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1108A - 준설 기계용 치상부재 및 어댑터 - Google Patents

준설 기계용 치상부재 및 어댑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1108A
KR20090091108A KR1020097006524A KR20097006524A KR20090091108A KR 20090091108 A KR20090091108 A KR 20090091108A KR 1020097006524 A KR1020097006524 A KR 1020097006524A KR 20097006524 A KR20097006524 A KR 20097006524A KR 20090091108 A KR20090091108 A KR 200900911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 member
adapter
nose
cavity
to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6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6443B1 (ko
Inventor
엔젤 마르티네즈
프란시스코 페레즈
조안 투토
에스테르 아론소
Original Assignee
메탈로제니아,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탈로제니아, 에스.에이. filed Critical 메탈로제니아,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090091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11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6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64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8Small metalwork for digging elements, e.g. teeth scraper bits
    • E02F9/2808Teeth
    • E02F9/2816Mountings therefor
    • E02F9/2825Mountings therefor using adap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8Small metalwork for digging elements, e.g. teeth scraper b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8Small metalwork for digging elements, e.g. teeth scraper bits
    • E02F9/2808Teeth
    • E02F9/2816Mountings therefor
    • E02F9/2833Retaining means, e.g.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8Small metalwork for digging elements, e.g. teeth scraper bits
    • E02F9/2808Teeth
    • E02F9/2858Teeth characterised by shap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8Small metalwork for digging elements, e.g. teeth scraper bits
    • E02F9/2866Small metalwork for digging elements, e.g. teeth scraper bits for rotating digging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의 준설 기계용 치상부재 및 어댑터는, 어댑터 또는 어댑터 부재에 부착되는 치상부재 즉, 마모 부재에 관한 것으로, 이 치상부재 또는 마모 부재가 항구, 강, 수로 등의 지층들을 깊게 하고 청소하기 위한 목적의 조립품을 생성하는데, 이 조립품이 진흙, 돌, 모래 등을 제거하고, 어댑터들이 프로펠러의 블레이드에 부착되어 준설 기계의 커터 헤드를 형성한다. 치상부재와 치상부재 바 또는 어댑터 사이 커플링의 건설적인 기능들은 치상부재의 굴착 성능을 활용할 수 있게 하고 어댑터에 대해 간단하고 신속한 교체를 가능하도록 한다.
준설기계, 치상부재, 어댑터

Description

준설 기계용 치상부재 및 어댑터{Prong and fitting for a dredging machine}
본 발명의 준설 기계용 치상부재(tooth, 齒狀部材) 및 어댑터는, 어댑터 및 어댑터 부재에 부착되는 치상부재 또는 마모 부재에 관한 것으로, 이 치상부재 또는 마모 부재는 항구, 강, 수로 등의 바닥을 깊게 하고 청소하기 위한 목적의 조립품을 생성하는데, 이 조립품이 진흙, 돌, 모래 등을 제거하고, 어댑터들이 프로펠러의 블레이드에 부착되어 준설 기계의 커터 헤드를 형성한다.
준설 기계 또는 준설기는, 물밑에 위치한 퇴적물을 굴착하고, 이송하고, 쌓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이런 기계는 기계식 또는 유압식으로 할 수 있으며, 좁은 지면에서의 사용을 위하여 치상부재 또는 블레이드와 같은 절단 부재들과 함께 사용되는 기계이다.
본 발명의 치상부재 및 어댑터는 바람직하기로는 흡입식 커터 헤드를 갖는 준설 기계에 사용하기 위한 것인데, 이 타입의 커터 헤드는 수중 지면을 굴착하는 동시에 흩어진 재료들이 펌프에 의해 흡입되고 파이프를 통해 다른 곳으로 이송된다.
치상부재 및 어댑터 또는 어댑터들의 여러 시스템들이 준설 작업에 적용하기 위한 기술의 형태로 알려져 있다. 상기 작업의 주목적은 바다와 강 바닥에서부터 퇴적물을 제거하는 것이고, 이것을 하기 위하여 다양한 치상부재가 배치되고 차례로 치상부재바(bar) 또는 어댑터들에 연결되는 준설기 또는 준설 기계를 구비하는 준설선(dredge boats)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미국 특허 공보 US-3349548-B는 탄성끈(elastic strap)에 의하여 서로 부착되어서 만약 끈이 불완전하게 배열될 경우에 전체 시스템이 올바른 조립품으로 고쳐지는 치상부재 및 어댑터 시스템을 기술한다. 상기 특허는 또한 치상부재와 어댑터 사이에 단 한개의 접촉부를 갖는데, 이는 응력의 분배에 부정적으로 작용한다.
또한, 미국 특허 번호 US-4642920-B는 핀에 의해 형성된 고정 시스템에 의해 서로 부착된 치상부재 및 어댑터를 기술하며, 핀이 장착되어 있는 영역에 먼지가 쉽게 쌓여 나중에 핀의 제거를 어렵게 한다. 이 시스템은 시스템 내에 강한 레버 반응을 일으키는 비틀림 및 굽힘 응력 및 부하를 흡수하는데 어려움을 나타낸다. 앞에 언급한 특허 공보와 같이, 치상부재와 어댑터 사이에 접촉면이 거의 없다.
스페인 특허 공재 공보 ES-2077412-A는 두개의 체결 시스템의 사용이 필요한 세개의 부품들로 이루어진 치상부재 및 어댑터 조립품을 기술한다. 세개의 부품들을 갖는다는 사실은 그것이 복수의 예비 부품들 및 세개의 체결 시스템들을 요구하기 때문에 전체 시스템을 복잡하게 하는데, 이 체결 시스템들 중 한개는 해머의 사용이 요구되는 반면 다른 두개의 체결 시스템들은 용접에 의해 형성되어 교체 작업시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공정도 복잡하게 된다.
종래의 준설 기계 기술에 존재하는 해결책들은 그 중에서도 특히 하기와 같 은 결점들을 갖는다:
- 치상부재들의 재질은 설계된 기능에 최적화 되지 않고 강성부재로 되어있다. 종래 기술에서 공지된 빈 공간이 없는 치상부재 사용의 또 다른 결점은 그들의 중량 때문에 다루기가 더욱 어렵다는 것이다.
- 상기 출원의 종래 기술에 사용된 치상부재는 더욱 커서, 보관을 위한 더 많은 공간이 요구된다.
- 종래 기술에서 치상부재와 어댑터 사이의 맞물림을 위하여 작동될 동안 상기 치상부재와 어댑터 사이의 결합을 보장하는 고정 부재 또는 수직 핀이 구비된다. 치상부재가 마모되었을 때 그것을 교체할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해 커터 헤드를 물 밖으로 꺼낼 필요가 있으며 일반적으로 커터헤드에는 치상부재와 어댑터의 아랫부분에 수중 바닥 물질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핀은 일반적으로 윗부분에서 상기 핀을 타격함으로써 치상부재-어댑터 조립품의 아랫부분을 통해 제거되며, 이는 종종 핀이 물로 떨어지게 하여(치상부재가 물 위에서 교체되기 때문에) 되찾지 못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치상부재-어댑터 조립품의 아랫부분에 부착된 수중 바닥 물질이 있다는 사실은 핀이 하우징으로부터 나오는 것을 막기 때문에 상기 핀을 제거하기 어렵게 만든다. 그리고 핀이 조립품에 부착된 진흙 덩어리에 파뭍히게 되고 그 결과 물 안으로 떨어졌을 때 핀을 잃어버리는 것은 흔한 일이다.
- 종래 기술에 존재하는 맞물림의 구성 때문에, 치상부재가 과도하게 커서 긴 맞물림을 형성하고, 치상부재의 강도는 더 작아지고, 부피는 더욱 커지며, 커터 헤드에서 블레이드까지 길이는 증가하게 되며, 이로써 치상부재 및 조립품의 성능 을 감소시킨다.
- 어댑터 역시 치상부재에 의해 제공되는 보호 이외에 추가적인 보호가 없고 치상부재의 작용으로 흐트러진 수중물질들에 의해 영향받으며, 이것이 어댑터를 타격하게 되고, 결국 어댑터의 손상 및 마모를 가져온다.
본 발명은 전방 마모부, 및 후방 돌출부 즉 어댑터의 몸체에 배열된 공동(hollowing) 내부에 수납되기 위한 노즈(nose)를 구비한 치상부재를 기술하고, 준설 기계들을 위하여 치상부재와 어댑터에 의해 형성된 조립체를 기술하는데, 치상부재와 어댑터는 바람직하게는 해머가 없이 수직 타입의 고정 시스템에 의해 하나로 결합된다. 상기 고정 시스템은 해머를 사용할 필요가 없고, 양 부재를 하나로 결합하기 위한 핀을 타격할 필요가 없다. 어댑터는 상기 공동의 반대편 단에서 커플링에 의해 준설 기계의 커터 헤드의 블레이드에 부착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치상부재, 어댑터 및 양자에 의해 형성된 조립품을 제공하는 것이고, 이들은 바람직하게는 준설 기계류에 적용되며, 치상부재의 끝단, 및 톱니와 어댑터 사이에 있는 커플링 재료의 최적의 마모 성능을 허용한다. 발명의 이러한 목적은 양쪽 부재들 간 접촉면들의 특수한 구조로 달성되고, 이 구조는 자기-체결식 힘이 부하에 가깝게 만들어지게 함으로써 후방 반력의 수평 성분이 더 커지게 되고 그 결과 치상부재가 어댑터를 누름에 따라 자기-체결식 힘도 더 커진다.
준설 작업에서 치상부재는 실제 준설선 위에서 즉, 작업 현장 또는 작업 영역에서, 통상적으로 물 위에서 교체되어야 하며, 어댑터들, 치상부재바, 및 치상부재들을 갖는 커터헤드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작업한다. 상기 작업들은 상기 준설선위의 종업원들에 의해 수행되는데 즉, 이런 타입들의 작업들을 최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알맞은 편의시설 및 장비들을 구비한 정비 공장과 멀리 떨어진 작업 현장에서 수행된다. 이런 이유로 모든 상기 요소들은 체결 부재들 및 핀들로 연결되어 교체작업이 간단하고 과도한 수의 장비들 없이 복잡한 설비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치상부재-어댑터 조립품에 더하여 어댑터는 믈론 치상부재를 제공하는 것이고, 이들 부재는 그 구성으로 인해 응력의 분산을 가능하게 하여 어댑터 내에서 치상부재의 고정을 유리하게 하고 고정 시스템의 응력들을 줄일 수 있도록 허용하는데, 특히 핀에 작용하는 응력을 줄일 수 있다. 치상부재 및 어댑터의 구성은 준설 작업 외에도 사용될 수 있는데, 어댑터 또는 치상부재는 굴착기 또는 육상 장치들의 버킷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상부재 및 어댑터는 접촉면들 및 양쪽 부재들 사이의 커플링을 허용하는 구조적 특징을 가지며, 이 커플링은 커플링의 성능, 특히 각 치상부재의 효율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고, 결국 준설 기계의 효율성을 개선시킨다.
치상부재는 두개의 다른 부분들로 만들어지는데, 첫번째 마모부는 지면 위에 작용하고 지면과의 작용에 의한 마모를 받고, 두번째 부분 즉, 노즈는 어댑터 안에 형성된 하우징에 삽입됨으로써 맞물림 시스템을 형성하고, 지면 위 치상부재의 작동에 의해 발생된 반작용 및 응력을 받는다. 상기 노즈는 하부 베이스 몸체 및 상기 하부 베이스 몸체의 상부 표면에 일체로 형성된 부속물로 형성되고, 상기 노즈의 일측이 자유단으로 되어 있고 타측이 마모부에 연결된다. 마모부와 노즈 사이의 간격은 부속물의 상부 표면 및 하부 베이스 몸체의 상부 표면에 의해 결정되고, 노즈의 자유단으로부터 최고 높이에 도달한 후 치상부재의 팁(tip)에 모이며, 그래서 양쪽 표면들의 결합 라인이 치상부재의 마모부쪽에 그리고 노즈의 최고 높이 라인 앞에 위치한다.
노즈의 세로 종단면은 길이에 따라 변하고 자유단에서 둥근 모서리를 구비한 단면을 갖는다. 노즈가 치상부재의 마모부에 부착되기 위한 말단으로 갈수록 노즈의 단면적은 점차적으로 증가하며, 특히 하부 베이스 몸체와 베이스 몸체 부속물의 상부 사이에서 최고 높이에 도달할 때까지 노즈의 단면적이 증가한다. 이 시점 이후에 노즈의 단면적은 부속물의 상부 표면이 베이스 몸체의 하부 표면과 교차할 때까지 감소한다.
상기 단면은 타원형, 사다리꼴 또는 직사각형과 같은 다른 형상들을 가질 수 있지만 적어도 네개의 면들을 갖는다.
노즈의 상부에 위치한 부속물은 노즈의 베이스 단면보다 좁게 되어 있는데, 부속물의 사다리꼴 단면은 노즈 베이스에 대해서 중앙에 있다. 상기 부속물의 높이는 노즈의 자유단에 가까운 영역에서 바람직하게 0이고(비록 부속물이 상기 독립 말단에서 특정 높이를 갖는 것이 가능하지만) 이 높이는 상기 최고 높이 지점에 도달할 때까지 증가하다가 감소한다. 부속물의 연속되는 단면의 측면들과 치상부재의 노즈의 베이스 몸체의 연속되는 단면의 상부는 제조 문제로 인해 45°에서 180°사이, 바람직하게는 45°에서 90°사이에서 변하는 각도를 형성한다. 훨씬 더 바람직하게 이 각도는 90°보다 커서 부속물의 하부 베이스가 상부 베이스보다 더 크지만 반대의 경우 즉, 이 각도가 90°보다 작은 것도 가능하다.
노즈 역시 어댑터 하우징의 내부 표면과 접촉하는 적어도 한개의 접촉 영역을 갖고, 이러한 접촉 영역은 치상부재 노즈의 부속물의 양쪽에 위치한 노즈 베이스의 두개의 상부 표면에 의해 형성된다. 이 첫번째 접촉 영역의 주요 기능은 어댑터 안의 치상부재의 자기-체결을 가능하게 한다는 것이다.
치상부재의 팁에 대한 이 표면들의 근접성 때문에 즉, 지면에 대한 치상부재의 작동중 생성된 힘의 작용점이 상기 표면들 위의 반력을 더 크게 하고 그 결과 자기-체결식 힘(상기 반력의 성분)들도 더 커진다.
노즈는 어댑터에 대한 두번째 접촉 영역을 갖고, 이 접촉 영역은 노즈 베이스의 하부 표면 위에 위치하며, 이는 자유단에 가까운 영역이다.
어댑터는 또한 두개의 부품들로 구성되어 있다: 일측에 그것이 연결된 기계류의 타입에 따라 변할 수 있는 구성을 갖는 즉, 준설 기계의 커터 헤드, 또는 굴착 기계의 버킷 중 하나인 반면, 타측에 그것이 치상부재의 노즈를 수용하기 위한 공동, 하우징 또는 구멍을 갖는다. 치상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어댑터의 공동 또는 하우징 표면들의 내부 구성은 치상부재 노즈의 그것과 맞물리도록 보완적이고, 그래서 양 부재들 사이의 완벽한 커플링을 보장한다.
치상부재와 어댑터 사이의 커플링을 위하여, 양쪽 부품들이 바람직하게 구멍을 갖거나 보링 구멍을 통해 어댑터의 상부로부터 어댑터의 하부까지 치상부재의 노즈를 관통한다. 바람직하게 회전하는 표면들을 갖고 어댑터의 치상부재를 교환하는 데에 도움을 주는 바람직하게 해머가 필요 없는 고정 시스템(삽입 또는 제거를 위해 헤머 또는 채로 타격하는 것이 불필요한)을 갖는 핀이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될 것이다.
어댑터의 공동 또는 하우징 내에 있는 뒷 부분 즉, 치상부재 노즈의 커플링은 기술된 고정면들을 형성하는 평면들의 결합에 기인한다. 치상부재 및 어댑터 사이의 조이거나 부수는 효과는 응력이 치상부재의 마모팁에 수직으로 위로 향하게 적용될 때 상기 평면들에 의해 발휘되고, 이는 준설 기계의 커터 헤드 내에 있는 치상부재의 정상적인 작업 상태이다.
이 맞물림 시스템 때문에, 핀은 종래의 맞물림 시스템 보다 더 작은 응력을 받는데 이는 치상부재의 팁에 위로 향한 수직의 부하를 받을 때 치상부재-어댑터 시스템이 스스로 조여지기 때문이고, 그 결과 더 작은 응력을 받으므로 더 작은 크기 및 단면을 갖는 고정 시스템의 핀들을 설계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따라서 핀의 열화(deterioration) 또는 마모(mattage)를 감소시킨다.
기술된 커플링의 구성에서 치상부재와 어댑터 사이의 접촉면들은 종래의 커플링들에 있는 것보다 치상부재의 구동 팁에 더 가깝다. 이것은 치상부재와 어댑터 사이에 생성된 레버 효과를 감소시키고, 그 결과 체결 또는 고정 시스템을 포함하는 이 조림품이 받는 응력들도 역시 감소하며 따라서 열화 또는 마모를 감소시킨다. 치상부재 안의 레버 스트레스 감소는 상기 치상부재 노즈의 치수를 감소할 수 있게 한다. 게다가 그것의 형상 때문에 후방 돌기 즉, 노즈의 저항 단면이 자유단 방향으로 감소하여서 치상부재의 팁에 걸린 부하에 의한 상기 영역에서의 굽힘 모멘트가 감소하고 그 결과 저항 단면이 더 큰 지점에 더 큰 모멘트가 위치한다. 이 시스템의 총 치수 감소는 그 결과 맞물림의 높이 감소를 가능하게 하고, 따라서 더 깊게 침투하는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어댑터와 함께 본 발명의 치상부재는 마모 재료 즉, 치상부재의 전방 마모부에 배치된 재료 사용의 최적화를 가능하게 하는데, 이는 지면 위에 직접 작용하는 부분이다. 상기 최적화는 치상부재 팁의 재료를 감소시킴으로써 달성되며 이 재료는 최소량으로 사용되지는 않을 것이다. 치상부재의 팁 즉, 마모팁을 형성하는 마모되지 않은 재료는 구입되기는 했으나 그 목적으로 사용되지는 않았다. 치상부재 팁의 재료는 팁이 노즈 부속물의 상부 표면의 경사(치상부재의 마모팀에 평행한)에 따라 설계되기 때문에 최적화 되는데, 새 치상부재로 교체되기 전에 치상부재의 팁에서 가능한 많은 양의 재료를 사용한다.
치상부재-어댑터 커플링의 이러한 구조로 인해서, 그리고 사용자들이 준설작업을 "볼 수 없는 상태"에서 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치상부재의 팁은 치상부재 바의 마모가 시작되기 전에 완전히 마모될 것이고, 사용되지 않은 마모 재료가 최소로 되는데, 이러한 마모가 생기면 치상부재 뿐만 아니라 어댑터도 교체되어야 하기 때문에 시간적인 면에서나 경제적인 면에서 심각한 문제점이 된다. 치상부재의 마모 시간은 커터 헤드가 작동하는 회전수 및 작동하는 곳의 재료에 따라 달라지므로 치상부재의 수명을 예측하기 어렵다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일단 치상부재가 마모되면, 그리고 지면에 대한 방향 작용성으로 치상부재 바아의 마모가 시작되기 전에, 사용자는 진동이 증가된 것을 인식하고, 이 진동으로 작업자는 치상부재의 팁이 이미 마모되었다는 것을 알게된다. 치상부재가 점차적으로 마모됨에 따라 그것의 단면이 점차적으로 늘어나서 지면에 작용하는 치상부재의 단면이 점점 더 커지고, 침투를 위한 최적의 단면이 소모되어 상기 진동을 야기하며, 작업용 팁의 전체 단면이 소모되고 치상부재 바에 도달했을 때 상기 진동이 매우 커져서 작업자들이 치상부재를 교체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치상부재로 구성되고 이 치상부재는 전방 마모부와 어댑터의 커플링을 위한 노즈 사이에, 상기 정의된 경사면을 따라, 주변(perimetral) 돌기 또는 플랜지 또는 칼라(collar)를 가질 수 있고, 이것의 주요 목적은 준설 작업 동안 흩어진 물질들로부터 치상부재와 어댑터 사이의 접촉 영역을 보호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칼라는 커플링 내에서 아래의 세가지 기능들을 수행한다:
- 상부 및 하부 영역에 있는 디플렉터들을 통해 어댑터를 마모로부터 보호하고 이 디플렉터들이 흩어진 재료들의 흐름을 바꾸도록 설계되어 이 재료가 어댑터를 마찰하거나 타격하는 것을 방지하고 따라서 마모를 방지하며,
- 흩어진 재료가 맞물림 안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마개로 작용하여 체결 또는 고정 시스템 내에 이물질 유입을 감소시키며,
- 장시간의 마모 후 상부 및 하부 영역에 위치한 스토퍼들을 통해 어댑터와 접촉하고, 상기 스토퍼들이 어댑터와 접촉할 때 가해진 더 큰 응력에 저항하기 위해 더 두꺼우며, 치상부재와 어댑터 사이에 세번째 접촉 영역을 형성한다.
상기 칼라는 커플링의 작업 중 가해진 응력들을 받게 되는 칼라의 길이에 따라 가변적인 두께를 가질 수 있다. 특히, 상기 칼라는 상부 및 하부 영역에 가장 두꺼운 영역들을 가짐으로써, 접촉시 칼라 위에 있는 치상부재 바의 반력은 적용된 힘(Fc)에 정반대의 분력(component)을 작용한다. 그리고 칼라의 중간 영역은 치상부재의 팁을 향하여 곡면을 갖고 이 곡면이 맞물림의 형상으로 조절되며, 평면(S 및 I)의 평행관계에 따라 접촉영역이 치상부재의 팁에 더 가까워지도록 허용하고, 이 영역은 주 접촉 영역이 위치하는 곳으로, 상기 팁에 가깝게 위치하여 레버 효과도 감소시키게 된다. 상기 중심 영역들은 상부 및 하부 영역들에서 보다 작은 두께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그것의 치상부재의 노즈가 속이 비어서, 마모되는 재료의 양이 감소하는 것이다.
설명을 보충하고 본 발명의 특징을 더 잘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도록 하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일련의 도면이 상기 설명의 일부분으로서 첨부되었고,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결합되기 전의 칼라 없는 치상부재 및 어댑터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결합되기 전의 칼라 없는 치상부재 및 어댑터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칼라 없는 치상부재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는 칼라 없는 치상부재의 후면도를 나타낸다.
도 5는 칼라 없는 치상부재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6은 칼라 없는 치상부재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7은 경사면(S 및 I)을 나타내는 칼라 없는 치상부재의 측면도를 나타낸 다.
도 8은 칼라를 갖는 치상부재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9는 칼라를 갖는 치상부재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10은 칼라를 갖는 치상부재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11은 칼라를 갖는 빈 공간이 없는 치상부재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2는 속이 빈 칼라 없는 치상부재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3은 칼라 없는 치상부재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14는 도 13의 속이 빈 칼라 없는 치상부재의 Y-Y에 따른 단면을 나타낸다.
도 15는 도 13의 속이 빈 칼라 없는 치상부재의 Z-Z에 따른 단면을 나타낸다.
도 16은 도 13의 속이 빈 칼라 없는 치상부재의 AC-AC에 따른 단면을 나타낸다.
도 17은 도 13의 속이 빈 칼라 없는 치상부재의 AA-AA에 따른 단면을 나타낸다.
도 18은 도 13의 속이 빈 칼라 없는 치상부재의 AB-AB에 따른 단면을 나타낸다.
도 19은 도 13의 속이 빈 칼라 없는 치상부재의 AE-AE에 따른 단면을 나타낸다.
도 20은 어댑터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1은 어댑터의 도면을 나타낸다.
도 22는 어댑터의 배면도를 나타낸다.
도 23은 경사면(SA 및 IA)를 나타내는 도 22의 어댑터의 AB-AB에 따른 단면을 나타낸다.
도 24는 함께 연결된 칼라 없는 치상부재 및 어댑터의 도면을 나타낸다.
도 25는 도 24에 나타난 칼라 없는 치상부재 및 어댑터 사이 커플링의 AE-AE에 따른 단면을 나타낸다.
도 26은 조립된 고리 없는 톱니 및 어댑터를 나타내는데, 조립품이 받을 수 있는 힘과 반응을 나타낸다.
도 27은 치상부재의 노즈의 부속물이 전체 길이에 걸쳐 일정한 높이를 갖는 칼라 없는 치상부재를 나타낸다.
도 1에 보인 바와 같이, 본 출원의 발명 목적은 준설을 위한 치상부재 및 어댑터가 교체가능한 치상부재(10), 준설 기계의 커터 헤드 블레이드에 연결된 어댑터(20), 그리고 치상부재와 어댑터 사이의 연결을 보장해주는 고정 부재(30)로 형성되는 것이다.
도 3 및 도 20에 보인 바와 같이, 치상부재(10)은 땅 및 암석에 접촉하여 지면을 파고드는 일을 하는 전방 마모부(11) 즉, 치상부재의 팁으로 구성되고, 후방부에 어댑터(20)에 형성된 하우징 또는 공동(24)에 수납되는 돌기 즉, 노즈(12)를 갖는다.
도 4는 치상부재의 노즈(12)가 어떻게 하부 베이스 몸체(16) 및 상부 표면에 통합된 부속물(15)에 의해 형성되는지 보여주고, 자유단(14)이 전방 마모부의 반대쪽 단에 부착되면서, 상기 노즈(12)가 어떻게 베이스 몸체의 부속물의 상부 표면 및 하부 표면의 교차에 의해 마모부로부터 구분되는지 보여준다. 보다 명확하게 말하자면, 마모부(11)와 노즈(12) 사이의 간격은 경사면(S, I)에 의해서 결정되고 상기 부속물의 상부 표면 및 베이스 몸체의 하부 표면에 의해 결정되어서, 양 평면들(11)의 가상의 수평 교차 라인이 치상부재(10)의 최대 높이를 결정하는 수직 라인(hmax1-hmax2)의 전방에 위치하며, 이 최대 높이는 노즈(14)의 자유단 반대면에 위치한다. 상기 치상부재(H3)의 최대 높이는 부속물(H2)의 최대 높이와 조합된 베이스 몸체(H1)의 최대 높이에 의해 형성된다.
수평 x축을 따라 변하는 첫번째 수직면 XY를 따라, 도 13에서 도 19까지, 노즈의 베이스 몸체는 자유단 x0에서 단면을 갖고, 이 단면은 두번째 수직면 YZ를 따라 둥근 모서리의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노즈가 치상부재의 마모부에 연결되는 끝부분, 경사면(S, I), 명확하게는 노즈의 하부 표면이 경사면(I)과 교차할 때까지 접근함에 따라 노즈(12)의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이 지점 이후에는 상부 경사면(S) 및 하부 경사면(I)의 교차점 x1에 이르기까지 노즈의 수평 x축을 따라 단면적이 감소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치상부재(10)의 노즈(12)의 부속물(15)의 단면은 사다리꼴 단면을 갖고, 상기의 하부 베이스는 노즈(12)의 베이스 몸체의 상부 표면보다 좁고 상기 베이스 몸체(16)에 대해 중심에 있어서, 노즈(x0)의 자유단(14)에 가까운 영역에서 상기 부속물의 높이가 0이고 이 높이가 최대 높이(H2)에 도달할 때까지 점차적으로 증가하며, 이 지점에서 상기 부속물(15)의 상부 표면 및 노즈는 치상부재(11)의 마모부와 구분되는 상부 경사면(S)에 교차되고, 부속물의 높이는 이 지점 이후 상부 경사면(S) 및 하부 경사면(I)에 도달할 때까지 감소한다. 상기 부속물(15)은 노즈(14)의 자유단에서 높이 0을 갖지 않거나(도 28 참고), 노즈(12)의 베이스에 대해 중심에 있지 않을 수도 있다.
부속물(15)의 연속적인 단면들의 측면들(151, 152) 및 치상부재(10)의 노즈(12) 베이스의 연속적인 단면들의 상부(121, 122)는 45°와 180°사이에서, 바람직하게는 45°에서 135° 사이에서, 더 바람직하게는 90°보다 큰 각도를 형성한다.
상기에 실시예에 따르면, 치상부재(10)의 노즈가 적어도 네개의 둥근 모서리 및 상부 표면(120)과 하부 표면(123)을 구비한 하부 베이스 몸체(16)를 갖는 구조로 되어있다. 상기 하부 베이스 몸체(16)에 상부 표면(153) 및 하부 표면(154)를 구비하고 하부 베이스(154)가 상부 베이스(153)보다 큰 사다리꼴 단면을 구비한 상부 부속물(15)이 있고 하부 베이스(154)는 하부 베이스 몸체(16)의 상부 표면(120)보다 더 좁다. 노즈는 전방 마모부 즉, 팁(11)의 반대쪽에, 그리고 상기 자유단의 반대쪽 단에 있고 치상부재(10)의 팁(11)에 부착된 자유단(14)도 갖는다.
치상부재의 전방부 즉, 치상부재의 팁을 구비한 부착 영역의 단면과 마찬가 지로 치상부재의 노즈 및 그 단면은 하부 몸체(16)의 상부(120) 및 하부(123) 표면들의 점진적인 간격에 의해 형성되는데, 이 간격은 노즈(12)의 자유단(14)에 가까운 지점에서 시작하여 하부 베이스 몸체(16)의 최대 높이(H1)에 대응하는 최대 간격(H1)을 형성할 때까지 치상부재(11)의 팁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 몸체(16)의 단면이 증가한다. 부속물(15)의 상부(153) 및 하부(154) 표면들은 노즈(12)의 자유단(14)에 가까운 지점에서부터 서로 점진적으로 벌어져서, 부속물(15)의 최대 높이(H2)를 정의하는 최대 간격(H2)이 결정될 때까지 치상부재(11)의 팁 방향으로 상기 부속물(15)의 단면이 증가한다. 하부 베이스 몸체(16) 및 부속물(15)의 최대 높이(H1, H2)의 합은 치상부재 노즈(12)의 최대 높이(H3) 라인을 결정하여, 부속물(15)의 상부 표면(153) 및 하부 베이스 몸체(16)의 하부 표면(123)의 최대 높이(H3)의 상기 라인이 양쪽 표면들(153, 123)의 결합에 이르기까지 치상부재(10)의 팁(11)을 향해 모이기 시작한 후에, 양쪽 표면들(11)의 결합 라인이 치상부재(11)의 마모면 및 최대 높이(H3)의 라인 전방에 위치한다. 상기 최대 높이는 상기와 같이 노즈의 전체 높이에 따라 결정되는 시스템의 좋은 침입성과 시스템이 받는 스트레스에 따라 결정되는 시스템의 저항력 사이에 있는 균형점에 위치한다.
도 20의 어댑터는 일측이 준설 기계의 커터 헤드의 블레이드에 부착될 커플링(21)을 구비하고, 타측이 치상부재(10)의 후방 돌기 즉, 노즈(12)를 수용할 공동 또는 하우징(24)을 구비한 몸체에 의해 형성되며, 후방 돌기 또는 노즈는 상기 하우징(24)에 삽입된다. 도 22에서 어댑터(20)의 상기 하우징(24)의 내부 표면들은 치상부재(10)의 노즈(12) 표면들에 상호 보완적이다. 바꾸어 말하면, 상기 하우 징(24)은 하부 베이스 공동(22) 및 그것의 자유단에 일치하는 하우징(24)의 개구(28) 안 상부 표면(25)의 반전된 T-형상의 부속물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자유단 또는 개구(28)의 형상은 두개의 경사면들, 상부 평면 SA 및 다른 하부 평면 IA에 의해 정의되고, 이는 속이 빈 부속물의 상부 표면에 대응하고, 노즈의 베이스가 공동의 하부 표면에 대응하며, 평면들의 무한 교차점에 의해 형성된 상기 교차 라인(또는 교차점)에서 교차하여, 양쪽 평면들의 교차 라인(12)이 도 25에 나타난 것과 같이 공동(24)의 최대 높이(A3)를 결정하는 라인(hmax1 - hmax2)의 전방에 있게 된다.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내부 표면들은 치상부재 노즈의 그것에 상호 보완적이므로 상기 하우징의 무한 단면들은 수평의 x축을 따라 변하는 첫번째 수직 평면 XY에 따른 치상부재 노즈의 무한 단면들에 상호 보완적이고, 하우징은 개구(28)의 반대쪽인 하우징(24)의 바닥(26)에 두번째 수직 평면 YZ를 따라 둥근 모서리들을 구비한 직사각형 형상의 단면을 가져서, 하우징(24)의 개구(28)(평면 SA, IA)에 접근함에 따라 하우징(24)의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이 지점 이후에 하우징(24)의 단면적은 상부 경사면 SA 및 하부 경사면 IA의 교차점 x3에 이르기까지 다시 감소하기 시작한다.
마찬가지로, 공동(24)의 상부 부속물(25)의 단면이 사다리꼴 단면을 가지고, 공동(24)의 베이스 공동(22)보다 좁고, 공동(24)에 대해 중심에 있고 상기 부속물의 높이가 공동의 바닥(26)에 가까운 영역에서 0이고, 상기 부속물(25)의 상부 표면이 분리된 상부 경사면 SA와 교차할 때까지 높이가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이 지점 이후에 상부 경사면 SA 및 하부 경사면 IA의 교차점 x3에 도달할 때까지 부속물(25)의 높이는 감소한다. 또한 상부 부속물(25)은 0의 높이를 갖고 공동(26)의 바닥에 가까운 영역에서 끝나지 않고 특정한 높이를 가질 수 있으며, 공동(22)의 베이스에 대해 중심이 아닐 수도 있다.
명백하게 치상부재(10)의 노즈(12)와 같이, 부속물(25)의 연속적 단면들의 측면들(251, 252) 및 베이스 공동(22)의 연속적 단면들의 상부(221, 222)가 45°와 180°사이, 바람직하게는 45°와 135°사이에서 각도를 형성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도가 90°보다 크다.
바꾸어 말하면, 어댑터(20)는 커플링(21)의 반대쪽 단에서 후방 돌기 또는 치상부재(10)의 노즈(12)를 수용하기 위한 공동 또는 하우징(24)을 갖고 이 후방돌기 또는 노즈(12)는 상기 하우징(24)에 완전히 삽입된다. 상기 하우징(24)은 둥근 모서리들, 하부 베이스 공동 또는 공동(22)에 의해 형성되는데, 이 하부 베이스 공동 또는 공동(22)은 둥근 모서리들을 가지는 상부 표면(220) 및 하부 표면(223)을 구비한 적어도 네개의 측면들이 있는 단면을 갖고, 상기 상부 표면 위에 속이 빈 부속물(25)을 배치하며 치상부재(10) 노즈(12)의 하우징(24)을 형성한다. 상기 속이 빈 부속물(25)은 상부 표면(253) 및 하부 표면(254)에 의해 형성되고, 상부 베이스(253)의 단면보다 큰 사다리꼴 하부 베이스 단면을 가지며, 이 하부 표면(254)은 하부 베이스 공동(22)의 상부 표면보다 좁고, 상기 속이 빈 부속물(25)은 하부 베이스 공동(22)의 상부 표면(220)에 대해 중심에 위치한다. 어댑터(20)의 하우 징(24)은 어댑터의 커플링의 반대쪽 단에 위치하는 개구(28)와, 하우징(24)의 바닥(26)을 형성하고 블레이드에 연결되는 커플링에 인접하고 개구(28)의 반대쪽 단을 구비한다. 어댑터(20)의 하우징(24)은 하부 베이스 공동(22)의 상부(220) 및 하부(223) 표면들에 의해 결정되는데 이 표면들은 어댑터(20)의 공동의 바닥(26)에 가까운 지점으로부터 점진적으로 서로 분리되어서 상기 베이스 공동(22)의 단면이 최대 간격(A1)이 정의될 때까지 어댑터(20)의 개구(28) 방향으로 점차 증가하고 하부 베이스 공동(22)의 최대 높이(A1)에 대응한다. 속이 빈 상부 부속물(25)의 상부(253) 및 하부(254) 표면들은 어댑터(20)의 공동(26)의 바닥에 가까운 지점으로 부터 점진적으로 서로 분리되고, 상기 속이 빈 부속물(25)의 단면은 따라서 속이 빈 부속물(25)의 최대높이(A2)를 정의하는 최대 간격(A2)이 결정될 때까지 어댑터(20)의 개구(28) 방향으로 증가한다. 하부 베이스 공동(22) 및 속이 빈 부속물(25)의 높이들(A1, A2)의 합은 어댑터(20)의 하우징(24)의 개구(24)의 최대 높이(A3)를 결정한다. 속이 빈 부속물(25)의 상부 표면(253) 및 하부 베이스 공동(22)의 상기 최대 높이(A3) 라인이 양쪽 표면들(253, 223)이 결합될 때까지 공동(26) 바닥의 반대 방향으로 모이기 시작한 이후에, 양쪽 표면들(12)의 결합 라인이 공동의 바닥(26)면 반대쪽 및 어댑터(20) 공동(24)의 개구(28)의 최대 높이(A3) 라인의 전방에 위치한다.
도 24 및 도 25에 나타난 것과 같이, 양 부재들은 어댑터(20)의 하우징(24) 내에 치상부재(10)의 노즈(12)를 삽입함으로써 연결되고, 노즈(12) 및 하우징(24)의 상호 보완적인 표면들은 서로 접촉하게 된다.
어댑터(20)가 준설 기계의 커터 헤드의 블레이드 또는 프로펠러에 커플링(21)을 통해 장착됨과 동시에, 치상부재(10)가 상기 목적을 위해 바람직하게 해머 없는 고정 부재(30)를 사용하여 장착되는데, 즉, 치상부재 및 어댑터에 이러한 목적을 위해 의도된 하우징으로부터 이 부재를 제거하거나 안으로 삽입하기 위하여 채 또는 해머의 작업이 요구되지 않는다. 고정 시스템은 수직이고, 치상부재 및 어댑터의 상부를 통해 삽입 및 제거되며, 각각의 구멍들(13, 23)을 통해 치상부재(10)의 노즈(12) 및 어댑터(20)의 몸체를 가로지른다.
조립품이 구성되면, 작업이 되는 동안 치상부재(10)는 치상부재(11) 팁의 하부에 상향 수직 힘(Fc)을 받고, 드물게는 준설선의 출렁임 때문에 치상부재의 팁에 수직인 힘(Fs)을 받을 수 있으며, 치상부재(10)와 어댑터 사이의 커플링에 일련의 응력들 및 반응들을 야기하는데, 명확하게는 양자 사이의 접촉면들에 응력들 및 반응들을 야기한다.
양자 사이의 첫번째 접촉 영역은 두개의 표면들에 의해 형성되는데, 이들은 치상부재 및 어댑터로, 서로 접촉하며, 명확하게는 치상부재(10)의 노즈(12)의 부속물(15) 또는 어댑터(20)의 공동(24)의 부속물(25)의 양쪽면에 위치하는데 즉, 치상부재(10)의 표면들(121, 122) 및 어댑터(20)의 표면들(221, 222)에 위치한다. 치상부재(11)의 팁에 매우 가까운 첫번째 접촉 영역은 그것이 받는 응력 때문에 치상부재(10)가 어댑터(20)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막아주는 자기 체결식 반응(Rx2)을 발생시킨다. 치상부재(10)와 어댑터(20) 사이에 오직 한개의 접촉면만 있는 것이 가능한데, 예를 들어 치상부재(10) 노즈(12)의 부속물(15)이 치상부재(10) 노즈(12) 의 베이스에 대해 중심에 있지 않은 경우이다.
치상부재(10)의 건설적인 대안은 그 안에 칼라 또는 플랜지(40)를 배열하여 구성되고(도 8에서 도 11까지 참조), 이는 치상부재의 둘레에 위치하며 그들의 치상부재 또는 팁(11)의 전방과 치상부재(10) 노즈(12)의 시작점 사이에서 앞에서 정의된 간격과 일치한다. 상기 칼라(40)의 두께 또는 너비는 상기 영역이 받는 응력에 따라 둘러싼 치상부재의 영역에 따라 달라진다.
본 발명의 치상부재(10)의 다른 특징은 치상부재(10)의 노즈(12)가 그것의 기계적인 특징에 영향을 주지 않고 치상부재의 중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공동 또는 구멍(50)을 갖는다는 것이다.(도 12)
어댑터가 어댑터와 치상부재 사이에 배열된 고정 부재가 제거되었을 때, 연장을 삽입하고 치상부재 제거를 돕기 위한 치상부재를 갖는 접촉 영역에 적어도 한개의 홈(27)을 갖는다는 것이 언급되어야 한다.

Claims (18)

  1. 고정 시스템(30)에 의해 어댑터(20)에 연결된 치상부재(10)로서, 상기 어댑터(20)가 준설 기계의 프로펠러에 바람직하게 부착되도록 준비되고, 모래 및 자갈과 접촉하도록 형성된 전방 마모부 즉, 팁(11)과, 후방 커플링(12)부를 갖는 치상부재(10)에 있어서, 상기 후방 커플링부로서 돌출부인 노즈(12)는
    둥근 모서리들을 구비한 적어도 네개의 면들 및 상부 표면(120) 및 하부 표면(123)을 갖는 하부 베이스 몸체(16);
    상부 표면(153) 및 하부 표면(154)을 갖고, 각각 상기 표면들(153, 154)에 의해 결정된 상부(153) 및 하부(154) 베이스들의 사다리꼴 단면을 갖고, 하부 베이스 몸체(16)의 상부 표면(120)보다 좁고 하부 베이스 몸체(16)의 상부 표면(120)에 대해 중심에 있는 하부 베이스(154)를 갖는 상부 부속물(15);
    전방 마모부 또는 팁(11)의 반대쪽의 자유단;
    상기 자유단의 반대쪽에 있고 치상부재(10)의 팁(11)에 부착되는 단;을 포함하고
    하부 베이스 몸체(16)의 상부(120) 및 하부(123) 표면들이 노즈(12)의 자유단(14)에 가까운 지점으로부터 점진적으로 서로 분리되어서, 상기 베이스 몸체(16)의 단면이 하부 베이스 몸체(16)의 최대 높이(H1)에 대응하는 최대 간격(H1)이 정의될 때까지 치상부재(11)의 팁 방향으로 증가하고, 부속물(15)의 상부(153) 및 하부(154) 표면들이 노즈(12)의 자유단(14)에 가까운 지점으로부터 점진적으로 서로 분리되어서, 상기 부속물(15)의 단면이 부속물(15)의 최대 높이(H2)를 정의하는 최대 간격(H2)이 결정될 때까지 치상부재(11)의 방향으로 증가하고, 하부 베이스 몸체(16) 및 부속물(15)의 최대 높이들(H1, H2)의 결합이 치상부재 노즈(12)의 최대 높이(H3) 라인을 결정하며, 상기 최대 높이(H3) 라인 이후에 부속물(15)의 상부 표면 및 하부 베이스 몸체(16)의 하부 표면(123)이 양 표면들(153, 123)이 결합될 때까지 치상부재(10)의 팁(11) 방향으로 모이기 시작하고, 양 표면들(11)의 결합 라인이 치상부재(11)의 마모부의 측면에 위치하고 최대 높이(H3)의 라인 전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상부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즈(12)의 하부 베이스 몸체(16)의 상부(120) 및 하부(123) 표면들이 노즈(12)의 자유단(14)으로부터 점진적으로 서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상부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속물(15)의 상부(153) 및 하부(154) 표면들이 노즈의 자유단(14)으로부터 점진적으로 서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상부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치상부재가 치상부재 둘레에 위치한 칼라(40) 또는 플랜지를 갖고 상기 치상부재 또는 팁(11)의 전방 마모부와 상기 후방부 또는 노즈(12) 사이의 간격에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상부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40)가 그 둘레의 다른 영역에 가변적인 두께 또는 너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상부재.
  6. 제 5항에 있어서, 상부 및 하부 영역과 어댑터 사이에 접촉이 될 때 응력을 견디기 위해 이 영역에서 상기 칼라(40)의 두께가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상부재.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40)가 일정한 두께 또는 너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상부재.
  8. 제 1항에 있어서, 치상부재의 무게를 줄이기 위해 상기 치상부재(10)의 노즈(12)가 속이 빈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상부재.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즈(12)가 치상부재(10)를 어댑터에 고정하기 위한 수직 핀(30)을 수납하기 위한 수직 하우징(1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상부재.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핀(30)을 하우징 안으로 삽입 또는 하우징으로부터 제거하기 위하여 채 또는 해머로 타격하는 것이 필요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상부재.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속물(15)의 하부 베이스(154)가 상부 베이스(153)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상부재.
  12. 치상부재(10)와 연결되기 위한 어댑터로서, 이 어댑터가 일측에 준설 기계의 커터 헤드의 블레이드에 바람직하게 부착되는 커플링(21)을 갖고, 커플링(21)의 반대측에 치상부재(10)의 후방 돌기부 또는 노즈(12)를 수용하기 위한 공동 또는 하우징(24)을 갖는데, 상기 후방 돌기부 또는 노즈(12)가 상기 하우징(24)에 완전히 삽입되고, 상기 하우징(24)은:
    둥근 모서리들, 상부 표면(220) 및 하부 표면(223)을 구비한 적어도 사면의 단면을 갖는 하부 베이스 공동(22);
    상부 표면(253) 및 하부 표면(254)을 갖고, 하부 베이스 공동(26) 위에 배치되고 연결되어, 치상부재(10)의 노즈(12)의 하우징(24)을 형성하고, 상기 표면들(253, 254)에 의해 상부(253) 및 하부(254) 베이스들의 사다리꼴 단면이 각각 결정되며, 하부 베이스(254)가 하부 베이스 공동(22)의 상부 표면(220)보다 좁고, 하부 베이스 몸체(22)의 상부 표면(220)에 대해 중심에 있는 속이 빈 상부 부속물(25);
    블레이드에 연결하기 위한 단의 반대쪽 단에 있는 개구(28);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28)의 반대쪽 단에 위치하고 블레이드의 커플링에 가깝게 위치하는 공동 바닥(26);을 구비하되,
    상기 하부 베이스 공동(22)의 상부(220) 및 하부(223) 표면들이 어댑터(20)의 공동의 바닥(26)에 가까운 지점으로부터 점진적으로 서로 분리되어서, 상기 베이스 공동(22)의 단면이 하부 베이스 공동(22)의 최대 높이(A1)에 대응하는 최대 간격(A1)을 정의할 때까지 어댑터(20)의 개구(28) 방향으로 증가하고, 속이 빈 상부 부속물(25)의 상부(253) 및 하부(254) 표면들이 어댑터(20)의 공동(26)의 바닥에 가까운 지점으로부터 점진적으로 서로 분리되어서, 상기 속이 빈 부속물(25)의 단면이 속이 빈 부속물(25)의 최대 높이(A2)를 정의하는 최대 간격(A2)을 결정할 때까지 어댑터(20)의 개구(28) 방향으로 증가하고, 하부 베이스 공동(22) 및 속이 빈 부속물(25)의 최대 높이들(A1, A2)의 합이 어댑터(20) 하우징(24) 개구(28)의 최대 높이(A3) 라인을 결정하며, 속이 빈 부속물(25)의 상부 표면(253) 및 하부 베이스 공동(22)의 하부 표면(223)의 상기 최대 높이(A3) 라인은 양 표면들(253, 223)이 결합될 때까지 공동(26)의 바닥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모이기 시작하고, 양 표면들(12)의 결합 라인은 공동(26)의 바닥의 반대면에 위치하고 어댑터(20) 공동의 개구(28)의 최대 높이(A3) 라인의 전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20).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의 바깥 윤곽이 치상부재(10)의 바깥 윤곽과 같은 단면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가 치상부재(10)와 접촉하는 영역에 연장을 삽입하고 치상부재 제거를 돕기 위한 적어도 한개의 홈(27)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가 치상부재(10)를 상기 어댑터(20)에 고정하기 위한 수직 핀(30)을 수용하기 위한 수직 하우징(23)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1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핀(30)이 하우징(30)으로의 삽입 및 하우징으로부터의 제거를 위해 채 또는 해머로 타격하는 것이 필요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17.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속이 빈 부속물(25)의 하부 베이스(254)가 그 상부 베이스(253)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18. 준설 기계에 연결되기 위한 치상부재 및 어댑터 조립품으로서, 상기 조립품은
    제 1항 내지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치상부재;
    제 12항 내지 제 1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어댑터;및
    어댑터 내 치상부재의 체결을 보장하는 고정 시스템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상부재 및 어댑터 조립품.
KR1020097006524A 2006-09-01 2006-09-01 준설 기계용 치상부재 및 어댑터 KR1013164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S2006/000498 WO2008025859A1 (es) 2006-09-01 2006-09-01 Diente y adaptador para maquina de dragado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1108A true KR20090091108A (ko) 2009-08-26
KR101316443B1 KR101316443B1 (ko) 2013-10-08

Family

ID=39135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6524A KR101316443B1 (ko) 2006-09-01 2006-09-01 준설 기계용 치상부재 및 어댑터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8166678B2 (ko)
EP (1) EP2058440B1 (ko)
JP (1) JP5362566B2 (ko)
KR (1) KR101316443B1 (ko)
CN (1) CN101558206B (ko)
AU (1) AU2006347789B2 (ko)
BR (1) BRPI0621902B1 (ko)
CA (1) CA2661786C (ko)
EG (1) EG25137A (ko)
ES (1) ES2856094T3 (ko)
MX (1) MX2009002088A (ko)
WO (1) WO20080258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PI0621902B1 (pt) * 2006-09-01 2018-12-26 Metalogenia Sa dente para ser conectado a um adaptador por meio de um sistema de retenção, e adaptador para ser acoplado com um dente
NL2004771C2 (en) * 2010-05-26 2011-11-29 Ihc Holland Ie Bv Tooth system.
WO2012006664A1 (en) * 2010-07-13 2012-01-19 Bradken Resources Pty Limited Excavation tooth assembly
US8387290B2 (en) * 2010-09-08 2013-03-05 Hensley Industries, Inc. Connector pin assembly with dual function outer end portions, and associated ground engaging apparatus
US8943717B2 (en) 2011-10-08 2015-02-03 Caterpillar Inc. Implement tooth assembly with tip and adapter
US9062436B2 (en) 2011-10-07 2015-06-23 Caterpillar Inc. Implement tooth assembly with tip and adapter
US9057177B2 (en) 2011-10-08 2015-06-16 Caterpillar Inc. Implement tooth assembly with tip and adapter
US8943716B2 (en) 2011-10-10 2015-02-03 Caterpillar Inc. Implement tooth assembly with tip and adapter
AU2012318298B2 (en) 2011-11-23 2016-02-04 Esco Group Llc Wear assembly
EA030737B1 (ru) 2012-02-17 2018-09-28 Эско Корпорейшн Сменный износный блок
CN103243773B (zh) * 2013-05-10 2015-12-30 宁波市鄞州精铸五金厂 一种挖掘机斗齿
EP2829664A1 (en) 2013-07-22 2015-01-28 Metalogenia Research & Technologies S.L. Male and female parts for a wear assembly of an earth-moving machine's bucket
NO20131382A1 (ko) * 2013-10-18 2015-04-20 Kverneland Group Operations Norway As
EP2913441A1 (en) * 2014-02-27 2015-09-02 Metalogenia Research & Technologies S.L. A locking device for the wear assembly of an earth moving machine
EP2966228A1 (en) 2014-07-11 2016-01-13 Metalogenia Research & Technologies S.L. Tooth and adaptor for a dredging machine
CN104563194B (zh) * 2014-11-29 2017-01-18 宁波市鄞州精铸五金厂 一种改良结构的挖掘机斗齿
NL2015612B1 (en) * 2015-10-14 2017-05-08 Ihc Holland Ie Bv Snail tooth.
CN106812173A (zh) * 2017-04-10 2017-06-09 中国水利水电第七工程局成都水电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改进型土质隧道开挖辅助设备
KR101817064B1 (ko) * 2017-08-09 2018-01-10 성보공업주식회사 굴삭기의 버킷용 투스
CN108505580B (zh) * 2018-03-27 2023-12-26 浙江澳德耐磨零部件有限公司 一种挖掘机和疏浚机械用齿头结构
JP7160777B2 (ja) * 2019-09-13 2022-10-25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バケット用のツース取付構造、及びバケット用のツース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600698A (en) * 1945-11-20 1948-04-15 Harnischfeger Corp Improvements in earth removing rotary excavators
US2040085A (en) * 1934-03-23 1936-05-12 Bucyrus Erie Co Dipper tooth
US2230424A (en) 1939-01-07 1941-02-04 American Brake Shoe & Foundry Dipper tooth assembly
US2385395A (en) * 1944-02-11 1945-09-25 Electric Steel Foundry Excavating tooth
US2919506A (en) * 1958-04-21 1960-01-05 Electric Steel Foundry Co Excavating tooth and base support therefor
US3624827A (en) * 1968-12-11 1971-11-30 Caterpillar Tractor Co Earthworking tooth and supporting adapter
JPS516882Y2 (ko) * 1971-05-26 1976-02-25
ES175209Y (es) * 1971-11-29 1973-03-16 Caballero Rodriguez Dispositivo de sujecion de unas en maquinas excavadoras.
US3791054A (en) 1972-06-15 1974-02-12 Great Canadian Oil Sands Lip construction for bucketwheel excavators
US3919792A (en) * 1974-11-25 1975-11-18 Esco Corp Excavating tooth assembly
US4214633A (en) * 1977-10-11 1980-07-29 Koehring Company Soil stabilizer and tooth holder therefor
US4360981A (en) * 1977-12-12 1982-11-30 Suncor Inc. Lip and tooth combination for bucket wheel excavator
US4275929A (en) * 1978-08-25 1981-06-30 The Cincinnati Mine Machinery Company Means for removably affixing a cutter bit mounting lug to a base member on the driven element of a mining machine or the like
US4233761A (en) * 1978-12-01 1980-11-18 Page Engineering Company Earth digging bucket tooth construction having a nose with increased section modulus
US4261620A (en) * 1979-10-30 1981-04-14 Carmet Company Tapered lock pin for a cutter tool bit
US4404760A (en) * 1980-04-28 1983-09-20 Esco Corporation Excavating tooth
SE450504B (sv) * 1983-07-26 1987-06-29 Bofors Wear Parts Ab Slitdelssystem for verktyg till jordbearbetningsmaskiner
SE8405819L (sv) * 1984-11-20 1986-05-21 Bofors Wear Parts Ab Slitdelssystem
DE3444563A1 (de) * 1984-12-06 1986-06-19 Lehnhoff Hartstahl GmbH & Co, 7570 Baden-Baden Baggerzahn-anordnung
SE441814B (sv) 1984-12-18 1985-11-11 Esselte Almanacksforlag Ab Systemkalender
US5188680A (en) * 1990-11-15 1993-02-23 Esco Corporation Method of making tooth point
EP0649945B1 (de) 1993-08-30 1996-04-17 Baz Service Ag Baggerzahn
US5782019A (en) * 1995-11-29 1998-07-21 H & L Tooth Company High strength earth working tooth
US5709043A (en) * 1995-12-11 1998-01-20 Esco Corporation Excavating tooth
US5666748A (en) * 1995-12-11 1997-09-16 Esco Corporation Wear cap and components useable therewith
EP0835963B1 (en) * 1996-07-01 1999-09-15 Metalogenia, S.A. Coupling joint for the teeth of excavating machines
ES2146541B1 (es) * 1998-06-08 2001-04-01 Metalogenia Sa Dispositivo para el acoplamiento de dientes de excavadoras.
ES2158805B1 (es) * 1999-10-01 2002-04-01 Metalogenia Sa Perfeccionamientos en los acoplamientos para dientes de maquinas para movimiento de tierras.
USH2020H1 (en) * 1999-10-29 2002-05-07 Caterpillar Inc. Tip and adapter for an earthworking bucket
ES2336897T3 (es) 2001-07-06 2010-04-19 Esco Corporation Acoplamiento para pieza desgastable de excavadora.
SE524301C2 (sv) * 2003-07-11 2004-07-20 Combi Wear Parts Ab Tandsystem
BRPI0318633B1 (pt) * 2003-12-05 2015-04-14 Metalogenia Sa Elemento de desgaste para ser conectado a um adaptador, elemento adaptador para ser conectado a um elemento de sujeição, e conjunto de desgaste para ser conectado a um elemento de sujeição.
EP3263777B1 (en) * 2006-03-30 2021-11-03 Esco Group LLC Wear assembly
BRPI0621902B1 (pt) * 2006-09-01 2018-12-26 Metalogenia Sa dente para ser conectado a um adaptador por meio de um sistema de retenção, e adaptador para ser acoplado com um dente
EP1997967B1 (en) * 2007-06-01 2010-05-12 IHC Holland IE B.V. Tooth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661786C (en) 2014-01-28
JP2010501760A (ja) 2010-01-21
US20090320333A1 (en) 2009-12-31
KR101316443B1 (ko) 2013-10-08
EP2058440A1 (en) 2009-05-13
MX2009002088A (es) 2009-08-31
AU2006347789B2 (en) 2012-04-26
BRPI0621902B1 (pt) 2018-12-26
JP5362566B2 (ja) 2013-12-11
US8166678B2 (en) 2012-05-01
BRPI0621902A2 (pt) 2011-12-20
ES2856094T3 (es) 2021-09-27
EP2058440A4 (en) 2014-10-29
EG25137A (en) 2011-09-25
WO2008025859A8 (es) 2009-07-02
CN101558206A (zh) 2009-10-14
CA2661786A1 (en) 2008-03-06
AU2006347789A1 (en) 2008-03-06
CN101558206B (zh) 2011-12-14
EP2058440B1 (en) 2021-01-20
WO2008025859A1 (es) 2008-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6443B1 (ko) 준설 기계용 치상부재 및 어댑터
AU2012318431B2 (en) Ground engaging implement tooth assembly with tip and adapter
KR100950406B1 (ko) 마모 부재를 장착하기 위한 조립체
AU2012318440B2 (en) Ground engaging implement tooth assembly with tip and adapter
AU2012318447B2 (en) Ground engaging implement tooth assembly with tip and adapter
CA2501697C (en) Lip assembly including side portions with projections
US20080000114A1 (en) Tooth and adaptor assembly
KR20010033881A (ko) 굴토작업 장비용 지면 결합 공구 및 이를 위한 보유기
US10202743B2 (en) Tooth and adaptor for dredging machine
KR20080043343A (ko) 개선된 굴착 부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