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6100A - 지문인식을 이용한 웹 기반 유류 출하 관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지문인식을 이용한 웹 기반 유류 출하 관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6100A
KR20090096100A KR1020080021472A KR20080021472A KR20090096100A KR 20090096100 A KR20090096100 A KR 20090096100A KR 1020080021472 A KR1020080021472 A KR 1020080021472A KR 20080021472 A KR20080021472 A KR 20080021472A KR 20090096100 A KR20090096100 A KR 200900961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hipment
driver
shipping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1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종철
Original Assignee
지에스칼텍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에스칼텍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에스칼텍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21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96100A/ko
Publication of KR20090096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61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문인식을 이용한 웹 기반 유류 출하 관리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웹 기반 유류 출하 관리 장치는 웹을 통해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운전자 정보를 포함하는 출하관리 데이터베이스, 상기 출하관리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출하관리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유류 출하 운전자의 지문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유류 출하 운전자를 인증하는 인증 처리부 및 상기 인증에 따라 상기 출하관리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출하 요청에 대응하는 출하확인정보를 상기 출하관리단말기로 송신하는 출하 처리부를 포함한다.
지문인식, 지문인증, 웹 기반, 유류 출하, 출하요청서, 출하전표

Description

지문인식을 이용한 웹 기반 유류 출하 관리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OF MANAGING OIL SHIPPING BASED WEB USING FINGER SCAN}
본 발명은, 유류 출하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웹을 이용하여 유류 출하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유류 출하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류 유통 과정에는 원유를 수입하고 정제 후 석유제품을 생산하는 정유사 및 정유수입사가 있으며, 이들로부터 공급받은 석유를 조직적인 판매망을 갖추고 석유를 유통하는 대리점이 있다. 또한, 대리점이나 정유사와 정유수입사로부터 석유를 공급받아 최종 소비자에게 석유를 판매하는 주유소 및 일반 판매소가 존재한다.
또한, 정유사, 정유수입사 및 유통을 담당하는 대리점은 유류의 유통을 위하여 기름을 저장하여 두는 저유소를 상당수 보유하고 있다. 또한, 정유사 등에 소속된 유류 출하 운전자는 저유소에서 출하된 유류를 각 주유소 및 일반 판매소로 운송하는 업무를 담당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유류 출하 운전자는 저유소에서 일반 판매소로 유류 운송을 위해 인증절차를 거쳐야 하며, 이러한 인증절차는 저유소 담당 직원에 의하여 수행되고 있다. 다만, 최근 들어 인증 단말기를 설치하고, 유류 출하 운전자로부터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입력받거나 또는 등록카드를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저유소가 늘고 있다. 인증 단말기를 통한 무인 인증절차는 업무의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무인 인증절차는 보안에 취약할 수 있다.
또한, 각 저유소가 운용하는 인증 단말기는 동일 업체에 소속된 서로 다른 저유소 상호간에도 연동이 이루어지고 있지 아니하다. 따라서, 인증 단말기의 이용만으로는 효율적인 출하 업무가 수행되기 힘들다. 예를 들어, 저유소들은 각각 자신의 저유소, 동일 업체 내 다른 저유소 또는 본사에 소속된 유류 출하 운전자 정보를 독립적으로 저장하고, 갱신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웹 기반으로 유류 출하를 관리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유류 출하 관리를 수행하는 웹 기반 유류 출하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지문인식에 의한 인증을 적용함으로써, 보다 경제적인 출하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류 출하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아이디정보를 지문정보와 함께 이용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게 운전자 인증이 가능한 유류 출하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통합적인 출하 관리 프로세스를 제공함으로써, 보안성 및 인력 효율화를 향상시키는 유류 출하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웹 기반 유류 출하 관리 장치는 웹을 통해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운전자 정보를 포함하는 출하관리 데이터베이스, 상기 출하관리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출하관리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유류 출하 운전자의 지문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유류 출하 운전자를 인증하는 인증 처리부 및 상기 인증에 따라 상기 출하관리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출하 요청에 대응하는 출하확인정보를 상기 출하관리단말기로 송신하는 출하 처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인증 처리부는 웹을 통해 출하관리단말기로부터 유류 출하 운전자의 아이디정보 및 지문정보를 수신하는 지문정보 수신부, 상기 출하관리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상기 수신한 아이디정보 또는 지문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유류 출하 운전자를 인증하는 지문인식 처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출하 처리부는 상기 인증에 따라 상기 출하관리단말기로 인증확인정보를 송신하는 인증확인정보 송신부 및 상기 출하관리단말기로부터 상기 인증확인정보에 대응하여 수신한 출하 요청에 대응하는 출하확인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출하관리단말기로 송신하는 출하확인정보 송신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웹 기반 유류 출하 관리 장치는 유류 출하 운전자로부터 지문정보를 인식하는 지문정보 인식부, 상기 유류 출하 운전자의 인증 요청에 따라 웹을 통해 출하관리서버로 송신한 상기 지문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출하관리서버로부터 인증확인정보를 수신하는 인증 처리부 및 상기 인증확인정보 수신에 따라 웹을 통해 상기 출하관리서버로 송신한 출하 요청에 대응하여 출하확인정보를 수신하는 출하 처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웹 기반 유류 출하 관리 방법은 웹을 통해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운전자 정보를 포함하는 출하관리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출하관리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출하관리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유류 출하 운전자의 지문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유류 출하 운전자를 인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에 따라 상기 출하관리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출하 요청에 대응하는 출하확인정보를 상기 출하관리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웹 기반 유류 출하 관리 방법은 유류 출하 운전자로부터 지문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유류 출하 운전자의 인증 요청에 따라 웹을 통해 출하관리서버로 송신한 상기 지문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출하관리서버로부터 인증확인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확인정보 수신에 따라 웹을 통해 상기 출하관리서버로 송신한 출하 요청에 대응하여 출하확인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웹 기반으로 유류 출하를 관리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유류 출하 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웹 기반 유류 출하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지문인식에 의한 인증을 적용함으로써, 보다 경제적인 출하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유류 출하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아이디정보를 지문정보와 함께 이용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게 운전자 인증이 가능한 유류 출하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통합적인 출하 관리 프로세스를 제공함으로써, 보안성 및 인력 효율화를 향상시킬 수 있는 유류 출하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지문인식을 이용한 웹 기반 유류 출하 관리 장치 및 방법의 개괄적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기관 업무 시스템(120)은 유류회사에서 운영하는 통합 업무 관리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출하관리서버(110)는 기관 업무 시스템(120) 내부에 포함된 내부장치 또는 기관 업무 시스템(120)과 연결된 독립적인 외부장치로서, 특별히 유류 출하를 담당하는 서버장치일 수 있다. 즉, 출하관리서버(110)는 기관 업무 시스템(120)이 허용한 권한 범위 내에서 상기 유류회사에서 운용하는 저유소의 유류 출하를 관리하는 서버장치일 수 있다.
출하관리서버(110)는 상기 유류회사에 소속된 적어도 하나의 저유소의 유류 출하 업무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출하관리서버(110)는 기관 업무 시스템(120), 외부 유류 기관 서버(130) 또는 주유소 등의 유류 출하 요청에 대응하여 유류 출하 업무를 관리할 수 있다. 이 때, 외부 유류 기관 서버(130)는 기관 업무 시스템(120)을 운용하는 유류회사 이외의 다른 기업 또는 국영 관리 업체에서 운용하는 서버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유류 기관 서버(130)는 대한송유관 서버가 될 수 있으며, 이러한 대한송유관 서버는 출하관리서버(110)로 유류 운송 또는 출하를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출하관리서버(110)는 웹을 기반으로 관리자 단말기 A(141) 내지 관리자 단말기 C(143) 및 출하관리 단말기 A(151) 내지 출하관리 단말기 C(153)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관리자 단말기 A(141) 및 출하관리 단말기 A(151)는 동일 저유소인 저유소 A에 설치된 단말기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관리자 단말기 B(142) 및 출하관리 단말기 B(152)는 저유소 B에 설치될 수 있고, 관리자 단말기 C(143) 및 출하관리 단말기 C(153)는 저유소 C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관리자 단말기 A 내지 C는 각각의 저유소에서 등록된 유류 출하 운전자의 운전자 정보를 출하관리서버(11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출하관리서버(110)는 수신한 운전자 정보를 이용하여 유류 출하 업무에 대한 일정을 계획하는 등의 유류 출하 관리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류 출하 운전자는 자신의 업무 일정에 맞추어 저유소로부터 유류를 출하하고, 소정의 배송지로 유류를 운송하는 일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유류 출하 운전자는 저유소로부터 유류를 출하하기 위하여 인증절차를 수행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 인증절차는 각각의 저유소에 비치된 출하관리 단말기 A 내지 C(151 내지 153)를 통하여 출하관리서버(110)로 인증 요청하고, 인증 요청에 대응하여 인증확인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출하관리서버(110)는 각각의 저유소에 포함된 관리자 단말기 A 내지 C(141 내지 143)로부터 기 수신한 운전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유류 출하 운전자의 인증 요청에 대응하여 인증확인정보를 생성하여 출하관리 단말기 A 내지 C(151 내지 153)로 송신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운전자 정보는 상기 유류 출하 운전자의 지문정보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웹 기반 유류 출하 관리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웹 기반 유류 출하 관리 장치(200)는 출하관리 데이터베이스(210), 인증 처리부(220) 및 출하 처리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웹 기반 유류 출하 관리 장치(200)는 도 1에 도시된 출하관리서버(110)와 같이 동작할 수 있다.
출하관리 데이터베이스(210)는 웹을 통해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운전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하관리 데이터베이스(210)는 상기 운전자 정보와 함께, 웹을 통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허가된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관리자 정보, 출하 이력 정보, 유류 정보, 저유소 도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전자 정보는 운전자 저유소정보, 운전자 아이디정보, 운전자 신상정보, 운전자 차량정보, 운전자 코드정보, 운전자 차량카드정보, 운전자 지문정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자 단말기는 상기 관리자 정보, 운전자 정보, 출하 이력 정보, 유류 정보, 저유소 도장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등록, 관리 또는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관리자 단말기가 저유소 A에 속한 경우, 상기 관리자 단말기는 상기 저유소 A와 연관된 유류 출하 운전자의 운전자 정보를 출하관리 데이터베이스(210)에 등록하고, 다른 저유소 B와 연관된 유류 출하 운전자의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운전자 정보는 지문인식에 필요한 지문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자 단말기는 웹 기반 유류 출하 관리 장치(200)가 담당하는 저유소의 관리자 정보, 출하 이력 정보, 유류 정보 및 저유소 도장 정보를 검색하거나, 삭제 및 변경 등의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웹 기반 유류 출하 관리 장치(200)는 자신이 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관리자 정보, 운전자 정보, 출하 이력 정보, 유류 정보, 저유 소 도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고, 출하관리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웹 기반 유류 출하 관리 장치(200)는 출하관리단말기로부터 인증 요청 또는 출하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관리자 정보, 운전자 정보, 출하 이력 정보, 유류 정보, 저유소 도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인증확인정보 또는 출하확인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출하관리 단말기로 상기 생성한 인증확인정보 또는 출하확인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즉, 웹 기반 유류 출하 관리 장치(200)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 및 출하관리단말기를 설치한 적어도 하나의 저유소와 연결하여 유류 출하 업무를 통합 관리하는 장치로서 동작할 수 있다.
인증 처리부(220)는 출하관리 데이터베이스(210)를 기반으로 출하관리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유류 출하 운전자의 지문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유류 출하 운전자를 인증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증 처리부(220)는 지문정보 수신부(221) 및 지문인식 처리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지문정보 수신부(221)는 웹을 통해 출하관리단말기로부터 유류 출하 운전자의 아이디정보 및 지문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출하관리단말기는 유류 출하 운전자로부터 지문정보 및 아이디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지문정보 또는 아이디정보는 상기 유류 출하 운전자가 자신의 신분에 대한 인증의 요청으로서 입력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지문정보는 상기 출하관리단말기에 연결된 소정의 지문인식모듈에 의하여 입력될 수 있다.
지문인식 처리부(222)는 출하관리 데이터베이스(210)를 기반으로 상기 수신 한 아이디정보 또는 지문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유류 출하 운전자를 인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문인식 처리부(222)는 출하관리 데이터베이스(210)로부터 상기 수신한 아이디정보와 동일한 운전자 아이디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한 운전자 아이디정보와 매칭된 운전자 지문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운전자 지문정보와 상기 수신한 지문정보를 비교하여 유사도를 결정하고, 상기 유사도에 따라 상기 유류 출하 운전자를 인증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운전자 지문정보 또는 수신한 지문정보는 0 또는 1로 구성되는 이진의 지문패턴일 수 있으며, 지문인식 처리부(222)는 상기 운전자 지문정보와 상기 수신한 지문정보의 지문패턴을 상호 비교하여 유사도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지문인식 처리부(222)는 상기 유사도가 기 결정된 수치 이상인 경우, 상기 유류 출하 운전자를 인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사도는 97%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출하관리 데이터베이스(210)는 출하 관리 장치(200)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유류 출하를 담당하는 운전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전자 정보는 운전자 지문정보 및 운전자 아이디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류 출하 운전자 각각은 양손에 각 5 개씩 10개의 서로 다른 지문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운전자 아이디정보는 각각 하나 이상 열 이하의 서로 다른 운전자 지문정보와 매칭될 수 있다. 또한, 최대 10개의 서로 다른 운전자 지문정보는 각각 서로 다른 차량으로 매칭되어 등록될 수 있다. 따라서, 유류 출하 운전자는 최대 10대의 유류 차량을 운용할 수 있다. 이 는 아이디, 비밀번호 또는 차량카드 만을 이용하던 기존 인증절차에 존재하던 차량 등록을 위해 친인척의 신상정보를 이용하는 것과 같은 불편함에 대한 해결책이 될 수 있다.
또한, 지문인식 처리부(222)는 상기 수신한 아이디정보와 동일한 운전자 아이디정보를 출하관리 데이터베이스(210)로부터 검색하고, 상기 운전자 아이디정보와 매칭된 최대 10개의 지문정보와 상기 수신한 지문정보를 각각 비교하여 유사도를 결정하고 상기 유사도에 따라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지문인식 처리부(222)는 수신한 지문정보를 출하관리 데이터베이스(210)에 포함된 모든 운전자 지문정보와 모두 비교하는 방식과 비교할 때, 매우 효율적으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인증 처리부(220)는 상기 아이디정보 또는 지문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한 인증이 실패한 경우, 웹을 통해 상기 출하관리단말기로 요청한 상기 유류 출하 운전자의 차량카드정보를 상기 출하관리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차량카드정보 송수신부(도 2에 도시되지 않음) 및 출하관리 데이터베이스(210)를 기반으로 상기 수신한 차량카드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유류 출하 운전자를 인증하는 차량카드정보 처리부(도 2에 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차량카드정보 송수신부(도 2에 도시되지 않음) 및 차량카드정보 처리부(도 2에 도시되지 않음)에 대해서는 추후 도 3을 통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하겠다.
출하 처리부(230)는 상기 인증에 따라 상기 출하관리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출 하 요청에 대응하는 출하확인정보를 상기 출하관리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하 처리부(230)는 인증확인정보 송신부(231) 및 출하확인정보 송신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인증확인정보 송신부(231)는 상기 인증에 따라 상기 출하관리단말기로 인증확인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증확인정보 송신부(231)는 아이디정보, 지문정보 또는 차량카드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유류 출하 운전자를 인증한 경우, 상기 출하관리단말기로 인증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인증확인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인증확인정보는 상기 출하관리단말기로 출하 요청을 요구하는 요청 신호일 수 있으며, 상기 출하관리단말기는 상기 인증확인정보의 수신에 대응하여 유류 출하 운전자에게 출하 요청을 입력받기 위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출하확인정보 송신부(232)는 상기 출하관리단말기로부터 상기 인증확인정보에 대응하여 수신한 출하 요청에 대응하는 출하확인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출하관리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출하확인정보 송신부(232)는 상기 출하관리단말기로부터 상기 인증확인정보에 대응하는 출하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출하 요청은 출하요청서 발행 또는 출하전표 발행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출하확인정보 송신부(232)는 출하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유류 출하 운전자의 아이디정보와 매칭된 출하 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출하확인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출하확인정보는 출하요청서 발행정보 또는 출하전표 발 행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출하 이력 정보는 상기 유류 출하 운전자가 이미 수행한 출하 이력 정보이거나, 또는 앞으로 수행해야 하는 출하 이력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출하확인정보 송신부(232)는 상기 출하관리단말기로 상기 출하 요청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출하 이력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출하관리단말기가 선택한 특정의 출하 이력 정보와 관련된 응답을 수신하고, 상기 응답을 이용하여 상기 출하확인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하확인정보는 출하될 유류의 유류 정보 및 저유소 도장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증확인정보, 출하 요청 또는 출하확인정보는 상기 출하관리단말기와 웹을 통해 송수신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출하확인정보 송신부(232)는 출하관리단말기와 상기 출하 요청을 포함하여 적어도 1회 이상의 정보 송수신을 수행하고, 상기 적어도 1회 이상의 정보의 송수신을 기반으로 상기 출하확인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출하확인정보 송신부(232)는 상기 출하 요청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정보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출하관리단말기가 출하요청서의 발행을 요청한 경우 출하확인정보 송신부(232)는 출하관리단말기로 유류 출하 운전자와 연관된 출하 이력 정보(예를 들어 예약된 출하 작업 리스트)들을 제공하고, 상기 출하관리단말기가 상기 출하 이력 정보들 중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출하 이력 정보에 대응하는 출하요청서정보를 상기 출하확인정보로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하관리단말기가 출하전표의 발행을 요청한 경우, 출하확인정보 송신부(232)는 출하관리단말기로 유류 출하 운전자와 연관된 출하 이력 정보(예를 들어 출하요 청서가 기 발행된 출하 작업 리스트)들을 제공하고, 상기 출하관리단말기가 상기 출하 이력 정보들 중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출하 이력 정보에 대응하는 출하전표정보를 상기 출하확인정보로서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출하요청서는 유류 출하 전의 확인서의 일예이고, 상기 출하전표는 유류 출하 후의 확인서의 일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출하확인정보는 담당 저유소의 도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하관리단말기는 상기 출하확인정보를 이용하여 출하 요청서 또는 출하전표를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출하관리단말기는 상기 도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출력된 출하요청서 또는 출하전표에 담당 저유서 도장을 자동으로 포함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증 처리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증 처리부(300)는 지문정보 수신부(301), 지문인식 처리부(302), 차량카드정보 송수신부(303) 및 차량카드정보 처리부(304)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지문정보 수신부(301) 및 지문인식 처리부(302)는 앞서 도 2를 통하여 설명한 지문정보 수신부(221) 및 지문인식 처리부(222)와 각각 동일하게 동작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하겠다.
차량카드정보 송수신부(303)는 상기 아이디정보 또는 지문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한 인증이 실패한 경우, 웹을 통해 상기 출하관리단말기로 요청한 상기 유류 출하 운전자의 차량카드정보를 상기 출하관리단말기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카드정보 송수신부(303)는 지문인식 처리부(302)에서 상기 아이디정보 또는 지문정보를 이용하여 인증을 실패한 경우, 상기 출하관리단말기로 유류 출하 운전자의 차량카드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출하관리단말기로부터 요청한 차량카드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지문인식 처리부(302)는 상기 수신한 지문정보와 유사도가 기 결정된 수치보다 높은 운전자 지문정보를 출하관리 데이터베이스(210)로부터 검출하지 못하였거나, 상기 수신한 지문정보로 지문인식이 불가하거나, 상기 출하관리단말기로부터 지문인식이 불가하다는 신호를 수신하였거나, 출하관리 데이터베이스(210)에 상기 수신한 아이디정보에 대해 차량카드인증을 수행하라는 정보가 저장된 경우 아이디정보 또는 지문정보를 이용한 인증을 실패할 수 있다. 또한, 차량카드정보 송수신부(303)는 상기 차량카드정보와 함께 패스워드를 더 요청하여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하관리단말기는 상기 유류 출하 운전자와 연관된 차량카드로부터 차량카드정보를 추출하는 차량카드정보 추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카드정보 처리부(304)는 출하관리 데이터베이스(210)를 기반으로 상기 수신한 차량카드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유류 출하 운전자를 인증할 수 있다. 이 때, 출하관리 데이터베이스(210)는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운전자 차량카드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운전자 차량카드정보는 운전자 아이디정보와 매칭될 수 있다. 즉, 유류 출하 운전자는 각각 고유의 차량카드정보를 부여받을 수 있다.
차량카드정보 처리부(304)는 상기 수신한 차량카드정보와 출하관리 데이터베이스(210)에 포함된 운전자 차량카드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유류 출하 운전자를 인증할 수 있다. 또한, 차량카드정보 처리부(304)는 상기 수신한 패스워드를 이용하 여 출하관리 데이터베이스(210)에 포함된 운전자 패스워드 정보와 비교함으로써, 보안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2중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차량카드정보 처리부(304)는 지문인식이 불가한 유류 출하 운전자에 대하여 차량카드를 이용한 인증을 수행함으로써, 탄력적인 2원화 인증 방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웹 기반 유류 출하 관리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웹 기반 유류 출하 관리 장치(400)는 지문정보 인식부(401), 아이디정보 송신부(402), 인증 처리부(403) 및 출하 처리부(40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웹 기반 유류 출하 관리 장치(200)는 도 1에 도시된 출하관리 단말기 A(151) 내지 출하관리 단말기 C(153)와 같이 동작할 수 있다.
지문정보 인식부(401)는 유류 출하 운전자로부터 지문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문정보는 상기 유류 출하 운전자가 자신의 신분에 대한 인증의 요청으로서 입력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지문정보는 상기 출하관리단말기에 연결된 소정의 지문인식모듈에 의하여 인식될 수 있다.
아이디정보 송신부(402)는 웹을 통해 상기 유류 출하 운전자의 아이디정보를 상기 출하관리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아이디정보는 상기 유류 출하 운전자가 자신의 신분에 대한 인증의 요청으로서 입력한 정보일 수 있다.
인증 처리부(403)는 상기 유류 출하 운전자의 인증 요청에 따라 웹을 통해 출하관리서버로 송신한 상기 지문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출하관리서버로부터 인증확인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출하관리서버는 웹을 통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허가된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관리자 정보, 운전자 정보, 출하 이력 정보, 유류 정보, 저유소 도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출하관리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전자 정보는 운전자 저유소정보, 운전자 아이디정보, 운전자 신상정보, 운전자 차량정보, 운전자 코드정보, 운전자 차량카드정보, 운전자 지문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출하관리 데이터베이스는 도 2를 통하여 설명한 출하관리 데이터베이스(210)와 동일하게 동작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하겠다.
또한, 상기 출하관리서버는 내부에 포함된 출하관리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상기 아이디정보 또는 지문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유류 출하 운전자를 인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출하관리서버는 내부에 포함된 상기 출하관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출하관리서버로 송신된 아이디정보와 동일한 운전자 아이디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한 운전자 아이디정보와 매칭된 운전자 지문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운전자 지문정보와 상기 출하관리서버로 송신된 지문정보를 비교하여 유사도를 결정하고, 상기 유사도에 따라 상기 유류 출하 운전자를 인증하고, 상기 인증에 대응하여 인증확인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전자 아이디정보는 각각 하나 이상 열 이하의 서로 다른 운전자 지문정보와 매칭되고, 상기 추출한 운전자 지문정보 및 송신된 지문정보는 지문의 패턴정보일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출하관리서버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지 아니한 내용은 앞서 도 2를 통하여 설명한 인증 처리부(220)에서 설명한 내용을 통하여 뒷받침 하도 록 하겠다. 이 때, 상기 출하관리서버는 도 2의 웹 기반 유류 출하 관리 장치(200)와 동일하게 동작하고, 웹 기반 출하 관리 장치(400)는 도 2의 출하관리서버와 동일하게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웹 기반 유류 출하 관리 장치(400)는 상기 아이디정보 또는 지문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한 인증 실패에 따라 상기 출하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유류 출하 운전자의 차량카드정보 요청에 대응하여 웹을 통해 상기 출하관리서버로 상기 차량카드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출하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차량카드정보의 송신에 대응하는 인증확인정보를 수신하는 차량카드정보 처리부(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출하관리서버는 내부에 포함된 출하관리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카드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유류 출하 운전자를 인증하고, 상기 인증에 대응하여 인증확인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인증 처리부(403) 및 차량카드정보 처리부(도시되지 않음)에 대해서는 추후 도 5를 통하여 추가적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출하 처리부(404)는 상기 인증확인정보 수신에 따라 웹을 통해 상기 출하관리서버로 송신한 출하 요청에 대응하여 출하확인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출하관리서버는 내부에 포함된 출하관리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출하 요청에 대응하는 출하확인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하 요청은 출하요청서 발행 또는 출하전표 발행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출하확인정보는 출하요청서 발행정보 또는 출하전표 발행정보일 수 있다.
또한, 웹 기반 유류 출하 관리 장치(400)는 상기 출하확인정보를 이용하여 출하 요청서 또는 출하전표를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웹 기반 유류 출하 관리 장치(400)는 상기 도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출력된 출하요청서 또는 출하전표에 담당 저유서 도장을 자동으로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출하관리서버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지 아니한 내용은 앞서 도 2를 통하여 설명한 출하 처리부(230)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하겠다. 이 때, 상기 출하관리서버는 도 2의 웹 기반 유류 출하 관리 장치(200)와 동일하게 동작하고, 웹 기반 출하 관리 장치(400)는 도 2의 출하관리서버와 동일하게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웹 기반 유류 출하 관리 장치(400)는 영상장치로부터 상기 웹 기반 유류 출하 관리 장치 주변의 영상정보를 수신하는 영상정보 수신부(도시되지 않음) 및 웹을 통해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한 영상정보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외부 장치로 상기 영상정보를 송신하는 영상정보 처리부(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영상장치의 일예는 CCTV 카메라일 수 있으며, 상기 외부 장치는 상기 출하관리서버 또는 웹으로 연결된 웹 단말기일 수 있다. 또한, 영상정보 처리부(도시되지 않음)는 상기 영상정보를 저장하는 소정의 저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웹 기반 유류 출하 관리 장치(400)는 웹을 통해 상기 출하관리서버와 연결되어 있으며, 무인으로 작동하고 있어, 보안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따라서, 웹 기반 유류 출하 관리 장치(400)는 영상정보 수신부(도시되지 않음) 및 영상정보 처리 부(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웹 기반 유류 출하 관리 장치(400)와 연관된 영상정보를 체크함으로써 보안성을 높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증 처리 과정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도 5에 도시된 화면(501) 내지 화면(503)은 웹 기반 유류 출하 관리 장치(400) 내부 또는 외부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화면일 수 있다.
웹 기반 유류 출하 관리 장치(400)는 화면(501)을 통하여 유류 출하 운전자의 인증 요청에 따라 상기 유류 출하 운전자의 아이디정보 및 지문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웹 기반 유류 출하 관리 장치(400)는 웹을 통해 출하관리서버로 상기 아이디정보 및 지문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출하관리서버는 상기 아이디정보 및 지문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유류 출하 운전자의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출하관리서버가 상기 유류 출하 운전자의 인증을 성공한 경우, 상기 출하관리서버는 상기 아이디정보 및 지문정보에 대응하는 인증확인정보를 생성하여 웹 기반 유류 출하 관리 장치(400)로 송신할 수 있다. 웹 기반 유류 출하 관리 장치(400)는 상기 인증확인정보를 출하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한 경우, 화면(503)을 통하여 상기 유류 출하 운전자로 출하 요청을 입력받을 수 있다.
반면, 상기 출하관리서버가 상기 아이디정보 또는 지문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한 인증을 실패한 경우, 상기 출하관리서버는 웹 기반 유류 출하 관리 장치(400)로 차량카드정보를 요청하고, 웹 기반 유류 출하 관리 장치(400)는 상기 차량카드정보의 요청에 대응하여 화면(502)을 통하여 상기 유류 출하 운전자에게 차 량카드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웹 기반 유류 출하 관리 장치(400)는 입력받은 차량카드정보를 상기 출하관리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출하관리서버는 내부에 포함된 출하관리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카드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유류 출하 운전자를 인증하고, 상기 인증에 대응하여 인증확인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하관리서버는 상기 생성한 인증확인정보를 웹 기반 유류 출하 관리 장치(400)로 송신할 수 있다. 웹 기반 유류 출하 관리 장치(400)는 상기 인증확인정보를 출하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한 경우, 화면(503)을 통하여 상기 유류 출하 운전자로 출하 요청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 때, 상기 출하관리서버는 상기 수신한 지문정보와 유사도가 기 결정된 수치보다 높은 운전자 지문정보를 내부에 포함된 출하관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출하지 못하였거나, 상기 수신한 지문정보로 지문인식이 불가하거나, 웹 기반 유류 출하 관리 장치(400)로부터 지문인식이 불가하다는 신호를 수신하였거나, 상기 출하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수신한 아이디정보에 대해 차량카드인증을 수행하라는 정보가 저장된 경우 아이디정보 또는 지문정보를 이용한 인증을 실패할 수 있다. 또한, 출하관리서버는 웹 기반 유류 출하 관리 장치(400)로 상기 차량카드정보와 함께 패스워드를 더 요청하여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수신한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상기 출하관리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운전자 패스워드 정보와 비교함으로써, 2중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웹 기반 유류 출하 관리 장치(400)는 상기 유류 출하 운전자와 연관된 차량카드로부터 차량카드정보를 추출하는 차량카드정보 추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웹 기반 유류 출하 관리 장치(400)는 지문인식이 불가한 유류 출하 운전자에 대하여 차량카드를 이용한 인증을 수행함으로써, 탄력적인 2원화 인증 방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웹 기반 유류 출하 관리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웹 기반 유류 출하 관리 방법은 단계(S610) 내지 단계(S630)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웹 기반 유류 출하 관리 방법은 웹 기반 유류 출하 관리 장치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단계(S610)에서 상기 출하 관리 장치는 웹을 통해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운전자 정보를 포함하는 출하관리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할 수 있다.
단계(S620)에서 상기 출하 관리 장치는 상기 출하관리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출하관리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유류 출하 운전자의 지문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유류 출하 운전자를 인증할 수 있다. 또한, 단계(S620)는 단계(S621) 및 단계(S622)로 수행될 수 있다.
단계(S621)에서 상기 출하 관리 장치는 웹을 통해 출하관리단말기로부터 유류 출하 운전자의 아이디정보 및 지문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단계(S622)에서 상기 출하 관리 장치는 상기 출하관리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상기 수신한 아이디정보 또는 지문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유류 출하 운전자를 인증할 수 있다.
단계(S630)에서 상기 출하 관리 장치는 상기 인증에 따라 상기 출하관리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출하 요청에 대응하는 출하확인정보를 상기 출하관리단말기로 송 신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630)는 단계(S631) 및 단계(S632)로 수행될 수 있다.
단계(S631)에서 상기 출하 관리 장치는 상기 인증에 따라 상기 출하관리단말기로 인증확인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단계(S632)에서 상기 출하 관리 장치는 상기 출하관리단말기로부터 상기 인증확인정보에 대응하여 수신한 출하 요청에 대응하는 출하확인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출하관리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도 6에 대하여 설명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2 및 도 3을 통하여 설명한 내용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당업자라면 도 2 및 도 3의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하겠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웹 기반 유류 출하 관리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웹 기반 유류 출하 관리 방법은 단계(S701) 내지 단계(S704)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웹 기반 유류 출하 관리 방법은 웹 기반 유류 출하 관리 장치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단계(S701)에서 상기 출하 관리 장치는 유류 출하 운전자로부터 지문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단계(S702)에서 상기 출하 관리 장치는 웹을 통해 상기 유류 출하 운전자의 아이디정보를 상기 출하관리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단계(S703)에서 상기 출하 관리 장치는 상기 유류 출하 운전자의 인증 요청에 따라 웹을 통해 출하관리서버로 송신한 상기 지문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출하관 리서버로부터 인증확인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상기 출하관리서버는 내부에 포함된 출하관리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상기 아이디정보 또는 지문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유류 출하 운전자를 인증할 수 있다.
단계(S704)에서 상기 출하 관리 장치는 상기 인증확인정보 수신에 따라 웹을 통해 상기 출하관리서버로 송신한 출하 요청에 대응하여 출하확인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출하관리서버는 내부에 포함된 출하관리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출하 요청에 대응하는 출하확인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도 7에 대하여 설명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4 및 도 5를 통하여 설명한 내용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당업자라면 도 4 및 도 5의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하겠다.
본 발명에 따른 웹 기반 유류 출하 관리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지문인식을 이용한 웹 기반 유류 출하 관리 장치 및 방법의 개괄적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웹 기반 유류 출하 관리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증 처리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웹 기반 유류 출하 관리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증 처리 과정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웹 기반 유류 출하 관리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웹 기반 유류 출하 관리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출하관리서버
200: 유류 출하 관리 장치
220: 인증 처리부
230: 출하 처리부

Claims (27)

  1. 웹을 통해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운전자 정보를 포함하는 출하관리 데이터베이스;
    상기 출하관리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출하관리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유류 출하 운전자의 지문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유류 출하 운전자를 인증하는 인증 처리부; 및
    상기 인증에 따라 상기 출하관리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출하 요청에 대응하는 출하확인정보를 상기 출하관리단말기로 송신하는 출하 처리부
    를 포함하는 웹 기반 유류 출하 관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하관리 데이터베이스는,
    웹을 통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허가된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관리자 정보, 운전자 정보, 출하 이력 정보, 유류 정보, 저유소 도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기는,
    상기 관리자 정보, 운전자 정보, 출하 이력 정보, 유류 정보, 저유소 도장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등록, 관리 또는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기반 유류 출하 관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 정보는,
    운전자 저유소정보, 운전자 아이디정보, 운전자 신상정보, 운전자 차량정보, 운전자 코드정보, 운전자 차량카드정보, 운전자 지문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기반 유류 출하 관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처리부는,
    웹을 통해 출하관리단말기로부터 유류 출하 운전자의 아이디정보 및 지문정보를 수신하는 지문정보 수신부;
    상기 출하관리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상기 수신한 아이디정보 또는 지문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유류 출하 운전자를 인증하는 지문인식 처리부
    를 포함하는 웹 기반 유류 출하 관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인식 처리부는,
    상기 출하관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수신한 아이디정보와 동일한 운전자 아이디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한 운전자 아이디정보와 매칭된 운전자 지문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운전자 지문정보와 상기 수신한 지문정보를 비교하여 유사도를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유사도에 따라 상기 유류 출하 운전자를 인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기반 유류 출하 관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 아이디정보는,
    각각 하나 이상 열 이하의 서로 다른 운전자 지문정보와 매칭되고,
    상기 추출한 운전자 지문정보 및 수신한 지문정보는,
    지문의 패턴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기반 유류 출하 관리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디정보 또는 지문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한 인증이 실패한 경우, 웹을 통해 상기 출하관리단말기로 요청한 상기 유류 출하 운전자의 차량카드정보를 상기 출하관리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차량카드정보 송수신부; 및
    상기 출하관리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상기 수신한 차량카드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유류 출하 운전자를 인증하는 차량카드정보 처리부
    를 더 포함하는 웹 기반 유류 출하 관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하 처리부는,
    상기 인증에 따라 상기 출하관리단말기로 인증확인정보를 송신하는 인증확인정보 송신부; 및
    상기 출하관리단말기로부터 상기 인증확인정보에 대응하여 수신한 출하 요청에 대응하는 출하확인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출하관리단말기로 송신하는 출하확인정보 송신부
    를 포함하는 웹 기반 유류 출하 관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출하확인정보는,
    상기 출하관리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상기 출하 요청을 이용하여 생성되고,
    상기 인증확인정보, 출하 요청 또는 출하확인정보는,
    상기 출하관리단말기와 웹을 통해 송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기반 유류 출하 관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출하 요청은,
    출하요청서 발행 또는 출하전표 발행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출하확인정보는,
    출하요청서 발행정보 또는 출하전표 발행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기반 유류 출하 관리 장치.
  11. 유류 출하 운전자로부터 지문정보를 인식하는 지문정보 인식부;
    상기 유류 출하 운전자의 인증 요청에 따라 웹을 통해 출하관리서버로 송신한 상기 지문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출하관리서버로부터 인증확인정보를 수신하는 인증 처리부; 및
    상기 인증확인정보 수신에 따라 웹을 통해 상기 출하관리서버로 송신한 출하 요청에 대응하여 출하확인정보를 수신하는 출하 처리부
    를 포함하는 웹 기반 유류 출하 관리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출하관리서버는,
    웹을 통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허가된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관리자 정보, 운전자 정보, 출하 이력 정보, 유류 정보, 저유소 도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출하관리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기반 유류 출하 관리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 정보는,
    운전자 저유소정보, 운전자 아이디정보, 운전자 신상정보, 운전자 차량정보, 운전자 코드정보, 운전자 차량카드정보, 운전자 지문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기반 유류 출하 관리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웹 기반 유류 출하 관리 장치는,
    웹을 통해 상기 유류 출하 운전자의 아이디정보를 상기 출하관리서버로 송신하는 아이디정보 송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하관리서버는,
    내부에 포함된 출하관리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상기 아이디정보 또는 지문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유류 출하 운전자를 인증하고, 상기 인증에 대응하여 인증확인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기반 유류 출하 관리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출하관리서버는,
    내부에 포함된 상기 출하관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출하관리서버로 송신된 아이디정보와 동일한 운전자 아이디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한 운전자 아이디정보와 매칭된 운전자 지문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운전자 지문정보와 상기 출하관리서버로 송신된 지문정보를 비 교하여 유사도를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유사도에 따라 상기 유류 출하 운전자를 인증하고, 상기 인증에 대응하여 인증확인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기반 유류 출하 관리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 아이디정보는,
    각각 하나 이상 열 이하의 서로 다른 운전자 지문정보와 매칭되고,
    상기 추출한 운전자 지문정보 및 송신된 지문정보는,
    지문의 패턴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기반 유류 출하 관리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웹 기반 유류 출하 관리 장치는,
    상기 아이디정보 또는 지문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한 인증 실패에 따라 상기 출하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유류 출하 운전자의 차량카드정보 요청에 대응하여 웹을 통해 상기 출하관리서버로 상기 차량카드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출하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차량카드정보 송신에 대응하는 인증확인정보를 수신하는 차량카드정보 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하관리서버는,
    내부에 포함된 출하관리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카드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유류 출하 운전자를 인증하고, 상기 인증에 대응하여 인증확인정보를 생 성하는 차량카드정보 처리부
    를 더 포함하는 웹 기반 유류 출하 관리 장치.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출하관리서버는,
    내부에 포함된 출하관리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출하 요청에 대응하는 출하확인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기반 유류 출하 관리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출하 요청은,
    출하요청서 발행 또는 출하전표 발행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출하확인정보는,
    출하요청서 발행정보 또는 출하전표 발행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기반 유류 출하 관리 장치.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웹 기반 유류 출하 관리 장치는,
    영상장치로부터 상기 웹 기반 유류 출하 관리 장치 주변의 영상정보를 수신하는 영상정보 수신부; 및
    웹을 통해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한 영상정보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외부 장 치로 상기 영상정보를 송신하는 영상정보 처리부
    를 더 포함하는 웹 기반 유류 출하 관리 장치.
  21. 웹을 통해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운전자 정보를 포함하는 출하관리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출하관리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출하관리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유류 출하 운전자의 지문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유류 출하 운전자를 인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에 따라 상기 출하관리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출하 요청에 대응하는 출하확인정보를 상기 출하관리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웹 기반 유류 출하 관리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출하관리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출하관리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유류 출하 운전자의 지문정보를 이용하여 유류 출하 운전자를 인증하는 상기 단계는,
    웹을 통해 출하관리단말기로부터 유류 출하 운전자의 아이디정보 및 지문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출하관리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상기 수신한 아이디정보 또는 지문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유류 출하 운전자를 인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웹 기반 유류 출하 관리 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에 따라 출하관리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출하 요청에 대응하는 출하확인정보를 출하관리단말기로 송신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인증에 따라 상기 출하관리단말기로 인증확인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출하관리단말기로부터 상기 인증확인정보에 대응하여 수신한 출하 요청에 대응하는 출하확인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출하관리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웹 기반 유류 출하 관리 방법.
  24. 유류 출하 운전자로부터 지문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유류 출하 운전자의 인증 요청에 따라 웹을 통해 출하관리서버로 송신한 상기 지문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출하관리서버로부터 인증확인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확인정보 수신에 따라 웹을 통해 상기 출하관리서버로 송신한 출하 요청에 대응하여 출하확인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웹 기반 유류 출하 관리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웹 기반 유류 출하 관리 방법은,
    웹을 통해 상기 유류 출하 운전자의 아이디정보를 상기 출하관리서버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하관리서버는,
    내부에 포함된 출하관리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상기 아이디정보 또는 지문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유류 출하 운전자를 인증하고, 상기 인증에 대응하는 인증확인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기반 유류 출하 관리 방법.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출하관리서버는,
    내부에 포함된 출하관리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출하 요청에 대응하는 출하확인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기반 유류 출하 관리 방법.
  27. 제21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080021472A 2008-03-07 2008-03-07 지문인식을 이용한 웹 기반 유류 출하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0900961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1472A KR20090096100A (ko) 2008-03-07 2008-03-07 지문인식을 이용한 웹 기반 유류 출하 관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1472A KR20090096100A (ko) 2008-03-07 2008-03-07 지문인식을 이용한 웹 기반 유류 출하 관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6100A true KR20090096100A (ko) 2009-09-10

Family

ID=41296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1472A KR20090096100A (ko) 2008-03-07 2008-03-07 지문인식을 이용한 웹 기반 유류 출하 관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9610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9630A (ko) * 2013-11-21 2015-06-01 (주)유엠솔루션 주유소 관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9630A (ko) * 2013-11-21 2015-06-01 (주)유엠솔루션 주유소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42288B2 (ja) プレイスにアクセス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11057426B2 (en) Methods and systems providing cyber defense for electronic identification, vehicles, ancillary vehicle platforms and telematics platforms
US11398122B2 (en) Passenger authentication system for a transportation service vehicle
US11188869B2 (en) Enforcing data consistency in a transportation network
US9940615B2 (en) Automated pairing of payment products and mobile to mobile devices
DK3272705T3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fuel dispensing by means of a distribution device
CN105184539A (zh) 一种互联网物流服务系统
KR101202295B1 (ko) 고유키 값을 이용한 간편 결제 방법 및 그 장치
CN103544074A (zh) 一种业务的校验方法及装置
TW201032157A (en) Multifactor authentication with changing unique values
KR20110038562A (ko) 생체인식 카드와 csd를 활용한 컨테이너 및 물류추적시스템
US10262325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mobile fleet card activation
CA3147372A1 (en) Electronic invoice management method, device, computer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KR101707812B1 (ko) 발권 정보 서비스 제공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96100A (ko) 지문인식을 이용한 웹 기반 유류 출하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601890B1 (ko)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did 출입 인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 인증 방법
CN116552310A (zh) 一种基于云平台和站控平台的车辆通过性验证方法及系统
CN111311179A (zh) 对象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100001911A (ko) 공항 자동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4565827B2 (ja) Idタグを読み取る情報処理装置、idタグを読み取るためのプログラム、およびidタグに書き込むためのプログラム
KR100730287B1 (ko) 차량 주유 방법 및 시스템
KR20140011535A (ko) 자동 메타데이터 관리시스템
KR20150098194A (ko) 개방된 티켓 없는 여행 서비스
CN110324361A (zh) 信息认证的方法、装置、计算设备和介质
WO2015048015A1 (en) Automated pairing of payment products and mobile to mobile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