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2207A - 안전면도기 - Google Patents

안전면도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2207A
KR20090092207A KR1020080051871A KR20080051871A KR20090092207A KR 20090092207 A KR20090092207 A KR 20090092207A KR 1020080051871 A KR1020080051871 A KR 1020080051871A KR 20080051871 A KR20080051871 A KR 20080051871A KR 20090092207 A KR20090092207 A KR 200900922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razor
handle
blades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1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원상
Original Assignee
조원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원상 filed Critical 조원상
Priority to KR1020080126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86897A/ko
Priority to KR1020090013645A priority patent/KR20090089816A/ko
Priority to KR1020090019538A priority patent/KR20090125686A/ko
Priority to KR1020090020023A priority patent/KR20090125687A/ko
Priority to KR1020090026683A priority patent/KR20090125690A/ko
Priority to KR1020090041010A priority patent/KR20090125695A/ko
Priority to KR1020090045277A priority patent/KR20090125698A/ko
Publication of KR20090092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220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08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changeable blades
    • B26B21/14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 B26B21/22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involving several blades to be used simultaneously
    • B26B21/222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involving several blades to be used simultaneously with the blades moulded into, or attached to, a changeable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B26B21/4037Details or parts covering the blades, e.g. caps for storage; Attach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B26B21/4062Actuating members, e.g. switches or control knobs; Adjus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B26B21/52Handles, e.g. tiltable, flexible
    • B26B21/521Connection details, e.g. connection to razor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54Razor-blades
    • B26B21/56Razor-blad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B26B21/565Bent razor blades; Razor blades with bent carri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Kni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면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카트리지의 양쪽에 각각 다중 면도날들의 형성되어 있고 그 양쪽 면도날의 중앙 상단을 중심으로 ' ∧ ' 자 형태로 꺾인 구조로 되어 있음으로써 얼굴의 굴곡진 부분을 면도하기 용이하며 또한 면도날이 설치된 카트리지를 면도기 손잡이로부터 탈착이 가능함으로써 카트리지 양쪽 면의 면도날들을 다 사용한 후 새로운 카트리지를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손잡이를 카트리지의 좌우로 젖혀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안전면도기 { A SAFETY RAZOR }
본 발명은 안전면도기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카트리지의 양쪽에 각각 다중면도날들이 형성되어 있고 그 양쪽 면도날의 중앙 상단을 중심으로 ' ∧ ' 자 형태로 꺽인 구조로 되어 있음으로써 얼굴의 굴곡진 부분을 면도하기 용이하며 또한 면도날이 설치된 카트리지를 면도기 손잡이로부터 탈착이 가능함으로써 카트리지 양쪽의 면도날들을 다 사용한 후 새로운 카트리지를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면 그리고 또한 손잡이로부터 카트리지를 좌우로 젖혀 고정시킬 수 있음이 특징이다.
종래의 안전면도기는 카트리지에 설치된 면도날이 2중 면도날, 3중 면도날 등 다중 면도날이 아니고 양날의 단일 면도날로 이루여져 있기 때문에 면도시 보다 부드럽고 매끄러운 면도를 하는데 불편함이 있었고 또한 양쪽의 면도날 사이가 완만한 곡선을 이루며 그 면적이 넓어 얼굴 등의 굴곡진 부분을 면도하는데 다소 불편한 점이 있었고, 또한 손잡이가 카트리지 하단 중앙에 고정되어 있어 면도날 부착면의 각도 조절이 어려움으로써 면도하기가 다소 불편하였으며 그리고 또한 종래의 1회용면도기는 카트리지의 한쪽에만 면도날들이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한 면에 설치된 면도날들 밖에 사용할 수 없음으로서 경제적이지 못한 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카트리지의 양쪽에 각각 다중면도날들이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카트리지 양쪽 면도날들의 중앙 상단을 중심으로 ' ∧ ' 자 형태로 꺽인 구조로 되어 있음으로써 얼굴 부위 등의 굴곡진 면을 면도할 때도 편리하게 면도할 수 있고 그리고 또한 카트리지 하단의 손잡이를 좌우로 젖혀 고정시킬 수 있는 안전면도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면도기 카트리지 양쪽에 다중의 면도날들이 각각 설치되고 그 양쪽 면도날들의 중앙 상단을 중심으로 ' ∧ ' 자 형태로 꺽인 구조로 함으로써 얼굴 부위 등의 굴곡진 부분의 면도를 용이하게 하며, 또한 손잡이를 필요시 카트리지의 하단의 좌우로 젖혀 고정시킬 수 있으며, 그리고 또한 손잡이로부터 카트리지의 탈착이 가능함으로써 카트리지 양쪽의 면도날들을 다 사용 후에는 새로운 카트리지를 손잡이에 끼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본발명의 안전면도기는 다중의 면도날들을 사용함으로써 단일의 면도날들을 사용할 때보다 더 부드럽고 매끄럽게 면도할 수 있으며 또한 면도날들이 카트리지의 양쪽에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종래의 1회용면도기보다 오래 쓸 수 있어 더욱 경제적이고, 또한 카트리지가 양쪽 면도날들의 중앙 상단을 중심으로 ' ∧ ' 자 형태로 꺽인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얼굴 부위 등의 굴곡진 부분의 면도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도한 카트리지 하단의 손잡이를 좌우로 젖혀 그 각도를 조절하여 고정시킬 수 있음으로써 면도시 면도날이 부착된 카트리지 면이 면도하고자 하는 피부에 보다 용이하게 접촉할 수 있도록 하며 그리고 또한 손잡이로부터 카트리지의 탈착이 가능함으로써 카트리지의 양쪽 면도날들을 사용 후에는 새로운 카트리지를 끼워 사용할 수 있음으로써 여행이나 출장시에 더욱 휴대하기 편리하고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안전면도기의 모습
도 2는 도 1의 안전면도기의 카트리지에 설치되는 양날 면도날의 모습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양날 안전면도기의 구조를 타나낸 모습
도 4는 도 3의 면도기의 카트리지의 모습을 별도로 나타낸 것
도 5는 도 4의 카트리지의 양쪽 면에 설치되는 면도날들의 위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도 3의 면도기에서 손잡이와 카트리지의 결합 및 분리관계를 나타낸 것.
도 7은 손잡이의 지지대가 카트리지 하단 중앙의 각도조절홈에 삽입되어 카트리지의 중앙으로부터 수직 상태로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것.
도 8은 손잡이가 카트리지 하단의 좌측에 젖혀져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것.
도 9는 손잡이가 카트리지 하단의 우측으로 젖혀져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것.
도 10은 도7, 도8, 도9의 면도기의 카트리지의 양쪽에 면도날들이 부착된 모습을 나타낸 것.
도 11은 도 10의 카트리지의 밑면을 위쪽으로 하여 그 내부의 구조를 나타낸 것.
도 12는 도 7, 도 8, 도9의 면도기의 손잡이 구조를 나타낸 것.
도 13은 도 12의 면도기 손잡이의 양쪽 버튼을 안쪽으로 누른 상태를 나타낸 것.
도 14는 카트리지 양쪽 면도날체 사이에 축대구멍들이 상단과 하단 그리고 그 가운데 부분에 형성된 것을 나타낸 것
도 15는 도 14의 상태에서 아치형으로 된 카트리지 하단부에 각도조절홈들이 수개 형성된 것을 나타낸 것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양면날안전면도기의 면도날덮개의 모형을 나타낸 것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양면날안전면도기의 면도날덮개의 모형을 나타낸 것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양면날안전면도기의 면도날덮개의 모형을 나타낸 것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양면날안전면도기의 면도날덮개의 모형을 나타낸 것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안전면도기의 모습인데, 이것은 도 2와 같이 면도날이 양쪽에 형성된 양날의 면도날을 카트리지에 끼워 사용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안전면도기는 카트리지 양쪽의 면도날 사이의 면이 완만한 곡선을 이루며 그 면적이 넓음으로써 면도시 얼굴 등의 굴곡진 부분을 면도하는데 다소 불편한 점이 있었고 또한 면도날이 단일 면도날로 이루어짐으로써 2중면도날, 3중 면도날, 4 중면도날 또는 그 이상의 면도날들로 할 때보다 매끄럽고 부드럽게 면도하는 효과가 떨어지는 불편함이 있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면도기의 모습을 나타낸 것인데, 이것은 면도기 손잡이(1) 상단에 도 4와 같은 카트리지가 결합된 것이다.
도 5는 도 4의 카트리지에서 그 양쪽에 설치되는 면도날들의 위치 구조의 이해를 돕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이다. 여기서, 카트리지의 좌측면에 면도날 BL1과 BL2로 이루어진 이중면도날이 설치되어 있고 마찬가지로 그 반대 쪽 우측면에 면도날 BR1과 BR2로 이루어진 이중면도날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면도기에 설치되는 면도날들이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항상 2중 면도날로 한정된다는 것은 아니고, 단일 면도날, 3 중 면도날, 4 중 면도날, 5 중 면도날, 그리고 그 이상의 면도날들이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안전면도기는 카트리지의 양쪽에 면도날들이 각각 설치되어 있으면서도 그 커트리지가 양쪽 면도날들의 중앙 상단을 중심으로 '∧' 자 모형으로 꺽인 구조로 되어 있고 또한 카트리지의 면도날이 부착된 면이 종래의 안전면도기에 비해 길이방향으로 그 면적이 좁음으로서 얼굴 등의 굴곡진 곳 들을 면도할 때도 보다 더욱 용이하게 면도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한편 본발명의 안전면도기는 도 6에서처럼 손잡이(1) 상단부에 나사가 형성된 돌출부(3)가 있고, 카트리지(2)에는 돌출부(3)을 끼워 결합할 수 있는 구멍(4)이 형성되어 있고, 그 구멍(4)의 내부는 나선들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그 구멍(4)에 돌출부(3)를 돌려 삽입함으로서 손잡이(1)과 카트리지(2)를 결합 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손잡이(1)로부터 카트리지(2)의 탈착이 가능함으로써 카트리지를 교환하여 양쪽에 설치된 면도날들을 다 사용한 후에는 새로운 카트리지를 손잡이(1)에 끼워 사용할 수 있음으로써, 더욱 경제적이고 자원절약의 효과가 있음며, 또한 장기 여행이나 출장시 손잡이 하나에 카트리지들만 준비하면 되므로 휴대하기가 더욱 간편하고 편리한 효과가 있다.
한편, 도 7은 카트리지 하단의 손잡이(10)를 좌우로 젖혀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의 면도기 모습인데, 도 7에서는 손잡이(10) 상단의 지지대(15)가 카트리지 하단 중앙의 각도조절홈(25)들의 안쪽에 위치함으로써 손잡이가 카트리지 하단의 중앙으로부터 수직으로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도 7의 상태에서 손잡이(10)가 카트리지(20) 하단으로부터 좌 방향으로 젖혀져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것인데, 손잡이 상단의 지지대(15)가 카트리지 하단의 맨 좌측의 각도조절홈(25)들 안쪽에 위치하고 있다.
도 9는 도 8과는 반대로 손잡이(10)가 카트리지(20) 하단으로부터 우 방향으로 젖혀져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것인데, 손잡이 상단의 지지대(15)가 카트리지 하단의 맨 우측의 각도조절홈(25)들 안쪽에 위치하고 있다.
도 10은 도 7, 도 8, 도 9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손잡이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면도기의 카트리지의 모습을 나타낸 것인데, 여기서는 카트리지의 양쪽에 3중면도날들(BL1, BL2, BL3, BR1, BR2, BR3)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물론 여기에서도 카트리지에 설치되는 면도날들은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3 중면도날뿐만 아니라, 단일면도날을 포함하여, 2중 면도날, 4중 면도날, 그리고 그 이상의 다중면도날들이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1은 도 10의 카트리지의 하단의 구조를 이해를 돕기 위해 좀더 크게 도면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1을 보면 카트리지 중앙 양쪽에 각도조절홈(25)들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또한 축대구멍(27)이 양쪽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데, 도 12의 손잡이의 맨 상단의 양쪽 지지대(15) 끝 부분의 축대(17)들이 축대구멍에 각각 삽입됨으로써 그 축을 중심으로 카트리지로부터 손잡이가 좌우 양쪽으로 젖혀질 수 있으며, 또한 손잡이 상단 양쪽의 지지대는 각도조절홈(25)들 안에 위치함으로써, 카트리지로부터 손잡이의 각도를 조절하여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카트리지에 형성되는 각도조절홈(25)들의 개수는 한정된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여러개를 둘 수 있다. 각도조절홈(25)들이 여러개일 수록 카트리지로부터 손잡이를 조절하는 각도도 그 만큼 다양한 각도로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12와 같은 손잡이를 카트리지 하단의 좌우로 젖혀 고정시킬 경우, 버튼(12)을 약간 누른 상태로 하면 지지대가 각도조절홈들로부터 빠져나온 상태가 되어 고정시키기가 용이하다. 그리고 카트리지와 손잡이를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손잡이 양쪽의 버튼(12)을 도 13처럼 더 안쪽으로 누른 상태에서 축대구멍(27)으로부터 손잡이 상단의 양쪽 지지대 끝 부분의 지지대가 빠져나오게 하면 되며, 또 상기와 같이 분리된 카트리지와 손잡이를 다시 결합하고자 할 경우에도 손잡이 양쪽의 버튼(12)을 도 13처럼 더 안쪽으로 누른 상태에서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4의 카트리지는 양면의 면도날체 사이에 축대구멍이 상단과 하단 그리고 그 가운데 부분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즉 상단부분에 축대구멍(27A)가 설치되어 있고, 가운데 부분에 축대구멍(27B)가 설치되어 있으며, 하단 부분에는 축대구멍(27C)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양면의 면도날체 사이에 설치되는 축대구멍의 위치를 달리할 경우, 손잡이 상단의 축대(17)가 축대구멍에 삽입되어 그 축대구멍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카트리지가 피부에 접촉하면서 힘을 받는 부위의 위치가 달라진다. 즉, 손잡이 상단의 양 축대(17)가 삽입되는 양 축대구멍의 위치가 축대구멍(27A)처럼 카트리지 안쪽 상단쪽에 위치할 수록 카트리지는 그 축대구멍을 축으로 하여 카트리지가 피부에 접촉될 때 카트리지의 하단부가 더욱 용이하게 앞뒤로 젖힐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양 축대구멍의 위치가 축대구멍(27C)의 하단쪽에 위치할 수록 그 양 축대구멍들을 축으로 하여 카트리지가 피부에 접촉될 때 카트리지의 상단부가 더욱 용이하게 앞뒤로 젖힐 수 있게 된다. 한편, 양 축대구멍의 위치가 축대구멍(27B)처럼 중앙부분에 위치하면 카트리지는 면도시 피부에 접하게 될 때 그 축대구멍을 중심으로 상단과 하단이 받는 힘이 균형을 이루게 됨으로써 앞뒤로 스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축대구멍을 상단과 하단 그리고 중앙부에 위치함에 따라 손잡이(또는 카트리지)가 젖혀지는 각도가 달라지게 된다. 즉, 축대구멍이 상단쪽에 위치할수록 손잡이(또는 카트리지)가 젖혀지는 각도는 적어지고, 축대구멍이 하단쪽에 위치할수록 손잡이(또는 카트리지)가 젖혀지는 각도는 더 커지게 된다.
또한 도 14나 도 15처럼 축대구멍들이 상단과 하단 그리고 그 가운데 부분에 설치되는 것 외에도 상단과 하단 사이에 더 많은 수개의 축대구멍들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16, 도 17, 도 18, 도 19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양면안전면도기의 카트리지의 면도날들을 보고하기 위한 면도날덮개의 예들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면도날덮개들은 카트리지에 덮어끼워져 면도날들을 좀더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명세서와 도면에서 제시된 양면면도기들의 모형과 그에 따른 면도날덮개의 모형들은 반드시 그 모형들에 국한되어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대표적인 예시를 든 것들임을 밝혀둔다.

Claims (8)

  1. 면도기에 있어서 카트리지(2)의 양쪽에 다중의 면도날들이 형성된 것들을 특징으로 하는 양날안전면도기
  2. 면도기에 있어서, 카트리지(2)의 양면에 단일 면도날 및 다중의 면도날들이 형성되고 그 카트리지가 양면 중앙을 중심으로 '∧' 자 모형을 이루는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날안전면도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면도기 손잡이(1)와 카트리지(2)의 탈착이 가능한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날안전면도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카트리지 하단의 중앙으로부터 손잡이를 좌우로 젖혀 각도를 조절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날안전면도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카트리지에 축대구멍(27)과 각도조절홈(25)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날안전면도기
  6. 청구항 4에 있어서, 손잡이의 상단에 2개의 버튼(12)이 설치되고; 또한 손잡이 상단에 지지대(15)와 그 끝의 축대(17)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날안전면도기
  7. 청구항 5에 있어서, 카트리지에 축대구멍들이 여러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날안전면도기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면도기 카트리지의 양면 면도날들을 덮어 보호하기 위한 양면면도날덮개를 포함하는 양날안전면도기
KR1020080051871A 2008-02-11 2008-06-02 안전면도기 KR20090092207A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6001A KR20090086897A (ko) 2008-02-11 2008-12-11 2면날면도기
KR1020090013645A KR20090089816A (ko) 2008-02-19 2009-02-19 2면날면도기
KR1020090019538A KR20090125686A (ko) 2008-06-02 2009-03-07 2면날면도기
KR1020090020023A KR20090125687A (ko) 2008-06-02 2009-03-10 2면날면도기
KR1020090026683A KR20090125690A (ko) 2008-06-02 2009-03-27 2면날면도기
KR1020090041010A KR20090125695A (ko) 2008-06-02 2009-05-11 2면날면도기
KR1020090045277A KR20090125698A (ko) 2008-06-02 2009-05-25 2면날면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2230 2008-02-11
KR20080012230 2008-02-11
KR1020080015604 2008-02-19
KR20080015604 2008-02-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2207A true KR20090092207A (ko) 2009-08-31

Family

ID=41209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1871A KR20090092207A (ko) 2008-02-11 2008-06-02 안전면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9220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31426B2 (en) Rotating type razor
US9032627B2 (en) Shaving blade unit and shaver having such a blade unit
EP2830840B1 (en) Indicia for razor with a rotatable portion
JP7164536B2 (ja) ヘッドコンバータ
US8359751B2 (en) Shaving blade unit comprising a movable trimming blade protector and shaver having such a blade unit
US8938885B2 (en) Razor handle with a rotatable portion
EP2461949B1 (en) Shaving blade unit with self-leveling trimmer
EP2627486B1 (en) Cartridges and razors with trimming wing
US6526660B1 (en) Device for trimming and shaping a beard or moustache
JP5297189B2 (ja) 分離されるガードバーを有するかみそりカートリッジ
US20110173821A1 (en) Safety razor
US11224982B2 (en) Razor system
BR112016018991B1 (pt) cabo de lâmina de barbear e lâmina de barbear
CA2557922A1 (en) Shaving razor with additional trimming blade
CA2902575A1 (en) Razor module
KR200472977Y1 (ko) 면도기
KR20090092207A (ko) 안전면도기
GB2457974A (en) Dual headed razor
JP2010131267A (ja) ヘアカッター用のアタッチメント
KR200394817Y1 (ko) 휴대용 안전면도기에 적용되는 카트릿지 취부구조
JP5469788B2 (ja) カミソリ替刃ジョイナー及びこれを利用したカミソリ
US20220227014A1 (en) Razor with intermittent encapsulation of embedded blades
JP2001079281A (ja) 安全かみそり
KR100643634B1 (ko) 휴대용 안전면도기에 적용되는 카트릿지 취부구조
JPH08505555A (ja) 凸形状及び凹形状の安全カミソリ