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4965A - 나선형 압력관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이용한 수처리 장치 및방법 - Google Patents

나선형 압력관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이용한 수처리 장치 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4965A
KR20090094965A KR1020080019993A KR20080019993A KR20090094965A KR 20090094965 A KR20090094965 A KR 20090094965A KR 1020080019993 A KR1020080019993 A KR 1020080019993A KR 20080019993 A KR20080019993 A KR 20080019993A KR 20090094965 A KR20090094965 A KR 200900949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c
discharge
raw water
tank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9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9466B1 (ko
Inventor
최형원
최병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수엔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수엔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수엔테크
Priority to KR1020080019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9466B1/ko
Publication of KR20090094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49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9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94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ai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3Press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4Separation of coarse particles, e.g. by using sieves or scree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순환수와 공기의 접촉시간을 증대시키면서 과다 유입되어 용존되고 남은 잉여공기를 에어벤트로 배출하여 미세기포의 크기를 균일하게 유지함과 아울러 미세기포가 천천히 부상하도록 함으로써, 플록의 제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부상되어 수거된 플록을 플록제거부에서 부직포로 감싸 처리하므로 플록의 제거작업이 용이함과 아울러 원수의 처리수 수위를 조절하여 원수의 처리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나선형 압력관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이용한 수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P1020080019993
미세기포, 부상, 수처리, 장치,

Description

나선형 압력관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이용한 수처리 장치 및 방법{methode and apparatus for water treatment system using pressure pipe from discharge air}
본 발명은, 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수 및 폐수에 함유된 슬러지를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미세공기에 의해 부상시킨 후, 수거하여 처리하는 나선형 압력관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이용한 수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하천으로 방류되는 오.폐수는 오.폐수처리장치를 경유하여 오.폐수를 정화한 후, 하천으로 방류함으로써 하천의 오염을 방지하고 있으며, 상기 오.폐수처리장치는 크게 스크린조, 유량조정조, 폭기조, 침전조 및 방류조로 분리된다.
상기 침전조는, 오.폐수 내에 포함된 슬러지가 바닥면에 가라앉는 침전작용으로 분리하는 것이나, 최근에는 용존공기 부상법(DAF:Dissolved Air Floatation) 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용존공기 부상법은, 오.폐수 내에 포함된 슬러지의 표면에 미세공기방울을 접촉.부착시켜 떠오르게 하여 부유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이는 2006년 특허 제113575호로 출원하여 2007년 제64246호로 용존공기부상 펌프형 가압부상장치를 이용한 정수처리공정이 공개된 바 있다.
선 공개된 특허는, 용존공기 부상법을 이용한 통상의 정수처리공정에 있어서, 반응조에 담겨지는 원수에 응집제를 첨가하는 단계와; 상기 응집제의 첨가에 의해 슬러지가 플록으로 형성되는 단계와; 상기 플록에 미세기포를 부착시켜 수면위로 부상되게 하는 단계와; 상기 수면위로 부상된 플록을 플록 제거수단으로 제거하여 이를 별도의 배출구로 배출하는 단계와; 상기 슬러지가 제거된 처리수의 대부분은 별도의 저장조로 배출되고 일부는 순환수로서 용존공기 부상펌프로 유입되어 이에 공기가 용해되는 단계와; 상기 공기가 용해된 순환수는 부상조의 하측에 연결된 용존공기 부상펌프의 토출배관을 통해 대기압으로 토출되면서 미세기포를 발생시키며 상기 미세기포는 플록에 부착되어 플록을 부상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선 공개된 특허는, 용존공기부상펌프를 통해 순환수와 혼합되도록 유입된 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할 수는 있으나, 과다 유입된 공기의 배출이 어려워 기포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빠르게 부상함으로써 플록의 제거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 이 있었다.
또한, 원수의 수면위로 부상한 플록을 수거하여 구체적으로 처리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처리수의 수위를 조절할 수 없어 원수의 처리효율이 증대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순환수와 공기의 접촉시간을 증대시키면서 과다 유입되어 용존되고 남은 잉여공기를 에어벤트로 배출하여 미세기포의 크기를 균일하게 유지함과 아울러 미세기포가 천천히 부상하도록 함으로써 플록의 제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나선형 압력관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이용한 수처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상되어 수거된 플록을 플록제거부에서 부직포로 감싸 처리함과 아울러 처리수의 수위를 조절하여 원수의 처리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나선형 압력관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이용한 수처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 나선형 압력관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은,
원수에 포함된 협잡물을 제거하는 스크린단계와;
상기 스크린단계에서 협잡물이 제거된 원수에 투입되는 응집제에 의해 슬러 지를 플록으로 형성시키는 반응단계와;
상기 반응단계에서 형성된 플록이 부상조에 저장된 원수의 수면위로 부상되도록 순환펌프의 작동으로 순환되는 순환수의 압력차에 의해 유입되는 공기가 순환수에 용해되어 미세기포를 발생하는 기포발생단계와;
상기 기포발생단계에서 공급되는 미세기포에 의해 부상조에 저장된 원수의 수면위로 부상되는 플록을 수거하는 플록수거단계와;
상기 플록수거단계에서 수거된 플록을 탈수시켜 제거하는 플록제거단계와;
상기 기포발생단계의 부상조에서 플록이 제거된 원수의 배출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원수의 배출수위를 조절하는 배출수위조절단계와;
상기 배출수위조절단계를 통해 배출되는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시켜 방류하는 방류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 나선형 압력관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이용한 수처리 장치는,
원수에 포함된 협잡물을 제거하는 스크린조와;
상기 스크린조에서 협잡물이 제거된 원수에 투입되는 응집제에 의해 슬러지를 플록으로 형성시키는 반응조와;
상기 반응조에서 형성된 플록이 부상조에 저장된 원수의 수면위로 부상되도록 순환펌프의 작동으로 순환되는 순환수의 압력차에 의해 유입되는 공기가 순환수에 용해되어 미세기포를 발생하는 기포발생부와;
상기 기포발생부에서 공급되는 미세기포에 의해 부상조에 저장된 원수의 수 면위로 부상되는 플록을 수거하는 플록수거부와;
상기 플록수거부에서 수거된 플록을 탈수시켜 제거하는 플록제거부와;
상기 기포발생부의 부상조에서 플록이 제거된 원수의 배출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원수의 배출수위를 조절하는 배출수위조절부와;
상기 배출수위조절부를 통해 배출되는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시켜 방류하는 방류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 나선형 압력관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이용한 수처리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순환수와 공기의 접촉시간을 증대시키면서 과다 유입되어 용존되고 남은 잉여공기를 에어벤트로 배출함으로 기포의 크기를 미세하게 유지함으로써 천천히 부상하도록 하며, 이로 인해 플록의 제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 나선형 압력관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이용한 수처리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부상되어 수거된 플록을 플록제거부에서 부직포로 감싸 처리하므로 플록의 제거작업을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원수의 처리수 수위를 조절하여 원수의 처리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원수에 포함된 협잡물을 제거하는 스크린단계(ST1)와;
상기 스크린단계에서 협잡물이 제거된 원수에 투입되는 응집제에 의해 슬러지를 플록으로 형성시키는 반응단계(ST2)와;
상기 반응단계에서 형성된 플록이 부상조에 저장된 원수의 수면위로 부상되도록 순환펌프의 작동으로 순환되는 순환수의 압력차에 의해 유입되는 공기가 순환수에 용해되어 미세기포를 발생하는 기포발생단계(ST3)와;
상기 기포발생단계에서 공급되는 미세기포에 의해 부상조에 저장된 원수의 수면위로 부상되는 플록을 수거하는 플록수거단계(ST4)와;
상기 플록수거단계에서 수거된 플록을 탈수시켜 제거하는 플록제거단계(ST5)와;
상기 기포발생단계의 부상조에서 플록이 제거된 원수의 배출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원수의 배출수위를 조절하는 배출수위조절단계(ST6)와;
상기 배출수위조절단계를 통해 배출되는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시켜 방류하는 방류단계(ST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원수에 포함된 협잡물을 제거하는 스크린조(100)가 구성되고, 상기 스크린조(100)에서 협잡물이 제거된 원수에 투입되는 응집제에 의해 슬러지를 플록으로 형성시키는 반응조(200)가 구성되며, 상기 반응조(200)에서 형성된 플록이 부상조(310)에 저장된 원수의 수면위로 부상되도록 순환펌프(320)의 작동으로 순환되는 순환수의 압력차에 의해 유입되는 공기가 순환수에 용해되어 미세기포를 발생하는 기포발생부(300)가 구성되고, 상기 기포발생부(300)에서 공급되는 미 세기포에 의해 부상조(310)에 저장된 원수의 수면위로 부상되는 플록을 수거하는 플록수거부(400)가 구성되며, 상기 플록수거부(400)에서 수거된 플록을 탈수시켜 제거하는 플록제거부(500)가 구성되고, 상기 기포발생부(300)의 부상조(310)에서 플록이 제거된 원수의 배출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원수의 배출수위를 조절하는 배출수위조절부(600)가 구성되며, 상기 배출수위조절부(600)를 통해 배출되는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시켜 방류하는 방류조(7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기포발생부(300)는, 상기 부상조(310)에 저장된 원수를 흡입하여 순환시키는 순환펌프(320)가 구비되고, 상기 순환펌프(320)에 의해 순환되는 순환수의 압력차에 따라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공급하는 공기흡입밸브(330)가 구비되며, 상기 공기흡입밸브(330)로 흡입되는 공기가 순환수에 용해되어 부상조(310)로 공급하는 나선형의 압력관(340)이 구비되고, 상기 압력관(340) 상부에 공기를 배출하는 에어벤트(350)가 구비되며, 상기 압력관(340) 단부에 장착되어 압력관(340) 내부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밸브(36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공기흡입밸브(330)는, 상기 압력관(340)으로 공급되는 순환수 일부가 순환펌프(320) 전방으로 다시 공급되어 순환시키는 순환관(370)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압력관(340)은 양단부가 각각 좁게 형성되면서 일측 단부에는 기포의 분산을 안내하는 다공성 확관기(340')가 장착된다.
상기 플록수거부(400)는, 모터(410)가 구비되고, 상기 모터(410)의 동력으로 회전하여 부상된 플록을 수거하도록 부상조(310)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안착되는 수거부재(420)가 구비되며, 상기 수거부재(420)의 회전으로 수거된 플록을 플록제거부(500)로 배출하는 배출관(430)이 구비된다.
상기 플록제거부(500)는, 상기 플록수거부(400)의 배출관(430) 하부에 위치하면서 상부가 개방된 몸체(510)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510)의 내측 양단에 여과포의 이동을 안내하며, 플록수거부(400)의 배출관(430)을 통해 여과포 상면으로 배출된 플록을 가압하는 로울러(520)가 구비되고, 상기 로울러(520)에 여과포를 공급하도록 여과포가 감겨져 몸체(510)의 일측에 장착되는 여과포권취부재(530)가 구비되며, 상기 여과포권취부재(530)에 감겨진 여과포를 감을 수 있도록 손잡이(541)가 결합되어 몸체(510)의 타측에 장착되는 여과포수거부재(54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로울러(520)의 가압으로 플록에서 분출되는 원수를 반응조(200)로 공급하도록 몸체(510)와 반응조(200)를 연결한 연결관(550)을 포함하여 구비할수 있다.
상기 배출수위조절부(600)는, 상기 부상조(310)의 내측 중앙에 위치하여 하부에서 상부로 원수의 공급을 안내하는 공급안내관(610)이 구비되고, 상기 공급안내관 상부에 장착되는 절첩식 플렉시블관(620)이 구비되며, 상기 플렉시블관(620) 단부에 장착되어 하부에서 상부로 공급되는 원수를 배출하도록 상부가 개방된 배출안내관(630)이 구비되고, 상기 배출안내관(630)을 수직으로 이동시키는 수직이동부(640)가 구비된다.
상기 수직이동부(640)는, 상기 배출안내관(630) 상부를 연결한 연결편(641)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관통된 이동안내공(642)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안내공(642)에 체결되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수직이동부재(643)이 형성되며, 상기 수직이동부재(643)를 회전시키는 회전손잡이(644)가 형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흐름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블럭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기포발생부의 사시도이며,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이다.
먼저, 오폐수관로(미도시)를 통해 공급되는 오폐수의 원수는 스크린조(100)로 공급됨과 동시에 스크린조(100)에서 원수에 포함된 협잡물을 제거하고(ST1), 협잡물이 제거된 원수는 반응조(200)로 공급되며, 상기 반응조(200)에서는 응집제를 투입하여 슬러지를 플록으로 형성하는데, 상기 반응조(200) 내부에는 플록이 침전되지 않고 부유되도록 교반기(미도시)가 회전한다.
상기 교반기의 회전으로 부유되는 플록은 원수와 함께 부상조(310)로 공급되는데, 상기 플록은 기포발생부(300)의 작동으로 부상조(310) 상부로 부상된다.
이때, 상기 기포발생부(300)는, 상기 부상조(310) 중간 부분에 위치하는 원수가 순환펌프(320)의 작동으로 흡입됨과 동시에 상기 순환펌프(320)의 작동으로 압력관(340)을 통해 부상조(310)로 순환될 때, 상기 압력관(340)으로 공급되는 순환수 일부가 순환관(370)을 통해 순환펌프(320) 전방으로 공급되고, 상기 순환펌프(320) 전방으로 공급되는 순환수가 벤추리부(371) 형상으로 된 순환관(370) 내부를 통과함과 동시에 순환수의 압력이 높아지면서 대기압 상태의 외부공기를 공기흡 입밸브(330)로 흡입한다.
상기 공기흡입밸브(330)는, 외부공기는 흡입가능하나, 흡입된 공기는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 밸브이다.
상기 공기흡입밸브(330)로 흡입되는 외부공기는 순환관(370)을 순환하는 순환수에 혼합됨과 동시에 나선형의 압력관(340)으로 공급되는데, 상기 압력관(340)으로 공기가 혼흡되어 공급되는 원수는, 일단부가 벤추리관 형상으로 확관된 나선형의 압력관(340) 내부로 공급되면서 원수에 용해되는 공기의 접촉시간 및 체류시간을 늘릴 수 있으며, 타단부가 벤추리관 형상으로 축소된 압력관(340)을 통과한다.
이때, 상기 압력관(340) 내부는 높은 압력을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압력관(340) 단부에 장착된 압력밸브(360)를 회전시켜 압력관(340) 내부의 개방면적에 따 압력관(340) 내부 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공기흡입밸브(330)를 통해 압력관(340) 내부로 공기가 과다 유입될 경우, 소정각도 상부로 경사지게 형성된 압력관(340) 상부로 이동하여 에어벤트(350)로 공급되는데, 상기 에어벤트(350)로 공급되어 저장된 외부과다유입공기가 에어벤트(350) 내부로 유입되는 원수를 차단함과 동시에 에어벤트(350)에 저장된 외부과다유입공기의 압력이 일정압 이상이면, 에어벤트(350)를 개방시킨 후, 압력관(340)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압력관(340) 내부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의 과정으로 공기가 용해된 원수가 압력관(340)의 단부를 통해 부상 조(310) 내부로 배출되는데, 상기 압력관(340) 단부에 장착된 다공성 확관기(340')를 통해 기포의 발생을 촉진시키면서 발생된 미세기포가 분산되도록 한다.
상기 확관기(340')를 통해 분산되는 미세기포가 플록에 접촉되어 부착됨과 동시에 미세기포의 부력으로 플록은 부상조(310) 상부의 수면위로 부상되며, 수면위로 부상된 플록은 플록수거부(400)에서 수거한다.
상기 플록수거부(400)는, 모터(410)의 동력으로 수거부재(420)가 부상조(310) 상면에서 회전함과 동시에 수면위로 부상된 플록을 수거하여 배출관(430)을 통해 플록제거부(500)로 배출하는데, 상기 플록제거부(500)의 몸체(510) 내부는 여과포권취부재(530)로부터 공급된 여과포가 로울러(520)를 경유하여 여과포수거부재(540)에 감겨진 상태를 유지하므로 여과포 상면으로 플록이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부상조(310)의 하부 배관(미도시)을 개방하여 부상조(310)에 침전된 플록을 플록제거부(500)의 여과포 상면으로 배출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플록이 여과포 상면에 배출되어 적층되면, 여과포수거부재(540)를 회전시켜 여과포를 감는데, 상기 여과포 상면에 배출된 플록은 여과포와 로울러(520) 사이를 통과하면서 플록에 함유된 원수는 몸체(510)의 하부로 배출됨과 동시에 원수가 이탈된 플록은 여과포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여과포수거부재(540)에 감기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여과포수거부재(540)는 모터(미도시)의 동력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시킬 수도 있고, 사용자가 손잡이(541)를 회전시키면서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상기의 과정을 반복하여 여과포수거부재(540)에 감겨지는 여과포의 량이 많아지면, 여과포수거부재(540)에서 플록이 밀착된 여과포를 절단하여 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여과포수거부재(540)에 감겨진 여과포의 길이만큼 여과포권취부재(530)에 감겨진 여과포가 풀려져 몸체(510) 내부에는 깨끗한 여과포가 위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로울러(520)의 가압으로 플록에 함유되어 몸체(510)로 이탈된 원수는 연결관(550)을 통해 몸체(510)와 연결된 반응조(200)로 공급되는 과정을 순환한다.
상기의 과정으로 플록이 제거된 원수는, 부상조(310) 내측에 위치한 배출수위조절부(600)의 공급안내관(610)의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함과 동시에 압력관안내관(610) 상부에 장착된 절첩식 플렉시블관(620)을 경유하여 배출안내관(630)으로 배출된 후, 여과조(700)로 공급되는데, 상기 배출안내관(630)은 수직이동부(640)에 의해 상.하 이동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 배출안내관(630)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려면, 도 5a 내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이동부(640)의 회전손잡이(644)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데, 상기 회전손잡이(644)에 결합된 수직이동부재(643)가 회전손잡이(644)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수직이동부재(643)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체결된 이동안내공(642)이 수직이동부재(643)의 외주면을 따라 상승 및 하강하게 되며, 상기 이동안내공(642)은 배출안내관(630)의 상부를 연결한 연결편(641) 내부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배출안내관(630)이 수직이동부재(643)의 외주면을 따라 상승 및 하강시키면서 부상조(310)에 저장된 원수의 배출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배출안내관(630)을 통과한 원수는 여과조(700)에 공급되어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한 후, 방류조(700)를 통해 방류할 수 있고, 또는 재활용수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 기포발생부의 사시도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 배출수위조절부의 작동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스크린조 200: 반응조
300: 기포발생부 310: 반응조
320: 순환펌프 330: 공기흡입밸브
340: 압력관 350: 에어벤트
360: 압력밸브 370: 순환관
400: 플록수거부 410: 모터
420: 수거부재 430: 배출관
500: 플록제거부 510: 몸체
520: 로울러 530: 여과포권취부재
540: 여과포수거부재 600: 배출수위조절부
610: 공급안내관 620: 절첩식 플렉시블관
630: 배출안내관 640: 수직이동부
700: 방류조

Claims (10)

  1. 원수에 포함된 협잡물을 제거하는 스크린단계와;
    상기 스크린단계에서 협잡물이 제거된 원수에 투입되는 응집제에 의해 슬러지를 플록으로 형성시키는 반응단계와;
    상기 반응단계에서 형성된 플록이 부상조에 저장된 원수의 수면위로 부상되도록 순환펌프의 작동으로 순환되는 순환수의 압력차에 의해 유입되는 공기가 순환수에 용해되어 미세기포를 발생하는 기포발생단계와;
    상기 기포발생단계에서 공급되는 미세기포에 의해 부상조에 저장된 원수의 수면위로 부상되는 플록을 수거하는 플록수거단계와;
    상기 플록수거단계에서 수거된 플록을 탈수시켜 제거하는 플록제거단계와;
    상기 기포발생단계의 부상조에서 플록이 제거된 원수의 배출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원수의 배출수위를 조절하는 배출수위조절단계와;
    상기 배출수위조절단계를 통해 배출되는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시켜 방류하는 방류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압력관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2. 원수에 포함된 협잡물을 제거하는 스크린조와;
    상기 스크린조에서 협잡물이 제거된 원수에 투입되는 응집제에 의해 슬러지 를 플록으로 형성시키는 반응조와;
    상기 반응조에서 형성된 플록이 부상조에 저장된 원수의 수면위로 부상되도록 순환펌프의 작동으로 순환되는 순환수의 압력차에 의해 유입되는 공기가 순환수에 용해되어 미세기포를 발생하는 기포발생부와;
    상기 기포발생부에서 공급되는 미세기포에 의해 부상조에 저장된 원수의 수면위로 부상되는 플록을 수거하는 플록수거부와;
    상기 플록수거부에서 수거된 플록을 탈수시켜 제거하는 플록제거부와;
    상기 기포발생부의 부상조에서 플록이 제거되어 여과단계로 배출되는 원수의 배출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원수의 배출수위를 조절하는 배출수위조절부와;
    상기 배출수위조절부를 통해 배출되는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시켜 방류하는 방류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압력관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이용한 수처리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기포발생부는,
    상기 부상조에 저장된 원수를 흡입하여 순환시키는 순환펌프와;
    상기 순환펌프에 의해 순환되는 순환수의 압력차에 따라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공급하는 공기흡입밸브와;
    상기 공기흡입밸브로 흡입되는 공기가 순환수에 용해되어 부상조로 공급하는 나선형의 압력관과;
    상기 압력관 상부에 공기를 배출하는 에어벤트와;
    상기 압력관 단부에 장착되어 압력관 내부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밸브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압력관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이용한 수처리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입밸브는, 상기 압력관으로 공급되는 순환수 일부가 순환펌프 전방으로 다시 공급되어 순환시키는 순환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압력관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이용한 수처리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압력관의 단부에 기포의 분산을 안내하는 다공성 확관기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압력관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이용한 수처리 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플록수거부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동력으로 회전하여 부상된 플록을 수거하도록 부상조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안착되는 수거부재와;
    상기 수거부재의 회전으로 수거된 플록을 플록제거부로 배출하는 배출관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압력관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이용한 수처리 장치.
  7. 청구항 2에 있어서, 플록제거부는,
    상기 플록수거부의 배출관 하부에 위치하면서 상부가 개방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측 양단에 여과포의 이동을 안내하며, 플록수거부의 배출관을 통해 여과포 상면으로 배출된 플록을 가압하는 로울러와;
    상기 로울러에 여과포를 공급하도록 여과포가 감겨져 몸체의 일측에 장착되는 여과포권취부재와;
    상기 여과포권취부재에 감겨진 여과포를 감을 수 있도록 손잡이가 결합되어 몸체의 타측에 장착되는 여과포수거부재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압력관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이용한 수처리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로울러의 가압으로 플록에서 분출되는 원수를 반응조로 공급하도록 몸체와 반응조를 연결한 연결관이 더 포함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압력관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이용한 수처리 장치.
  9. 청구항 2에 있어서, 배출수위조절부는,
    상기 부상조의 내측 중앙에 위치하여 하부에서 상부로 원수의 공급을 안내하는 공급안내관과;
    상기 공급안내관 상부에 장착되는 절첩식 플렉시블관;
    상기 플렉시블관 단부에 장착되어 하부에서 상부로 공급되는 원수를 배출하도록 상부가 개방된 배출안내관과;
    상기 배출안내관을 수직으로 이동시키는 수직이동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압력관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이용한 수처리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수직이동부는,
    상기 배출안내관 상부를 연결한 연결편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관통된 이동안내공과;
    상기 이동안내공에 체결되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수직이동부재와;
    상기 수직이동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손잡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압력관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이용한 수처리 장치.
KR1020080019993A 2008-03-04 2008-03-04 나선형 압력관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이용한 수처리 장치 및방법 KR1009194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9993A KR100919466B1 (ko) 2008-03-04 2008-03-04 나선형 압력관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이용한 수처리 장치 및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9993A KR100919466B1 (ko) 2008-03-04 2008-03-04 나선형 압력관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이용한 수처리 장치 및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4965A true KR20090094965A (ko) 2009-09-09
KR100919466B1 KR100919466B1 (ko) 2009-09-28

Family

ID=41295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9993A KR100919466B1 (ko) 2008-03-04 2008-03-04 나선형 압력관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이용한 수처리 장치 및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94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66837A (zh) * 2013-09-16 2013-12-25 大连海事大学 一种船舶脱硫废水处理装置及方法
KR20190135604A (ko) * 2018-05-29 2019-12-09 손성근 이동식 수처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3852B1 (ko) * 1999-06-28 2002-02-07 홍유표 현탁물질제거 및 난분해성 물질제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66837A (zh) * 2013-09-16 2013-12-25 大连海事大学 一种船舶脱硫废水处理装置及方法
CN103466837B (zh) * 2013-09-16 2015-11-25 大连海事大学 一种船舶脱硫废水处理装置及方法
KR20190135604A (ko) * 2018-05-29 2019-12-09 손성근 이동식 수처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9466B1 (ko) 2009-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1352B1 (ko) 나노기포를 이용한 하폐수 처리방법 및 그 장치
US20060157424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treating wastewater using ozone activated flotation
KR101710155B1 (ko) 부상 분리 시스템
KR101281514B1 (ko) 마이크로버블 유닛과 경사판 구조를 갖는 가압 부상식 오염수 처리방법
KR20090093781A (ko) 침지형 분리막과 용존공기부상법을 이용한 융합형 정수처리장치
JP6170552B2 (ja) 海水淡水化装置及びその方法
KR20090022617A (ko) 초미세기포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침전장치
BR112018072102A2 (pt) Aparelho para tratamento de ozônio e sistema de tratamento de água incluindo o mesmo
JP2011000583A (ja) 廃液処理方法及び装置
KR100919466B1 (ko) 나선형 압력관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이용한 수처리 장치 및방법
KR101641191B1 (ko) 하,폐수의 부유물처리용 가압부상분리기
KR101348591B1 (ko) 마이크로 기포 발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
JPH10290993A (ja) 浄水処理装置
JP2002177956A (ja) 浄水方法および浄水装置
CN208829416U (zh) 一种高效除渣的水处理设备
KR102102920B1 (ko) 미세 버블을 이용한 일체형 정수 장치 및 방법
JP2011140003A (ja) 濁水処理装置及び濁水処理方法
KR200212210Y1 (ko) 용존공기부상법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
KR101634770B1 (ko) 취수구 수질 정화 장치
KR101590142B1 (ko) 수처리장치
CN109081413B (zh) 磨料废渣用水循环分离系统
JP4422865B2 (ja) 凝集沈殿装置
JPH11309446A (ja) 複合型水浄化装置
CN214192775U (zh) 实验用微型微纳米气浮发生器
JP4896694B2 (ja) 浄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