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7369A - 액정표시장치의 데이터 보정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의 데이터 보정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7369A
KR20090097369A KR1020080022455A KR20080022455A KR20090097369A KR 20090097369 A KR20090097369 A KR 20090097369A KR 1020080022455 A KR1020080022455 A KR 1020080022455A KR 20080022455 A KR20080022455 A KR 20080022455A KR 20090097369 A KR20090097369 A KR 200900973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riable
value
memory
variable valu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2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영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22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97369A/ko
Publication of KR20090097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73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4Drivers integrated on the active matrix substrat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7Details of the operation on graphic patterns
    • G09G5/373Details of the operation on graphic patterns for modifying the size of the graphic patter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의 데이터 보정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액정표시장치의 데이터 보정장치는 제1 변수값이 저장된 메모리; 상기 제1 변수값에 근거하여 상기 제2 변수값을 생성하는 변수 생성부; 및 상기 제1 변수값과 상기 제2 변수값을 이용하여 액정표시패널에 표시될 데이터를 보정하는 보정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의 데이터 보정장치 및 방법{DATA COMPENSATING APPARATUS AND METHOD IN LIQUID CRYSTAL DISPLAY}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의 데이터 보정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표시장치는 시각정보의 전달매체로서 각종 정보기기나 사무기기 등에 적용되고 있다. 액정표시장치는 전자제품의 경박단소 추세를 만족할 수 있고 양산성이 향상되고 있어 많은 응용분야에서 음극선관을 빠른 속도로 대체하고 있다. 특히, 박막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 이하, "TFT"라 한다)를 이용하여 액정셀을 구동하는 액티브 매트릭스 타입의 액정표시장치는 화질이 우수하고 소비전력이 낮은 장점이 있으며, 최근의 양산기술 확보와 연구개발의 성과로 대형화와 고해상도화로 급속히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에서 화질을 높이기 위하여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 예로, 데이터를 보정하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액정표시장치에 입력되는 보정 알고리즘을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화하거나 모든 계조의 변수값들을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여야 한다.
액정표시장치의 제조 과정에서 공정 및 재료의 특성치 산포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동일 공정을 적용하더라도 모든 제품에 대하여 동일한 스펙의 특성치를 얻을 수 없다. 보정 알고리즘을 ASIC화하면, 제조 공정상의 이유로 모델 스펙(specification)의 특성치 산포(Variation)가 발생하여 그 스펙의 허용범위를 넘는 제품에 대해서는 ASIC화한 칩으로 보정이 불가능하다. 액정표시장치의 특성치를 보완하기 위하여 색온도와 감마를 보정할 수 있는 알고리즘이 회로로 구성되고, 양산 적용을 위해서는 ASIC화되어야 한다. ASIC화한 회로에는 제품 특성에 따라 변수값을 가변할 필요가 있는 데이터들을 저장할 EEPROM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한다. 그런데 이 메모리는 큰 메모리 용량을 필요로 한다. 예를 들면, 전 계조에서 각각 10 bit인 R, G, B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한다면 그 메모리의 용량은 1,024(계조)*10 bit*3(RGB) ≒ 30K bits에 이른다. 이렇게 큰 메모리 용량은 제품의 코스트를 상승시키는 주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발명으로써 가변 가능한 변수값이 저장되는 메모리의 용량을 줄이도록 한 액정표시장치의 데이터 보정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데이터 보정장치는 제1 변수값이 저장된 메모리; 상기 제1 변수값에 근거하여 상기 제2 변수값을 생성하는 변수 생성부; 및 상기 제1 변수값과 상기 제2 변수값을 이용하여 액정표시패널에 표시될 데이터를 보정하는 보정부를 구비한다.
상기 메모리는 상기 제1 변수값과 함께 부호 코드와 차값을 저장한다.
상기 보정부는 상기 제1 및 제2 변수값들을 이용하여 상기 액정표시패널에 표시될 데이터를 보정한다.
상기 메모리는 상기 제1 변수값과 함께 부호 코드를 저장한다.
상기 변수 생성부는 n(n은 양의 정수) 이하의 계조들에 각각 대응하는 상기 제1 변수값들의 누적값에 계조 'n+1'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변수값을 상기 부호 코드에 따라 가산하거나 감산하여 상기 제2 변수값을 생성한다.
상기 변수 생성부는 상기 부호코드에 따라 상기 제1 변수값에 상기 차값을 가산하거나 상기 제1 변수값에 상기 차값을 감산하여 제2 변수값을 생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데이터 보정방법은 상기 제1 변수값에 근거하여 상기 제2 변수값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변수값과 상기 제2 변수값을 이용하여 상기 액정표시패널에 표시될 데이터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데이터 보정장치 및 방법은 메모리에 저장된 변수값에 기초하여 다른 변수값을 생성함으로써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양을 줄여 메모리 용량을 줄일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표시패널(10), 타이밍 콘트롤러(11), 데이터 구동회로(12), 및 게이트 구동회로(13)를 구비한다.
액정표시패널(10)은 두 장의 유리기판 사이에 액정층이 형성된다. 이 액정표시패널(10)은 m 개의 데이터라인들(14)과 n 개의 게이트라인들(15)의 교차 구조에 의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m×n 개의 액정셀들(Clc)을 포함한다.
액정표시패널(10)의 하부 유리기판에는 데이터라인들(14), 게이트라인들(15), TFT들,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Cst)가 형성된다. 액정셀들(Clc)은 TFT에 접속되어 화소전극들(1)과 공통전극(2) 사이의 전계에 의해 구동된다. 액정표시패널(10)의 상부 유리기판 상에는 블랙매트릭스, 컬러필터 및 공통전극(2)이 형성된다. 공통전극(2)은 TN(Twisted Nematic) 모드와 VA(Vertical Alignment) 모드와 같은 수직전계 구동방식에서 상부 유리기판 상에 형성되며, IPS(In Plane Switching) 모드와 FFS(Fringe Field Switching) 모드와 같은 수평전계 구동방식에서 화소전극(1)과 함께 하부 유리기판 상에 형성된다. 액정표시패널(10)의 상부 유리기판과 하부 유리기판 상에는 편광판이 부착되고 액정과 접하는 계면에 액정의 프리틸트각(pre-tilt angle)을 설정하기 위한 배향막이 형성된다.
타이밍 콘트롤러(11)는 수직/수평 동기신호(Vsync, Hsync),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 및 클럭신호(CLK) 등의 타이밍신호를 입력받아 데이터 구동회로(12), 및 게이트 구동회로(13)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들(DCS, GCS)을 발생하고, 데이터 구동회로(12)에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를 공급한다. 또한, 타이밍 콘트롤러(11)는 색온도, 감마, 액정의 응답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입력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의 각 계조별로 부여된 변수들이 저장되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한다. 비화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변수들은 가변 가능한 데이터이다. 따라서, 비화발성 메모리는 변수들이 소거 또는 업데이트될 수 있도록 EEPROM 등의 메모리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타이밍 콘트롤러(11)는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변수와, 그 변수에 기초하여 보간된(interpolation) 다른 변수를 이용하여 데이터 구동회로(12)에 공급될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를 보정하여 보정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를 발생한다. 한편, 비휘발성 메모리는 타이밍 콘트롤러(11)와 분리된 상태로 타이밍 콘트롤러(11)에 변수들을 공급할 수도 있다.
데이터 구동회로(12)는 타이밍 콘트롤러(11)의 제어 하에 보정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를 래치한다. 그리고 데이터 구동회로(12)는 타이밍 콘트롤러(11)의 제어 하에 보정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를 아날로그 정극성/부극성 감마보 상전압으로 변환하여 그 전압을 아날로그 데이터전압으로써 데이터라인들(14)에 공급한다.
게이트 구동회로(13)는 타이밍 콘트롤러(11)의 제어 하에 게이트 펄스 즉, 스캔펄스를 게이트라인들(15)에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도 2는 타이밍 콘트롤러(11)에 내장된 데이터 보정장치의 제1 실시예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보정장치는 메모리(21), 변수 생성부(22) 및 보정부(23)를 구비한다.
메모리(21)에는 계조별마다 최적값으로 할당된 다수의 제1 변수들(DV1), 제1 변수들(DV1) 각각에 할당된 다수의 차 데이터들(Diff), 및 각 계조마다 할당된 다수의 부호 코드들(+/-)이 저장된다.
변수 생성부(22)는 메모리(21)와 보정부(23) 사이에 접속되어 메모리(21)로부터의 부호 코드(+/-)에 따라 제1 변수와 차 데이터(Diff)를 가산 또는 감산하여 제2 변수들(DV2)을 생성한다. 그리고 변수 생성부(22)는 제1 및 제2 변수들(DV1, DV2)을 보정부(23)에 공급한다.
보정부(23)는 미리 결정된 보정 알고리즘에 따라 제1 및 제2 변수들(DV1, DV2)을 이용하여 입력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를 보정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보정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데이터 보정방법은 메모리(21)에 저장된 제1 변수(DV1), 차 데이터(Diff) 및 부호 코드(+/-)를 읽어 들인다. 그리고 데이터 보정방법은 부호 코드(+/-)가 '+'를 지시하는 코드 '0'이면 제1 변수(DV1)에 차 데이터(Diff)를 가산하여 제2 변수(DV2)를 생성한다. 데이터 보정방법은 부호 코드(+/-)가 '-'를 지시하는 코드 '1'이면 제1 변수(DV1)에 차 데이터(Diff)를 감산하여 제2 변수(DV2)를 생성한다.
이어서, 데이터 보정방법은 미리 셋팅된 보정 알고리즘에 따라 제1 및 제2 변수(DV1, DV2)에 기초하여 입력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보정한다. 여기서 보정 알고리즘은 색온도특성, 감마특성, 및 액정의 응답특성 등 화질에 관계된 특성들 중 하나 이상의 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1 및 제2 변수(DV1, DV2)를 이용한다. 보정 알고리즘이 색온도특성을 보정하기 위한 알고리즘이라면 제1 변수(DV1)는 R 보정값, 제2 변수(DV2)는 G 보정값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G 보정값에 대응하는 제3 변수가 필요하나 실시예와 도면에서 제3 변수를 생략한다. 제3 변수는 제1 및 제2 변수 중 어느 하나와 차 데이터(Diff) 및 부호 코드(+/-)를 이용하여 전술한 제2 변수 생성방법과 같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으로 생성될 수 있다. 보정 알고리즘이 색온도특성을 보정하기 위한 알고리즘과 감마특성을 보정하기 위한 알고리즘이라면 제1 변수(DV1)는 색온도특성을 보정하기 위한 R, G 및 B 중 어느 하나의 변수로 될 수 있고, 제2 변수(DV2)는 제1 변수(DV1), 차 데이터(Diff) 및 부호 코드(+/-)를 이용하여 전술한 제2 변수 생성방법과 같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으로 생성되어 감마특성을 보정하기 위한 변수로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2 변수를 생성하면, 차 데이터(Diff)와 부호 코드(+/-)의 총 비트 코드값이 제2 변수(DV2)의 비트 코드값보다 작기 때문에 메모리(21)의 용량을 줄일 수 있다. 이 러한 예들 중 하나는 도 4와 같다.
도 4를 참조하면, 보정부(23)에서 이용되는 최종 변수들(DV1, DV2)이 좌측의 표와 같고, 메모리(21)에는 우측의 표와 같은 데이터들이 저장된다고 가정한다. 메모리(21)에 저장된 제1 변수들(DV1)이 계조 '1'에 할당된 '10', 계조 '2'에 할당된 '20', 계조 '3'에 할당된 '30'을 포함하고, 보정부(23)에서 이용되는 제2 변수들(DV2)은 계조 '1'에 할당된 '12', 계조 '2'에 할당된 '23', 계조 '3'에 할당된 '28'을 포함한다면, 메모리(21)에 저장되는 차 데이터들(Diff)은 계조 '1'에서 |10-12|=2, 계조 '2'에서 |20-23|=3, 계조 '3'에서 |30-28|=2를 포함한다. 그리고 메모리(21)에 저장되는 부호 코드(+/-)는 계조 '1'에서 '+'를 지시하는 '0', 계조 '2'에서 '+'를 지시하는 '0', 계조 '3'에서 '-'를 지시하는 '1'을 포함한다.
제2 변수(DV2)는 제1 변수(DV1)에 차 데이터(Diff)를 가산하거나 감산한 값을 발생된다. 여기서, 가산이나 감산은 부호 코드(+/-)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계조 '1'에 대응하는 제2 변수(DV2)는 10+2=12, 계조 '2'에 대응하는 제2 변수(DV2)는 20+3=23, 계조 '3'에 대응하는 제2 변수(DV2)는 30-2=28로 각각 생성된다.
도 4와 같이 차 데이터(Diff)와 부호 코드(+/-)를 합한 값보다 제2 변수들(DV2)의 값이 더 크다. 따라서, 메모리(21)에 제2 변수(DV2) 대신에 차 데이터(Diff)와 부호 코드(+/-)를 저장하면 메모리 용량이 줄어들 수 있다.
도 5는 타이밍 콘트롤러(11)에 내장된 데이터 보정장치의 제2 실시예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보정장치는 메모리(51), 누적값 산출부(52), 변수 생성부(53) 및 보정부(54)를 구비한다.
메모리(51)에는 기준 계조에 근거하여 최적화된 값보다 낮은 값으로 각 계조마다 할당된 제1 변수들(DV1'), 기준 계조에 근거하여 최적화된 값보다 낮은 값으로 각 계조마다 할당된 제2 변수들(DV2'), 및 각 계조마다 할당된 다수의 부호 코드들(+/-)이 저장된다.
누적값 산출부(52)는 계조 'n(n은 양의 정수)' 이하의 계조까지 제1 변수들(DV1')과 제2 변수들(DV1')의 합으로 누적값(∑DV1'(n), ∑DV2'(n))을 계산하여 그 누적값들과 함께 제1 및 제2 변수(DV1', DV2'), 부호 코드들(+/-)을 변수 생성부(53)에 공급한다.
누적값 산출부(52)는 계조 'n(n은 양의 정수)' 이하의 계조까지 제1 변수들(DV1')의 변수값을 합한 값으로 누적값(∑DV1'(n))을 계산하고, 계조 'n' 이하의 계조까지 제2 변수들(DV2')의 변수값을 합한 값으로 누적값(∑DV2'(n))을 계산한다. 그리고 누적값 산출부(52)는 누적값들(∑DV1'(n), ∑DV2'(n))과 함께 제1 및 제2 변수(DV1', DV2'), 부호 코드들(+/-)을 변수 생성부(53)에 공급한다.
변수 생성부(53)는 누적값 산출부(52)와 보정부(54) 사이에 접속되어 누적값 산출부(52)로부터의 계조 'n' 이하의 제1 누적값(∑DV1'(n))에 계조 'n+1'의 제1 변수(DV1'(n+1))를 가산 또는 감산하여 계조 'n+1'의 최종 제1 변수(DV1)를 발생한다. 그리고 변수 생성부(53)는 계조 'n' 이하의 제2 누적값(∑DV2'(n))에 계조 'n+1'의 제2 변수(DV2'(n+1))를 가산 또는 감산하여 계조 'n+1'의 최종 제2 변 수(DV2)를 발생한다. 변수 생성부(53)는 부호 코드(+/-)에 따라 각 계조마다 누적값(∑DV1'(n), ∑DV2'(n))에 1차 변수들(DV1'(n+1), DV2'(n+1))을 가산할지 아니면 감산할지를 결정한다.
메모리(51)에 저장된 계조 'n'의 1차 변수들(DV1'(n+1), DV2'(n+1))은 계조 'n' 이하의 누적값들(∑DV1'(n), ∑DV2'(n))과 계조 'n+1'의 최종 변수들(DV1(n+1), DV2(n+1)) 사이의 차 값으로 미리 계산된 값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장치는 메모리(51)에 최종 변수들(DV1(n+1), DV2(n+1))보다 작은 값의 차 값이 1차 변수들(DV1'(n+1), DV2'(n+1))로 저장되므로 메모리(51)에 최종 변수들(DV1(n+1), DV2(n+1))이 저장되는 경우에 비하여 필요한 메모리 용량을 줄일 수 있다.
보정부(54)는 미리 결정된 보정 알고리즘에 따라 최종 제1 및 제2 변수들(DV1, DV2)을 이용하여 입력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를 보정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보정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데이터 보정방법은 메모리(51)에 저장된 제1 변수들(DV1'), 제2 변수들(DV2'), 및 각 계조마다 할당된 다수의 부호 코드들(+/-)을 읽어 들인다. 그리고 데이터 보정방법은 제1 변수들(DV1'), 제2 변수들(DV2') 각각을 계산하여 각 계조마다 누적값(∑DV1'(n), ∑DV2'(n))을 계산하고, 그 누적값과 제1 변수들(DV1'), 제2 변수들(DV2')을 이용하여 최종 제1 및 제2 변수들(DV1, DV2)를 생성한다.
이어서, 데이터 보정방법은 미리 셋팅된 보정 알고리즘에 따라 제1 및 제2 변수(DV1, DV2)에 기초하여 입력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보정한다. 여기서 보정 알고리즘은 색온도특성, 감마특성, 및 액정의 응답특성 등 화질에 관계된 특성들 중 하나 이상의 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최종 제1 및 제2 변수(DV1, DV2)를 이용한다. 보정 알고리즘이 색온도특성을 보정하기 위한 알고리즘이라면 제1 변수(DV1)는 R 보정값, 제2 변수(DV2)는 G 보정값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G 보정값에 대응하는 제3 변수가 필요하나 실시예와 도면에서 제3 변수를 생략한다. 제3 변수는 제1 및 제2 변수(DV1, DV2)의 생성 방법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으로 생성될 수 있다. 보정 알고리즘이 색온도특성을 보정하기 위한 알고리즘과 감마특성을 보정하기 위한 알고리즘이라면 제1 변수(DV1)는 색온도특성을 보정하기 위한 R, G 및 B 중 어느 하나의 변수일 수 있고, 제2 변수(DV2)는 감마특성을 보정하기 위한 변수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보정장치 및 방법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보정부(54)에서 이용되는 최종 변수들(DV1, DV2)이 좌측의 표와 같고, 메모리(51)에는 우측의 표와 같은 데이터들이 저장된다고 가정한다. 또한, 보정에 이용되는 최종 제1 변수들(DV1)이 계조 '1'에 할당된 '10', 계조 '2'에 할당된 '20', 계조 '3'에 할당된 '30'을 포함하고, 최종 제2 변수들(DV2)이 계조 '1'에 할당된 '12', 계조 '2'에 할당된 '23', 계조 '3'에 할당된 '28'을 포함한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에, 메모리(51)에 저장된 제1 변수들(DV1')은 계조 '1'에 할당된 '10', 계조 '2'에 할당된 '10', 계조 '3'에 할당된 '10'을 포함하고, 메모 리(51)에 저장된 제2 변수들(DV2')은 계조 '1'에 할당된 '12', 계조 '2'에 할당된 '11', 계조 '3'에 할당된 '5'를 포함한다.
메모리(51)에 저장된 계조 '1'의 변수들(DV1', DV2')은 메모리(51)에 저장되는 다른 계조의 변수값을 생성하는데 기준값이 되는 기준 계조의 변수값으로써 데이터 보정에 이용되는 최종 변수들(DV1, DV2)의 계조 '1'의 변수값과 동일하다. 이에 비하여, 계조 '1' 이외의 다른 계조들에서 메모리(51)에 저장되는 변수들(DV1', DV2')은 기준 계조에 근거하여 미리 계산되어진 값이며, 그 값은 데이터 보정에 이용되는 최종 변수값들보다 작은 값이다. 제1 변수(DV1')에서, 계조 '2'에 할당된 값은 기준 계조인 계조 '1'의 제1 변수값 '10'에 데이터 보정시 이용되는 계조 '2'의 변수값 '20'의 차값 즉, |10-20|=10 이다. 제1 변수(DV1')에서, 계조 '3'에 할당된 값은 메모리(51)에 저장된 계조 '1' 및 '2'의 합인 '20'에 데이터 보정시 이용되는 계조 '3'의 변수값 '30'의 차값 즉, |20-30|=10 이다. 제2 변수(DV2')에서, 계조 '2'에 할당된 값은 기준 계조인 계조 '1'의 제1 변수값 '12'에 데이터 보정시 이용되는 계조 '2'의 변수값 '23'의 차값 즉, |12-23|=11 이다. 제2 변수(DV2')에서, 계조 '3'에 할당된 값은 메모리(51)에 저장된 계조 '1' 및 '2'의 합인 '23'에 데이터 보정시 이용되는 계조 '3'의 변수값 '28'의 차값 즉, |23-28|=5 이다.
따라서, 데이터 보정에 실제로 이용되는 제1 및 제2 변수(DV1, DV2)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제1 변수(DV1)는 메모리(51)로부터 읽어들인 계조 '1'의 변수값 '10'인 계조 '1'의 변수값, 메모리(51)에 저장된 계조 '1'의 변수값에 계조 '2' 의 변수값을 더한 |10+10|=20으로 계산된 계조 '2'의 변수값, 및 메모리(51)에 저장된 계조 '1' 및 '2'의 변수값들의 합에 계조 '3'의 변수값을 더한 |20+10|=30으로 계산된 계조 '3'의 변수값을 포함한다. 제2 변수(DV2)는 메모리(51)로부터 읽어들인 계조 '1'의 변수값 '12'인 계조 '1'의 변수값, 메모리(51)에 저장된 계조 '1'의 변수값에 계조 '2'의 변수값을 더한 |12+11|=23으로 계산된 계조 '2'의 변수값, 및 메모리(51)에 저장된 계조 '1' 및 '2'의 변수값들의 합에 계조 '3'의 변수값을 더한 |23+5|=28으로 계산된 계조 '3'의 변수값을 포함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보정회로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보정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보정방법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보정회로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보정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보정방법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51 : 메모리 22, 53 : 변수 생성부
23, 54 : 보정부 52 : 누적값 산출부

Claims (10)

  1. 제1 변수값이 저장된 메모리;
    상기 제1 변수값에 근거하여 상기 제2 변수값을 생성하는 변수 생성부; 및
    상기 제1 변수값과 상기 제2 변수값을 이용하여 액정표시패널에 표시될 데이터를 보정하는 보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데이터 보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제1 변수값과 함께 부호 코드와 차값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데이터 보정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변수 생성부는,
    상기 부호코드에 따라 상기 제1 변수값에 상기 차값을 가산하거나 상기 제1 변수값에 상기 차값을 감산하여 제2 변수값을 생성하고,
    상기 보정부는,
    상기 제1 및 제2 변수값들을 이용하여 상기 액정표시패널에 표시될 데이터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데이터 보정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제1 변수값과 함께 부호 코드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데이터 보정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변수 생성부는,
    n(n은 양의 정수) 이하의 계조들에 각각 대응하는 상기 제1 변수값들의 누적값에 계조 n+1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변수값을 상기 부호 코드에 따라 가산하거나 감산하여 상기 제2 변수값을 생성하고,
    상기 보정부는,
    상기 제1 및 제2 변수값들을 이용하여 상기 액정표시패널에 표시될 데이터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데이터 보정장치.
  6. 제1 변수값이 저장된 메모리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의 데이터 보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변수값에 근거하여 상기 제2 변수값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변수값과 상기 제2 변수값을 이용하여 상기 액정표시패널에 표시될 데이터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데이터 보정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상기 제1 변수값과 함께 부호 코드와 차값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데이터 보정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변수값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부호코드에 따라 상기 제1 변수값에 상기 차값을 가산하거나 상기 제1 변수값에 상기 차값을 감산하여 제2 변수값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를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및 제2 변수값들을 이용하여 상기 액정표시패널에 표시될 데이터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데이터 보정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상기 제1 변수값과 함께 부호 코드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데이터 보정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변수값을 생성하는 단계는,
    n(n은 양의 정수) 이하의 계조들에 각각 대응하는 상기 제1 변수값들의 누적값에 계조 'n+1'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변수값을 상기 부호 코드에 따라 가산하거나 감산하여 상기 제2 변수값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를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및 제2 변수값들을 이용하여 상기 액정표시패널에 표시될 데이터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데이터 보정방법.
KR1020080022455A 2008-03-11 2008-03-11 액정표시장치의 데이터 보정장치 및 방법 KR200900973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2455A KR20090097369A (ko) 2008-03-11 2008-03-11 액정표시장치의 데이터 보정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2455A KR20090097369A (ko) 2008-03-11 2008-03-11 액정표시장치의 데이터 보정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7369A true KR20090097369A (ko) 2009-09-16

Family

ID=41356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2455A KR20090097369A (ko) 2008-03-11 2008-03-11 액정표시장치의 데이터 보정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9736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3932B1 (ko) * 2020-02-13 2021-02-08 주식회사 아나패스 디스플레이 구동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3932B1 (ko) * 2020-02-13 2021-02-08 주식회사 아나패스 디스플레이 구동 방법
US11176868B2 (en) 2020-02-13 2021-11-16 Anapass Inc.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displa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91896B (zh) A liquid crystal driving device, a liquid crystal driving method,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071258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영상 신호 보정 방법
KR20080076387A (ko)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101818247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CN101770761A (zh) 有源矩阵型显示装置
CN103886841A (zh) 液晶显示设备及其驱动方法
KR102006251B1 (ko) 액정 표시 장치
CN104641409A (zh) 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KR20070009784A (ko) 표시 장치 및 영상 신호 보정 방법
CN113284470A (zh) 一种公共电压补偿方法及液晶显示装置
US20150279333A1 (en) Display device and drive method therefor
KR101604491B1 (ko) 표시장치와 그 구동 방법
KR20070080290A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장치
KR102508446B1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080064244A (ko)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KR101635204B1 (ko) 표시장치와 그 파워 시퀀스 제어방법
JP2007178561A (ja) 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KR101899100B1 (ko) 액정표시장치와 그 구동 방법
KR20080101262A (ko) 메모리 인터페이스 장치와 이를 이용한 평판표시장치 및 그구동방법
KR20120109890A (ko)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및 방법
KR101363204B1 (ko) 액정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JP5029087B2 (ja) 表示装置、その駆動方法および電子機器
KR101329074B1 (ko) 평판표시장치의 화질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421475B1 (ko) 표시장치와 그 과구동 방법 및 장치
KR20120089081A (ko) 액정 표시 장치, 영상 신호 보정 장치 및 영상 신호 보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