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2905A -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 치료 및 예방용 약학조성물 - Google Patents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 치료 및 예방용 약학조성물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2905A
KR20090092905A KR1020080018133A KR20080018133A KR20090092905A KR 20090092905 A KR20090092905 A KR 20090092905A KR 1020080018133 A KR1020080018133 A KR 1020080018133A KR 20080018133 A KR20080018133 A KR 20080018133A KR 20090092905 A KR20090092905 A KR 200900929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diabetes
extract
group
pharmaceutical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8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병우
어광
최세영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18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92905A/ko
Publication of KR20090092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290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9Scutellaria (skullca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8Saururaceae (Lizard's-tail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61K36/8998Hordeum (barle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lood cholestero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eurosurge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 치료 및 예방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황금, 보리, 옥수수, 현미로 구성된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상기 추출물에 더하여 결명자, 삼백초, 감잎, 치커리, 둥글레, 상황, 영지, 치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추출물 형태로 더 포함하는 당뇨병 치료 및 예방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생약재 추출물은 혈장의 총 콜레스테롤 농도 및 중성지방의 농도를 감소시켜 지질대사 이상을 개선하고, 지질 대사 교란으로 인한 당뇨병의 치료 및 예방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며, 더 나아가 당뇨병 증세의 개선과 합병증의 예방이 가능한 건강기능식품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 치료 및 예방용 약학 조성물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of medicine plants for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diabetes}
본 발명은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 치료 및 예방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황금, 보리, 옥수수, 현미로 구성된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상기 추출물에 더하여 결명자, 삼백초, 감잎, 치커리, 둥글레, 상황, 영지, 치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추출물 형태로 더 포함하는 당뇨병 치료 및 예방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당뇨병은 췌장에서 분비되는 인슐린의 작용 이상으로 탄수화물 대사 이상뿐만 아니라 단백질과 지질 및 전해질의 대사의 이상을 초래한다.
당뇨로 인해 고혈당이 되면, 혈당 조절 상태가 불량하기 때문에 고지혈증이 유발되거나, 망막증, 신증, 신경증, 신독증 및 혼수 등의 합병증을 유발하여 사망까지 이를 수 있다.
당뇨병의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다뇨(多尿), 다식(多食), 다음(多飮)이 있으며, 만성 피로가 동반된다.
다뇨는 인슐린 양이 부족하거나 작용이 저조하여 혈당 수치가 179 ㎎/㎗를 넘게 되어 여분의 당을 배설하기 위해 배뇨의 횟수 및 양이 증가하여 발생하는데, 증가된 뇨량의 수분을 공급하기 위하여 다음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또한, 혈당이 세포 내로 들어가지 못해 영양공급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아니하여 다식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실제로, 당뇨를 유발시킨 실험동물이나 당뇨병 환자들은 혈중 항산화 영양소의 감소가 두드러지며, 대표적인 임상증상으로서 산화적 스트레스의 증가, 이를 방어하는 항산화제의 부족으로 인한 당뇨 합병증의 유발 및 지질과산화물의 증가에 의한 생체막의 구조 및 기능 변화에 의한 다양한 형태의 당뇨증 합병증이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당뇨 및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고혈당 상태의 교정과 함께 산화적 스트레스를 억제시키는 것이 필수적이다.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은 꿀풀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 식물인 속썩은 풀의 주피를 벗긴 뿌리로, 약리작용으로는 담즙배설 촉진, 항균, 이뇨, 완하, 죽상동맥경화 방지, 위액분비 억제, 진정, 혈압강하 작용 등이 보고되었으며, 한방에서는 청열, 해독의 목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중국이 원산지이고, 한국 전역과 양자강 이북의 중국 및 시베리아 등, 동북아시아에서 자생 또는 재배된다.
최근 황금에서 식물성 플라보노이드(flavonoid)의 성분이 분석되었는데(Tang W and Eisenbarand G. Chinese Drugs of Plant Origin. Springer Ver lag 919-929, 1992),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은 페놀(phenol)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황금의 성분이 밝혀지면서 성분의 약리학적 기능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고 있다. Baicalin은 황금이 호르몬의 항상성에 영향을 주며, 항염, 항경련 그리고 항종양과 종양전 억제능 작용이 있다고 보고하였다(Y. Kimura, M.Kubo and T. Tani. Studies on Scutellariae Radix(3), Effcets on lipid metabolism in serum, liver and fat cells of rats. Chem. Pharm. Bull 29(8):2308, 1981; Y. Kimura, M.Kubo and T. Tani. Studies on Scutellariae Radix (4), Effcets on lipid peroxidation in rat liver. Chem. Pharm. Bull 29(9):2610, 1981; Y. Kimura, M.Kubo and T. Tani. Studies on Scutellariae Radix(5), Effects on ethanol in duced hyperlipemia and lipolysis in isolated fat cells. Chem. Pharm. Bull. 30(1):219, 1982).
또한, t-부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t-Butylhydroperoxide, t-BHP)는 산화적 스트레스(oxidative stress)에 의한 세포 손상 연구에 널리 사용되는 모델물질이며, 미토콘드리아의 사이토크롬 c(cytocrone c) 혹은 사이토크롬 c1에 의해 대사되어 t-부톡실(t-butoxyl), t-부틸퍼옥실(t-butylperoxyl) 및 메틸(methyl) 라디칼 등의 자유 라디칼(free radical)을 생성한다. 상기 라디칼들은 지질과산화, 단밸직산화 및 핵산의 손상을 초래한다고 보고된 바 있다(Christoper HK, Daniel FC, Gray W, Willaim AP. t-ButylHydroperoxide-induced Radical Production in Rat Liver Mitochodria, Free Radical Biology and Medicine 12: 381-387, 1992).
많은 연구에 따르면 신장 독성은 자유전자, 특히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이 관계하고 있음이 밝혀졌다(Kruidering M, Van B, Heer E, Mulder GJ, Nagelkerke JF. Cisplatin-induced nephrotoxicity in porcine proximal tubular cell: mitochondrial dysfunction by inhibition of complexes Ι to Ⅳ of the respiratory chain. J. Pharmacol Exp Ther 280: 638-649, 1997). 활성산소종은 주위의 화합물과 쉽게 반응하여 여러 신체 조직에 침투함으로써 여러 장기와 조직에 독성효과를 나타내며, 관절염, 심근경색, 신부전, 암유발 등 많은 질병을 일으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보리(잎)의 이화학적 성분은 품종, 생육 시기, 토양에 따라 다르나, 단백질과 각종 비타민, 무기질, 효소가 풍부하여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천연 항산화 효소인 SOD(superoxide dismutase)와 비타민 C, 비타민 E 및 베타-카로텐(β-carotene; provitamin-A)의 함유량이 높으며, 다른 천연 항산화제인 2-C-glycosylisovitexin과 saponarin과 같은 플레이본(flavone)계 항산화 물질이 다양 함유되어 있어 건강식품으로서 그 기능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최근, 당뇨 환자를 대상으로 보리잎차 추출물을 투여한 연구에서 보리잎차는 자유 라디칼 소거능이 우수하여 비타민 C, E 등과 함께 섭취시 당뇨환저의 관상동백질환 예방에 도움이 된다고 보고하였다(Yu YM, Chang CT, Hsieh CL, Tsai CE, Effects of young barley leaf extract and antioxidative vitamins on LDL oxidation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in type 2 diabetes, Diavetes & Metabolism, 28(2):107-114, 2002).
우리나라와 아시아, 유럽에서 널리 재배되어 섭취하고 있는 옥수수는, 한국인의 식생활에서도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옥수수 펩타이드 관련 연구는 미비하나, 효소적 가수분해 처리로 이용이 용이하며, 소수성 펩타이드의 경우 담낭에서 배출된 답즙산과 소수성 결합을 한 후 소장을 거쳐 분변으로 배설되므로 콜레스테롤이 흡수를 억제하는 기능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구체적으로, Lee와 Chang의 연구에서 보면 옥수수 펩타이드는 지질 흡수를 저해하고, 변중 스테로이드와 담즙산의 배출을 증가시킴으로 콜레스테롤의 농도를 저하시키는 것이 밝혀진 바 있다(Lee HM, Chang UJ, Effect of corn peptide on the lipid metabolism in rats, Korean J. Dietary Culture, 16(5):416-422, 2001).
현미는 과피, 종피, 미피, 호분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미강과 배아, 배유로 이루어져 백미에 비해 지방, 단백질, 비타민 B1, B2, 바티만 E 등이 풍부하고, 식이섬유의 함량이 높으며, 칼슘과 철분을 비롯한 각종 기능이 입증된 감마-아미노부티르산(γ-aminobutyric acid), inoditol, ferulic acid, arabinoxylan 등의 기능성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이들 성분 중 감마-아미토부티르산, ferulic acid, 비타민 E, 수용성 식이섬유 등의 혈압강하 작용은 많은 연구가 진행 중이다.
그러나, 상기에서처럼 생약재(또는 한약재)를 이용한 당뇨 및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한 연구 결과는 다양하나, 현재까지 생약재 조성물의 효능으로 출원된 것은 혈당 조절을 통한 당뇨병 증세의 개선과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에 관한 것이 대부분으로, 특정 생약재의 혼합으로 제조된 생약재 조성물의 효능을 규명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며, 황금을 포함하는 생약재 추출물의 지질대사 개선효과에 대해서는 개시되거나 교시된 바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신규한 당뇨병 치료제 개발을 위하여 각종 기능성 식품과 생약재를 탐색하던 중 황금을 포함하는 생약재 추출물이 당뇨로 인해 발생된 지질 대사 이상 증상을 억제하여 당뇨병 치료 및 예방에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결국,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 보리, 옥수수, 현미로 구성된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상기 추출물에 더하여 결명자, 삼백초, 감잎, 치커리, 둥글레, 상황, 영지, 치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추출물 형태로 더 포함하는 당뇨병 치료 및 예방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황금, 보리, 옥수수, 현미로 구성된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결명자, 삼백초, 감잎, 치커리, 둥글레, 상황, 영지, 치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추출물 형태로 더 포함하는 당뇨병 개선 및 예방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 보리, 옥수수, 현미로 구성된 생약재 추출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추출물에 더하여 결명자, 삼백초, 감잎, 치커리, 둥글레, 상황, 영지, 치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추출물 형태로 더 포함하는 당뇨병 치료 및 예방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황금, 보리, 옥수수, 현미로 구성된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결명자, 삼백초, 감잎, 치커리, 둥글레, 상황, 영지, 치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추출물 형태로 더 포함하는 당뇨병 개선 및 예방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생약재 추출물은 혈장의 총 콜레스테롤 농도 및 중성지방의농도를 감소시켜 지질대사 이상을 개선하고, 지질 대사 교란으로 인한 당뇨병의 치료 및 예방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며, 더 나아가 당뇨병 증세의 개선과 합병증의 예방이 가능한 건강기능식품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생약재 추출물 섭취에 따른 쥐의 몸무게 변화량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생약재 추출물 섭취에 따른 혈중 혈당량(㎎/㎗)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생약재 추출물 섭취에 따른 혈중 총 콜레스테롤 함량(㎎/㎗)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생약재 추출물 섭취에 따른 혈중 HDL-콜레스테롤 함량(㎎/㎗)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생약재 추출물 섭취에 따른 혈중 LDL-콜레스테롤 함량(㎎/㎗)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생약재 추출물 섭취에 따른 혈중 동맥경화지수(AI)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생약재 추출물 섭취에 따른 혈중 중성지방 함량(㎎/㎗)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생약재 추출물 섭취에 따른 혈중 AST 함량(㎎/㎗)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생약재 추출물 섭취에 따른 혈중 ABT 함량(㎎/㎗)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 보리, 옥수수, 현미로 구성된 생약재 추출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추출물에 더하여, 결명자, 삼백초, 감잎, 치커리, 둥글레, 상황, 영지, 치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추출물 형태로 더 포함하는 당뇨병 치료 및 예방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황금 1~20중량%, 보리 10~20중량%, 옥수수 10~20중량%, 현미 10~20중량%, 결명자 1~5중량%, 감잎 1~5중량%, 감국 1~5중량%, 치커리 3~10중량%, 둥글레 1~3중량%, 상황 0.1~3중량%, 영지 0.1~3중량%, 및 치자 3~10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생약재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생약재 추출물은 혈장의 총 콜레스테롤 농도 및 중성지방의농도를 감소시켜 지질대사 이상을 개선하고, 스트렙토조토신(Streptozotocin)으로 야기되는 지질대사 이상을 개선함으로써 당뇨병을 치료 및 예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해당 용도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또는 부형제와 함께 독립적으로 또는 약품 첨가제로 사용되거나, 사람에게 투여하기 적합한 기타 모든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 함유될 수 있는 담체로는 증량제, 고섬유 첨가제, 캡슐화제 및 지질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담체들의 예는 당업계에 충분히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질환의 진행 정도, 나이, 성별, 신체 상태, 투여 기간, 투여 방법, 환자의 체중, 식사, 배출 속도 등에 따라 용량을 달리하여 투여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1일, 체중 1㎏ 당 5 ~ 20㎎ 범위로 비경구 또는 경구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지 아니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황금, 보리, 옥수수, 현미로 구성된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결명자, 삼백초, 감잎, 치커리, 둥글레, 상황, 영지, 치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추출물 형태로 더 포함하며,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 보조 첨가제를 포함하는 당뇨병 개선 및 예방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특히 음료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생약재 추출물의 제조
시중에서 구입한 황금 20g, 보리 19g, 옥수수 19g, 현미 19g, 결명자 3g, 삼백초 2g, 감잎 2g, 감국 2g, 치커리 5g, 둥굴레 2g, 상황 1g, 영지 1g, 및 치자 5g을 섞어 마쇄기로 마쇄한 후, 시료의 10배 부피에 해당하는 증류수(1ℓ)를 첨가하여 120℃에 2시간 동안 진탕기로 열수 추출하는 과정을 2회 반복하고,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예 1. 실험준비
1-1. 실험동물
Sprague-Dawely계 150g 내외의 4주령 수컷 흰쥐를 오리엔트바이오사(성남, 한국)에서 구입하여 사료와 물을 충분히 공급하면서 1주일간 실험환경(온도 22ㅁ2℃, 습도 55~66%, 명암주기 12시간으로 자동조절)에서 적응시킨 다음 실험에 착수하였다.
실험군은 평균체중이 유사하도록 난괴법에 의해 그룹당 7마리씩 4개군으로 나누어, 정상대조군(Control), 당뇨대조군(STZ),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생약재 추출물을 식수로 공급한 군(SBT), 당뇨를 일으킨 다음 생약재 추출물을 식수로 공급한 군(SBT+STZ)으로 분류한 다음 4주간 사육하였다.
실험 기간 동안 실험동물에 대하여 체중 변화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실험결과, 모든 실험동물의 생약재 추출물의 투여에 의한 체중변화는 관찰되지 아니하였다.
1-2. Streptozotocin에 의한 당뇨 유발
스트렙토조토신(Steptozotocin)에 의한 당뇨 유발은 조 등의 방법(Cho Y.J., Bang M.A., Hypoglycemic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Dietary Sea-Tangle Extracts Supplementation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37(1):5~14, 2004)에 준하여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4주령 웅성 흰쥐에서 Streptozotocin을 체중(㎏)당 60㎎으로 복강주사하여 당뇨를 유발시킨 다음 실험 사육하고, 4주간의 실험 사육이 끝난 후에는 실험쥐를 12시간동안 절식시켜 데시케이터에서 에테르로 마취하였다. 마취된 쥐는 복부를 절개하여 간문맥에서 주사기로 전혈을 채취한 후,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상등액으로부터 혈청을 분리하고, 간을 적출하여 실험 전까지 -70℃에서 보관하면서 사용하였다.
하기의 표 1은 4주간의 실험 사육 후 본 발명의 생약재 추출물 섭취에 따른 비장(spleen), 간(liver), 췌장(pancreas), 신장(kidney) 및 심장(heat)의 무게를 나타낸 것이다.
표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생약재 추출물 섭취에 의한 장기 무게는 비장의 경우 당뇨대조군(STZ)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생약재 추출물 투여군(SBT, STZ+SBT)에서는 낮게 나타났다. 또한, 간의 경우에도 비장과 유사한 결과가 나타났으며, 특히 STZ+SBT군에서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췌장의 경우, 정상대조군에 비해 SBT군은 거의 변화가 없었으나, STZ군에서는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난 반면, STZ+SBT군에서는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신장의 경우에는 간과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고, 심장의 경우에는 SBT군에서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따라서, 본 발명의 생약재 추출물은 당뇨 동물모델에 있어서 비장, 간, 췌장, 신장 에 대한 부담을 감소시켜 주며, 당대사의 개선에도 관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다른 장기와 비교했을 때, 신장에 관해서는 당뇨병의 영향을 적게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단, 상기 값은 평균±표준오차로 표기됨.
실험예 2. 혈청 중 지질 대사물 측정
효소 키트(Enzymatic kit, 아산제약, 한국)를 이용하여 혈당(glucose), 총 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 HDL-콜레스테롤, 중성지방(triglyceride), AST, ALT를 측정하였다.
2-1. 혈당의 측정
혈당량의 함량(㎎/㎗)은 표준용액을 시료와 동일하게 처리하여 얻은 검량곡선으로부터 계산하되, 혈중 혈당량 측정 키트(아산제약, 한국)를 사용하여 효소용액 3㎖와 시료 0.02㎖를 혼합한 후 37℃ 항온수조에서 5분간 반응시킨 다음 50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혈당량은 정상대조군에 비해 STZ군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생약재 추출물을 투여한 STZ+SET군에서는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도 2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의 생약재 추출물은 혈당 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2-2. 총 콜레스테롤 및 HDL-콜레스테롤의 측정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표준용액을 시료와 동일하게 처리하여 얻은 검량곡선으로부터 계산하되, 혈중 콜레스테롤 측정 키트(아산제약, 한국)를 사용하여 효소 시약 1병과 완충액 1병을 이용하여 만든 효소용액 3㎖와 시료 0.02㎖를 혼합한 후 37℃ 항온수조에서 5분간 반응시킨 다음 50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HDL-콜레스테롤은 시료 0.2㎖ 분리시약 0.2㎖를 혼합하여 실온에서 10분간 방치하였다가 30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한 다음, 상등액 0.1㎖를 취하여 효소용액 3㎖와 혼합하고, 37℃에서 5분간 반응시킨 후 50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표준시료와 동일하게 처리하여 얻은 검량곡선으로부터 HDL-콜레스테롤 함량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 혈중 총 콜레스테롤량은 정상대조군에 비해 모든 실험군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SBT군과 STZ+SBT군이 STZ군 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도 3 참조).
또한, 혈중 HDL-콜레스테롤량은 정상대조군와 비교하여 SBT군과 STZ+SBT군에서 낮게 나타났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며, 특히 STZ군은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도 4 참조).
2-3. LDL-콜레스테롤 및 동맥경화지수의 측정
LDL-콜레스테롤 농도는 상기에서 얻은 중성지방, 총 콜레스테롤 및 HDL-콜레스테롤을 농도를 아래의 식에 대입하여 산출하였다.
LDL-콜레스테롤(㎎/㎗) = [총 콜레스테롤-(중성지방/5 + HDL-콜레스테롤)]
또한, 동맥경화지수(Atherogenic Index, AI) 활성은 다음의 식에 대입하여 산출하였다.
AI = (총 콜레스테롤 - HDL-콜레스테롤)/HDL-콜레스테롤
그 결과, 혈중 LDL-콜레스테롤량은 정상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STZ군이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5 참조). 또한, 동맥경화지수도 정생대조군에 비해 모든 실험군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STZ군에서 가장 높았다(도 6 참조).
2-4. 중성지방의 측정
중성지방(triglyceride)의 농도는 트리글리세라이드 키트(triglyceride kit, 아산제약, 한국)를 사용하여 효소 용액을 조제하고, 시료 0.02㎖와 효소 용액 3㎖를 혼합하여 37℃의 항온수조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50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용액은 시료대신 증류수를 사용하였으며, 표준용액을 시료와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여 얻은 검량 곡선으로부터 혈중에 함유된 중성지방 함량(㎎/㎗)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 혈중 중성지방의 농도는 정상대조군에 비해 STZ군에서만 높게 나타났으나, SBT군 및 STZ+SBT군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도 7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의 생약재 추출물 투여가 혈중 중성지방의 농도를 감소시키는 것이 확인되었다.
2-5. AST 및 ALT의 측정
먼저, 표준곡선을 작성하기 위해, 5개의 시험관에 표준곡선용 시액을 각각 0, 0.1, 0.2, 0.3, 0.4㎖씩 넣고, 기질액을 1.0, 0.9, 0.8, 0.7, 0.6㎖씩 첨가하였다. 또한, 모든 시험관에 증류수 0.2㎖와 정색시액 1.0㎖씩을 첨가한 다음 잘 혼합하여 실온에서 20분간 방치하였다. 20분 후 0.4N NaOH 용액을 10.0㎖씩 첨가하여 실온에서 다시 10분간 방치한 다음 60분 이내에 증류수를 Blank로 하여 505㎚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시료는 기질액을 1㎖를 첨가하고, 37℃에서 5분간 방치한 다음, 혈청 0.2㎖를 첨가하여 잘 혼합하고, 37℃에서 AST는 60분간, ALT는 30분간 방치하였다. 이후 정색시약을 1.0㎖씩 첨가한 다음 잘 혼합하여 실온에서 20분간 방치하고, 20분 후 0.4N NaOH 용액을 10.0㎖씩 첨가하여 실온에서 다시 10분간 방치한 다음 60분 이내에 증류수를 Blank로 하여 505㎚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AST 및 ALT 모두 정상대조군에 비해 STZ군에서만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생약재 추출물을 투여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낮아졌다(도 8 및 도 9참조).
따라서, 본 발명의 생약재 추출물은 간에 부담을 주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3. 통계처리
모든 실험 결과는 그룹 테스트(group test)를 수행하여 평균±표준오차(mean±SD)로 표기하였다.
상기 실험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생약재 추출물은 혈당뿐만 아니라 중성지방, 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의 양을 효과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지질대사 이상을 정상화하고, 당뇨병의 치료 및 예방에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5)

  1.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보리, 옥수수, 현미로 구성된 생약재 추출물.
  2. 제 1항의 생약재 추출물에 더하여 결명자, 삼백초, 감잎, 치커리, 둥글레, 상황, 영지, 치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추출물 형태로 더 포함하는 당뇨병 치료 및 예방용 약학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황금 1~20중량%, 보리 10~20중량%, 옥수수 10~20중량%, 현미 10~20중량%, 결명자 1~5중량%, 감잎 1~5중량%, 감국 1~5중량%, 치커리 3~10중량%, 둥글레 1~3중량%, 상황 0.1~3중량%, 영지 0.1~3중량%, 및 치자 3~10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4. 황금, 보리, 옥수수, 현미로 구성된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결명자, 삼백초, 감잎, 치커리, 둥글레, 상황, 영지, 치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추출물 형태로 더 포함하며,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 보조 첨가제를 포함하는 당뇨병 개선 및 예방용 건강기능식품.
  5. 제 4항에 있어서,
    건강음료인 건강기능식품.
KR1020080018133A 2008-02-28 2008-02-28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 치료 및 예방용 약학조성물 KR200900929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8133A KR20090092905A (ko) 2008-02-28 2008-02-28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 치료 및 예방용 약학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8133A KR20090092905A (ko) 2008-02-28 2008-02-28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 치료 및 예방용 약학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2905A true KR20090092905A (ko) 2009-09-02

Family

ID=41301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8133A KR20090092905A (ko) 2008-02-28 2008-02-28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 치료 및 예방용 약학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9290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16438A (zh) * 2014-03-03 2014-05-28 山东省立医院 一种制备清糖胶囊的配方及方法
KR20190094573A (ko) * 2018-02-05 2019-08-14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보리를 포함하는 당뇨 환자의 식이를 위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10027836A (ko) 2019-09-03 2021-03-11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흑수정찰맥강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16438A (zh) * 2014-03-03 2014-05-28 山东省立医院 一种制备清糖胶囊的配方及方法
KR20190094573A (ko) * 2018-02-05 2019-08-14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보리를 포함하는 당뇨 환자의 식이를 위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10027836A (ko) 2019-09-03 2021-03-11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흑수정찰맥강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56418C (zh) 一种降脂保健品
Ashraduzzaman et al. Vigna unguiculata linn. Walp. Seed oil exhibiting antidiabetic effects in alloxan induced diabetic rats
Lee et al. Anti-oxidative and anti-hyperglycemia effects of Triticum aestivum wheat sprout water extracts on the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mice
KR20110128385A (ko) 미담 청결안을 이용한 여드름 개선을 위한 한방 조성물 및 제조방법
CN106943372A (zh) 一种辅助降血糖软胶囊及其生产工艺
KR20090092905A (ko)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 치료 및 예방용 약학조성물
CN101336974B (zh) 具有综合调整机体代谢机能的降糖调脂中药及其制备方法
WO2011052935A2 (ko) 토복령, 여주 및 동충하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당 강하용 조성물
KR20150051597A (ko) 우엉추출물을 포함하는 간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1108885B1 (ko) 항당뇨 및 혈중 콜레스테롤 저해활성을 갖는 번행초 추출물
Laila et al. Fenugreek seeds: Nutritional composition and therapeutic properties
CN104911068B (zh) 一种曼地亚红豆杉保健酒及其制作方法
Ajao et al. From traditional wine to medicine: phytochemistry, pharmacological properties and biotechnological applications of Raphia hookeri G. Mann & H. Wendl (Arecaceae)
CN1272290C (zh) 栀子环烯醚萜总提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KR101247524B1 (ko) 타라제론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1216032B1 (ko) 당뇨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Ayaz et al. Morus alba L.
CN109329897A (zh) 一种用于癌症的辅助治疗食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4946460B (zh) 一种曼地亚红豆杉奶味酒饮料及其制作方法
KR100973087B1 (ko) 농산부산물을 이용한 당뇨병 치유용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KR20110037020A (ko) 양잠산물과 한약재를 함유하는 항당뇨 조성물
KR101819920B1 (ko) 항당뇨 및 항염증 활성을 갖는 꾸지뽕 추출물 함유 발효발아현미 조성물의 제조방법
JP2004331635A (ja) 細胞遣伝情報正常化材料及びその製法
CN1466951A (zh) 栀子环烯醚萜总提物药物组合物制剂及其制备方法和用途
KR101173172B1 (ko) 복분자를 주성분으로 하는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질대사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