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9151A - 배터리 진단 충전기 - Google Patents

배터리 진단 충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9151A
KR20090099151A KR1020080024230A KR20080024230A KR20090099151A KR 20090099151 A KR20090099151 A KR 20090099151A KR 1020080024230 A KR1020080024230 A KR 1020080024230A KR 20080024230 A KR20080024230 A KR 20080024230A KR 20090099151 A KR20090099151 A KR 200900991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protection circuit
charger
normally
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4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민규
Original Assignee
(주)모바일핏스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모바일핏스탑 filed Critical (주)모바일핏스탑
Priority to KR1020080024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99151A/ko
Publication of KR20090099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91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1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battery or load disconnect circui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1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batteries; for 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6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connection detecting circu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제품에 사용하는 배터리가 가지고 있는 보호회로의 정상 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가진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가 가지고 있는 보호회로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를 판단하는 기능을 가진 충전기는 배터리를 장착할 수 있는 장착부(100), 배터리가 가지고 있는 보호회가 작동하도록 하게 하고, 그 조건에 의해 배터리의 보호회로가 작동되었는지 판단하여 충전기를 제어하는 제어부(200),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제품에 사용하는 배터리가 가지고 있는 보호회로의 정상 작동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가진 충전기는 배터리의 보호회로가 없거나 보호회로의 고장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폭발 위험 및 전자제품의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배터리, 보호회로, 휴대폰, 전자제품, 배터리 폭발, 휴대폰 손상, PDA

Description

배터리 진단 충전기{A CHARGER DIAGNOSES A RECHARGERABLE BATTERY.}
본 발명은 전자제품에 사용하는 배터리가 가지고 있는 보호회로의 정상 작동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가진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 PDA, 디지털카메라, 디지털 캠코드, PMP 등의 전자제품은 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는 배터리에 의해 동작된다. 따라서 상기의 전자제품을 사용함에 있어서 배터리는 무엇보다도 중요한 요소이다. 하지만, 배터리의 상태에 따라서 배터리는 휴대폰 등과 같은 전자제품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제조업체는 정상적인 보호회로를 가지고 있는 정품 배터리를 사용하기를 권장하고 있다. 하지만 사용하는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구매한 배터리가 정품인지 또는 안전한 보호회로를 가지고 있는 배터리 인지를 판단하기가 어렵다. 또한, 휴대폰 등의 전자제품에 사용하는 배터리가 정품이 아닐 경우 폭발의 위험성도 있어 보호회로를 가지고 있는 정품 배터리를 사용하는 것은 휴대폰 등과 같은 전자제품의 안전뿐만 아니라 소비자의 안전에도 매우 중요하다. 또한, 정품 배터리의 경우에도 사용기간이 너무 오래되었거나, 노후화가 되어, 만약 배터리를 보호하는 회로가 손상이 있을 경우에는 배터리를 충전하기 전에 배터리의 보호회로가 정상적으로 작동되고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는 충 전장치가 없어 휴대폰 등과 같은 전자제품 뿐만 아니라, 소비자 역시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상태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하여 배터리를 충전기에 장착하여 사용할 경우 충전기가 충전하기 전에 배터리의 보호회로가 존재하는지, 존재하는 보호회로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를 파악하여 정상적으로 작동되었을 경우에만 충전을 해주고,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을 경우에는 충전을 해 주지 않고 경고 메시지를 보내에 배터리를 사용하는 전자제품의 손상이나 배터리 폭발로 인한 위험으로부터 소비자나 전자제품을 보호하는 것이 목적이다.
도1에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가 작동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사용자가 배터리를 충전기 장착부(100)에 장착하면, 충전기 제어부(200)는 배터리의 사양에 대한 정보를 파악한 후, 배터리의 보호회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우선 판단한 후, 배터리 사양에 맞게 배터리의 보호회로가 작동되어야 하는 조건을 배터리에 제공한다. 배터리에 제공된 조건에 따라 배터리의 보호회로가 작동하는가를 판단하 후 배터리의 보호회로가 작동을 하면 배터리가 충전이 될 수 있도록 충전기 제어부(200)에서 배터리 충전부(300)으로 정보를 전달하여 배터리를 충전하게 하고, 만약 배터리가 제공한 조건에 의해 보호회로가 작동되지 않으면, 사용자에게 경고 메시지를 보내주고, 충전을 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크게 3가지가 있다.
첫 번째가 배터리에 보호회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두 번째가 배터리에 보호회로가 존재하지만 정상적인 작동을 하지 않는 경우
세 번째가 배터리의 용량에 따라 위의 세가지 과제를 해결하는 방법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배터리를 충전할 때 마다, 즉 사용자가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배터리를 장착하는 충전기 장착부(100), 배터리의 보호회로가 존재하는지 여부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배터리의 사양에 맞는 특정한 조건을 배터리에 제공하여 배터리의 보호회로가 존재하는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를 판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서 충전기를 제어하는 제어부(200), 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부(300)로 구성한다.
충전기의 장착부(100)은 한 개 또는 다수개의 장착부(101~10N)로 구성하여 한 개의 배터리 또는 다수개의 배터리를 장착할 수 있다.
충전기의 제어부(200)는 배터리의 사양에 따라서 배터리에 제공하는 조건을 틀리게 제공한다. 왜냐하면 배터리의 용량, 전압 등 배터리의 사양에 따라서 보호회로의 작동 조건이 틀리다. 그래서 배터리의 사양에 따라 배터리의 보호회로가 존재하는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판단하기 위한 조건은 배터리의 사양에 맞게 조정되어 제공되어져야 한다. 예를 들면 리튬이온 배터리에 있어 1 cell로 구성된 배터리가 4.3볼트 이상의 전압이 주어지면 배터리의 보호회로가 작동되어 충전이 되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다면, 배터리가 충전기에 장착되어 충전하기 전에 4.3볼트 이상을 배터리에 제공하여 보호회로가 작동되는지를 판단하여 보호회로가 작동이 되면 충전을 하고 작동되지 않으면 충전을 하지 않는다. 2 cell로 구성된 배터리가 8.6볼트 이상의 전압이 주어지면 배터리의 보호회로가 작동되어 충전이 되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다면 배터리가 충전기에 장착되어 충전하기 전에 8.6볼트를 배터리에 제공하여 보호회로가 작동되는지를 판단하여 보호회로가 작동이 되면 충전을 하고 작동되지 않으면 충전을 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배터리의 사양에 따라 보호회로가 작동하는 조건이 틀려진다.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 제어부(200)는 배터리의 보호회로가 작동할 수 있는 사양에 맞는 조건을 배터리에게 제공하여 배터리의 보호회로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를 판단한 후 그 결과에 따라 배터리의 충전 여부를 결정한다.
충전기에 장착된 배터리의 보호회로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면 충전기의 제어부(200)가 충전부(300)에 충전을 하라고 정보를 제공하면, 장착된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이 충전부(300)이다. 즉, 충전기에 장착된 배터리의 보호회로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면 충전기의 충전부(300)는 배터리를 충전한다. 배터리의 충전부는 한 개 또는 다수개의 충전부(301~30N)로 구성할 수 있고, 한 개 또는 다수개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에서 개시도나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본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치환 및 변경 가능한 다양한 모든 실시 예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는 보호회로가 존재하거나,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배터리만 충전할 수 있는 충전기를 제공한다.
또한, 보호회로가 없거나, 보호회로가 비정상적인 비품 배터리를 사용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전자제품의 피해를 미리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보호회로가 없거나, 보호회로가 비정상적인 비품 배터리를 사용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배터리 폭발 같은 위험으로부터 전자제품이나 소비자를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보호회로가 손상된 정품 배터리를 사용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전자제품의 피해를 미리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보호회로가 손상된 정품 배터리를 사용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배터리 폭발 같은 위험으로부터 전자제품이나 소비자를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을 이루기 위해서는 도면 3과 같은 배터리를 장착할 수 있는 기구물을 제작하고, 도면 4와 같이 회로도를 완성하여, 배터리를 쉽게 장착하게 하고, 배터리의 +, - 단자를 제어부와 쉽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여, 배터리의 보호회로가 존재하는지 여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여부를 도면 4에 나와 있는 회로도의 마이컴에서 제어하여, 이상이 없을 경우 충전하게 함으로써 발명이 실시된다.
휴대용 전자제품에 사용되는 2차 전지배터리 충전기 및 양산된 2차전지 또는 일정한 기간을 사용한 후 배터리의 이상유무를 판단할 수 있는 진단기에 사용되어진다.
도 1 :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가 작동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
도 2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가 가지고 있는 보호회로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를 판단하는 기능을 가진 충전기는 배터리를 장착하는 장착부 (100), 배터리에 장착되어있는 보호회로가 작동하도록 하게 하고, 그 조건에 의해 배터리의 보호회로가 작동되었는지 판단하여 충전기를 제어하는 제어부(200),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부(300)를 포함한 세부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충전기 장착부
200 : 충전기 제어부
도 3 : 배터리를 장착할 수 있는 기구물
도 4 : 배터리의 상태를 파악하고 제어하는 회로도

Claims (9)

  1.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기에 있어서,
    배터리를 장착하는 장착부;
    상기 장착된 배터리의 보호회로가 존재하는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판단하기 위해 보호회로가 작동할 수 있는 조건을 제공하고, 그 조건에 따라 보호회로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를 판단하는 제어부;
    상기 충전기에 장착된 배터리의 보호회로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면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충전기
  2. 제 1항에 있어서,
    배터리의 보호회로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판단하기 위해 제공하는 조건을 충전기가 자동으로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소비자가 수동으로 제공하는 제어부를 가진 충전기
  3. 제 1항에 있어서,
    배터리의 보호회로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판단하는 기능에 대해 스위치를 두어 소비자가 원할 경우에만 스위치를 ON하여 작동하게 하고, 원하는 않을 경우에 는 스위치를 OFF하여 작동하지 않게 하는 기능이 있는 제어부를 가진 충전기.
  4. 제 1항에 있어서,
    배터리에 보호회로가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을 경우 배터리를 자동으로 배출하는 배터리 장착부를 가진 충전기
  5. 제 1항에 있어서,
    배터리의 보호회로가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을 경우 경고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어부를 가진 충전기
  6. 제 1항에 있어서,
    한 개 또는 다수개의 장착부를 가진 충전기
  7. 제 1항에 있어서,
    한 개 또는 다수개의 충전부를 가진 충전기
  8. 제 1항에 있어서,
    배터리의 보호회로가 존재하는지 여부만 판단하는 충전기
  9. 제 1항에 있어서
    배터리의 보호회로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만 판단하는 충전기
KR1020080024230A 2008-03-17 2008-03-17 배터리 진단 충전기 KR200900991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4230A KR20090099151A (ko) 2008-03-17 2008-03-17 배터리 진단 충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4230A KR20090099151A (ko) 2008-03-17 2008-03-17 배터리 진단 충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9151A true KR20090099151A (ko) 2009-09-22

Family

ID=41357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4230A KR20090099151A (ko) 2008-03-17 2008-03-17 배터리 진단 충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9915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70163B2 (en) 2010-12-01 2015-03-03 Samsung Sdi Co., Ltd. Charge control system of battery pack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70163B2 (en) 2010-12-01 2015-03-03 Samsung Sdi Co., Ltd. Charge control system of battery pac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6160B1 (ko) 전압 측정을 통한 배터리 랙 파손 방지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13537A (ko) 배터리 관리와 통신기능을 갖는 에너지 저장 및 제어시스템
US9327610B2 (en) Method for automatic energy discharge of a battery pack via internal battery electronics post crash event
EP2385575A1 (en) Battery power supply device, and battery power supply system
WO2014204649A1 (en) Battery management system
KR20140029800A (ko) 배터리 관리 시스템
KR20110021397A (ko) 배터리 관리 시스템
EP2919346B1 (en)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battery, including malfunction prevention algorithm
KR101622193B1 (ko) 절연저항 측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고전압 전원 분배 장치
US10367358B2 (en) Active equalizing charging device
KR20130101235A (ko) 에너지를 재사용하는 배터리 밸런싱 시스템 및 배터리 밸런싱 방법
EP3160002B1 (en) Active equalizing charging device
KR101050469B1 (ko) 배터리 팩, 및 배터리 팩의 캡 분해 방지 방법
KR20110047747A (ko) 배터리 팩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1364856B1 (ko) 차량용 보조배터리 충전제어장치 및 그 충전제어방법
CN104953198A (zh) 电池包组的控制方法、电池包组及电动工具
KR20150083739A (ko) 프리차지 저항 및 릴레이 파손 방지 장치 및 방법
KR101644217B1 (ko) 배터리 팩 보호 장치 및 방법
JP2011029010A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システムおよび管理装置への電力供給方法
EP2854254A1 (en) Charging station having battery cell balancing system
CA3078110A1 (en) System for recharging battery with motion sensor
KR101826836B1 (ko) 휴대용 멀티보조전원장치
CN203119507U (zh) 一种电动汽车电池组充放电管理系统
KR20090099151A (ko) 배터리 진단 충전기
KR20070089347A (ko) 전자제품에 사용하는 배터리가 가지고 있는 보호회로의정상 작동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가진 충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