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8138A -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위치 정보를 태깅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위치 정보를 태깅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8138A
KR20090098138A KR1020080023340A KR20080023340A KR20090098138A KR 20090098138 A KR20090098138 A KR 20090098138A KR 1020080023340 A KR1020080023340 A KR 1020080023340A KR 20080023340 A KR20080023340 A KR 20080023340A KR 20090098138 A KR20090098138 A KR 200900981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ion information
multimedia data
pixel
data
form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3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7581B1 (ko
Inventor
김재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와일드퓨전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와일드퓨전소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와일드퓨전소프트
Priority to KR1020080023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7581B1/ko
Publication of KR20090098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81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7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75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14Determining absolute distances from a plurality of spaced points of known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위치 정보를 태깅하는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표준화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부호화 및 복호화 과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헤더 영역이 아닌 데이터 영역에 위치 정보를 삽입하고, 이를 추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치 정보를 이용하기 위해서 별도의 전자 기기를 구매할 필요 없이, 간단하게 본 발명의 위치 정보 태깅 방법을 실행시키는 소프트웨어를 일반적으로 보급된 전자기기에 소프트웨어를 설치하는 것만으로 자유롭게 위치 정보를 멀티미디어 정보에 삽입하고 이를 추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위치 정보를 태깅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tagging location data into multimedia data}
본 발명은 위치 정보 태깅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동형 휴대 단말기에서 생성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위치 정보를 태깅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인터넷이나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LBS 기반의 서비스가 다양하게 선보이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LBS 기반의 서비스들은 이동통신 단말기가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위치 정보를 결합하여 전송하였다.
예컨대, 사용자가 길을 지나다가 화재 현장을 발견하고, 화재 현장을 사진으로 촬영하여 소방 당국이나 방송사등으로 위치 정보를 첨부하여 전송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식은 사용자 단말이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위치 정보 데이터를 결합하여 전송하는데,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대부분 국제 표준을 따르므로, 위치 정보를 결합하는 경우에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비트스트림의 헤더 정보 등이 변경되어, 위치 정보가 결합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한 수신 단말은 일반 적인 멀티미디어 복호화 방식이 아닌 새로운 복호화 방식에 따라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복호화하여야 한다.
따라서, 종래의 LBS 기반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위치 정보가 결합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 등은 일반적으로 보급된 멀티미디어 기기로 구현되기 어렵고, 이러한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별도의 전자 기기를 구매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고, 이로 인해서 서비스 자체가 활성화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표준화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기본 포맷을 변형시키지 않고, 소프트웨어적 처리만으로 위치 정보를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태깅하여 이용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위치정보 태깅 장치는, 자신의 위치를 측정하여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위치 측정부;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포맷을 분석하는 포맷 분석부;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포맷에 따라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분석하여 위치 정보를 삽입할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데이터 영역 비트열의 위치를 선정하는 데이터 분석부; 및 위치 정보를 데이터 분석부가 선정한 비트열의 위치에 삽입하는 위치 정보 태깅부를 포함한다.
또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포맷이 정지영상인 경우에, 데이터 분석부는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일정수의 바이트 단위로 압축된 비트열 중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은 필드를 위치 정보 삽입 위치로 선정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포맷이 정지영상인 경우에, 데이터 분석부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픽셀 어레이에서, 인접한 픽셀들과의 픽셀값의 차가 사전에 설정된 값보다 작은 픽셀을 위치 정보 삽입 위치로 선정하고, 위치 정보 태깅부는 선정된 픽셀의 픽셀값을 제거하고 위치 정보를 삽입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포맷이 정지영상인 경우에, 데이터 분석부는 멀 티미디어 데이터의 픽셀 어레이에서, 사전에 정의된 픽셀을 위치 정보 삽입 위치로 선정하고, 위치 정보 태깅부는 선정된 픽셀의 픽셀값을 제거하고 위치 정보를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포맷이 동영상인 경우에, 데이터 분석부는 동영상을 구성하는 기본 프레임과 예측 프레임들 중 사전에 정의된 순서의 예측 프레임에서 사전에 정의된 영역을 위치 정보 삽입 위치로 선정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처리 장치는, 위치 정보가 삽입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포맷을 분석하는 태깅 알고리즘 분석부; 및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포맷에 따라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비트열 중 데이터 영역에 삽입된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위치 정보 추출부를 포함한다.
또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포맷이 정지영상인 경우에, 위치 정보 추출부는 일정수의 바이트 단위로 압축된 비트열 중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은 필드로부터 위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포맷이 정지영상인 경우에, 위치 정보 추출부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픽셀 어레이에서, 인접한 픽셀들과의 픽셀값의 차가 사전에 정의된 값보다 큰 픽셀의 픽셀값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추출하고, 픽셀의 픽셀값을 인접한 픽셀들의 픽셀값을 이용하여 보간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포맷이 정지영상인 경우에, 위치 정보 추출부는 사전에 정의된 픽셀의 픽셀값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추출하고, 픽셀의 픽셀값을 인 접한 픽셀들의 픽셀값을 이용하여 보간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포맷이 동영상인 경우에, 위치 정보 추출부는 사전에 정의된 순서의 예측 프레임에서 사전에 정의된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위치 정보 태깅 방법은, (a) 위치정보 태깅 장치가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포맷을 분석하는 단계; (b) 위치정보 태깅 장치가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포맷에 따라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분석하여 위치 정보를 삽입할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데이터 영역 비트열의 위치를 선정하는 단계; (c) 위치정보 태깅 장치의 위치를 측정하여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d) 위치정보 태깅 장치가 위치 정보를 (b) 단계에서 선정된 위치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포맷이 정지영상인 경우에, 상술한 (b) 단계는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일정수의 바이트 단위로 압축된 비트열 중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은 필드를 위치 정보 삽입 위치로 선정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포맷이 정지영상인 경우에, (b) 단계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픽셀 어레이에서, 인접한 픽셀들과의 픽셀값의 차가 사전에 설정된 값보다 작은 픽셀을 위치 정보 삽입 위치로 선정하고, (d) 단계는 선정된 픽셀의 픽셀값을 제거하고 위치 정보를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포맷이 정지영상인 경우에, (b) 단계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픽셀 어레이에서, 사전에 정의된 픽셀을 위치 정보 삽입 위치 로 선정하고, (d) 단계는 선정된 픽셀의 픽셀값을 제거하고 위치 정보를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포맷이 동영상인 경우에, (b) 단계는 동영상을 구성하는 기본 프레임과 예측 프레임들 중 사전에 정의된 순서의 예측 프레임에서 사전에 정의된 영역을 위치 정보 삽입 위치로 선정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위치 정보 태깅 방법은, (e) 위치 정보가 삽입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f)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포맷을 분석하는 단계; 및 (g)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포맷에 따라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비트열 중 데이터 영역에 삽입된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술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포맷이 정지영상인 경우에, (g) 단계는 일정수의 바이트 단위로 압축된 비트열 중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은 필드로부터 위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포맷이 정지영상인 경우에, (g) 단계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픽셀 어레이에서, 인접한 픽셀들과의 픽셀값의 차가 사전에 정의된 값보다 큰 픽셀의 픽셀값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추출하고, 픽셀의 픽셀값을 인접한 픽셀들의 픽셀값을 이용하여 보간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포맷이 정지영상인 경우에, (g) 단계는 사전에 정의된 픽셀의 픽셀값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추출하고, 픽셀의 픽셀값을 인접한 픽셀들의 픽셀값을 이용하여 보간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포맷이 동영상인 경우에, (g) 단계는 사전에 정의된 순서의 예측 프레임에서 사전에 정의된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표준화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부호화 및 복호화 과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헤더 영역이 아닌 데이터 영역에 위치 정보를 삽입하고, 이를 추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치 정보를 이용하기 위해서 별도의 전자 기기를 구매할 필요 없이, 간단하게 본 발명의 위치 정보 태깅 방법을 실행시키는 소프트웨어를 일반적으로 보급된 전자기기에 소프트웨어를 설치하는 것만으로 자유롭게 위치 정보를 멀티미디어 정보에 삽입하고 이를 추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위치 정보를 태깅하는 과정을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위치 정보와 동일한 방식으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생성한 시간 정보를 태깅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설명하는 위치 정보는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개념임을 주의하여야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체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200)과 멀티미디어 데이터 처리 장치(300)로 구성된다.
먼저, 사용자 단말(200)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편집하며, 자신의 위치 정보를 측정하고, 측정된 위치 정보를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태깅하여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서 멀티미디어 데이터 처리 장치(300)로 전송한다.
사용자 단말(200)은 PDA, 휴대폰, 네비게이션, PMP 등으로 구현될 수 있고, 이들 각각에 카메라와 같은 영상 촬영 수단이 구비된 경우에는 동영상, 정지 영상 데이터를 직접 생성할 수 있고, 영상 촬영 수단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에는 내부에 저장된 동영상 데이터 등을 편집하여 위치 정보를 태깅하여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GPS 모듈이 내부에 설치된 경우에는 위성(110)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위치를 측정하고, 사용자 단말(200)이 휴대 전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로 구현되는 경우로서 GPS 수신 모듈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는 이동통신망 기지국(120)의 위치를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를 측정한다. 이러한 위치를 측정하는 구성은 일반화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멀티미디어 데이터 처리 장치(3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로부터 위치 정보를 추출하여 이용하는 것이라면 구성에 제한이 없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데이터 처리 장치(300)는 방송사 서버, 인터넷 포털 서버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다른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위치 정보가 태깅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여 재생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200)로 포함되는 개념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200)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 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영상 촬영부(210), 위치 측정부(220), 통신부(230), 포맷 분석부(240), 데이터 분석부(250), 위치 정보 태깅부(260), 입력부(270), 표시부(280), 및 데이터 저장부(2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각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영상 촬영부(210)는 카메라로 구현되어 외부에 사물을 촬영하여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생성하여 멀티미디어 DB 로 출력한다.
사용자 단말(200)이 네비게이션 등으로 구현되는 경우에, 위치 측정부(220)는 GPS 모듈로 구현되어 위성(110)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위치 정보를 생성하여 압축한 후 데이터 저장부(290)로 출력하여 저장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이 휴대 전화 등으로 구현되는 경우에, 즉, 위치 측정부(220)가 GPS 모듈로 구현되지 않는 경우에, 위치 측정부(220)는 주변 기지국(120)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를 측정하고, 위치 정보를 압축한 후 데이터 저장부(290)로 출력하여 저장한다. 위치 측정부(220)에서 생성되는 위치 정보는 WGS84, BESSEL, KATEC 등의 표준에 따르는 좌표값으로 구성될 수 있다. 위치를 측정하는 방법은 주지 기술이므로 구체적일 설명은 생략한다.
통신부(23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서 멀티미디어 데이터 처리 장치(300)로 위치 정보가 태깅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한다. 또한, 통신부(230)는 기지국(120)과 통신하여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입력부(270)는 키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어 사용자로부터 메뉴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력받고, 사용자가 문서 작성시 사용자로부터 문자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표시부(280)는 사용자에게 본 발명의 서비스 이용을 위한 각종 메뉴를 표시 하고, 데이터 저장부(290)에 저장된 문서, 동영상 및 정지영상 등을 표시한다.
포맷 분석부(240)는 데이터 저장부(290)에 저장된 데이터들의 헤더 정보를 조사하여, 해당 데이터가 정지영상 데이터인지, 동영상 데이터인지 또는 텍스트 데이터인지를 분석한다. 데이터의 포맷을 분석하는 방식은 종래의 다양하게 공지된 방식들이 적용될 수 있다.
데이터 분석부(250)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분석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비트열 중 데이터 영역에서 위치 정보를 삽입할 위치를 선정하고, 위치정보 태깅부(260)는 위치 정보를 데이터 분석부(250)에서 선정한 위치에 삽입하여 위치정보를 태깅한다.
데이터 저장부(290)는 사용자 단말(200)을 이용하는데 필요한 일반적인 데이터를 저장하고 위치 정보 및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기초 데이터 저장부(292)와 압축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및 위치 정보가 태깅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저장부(294)를 포함한다.
도 4a 및 도 4b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위치 정보를 태깅하는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정지 영상 데이터에 위치 정보를 태깅하는 방법을 설명한 도 4a 를 참조하여 데이터 분석부(250)와 위치정보 태깅부(260)의 기능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4a 의 (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수(도 4a 에서는 200*100 으로 예시함)의 픽셀을 갖는 원본 정지 영상은 데이터 저장부(290)에 저장되기 위해서, 또는 전송을 위해서 인코딩된다.
인코딩된 정지영상 데이터의 일예를 도 4a 의 (b) 에 도시하였다. 도 4a 의 (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본 정지 영상은 픽셀 어레이의 한행마다 스캐닝되면서 일정한 바이트수(예컨대, 8바이트)의 비트열로 압축된다. 이 때, 압축율이 좋은 경우에는 (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코딩된 데이터가 차지하지 않는 비트열상의 공간이 존재하고, 데이터 분석부(250)는 본 발명의 일정한 크기(예컨대, 4바이트)의 위치정보를 삽입하기에 충분한 빈 공간 프레임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분석한다.
위치정보를 삽입하기에 충분한 공간이 있는 경우에, 위치정보 태깅부(260)는 도 4a의 (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트열의 맨 마지막에 일반적인 압축 영상 데이터에서 이용될 수 없는 값을 갖는 소정의 식별 정보(도 4a 의 (b) 에서는 "F"로 예시함)를 비트열에 삽입하고, 나머지 빈 프레임 공간에 위치 정보를 삽입한다.
데이터 분석 결과 압축된 비트열에 위치 정보를 삽입하기 어려운 경우에, 데이터 분석부(250)는 도 4a 의 (c)와 같이 픽셀 어레이의 각 픽셀값을 조사하여 화질에 영향이 없도록 위치 정보를 삽입할 수 있는 픽셀을 선택하고, 위치정보 태깅부(260)는 선택된 픽셀의 픽셀값 대신에 위치 정보의 각 바이트를 삽입하고, 복호화 과정에서 위치 정보가 삽입된 픽셀값은 인접한 픽셀값을 이용하여 보상된다.
데이터 분석부(250)에서 픽셀을 선택하는 방식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가장 단순한 방식으로는 사전에 정의된 순서의 픽셀, 예컨대, 위치 정보가 4바이트인 경우에, 첫 번째 픽셀 행의 2번째, 4번째, 6번째 및 8번째 픽셀에 위치 정보를 삽입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도 4a 의 (c) 에는 이러한 예를 도시하였다.
또한, 복호화할 때의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인접한 픽셀값들의 산술 평 균과의 당해 픽셀값간의 오차가 일정값 이하이고, 복호화할 때 삽입된 위치 정보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삽입되는 위치 정보값과 해당 픽셀값간의 차이 또는 삽입되는 위치 정보값과 인접한 픽셀값들간의 차가 일정값 이상이 되는 픽셀값이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영상의 각 픽셀이 급격하게 변화하지 않는다는 사실에 기초하므로, 일련의 픽셀값들 중 제거된 하나의 픽셀값을 인접한 픽셀값들의 산술 평균값 등의 방식으로 보상하여도 화질의 열화시키지 않는다.
도 4b는 동영상 데이터에 위치 정보를 삽입하는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b 를 참조하여, 동영상 데이터에 대해서 수행되는 데이터 분석부(250)와 위치정보 태깅부(260)의 기능을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동영상은 1초당 24프레임 이상의 정지영상들로 구성되고, 영상 촬영부(210)에서 생성된 동영상은 원본 그대로 데이터 저장부(290)에 저장될 수도 있지만, 저장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동영상 데이터를 압축하여 저장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동영상 압축 방식은 표준에 따라서 다양하게 구현이 가능하지만, 일반적인 방식은 도 4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픽셀값을 포함하는 기본 프레임(시간적 압축 기술을 적용하지 않고 공간적 압축 기술만을 적용하는 경우를 포함함)을 일정한 프레임 간격으로 설정하고, 기본 프레임들 사이에 위치하는 프레임들은 기본 프레임 또는 선행하는 프레임으로부터 영상내 객체의 움직임 예측을 수행하여 시간적 압축 기술을 적용하여 압축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데이터 분석부(250)는 기본 프레임 사이의 프레임들 중 위치 정보를 삽입할 프레임 및 프레임상의 위치를 선택하고, 위치정보 태깅부(260)는 위치 정보를 데이터 분석부(250)에서 선정한 위치에 삽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위치 정보가 동영상의 2번째 프레임 중 에지(화상정보 중 가장자리에 해당하는 데이터) 부분에 삽입한다.
한편, 문서 데이터에 위치 정보를 삽입하는 경우는 상술한 정지 영상 데이터에 위치 정보를 삽입하는 방식중 압축된 비트열의 빈 공간에 위치 정보를 삽입하는 방식이 이용된다. 따라서, 문서에 위치 정보를 삽입하는 방식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을 무손실 태깅 기법이라 지칭하고, 문서, 이미지, 동영상에 대한 극소의 정보를 손상시키는 손실형 데이터로도 필요에 따라 처리한다. 즉, 모든 멀티미디어 데이터 파일은 헤더부와 데이터부로 구성되어 있는데, 데이터부는 압축 방식 등에 의해 이진데이터로 구성된다. 이중 데이터부 1~4 바이트에 해당 하는 부분에 위치정보를 추가하는 방법을 지칭하며, 높은 압축율과 독특한 헤더/데이터부를 구성하는 포맷에 대한 대안으로, 손실 태깅 기법이라 지칭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데이터 처리 장치(300)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처리 장치(300)는 태깅 알고리즘 분석부(310), 위치정보 추출부(320), 복호화부(330), 통신부(340) 및 데이터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태깅 알고리즘 분석부(31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 이터를 분석하여 위치정보가 동영상에 태깅되었는지, 또는 정지영상에 태깅되었는지, 또는 문서 데이터에 태깅되었는지를 조사하여 위치정보 추출부(320)로 통지한다.
위치정보 추출부(320)는 태깅 알고리즘 분석부(310)로부터 입력된 정보에 따라서 위치 정보를 추출한다.
예컨대, 정지영상 데이터에 위치 정보가 삽입된 경우에는 위치정보 추출부(320)는 먼저, 일정한 바이트수 단위(예컨대, 8바이트 단위)로 압축된 비트열을 조사하고, 해당 비트열에 위치 정보 삽입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조사하며,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해당 비트열로부터 위치 정보를 추출한다.
정지영상 데이터의 압축 비트열에 위치정보가 삽입되지 않은 경우에는 사전에 정의된 위치정보 삽입 방법에 대응되도록 위치정보를 추출한다.
예컨대, 사용자 단말(200)에서 픽셀열들에서 소정 번째의 픽셀들(도 4a 의 (b)의 예에서 2번째, 4번째, 6번째, 8번째 픽셀)에 위치 정보를 삽입하기로 규정된 경우에는 해당 번째의 픽섹값들을 위치정보로 추출하고 해당 픽셀을 인접한 픽셀들을 이용하여 보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영상에서 픽셀값은 급격히 변화하기 보다는 점차적으로 변화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위치 정보가 삽입된 픽셀값을 인접한 픽섹값들의 산술 평균을 이용하여 보간한다. 다만, 보간 방법은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주의하여야 한다.
한편, 사용자 단말(200)에서 위치정보와 당해 픽섹값간의 차이가 큰 경우(일 정값 이상인 경우)를 만족하거나, 이와 동시에 인접한 픽셀값간의 차이가 작은(일정값 이하)인 조건을 만족하는 픽셀에 위치 정보를 삽입한 경우에, 위치정보 추출부(320)는 복호화부(330)에서 복호화된 정지영상을 첫 번째행의 첫 번째 열부터, 인접한 픽셀값보다 월등히 큰 값을 갖는 픽셀을 검색하여 위치 정보를 추출하고, 인접한 픽셀값을 이용하여 위치정보가 삽입되었던 픽셀값을 보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정지 영상은 각 픽셀값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경우는 거의 없으므로, 도 4a 의 (b)와 같이, 픽셀값이 130에서 240으로 급격하게 변화하고, 다시 135로 급격하게 변화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일어나기 어렵고, 정지영상 전체적인 픽셀값의 분포가 120~140 정도의 픽셀값을 갖는 것이 보통이므로, 비정상적인 230을 초과하는 픽셀에 위치 정보가 삽입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동영상의 경우에 위치정보 추출부(320)는 사전에 규정된 프레임의 특정 영역에 삽입된 위치 정보를 추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동영상을 구성하는 다수의 프레임 영상의 극히 일부에만 위치정보가 삽입되므로, 해당 위치정보가 삽입된 상태에서 복호화되어 사용자에게 표시된다 하더라도, 사용자는 이를 감지하지 못하므로 화질의 열화없이 위치 정보를 추출할할 수 있다.
한편, 문서에 위치 정보를 삽입한 경우에는 문서를 압축한 일정한 바이트수 단위의 비트열 중 위치정보가 삽입되었음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 이후의 비트열에서 위치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복호화부(330)는 통신부(340)로부터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표시부(350)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출력한다.
표시부(350)는 LCD, CRT 등으로 구현되어 사용자에게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표시한다.
입력부(360)는 키패드, 마우스, 키보드 등으로 구현되어 관리자 또는 사용자로부터 선택정보를 입력받는다.
도 5 는 본 발명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위치 정보를 태깅하는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위치 정보를 태깅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다만, 전반적인 기능은 도 1 내지 도 4b 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므로, 간략하게 설명한다.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200)을 이용해서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이하, "멀티미디어 데이터"로 통칭함)을 촬영한다(S500). 사용자 단말(200)의 영상 촬영부(210)가 촬영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원본 그대로 또는 압축되어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다.
한편, 사용자는 직접 영상을 촬영하지 않고, 사전에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위치 정보를 태깅하여 전송하기 위해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판독할 수 있다.
그 후, 사용자 단말(200)은 촬영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또는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판독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포맷을 분석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동영상인지 또는 정지영상인지를 식별한다(S510).
사용자 단말(200)은 파일 형식에 따라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분석하여 위치 정보를 삽입할 위치를 선정한다(S520). 정지영상 및 동영상에서 위치 정보를 삽입할 위치를 선정하는 방식 도 2 에 도시된 데이터 분석부(250)의 기능과 관련하여 상술한 방식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사용자 단말(200)은 GPS 모듈을 이용하거나 기지국 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를 측정하고(S530), 위치 정보를 일정한 표준 양식에 따라서 생성하고, 생성된 위치 정보를 압축한다(S540).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S530 및 S540)에 대해서는 도 2 의 위치 측정부(220)의 기능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위치 정보가 생성되면, 사용자 단말(200)은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선정된 위치에 위치 정보를 삽입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 처리 장치(300)로 전송한다(S550).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위치정보를 삽입하는 방식은 상술한 위치정보 태깅부(260)의 기능과 동일다.
상술한 제 S500 단계 내지 제 S550 단계를 거쳐서 위치 정보가 삽입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멀티미디어 데이터 처리 장치(300)로 전송된다. 예컨대, 사용자가 도심지를 지나가다가 화재가 발생한 건물의 외관을 촬영하여 위치 정보를 삽입하여 소방 관제 센터 또는 방송사로 전송하는 경우이다.
한편, 멀티미디어 데이터 처리 장치(300)는 위치 정보가 태깅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거나(S560), 사전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데이터 베이스(370)로부터 판독한다(S565).
그 후, 멀티미디어 데이터 처리 장치(300)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분석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동영상인지 또는 정지영상인지 여부를 판별한다(S570).
위치 정보가 태깅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형식이 판별된 후, 멀티미디어 데이터 처리 장치(300)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로부터 위치 정보를 추출한다(S580).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방법은 도 3 의 위치정보 추출부(320)가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방법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렇게 추출된 위치 정보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함께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상술한 예에서, 화재 관제 센터는 화재 동영상으로부터 현재의 화재 상태를 파악할 수 있고, 위치 정보를 추출하여 화재 발생 현장으로 소방 요원들을 출동시킬 수 있으며, 방송사에서는 화재 동영상을 방영하면서 위치 정보를 시청자들에게 즉시 알려주어 교통 혼잡을 미리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위치 정보를 태깅하여 다른 멀티미디어 데이터 처리 장치(300) 또는 다른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하는 것을 가정하고 설명하였으나, 단순히 사용자가 디지털 카메라로 구현된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200)을 소지하고 여행을 하면서 사진을 촬영하는 즉시 위치 정보를 사진 데이터에 태깅하여 저장하고, 추후에 사진을 열람할 때 실시간으로 위치 정보를 판독하도록 변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라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데이터 처리 장치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4a 및 도 4b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위치 정보를 태깅하는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위치 정보를 태깅하는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Claims (21)

  1. 자신의 위치를 측정하여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위치 측정부;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포맷을 분석하는 포맷 분석부;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포맷에 따라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분석하여 위치 정보를 삽입할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데이터 영역 비트열의 위치를 선정하는 데이터 분석부; 및
    상기 위치 정보를 상기 데이터 분석부가 선정한 비트열의 위치에 삽입하는 위치 정보 태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태깅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포맷이 정지영상인 경우에,
    상기 데이터 분석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일정수의 바이트 단위로 압축된 비트열 중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은 필드를 위치 정보 삽입 위치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태깅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포맷이 정지영상인 경우에,
    상기 데이터 분석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픽셀 어레이에서, 인접한 픽셀들과의 픽셀값의 차가 사전에 설정된 값보다 작은 픽셀을 위치 정보 삽입 위치 로 선정하고,
    상기 위치 정보 태깅부는 상기 선정된 픽셀의 픽셀값을 제거하고 위치 정보를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태깅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포맷이 정지영상인 경우에,
    상기 데이터 분석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픽셀 어레이에서, 사전에 정의된 픽셀을 위치 정보 삽입 위치로 선정하고,
    상기 위치 정보 태깅부는 상기 선정된 픽셀의 픽셀값을 제거하고 위치 정보를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태깅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포맷이 동영상인 경우에,
    상기 데이터 분석부는 상기 동영상을 구성하는 기본 프레임과 예측 프레임들 중 사전에 정의된 순서의 예측 프레임에서 사전에 정의된 영역을 위치 정보 삽입 위치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태깅 장치.
  6. 위치 정보가 삽입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포맷을 분석하는 태깅 알고리즘 분석부; 및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포맷에 따라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비트열 중 데 이터 영역에 삽입된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위치 정보 추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처리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포맷이 정지영상인 경우에,
    상기 위치 정보 추출부는 일정수의 바이트 단위로 압축된 비트열 중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은 필드로부터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처리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포맷이 정지영상인 경우에,
    상기 위치 정보 추출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픽셀 어레이에서, 인접한 픽셀들과의 픽셀값의 차가 사전에 정의된 값보다 큰 픽셀의 픽셀값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픽셀의 픽셀값을 인접한 픽셀들의 픽셀값을 이용하여 보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처리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포맷이 정지영상인 경우에,
    상기 위치 정보 추출부는 사전에 정의된 픽셀의 픽셀값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픽셀의 픽셀값을 인접한 픽셀들의 픽셀값을 이용하여 보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처리 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포맷이 동영상인 경우에,
    상기 위치 정보 추출부는 사전에 정의된 순서의 예측 프레임에서 사전에 정의된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처리 장치.
  11. (a) 위치정보 태깅 장치가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포맷을 분석하는 단계;
    (b) 상기 위치정보 태깅 장치가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포맷에 따라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분석하여 위치 정보를 삽입할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데이터 영역 비트열의 위치를 선정하는 단계;
    (c) 상기 위치정보 태깅 장치의 위치를 측정하여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위치정보 태깅 장치가 상기 위치 정보를 상기 (b) 단계에서 선정된 위치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위치 정보 태깅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포맷이 정지영상인 경우에,
    상기 (b) 단계는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일정수의 바이트 단위로 압축된 비트열 중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은 필드를 위치 정보 삽입 위치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위치 정보 태깅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포맷이 정지영상인 경우에,
    상기 (b) 단계는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픽셀 어레이에서, 인접한 픽셀들과의 픽셀값의 차가 사전에 설정된 값보다 작은 픽셀을 위치 정보 삽입 위치로 선정하고,
    상기 (d) 단계는 상기 선정된 픽셀의 픽셀값을 제거하고 위치 정보를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위치 정보 태깅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포맷이 정지영상인 경우에,
    상기 (b) 단계는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픽셀 어레이에서, 사전에 정의된 픽셀을 위치 정보 삽입 위치로 선정하고,
    상기 (d) 단계는 상기 선정된 픽셀의 픽셀값을 제거하고 위치 정보를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위치 정보 태깅 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포맷이 동영상인 경우에,
    상기 (b) 단계는 상기 동영상을 구성하는 기본 프레임과 예측 프레임들 중 사전에 정의된 순서의 예측 프레임에서 사전에 정의된 영역을 위치 정보 삽입 위치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위치 정보 태깅 방법.
  16. (e) 위치 정보가 삽입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f)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포맷을 분석하는 단계; 및
    (g)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포맷에 따라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비트열 중 데이터 영역에 삽입된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위치 정보 태깅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포맷이 정지영상인 경우에,
    상기 (g) 단계는 일정수의 바이트 단위로 압축된 비트열 중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은 필드로부터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위치 정보 태깅 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포맷이 정지영상인 경우에,
    상기 (g) 단계는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픽셀 어레이에서, 인접한 픽셀들 과의 픽셀값의 차가 사전에 정의된 값보다 큰 픽셀의 픽셀값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픽셀의 픽셀값을 인접한 픽셀들의 픽셀값을 이용하여 보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위치 정보 태깅 방법.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포맷이 정지영상인 경우에,
    상기 (g) 단계는 사전에 정의된 픽셀의 픽셀값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픽셀의 픽셀값을 인접한 픽셀들의 픽셀값을 이용하여 보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위치 정보 태깅 방법.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포맷이 동영상인 경우에,
    상기 (g) 단계는 사전에 정의된 순서의 예측 프레임에서 사전에 정의된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위치 정보 태깅 방법.
  21. 제 11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위치 정보 태깅 방법을 컴퓨터에서 판독할 수 있고,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로 기록한 기록매체.
KR1020080023340A 2008-03-13 2008-03-13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위치 정보를 태깅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9475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3340A KR100947581B1 (ko) 2008-03-13 2008-03-13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위치 정보를 태깅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3340A KR100947581B1 (ko) 2008-03-13 2008-03-13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위치 정보를 태깅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8138A true KR20090098138A (ko) 2009-09-17
KR100947581B1 KR100947581B1 (ko) 2010-03-15

Family

ID=41357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3340A KR100947581B1 (ko) 2008-03-13 2008-03-13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위치 정보를 태깅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7581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40956A (en) * 1997-06-25 2000-10-31 Cellutrac, Inc. Vehicle tracking and security system incorporating simultaneous voice and data communication
KR100411587B1 (ko) * 2001-12-27 2003-12-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동영상 및 위치 정보의 동기 처리 방법 및 장치, 그리고이를 이용한 지리 정보 시스템
KR100747697B1 (ko) 2006-03-21 2007-08-0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위치 정보가 삽입된 사진 또는 동영상을 이용하여 지도표시 블로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4862692B2 (ja) 2007-02-28 2012-01-25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無線通信制御装置、ノード及び無線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7581B1 (ko) 2010-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77366B (zh) 用于分发嵌入在视频数据中的辅助数据的系统和方法
US8891612B2 (en) Encoding and decoding multi-view video while accommodating absent or unreliable camera parameters
US20190259124A1 (en) System and Method of Data Transfer In-Band in Video via Optically Encoded Images
US6480630B1 (en) Encoding and decoding different resolution video signals for display on plural units
US8161518B2 (en) Contents distribution system and distribution server and display terminal of contents distribution system
KR100767673B1 (ko) 슬라이드 쇼 구현기능을 갖는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및 이를이용한 슬라이드 쇼 구현 방법
KR20100042632A (ko) 비디오 인덱싱 방법, 및 비디오 인덱싱 디바이스
US8645983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dible channel announce
CN102771109A (zh) 通过盖写视频数据进行视频传递和控制
CN102244783A (zh) 一种数据处理方法和系统
CN101589620A (zh) 数字广播接收装置及数字广播接收方法
KR101404251B1 (ko) 컨텐츠의 부가서비스 정보를 보조 단말기에 표시하는 시스템 및 방법
JP2011217272A (ja) 映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4655065B2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の配信サーバ及び表示端末、コンテンツ配信プログラム
KR100947581B1 (ko)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위치 정보를 태깅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871159B1 (ko) 컨텐츠 영상을 제공하는 방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
JP2004297141A (ja) データ放送における視聴履歴取得システム、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
Dogan et al. Fast region of interest selection in the transform domain for video transcoding
JP2005039662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Pal NOVEL APPLICATIONS FOR EMERGING MARKETS USING TELEVISION AS A UBIQUITOUS DEVICE
JP2006140632A (ja) データレート変換装置、データレート変換方法、データレート変換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情報記録媒体
KR20140123190A (ko) 컨텐츠 유형을 고려한 스크린 영상의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JP2006136013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