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1125A - 텔레비전영상 및 광고영상 합성 장치 및 광고영상 데이터제공방법 - Google Patents

텔레비전영상 및 광고영상 합성 장치 및 광고영상 데이터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1125A
KR20050051125A KR1020030084859A KR20030084859A KR20050051125A KR 20050051125 A KR20050051125 A KR 20050051125A KR 1020030084859 A KR1020030084859 A KR 1020030084859A KR 20030084859 A KR20030084859 A KR 20030084859A KR 20050051125 A KR20050051125 A KR 200500511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ment
image
data
image data
providin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4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성복
Original Assignee
임성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성복 filed Critical 임성복
Priority to KR1020030084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51125A/ko
Publication of KR20050051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1125A/ko

Links

Landscapes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텔레비전이 설치된 장소마다 서로 다른 광고를 표시할 수 있게 해주고, 텔레비전에서의 광고영상 표시시간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각 광고주가 저렴한 비용으로 자신이 희망하는 타겟에 대해 광고를 시행할 수 있게 해주는 영상합성 장치. 영상합성 장치는 방송망을 통해 수신되는 텔레비전영상 신호와 인터넷과 같은 통신 네트웍을 통해 수신되는 광고영상 신호를 합성함으로써, 텔레비전영상과 광고영상이 합성된 영상이 표시장치를 통해 표시되도록 해준다. 제1 프레임 메모리는 제1 비디오 프레임을 저장한다. 네트웍 인터페이스부는 장치가 소정의 통신 네트웍을 통해 외부의 광고제공 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해준다. 제어부는 네트웍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광고제공 시스템으로부터 광고데이터를 받아들여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광고데이터로부터 광고영상 데이터 및 합성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합성부는 상기 합성 제어신호에 따라 제1 비디오 프레임에 광고영상 데이터를 합성하여, 합성된 영상 데이터를 출력한다.

Description

텔레비전영상 및 광고영상 합성 장치 및 광고영상 데이터 제공방법{Apparatus for Mixing Advertisement Images to Television Picture and Method of Providing Advertisement Image Data}
본 발명은 텔레비전 신호 수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 신호를 합성할 수 있는 텔레비전 신호 수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인터넷을 통한 정보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방송광고는 인쇄광고에 비해 표현 방법과 전달력이 다양하여 호소력이 강하기 때문에 효과적인 광고매체로서 주목받아왔다. 방송광고 중 가장 전형적인 것은 본 프로그램 방송 사이에 제공되는 프로그램 광고인데, 일부 국가에서는 방송 프로그램 사이에 제공되는 토막 광고(Station Break)가 허용되고 있기도 하다. 그밖에, 방송순서 고지시 또는 방송국 명칭 고지시 화면 하단에 자막으로 방송되는 자막광고 내지 배너광고도 방송광고의 한 형태를 이루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방송광고는 광고비가 비싸기 때문에 중소규모 사업자가 이용하기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방송광고에 따르면, 동일한 채널이 선국되어 있는 모든 텔레비전에 동일한 광고가 표시되기 때문에, 텔레비전마다 또는 설치장소가 유사한 텔레비전마다 서로 다른 광고가 표시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식당이나 은행, 미용실과 같은 업장에 설치된 텔레비전의 경우, 시청자의 몰입도가 높지 않아 광고 표시시간 비중을 높여도 문제가 없고 설치장소에 따라 광고효과를 높일 수 있는 광고의 종류가 서로 상이함에도 불구하고 획일적인 방식으로 광고영상이 표시되고 있기 때문에, 광고 효율이 극대화되지 않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텔레비전이 설치된 장소마다 서로 다른 광고를 표시할 수 있게 해주고, 텔레비전에서의 광고영상 표시시간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각 광고주가 저렴한 비용으로 자신이 희망하는 타겟에 대해 광고를 시행할 수 있게 해주는 텔레비전영상 및 광고영상 합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영상합성 장치에 대해 통신 네트웍을 통해 광고영상 데이터를 제공하여 영상합성 장치가 광고영상을 텔레비전영상에 혼합하여 표시할 수 있도록 해주는 광고영상 데이터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영상합성 장치는 방송망을 통해 수신되는 텔레비전영상 신호와 인터넷과 같은 유무선 통신 네트웍을 통해 수신되는 광고영상 신호를 합성함으로써, 텔레비전영상과 광고영상이 합성된 영상이 표시장치를 통해 표시되도록 해준다. 제1 프레임 메모리는 제1 비디오 프레임을 저장한다. 네트웍 인터페이스부는 장치가 통신 네트웍을 통해 외부의 광고제공 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해준다. 제어부는 네트웍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광고제공 시스템으로부터 광고데이터를 받아들여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광고데이터로부터 광고영상 데이터 및 합성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합성부는 상기 합성 제어신호에 따라 제1 비디오 프레임에 광고영상 데이터를 합성하여, 합성된 영상 데이터를 출력한다.
영상합성 장치는 사용자가 선국한 어느 한 채널의 방송신호를 선택하는 튜너와, 상기 선택된 방송신호를 복조하고 복호화하여 상기 제1 비디오 프레임을 복원하는 복조 및 복호화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영상합성 장치는 외부입력단자와, 상기 외부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제2 비디오 프레임을 저장하기 위한 제2 프레임 메모리를 더 구비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합성부는 상기 합성 제어신호에 따라 제1 및 제2 비디오 프레임과 광고영상 데이터를 합성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광고 네트웍 인터페이스 수단은, 상기 광고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실시간으로 광고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영상합성 장치가 켜져 있는 동안 광고제공 시스템과의 접속을 계속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고데이터에는 광고재생 시각이 포함되어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광고재생 시각이 도래하였을 때 광고영상 데이터 및 합성 제어신호를 합성부에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광고영상을 포함하는 합성영상이 소정의 표시장치를 통해 출력된 횟수를 포함하는 광고재생 실적 데이터가 추가적으로 영상합성 장치의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광고제공 시스템으로부터 광고데이터를 받아들여 저장부에 저장할 때 제어부는 상기 광고재생 실적 데이터를 광고제공 시스템에 보고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광고영상 데이터 제공방법은 텔레비전영상에 광고영상을 합성할 수 있는 영상합성 장치에 통신 네트웍을 통해 광고영상 데이터를 제공하는 광고제공 시스템에서 구현된다. 먼저, 시스템은 (a) 클라이언트 데이터단말기로부터 광고콘텐츠 데이터를 받아들이고 상기 광고콘텐츠 데이터를 제공할 영상합성 장치를 선택하도록 한 후, 광고콘텐츠 데이터와 선택된 영상합성 장치 정보를 소정의 저장수단에 저장한다. 그리고, 시스템은 (b) 광고콘텐츠 데이터와, 광고콘텐츠를 재생할 재생시간 데이터와, 텔레비전영상 및 광고영상을 합성하기 위한 합성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광고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c) 광고영상 데이터를 선택된 영상합성 장치에 제공함으로써, 선택된 영상합성 장치가 상기 재생시간에 상기 합성 제어정보에 따라 텔레비전영상 및 상기 광고영상을 합성하도록 하게 된다. 이때, 시스템은 광고재생 실적 데이터를 상기 선택된 영상합성 장치로부터 받아들일 수도 있다.
광고제공 시스템은 광고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때 광고영상 데이터를 전송할 복수의 선택된 영상합성 장치 목록을 작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광고제공 시스템은 전송 과정에 있어서 복수의 선택된 영상합성 장치 각각에 대해 순차적으로 접속 여부를 확인한 후 광고영상 데이터를 해당 영상합성 장치에 제공하게 된다. 그렇지만,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광고제공 시스템이 시스템에 새로 영상합성 장치가 접속할 때마다 상기 목록에 접속한 장치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확인한 후, 목록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광고영상 데이터를 제공하는 광고영상 데이터를 제공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영상합성 장치(30) 및 그 사용환경의 일 예를 보여준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영상합성 장치(30)는 텔레비전(40)과 별도로 제작되어 텔레비전(40)에 접속시켜 사용할 수 있는 셋톱박스 형태로 되어 있다. 영상합성 장치(30)는 방송망을 통해 방송국(10)으로부터 방송신호를 받아들이고, 인터넷을 통해 광고제공 시스템(20)으로부터 광고데이터를 받아들이며, 방송신호와 광고데이터를 합성하여 합성된 영상신호를 텔레비전(40)에 제공함으로써, 텔레비전(40)에 방송신호에 의한 영상 즉 텔레비전영상에 광고데이터에 의한 영상 즉 광고영상이 합성된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텔레비전영상이 축소되어 표시되고, 축소로 인해 여유가 생성되는 화면부분에 광고영상이 표시된다. 그렇지만,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광고영상이 텔레비전영상 중 일부분을 대체한 형태로 표시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의 실시예에 있어서, 방송망은 공중파, 케이블 텔레비전망, 또는 위성방송망, 인터넷 방송망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한편, 광고제공 시스템(20)은 인터넷을 통해 광고주 또는 대리점으로부터 광고 제작 및 편성 요청을 받아들이고 결제 프로세스를 수행하며, 제작된 광고데이터를 영상합성 장치(30)가 접속된 상태에서 영상합성 장치(30)에 제공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영상합성 장치(30)가 DSL 모뎀을 내장하고 있으며, 턴온과 동시에 광고제공 시스템(20)에 접속하여, 일정 시간주기마다 연결 상태를 체크하면서 턴오프될 때까지 광고제공 시스템(20)과의 접속을 유지하게 된다.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에 의해 텔레비전(40) 화면에 표시되는 광고영상의 예들을 보여준다.
가장 전형적인 광고 예에 있어서는, 도 2a에 있어서와 같이 텔레비전 영상이 축소되어 표시되고, 화면하단 부분에 배너 광고가 표시된다. 배너 광고는 단순한 텍스트 광고일 수도 있고, 예컨대 플래시(상표임) 동영상 형태로 되어 있을 수도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2a 및 도 2b의 예를 대비해보면 알 수 있듯이, 텔레비전 영상의 축소비율 즉, 텔레비전 영상과 광고영상의 비율이 광고영상 제작시 설정된 합성제어 정보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상기 텔레비전 영상과 광고영상의 비율은 0~100%까지 변동될 수 있고, 상기 비율이 0%인 경우에는 도 2c와 같이 텔레비전 방송 영상을 차단하고 전면광고 형태로 광고영상이 표시될 수도 있다. 다른 한편으로, 영상합성 장치(30)는 외부입력(AUX) 단자를 업장내에 마련된 PC에 접속시킴으로써, PC를 통해 입력되는 안내용 자막을 도 2d와 같이 영상에 합성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도 3은 영상합성 장치(30)의 일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튜너(50)는 안테나 또는 케이블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 중에서 사용자가 선국한 어느 한 채널의 방송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복조/복호화부(52)에 있어서,복조부(54)는 선택된 신호를 복조하고, 디멀티플렉서(56)는 복조된 신호를 디멀티플렉싱하여 부호화된 오디오 비트스트림 및 부호화된 비디오 비트스트림을 분리해낸다. 오디오 복호화부(58)는 부호화된 오디오 비트스트림을 복호화하여 오디오 비트스트림을 출력하고, 비디오 복호화부(60)는 부호화된 비디오 비트스트림을 복호화하여 비디오 비트스트림을 출력한다.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62)는 오디오 복호화부(58)로부터의 오디오 비트스트림을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한편, 예컨대 도 2c와 같이 전면광고 형태로 광고영상이 표시되는 경우에는, 광고제공 시스템(20)에 의해 제공된 광고음향이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62)를 통해 출력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합성부(66) 또는 제어부(74)의 제어 하에 멀티플렉서(미도시됨)가 오디오 복호화부(58)로부터의 오디오 비트스트림과 제어부(74)로부터의 음성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62)에 제공하게 된다.
제1 프레임 메모리(64)는 비디오 복호화부(60)로부터의 비디오 비트스트림을 프레임 단위로 저장하였다가 합성부(66)에 제공한다. 한편,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영상합성 장치(30)는 예컨대 PC에 접속될 수 있는 외부입력단자(68, AUX)를 구비하는데, 제2 프레임 메모리(64)는 외부입력단자(68)를 통해 입력되는 비디오 비트스트림을 프레임 단위로 저장하였다가 합성부(66)에 제공한다. 합성부(66)는 제1 및 제2 프레임 메모리(64, 70)로부터의 비디오 비트스트림과 제어부(74)로부터의 광고영상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합성하여 합성된 영상 데이터를 출력한다. 상기 합성부(66)는 FPGA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72)는 합성된 영상 데이터를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오디오 신호 및 비디오 신호는 각각 별도로 텔레비전(40)에 공급될 수도 있고, 합성된 신호 형태로 텔레비전(40)에 공급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74)는 예컨대 시그마디자인사(Sigma Designs Inc.)의 EM8550과 같이 CPU를 내장한 디지털 미디어 프로세서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ROM(76)은 제어부(74)를 구동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며, RAM(78)은 장치 동작 과정에서 발생되는 데이터를 임시 저장한다. 제어부(74)는 영상합성 장치(30)가 부팅된 직후 DSL 모뎀(80)이 광고제공 시스템(20)에 접속되도록 하고, 광고제공 시스템(20)으로부터 광고데이터 즉, 광고편성정보 및 광고콘텐츠 데이터가 수신되면 이를 디코딩하여 플래시메모리(82)에 저장한다. 광고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기억장치로 플래시메모리(82) 대신에 또는 이와 함께 하드디스크드라이브가 사용될 수도 있다. 다른 한편으로, 플래시메모리(82)에는 광고영상을 포함하는 합성영상이 텔레비전(40)을 통해 재생된 횟수를 포함하는 광고재생 실적 데이터가 추가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광고제공 시스템(20)으로부터 광고데이터를 받아들여 플래시메모리(82)에 저장할 때, 제어부(74)는 광고재생 실적 데이터를 광고제공 시스템(20)에 보고하여, 광고제공 시스템(20)이 광고 집행 현황을 모니터링하고 광고료를 배분함에 있어 참조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제어부(74)는 플래시메모리(82)에 저장된 광고편성정보 중 광고재생 시각이 도래한 광고콘텐츠 데이터를 독출하여 광고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합성 제어신호와 함께 합성부(66)에 제공하여 합성부(66)가 제1 및 제2 프레임 메모리(64, 70)로부터의 비디오 비트스트림과 합성하도록 하게 된다. 그밖에, 영상합성 장치(30)에는 장치 동작을 통제하기 위한 리모콘(84)과 외부 장치와의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예컨대 USB 인터페이스(86)를 추가적으로 구비한다.
영상 합성장치(30)에 광고데이터를 제공하는 광고제공 시스템(20)은 인터넷 상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서버를 근간으로 하여 구축된다. 이러한 광고제공 시스템(20)의 웹서버에는 광고 등록 및 광고데이터 전송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다수의 프로그램 모듈 및 데이터베이스가 마련되는데, 도 4는 이와 같이 광고제공 시스템(20)에 적재되는 프로그램 모듈 및 데이터베이스 테이블 구성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광고제공 시스템(20)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여준다. 광고제공 시스템(20)은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웹 서버를 토대로 구축되며, 광고 등록 및 광고데이터 전송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다수의 프로그램 모듈(150~156) 및 데이터베이스(120)를 구비한다. 프로그램 모듈들(22~38) 각각은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되는 웹문서들 내에 포함되는 서버 스크립트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고, 별도의 패키지 소프트웨어 또는 컴포넌트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먼저, 데이터베이스(120)에 있어서, 단말기 테이블(122)은 이용자 등록이 되어 있는 각 영상 합성장치(30)의 기기 자체 및 소유주에 대한 인적사항 정보를 저장한다. 아울러, 단말기 테이블(122)은 광고재생 실적 요약 데이터와, 단말기 광고 분석 데이터(예컨대 해당 단말기에서 재생된 광고에 대한 시청자 반응을 시스템 운영자 또는 대리점 운영자가 수집해서 분석하여 입력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광고편성 정보 테이블(124)은 이용자 등록이 되어 있는 각 영상 합성장치(30)별 광고편성 정보를 저장한다. 단말기 광고실적 테이블(126)은 각 영상 합성장치(30)에서 업로드된 광고재생 실적 데이터를 저장한다. 다운로드 스케줄 테이블(128)은 향후 단기간 내에 각 영상 합성장치(30)에 다운로드할 광고데이터의 편성정보를 저장한다.
광고주 테이블(130)은 각 광고주에 대한 정보와 해당 광고주와 관련하여 생성된 광고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본 발명의 구현과정의 일 예를 살펴보면, 시스템 운영자 또는 그 밖의 총괄 사업자는 지역별 대리점을 통해 영상 합성장치(30)를 판매하고 이들 대리점을 통해 광고를 수주할 수 있는데, 대리점 테이블(132)은 이러한 대리점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대리점 판매실적 테이블(134)은 각 대리점별 기기 판매 실적 및 광고 판매 실적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광고료 정산내역 테이블(136)은 광고주들이 결제한 광고료의 배분에 활용할 기초 데이터를 저장한다.
그밖에, 광고제공 시스템(20)은 각 영상 합성장치(30)에 제공할 예정이거나 이미 제공한 다수의 광고콘텐츠(140)를 저장하는데, 광고콘텐츠의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프로그램 모듈들(150~156) 중 이용자 인증부(150)는 광고제공 시스템(20)에 로그인하고자 하는 각 이용자가 대리점 운영자, 영상 합성장치(30) 사용자 또는 광고주와 같이 이전에 적법하게 이용자등록을 행한 사람인지 여부를 인증하며, 새로운 이용자에 대한 이용자등록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광고 등록부(152)는 시스템 운영자, 대리점 운영자 또는 광고주의 요청에 응답하여 이들이 새로운 광고콘텐츠 또는 광고콘텐츠 제작 관련 정보를 등록할 수 있게 해준다. 광고편성부(154)는 새로이 생성되는 광고콘텐츠마다 해당 광고영상을 제공할 영상 합성장치(30)들을 선정하고, 편성정보를 데이터베이스(120)의 광고편성 정보 테이블(124) 및 다운로드 스케줄 테이블(128)에 저장한다. 다운로드 및 실적등록부(156)는 다운로드 스케줄 테이블(128)에 등록되어 있는 다운로드 스케줄에 따라 각 영상 합성장치(30)에 광고데이터를 다운로드하고, 해당 장치로부터 광고재생 실적 데이터를 받아들여 단말기 광고실적 테이블(126)에 저장한다.
광고료 정산부(36)는 광고료 정산내역 테이블(134)에 저장된 데이터를 토대로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광고주들이 지급한 광고료 중 일부를 대리점 및/또는 영상 합성장치(30) 사용자들에게 배분한다.
도 5a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있어서 광고제공 시스템(20)이 영상합성 장치(30)에 제공하는 광고데이터의 포맷의 일 예를 보여준다. 광고데이터는 실제 광고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광고콘텐츠 데이터와, 광고콘텐츠의 재생 정보를 담고 있는 광고 편성정보 데이터를 포함한다. 광고 편성정보 데이터는 해당 광고콘텐츠가 반복광고를 위한 것인지 일회성광고를 위한 것인지에 따라 구성을 달리하는데, 도 5a는 반복광고 편성정보의 프레임 구성의 일 예를 보여주고, 도 5b는 일회성광고 편성정보의 프레임 구성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복광고 편성정보 프레임은 해당 광고의 시작일자 및 종료일자와, 재생시작 시각, 해당 편성정보에 대해 부여되는 편성정보 일련번호, 광고콘텐츠에 대해 부여되는 광고일련번호, 및 합성모드 데이터가 포함된다. 여기서, '합성모드' 데이터는 위에서 언급한 텔레비전 영상과 광고영상간의 화면구성비와 같은 재생제어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합성모드 데이터는 편성정보 프레임이 아닌 해당 광고콘텐츠 프레임에 포함될 수도 있다. 한편,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회성광고 편성정보 프레임은 해당 광고의 광고일자, 해당 편성정보에 대해 부여되는 편성정보 일련번호, 광고콘텐츠에 대해 부여되는 광고일련번호, 및 합성모드 데이터가 포함된다.
도 6은 광고콘텐츠 프레임 구성의 일 예를 보여준다. 광고콘텐츠 프레임은 광고일련번호와, 광고종류 정보와, 광고영상 데이터를 포함한다. 광고콘텐츠 프레임 내에 있는 광고일련번호는 해당 편성정보 프레임의 광고일련번호와 동일하게 부여되어 상호간에 참조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광고종류 정보는 해당 광고콘텐츠가 배너광고인지 아니면 전면광고인지 여부, 노출시간 정보, 일반광고/자체광고/교환광고 중 어느 것인지 여부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광고제공 시스템(20) 및 영상합성 장치(30)의 동작을 설명한다. 일 응용예에 있어서, 광고제공 시스템(20) 운영자는 대리점을 통해 단말기 즉 영상합성 장치(30)를 판매하고, 직접 또는 대리점 운영자를 통해 광고를 수주한다. 광고주의 범위에는 제한이 없는데,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는, 영상합성 장치(30)를 설치한 이용자 본인이 자체업소에 광고를 하기 위해 광고를 요청할 수도 있고, 영상합성 장치(30) 설치업소들끼리 상호간의 광고가 교차되어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자체광고 또는 교환광고의 경우 영상합성 장치(30) 설치업주가 직접 광고제공 시스템(20)에 접속하여 광고를 등록할 수도 있다.
도 7은 광고제공 시스템(20)에 있어서의 광고 등록 과정을 보여준다. 먼저, 광고를 등록하고자 하는 대리점 운영자 또는 광고주는 이용자 인증 프로세스가 수행된 후(제200단계), 광고하고자 하는 문구 또는 광고영상으로 제시하고자 하는 이미지 파일 등을 등록하고 광고 기간 등을 정한 후, 광고 대상 단말기 즉 대상 업장을 선택하게 된다(제202단계, 제204단계). 이때, 어느 하나의 단말기만이 광고 대상 단말기로 선택될 수도 있고, 교환광고를 하기로 약정된 그룹이 선택될 수도 있다. 광고 내용, 시기 및 대상이 확정되면, 광고제공 시스템(20)은 해당 광고에 대해 도 6과 같은 형태의 광고콘텐츠 프레임을 구성하여 자체 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하고, 도 5a 또는 도 5b의 편성정보 프레임을 구성하여 이를 광고편성 정보 테이블(124)에 저장한다(제206단계). 그 다음, 광고등록을 수행하는 대리점 운영자 또는 광고주는 광고료를 결제하게 되며(제208단계), 이후 광고제공 시스템(20)은 DB(120)의 다운로드 스케줄 테이블(128)에 해당 편성정보를 각 대상단말기에 대해 별도로 저장한 후 등록 절차를 종료하게 된다.
광고가 등록된 상태에서 광고제공 시스템(20)은 다운로드 스케줄 테이블(128)에 따라 광고데이터를 대상 영상합성 장치(30)들에 다운로드한다. 도 8은 광고제공 시스템(20)에 있어서의 광고데이터 다운로드 과정을 보여준다. 먼저 광고제공 시스템(20)은 다운로드할 광고데이터가 존재하는지를 다운로드 스케줄 테이블(128)에서 확인한다(제210단계). 만약 다운로드할 광고데이터가 존재한다면, 광고제공 시스템(20)은 대상 단말기를 확인하고(제212단계), 해당 단말기가 시스템에 접속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제214단계). 해당 단말기가 시스템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 광고제공 시스템(20)은 접속이 유효한 것인지 재인증한 후 광고데이터 즉, 편성정보 프레임 및 광고콘텐츠 프레임을 단말기에 전송한다. 아울러, 이 과정에서 광고제공 시스템(20)은 해당 단말기에 광고재생 실적 데이터를 요구하여 받아들이고 이를 단말기 광고실적 테이블(126)에 저장한다(제216단계). 다운로드 스케줄 상의 모든 레코드에 상응하여 광고데이터 다운로드가 완료되고 광고재생 실적 데이터 업로드가 완료될 때까지 제210단계 내지 제216단계가 계속된다. 한편, 제214단계에서 광고데이터를 다운로드하고자 하는 대상 단말기가 시스템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해당 단말기에 대한 다운로드는 다음으로 연기된다.
도 8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광고제공 시스템(20)이 다운로드 스케줄 테이블(128)에 따라 모든 단말기에 대해 광고데이터를 일괄해서 다운로드하게 되지만, 이러한 실시예가 변형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각 단말기 즉 영상합성 장치(30)가 접속할 때마다 광고제공 시스템(20)이 해당 단말기에 다운로드할 광고데이터가 있는지를 판단하고 다운로드 절차를 수행할 수도 있다. 도 9는 이와 같은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9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먼저 광고제공 시스템(20)이 지속적으로 새로운 단말기에 대한 접속 세션이 형성되었는지를 판단하고(제220단계), 새로운 단말기가 접속된 경우 해당 단말기에 다운로드할 광고데이터가 있는지를 데이터베이스(120)에서 검색한다(제222단계). 다운로드할 광고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광고제공 시스템(20)은 모든 광고데이터를 단말기에 다운로드하고 해당 단말기로부터 광고재생 실적 데이터를 받아들여 저장한다(제224단계).
도 10은 영상합성 장치(30)에 있어서의 광고영상 재생 과정을 보여준다. 영상합성 장치(30)의 제어부(74)는 플래시메모리(82)에 저장된 광고스케줄을 검색하여(제250단계), 방송시각이 도래한 광고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계속 모니터링한다(제252단계). 방송시각이 도래한 광고가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74)는 해당 광고에 대한 광고영상 데이터 및 합성 제어정보를 추출하여 합성부(66)에 제공하고, 이에 따라 합성부(66)는 제1 및/또는 제2 프레임 메모리(64, 70)에 저장된 영상데이터에 광고영상 데이터를 합성하고, 텔레비전(40)에 합성된 영상이 출력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이상의 설명에서는 텔레비전 수상기와 별개로 마련되는 셋톱박스를 통해 본 발명이 구현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장치가 텔레비전 수상기에 합체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도 2에 있어서 오디오 신호는 곧바로 스피커로 출력되며, 비디오 신호는 CRT, LCD 또는 PDP와 같은 표시부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텔레비전이 설치된 장소마다 서로 다른 광고를 표시할 수 있게 되고, 텔레비전에서의 광고영상 표시시간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각 광고주가 저렴한 비용으로 자신이 희망하는 타겟에 대해 광고를 시행할 수 있게 해준다는 효과가 있다. 업장에 영상합성 장치를 설치한 업장주들의 입장에서도, 시스템 운영자를 통해 광고수익금을 배분받을 수 있게 됨은 물론, 고객들에게 자체업소의 광고 기회를 증대시킬 수 있게 되고, 타업소와의 교환광고를 통해 추가적인 광고기회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영상합성 장치 및 그 사용환경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에 의해 텔레비전 화면에 표시되는 광고영상의 예들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영상합성 장치의 일 실시예의 블록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광고제공 시스템에 적재되는 프로그램 모듈 및 데이터베이스 테이블 구성의 일 예를 보여주는 블록도.
도 5a는 반복광고 편성정보의 프레임 구성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5b는 일회성광고 편성정보의 프레임 구성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광고콘텐츠의 프레임 구성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광고제공 시스템에 있어서의 광고 등록 과정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흐름도.
도 8은 광고제공 시스템에 있어서의 광고데이터 다운로드 과정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흐름도.
도 9는 광고제공 시스템에 있어서의 광고데이터 다운로드 과정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흐름도.
도 10은 영상합성 장치에 있어서의 광고영상 재생 과정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흐름도.

Claims (11)

  1. 제1 비디오 프레임을 저장하기 위한 제1 프레임 메모리;
    통신 네트웍을 통해 외부의 광고제공 시스템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웍 인터페이스부;
    광고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상기 네트웍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광고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광고데이터를 받아들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광고데이터로부터 광고영상 데이터 및 합성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합성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비디오 프레임에 상기 광고영상 데이터를 합성하여, 합성된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합성부;
    를 구비하는 영상합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선국한 어느 한 채널의 방송신호를 선택하는 튜너; 및
    상기 선택된 방송신호를 복조하고 복호화하여 상기 제1 비디오 프레임을 복원하는 복조 및 복호화부;
    를 더 구비하고,
    상기 통신 네트웍이 인터넷인 영상합성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외부입력단자; 및
    상기 외부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제2 비디오 프레임을 저장하기 위한 제2 프레임 메모리;
    를 더 구비하고,
    상기 합성부가 상기 합성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비디오 프레임과 상기 광고영상 데이터를 합성하는 영상합성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웍 인터페이스 수단은 상기 영상합성 장치가 켜져 있는 동안 상기 광고제공 시스템과의 접속을 유지하는 영상합성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가 플래시메모리 또는 하드디스크드라이브인 영상합성 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데이터에 광고재생 시각이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광고재생 시각이 도래하였을 때 상기 광고영상 데이터 및 상기 합성 제어신호를 상기 합성부에 제공하는 영상합성 장치.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가 상기 광고영상을 포함하는 합성영상이 소정의 표시장치를 통해 출력된 횟수를 포함하는 광고재생 실적 데이터를 추가적으로 저장하며,
    상기 제어부가
    상기 광고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광고데이터를 받아들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할 때 상기 광고재생 실적 데이터를 상기 광고제공 시스템에 보고하는 프로그램;
    을 구비하는 영상합성 장치.
  8. 텔레비전영상에 광고영상을 합성할 수 있는 영상합성 장치에 통신 네트웍을 통해 광고영상 데이터를 제공하는 광고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a) 클라이언트 데이터단말기로부터 광고콘텐츠 데이터를 받아들이고 상기 광고콘텐츠 데이터를 제공할 상기 영상합성 장치를 선택하도록 한 후, 상기 광고콘텐츠 데이터와 상기 선택된 영상합성 장치 정보를 소정의 저장수단에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광고콘텐츠 데이터와, 상기 광고콘텐츠를 재생할 재생시간 데이터와, 상기 텔레비전영상 및 상기 광고영상을 합성하기 위한 합성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광고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광고영상 데이터를 상기 선택된 영상합성 장치에 제공함으로써, 상기 선택된 영상합성 장치가 상기 재생시간에 상기 합성 제어정보에 따라 상기 텔레비전영상 및 상기 광고영상을 합성하도록 하는 단계;
    를 구비하는 광고영상 데이터 제공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가
    상기 광고영상을 포함하는 합성영상이 출력된 횟수를 포함하는 광고재생 실적 데이터를 상기 선택된 영상합성 장치로부터 받아들이는 단계;
    를 구비하는 광고영상 데이터 제공방법.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상기 광고영상 데이터를 전송할 복수의 선택된 영상합성 장치 목록을 작성하고,
    상기 (c)단계에서, 상기 복수의 선택된 영상합성 장치 각각에 대해 순차적으로 접속 여부를 확인한 후 상기 광고영상 데이터를 해당 영상합성 장치에 제공하는 광고영상 데이터 제공방법.
  11.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상기 광고영상 데이터를 전송할 복수의 선택된 영상합성 장치 목록을 작성하고,
    상기 (c)단계가
    (c1) 상기 시스템에 새로 영상합성 장치가 접속하며, 상기 목록에 접속한 장치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c2) 상기 목록에 상기 접속한 장치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접속한 장치에 대해 상기 광고영상 데이터를 제공하는 광고영상 데이터 제공방법.
KR1020030084859A 2003-11-27 2003-11-27 텔레비전영상 및 광고영상 합성 장치 및 광고영상 데이터제공방법 KR200500511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4859A KR20050051125A (ko) 2003-11-27 2003-11-27 텔레비전영상 및 광고영상 합성 장치 및 광고영상 데이터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4859A KR20050051125A (ko) 2003-11-27 2003-11-27 텔레비전영상 및 광고영상 합성 장치 및 광고영상 데이터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1125A true KR20050051125A (ko) 2005-06-01

Family

ID=38666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4859A KR20050051125A (ko) 2003-11-27 2003-11-27 텔레비전영상 및 광고영상 합성 장치 및 광고영상 데이터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51125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2640B1 (ko) * 2006-03-03 2008-03-13 콜투게더 주식회사 광고 또는 자막의 표시장치
KR100871159B1 (ko) * 2007-11-28 2008-12-05 서진호 컨텐츠 영상을 제공하는 방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
KR100873734B1 (ko) * 2007-10-16 2008-12-12 남기원 Iptv의 광고 출력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0068658A3 (en) * 2008-12-10 2011-05-05 Google Inc. Estimating reach and frequency of advertisements
US9736432B2 (en) 2009-11-30 2017-08-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dentifying popular network video segments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2640B1 (ko) * 2006-03-03 2008-03-13 콜투게더 주식회사 광고 또는 자막의 표시장치
KR100873734B1 (ko) * 2007-10-16 2008-12-12 남기원 Iptv의 광고 출력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71159B1 (ko) * 2007-11-28 2008-12-05 서진호 컨텐츠 영상을 제공하는 방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
WO2010068658A3 (en) * 2008-12-10 2011-05-05 Google Inc. Estimating reach and frequency of advertisements
US8087041B2 (en) 2008-12-10 2011-12-27 Google Inc. Estimating reach and frequency of advertisements
US9736432B2 (en) 2009-11-30 2017-08-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dentifying popular network video segments
US10397522B2 (en) 2009-11-30 2019-08-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dentifying popular network video segmen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42488B2 (en) Method for combining data signals and video signals for transmission to video display units
US588995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ribution of broadcast data
CA2406778C (en) Providing content interruptions
TW492251B (en) System for personal advertising
US8893179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viding and presenting customized channel information
CN1711759A (zh) 在一个电视平台中并发地呈现多个内容类型的方法
US20030005437A1 (en) Networked broadcasting system with demographically controlled advertisement selection
US20030204844A1 (en) Video messaging system
KR100628077B1 (ko) 디지털 티브이의 광고 음악 제공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JP5248239B2 (ja) 配信システム、配信システムのサーバ、配信システムの端末、配信方法
JP2006527556A (ja) 対話式テレビジョンシステム
BR102013023832A2 (pt) localização automática de anúncio
JP2001036873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媒体
KR20050051125A (ko) 텔레비전영상 및 광고영상 합성 장치 및 광고영상 데이터제공방법
US20120151523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istributing User-Generated Advertisements in a Video Content Distribution Network
JP7038650B2 (ja) 送信装置及び送信方法
JP7099947B2 (ja) 送受信システム及び送受信方法
CN101535988A (zh) 控制或访问数字内容的方法
KR20020007513A (ko) 인터넷 방송에서의 광고방법
KR100538146B1 (ko) 데이터 방송의 프로토콜 시스템을 이용한 컨텐츠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WO2020125787A1 (zh) 接收装置及接收方法、发送装置及发送方法、以及收发系统及收发方法
KR101302252B1 (ko) 시청자가 설정한 채널을 통한 관심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CN112243589A (zh) 接收装置及接收方法、收发系统及由收发系统执行的方法、录像播放装置及录像播放方法
Marsh I've decided to advertise on TV: Now what do I do?
KR20080069880A (ko) 셋톱박스를 이용한 광고 정보 출력 방법 및 시스템과 광고출력기능이 구비된 셋톱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801 Dismissal of trial

Free format text: REJECTION OF TRIAL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60306

Effective date: 20060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