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8514A -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8514A
KR20090098514A KR1020080023951A KR20080023951A KR20090098514A KR 20090098514 A KR20090098514 A KR 20090098514A KR 1020080023951 A KR1020080023951 A KR 1020080023951A KR 20080023951 A KR20080023951 A KR 20080023951A KR 20090098514 A KR20090098514 A KR 200900985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ischarge
air conditioner
discharge por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3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87531B1 (ko
Inventor
송혜영
박내현
김세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80023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7531B1/ko
Priority to CN2008100983888A priority patent/CN101520222B/zh
Publication of KR20090098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85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7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75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24F1/0014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having two or more outlet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9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3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environmental factors not covered by group F24F2110/00
    • F24F2130/40Noise

Abstract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하부에 공기 흡입부가 형성되고, 상부 좌,우 양측에 공기 토출부가 형성되며, 상면에 상면 개구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송풍기와; 상기 본체의 좌측 공기 토출부를 여닫는 좌측 토출베인과; 상기 좌측 토출베인을 구동시키는 좌측 토출베인 구동기구와; 상기 본체의 우측 공기 토출부를 여닫는 우측 토출베인과; 상기 우측 토출베인을 구동시키는 우측 토출베인 구동기구와; 상기 상면 개구부를 통해 승강되게 배치되고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토출구 유닛과; 상기 토출구 유닛을 승강시키는 승강기구와; 공기정화 운전시, 상기 승강기구를 상승모드로 제어하고, 상기 좌측 토출베인 구동기구 및 우측 토출베인 구동기구를 밀폐모드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본체 내부에서 정화된 공기가 본체 보다 높은 위치에서 토출구 유닛의 전방으로 토출되므로, 정화 공기의 최대 토출 거리가 길고, 정화 공기가 실내 전체를 정화시키면서 실내를 고르고 신속하게 정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공기조화기, 본체, 상면 개구부, 토출구 유닛, 좌측 토출베인, 우측 토출베인

Description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기정화 운전시 공기조화기 내부에서 정화된 공기가 토출구 유닛을 통해서만 집중 토출되어 공기조화기와 원거리까지 도달되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사용자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구, 증발기로 이루어지는 냉매의 냉동사이클을 이용하여 실내를 냉/난방 시키는 것으로, 최근에는 공기조화기 내부에 정화유닛을 설치하여, 공기조화기가 냉/난방 뿐만 아니라 공기정화를 겸하는 추세이다.
10-2005-0031568호에는 공기조화기 내부에 공기 정화 필터가 장착되고, 공기조화기의 상면에 상면 공기 토출구가 형성되며, 공기정화 운전시 상면 공기 토출구를 개방하여 공기조화기 내부에서 정화된 공기를 공기조화기의 상면을 통해 토출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및 그 운전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정화 공기가 공기조화기의 상면을 통해 상향 토출되어, 정화 공기가 실내로 토출될 수 있는 최대 토출 거리가 짧고, 실내로 토출된 공기의 대류에 의해 실내 전체가 정화되므로, 실내 전체를 모두 정화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길고, 공기조화기와 먼 영역의 정화 능력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정화 공기의 최대 토출 거리가 길어 실내 전체가 고르고 신속하게 정화될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내 오염도에 따라 토출구 유닛의 높이와 송풍기의 회전수 중 적어도 하나를 가변하여 실내를 신속하게 정화하거나 공기조화기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한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냉/난방 운전 중 공기정화 운전이 조작될 경우 간단한 동작으로 운전 전환이 가능한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하부에 공기 흡입부가 형성되고, 상부 좌,우 양측에 공기 토출부가 형성되며, 상면에 상면 개구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송풍기와; 상기 본체의 좌측 공기 토출부를 여닫는 좌측 토출베인과; 상기 좌측 토출베인을 구동시키는 좌측 토출베인 구동기구와; 상기 본체의 우측 공기 토출부를 여닫는 우측 토출베인과; 상기 우측 토출베인을 구동시키는 우측 토출베인 구동기구와; 상기 상면 개구부를 통해 승강되게 배치되고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토출구 유닛과; 상기 토출구 유닛을 승강시키는 승강기구와; 공기정화 운전시, 상기 승강기구를 상승모드로 제어하고, 상기 좌측 토출베인 구동기구 및 우측 토출베인 구동기구를 밀폐모드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실내 오염도를 감지하는 오염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정화 운전시 상기 오염도 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토출구 유닛의 상승 높이를 가변시킨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실내 오염도를 감지하는 오염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정화 운전시 상기 오염도 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송풍기의 회전수를 가변킨다.
상기 본체는 좌,우 양측 하부에 상기 공기 흡입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은, 공기조화기의 운전모드를 입력하는 운전모드 입력단계와; 상기 운전모드 입력단계에서 입력된 운전모드가 공기정화 운전이면, 상기 공기조화기의 좌,우 양측 상부에 형성된 좌,우 공기 토출부를 닫고, 상기 공기조화기에 승강되게 배치된 토출구 유닛을 상승시키는 공기정화 운전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공기정화 운전단계는 상기 토출구 유닛에 상하 회전되게 배치된 상하 풍향조절 베인을 상향 경사지게 회전시킨 후 고정한다.
상기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공기조화기의 운전 정지시 상기 좌,우 공기 토출부를 닫고 상기 토출구 유닛을 하강시키고, 상기 공기조화기의 냉방 운전 또는 난방 운전시 상기 좌,우 공기 토출부를 열고 상기 토출구 유닛을 상승시키며, 상기 공기조화기의 운전 정지 중 상기 공기정화 운전이 조작되면, 상기 토출구 유닛을 상승시킨다.
상기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공기조화기의 운전 정지시 상기 좌,우 공기 토출부를 닫고 상기 토출구 유닛을 하강시키고, 상기 공기조화기의 냉방 운전 또는 난방 운전시 상기 좌,우 공기 토출부를 열고 상기 토출구 유닛을 상승시키며, 상기 공기조화기의 냉방 운전 또는 난방 운전 중에 상기 공기정화 운전이 조작되면, 상기 좌,우 공기 토출부를 닫는다.
상기 공기정화 운전단계는 상기 공기조화기에 설치된 오염도 센서에서 감지된 오염도가 높으면, 상기 토출구 유닛의 상승 높이가 높게 토출구 유닛을 상승시키고, 상기 오염도 센서에서 감지된 오염도가 낮으면 상기 토출구 유닛의 상승 높이가 상기 오염도가 높을 경우 보다 낮게 토출구 유닛을 상승시킨다.
상기 공기정화 운전단계는 상기 오염도 센서에서 감지된 오염도가 높으면 상기 본체에 설치된 송풍기의 회전수를 높게 상기 송풍기를 제어하고, 상기 오염도 센서에서 감지된 오염도가 낮으면 상기 송풍기의 회전수가 상기 오염도가 높을 경우 보다 낮게 상기 송풍기를 제어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공기정화 운전시 본체의 상부 좌,우측에 형성된 공기 토출부가 막히고, 토출구 유닛이 본체에 형성된 상면 개구부를 통과해 본체의 상측으로 상승되며, 본체 내부에서 정화된 공기가 본체 보다 높은 위치에서 토출구 유닛의 전방으로 토출되므로, 정화 공기의 최대 토출 거리가 길고, 정화 공기가 실내 전체를 정화시키면서 실내를 고르고 신속하게 정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내의 오염도가 높으면 토출구 유닛의 상승 높이가 높거나 송풍기의 팬회전수가 높아 실내를 신속하게 정화할 수 있고, 실내의 오염도가 낮으면 토출구 유닛의 상승 높이가 낮거나 송풍기의 팬회전수가 낮아 본체 내부에서 외부로 전달되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정화 운전시 본체의 좌,우 양측 하부로 실내 공기가 흡입되어 정화되므로 실내 공기를 보다 신속하게 흡입하여 정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정화 운전시 토출구 유닛에 설치된 상하 풍향조절 베인이 상향 경사 방향으로 회전되어 고정되어, 정화 공기가 토출구 유닛의 전방 상측으로 토출 안내되므로, 정화 공기의 최대 토출거리가 보다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가 냉/난방 운전 중에 공기정화 운전이 조작되면, 좌,우측 토출부를 닫는 간단한 동작으로 공기정화 운전으로 전환될 수 있고, 공기정화 운전 중에 냉/난방 운전이 조작되면, 좌,우측 토출부를 여는 간단한 동작으로 냉/난방 운전으로 전환될 수 있으며, 냉/난방 운전과 공기정화 운전 간의 전환이 손쉬운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가 운전 정지일 때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가 냉방 운전 또는 난방 운전일 때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가 공기정화 운전일 때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하부 평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가 운전 정지일 때의 상부 평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가 냉방 운전 또는 난방 운전일 때의 상부 평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가 공기정화 운전일 때의 상부 평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본체(2)에 실내의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부(4)(6)가 형성되고, 본체(2)의 내부에서 가열되거나 냉각되거나 정화된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 토출부(8)(10)가 형성된다.
본체(2)는 스텐드형 공기조화기나 벽걸이형 공기조화기나 천장형 공기조화기 등의 어느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나, 이하 편의를 위해 스텐드형 공기조화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하, 본체(2)는 하부에 공기 흡입부(4)(6)가 형성되고, 상부에 공기 토출부(8)(10)가 형성되어 대략 그 하부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그 내부에서 공조한 후 그 상부를 통해 공조된 공기를 토출하는 유로를 갖는다.
본체(2)는 베이스(12)와, 캐비닛(20)과, 하부 패널(30)(40)과, 상부 패널(50)을 포함한다.
베이스(12)는 본체(2)의 저면부 외관을 형성하고 캐비닛(20)과 하부 패널(30)(40) 등을 지지한다.
캐비닛(20)은 본체(2)의 후방부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후판부(22)와 좌판부(24)와 우판부(26)로 이루어지고, 베이스(12)의 후방부 상측에 위치되게 설치된다.
캐비닛(20)은 좌판부(24)와 우판부(26)가 후판부(22)와 직교하게 절곡되는 것도 가능하고, 전방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차 멀어지는 방향으로 후판부(22)와 경사지게 절곡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하부 패널(30)(40)은 좌측 공기 흡입부(4)를 구성하는 좌측 하부 패널(30)과, 우측 공기 흡입부(6)를 구성하는 우측 하부 패널(40)로 이루어진다.
좌측 하부 패널(30)은 캐비닛(20)의 좌판부(24) 하부 전방 위치인 베이스(12)의 전방부 좌측 위에 배치되고, 좌측 공기 흡입구(31)가 개구 형성된다.
좌측 하부 패널(30)에는 좌측 필터 케이스(34)가 설치되고, 좌측 필터 케이스(34)에는 좌측 공기 흡입구(31)로 흡입된 공기를 정화하는 좌측 필터(32)가 장착 된다.
좌측 하부 패널(30)에는 후술하는 좌측 패널 구동기구(159)의 구동 링크(164)가 관통되는 링크 관통부(38)가 형성된다.
우측 하부 패널(40)은 캐비닛(20)의 우판부(26) 하부 전방 위치인 베이스(12)의 전방부 우측 위에 배치되고, 우측 공기 흡입구(41)가 개구 형성된다.
우측 하부 패널(40)에는 우측 필터 케이스(44)가 설치되고, 우측 필터 케이스(44)에는 우측 공기 흡입구(41)로 흡입된 공기를 정화하는 우측 필터(42)가 장착된다.
우측 하부 패널(40)에는 후술하는 우측 패널 구동기구(160)의 구동 링크(164)가 관통되는 링크 관통부(48)가 형성된다.
상부 패널(50)은 캐비닛(20)의 상부 전방에 배치되고, 좌측에 좌측 공기 토출부(8)가 형성되며, 우측에 우측 공기 토출부(10)가 형성되는 것으로서, 크게 전판부(52)와 좌측판부(53)와 우측판부(54)로 이루어진다.
좌측 공기 토출부(8)는 전판부(52) 및 좌측판부(53)에 대해 경사진 좌측 경사부(55)가 형성되고, 좌측 경사부(55)에 좌측 공기 토출구(56)가 개구 형성된다.
좌측 공기 토출부(8)는 후술하는 좌측 패널(90)의 닫힘시 좌측 패널(90)에 돌출되게 구비된 좌측 토출 안내부(92) 특히, 후술하는 좌측 토출베인(94) 등이 삽입되어 수용되는 좌측 공간부(S1)를 갖도록 좌측 경사부(55)가 본체(2)의 내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된다.
우측 공기 토출부(10)는 전판부(52) 및 우측판부(54)에 대해 경사진 우측 경사부(57)가 형성되고, 우측 경사부(57)에 우측 공기 토출구(58)가 개구 형성된다.
우측 공기 토출부(10)는 후술하는 우측 패널(100)의 닫힘시 우측 패널(100)에 돌출되게 구비된 우측 토출 안내부(102) 특히 후술하는 우측 토출베인(104) 등이 삽입되어 수용되는 우측 공간부(S2)를 갖도록 우측 경사부(57)가 본체(2)의 내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된다.
본체(2)는 상부 패널(50)의 전방에 전면 커버(60)가 설치된다.
전면 커버(60)는 사각 판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 패널(50)의 전방을 차폐하는 것으로서, 좌측부(62)가 좌측 공간부(S1)의 전방을 차폐하고, 우측부(64)가 우측 공간부(S2) 전방을 차폐한다.
전면 커버(60)는 좌측 공기 토출구(56)와 우측 공기 토출구(58)를 통과한 공기가 전방으로 직진되지 않고, 후술하는 좌측 패널(90)과 우측 패널(100)을 향하도록 유도되는 에어 가이드의 역할을 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패널(90) 및 우측 패널(100)이 닫힘 위치에 있을 때, 좌측 토출 안내부(92)와 우측 토출 안내부(102)가 전방에서 보이지 않게 막는 차폐 부재의 역할을 한다.
그리고, 본체(2)의 전방에는 공기조화기의 전면측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 패널(70)이 배치된다.
전면 패널(70)은 베이스(12) 및 좌측 하부 패널(30)과 우측 하부 패널(40)과 상부 패널(50) 중 적어도 하나에 고정되게 장착되거나 좌,우 중 일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하, 전면 패널(70)은 베이스(12) 및 좌측 하부 패널(30)과 우측 하부 패널(40)과 상부 패널(50) 중 적어도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부 패널(50) 및 전면 커버(60)의 상단과 베이스(12)의 전면부 사이를 여닫는 것으로 설명한다.
전면 패널(70)은 복수개의 부재(71)(72)가 닫힘시를 기준으로 내,외 혹은 전,후 위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바, 공기조화기의 전면측 미관을 형성하고 본체(2)를 기준으로 외측에 위치되는 프론트 커버(71)와, 프론트 커버(71)의 후방에 위치되고 전면 패널(70)을 배면을 형성하는 이너 프레임(72)와, 프론트 커버(71)를 이너 프레임(72)와 결합시키는 홀더(73)와, 리어 프레임(72)에 설치되고 프론트 커버(71)를 통해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74)를 포함한다.
프론트 커버(71)는 공기조화기의 전면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글래스 나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투명하게 형성된 투명부재와, 투명부재의 전면 혹은 배면에 형성된 장식부를 포함한다.
프론트 커버(71)는 장식부가 투명부재의 전면 혹은 배면에 스크린 인쇄에 의해 형성된 스크린 인쇄부로 이루어지거나, 투명부재의 전면 혹은 배면에 부착된 장식시트나 장식필름 등으로 이루어진다.
프론트 커버(71)는 장식부가 디스플레이(74)의 전방을 포함한 투명부재의 일면 전체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디스플레이(74)의 전방 이외에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리어 프레임(72)은 프론트 커버(71)의 후방에 배치되어, 프론트 패널(70)의 배면을 구성한다.
리어 프레임(72)에는 디스플레이(74)가 설치되거나 디스플레이(74)의 정보가 통과하는 개구부(72a)가 형성된다.
디스플레이(74)는 개구부(72a)의 내측에 위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개구부(72a)의 후방에 위치되어 개구부(72a)를 통해 정보가 보이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본체(2)의 내부에는 실내의 공기를 본체(2) 내부로 흡입한 후 본체(2)의 외부로 토출되게 송풍력을 발생시키는 송풍기와, 송풍기(310)에서 송풍된 공기를 냉매와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75)를 포함한다.
송풍기는 본체(2)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어 그 전방 혹은 후방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측으로 송풍시키는 원심 송풍기로서, 회전축이 전후 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팬모터(76)와, 팬모터(76)의 회전축에 연결된 송풍팬(77)과, 송풍팬(77) 및 팬모터(76)를 둘러싸고 전면과 후면 중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부에 토출구가 형성된 팬 하우징(78)과, 팬 하우징(78)의 개구부에 배치된 오리피스(79)를 포함한다.
송풍기 특히 오리피스(79)의 전방에서 정화유닛 케이스(79A)가 설치되고, 정화유닛 케이스에는 적어도 하나의 정화 유닛(79B)(79C)(79D)이 장착된다.
열교환기(75)는 송풍기 특히 팬 하우징(78)의 상측에 위치되게 설치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구 유닛(80)이 본체(2)의 내측 상부에서 본체(2)의 위로 상승되고, 본체(2)의 위에서 본체(2)의 내측 상부로 하강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토출구 유닛이 하강된 상태일 때의 종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토출구 유닛이 상승된 상태일 때의 종단면도이다.
본체(2)는 그 상면 전체가 상하 방향으로 개방된 개구면을 갖거나 그 상면에 상하 방향으로 개구된 상면 개구부(80a)가 형성되고, 토출구 유닛(80)은 본체(2)의 개구면이나 상면 개구부(80a)를 통해 승강 구동된다.
토출구 유닛(80)은 전,후,좌,우 네 둘레면 중 적어도 일면에 공기 토출구(81)가 개구 형성되고, 저면이 본체(2)와 통하게 개구 형성되며, 내부에 개구된 저면과 공기 토출구(81)를 잇는 공기 유로가 형성된다.
본체(2)에는 토출구 유닛(80)이 승강 안내되는 승강 가이드(82)가 설치되고, 토출구 유닛(80)은 승강 가이드(82)에 승강 안내되면서 승강 가이드(82)의 상측 위치로 상승되어 공기 토출구(81)가 개방/노출되거나 승강 가이드(82)의 내부로 하강되어 승강 가이드(82)의 상면 즉, 본체(2)의 상면을 덮으면서 공기 토출구(81)가 밀폐/은닉된다.
승강 가이드(82)는 캐비닛(20)과 상부 패널(50)의 사이 공간에 위치되게 설치된다.
승강 가이드(82)에는 토출구 유닛(80)의 승강 동작시 후술하는 고정 기어(87)를 따라 안내되는 안내홈부(83)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승강 가이드(82)는 캐비닛(20)과 상부 패널(52)의 사이 공간 중 상부에 위치되게 설치되고, 승강 가이드(82)에는 승강 가이드(82) 중 캐비닛(20)과 상부 패 널(52)의 사이 상측으로 돌출된 부분을 가리는 상부 장식부재(84)가 설치된다.
한편, 토출구 유닛(80)은 승강기구(85)에 의해 승강 동작되는 바, 승강기구(8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 모터(86)와, 승강 모터(86)에 연결되어 승강용 모터(86)의 구동에 따라 토출구 유닛(80)을 승강 동작시키는 동력 전달부(87)(88)를 포함한다.
토출구 유닛(80)은 승강 모터(86)가 토출구 유닛(80)에 장착되고, 동력 전달부가 본체(2)의 상부 특히 승강 가이드(82)에 위치 고정되게 구비됨과 아울러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랙으로 이루어진 고정 기어(87)와, 승강 모터(87)에 설치되고 승강 모터(86)의 구동시 고정 기어(87)를 따라 회전되면서 승강되는 피니언으로 이루어진 무빙 기어(88)를 포함한다.
토출구 유닛(80)은 승강 기구(85)에 의해 승강되고 공기 토출구(81)가 형성된 토출구 바디(210)와, 토출구 바디(210)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좌우 풍향을 조절하는 좌우 풍향조절 베인(230) 및 좌우 풍향조절 구동기구(260)로 이루어진 좌우 풍향조절기구(290)와, 토출구 바디(210)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좌우 풍향을 조절하는 상하 풍향조절 베인(300) 및 상하 풍향조절 구동기구(310)로 이루어진 상하 풍향조절기구(320)를 포함하고, 토출구 유닛(80)과 승강 가이드(82)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본체(2)에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공기 흡입부(4)와 좌측 공기 토출부(8)를 함께 여닫음과 아울러 공기를 안내하도록 본체(2)의 좌측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좌측 패널(90)과, 우측 공기 흡입부(6)와 우 측 공기 토출부(10)을 함께 여닫음과 아울러 공기를 안내하도록 본체(2)의 우측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우측 패널(100)을 포함한다.
좌,우측 패널(90)(100)은 하부가 공기 흡입부(4)(6)를 여닫음과 아울러 공기 흡입부(4)(6)로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흡입 도어 및 흡입 가이드의 역할을 하고, 상부가 공기 토출부(8)(10)를 여닫음과 아울러 공기 토출부(8)(10)로 토출된 공기를 안내하는 토출 도어 및 토출 가이드의 역할을 하며, 전체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긴 판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좌측 패널(90)은 본체(2)의 외부 특히 본체(2)의 좌측 위치에서 본체(2)의 내부에 위치되는 수직한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우측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전진되어 좌측 공기 흡입부(4)와 좌측 공기 토출부(8)를 모두 함께 덮는 것에 의해 좌측 공기 흡입부(4)와 좌측 공기 토출부(8)를 함께 닫고, 좌측 공기 흡입부(4)와 좌측 공기 토출부(8)를 모두 덮는 위치에서 본체(2)의 내부에 위치되는 수직한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좌측으로 회전되면서 후퇴되어 좌측 공기 흡입부(4)와 좌측 공기 토출부(8)를 함께 개방함과 아울러 흡입되는 공기와 토출되는 공기를 안내하도록 배치된다.
좌측 패널(90)은 닫힘되었을 때, 공기조화기의 전방부 좌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일종의 전방부 좌측면 패널로서, 좌측 하부 패널(30)의 좌측면과 상부 패널(50)의 좌측면을 모두 덮는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되고, 좌측 하부 패널(30)의 좌측면과 상부 패널(50)의 좌측면 옆에서 무빙 동작되면서 좌측 하부 패널(30)의 좌측면과 상부 패널(50)의 좌측면 전체를 여닫는다.
즉, 좌측 패널(90)은 좌측 공기 흡입구(31)의 하단과 좌측 공기 토출구(56)의 상단 사이의 거리 보다 높이가 더 높게 형성되고, 좌측 공기 흡입구(31)의 전후 폭 및 좌측 공기 토출구(56)의 전후 폭 보다 전후 폭이 길게 형성되며, 좌측 공기 흡입구(31) 및 좌측 공기 토출구(56)가 형성된 면 전체를 덮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좌측 패널(90)은 좌측 공기 토출부(8) 특히, 좌측 공간부(S1)와 대응되는 위치에 그 열림시 좌측 공기 토출부(8)를 통해 토출된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고, 그 닫힘시 좌측 공간부(S1)로 삽입되어 수납되는 좌측 토출 안내부(92)가 돌출되게 구비된다.
좌측 패널(90)에는 좌측 패널(90)의 열림시 좌측 공기 토출부(8)와 좌측 패널(90)의 선단 사이를 여닫음과 아울러 토출 공기를 안내하는 좌측 토출베인(94)과, 좌측 토출베인(94)을 구동시키는 좌측 토출베인 구동기구(95)가 설치된다.
우측 패널(100)은 본체(2)의 외부 특히 본체(2)의 전방부 우측 위치에서 본체(2)의 내부에 위치하는 수직한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좌측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전진되어 우측 공기 흡입부(6)와 우측 공기 토출부(10)를 모두 함께 덮는 것에 의해 우측 공기 흡입부(6)와 우측 공기 토출부(10)를 함께 닫고, 우측 공기 흡입부(6)와 우측 공기 토출부(10)를 덮는 위치에서 본체(2)의 내부에 위치하는 수직한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우측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후퇴되어 우측 공기 흡입부(6)와 우측 공기 토출부(10)를 함께 개방함과 아울러 흡입되는 공기와 토출되는 공기를 안내하도록 배치된다.
우측 패널(100)은 닫힘되었을 때, 공기조화기의 전방부 우측면 외관을 형성 하는 일종의 전방부 우측면 패널로서, 우측 하부 패널(40)의 우측면과 상부 패널(50)의 우측면을 모두 덮는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되고, 우측 하부 패널(40)의 우측면과 상부 패널(50)의 우측면 옆에서 회전 동작되면서 우측 하부 패널(30)의 우측면과 상부 패널(50)의 우측면 전체를 여닫는다.
즉, 우측 패널(100)은 우측 공기 흡입구(41)의 하단과 우측 공기 토출부(58)의 상단 사이의 거리 보다 높이가 더 높게 형성되고, 우측 공기 흡입구(41)의 전후 폭 및 우측 공기 토출구(58)의 전후 폭 보다 전후 폭이 길게 형성되며, 우측 공기 흡입구(41) 및 우측 공기 토출구(58)가 형성된 면 전체를 덮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우측 패널(100)은 우측 공기 토출부(10) 특히 우측 공간부(S2)와 대응되는 위치에 그 열림시 우측 공기 토출부(10)를 통해 토출된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고, 그 닫힘시 우측 공간부(S2)로 삽입되어 수납되는 우측 토출 안내부(102)가 돌출되게 구비된다.
우측 패널(100)에는 우측 패널(100)의 열림시 우측 공기 토출부(10)와 우측 패널(100)의 선단 사이를 여닫음과 아울러 토출 공기를 안내하는 우측 토출베인(104)과, 우측 토출베인(104)을 구동시키는 우측 토출베인 구동기구(105)가 설치된다.
본체(2)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패널(90)을 구동시키는 좌측 패널 구동기구(159)와, 우측 패널을 구동시키는 우측 패널 구동기구(160)가 설치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좌측 토출 안내부(92) 및 좌측 토출 베인(94)과 좌측 토출베인 구동기구(95)가 좌측 패널(90)의 내측면 즉, 우측면에 구비됨과 아울러 좌측 패널 구동기구(159)가 본체(2)의 좌측에 설치되고, 우측 토출 안내부(102) 및 우측 토출 베인(104)과 우측 토출베인 구동기구(105)가 우측 패널(100)의 내측면 즉, 좌측면에 구비됨과 아울러 우측 패널 구동기구(160)가 본체(2)의 우측에 설치되며, 좌측 패널(90)과 우측 패널(100)이 전체적으로 좌,우 대칭 구조로 이루어지고,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토출 안내부(102)와 토출 베인(104)과 토출베인 구동기구(105)와 패널 구동기구(160)로 칭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토출 안내부(102)는 공기 토출부(8)(10)를 통해 토출된 공기를 안내하는 것으로서, 좌,우측 패널(90)(100) 중에서 본체(2)를 향하는 면에 구비된다.
토출베인(104)과 토출베인 구동기구(105)는 토출 안내부(102)에 배치된다.
토출베인(104)은 공기 토출부(8)(10)와 좌,우측 패널(90)(100)의 선단 사이를 여닫도록 배치되어, 좌,우측 패널(90)(100)과 함께 공기를 다단으로 안내하는 것으로서, 판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상부와 하부에 회전축이 수직하게 형성된다.
토출베인(104)은 토출 안내부(102)의 상부와 하부 사이의 거리 보다 그 높이가 낮게 형성되고, 토출 안내부(102)의 선단과 좌,우 공기 토출부(8)(10)의 선단 즉, 전면 커버(70)의 측단 사이의 거리 보다 그 폭이 크거나 같게 형성된다.
토출베인 구동기구(105)는 토출베인(104)의 회전축에 연결된 토출 베인모터로 구성된다.
토출베인 구동기구(105)는 토출 안내부(102)의 상부와 하부 중 일측에 설치된다.
그리고, 토출베인(104)은 그 상부에 형성된 회전축과 그 하부에 형성된 회전축 중 어느 하나가 토출베인 구동기구(105)의 회전축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가 토출 안내부(102)에 형성된 회전축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참조 부호 52A,52B는, 좌,우측 패널(90)(100)의 닫힘시 좌,우측 토출베인(94)(104)의 일부가 삽입되어 수용되도록 상부 패널(50)의 전면부(52)의 좌,우 양측에 단턱지게 형성된 토출베인 수용홈부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패널 구동기구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패널 구동 기구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패널 구동기구(160)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 패널(90)(100)에 연결된 구동 링크(164)와, 구동 링크(164)를 회전시키는 링크 회전수단을 포함한다.
링크 회전수단은 본체(2)에 설치된 패널모터(161)와, 패널모터(161)에 연결되어 패널모터(161)의 구동력을 구동 링크(164)로 전달하는 동력 전달기구로 이루어진다.
패널모터(161)는 베이스(12)에 설치되는 바, 베이스(12)에는 패널모터(161)가 삽입되는 삽입부(13)가 형성된다.
패널모터(161)는 회전축(161a)이 베이스(12) 상면에 돌출되고, 몸체가 베이스(12)의 삽입부(13)에 매립식으로 삽입되게 장착되는 바, 삽입부(13)는 패널모터(161)의 몸체와 같은 형상이고 크기가 조금 크게 형성된 홈부로 이루어진다.
또한, 삽입부(13)의 주변 일측에는 패널모터(161)의 몸체에 연결된 리드 와이어(161b)가 위치되는 와이어 홈부(13a)가 형성된다.
동력 전달기구는 패널모터(161)에 연결된 구동 기어(162)와, 구동 기어(162)와 치합되고 구동 링크(164)에 형성된 종동 기어(163)를 포함한다.
구동 기어(162)는 패널모터(161)의 회전축(161a)에 회전 중심이 연결된다.
한편, 구동 링크(164)는 좌,우측 패널(90)(100)에 형성된 링크 연결부(139)에 연결되는 패널 연결부(166)와, 베이스(1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회전 중심이 되고 종동 기어(163)가 형성된 회전 연결부(167)와, 패널 연결부(166)와 회전 연결부(167) 사이에 형성된 절곡부(168)를 포함한다.
패널 연결부(166)에는 링크 연결부(139)에 형성된 체결보스(139a)와 대향되는 위치에 체결부재(139b)가 관통되는 체결공(166a)이 형성되어, 체결부재(139b)에 의해 좌,우측 패널(90)(100)의 링크 연결부에 연결된다.
회전 연결부(167)는 본체(2)의 하부인 베이스(1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구동 링크(164) 및 좌,우측 패널(90)(100)의 회전 중심이 된다.
구동 링크(164)와 베이스(12) 중 하나에는 회전축(164a)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회전축(164a)이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부(16)가 형성된다.
회전축(164a)은 지지부(16)에 직접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도 가능하나, 그 사이에 마모를 최소화하는 별도의 보스(164b)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구동 링크(164)와 베이스(12) 중 어느 하나에는 회전축(164a)이 형성되고, 회전축(164a)에는 보스(164b)가 씌워지며, 구동 링크(164)와 베이스(12) 중 다른 하나에는 보스(164b)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부(16)가 형성된다.
여기서, 회전축(164a)은 구동 링크(164)의 절곡부(168) 중 후방측에서 하측으로 수직하게 돌출되어 구동 링크(164)의 회전 연결부(167)를 구성한다.
한편, 본체(2)에는 구동 기어(162)와 종동 기어(163)를 덮어 구동 기어(162)와 종동 기어(163)를 보호하는 하우징(165)이 설치된다.
하우징(165)은 구동 기어(162)와 종동 기어(163)를 덮어 보호하는 일종의 기어 커버로서, 저면이 개방되고 상판부와 둘레부 중 둘레부의 일부에 구동 링크(164)가 통과되는 개구부(165a)가 개구 형성된다.
하우징(165)은 구동 링크(164)의 절곡부(168)가 개구부(165a)와 접촉되면서 통과되는 경우 구동 링크(164)의 회전을 안내하는 링크 가이드의 기능을 하게 된다.
한편, 하우징(165)은 베이스(12)에 체결부재(165b)로 체결되는 바, 하우징(165)에는 체결부재(165c)가 관통되는 체결부(165c)가 형성되고, 베이스(12)에는 하우징(165)의 체결부(165c)를 관통한 체결부재(165b)가 체결되는 체결공(15)이 형성된다.
하우징(165)은 구동 링크(164)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경우 구동 링크(164)의 회전을 안내함과 아울러 구동 링크(164)의 임의 탈거를 막는 일종의 링크 홀더로 기능할 수 있는 바, 구동 링크(164)와 하우징(165) 중 하나에는 회전축(164c)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회전축(164c)이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부(165d)가 형성된다.
회전축(164c)은 지지부(165d)에 직접 지지되는 것도 가능하나, 그 사이에 마모를 최소화하는 별도의 보스(164d)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구동 링크(164)와 하우징(165) 중 어느 하나에는 회전축(164c)이 형성되고, 회전축(164c)에는 보스(164d)가 씌워지며, 구동 링크(164)와 하우징(165) 중 다른 하나에는 보스(164d)가 지지되는 지지부(165d)가 형성된다.
여기서, 회전축(164c)은 구동 링크(164)의 절곡부(168) 중 후방측에서 상측으로 수직하게 돌출되어 구동 링크(164)의 회전 연결부(167)를 구성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토출구 유닛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토출구 유닛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승강 가이드(82)는 토출구 유닛(80)이 그 내부로 하강됨과 아울러 본체(2)의 상부로 송풍된 공기가 통과하도록 상면 및 하면이 개방되고 내부가 상하 방향으로 개방된 박스체로 이루어진다.
승강기구(85)는 복수 셋트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승강 모터(86)가 토출 구 유닛(80)의 좌,우 양측 하부에 각각 설치되며, 승강 모터(86)의 각각에는 무빙 기어(88)가 설치되고, 고정 기어(87)가 승강 가이드의 좌,우 양측에 각각 설치된다.
고정 기어(87)는 승강 가이드(82)의 내벽에 돌출되게 형성된 수용부(87A)와; 수용부(87A)에 슬라이딩 삽입되고 수용부(87A)와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되며 무빙 기어(88)가 치합되는 기어부(87B)를 포함한다.
토출구 바디(210)는 하부에 승강 모터(86)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모터 수용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모터 수용부와 함께 승강 모터(86)를 덮는 모터 커버(89)가 결합된다.
토출구 바디(210)는 본체(2)의 내측 상부로 송풍된 공기가 통과한 후 본체의 상측 전, 후, 좌, 우 중 적어도 한 방향으로 토출되게 하는 것으로서, 전방과 좌,우 양측 등의 여러 방향으로 분산 토출하는 유로 구조를 갖는 것도 가능하고, 전방 등의 한 방향으로 토출하는 유로 구조를 갖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전방 방향으로 토출하는 유로 구조를 갖는 것으로 설명한다.
토출구 바디(210)는 본체(2)의 내부에서 송풍된 공기가 밑에서 올라서 유동 방향이 전방 방향으로 꺽인 후 토출구 유닛(80)의 전방으로 토출되는 유로 구조를 가지는 바, 전체적으로 저면과 전면이 개방됨과 아울러 좌,우,후,상면이 막히고 저면과 전면의 사이에 공기가 통과하는 유로가 형성된다.
토출구 바디(210)는 밑에서 올라온 공기를 전방으로 유도하는 유로 가이드(211)가 내부의 후방측에 구비된다.
토출구 바디(210)는 본체(2)의 내측 특히, 승강 가이드(82)의 내부로 하강되었을 때, 본체(2)의 상면 특히, 승강 가이드(82)의 상면을 덮으면서 공기조화기의 상면부 외관을 형성하는 바, 그 상부에는 모터나 피시비 등의 각종 전장부품이 설치되는 전장부(212)가 상면이 개구되게 형성되고, 그 상면에는 전장부(212)의 상면을 덮으면서 공기조화기의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탑 커버(213)가 설치된다.
좌우 풍향조절 베인(220)(230)(240)(250)는 그 수직한 회전 중심이 토출구 바디(210)의 전,후,중앙부 중에서 대략 중앙부이나 후방부에 위치되게 설치된다.
좌우 풍향조절 베인(220)(230)(240)(250)는 토출구 바디(210)의 내부에 수직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좌후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토출구 바디(210)를 통과하는 공조 공기를 그 배치 방향으로 안내하는 것으로서, 공조 공기를 좌우 확산시키도록 복수개가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좌우 풍향조절 베인(220)(230)(240)(250)는 복수개 중 어느 하나(230)가 좌우 풍향조절 구동기구(260)에 의해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나머지(220)(240)(250)가 좌우 풍향조절 구동기구(260)에 의해 회전 동작되는 좌우 풍향조절 베인(230)에 연동되어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이하, 좌우 풍향조절 구동기구(260)에 의해 직접 회전되는 좌우 풍향조절 베인을 구동 풍향조절부재(230)라 칭하고, 구동 풍향조절부재(230)에 연동되어 회전되는 다른 좌우 풍향 풍향조절부재를 종동 풍향조절부재(220)(240)(250)로 설명한다.
여기서, 구동 풍향조절부재(230)는 상측에 좌우 풍향조절 구동기구(260)에 연결되는 회전축(232)이 구비되고, 하측에 후술하는 서포터(27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234)이 구비된다.
그리고, 종동 풍향조절부재(220)(240)(250)는 상측에 토출구 바디(2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222)(242)(252)이 구비되고, 하부에 서포터(27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224)(244)(254)이 구비된다.
여기서, 연동부재(264)는 구동 풍향조절부재(230)가 좌우 풍향조절 구동원(260)에 의해 회전될 때 종동 풍향조절부재(220)(240)(250)가 구동 풍향조절부재(230)와 함께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게 하는 일종의 연결 링크로서, 좌우 풍향조절 구동기구(260)와 함께 좌우 풍향조절기구(290)를 구성한다.
좌우 풍향조절 구동기구(260)는 전장부(212)에 설치된 좌우 풍향조절 모터로 이루어지고, 전장부(212)에 형성된 체결공을 갖는 체결보스(214)에 체결부재(262)로 체결되는 체결부(263)가 형성된다.
상하 풍향조절 베인(300)는 그 수평한 회전 중심이 토출구 바디(210)의 대략 전방부에 위치되게 설치된다.
상하 풍향조절 베인(300)은 좌우 풍향조절 베인과 같이 복수개의 조절부재가 구비됨과 아울러 복수개의 조절부재가 연동 부재에 의해 연동되는 것도 가능하고, 복수개의 상하 풍향조절부(301)(302)가 상하 이격되게 형성됨과 아울러 복수개의 상하 풍향조절부(301)(302)의 양측단에 좌,우측단부(303)(304)가 형성되어 복수개의 상하 풍향조절부(301)(302)와 좌,우 측단부 (303)(304)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상하 풍향조절 베인(300)은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바, 좌,우 중 일측에 회전축(305)이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하 풍향조절 구동기구(310)의 회전축과 연결되고, 좌,우 중 타측에 서포터(27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306)이 돌출되게 구비된다.
한편, 서포터(270)는 복수개 좌우 풍향조절 베인(220)(230)(240)(250)의 하부 회전축(224)(234)(244)(254)을 지지하는 레그(271)(272)(273)(274)가 복수개 형성된다.
서포터(270)는 토출구 바디(210)에 결합되는 결합부(280)를 포함하고, 결합부(280)는 토출구 바디(210)의 전면 하부에 좌우로 길게 형성된 체결부(219)에 체결된다.
결합부(280)는 토출구 바디(210)의 체결부(219)에 형성된 체결공(219a)과 대응되는 체결공(280a)이 형성되어, 토출구 바디(210)의 체결부(219) 체결공(219a)을 관통한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281)가 결합부(280)의 체결공(280a)에 결합된다.
상하 풍향조절 구동기구(310)는 서포터(210)에 설치된 상하 풍향조절 모터로서, 그 회전축(311)이 좌우 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상하 풍향조절 구동기구(310)인 상하 풍향조절 모터는 서포터(210)의 에 형성된 체결공을 갖는 체결보스(282a)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312)로 체결되는 체결부(313)가 형성된다.
참조 부호 285는 서포터(270)에 상하 풍향조절 베인(300)에 돌출된 회전축(305)과 상하 회전 기구(310)의 회전축(311) 중 적어도 하나가 관통되게 형성된 축 관통홀이다.
참조 부호 286은 서포터(270)에 상하 풍향조절 베인(300)에 돌출된 회전축(306)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 지지부이다.
참조 부호 215는 구동 풍향조절부재(230)의 상부 회전축(232)과 좌우 풍향조절 구동기구(260)인 좌우 풍향조절모터의 회전축(261) 중 적어도 하나가 관통되도록 토출구 바디(210)에 형성된 회전축 관통홀이다.
참조 부호 216,217,218은 종동 풍향조절부재(220)(240)(250)의 상부 회전축(222)(242)(252)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축 지지부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제어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의 운전/정지와 각종 운전 모드 등을 조작하는 조작부(400)와, 조작부(400)의 조작에 따라 팬모터(76)와, 승강기구(85)와, 좌측 패널 구동기구(159)와, 우측 패널 구동기구(160)와, 좌측 토출베인 구동기구(95)와, 우측 토출베인 구동기구(105)를 제어하는 제어부(410)를 더 포함한다.
제어부(410)는 공기조화기의 운전시, 냉방 운전과 난방 운전과 송풍 운전과 공기정화 운전 등의 운전 모드와 무관하게 팬모터(76)를 구동시키고, 승강기구(85)를 상승모드로 제어하며, 좌측 패널 구동기구(159)와 우측 패널 구동기구(160)를 개방 모드로 제어한다.
여기서, 공기정화 운전은 실내의 냉/난방 없이 공기만을 정화하는 단독 공 기정화 운전인 청정 운전으로서, 상기와 같은 단독 공기정화 운전을 공기정화 운전으로 칭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제어부(410)는 냉방 운전 또는 난방 운전 등의 공조 운전인 경우에는 좌측 토출베인 구동기구(95)와, 우측 토출베인 구동기구(105)를 개방 모드로 제어하고, 공기정화 운전인 경우에는 좌측 토출베인 구동기구(95)와, 우측 토출베인 구동기구(105)를 말폐 모드로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410)는 운전 정지시 팬모터(76)를 정지시키고, 승강기구(85)를 하강모드로 구동시키며, 좌측 패널 구동기구(159)와 우측 패널 구동기구(160)를 밀폐 모드로 제어하고, 좌측 토출베인 구동기구(95)와, 우측 토출베인 구동기구(105)를 말폐 모드로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가 설치된 실내의 오염도를 감지하도록 본체(2)에 설치된 오염도 센서(420)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410)는 오염도 센서(420)의 감지 결과에 따라, 팬모터(76)의 회전수와 토출구 유닛(80)의 상승 높이를 가변시킨다.
오염도 센서(420)는 공기조화기의 외부에 노출되게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공기조화기의 내부 예를 들면, 전면 패널(70)의 배면 등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410)는 오염도 센서(420)에서 감지된 실내의 오염도가 높으면, 팬모터(76)의 회전수를 높이고, 토출구 유닛(80)의 상승 높이가 높도록 승강기구(85)를 제어하고, 반대로 오염도 센서(420)에서 감지된 실내의 오염도가 낮으면, 팬모 터(76)의 회전수를 낮추고, 토출구 유닛(80)의 상승 높이가 낮도록 승강기구(85)를 제어한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일실시예의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 등이 조작부(400)를 조작하여 공기조화기의 운전모드를 입력하는 운전모드 입력단계(S1)와; 운전모드 입력단계(S1)에서 입력된 운전모드에 따라 공기조화기를 제어하는 운전단계(S2)(S3)(S4)(S5)(S6)(S7)를 포함한다.
제어부(410)는 조작부(400)를 통해 공기정화 운전이 조작되면, 공기조화기를 공기정화 모드로 제어하는 공기정화 운전단계를 실시한다.(S2)(S3)
제어부(410)는 공기정화 운전단계의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공기 흡입부(4)(6)를 통해 실내 공기를 흡입한 후 흡입된 공기를 토출구 유닛(80)을 통해서만 토출시키도록 송풍팬(77)을 회전시키고, 좌,우 공기 흡입부(4)(6)를 열고, 좌,우 공기 토출부(8)(10)를 닫으며, 토출구 유닛(80)을 상승시킨다.
즉, 제어부(410)는 공기정화 운전단계시 팬모터(76)를 구동시키고, 좌측 패널 구동기구(159)와 우측 패널 구동기구(160)를 개방 모드로 제어하며, 좌측 토출베인 구동기구(95)와 우측 토출베인 구동기구(105)를 밀폐 모드로 제어하고, 승강기구(85)를 상승모드로 제어한다.
상기와 같은 제어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패널(90)은 본체(2)의 중심으로 그 앞부분이 좌측으로 열리면서 좌측 공기 흡입부(4)와 좌측 공기 토출 부(8)를 동시에 함께 개방하고, 우측 패널(100)은 본체(2)의 중심으로 그 앞부분이 우측으로 열리면서 우측 공기 흡입부(6)와 좌측 공기 토출부(10)를 동시에 함께 개방하며, 좌측 토출베인(94)은 좌측 공기 토출부(8)와 좌측 패널(90)의 선단 사이를 막으면서 좌측 공기 토출부(8)를 닫고, 우측 토출베인(104)은 우측 공기 토출부(10)와 우측 패널(100)의 선단 사이를 막으면서 우측 공기 토출부(10)를 닫는다. 그리고, 토출구 유닛(80)은 본체(2)의 상측 위치로 노출되도록 승강기구(85)에 의해 상승되어 공기 토출구(81)가 외부로 노출된다.
그리고, 실내 공기는 좌,우 공기 흡입부(4)(6)를 통해 본체(2)의 좌,우 양측 하부로 신속하게 흡입되고, 좌,우 필터(32)(42)를 통과하면서 공기 중의 이물질이 필터링되고, 이후 적어도 하나의 정화유닛(79B)(79C)(79D)을 통과하면서 정화된다. 상기와 같이 정화된 공기는 송풍팬(77)으로 흡인되어 그 상측으로 송풍되고, 열교환기(75)를 열교환없이 통과하며, 토출구 유닛(80)을 통과하여 본체(2) 보다 높은 위치에서 토출구 유닛(80)의 전방으로 토출된다.
즉, 본체(2)의 내부에서 정화된 공기는 본체(2) 보다 높은 위치에서 전방의 한 방향으로만 집중 토출되고, 상기와 같이 집중 토출되는 정화된 공기는 좌,우 공기 토출부(8)(10) 및 토출구 유닛(80)의 세 방향으로 공기가 분산 토출되는 경우 보다 강하게 토출되므로 최대 토출 거리 즉, 정화된 공기가 최대로 도달되는 거리는 상대적으로 길게 된다. 그리고, 정화 공기가 본체(2)의 상면을 통해 상향 토출되는 경우 보다 다량의 정화 공기가 공기조화기의 전방으로 신속하게 공급되게 된다.
한편, 제어부(410)는 상기와 같은 공기정화 운전단계시, 상하 풍향조절 베인(300)을 상향 경사지게 회전시킨 후 고정한다.
즉, 제어부(410)는 상하 풍향조절 베인(300)이 소정 각도(예를 들면, 10°~20°) 상향 경사지게 회전되게 상하 풍향조절 구동기구(310)인 상하 풍향조절 모터를 구동시키고, 상하 풍향조절 베인(300)이 소정 각도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면, 상하 풍향조절 구동기구(310)인 상하 풍향조절 모터를 정지시킨다.
상기와 같은 상하 풍향조절 베인(300)의 경사 배치시, 토출구 유닛(80)을 통과하는 정화된 공기는 상향 경사지게 배치된 상하 풍향조절 베인(300)에 안내되어, 토출구 유닛(80)의 전방 상측 방향으로 토출되고, 정화된 공기는 상하 풍향조절 베인(300)이 수평하게 배치되는 경우 보다 최대 토출 거리가 길게 되며, 공기조화기가 설치된 실내는 그 전체가 신속하고 고르게 정화된다.
한편, 제어부(410)는 조작부(400)를 통해 냉방 운전 또는 난방 운전 등(이하, 냉/난방 운전이라 칭함)이 조작되면, 공기조화기를 냉/난방 운전 모드로 제어하는 냉/난방 운전단계를 실시한다.(S4)(S5)
제어부(410)는 냉/난방 운전단계의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공기 흡입부(4)(6)를 통해 실내 공기를 흡입한 후 흡입된 공기를 토출구 유닛(80) 뿐만 아니라 좌,우공기 토출부(8)(10)를 통해서 토출시키도록 송풍팬(77)을 회전시키고, 좌,우 공기 흡입부(4)(6)를 열고, 좌,우 공기 토출부(8)(10)를 열며, 토출구 유닛(80)을 상승시킨다.
즉, 제어부(410)는 냉/난방 운전단계시 팬모터(76)를 구동시키고, 좌측 패널 구동기구(159)와 우측 패널 구동기구(160)를 개방 모드로 제어하며, 좌측 토출베인 구동기구(95)와 우측 토출베인 구동기구(105)를 개방 모드로 제어하고, 승강기구(85)를 상승모드로 제어한다.
상기와 같은 제어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패널(90)은 본체(2)의 중심으로 그 앞부분이 좌측으로 열리면서 좌측 공기 흡입부(4)와 좌측 공기 토출부(8)를 동시에 함께 개방하고, 우측 패널(100)은 본체(2)의 중심으로 그 앞부분이 우측으로 열리면서 우측 공기 흡입부(6)와 좌측 공기 토출부(10)를 동시에 함께 개방하며, 좌측 토출베인(94)은 좌측 공기 토출부(8)와 좌측 패널(90)의 선단 사이를 개방하고, 우측 토출베인(104)은 우측 공기 토출부(10)와 우측 패널(100)의 선단 사이를 개방한다. 그리고, 토출구 유닛(80)은 본체(2)의 상측 위치로 노출되도록 승강기구(85)에 의해 상승되어 공기 토출구(81)가 외부로 노출된다.
그리고, 실내 공기는 좌,우 공기 흡입부(4)(6)를 통해 본체(2)의 좌,우 양측 하부로 신속하게 흡입되고, 좌,우 필터(32)(42)를 통과하면서 공기 중의 이물질이 필터링되고, 이후 적어도 하나의 정화유닛(79B)(79C)(79D)을 통과하면서 정화된다. 상기와 같이 정화된 공기는 송풍팬(77)으로 흡인되어 그 상측으로 송풍되고, 이후 열교환기(75)를 통과하면서 냉매와 열교환된다.
상기와 같이 열교환된 공기는, 일부가 좌,우 옆으로 분산되어 좌측 공기 토출부(8)와 우측 공기 토출부(10)를 통해 본체(2)의 좌,우 양측 상부로 토출되고, 나머지가 토출구 유닛(80)의 내부로 유동된다.
좌측 공기 토출부(8)로 토출된 공기는 좌측 공기 토출부(8)와 좌측 패널(90) 의 상부 사이를 통과하면서 좌측 토출베인(94) 및 좌측 패널(90)의 안내를 받고, 좌측 토출베인(94) 및 좌측 패널(90)이 안내하는 방향으로 토출된다.
그리고, 우측 공기 토출부(10)로 토출된 공기는 우측 공기 토출부(10)와 우측 패널(100)의 상부 사이를 통과하면서 우측 토출베인(104) 및 우측 패널(100)의 안내를 받고, 우측 토출베인(104) 및 우측 패널(100)이 안내하는 방향으로 토출된다.
그리고, 토출구 유닛(80)의 내부로 유동된 공기는 토출구 유닛(80)을 통과한 후, 토출구 유닛(80)의 전방으로 토출된다.
즉, 본체(2)의 내부에서 열교환된 공기는 본체의 상부 좌측 전방과, 상부 우측 전방과, 상측 전방의 세 방향으로 분산 토출되고, 공기조화기가 설치된 실내는 공기조화기의 상부 근접한 부분부터 빠르게 냉/난방된다.
한편, 제어부(410)는 조작부(400)를 통해 운전 정지가 조작되면, 공기조화기를 운전 정지 모드로 제어하는 운전 정지단계를 실시한다.(S6)(S7)
제어부(410)는 운전 정지단계의 경우, 송풍팬(77)을 정지시키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물질 등의 침투나 미관 향상 등을 위해 좌,우 공기 흡입부(4)(6)와 좌,우 공기 토출부(8)(10)를 닫고, 토출구 유닛(80)을 하강시킨다.
즉, 제어부(410)는 운전 정지 단계시 팬모터(76)를 정지시키고, 좌측 패널 구동기구(159)와 우측 패널 구동기구(160)를 밀폐 모드로 제어하며, 좌측 토출베인 구동기구(95)와 우측 토출베인 구동기구(105)를 밀폐 모드로 제어하고, 승강기구(85)를 하강모드로 제어한다.
상기와 같은 제어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패널(90)은 본체(2)의 중심으로 그 앞부분이 우측으로 닫혀지면서 좌측 공기 흡입부(4)와 좌측 공기 토출부(8)를 동시에 함께 닫고, 우측 패널(100)은 본체(2)의 중심으로 그 앞부분이 좌측으로 닫혀지면서 우측 공기 흡입부(6)와 좌측 공기 토출부(10)를 동시에 함께 닫으며, 좌측 토출베인(94)은 좌측 공기 토출부(8)와 좌측 패널(90)의 선단 사이를 막으면서 좌측 공기 토출부(8)를 닫는다.
그리고, 좌측 토출베인(94) 및 우측 토출베인(104)은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 공기 토출부(8)(10)와 좌,우측 패널(90)(100)의 사이 전방을 막는 위치에서, 공간부(S1)(S2)로 삽입되어 은닉된다.
그리고, 토출구 유닛(80)은 공기 토출구(81)가 본체(2)의 내측 위치로 은닉되도록 승강기구(85)에 의해 하강되고, 이때, 본체(2)의 상면에 형성된 상면 개구부(80a)를 덮으면서 본체(2)의 내측 상부에 배치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은, 공기조화기의 운전 정지 중에 공기정화 운전이 조작될 수 있고, 공기조화기의 냉/난방 운전 중에 공기정화 운전이 조작될 수 있는 바, 공기정화 운전의 조작 시점에, 공기조화기가 운전 정지 중이었으면,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구 유닛(80)을 상승시키고, 좌,우 패널(90)(100)을 개방시키고, 팬모터(76)를 구동시킨다.
또한, 공기정화 운전의 조작 시점에, 공기조화기가 냉/난방 운전 중이었으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공기 토출부(8)(10)를 닫도록 좌,우 토출베인 구동기구(95)(105)만을 밀폐 모드로 구동한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다른 실시예의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은, 조작부(400)를 통해 공기정화 운전이 조작되어 공기정화 운전단계가 실시되는 경우, 오염도 센서(420)가 실내 오염도를 감지한다.(S11)(S12)
제어부(410)는 오염도 센서(420)에서 감지된 실내 오염도에 따라 토출구 유닛(80)의 상승 높이와 송풍기 특히 팬모터(76)의 회전수를 결정한다.(S13)
제어부(410)는 오염도 센서(420)에서 감지된 실내 오염도를 적어도 3단계 이상으로 나누고, 각각의 오염도 별로 토출구 유닛(80)의 상승 높이와 송풍기 특히 팬모터(76)의 회전수를 테이블이나 수학식으로 결정하는 것도 가능하고, 감지된 실내 오염도에 비례하여 토출구 유닛(80)의 상승 높이와 송풍기 특히 팬모터(76)의 회전수를 결정하는 것도 가능하며, 감지된 실내 오염도가 설정 오염도 이상이면, 토출구 유닛(80)의 상승 높이를 최대 상승 높이로 함과 아울러 팬모터(76)의 회전수를 최대 회전수로 결정하고, 감지된 오염도가 설정 오염도 이하이면, 토출구 유닛(80)의 상승 높이를 최대 상승 높이 보다 낮은 설정 상승 높이로 함과 아울러 팬모터(76)의 회전수를 최대 회전수 보다 작은 설정 회전수로 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런 다음, 제어부(410)는 토출구 유닛(80)이 결정된 상승 높이로 상승되도록 승강기구(85)를 구동시키고, 팬모터(76)가 결정된 회전수로 구동되도록 팬모 터(76)를 구동시킨다.(S14)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설정 오염도에 따라 토출구 유닛(80)의 상승 높이와 팬모터(76)의 회전수를 2 단계로 조절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유닛의 상승 높이가 높고 송풍량이 많을 경우와, 토출구 유닛의 상승 높이가 낮고 송풍량이 적을 경우를 비교한 개략도이다.
제어부(410)는 감지된 실내 오염도가 설정 오염도 이상이면, 도 18에 도시된 (a)와 같이 토출구 유닛(80)의 상승 높이(H1)가 도 18에 도시된 (b)의 경우 보다 높도록 승강기구(85)를 구동시키고, 아울러 토출구 유닛(80)을 통해 토출되는 정화 공기의 양이 도 18에 도시된 (b)의 경우 보다 많도록 팬모터(76)의 회전수를 제어한다.
상기와 같은 제어시, 토출구 유닛(80)은 공기 토출구(81) 중 개방되는 면적 즉, 토출 면적이 도 18에 도시된 (b)의 경우 보다 크고, 본체(2)의 내부에서는 도 18에 도시된 (b)의 경우 보다 다량의 정화 공기가 송풍되며, 공기조화기는 다량의 정화 공기를 실내로 신속하게 토출한다.
반대로, 제어부(410)는 감지된 실내 오염도가 설정 오염도 미만이면, 도 18에 도시된 (b)와 같이 토출구 유닛(80)의 상승 높이(H2)가 도 18에 도시된 (a)의 경우 보다 낮도록 승강기구(85)를 구동시키고, 아울러 토출구 유닛(80)을 통해 토출되는 정화 공기의 양이 도 18에 도시된 (a)의 경우 보다 적도록 팬모터(76)의 회전수를 제어한다.
상기와 같은 제어시, 토출구 유닛(80)은 공기 토출구(81) 중 개방되는 면적 즉, 토출 면적이 도 18에 도시된 (a)의 경우 보다 작고, 본체(2)의 내부에서는 도 18에 도시된 (a)의 경우 보다 소량의 정화 공기가 송풍되며, 공기조화기는 도 18에 도시된 (a)의 경우 보다 적은 정화 공기를 실내로 토출한다.
상기와 같은 공기정화 운전시, 본체(2) 내부에서 발생된 소음(예를 들면, 팬소음이나 모터소음)은 토출구 유닛(80)의 공기 토출구(81)를 통해 외부로 전달되는데, 도 18에 도시된 (b)와 같이 팬모터(76)의 회전수가 낮은 경우, 팬모터(76) 및 송풍팬(77)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이 최소화될 수 있고, 토출구 유닛(80)의 상승 높이(H2)가 낮은 경우, 토출구 유닛(80)의 공기 토출구(81) 중 외부로 개방되는 면적이 작으므로, 발생된 소음이 공기 토출구(81)를 통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와 같이 승강기구(85)와 팬모터(76)의 구동시키는 도중에 공기조화기의 운전이 정지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일실시예와 같이 운전 정지 단계를 실시한다.(S15)
반면에, 상기와 같이 승강기구(85)와 팬모터(76)의 구동시키는 도중에 오염도 센서(420)에서 감지된 오염도가 변하면, 오염도에 따라 승강기구(85)와 팬모터(76)를 제어한다.(S12)(S13)(S14)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좌,우측 토출베 인(94)(104) 및 좌,우측 토출베인 구동기구(95)(105)가 좌,우측 패널(90)(100)에 설치되지 않고, 본체(2) 특히 상부 패널(50)에 설치되어, 좌,우측 토출베인(94)(104)이 좌,우측 공기 토출부(8)(10)를 직접 여닫는 것도 가능하고, 아울러 좌,우측 토출베인(94)(104)이 제어부(410)에 의해 제어되어 냉/난방 운전 모드시 좌,우측 공기 토출부(8)(10)를 개방하고 공기정화운전 모드시 좌,우측 공기 토출부(8)(10)를 밀폐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좌,우측 패널(90)(100)이 설치되지 않고, 좌,우 공기 흡입부(4)(6)가 그릴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어부(410)가 좌,우측 토출베인(94)(104)과 토출구 유닛(80)을 동작시키는 것에 의해 공기정화 운전과 냉/난방 운전과 운전 정지의 운전 모드를 전환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가 운전 정지일 때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가 냉방 운전 또는 난방 운전일 때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가 공기정화 운전일 때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하부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가 운전 정지일 때의 상부 평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가 냉방 운전 또는 난방 운전일 때의 상부 평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가 공기정화 운전일 때의 상부 평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패널 구동 기구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패널 구동 기구가 도시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토출구 유닛이 하강된 상태일 때의 종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토출구 유닛이 상승된 상태일 때의 종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토출구 유닛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토출구 유닛이 상승된 상태일 때의 정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제어 블록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일실시예의 순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다른 실시예의 순서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유닛의 상승 높이가 높고 송풍량이 많을 경우와, 토출구 유닛의 상승 높이가 낮고 송풍량이 적을 경우를 비교한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2: 베이스 4: 좌측 공기 흡입부
6: 우측 공기 흡입부 8: 좌측 공기 토출부
10: 우측 공기 토출부 12: 베이스
14: 경사부 20: 캐비닛
30: 좌측 하부 패널 40: 우측 하부 패널
50: 상부 패널 55: 좌측 경사부
56: 우측 경사부 60: 전면 커버
70: 전면 패널 80: 토출구 유닛
82: 승강 가이드 85: 승강기구
86: 승강 모터 90: 좌측 패널
94: 좌측 토출베인 95: 좌측 토출베인 구동기구
100: 우측 패널 102: 우측 토출 가이드
104: 우측 토출베인 105: 우측 토출베인 구동기구
159: 좌측 패널 구동기구 160: 우측 패널 구동 기구
161: 패널모터 210: 토출구 바디
290: 좌우 풍향조절기구 320: 상하 풍향조절기구
400: 조작부 410: 제어부
420: 오염도 센서

Claims (10)

  1. 하부에 공기 흡입부가 형성되고, 상부 좌,우 양측에 공기 토출부가 형성되며, 상면에 상면 개구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송풍기와;
    상기 본체의 좌측 공기 토출부를 여닫는 좌측 토출베인과;
    상기 좌측 토출베인을 구동시키는 좌측 토출베인 구동기구와;
    상기 본체의 우측 공기 토출부를 여닫는 우측 토출베인과;
    상기 우측 토출베인을 구동시키는 우측 토출베인 구동기구와;
    상기 상면 개구부를 통해 승강되게 배치되고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토출구 유닛과;
    상기 토출구 유닛을 승강시키는 승강기구와;
    공기정화 운전시, 상기 승강기구를 상승모드로 제어하고, 상기 좌측 토출베인 구동기구 및 우측 토출베인 구동기구를 밀폐모드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는 실내 오염도를 감지하는 오염도 센서와,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정화 운전시 상기 오염도 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토출구 유닛의 상승 높이를 가변시키는 공기조화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는 실내 오염도를 감지하는 오염도 센서와,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정화 운전시 상기 오염도 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송풍기의 회전수를 가변시키는 공기조화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좌,우 양측 하부에 상기 공기 흡입부가 형성된 공기조화기.
  5. 공기조화기의 운전모드를 입력하는 운전모드 입력단계와;
    상기 운전모드 입력단계에서 입력된 운전모드가 공기정화 운전이면, 상기 공기조화기의 좌,우 양측 상부에 형성된 좌,우 공기 토출부를 닫고, 상기 공기조화기에 승강되게 배치된 토출구 유닛을 상승시키는 공기정화 운전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정화 운전단계는 상기 토출구 유닛에 상하 회전되게 배치된 상하 풍향조절 베인을 상향 경사지게 회전시킨 후 고정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공기조화기의 운전 정지시 상기 좌,우 공기 토출부를 닫고 상기 토출구 유닛을 하강시키고,
    상기 공기조화기의 냉방 운전 또는 난방 운전시 상기 좌,우 공기 토출부를 열고 상기 토출구 유닛을 상승시키며,
    상기 공기조화기의 운전 정지 중 상기 공기정화 운전이 조작되면, 상기 토출구 유닛을 상승시키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공기조화기의 운전 정지시 상기 좌,우 공기 토출부를 닫고 상기 토출구 유닛을 하강시키고,
    상기 공기조화기의 냉방 운전 또는 난방 운전시 상기 좌,우 공기 토출부를 열고 상기 토출구 유닛을 상승시키며,
    상기 공기조화기의 냉방 운전 또는 난방 운전 중에 상기 공기정화 운전이 조작되면, 상기 좌,우 공기 토출부를 닫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정화 운전단계는 상기 공기조화기에 설치된 오염도 센서에서 감지된 오염도가 높으면, 상기 토출구 유닛의 상승 높이가 높게 토출구 유닛을 상승시 키고,
    상기 오염도 센서에서 감지된 오염도가 낮으면 상기 토출구 유닛의 상승 높이가 상기 오염도가 높을 경우 보다 낮게 토출구 유닛을 상승시키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정화 운전단계는 상기 오염도 센서에서 감지된 오염도가 높으면 상기 본체에 설치된 송풍기의 회전수를 높게 상기 송풍기를 제어하고,
    상기 오염도 센서에서 감지된 오염도가 낮으면 상기 송풍기의 회전수가 상기 오염도가 높을 경우 보다 낮게 상기 송풍기를 제어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KR20080023951A 2008-02-29 2008-03-14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4875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23951A KR101487531B1 (ko) 2008-03-14 2008-03-14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CN2008100983888A CN101520222B (zh) 2008-02-29 2008-05-30 空调机的运转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23951A KR101487531B1 (ko) 2008-03-14 2008-03-14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8514A true KR20090098514A (ko) 2009-09-17
KR101487531B1 KR101487531B1 (ko) 2015-01-28

Family

ID=41357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23951A KR101487531B1 (ko) 2008-02-29 2008-03-14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7531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44937A (zh) * 2010-10-07 2012-05-09 Lg电子株式会社 空调机
KR20170077663A (ko) * 2015-12-28 2017-07-06 코웨이 주식회사 공기 조화 시스템
KR20190132858A (ko) * 2018-05-21 2019-11-29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KR20200001061A (ko) 2018-06-26 2020-01-06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EP3835671A1 (en) * 2019-12-10 2021-06-16 LG Electronics Inc. Air management apparatus or device
EP3835673A1 (en) * 2019-12-10 2021-06-16 LG Electronics Inc. Air management apparatus or device
CN114413397A (zh) * 2016-08-19 2022-04-29 三星电子株式会社 空气净化器
US11566796B2 (en) 2019-12-10 2023-01-31 Lg Electronics Inc. Air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953B1 (ko) * 2003-09-30 2008-1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050090512A (ko) * 2004-03-08 2005-09-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와 그 제어방법
KR100728336B1 (ko) * 2005-11-01 2007-06-1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에어컨의 보조 토출구 제어 장치 및 방법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44937A (zh) * 2010-10-07 2012-05-09 Lg电子株式会社 空调机
KR20170077663A (ko) * 2015-12-28 2017-07-06 코웨이 주식회사 공기 조화 시스템
CN114413397A (zh) * 2016-08-19 2022-04-29 三星电子株式会社 空气净化器
US11872513B2 (en) 2016-08-19 2024-01-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leaner
KR20190132858A (ko) * 2018-05-21 2019-11-29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KR20200001061A (ko) 2018-06-26 2020-01-06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KR20230098509A (ko) 2018-06-26 2023-07-04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EP3835673A1 (en) * 2019-12-10 2021-06-16 LG Electronics Inc. Air management apparatus or device
US11566796B2 (en) 2019-12-10 2023-01-31 Lg Electronics Inc. Air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US11774113B2 (en) 2019-12-10 2023-10-03 Lg Electronics Inc. Air management apparatus or device
US11796190B2 (en) 2019-12-10 2023-10-24 Lg Electronics Inc. Air management apparatus or device
US11852360B2 (en) 2019-12-10 2023-12-26 Lg Electronics Inc. Air management apparatus or device
EP3835671A1 (en) * 2019-12-10 2021-06-16 LG Electronics Inc. Air management apparatus or device
US11906176B2 (en) 2019-12-10 2024-02-20 Lg Electronics Inc. Air management apparatus or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7531B1 (ko) 2015-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98514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090043232A (ko) 공기조화기
KR101507163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20100073626A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20090043227A (ko) 공기조화기
KR20110018739A (ko) 멀티 토출형 공기조화기
KR101466299B1 (ko) 공기조화기
KR100909244B1 (ko) 공기조화기
KR101318354B1 (ko) 공기조화기
KR20100025357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 방법
KR101991955B1 (ko) 공기 조화기
KR20090093600A (ko)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KR101444361B1 (ko) 공기조화기
KR101345265B1 (ko) 공기조화기
KR20090042524A (ko) 공기조화기
KR101611313B1 (ko) 공기조화기
KR20100050311A (ko) 공기조화기
KR100947612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090044258A (ko) 공기조화기
KR20090042523A (ko) 공기조화기
KR101582240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 방법
KR20090017290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80027679A (ko) 공기조화기
KR20060128765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80027810A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