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8270A - Rfid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Rfid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8270A
KR20090098270A KR1020080023530A KR20080023530A KR20090098270A KR 20090098270 A KR20090098270 A KR 20090098270A KR 1020080023530 A KR1020080023530 A KR 1020080023530A KR 20080023530 A KR20080023530 A KR 20080023530A KR 20090098270 A KR20090098270 A KR 200900982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tag
remote control
information
user inte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3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7856B1 (ko
Inventor
김선욱
조경진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23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7856B1/ko
Publication of KR20090098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82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7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78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06K19/0725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the arrangement being a circuit for emulating a plurality of record carriers, e.g. a single RFID tag capable of representing itself to a reader as a cloud of RFID ta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23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reader and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selectively switching between reader and record carrier appearance, e.g. in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devices where the NFC device may function as an RFID reader or as an RFID ta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 H04Q2209/47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using RFID associated with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원격 제어 대상을 범용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제어권에 대한 설정이나 인증이 가능하도록 한 RFID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하여 제어 대상에 고유정보와 제어 대상 정보 및 원격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코드에 대한 정보를 구비한 태그를 부착하고, 리더기를 구비한 원격 제어기가 해당 태그 정보를 획득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코드를 통해 원격 제어가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하나 이상의 인증 과정을 통해서 제어권에 대한 단계적 설정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과도한 노력이나 조작 없이도 범용적인 제어성과 무효한 사용자의 제어권을 제한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RFID, 무선 주파수 식별, 태그, 원격 제어, 인증, 제어권

Description

RFID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RFID remote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무선 주파수 식별(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이하 RFID 라 칭함)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양한 원격 제어 대상을 범용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제어권에 대한 설정이나 인증이 가능하도록 한 RFID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어 대상을 가시적으로 확인하면서 무선 방식으로 원격 조정하는 리모트 콘트롤 방식은 좁은 의미로는 전파를 이용한 자동제어를 의미하는데, 영국의 E.윌슨이 1897년 배의 무선 제어에 관한 특허를 얻은 것에서 비롯되어 현재는 제어 대상의 정보와 제어 명령에 의해 행해지는 다양한 무선 제어를 원격 무선 제어로 통칭하고 있다.
이러한 무선 방식의 원격 제어의 전달 매개체로는 전파와 빛을 비롯하여 음파, 초음파, 자력선등이 폭넓게 사용되며, 신호를 이러한 매개체에 싣는 방식은 다 향한 통신 변조 방식이 고려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가전제품이나 산업용 제품들에 대한 근거리(약 10m 이내) 원격 제어 방식은 빛을 이용하는 적외선 무선 통신 방식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고, 좀더 먼 거리까지 제어 대상을 제어하고자 할 경우나 제어 대상을 직접 마주 볼 수 없는 경우 전파를 이용하는 RF 방식이 사용되고 있으며, 음파, 초음파 또는 자력선 등과 같은 기타 매개체를 이용하는 방식은 특수한 용도에서만 활용되고 있다.
현재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원격 제어 방식은 적외선 통신 방식을 이용한 방식으로 특정한 표준 없이 업계에서 자체적인 프로토콜에 따라 사용하고 있으며 통칭 CIR(Consumer IR)이라 칭해진다.
이러한 CIR의 특성은 수많은 유사 제어 신호들과 혼선 없이 원격 제어 대상과 원격 제어기 사이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각 제조사에서 저마다 상이한 프로토콜과 전송 코드를 사용하여 해당 제어 시스템을 그 종류별로 특화시킨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이한 회사의 TV들은 각각 다른 종류의 프로토콜이나 명령어 코드를 가지는 원격 제어기(일명, 리모콘)를 함께 생산하는데, 상이한 회사들의 TV 사이에는 호환성이 없고, 동일한 회사 TV의 경우 모델이나 종류가 틀리더라도 동일한 리모콘에 의해 제어되기도 한다. 즉, 수많은 제조사들의 제품들은 서로 다른 통신 방식을 이용하며 표준 역시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통신 방식을 범용적으로 지원하는 제어기를 구성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으며, 동일한 제조사의 동일 종류 제품을 인접 위치에 배치하는 경우에는 리모콘에 의해 복수 제품이 동시에 제어되어 오히려 원하는 제어가 불가능해 지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최근 TV,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DVD 재생기 등), 오디오, 에어컨, 셋톱 박스, 선풍기, 냉난방 장치, 전등 등과 같은 각종 생활 가전들 전반에 대한 원격 제어 기능이 기본적으로 부가되고 있고, 다른 제조사의 제품들 간은 리모콘의 호환도 불가능하므로 리모콘의 수가 급격히 증가하여 오히려 사용이 불편해지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리모콘을 통합하여 단일화하고자 하는 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나 이러한 요구를 반영할 수 있는 효과적인 대안은 미흡한 실정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제어 대상과 리모콘의 예를 보인 것으로, 제어 대상(1)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리모콘(2)은 복수의 기능들을 지시하기 위한 버튼들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버튼들과 제어 대상(1)의 제어 기능들은 설계시 고유하게 설정되기 때문에 독립적 특성이 강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별 제어 시스템 구성의 고유성과 독립성은 제조사별로 상이한 프로토콜이나 코드 체계와 함께 범용화를 어렵게 만드는 주요 원인이 된다.
도 2 및 도 3은 종래의 범용 리모콘을 보인 것으로, 복수의 제어 대상을 제어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기 위해서, 도 2와 같이 복수 제조사의 유사 제어 대상 제어 신호를 한번에 전송하거나, 도 3과 같이 별도로 얻은 특정 제어 대상의 신호를 선택하여 전송하거나 혹은 소정의 리모콘 신호를 학습하여 이를 통해 특정 제어 대상을 대신 제어하도록 하는 방식이 적용된다.
도 2는 소위 '만능 리모콘'이라 불리는 범용 TV 리모콘(3)으로, 대표적인 가 전 제품 제조사들의 TV 제어 신호를 한꺼번에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해당 리모콘(3)이 a, b, c의 서로 다른 제조사 TV에 대한 신호를 제공할 경우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제어 기능인 전원, 채널 증감, 음량 증감, 숫자, 무음 등의 기본 기능 키들을 구성하고, 특정 키를 누를 경우 해당 키에 대응하는 a, b c 사의 TV 제어 신호를 순차적으로 전송한다. 즉, 별도의 설정이나 조정 등이 필요없이 복수 제조사의 TV를 제어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 전력 소모가 커질 수밖에 없고, 기 설정된 제조사 외의 제품은 제어할 수 없으며, 특정한 제품에 특화되어 추가된 기능들은 제어가 불가능하여 제어 대상의 기능을 모두 활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편, 복수의 제어 대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후 제어 대상을 변경하면서 제어해 보도록 한 후 정확히 제어되는 경우 해당 설정을 기억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제어 대상을 검출하도록 하는 방식도 사용되고 있으나, 이 경우에도 제어 대상은 기 설정된 제어 대상으로 한정되며 제어 대상이 변경될 경우마다 동일 설정 과정을 반복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도 3은 '학습' 또는 데이터의 '획득'을 기반으로 임의의 제어 대상에 대한 제어 신호 생성 정보를 얻어, 이를 근거로 제어하는 경우를 보인 것으로, 도시된 범용 리모콘(4)은 도시한 바와 같은 리모콘 형태를 가질 수도 있고, 이동통신 단말기나 전용 휴대용 단말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즉, 전문적으로 다양한 제어 수단에 적용하기 위해 제조된 리모콘이거나, 이동통신 단말기/게임기/개인 정보 단말(PDA) 등과 같이 활용도가 높은 기기에 리모콘 기능이 부가된 경우로 나뉘어질 수 있다. 먼저, 다양한 제어 수단에 적용하기 위해 제조된 리모콘의 경우 많은 경 우의 수를 대비하기 위해서 대단히 많은 키들을 구비하게 되지만, 실제 사용 가능한 키는 제어 대상에 따라 달라져 제어 대상에 따른 기능키를 정확하게 구별하기 어렵다. 또한, 학습 방식을 적용할 경우 범용 리모콘(4)에서 특정한 키를 눌러 등록할 키를 설정한 후 해당 기능에 대한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실제 전용 리모콘(5)의 대응 키를 눌러 상기 범용 리모콘(4)이 전용 리모콘(5)의 신호를 분석하여 저장하는 방식의 등록 과정을 거쳐야만 하기 때문에 단순히 리모콘을 일부 통합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효과가 한정된다. 즉, 등록 과정이 복잡하고 키 대응을 제어 대상마다 기억하기 어려우며 전용 리모콘(5)이 필수적으로 필요하다는 단점을 가진다.
이러한 단점은 학습 방식을 이용할 경우 활용도가 높은 이동통신 단말기/게임기/개인 정보 단말 등의 기기에 적용된 리모콘 기능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만일 인터넷 등의 통신을 이용하여 필요한 제어 대상에 대한 제어 신호 및 인터페이스 정보를 획득하여 사용하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역시 제어 대상에 따라 다르게 제공되도록 할 경우에는 비교적 범용적인 제어가 가능할 수 있으나, 제어를 위해서 사용자가 수동으로 인터넷 등의 원격망에 접속하여 제어 대상에 관한 정보(제품의 모델명)를 검색한 후 정확한 제어 관련 정보를 다운로드하여 리모콘 기능에 적용해야 한다. 따라서, 복수의 제어 대상에 대한 제어 기능이 설정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수동 과정이 필수적이기 때문에 조작에 능하지 않은 사용자(예를 들어 노약자나 지체 부자유자)의 경우에는 실제 활용이 어렵다.
결과적으로, 현재까지 등장한 범용 리모콘의 경우 복수의 제어 대상에 대한 제어를 통합하기 위해서 기 설정된 제어 대상에 대한 제어만 가능하도록 하거나, 기존 전용 리모콘을 복잡한 학습 과정을 통해서 등록해야만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거나, 혹은 통신망을 이용하여 제어 대상에 대한 정보를 다운로드해야만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등 제어 대상이 제한되거나 복잡한 설정 과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간단한 조작을 통해 누구나(노약자나 지체 부자유자 등을 포함) 폭넓은 제어 대상에 대한 제어 기능을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통합 제어 시스템을 원하는 시장의 요구에 부응하기에는 미흡한 실정이다. 한편, 최근에는 다양한 제어 대상에 대한 선별적인 제어가 요구됨에 따라 제어 권한에 대한 인증이나 등급에 대한 필요성도 제기되어 왔으나, 기존의 일방적인 제어 기능만 수행하는 리모콘의 경우 별도의 제어권 설정이 존재하지 않아 제어권을 가진 사람의 제어를 부당하게 침해할 수 있는 우려가 있다. 예를 들어, 병원이나 은행, 대기소 등의 TV는 관리자만 제어할 수 있어야 하지만, 범용 리모콘을 가진 사용자가 임의로 해당 TV를 조작할 수도 있어 관리가 어려워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고, 어린 아이들이 냉난방 기기를 임의적으로 조작할 수도 있어 불필요한 냉난방이 가동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 등 제어권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으나 기존의 리모콘의 경우 이러한 제어권에 대한 설정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 외에도, 이러한 통합적인 범용 리모콘에 대한 제한에 의해 각 제어 대상 기기는 개별적인 전용 리모콘과 함께 판매되고 있어 제품마다 전용 리모콘에 대한 비용이 추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기존의 범용 원격 제어 시스템의 제한을 해결하기 위해 새롭게 제안하는 본 발명 실시예들의 목적은 무선 주파수 식별(이하, RFID) 방식을 이용하여 태그가 부착된 제어 대상으로부터 개별적인 제어 관련 정보를 범용 리모콘 기능을 수행하는 원격 제어기가 수집하여 자동으로 사용 가능한 제어 대상에 대한 정보와 제어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별도의 사용자 노력 없이도 임의의 제어 대상에 대한 정확한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 RFID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 실시예들의 다른 목적은 제어 대상에 고유정보와 제어 대상 정보 및 원격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코드에 대한 정보를 구비한 태그를 부착하고, 리더기를 구비한 원격 제어기가 해당 태그 정보를 획득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코드를 통해 원격 제어가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하나 이상의 인증 과정을 통해서 제어권에 대한 단계적 설정이 가능하도록 한 RFID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 실시예들의 또 다른 목적은 태그를 구비한 제어 대상의 태그 고유 정보와, 패스워드와, 제어 대상에 대한 인증 코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다양한 방식으로 획득하여 제어권을 위한 단계적 인증에 사용하도록 한 RFID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 실시예들의 또 다른 목적은 제어 대상에 태그를 부착하고 상기 태그 가 원격 제어를 위한 도움말을 제공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제어 대상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한 RFID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 실시예들의 또 다른 목적은 제어 대상에 태그를 부착하고 상기 태그가 원격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코드를 이식성 코드로서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해당 코드를 실행하여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하여 데이터를 크기를 줄이고 제어 신호 및 인증 과정에 대한 보안성을 높이도록 한 RFID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ID 원격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고 정보를 표시하는 인터페이스 수단을 구비한 원격 제어 단말기를 통해 제어 대상 기기를 원격 제어하는 원격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고유번호와 제어 대상 기기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코드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를 구비하여 요청시 송신하고,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따른 제어 명령을 상기 제어 대상 기기로 전달하는 태그와; 상기 태그에 상기 제어 정보를 요청 및 수신하여 해당 정보를 근거로 상기 제어 대상 기기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입력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코드를 근거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태그로 전송하는 원격 제어 단말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원격 제어 단말기는 상기 태그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RFID 리더기와, 상 기 RFID 리더기를 통해 수신된 제어 정보로부터 사용자 인터페이스 코드를 제어 정보 목록으로 관리하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코드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조작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코드를 이용하여 생성한 제어 신호를 상기 RFID 리더기를 통해 송출하도록 하는 원격 제어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코드는 이식성 코드이며, 상기 원격 제어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코드를 실행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원격 제어 단말기는 상기 RFID 리더기와 상기 원격 제어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RFID 원격 제어 방법은, 제어 대상 기기에 대한 제어 정보를 구비하며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상기 제어 대상 기기에 전달하는 태그를 상기 제어 대상 기기에 설치하는 설치 단계와; 리더기를 구비한 원격 제어기가 상기 태그를 검색하여 상기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인식 단계와; 상기 원격 제어기가 상기 수신된 제어 정보를 제어 정보 목록에 등록한 후 상기 제어 정보를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조작과 상기 제어 정보를 근거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태그에 전송하는 제어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설치 단계에서, 상기 제어 정보는 태그의 고유 정보, 상기 제어 대상 정보,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고 그 조작에 따라 제어 명령을 제공하는 이식성 코드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코드를 실행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조작에 따른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ID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은 RFID 태그가 부착된 제어 대상으로부터 개별적인 제어 관련 정보를 범용 리모콘 기능을 수행하는 원격 제어기가 수집하여 자동적으로 사용 가능한 제어 대상에 대한 정보와 제어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별도의 사용자 노력 없이도 임의의 제어 대상에 특화된 최적의 제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ID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은 제어 대상에 고유정보와 제어 대상 정보 및 원격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코드에 대한 정보를 구비한 태그를 부착하고, 리더기를 구비한 원격 제어기가 해당 태그 정보를 획득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코드를 통해 원격 제어가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하나 이상의 인증 과정을 통해서 제어권에 대한 단계적 설정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과도한 노력이나 조작 없이도 범용적인 제어성과 무효한 사용자의 제어권을 제한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ID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은 태그를 구비한 제어 대상의 태그 고유 정보와, 패스워드와, 제어 대상에 대한 인증 코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다양한 방식으로 획득하여 제어권을 위한 단계적 인증에 사용하도 록 함으로써, 보안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단계적인 제어권에 의해 제어 가능 정도를 달리하도록 하여 다양한 사용자 군에 적합한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ID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은 제어 대상에 태그를 부착하고 상기 태그가 원격 제어를 위한 도움말을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제어 대상이나 제어 기능에 대한 사전 지식이 없더라도 편리하고 안전한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ID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은 제어 대상에 태그를 부착하고 상기 태그가 원격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코드를 이식성이 있는 실행 코드로서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해당 코드를 실행하여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하여 데이터를 크기를 줄이고 제어 신호 및 인증 과정에 대한 보안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들과 실시예들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것으로, 무선 주파수 식별(이하, RFID) 기술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임의의 제어 대상에 대한 제어 기능을 쉽게 획득할 수 있도록 한 원격 제어 시스템의 개념적 블록도이다.
일반적으로 RFID 기술은 자동화 데이터 수집 장치(Automatic Data Collection)의 한 분야로서 태그(Tag)(혹은 트랜스폰더(Transponder))라 불리는 외부 신호에 감응하여 자동으로 신호를 다시 보내는 송수신기와 리더를 기본적인 구성으로 하며, 개체를 식별하거나 정보를 송수신하는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기본적으로 RFID 기술은 사물의 식별 코드, 정보 등을 태그에 저장하고 리더의 요청에 의하거나 또는 상황에 따라 외부로 자신의 정보를 전송하는 기술로서, 안테나 및 무선 신호 처리, 칩기술, 박막형 배터리, 패키징 기술 및 칩을 줄이는 기술 등이 포함된다. RFID 기술은 기본적으로 사물을 저렴하게 식별하기 위한 바코드 대용 기술로 등장하여 그 범위를 확장해 온 것이기 때문에 가능한 저렴한 태그를 적용하여 다양한 사물에 대한 물류 처리를 신속하게 수행하도록 하는 방향과, 간단한 정보의 비접촉 교환을 통해 전자 결재나 개인 정보 전달을 효과적으로 처리하도록 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태그에 전원을 적용할 경우 능동 태그로 분류되어 상대적으로 긴 비접촉통신 거리와 높은 통신 속도를 제공하고 대용량 정보의 전송도 가능한 장점이 있어 이러한 능동 태그를 활용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비록 초기에는 다른 종류의 근거리 RF 통신 방식(지그비, 블루투스 등)에 비해 식별력이 낮고, 통신 거리가 짧으며, 전원 소모도 큰 단점이 있었으나, 최근에는 이러한 단점을 대부분 극복하였기 때문에, 본 실시예와 같은 특수한 용도에 RFID 기술을 적용할 경우 기존의 어떠한 통신 방식보다도 효율성이 높다.
특히 최근에는 복수 태그들에 대한 선택적 통신과 보안성 및 호환성을 확보하기 위한 새로운 표준인 Gen2 규격이 발표되고, 이를 ISO 18000규격으로 표준화 하면서 범용적인 태그와 리더의 활용이 가능해졌고, 통신 기술의 개선에 따라 리더기는 10~12m 에서도 수동, 반능동, 능동 태그에 대한 통신이 가능하게 되었을 뿐만아니라 리더와 태그 크기를 소형화하는 데도 성공함에 따라, 본 실시예와 같이 범용 원격 제어에 RFID 기술을 적용할 수 있게 되었다. 여기서, 리더의 경우 다양한 휴대 단말(이동통신 단말기, 개인 정보 단말기(PDA), 게임기, 멀티미디어 재생기 등)에 내외장 될 수 있을 정도의 소형으로서 12m 정도의 통신 거리를 확보한 고성능 원칩형 리더의 개발도 완료된 상태이므로, 이러한 기술적 기반에 의해서 본 실시예의 적용은 기술적으로도 얼마든지 가능하며, 점차 그 크기와 통신 거리 및 비용은 더욱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
도 4의 원격 제어 단말기(10)는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들이기 위한 입력 수단과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표시 수단을 구비한 휴대 단말(이동통신 단말기, 개인 정보 단말기(PDA), 게임기, 멀티미디어 재생기 등)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RFID 리더기(11)와 상기 휴대 단말기의 기본 기능에 부가되어 원격 제어를 위한 기능을 수행하는 원격 제어 인터페이스부(15)를 구비한다. 상기 전자 기기(20)는 제어 대상 기기를 의미하며, 내부적으로 해당 전자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기기 제어부(27)가 존재하고, 상기 전자기기 제어부(27)에 제어 명령을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RFID 태그(25)가 존재한다.
상기 RFID 태그(25)는 태그의 고유번호와 상기 전자기기 정보 및 제어 대상 기기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코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코드는 상기 전자기기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설정 정 보와 상기 인터페이스 조작에 따라 제공한 제어 신호의 생성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소정 포맷 형태의 단순한(예를 들어 단순 텍스트) 데이터일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이식성 코드일 수 있으며, 이를 실행하는 것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거나, 구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조작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바 바이트 코드 등으로 작성될 수 있다. 이렇게 이식성 코드로 구성할 경우 크기가 줄어들 수 있고, 단순 데이터 나열에 비해 보안성이 높아질 수 있으며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제공이 가능하다.
한편, 편의를 위해서 상기 태그(25) 내에 원격 제어 명령에 대한 도움말 정보를 더 포함하도록 하여, 상기 원격 제어 단말기(10)를 통해 해당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용이한 원격 제어가 가능해 질 수 있다.
상기 원격 제어 단말기(10) 내부의 RFID 리더기(11)는 내장 혹은 외장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태그(25)와 통신하여 상기 전자기기 정보, 사용자 인터페이스 코드, 원격 제어 명령 도움말, RFID 태그 고유 번호 등과 같은 제어 정보를 수신하여 원격 제어 인터페이스부(15)에 제공한다. 상기 원격 제어 인터페이스부(15)는 상기 RFID 리더기(11)를 통해 수신된 제어 정보로부터 사용자 인터페이스 코드를 제어 정보 목록으로 관리하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코드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조작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코드를 이용하여 생성한 제어 신호를 상기 RFID 리더기(11)에 제공하여 상기 태그(25)로 송출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 정보 목록은 등록된 태그를 관리하기 위한 수단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서 최초 등록시에는 상기 제어 정보를 모두 수신하여 목록에 등록하고, 후속 사용시에는 상기 RFID 태그 고유 번호를 근거로 등록된 정보를 선택하여 재등록 없이도 사용할 수 있다. 물론, 태그의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에는 이러한 등록 과정이 다시 수행될 수도 있기 때문에 버전 정보를 이용하여 이러한 변경 여부를 관리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원격 제어 단말기(10)의 사용자는 상기 원격 제어 인터페이스부(15)를 통해서 현재 제어 정보 목록을 통해 선택된 태그에 대해 패스워드를 등록해 둘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태그(25)에 대한 제어권을 가지는 경우 사용자는 다른 사용자에 대한 제어권을 제한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작하여 특정한 패스워드를 설정한 후 이를 제어신호로서 상기 태그(25)에 제공하면, 상기 태그(25)는 상기 제어 신호를 분석하여 포함된 패스워드를 설정한다.
이후, 상기 태그(25)는 상기 원격 제어 단말기(10)와 다시 통신할 경우 자신의 고유 번호와 함께 패스워드 정보를 제어 정보로서 전달하고, 상기 원격 제어 단말기(10)는 상기 태그에 설정된 패스워드를 사용자에게 문의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패스워드가 태그에 설정된 패스워드와 같을 경우 제어권을 인정하여 상기 제어 정보 목록에 포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코드를 실행할 수 있다. 물론, 해당 태그가 등록되지 않은 원격 제어 단말기(10)와 최초로 통신하는 경우에도 상기와 같은 패스워드 인증이 우선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패스워드 인증을 통과한 경우 제어 정보가 원격 제어 인터페이스(15)에 등록될 수 있다.
도 5는 상기 도 4의 기본적인 구성을 가지는 원격 제어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보인 순서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원격 제어 단말기를 구비한 사용자가 태그 를 구비한 전자기기가 존재하는 영역으로 진입하여 통신 범위 내의 전자기기를 검색하면, 해당 범위 내의 전자기기에 구비된 태그가 제어 정보를 전달하게 된다. 해당 제어 정보에 패스워드가 설정되어 있을 경우 패스워드 인증을 수행하게 되고 패스워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다면 패스워드 인증은 생략될 수 있다.
상기 RFID 태그로부터 얻은 제어 정보에 포함된 고유 번호를 근거로 제어 정보 목록을 검색해 본 결과 해당 태그가 등록되어 있지 않다면 RFID 태그로부터 전체 제어 정보 데이터를 획득하여 제어 정보 목록을 작성한다. 상기 제어 정보 목록은 태그 고유 번호와 전자기기 정보 및 그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코드를 항목으로 가지는 것으로, 사용자에게는 전자기기 정보가 제공되어 원하는 제어 대상 전자 기기를 선택하기 위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코드가 이식성 코드인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코드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실행 가능한 코드로 이식한 후 이를 등록하며, 상기 제어 정보에 포함된 원격 제어 명령 도움말(즉, 제어 메뉴얼)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부에 맞추어 가공한 후 필요 시 외부에 표시한다.
이러한 일련의 등록 과정이 완료되면 사용자의 제어를 대기하게 되고,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소정 기능을 선택하여 제어 명령을 내리면 등록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코드를 실행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태그로 송신한다. 이러한 과정은 사용자가 제어를 완료할 때까지 반복되며, 필요한 경우 제어 명령의 일종으로 패스워드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전체 과정은 원격 제어 단말기가 태그를 인식할 때마다 반복될 수 있으며, 전체 제어 정보 전달을 반복하지 않기 위해서 상기 RFID 태그 정보 중 일부(예를 들어, 태그 고유 번호)를 통해 기 등록된 태그인 것을 확인하면 상기 제어 정보 목록 작성이나 코드 이식 및 등록, 제어 메뉴얼 가공 등과 같은 작업은 생략하고, 기 등록된 제어 정보 목록에서 현재 검색된 태그에 대응하는 항목을 찾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의 원격 제어 시스템을 이용할 경우, 임의의 공간에 진입하면 제어권을 가질 수 있는 다양한 태그로부터 제어 정보가 제공되고 이를 기반으로 해당 공간에 대한 각종 전자 기기들에 대한 제어 정보 목록이 새롭게 구성되며, 이를 통해 해당 공간에 존재하는 각종 전자 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후, 기존에 방문했던 공간으로 진입하면 기존에 등록된 제어 정보 목록에서 검색된 태그들을 구비한 전자 기기들이 자동 선택되어 해당 공간에 존재하는 각종 전자 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어 정보 목록은 공간별로 편집될 수 있어 관리 용이성을 높일 수 있고, 자주 방문하지 않는 공간에 존재하는 제어 정보 목록은 선택적으로 삭제될 수 있다. 한편, 각 전자 기기는 고유한 번호를 가지는 태그를 통해 제어 되기 때문에 동일 제조사의 유사 제품이라 할지라도 각 제품을 구별하여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앞서 설명한 단순한 원격 제어 시스템의 제어권을 더욱 다양한 방법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을 보이는 것으로, 도시한 구성에서는 복수의 추가적인 제어권 설정 방식을 지원하는 구성이 포함되었으나, 이들 중 일부만 포함될 수도 있다는 것에 주의한다.
먼저, 원격 제어 단말기(100)는 RFID 리더기(110)를 구비하고, 원격 제어 인터페이스(130)를 구비하여, 전자기기(200)에 구비된 태그(210)로부터 제공되는 제어 정보로부터 원격 제어 명령 도움말(211), RFID 태그 고유 번호(212), 전자 기기 정보(213)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코드(214)를 획득하여 제어 정보 목록(131) 및 메뉴얼/제품정보(즉, 도움말 제공부(132))로 등록 관리한다.
이때, 임의의 사용자가 상기 전자기기(200)를 자신의 원격 제어 단말기에 등록하여 사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앞서 설명한 패스워드 설정에 의한 인증 보다 더 강력한 인증 수단을 부가할 수 있다.
우선,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 제어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외부 네트워크(150)에서 인증 코드를 획득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이렇게 외부로부터 얻어진 인증 코드는 상기 원격 제어 인터페이스부(130)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코드를 실행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할 경우 상기 제어 신호에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인증 코드가 포함된 제어 신호를 수신한 태그(210)는 해당 인증 코드가 기 설정된 인증 코드 혹은 인증 코드 규칙에 대응될 경우에만 제어 신호를 제어 명령으로 변환하여 상기 전자기기 제어부(220)에 전달한다.
상기 인증 코드는 상기 태그(210)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포함된 전자기기 정보와 RFID 태그 고유번호를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외부 네트워크(150)로부터 얻어질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코드의 일부 혹은 전부를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얻을 수도 있다. 상기 원격 제어 인터페이스부(130)는 상기 원격 제어 단말기(100)의 외부통신 기능에 요청하여 상기와 같은 인증 코드나 사용자 인터페이 스 코드의 일부 혹은 전부를 얻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외부 네트워크(150)는 알려진 바와 같은 인터넷, 지역망, 무선 데이터망, 근거리 직접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상기 외부 네트워크(150) 대신 인증 번호를 직접 수동 입력하거나 상기 원격 제어 단말기(100)에 설치된 각종 데이터 획득 수단(즉, 메모리 슬롯, USB 단자 등과 같은 로컬 접속을 통한 데이터 전달 수단)을 통해서 얻어질 수도 있어, 실질적으로는 상기 인증 코드를 권한을 가지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면, 상기 인증 코드를 제어 정보에 포함시키는 것을 통해서 권한을 가진 사용자만 제어권을 가질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상기 인증 코드를 이용하여 특정한 권한을 가진 사용자만 사용할 수 있는 특수한 제어 신호를 구별하여 선별 실행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내부 설정을 변경하거나 패스워드를 설정하거나 개인 정보를 등록하는 등의 보안이 필요하거나 정확한 설정이 필요한 제어의 경우 해당 제어에 대한 권한을 가진 사용자만 상기 인증 코드를 이용하여 전자기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전체 관리자, 시스템 관리자, 서비스 기사, 개발자 등과 같은 특수한 권한을 가진 사용자만 접근할 수 있는 제어에 상기 인증 코드를 이용할 수 있고, 그 외의 제어는 일반 사용자도 인증 코드 없이 이용하도록 시스템을 구성할 수도 있다.
도 8은 상기 인증 코드를 이용한 제어 방식의 기본적인 동작 과정을 보인 순서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원격 제어 단말기가 외부 네트워크에 전자기기 정보와 RFID 태그 고유번호를 이용하여 제어를 인증받아 인증 코드를 수신한다. 이후 제어 신호 송출 시 상기 수신된 인증 코드를 제어 신호에 포함시켜 송출한다.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한 태그는 상기 제어 신호에서 인증 코드 여부를 확인하여 인증 코드가 유효한 것일 때만 제어 명령을 수행한다.
이러한 동작 순서는 앞서 설명한 다양한 변형 가능성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는 것에 주의한다.
한편, 다시 도 6의 구성을 보면, 상기 인증 코드를 이용하는 방식 외에도 다른 종류의 인증 방식을 이용하기 위해 제어권 등록 처리부(120)를 더 구성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임의의 사용자가 임의의 전자기기를 마음대로 등록하여 제어할 수 있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RFID 태그 고유번호(212)를 기반으로 하는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앞서 설명한 패스워드 설정에 의한 인증은 초기 등록시 패스워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며, 패스워드를 등록하지 않을 경우 패스워드 인증이 실행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애초에 인증된 사용자만 제어권을 획득할 수 있도록 RFID 태그 고유번호(212)를 이용한 인증 수단인 제어권 등록 처리부(120)를 더 구성함으로써, 최초 사용시 제어권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구성을 도 9의 기본적인 동작 방식의 순서도를 통해 함께 살펴보면, 우선 원격 제어 단말기(100)가 전자 기기(200)를 검색하여 태그(210)를 발견하면 태그의 고유 번호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를 획득한다. 이는 자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원격 제어 단말기(100)가 태그(210)에 고유 번호를 요청할 수도 있다.
이후, 상기 원격 제어 단말기(100)는 사용자에게 태그 고유 번호 입력을 요청하며, 사용자는 상기 전자 기기(200) 획득시 함께 알려주는(예를 들어 구매시 제 공) 태그 고유 번호를 입력한다. 상기 입력된 태그 고유 번호와 상기 태그(210)로부터 수신한 태그 고유 번호가 일치할 경우 해당 태그를 상기 원격 제어 인터페이스부(130)에 등록한다.
즉, 유효한 사용자가 아닌 경우 태그 고유 번호를 알 수 없기 때문에 등록이 불가능하게 됨으로써, 유효한 사용자만 사용 권한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후 이러한 권한을 가진 사용자가 상기 태그 고유 번호를 이용한 인증 과정의 추가 수행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이러한 고유번호에 대한 인증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는 태그에 저장되게 된다.
도 7은 태그에 저장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코드의 구성 방식에 대한 변형 예를 보인 것으로, 사용자의 인증에 따른 권한 설정이나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서 전자 기기에 대한 제어 수준을 달리할 수 있도록 할 경우의 코드 구성 방식이다.
즉, 단일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코드를 제공하는 대신 사용자의 선택이나 권한에 의해서 제어 가능한 범위를 달리하거나, 인터페이스 제공 방식을 달리하는 등 각각 복수의 코드들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코드를 분할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코드를 복수로 구분하여 일반 사용자나 제어권이 낮은 사용자에게는 '코드 0'만 제공하고, 제어권이 높거나 조작에 익숙한 사용자에게는 '코드 0'+'코드 3'을 제공하거나 혹은 '코드 3'을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구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코드에 따라 원격 제어 명령 도움말 역시 구분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 인증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 코드를 선택적으로 원격 제어 단말기에 제공하는 태그를 구성하거나, 인증에 따라 원격 제어 단말기가 수신된 사 용자 인터페이스 코드 중 일부를 선택적으로 실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을 통해 노약자나 조작이 서툰 사람에게는 간단한 핵심 제어만 가능하도록 한 간편 원격 제어 인터페이스가 제공되고, 서비스 센터 직원이나 통합 관리자 등에게는 전자 기기의 내부 파라메터를 재 설정할 수 있는 수준의 제어가 가능한 원격 제어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0은 상기 언급한 복수의 인증 방식을 적용한 경우의 동작 과정을 보인 순서도로서, 기본적인 동작 과정을 기준으로 구성한 것이기 때문에 도시되지 않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할 수 있음에 주의한다.
먼저, 원격 제어 단말기를 구비한 사용자가 소정의 범위에 존재하는 전자 기기를 검색한다. 이 경우 검색되는 태그들을 자신의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를 전송한다. 즉, RFID의 특징에 의해서 원격 제어 단말기는 인식 범위 내의 태그들을 자동으로 인식할 수 있고, 필요 시 해당 태그에 대응하는 전자 기기를 원격 제어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태그에 패스워드가 설정되어 있을 경우 사용자에게 패스워드 입력을 요청하게 되며, 입력한 패스워드에 의한 인증이 이루어진 경우에만 상기 태그로부터 실질적인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인증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후속 작업이 진행되지 않는다.
상기 패스워드 인증이 완료되거나 혹은 패스워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을 경우라면 상기 태그로부터 제어 정보를 수신하여 제어 정보 목록을 작성한다. 상기 제어 정보 목록은 검색되는 태그들에 대한 초기 등록으로, 사용자가 현재 검출되는 태그들(즉, 전자 기기)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며 후속하여 실제 등록될 태그들의 기본적인 인덱스를 설정하는 과정일 수 있다. 혹은 기존에 등록된 태그의 존재를 파악하는 과정일 수 있다.
이후, 적용되는 제어권 관리 방법에 따라 제어권 인증을 하지 않는 경우(A), 외부로부터 수신한 인증 코드를 통해 제어권을 확보하는 경우(B) 및 태그 고유 번호를 통한 인증 후 태그를 등록하는 경우(C)로 나뉘어질 수 있다.
상기 제어권 인증을 하지 않는 경우로는 B, C와 같은 인증 과정이 없거나 혹은 이전에 이미 등록이 완료된 것임을 확인한 경우가 될 수 있다. 만일, 이전에 인증되어 등록된 후 제어 정보에 변화가 없는 경우라면 도시된 바와 달리 곧바로 사용자 제어 명령을 대기하는 상태로 진행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권 관리 방법이 B 방법인 경우 원격제어 단말기는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원격 제어 단말기를 인증받는다. 상기 인증은 원격 제어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가 네트워크 접근을 위한 고유 번호를 입력하거나 원격 제어 단말기 자체의 고유 번호를 제공하는 등 다양한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원격 제어 단말기 자체의 인증이 완료되면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인증 코드를 상기 태그 고유 번호와 전자 기기 정보를 근거로 획득한 후 해당 인증 코드를 제어 신호에 포함시킨다.
만일 제어권 관리 방법이 C 방법인 경우 원격제어 단말기는 RFID 태그 고유번호를 사용자에게 문의하여, 사용자가 입력하는 RFID 태그 고유번호를 실제 RFID 태그로부터 수신한 고유번호와 비교하여 인증을 실시하며, 인증되는 경우 전자기기 목록을 등록한다.
상기와 같은 A, B, C 방법에 의한 인증이 이루어지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코드를 원격 제어 단말기에 맞추어 이식하고 해당 이식된 코드를 등록한다. 그리고,원격 제어명령 도움말 등을 해당 원격 제어 단말기의 물리적 인터페이스에 맞추어 가공하여 제어 메뉴얼을 만든 후 이를 표시한다. 이러한 과정은 이미 등록된 태그에 대해서는 생략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제어 명령 전달 요청이 있을 경우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등록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코드를 실행하여 생성한 후 태그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B 방법에 의해 등록된 경우 상기 제어 신호에는 인증 코드가 포함되게 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한 태그는 상기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연결된 전자 기기 제어부에 전달한다.
한편, 추가적으로 상기 태그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코드 대신, 혹은 추가로 소정의 실행 코드를 원격 제어 단말기에 전달할 수 있고, 상기 원격 제어 단말기는 해당 실행 코드를 수신하여 실행하는 것으로 원격 제어에 필요한 소정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수신되는 제어 정보에는 소정의 실행 코드가 포함되어 원격 제어 단말기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실행 코드는 반드시 제어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일 수 있고, 인증에 관련된 작업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고, 제어권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으며, 특정한 제어 정보를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는 등, RFID 원격 제어 시스템의 기능을 구현하는 소정 기능을 위한 코드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첨부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원격 제어 시스템의 기본 구성도.
도 2는 범용 원격 제어기의 동작 개념도.
도 3은 범용 원격 제어기의 학습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시스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시스템의 동작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라 인증 수단들이 더 부가된 원격 제어 시스템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코드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인증 코드 활용 방식의 인증 과정을 보인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태그 고유번호를 이용하는 방식의 인증 과정을 보인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보인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원격 제어 단말기 110: RFID 리더기
120: 제어권 등록 처리부 130: 원격 제어 인터페이스부
150: 외부 네트워크 200: 전자 기기
210: 태그 220: 전자기기 제어부

Claims (22)

  1.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고 정보를 표시하는 인터페이스 수단을 구비한 원격 제어 단말기를 통해 제어 대상 기기를 원격 제어하는 원격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고유번호와 제어 대상 기기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코드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를 구비하여 요청시 송신하고,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따른 제어 명령을 상기 제어 대상 기기로 전달하는 태그와;
    상기 태그에 상기 제어 정보를 요청 및 수신하여 해당 정보를 근거로 상기 제어 대상 기기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입력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코드를 근거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태그로 전송하는 원격 제어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원격 제어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 단말기는
    상기 태그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RFID 리더기와;
    상기 RFID 리더기를 통해 수신된 제어 정보로부터 사용자 인터페이스 코드를 제어 정보 목록으로 관리하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코드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조작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코드를 이용하여 생성한 제어 신호를 상기 RFID 리더기를 통해 송출하도록 하는 원격 제어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원격 제어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코드는 이식성 코드이며, 상기 원격 제어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코드를 실행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원격 제어 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코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설정 정보와 제어 신호의 생성 정보가 소정의 포맷에 따라 기재된 정보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원격 제어 시스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 단말기는 상기 RFID 리더기와 상기 원격 제어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범용 휴대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원격 제어 시스템.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는 원격제어명령에 관한 도움말을 제어 정보로 더 구비하며,
    상기 원격 제어 인터페이스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조작 신호에 따라 상기 원격제어 명령에 관한 도움말을 제공하는 도움말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원격 제어 시스템.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 단말기는
    상기 원격 제어 인터페이스부에 태그 정보 입력을 요구하고, 상기 원격 제어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얻어진 태그 정보와 상기 RFID 리더기를 통해 수신된 태그의 고유 정보를 비교하여 같을 경우 제어권을 등록하는 제어권 등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원격 제어 시스템.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제어 대상 기기에 대한 인증 코드를 수신하여 상기 송출되는 제어 신호에 상기 인증 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원격 제어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 인터페이스부는 외부 통신망 접속을 통해 상기 제어 대상 기기에 대한 인증 코드를 수신하는 통신망 접속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원격 제어 시스템.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대상 기기에 대한 인증 코드는 외부 통신망 접속,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입력, 로컬 접속을 통한 데이터 전달을 통해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원격 제어 시스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코드를 복수의 수준으로 구분하여 구비하며,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인증 수준이나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상기 태그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코드를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원격 제어 시스템.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코드를 복수의 수준으로 구분하여 구비하며, 상기 원격 제어 단말기의 제어 권한이나 제어 신호를 통한 사용자 선택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 코드를 선택적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원격 제어 시스템.
  13. 실행 코드를 구비하여 요청시 전송하는 RFID 태그와;
    내장 혹은 외장된 RFID 리더기를 통해 상기 RFID 태그에 요청하여 수신한 실행 코드를 실행하는 원격 제어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원격 제어 시스템.
  14. 제어 대상 기기에 대한 제어 정보를 구비하며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상기 제어 대상 기기에 전달하는 태그를 상기 제어 대상 기기에 설치하는 설치 단계와;
    리더기를 구비한 원격 제어기가 상기 태그를 검색하여 상기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인식 단계와;
    상기 원격 제어기가 상기 수신된 제어 정보를 제어 정보 목록에 등록한 후 상기 제어 정보를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조작과 상기 제어 정보를 근거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태그에 전송하는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원격 제어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 단계에서,
    상기 제어 정보는 태그의 고유 정보, 상기 제어 대상 정보,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고 그 조작에 따라 제어 명령을 제공하는 이식성 코드인 사용 자 인터페이스 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원격 제어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코드를 실행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조작에 따른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원격 제어 방법.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기는 상기 인식 단계에서 얻은 제어 정보를 상기 제어 정보 목록과 비교하여 등록 여부를 파악하며, 등록되지 않은 경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인증을 수행하여 인증되는 경우에만 등록하여 상기 제어 단계가 진행되도록 하는 인증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원격 제어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은 상기 태그의 고유 정보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원격 제어 방법.
  19.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기가 상기 제어 대상 기기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외부 통신망을 통해 인증 코드를 획득하는 인증 코드 획득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인증 코드를 상기 제어 신호에 포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한 태그가 상기 제어 신호에 포함된 인증 코드가 유효한 경우에만 해당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상기 제어 대상에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0.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태그에 제어권 획득을 위한 패스워드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인식 단계는 상기 태그에 설정된 패스워드를 이용한 인증 과정을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원격 제어 방법.
  21.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 단계는 상기 제어 대상 기기에 대한 제어 정보를 제어 수준별로 구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원격 제어기가 획득한 인증 코드의 수준에 따라 상기 태그가 제공하는 제어 정보의 제어 수준을 결정하는 권한 설정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원격 제어 방법.
  22.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 단계는 원격 제어기가 인식범위 내의 제어 대상 기기를 자동으로 인식하고 해당 인식된 정보를 상기 원격 제어기를 통해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원격 제어 방법.
KR1020080023530A 2008-03-13 2008-03-13 Rfid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09578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3530A KR100957856B1 (ko) 2008-03-13 2008-03-13 Rfid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3530A KR100957856B1 (ko) 2008-03-13 2008-03-13 Rfid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8270A true KR20090098270A (ko) 2009-09-17
KR100957856B1 KR100957856B1 (ko) 2010-05-14

Family

ID=41357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3530A KR100957856B1 (ko) 2008-03-13 2008-03-13 Rfid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785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28674A1 (zh) * 2015-08-18 2017-02-23 华为技术有限公司 可视化远程控制可触控设备的方法、系统和相关设备
KR102138775B1 (ko) * 2019-10-30 2020-07-29 주식회사 마이폰키 Nfc 기능을 포함하지 않는 장치를 위한 nfc 기반 원격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30090086A (ko) * 2021-12-14 2023-06-21 안희철 무선태그 기반의 사물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3725A (ko) * 2001-10-24 2003-05-01 주식회사 매지넷 인터넷을 이용한 통합 리모콘 구현 장치 및 방법
KR20060099989A (ko) * 2005-03-15 2006-09-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장치 자동 인식형 통합 리모콘 장치와 그 제어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28674A1 (zh) * 2015-08-18 2017-02-23 华为技术有限公司 可视化远程控制可触控设备的方法、系统和相关设备
KR102138775B1 (ko) * 2019-10-30 2020-07-29 주식회사 마이폰키 Nfc 기능을 포함하지 않는 장치를 위한 nfc 기반 원격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WO2021085952A1 (ko) * 2019-10-30 2021-05-06 주식회사 마이폰키 Nfc 기능을 포함하지 않는 장치를 위한 nfc 기반 원격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30090086A (ko) * 2021-12-14 2023-06-21 안희철 무선태그 기반의 사물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7856B1 (ko) 2010-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00327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sion of appliance control functionality to a smart device
US6791467B1 (en) Adaptive remote controller
US9143933B2 (en) Communication device that receives external device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device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US8692655B2 (en) Dynamically programmable RFID transponder
KR101871512B1 (ko) 자가 설치 m2m 플랫폼 장치 및 m2m 서비스 제공 방법
US20030163542A1 (en) Remote control signals updated and stored via network
KR101288879B1 (ko) 개인 기반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8886774B2 (en)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setting method, and program
US2013006753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KR101542744B1 (ko) 네트워크에서 피제어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
CN104504314B (zh) 访问控制系统
EP2015274A1 (en) A system and related method for appliance control
KR101395289B1 (ko) 인터넷을 통한 원격제어가 가능한 스마트 기기의 서버 인증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인증장치
KR100957856B1 (ko) Rfid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2009288859A (ja) 家電認識システム
KR20150038849A (ko) 근거리 무선 모듈을 이용한 가전 장치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 및 네크워크 연결 시스템
KR100980581B1 (ko) 휴대폰을 이용한 사용자 인지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방법
KR100619745B1 (ko) 로봇 청소기를 이용한 원격 가전 제어시스템 및 방법
KR20170057487A (ko) 모바일 리모컨 시스템을 이용한 제어장치의 상태 인식 방법 및 상태 인식 장치
KR100847787B1 (ko) 알에프아이디 리더(또는 단말)를 인증하는 보안알에프아이디 태그와 알에프아이디 리더(또는 단말) 인증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100675843B1 (ko) 무선인식(reid) 태그를 이용한 사용자 정보 원격 관리장치 및 방법
KR100748406B1 (ko) 리모컨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리모컨 신호 설정방법 및 장치
JP2009260523A (ja) 制御システム、制御装置、管理装置、制御方法、管理方法、制御プログラム、管理プログラ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20060127575A (ko) 홈네트워크 제어 장치
KR10254938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제품 등록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