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1230A - 이동 전기통신 네트워크에서 안테나 모드를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 전기통신 네트워크에서 안테나 모드를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1230A
KR20090091230A KR1020097014845A KR20097014845A KR20090091230A KR 20090091230 A KR20090091230 A KR 20090091230A KR 1020097014845 A KR1020097014845 A KR 1020097014845A KR 20097014845 A KR20097014845 A KR 20097014845A KR 20090091230 A KR20090091230 A KR 200900912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antenna mode
antenna
network
se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4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무함마드 알리 카즈미
징기이 리아오
Original Assignee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filed Critical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Publication of KR20090091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12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89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different transmission schemes, at least one of them being a diversity transmission sche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28Diversity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6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 H04B7/0871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using different reception schemes, at least one of them being a diversity reception sche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네트워크 및 불연속 수신 모드로 동작하는 이동 단말기 사이의 통신에 사용될 안테나 모드를 선택하는 이동 전기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장치는 무선 네트워크 및 이동 단말기 둘 모두에 의하여 지원되는 안테나 모드를 포함하는 모드 리스트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결정기, 상기 모드 리스트 내의 각각의 안테나 모드를 미리규정된 성능 측정치 정도와 관련시키도록 구성되는 관련 수단, 이동 단말기에 대한 미리규정된 성능 측정치를 표시하는 정보를 검색하도록 구성되는 검색 수단, 및 적어도 상기 검색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모드 리스트로부터 안테나 모드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선택기를 포함한다.
Figure P1020097014845
이동 전기통신 네트워크, 이동 단말기, 안테나 모드, 성능 측정치, 노드 B.

Description

이동 전기통신 네트워크에서 안테나 모드를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RRANGEMENT FOR SELECTING AN ANTENNA MODE IN A MOBILE TELE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은 이전 전기통신 네트워크에서의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안테나 모드, 예를 들어,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모드를 선택하는 메커니즘에 관한 것이다.
발전된 UTMS 지상 무선 액세스(E-UTRA)는 여러 진보된 안테나 기술을 지원할 것으로 기대된다. 하나의 진보된 안테나 기술은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이라고 칭해진다. MIMO는 기지국 및 UE 둘 모두가 다수의 안테나를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양한 MIMO 모드가 존재한다. 현재, 다수의 MIMO 모드는 PARC(Per Antenna Rate Control), 선택적 PARC(S-PARC), 송신 다이버시티(transmit diversity), 수신기 다이버시티, D-TxAA(Double Transmit Antenna Array, Tx 다이버시티의 진보된 버전)과 같이 평가되고 있다.
상술된 MIMO 모드는 스펙트럼 효율, 다이버시티, 커버리지(coverage), 간섭 완화, 등을 개선시키는데 상당히 기여할 가능성을 갖는 상이한 공간적인 프로세싱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PARC는 원칙적으로 독립적인 심볼 스트림(symbol stream) 을 송신함으로써 높은 스펙트럼 효율을 성취할 수 있다; 이것은 2×2 PARC(2개의 송신 안테나 및 2개의 수신 안테나)에서, 상이한 정보를 포함하는 2개의 독립적인 데이터 스트림이 사용자 장비에 송신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UE에서의 2개의 수신 안타나 및 기지국에서의 하나의 송신 안테나를 의미하는) 수신기 다이버시티는 수신기에서 다차원의 리던던시(redundancy)를 도입함으로써 링크 신뢰성(link reliability)을 증가시키지만, PARC와 같은 스펙트럼 효율을 제공하지 못한다. 이것은 수신기 다이버시티가 PARC에 비하여 더 낮은 스펙트럼 효율의 댓가로 양호한 커버리지를 발생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다중-안테나에 대한 공간 도메인 링크 적응은 무선 채널의 단기 특성을 모니터링하는 것에 기초한 상이한 MIMO 모드 사이의 스위칭을 사용한다.
채널 특성이 공지되어 있다면, 적절한 MIMO 모드가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MIMO 모드를 선택하는 선택된 기준은 상이할 수 있다. 측정된 송신 특성에 기초하여, MIMO 모드를 선택하는 기준을 결정하기 위하여 상이한 방법이 사용되도록 제안되었다. 종래 기술에서, MIMO 모드 스위칭은 UE(사용자 장비) 및 네트워크 사이의 활성 접촉 동안에만 수행된다. UE가 단말기 또는 이동 단말기로도 칭해진다는 점이 주의되어야 한다.
트래픽 비활성 동안, 사용자 장비(즉, 이동 단말기)는 일반적으로 유효 상태라고 칭해지는 의사-활성 상태(quasi-active state)에 진압하고, UE 배터리의 전력 소모를 절약하기 위하여 불연속 수신(DRX)을 사용한다. DRX 모드에서, UE는 네트워크 페이징 요청만을 모니터링하거나 어떤 유형의 측정을 주기적으로 수행한다. 사 용자의 이동성으로 인하여, UE가 정확한 셀 상에 캠프 온(camp on)된 채로 유지되는 것이 또한 중요하다. 그러므로, UE는 또한 서비스하는 셀 및 타겟 셀에 의해 송신된 다운링크 기준 신호의 강도 및/또는 품질을 측정하고, 가장 양호한 셀을 재선택한다. 셀 재선택에서, UE는 새로운 셀을 자율적으로 선택한다. 그러나, 재선택 프로세스는 네트워크가 측정 임계값, 셀 랭킹(cell ranking), 등과 관련된 어떤 시스템 파라미터를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기 때문에, 네트워크에 의해 부분적으로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셀 재선택 절차는 네트워크가 셀 레벨 상에서 또는 적어도 여러 셀로 이루어진 어떤 재등록 에어리어 레벨 상에서 UE의 위치를 식별하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유휴 모드에서, 네트워크는 UE 콘택스트(context)를 유지하므로, 네트워크가 페이징 요청을 송신할 때 UE의 위치를 찾아낼 수 있도록 한다. 새로운 셀이 재선택되는 경우에, UE는 새로운 셀의 아이덴티티(identity)를 표시하는 갱신 메시지를 네트워크에 송신한다. 게다가, UE는 또한 자신의 케이퍼빌리티(capability), 서비스하는 셀 및 타겟 셀의 다운링크 측정치, 등을 규정할 수 있다. 적절한 셀 재선택 절차는 새로운 호출 차단을 방지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기존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는 진행중인 세션 동안 MIMO 모드 스위칭을 수행한다. 그러나, 유휴 상태 또는 임의의 다른 저 활성도 상태(예를 들어, 저 무선 자원 제어(RRC) 상태)에서, UE는 셀을 변화시킬 수 있고, 셀 내에서, 심지어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UE가 가능한 가장 양호한 MIMO 모드로 시작하지 못하고 UE의 RRC 상태가 유휴로부터 활성으로 변화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것은 네트워크가 정확한 MIMO 모드를 선택할 때까지 처리량 손실을 초래할 것이다. 일부 시나리오에서, 호출이 부정확한 MIMO 모드로 시작되는 경우에, 접속이 또한 손실될 수 있다. 그러므로, 유휴 상태에서도 모드 스위칭의 이점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이 유용할 것이다. 그러나, 기존 시스템은 UE 및 네트워크(예를 들어, 관련된 노드 B 또는 RNC)가 유휴 상태에서 가장 양호한 MIMO 모드를 추적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하지 못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UE가 진행중인 세션에 관련되지 않을 때 예를 들어, 빔 형성(프리-코딩(pre-coding)) 방식을 포함하는, MIMO 모드와 같은 적절한 안테나 모드를 선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무선 네트워크 및 이동 단말기 둘 모두에 의해 지원되는 안테나 모드를 포함하는 모드 리스트(mode list)를 결정함으로써 성취된다. 각각의 안테나 모드는 미리규정된 성능 측정치 정도와 관련되고, 이동 단말기에 대한 미리규정된 성능 측정치를 표시하는 정보가 검색된다. 안테나 모드는 적어도 검색된 정보에 기초하여 모드 리스트로부터 선택된다.
따라서, 제 1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무선 네트워크 및 불연속 수신 모드로 동작하는 이동 단말기 사이의 통신에 사용될 안테나 모드를 선택하는 이동 전기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무선 네트워크 및 이동 단말기 둘 모두에 의하여 지원되는 안테나 모드를 포함하는 모드 리스트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결정기, 상기 모드 리스트 내의 각각의 안테나 모드를 미리규정된 성능 측정치 정도와 관련시키도록 구성되는 관련 수단, 이동 단말기에 대한 미리규정된 성능 측정치를 표시하는 정보를 검색하도록 구성되는 검색 수단, 및 적어도 상기 검색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모드 리스트로부터 안테나 모드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선택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2 양상에 따르면, 무선 네트워크 및 불연속 수신 모드로 동작하는 이동 단말기 사이의 통신에 사용될 안테나 모드를 선택하는 이동 전기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무선 네트워크 및 이동 단말기 둘 모두에 의하여 지원되는 안테나 모드를 포함하는 모드 리스트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모드 리스트 내의 각각의 안테나 모드를 미리규정된 성능 측정치 정도와 관련시키는 단계, 이동 단말기에 대한 미리규정된 성능 측정치를 표시하는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적어도 상기 검색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모드 리스트로부터 안테나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장점은 본 발명이 유휴 모드에서 모드 선택의 이점을 이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는 것이다. 즉, UE가 페이징 요청을 정확하게 디코딩하고 새로운 호출을 개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저 활성도 상태에서의 적절한 모드(DTX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그러므로, UE는 자신이 유휴 상태로부터 활성 상태로 리턴할 때 가장 양호한 모드로 직접 진입할 수 있다.
부가적인 장점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일부 시나리오에서 셀 변화 대신 모드 스위칭을 사용함으로써 셀 설정 지연을 감소시킨다는 것이다. 상기 실시예는 핸드오버(handover)를 모드 리스트에 기초한 모드 선택으로 교체함으로써 빈번한 핸드오버를 피하는 것을 또한 가능하게 함으로써, 핸드오버로 인한 핑퐁 효과(ping pong effect)를 방지한다.
도 1A는 일부 MIMO 모드의 용량 비교를 도시한 그래프.
도 1B는 일부 MIMO 모드의 커버리지 비교를 도시한 그래프.
도 2는 커버리지 기반 모드 리스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이 분산형 RAN의 서비스하는 노드 B에서 구현될 수 있는 분산형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 아키텍처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이 액세스 게이트웨이 또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와 같은 RAN의 중앙 노드에서 구현될 수 있는 집중형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 아키텍처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유휴 상태에서 DRX 사이클에 따라 UE가 리스닝(listening)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흐름도.
본 발명은 UE 및 네트워크(예를 들어, 관련된 노드 B 또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가 UE가 유휴 상태일 때에도 가장 양호한 안테나 모드를 추적하도록 하는데 사용되도록 적응된다. 이 메커니즘은 또한 불필요한 핸드오버 또는 셀 변화를 피할 수 있다. UE가 유휴 상태 동안 자신의 가장 양호한 모드를 추적할 수 있기 때문에, UE가 자신이 활성 상태로부터 유휴 상태로 리턴할 때 자신의 가장 양호한 모드로 직접 진행하는 것이 더 용이해진다.
본 발명의 기본적인 개념은 이동 단말기 및 네트워크 둘 모두에 의해 지원되는 안테나 모드를 포함하는 모드 리스트라고도 칭해지는 안테나 모드 리스트를 생성하는 것이다. 안테나 모드 리스트는 UE가 유휴 모드이고 UE 측정치 보고가 이용 가능하지 않은 저 활성도 RRC 상태, 호출 설정, 및 핸드오버와 같은 상이한 시나리오에서 적절한 안테나 모드를 선택할 때 사용되도록 제안된다.
따라서, 이동 리스트는 이동 단말기 및 대응하는 액세스 노드, 예를 들어, 노드 B에 의해 공동으로 지원될 수 있는 모든 가능한 모드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아키텍처에 따라서 대응하는 노드 B 또는 aGW(액세스 게이트웨이)/RNC(무선 네트워크 제어기)에 의하여 각각의 이동 단말기에 대해 하나의 모드 리스트가 생성된다. 다음의 표기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다: VML_S를 사용자(i), 즉, i번째 UE 및 서비스하는 노드 B에 의해 지원되는 모드에 대한 모드 리스트라고 하고, VUE는 UE에 의해 지원되는 모드를 나타내며, VNODEB는 서비스하는 노드 B에 의해 지원되는 노드를 나타낸다. 그 후, VML_S = VUE ∩ VNODEB =[α1, α2,...,αM]이고, 여기서 α1은 MIMO 모드 아이덴티티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테나 모드는 리스트로부터 선택되며, 여기서 상기 선택은 미리규정된 성능 측정치에 기초한다. 미리규정된 성능 측정치의 예는 용량, 커버리지, 피크 비트 레이트(peak bit rate), 평균 사용자 비트 레이트, 경로 손실, 등이다. 용량 및 커버리지 기준은 일반적으로 전체 시스템 성능 측정치인 반면, 사 용자 비트 레이트는 사용자 특정 성능 측정치이다. 한편, 셀 에지 비트 레이트(예를 들어, 10번째 백분위수) 및 피크 비트 레이트(90번째 백분위수)와 같은 측정치는 전체 시스템의 매우 양호한 픽처(picture)를 제공하지 않으므로, 주로 사용자 성능에 특정된다. 패킷 지향 시스템에서, 성능 기준은 셀 당 평균 처리량(또는 평균 비트 레이트)에 기초할 수 있다. 유사하게, 커버리지는 셀 내의 x%의 가장 불량한 사용자, 예를 들어, 10%의 가장 불량한 사용자 또는 10번째 백분위수에 의하여 표현될 수 있다. x%의 가장 불량한 사용자는 셀의 변두리(셀 경계 영역)에 위치될 것이다. 피크 레이트 기준은 셀 내의 y%의 가장 양호한 사용자에 기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셀 에지에서의 5번째 백분위수 사용자 처리량 대 서비스되는 트래픽 로드(평균 셀 처리량)가 셀 에지에서 시스템 성능을 평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셀 에지에서의 더 높은 5번째 백분위수 사용자 처리량은 더 높은 셀-에지 데이터 레이트에 대응할 수 있다. 평균 사용자 처리량 및 5번째 백분위수 사용자 처리량은 시스템 용량 및 커버리지를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모드 리스트 내의 안테나 모드 각각은 미리규정된 성능 측정치 정도와 관련된다. 그러므로, 안테나 모드 리스트는 기준 기반 모드 리스트라고도 칭해지며, 여기서 기준은 성능 측정치이다. 이동 단말기에 대한 미리규정된 성능 측정치를 표시하는 정보가 검색되고, 안테나 모드가 적어도 상기 검색된 정보에 기초하여 모드 리스트로부터 선택된다.
도 1A 및 1B는 용량 및 커버리지 각각에 의하여 상이한 안테나 모드의 성능 비교를 도시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결과는 수신기 다이버시티(1×2)의 성능을 라운드 로빈(round robin: RR) 및 PFT(Proportionally Fair in Time domain) 및 PFTF(Proportionally Fair in Time Frequency domain)의 변형을 포함하는 상이한 유형의 스케줄링 알고리즘(scheduling algorithm)에 대한 2×2 PARC(Per Antenna Rate Control) 방식의 성능과 비교한다. 도 1A는 스케줄링 정책에 관계없이, 2×2 PARC 방식이 용량 면에서 수신기 다이버시티(1×2)를 능가한다는 것을 도시한다. 반면, 도 1B는 스케줄링 정책에 관계없이, 수신기 다이버시티(1×2)가 커버리지 면에서 PARC(2×2)보다 우수하다는 것을 도시한다.
예로서, 도 2는 성능 측정치 커버리지에 기초하여 모드 리스트를 생성하는 원리를 도시한다. 전체적으로, UE 및 서비스하는 기지국 둘 모두에 공통인 N개의 이용 가능한 MIMO 모드가 존재한다. 기준 기반 모드 리스트를 생성하기 위하여, 이용 가능한 N개의 모드는 내림 차순의 커버리지로 분류될 필요가 있다. 도 2는 β1로부터 βN까지의 범위의 이용 가능한 모드를 도시하며, 여기서 βN은 가장 높은 커버리지에 가장 적합하다. 그러므로, 커버리지 기반 ML(VML_COV)는 오름 차순의 커버리지로 분류된 모드 리스트인데, 즉, VML_COV = [β12,...,βN]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VML_COV 세트는 UE 및 대응하는 노드 B에 의해 공동으로 지원되어야 한다.
따라서, 커버리지 기반 모드 리스트는 UE가 자신에 대한 조건을 개선시키도록 커버리지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셀 경계에 가깝게 위치될 때 모드 βN로 스위칭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유사하게, 용량과 같은 다른 기준이 대응하는 모드 리스트를 생성하는데 사 용될 수 있다. 그 경우에, N개의 이용 가능한 모드는 희망하는 기준에 따라 분류될 것이다. 예를 들어, 피크 비트 레이트 기반 모드 리스트의 경우에, 제 1 모드는 사용자에게 최대 피크 비트 레이트를 제공하는 것일 것이다. 희망하는 기준을 전혀 충족시킬 수 없는 모드가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모드는 모드 리스트로부터 배제될 수 있다.
이 방법의 주요 장점은 상기 방법이 네트워크가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키도록 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높은 비트 레이트를 희망하는 사용자가 용량 기반 모드 리스트에 따라 서비스(즉, 모드 스위칭)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용량 기반 모드 리스트 내의 최저 모드에 도달한 이후에, 네트워크가 UE가 희망하는 데이터 레이트를 성취(즉, 높은 데이터 레이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핸드오버를 행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기준 기반 모드 리스트는 모드 스위칭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요소, 예를 들어, 노드 B, 액세스 게이트웨이 또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에 의해 생성 및 유지될 수 있다. 그러므로, 아키텍처에 따라서, 기준 기반 모드 리스트는 후술되는 바와 같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아키텍처에 따라 노드 B 또는 RNC/aGW에 의해 생성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모드 리스트가 UE에서 생성 및 유지될 수 있다는 점이 또한 주의되어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는 제 1 네트워크(300)를 도시한다. 제 1 네트워크(300)는 분산형 RAN 아키텍처를 가지며, 여기서 액세스 게이트웨 이(aGW)(301)는 사용자 평면 스위칭만을 수행한다. 그러나, 노드 B(302)-노드 B(303) 인터페이스(논리적 링크(304))는 무선 관련 정보의 교환을 허용한다. UE(306)는 자신의 MIMO 모드 케이퍼빌리티를 서비스하는 노드 B(302)에 보고한다. 서비스하는 노드 B(302)는 자신의 케이퍼빌리티, UE(306) 케이퍼빌리티 및 소정의 기준에 기초하여 모드 리스트(305)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희망하는 기준의 수에 따라, UE마다 서비스하는 노드 B(302)에 의해 구성 및 유지되는 하나 이상의 기준 기반 모드 리스트가 존재할 수 있다.
일부 애플리케이션에서, 서비스하는 노드 B(302)가 또한 UE(306)의 타겟 노드 B(303)에 대응하는 기준 기반 모드 리스트를 생성 및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또한 유리할 수 있다. 즉, 타겟 노드 B는 UE가 접근할 것으로 예측되는 노드 B이며, 이는 타겟 노드 B로의 핸드오버 또는 셀 재선택이 수행될 것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핸드오버 및 셀 재선택은 본 명세서에서 셀 변화로 칭해진다는 점이 또한 주의되어야 한다. 그 경우에, 서비스하는 노드 B는 노드 B-노드 B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타겟 노드 B와 통신할 필요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는 제 2 네트워크를 도시한다. 제 2 네트워크는 중앙 노드, 예를 들어, 액세스 게이트웨이(aGW) 또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가 무선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되는 집중형 RAN 구조를 갖는다. 이 경우에, 중앙 노드는 자신이 UE 및 노드 B 케이퍼빌리티를 인식하기 때문에 기준 기반 모드 리스트를 관리하도록 구성되며, 또한 적절한 기준을 결정하도록 적응된다.
네트워크에서의 다중-모드 스위칭 기능은 소정의 시나리오에 적절한 모드를 선택하기 위하여 기준 기반 모드 리스트를 사용한다. 기준 기반 모드 리스트는 또한 적절한 모드를 선택하기 위하여 (웨이크업 간격(wakeup interval) 동안 수행되는) UE 보고된 측정치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상술된 바와 같이, UE 측정치가 항상 이용 가능하지는 않다. 그 경우에, 네트워크는 모드 스위칭에 대하여, 적절한 안테나 모드를 선택하기 위하여, UE(예시)로부터 수신된 신호 상에서의 업링크에서 기지국에 의해 행해진 자신의 측정 또는 순전히 모드 리스트 중 하나에 의존할 것이다.
저 활성도 RRC 상태에서의 안테나 모드 스위칭 및 호출 설정 동안의 안테나 모드 스위칭이 후술된다.
저 활성도 RRC 상태 동안 안테나 모드 스위칭을 수행하는 것은 UE 측정치 보고가 이용 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나타낸다. 저 활성도에 의하여, 이것은 본 명세서에서 UE가 불연속 수신(DRX) 모드로 동작하는 시간이라고 칭해진다. UTRA에서, 이것은 UE가 유휴 상태, 셀_PCH 상태 또는 URA_PCH 상태에 있을 때 발생한다. 상기 상태는 3GPP TS 25.304, "User Equipment(UE) procedures in idle mode and procedures for cell reselection in connected mode"에서 더 설명되어 있다. E-UTRA에 대해 동의된 바와 같이, UE는 또한 3GPP TS 25.813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E-UTRA) and Evolved Universal Terrestrical Radio Access Network(E-UTRAN); Radio interface protocol aspects"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기존 유휴 모드 이외에 RRC 접속 모드에 있을 때 DRX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접속 상태일 때 DRX 모드를 갖는 목적은 UE 배터리 소모를 절약하는 동시에, UE가 네트워크에 동기화된 채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것은 동일한 세션 내의 후속 패킷들 사이에서 불활성 기간이 존재하는 패킷 지향 시스템에서 특히 유용한다. 그러므로, 이 시나리오에서, 패킷이 짧은 시간 동안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 세션을 종료하고 유휴 상태로 진행하는 것을 바람직하지 않다.
저 RRC 활성도 상태에서, 네트워크가 홀로 자신 내의 UE의 위치를 추적할 수는 없다. 그러므로, 액세스 기술과 관계없이, 저 활성도 상태의 UE는 자신이 새로운 셀을 재선택하거나 새로운 위치 에어리어에 진입할 때마다 (UTRA에서) 셀 갱신 또는 (E-UTRA에서) 추적 에어리어 갱신을 수행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DRX를 사용함으로써, UE만이 본 명세서에서 웨이크업 시간이라고 칭해지는 어떤 미리규정된 시간에 네트워크를 리스닝한다(페이징, 브로드캐스팅, 등).
네트워크 또는 UE 중 하나는 필요할 때마다, 예를 들어, UE 커버리지가 나빠지고 있을 때 기준 기반 모드 리스트로부터 가장 적절한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네트워크에서, 이것은 네트워크가 UE로부터 UE 갱신 메시지(셀 갱신, 추적 에어리어 갱신, 등)를 수신할 때 행해질 수 있다. UE 측에서, 이것은 DRX 모드(즉, 불연속 수신 모드)에서 행해지는 UE 측정에 기초하여 행해질 수 있다. UE는 웨이크업 인스턴스(wakeup instance)에서만 네트워크를 리스닝하지만, 충분한 측정 샘플을 획득하기 위하여 (특히 DRX 사이클 길이가 긴, 예를 들어, 2-5초)인 경우에 웨이크업 인스턴스 사이에 측정을 여전히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DRX 모드에서 수행된 측정이 접속 모드에서의 측정에 비하여 덜 정확한데, 그 이유는 전자 가 더 적은 측정 샘플을 포함하기 때문이다. 다음 규칙이 UE 측정치 보고 없이 네트워크 기반 모드 선택 동안 사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 기반 모드 선택은 예를 들어, 상술된 바와 같은 네트워크 구조에 따른 노드 B, aGW 또는 RNC가 안테나 모드 선택을 수행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UE가 자신의 웨이크업 간격 동안 갱신 메시지 내에서 측정치를 보고하지 않는 경우에, 다음 가능성이 존재한다:
네트워크가 UE 갱신 메시지를 충분히 디코딩할 수 있는 경우에, 상기 네트워크는 현재 모드를 송신한다.
네트워크가 UE 갱신 메시지의 데이터 부분이 아니라, UE 아이덴티티를 디코딩할 수 있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가 UE 갱신 메시지를 충분히 디코딩할 수 없는 경우에, 네트워크는 성능 측정치, 예를 들어, 커버리지를 개선시키는 모드로 스위칭할 수 있고, 동일한 모드로 스위칭하도록 UE에 요청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모드는 기준 기반 모드 리스트로부터 선택된다.
네트워크가 UE 갱신 메시지를 충분히 디코딩할 수 없는 경우에, 상기 네트워크는 또한 UL 수신 메시지의 강도 및/또는 품질을 측정함으로써 업링크 커버리지를 결정하고, 측정치에 기초하여 기준 기반 모드 리스트로부터 적절한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네트워크가 UE 갱신 메시지를 충분히 디코딩할 수 없고 이미 가장 높은 모드, 즉 가장 양호한 성능 측정치(βN)를 제공하는 안테나 모드로 동작하고 있는 경 우에, 네트워크는 핸드오버를 개시할 것이다.
다음 규칙은 UE 측정치 보고가 이용 가능할 때, 즉 UE 갱신 메시지가 UE의 웨이크업 시간 동안 수행되는 UE 측정치를 포함할 때 네트워크 기반 모드 선택 동안 사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가 UE 측정치 보고를 수신하는 경우에, 상기 네트워크는 UE 측정치를 사용하여 모드 선택을 수행할 옵션을 갖는다. 네트워크는 또한 UE 측정치 및 기지국에 의해 행해진 업링크 측정치를 고려함으로써 결합된 판정을 행할 수 있다. 특정한 경우로서, 모드 리스트로부터 선택된 적절한 안테나 모드는 단지 UE 측정치에 기초할 수 있다.
UE 측정치가 더 양호한 성능 측정치를 제공하는 안테나 모드가 선택되어야 하고 양호한 성능 측정치를 제공하는 안테나 모드가 이용 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표시하는 경우에, 상기 네트워크를 핸드오버를 개시할 것이다. 일례는 UE가 셀 내에서 멀리 있고, 측정치 보고가 커버리지가 불량하며 사용되고 있는 현재 안테나 모드가 가장 양호한 것을 제공하는 모드 리스트의 안테나 모드라는 것을 표시하는 경우이다.
네트워크 기반 모드 선택 이외에, UE는 또한 UE 기반 모드 선택이라고 칭해지는 모드 선택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에, UE는 네트워크에 의해 송신된 어떤 파일럿 신호가 항상 존재하기 때문에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UE 기반 모드 선택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사용될 수 있다.
UE는 (자신에 의해 수행되는) 다운링크 측정 및/또는 기준 기반 모드 리스트 에 기초하여 적절한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다운링크 측정 값 범위는 기준 기반 모β드 리스트 내에 목록화된 어떤 가능한 가장 양호한 모드에 대응할 것이다. 이전과 같이, 기준 기반 모드 리스트는 미리규정된 규칙 또는 UE 및 기지국 사이의 협상에 의해 설정될 것이다. 예로서, 측정 값이 α1 및 α2 사이인 경우에, 가장 양호한 모드는 βi이다. 그러므로, UE는 상술된 바와 같이 가능한 가장 양호한 셀을 선택하고 그 모드로 스위칭하도록 네트워크에 요청할 것이다.
기존 셀의 커버리지와 같은 성능 측정치가 너무 불량한 경우에, UE는 기준 기반 모드 리스트로부터 더 양호한 성능 측정치를 제공하는 모드를 선택하고, 대응하는 모드로 스위칭하도록 네트워크에 요청한다.
다운링크 커버리지와 같은 성능 측정치가 너무 불량하고 UE가 이미 가장 양호한 커버리지를 제공하는 모드로 동작하고 있는 경우에, 상기 UE는 가장 양호한 셀을 자율적으로 재선택하거나 셀을 변화시키도록 네트워크에 요청한다(핸드오버를 요청한다). 자율적인 셀 변화(또는 재선택)는 일반적으로 유휴 모드로 동작할 때 UE에 의해 행해진다. 반면에, 네트워크 제어되는 셀 변화(또는 핸드오버)는 UE가 반-접속 모드(또는 반-유휴 모드)일 때 사용된다. 반-유휴 모드에서, 한편으로는 UE는 DRX 인스턴스에만 네트워크를 리스닝하기 때문에 배터리를 절약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UE는 네트워크와 양호하게 동기화된 채로 유지된다. 이 방식으로, UE는 호출 설정의 의례를 통과함이 없이 데이터를 고속으로 수신할 수 있다.
실제로, 저 활성도 RRC 상태에서의 네트워크 기반 또는 UE 기반 또는 하이브 리드 모드 선택 중 하나가 가능하다는 점이 주의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모드 스위칭은 호출 설정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호출 설정 시에, UE는 유휴 상태로부터 RRC 접속 또는 활성 상태로 진입할 것이다. 호출 설정 시에, UE가 가장 양호한 셀에 캠프 온되지 않아서, 서비스하는 셀이 현재 모드를 사용하여 적절한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게다가, 채널 측정치가 호출 설정에서 이용 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전형적으로 UE가 고속으로 이동하고 있고 긴 DRX 사이클을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 불량한 셀 재선택이 발생함으로써, UE가 적절한 측정을 행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UE는 셀 내에서 멀리 있을 수 있다. UE를 새로운 셀에 편입시키는 것은 호출 설정 지연을 초래할 수 있고, 또한 호출 차단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는 UE 측정치 보고 및 UE 기반 모드 선택 없이, 그리고 UE 측정치 보고 및 UE 기반 모드 선택을 가지고, 네트워크 기반 모드 선택과 관련하여 상술된 것과 동일한 규칙을 사용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실시예는 유휴 모드에서의 변화 및 모드 스위칭 사이의 트레이드-오프(trade-off)를 허용한다. 즉, 셀 변화가 더 양호한 성능 측정치를 제공하는 안테나 모드로 변화함으로써 피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UE가 셀 내에서 멀리 있는 경우에, 다른 셀로의 셀 재선택을 수행하는 대신에, 더 양호한 커버리지를 제공하는 안테나 모드가 선택될 수 있다.
유휴 모드에서의 핸드오버는 일반적으로 셀 재선택이라고 칭해진다. 핸드오버는 일반적으로 상기 핸드오버가 절대적으로 필요한 경우에만 실행되어야 한다. 이것은 셀 재선택에 대해서도 그러하다. 둘째로, 셀 변화라고 칭해지는 너무 빈번한 핸드오버/셀 재선택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핑 퐁 효과가 가능한 한 많이 피해져야 한다. 셋째로, 핸드오버는 타겟 노드 B에서의 무선 또는 다른 네트워크 자원의 부족으로 인하여 성공적으로 완료될 수 없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다중-모드 스위칭이 불필요한 셀 변화를 방지함으로써 수용 가능한 서비스 품질로 진행중인 접속을 유지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다음 규칙이 사용될 수 있다:
모드 스위칭만이 필요하다고 표시되는 경우에(즉, 셀 변화가 필요하지 않다고 표시되는 경우에), 네트워크는 모드 스위칭을 수행한다.
셀 변화가 필요하고 현재 모드가 βi(i<N)인 경우에, 네트워크는 가능하다면 더 높은 모드(βj(j>i))(즉, 더 양호한 성능 측정치를 제공하는 모드)로 스위칭하도록 시도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 셀 변화를 수행한다. 그 후, 네트워크는 셀-변화 대신에 모드 스위칭이 발생할 것이라고 UE에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그 후, 가능하다면, UE는 모드 선택을 원조하도록 적응된 측정치를 보고할 수 있다.
셀 변화가 필요하고 현재 모드가 가장 양호한 성능 측정치를 제공하는 모드(βN)인 경우에, 네트워크는 셀 변화를 직접적으로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600)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장치(600)는 무선 네트워크 및 이동 단말기 둘 모두에 의해 지원되는 안테나 모드(607)를 포함하는 모드 리스트(606)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결정기(601), 상기 모드 리스트 내의 각각의 안테나 모드를 미리규정된 성능 측정치 정도와 관련시키도록 구성되는 관련 수단(602), 이동 단말기에 대한 미리규정된 성능 측정치를 표시하는 정보를 검색하도록 구성되는 검색 수단(603), 및 적어도 상기 검색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모드 리스트로부터 안테나 모드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선택기(604)를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무선 네트워크 또는 UE 내의 노드에서 구현될 수 있고, 여기서 상기 노드는 노드 B, RNC 또는 aGW일 수 있다.
상기 장치가 네트워크에서 구현되는 경우에, 선택기(604)는 검색된 정보가 단말기로부터의 UE 갱신 메시지와 같은 수신된 메시지를 충분히 디코딩할 수 있는 정보일 때, 현재 안테나 모드를 유지하도록 부가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선택기(604)는 현재 안테나 모드가 상술된 바와 같이 충분히 양호하지 않은 성능 측정치를 제공하지 않는다는 것이 표시될 때, 현재 안테나 모드보다 더 높은 성능 측정치를 제공하는 모드 리스트로부터의 안테나 모드로 스위칭되도록 부가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장치는 또한 검색된 정보가 더 높은 안테나 모드가 필요하고 더 높은 모드로의 선택이 가능하지 않다는 정보를 포함할 때 셀 변화를 개시하도록 구성되는 개시기(605)를 포함할 수 있다.
검색된 정보가 UE라고도 칭해지는 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는 측정치 보고를 포함한다는 점이 또한 주의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 7의 흐름도에 설명된 방법과 관련된다.
상기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701: UE 및 네트워크 둘 모두에 의해 지원되는 안테나 모드를 포함하는 모드 리스트를 결정하는 단계.
702: 상기 모드 리스트 내의 각각의 안테나 모드를 미리규정된 성능 측정치 정도와 관련시키는 단계, 예를 들어, 각각의 안테나 모드가 제공하는 성능 측정치에 의해 결정된 차순으로 모드를 분류하는 단계.
703: 현재 상황에서 이동 단말기에 대한 미리규정된 성능 측정치를 표시하는 정보, 예를 들어, 단말기의 현재 커버리지 상황을 표시하는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704: 적어도 상기 검색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모드 리스트로부터 안테나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선택 단계(704)는 검색된 정보가 더 높은 모드가 필요하지만 더 높은 모드가 이용 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표시하는 경우에, 즉, 현재 안테나 모드가 가장 양호한 성능 측정치를 제공하는 모드 리스트 내의 안테나 모드인 경우에, 셀 변화를 개시하는 단계(705)로 교체된다.

Claims (34)

  1. 무선 네트워크 및 불연속 수신 모드로 동작하는 이동 단말기 사이의 통신에 사용될 안테나 모드를 선택하는 이동 전기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방법에 있어서:
    - 무선 네트워크 및 이동 단말기 둘 모두에 의하여 지원되는 안테나 모드를 포함하는 모드 리스트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모드 리스트 내의 각각의 안테나 모드를 미리규정된 성능 측정치 정도와 관련시키는 단계;
    - 이동 단말기에 대한 미리규정된 성능 측정치를 표시하는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 적어도 상기 검색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모드 리스트로부터 안테나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모드를 선택하는 이동 전기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단계는 상기 검색된 정보가 더 양호한 성능 측정치를 제공하는 안테나 모드가 필요하지만 이와 같은 안테나 모드가 이용 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표시하는 경우에, 셀 변화를 개시하는 단계로 교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모드를 선택하는 이동 전기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방법.
  3.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모드를 선택하는 이동 전기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방법은 상기 무선 네트워크 내의 노드에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모드를 선택하는 이동 전기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방법.
  4. 제 1 항 내지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는 노드 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모드를 선택하는 이동 전기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 또는 액세스 게이트웨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모드를 선택하는 이동 전기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방법.
  6. 제 3 항 내지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된 정보가 상기 네트워크가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충분히 디코딩할 수 있는 정보일 때, 상기 선택 단계는 현재 안테나 모드를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모드를 선택하는 이동 전기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방법.
  7. 제 3 항 내지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된 정보가 상기 네트워크가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충분히 디코딩할 수 없는 정보를 포함할 때, 상기 선택 단계는 현재 안테나 모드보다 더 높은 성능 측정치를 제공하는 모드 리스트로부터의 안테나 모드로 스위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모드를 선택하는 이동 전기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방법.
  8. 제 3 항 내지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된 정보가 상기 네트워크가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충분히 디코딩할 수 없고 상기 단말기가 가장 양호한 성능 측정치를 제공하는 안테나 모드로 동작하고 있다는 정보를 포함할 때, 상기 선택 단계는 셀 변화를 개시하는 단계로 교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모드를 선택하는 이동 전기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방법.
  9. 제 6 항 내지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메시지는 UE 갱신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모드를 선택하는 이동 전기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방법.
  10. 제 1 항 내지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된 정보는 상기 단말기에 의해 수행된 측정치 보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모드를 선택하는 이동 전기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된 정보가 더 높은 성능 측정치를 제공하는 안테나 모드가 필요하고 더 높은 안테나 모드에 대한 선택이 가능하지 않다는 UE 보고에 의해 표시된 정보를 포함할 때, 상기 선택 단계는 셀 변화를 개시하는 단계로 교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모드를 선택하는 이동 전기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방법.
  12.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모드를 선택하는 이동 전기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방법은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모드를 선택하는 이동 전기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된 정보는 상기 단말기에 의해 수행된 다운링크 측정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모드를 선택하는 이동 전기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측정치가 상기 성능 측정치가 미리결정된 임계값 이하라는 것을 표시할 때, 상기 선택 단계는 현재 모드보다 더 높은 성능 측정치를 제공하는 안테나 모드로 스위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모드를 선 택하는 이동 전기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측정치가 상기 성능 측정치가 미리결정된 임계값 이하이고 상기 단말기가 가장 높은 성능 측정치를 제공하는 안테나 모드로 동작하고 있다는 것을 표시할 때, 상기 선택 단계는 셀 변화를 개시하는 단계로 교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모드를 선택하는 이동 전기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방법.
  16. 제 1 항 내지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능 측정치는 용량 측정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모드를 선택하는 이동 전기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방법.
  17. 제 1 항 내지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능 측정치는 커버리지 측정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모드를 선택하는 이동 전기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방법.
  18. 무선 네트워크 및 불연속 수신 모드로 동작하는 이동 단말기 사이의 통신에 사용될 안테나 모드를 선택하는 이동 전기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장치에 있어서:
    무선 네트워크 및 이동 단말기 둘 모두에 의하여 지원되는 안테나 모드를 포함하는 모드 리스트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결정기;
    상기 모드 리스트 내의 각각의 안테나 모드를 미리규정된 성능 측정치 정도와 관련시키도록 구성되는 관련 수단;
    이동 단말기에 대한 미리규정된 성능 측정치를 표시하는 정보를 검색하도록 구성되는 검색 수단; 및
    적어도 상기 검색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모드 리스트로부터 안테나 모드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선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모드를 선택하는 이동 전기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된 정보가 더 양호한 성능 측정치를 제공하는 안테나 모드가 필요하지만 이와 같은 안테나 모드가 이용 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표시할 때, 셀 변화를 개시하도록 구성되는 개시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모드를 선택하는 이동 전기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장치.
  20. 제 18 항 또는 19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모드를 선택하는 이동 전기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장치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 내의 노드에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모드를 선택하는 이동 전기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장치.
  21. 제 18 항 내지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는 노드 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모드를 선택하는 이동 전기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장치.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 또는 액세스 게이트웨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모드를 선택하는 이동 전기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장치.
  23. 제 20 항 내지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기는 상기 검색된 정보가 상기 네트워크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충분히 디코딩할 수 있는 정보일 때 현재 안테나 모드를 유지하도록 부가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모드를 선택하는 이동 전기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장치.
  24. 제 20 항 내지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기는 상기 검색된 정보가 상기 네트워크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충분히 디코딩할 수 없는 정보를 포함할 때 현재 안테나 모드보다 더 높은 성능 측정치를 제공하는 모드 리스트로부터의 안테나 모드로 스위칭하도록 부가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모드를 선택하는 이동 전기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장치.
  25. 제 20 항 내지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모드를 선택하는 이동 전기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장치는 상기 검색된 정보가 네트워크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충분히 디코딩할 수 없고 상기 단말기가 가장 양호한 성능 측정치를 제공하는 안테나 모드로 동작하고 있다는 정보를 포함할 때 셀 변화를 개시하도록 구성되는 개시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모드를 선택하는 이동 전기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장치.
  26. 제 23 항 내지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메시지는 UE 갱신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모드를 선택하는 이동 전기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장치.
  27. 제 19 항 내지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된 정보는 상기 단말기에 의해 수행된 측정치 보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모드를 선택하는 이동 전기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장치.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모드를 선택하는 이동 전기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장치는 상기 검색된 정보가 더 높은 성능 측정치를 제공하는 안테나 모드가 필요하고 더 높은 안테나 모드에 대한 선택이 가능하지 않다는 UE 보고에 의해 표시된 정보를 포함할 때 셀 변화를 개시하도록 구성되는 개시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 나 모드를 선택하는 이동 전기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장치.
  29.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모드를 선택하는 이동 전기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장치는 이동 단말기에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모드를 선택하는 이동 전기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장치.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된 정보는 상기 단말기에 의해 수행된 다운링크 측정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모드를 선택하는 이동 전기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장치.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기는 상기 다운링크 측정치가 상기 성능 측정치가 미리결정된 임계값 이하라는 것을 표시할 때 현재 모드보다 더 높은 성능 측정치를 제공하는 안테나 모드로 스위칭하도록 부가적으로 적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모드를 선택하는 이동 전기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장치.
  32.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모드를 선택하는 이동 전기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장치는 상기 다운링크 측정치가 상기 성능 측정치가 미리결정된 임계값 이하이고 상기 단말기가 가장 높은 성능 측정치를 제공하는 안테나 모드로 동작하고 있다는 것을 표시할 때 셀 변화를 개시하도록 구성되는 개시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모드를 선택하는 이동 전기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장치.
  33. 제 18 항 내지 3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능 측정치는 용량 측정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모드를 선택하는 이동 전기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장치.
  34. 제 18 항 내지 3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능 측정치는 커버리지 측정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모드를 선택하는 이동 전기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장치.
KR1020097014845A 2006-12-20 2006-12-20 이동 전기통신 네트워크에서 안테나 모드를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9009123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SE2006/050601 WO2008076024A1 (en) 2006-12-20 2006-12-20 Method and arrangement for selecting an antenna mode in a mobile telecommunication networ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1230A true KR20090091230A (ko) 2009-08-26

Family

ID=39536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4845A KR20090091230A (ko) 2006-12-20 2006-12-20 이동 전기통신 네트워크에서 안테나 모드를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8611832B2 (ko)
EP (1) EP2095534B1 (ko)
JP (1) JP5091248B2 (ko)
KR (1) KR20090091230A (ko)
CN (1) CN101563858B (ko)
BR (1) BRPI0622239A2 (ko)
CA (1) CA2672567A1 (ko)
IL (1) IL199012A0 (ko)
MX (1) MX2009006141A (ko)
WO (1) WO20080760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686557B (zh) 2008-09-22 2014-04-0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多小区调度信息发送方法、装置及用户设备
US8305921B2 (en) * 2009-04-03 2012-11-06 Quantenna Communications, Inc. Channel selection and interference suppression
US8515363B2 (en) * 2009-06-19 2013-08-20 Sharp Kabushiki Kaisha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reduced power amplifier transmission mode
US20110105122A1 (en) * 2009-10-30 2011-05-05 Chih-Hsiang Wu Method of Handling Handover Measurement in a Discontinuous Reception Mode and Related Communication Device
US8918062B2 (en) * 2009-12-08 2014-12-23 Qualcomm Incorporated Combined intelligent receive diversity (IRD) and mobile transmit diversity (MTD) with independent antenna switching for uplink and downlink
US20110250926A1 (en) * 2009-12-21 2011-10-13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antenna selection in a wireless device
US8538351B2 (en) 2010-07-20 2013-09-17 Blackberry Limited Radiation power level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based on a tracked radiation history
US8954121B2 (en) 2010-11-26 2015-02-10 Blackberry Limited Radiation pattern recognition system and method for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CN102036295B (zh) * 2010-12-02 2014-04-16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确定上下行配置的方法、系统和设备
WO2012102652A1 (en) * 2011-01-26 2012-08-0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s and arrangements for transmit mode adaptation
US8793000B2 (en) * 2011-05-02 2014-07-29 Apple Inc. Idle mode receive antenna diversity system
US8498656B2 (en) 2011-05-02 2013-07-30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idle mode antenna switching
CN103493396B (zh) 2011-06-03 2016-08-03 华为技术有限公司 天线接收模式的配置处理方法、基站控制器和基站
US9615321B2 (en) 2011-06-21 2017-04-04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cell reselection for higher priority layers
US8995938B2 (en) 2011-11-14 2015-03-31 Blackberry Limited Radiation power level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having tunable elements
US8897731B2 (en) * 2012-03-02 2014-11-25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adaptive receiver diversity in a wireless network
US9854532B2 (en) 2014-12-05 2017-12-2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network nod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load based adaptive CRS power adjustment
WO2016141585A1 (zh) * 2015-03-12 2016-09-1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天线模式选择方法、装置及系统
EP3281352A4 (en) * 2015-04-09 2018-11-14 Intel IP Corporation Devices and methods for network assisted mimo receiver antenna port switching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07861B (fi) 1998-08-28 2001-10-15 Nokia Mobile Phones Ltd Naapurisolumittaukset solun uudelleenvalintaa varten
US20020193146A1 (en) 2001-06-06 2002-12-19 Mark Wallace Method and apparatus for antenna diversit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314276C (zh) * 2001-12-31 2007-05-0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实现数字选择分集的方法及装置
JP2004072624A (ja) 2002-08-08 2004-03-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移動体通信システム、無線受信装置、および無線送信装置
US8320301B2 (en) 2002-10-25 2012-11-27 Qualcomm Incorporated MIMO WLAN system
US7885228B2 (en) * 2003-03-20 2011-02-08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ssion mode selection for data transmission in a multi-channel communication system
CN100385736C (zh) * 2003-12-10 2008-04-30 宏碁股份有限公司 平板计算机无线网络的天线切换装置及其方法
US8249518B2 (en) 2003-12-29 2012-08-2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Network controlled feedback for MIMO systems
US7433708B2 (en) * 2004-02-04 2008-10-07 Nokia Corporation Variable bandwidth in a communication system
KR100606101B1 (ko) 2004-07-01 2006-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정보 전송 시스템 및 방법
DE602005007135D1 (de) * 2004-09-07 2008-07-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IMO System mit adaptiver Umschaltung des Übertragungsschemas
CN100392995C (zh) * 2004-11-17 2008-06-0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多发送天线多接收天线系统中下行链路多用户调度方法
CN100340077C (zh) * 2005-11-29 2007-09-26 东南大学 多天线无线传输系统中信道环境自适应传输方法
US7961640B2 (en) * 2006-10-26 2011-06-1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debook exchange in a multiple acces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611832B2 (en) 2013-12-17
CN101563858B (zh) 2013-08-21
IL199012A0 (en) 2010-02-17
EP2095534A1 (en) 2009-09-02
EP2095534B1 (en) 2019-06-05
MX2009006141A (es) 2009-08-07
JP2010514335A (ja) 2010-04-30
JP5091248B2 (ja) 2012-12-05
BRPI0622239A2 (pt) 2011-12-27
WO2008076024A1 (en) 2008-06-26
US20100093385A1 (en) 2010-04-15
AU2006352006A1 (en) 2008-06-26
EP2095534A4 (en) 2013-03-06
CA2672567A1 (en) 2008-06-26
CN101563858A (zh) 2009-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11832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selecting an antenna mode in a mobile telecommunication network
US10050343B2 (en) Radio communication device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 radio communication device
US8873665B2 (en) Communication devices and methods for receiving data
US8391866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selecting an access point
CN107078890B (zh) 无线电信网络中的网络节点和方法
US6445917B1 (en) Mobile station measurements with event-based reporting
US20160337960A1 (en) Network selection control method and user terminal
US10142007B2 (en) Radio communication device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 radio communication device
US8155608B2 (e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ed parallel receiving interwork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8000300B2 (en) Mobile station, radio access network apparatus and mobility control method
KR20040105611A (ko) 송신 전력 조정 방법 및 모바일 원격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US8811166B2 (en) Receiving radio access technology priority settings depending on the operation mode of a terminal
CN111757427B (zh) 一种基于信道质量评估的宽窄融合终端首选网络选择方法
RU2436239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выбора режима антенны в сети мобильной связи
AU2006352006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selecting an antenna mode in a mobile telecommunication network
NZ577758A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selecting an antenna mode in a mobile telecommunication network
CN117296280A (zh) Pdcch监听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