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5623A - 막대형 측정 장치용 위치 결정 장치 - Google Patents

막대형 측정 장치용 위치 결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5623A
KR20090095623A KR1020097013698A KR20097013698A KR20090095623A KR 20090095623 A KR20090095623 A KR 20090095623A KR 1020097013698 A KR1020097013698 A KR 1020097013698A KR 20097013698 A KR20097013698 A KR 20097013698A KR 20090095623 A KR20090095623 A KR 200900956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suring device
rod
sleeve
positioning device
sha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3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0315B1 (ko
Inventor
맛씨아스 아르즈베르게르
조세프 더이쎈
마르쿠스 라이프페르쉬아이트
Original Assignee
에스엠에스 지마크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102007037684A external-priority patent/DE102007037684A1/d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엠에스 지마크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에스엠에스 지마크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90095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56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0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03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2/00Arrangement of indicating or measuring devices, e.g. for temperature or viscosity of the fused m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5/00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14Supports; Fastening devices; Arrangements for mounting thermometers in particular lo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7/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 G01K7/02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e.g. thermocoup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Temperature Or Quantity Of Heat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정 장치용 위치 결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지된 위치 결정 장치에 있어서, 예컨대 연속 주조 다이와 같은 대상 내에서 다양한 깊이에 위치하는 측정점들에 대해서도 단일의 길이를 구비하는 막대형 측정 장치들의 이용을 가능하게 하는 방식으로 상기 위치 결정 장치를 개선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슬리브가 제공되되, 이 슬리브는 축방향 연장부에서 원통형 가이드 부재의 단부 중 대상으로부터 이격된 단부에 연결되고, 또한 슬리브 내에서는 스프링 부재와 측정 장치도 마찬가지로 안내되며, 그리고 스프링 부재를 위한 제2 정지부는, 슬리브에 의해, 원통형 가이드 부재의 단부 중 대상으로부터 이격된 단부를 넘어서 축방향으로 변위되어 고정될 수 있게 됨으로써 달성된다.
Figure 112009039871719-PCT00001
연속 주조 다이, 측정점, 막대형 측정 장치, 원통형 가이드 부재, 스프링 부 재, 슬리브, 위치 결정 장치.

Description

막대형 측정 장치용 위치 결정 장치{POSITIONING DEVICE FOR A ROD-SHAPED MEASURING APPARATUS}
본 발명은 예컨대 연속 주조 다이와 같은 대상의 측정점에서 측정 변수를 측정하기 위한 막대형 측정 장치, 예컨대 열전대를 위한 위치 결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위치 결정 장치는 예컨대 미국 특허 공보 US 3,745,828로부터 공지되었다. 미국 공보에 따른 위치 결정 장치는 이중 벽의 다이의 외벽부에 장착된다. 두 다이 벽부 사이에 냉각 액체가 위치한다. 이런 점에서 다이의 전술한 외벽부는 단일 벽의 다이의 배면에 안착되는 물탱크의 벽부에 비유된다. 미국 공보에 따라, 위치 결정 장치는, 외벽부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원통형 하우징/가이드 부재를 포함한다. 온도 측정 장치는 원통형 하우징 및 냉각 액체를 통과하여 다이의 제1 벽부의 내부에 위치하는 측정 위치에까지 안내된다. 원통형 하우징/가이드 부재는 열전대를 안내할 뿐 아니라, 압축 스프링으로서 형성되어 두 정지부 사이에서 고정되는 스프링 부재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일측 정지부는 열전대와 견고하게 결합되고, 그에 반해 타측 정지부는 원통형 하우징에 공간적으로 견고하게 끼워맞춰진다. 이런 구조에서 압축 스프링은 제2 정지부 또는 원통형 하우징에 지지 되면서, 소정의 예압 상태에서 열전대를 측정 위치 쪽으로 밀착시킨다.
전술한 예압은, 예컨대 제1 다이 벽부의 배면에서 보어 구멍 내 비정밀성이 상대적으로 낮을 시, 또는 내부 다이 벽부와 외부 다이 벽부 사이에서 기본적으로 일정한 이격 간격이 열적 영향으로 인해 확대될 수밖에 없을 때와 같은 바람직하지 못한 환경 조건에서도, 열전대의 우수한 접촉을 제공한다. 압축 스프링의 스프링 경로는 대개 수 밀리미터에 불과하며, 그에 따라 상대적으로 낮은 비정밀성을 보상하기에 적합할 뿐이다.
그러나 실제로 다이의 배면 내 측정 위치들을 위한 보어 구멍들은 그 깊이가 상이하다. 예컨대 보어 구멍 깊이는 10과 60㎜ 사이에서 다양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공지된 위치 결정 장치는 상대적으로 짧은 자체 스프링 경로를 바탕으로 상기와 같이 매우 다양한 보어 구멍 깊이를 보상하기에는 적합하지 못하다. 그에 따라 공급자는 상이한 보어 구멍 깊이에 각각 부합하는 상이한 길이의 다양한 열전대를 재고로 보유하고 있어야만 한다. 조립 시에, 종종 길이의 차이가 수 밀리미터 정도만을 나타내는 다양한 길이의 수많은 열전대는 혼동과 조립 오류를 야기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이는 종종 측정 오류를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막대형 측정 장치용으로 제공되는 공지된 위치 결정 장치에 있어서, 예컨대 연속 주조 다이와 같은 대상 내에서 다양한 깊이에 위치하는 측정점들에 대해서도 단일의 길이를 갖는 막대형 측정 장치들의 이용을 가능하게 하는 방식으로 상기 위치 결정 장치를 개선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은 특허 청구항 제1항의 대상에 의해 달성된다. 이 제1항의 대상은, 슬리브가 제공되되, 이 슬리브는 축방향 연장부에서 원통형 가이드 부재의 단부 중 대상으로부터 이격된 단부에 연결되고, 또한 슬리브 내에서는 가이드 부재 및 측정 장치도 마찬가지로 안내되며, 그리고 스프링 부재를 위한 제2 정지부는 슬리브에 의해서 원통형 가이드 부재의 단부 중 대상으로부터 이격된 단부를 넘어서 축방향으로 변위되어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슬리브는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막대형 측정 장치가 삽입되어야 하는 보어 구멍의 각각의 깊이에 따라 원통형 가이드 부재의 축방향으로 스프링 부재를 위한 제2 정지부의 변위를 가능하게 한다. 그에 따라 스프링 부재를 위한 제2 정지부의 축방향 변위를 위한 가능성을 바탕으로, 다이 후방 벽부 내 각각의 보어 구멍에 대해, 그 보어 구멍의 각각의 깊이와 무관하게, 동일한 길이의 측정 장치들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소정의 보어 구멍들에 다양한 길이의 개별 측정 장치들을 끼워맞출 시에 발생하는 혼동 위험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게 된다. 그 외에도 제2 정지부의 변위성을 통해, 바람직하게는 단일의 길이를 갖는 측정 장치들만을 이용하더라도, 개별적으로 각각의 개별 보어 구멍 깊이들에 따라 항상 올바른 예압이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런 경우 동시에 측정 장치의 첨단과 다이 내부의 측정점 사이에 요구되는 접촉도 보장된다. 단일의 길이만을 갖는 측정 장치들의 이용에 대체되는 실시예에 따라, 자명한 사실로서 다양한 표준 길이를 갖는 측정 장치들도 이용할 수 있다.
실례에 따라 슬리브는 제1 나사부를 통해 원통형 가이드 부재에 연결된다. 제1 나사부에 의해서는, 원통형 가이드 부재의 단부 중 대상으로부터 이격된 단부보다 더욱 돌출되는 길이가 가변 조정될 수 있다. 이런 점에 한해서, 또한 제1 나사부를 이용하여, 원통형 가이드 부재의 단부 중 대상으로부터 이격된 단부를 넘어서 제2 정지부가 축방향으로 변위되어 고정될 수 있게 하는 경로 길이를 변경하거나 조정할 수 있다. 대체되는 실시예에 따라, 슬리브는 또한 베이어닛 피팅을 통해 원통형 가이드 부재에 연결될 수도 있다. 베이어닛 피팅은, 다이의 작동 시에 부식성 환경에 노출될 수도 있는, 오염물을 발생시키는 나사부를 포함하지 않으며, 공구 없이 손으로 직접 가이드 부재 및 열전대의 조립 및 분해를 가능하게 한다는 장점이 있다. 베이어닛 피팅은 또한 다중 핑거/그루브 유닛으로서 형성할 수도 있다. 추가로 대체되는 실시예로서, 슬리브는 또한 예컨대 용접을 통해 가이드 부재의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거나, 또는 그 가이드 부재와 일체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제2 정지부는 본 발명에서 중심 개구부를 구비한 원판형 개구 플레이트로서 형성된다. 개구부는 막대형 측정 장치를 통과시키거나, 그 측정 장치의 케이블을 통과시키는 역할을 한다. 개구부 외부에서 개구 플레이트는 스프링 부재용 정지부로서 이용된다.
제1 실시예에 따라, 개구 플레이트에는 서로 맞은편에 위치하는 2개의 노즈(nose)가 형성된다. 이 노즈들은 슬리브의 슬롯 내에서 안내된다. 슬롯이 구비된 슬리브의 제2 나사부와 맞물려 고정되고 노즈들을 통해 개구 플레이트에 작용하는 너트에 의해서는, 개구 플레이트가 축방향으로 위치 결정될 수 있다.
대체되는 제2 실시예에 따라, 개구 플레이트 자체가, 슬리브의 단부 중 대상으로부터 이격된 단부 상에 고정될 수 있는 로크 부시로서, 바람직하게는 유니온 너트로서 형성된다. 유니온 너트의 나사부 길이는, 제2 정지부가 원통형 가이드 부재의 단부 중 대상으로부터 이격된 단부를 넘어 축방향으로 변위되어 고정될 수 있는 범위를 제공하는 경로 길이의 가변 조정을 위한 추가 가능성을 제공한다. 이에 대체되는 실시예에 따라, 로크 부시는 또한 베이어닛 피팅으로 슬리브에 고정될 수도 있으며, 이때 베이어닛 피팅에 대해서는 앞서 이미 언급한 장점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도 있다.
위의 두 실시예에 따라, 막대형 온도 측정 장치는 대상으로부터 이격된 자체 단부에서 개구 플레이트 외측에, 예컨대 90도만큼 측정 장치의 케이블을 만곡시키기 위한 클램프 캡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전체적으로 필요한 구조 깊이는 추가로 단축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스프링 경로 연장부를 위한 추가 공간이 확보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막대형 측정 장치의 외피부가 예컨대 스프링 부재의 영역 및/또는 개구 플레이트의 개구부 영역에서 보강된다. 왜냐하면, 이런 보강에 의해, 스프링 부재 또는 개구 플레이트의 작용 영역에서 의도와는 다르게 발생할 수 있는, 측정 장치 또는 그 케이블의 손상 또는 굽힘 위험이 방지되기 때문이다.
그 외에도 장점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슬리브는 기존의 다이 시스템에 간단하게 장착될 수 있고, 그럼으로써 상기와 같은 기존 시스템에서도 앞서 설명한 장점들이 실현될 수 있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결정 장치의 경우, 스프링 부재는 원통형 가이드 부재와 슬리브 내부에 장착되며, 슬리브는, 특히 로크 부시 형태의 제2 정지부에 의해 폐쇄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스프링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오염물, 수증기, 그리고 주조 분말에 의해 단단해진 외피와 같은 바람직하지 못한 주변 환경의 작용으로부터, 특히 부식으로부터 보호된다. 또한, 부식 방지를 위해, 바람직하게는 위치 결정 장치 또는 그 구성 부품들, 특히 스프링 부재는, 스테인리스강, 구리 등과 같은 내부식성 재료로 제조되거나, 적합한 부식 방지층을 구비한다.
본 명세서에는 총 8개의 도면이 첨부된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본원의 위치 결정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본원의 슬리브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부재를 위한 제2 정지부로서 형성되는 개구 플레이트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위치 결정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다양한 예압 조건에서 각각 조립되었거나 조립되지 않은 상태에 있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본원의 위치 결정 시스템을 절개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각각의 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30㎜ 보상을 위한 제1 형식을 구비한 제2 실시예에 따른 본원의 위치 결정 장치를 절개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각각의 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30㎜ 보상을 위한 제2 형식을 구비한 제2 실시예에 따른 본원의 위치 결정 장치를 절개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각각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음에서 앞서 설명한 도들과 관련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모든 도에서 동일한 기계적 부재는 동일한 부재 번호로 표시되어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다음에서 소개되는 두 실시예는 본 발명의 2가지 핵심, 즉 팽창 볼트 형태로 형성되는 원통형 가이드 부재의 단부 중 다이로부터 이격된 단부를 넘어서 가이드 부재를 위한 제2 정지부를 변위시켜 고정하는 점을 실현한다. 이 두 실시예는 제2 정지부(132) 및 슬리브(130)의 구조와 관련하여서만 차이가 있다.
우선 다음에서는 도 1 내지 도 4와 관련하는 제1 실시예가 설명된다.
도 1은 연속 주조 다이(300) 형태의 대상을 절개하여 횡단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연속 주조 다이는 자체 배면이 팽창 볼트 형태로 형성되는 원통형 가이드 부재(110)를 통해 물탱크(미도시)에 나사 체결된다. 팽창 볼트(110)는 길이방향 보어부를 구비하며, 이 길이방향 보어부를 통해 막대형 측정 장치(200), 예컨대 온도 측정 장치, 추가 예에 따르면 열전대 형태의 측정 장치가 물탱크의 배면으로부터 배출되어 연속 주조 다이의 배면에 형성되는 보어부 내로 안내된다. 열전대(200)의 다이 측 단부는 안내된 보어부 내에서 측정점(M)에 접촉한다. 연속 주조 다이(300)의 배면에는 전형적으로 다양한 깊이에 위치하는 다수의 측정점이 배치된다. 팽창 볼트(110)는 물탱크의 벽부 내에 견고하게 나사 체결될 뿐 아니라, 다이의 배면 내에도 견고하게 나사 체결되며, 이런 점에서 다이에 공간적으로 견고 하게 끼워맞춰진다. 또한, 팽창 볼트의 단부 중 다이로부터 이격된 단부는 열전대와 견고하게 결합된 제1 정지부(210)와 열전대에 대해 동축으로 안내되는 스프링 부재(120)를 수용하기 위한 보어부를 구비한다. 스프링 부재는 본원에서 예컨대 압축 스프링으로서 형성되고 제1 정지부(210) 쪽에 밀착된다.
본 발명에 따라 슬리브(130)는 탈거 가능하게, 또는 영구적으로 고정되는 방식으로 축방향 연장부에서 팽창 볼트(110)의 단부 중 다이로부터 이격된 단부에 연결된다. 탈거 가능한 결합의 경우, 슬리브(130)의 헤드(130-1)는 클램핑 부재로서, 바람직하게는 베이어닛 조인트로서 형성되거나, 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나사부를 구비한다. 그에 따라 슬리브(130)는 선택에 따라 팽창 볼트(110)의 단부 중 다이로부터 이격된 단부에 대향하여 예컨대 링 실링(131)으로 밀폐될 수 있다. 영구적인 결합을 실현하기 위한 경우에는 슬리브는 예컨대 원통형 가이드 부재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그 가이드 부재와 용접된다.
제1 실시예에 따른 본원의 슬리브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2로부터 알 수 있듯이, 슬리브는 앞서 설명한 헤드(130-1)를 포함하며, 이 헤드에는 원통형 몸체가 연결된다.
제1 실시예의 경우, 제2 정지부(132)는 2개의 노즈(136', 136")를 구비한 개구 플레이트(132')로서 형성된다(도 3 참조). 슬리브(130)는 슬롯(135)을 구비한다. 개구 플레이트(132')는 슬리브 내부에서 축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되, 노즈들(136', 136")은 슬롯(135) 내에서 안내된다. 개구 플레이트(132') 형태로 형성되는 제2 정지부의 위치는 슬리브 내부에서 임의로 조정될 수 있다. 이런 조정은 슬리브(130) 상에 제공되는 수나사부(137)와 맞물리는 나사붙이 너트(138)에 의해 이루어진다. 나사붙이 너트(138)는 이상적인 방식으로 와셔(139) 및 노즈들(136', 136")을 통해 개구 플레이트에 직접 영향을 미친다. 각각의 조정 과정 중에, 열전대(200)는 다이(300) 내부의 측정점(M)에서 지지되며, 그와 동시에 열전대는 스프링 부재(120) 및 제1 정지부(210)를 통해 측정점(M)에 밀착된다. 또한, 나사붙이 너트(138)를 회전시킴으로써, 다양한 보어 구멍 깊이(T)에 대해, 측정점 쪽에 열전대를 밀착시키기 위해 이용되는 원하는 예압을 각각 적합하게 조정할 수 있고, 그에 따라 확실한 접촉을 보장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결정 장치를 사시도로 도시하고 있다.
제2 실시예의 경우, 슬리브(130)는 나사붙이 니플(threaded nipple)로서도 지칭되며, 전형적으로 슬롯을 구비하지 않지만, 슬롯이 있더라도 손상을 야기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제1 실시예와 달리, 제2 정지부는 개구 플레이트(132") 형태로 로크 부시로서, 바람직하게는 나사붙이 너트로서 형성되며, 이런 개구 플레이트는 슬리브(130)의 단부 중 대상으로부터 이격된 단부에 나사 체결될 수 있다(도 5a) 내지 도 5c) 참조). 이에 대체되는 실시예에 따라 로크 부시는 또한 베이어닛 피팅으로 슬리브(130)의 단부 중 대상으로부터 이격된 단부에 고정될 수 있다. 위의 두 대체되는 실시예의 경우, 탈거 가능한 로크 부시는 바람직하게는 O 링에 의해 슬리브에 대향하여 밀봉된다.
도 5a)는 팽창 볼트(110)의 단부 중 대상으로부터 이격된 단부 내에 나사 체 결되는 슬리브(13) 또는 나사붙이 니플을 포함하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본원의 위치 결정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도 5a)의 경우 로크 부시(132")가 조립되지 않은 상태이다. 열전대(200)는 다이 내부의 측정 위치(M)에 인접하며, 예압 되지 않고도 슬리브(130)보다 더욱 돌출되어 있다. 온도 측정 장치(200)의 단부 중 대상으로부터 이격된 단부에서 온도 측정 장치(200)는 개구부를 통해 나사붙이 너트(132") 내부에서 안내되며, 그 온도 측정 장치의 인출되는 케이블(28)은 클램프 캡(27)에 의해 만곡된다. 슬리브(130) 및 나사붙이 너트(132")의 내부에서는, 온도 측정 장치(200)와 견고하게 결합되는 제1 정지부(210)와 나사붙이 너트에 의해 형성되는 제2 정지부 사이에 스프링 부재(120)가 개재된다. 그러나 도 5a)의 경우 그 스프링 부재가 예압 되지 않은 상태이다.
도 5b)는 본질적으로 도 5a)와 동일한 구성을 도시하고 있지만, 나사붙이 너트(132")가 슬리브(130) 상에 나사 체결되어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나사붙이 너트(132")는 언급한 바와 같이 스프링 부재(120)를 위한 제2 정지부로서 기능 하기 때문에, 스프링 부재의 스프링 경로는 나사붙이 너트의 조임에 의해서만 단축되며, 그럼으로써 온도 측정 장치(200)는 약한 예압 상태에서 측정점(M) 쪽으로 밀착된다. 이런 예압은, 온도 측정 장치의 측정점 측 단부와 측정점 사이에 항상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점을 보장한다.
도 5c)는 도 5b)에서와 동일하게 조립된 상태로 있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본원의 위치 결정 장치를 도시하고 있지만, 이 경우 다이 내부의 측정 위치(M)는 15㎜만큼 더욱 높은 위치에 위치해 있다. 이는 동일한 슬리브(130)와 동일한 나사붙 이 너트(132")를 이용할 시에, 제1 정지부(210)가 열전대(200)와 함께 제2 정지부의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이 경우 스프링 부재의 최대 압축과 그에 따라 열전대를 위한 최대 예압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두 도 5b) 및 5c)에서 측정 위치(M)의 서로 다른 위치는 도 5c)의 경우 스프링 경로의 축소를 통해서만 보상되었다. 만일 그로 인해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부재가 완전하게 압축된다면, 스프링 부재는 자체의 탄성력을 잃게 되며, 이는 대개 바람직하지 못하다.
도 6은 다이 내부의 서로 다른 두 측정 위치 사이의 높이/깊이 차이가 상대적으로 더욱 큰 경우에도 스프링 부재의 완전한 압축 또는 장해를 방지하기 위한 가능성을 도시하고 있다. 이를 위해 도 6b)의 슬리브는, 도 6a)에서의 슬리브보다 예컨대 절반의 높이 차이(△h)만큼 더욱 길게 형성된다. 동시에 도 6b)에 따라 제1 정지부(210)와 나사붙이 너트(132") 형태의 제2 정지부 사이에 형성되는 스프링 경로는, 도 6a)에 비해 절반만큼 단축된다. 스프링 경로의 단축은 도 6b의 경우 측정 위치(M2)에 대한 온도 측정 장치(200)의 예압을 확대시키되, 다시 말하면 변경된 스프링 비율은 2:1이다. 그러나 도 6b)에서의 스프링 부재는 완전하게 압축되지 않으며, 그럼으로써 필요에 따라 스프링 부재는 여전히 탄력적으로 반응할 수 있다.
도 7은 제2 실시예에 대한 추가의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런 형태의 경우, 다이 내부의 측정 위치들(M2 및 M1) 간의 높이 차이(△h)는, 도 5에서와 유사하게, 제1 정지부(210)와 나사붙이 너트(132") 형태의 제2 정지부 사이의 스프링 경로가 그에 상응한 정도로 단축되는 것으로만 보상된다. 슬리브(130)의 길이와 나사 체결된 나사붙이 너트(132")의 위치는 도 7a) 및 도 7b)에서도 변경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된다. 이런 두 도 사이에서 변경된 스프링 비율은 3.5:1로 설정된다.
본 발명의 두 실시예의 경우, 제2 정지부(132)는 원판형 개구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거나, 또는 중심 개구부(133)를 구비한 나사붙이 너트의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중심 개구부를 통해서는 열전대(200) 또는 그 인출되는 케이블(28)이 안내된다.
본 발명에 따른 두 실시예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열전대(200)의 외피부, 또는 열전대 자체는, 외피부 형태의 절연부의 마모와 그에 따른 열전대의 가능한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압축 스프링으로서 작용하는 스프링 부재의 영역에서는 보강되는 방식으로, 바람직하게는 좌굴되지 않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두 실시예의 경우, 열전대는, 다이로부터 이격된 자체 단부에서 제2 정지부 또는 개구 플레이트 외측에, 열전대의 인출되는 케이블(28)을 만곡시키기 위한 클램프 캡(27)을 포함할 수 있다.
두 실시예의 경우, 슬리브의 길이는, 5 - 60㎜ 대역폭의 스프링 경로를 허용할 수 있도록 선택되어야 한다. 이런 대역폭은 연속 주조 다이의 영역에서 본 발명을 이용하기에 적합한 표준 값이다.

Claims (12)

  1. 예컨대 연속 주조 다이와 같은 대상(300)의 측정점(M)에서 측정 변수를 측정하기 위한 막대형 측정 장치(200)용 위치 결정 장치(100)로서,
    상기 대상(300)에 공간적으로 견고하게 끼워맞춰지는 원통형 가이드 부재(110)로서, 상기 대상의 자체 내부에서는 상기 측정 장치(200)가 측정점(M)에 접촉할 수 있도록 안내되는 상기 원통형 가이드 부재(110)와,
    상기 측정 장치(200)와 연결되는 제1 정지부(210)와, 상기 측정점(M)에 상기 측정 장치를 밀착시키기 위한 제2 정지부(132)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 부재(120)를 포함하는 상기 막대형 측정 장치(200)용 위치 결정 장치(100)에 있어서,
    슬리브(130)가 제공되되, 이 슬리브는 축방향 연장부에서 상기 원통형 가이드 부재(110)의 단부 중 대상으로부터 이격된 단부에 연결되며, 또한 상기 슬리브(130) 내부에서 상기 스프링 부재(120) 및 상기 측정 장치(200)도 마찬가지로 안내되며, 그리고
    상기 스프링 부재(120)를 위한 상기 제2 정지부(132)는 상기 슬리브(130)에 의해서 상기 원통형 가이드 부재(110)의 단부 중 대상으로부터 이격된 단부를 넘어서 축방향으로 변위되어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형 측정 장치용 위치 결정 장치(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130)는 제1 나사부(134) 또는 베이어닛 피팅을 통해 상기 원통형 가이드 부재에 연결되거나, 또는 그 가이드 부재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형 측정 장치(200)용 위치 결정 장치(100).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지부(132)는 중심 개구부(133)를 구비한 원판형 개구 플레이트(132')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막대형 온도 측정 장치(200)가 상기 중심 개구부(133)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형 측정 장치(200)용 위치 결정 장치(100).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130)는 적어도 하나의 슬롯(135)을 구비하며, 그리고 상기 개구 플레이트(132)는 상기 슬롯 내에서 안내되는 적어도 하나의 노즈(1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형 측정 장치(200)용 위치 결정 장치(100).
  5. 제4항에 있어서, 슬롯을 구비한 상기 슬리브(130)는 제2 나사부(137)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 플레이트(132)는, 상기 제2 나사부(137)와 맞물리고 상기 노즈(136)를 통해서는 상기 개구 플레이트(132)에 작용하는 너트(138)에 의해, 축방향으로 위치 결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형 측정 장치(200)용 위치 결정 장치(100).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지부(132)는 개구 플레이트 형태로 로크 부시로 서 형성되며, 이 로크 부시는 상기 슬리브의 단부 중 대상으로부터 이격된 단부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형 측정 장치(200)용 위치 결정 장치(100).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가이드 부재(110)는 원통형 팽창 볼트이며, 이 팽창 볼트에 의해, 연속 주조 다이 형태의 상기 대상(300)이 물탱크에 나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형 측정 장치(200)용 위치 결정 장치(100).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막대형 측정 장치(200)는 측정점에서 측정 변수로서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열전대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형 측정 장치(200)용 위치 결정 장치(100).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막대형 측정 장치(200)는 대상으로부터 이격된 자체 단부에서 제2 정지부 외측에, 예컨대 90°만큼 상기 측정 장치의 인출되는 케이블(28)을 만곡시키기 위한 클램프 캡(2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형 측정 장치(200)용 위치 결정 장치(100).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막대형 측정 장치의 외피부는 상기 스프링 부재(120) 및 상기 제2 정지부의 영역에서 보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형 측정 장치(200)용 위치 결정 장치(100).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부재는 압축 스프링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형 측정 장치(200)용 위치 결정 장치(100).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장치의 구성 부품들 중 적어도 일부분이, 특히 스프링 부재가 부식으로부터 보호되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형 측정 장치(200)용 위치 결정 장치(100).
KR1020097013698A 2007-02-02 2007-12-13 막대형 측정 장치용 위치 결정 장치 KR1011703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7006060.4 2007-02-02
DE102007006060 2007-02-02
DE102007017336 2007-04-11
DE102007017336.0 2007-04-11
DE102007037684.9 2007-08-10
DE102007037684A DE102007037684A1 (de) 2007-02-02 2007-08-10 Positionierungsvorrichtung für eine stabförmige Messeinrichtung
PCT/EP2007/010927 WO2008092497A2 (de) 2007-02-02 2007-12-13 Positionierungsvorrichtung für eine stabförmige messeinricht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5623A true KR20090095623A (ko) 2009-09-09
KR101170315B1 KR101170315B1 (ko) 2012-08-01

Family

ID=41295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3698A KR101170315B1 (ko) 2007-02-02 2007-12-13 막대형 측정 장치용 위치 결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031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2571B1 (ko) * 2012-07-30 2014-07-01 현대제철 주식회사 온도 측정장치
KR20190046213A (ko) * 2017-10-25 2019-05-07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사출성형기용 열전대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0455Y1 (ko) * 2003-07-30 2003-10-17 주식회사 포스코 에어 삽입식 연주몰드 동판 열전대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2571B1 (ko) * 2012-07-30 2014-07-01 현대제철 주식회사 온도 측정장치
KR20190046213A (ko) * 2017-10-25 2019-05-07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사출성형기용 열전대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0315B1 (ko) 2012-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17135C1 (ru) Позицион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меритель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в форме стержня
US11084102B2 (en) Metal cutting tool with coolant supply
KR102009242B1 (ko) 압전식 리니어 액츄에이터, 압전 구동 밸브 및 유량 제어 장치
KR101170315B1 (ko) 막대형 측정 장치용 위치 결정 장치
DE9409869U1 (de) Deformierbarer Spiegel, insbesondere für eine Laserstrahl-Materialbearbeitungseinrichtung
ES2177230T3 (es) Equipo de tratamiento de hilos y aplicacion del mismo.
PH12021550466A1 (en) Pilot valve assembly with orientation adjustment
JP2008286794A (ja) 圧力指示装置
BR112019018982B1 (pt) Acoplamento de tubo
US9849568B2 (en) Clamping device
WO2015107962A1 (ja) センサ固定装置
KR20200119206A (ko) 구성요소 하우징 및 연결 블록을 갖는 유압식 구성요소
US10317302B2 (en) Dual channel pressure sensor with single connection orifice
US8914983B2 (en) Measuring and testing device having segmented threads and thread segments adjustable with respect to each other
GB2180914A (en) Piston/cylinder assembly
US6930486B2 (en) Conductivity sensor
US5852938A (en) Freezing apparatus for liquid-filled pipelines
JP2010240719A (ja) 連続鋳造鋳型
US20210207633A1 (en) Motor vehicle fastening system for fastening a first motor vehicle component to a second motor vehicle component
US20160208963A1 (en) Loosening-preventing device for pipe fitting
CN112229429B (zh) 用于传感器的固定适配器
US3268197A (en) Clamping device for measuring instruments
WO2018203860A2 (en) A flush mounted connection system
KR20230035405A (ko) 압력 센서용의 커버 부품 및 이것을 구비하는 압력 센서 장치
US20140291563A1 (en) Actuating Device having a Rotationally Secured Holding Nu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