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0066A - 차량자세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자세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0066A
KR20090090066A KR1020080015315A KR20080015315A KR20090090066A KR 20090090066 A KR20090090066 A KR 20090090066A KR 1020080015315 A KR1020080015315 A KR 1020080015315A KR 20080015315 A KR20080015315 A KR 20080015315A KR 20090090066 A KR20090090066 A KR 200900900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lateral acceleration
control system
steering angle
es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5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은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080015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90066A/ko
Publication of KR20090090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00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02Control of vehicle driving st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60W40/06Road conditions
    • B60W40/076Slope angle of the r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60W40/109Lateral accel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18Steering ang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ntrol Of Driving Devices And Active Controlling Of Vehicle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자세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오르막길이나 내리막길에서 차량의 횡 가속도가 일정한 값이 되도록 제어를 하는 차량자세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자세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횡 가속도 제한모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횡 가속도 제한모드이면 횡 가속도가 기준값 이상이면 차량의 속도를 감속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차량자세제어 시스템, 횡 가속도

Description

차량자세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CONTROL METHOD FOR ELECTRONICS STABILITY PROGRAM IN A VEHIC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자세제어 시스템의 제어계통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자세제어 시스템의 제어수순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ESP제어부 110: 제어부
120: 휠속도센서 130: 횡 가속도 센서
140: 조향각센서 150: 메모리부
160: 엔진제어시스템 170: 엔진
180: 전자제어식 브레이크 시스템 190: 유압브레이크
본 발명은 차량의 자세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경사길이나 오르막길에서 운전자의 선택에 의해 차량의 횡 가속도를 제한하는 차량의 자세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전자제어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엔진제어시스템(EMS)과 안티 락 브레이크 시스템(ABS)과 자동변속제어장치(TCU) 및 차량자세제어 시스템(ESP) 등이 개발되어 많은 차량에 적용되고 있다.
안티 락 브레이크 시스템은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 제동력 증가 또는 유지 상태로 제어하는 중에 제동압력이 노면상태보다 크거나 제동압력으로 발생하는 유압브레이크에서 마찰력이 타이어나 노면에서 발생하는 제동력보다 크면 타이어가 노면에서 미끄러지는 슬립현상을 방지하도록 한다.
엔진제어시스템은 전자적으로 엔진의 점화시점, 특히 엔진의 토크를 조절하여 차량의 가속과 감속을 제어한다.
자동변속제어장치는 차량의 운행상황에 따른 각종 정보를 기본으로 최적의 변속이 가능하도록 한다.
차량자세제어 시스템(ESP)는 엔진제어시스템을 이용한 구동력과 안티 락 브레이크 시스템을 이용한 제동력을 종합적으로 제어를 통해 운전자가 요구하는 차량의 주행방향과 실제 차량의 주행 방향과의 차이를 최소화시켜 어떤 운전조건에서도 운전자가 의도한 차량의 주행방향을 유지시켜주는 시스템이다.
그러나, 종래의 차량자세제어 시스템은 운전자가 급격한 조향을 하여 차량이 노면 한계에 또는 어느 시점에 조달했을 때에 제어를 하여, 차량 안정성을 확보하는 시스템을 이용한 편리 기능으로서 다양한 부가 기능들(HDC, HSA 등)이 개발되고 있는 데,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기능은 이에 한가지로서 특히, 오르막 길이나 내리막 길에서 횡 가속도 변화가 급격하여 차량이 불안정하게 되지 않도록 차량의 횡가속도를 일정 범위 이내로 머물 수 있도록 하는 제어기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오르막길이나 내리막길에서 차량의 횡 가속도가 일정한 값 이내에 머물도록 제어를 하는 차량자세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 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자세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횡 가속도 제한모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횡 가속도 제한모드이면 횡 가속도가 기준값 이상이면 차량의 속도를 감속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차량의 속도를 감속 하는 단계는 조향각의 크기에 따른 감속비율로 감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에, 상기 조향각의 크기와 상기 감속비율은 비례관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자세제어 시스템의 제어계통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일시 예에 따른 차량자세제어 시스템은 차량자세제어 시스템의 전반적인 제어를 하는 ESP제어부(100)와, ESP제어부(100)의 입 력측에 제공되는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기 위한 휠 속도 센서(120), 조향각센서(140) 및 차량의 횡 가속도를 감지하는 횡 가속도센서(130)와 운전자가 조작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입력부(110) 및 ESP제어부(100)의 출력측에 제공된 엔진제어시스템(160), 안티 락 브레이크 제어 시스템(180)를 포함한다.
입력부(110)는 ESP제어부(100)에 운전자가 횡 가속도 제한모드를 선택하면 ESP제어부(100)에 횡 가속도 제한모드수행 명령을 제공한다. 이렇게 함으로 운전자는 도로의 지형 또는 횡 가속도 제한모드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휠 속도 센서(120)는 차량의 휠 일측에 설치되어 휠 속도를 감지하여 ESP제어부(100)에 제공한다. 이러한 휠 속도 센서(100)로부터 제공되는 휠 속도를 이용하여 ESP제어부(100)는 차량의 주행속도를 추정할 수 있게 된다.
조향각센서(140)는 차량의 핸들에 설치되어 운전자에 의해 회전되는 핸들의 회전방향과 회전속도 및 조향각을 감지하여 ESP제어부(100)에 제공한다.
엔진제어시스템(160)는 ESP제어부(100)의 제어신호에 의해 엔진의 토크를제어한다. 이에 따라, 차량의 속도가 조절될 수 있게 된다.
전자제어식 브레이크 시스템(180)은 ESP제어부(100)의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유압조절모듈의 솔레노이드밸브와 펌프모터를 제어하여 유압브레이크(180)에 인가되는 유압을 제어한다. 이에 따라, 유압브레이크(180)의 제동력이 조절될 수 있게 된다.
메모리부(150)에는 ESP제어부(100)가 횡 가속도 제한 모드를 수행하는 데에 필요한 데이터가 저장된다. 다시 말하면, 조향각에 따른 차량의 감속도 비율이 저장된다. 이에 따라, ESP제어부(100)는 횡 가속도 제한 모드를 수행하는 경우 메모리부(150)에서 조향각에 따른 감속도 비율을 읽어 들여 엔진제어시스템(160)과 전자제어식 브레이크 시스템(180)에 제어신호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차량의 감속 비율은 조향각의 크기에 비례할 수 있다. 즉, 조향각이 크면 감속 비율은 크고 조향각이 작으면 감속비율은 작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자세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대하여 도면과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자세제어 시스템의 제어수순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ESP제어부(100)는 횡 가속도 제한모드 수행조건인지를 판단한다(201). 즉, ESP제어부(100)는 운전자가 횡 가속도 제한모드를 선택하여 입력부(110)로부터 횡 가속도 제한모드 수행명령이 입력되는지를 판단한다.
이때에, ESP제어부(100)는 횡 가속도 제한모드 수행조건이 아니면 계속하여 횡 가속도 제한모드 수행조건인지를 판단한다.
반면에, 횡 가속도 제한모드 수행조건이면 ESP제어부(100)는 조향각센서(140)으로부터 조향각을 입력받고(202), 횡 가속도센서(130)로부터 횡 가속도를 입력받는다(203).
이어서, ESP제어부(100)는 횡 가속도가 기준값(A) 이상인지를 판단한다(204).
이때에, 횡 가속도가 기준값(A) 이상이면, ESP제어부(100)는 엔진제어시스 템(160)과 전자제어식 브레이크 시스템(180)에 감속제어명령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엔진제어시스템(160)는 엔진(170)의 속도를 낮추고 전자제어식 브레이크 시스템(180)은 유압브레이크(180)의 유압이 높게 하여 제동력을 증가시켜, 차량의 속도가 감속하게 된다. 여기서, 차량의 감속 비율은 조향각의 크기에 비례하여 결정될 수 있다.
그 다음, ESP제어부(100)는 횡 가속도제한종료모드인지를 판단하여(206), 횡 가속도제한모드종료조건이 아니면 조향각센서(140)로부터 조향각을 입력받는 단계(202) 및 그 이후의 단계를 수행하고, 횡 가속도제한모드종료조건이면 종료한다.
이에 반하여, 횡 가속도가 기준값(A) 이상이면, ESP제어부(100)는 차량의 속도를 유지하며(206), 상기되는 206단계 및 그 이후의 단계를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자세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의하여, 운전자가 급격한 조향을 하는 때에 특히, 오르막 길이나 내리막 길에서 횡 가속도 변화가 일정한 값으로 유지될 수 있어 차량이 안정적으로 되며, 승차감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횡 가속도 제한모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횡 가속도 제한모드이면 횡 가속도가 기준값 이상이면 차량의 속도를 감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자세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속도를 감속 하는 단계는 조향각의 크기에 따른 감속비율로 감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자세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각의 크기와 상기 감속비율은 비례관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자세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080015315A 2008-02-20 2008-02-20 차량자세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 KR200900900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5315A KR20090090066A (ko) 2008-02-20 2008-02-20 차량자세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5315A KR20090090066A (ko) 2008-02-20 2008-02-20 차량자세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0066A true KR20090090066A (ko) 2009-08-25

Family

ID=41208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5315A KR20090090066A (ko) 2008-02-20 2008-02-20 차량자세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9006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9598B1 (ko) 2019-12-26 2021-03-19 상신브레이크주식회사 상용차의 esc 실차 성능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9598B1 (ko) 2019-12-26 2021-03-19 상신브레이크주식회사 상용차의 esc 실차 성능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52126B2 (en) Assistance system for driving in slopes for automobiles
US10647320B2 (en) Method and a system for controlling vehicle speed
US20130138316A1 (en) Brake Control Apparatus
US20070029875A1 (en) Brake pressure controller for vehicle
US9050950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ntrolling braking of a vehicle when the vehicle is stationary
US9067573B2 (en)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controlling a vehicle brake system
WO2010061432A1 (ja) 車両の走行制御装置
US20130060434A1 (en) Vehicle gear-shifting control apparatus
JPH10217924A (ja) ブレーキ装置の制御方法及び装置
US20170151936A1 (en) Stop maintaining system of vehicle
US8781703B2 (en) Selective automated vehicle brake force release on an inclined surface
US7191048B2 (en) Vehicle motion control apparatus
KR20080007246A (ko) 차량의 주행 기능 제어 방법
JP2010270854A (ja) 車両制御装置
JP2013119269A (ja) 車両用制御装置
KR100957635B1 (ko) 자동차용 전자식 제동시스템
CN109849880B (zh) 通过使用行车特征分析来改变abs控制模式的方法
KR20090090066A (ko) 차량자세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
JP2008110619A (ja) 車両用制動制御装置
US20210270333A1 (en) Vehicle control system
KR101086812B1 (ko) 엔진 드래그 토크제어방법
JP6243684B2 (ja) 車両の制御装置
JP2007112156A (ja) 制動制御装置
KR100845910B1 (ko) 차량의 선회 안정성 향상을 위한 엔진 토크 저감 제어 후토크 회복 방법
JP4670655B2 (ja) 車両用制動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