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1159B1 - 컨텐츠 영상을 제공하는 방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컨텐츠 영상을 제공하는 방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1159B1
KR100871159B1 KR1020070122351A KR20070122351A KR100871159B1 KR 100871159 B1 KR100871159 B1 KR 100871159B1 KR 1020070122351 A KR1020070122351 A KR 1020070122351A KR 20070122351 A KR20070122351 A KR 20070122351A KR 100871159 B1 KR100871159 B1 KR 1008711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broadcast
video signal
signal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2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진호
Original Assignee
서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진호 filed Critical 서진호
Priority to KR1020070122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11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1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11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6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receiving on more than one standard at wil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7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 H04H60/81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 H04H60/82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the transmission system being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vertisement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ditional data, e.g. news, sports, stocks, weather foreca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17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 H04N7/0122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the input and the output signals having different aspect ratio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컨텐츠 영상을 제공하는 방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컨텐츠 영상을 제공하는 방송수신장치는 유/무선으로 수신한 TV 방송신호로부터 방송 영상신호를 검출하는 방송 영상신호 검출부, 인터넷 망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수신된 컨텐츠 데이터를 이용하여 컨텐츠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컨텐츠 영상신호 생성부 및 상기 방송 영상신호 및 컨텐츠 영상신호 상호간에 화면노출비율에 따른 스케일을 수행하여 화면노출신호를 생성하는 영상 스케일러를 포함한다.
컨텐츠, 방송, 스케일, 영상신호

Description

컨텐츠 영상을 제공하는 방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BROADCASTING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VIDEO}
컨텐츠 영상을 제공하는 방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방송 영상과 함께 컨텐츠 영상을 제공하는 방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아날로그 TV 방송을 대체하는 디지털 방송의 사업화가 급격히 진행되고 있으며, 디지털 신호의 방송망을 통한 전송, 데이터의 다중화, 영상 및 음성 처리 기술 등의 분야에 있어서, 다양한 기술적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과 비교하여, 정보 데이터에 대한 압축 처리가 가능하며, 전송속도, 음질 및 화질의 우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러한 디지털 방송을 통하여 수백 개 이상의 채널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방송 프로그램을 접할 수 있게 되었다.
디지털 방송의 등장으로 TV 수상기 이외에 디지털 방송수신장치가 필요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디지털 방송수신장치는 단순히 디지털 방송의 수신 기능 이외에도 다양한 기능을 포함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기능의 하나로서 강력하게 요구되는 것은 방송 화면과 함께 컨텐츠 영상을 제공하는 기능이다. 또한, 이러한 컨 텐츠 영상은 방송과 관련된 광고정보, 쇼핑정보, 증권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영상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방송 화면과 함께 제공되는 컨텐츠 영상은 방송 제작 시 방송 화면과 함께 제작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방송 프로그램에 포함된 문구나 광고 화면이 이러한 컨텐츠 영상의 대표적 일예이다. 또한, 케이블 사업자는 방송 화면정보와 컨텐츠 영상정보를 결합하여 생성한 영상신호를 방송수신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사업자는 방송 영상화면과 컨텐츠 영상화면을 함께 제작하거나, 함께 제공하기 위한 비용을 방송을 제작 및 제공할 때마다 반복적으로 지출하게 되고, 추가적인 방송 장비로 인한 지출을 감수해야 한다. 또한, 사용자는 일률적으로 제작 및 제공되는 컨텐츠 영상을 시청해야 하는 불편을 겪어야 한다.
따라서, 기존의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형식으로 방송 영상신호를 수신하고, 이와 독립적으로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여 컨텐츠 영상신호를 생성한 후, 상기 방송 영상신호 및 컨텐츠 영상신호 상호간의 스케일을 통하여 디스플레이장치로 노출시키기 위한 방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의 필요성이 절실하게 요구된다.
본 발명은 유/무선으로 수신한 디지털/아날로그 TV 방송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함으로써, 보다 탄력적으로 TV 방송과 데이터 방송을 함께 제공하는 방송수신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인터넷 망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수신된 컨텐츠 데이터를 이용함으로써, 추가적 비용의 발생 없이 방송 영상신호와 함께 컨텐츠 영상신호를 제공하는 방송수신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방송 영상신호 및 컨텐츠 영상신호 상호간에 스케일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합한 화면비율을 제공하는 방송수신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컨텐츠 영상신호에 대한 리턴 채널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원하는 컨텐츠를 선택하는 방송수신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영상을 제공하는 방송수신장치는 유/무선으로 수신한 TV 방송신호로부터 방송 영상신호를 검출하는 방송 영상신호 검출부, 인터넷 망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수신된 컨텐츠 데이터를 이용하여 컨텐츠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컨텐츠 영상신호 생성부 및 상기 방송 영상신호 및 컨텐츠 영상신호 상호간에 화면노출비율에 따른 스케일을 수행하여 화면노출신호를 생성하는 영상 스케일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방송 영상신호 검출부는 안테나/케이블을 통 하여 디지털/아날로그 TV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튜너, 상기 튜너로부터 수신한 아날로그 TV 방송신호를 비디오 디코딩하여 방송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비디오 디코더, 상기 튜너로부터 수신한 디지털 TV 방송신호를 디지털 영상 디코딩하여 방송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디지털 영상 디코더 및 상기 비디오 디코더 또는 디지털 영상 디코더 중 어느 하나의 방송 영상신호를 선택하는 영상신호 선택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 영상신호 생성부는 인터넷 망을 통하여 컨텐츠 관리서버로부터 수신된 컨텐츠 데이터를 이용하여 컨텐츠 영상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 영상신호 생성부는 인터넷 망을 통하여 상기 컨텐츠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TV 방송신호와 연관된 컨텐츠 데이터를 검출하고, 상기 컨텐츠 데이터를 이용하여 컨텐츠 영상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 영상신호 생성부는 사용자 입력장치로부터 검색정보를 수신하는 검색정보 수신부 및 인터넷 망을 통하여 상기 검색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 데이터를 검출하고, 상기 컨텐츠 데이터를 이용하여 컨텐츠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영상신호 생성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영상 스케일러는 상기 방송 영상신호 및 컨텐츠 영상신호 각각의 축소/확대/위치조정을 이용하여 상기 화면노출비율에 따른 화면노출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화면노출비율은 사용자 입력장치로부터 수신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컨텐츠 영상을 제공하는 방송수신장치는 상기 생성된 화면노출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합한 영상신호로 인코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송신하는 영상 출력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영상을 제공하는 방송수신방법은 유/무선으로 수신한 TV 방송신호로부터 방송 영상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인터넷 망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수신된 컨텐츠 데이터를 이용하여 컨텐츠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방송 영상신호 및 컨텐츠 영상신호 상호간에 화면노출비율에 따른 스케일을 수행하여 화면노출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유/무선으로 수신한 디지털/아날로그 TV 방송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함으로써, 보다 탄력적으로 TV 방송과 데이터 방송을 함께 제공할 수 있는 방송수신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인터넷 망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수신된 컨텐츠 데이터를 이용함으로써, 추가적 비용의 발생 없이 방송 영상신호와 함께 컨텐츠 영상신호를 제공할 수 있는 방송수신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방송 영상신호 및 컨텐츠 영상신호 상호간에 탄력적인 스케일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합한 화면비율을 제공할 수 있는 방송수신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컨텐츠 영상신호에 대한 리턴 채널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원하는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는 방송수신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영상을 제공하는 방송수신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영상을 제공하는 방송수신장치(1100)는 방송 영상신호 검출부(1110), 컨텐츠 영상신호 생성부(1120), 영상 스케일러(1130) 및 영상 출력부(114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영상신호 검출부(1110)는 유/무선으로 수신한 TV 방송신호로부터 방송 영상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TV 방송신호는 아날로그 신호 또는 디지털 신호일 수 있다. 또한, 방송수신장치(1100)는 유선 또는 무선의 형태로 상기 TV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유선 방송신호는 케이블을 통하여 수신될 수 있으며, 무선 방송신호는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영상신호 검출부(1110)는 튜너(1111), 비디오 디코더(1112), 디지털 영상 디코더(1113) 및 영상신호 선택부(1114)를 포함할 수 있다.
튜너(1111)는 안테나/케이블을 통하여 디지털/아날로그 TV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튜너(1111)는 방송 송신국 또는 케이블 사업자로부터 송 신된 유/무선 형태의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의 TV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튜너(1111)는 소정의 전파의 주파수 대역에 동조하여 원하는 전파를 검출할 수 있다.
비디오 디코더(1112)는 상기 튜너로부터 수신한 아날로그 TV 방송신호를 비디오 디코딩하여 방송 영상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아날로그 TV 방송신호는 영상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비디오 디코더(1112)는 영상신호인 아날로그 TV 방송신호를 이용하여 영상 스케일러(1130)에서 처리 가능한 방송 영상신호로 디코딩할 수 있다.
또한, 방송수신장치(1100)는 상기 아날로그 TV 방송신호에 포함된 음성신호를 이용하여 방송 음성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디지털 영상 디코더(1113)는 상기 튜너로부터 수신한 디지털 TV 방송신호를 디지털 영상 디코딩하여 방송 영상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디지털 TV 방송신호는 패킷 형태의 압축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지털 TV 방송신호는 디지털 영상 2 표준에 의해 영상 및 음성을 포함하는 압축신호일 수 있다.
디지털 영상 디코더(1113)는 영상신호인 디지털 TV 방송신호를 이용하여 영상 스케일러(1130)에서 처리 가능한 방송 영상신호로 디코딩할 수 있다. 또한, 방송수신장치(1100)는 상기 디지털 TV 방송신호에 포함된 음성신호를 이용하여 방송 음성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영상신호 선택부(1114)는 상기 비디오 디코더 또는 디지털 영상 디코더 각각에서 생성된 방송 영상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신호 선택부(1114)는 비디오 디코더(1112) 및 디지털 영상 디코더(1113)와 각각 연결된 포트 중 어느 하나의 포트를 선택하고, 상기 포트를 통하여 방송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영상신호 선택부(1114)는 소정의 외부영상장치와 연결된 포트를 선택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외부영상장치는 방송 영상신호를 포함/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외부영상장치는 비디오/DVD 플레이어 또는 영상저장장치일 수 있다.
컨텐츠 영상신호 생성부(1120)는 인터넷 망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수신된 컨텐츠 데이터를 이용하여 컨텐츠 영상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컨텐츠 영상신호 생성부(1120)는 유선 또는 무선의 형태로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인터넷 망은 유/무선 통신망의 일예로 네트워크 망 또는 웹 망의 의미일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영상신호 생성부(1120)는 인터넷 망을 통하여 컨텐츠 관리서버(1200)로부터 수신된 컨텐츠 데이터를 이용하여 컨텐츠 영상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컨텐츠 관리서버(1200)는 컨텐츠 관리서버(1200)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방송수신장치로 컨텐츠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 데이터는 광고, 증권, 쇼핑, 미디어 및 지식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관리서버(1200)는 TV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사용자에게 광고 영상화면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사용자가 이용하는 방송수신장치(1100)로 상 기 광고 영상화면에 관한 광고 컨텐츠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이 때, 컨텐츠 영상신호 생성부(1120)는 상기 수신한 광고 컨텐츠 데이터를 이용하여 컨텐츠 영상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영상 스케일러(1130)는 TV 방송신호 및 상기 컨텐츠 영상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노출할 화면노출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컨텐츠 영상신호 생성부(1120)는 인터넷 망을 통하여 상기 컨텐츠 관리서버(1200)로부터 상기 TV 방송신호와 연관된 컨텐츠 데이터를 검출하고, 상기 컨텐츠 데이터를 이용하여 컨텐츠 영상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컨텐츠 영상신호 생성부(1120)는 TV 방송신호와 별개의 컨텐츠 영상신호를 생성하거나, 또는 TV 방송신호와 연관된 컨텐츠 영상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수신장치(1100)를 이용하여 TV를 시청하고 있는 사용자는 현재 시청 중인 방송 프로그램과는 관련 없는 광고, 증권정보와 같은 컨텐츠 영상화면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와 구분하여, 상기 사용자는 현재 시청 중인 방송 프로그램과 연관된 컨텐츠 영상화면을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라마인 "대장금"을 시청하고 있는 사용자는 상기 "대장금"에 등장하는 소품에 관한 상품정보를 컨텐츠 영상화면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영상신호 생성부(1120)는 인터넷 망을 통하여 컨텐츠 관리서버(1200)로 상기 TV 방송신호에 포함된 방송소개정보를 송신하고, 컨텐츠 관리서버(1200)로부터 상기 방송소개정보와 연관된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텐츠 영상신호 생성부(1120)는 상기 TV 방송신호로부터 방송소개정보 를 추출하고, 상기 방송소개정보를 컨텐츠 관리서버(1200)로 송신하고, 컨텐츠 관리서버(1200)로부터 상기 방송소개정보에 연관된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컨텐츠 관리서버(1200)는 상기 방송소개정보와 컨텐츠 데이터를 매칭하여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송소개정보는 상기 TV 방송신호에 관한 요약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컨텐츠 영상신호 생성부(1120)는 사용자 입력장치(1400)로부터 수신한 검색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 데이터를 컨텐츠 관리서버(1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영상신호 생성부(1120)는 사용자 입력장치(1400)로부터 수신한 검색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 데이터를 웹 서버(1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 입력장치(1400)로부터 수신하는 검색정보에 따라 컨텐츠 관리서버(1200) 또는 웹 서버(1300)로부터 컨텐츠 데이터를 입력하는 컨텐츠 영상신호 생성부(1120)에 대해서는 추후 도 2를 통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하겠다.
또한, 상기 컨텐츠 데이터는 지역별, 채널별 또는 시간별 중 적어도 하나로 결정될 수 있다. 컨텐츠 관리서버(1200)는 상기 컨텐츠 데이터를 지역별, 채널별 또는 시간별 중 적어도 하나로 결정하여 컨텐츠 영상을 제공하는 방송수신장치(110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컨텐츠 영상을 제공하는 방송수신장치(1100)는 컨텐츠 관리서버(1200)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데이터를 지역별, 채널별 또는 시간별 중 적어도 하나로 결정하고, 결정된 컨텐츠 데이터를 이용하여 컨텐츠 영상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영상 스케일러(1130)는 상기 방송 영상신호 및 컨텐츠 영상신호 상호간에 화면노출비율에 따른 스케일을 수행하여 화면노출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상 스케일러(1130)는 상기 방송 영상신호 및 컨텐츠 영상신호 각각의 축소/확대/위치조정을 이용하여 상기 화면노출비율에 따른 화면노출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영상 스케일러(1130)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신하는 상기 방송 영상신호 및 컨텐츠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함께 노출시키기 위하여 화면 스케일링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화면노출신호는 기 결정된 화면노출비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즉, 방송 영상신호 및 컨텐츠 영상신호의 화면노출비율을 상하 2:1로 결정된 경우, 영상 스케일러(1130)는 상기 2:1의 화면노출비율에 따라 화면노출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컨텐츠 영상을 제공하는 방송수신장치는 방송 영상신호 및 컨텐츠 영상신호를 독립적으로 생성하여 화면노출신호를 생성함으로써, 기존의 데이터 TV 방송신호 형식을 그대로 유지하고, 관련 시스템 및 신호 포맷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시청자는 상기 방송수신장치를 통하여 저비용으로 방송과 통신이 융합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면노출비율은 적어도 하나로 분할된 노출화면에 상기 방송 영상신호 및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영상신호를 노출하기 위한 크기/위치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스케일러(1130)는 4개의 화면으로 분할된 노출화면에 상기 방송 영상신호를 제1 사분면에 위치하고, 3개의 컨텐츠 영상신호 각각을 2, 3, 4분 면에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면노출비율은 사용자 입력장치(1400)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영상 스케일러(1130)는 사용자 입력장치(1400)로부터 수신한 화면노출비율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비율의 영상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가 컨텐츠 영상화면을 노출시키지 않기를 원하는 경우, 방송수신장치(1100)는 방송 영상화면 만을 노출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장치(1400)는 방송 채널이동, 음량조절을 제어할 수 있는 소정의 인터페이스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영상 출력부(1140)는 상기 생성된 화면노출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1500)에 적합한 영상신호로 인코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500)로 송신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500)의 화면 상단에는 방송 영상이 노출되고 있으며, 화면 하단에는 컨텐츠 영상이 노출되고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컨텐츠 영상을 제공하는 방송수신장치(1100)는 컨텐츠 데이터의 수신에 따라 컨텐츠 발생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컨텐츠 발생 신호를 노출하는 컨텐츠 발생 신호 생성부(도시되지 않음) 및 상기 컨텐츠 영상신호 생성 횟수에 따라 과금액을 결정하는 과금 처리부(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발생 신호 생성부(도시되지 않음)는 컨텐츠 영상신호 생성에 이용하는 컨텐츠 데이터의 수신에 따라 소정의 컨텐츠 발생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컨텐츠 발생 신호는 신호음, 신호영상 또는 발광장치에 의한 신호일 수 있다.
과금 처리부(도시되지 않음)는 컨텐츠 영상신호가 생성된 횟수에 소정의 가중치를 곱하여 결정된 과금액을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가중치는 지역별, 채널별 또는 시간별로 결정된 상기 컨텐츠 영상신호의 분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 지역" 시청자에게 제공되는 "C 컨텐츠"는 "A 지역"의 "D 컨텐츠" 보다 높은 가중치를 가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컨텐츠 영상신호 생성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영상신호 생성부(1120)는 검색정보 수신부(201) 및 영상신호 생성부(202)를 포함할 수 있다.
검색정보 수신부(201)는 사용자 입력장치로부터 검색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검색정보 수신부(201)는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 영상화면에 대응하는 검색정보를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검색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시청하고 있는 TV 방송화면과 연관된 컨텐츠 영상화면을 요청하는 검색정보이거나, 또는 상기 TV 방송화면과 관련 없는 컨텐츠 영상화면을 요청하는 검색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색정보는 문자, 숫자, 기호 등으로 구성된 질의어이거나, 컨텐츠 관리서버 또는 웹 서버의 도메인주소일 수 있다.
영상신호 생성부(202)는 인터넷 망을 통하여 상기 검색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 데이터를 검출하고, 상기 컨텐츠 데이터를 이용하여 컨텐츠 영상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상신호 생성부(202)는 인터넷 망을 통하여 컨텐츠 관리서버로 상기 검색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컨텐츠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검색정보와 연관된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증권"이라는 검색정보를 입력한 경우, 영상신호 생성부(202)는 상기 컨텐츠 관리서버로부터 "증권"과 연관된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컨텐츠 데이터를 이용하여 "증권"과 연관된 컨텐츠 영상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컨텐츠 관리서버는 상기 검색정보와 상기 컨텐츠 데이터를 매칭하여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영상신호 생성부(202)는 인터넷 망을 통하여 상기 웹 서버에 관한 도메인정보에 대응하는 웹 서버 데이터를 검출하고, 상기 컨텐츠 데이터를 이용하여 컨텐츠 영상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검색정보는 웹 서버에 관한 도메인정보이고, 컨텐츠 데이터는 상기 웹 서버 데이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상신호 생성부(202)는 상기 도메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웹 서버와 통신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웹 서버로부터 웹 서버 데이터에 해당하는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장치를 통하여 소정의 웹 서버에 관한 도메인 정보를 입력한 경우, 영상신호 생성부(202)는 상기 도메인 정보에 대응 하는 웹 서버로부터 상기 웹 서버의 웹 페이지 데이터를 컨텐츠 데이터로서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는 상기 웹 서버의 웹 페이지를 컨텐츠 영상화면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웹 서버가 통합검색을 제공하는 검색서버인 경우, 상기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검색어를 검색정보로서 입력할 수 있고, 영상신호 생성부(202)는 상기 검색정보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 데이터를 컨텐츠 데이터로서 검출할 수 있다. 즉, 상기 사용자는 컨텐츠 영상을 제공하는 방송수신장치를 이용하여 TV 방송화면을 시청함과 동시에, 인터넷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 데이터는 지역별, 채널별 또는 시간별 중 적어도 하나로 결정될 수 있다. 영상신호 생성부(202)는 상기 컨텐츠 데이터를 지역별, 채널별 또는 시간별 중 적어도 하나로 결정하여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영상신호 생성부(202)는 인터넷 망 또는 웹 서버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데이터를 지역별, 채널별 또는 시간별 중 적어도 하나로 결정하고, 결정된 컨텐츠 데이터를 이용하여 컨텐츠 영상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영상을 제공하는 방송수신방법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영상을 제공하는 방송수신방법은 단계(S301) 내지 단계(S304)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영상을 제공하는 방송수신방법은 컨텐츠 영상을 제공하는 방송수신장치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단계(S301)에서 컨텐츠 영상을 제공하는 방송수신장치는 유/무선으로 수신한 TV 방송신호로부터 방송 영상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단계(S301)는 안테나/케이블을 통하여 디지털/아날로그 TV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아날로그 TV 방송신호를 비디오 디코딩하여 방송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TV 방송신호를 디지털 영 상 디코딩하여 방송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비디오/디지털 영상 디코딩으로 생성된 방송 영상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로 수행될 수 있다.
단계(S302)에서 상기 방송수신장치는 인터넷 망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수신된 컨텐츠 데이터를 이용하여 컨텐츠 영상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송수신장치는 인터넷 망을 통하여 컨텐츠 관리서버로부터 수신된 컨텐츠 데이터를 이용하여 컨텐츠 영상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 데이터는 상기 TV 방송신호와 연관된 컨텐츠 데이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단계(S302)에서 상기 방송수신장치는 인터넷 망을 통하여 상기 컨텐츠 관리서버로 상기 TV 방송신호에 포함된 방송소개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컨텐츠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방송소개정보와 연관된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 데이터는 광고, 증권, 쇼핑, 미디어 및 지식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단계(S302)에서 상기 방송수신장치는 사용자 입력장치로부터 검색정보를 수신하고, 인터넷 망을 통하여 상기 검색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 데이터를 검출하고, 상기 컨텐츠 데이터를 이용하여 컨텐츠 영상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방송수신장치는, 인터넷 망을 통하여 컨텐츠 관리서버로 상기 검색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컨텐츠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검색정보와 연관된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검색정보는 웹 서버에 관한 도메인정보이고, 상기 컨텐츠 데이터는 상기 웹 서버 데이터일 수 있다.
단계(S303)에서 상기 방송수신장치는 상기 방송 영상신호 및 컨텐츠 영상신호 상호간에 화면노출비율에 따른 스케일을 수행하여 화면노출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송수신장치는 상기 방송 영상신호 및 컨텐츠 영상신호 각각의 축소/확대/위치조정을 이용하여 상기 화면노출비율에 따른 화면노출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화면노출비율은 사용자 입력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단계(S304)에서 상기 방송수신장치는 상기 생성된 화면노출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합한 영상신호로 인코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단계(S301) 내지 단계(S304)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내용은 앞서 도 1 및 도 2를 통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 및 극히 유사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하겠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영상을 제공하는 방송수신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 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영상을 제공하는 방송수신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컨텐츠 영상신호 생성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영상을 제공하는 방송수신방법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0: 컨텐츠 영상을 제공하는 방송수신장치
1110: 방송 영상신호 검출부
1120: 컨텐츠 영상신호 생성부
1130: 영상 스케일러

Claims (30)

  1. 유/무선으로 수신한 TV 방송신호로부터 방송 영상신호를 검출하는 방송 영상신호 검출부;
    인터넷 망을 통하여 컨텐츠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TV 방송신호와 연관된 컨텐츠 데이터를 검출하고, 상기 컨텐츠 데이터를 이용하여 컨텐츠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컨텐츠 영상신호 생성부; 및
    상기 방송 영상신호 및 컨텐츠 영상신호 상호간에 화면노출비율에 따른 스케일을 수행하여 화면노출신호를 생성하는 영상 스케일러
    를 포함하는 컨텐츠 영상을 제공하는 방송수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영상신호 검출부는,
    안테나/케이블을 통하여 디지털/아날로그 TV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튜너; 및
    상기 튜너로부터 수신한 아날로그 TV 방송신호를 비디오 디코딩하여 방송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비디오 디코더
    를 포함하는 컨텐츠 영상을 제공하는 방송수신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영상신호 검출부는,
    상기 튜너로부터 수신한 디지털 TV 방송신호를 디지털 영상 디코딩하여 방송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디지털 영상 디코더; 및
    상기 비디오 디코더 또는 디지털 영상 디코더 중 어느 하나의 방송 영상신호를 선택하는 영상신호 선택부
    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영상을 제공하는 방송수신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영상신호 생성부는,
    인터넷 망을 통하여 상기 컨텐츠 관리서버로 상기 TV 방송신호에 포함된 방송소개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컨텐츠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방송소개정보와 연관된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영상을 제공하는 방송수신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데이터는,
    광고, 증권, 쇼핑, 미디어 및 지식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영상을 제공하는 방송수신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영상신호 생성부는,
    사용자 입력장치로부터 검색정보를 수신하는 검색정보 수신부; 및
    인터넷 망을 통하여 상기 검색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 데이터를 검출하고, 상기 컨텐츠 데이터를 이용하여 컨텐츠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영상신호 생성부
    를 포함하는 컨텐츠 영상을 제공하는 방송수신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 생성부는,
    인터넷 망을 통하여 컨텐츠 관리서버로 상기 검색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컨텐츠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검색정보와 연관된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영상을 제공하는 방송수신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정보는,
    웹 서버에 관한 도메인정보이고,
    상기 컨텐츠 데이터는,
    상기 웹 서버의 웹 페이지 데이터이고,
    상기 영상신호 생성부는,
    상기 웹 서버와 통신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웹 서버로부터 상기 웹 페이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영상을 제공하는 방송수신장치.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스케일러는,
    상기 방송 영상신호 및 컨텐츠 영상신호 각각의 축소/확대/위치조정을 이용하여 상기 화면노출비율에 따른 화면노출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영상을 제공하는 방송수신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노출비율은,
    사용자 입력장치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영상을 제공하는 방송수신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노출비율은,
    적어도 두개로 분할된 노출화면에 상기 방송 영상신호 및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영상신호의 노출에 따라 기 결정된 크기/위치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영상을 제공하는 방송수신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화면노출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합한 영상신호로 인코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송신하는 영상 출력부
    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영상을 제공하는 방송수신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데이터의 수신에 따라 컨텐츠 발생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컨텐츠 발생 신호를 노출하는 컨텐츠 발생 신호 생성부
    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영상을 제공하는 방송수신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영상신호 생성 횟수에 따라 과금액을 결정하는 과금 처리부
    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영상을 제공하는 방송수신장치.
  18. 유/무선으로 수신한 TV 방송신호로부터 방송 영상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인터넷 망을 통하여 컨텐츠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TV 방송신호와 연관된 컨텐츠 데이터를 검출하고, 상기 컨텐츠 데이터를 이용하여 컨텐츠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방송 영상신호 및 컨텐츠 영상신호 상호간에 화면노출비율에 따른 스케일을 수행하여 화면노출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컨텐츠 영상을 제공하는 방송수신방법.
  19. 삭제
  20. 삭제
  21. 제18항에 있어서,
    컨텐츠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상기 단계는,
    사용자 입력장치로부터 검색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인터넷 망을 통하여 상기 검색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 데이터를 검출하고, 상기 컨텐츠 데이터를 이용하여 컨텐츠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컨텐츠 영상을 제공하는 방송수신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인터넷 망을 통하여 상기 검색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 데이터를 검출하고, 컨텐츠 데이터를 이용하여 컨텐츠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상기 단계는,
    인터넷 망을 통하여 컨텐츠 관리서버로 상기 검색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컨텐츠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검색정보와 연관된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영상을 제공하는 방송수신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정보는,
    웹 서버에 관한 도메인정보이고,
    상기 컨텐츠 데이터는,
    상기 웹 서버의 웹 페이지 데이터이고,
    인터넷 망을 통하여 상기 검색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 데이터를 검출하고, 컨텐츠 데이터를 이용하여 컨텐츠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웹 서버와 통신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웹 서버로부터 상기 웹 페이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영상을 제공하는 방송수신방법.
  24. 제18항에 있어서,
    방송 영상신호 및 컨텐츠 영상신호 상호간에 화면노출비율에 따른 스케일을 수행하여 화면노출신호를 생성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방송 영상신호 및 컨텐츠 영상신호 각각의 축소/확대/위치조정을 이용하여 상기 화면노출비율에 따른 화면노출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영상을 제공하는 방송수신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노출비율은,
    사용자 입력장치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영상을 제공하는 방송수신방법.
  26.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화면노출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합한 영상신호로 인코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영상을 제공하는 방송수신방법.
  27. 제18항, 제21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KR1020070122351A 2007-11-28 2007-11-28 컨텐츠 영상을 제공하는 방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 KR1008711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2351A KR100871159B1 (ko) 2007-11-28 2007-11-28 컨텐츠 영상을 제공하는 방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2351A KR100871159B1 (ko) 2007-11-28 2007-11-28 컨텐츠 영상을 제공하는 방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1159B1 true KR100871159B1 (ko) 2008-12-05

Family

ID=40371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2351A KR100871159B1 (ko) 2007-11-28 2007-11-28 컨텐츠 영상을 제공하는 방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115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1125A (ko) * 2003-11-27 2005-06-01 임성복 텔레비전영상 및 광고영상 합성 장치 및 광고영상 데이터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1125A (ko) * 2003-11-27 2005-06-01 임성복 텔레비전영상 및 광고영상 합성 장치 및 광고영상 데이터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58657B2 (en) Integration of control data into digital broadcast content for access to ancillary information
KR101313293B1 (ko) 방송콘텐츠의 부가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TW201145887A (en) Data feedback for broadcast applications
US20100199313A1 (en) Method of providing iptv service information, hybrid iptv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JP7058782B2 (ja) 受信装置
CN102088631B (zh) 数字电视节目直播和点播方法及相关装置和系统
KR101404251B1 (ko) 컨텐츠의 부가서비스 정보를 보조 단말기에 표시하는 시스템 및 방법
JP2005051716A (ja) 視聴調査システム、方法、視聴調査用プログラム、視聴調査端末およびサーバー
US20070074249A1 (en) Broadcasting system for providing program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KR101271086B1 (ko) 멀티미디어 시청시스템, 이에 포함되는 방송신호 수신장치, 이들을 이용하는 멀티미디어 시청방법, 방송신호 수신방법
KR100871159B1 (ko) 컨텐츠 영상을 제공하는 방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
US20120222079A1 (en) Information procesing apparatus,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6309061B2 (ja) 放送システム
JP2016092698A (ja) 受信装置、放送システム、受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382158B2 (ja) 一時蓄積の制御方法
JP6137754B2 (ja) 受信装置、受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279140B1 (ja) 受信装置
JP6279063B2 (ja) 受信装置、受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271083B1 (ko) 멀티미디어 시청시스템, 이에 포함되는 방송신호 수신장치, 이들을 이용하는 멀티미디어 시청방법, 방송신호 수신방법
JP6327711B2 (ja) 受信装置、放送システム、受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00107194A (ko)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영상 데이터 재생 방법
JP2019017100A (ja) 一時蓄積の制御方法
JP2018166339A (ja) 一時蓄積の制御方法
JP2018191327A (ja) 一時蓄積の制御方法
KR20090074659A (ko) 자막 정보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