [b] = [b], [t] = [t], [d] = [de] , [k] = [k], [g] = [g], [f] = [fru], [l] = [r], [m] = [m], [n] = [s], [ M 3] = [Yes],. And so on. In addition, vowel pronunciation symbols are [
Figure 112008019266714-PAT00003
] = [Ae], [
Figure 112008019266714-PAT00004
] = [Er], [a] = [a], [e] = [e], [u] = [right], [Λ] = [er (short)], [ou] = [o]. And so on. In addition, [m] = [mm], [n] = [silver], [m 3] = [yes], etc. may be written as a support.

예를 들면 상기 영어 발음 기호부(200)에 영어단어 'TENT'의 발음 기호인 'tent'가 표기되었을 경우 한글 발음 기호부(300)에는 상기 'tent' 각각의 발음 기호에 대응하는 '트 에 은 트'로 표기할 수 있고, 'TENNIS'의 발음 기호인 'tenis'가 표기되었을 경우 '트 에 은 이 스'로 표기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ent', which is a phonetic symbol of the English word 'TENT', is displayed on the English phonetic symbol 200, the Korean phonetic symbol 300 displays 't' corresponding to each phonetic symbol of the 'tent'. Can be written as 'T', and if 'tenis', the phonetic symbol of 'TENNIS' is written, it can be written as 'T'.

그 다음, 본 실시예에 의한 영어단어 읽기용 학습표는 한글 발음 조합부(400)를 가진다.Next, the learning table for reading English word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Hangul pronunciation combination unit 400.

상기 한글 발음 조합부(400)는 상기 한글 발음 기호부(300)를 통해 기호화된 한글 발음 기호를 조합하여 표기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한글 발음 기 호부(300)에 표기된 한글 발음 기호를 일정한 원칙에 의해 한글 단어로 조합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한글 발음 기호부(300)에 'TENT'의 발음 기호인 'tent'에 대응되는 한글 발음 기호로'트에은트'가 표기되었을 경우 한글 발음 조합부(400)에는 'ㅌ + ㅔ + ㄴ (분리) 트'로 조합되어 표기된다.The Hangul pronunciation combination unit 400 combines and displays the Hangul pronunciation symbols symbolized by the Hangul pronunciation symbol unit 300. In more detail, the Hangul phonetic symbols shown in the Hangul phonetic symbol 300 is combined into a Hangul word by a certain principle. For example, when 'Teun' is written as the Korean phonetic symbol corresponding to 'tent', which is the phonetic symbol of 'TENT', the Korean phonetic combination unit 400 displays 'ㅌ + 조합'. + B (separated) in combination with the t '.

상기 한글 발음 기호부(300)에 표기되는 한글 발음은 상기 영어 발음 기호부(200)에 표기된 영어 발음 기호에 대응되는 한글 발음 기호로 표기된다. 이에 자음 및 모음으로 구분되는 영어 발음 기호에 따라 한글 발음 기호 역시 자음 및 모음으로 구분하여 이를 조합 원칙에 따라 결합하는 것이다.The Hangul pronunciation displayed on the Hangul pronunciation symbol 300 is represented by a Hangul pronunciation symbol corresponding to the English pronunciation sign written on the English pronunciation symbol 200. Therefore, according to the English phonetic symbols divided into consonants and vowels, Hangul phonetic symbols are also divided into consonants and vowels and combined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principle.

이러한 조합의 원리는 일정한 원칙을 가지고 있으며, 조합 원칙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principle of such a combination has a certain principle, which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먼저, 상기 한글 발음 기호부(300)에 표기된 한글 발음의 자음에서는 자음만 가져오고, 모음에서는 모음만 가져와서 자음과 모음을 결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글 발음 기호부(300)에 표기된 한글 발음은 자음과 자음끼리, 모음과 모음끼리는 서로 분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First, the consonants of the Korean pronunciation shown in the Hangul phonetic symbol 300, only the consonants in the vowels, vowels in the vowels in principle to combine the consonants and vowels. In addition, the Hangul pronunciation written in the Hangul phonetic symbol 300 is in principle to separate the consonants and consonants, vowels and vowels.

상기 자음과 자음 또는 모음과 모음끼리 분리하는 원칙에 따라 분리한 후, 자음과 모음 순서대로 결합하여 조합하는 것을 기본 원칙으로 할 수 있다.After separating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separating the consonants and consonants or vowels and vowels, the basic principles may be combined and combined in the order of consonants and vowels.

이러한 원칙이 적용되는 사례를 예로 들면, 영어 단어 'SPAIN'의 경우, 발음 기호는 'spein'이고, 이에 대응되는 한글 발음 기호는 '스프에이은'이다. 이는 '자 + 자 + 모 + 모 + 자'로 구성되어 있는 바, 자음과 자음, 모음과 모음을 서로 분리하고, 자음에서는 자음만, 모음에서는 모음만 분리하여 결합해보면 '스 (분리) ㅍ + ㅔ (분리) 이 + ㄴ'으로 조합할 수 있다. 이렇게 분리된 한글 발음 기호는 한글 단어인'스페인'으로 발음을 완성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English word 'SPAIN', the phonetic symbol is 'spein', and the corresponding Korean phonetic symbol is 'Spain'. This is composed of 'ja + ja + mo + ja +', which separates consonants and consonants, vowels and vowels from each other, consonants in consonants and vowels in vowels. ㅔ (separation) can be combined with + b '. The Korean phonetic symbols thus separated can be completed with the Spanish word 'Spain'.

또한, 영어 단어 'SNOW'의 경우, 발음 기호는 'snou'이고, 이에 대응되는 한글 발음 기호는 '스은오우'이다. 이는 '자 + 자 + 모'로 구성되어 있은 바, '스 (분리) ㄴ + 오우 '로 분리 결합할 수 있다. 이렇게 분리된 한글 발음 기호는 한글 단어인 '스노우'로 발음을 완성할 수 있다.Also, in the case of the English word 'SNOW', the phonetic symbol is 'snou', and the corresponding Korean phonetic symbol is 'Seun-O'. It consists of 'child + child + parent', which can be combined and separated by 'se (separation) b + o'. The phonetic phonetic symbols separated in this way may complete the pronunciation with the snow word 'snow'.

또한, 영어 단어 'KIND'의 경우, 발음 기호는 'kaind'이고, 이에 대응되는 한글 발음 기호는 '크아이은드'이다. 이는 '자 + 모 + 모 + 자 + 자'로 구성되어 있는 바, 'ㅋ + ㅏ (분리) 이 + ㄴ (분리) 드'로 분리 결합할 수 있다. 이렇게 분리된 한글 발음 기호는 한글 단어인 '카인드'로 발음을 완성할 수 있다.Also, in the case of the English word 'KIND', the phonetic symbol is 'kaind', and the corresponding Korean phonetic symbol is 'Keid'. It consists of 'child + mother + mother + children + children', which can be combined and combined with 'ㅋ + ㅏ (separation) code + b (separation) code'. The Korean phonetic symbols thus separated can be completed with the word 'Kind'.

상기와 같이 일정한 원칙에 의해 자음과 자음, 모음과 모음끼리는 서로 분리하되, 분리된 자음, 모음이 서로 결합되는 것이 아닌 하나로 떨어져 분리되었을 경우, 자음 또는 모음의 한글 발음 전부를 가져와서 결합한다.As described above, consonants and consonants, vowels and vowel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ut separate consonants and vowels are separated from one another instead of being combined with each other, and bring all of the Korean pronunciations of the consonants or vowels.

이는 상기 영어단어'TENT'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발음 기호'tent'의 경우 '트에은트'로 한글 발음을 표기할 수 있으며, 이는 '자 + 모 + 자 + 자'로 구성되어 있는 바, 자음과 자음끼리 서로 분리한다는 상기 원칙에 따라 'ㅌ + ㅔ + ㄴ (분리) ㅌ'가 아닌 'ㅌ + ㅔ + ㄴ (분리) 트'로 분리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원칙은 상기 'SNOW', 'KIND'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For example, when the English word 'TENT' is described as an example, the phonetic symbol 'tent' may indicate Korean pronunciation as 'Teun't', which is composed of 'ja + ma + ja + ja'. According to the above principle that consonants and consonant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consonants and the consonants can be separated by '로 + ㅔ + b (separation) t' rather than 'ㅌ + ㅔ + b (separation) t'. This principle applies equally to the above-mentioned SNOW and KIND.

그리고 상기 한글 발음 기호부(300)에 표기된 한글 발음이 '모음 + 자음 + 모음'으로 구성될 경우에는 중간에 위치한 '자음'은 뒤에 위치한 모음과 결합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pronunciation of Korean written in the phonetic pronunciation symbol 300 is composed of 'vowels + consonants + vowels', the consonants located in the middle are combined with the vowels located behind.

이러한 원칙이 적용되는 사례를 예로 들면, 영어 단어 'TABLE'의 경우 발음 기호는 'teibl'이고, 이에 대응되는 한글 발음 기호는 '트에이브르'이다. 이는 '자 + 모 + 모 + 자 + 모'로 구성되어 있는 바, 모음과 모음은 서로 분리하고 '모 + 자 + 모'의 자음은 뒤에 오는 모음과 결합해보면 'ㅌ + ㅔ (분리) 이 (분리) 브 + 르'로 분리 결합할 수 있다. 이렇게 분리된 한글 발음 기호는 한글 단어인 '테이블'로 발음을 완성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English word 'TABLE', the phonetic symbol is 'teibl', and the corresponding Korean phonetic symbol is 'Tev'. It is composed of 'child + mother + mother + mother + mother'. The vowel and vowel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consonant of 'child + mother + mother' is combined with the following vowel. Separation) can be separated by bran. The phonetic phonetic symbols thus separated may be completed with a table, which is a Korean word.

그리고 상기 한글 발음 기호부(300)에 표기된 한글 발음 기호 중 영어 발음 기호의 'l'에 대응하는 기호가 포함될 경우 자음 'l'에 대응되는 기호는 앞뒤 한글 발음 기호에 이중으로 결합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a symbol corresponding to 'l' of the English pronunciation symbol is included among the Korean pronunciation symbols displayed on the Korean pronunciation symbol part 300, the symbol corresponding to the consonant 'l' is combined in double before and after the Korean pronunciation symbol. do.

이러한 원칙이 적용되는 사례를 예로 들면, 영어 단어 'PLANE'의 경우 발음 기호는 'plein'이고, 이에 대응되는 한글 발음 기호는 '프르에이은'이다. 이는 '자 + 자 + 모 + 모 + 자'로 구성되어 있는 바, 'l'의 발음이 앞뒤의 발음 기호에 이중으로 결합되어 '프 + ㄹ (분리) ㄹ + ㅔ (분리) 이 + ㄴ'으로 분리 결합할 수 있다. 이렇게 분리된 한글 발음 기호는 한글 단어인 '플레인'으로 발음을 완성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English word 'PLANE', the phonetic symbol is 'plein', and the corresponding Korean phonetic symbol is 'Prue A'. It consists of 'za + ja + mo + ma + ja', and the pronunciation of 'l' is combined with the pronunciation symbols before and after, so that 'p + ㄹ (separation) ㄹ + ㅔ (separation) is + b' Can be separated and combined. The phonetic phonetic symbols thus separated can be completed with the Korean word 'plane'.

또한, 상기 자음발음인 [m] = [음], [n] = [은], [㎥] = [응] 등은 받침으로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sonants [m] = [sound], [n] = [silver], [m 3] = [yes] and the like can be used as a support.

예를 들면, 영어단어 'SPRING'의 경우 발음 기호는 'spri㎥'이고, 이에 대응되는 한글 발음 기호는 '스프리이응'이다. 이는 '자 + 자 + 자 + 모 + 자'로 구성되어 있는 바, 자음과 자음끼리 분리하고, [㎥]의 한글 발음 기호인 [응]을 받침으로 분리하면 '스 + 프 + ㄹ + ㅣ + 응(받침:ㅇ)'으로 분리 결합할 수 있다. 이렇게 분리된 한글 발음 기호는 한글 단어인 '스프링'으로 발음을 완성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English word 'SPRING', the phonetic symbol is 'spri㎥', and the Korean phonetic symbol corresponding thereto is 'spray'. It is composed of 'ja + j + j + mo + jja', and the consonants and consonant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Can be separated and combined. The phonetic phonetic symbols separated in this way may complete the pronunciation with the word 'spring'.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영어단어 읽기용 학습표는 상기 한글 발음 조합부(400)를 통해 조합된 발음을 한글 단어로 완성시킨 한글 발음 완성부(500)를 포함한다. 이는 상기 한글 발음 조합부(400)를 통해 분리 결합된 한글 발음 기호를 한글 단어로 완성시키는 것이다. 이에 대한 예는 상기 조합 원칙을 설명하기 위한 예를 통해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learning table for reading an English wor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Hangul pronunciation completion unit 500 that completes the pronunciation combined by the Hangul pronunciation combination unit 400 into a Hangul word. This is to complete the Hangul phonetic symbols separated and combined by the Hangul pronunciation combination unit 400 to Hangul word. An example of this can be seen through an example for explaining the combination principle.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영어단어 읽기용 학습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2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learning table for reading English word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영어단어 읽기용 학습표는 영어단어 해석부(600)와 한글 발음 조합원칙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learning table for reading English word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n English word analyzing unit 600 and a Korean pronunciation combination principle unit 700.

상기 영어단어 해석부(600)는 학습자의 영어단어 학습 향상을 향상시키기 위 한 것으로, 상기 영어 단어부(100)에 표기된 영어단어의 뜻을 표기할 수 있다.The English word interpreter 600 is to improve the learner's English word learning, it may indicate the meaning of the English word written in the English word portion (100).

상기 한글 발음 조합원칙부(700)는 상술한 한글 발음 조합 원칙을 기재함으로써, 학습자의 영어단어 학습 향상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The Hangul Pronunciation Combination Principles 700 is for improving the learner's English word learning by writing the aforementioned Hangul pronunciation combination principles.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된 본 발명의 영어단어 읽기용 학습표는 본토 발음과 동일하게 영어단어를 읽기는 힘들어도 영어를 배우기 시작한 초보자에게 정해진 원칙에 따라 영어 단어를 분석하여 처음 보는 단어라도 쉽게 읽을(발음)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영어에 대한 막연한 부담감을 없애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The learning table for reading English word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easy to read even the first seen words by analyzing English words according to the principle defined by beginners who have started learning English even though it is difficult to read English words as in mainland pronunciation (pronounced) By doing so, it can help to eliminate the vague burden on English.

그리고 본 발명은 영어단어 읽기용 학습표를 통한 영어단어 학습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상술한 영어단어 읽기용 학습표에 대한 기재와 공통되는 부분의 기재는 생략하거나 약술하기로 한다.A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nglish word learning method through the learning table for reading English words. Hereinafter, descriptions of parts in common with the description of the above-described learning table for reading English words will be omitted or abbreviated.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어단어 학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Figure 3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the English word learn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영어단어를 기재하는 제1 단계(S10); 상기 제1 단계(S10)를 통해 기재된 영어단어의 발음 기호를 기재하는 제2 단계(S20); 상기 제2 단계(S20)를 통해 기재된 발음 기호에 대응하는 한글 발음 기호를 기재하는 제3 단계(S30); 상기 제3 단계(S30)를 통해 기재된 한글 발음 기호를 조합하는 제4 단계(S40); 및 상기 제4 단계(S40)를 통해 조합된 발음을 한글 단어로 완성시키는 제 5 단계(S5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a first step S10 of describing an English word; A second step (S20) of describing a phonetic symbol of an English word described through the first step (S10); A third step (S30) of writing a Hangul phonetic symbol corresponding to the phonetic symbol described through the second step (S20); A fourth step (S40) of combining the Hangul phonetic symbols described through the third step (S30); And a fifth step S50 of completing the combined pronunciation through the fourth step S40 into a Hangul word.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어단어 학습방법은 영어단어의 뜻을 표기하는 제6 단계(S6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English word learn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ixth step (S60) for displaying the meaning of the English word.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어단어 학습방법은 상기 제4 단계(S40)에서 조합하는 한글 발음 기호 조합원칙을 표기하는 제7 단계(S7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는 상기 단계 S30에 기재된 한글 발음 기호를 단계 S40에서 조합되는 한글 발음 기호의 조합원칙을 표기한 것이다.In addition, the English word learn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venth step (S70) for indicating the combination principle of Hangul phonetic symbols combined in the fourth step (S40). This represents the combination principle of the Hangul phonetic symbols combined in step S40 the Hangul phonetic symbols described in step S30.

보다 상세히 상기 단계 S70의 단계에 표기되는 한글 발음 기호 조합원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In more detail, the Hangul phonetic symbol combination principle described in the step S70 is as follows.

먼저, 상기 단계 S30에 표기된 한글 발음 기호 중 한글 발음의 자음에서는 자음만 가져오고, 모음에서는 모음만 가져와서 자음과 모음을 결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글 발음 기호부(300)에 표기된 한글 발음은 자음과 자음끼리, 모음과 모음끼리는 서로 분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First of all, the consonants of the Korean pronunciations of the Korean phonetic symbols shown in step S30 bring only the consonants, and only the vowels in the vowels to combine the consonants and the vowels. In addition, the Hangul pronunciation written in the Hangul phonetic symbol 300 is in principle to separate the consonants and consonants, vowels and vowels.

그리고 자음과 자음 또는 모음과 모음끼리 분리하는 원칙에 따라 분리한 후, 자음과 모음 순서대로 결합하여 조합하는 것을 기본 원칙으로 할 수 있다.The basic principle may be to separate consonants and consonants or vowels and vowels, and then combine and combine consonants and vowels in order.

또한, 상기와 같이 일정한 원칙에 의해 자음과 자음, 모음과 모음끼리는 서로 분리하되, 분리된 자음, 모음이 서로 결합되는 것이 아닌 하나로 떨어져 분리되었을 경우, 자음 또는 모음의 한글 발음 전부를 가져와서 결합한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consonants and consonants, vowels and vowel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ut if the separated consonants and vowels are separated from one another rather than being combined with one another, the consonants or the vowels of the Hangul pronunciation are combined and brought together. .

또한, 상기 단계 30에 표기된 한글 발음이 '모음 + 자음 + 모음'으로 구성될 경우에는 중간에 위치한 '자음'은 뒤에 위치한 모음과 결합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Hangul pronunciation shown in step 30 is composed of 'vowels + consonants + vowels', the 'consonants' located in the middle are combined with the vowels located at the back.

또한, 상기 단계 S30에 표기된 한글 발음 중 영어 발음 기호의 'l'에 대응하는 기호가 포함될 경우 자음 'l'에 대응되는 기호는 앞뒤 한글 발음 기호에 이중으로 결합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a symbol corresponding to 'l' of the English pronunciation symbol is included in the Korean pronunciation indicated in step S30, the symbol corresponding to the consonant 'l' is in principle coupled to the front and rear Hangul pronunciation symbols.

또한, 상기 단계 S30에 표기되는 한글 발음 중 자음발음인 [m] = [음], [n] = [은], [㎥] = [응] 등은 받침으로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m] = [sound], [n] = [silver], [m 3] = [yes], etc., which are consonants among the Korean pronunciations indicated in step S30, may be used as a support.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It will be apprecia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어단어 읽기용 학습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1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learning table for reading English word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영어단어 읽기용 학습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2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learning table for reading English word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어단어 학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Figure 3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the English word learn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Brief description of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100 : 영어 단어부 200 : 영어 발음 기호부100: English word part 200: English pronunciation symbol part

300 : 한글 발음 기호부 400 : 한글 발음 조합부300: Hangul phonetic symbol 400: Hangul phonetic combination

500 : 한글 발음 완성부 600 : 영어단어 해석부500: Hangul pronunciation completion unit 600: English word interpretation unit

700 : 한글 발음 조합원칙부700: Hangul Pronunciation Combination Principle

Claims (9)

영어단어를 표기하는 영어 단어부;English vocabulary for writing English words; 상기 영어 단어부에 표기된 영어단어의 발음 기호를 표기하는 영어 발음 기호부;An English phonetic symbol unit for representing a phonetic symbol of an English word written on the English word unit; 상기 영어 발음 기호부에 표기된 영어단어의 발음 기호에 대응하는 한글 발음 기호를 표기하는 한글 발음 기호부;A Hangul phonetic symbol unit for writing a Hangul phonetic symbol corresponding to a phonetic symbol of an English word written on the phonetic phonetic symbol unit; 상기 한글 발음 기호부를 통해 기호화된 한글 발음 기호를 조합하는 한글 발음 조합부; 및A Hangul pronunciation combination unit combining the Hangul pronunciation symbols symbolized by the Hangul pronunciation symbols; And 상기 한글 발음 조합부를 통해 조합된 발음을 한글 단어로 완성시킨 한글 발음 완성부를 포함하는 영어단어 읽기용 학습표.Learning table for English words including a Hangul pronunciation completion unit that completes the pronunciation combined by the Hangul pronunciation combination unit into a Hangul word.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영어 단어부에 표기된 영어단어의 뜻을 표기하는 영어단어 해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단어 읽기용 학습표.English word reading learning table further comprises an English word interpretation unit for indicating the meaning of the English word written in the English word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한글 발음 조합부의 조합 원칙을 기재하는 한글 발음 조합원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단어 읽기용 학습표.Learning table for English words further comprising a Hangul pronunciation combination principle that describes the combination principle of the Hangul pronunciation combination.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한글 발음 조합원칙부에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Hangul pronunciation combination principle 상기 한글 발음 기호부에 표기된 한글 발음 기호를 자음에서는 자음만 가져오고, 모음에서는 모음만 가져와서 자음과 모음을 결합하는 원칙이 기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단어 읽기용 학습표.The Hangul phonetic symbols shown in the Hangul phonetic symbols in the consonants bring only consonants, vowels in the vowels only English vowel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inciple of combining the consonants and vowels.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한글 발음 조합원칙부에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Hangul pronunciation combination principle 상기 한글 발음 기호부에 표기된 한글 발음 기호를 자음과 자음끼리, 모음과 모음끼리는 서로 분리시키는 원칙이 기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단어 읽기용 학습표.Learning table for reading English word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inciple of separating the phonetic consonants, consonants, vowels and vowels from each other pronounced Korean phonetic symbols.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한글 발음 조합원칙부에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Hangul pronunciation combination principle 상기 한글 발음 기호부에 표기된 한글 발음 기호가 모음+자음+모음으로 구성될 경우 중간에 위치한 자음은 뒤의 모음과 결합되는 원칙이 기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단어 읽기용 학습표.If the Hangul phonetic symbols written on the Hangul phonetic symbols consists of vowels + consonants + vowels, the consonants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English word reading learning table, characterized in that the principle is combined with the vowel.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한글 발음 조합원칙부에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Hangul pronunciation combination principle 상기 한글 발음 기호부에 표기된 한글 발음 기호 중 상기 영어 발음 기호부의 자음 'l'에 대응하는 기호가 포함될 경우 자음 'l'에 대응되는 기호는 앞뒤 한글 발음 기호에 이중으로 결합되는 원칙이 기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단어 읽기용 학습표.If a symbol corresponding to the consonant 'l' of the English pronunciation symbol part is included in the Korean pronunciation symbol part, the symbol corresponding to the consonant 'l' is described in which a principle is doublely coupled to the front and rear Hangul pronunciation symbols. A study table for reading English words. 영어단어를 기재하는 제1 단계;A first step of writing an English word; 상기 제1 단계를 통해 기재된 영어단어의 발음 기호를 기재하는 제2 단계;A second step of describing a phonetic symbol of an English word described through the first step; 상기 제2 단계를 통해 기재된 발음 기호에 대응하는 한글 발음 기호를 기재하는 제3 단계;A third step of writing a Hangul phonetic symbol corresponding to the phonetic symbol described through the second step; 상기 제3 단계를 통해 기재된 한글 발음 기호를 조합하는 제4 단계; 및Combining the Hangul phonetic symbols described through the third step; And 상기 제4 단계를 통해 조합된 발음을 한글 단어로 완성시키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영어단어 학습방법.The English word learning method comprising a fifth step of completing the pronunciation combined by the fourth step into a Hangul word. 제 8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한글 발음 기호를 조합하는 단계에서 조합하는 한글 발음 기호 조합원칙을 표기하는 제7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단어 학습방법.And a seventh step of indicating a combination principle of the Hangul phonetic symbols combined in the combining of the Hangul phonetic symbols.
KR1020080024487A 2008-03-17 2008-03-17 Reading study list for english words and studying method thereof KR2009009931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4487A KR20090099314A (en) 2008-03-17 2008-03-17 Reading study list for english words and study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4487A KR20090099314A (en) 2008-03-17 2008-03-17 Reading study list for english words and study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9314A true KR20090099314A (en) 2009-09-22

Family

ID=41357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4487A KR20090099314A (en) 2008-03-17 2008-03-17 Reading study list for english words and study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99314A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2482A (en) 2018-01-02 2019-07-10 김정자 English teaching material comprising English-Korean combined pronunciation key
KR20190082487A (en) 2018-01-02 2019-07-10 김정자 English teaching material comprising Korean pronunciation write using segment of consonant and vowel in English word and studying method using thereof
KR20200091263A (en) 2019-01-22 2020-07-30 김정자 English teaching material for beginner and studying method using thereof
WO2020230983A1 (en) 2019-05-14 2020-11-19 김정자 Study material for native speaker pronunciation by beginners in english, and english study method using same
KR20210100858A (en) 2020-02-07 2021-08-18 김정자 English-study materials for beginner comprising stepwise accent studying area and the method using thereof
KR102357900B1 (en) 2021-03-23 2022-02-08 박기오 Material for studying English Pronunciatio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2482A (en) 2018-01-02 2019-07-10 김정자 English teaching material comprising English-Korean combined pronunciation key
KR20190082487A (en) 2018-01-02 2019-07-10 김정자 English teaching material comprising Korean pronunciation write using segment of consonant and vowel in English word and studying method using thereof
KR20200091263A (en) 2019-01-22 2020-07-30 김정자 English teaching material for beginner and studying method using thereof
WO2020230983A1 (en) 2019-05-14 2020-11-19 김정자 Study material for native speaker pronunciation by beginners in english, and english study method using same
KR20200131455A (en) 2019-05-14 2020-11-24 김정자 Teaching material for English beginner and studying method using thereof
KR20210100858A (en) 2020-02-07 2021-08-18 김정자 English-study materials for beginner comprising stepwise accent studying area and the method using thereof
KR102357900B1 (en) 2021-03-23 2022-02-08 박기오 Material for studying English Pronunci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enoz et al. The acquisition of English pronunciation: Learners' views
US20070031796A1 (en) Literacy system
Bancha What causes spelling errors of Thai EFL students
KR20090099314A (en) Reading study list for english words and studying method thereof
KR2018000099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earning english phonics
Al Rowais et al. An Arabic framework for dyslexia training tools
Begum et al. English pronunciation problems of the tertiary level students in Bangladesh: A case study
KR101102520B1 (en) The audio-visual learning system of its operating methods that based on hangul alphabet combining the metrics
KR101617997B1 (en) Display method for learning foreign languages through the anatomical chart of sentence and the repeated imprinting of foreign language constituents array formulae
Russak How can a fine-grained analysis of spelling errors inform our understanding of the development of spelling in EFL?
Bowden Punjabi tonemics and the Gurmukhi script: A preliminary study
KR101630412B1 (en) English studying material
KR101018743B1 (en) Apparatus and System for learning language
Souzandehfar How to improve pronunciation? An in-depth contrastive investigation of sound-spelling systems in English and Persian
Bustos-Orosa et al. A qualitative analysis of the decoding error patterns among Filipino beginning readers transitioning to the Marungko approach
Bashirnezhad et al. A comparative typology on phonological system of Russian, English and Persian Languages
Taileb et al. YUSR: Speech recognition software for dyslexics
Thomson Dyslexia: Modern Foreign Languages
Ali et al. Problems Faced by Pashto Speaking Community in the Articulation of English Fricative Consonants at Undergraduate Level in Swabi
Ahamed et al. FROM ACCENTS TO ACCURACY: A LITERATURE REVIEW ON UTILIZING DIGITAL TOOLS FOR PERFECTING PRONUNCIATION
Adinda et al. Phonological Interference of Indonesian Consonants Into Korean
US20230267850A1 (en) Reading system with coded words and hand/finger signs
Jaelani The Lingua Franca Core (LFC) and Its Impact on Pronunciation Teaching Practice in Indonesia
Kart Visual Phonics: Relevant for all early readers, especially struggling readers
Tanner et al. Pronunciation in Varied Teaching and Learning Contex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