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6288A - Dental Prosthetic and accessary device - Google Patents
Dental Prosthetic and accessary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96288A KR20090096288A KR1020080101271A KR20080101271A KR20090096288A KR 20090096288 A KR20090096288 A KR 20090096288A KR 1020080101271 A KR1020080101271 A KR 1020080101271A KR 20080101271 A KR20080101271 A KR 20080101271A KR 20090096288 A KR20090096288 A KR 2009009628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oth
- teeth
- corrector
- dental prosthesis
- attach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61C13/27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removably secured by using bridging bars or rails between residual teeth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61C13/26—Dentures without palates; Partial dentures, e.g. bridg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61C13/265—Sliding or snap attachments
- A61C13/2653—Sliding attachme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61C13/27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removably secured by using bridging bars or rails between residual teeth
- A61C2013/2753—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removably secured by using bridging bars or rails between residual teeth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ridging ba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치아에 보정체(30)(補正體)를 부착시켜 치아 삭제 없이 치아 언더컷(under cut)을 해소하고, 치아기울기를 보정하며 보철물의 유지력 및 삽입로를 확보하도록 기능하는 보정물(補正物)인 보정체(30)(補正體)에 관한 기술과 상기 보정체(30)(補正體)와 서로 결합, 또는 보정체(30)(補正體) 일부나 전부를 피개하여 기능하는 보철물과 보정체(30)(補正體) 독자적으로 기능하는 각종 보철물들을 개발함으로써 종전 보철법을 크게 개량하여 치아 삭제가 없거나 최소 삭제로 보철할 수 있게 하는 새로운 보철물에 관한 기술이다. 따라서 치아 삭제를 선행하여야만 하는 종전의 보철법과는 크게 다르다. 즉, 치아 삭제 없이 상기 보정체(30)(補正體)를 부착하거나 또는 필요한 최소의 삭제로 보정체(30)(補正體)가 보다 쉽게 제자리에 안착하도록 유도하며 유지력을 얻거나 강화시키고 이 보정체(30)(補正體)로 인하여 치아의 언더컷(under cut)을 해소하고 치아기울기를 보정 하거나 삽입로 및 유지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됨으로써, 상실된 치아를 크라운브릿지(10)로 수복하는 경우나 훼손된 치아를 크라운으로 수복하는 경우, 동요도(mobility)가 있는 치아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성 보철물(12)을 장착하는 경우, 그리고 틀니의 지대치를 제작하는 경우 등에 있어 많은 양의 치아 삭제가 불가피한 것으로 받아 들였던 종전 보철법과 는 달리 치아 삭제가 없거나 최소 삭제로 보철할 수 있게 하는 보철물인 밴드브릿지(40)(band bridge), 밴드크라운(41)(band crown), 새로운 고정성브릿지인 밴드형 픽스트브릿지(42)(band type fixed bridge), 틀니의 지대치(43) 등의 제작이 가능하게 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the corrector 30 (補正 體) attached to the teeth to eliminate the undercut (under cut) of the teeth without deleting the teeth, correction of the function of correcting the inclination and to secure the retention force and insertion path of the prosthesis (補正 物) And the prosthesis and the prosthesis which function by combining the technique with respect to the
지금까지는 상실된 치아를 수복하고자 하는 경우 인접치아(60)를 삭제하여 크라운을 장착하고 인공치아(50)를 인접치아(60)와 연결하는 이른바 크라운브릿지(10)라는 방법을 사용하였다.Up to now, if you want to repair the missing teeth, the
크라운브릿지(10)는 인접치아(60)를 삭제하고 인공치아(50)를 삭제된 지대치(60)에 형성된 크라운과 연결하여 고정하는 보철법인 데, 이 때 치아의 삭제량이 많아서 치아의 신경 변성이 일어나거나 치수 노출 혹은 과민반응을 나타내기도 하고 인접치아(60) 교합면 삭제로 인한 종전의 교합형태를 찾아주는데 큰 어려움이 따랐다. 특히 언더컷(under cut)이 많거나 치아의 기울기가 심한 경우 등에는 치질삭제량이 많아서 신경치료를 하여야 하는 경우도 많이 있었다. 그리고 틀니의 삽입로 및 유지력 확보를 위한 지대치(60)를 제작하거나 충치 치료 후 크라운을 장착하는 경우 혹은 수개의 동요도(mobility)가 있는 치아를 고정하는 고정성 브릿지(12)를 장착하는 경우 등에도 치아 삭제가 너무 많았다.
이러한 크라운브릿지 이외에 임플란트 보철법이 있다. 이는 인공치근을 치조골에 식립한 후 골 유착을 유도하여 인공치아를 고정시키는 방법이다. 이 경우 경비부담이 크며 시술시간이 오래 걸리고 심한 치주 질환이나 소모성 질환, 심장질환, 당뇨 및 혈액 질환의 경우에는 시술의 어려움이 따르고 또 측방압에 약한 면이 있다. 따라서 치아에 손상을 가하지 않거나 최소의 손상으로 상실된 치아를 수복하고 치아의 기능을 증진시키며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새로운 보철법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었다.In addition to the crown bridge there is an implant prosthesis. This is a method of implanting the artificial root in the alveolar bone and then inducing bone adhesion to fix the artificial tooth. In this case, the expense is high, the procedure takes a long time, severe periodontal disease, wasting disease, heart disease, diabetes and blood diseases are difficult to perform the procedure and side pressure is weak. 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for the development of a new prosthetic method that can repair a tooth that has not been damaged or has been damaged with minimal damage, improves the function of the tooth and prolongs its life.
사실 종전의 보철법은 치아를 삭제하지 않고서는 치아의 기울기 보정 및 언더컷(under cut) 해소가 불가능하여 지대치(60)로 사용되는 치아를 삭제하여야만 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치과계에서는 많은 노력이 있었으며 그 결과 몇몇 신기술들이 대두 되기도 했었지만 대부분 확실한 유지력을 확보하지 못하여 치과계에서 이렇다 할 평가를 받지 못했었다. In fact, the conventional prosthetic method was unable to correct the inclination of the tooth and eliminate the undercut without removing the tooth, so the tooth used as the
그러나 상기 보정체(30)(補正體)와 밴드(44), 밴드크라운(41), 밴드형 픽스트브릿지(42)(band type fixed bridge) 및 밴드브릿지(40)를 이용한 새로운 이 보철법의 경우는 이런 것들을 극복할 수 있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잔존치 보존이라는 측면에서도 매우 유용한 기술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임플란트 보철법 역시 환자의 상태에 따라서 적용하기 힘든 경우가 많아 대체 보철기술이 요구되는 상황에서 상기 보철물를 이용한 새로운 보철법은 잔존치 보존 측면에서도 매우 우수하다.However, this new prosthetic method using the
치아가 상실되어 크라운브릿지(10)로 수복하는 경우와 충치나 파절 등으로 훼손된 치아에다가 크라운을 장착하는 경우, 동요도(mobility)가 있는 치아를 고정하는 고정장치(12)를 제작하는 경우 틀니의 지대치(13)를 제작하는 경우 등에 있어서 치아의 기능을 회복, 증진하고 치아 수명의 연장을 꾀하되 자연 치아의 손상 없이 또는 손상을 최소화하고도 가능한 가장 적절한 보철물을 찾고자 한다.When the tooth is lost and repaired by the
상기와 같은 종전 보철법의 각종 문제점의 근본원인은 치아를 삭제하지 않고는 치아의 기울기나 언더컷(under cut)을 해소하고 수복 보철물의 삽입로와 유지력을 확보할 수 있는 보철법을 찾지 못했었다는 점에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치아를 전혀 삭제하지 않거나 최소 삭제만으로도 치아의 기울기나 언더컷(under cut)을 해소하고 수복 보철물의 삽입로를 확보하며 나아가 유지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보철법을 찾아 위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하는데에 목적이 있었다. The root cause of the various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prosthetic method described above was that the prosthetic method was not found to eliminate the inclination or undercut of the tooth and secure the insertion path and the retaining force of the restoration without removing the tooth. Was i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overcome the above problems by finding a prosthetic method that can eliminate the inclination or undercut of the tooth, secure the insertion path of the restoration prosthesis, and further maximize the holding force even if the tooth is not deleted at all or with only minimal deletion. The purpose was to.
그런데 치아에 보정물(補正物)인 보정체(30)(補正體)를 부착함으로써 위와 같은 과제는 해결되었다. 즉 상기 보정체(30)(補正體)를 인접치아(60)에 부착함으로써 인접치아(60)에 전혀 손상을 가하지 않고도 치아의 기울기를 보정하고 언더컷(under cut)을 해소하며 삽입로와 유지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 때 보정물(補正物)인 보정체(30)(補正體)가 제자리에 쉽게 안착하고 또 유지력을 얻기 위해 치아에 최소한의 삭제(22)를 가하고 그에 대응한 돌기(21)를 상기 보정 체(30)(補正體)에 부여하기도 한다. 또한 인공치아(50)와 결합 시키기 위해 보정체(30)(補正體)에 웅체(23)를 부여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보정체(30)(補正體)를 치아에 부착하여 상실된 치아를 수복할 시 치아를 삭제하지 않거나 최소 삭제로 수복이 가능한 밴드브릿지(40)를 제작할 수 있으며 보정체(30)(補正體) 자체가 틀니의 지대치(61)로서의 기능을 하게 할 수 있으며 또 훼손된 치아의 경우 그 치아를 더 이상 삭제하지 않거나 최소 삭제 후 상기 보정체(30)(補正體)만의 부착으로 그 치아의 외형 및 기능을 회복할 수 있고 때에 따라서는 상기 보정체(30)(補正體)의 부착 후 밴드크라운(41)을 장착하여 그 치아의 외형 및 기능회복을 할 수 있다. 그 밖에도 상기 보정체(30)(補正體)를 치아에 부착하거나 부착하지 않은 상태에서 연속된 형태의 밴드(44)를 장착하는 방법으로 동요도(mobility)가 있는 치아의 고정을 위한 치아고정장치인 고정성브릿지, 즉 밴드형 픽스트브릿지(42)(band type fixed bridge)를 개발하였다.However, the above problem was solved by attaching the
본 발명의 효과는 삭제가 동반되지 않거나 최소 삭제만으로 치과진료가 가능해 짐으로써 치과진료의 공포감을 상당부분 해소할 수 있으며 치아에서 가장 단단한 부분인 법랑질이 보존되어 있어서 2차 우식증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교합면이 대부분 보전되어 교합상태를 현재의 상태로 유지하거나 상실된 교합면을 수복해 줄 수 있으며, 부적절한 치아 삭제로 인한 치질손상을 방지 할 수 있다. 그리고 기존의 교합면이 대부분 보존되어 있어서 교합장애 및 이물감이 현저히 감소된다.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liminated or accompanied by a minimum of elimination of dental care can significantly eliminate the fear of dental care and the enamel, the hardest part of the tooth is preserved can reduce secondary caries, The occlusal surface is mostly preserved to maintain the occlusion state and to repair the lost occlusal surface and to prevent hemorrhoidal damage due to improper tooth removal. And most of the existing occlusal surface is preserved, the occlusion disorder and foreign body feeling is significantly reduced.
앞에서 기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s follows.
종전의 일반적인 보철기술인 크라운 브릿지(10)는 인접치아(60)의 기울기를 보정하고, 언더컷(under cut)을 없애고 삽입로(path of insertion)와 유지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지대치로 사용하는 인접치아(60)의 삭제가 불가피하였다. 또 교합면의 삭제가 동반되었으므로 이로 인한 교합면 재현에도 큰 어려움이 있었다.Crown
그리고 밴드브릿지(40)와 유사한 형태의 종전의 메릴랜드브릿지 등의 경우 전치부와 특히 구치부에 있어서는 언더컷(under cut) 해소나 기울기 보정이 불가능하여 유지력을 제대로 확보하지 못하여 교정 치료시 임시 사용하거나 임시 보철물로써의 역할에 그치고 말았다.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Maryland Bridge, which is similar in shape to the
본 발명은 손상된 치아의 기능을 수복하거나 증진시키기 위한 치과용 보철물에 있어서, 보정체(30)(補正體)를 치아에 부착함으로써 치아의 삭제 없이 치아의 기울기와 언더컷(under cut)을 해소할 수 있게 하고 보철물의 삽입로를 확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유지력을 얻을 수 있게 한 것인 데, 이 때 시술병원에서 인접지대치로 쓰는 치아에 레진(resin) 등을 직접법으로 부착하는 방법으로도 보정체(30)(補正體)로서의 상기 기능을 발휘하게 할 수 있다. 즉 상기 보정체(30)(補正體)를 치아에 부착하여 치아의 기울기와 언더컷(under cut)을 해소하고 보철물의 삽입로와 유지력을 확보함으로써 새로운 보철물인 밴드브릿지(40), 밴드크라운(41), 밴드형 픽스트브릿지(42), 틀니의 지대치(43)를 얻을 수 있게 하는 것이다.In the dental prosthesis for restoring or enhancing the function of a damaged tooth, the present invention can eliminate the inclination and undercut of the tooth without deleting the tooth by attaching the
상기 보정체(30)(補正體)의 역할을 보다 상세히 보면, 상기 보정체(30)(補正體)는 크게 나누어 서베이라인(survey line)(3)하방에만 부착되는 경우와 서베이라 인(survey line)(3)상방으로까지 연장 피개되는 경우가 있다. 우선 보정체(30)(補正體)가 서베이라인(survey line)(3)하방에만 부착되는 경우, 상기 보정체(30)(補正體)의 역할은 치아의 기울기와 언더컷을 해소하고 유지력 및 삽입로를 확보하게 하는 데에 있다. 그러나 이때에도 치아의 기울기와 언더컷(under cut)이 적어 상기 보정체(30)(補正體)가 작게 형성될 수 밖에 없는 경우 보정체(30)(補正體) 자체만으로는 유지력이 적어 보정체(30)(補正體)에 유지력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보정체(30)(補正體)가 서베이라인(survey line)(3)상방까지 피개하도록 하여 상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보정체(30)(補正體)는 하기 밴드(44)가 수행하는 유지 기능까지 하는 것이 아니라 보정체(30)(補正體) 외부에 밴드(44)가 피개하여 부착되어야 기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보정체(30)(補正體)는 치아를 고정시키는 경우, 상실된 치아를 수복하는 경우, 손상된 치아를 회복하는 경우, 틀니 지대치(43)의 경우 이용이 가능하고, 이 경우 보정체(30)(補正體)를 치아에 부착할 때 어느 정도 걸리는 부분이 있더라도 보정체(30)(補正體)의 탄성으로 부착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보정체(30)(補正體)가 서베이라인(survey line)(3)상방까지 연장하여 치아를 피개하는 경우, 상기 보정체(30)(補正體)는 보정체(30)(補正體)에 밴드(44)가 부착된 형태를 취하여 치아의 기울기와 언더컷(under cut) 해소, 삽입로 및 유지력 확보를 하는 기능들 외에도 보정체(30)(補正體) 단독으로 밴드(44)의 유지 역할까지 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보정체(30)(補正體)를 치아에 부착할 때 어느 정도 걸리는 부분이 있더라도 보정체(30)(補正體)의 탄성으로 부착이 가능하다. 상기 보정체(30)(補正體)만으로 치아를 고정할 시, 상실된 치아를 수복할 시, 손상된 치아를 회복할 시, 틀니(51)의 지대치(43) 제작시 이용이 가능하다.Looking at the role of the
상기 보정체(30)(補正體)는 상기 보정체(30)(補正體)가 제자리에 위치하여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치아의 일부에 다양한 형태의 일부 삭제(22)를 가하고 그에 상응하여 상기 보정체(30)(補正體)의 내면에 삭제된 형상의 돌출된 돌기(21)를 부여하기도 한다. 또 상기 보정체(30)(補正體)가 인공 치아(50)에 웅체(23), 자체(24)의 형태로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보정체(30)(補正體)에 다양한 형태와 다양한 방향으로 위치한 웅체(23)를 부여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보정체(30)(補正體)는 한 개 치아의 인접면에만 국한하거나 그 치아의 협설측으로 연장하기도 하며 또 어떤 경우는 치아 전체를 감싸는 형상으로 제작할 수 도 있고, 나아가 연접한 수개의 치아까지 확장된 상기 보정체(30)(補正體)를 부착하여 유지력을 증가시킬수도 있으며 이 때 상기 보정체(30)(補正體)는 수개의 치아에 한 개나 수개 또는 한 개의 치아에 한 개나 수개의 보정체(30)(補正體)를 제작하여 치아에 부착할 수 있다. The corrector (30) is a part of the tooth to remove some of the
상기 보정체(30)(補正體)는 어느 한 인접 지대치(60)의 설측면으로 부착되는 보정체(30)(補正體)와 다른 인접 지대치(60)의 협측면으로 부착되는 보정체(30)(補正體)를 서로 다양한 형태로 연결시킨 연결보정체(連結補正體)(25)의 형상으로 제작(도 25)하거나, 어느 한 인접 지대치(60)의 협측면으로 부착되는 보정체(30)(補正體)와 다른 인접 지대치(60)의 설측면으로 부착되는 보정체(30)(補正體)를 역시 다양한 형태로 서로 연결시킨 연결보정체(連結補正體)(25)의 형상으로 제작(도 25) 하거나 상기 두 연결보정체(連結補正體)(25)가 서로 교차하는 형태로 인접 지대치(60)에 부착(도 23)될 수 있도록 제작하거나, 또는 어느 한 인접 지대치(60)의 설측면으로 부착되는 보정체(30)(補正體)와 다른 인접 지대치(60)의 설측면으로 부착되는 보정체(30)(補正體)를 서로 다양한 형태로 연결시킨 연결보정체(連結補正體)(25)의 형상으로 제작하고 어느 한 인접 지대치(60)의 협측면으로 부착되는 보정체(30)(補正體)와 다른 인접 지대치(60)의 협측면으로 부착되는 보정체(30)(補正體)를 서로 다양한 형태로 연결시킨 연결보정체(連結補正體)(25)의 형상으로 제작하여 두 연결보정체(連結補正體)(25)가 나란히 한 형태로 인접 지대치(60)에 부착될 수 있도록 제작(도 22)할 수 있다. 이 때에도 물론 상기 보정체(30)(補正體)는 협설측면은 물론 교합면의 일부 또는 전부를 동시에 피개할 수 있다. The
상기 보정체(30)(補正體)를 치아의 인접면과 협설측의 세베이라인(3)(survey line)하방으로 부착시켜 치아의 기울기 및 언더컷(under cut)을 보정할 수 있으며, 때에 따라서는 풍융부 상방이나 치아 전체까지 피개하는 경우도 있다. The
상기 보정체(30)(補正體)에 치주 건강을 보강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치간공극(31)(embrassure)을 부여하기도 한다.In order to reinforce the periodontal health to the
상실된 치아를 수복하는 경우에는 상기 보정체(30)(補正體)에 웅체(23)를 달고 인공치아(50)에 상응한 형태의 자체(24)를 형성시켜 자웅체의 결합형태로 수복 할 수 있고 인접치아(60)에 웅체(23)가 부착되지 않은 보정체(30)(補正體)를 부착하여 상실된 치아를 수복할 수도 있으며, 한 쪽에는 웅체(23)가 달린 보정체(30)(補正體)를 치아에 부착하고 다른 한 쪽에는 웅체(23)가 없는 보정체(30)(補正體)를 치아에 부착하여 수복하기도 한다.In the case of restoring lost teeth, a
유지력이 많이 요구되는 부위에서의 인공치아(50)는 인접 지대치 최대풍융부간 거리보다 크게 제작함으로써 인공치아(50)가 상실된 부위의 인접치아 일부를 피개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 때 전치 부위에서는 설측과 순측에서 동시에 인공치아(50)가 인접지대치의 일부를 피개(33)하게 하여 인공치아(50)의 탈락을 방지하게 하거나 인공치아(50)의 순측 크기만을 크게 하여 순측에서 설측으로 탈락하는 것은 인접치의 순측 일부를 피개한 인공치아(50) 부분이 잡아주며 설측에서 순측으로 탈락하는 것은 보정체(30)(補正體)가 잡아 주도록 할 수 있고 인공치(50)에 밴드(44)를 일체로 형성시켜 인접치(60)에 부착함으로써 탈락을 방지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구치부에서는 설협측으로 인공치아(50)를 인접치아(60) 최대풍융부간 거리(32)보다 크게 제작하여 탈락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전치부와 구치부에서 유지력에 큰 문제가 없을 시에는 피개를 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보정체(30)(補正體)를 치아에 부착하여 치아의 기울기와 언더컷(under cut)을 해소하고 유지력 및 삽입로가 확보됨으로써 비로소 밴드(44)(band)는 치아의 비기능교두, 소와, 대합치와 닿지 않는 교합면, 그리고 인접면과 협설측면의 일부나 전부 나아가 치아 전체까지를 피개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밴드(44)(band)는 상기 보정체(30)(補正體)에 또는 치아에 직접 부착하게 된다.By attaching the
상실된 치아를 수복시 인공치아와 밴드(44)(band)를 일체로 하여 제작한 밴드브릿지(40)(band bridge)로 수복할 수 있는 데, 이 때 상기 밴드브릿지(40)(band bridge)는 직접법 또는 그 외의 방법으로 제작한 보정체(30)(補正體)를 치아에 부 착하여 치아의 기울기와 언더컷(under cut)을 해소하여 유지력 및 삽입로를 확보한 후 장착한다.When the lost tooth can be repaired by a band bridge 40 (band bridge) manufactured by combining artificial teeth with a band 44 (band), the band bridge 40 (band bridge) is The
상기 밴드(44)는 연접한 수개의 치아를 일체로 피개할 수 있도록 연장하여 제작하기도 하는 데, 이 때 밴드(44)(band)는 치아의 비기능교두, 소와, 대합치와 닿지 않는 교합면, 그리고 인접면과 협설측면의 전부 또는 일부를 피개하거나 필요에 따라 치아의 전체를 피개하기도 한다.The
그리고 상기 보정체(30)(補正體)를 인접 지대치(abutment tooth)(60)에 부착하여 치아의 기울기와 언더컷(under cut)을 보정함으로써 틀니(51) 지대치(43)로서의 역할 즉 삽입로, 유지력 확보를 꾀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한 보정체(30)(補正體)에 각종 어타치먼트(attachment)나 키앤키웨이(key & keyway) 등의 유지 형태를 부착하여 유지력을 강화 할 수도 있다.Then, the
훼손된 치아의 외형 및 기능을 회복함에 있어, 상기 보정체(30)(補正體)를 치아에 부착함으로써 더 이상의 삭제 없이 또는 최소의 삭제로써 수복이 가능해 진다. 이 때 상기 보정체(30)(補正體)만으로 수복이 가능한 경우도 있으며, 이때 장착 시 어느정도 걸리는 부분이 있어도 탄성을 이용하여 장착이 가능하다. 치아의 기울기와 언더컷(under cut)이 심한 경우는 보정체(30)(補正體)를 치아에 부착하여 치아의 기울기와 언더컷(under cut)을 해소 시킨 후 유지력 및 삽입로를 확보하여 훼손된 치아의 일부 및 전체를 밴드크라운(41)(band crown)을 장착하여 수복하기도 한다.In restoring the appearance and function of the damaged tooth, by attaching the
동요도가 있는 치아를 고정할 시, 치아의 언더컷(under cut), 기울기 등을 해소하고 유지력 및 삽입로를 확보하기 위하여 보정체(30)(補正體)를 부착한 후 해당 치아의 비기능교두, 소와, 대합치와 닿지 않는 교합면 그리고 협설측면의 일부나 전부를 피개하고 나아가 치아의 전체까지도 피개하는 형태로 연접한 수개의 치아를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연장하여 제작한 상기 밴드(44)를 치아에 장착함으로써 동요도가 있는 치아를 고정시키는 밴드형 픽스트브릿지(42)를 제작하여 장착할 수 있고, 언더컷(under cut), 기울기 등이 문제가 되지 않거나 유지력 및 삽입로 확보에 어려움이 없는 경우에는 보정체(30)(補正體)를 부착하지 않고 상기 밴드형 픽스트브릿지(42)를 치아에 장착하기도 한다. 이 때 상기 밴드형 픽스트브릿지(42)는 치아의 일부 또는 전부를 피개하는 형태로 제작한다. 그리고 이때 보정체(30)(補正體)만으로 협설측의 비기능교두, 대합치와 닿지 않는 면을 피개하는 형태의 밴드형 픽스트브릿지(42)를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When fixing a tooth with agitation, the non-functional bridge of the tooth after attaching a corrector (30) in order to eliminate undercuts and inclinations of the tooth, and to secure a holding force and an insertion path. , The
치과진료 과정에서의 공포감으로부터 해방될 수 있게 되어 의료소비자의 적극적 호응은 물론 잠재적 의료소비자까지 새로이 창출해 낼 수 있고 또 기공과정이 용이하여 캐드캠(cad cam)시스템으로도 제작이 가능하여 수가공의 탈피도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그렇게 되면 국민 구강건강의 향상은 물론 치과 진료비도 현저히 줄일 수 있을 것이다. It can be freed from the fear of dental treatment, and it can create a new response not only for the active consumer but also for potential medical consumer. Also, it can be manufactured as a cad cam system because the process is easy. Stripping is also possible. This will not only improve national oral health but also significantly reduce dental care expenses.
다만, 앞으로 이에 맞는 전문적 의료도구 및 시멘트(cementation)개발이 따를 수 있고 이를 향후 과제로 삼고자 한다.However, the development of specialized medical tools and cement can be followed in the future, and this is intended as a future task.
도 1은 종래의 크라운 브릿지 및 삭제된 인접치아를 도시한 측면도1 is a sid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crown bridge and an adjacent adjacent tooth.
도 2는 본 발명의 치과용 보철물 및 보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ental prosthesis and the auxiliar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치아에 서베이어(surveyor)로 서베이라인(survey line)을 찾는 과정을 나타내는 측면도Figure 3 is a side view showing the process of finding a survey line (survey line) to the surveyor (surveyor) to the teeth
도 4는 본 발명의 확대 사시도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보정체(補正體)를 나타내는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rr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보정체(補正體)를 나타내는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rrecting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있어 상실된 치아 인접치아와 인접치아에 부착된 보정체(補正體) 그리고 인접치아에 장착된 밴드브릿지를 나타내는 상면도Fig. 7 is a top view showing lost teeth adjacent teeth, a corrector attached to adjacent teeth and a band bridge mounted on adjacent teeth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있어 상실된 치아 인접치아와 인접치 및 연접치아에 부착된 보정체(補正體) 그리고 인접치아에 장착된 밴드브릿지를 나타내는 상면도Fig. 8 is a top view showing the missing tooth adjacent teeth, the correction body attached to the adjacent teeth and the joint teeth, and the band bridge mounted on the adjacent teeth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에 있어 수개의 치아가 상실된 경우 밴드브릿지로 수복한 것을 나타내는 상면도Figure 9 is a top view showing the restoration with a band bridge when several teeth are lost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에 보정체(補正體)와 밴드크라운을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Fig. 10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compensator and a band crown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종래의 고정성 보철물을 나타내는 측면도11 is a sid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fixed prosthesis
도 12는 종래의 고정성 보철물을 나타내는 상면도12 is a top view showing a conventional fixed prosthesis
도 13은 치아에 형성된 서베이라인(survey line)과 새로운 고정성 보철물인 밴드형 픽스트브릿지를 장착한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Figure 13 is a sid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survey line (survey line) formed on the teeth and a new fixed prosthesis band-shaped post bridge
도 14는 본 발명인 밴드형 픽스트브릿지를 장착한 모습을 나타내는 상면도Figure 14 is a top view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the band-shaped fixture bridge mounted
도 15는 본 발명인 수개의 보정체(補正體)를 치아에 부착하고 밴드형 픽스트브릿지를 장착한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Fig. 15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several correction bodi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ttached to a tooth and a band-shaped fix bridge is mounted;
도 16는 본 발명인 협설측면 어느 하나 또는 수개의 보정체(補正體)를 치아에 부착하고 밴드형 픽스트브릿지를 장착한 모습을 나타내는 상면 단면도Fig. 16 is a cross-sectional top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y one or several correc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ttached to a tooth and a band-shaped fix bridge is mounted;
도 17은 본 발명인 연접치까지 일체로 연장된 보정체(補正體)를 치아에 부착하고 밴드형 픽스트브릿지를 장착한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Fig. 17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rrector body integrally extended to the present inventors tooth is attached to a tooth and a band-shaped fix bridge is mounted;
도 18은 본 발명인 협설측면 어느 하나 또는 모두 연접치까지 일체로 연장된 보정체(補正體)를 치아에 부착하고 밴드형 픽스트브릿지를 장착한 모습을 나타내는 상면 단면도18 is a top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one or both of the buccal side of the present inventor attaches a corrector body integrally extended to the joint and attaches a band-shaped fix bridge.
도 19는 본 발명인 보정체(補正體)와 밴드 브릿지를 나타내는 상면 단면도Fig. 19 is a top cross sectional view showing a compensator and a band bridg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0는 본 발명인 돌기가 형성된 보정체(補正體)를 부착한 밴드 브릿지를 나타내는 상면 단면도Fig. 20 is a cross sectional top view showing a band bridge having a corrector formed with protrus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1은 본 발명인 밴드 브릿지를 나타내는 상면 단면도Fig. 21 is a top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band bridg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2는 본 발명인 보정체(補正體)를 다양한 형태로 연결한 것과 밴드 브릿지를 나타내는 상면 단면도Fig. 22 is a cross sectional top view showing a band bridge in which the present inventors are connected in various forms;
도 23은 본 발명인 보정체(補正體)를 다양한 형태로 연결한 것과 밴드 브릿지를 나타내는 상면 단면도Fig. 23 is a cross sectional top view showing a band bridge in which the present inventors are connected in various forms;
도 24는 본 발명인 보정체(補正體)를 다양한 형태로 연결한 것과 밴드 브릿지를 나타내는 상면 단면도Fig. 24 is a cross sectional top view showing a band bridge in which the present inventors are connected in various forms.
도 25는 본 발명인 보정체(補正體)를 다양한 형태로 연결한 것과 밴드 브릿 지를 나타내는 상면 단면도Fig. 25 is a cross sectional top view showing a band bridge in which the present inventors are connected in various forms.
도 26은 본 발명인 보정체(補正體)에 형성된 웅체와 밴드 브릿지를 나타내는 상면 단면도Fig. 26 is a top cross sectional view showing a male body and a band bridge formed on a corr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7은 본 발명인 틀니 지대치로써의 보정체(補正體)와 틀니를 나타내는 상면 단면도Fig. 27 is a cross sectional top view showing a corrector and a denture serving as denture abut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8은 본 발명인 틀니 지대치로써의 보정체(補正體)가 연접치아까지 연장 형성된 틀니를 나타내는 상면 단면도Fig. 28 is a top cross sectional view showing a denture in which a corrector as a denture abu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tends to a connection tooth;
도 29는 본 발명인 보정체(補正體)가 부착된 후 밴드브릿지를 장착하기 전의 형상과 보정체에 형성된 치간 공극을 나타내는 측면도Fig. 29 is a side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present invention before attachment of the band bridge after the correction body is attached and the interdental gap formed in the correction body.
도 30은 본 발명인 전치에 있어서 보정체(補正體)와 보정체에 형성된 웅체 그리고 밴드가 형성된 인공치를 설측에서 나타내는 측면도Fig. 30 is a side view showing the correcting body, the male body formed on the correcting body, and the artificial tooth having a band formed on the lingual side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31은 본 발명인 전치에 있어서 보정체(補正體)와 밴드 브릿지가 장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상면 단면도Fig. 31 is a top cross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mpensator and a band bridge are mounted in an anterior tooth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2는 본 발명인 전치에 있어서 돌기가 부여된 보정체(補正體)와 밴드가 형성되지 아니한 인공치아로 구성되는 밴드브릿지를 설측에서 나타내는 측면도Fig. 32 is a side view showing the band bridge composed of an artificial tooth having no correction and a band provided with protrus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33는 본 발명인 전치에 있어서 돌기가 부여된 보정체(補正體)와 밴드 브릿지를 나타내는 상면 단면도Fig. 33 is a cross sectional top view showing a corrector and a band bridge to which projections are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tooth tooth;
도 34는 본 발명인 전치에 있어서 웅체가 부여된 보정체(補正體)와 밴드가 형성되지 아니한 밴드 브릿지를 나타내는 상면 단면도Fig. 34 is a cross sectional top view showing a corrector with a female body and a band bridge with no band form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35는 본 발명인 전치에 있어서 보정체(補正體)와 밴드가 형성된 인공치를 설측에서 나타내는 측면도 Fig. 35 is a side view showing the artificial tooth formed with a corrector and a band in the lingual pos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36은 본 발명인 전치에 있어서 보정체(補正體)와 밴드가 형성된 인공치를 설측에서 나타내는 측면도 Fig. 36 is a side view showing the artificial teeth in which the corrector and the band are formed in the anterior teeth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lingual side;
도 37은 본 발명인 인공치가 인접치와 결합함에 있어서 인접치의 일부를 피개하는 부분을 나타내는 상면 단면도Fig. 37 is a cross-sectional top view showing a portion where an artificial tooth of the present invention covers a portion of an adjacent tooth in engagement with an adjacent tooth.
도 38은 본 발명인 인접치아간의 최대풍융부간 거리를 나타내는 상면 단면도Fig. 38 is a cross sectional top view showing the distance between the maximum molten portions between adjacent teeth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5)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21327 | 2008-03-07 | ||
KR1020080021327A KR20080027319A (en) | 2008-03-07 | 2008-03-07 | Dental prosthetic and accessary device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31533A Division KR20080035553A (en) | 2008-03-07 | 2008-04-04 | Dental prosthetic and accessary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96288A true KR20090096288A (en) | 2009-09-10 |
KR100923782B1 KR100923782B1 (en) | 2009-10-27 |
Family
ID=39414320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21327A KR20080027319A (en) | 2008-03-07 | 2008-03-07 | Dental prosthetic and accessary device |
KR1020080031533A KR20080035553A (en) | 2008-03-07 | 2008-04-04 | Dental prosthetic and accessary device |
KR1020080101271A KR100923782B1 (en) | 2008-03-07 | 2008-10-15 | Dental Prosthetic and accessary device |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21327A KR20080027319A (en) | 2008-03-07 | 2008-03-07 | Dental prosthetic and accessary device |
KR1020080031533A KR20080035553A (en) | 2008-03-07 | 2008-04-04 | Dental prosthetic and accessary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3) | KR20080027319A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038555A (en) * | 2009-10-14 | 2011-05-04 | 乐园口腔株式会社 | Device for repairing teeth and accessories thereof |
KR101518754B1 (en) * | 2014-03-05 | 2015-05-26 | 김욱태 | manufacturing method of bridge-prosthesis and threrof product |
WO2023059167A1 (en) * | 2021-10-08 | 2023-04-13 | 주식회사 메디트 | Oral image processing device and oral image processing method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2308414A1 (en) * | 2009-10-12 | 2011-04-13 | Dentapia Co. Ltd. | Dental prosthetic device and accessory thereof |
KR101124004B1 (en) * | 2010-12-23 | 2012-03-23 | 주식회사 닥터파트너스 | Prosthesis structure for bridge implant |
KR101239298B1 (en) * | 2011-04-26 | 2013-03-05 | (주)이비아이 | The denture structure for implant |
KR20140127066A (en) * | 2013-04-24 | 2014-11-03 | 안경숙 | Tooth grinding guide device, Tooth grinding device and Dental prosthetic for prosthodontics |
KR102353106B1 (en) * | 2019-09-06 | 2022-01-19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Ready-made Zirconia Crown Space Maintainer For Dentition of Permanent Tooth, And Install Method Using The Same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77957Y1 (en) | 2004-11-30 | 2005-03-10 | 김광수 | Artificial teeth for dental department |
KR100598485B1 (en) | 2005-06-10 | 2006-07-10 | 권오달 | Dental prosthesi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KR100719215B1 (en) | 2006-01-09 | 2007-05-16 | 권오달 | Dental prosthesi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KR100758783B1 (en) * | 2005-07-26 | 2007-09-14 | 권오달 | Dental Prosthesi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2008
- 2008-03-07 KR KR1020080021327A patent/KR20080027319A/en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 2008-04-04 KR KR1020080031533A patent/KR20080035553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8-10-15 KR KR1020080101271A patent/KR100923782B1/en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038555A (en) * | 2009-10-14 | 2011-05-04 | 乐园口腔株式会社 | Device for repairing teeth and accessories thereof |
KR101518754B1 (en) * | 2014-03-05 | 2015-05-26 | 김욱태 | manufacturing method of bridge-prosthesis and threrof product |
WO2023059167A1 (en) * | 2021-10-08 | 2023-04-13 | 주식회사 메디트 | Oral image processing device and oral image processing metho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27319A (en) | 2008-03-26 |
KR20080035553A (en) | 2008-04-23 |
KR100923782B1 (en) | 2009-10-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598485B1 (en) | Dental prosthesi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KR100923782B1 (en) | Dental Prosthetic and accessary device | |
US20180353270A1 (en) | Dental prosthesi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US20110086326A1 (en) | Dental prosthetic device and accessory thereof | |
KR100407796B1 (en) | Prosthetic dentistry for false teeth that is made from pin retented inlay bridge | |
KR100758781B1 (en) | Dental Prosthesi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Parel | Modified casting technique for osseointegrated fixed prosthesis fabrication: a preliminary report. | |
KR20050014391A (en) | Bridge assembly for positioning a denture | |
KR100698931B1 (en) | Dental prosthesis and mounting method thereof | |
JP5061257B2 (en) | Immediate continuous machining denture | |
KR101009443B1 (en) | Dental prosthesis | |
Hobkirk | Advances in prosthetic dentistry | |
RU2428141C2 (en) | Dental prosthetic device and its elements | |
Lytle et al. | An Interdisciplinary Classification of Restorative Dentistry. | |
CN219070716U (en) | Sectional type immediate repair denture | |
EP2308414A1 (en) | Dental prosthetic device and accessory thereof | |
CN213941022U (en) | Fixing false tooth for quick repair | |
US20200268488A1 (en) | Dental prosthesis | |
RU2373894C2 (en) | Dental prosthesis and method of its manufacturing | |
JP2019000290A (en) | Partial denture | |
KR101037573B1 (en) | Side bridge type dental prosthesis | |
KR20070000207U (en) | Dental of flexible denture have fast of rest | |
NZ564031A (en) | Dental prosthesi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Aeran et al. | A fixed convenient esthetic solution-Andrew’s Bridge: A case report | |
BRPI0905862A2 (en) | dental device and dental device to fix a mobility tooth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726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020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23 Year of fee payment: 6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20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06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23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