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2972A - 심/유심 카드의 통신 단말 호환성 테스트를 수행하는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심/유심 카드의 통신 단말 호환성 테스트를 수행하는시스템 및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2972A
KR20090092972A KR1020080018253A KR20080018253A KR20090092972A KR 20090092972 A KR20090092972 A KR 20090092972A KR 1020080018253 A KR1020080018253 A KR 1020080018253A KR 20080018253 A KR20080018253 A KR 20080018253A KR 20090092972 A KR20090092972 A KR 200900929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
sim
sim card
terminal
c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8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9555B1 (ko
Inventor
장윤식
정필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파이어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파이어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파이어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080018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9555B1/ko
Publication of KR20090092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29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9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95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95Testing the sensing arrangement, e.g. testing if a magnetic card reader, bar code reader, RFID interrogator or smart card reader functions proper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3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consisting of two or more mechanically separable parts
    • G06K19/07739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consisting of two or more mechanically separable parts comprising a first part capable of functioning as a record carrier on its own and a second part being only functional as a form factor changing part, e.g. SIM cards type ID 0001, removably attached to a regular smart card form fa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심/유심 카드의 통신 단말 호환성 테스트를 수행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심/유심 카드에 저장되어 있는 고유 식별 정보를 인식한 후, 상기 인식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유 식별 정보를 상기 제2 테스트 장치로 전송하는 제1 테스트 장치 및 상기 제1 테스트 장치로부터 전송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유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유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의사 심/유심 카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의사 심/유심 카드와 테스트 대상 단말을 연결하여 상기 테스트 대상 단말과 의사 심/유심 카드의 호환성을 테스트하는 제2 테스트 장치를 포함하는 심/유심 카드의 통신 단말 호환성 테스트 수행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심/유심 카드의 통신 단말 호환성 테스트 수행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심/유심 카드의 통신 단말 호환성 테스트를 수행하는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COMPATIBILITY TEST OF COMMUNICATION TERMINAL OF SIM/USIM CARD}
본 발명은 심/유심 카드의 통신 단말 호환성 테스트를 수행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심/유심 카드에 저장되어 있는 고유 식별 정보를 원격으로 전송하여, 각각의 고유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의사(擬似) 심/유심 카드를 생성하고, 생성된 의사 심/유심 카드와 통신 단말을 연결하여 의사 심/유심 카드의 통신 단말 호환성을 자동으로 테스트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해 통신 단말은 음성 통화 기능 중심의 2G 단말에서 음성 통화뿐 아니라 영상 통화가 가능한 3G 단말로 급속히 변화가 진행중이다. 이러한 3G 단말기에는 유심(USIM, Universal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카드가 필수적으로 필요하다. 심(SIM,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카드가 2G 방식인 GSM 방식에서 사용되는 사용자 정보가 담긴 카드라면, 유심 카드는 심 카드의 기본적인 기능은 물론 영상 통화 등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제작된 카드를 의미한다.
이러한 심/유심 카드를 이용하면 심/유심 카드에 모든 사용자의 정보가 저장되기 때문에 단말 사용자는 자신의 심/유심 카드만 가지고 있다면 다양한 단말을 이용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즉, 자신의 심/유심 카드만 소지하고 있다면 언제 어디서든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이 가능한 시대가 도래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심/유심 카드 서비스와 관련하여 다양한 서비스 제공 사업자가 존재하는데, 이를 위하여 해외 사업자의 심/유심 카드가 국내에서 제공되는 여러가지 통신 서비스 사용에 문제가 없는지를 테스트하는 인바운드 테스트, 국내 사업자의 심/유심 카드가 해외 각국의 여러가지 통신 서비스를 사용하는데 문제가 없는지를 테스트하는 아웃바운드 테스트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인바운드/아웃바운드 테스트를 수행하는 종래의 방법은 각 이동통신 사업자가 직접 정기적으로 주요 서비스 제휴 국가에 직접 가서 아웃바운드 테스트를 수행하고, 인바운드 테스트의 경우에는 국내의 상주 인원을 이용하여 수작업을 통해 테스트를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인 실정이다. 또한, 기존 단말과 심/유심 카드의 호환성을 테스트하는 경우 종래의 방법은 각 사업자 별로 보유하고 있는 심/유심 카드의 테스트 절차에 따라서 심/유심 카드 한 개씩 필요한 프로시저를 수행해보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인바운드/아웃바운드 테스트는 기술제휴 국가로의 정기적인 출장 및 테스트를 거쳐야 하므로 인건비 및 소요시간이 많이 드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단말과 심/유심 카드의 호환성을 테스트하는 종래의 방법 역시 통신 사업자의 테스트 프로시저가 추가 또는 삭제, 변경이 일어나는 경우 해당 장비의 업그레이드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점 및 다량의 단말이 존재하는 경우 테스트를 일괄적으로 진행하기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어 인력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존재하는 실정이다.
이러한 종래의 인바운드/아웃바운드 테스트 및 통신 단말의 심/유심 카드와의 호환성 테스트를 수행하는 경우 시간과 비용의 측면에서 많은 문제점이 존재하므로, 이러한 인바운드/아웃바운드 테스트 및 통신 단말과 심/유심 카드의 호환성 테스트 서비스를 보다 편리하고, 보다 빨리 제공할 수 있는 기술 및 장치가 요구된다 하겠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통신 단말 호환성 테스트를 수행하는 제1 테스트 장치 및 제2 테스트 장치를 이용하여 심/유심 카드에 저장되어 있는 고유 식별 정보를 원격에 위치한 곳으로 전송하고, 전송된 고유 식별 정보가 입력된 의사 심/유심 카드를 생성하여 원격지에 위치한 통신 단말과 의사 심/유심 카드의 간편하고 편리한 통신 단말 호환성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통신 단말과 원격지에 위치해 있는 심/유심 카드의 호환성 테스트를 수행하는 경우, 심/유심 카드를 원격지까지 직접 가져가서 호환성 테스트를 수행하는 것이 아닌, 심/유심 카드에 저장된 고유 식별 정보를 원격지로 전송하고, 전송된 고유 식별 정보가 입력된 의사 심/유심 카드를 생성하여 호환성 테스트를 수행함으로써 인건비 및 소요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통신 단말 호환성 테스트를 수행하는 제1 및 제2 테스트 장치에 카메라 단말을 연결하여, 테스트 대상 단말의 화면을 직접 촬영함으로써, 원격지 간에 위치한 통신 단말의 통신 테스트가 정상적으로 수행되는지 여부를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심/유심 카드를 테스트 장치에 삽입하여, 테스트 장치에 삽입된 각각의 심/유심 카드와 통신 단말의 호환성 테스트를 자동으로 수행함으로써 각각의 심/유심 카드를 일일이 테스트하는 것과 비교하여 높은 효율성 및 비용 절감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심/유심 카드의 통신 단말 호환성 테스트를 수행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심/유심 카드에 저장되어 있는 고유 식별 정보를 인식한 후, 상기 인식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유 식별 정보를 상기 제2 테스트 장치로 전송하는 제1 테스트 장치; 및 상기 제1 테스트 장치로부터 전송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유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유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의사 심/유심 카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의사 심/유심 카드와 테스트 대상 단말을 연결하여 상기 테스트 대상 단말과 의사 심/유심 카드의 호환성을 테스트하는 제2 테스트 장치를 포함하는 심/유심 카드의 통신 단말 호환성 테스트 수행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1 테스트 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심/유심 카드가 삽입되는 심/유심 카드 삽입부; 상기 심/유심 카드 삽입부에 삽입된 심/유심 카드에 저장되어 있는 고유 식별 정보를 인식하는 심/유심 카드 제어부; 및 상기 심/유심 카드 제어부가 인식한 상기 고유 식별 정보를 원격으로 연결된 상기 제2 테스트 장치로 전송하는 중앙 처리부; 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테스트 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초기화된 심/유심 카드가 삽입되는 심/유심 카드 삽입부; 상기 제1 테스트 장치로부터 전송된 고유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심/유심 카드 제어부로 전송하는 중앙 처리부; 상기 중앙 처리부에서 전송된 고유 식별 정보를 상기 초기화된 심/유심 카드에 저장하여 의사 심/유심 카드를 생성하는 심/유심 카드 제어부; 및 상기 의사 심/유심 카드와 호환성 테스트를 수행하는 테스트 대상 단말과 상기 중앙 처리부를 연결하는 통신 단말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테스트 장치는, 상기 제1 테스트 장치로부터 수신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유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의사 심/유심 카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의사 심/유심 카드를 순차적으로 테스트 대상 단말과 연결하여 의사 심/유심 카드와 테스트 대상 단말 간의 호환성을 테스트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테스트 장치 및 제2 테스트 장치는, 각각의 테스트 장치에 삽입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심/유심 카드를 각각의 테스트 장치와 연결된 테스트 대상 단말과 순차적으로 연결하여, 각각의 테스트 장치와 연결된 테스트 대상 단말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심/유심 카드와의 호환성 테스트를 자체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테스트 장치는, 상기 고유 식별 정보를 상기 제2 테스트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1 테스트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 PC 단말과 연결되는 제1 PC 단말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테스트 장치는, 상기 의사 심/유심 카드를 생성하도록 제2 테스트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 PC 단말과 연결되는 제2 PC 단말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테스트 장치 및 상기 제2 테스트 장치는, 상기 제1 테스트 장치 및 상기 제2 테스트 장치와 연결된 테스트 대상 단말의 화면을 촬영하는 카메라 단말과 연결되는 카메라 단말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심/유심 카드 삽입부는, 상기 삽입부에 삽입된 각각의 심/유심 카드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LED 표시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중앙 처리부는, 제1 또는 제2 테스트 장치와 연결된 테스트 대상 단말의 전원을 제어하는 테스트 대상 단말 전원 제어부; 및 상기 테스트 대상 단말의 기능을 제어하고 테스트 대상 단말 상태를 확인하는 테스트 대상 단말 제어부; 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중앙 처리부는, 제1 또는 제2 테스트 장치와 연결된 테스트 대상 단말의 화면을 촬영하는 카메라 단말의 기능을 제어하는 카메라 단말 제어부를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제1 테스트 장치 및 제1 테스트 장치와 통신망을 통해 원격으로 연결된 제2 테스트 장치에서 심/유심 카드의 통신 단말 호환성 테스트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테스트 장치에 삽입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심/유심 카드에 저장되어 있는 고유 식별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제1 테스트 장치가 인식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유 식별 정보를 상기 제2 테스트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테스트 장치가 상기 제1 테스트 장치로부터 전송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유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테스트 장치가 상기 수신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유 식별 정보를 상기 제2 테스트 장치에 삽입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초기화된 심/유심 카드에 각각 입력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의사 심/유심 카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2 테스트 장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의사 심/유심 카드 중 어느 한 의사 심/유심 카드를 상기 제2 테스트 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테스트 대상 단말과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테스트 장치가 상기 테스트 대상 단말과 연결된 의사 심/유심 카드의 정상 작동 여부를 테스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유심 카드의 통신 단말 호환성 테스트 수행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테스트 장치가 상기 테스트 대상 단말과 연결된 의사 심/유심 카드의 정상 작동 여부를 테스트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정상 작동 여부 테스트에 사용된 의사 심/유심 카드가 아닌 나머지 의사 심/유심 카드를 순차적으로 상기 테스트 대상 단말과 연결하여 정상 작동 여부를 테스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테스트 장치가 상기 의사 심/유심 카드와 연결된 테스트 대상 단말의 정상 작동 여부를 테스트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테스트 장치가 존재하는 곳과 동일한 환경하에 있는 통신 단말과 통신이 수행되는지 여부를 테스트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1 테스트 장치가 존재하는 곳과 동일한 환경하에 있는 통신 단말과 통신이 수행되는지 여부를 테스트하는 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계에 의해 테스트가 수행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테스트 장치가 상기 의사 심/유심 카드와 연결된 테스트 대상 단말의 정상 작동 여부를 테스트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정상 작동 여부 테스트는, 상기 테스트 대상 단말의 화면을 촬영하는 카메라 단말을 이용하여 정상 작동 여부를 테스트하거나 또는 상기 제2 테스트 장치에 장착된 각각의 심/유심 카드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LED 표시부를 이용하여 정상 작동 여부를 테스트함으로써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정상 작동 여부 테스트는, 음성 통화 테스트, 문자 송수신 테스트, 영상 통화 테스트, 음성 품질 테스트 및 데이터 통신 테스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테스트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음성 품질 테스트는, 상기 제1 테스트 장치 및 제2 테스트 장치에 연결된 제1 테스트 대상 단말 및 제2 테스트 대상 단말의 MOS(Mean Opinion Score)를 각각 측정하여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테스트 대상 단말의 MOS(Mean Opinion Score)의 측정은, 상기 제1 테스트 장치와 연결된 제1 테스트 대상 단말과 상기 제2 테스트 장치와 연결된 제2 테스트 대상 단말의 호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제2 테스트 장치에 저장된 테스트 음성 신호를 제2 테스트 대상 단말을 통해 제1 테스트 대상 단말로 상기 연결된 호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테스트 대상 단말이 상기 호를 통해 전송된 테스트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제1 테스트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테스트 장치가 상기 제1 테스트 대상 단말로부터 전송된 테스트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테스트 장치가 상기 제2 테스트 장치에 저장된 테스트 음성 신호와 동일한 테스트 음성 신호를 상기 제1 테스트 대상 단말로부터 수신한 테스트 음성 신호와의 PESQ(Perceptual Evaluation of Speech Quality) 알고리즘을 통해 제1 테스트 대상 단말의 MOS(Mean Opinion Score) 측정을 하는 단계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테스트 대상 단말의 MOS(Mean Opinion Score) 측정을 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제2 테스트 대상 단말의 MOS(Mean Opinion Score) 측정을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통신 단말 호환성 테스트를 수행하는 제1 테스트 장치 및 제2 테스트 장치를 이용하여 심/유심 카드에 저장되어 있는 고유 식별 정보를 원격에 위치한 곳으로 전송하고, 전송된 고유 식별 정보가 입력된 의사 심/유심 카드를 생성하여 원격지에 위치한 통신 단말과 의사 심/유심 카드의 간편하고 편리한 통신 단말 호환성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통신 단말과 원격지에 위치해 있는 심/유심 카드의 호환성 테스트를 수행하는 경우, 심/유심 카드를 원격지까지 직접 가져가서 호환성 테스트를 수행하는 것이 아닌, 심/유심 카드에 저장된 고유 식별 정보를 원격지로 전송하고, 전송된 고유 식별 정보가 입력된 의사 심/유심 카드를 생성하여 호환성 테스트를 수행함으로써 인건비 및 소요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통신 단말 호환성 테스트를 수행하는 제1 및 제2 테스트 장치에 카메라 단말을 연결하여, 테스트 대상 단말의 화면을 직접 촬영함으로써, 원격지 간에 위치한 통신 단말의 통신 테스트가 정상적으로 수행되는지 여부를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심/유심 카드를 테스트 장치에 삽입하여, 테스트 장치에 삽입된 각각의 심/유심 카드와 통신 단말의 호환성 테스트를 자동으로 수행함으로써 각각의 심/유심 카드를 일일이 테스트하는 것과 비교하여 높은 효율성 및 비용 절감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심/유심 카드의 통신 단말 호환성 테스트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제1 테스트 장치(100) 및 제2 테스트 장치(200)의 상세 구성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제1 테스트 장치(100) 및 제2 테스트 장치(200) 내에 포함된 중앙 처리부(130)의 구성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카메라 단말(700, 800)이 테스트 대상 단말(500, 600)을 촬영하는 구성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제1 테스트 장치(100) 및 제1 테스트 장치(100)와 통신망을 통해 원격으로 연결된 제2 테스트 장치(200)에서 심/유심 카드의 통신 단말 호환성 테스트를 수행하는 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 6은 테스트 대상 단말 인터페이스부(140), PC 단말 인터페이스부(150) 및 카메라 단말 인터페이스부(160)를 포함하는 제1 및 제2 테스트 장치의 실제 구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제1 및 제2 테스트 장치에 포함된 심/유심 카드 삽입부(110) 및 심/유심 카드 삽입부(110)에 포함된 LED 표시부의 실제 구현 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각각의 심/유심 카드 삽입부(110)에 삽입된 심/유심 카드의 작동 상태를 확인하는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테스트 시나리오 항목 설정창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심/유심 카드의 통신 단말 호환성 테스트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심/유심 카드의 통신 단말 호환성 테스트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연결된 제1 테스트 장치(100) 및 제2 테스트 장치(200)를 포함하며, 제1 및 제2 테스트 장치는 각각 PC 단말(300, 400), 테스트 대상 단말(500, 600) 및 카메라 단말(700, 800)과 연결되어 있다.
제1 테스트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심/유심 카드에 저장되어 있는 고유 식별 정보를 인식한 후, 상기 인식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유 식별 정보를 상기 제2 테스트 장치(2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1 테스트 장치(100)에는 제1 테스트 장치(100)의 각종 기능을 제어하는 제1 PC 단말(300), 테스트 대상이 되는 테스트 대상 단말(500) 및 테스트 대상 단말(500)의 화면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 단말(700)이 연결될 수 있다.
제2 테스트 장치(200)는 제1 테스트 장치(100)로부터 전송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유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유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의사(擬似) 심/유심 카드를 생성하고, 생성한 의사 심/유심 카드와 테스트 대상 단말(600)을 연결하여 테스트 대상 단말(600)과 의사 심/유심 카드의 호환성을 테스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2 테스트 장치(200) 역시 제2 테스트 장치(200)의 각종 기능을 제어하는 제2 PC 단말(400), 테스트 대상이 되는 테스트 대상 단말(600) 및 통신 단말의 화면을 촬영하는 제2 카메라 단말(800)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의사(擬似) 심/유심 카드는, 제1 테스트 장치(100)에 삽입된 심/유심 카드로부터 전송받은 고유 식별 정보가 저장되는 심/유심 카드로써 제1 테스트 장치에 삽입된 심/유심 카드와 실제로 같은 기능을 가지는 심/유심 카드를 의미하는 용어로서 사용된다.
제1 PC 단말(300) 및 제2 PC 단말(400)은 각각 제1 테스트 장치(100) 및 제2 테스트 장치(200)와 연결되며, 각각의 테스트 장치의 기능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제1 PC 단말(300)과 제2 PC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제1 PC 단말(300)은 제1 테스트 장치(100)가 고유 식별 정보를 제2 테스트 장치(200)로 전송하도록 제1 테스트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며, 제2 PC 단말(400)은 제2 테스트 장치(200)가 제1 테스트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고유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의사 심/유심 카드를 생성하도록 제2 테스트 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주요 기능으로서 수행한다.
테스트 대상 단말(500, 600)은 심/유심 카드의 호환성 테스트를 하는 경우 심/유심 카드가 연결되는 테스트 대상 단말(500, 600)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며, 제1 테스트 장치(100) 및 제2 테스트 장치(200) 각각과 연결될 수 있다. 테스트 대상 단말(500, 6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 단말 및 PSTN 단말로 구성되어 있다.
제1 카메라 단말(700) 및 제2 카메라 단말(800)은 제1 테스트 장치(100) 및 제2 테스트 장치(200)와 연결된 테스트 대상 단말(500, 600)의 화면을 촬영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심/유심 카드와 테스트 대상 단말(500, 600)과의 통신이 제대로 이루어지는지 여부는 테스트 장치(100, 200) 내부에 존재하는 테스트 대상 단말 제어부를 통해서 확인이 가능하지만, 이때 테스트 대상 단말 간에 전화가 연결이 되지 않아 ARS로 연결되는 경우에는 테스트 대상 단말 제어부를 통한 확인이 어렵기 때문에 각 테스트 장치(100, 200)에 연결되어 있는 카메라 단말(700, 800)을 통하여 각각의 테스트 단말의 LCD 상태를 촬영하여 통신 상태를 확인하게 된다.
카메라 단말(700, 800)이 촬영한 테스트 대상 단말(500, 600)의 촬영 정보는 테스트 장치(100, 200)를 거쳐 PC 단말(300, 400)로 전송될 수 있으며, PC 단말(300, 400)에서는 전송된 촬영 화면을 분석하여 테스트 대상 단말(500, 600)의 통신 수행이 제대로 이루어지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제1 테스트 장치(100) 및 제2 테스트 장치(200)의 상세 구성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테스트 장치(100, 200)는, 심/유심 카드 삽입부(110), 심/유심 카드 제어부(120), 중앙 처리부(130), 테스트 대상 단말 인터페이스부(140), PC 단말 인터페이스부(150) 및 카메라 단말 인터페이스부(160)을 포함한다.
심/유심 카드 삽입부(110)는 테스트 대상 단말(500, 600)과 호환성 테스트를 수행하는 경우 심/유심 카드가 삽입되는 수단이다. 심/유심 카드 삽입부(11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심/유심 카드가 장착될 수 있는 슬롯을 구성으로 가지며, 각각의 슬롯에는 심/유심 카드 삽입부(110)에 삽입된 각각의 심/유심 카드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LED 표시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심/유심 카드 삽입부(110) 및 LED 표시부의 자세한 기능에 관해서는 도 6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심/유심 카드 제어부(120)는 심/유심 카드 삽입부(110)에 삽입된 심/유심 카드에 저장되어 있는 고유 식별 정보를 인식하거나 또는 외부 제1 또는 제2 테스트 장치(100, 200)로부터 전송된 고유 식별 정보를 초기화된 심/유심 카드에 저장하여 의사 심/유심 카드를 생성하는 수단이다. 즉, 심/유심 카드 제어부(120)는 심/유심 카드 삽입부(110)에 삽입된 심/유심 카드의 정보를 읽어오거나, 심/유심 카드 삽입부(110)에 삽입된 초기화된 심/유심 카드에 고유 식별 정보를 입력하는 READ/WRITE 기능을 주요 기능으로서 포함한다.
중앙 처리부(130)는 심/유심 카드 제어부(120)가 인식한 고유 식별 정보를 원격으로 연결된 테스트 장치로 전송하거나 또는 원격으로 연결된 테스트 장치(100, 200)로부터 전송된 고유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심/유심 카드 제어부(120)로 전송하는 수단이다. 즉, 중앙 처리부(130)는 제1 및 제2 테스트 장치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하는 구성으로서의 수단이다.
중앙 처리부(130)가 하는 기능의 일실시예로서, 심/유심 카드 삽입부(110)에 삽입된 심/유심 카드를 인식하거나 초기화된 심/유심 카드에 고유 식별 정보를 저장하도록 심/유심 카드 제어부(120)에 명령을 할 수 있으며, 후술하는 테스트 대상 인터페이스부(140), PC 단말 인터페이스부(150) 및 카메라 단말 인터페이스부(160)와 연결되어 각각의 인터페이스들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중앙 처리부(130)는 제1 또는 제2 테스트 장치(100, 200)와 연결된 테스트 대상 단말(500, 600)의 전원을 제어하는 테스트 대상 단말 전원 제어부(131), 테스트 대상 단말(500, 600)의 기능을 제어하고 테스트 대상 단말(500, 600)의 통신 상태를 확인하는 테스트 대상 단말 제어부(132) 및 테스트 대상 단말(500, 600)의 화면을 촬영하는 카메라 단말(700, 800)의 기능을 제어하는 카메라 단말 제어부(133)를 구성으로 포함할 수 있다. 테스트 대상 단말 전원 제어부(131), 테스트 대상 단말 제어부(132) 및 카메라 단말 제어부의 자세한 설명은 도 3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테스트 대상 인터페이스부(140)는 테스트 대상 단말(500, 600)과 테스트 장치(100, 200)를 연결하는 수단이며, PC 단말 인터페이스부(150)는 테스트 장치(100, 200)를 제어하는 PC 단말(300, 400)과 테스트 장치(100, 200)를 연결하는 수단이며, 카메라 단말 인터페이스부(160)는 카메라 단말(700, 800)과 테스트 장치(100, 200)를 연결하는 수단이다.
도 3은 제1 테스트 장치(100) 및 제2 테스트 장치(200) 내에 포함된 중앙 처리부(130)의 구성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중앙 처리부(130)는 테스트 대상 단말 전원 제어부(131), 테스트 대상 단말 제어부(132) 및 카메라 단말 제어부(133)를 포함한다.
테스트 대상 단말 전원 제어부(131)는 제1 또는 제2 테스트 장치와 연결된 테스트 대상 단말(500, 600)의 전원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1 또는 제2 테스트 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심/유심 카드를 삽입할 수 있는 심/유심 카드 삽입부(110)를 포함하며, 심/유심 카드 삽입부(110)에는 고유 식별 정보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심/유심 카드가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고유 식별 정보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심/유심 카드와 테스트 대상 단말(500, 600)과의 호환성 테스트를 하는 경우, 테스트 대상 단말(500, 600)은 한번에 하나의 심/유심 카드와 호환성 테스트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테스트 대상 단말(500, 600)과 하나의 심/유심 카드와의 호환성 테스트가 완료된 경우 테스트 대상 단말(500, 600)은 다음으로 테스트할 심/유심 카드의 정보를 입력하기 위해 전원이 꺼진 후 다시 켜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수개의 심/유심 카드와 테스트 대상 단말(500, 600)과의 호환성 테스트를 수행하는 경우, 테스트 대상 단말(500, 600)은 한번의 테스트가 완료되는 경우마다 전원이 꺼졌다 켜져야 하는바, 테스트 대상 단말 전원 제어부(131)는 자동으로 테스트 대상 단말(500, 600)의 전원 온/오프(ON/OFF)를 제어함으로써 보다 신속한 테스트가 수행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테스트 대상 단말 제어부(132)는 테스트 대상 단말(500, 600)의 기능을 제어하고 테스트 대상 단말(500, 600)의 상태를 확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테스트 대상 단말(500, 600)의 기능을 제어한다는 것은 심/유심 카드와 연결된 테스트 대상 단말(500, 600)이 외부의 다른 통신 단말과 통신 테스트를 수행하는 경우 예컨대 다른 통신 단말과 음성, 영상 통화 테스트가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것, 다른 통신 단말과 문자 송수신 테스트가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것, 실제 녹음된 사람 음성을 이용하여 테스트 장치 간 또는 같은 테스트 장치끼리의 MOS(Mean Opinion Score)측정을 수행하는 음성 품질 테스트가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것, 다른 통신 단말과 데이터 송수신 테스트가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것 등의 다양한 통신 테스트 기능을 제어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테스트 대상 단말(500, 600)의 테스트 대상이 되는 외부 통신 단말은 휴대폰 등의 무선 통신은 물론 PSTN 단말 등의 유선 통신도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음성 품질 테스트시에 MOS(Mean Opinion Score) 알고리즘은 국제 표준인 ITU-T P.862 or 862.1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MOS란 음성 품질에 대한 기준으로 사용되며 설문 분석에 의하여 응답자의 주관적인 음질 평가를 측정한다. MOS는 평가자의 주관적인 평가를 5점 척도를 사용하여 계량화한다. 각 설문 문항에 따라 어휘 선택의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문항의 보기를 ‘매우 좋다’, ‘좋다’, ‘보통이다’, ‘나쁘다’, ‘매우 나쁘다’의 순으로 배열하여 응답자의 평가를 조사한 후 각각 5부터 1까지의 점수로 환산하여 그들의 주관적인 평가를 계량화 시킨다. 그러나 시간 과 비용의 문제로 인해 MOS 1~5까지의 주관적인 값을 MOS 알고리즘을 통해 수학적 계산으로 객관화 시켜 MOS를 산출 한다.
제1 테스트 장치와 제2 테스트 장치를 이용하여 음성 품질 테스트를 하는 경우, 제1 테스트 대상 단말의 MOS(Mean Opinion Score)의 측정은, 제1 테스트 장치와 연결된 제1 테스트 대상 단말과 제2 테스트 장치와 연결된 제2 테스트 대상 단말의 호를 연결하고, 제2 테스트 장치에 저장된 테스트 음성 신호를 제2 테스트 대상 단말을 통해 제1 테스트 대상 단말로 상기 연결된 호를 이용하여 전송하고, 제1 테스트 대상 단말이 상기 호를 통해 전송된 테스트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제1 테스트 장치로 전송하고, 제1 테스트 장치가 제1 테스트 대상 단말로부터 전송된 테스트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제1 테스트 장치가 제2 테스트 장치에 저장된 테스트 음성 신호와 동일한 테스트 음성 신호를 제1 테스트 대상 단말로부터 수신한 테스트 음성 신호와의 PESQ(Perceptual Evaluation of Speech Quality) 알고리즘을 통해 제1 테스트 대상 단말의 MOS(Mean Opinion Score) 측정을 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2 테스트 대상 단말의 MOS(Mean Opinion Score) 측정 역시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측정될 수 있다. PESQ(Perceptual Evaluation of Speech Quality)는 국제통신연맹(ITU) 표준으로서 입력 음성 신호와 출력 음성신호를 비교해서 음질을 평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제1 테스트 장치와 제2 테스트 장치는 동일한 음성을 기준으로 테스트하기 위해 같은 테스트 음성 신호를 기본적으로 저장하고 있다. 또한, 제1 및 제2 테스트 장치와 제1 및 제2 테스트 대상 단말과의 테스트 음성 신호의 송수신은 테스트 대상 단말의 이어잭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테스트 장치와 제2 테스트 장치에서 이루어지는 MOS(Mean Opinion Score) 측정은 테스트 대상 단말 간의 통화 시간에 따라 2번을 측정할 수도 있고, 그 이상의 다수 횟수를 측정할 수도 있다.
카메라 단말 제어부(133)는 제1 또는 제2 테스트 장치와 연결된 테스트 대상 단말(500, 600)의 화면을 촬영하는 카메라 단말(700, 800)의 기능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카메라 단말(700, 800)은 제1 또는 제2 테스트 장치와 연결되어 있으며, 제1 또는 제2 테스트 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테스트 대상 단말(500, 600)의 화면을 촬영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심/유심 카드와 테스트 대상 단말(500, 600)과의 호환성 테스트를 수행하는 경우 상술한 테스트 대상 단말 제어부(132)에 의하여 음성 통화, 영상 통화, 문자 송수신 및 데이터 송수신 테스트 등은 자동으로 제어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러나, 예컨대 테스트 대상 단말(500, 600)과 외부 통신 단말이 음성 통화가 제대로 연결이 된 경우에는 테스트 대상 단말 제어부(132)를 통해 확인이 가능하나 음성 통화가 제대로 연결되지 않아 ARS로 연결되는 경우에는 테스트 대상 단말 제어부(132)를 통해 확인이 어렵게 된다. 따라서, 카메라 단말(700, 800)을 이용하여 테스트 대상 단말(500, 600)의 화면을 촬영하여 통신 상태를 점검하는 것이다.
즉, 카메라 단말(700, 800)은 테스트 대상 단말(500, 600)의 화면을 촬영한 정보를 제1 또는 제2 테스트 장치로 전송하게 되고, 제1 또는 제2 테스트 장치는 수신한 촬영 정보를 제1 또는 제2 테스트 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제1 또는 제2 PC 단말(300, 400)로 전송하고, 제1 또는 제2 PC 단말(300, 400)은 수신한 촬영 정보를 재생하여 테스트 대상 단말(500, 600)의 통신 상태를 점검할 수 있도록 한다.
중앙 처리부(130)는 상술한 테스트 대상 단말 전원 제어부(131), 테스트 대상 단말 제어부(132) 및 카메라 단말 제어부(133) 뿐 아니라, PC 단말(300, 400), 테스트 대상 단말(500, 600) 및 카메라 단말(700, 800)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수단을 포함하고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카메라 단말(700, 800)이 테스트 대상 단말(500, 600)을 촬영하는 구성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난 카메라 단말(700, 800) 및 테스트 대상 단말(500, 600)은 각각 제1 또는 제2 테스트 장치와 연결되어 있다. 카메라 단말(700, 800)은 도 4의 점선부에 나타난 바와 같이 테스트 대상 단말(500, 600)의 화면을 촬영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 단말(700, 800)은 테스트 대상 단말(500, 600)의 화면을 촬영한 정보를 제1 또는 제2 테스트 장치로 전송하게 되고, 제1 또는 제2 테스트 장치는 수신한 촬영 정보를 제1 또는 제2 테스트 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제1 또는 제2 PC 단말(300, 400)로 전송하고, 제1 또는 제2 PC 단말(300, 400)은 수신한 촬영 정보를 재생하여 테스트 대상 단말(500, 600)의 통신 상태를 점검한다.
도 4에 나타난 카메라 단말(700, 800) 및 테스트 대상 단말(500, 600)의 형태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구성일 뿐이므로, 다양한 형태로 카메라 단말(700, 800) 및 테스트 대상 단말(500, 600)이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제1 테스트 장치(100) 및 제1 테스트 장치(100)와 통신망을 통해 원격으로 연결된 제2 테스트 장치(200)에서 심/유심 카드의 통신 단말 호환성 테스트를 수행하는 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우선 제1 테스트 장치(10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심/유심 카드가 삽입된다(S100). 심/유심 카드는 제1 테스트 장치(100)의 심/유심 카드 삽입부(110)에 삽입된다. 제1 테스트 장치(10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심/유심 카드가 삽입되면 제1 테스트 장치(100)는 제1 테스트 장치(100)에 삽입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심/유심 카드에 저장되어 있는 고유 식별 정보를 인식한다(S110). 고유 식별 정보란 각각의 심/유심 카드에 저장되어 있는 통신 단말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포함하는 식별 정보를 의미한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심/유심 카드에 저장되어 있는 고유 식별 정보를 인식한 후, 제1 테스트 장치(100)는 인식한 고유 식별 정보를 제2 테스트 장치(200)로 전송한다. 제1 테스트 장치(100)에서 제2 테스트 장치(200)로 고유 식별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제1 및 제2 테스트 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제1 및 제2 PC 단말(300, 400)을 통해 고유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120, S140).
이때, 제1 및 제2 PC 단말(300, 4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심/유심 카드로부터 인식한 고유 식별 정보를 각각의 PC 단말에 저장할 수 있다(S130). PC 단말에 고유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것은 선택사항 중의 하나일 뿐이므로, PC 단말에 고유 식별 정보를 저장하지 않고 고유 식별 정보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제1 및 제2 PC 단말은 선택에 따라 제1 및 제2 테스트 장치에 연결될 수 있으나, PC 단말을 통하여 테스트 장치를 제어하는 것이 간편하고, 고유 식별 정보를 전송하는 것도 LAN 선을 통하여 간편히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PC 단말(300, 400)을 통하여 고유 식별 정보를 제1 테스트 장치(100)에서 제2 테스트 장치(200)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테스트 장치(200)는 제1 테스트 장치(100)로부터 고유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고유 식별 정보를 제2 테스트 장치(200)에 삽입될 수 있는 초기화된 심/유심 카드에 입력하여 의사 심/유심 카드를 생성한다(S150). 의사 심/유심 카드란 상술한 제1 테스트 장치(100)에 삽입된 심/유심 카드와 동일한 고유 식별 정보를 가지고 있는 심/유심 카드를 의미한다.
제2 테스트 장치(200)에서는 의사 심/유심 카드를 생성한 후, 생성된 의사 심/유심 카드와 제2 테스트 장치(200)와 연결되어 있는 테스트 대상 단말(6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S160). 이러한 연결에 의하여 의사 심/유심 카드에 저장되어 있는 고유 식별 정보는 제2 테스트 장치(200)와 연결되어 있는 테스트 대상 단말(600)에 입력될 수 있다. 즉, 제2 테스트 장치(200)와 연결되어 있는 테스트 대상 단말(600)은 제1 테스트 장치(100)에 삽입된 심/유심 카드에 저장되어 있는 고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로서 기능한다.
의사 심/유심 카드와 테스트 대상 단말(600)이 연결된 후, 테스트 대상 단말의 통신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는지 여부를 테스트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170). 통신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는지 여부는 의사 심/유심 카드가 연결된 테스트 대상 단말(600)이 존재하는 지역의 통신망과 통화가 잘 되는지 여부 및 해외 지역의 통신망과 연동이 잘 되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테스트 목록은 음성 통화 테스트, 영상 통화 테스트, 문자 송수신 테스트, 음성 품질 테스트 및 데이터 송수신 테스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테스트 장치(200)가 테스트 대상 단말(600)과 연결된 의사 심/유심 카드의 정상 작동 여부를 테스트한 이후, 상기 정상 작동 여부 테스트에 사용된 의사 심/유심 카드가 아닌 나머지 의사 심/유심 카드를 순차적으로 상기 테스트 대상 단말(600)과 연결하여 정상 작동 여부를 테스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테스트 장치(100)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유 식별 정보가 전송되기 때문에, 제2 테스트 장치(200)는 심/유심 카드 삽입부에 제1 테스트 장치(100)로부터 전송된 고유 식별 정보의 개수와 같은 초기화된 심/유심 카드를 삽입한 후, 각각의 초기화된 심/유심 카드에 제1 테스트 장치(100)로부터 전송받은 고유 식별 정보를 입력하여 각각의 고유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의사 심/유심 카드를 생성할 수 있다.
제2 테스트 장치(200)는 각각의 고유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의사 심/유심 카드를 생성한 후, 순차적 및 자동적으로 테스트 대상 단말(600)에 연결하여 심/유심 카드의 통신 단말 호환성 테스트를 수행한다. 예컨대, 하나의 의사 심/유심 카드와 테스트 대상 단말(600)과의 테스트가 완료되면, 제2 테스트 장치(200) 내부의 테스트 대상 단말 제어부에 의하여 테스트 대상 단말의 전원이 꺼지게 되고, 다음 순서의 의사 심/유심 카드 테스트시에 자동으로 켜지면서 의사 심/유심 카드와 테스트 대상 단말이 연결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여, 제1 테스트 장치(100)로부터 전송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유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모든 의사 심/유심 카드에 대하여 테스트 대상 단말(600)과의 호환성 테스트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종래에는 심/유심 카드와 통신 단말과의 호환성 테스트를 수행하는 경우, 테스트 절차에 의하여 심/유심 카드 한 개씩 필요한 프로시저를 수행해 보는 방식을 이용하였는바, 이런 방식은 해당 통신 사업자의 테스트 프로시저가 추가 또는 삭제, 변경이 일어나는 경우 해당 장비의 업그레이드가 어려운 점 및 다량의 심/유심 카드 테스트를 일괄적으로 진행하기 어려운 점이 존재하여 인력과 시간이 많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에 의한다면, 상술한 바와 같이 모든 심/유심 카드에 대한 통신 단말 호환성 테스트가 자동적으로 수행될 수 있기 때문에 시간 및 비용이 획기적으로 줄어드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6은 테스트 대상 단말 인터페이스부(140), PC 단말 인터페이스부(150) 및 카메라 단말 인터페이스부(160)를 포함하는 제1 및 제2 테스트 장치의 실제 구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 테스트 장치는 테스트 대상 단말(500, 600), PC 단말(300, 400) 및 카메라 단말(700, 800)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고 있다. 테스트 대상 단말(500, 600), PC 단말(300, 400) 및 카메라 단말(700, 800)은 각각의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중앙 처리부(130)와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각각의 인터페이스부는 테스트 대상 단말(500, 600), PC 단말(300, 400) 및 카메라 단말(700, 800)이 중앙 처리부(130)로 정보를 전송하고, 중앙 처리부(130)로부터 명령을 전송받아 그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러한 테스트 대상 단말(500, 600), PC 단말(300, 400) 및 카메라 단말 인터페이스부(16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속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테스트 대상 단말 인터페이스부(140)는 테스트 대상 단말(500, 600)과 제1 또는 제2 테스트 장치를 연결하는 수단이며, 예컨대 테스트 대상 단말 인터페이스로는 테스트 장치를 통해 테스트 대상 단말(500, 600)과 PC 단말(300, 400)을 연결하는 USB 연결 케이블 및 테스트 장치를 통해 심/유심 카드와 테스트 대상 단말(500, 600)을 연결하는 심/유심 연결 케이블의 인터페이스가 존재할 수 있다.
도 7은 제1 및 제2 테스트 장치에 포함된 심/유심 카드 삽입부(110) 및 심/유심 카드 삽입부(110)에 포함된 LED 표시부의 실제 구현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 테스트 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심/유심 카드가 삽입될 수 있는 슬롯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슬롯의 수는 상황에 따라 수십 개가 될 수도 있고 수백 개가 될 수도 있다.
심/유심 카드 삽입부(110)에는 삽입부에 삽입된 각각의 심/유심 카드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LED 표시부를 구비할 수 있다. LED 표시부는 예컨대 LED의 색상에 따라 현재의 작동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심/유심 카드가 삽입된 슬롯에 포함된 LED 표시부가 빨간색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테스트 수행이 실패된 것을 의미하는 것이며, LED 표시부가 녹색을 나타낸 경우에는 테스트 수행이 성공된 것을 의미하는 것이며, LED 표시부가 노란색을 나타낸 경우에는 현재 테스트가 수행 중에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의 테스트에는 음성 통화 테스트, 영상 통화 테스트, 문자 송수신 테스트, 음성 품질 테스트 및 데이터 송수신 테스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8은 각각의 심/유심 카드 삽입부(110)에 삽입된 심/유심 카드의 작동 상태를 확인하는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심/유심 카드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화면은 예컨대 각각의 심/유심 카드의 현재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화면(도 8의 중앙부에 각각의 번호로 표시된 부분), 심/유심 슬롯의 테스트를 제어하는 메뉴 화면(도 8의 최상단부에 표시된 부분), 심/유심 슬롯별 현재 테스트 항목을 나타낸 화면(도 8의 좌측 하단에 표시된 부분) 및 테스트 항목의 상세 작동 화면(도 8의 우측 하단에 표시된 부분)이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심/유심 카드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화면은 제1 및 제2 PC 단말(300, 400)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러한 화면 구성은 본 발명을 일실시예에 해당할 뿐이며, 사용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테스트 시나리오 항목 설정창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을 참조하면, 제1 테스트 장치(100) 및 제2 테스트 장치 간에 연결되어 있는 테스트 대상 단말(500, 600)을 이용하여 통신 테스트를 수행하는 경우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테스트 시나리오 항목을 지정하여 자동으로 통신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테스트 장치(100)에 연결되어 있는 테스트 대상 단말(500, 600)을 모바일 1(도 9에 Mobile 1이라 표시)이라 정의하고, 제2 테스트 장치(200)에 연결되어 있는 테스트 대상 단말(500, 600)을 모바일 2(도 9에 Mobile 2라 표시)라 정의한다면,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테스트 시나리오 항목을 정의한 후 정의된 시나리오에 의해 모바일 1과 모바일 2 사이의 통신 테스트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테스트 시나리오 항목 설정에 의한 자동 테스트는 제1 및 제2 테스트 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제1 및 제2 PC 단말(300, 400)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모바일 1과 모바일 2 사이에 통신 테스트 항목 리스트가 표시되어 있고, 이러한 테스트 항목 리스트 중 테스트를 원하는 항목을 선택하여 테스트할 항목을 선택하면, 선택한 테스트 항목에 대한 테스트가 수행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모바일 1에서 모바일 2로의 음성 테스트, 모바일 1에서 모바일 2로의 비디오 테스트, 모바일 2에서 모바일 1로의 비디오 테스트 및 모바일 1에서 모바일 2로의 비디오 테스트 항목이 선택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테스트 대상 단말(500, 600)과 테스트 대상이 되는 상대방 단말은 휴대폰 등의 무선 단말뿐 아니라, PSTN 등의 유선 단말 역시 테스트 대상이 되는 상대방 단말로서 가능하다. 테스트 대상 단말(500, 600)은 CDMA/WCDMA 단말 및 GSM/GPRS 단말 모두가 가능하며, 심/유심 카드 역시 국제 규격을 지원하는 모든 심/유심 카드에 대하여 테스트가 가능하다.
또한, 제2 테스트 장치(200)가 존재하는 곳과 동일한 환경하에 있는 통신 단말과 통신이 수행되는지 여부를 테스트하거나 또는 제1 테스트 장치(100)가 존재하는 곳과 동일한 환경하에 있는 통신 단말과 통신이 수행되는지 여부를 테스트할 수 있다.
또한, 테스트 대상 단말(500, 600)의 통신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는지 여부는 테스트 대상 단말(500, 600)의 화면을 촬영하는 카메라 단말(700, 800)을 이용하거나 또는 제2 테스트 장치(200)에 장착된 각각의 심/유심 카드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LED 표시부를 이용하여 통신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는지 여부를 테스트할 수 있다.
또한, 제1 테스트 장치 및 제2 테스트 장치는 각각의 심/유심 카드 삽입부에 삽입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심/유심 카드와 테스트 대상 단말 간의 호환성 테스트를 하는 경우, 상기 삽입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심/유심 카드를 순차적으로 테스트 대상 단말과 연결하여 모든 심/유심 카드에 대해 호환성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 테스트 대상 단말 역시 하나의 종류 단말만이 아닌 다양한 종류의 단말이 테스트 대상 단말로 지원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제1 테스트 장치 및 제2 테스트 장치는 서로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있어, 심/유심 카드에 저장되어 있는 고유 식별 정보를 서로 송수신하여, 송수신한 고유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원격지 간에 호환성 테스트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나, 제1 테스트 장치 및 제2 테스트 장치는 각각 개별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 단말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심/유심 카드를 지원할 수 있으며, 테스트 장치 간에 네트워크로 연결되지 않더라도, 각각 개별적인 테스트 장치로서 심/유심 카드와 통신 단말의 호환성 테스트를 수행할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테스트 장치를 제1 테스트 장치(100) 및 제2 테스트 장치(200)로 구분하여 기능을 설명하였는바, 이러한 제1 및 제2 테스트 장치는 일실시예에 의해 인바운드 테스트 장치 및 아웃바운드 테스트 장치로 활용될 수 있다. 인바운드 테스트란 해외의 사용자가 국내에 들어와서 국내망에 접속하여 사용하는 것을 의미하며, 아웃바운드 테스트란 인바운드의 반대 개념으로 국내 통신망 사용자가 해외로 나가서 국내의 심/유심 카드를 해외의 통신망에 로밍하여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프랑스의 SFR(GSM)사의 고객이 프랑스에서 사용하던 유심 카드를 국내에 가지고 와서 국내 사업자인 SKT의 망에 로밍하여 전화를 사용하는 것은 인바운드이며, 국내의 SKT WCDMA 사용자가 프랑스로 출장가서 국내의 유심 카드를 프랑스의 SFR의 망에 로밍하여 사용하는 것은 아웃바운드에 해당한다. 상술한 제1 테스트 장치(100) 및 제2 테스트 장치(200)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인바운드 테스트 장치 및 아웃바운드 테스트 장치 모두로서 활용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며, 첨부한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파악되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변형, 수정 및 개선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9)

  1. 심/유심 카드의 통신 단말 호환성 테스트를 수행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심/유심 카드에 저장되어 있는 고유 식별 정보를 인식한 후, 상기 인식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유 식별 정보를 상기 제2 테스트 장치로 전송하는 제1 테스트 장치; 및
    상기 제1 테스트 장치로부터 전송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유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유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의사 심/유심 카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의사 심/유심 카드와 테스트 대상 단말을 연결하여 상기 테스트 대상 단말과 의사 심/유심 카드의 호환성을 테스트하는 제2 테스트 장치
    를 포함하는 심/유심 카드의 통신 단말 호환성 테스트 수행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테스트 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심/유심 카드가 삽입되는 심/유심 카드 삽입부;
    상기 심/유심 카드 삽입부에 삽입된 심/유심 카드에 저장되어 있는 고유 식별 정보를 인식하는 심/유심 카드 제어부; 및
    상기 심/유심 카드 제어부가 인식한 상기 고유 식별 정보를 원격으로 연결된 상기 제2 테스트 장치로 전송하는 중앙 처리부;
    를 포함하는 심/유심 카드의 통신 단말 호환성 테스트 수행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테스트 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초기화된 심/유심 카드가 삽입되는 심/유심 카드 삽입부;
    상기 제1 테스트 장치로부터 전송된 고유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심/유심 카드 제어부로 전송하는 중앙 처리부;
    상기 중앙 처리부에서 전송된 고유 식별 정보를 상기 초기화된 심/유심 카드에 저장하여 의사 심/유심 카드를 생성하는 심/유심 카드 제어부; 및
    상기 의사 심/유심 카드와 호환성 테스트를 수행하는 테스트 대상 단말과 상기 중앙 처리부를 연결하는 통신 단말 인터페이스부
    를 포함하는 심/유심 카드의 통신 단말 호환성 테스트 수행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테스트 장치는, 상기 제1 테스트 장치로부터 수신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유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의사 심/유심 카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의사 심/유심 카드를 순차적으로 테스트 대상 단말과 연결하여 의사 심/유심 카드와 테스트 대상 단말 간의 호환성을 테스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유심 카드의 통신 단말 호환성 테스트 수행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테스트 장치 및 제2 테스트 장치는, 각각의 테스트 장치에 삽입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심/유심 카드를 각각의 테스트 장치와 연결된 테스트 대상 단말과 순차적으로 연결하여, 각각의 테스트 장치와 연결된 테스트 대상 단말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심/유심 카드와의 호환성 테스트를 자체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유심 카드의 통신 단말 호환성 테스트 수행 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테스트 장치는, 상기 고유 식별 정보를 상기 제2 테스트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1 테스트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 PC 단말과 연결되는 제1 PC 단말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유심 카드의 통신 단말 호환성 테스트 수행 시스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테스트 장치는, 상기 의사 심/유심 카드를 생성하도록 제2 테스트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 PC 단말과 연결되는 제2 PC 단말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유심 카드의 통신 단말 호환성 테스트 수행 시스템.
  8.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테스트 장치 및 상기 제2 테스트 장치는, 상기 제1 테스트 장치 및 상기 제2 테스트 장치와 연결된 테스트 대상 단말의 화면을 촬영하는 카메라 단말과 연결되는 카메라 단말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유심 카드의 통신 단말 호환성 테스트 수행 시스템.
  9.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심/유심 카드 삽입부는, 상기 삽입부에 삽입된 각각의 심/유심 카드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LED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유심 카드의 통신 단말 호환성 테스트 수행 시스템.
  10.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처리부는,
    상기 제1 또는 제2 테스트 장치와 연결된 테스트 대상 단말의 전원을 제어하는 테스트 대상 단말 전원 제어부; 및
    상기 테스트 대상 단말의 기능을 제어하고 테스트 대상 단말 상태를 확인하는 테스트 대상 단말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유심 카드의 통신 단말 호환성 테스트 수행 시스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처리부는,
    상기 제1 또는 제2 테스트 장치와 연결된 테스트 대상 단말의 화면을 촬영하는 카메라 단말의 기능을 제어하는 카메라 단말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유심 카드의 통신 단말 호환성 테스트 수행 시스템.
  12. 제1 테스트 장치 및 제1 테스트 장치와 통신망을 통해 원격으로 연결된 제2 테스트 장치에서 심/유심 카드의 통신 단말 호환성 테스트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테스트 장치에 삽입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심/유심 카드에 저장되어 있는 고유 식별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제1 테스트 장치가 인식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유 식별 정보를 상기 제2 테스트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테스트 장치가 상기 제1 테스트 장치로부터 전송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유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테스트 장치가 상기 수신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유 식별 정보를 상기 제2 테스트 장치에 삽입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초기화된 심/유심 카드에 각각 입력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의사 심/유심 카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2 테스트 장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의사 심/유심 카드 중 어느 한 의사 심/유심 카드를 상기 제2 테스트 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테스트 대상 단말과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테스트 장치가 상기 테스트 대상 단말과 연결된 의사 심/유심 카드의 정상 작동 여부를 테스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유심 카드의 통신 단말 호환성 테스트 수행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테스트 장치가 상기 테스트 대상 단말과 연결된 의사 심/유심 카드의 정상 작동 여부를 테스트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정상 작동 여부 테스트에 사용된 의사 심/유심 카드가 아닌 나머지 의사 심/유심 카드를 순차적으로 상기 테스트 대상 단말과 연결하여 정상 작동 여부를 테스트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유심 카드의 통신 단말 호환성 테스트 수행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테스트 장치가 상기 의사 심/유심 카드와 연결된 테스트 대상 단말의 정상 작동 여부를 테스트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테스트 장치가 존재하는 곳과 동일한 환경하에 있는 통신 단말과 통신이 수행되는지 여부를 테스트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1 테스트 장치가 존재하는 곳과 동일한 환경하에 있는 통신 단말과 통신이 수행되는지 여부를 테스트하는 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계에 의해 테스트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유심 카드의 통신 단말 호환성 테스트 수행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테스트 장치가 상기 의사 심/유심 카드와 연결된 테스트 대상 단말의 정상 작동 여부를 테스트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정상 작동 여부 테스트는, 상기 테스트 대상 단말의 화면을 촬영하는 카메라 단말을 이용하여 정상 작동 여부를 테스트하거나 또는 상기 제2 테스트 장치에 장착된 각각의 심/유심 카드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LED 표시부를 이용하여 정상 작동 여부를 테스트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유심 카드의 통신 단말 호환성 테스트 수행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정상 작동 여부 테스트는, 음성 통화 테스트, 문자 송수신 테스트, 영상 통화 테스트, 음성 품질 테스트 및 데이터 통신 테스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테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유심 카드의 통신 단말 호환성 테스트 수행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품질 테스트는,
    상기 제1 테스트 장치 및 제2 테스트 장치에 연결된 제1 테스트 대상 단말 및 제2 테스트 대상 단말의 MOS(Mean Opinion Score)를 각각 측정하여 이루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심/유심 카드의 통신 단말 호환성 테스트 수행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테스트 대상 단말의 MOS(Mean Opinion Score)의 측정은,
    상기 제1 테스트 장치와 연결된 제1 테스트 대상 단말과 상기 제2 테스트 장치와 연결된 제2 테스트 대상 단말의 호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제2 테스트 장치에 저장된 테스트 음성 신호를 제2 테스트 대상 단말을 통해 제1 테스트 대상 단말로 상기 연결된 호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테스트 대상 단말이 상기 호를 통해 전송된 테스트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제1 테스트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테스트 장치가 상기 제1 테스트 대상 단말로부터 전송된 테스트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테스트 장치가 상기 제2 테스트 장치에 저장된 테스트 음성 신호와 동일한 테스트 음성 신호를 상기 제1 테스트 대상 단말로부터 수신한 테스트 음성 신호와의 PESQ(Perceptual Evaluation of Speech Quality) 알고리즘을 통해 제1 테스트 대상 단말의 MOS(Mean Opinion Score) 측정을 하는 단계
    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유심 카드의 통신 단말 호환성 테스트 수행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테스트 대상 단말의 MOS(Mean Opinion Score) 측정을 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제2 테스트 대상 단말의 MOS(Mean Opinion Score) 측정을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유심 카드의 통신 단말 호환성 테스트 수행 방법.
KR1020080018253A 2008-02-28 2008-02-28 심 또는 유심 카드의 통신 단말 호환성 테스트를 수행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09595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8253A KR100959555B1 (ko) 2008-02-28 2008-02-28 심 또는 유심 카드의 통신 단말 호환성 테스트를 수행하는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8253A KR100959555B1 (ko) 2008-02-28 2008-02-28 심 또는 유심 카드의 통신 단말 호환성 테스트를 수행하는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2972A true KR20090092972A (ko) 2009-09-02
KR100959555B1 KR100959555B1 (ko) 2010-05-27

Family

ID=41301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8253A KR100959555B1 (ko) 2008-02-28 2008-02-28 심 또는 유심 카드의 통신 단말 호환성 테스트를 수행하는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955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5586B1 (ko) * 2014-01-03 2014-08-01 ㈜스파이카 망집합형 dlna 장치의 호환성 테스트 시스템
KR20170025735A (ko) * 2015-08-31 2017-03-08 에스케이 주식회사 모바일 단말 원격 제어 시스템을 활용한 로밍 서비스 테스트 방법 및 시스템
CN113691998A (zh) * 2021-08-11 2021-11-23 西安广和通无线软件有限公司 用户识别卡兼容性测试方法、装置及通信模块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9903B1 (ko) * 2013-04-30 2014-05-29 ㈜스파이카 원격지 dlna 단말의 호환성 반복 테스트 시스템
KR101419903B1 (ko) * 2013-04-30 2014-07-16 ㈜스파이카 원격지 dlna 단말의 호환성 오류 체크 및 오류 수정을 위한 자동 테스트 시스템
KR101350320B1 (ko) * 2013-04-30 2014-01-10 ㈜스파이카 패킷 분석을 이용한 원격지 dlna 단말의 호환성 테스트 시스템
KR101425587B1 (ko) 2013-12-10 2014-08-01 ㈜스파이카 이기종망의 dlna 장치 호환성 테스트 시스템
KR102075513B1 (ko) 2019-06-17 2020-02-10 와이아이씨시스템 주식회사 스마트카드 테스트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7970B1 (ko) * 2001-10-11 2004-07-02 주식회사 덴티움 임플란트 시술용 픽스쳐
FR2871020B1 (fr) * 2004-05-27 2006-07-07 Radiotelephone Sfr Procede et systeme de duplication securisee des informations d'une carte sim vers au moins un objet communicant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5586B1 (ko) * 2014-01-03 2014-08-01 ㈜스파이카 망집합형 dlna 장치의 호환성 테스트 시스템
KR20170025735A (ko) * 2015-08-31 2017-03-08 에스케이 주식회사 모바일 단말 원격 제어 시스템을 활용한 로밍 서비스 테스트 방법 및 시스템
CN113691998A (zh) * 2021-08-11 2021-11-23 西安广和通无线软件有限公司 用户识别卡兼容性测试方法、装置及通信模块
CN113691998B (zh) * 2021-08-11 2024-03-15 西安广和通无线软件有限公司 用户识别卡兼容性测试方法、装置及通信模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9555B1 (ko) 2010-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9555B1 (ko) 심 또는 유심 카드의 통신 단말 호환성 테스트를 수행하는 시스템 및 방법
AU697770B2 (en) Telecommunications line test system
US6438212B1 (en) Automated telephone line test apparatus with intelligent diagnostic function
JPH07508382A (ja) セルラ通信試験システム
CN110324612A (zh) 电视机的测试方法、测试控制终端和电视机
JP4596728B2 (ja) 外部モジュール及び移動体通信端末
US20230076940A1 (en) Network device, method and network
CN105529037A (zh) 通信设备语音质量评价测试系统及测试方法
KR101646177B1 (ko) 스마트폰의 음성 통화 품질 측정 시스템 및 방법
CN101005685A (zh) Phs通讯系统的自动测试方法和装置
CN110708216B (zh) 一种交换机lldp协议测试方法及测试系统
JP2000101503A (ja) 通信装置の試験装置
CA2446629A1 (en) Automated subscriber loop identification and data transfer for subscriber loop testing
EP2409481B1 (en) Tool for testing distribution cabinets of a telephone network
CN111787393A (zh) 一种传屏图像检测方法、系统以及具有存储功能的装置
US7020249B1 (en) Voice interface unit for line conditioner control
JP2010532118A (ja) 移動無線機を検査するテスタで再生可能な信号シーケンスを生成する方法
US8249581B2 (en) Method for testing working states of mobile phone
JP7334611B2 (ja) 電話制御装置
KR100999650B1 (ko) 통화품질진단장치 및 그 진단 방법
JP4136992B2 (ja) 通信品質検査装置、通信品質検査方法及び通信品質検査システム
US7657012B2 (en) Telephon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of the telephone terminal
KR20040082879A (ko) 모바일폰과 에이알에스를 이용한 온라인대출시스템 및이의 운용방법
US20020196925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private branch exchange apparatus, maintenance terminal apparatus, and simulation method
KR100528823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호 처리 자동시험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