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4325A - 광 통신 시스템과, 그 광 통신 방법 및 통신 장치 - Google Patents

광 통신 시스템과, 그 광 통신 방법 및 통신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4325A
KR20090094325A KR1020097013315A KR20097013315A KR20090094325A KR 20090094325 A KR20090094325 A KR 20090094325A KR 1020097013315 A KR1020097013315 A KR 1020097013315A KR 20097013315 A KR20097013315 A KR 20097013315A KR 20090094325 A KR20090094325 A KR 200900943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signal
optical
communication devic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3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3851B1 (ko
Inventor
교스께 소네
스스무 기노시따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94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43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3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38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5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 H04B10/2581Multimode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52Metropolitan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5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7Arrangements for net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02Topology update or discovery
    • H04L45/04Interdomain routing, e.g. hierarchical rou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12Shortest path evaluation
    • H04L45/124Shortest path evaluation using a combination of metr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62Wavelength bas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2Loop networks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간 통신의 지연ㆍ흔들림을 억제하여, 품질 향상을 도모하는 통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그 통신 장치와 다른 통신 장치 사이에서 네트워크를 통하여 설정되는 제1 광 통신 방식에 의한 통신 채널을 종단하는 제1 종단부(58)와, 제2 광 통신 방식에 의한 신호를 종단하는 제2 종단부(51∼53)와, 제1 신호 경로 설정 및 제2 신호 경로 설정 중 어느 한쪽으로 선택적으로 절환하는 경로 설정 절환부를 구비하도록 구성한다.

Description

광 통신 시스템과, 그 광 통신 방법 및 통신 장치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ITS OPTICAL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DEVICE}
본 발명은, 광 통신 시스템과, 그 광 통신 방법 및 통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입자에게 보낸 고속의 광 신호를, 지연, 흔들림을 억제하여 전송하는 광 액세스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이용하기에 바람직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의 보급과 함께, 통신 시스템의 고속화, 경제성의 추구가 중요한 과제로 되고 있으며, 액세스계의 네트워크로서, PON(Passive Optical Network)이 적용되고 있다. PON은, 전형적으로는 하나의 광선로 종단 장치(OLT: Optical Line Termination)와 복수의 광 가입자망 장치(ONU: Optical Network Unit)를 "1×N"의 수동형 광 분배기(passive optical splitter)를 이용하여 연결함으로써, 트리 구조의 분산 토폴러지를 형성하는 광 가입자망 구조이다.
인터넷 기술의 발달에 의해 가입자망에 요구되는 대역폭의 증대에 수반하여, 점 대 다점(point to multi-point)의 GE(Gigabit Ethernet: 등록 상표)-PON에 의한 통신 방식이 제안되어 있다(하기의 특허 문헌 1 참조). 금후에서도, PON의 성능은 용량ㆍ전송 거리 모두 더 향상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그러한 가운데, 서비스도 다양화하여, 지연ㆍ흔들림에 민감한 서비스도 증가할 것이라고 상정되기에 이르렀다.
도 7은 전술한 PON의 실제 시스템에의 적용의 일례로서, 메트로 링을 이루는 노드 장치마다 PON을 수용한 네트워크 시스템에 대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 여기에서, 메트로 링(100)은, 복수(도면 중 7개)의 노드 장치(101-1∼101-7)에 의해 구성된 것으로서, 노드 장치(101-1∼101-3, 101-5)는, 각각 그룹 #1, #2, #4, #3의 PON(102-1, 102-2, 102-4, 102-3)을 수용하고 있다. 또한, 메트로 링(100)은, 노드(101-4)를 통하여 코어 네트워크(110)에도 접속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네트워크 시스템에서는, PON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다양화에 수반하여, 서로 다른 PON이 수용하는 ONU 사이에서 서로 통신을 행하는 것이 생각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룹 #1(도면 중 "A")의 PON(102-1)에서의 ONU가, 메트로 링(100)을 통하여 다른 그룹 #3(도면 중 "D")의 PON(102-3)에 속하는 ONU와 통신을 행하는 환경을 설정함으로써, 네트워크를 통하여 복수의 컴퓨터가 연결된 가상적인 고성능 컴퓨터 시스템인 그리드 컴퓨팅을 실현할 수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03-244178호 공보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광 통신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광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특히 통신 장치의 기능에 주목하여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광 통신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4의 (1)은 이서넷(등록 상표)의 MAC 프레임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2)는 PON 구간의 이서넷(등록 상표)의 MAC 프레임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실시 형태에서의 서로 다른 PON에서의 통신 장치간에서의 통신 경로의 구축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 6은 본 실시 형태에서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종래에서의 PON 시스템의 링 네트워크에의 적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종래에서의 PON 시스템을 링 네트워크에 적용한 경우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종래에서의 PON 시스템의 링 네트워크에의 적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광 통신 시스템
2, 100: 메트로 링
3-1∼3-7, 101-1∼101-7: 노드 장치
31: 전송/액세스 인터페이스부
32: L3/L2 스위치
33: 전송계 인터페이스부
4-1∼4-4, 102-1∼102-4: PON
5': OLT
5, 105: 통신 장치
51, 111a: PON 인터페이스부
52, 111b: PON/MAC 제어부
53, 111c: 이서넷 인터페이스부
54: L3/L2 스위치
55: CWDM 송수신부
56a, 56b: 제1, 제2 릴레이 스위치(경로 설정 절환부)
57: 타이밍 조정부
58: DWDM 송수신부
6, 106: ONU
6a: 통신 단말기
7: NMS
8, 110: 코어 네트워크
10, 107: 수동형 광 분배기
111: 액세스계 인터페이스부
112, 115: L3/L2 스위치
113, 114: 전송/액세스 인터페이스부
116: 전송계 인터페이스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a]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설명
도 1,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광 통신 시스템(1)을 도시하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광 통신 시스템(1)에 대하여 특히 통신 장치(5)의 기능에 주목하여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 도 3에 도시하는 광 통신 시스템(1)에서도, 전술한 도 7에 도시한 것과 마찬가지로, 메트로 링(2)을 이루는 노드 장치(3)마다 PON(4)을 수용한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PON(4)은, 예를 들면 하나의 OLT 기능을 갖는 통신 장치(5)와 복수의 ONU(6)를 수동형 광 분배기(10)를 이용하여 연결함으로써, 트리 구조의 분산 토폴러지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면 부호 8은 노드 장치(3-4)를 통하여 메트로 링(2)과 접속되는 코어 네트워크이고, 도면 부호 9는 통신 장치(5)와 노드 장치(거점 장치)(3) 사이를 접속하는 광 전송로이다. 또한, 각 PON(4)의 통신 장치(5)는, 도시하지 않은 L3/L2 스위치에 의해 복수의 OLT 기능을 묶어 구성하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각 ONU(6)에는, 본 실시 형태의 광 통신 시스템(1)의 구성에 의해 서로 통신을 행할 수 있는 통신 단말기(6a)가 접속되어 있다.
여기에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광 통신 시스템(1)은, 전술한 도 7에 도시한 것과는 달리, 서로 다른 PON(4)에서의 통신 장치(5) 사이에서, 다이렉트한 메트로 링(2)의 전송 채널(여기에서는 DWDM 채널)을 설정하여 확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각 PON(4)에서의 OLT 기능부를 갖는 통신 장치(5)는, 메트로 링(2)의 관리용으로 노드 장치(3-7)에 접속된 NMS(Network Management System)(7)와의 사이에서 (PON(4)간의 통신 설정을 위한) 제어 신호의 송수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이 통신 장치(5)와 NMS(7) 사이에서의 제어 신호는, 전술한 광 전송로(9) 및 메트로 링(2)을 통하여 송수하는 것으로 하여도 되고, 도시하지 않은 다른 제어 신호 라인을 통하여 송수하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그리고, NMS(7)에서는, 각 PON(4)에서의 통신 장치(5)의 OLT 기능부에서는, 지연ㆍ흔들림이 억제된 통신을 요구하는 상대처 PON(4)의 통신 장치(5)와의 사이를, DWDM 채널에 의해 다이렉트로 접속하도록 메트로 링(2)의 채널 설정을 행한다. 예를 들면, PON(4-1)의 ONU(6)가 PON(4-3)의 ONU(6)와의 고속 통신을 요구하는 경우에는, PON(4-1)의 통신 장치(5)는 NMS(7)에 대하여 그 취지의 요구를 출력함으로써, NMS(7)에서는 상기 PON(4-1)과 PON(4-3)에서의 통신 장치(5) 사이를 DWDM 채널에 의해 접속 설정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메트로 링(2) 내의 노드 장치(3-1)(도 1 중 "B" 참조)에 접속되어 있는 PON(4-1)(그룹 #1, 도면 중 "A" 참조)의 ONU(6)와, 노드 장치(3-5)(도면 중 "C" 참조)에 접속되어 있는 PON(4-3)(그룹 #3, 도면 중 "D" 참조)의 ONU(6) 사이를, DWDM 채널을 통하여 접속시킬 수 있다.
이 때, 각 PON(4)의 통신 장치(5)에서, MAC 제어나 L3/L2 스위치 등의 OLT 기능에 대한 동작 상태/정지 상태를 절환하는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그룹 1의 ONU(6)와 그룹 #3의 ONU(6)가 통신을 행할 때에, 한쪽, 예를 들면 그룹 #1의 통신 장치(5)에서만 L3/L2 스위치 등의 OLT 기능을 동작 상태로 하고, 다른 쪽, 예를 들면 그룹 #3의 통신 장치에서는 OLT 기능을 정지 상태로 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의해, 그룹 #1의 통신 장치(5)가, 그룹 #3의 ONU(6)도 실질적으로 묶어, 그룹 #1, #3을 가상적으로 하나의 PON 시스템으로서 동작시킨다. 즉, 하나의 PON(4-1)에서의 통신 장치(5)가, 자신의 PON(4-1)의 ONU(6)와 함께, 다른 PON(4-3)에서의 ONU(6)에 대해서도 가상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PON(4-1, 4-3) 사이에 개재하여 장착되는 전송로 상의 노드 장치(3-1, 3-7, 3-6, 3-5)나 PON(4-3)에서의 통신 장치(5)에서의 레이어 2/3 스위치 동작을 생략할 수 있게 되어, 메트로 링(2)과 복수의 PON(4)을 다이내믹하면서 심리스하게 융합시킬 수 있게 된다.
도 2는, 전술한 바와 같은 PON(4-1, 4-3)에 수용되는 ONU(6) 사이에서의 통신을 실현하는 통신 장치(5)의 구성을 도시하는 것이다. 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신 장치(5)는, OLT 기능을 이루는 PON 인터페이스(51), PON/MAC(Media Access Control) 제어부(52) 및 이서넷(Ethernet: 등록 상표) 인터페이스(53)와, L3/L2 스위치(54)와, CWDM 송수신부(55)를 구비함과 함께, 제1, 제2 릴레이 스위치(56a, 56b), 타이밍 조정부(57) 및 DWDM 송수신부(58)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PON(4-1)의 통신 장치(5)의 구성에 주목하여 설명하지만, 다른 PON(4-2∼4-4)에서도 마찬가지의 통신 장치(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의 PON(4)은, 예를 들면 하나의 OLT 기능을 갖는 통신 장치(5)와 복수의 ONU(6)를 수동형 광 분배기(10)를 이용하여 연결함으로써, 트리 구조의 분산 토폴러지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 DWDM 송수신부(58)는, 전술한 바와 같이 NMS(7)에 의해 설정된 다른 PON(여기에서는 PON(4-3))의 통신 장치(5)와의 사이의 DWDM 채널의 신호에 대하여 종단하는 것이며, 파장 다중 통신 방식인 제2 광 통신 방식에 의한 신호를 종단하는 제2 종단부이다.
또한, PON 인터페이스(51)는, ONU(6)로부터의 제2 광 통신 방식인 GE-PON에 의한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PON/MAC 프레임 신호로서 릴레이 스위치(56a)에 출력함과 함께, 릴레이 스위치(56a)를 통하여 입력되는 PON/MAC 프레임 신호에 대하여 PON 인터페이스 처리를 행하여 관리하의 ONU(6)에의 광 신호로서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PON 인터페이스(51)는, 관리하의 ONU(6)(통신 단말기(6a))와의 사이에 접속되어 수동 광 가입자망 방식의 신호 인터페이스 처리를 행하는 제1 신호 인터페이스부로서의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PON/MAC 제어부(52)는, 릴레이 스위치(56a) 및 타이밍 조정부(57)를 통하여 입력되는 PON/MAC 프레임 신호에 대하여 인터페이스 처리를 행하여 이서넷 프레임 신호로서 이서넷 인터페이스(53)에 출력함과 함께, 이서넷 인터페이스(53)로부터의 이서넷 프레임 신호에 대하여 인터페이스 처리를 행하여, PON/MAC 프레임 신호로서 타이밍 조정부(57)에 출력한다.
또한, 이서넷 인터페이스(53)는, PON/MAC 제어부(52)로부터의 이서넷 프레임 신호에 대하여 인터페이스 처리를 행하여, 패킷 신호로서 L3/L2 스위치(54)에 출력함과 함께, L3/L2 스위치(54)로부터의 패킷 신호에 대하여 인터페이스 처리를 행하여, 이서넷 프레임을 구성하여, PON/MAC 제어부(52)에 출력한다.
따라서, 전술한 PON/MAC 제어부(52) 및 이서넷 인터페이스(53)에 의해, 기가비트 이서넷 방식의 신호 인터페이스 처리를 행하는 제2 신호 인터페이스부를 구성한다.
여기에서, PON/MAC 제어부(52)에서의 인터페이스 처리에서는, 이서넷 방식의 사양을 활용하여 일 대 다의 단말기간의 통신을 위하여, 문헌(이시다 오사무, 세또 고우이찌로, 「개정판 10기가비트 Ethernet 교과서」, p.225-232, 인프레스)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멀티포인트 MAC 제어를 규정하여, 하나의 PON(4)에 참가하는 복수 단말기간에서의 액세스 제어를 실현하고 있다.
또한, PON(4)에서는, 통상은 OLT로부터 ONU에의 신호(하향 신호)는 방송형으로서, 분배기(10)를 경유한 모든 ONU에 도달되지만, ONU로부터 OLT에의 신호(상향 신호)는 N(N은 복수):1로서, 복수의 ONU로부터 송신된 신호가, 분배기(10)에서 묶여지기 때문에, 서로 다른 ONU로부터 송신된 신호에 충돌이 일어나지 않도록 송신 타이밍이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PON(4)은 물리적으로는 공유형의 접속 형태를 갖지만, 통신 장치(5)와 ONU(6)와의 논리적인 접속은 PON/MAC 제어부(52)와 ONU(6)의 MAC 기능과의 Point-to-Point의 구성이다. 이러한 통신 장치(5)-ONU(6)간의 논리적 접속을 다른 통신 장치(5)-ONU(6)간 접속과 식별하기 위하여, 통신 장치(5)의 PON/MAC 제어부(52) 및 ONU(6)의 MAC 기능에서, 통상의 MAC 프레임[도 4의 (1) 참조]과 달리, 도 4의 (2)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프리앰블 부분에 LLID(논리 링크 식별자)를 정의하여, LLID 단위로 이서넷(등록 상표)의 MAC 프레임의 송수신 제어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LLID는, 전술한 바와 같이 통신 장치(5)-ONU(6) 사이의 논리적 접속을 다른 통신 장치(5)-ONU(6)간 접속과 식별하기 위한 것으로서, PON(4)의 구간에서 주고 받아지는 이서넷(등록 상표)의 MAC 프레임의 선두 8바이트의 프리앰블 부분에 설정되고, PON 구간에서만 사용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4의 (2)에 도시하는 PON 구간에서의 이서넷(등록 상표)의 MAC 프레임은, 도 4의 (1)에 도시하는 이서넷(등록 상표)의 MAC 프레임과 비교하여, LLID 이외의 영역에 대해서는 마찬가지이다.
이에 의해, 통신 장치(5)로부터 ONU(6)에의 통신에서는, OLT 기능을 이루는 PON/MAC 제어부(52)로부터 출력되는 MAC 프레임은 모든 ONU에 도달하지만, 수신측의 ONU(6)에서는, 자신 앞이 아닌 LLID를 갖는 프레임에 대해서는 파기하고, 자신 앞의 LLID를 갖는 프레임을 취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ONU(6)로부터 통신 장치(5)에의 통신에서는, PON/MAC 제어부(52)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5)의 OLT 기능부에서 할당된 시간만 MAC 프레임을 송신할 수 있다. ONU(6)에서는, 송신 버퍼에 축적되는 프레임량을 계산하여, 필요한 송신 시간을 통신 장치(5)의 PON/MAC 제어부(52)에 요구한다. 통신 장치(5)의 OLT 기능부로부터 프레임 송신의 허가 시각과 허가 시간에 대하여 할당을 받음으로써, 그 허가된 시각으로부터 허가된 시간만큼 MAC 프레임을 송신할 수 있다.
그런데, L3/L2 스위치(54)는, 전술한 이서넷 인터페이스(53)로부터의 패킷 신호나, CWDM 송수신부(55)로부터의 패킷 신호에 대하여, 그 패킷의 수신처에 따른 방로 스위칭을 행하는 방로 스위치로서, 예를 들면 IP 라우터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릴레이 스위치(56a, 56b)는, 쌍방이 협동함으로써, 상기 통신 장치(5)의 OLT로서의 기능을 유효로 하는 경우와 무효로 하는 경우를 절환하기 위한 것으로서, 모두 예를 들면 1×2의 스위치에 의해 구성된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하는 PON(4-1, 4-3)에서의 ONU(6)끼리에서, 실질적으로 하나의 PON 시스템을 구축함에 있어서는, 각각의 통신 장치(5)에서의 제1, 제2 릴레이 스위치(56a, 56b)의 설정을 통하여, PON(4-1)에서의 통신 장치(5)에서의 OLT 기능을 유효로 하고 PON(4-3)에서의 통신 장치(5)에서의 OLT 기능을 무효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PON(4-1)에서의 통신 장치(5)의 제1 릴레이 스위치(56a)에서, 타이밍 조정부(57)를 개재하면서 PON 인터페이스(51)와 PON/MAC 제어부(52)를 접속함으로써, 상기 통신 장치(5)에서, 관리하의 ONU(6)와의 사이의 신호에 대하여 GE-PON 방식에서의 신호 종단을 행할 수 있다. 이 경우에서는, 제2 릴레이 스위치(56b)에서, 타이밍 조정부(57)를 개재하면서 DWDM 송수신부(58)와 PON/MAC 제어부(52)를 접속함으로써, 통신 상대처의(PON(4-3)의) 통신 장치(5)와의 사이에 설정되는 DWDM 채널을 통하여 주고 받아지는 MAC 프레임에 대하여, PON/MAC 제어부(52)에서, GE-PON 방식에서의 신호 종단을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PON(4-1)에서의 통신 장치(5)에서의 OLT로서의 기능을 유효로 할 수 있다.
또한, PON(4-3)에서의 통신 장치(5)의 제1, 제2 릴레이 스위치(56a, 56b)에서, DWDM 송수신부(58)와 PON 인터페이스(51) 사이를 접속시키는 한편, PON 인터페이스(51)와 (OLT 기능을 이루는) PON/MAC 제어부(52)는 접속을 끊도록 하여, PON(4-3)에서의 통신 장치(5)에서의 OLT로서의 기능을 무효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PON(4-3)에서의 ONU(6)는, PON(4-1)에서의 ONU(6)와 함께, PON(4-1)에서의 통신 장치(5)의 OLT 기능부에서 관리시킬 수 있기 때문에, 하나의 PON으로서 조립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하면, 서로 다른 그룹(PON(4-1, 4-3))에 속하는 ONU(6)에 대해서도, PON(4-1)을 이루는 통신 장치(5)의 PON/MAC 제어부(52)에서 LLID를 공통으로 관리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실질적으로 하나의 PON 시스템으로서 상호의 통신을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서로 다른 PON(4-1, 4-3)에서의 ONU(6)끼리에서 하나의 PON을 구축함으로써, 메트로 링(2)에서의 거점 장치(3)나 PON(4-3)에서의 통신 장치(5)에서 행하고 있던 L3/L2 스위칭에 수반하는 스토어 앤드 포워드(Store and Forward)를 위한 처리를 생략할 수 있으므로, 통신의 지연이나 흔들림을 대폭 삭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OLT 기능을 유효로 하는 통신 장치(5)로서는 반대, 즉 PON(4-3)에서의 통신 장치(5)에서 OLT 기능을 유효로 하고, PON(4-1)에서의 통신 장치(5)에서 OLT 기능을 무효로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전술한 제1, 제2 릴레이 스위치(56a, 56b)가 협동함으로써, 상기 통신 장치(PON(4-1)의 통신 장치)(5)와 관리하의 ONU(6) 사이의 GE-PON 방식에 의한 신호를 제2 종단부를 이루는 제2 신호 인터페이스부인 PON/MAC 제어부(52) 및 이서넷 인터페이스(53)에서 인터페이스 처리(종단)시킴과 함께, 제1 종단부를 이루는 DWDM 송수신부(58)를 통하여 파장 다중 광 통신 방식에 의한 통신 채널을 통하여 접속되는 다른 통신 장치(5)에 수용되는 ONU(6)와의 사이의 GE-PON 방식에 의한 신호에 대해서도 PON/MAC 제어부(52) 및 이서넷 인터페이스(53)에서 종단시키기 위하여 신호 경로를 설정하는 제1 신호 경로 설정, 및 상기 통신 장치(5)와 관리하의 ONU(6) 사이의 GE-PON 방식에 의한 신호를 다른 통신 장치(5)에서 종단시키기 위하여, 파장 다중 광 통신 방식에 의한 통신 채널을 통하여 출력함과 함께, 다른 통신 장치(5)로부터 DWDM 송수신부(58)를 통하여 파장 다중 광 통신 방식에 의한 통신 채널을 통하여 입력된 GE-PON 방식에 의한 신호를, PON/MAC 제어부(52) 및 이서넷 인터페이스(53)에 의한 종단 처리를 스킵하여 상기 통신 장치(5)의 관리하에 접속되는 ONU(6)에 출력하기 위하여 신호 경로를 설정하는 제2 신호 경로 설정 중 어느 한쪽으로 선택적으로 절환하는 경로 설정 절환부를 구성한다.
이 경우에서는, 전술한 제1 신호 경로 설정으로 하는 경우에는, 관리하의 ONU(6)와의 사이의 신호 경로를, PON 인터페이스(51)를 통하여 PON/MAC 제어부(52) 및 이서넷 인터페이스(53)에 접속되는 신호 경로로 함과 함께, DWDM 송수신부(58)를 통하여 접속되는 다른 통신 장치(5)에 수용되는 ONU(6)와의 사이의 신호 경로를, DWDM 송수신부(58)를 통하여 PON/MAC 제어부(52) 및 이서넷 인터페이스(53)에 접속되는 신호 경로로 하고 있다.
또한, 제2 신호 경로로 하는 경우에서는, 관리하의 ONU(6)와의 사이의 신호 경로를, PON 인터페이스(51)를 통하여 DWDM 송수신부(58)에 접속하는 신호 경로로 함과 함께, DWDM 송수신부(58)를 통하여 접속되는 다른 통신 장치(5)에 수용되는 ONU(6)와의 사이의 신호 경로를, DWDM 송수신부(58)를 통하여 PON 인터페이스(51)에 접속되는 신호 경로로 한다.
다시 말하면, PON/MAC 제어부(52)에서 LLID를 관리하고, L3/L2 스위치(54)에 의해 스위칭을 행하는(OLT 기능을 유효로 하는) 통신 장치(5)의 제1, 제2 루트 스위치(56a, 56b)를, 제1 신호 경로로 설정하고, 그 이외의 통신 장치(5)에 대해서는 OLT 기능을 무효로 하기 위하여 제2 신호 경로로 설정한다.
이 도 2에 도시하는 경우와 같이, PON(4-1)의 통신 장치(5)의 PON/MAC 제어부(52)에서 LLID를 관리하고, L3/L2 스위치(54)에 의해 스위칭을 행하는 경우에서는, PON(4-1)의 통신 장치(5)의 제1, 제2 루트 스위치(56a, 56b)를 제1 신호 경로로 설정하는 한편, PON(4-3)의 통신 장치(5)의 제1, 제2 루트 스위치(56a, 56b)를 제2 신호 경로로 설정한다.
또한, 타이밍 조정부(57)는, 특히 상향 방향, 즉 ONU(6)로부터 통신 장치(5)를 향하는 신호에 대하여, PON/MAC 제어부(52)에 입력되는 타이밍을 조정하기 위한 것이다.
OLT 기능을 유효로 하는 통신 장치(5), 여기에서는 PON(4-1)의 통신 장치(5)에서의 PON/MAC 제어부(52)에서는, 가상적으로 하나의 PON을 구성하는 ONU(상기 PON(4-1)에서의 ONU(6)와 함께 PON(4-3)에서의 ONU(6))로부터의 신호 송신 타이밍(또는 OLT에서의 수신 타이밍)을 할당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DWDM 채널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PON(4-3)의 ONU(6)에서는, PON(4-1)에서의 ONU(6)와 비교하여 메트로 링(2)이 광 파이버 전송로로서 개재하여 장착되어 있으므로, 전술한 바와 같은 스토어 앤드 포워드(Store and Forward)가 없어도 온도 변동 등에 의해 광 파이버의 굴절률이 변동한다. 특히 지연이나 흔들림을 방지하는 통신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상향 신호의 도착 타이밍이 변동하는 것에 대해서도 대책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타이밍 조정부(57)는, 전술한 바와 같이 DWDM 채널을 통하여 접속되는 PON(4-3)에서의 ONU(6)로부터의 상향 신호에 대하여, 신호의 버퍼링에 의해, 공급된 도착 타이밍의 어긋남을 흡수시키면서 OLT 기능부로서의 PON/MAC 제어부(52)에 출력하고 있다. 또한, 자신의 PON(4-1)에서의 ONU(6)로부터의 상향 신호에 도착 타이밍의 변동 요인이 있으면, 그 타이밍 변동분을 마찬가지로 흡수시킬 수도 있다.
또한, CWDM 송수신부(Rx/Tx)(55)는, L3/L2 스위치(54)에 접속되고, L3/L2 스위치(54)에 의해 방로 절환이 행해져 입력된 패킷에 대하여, 이서넷 프레임화한 후에 CWDM 광 신호로서 전송로(9)를 통하여 메트로 링(2)에 출력하는 것이다. 이 CWDM 송수신부(55)로부터 출력되는 CWDM 광 신호는, 전술한 DWDM 송수신부(58)에서의 DWDM 채널과는 달리, 중계단의 노드 장치(3-1)에 입력되면, 그 때마다 이서넷 인터페이스 처리 등을 통하여 원래의 패킷 신호로 변환되어, L3/L2 스위칭이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즉, 메트로 링(2)을 이루는 각 노드 장치(3)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송/액세스 인터페이스(IF)부(31), L3/L2 스위치(32) 및 전송계 인터페이스(IF)부(33)를 구비하고 있다.
특히, PON(4―1)을 수용하는 노드 장치(3-1)에 주목하면, 전송/액세스 인터페이스부(31)는, PON(4-1)의 통신 장치(5)로부터 광 전송로(9)를 통하여 입력된 CWDM 광 신호에 대하여 종단함과 함께, 이서넷 인터페이스 처리를 행하여, 패킷 신호로 변환하는 것이다. 반대로, L3/L2 스위치(32)로부터의 패킷 신호에 대해서는, 이서넷 인터페이스 처리 및 CWDM 방식에 의한 종단 처리를 행하여, CWDM 광 신호로서, 광 전송로(9)를 통하여 PON(4-1)의 통신 장치(5)에 송출한다.
또한, L3/L2 스위치(32)는, 전술한 통신 장치(5)의 L3/L2 스위치(54)와 마찬가지로, 입력되는 패킷 신호에 대하여 수신처에 따른 방로 스위칭을 행하는 것이다.
또한, 전송계 인터페이스부(33)는, L3/L2 스위치(32)에서 방로 스위칭이 행해진 패킷 신호에 대하여, 이서넷 인터페이스 처리나 DWDM 방식에 의한 종단 처리가 행해져, DWDM 광 신호로서 수신처 방로측의 노드 장치(도 1의 경우에는 노드 장치(3-7))에 송출되도록 되어 있다.
이 때, 통신 장치(5)의 DWDM 송수신부(58)에서 DWDM 채널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DWDM 송수신부(58)로부터의 DWDM 광 신호는, 전송/액세스 인터페이스(IF)부(31) 및 L3/L2 스위치(32)를 경유하지 않고, 다이렉트로 전송계 인터페이스부(33)에 (전기 신호 등으로 변환되지 않고 광 신호인 채로) 입력되어, 설정된 채널에 따라서 수신처측의 전송 장치(3-7)에 출력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다른 중계단의 노드 장치(3-7, 3-6, 3-5)에서도, 마찬가지로 전기 신호 등으로 변환되지 않고 광 신호인 채로, 설정된 채널에 따른 크로스 커넥트 등의 방로 절환이 행해지면서 수신처의 PON(4-3)의 통신 장치(5)까지, PON(4-1)으로부터의 DWDM 광 신호가 전송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광 통신 시스템(1)에서는, 도 1,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PON(4-1)에서의 통신 장치(5)에 접속된 ONU(6)와, 다른 PON(4-3)에서의 통신 장치(5)에 접속된 ONU(6) 사이에서 (지연ㆍ흔들림을 억제한 비교적 고품질의) 통신을 행할 때에는, 우선, 이들 PON(4-1, 4-3)에서의 통신 장치(5) 사이에서, 메트로 링(2)을 통한 DWDM 방식에 의한 통신 채널을 설정한다.
예를 들면, 도 5의 플로우차트에 도시한 바와 같이, PON(4-1) 또는 PON(4-3)에서의 어느 한쪽, 여기에서는 PON(4-1)에서의 ONU(6)(통신 장치(5)의 관리하에 접속된 ONU(6))는, 전술한 비교적 고품질의 통신을 행하는 동작 모드로의 절환 요구와 함께, 통신 상대로 되는 ONU(6)에 관한 정보를, 상기 PON(4-1)에서의 통신 장치(5)(상기 ONU(6)에 접속하는 통신 장치(5))에 대하여 통지한다. 이 통신 상대의 ONU(6)에 관한 정보로서는, ONU(6) 자신에 할당된 어드레스 등의 고유한 식별 정보 외에, 수용처의 PON(4)에서의 통신 장치(5)의 어드레스 등의 식별 정보에 대해서도 포함시킬 수 있다.
이러한 통신 상대로 되는 ONU(6)에 관한 정보의 통지를 수취한 통신 장치(5)는(스텝 S1), PON/MAC 제어부(52)에서의 제어를 통하여, 통신 상대로 되는 단말 장치를 수용하는 통신 장치(5)와의 사이에서의 DWDM 방식에 의한 통신 채널의 설정 요구를, 메트로 링(2)에서의 DWDM 채널의 할당을 관리하는 NMS(7)에 대하여 송신한다(스텝 S2).
NMS(7)에서는, 이 설정 요구를 수신하면, 그 설정 요구에 따라서, DWDM 통신 채널을 할당하는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할당한 통신 채널에 대한 사용 허가를, 설정 요구를 출력한 통신 장치(5)에 대하여 회신한다.
설정 요구를 송신한 통신 장치(5)에서, 이 NMS(7)로부터의 DWDM 통신 채널에 대한 사용 허가를 수신하면(스텝 S3), 다음으로, 접속 상대처로 되는 통신 장치(5)에서의 PON/MAC 제어부(52)에 대하여, 통상의 통신 품질 모드인 CWDM 송수신부(55)를 통한 통신 대신에, 고품질의 통신 모드인 DWDM 송수신부(58)에 의한 DWDM 채널을 통한 통신 모드로 모드를 절환하는 취지를 요구한다(스텝 S4).
전술한 절환 요구를 받은 통신 장치(5)에서는, 상기 모드 절환이 가능한 동작 상태이면 그 모드 절환 요구를 받아들인다. 이 경우에는, 모드 절환 허가 신호를, 절환 요구를 송신한 통신 장치(5)에 회신한다. 그리고, 전술한 절환 요구를 송신한 통신 장치(5)에서, 통신 상대처로 되는 통신 장치(5)로부터 모드 절환 허가 신호를 수신하면(스텝 S5), 자신의 그룹에 속하는 ONU(6)에 대하여 고품질 모드에 의한 접속 허가 신호를 송신한다(스텝 S6).
그 후,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절환 요구원, 접속 상대처로 되는 PON(4-1, 4-3)의 통신 장치(5)의 제1, 제2 릴레이 스위치(56a, 56b)의 동작 상태가 고품질 모드용으로 절환되고, 이에 의해, PON(4-1 및 4-3) 사이에서 서로 지연량이 억제된 고품질의 통신을 행할 수 있다(스텝 S7). 예를 들면, 접속 요구원 PON(4-1)의 통신 장치(5)에서의 제1, 제2 릴레이 스위치(56a, 56b)가, 전술한 제1 신호 경로 설정(도면 중 "1"의 접속 설정)으로 되도록, 접속 상대처 PON(403)의 통신 장치(5)에서의 제1, 제2 릴레이 스위치(56a, 56b)가, 전술한 제2 신호 경로 설정(도면 중 "2"의 접속 설정)으로 되도록, 각각 절환된다.
구체적으로는, PON(4-1)의 통신 장치(5)에서는, 그 통신 장치(5)에 접속되는 ONU(6)와의 사이의 GE-PON 방식에 의한 신호를 종단하여 패킷으로 하고, L3/L2 스위치(54)에 의해, 패킷 단위로 수신처에 따른 방로 절환을 행함과 함께, DWDM 송수신부(58)를 통하여 설정된 통신 채널을 통하여 접속되는 PON(4-3)의 통신 장치(5)에 수용되는 ONU(6)와의 사이의 GE-PON 방식에 의한 신호에 대해서도, 종단하여 패킷으로 하고, L3/L2 스위치(54)에 의해, 패킷 단위로 수신처에 따른 방로 절환을 행한다.
또한, PON(4-3)의 통신 장치(5)에서는, 그 통신 장치(5)의 관리하의 단말 장치(6)로부터의 신호를 DWDM 송수신부(58)에서 설정된 통신 채널을 통하여 PON(4-1)의 통신 장치(5)에 출력함과 함께, DWDM 송수신부(58)에서 설정된 통신 채널을 통하여 접속되는 PON(4-1)의 통신 장치(5)에 수용되는 ONU(6)로부터의 신호에 대해서는, 상기 PON(4-3)의 통신 장치(5)의 관리하의 ONU(6)에 출력한다.
이에 의해, 고품질 모드의 통신 대상의 PON(4-1, 4-3) 사이에서는, 각각의 통신 장치(5)를 통하여 DWDM 채널이 설정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PON(4-1)에서의 ONU(6)로부터의 신호는, 통신 장치(5)의 L3/L2 스위치(54)에 의해 일단 수신처에 따른 방로 절환이 행해진 후에는(도 6 중 "A" 참조), DWDM 송수신부(58)를 통하여 DWDM 채널의 광 신호로서 광 패스 스루로(전기 신호로 변환되지 않고) 수신처의 PON(4-3)의 통신 장치(5)에 송신된다(도 6 중 "D" 참조).
즉, 중계단의 노드 장치(3-1, 3-5)(도 6 중 "B", "C" 참조)에서도, 전술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은 L3/L2 스위칭 등과 같은 스토어 앤드 포워드(Store and Forward)의 처리를 스킵할 수 있으므로, 전술한 도 8 또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은 통신 양태의 경우에 비하여 지연ㆍ흔들림을 억제하여, 통신 품질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9는, 도 7에 도시하는 메트로 링(100)을 이용한 PON(102-1, 102-3)의 ONU(106) 사이의 통신을 행할 때의 신호 처리의 과정에 대하여 도 8과 대응지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통신 장치(105)는 액세스계 IF(인터페이스)부(111), L3/L2 스위치(112) 및 전송/액세스 IF부(113)를 구비하고, 노드 장치(101)는, 전송/액세스 IF부(114), L3/L2 스위치(115) 및 전송계 IF부(116)를 구비하고 있다(도 9 중에서는 특히 노드(101-1, 101-5)에 주목하여 도시하고 있음). 또한, 도면 부호 107은 수동형 광 분배기이다.
통신 장치(105)의 액세스계 IF부(113)는, 각각, 도 3에 도시하는 PON 인터페이스(51), PON/MAC 제어부(52) 및 이서넷 인터페이스(53)에 상당하는 구성(도면 부호 111a∼111c)을 구비하고 있고, L3/L2 스위치(112)는, 마찬가지의 도 3에 도시하는 L3/L2 스위치(54)에 상당하는 것이다. 또한, 전송/액세스 IF부(113)는, 수용처의 노드 장치(101)에서의 전송/액세스 IF부(114)와의 사이에서, 메트로 링(100)에 의해 설정되는 통신 채널과는 다른 (비교적 저대역의) CWDM 채널에 의한 통신의 인터페이스 처리를 행하는 것으로, 도 3에 도시하는 CWDM 송수신부(55)에 상당한다. 또한, 노드 장치(101)의 전송/액세스 IF부(114)는, 관리하의 통신 장치(105)와의 사이에서의 CWDM에 의한 통신 채널을 인터페이스하는 것이다. 또한, 전송계 IF부(116)는, 메트로 링(100)을 전송되는 DWDM 신호에 대하여 인터페이스하는 것이다. 또한, L3/L2 스위치(115)는, 전술한 전송계 IF부(116) 및 전송/액세스 IF부(114)와의 사이의 신호에 대하여, L3/L2 스위칭을 행하기 위한 것이다. PON(102-1)의 통신 장치(105)로부터 노드 장치(101-1, 101-7∼101-5)를 경유하여 PON(102-3)의 통신 장치(105)에 송신되는 신호에 주목하면, PON(102-1)으로부터의 CWDM 신호는, 노드 장치(101-1)의 전송/액세스 IF부(114)에서의 광 스위칭(도 8의 "B"에서의 Opt-SW)을 경유하여 CWDM광을 이서넷 프레임을 이루는 전기 신호로 변환되고, 또한 패킷 신호로 변환된다(도 8의 "B"에서의 CWDM-OE부터 이서넷). 그리고, L3/L2 스위치(115)에 의해, 전송/액세스 IF부(114)로부터의 패킷 신호에 대하여 수신처에 따른 방로 절환이 행해져(도 8의 "B"에서의 IP 라우터), 이서넷 프레임(또는 SONET 프레임)으로 변환되고, DWDM 신호로서 전송되도록 되어 있다(도 8의 "B"에서의 이서넷/SONET, DWDM-EO). 이후, 거의 마찬가지의 처리가 각 노드 장치(101-7∼101-5)에서 반복되어, PON(102-1)의 통신 장치(105)로부터의 신호가 PON(102-3)의 통신 장치(105)에 도달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다른 통신 장치와의 사이에서 상기 링 네트워크를 통하여 설정되는 제1 광 통신 방식에 의한 통신 채널을 종단하는 제1 종단부로서의 DWDM 송수신부(58)와 함께, 경로 설정 절환부로서의 제1, 제2 루트 스위치(56a, 56b)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메트로 링(2) 내의 서로 다른 노드(3)에 접속되어 있는 PON(4)간의 통신에서는, 지연, 흔들림을 억제하여, 다이내믹하면서 심리스하게 접속함으로써, 홉수를 삭감하여, 지연을 억제한 고품질의 서비스를 실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전술한 경우에서는, 접속 요구원 PON(4-1)의 ONU(6)를 수용하는 통신 장치(5)가, PON/MAC 제어를 행하도록 하기 때문에, 상기 통신 장치(5)의 제1, 제2 릴레이 스위치(56a, 56b)에서의 설정을 제1 신호 경로 설정으로 하고, 접속 상대처 PON(4-3)의 ONU(6)를 수용하는 통신 장치(5)에서는, 제1, 제2 릴레이 스위치(56a, 56b)에서의 설정을 제2 신호 경로 설정으로 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접속 상대처 PON(4-3)의 ONU(6)를 수용하는 통신 장치(5)가, PON/MAC 제어를 행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통신 장치(5)의 제1, 제2 릴레이 스위치(56a, 56b)에서의 설정을 제1 신호 경로 설정으로 하고, 접속 요구원 PON(4-1)의 ONU(6)를 수용하는 통신 장치(5)에서, 제1, 제2 릴레이 스위치(56a, 56b)에서의 설정을 제2 신호 경로 설정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DWDM 송수신부(58)에 의한 DWDM 채널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통상의 동작 모드에서는, 제1 릴레이 스위치(56a)를, PON 인터페이스(51)와 타이밍 조정부(57)가 접속되는 설정(도면 중 "1"의 접속 설정)으로 하는 한편, 제2 릴레이 스위치(56b)의 상태를, 릴레이 스위치(56a) 또는 타이밍 조정부(57)와의 접속을 절단 상태로 되도록 해 둘 수도 있다.
[b] 기타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에 상관없이, 본원 청구항에 기재된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특히 2개의 PON(4-1, 4-3)에 수용되는 ONU(6)간에서의 통신에 주목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3개 이상의 PON(4)에 수용되는 ONU(6)간에서의 통신에서 적용 가능하다. 즉, 하나의 PON(예를 들면 PON(4-1))에서의 통신 장치(5)와 2개 이상의 다른 PON(4)의 통신 장치(5)에서 각각 제1 광 통신 방식에 의한 통신 채널로서의 DWDM 채널을 설정하는 것을 통하여, 3개 이상의 PON(4)에 수용되는 ONU(6) 사이에서, 지연, 흔들림을 억제하여, 다이내믹하면서 심리스하게 접속함으로써, 홉수를 삭감하여, 지연을 억제한 고품질의 서비스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PON(4)을 수용하는 거점 장치에 의해 구성되는 네트워크로서, 메트로 링을 예로 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네트워크에서도 마찬가지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의 개시에 의해, 본 청구항에 기재된 발명의 장치를 제조하는 것은 가능하다.
이와 같이 메트로 링(100) 내의 리소스를 사용하여 그리드 컴퓨팅과 같은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을 상정한 경우에는, 메트로 링(100), 또한 그 앞의 PON에서 서로 접속된 복수의 컴퓨터를 구비한 시스템 구성을 구비하는 것으로 되지만, 메트로 링(100) 내의 서로 다른 노드 장치(101)에 접속되어 있는 ONU 사이의 통신에서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이어 2(L2) 또는 레이어 3(L3)에서의 방로 절환을 위한 기능인 IP(Internet Protocol) 라우터나 레이어 2 스위치가 현실적으로 다수 개재하게 된다.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룹 #1(도면 중 "A" 참조)의 PON(102-1)에서의 ONU가, 메트로 링(100)을 통하여 다른 그룹 #3(도면 중 "D")의 PON(102-3)에 속하는 ONU와 통신을 행하는 경우를 상정한다. 이 경우에는, 각각의 그룹 #1, #3의 PON(102-1, 102-3)에서의 OLT에서 IP 라우터나 레이어 2 스위치에 의한 처리가 행해지는 것 외에(도 8의 "A", "D" 참조), 중계 구간을 이루는 메트로 링(100)을 이루는 노드 장치(101-1, 101-7, 101-6, 101-5)에서도, 각각 IP 라우터에 의한 처리가 행해지게 된다. 또한, 도 8 중에서는, 특히 노드 장치(101-1)(도 8의 "B" 참조) 및 노드 장치(101-5)(도 8의 "C" 참조)에 주목하여, 각각, IP 라우터에 의한 처리가 행해지는 것에 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로 절환을 위한 레이어 2 스위치나 IP 라우터에서는, 통상적으로, 메시지를 중간의 중계점에 송신하고,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나서 다음 중계점에 전송하는 스토어 앤드 포워드 처리가 이루어진다. 이 스토어 앤드 포워드 처리는, 정보 전송시의 지연이나 흔들림의 원인으로 되어, 특히 전술한 그리드 컴퓨팅과 같이 지연ㆍ흔들림에 대한 요구가 높다고 예상되는 시스템에 대하여, 충분한 품질을 제공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는 것도 상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 중 하나는, 네트워크간 통신의 지연ㆍ흔들림을 억제하여, 품질 향상을 도모하는 데에 있다.
또한, 상기 목적에 한하지 않고, 후술하는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에 나타내는 각 구성에 의해 유도되는 효과로서, 종래의 기술에 의해서는 얻어지지 않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도 본 발명의 다른 목적 중 하나로서 위치지을 수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이하의 광 통신 시스템과, 그 광 통신 방법 및 통신 장치를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1) 즉, 본 발명의 통신 장치는, 제1 광 통신 방식으로 광 신호의 전송이 행해지는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적어도 2개의 거점 장치의 관리하에 각각 통신 장치가 접속되고, 또한, 각각의 통신 장치의 관리하에는 제2 광 통신 방식으로 광 신호의 송수신이 행해지는 단말 장치가 접속된 광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신 장치로서, 그 통신 장치와, 다른 통신 장치 사이에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설정되는 상기 제1 광 통신 방식에 의한 통신 채널을 종단하는 제1 종단부와, 상기 제2 광 통신 방식에 의한 신호를 종단하는 제2 종단부와, 상기 통신 장치와 관리하의 단말 장치 사이의 제2 광 통신 방식에 의한 신호를 상기 제2 종단부에서 종단시킴과 함께, 상기 제1 종단부를 통하여 상기 제1 광 통신 방식에 의한 통신 채널을 통하여 접속되는 다른 통신 장치에 수용되는 단말 장치와의 사이의 상기 제2 광 통신 방식에 의한 신호에 대해서도 상기 제2 종단부에서 종단시키기 위하여 신호 경로를 설정하는 제1 신호 경로 설정, 및 상기 통신 장치와 관리하의 단말 장치 사이의 제2 광 통신 방식에 의한 신호를 상기 다른 통신 장치에서 종단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 광 통신 방식에 의한 통신 채널을 통하여 출력함과 함께, 상기 다른 통신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종단부를 통하여 상기 제1 광 통신 방식에 의한 통신 채널을 통하여 입력된 상기 제2 광 통신 방식에 의한 신호를, 상기 제2 종단부에 의한 종단 처리를 스킵하여 상기 통신 장치의 관리하에 접속되는 단말 장치에 출력하기 위하여 신호 경로를 설정하는 제2 신호 경로 설정 중 어느 한쪽으로 선택적으로 절환하는 경로 설정 절환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2) 또한, 상기 제1 광 통신 방식은, 기가비트 이서넷(등록 상표) 수동 광 가입자망 방식이고, 상기 제2 광 통신 방식은, 파장 다중 광 통신 방식인 것으로 하여도 된다.
(3) 또한, 상기 제2 종단부는, 관리하의 단말 장치와의 사이에 접속되어 수동 광 가입자망 방식의 신호 인터페이스 처리를 행하는 제1 신호 인터페이스부와, 기가비트 이서넷 방식의 신호 인터페이스 처리를 행하는 제2 신호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에서의 신호 인터페이스 처리가 행해진 신호에 대하여, 수신처에 따른 방로 절환을 행하는 방로 스위치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경로 설정 절환부는, 상기 제1 신호 경로의 설정으로서, 상기 관리하의 단말 장치와의 사이의 신호 경로를, 상기 제1 신호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제2 신호 인터페이스부에 접속되는 신호 경로로 함과 함께, 상기 제1 종단부를 통하여 접속되는 상기 다른 통신 장치에 수용되는 단말 장치와의 사이의 신호 경로를, 상기 제1 종단부를 통하여 상기 제2 신호 인터페이스부에 접속되는 신호 경로로 하고, 또한 상기 제2 신호 경로의 설정으로서, 상기 관리하의 단말 장치와의 사이의 신호 경로를, 상기 제1 신호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제1 종단부에 접속하는 신호 경로로 함과 함께, 상기 제1 종단부를 통하여 접속되는 다른 통신 장치에 수용되는 단말 장치와의 사이의 신호 경로를, 상기 제1 종단부를 통하여 상기 제1 신호 인터페이스부에 접속되는 신호 경로로 할 수도 있다.
(4) 또한, 상기 제2 종단부는, 상기 통신 장치의 관리하에 접속되어 있는 단말 장치, 및, 상기 제1 종단부를 통하여 상기 제1 광 통신 방식에 의한 통신 채널을 통하여 접속되는 다른 통신 장치에 수용되는 단말 장치에는, 상기 통신 장치에의 신호의 송신 타이밍으로서 서로 다른 타임 슬롯을 할당하도록 구성되는 한편, 상기 경로 설정 절환부에서 상기 제1 신호 경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통신 장치의 관리하에 접속되어 있는 단말 장치, 및, 상기 제1 종단부를 통하여 상기 제1 광 통신 방식에 의한 통신 채널을 통하여 접속되는 다른 통신 장치에 수용되는 단말기 장치로부터 송신된 신호에 대하여 수신 타이밍을 조정하는 타이밍 조정부가, 상기 제2 종단부의 전단에 구비되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5) 또한, 제1 광 통신 방식으로 광 신호의 전송이 행해지는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적어도 2개의 거점 장치에 각각 통신 장치가 접속되고, 또한, 각각의 통신 장치에는 제2 광 통신 방식으로 광 신호의 송수신이 행해지는 단말 장치가 접속된 광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통신 장치는, 그 통신 장치와 다른 통신 장치 사이에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한 상기 제1 광 통신 방식에 의한 통신 채널에 의해 신호를 송수하여 종단할 수 있는 제1 종단부와 함께, 상기 제2 광 통신 방식에 의한 신호를 종단하는 제2 종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통신 채널이 설정된 복수의 통신 장치 중의 하나의 통신 장치는, 그 하나의 통신 장치에 접속되는 단말 장치와의 사이의 제2 광 통신 방식에 의한 신호를 상기 제2 종단부에서 종단하여 패킷으로 하고 상기 패킷 단위로 수신처에 따른 방로 절환을 행함과 함께, 상기 통신 채널이 설정된 복수의 통신 장치 중의 다른 통신 장치에 접속되는 단말 장치와의 사이의 제2 광 통신 방식에 의한 신호에 대해서도, 상기 제2 종단부에서 종단하여 패킷으로 하고 상기 패킷 단위로 수신처에 따른 방로 절환을 행하는 신호 경로를 설정하는 제1 신호 경로 설정부를 구비함과 함께, 상기 다른 통신 장치는, 그 다른 통신 장치의 관리하의 단말 장치로부터의 신호를 상기 설정된 통신 패널을 통하여 상기 하나의 통신 장치에 출력함과 함께, 상기 설정된 통신 채널을 통하여 접속되는 상기 하나의 통신 장치에 수용되는 단말 장치로부터의 신호에 대해서는, 상기 다른 통신 장치의 관리하의 단말 장치에 출력하기 위하여 신호 경로를 설정하는 제2 신호 경로 설정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6) 또한, 본 발명의 광 통신 방법은, 제1 광 통신 방식으로 광 신호의 전송이 행해지는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적어도 2개의 거점 장치에 각각 통신 장치가 접속되고, 또한, 각각의 통신 장치에는 제2 광 통신 방식으로 광 신호의 송수신이 행해지는 단말 장치가 접속된 광 통신 시스템에서의 광 통신 방법으로서, 하나의 통신 장치에 접속된 단말 장치와, 다른 통신 장치에 접속된 단말 장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할 때에, 상기 통신 장치간에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한 상기 제1 광 통신 방식에 의한 통신 채널을 설정함과 함께, 상기 하나의 통신 장치는, 그 하나의 통신 장치에 접속되는 단말 장치와의 사이의 제2 광 통신 방식에 의한 신호를 종단하여 패킷으로 하고 상기 패킷 단위로 수신처에 따른 방로 절환을 행함과 함께, 상기 설정된 통신 채널을 통하여 접속되는 다른 통신 장치에 수용되는 단말 장치와의 사이의 제2 광 통신 방식에 의한 신호에 대해서도, 종단하여 패킷으로 하고 상기 패킷 단위로 수신처에 따른 방로 절환을 행하는 한편, 상기 다른 통신 장치는, 그 다른 통신 장치의 관리하의 단말 장치로부터의 신호를 상기 설정된 통신 채널을 통하여 상기 하나의 통신 장치에 출력함과 함께, 상기 설정된 통신 채널을 통하여 접속되는 상기 하나의 통신 장치에 수용되는 단말 장치로부터의 신호에 대해서는, 상기 다른 통신 장치의 관리하의 단말 장치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7) 이 경우에서는, 상기 통신을 행하는 하나의 통신 장치에 접속된 단말 장치는, 그 단말 장치에 접속하는 통신 장치에 대하여, 통신 상대로 되는 단말 장치에 관한 정보를 통지하고, 상기 통지를 행한 단말 장치에 수용되는 통신 장치는, 상기 통신 상대로 되는 단말 장치를 수용하는 통신 장치와의 사이에서의 상기 통신 채널의 설정 요구를, 상기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채널의 할당을 관리하는 관리 장치에 대하여 출력함으로써, 상기 관리 장치는, 상기 설정 요구에 따라서 통신 채널을 할당하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8) 또한, 상기 다른 통신 장치에 접속된 단말 장치는, 그 단말 장치에 접속하는 통신 장치에 대하여, 통신 상대로 되는 단말 장치에 관한 정보를 통지하고, 상기 통지를 행한 단말 장치에 수용되는 통신 장치는, 상기 통신 상대로 되는 단말 장치를 수용하는 통신 장치와의 사이에서의 상기 통신 채널의 설정 요구를, 상기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채널의 할당을 관리하는 관리 장치에 대하여 출력함으로써, 상기 관리 장치는, 상기 설정 요구에 따라서 통신 채널을 할당할 수도 있다.
(9) 또한, 전술한 (7) 또는 (8)에서, 상기 통지를 행한 단말 장치에 수용되는 통신 장치는, 상기 관리 장치에서의 상기 통신 채널의 할당이 완료되면, 대응하는 방로 절환을 행함과 함께, 상기 통신 상대로 되는 단말 장치를 수용하는 통신 장치에 대하여, 대응하는 방로 절환을 요구하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발명의 효과>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른 통신 장치와의 사이에서 네트워크를 통하여 설정되는 제1 광 통신 방식에 의한 통신 채널을 종단하는 제1 종단부와 함께, 경로 설정 절환부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네트워크 내의 서로 다른 거점 장치에 접속되어 있는 통신 단말기간의 통신에서는, 지연, 흔들림을 억제하여, 다이내믹하면서 심리스하게 접속함으로써 홉수를 삭감하여, 지연을 억제한 고품질의 서비스를 실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9)

  1. 제1 광 통신 방식으로 광 신호의 전송이 행해지는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적어도 2개의 거점 장치의 관리하에 각각 통신 장치가 접속되고, 또한, 각각의 통신 장치의 관리하에는 제2 광 통신 방식으로 광 신호의 송수신이 행해지는 단말 장치가 접속된 광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신 장치로서,
    상기 통신 장치와, 다른 통신 장치 사이에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설정되는 상기 제1 광 통신 방식에 의한 통신 채널을 종단하는 제1 종단부와,
    상기 제2 광 통신 방식에 의한 신호를 종단하는 제2 종단부와,
    상기 통신 장치와 관리하의 단말 장치 사이의 제2 광 통신 방식에 의한 신호를 상기 제2 종단부에서 종단시킴과 함께, 상기 제1 종단부를 통하여 상기 제1 광 통신 방식에 의한 통신 채널을 통하여 접속되는 다른 통신 장치에 수용되는 단말 장치와의 사이의 상기 제2 광 통신 방식에 의한 신호에 대해서도 상기 제2 종단부에서 종단시키기 위하여 신호 경로를 설정하는 제1 신호 경로 설정, 및
    상기 통신 장치와 관리하의 단말 장치 사이의 제2 광 통신 방식에 의한 신호를 상기 다른 통신 장치에서 종단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 광 통신 방식에 의한 통신 채널을 통하여 출력함과 함께, 상기 다른 통신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종단부를 통하여 상기 제1 광 통신 방식에 의한 통신 채널을 통하여 입력된 상기 제2 광 통신 방식에 의한 신호를, 상기 제2 종단부에 의한 종단 처리를 스킵하여 상기 통신 장치의 관리하에 접속되는 단말 장치에 출력하기 위하여 신호 경로를 설정하는 제2 신호 경로 설정 중 어느 한쪽으로 선택적으로 절환하는 경로 설정 절환부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 통신 방식은, 기가비트 이서넷(등록 상표) 수동 광 가입자망 방식이고, 상기 제2 광 통신 방식은, 파장 다중 광 통신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종단부는, 관리하의 단말 장치와의 사이에 접속되어 수동 광 가입자망 방식의 신호 인터페이스 처리를 행하는 제1 신호 인터페이스부와, 기가비트 이서넷 방식의 신호 인터페이스 처리를 행하는 제2 신호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에서의 신호 인터페이스 처리가 행해진 신호에 대하여, 수신처에 따른 방로(方路) 절환을 행하는 방로 스위치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경로 설정 절환부는, 상기 제1 신호 경로의 설정으로서, 상기 관리하의 단말 장치와의 사이의 신호 경로를, 상기 제1 신호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제2 신호 인터페이스부에 접속되는 신호 경로로 함과 함께, 상기 제1 종단부를 통하여 접속되는 상기 다른 통신 장치에 수용되는 단말 장치와의 사이의 신호 경로를, 상기 제1 종단부를 통하여 상기 제2 신호 인터페이스부에 접속되는 신호 경로로 하고,
    또한 상기 제2 신호 경로의 설정으로서, 상기 관리하의 단말 장치와의 사이의 신호 경로를, 상기 제1 신호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제1 종단부에 접속하는 신호 경로로 함과 함께, 상기 제1 종단부를 통하여 접속되는 다른 통신 장치에 수용되는 단말 장치와의 사이의 신호 경로를, 상기 제1 종단부를 통하여 상기 제1 신호 인터페이스부에 접속되는 신호 경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종단부는, 상기 통신 장치의 관리하에 접속되어 있는 단말 장치, 및, 상기 제1 종단부를 통하여 상기 제1 광 통신 방식에 의한 통신 채널을 통하여 접속되는 다른 통신 장치에 수용되는 단말 장치에는, 상기 통신 장치에의 신호의 송신 타이밍으로서 서로 다른 타임 슬롯을 할당하도록 구성되는 한편,
    상기 경로 설정 절환부에서 상기 제1 신호 경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통신 장치의 관리하에 접속되어 있는 단말 장치, 및, 상기 제1 종단부를 통하여 상기 제1 광 통신 방식에 의한 통신 채널을 통하여 접속되는 다른 통신 장치에 수용되는 단말기 장치로부터 송신된 신호에 대하여 수신 타이밍을 조정하는 타이밍 조정부가, 상기 제2 종단부의 전단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5. 제1 광 통신 방식으로 광 신호의 전송이 행해지는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적어도 2개의 거점 장치에 각각 통신 장치가 접속되고, 또한, 각각의 통신 장치에는 제2 광 통신 방식으로 광 신호의 송수신이 행해지는 단말 장치가 접속된 광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통신 장치는, 그 통신 장치와 다른 통신 장치 사이에서 상기 네크워크를 통한 상기 제1 광 통신 방식에 의한 통신 채널에 의해 신호를 송수하여 종단 가능한 제1 종단부와 함께, 상기 제2 광 통신 방식에 의한 신호를 종단하는 제2 종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통신 채널이 설정된 복수의 통신 장치 중의 하나의 통신 장치는, 그 하나의 통신 장치에 접속되는 단말 장치와의 사이의 제2 광 통신 방식에 의한 신호를 상기 제2 종단부에서 종단하여 패킷으로 하고 상기 패킷 단위로 수신처에 따른 방로 절환을 행함과 함께, 상기 통신 채널이 설정된 복수의 통신 장치 중의 다른 통신 장치에 접속되는 단말 장치와의 사이의 제2 광 통신 방식에 의한 신호에 대해서도, 상기 제2 종단부에서 종단하여 패킷으로 하고 상기 패킷 단위로 수신처에 따른 방로 절환을 행하는 신호 경로를 설정하는 제1 신호 경로 설정부를 구비함과 함께,
    상기 다른 통신 장치는, 그 다른 통신 장치의 관리하의 단말 장치로부터의 신호를 상기 설정된 통신 채널을 통하여 상기 하나의 통신 장치에 출력함과 함께, 상기 설정된 통신 채널을 통하여 접속되는 상기 하나의 통신 장치에 수용되는 단말 장치로부터의 신호에 대해서는, 상기 다른 통신 장치의 관리하의 단말 장치에 출력하기 위하여 신호 경로를 설정하는 제2 신호 경로 설정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통신 시스템.
  6. 제1 광 통신 방식으로 광 신호의 전송이 행해지는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적어도 2개의 거점 장치에 각각 통신 장치가 접속되고, 또한, 각각의 통신 장치에는 제2 광 통신 방식으로 광 신호의 송수신이 행해지는 단말 장치가 접속된 광 통신 시스템에서의 광 통신 방법으로서,
    하나의 통신 장치에 접속된 단말 장치와, 다른 통신 장치에 접속된 단말 장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할 때에,
    상기 통신 장치간에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한 상기 제1 광 통신 방식에 의한 통신 채널을 설정함과 함께,
    상기 하나의 통신 장치는, 그 하나의 통신 장치에 접속되는 단말 장치와의 사이의 제2 광 통신 방식에 의한 신호를 종단하여 패킷으로 하고 상기 패킷 단위로 수신처에 따른 방로 절환을 행함과 함께, 상기 설정된 통신 채널을 통하여 접속되는 다른 통신 장치에 수용되는 단말 장치와의 사이의 제2 광 통신 방식에 의한 신호에 대해서도, 종단하여 패킷으로 하고 상기 패킷 단위로 수신처에 따른 방로 절환을 행하는 한편,
    상기 다른 통신 장치는, 그 다른 통신 장치의 관리하의 단말 장치로부터의 신호를 상기 설정된 통신 채널을 통하여 상기 하나의 통신 장치에 출력함과 함께, 상기 설정된 통신 채널을 통하여 접속되는 상기 하나의 통신 장치에 수용되는 단말 장치로부터의 신호에 대해서는, 상기 다른 통신 장치의 관리하의 단말 장치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통신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을 행하는 하나의 통신 장치에 접속된 단말 장치는, 그 단말 장치에 접속하는 통신 장치에 대하여, 통신 상대로 되는 단말 장치에 관한 정보를 통지하고,
    상기 통지를 행한 단말 장치에 수용되는 통신 장치는, 상기 통신 상대로 되는 단말 장치를 수용하는 통신 장치와의 사이에서의 상기 통신 채널의 설정 요구를, 상기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채널의 할당을 관리하는 관리 장치에 대하여 출력함으로써, 상기 관리 장치는, 상기 설정 요구에 따라서 통신 채널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통신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통신 장치에 접속된 단말 장치는, 그 단말 장치에 접속하는 통신 장치에 대하여, 통신 상대로 되는 단말 장치에 관한 정보를 통지하고,
    상기 통지를 행한 단말 장치에 수용되는 통신 장치는, 상기 통신 상대로 되는 단말 장치를 수용하는 통신 장치와의 사이에서의 상기 통신 채널의 설정 요구를, 상기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채널의 할당을 관리하는 관리 장치에 대하여 출력함으로써, 상기 관리 장치는, 상기 설정 요구에 따라서 통신 채널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통신 방법.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를 행한 단말 장치에 수용되는 통신 장치는, 상기 관리 장치에서의 상기 통신 채널의 할당이 완료되면, 대응하는 방로 절환을 행함과 함께, 상기 통신 상대로 되는 단말 장치를 수용하는 통신 장치에 대하여, 대응하는 방로 절환을 요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통신 방법.
KR1020097013315A 2006-12-15 2006-12-15 광 통신 시스템과, 그 광 통신 방법 및 통신 장치 KR1010438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6/325105 WO2008072356A1 (ja) 2006-12-15 2006-12-15 光通信システムならびにその光通信方法および通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4325A true KR20090094325A (ko) 2009-09-04
KR101043851B1 KR101043851B1 (ko) 2011-06-22

Family

ID=39511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3315A KR101043851B1 (ko) 2006-12-15 2006-12-15 광 통신 시스템과, 그 광 통신 방법 및 통신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200088B2 (ko)
EP (1) EP2101449A4 (ko)
JP (1) JP4695695B2 (ko)
KR (1) KR101043851B1 (ko)
CN (1) CN101563893B (ko)
WO (1) WO200807235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2230A (ko) * 2010-12-23 2012-07-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더넷에 기반을 둔 패킷 전달 계층 방식의 수동형 광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커넥션 관리 서버, olt, onu/ont 및 그 제공 방법과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25013B1 (en) * 2009-10-16 2018-07-11 Xieon Networks S.à r.l. Optical network and method for processing data in an optical network
KR101290814B1 (ko) * 2009-12-21 2013-07-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패킷 전달 계층 방식의 수동형 광 네트워크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5704694B2 (ja) * 2010-12-20 2015-04-22 独立行政法人情報通信研究機構 光アクセスシステム
EP2621129B1 (en) * 2011-01-14 2016-11-09 Huawei Technologies Co., Ltd. Data forwarding method and router
US9301029B2 (en) * 2012-11-05 2016-03-29 Broadcom Corporation Data rate control in an optical line terminal
US9503381B2 (en) * 2013-01-23 2016-11-22 Broadcom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arrying control data in a preamble
US10917363B2 (en) * 2015-06-22 2021-02-09 Infinera Corporation Multilayer packet optical communication networks
WO2018173147A1 (ja) * 2017-03-22 2018-09-27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上位装置、対向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US10469921B2 (en) * 2017-11-10 2019-11-05 Juniper Networks, Inc. Data center packet optical transport failure protection
CN110022174A (zh) * 2018-01-08 2019-07-1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光网络单元业务保护的方法及装置
CN112803998B (zh) * 2021-04-13 2021-07-09 北京国科天迅科技有限公司 多总线网络跨网通信方法、装置、系统、设备和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82018B (en) * 1993-09-14 1998-03-18 Northern Telecom Ltd Optical communications network
US6470032B2 (en) * 2001-03-20 2002-10-22 Alloptic, Inc. 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telecom-related clocks in ethernet-based passive optical access network
KR100421151B1 (ko) 2002-01-17 2004-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기가비트 이더넷 수동 광 가입자 망 시스템에서의 동작구현방법 및 그 이더넷 프레임 구조
WO2003067919A1 (en) * 2002-02-06 2003-08-1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Wavelength selective for packet transmission via a passive optical network
KR100484306B1 (ko) * 2002-11-26 2005-04-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광-부반송-다중화 방식의 다중 채널 접속을 이용한 동적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0506209B1 (ko) * 2003-06-16 2005-08-0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더넷 수동 광 가입자망에서 다중 서비스를 고려한 동적대역폭 할당방법
FI20031104A0 (fi) * 2003-07-25 2003-07-25 Nokia Corp Yksikuituinen suojaus tietoliikenneverkoissa
US7630638B2 (en) * 2004-12-29 2009-12-08 Fujitsu Limited Shared multi-lambda source for WDM PON
DE102005010610A1 (de) * 2005-03-08 2006-09-21 Siemens Ag Optisches Übertragungssystem
US7715719B2 (en) * 2006-06-02 2010-05-11 Fujitsu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traffic in a plurality of passive optical networks
US7706688B2 (en) * 2006-07-17 2010-04-27 University Of Ottawa Wavelength reconfigurable optical network
US20080069564A1 (en) * 2006-09-20 2008-03-20 Tellabs Operations, Inc. Optical Aggregation and Proxy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2230A (ko) * 2010-12-23 2012-07-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더넷에 기반을 둔 패킷 전달 계층 방식의 수동형 광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커넥션 관리 서버, olt, onu/ont 및 그 제공 방법과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01449A1 (en) 2009-09-16
JP4695695B2 (ja) 2011-06-08
US20090252492A1 (en) 2009-10-08
CN101563893B (zh) 2011-12-14
JPWO2008072356A1 (ja) 2010-03-25
WO2008072356A1 (ja) 2008-06-19
CN101563893A (zh) 2009-10-21
US8200088B2 (en) 2012-06-12
EP2101449A4 (en) 2012-02-29
KR101043851B1 (ko) 2011-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3851B1 (ko) 광 통신 시스템과, 그 광 통신 방법 및 통신 장치
KR100717666B1 (ko) Pon 시스템 및 논리 링크 할당 방법
US9628213B2 (en) Access system,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for optical fiber network
EP3443693B1 (en) Channel bonding in multiple-wavelength passive optical networks (pons)
US9848254B2 (en) Efficient transport network architecture for content delivery network
JP2007274694A (ja) 受動光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におけるipパケットのサービス品質を制御する方法とシステム
JP5792127B2 (ja) Ponシステム、光加入者線終端装置、及び通信方法
JP5614482B1 (ja) 局側終端装置及び経路切替方法
US9426547B2 (en) PON system, station side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and access control device
US9948569B2 (en) Station-side terminal apparatus, and path switching method
US8358932B2 (en) All-optical data center network
US8223773B2 (en) Optical line terminal in gigabit passive optical network and method for transmitting broadcast frame using the same
JP2004253881A (ja) 局側集線装置
JP6582731B2 (ja) 局側終端装置、加入者側終端装置、光通信システム、経路切替方法、経路切替プログラム、及び波長切替方法
KR20210028403A (ko) Ftth 기반 인터넷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7307388B2 (ja) 光コア部を有する光ネットワーク、タイムスロット化した受信を使用するノード
Lin et al. SPON: A slotted long-reach PON architecture for supporting internetworking capability
Gumaste et al. DynaSPOT: dynamic services provisioned optical transport test-bed—achieving multirate multiservice dynamic provisioning using strongly connected light-trail (SLiT) technology
JP4934618B2 (ja) Ponシステムおよびフレーム転送装置
JP5116495B2 (ja) 光通信システム及び局側装置
JP5155200B2 (ja) 複合シェアドアクセス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局側装置と加入者端末
US20240098392A1 (en) Intelligent fiber to the room (fttr) gateway
Drainakis et al. Scalable and low server-to-server latency data center network architecture based on optical packet inter-rack and intra-rack switching
Rafiq Software Defined Future Access Network Architecture for MAC Layer Scheduling
Xi et al. Virtual fully connected WDM network: A high-performance single-hop architecture for metropolitan area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