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9700A - 가상 키보드가 적용된 기기의 문자 입력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가상 키보드가 적용된 기기의 문자 입력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9700A
KR20090089700A KR1020080015008A KR20080015008A KR20090089700A KR 20090089700 A KR20090089700 A KR 20090089700A KR 1020080015008 A KR1020080015008 A KR 1020080015008A KR 20080015008 A KR20080015008 A KR 20080015008A KR 20090089700 A KR20090089700 A KR 200900897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d
virtual keyboard
candidate
spelling
candidate wor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5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2825B1 (ko
Inventor
권성혁
정동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투이엔지
권성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투이엔지, 권성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투이엔지
Priority to KR1020080015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2825B1/ko
Publication of KR20090089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9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2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28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7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prediction or retrieval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3Upda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06F16/3331Query processing
    • G06F16/3332Query translation
    • G06F16/3334Selection or weighting of terms from queries, including natural language que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상 키보드가 적용된 기기의 문자 입력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키버튼 중 제1 철자에 대응하는 제1 키버튼이 제1 인식 영역을 갖도록 설정하고, 제2 철자에 대응하는 제2 키버튼이 제2 인식 영역을 갖도록 설정하고, 제1 인식 영역과 제2 인식 영역이 겹쳐지는 영역이 터치될 경우 제1 철자 및 제2 철자를 모두 인식하고, 인식된 철자를 조합하여 단어를 검색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키버튼을 정확하게 터치하지 않더라도 원하는 단어를 쉽게 입력할 수 있다.
가상 키보드, 키버튼, 후보단어, 인식 영역, 데이터 베이스

Description

가상 키보드가 적용된 기기의 문자 입력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inputting phrase to device applying virtual keyboard}
본 발명은 가상 키보드가 적용된 기기의 문자 입력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인접한 복수의 키버튼 각각의 인식 영역이 겹쳐지는 어떤 세부 인식 영역이 터치될 경우 상기 세부 인식 영역에 대응하는 복수의 철자를 동시에 인식하여 복수의 철자를 조합하여 단어를 표시한다.
최근 아이폰, 프라다폰 등과 같은 전면 터치스크린을 채용한 휴대 단말기의 비중이 점차 늘어나고 있으며, 태블릿 PC와 같은 형태의 컴퓨터는 물리적인 키보드 대신 가상의 키보드를 터치스크린 형태로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그래픽 형태로 구현되는 가상의 키보드 또는 키패드는 소프트웨어적으로 간단히 인터페이스를 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기존 휴대단말기의 물리적 키패드와 같이 키버튼 사이에 물리적 경계가 없어 잘못된 키를 누르게 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터치스크린에 나타난 가상의 키보드를 이용해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 입력 에러가 발생하기 쉽고 문자 입력 시간이 길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가상 키보드를 이용해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 키버튼을 정확하게 터치하지 않더라도 단어를 자동으로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는 가상 키보드가 적용된 기기의 문자 입력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터치에 의해 작동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철자와 대응하는 복수의 키버튼을 포함하는 가상 키보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상기 복수의 키버튼 중 제1 키버튼이 제1 인식 영역을 갖도록 설정하고, 상기 제1 인식 영역에 제1 철자를 할당하는 단계, 상기 제1 키버튼에 인접한 제2 키버튼이 상기 제1 인식 영역과 일부 겹쳐지도록 제2 인식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제2 인식 영역에 제2 철자를 할당하는 단계, 상기 제1 인식 영역과 상기 제2 인식 영역이 겹쳐지는 제3 인식 영역에 상기 제1 철자 및 상기 제2 철자를 동시에 할당하는 단계, 터치되는 인식 영역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철자를 순서대로 표시하며, N번째 터치에서 상기 제1 인식 영역과 상기 제2 인식 영역이 겹쳐지는 상기 제3 인식 영역이 터치된 경우 N-1번째 터치된 인식 영역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철자를 N-1번째 철자로 포함하는 복수의 후보단어 중 N번째 철자가 상기 제1 철자 또는 상기 제2 철자인 단어를 새로운 복수의 후보단어로 업데이트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가상 키보드가 적용된 기기의 문자 입력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 시스템은, 터치에 의해 작동되는 복수의 키버튼을 포함하는 가상 키보드, 상기 복수의 키버튼 중 제1 철자에 대응하는 제1 키버튼이 제1 인식 영역을 갖도록 설정하고, 상기 제1 키버튼과 인접하고 제2 철자에 대응하는 제2 키버튼이 상기 제1 인식 영역과 일부 겹치도록 제2 인식 영역을 설정하는 인식 영역 설정부, N번째 터치에서 상기 제1 인식 영역과 상기 제2 인식 영역이 겹쳐지는 제3 인식 영역이 터치될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철자를 동시에 인식하고, N-1번째 터치된 인식 영역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철자를 N-1번째 철자로 포함하는 복수의 후보단어 중 N번째 철자가 상기 제1 철자 또는 상기 제2 철자인 단어를 새로운 복수의 후보단어로 업데이트하는 후보단어 업데이트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복수의 키버튼 각각의 인식 영역을 설정하고, 각각의 인식 영역이 겹쳐지는 어떤 세부 인식 영역에는 겹쳐지는 인식 영역에 대응하는 철자를 모두 할당함으로써, 키버튼을 정확하게 터치하지 않더라도 원하는 단어를 자동으로 편리하게 완성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 키보드가 적용된 기기의 문자 입력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 키보드가 적용된 기기의 문자 입력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가상 키보드란, 사용자 또는 기타 도구의 터치를 통해 작동되는 가상의 키보드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터치스크린 상에 구현되는 가상 키보드뿐만 아니라, 레이저 투사를 통해 가상으로 형성된 영상을 통해 구현된 가상 키보드 등, 나열하지 않은 다양한 종류의 가상의 개념을 갖는 키보드를 모두 포괄하는 개념이다.
또한, 가상 키보드가 적용된 기기는 컴퓨터, 노트북, 휴대폰, PDA 등과 같이 다양한 종루의 가상 키보드가 구비된 어떠한 기기도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터치스크린 상에 구현되는 가상의 키보드를 예로 하여 본 발명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 키보드가 적용된 기기의 문자 입력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 키보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가상 키보드 중 일부 키버튼을 부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 키보드가 적용된 기기의 문자 입력 시스템은 디스플레이부(100), 제어부(20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00)는 가상 키보드(110), 제1 표시부(120), 제2 표시부(130)를 포함하고, 제어부(200)는 인식 영역 설정부(210), 후보단어 업데이트부(220), 데이터 베이스(230), 최종단어 결정부(240)를 포함한다.
가상 키보드(110)는 터치에 의해 작동되는 복수의 키버튼을 포함한다. 사용자에게는 도 2와 같이 복수의 키버튼에 대응하는 철자뿐 아니라 부호들도 표시될 수 있다.
제1 표시부(120)는 사용자가 터치하는 지점에 대응하는 철자를 조합하여 검색된 복수의 후보 단어를 표시한다.
제2 표시부(130)는 사용자가 터치하는 지점에 대응하는 철자를 순서대로 표시하고, 터치점에 대응하는 철자가 2개 이상일 경우에는 우선 순위가 높은 철자를 표시한다. 또한, 제2 표시부(130)는 제1 표시부(120)에 표시된 복수의 후보단어 중 사용자가 선택한 최종 단어를 표시한다. 이때, 제1 표시부(120)는 주로 단어를 표시하고 제2 표시부(130)는 주로 문장을 표시한다.
인식 영역 설정부(210)는 사용자가 가상 키보드를 터치하기 전에 미리 복수의 키버튼 각각이 일정한 인식 영역을 갖도록 설정하고, 각 인식 영역별로 철자를 할당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식 영역 설정부(210)는 복수의 키버튼 하나하나마다 사용자가 터치시 키버튼이 인식되기 위한 인식 영역(20)을 설정한다. 이때, 인식 영역 설정부(210)는 각 인식 영역(20)이 서로 겹쳐지도록 설정한다. 인식 영역(20)이 서로 겹쳐지는 영역에는 겹쳐지는 영역에 대응하는 철자를 모두 할당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터치점(10)은 철자 't'에 대응하는 키버튼(t)의 인식 영역(20_t)과 철자 'r'에 대응하는 키버튼(r)이 할당된 키버튼의 인식 영역(20_r)이 겹쳐져 있는 부분이므로, 터치점(10)이 터치될 경우 후보단어 업데이트부(220)는 철자 't'와 철자 'r'을 동시에 인식한다.
이때, 인식 영역(20)은 원형으로 도시하였으나 인식 영역(20)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직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임의의 형태 등 다양한 모양과 크기로 설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에서는 도 2의 가상 키보드 중 'r', 't', 'y', 'u', 'f', 'g', 'h', 'j', 'v', 'b', 'n', 및 'm' 키버튼만을 부분 확대하여 표시하고 있다. 도 3에서 가상 키보드는 총 12개의 키버튼은 실선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각 키버튼의 인식 영역(20)은 실선으로 그려진 원을 통해 나타나 있고, 점선을 통해 다시 세부 인식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세부 인식 영역1의 경우, 키버튼 'r'의 인식 영역(20_r)에만 포함되므로, 세부 인식 영역1에는 철자 'r'만 할당된다. 세부 인식 영역2의 경우, 키버튼 'r'과 키버튼 't'의 인식 영역(20_r, 20_t)에 동시에 포함되므로, 세부 인식 영역2에는 철자 'r' 및 't'가 할당된다. 세부 인식 영역3의 경우, 키버튼 't', 'y', 'g' 및 'h'의 인식 영역(20_t, 20_y, 20_g, 20_h)에 동시에 포함되므로, 세부 인식 영역3에는 철자 't', 'y', 'g' 및 'h'가 동시에 할당된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세부 인식 영역 각각에 하나 이상의 철자를 할당하면, 사용자가 터치하는 터치 지점에 해당하는 세부 인식 영역이 반드시 존재하고, 터치된 세부 인식 영역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철자가 동시에 인식되어 제2 표시부(130)에 표시된다.
이때, 세부 인식 영역은 정사각형으로 도시하였으나, 세부 인식 영역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오각형, 육각형, 임의의 영역 등 다양한 모양과 크기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각 세부 인식 영역은 서로 다른 모양과 크기로 설정될 수 있다. 한 예로 도 3에서 인식 영역(20)을 나타내는 실선으로 구분되는 영역 하나하나가 각 세부 인식 영역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그리고, 세부 인식 영역은 터치 스크린에 나타나는 적어도 하나의 픽셀(pixel)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세부 인식 영역을 서로 겹쳐지지 않으며, 사용자가 가상 키보드가 차지하는 영역의 어디를 터치하더라도 그에 대응하는 세부 인식 영역이 존재한다.
또한, 상기 세부 인식 영역은 사용자가 실제 가상 키보드를 사용할 때 사용자에게 보여질 필요가 없음은 자명하다.
후보단어 업데이트부(220)는 하나의 인식 영역에만 포함되는 세부 인식 영역이 터치될 경우, 터치된 세부 인식 영역에 할당된 하나의 철자를 인식한다. 그리고, 후보단어 업데이트부(200)는 복수의 인식 영역이 겹쳐지는 인식 영역에 포함되 는 세부 인식 영역이 터치될 경우, 터치된 세부 인식 영역에 할당된 복수의 철자를 동시에 인식한다. 그리고, 후보단어 업데이트부(220)는 N-1번째 터치된 인식 영역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철자를 N-1번째 철자로 포함하는 복수의 후보단어 중 N번째 철자가 N번째 터치된 인식 영역에 대응하는 복수의 철자와 동일한 철자인 단어를 새로운 복수의 후보단어로 업데이트하여 제1 표시부(120)로 출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s', 'c', 'h', 'o' 및 'l' 을 터치 받은 경우, 후보단어 업데이트부(220)는 터치점을 포함하는 세부 인식 영역에 할당된 하나 이상의 철자를 동시에 인식하고, 이러한 동작은 1 내지 6번째 터치마다 개별적으로 수행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school 단어 중 1번째 철자인 's'를 입력하고자 가상 키보드(110)를 터치하고, 터치점(10)을 포함하는 세부 인식 영역에 할당된 철자가 's'만 존재하는 경우, 후보단어 업데이트부(120)는 데이터 베이스(230)에 저장된 복수의 단어 중에서 's' 및 's'로 시작하는 단어들을 검색한다.
이때, 데이터 베이스(230)는 복수의 단어가 저장되어 있고 외부로부터 새로운 단어를 추가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첫번째(N=1) 터치의 경우에는, N-1(0)번째 터치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데이터 베이스(230)에 저장된 N(1)개 또는 N(1)개 이상의 철자를 갖는 단어(사실상 데이터 베이스(230)에 저장된 모든 후보단어) 중에서 N(1)번째 철자가 상기 N(1)번의 터치시 인식된 철자인 's'와 일치하는 단어들만이 후보단어 업데이트부(220)에 업데이트된다. 이때, 후보단어는 's' 및 's'로 시작되는 단어들이다.
그리고, 2번째 철자인 'c'를 입력하고자 가상 키보드(110)를 터치하고, 터치 점을 포함하는 세부 인식 영역에 할당된 철자가 'c'만 존재하는 경우, 후보단어 업데이트부(220)는 1번째 터치시 검색된 's' 및 's'로 시작되는 단어 중 'sc' 및 'sc'로 시작하는 단어들을 데이터 베이스(230)에서 검색하여 제1 표시부(120)에 출력한다.
이때, 제1 표시부(120)는 후보단어 중에서 2번째 철자가 'c'와 일치하는 후보단어인 'sc' 뿐만 아니라 'sc'로 시작되는 scab, sch, school, schoolboy, schematic, sclera, sclerometer, scold, scrap, scrumptious 등의 단어를 표시한다.
다음, 3번째 철자인 'h'를 입력하고자 가상 키보드(110)를 터치하고 터치점을 포함하는 세부 인식 영역에 할당된 철자가 'h' 와 'l'인 경우, 후보단어 업데이트부(220)는 이전에 2번째 터치시 검색되는 'sc' 및 'sc'로 시작되는 단어 중에서 'sch', 'scl', 'sch'로 시작하는 단어, 'scl'로 시작하는 단어들을 새로운 후보단어들을 새로운 후보단어로 업데이트하고, 새로운 후보단어를 제1 표시부(120)로 출력한다.
그러면, 제1 표시부(120)는 3번째 철자가 'h'이나 'l'과 일치하는 후보단어인 'sch', 'scl' 뿐만 아니라 'sch' 및 'scl'로 시작되는 sch, school, schoolboy, schemetic, sclera, sclerometer 등을 후보단어로 표시한다.
여기서, 'scl'로 시작되는 단어가 없는 경우, 후보단어 업데이트부(220)는 'scl' 로 시작되는 단어만을 후보단어로 로 업데이트한다.
이러한 단계를 반복한 후 6번째 철자인 'l'을 입력하고자 가상 키보드(110) 를 터치하고 터치점을 포함하는 세부 인식 영역에 할당된 철자가 'l'과 경우, 'k'인 경우, 후보단어 업데이트부(220)는 5번째의 터치 동작시 데이터 베이스(230)에서 검색된 'schoo'로 시작되는 다양한 후보 단어(위의 예에서, school, schoolboy 등) 중에서 6번째로 철자가 6번째 터치된 철자인 'l' 또는 'k'와 일치하는 후보단어를 후보단어로 업데이트하여 제1 표시부(120)로 출력한다.
이와 같이, 초기 복수의 후보단어(주로 사전 및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단어에 기반한 데이터 베이스(230))에서 시작하여 각각의 터치마다 인식되는 복수의 철자를 이용하여 복수의 후보단어를 업데이트하여 후보단어의 개수를 좁혀 나가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5번째 터치시 제1 표시부(120)에는'schoo', 'school', 'schoolboy', 'schoolgirl 등 5철자 이상으로 이루어진 단어들도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6번째 'l'을 입력하기 전 후보단어 중 원하는 단어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복수의 후보단어 중 원하는 단어를 선택할 경우, 최종단어 결정부(240)는 선택된 후보단어를 최종단어로 제2 표시부(130)에 출력한다. 그러면, 제2 표시부(130)는 최종단어를 표시한다.
이와 같이, 6자리 수의 단어를 입력할 경우, 6번째 철자를 터치하기 전에 복수의 후보단어 중 원하는 단어를 선택함으로써, 단어를 입력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가상 키보드(110)는 입력 완료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완료 버튼(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완료 버튼을 터치할 경우, 후보단어 업데 이터부(220)는 N번째 터치된 인식 영역에 대응하는 복수의 철자를 N번째 철자로 포함하는 후보단어 중 N개의 철자를 갖는 단어만을 업데이트하여 제1 표시부(120)로 출력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제1 표시부(120)에 표시된 N개의 철자를 갖는 단어 중 원하는 단어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6번째 터치시 검색된 'school', 'schoolboy', 'schoolgirl', 'schook' 등의 단어들을 후보단어로 출력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완료 버튼을 터치할 경우, 후보단어 업데이트부(220)는 상술한 후보단어 중 6개의 철자를 갖는 'school', 'schook'만을 제1 표시부(120)로 출력한다.
이때, 데이터 베이스(230)에 'schook'라는 단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최종단어 선택부(240)는 사용자가 별도의 조작을 하지 않더라도 'school'을 최종 단어로 결정하여 제2 표시부(130)로 출력한다.
완료 버튼은 단어 입력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명령키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school에 해당되는 단어 입력이 완료된 후 다음 단어를 입력하기 위해 선택되는 '스페이스키', '띄워쓰기 명령키', 그 이외의 소정의 명령키 또는 문장의 마침 또는 쉼을 알리는 '마침표', '쉼표' 버튼 등이 완료 버튼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완료 버튼은 가상 키보드(110)에 별도의 키버튼으로 표시될 수 있다.
한편, 후보단어 업데이트부(220)는 N번째의 터치 이후 완료 버튼이 인식될 경우, N번째 터치된 인식 영역에 대응하는 복수의 철자를 N번째 철자로 포함하는 복수의 후보단어 중 우선 순위를 계산하여 우선 순위가 높은 순으로 복수의 후보단어를 업데이트하여 제1 표시부(120)로 출력할 수 있다. 복수의 후보단어의 우선순 위는 후보단어의 철자 수, 자주 사용되는 단어, 문법, 자주 사용되는 문장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한, 후보단어 업데이트부(220)는 완료 버튼이 터치되기 전 또는 후에 후보단어의 우선 순위를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4번째 터치가 이루어진 경우, 4번째 터치시 검색되는 4개 또는 4개 이상의 철자를 갖는 후보단어가 'have', 'gave', 'naver' 만이 남았고, 사용자는 'I have many apples' 라는 문장을 치기 위해 먼저 'I'를 입력한 상태라고 가정하자. 문법상 'I' 다음에는 동사가 와야 하므로, 후보단어 업데이트부(220)는 'have', 'gave'를 'naver'보다 우선 순위로 출력한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I have~'라는 문구를 'I gave~'라는 문구보다 많이 사용했으면, 후보단어 업데이트부(200)는 'have'를 'gave'보다 우선 순위로 출력한다. 우선 순위 계산 중 완료 버튼이 터치될 경우, 최종단어 결정부(240)는 후보단어가 3개일지라도 가장 우선순위가 높은 'have'를 사용자의 별도 선택없이 최종 단어로 설정하여 제2 표시부(130)로 출력한다. 이와 같이, 제2 표시부(130)에는 사용자의 우선 순위에 따라 최종 단어가 표시되어 문자를 보다 간편하게 입력할 수 있다.
N번째 터치시 검색된 후보단어의 개수가 1개이고 N번째의 터치 후 완료 버튼이 터치될 경우, 후보단어 업데이트부(220)는 1개의 후보단어를 최종단어 결정부(240)로 출력한다. 그러면, 최종단어 결정부(240)는 1개의 후보단어를 최종 단어로 결정하여 제2 표시부(130)로 출력한다. 또한, 후보단어가 1개일 경우 별도의 선택 과정 없이 최종 단어를 제2 표시부(130)에 표시할 수 있다. 그러면, 최종 단어 선택하는 시간이 줄어들어 사용자 편의를 개선할 수 있다.
N번째 터치시 검색된 후보단어의 개수가 0개인 경우, 후보단어 업데이트부(220)는 후보단어의 개수가 0개임을 알리는 신호를 실시간으로 제1 표시부(120)로 전달한다. 일반적으로 후보단어가 0개인 경우는 오타가 심하거나 데이터 베이스(240)에 존재하지 않는 신조어, 속어, 인터넷 용어, 이모티콘 등이 입력된 경우이다.
또한, N번째 터치시 검색된 후보단어의 개수가 0개인 경우, 후보단어 업데이트부(200)는 N번째 터치 지점이 포함된 세부 인식 영역에 할당된 하나 이상의 철자뿐 아니라 가능한 모든 철자를 인식한다. 그러면, 사용자가 N번째 터치시 원하는 철자와 먼 거리에 위치한 키버튼을 터치했을 경우, 가능한 모든 철자를 동시에 인식함으로써, N+1번째 터치시 입력되는 하나 이상의 철자 또는 입력 완료 신호 등이 유효하게 인식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 키보드가 적용된 기기는 가상 키보드(110)를 이용하여 데이터 베이스(23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신규 후보단어(신조어, 속어, 인터넷용어, 이모티콘 등)를 직접 입력할 수 있다. 또한, 후보단어 업데이트부(220)는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단어를 자동으로 추출하여 데이터 베이스(230)에 저장한 후, 사용자가 가상 키보드를 터치할 경우 자주 사용하는 단어를 제1 표시부(120)로 출력하여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터치된 단어가 데이터 베이스(230)에 미리 저장되어 있지 않은 단어일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단어를 디스플레이(100)에 표시할 수 있도록, 후보단어 업데이트부(220)는 사용자가 키버튼을 직접적으로 터치하여 입력되는 철자로 이루어진 단어 를 제1 표시부(120) 또는 제2 표시부(130)로 출력한다. 그러면, 제1 표시부(120) 또는 제2 표시부(130)는 단어 선택 단계 또는 완료 버튼을 누르는 단계를 거치지 않고 키버튼을 통해 직접적으로 입력되는 철자를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단어를 입력하기 위해 가상 키보드(110)에 연속적인 터치를 수행할 때 각 터치가 수행되고 있다는 피드백을 주거나 후보단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보다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 키보드가 적용된 기기의 문자 입력 방법에서는 사용자가 원하는 철자를 잘못 터치하더라도 다양한 후보단어를 제시함으로써, 목적한 단어를 보다 쉽게 입력할 수 있다.
인식 영역 설정부(210)는 복수의 키버튼이 인식되기 위한 각각의 인식 영역(20)의 크기 및 모양을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으며, 인식 영역의 크기가 클수록 각각의 세부 인식 영역에 할당되는 철자의 수가 많아지므로, 제1 표시부(120)에 표시되는 후보단어의 개수가 다양해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인식 영역 설정부(210)를 이용하여 인식 영역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후보단어의 개수를 제한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 키보드가 적용된 기기의 문자 입력 방법에 대해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 키보드가 적용된 기기의 문자 입력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가상 키보드(110)를 통해 복수의 키버튼이 터치되기 전에, 인식 영역 설정 부(210)는 복수의 키버튼 각각의 인식 영역을 인접한 키버튼의 인식 영역이 일부 겹쳐지도록 설정하고, 각 인식 영역별로 철자를 할당한다(S410). 이때, 복수의 인식 영역 중 인접한 2개의 키버튼은 2개의 인식 영역이 서로 일부 겹치도록 설정되고, 서로 겹쳐지는 인식 영역에는 각각의 인식 영역에 대응하는 철자를 모두 할당한다.
사용자가 가상 키보드(110)를 터치하는 순서에 따라 후보단어 업데이트부(220)는 터치점을 포함하는 인식 영역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철자를 동시에 인식한다(S420).
이때, 터치점을 포함하는 인식 영역에 대응하는 키버튼이 완료 버튼일 경우(S430), 후보단어 업데이트부(220)는 후보단어의 개수를 검색한다(S440). 후보단어 업데이트부(220)에서 검색된 후보단어의 개수가 0개일 경우, 최종단어 결정부(240)는 터치점을 포함하는 인식 영역에 대응하는 철자를 실제 입력된 철자로 제2 표시부(130)에 표시한다(S450). 후보단어 업데이트부(220)에서 검색된 후보단어의 개수가 1개일 경우, 최종단어 결정부(240)는 후보단어의 개수가 1개일 경우, 최종단어 결정부(240)는 1개의 단어를 최종 단어로 제2 표시부(130)에 출력한다(S460). 후보단어 업데이트부(220)에서 검색된 후보단어의 개수가 2개 이상일 경우, 사용자는 제1 표시부(120)에 표시된 복수의 후보단어 중 원하는 단어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최종 단어를 선택하면(S470), 최종단어 선택부(240)는 사용자가 선택한 단어를 최종 단어로 제2 표시부(130)로 출력한다(S480).
이때, 터치점을 포함하는 인식 영역에 대응하는 키버튼이 완료 버튼이 아닐 경우(S430), 후보단어 업데이트부(220)는 N번째 터치에서 복수의 철자가 할당된 인식 영역이 터치된 경우 N-1번째 터치된 인식 영역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철자를 N-1번째 철자로 포함하는 복수의 후보단어 중 N번째 철자가 N번째 터치된 인식 영역에 대응하는 철자인 단어를 검색한다(S490).
검색된 후보단어의 개수가 0개일 경우(S500), 후보단어 업데이트부(220)는 후보단어의 개수가 0개임을 알리는 신호를 실시간으로 제1 표시부(120)에 전달한다(S510).
검색된 후보단어의 개수가 0개가 아닐 경우(S500), 후보단어 업데이트부(220)는 검색된 하나 이상의 후보단어를 새로운 복수의 후보단어로 업데이트하여 제1 표시부(120)로 출력한다(S520).
제1 표시부(120)는 후보단어 업데이트부(220)로부터 입력되는 복수의 후보단어를 표시한다(S530). 이때, 제1 표시부(120)는 후보단어 업데이트부(220)로부터 입력된 우선 순위에 따라 복수의 후보단어를 순서대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후보단어의 우선 순위는 철자 수, 자주 사용되는 단어, 문법, 자주 사용되는 문장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우선 순위를 계산하는 단계는 하나의 단어가 입력 완료되는 단계 이전 또는 이후에 이루어질 수 있으며, 우선 순위를 계산하는 과정에서 높은 컴퓨팅 자원이 요구될 경우에는 우선 순위를 계산하는 단계를 생략할 수 있다.
제1 표시부(120)에 표시된 복수의 후보단어의 개수가 2개 이상일 경우(S540), 최종단어 결정부(240)는 사용자가 최종단어를 선택할 때까지 대기한다. 사용자가 복수의 후보단어 중 원하는 단어를 선택할 경우(S550), 최종단어 선택부(240)는 사용자가 선택한 단어를 최종 단어로 제2 표시부(130)로 출력한다(S560). 제1 표시부(120)에 표시된 복수의 후보단어의 개수가 2개 미만일 경우(S540), 후보단어 업데이트부(220)는 다 철자가 입력될 때까지 대기한다.
사용자가 복수의 후보단어 중 원하는 단어를 선택하지 않은 상태에서(S560) 사용자는 다음 철자에 대응하는 키버튼을 터치할 수 있다. 그러면, 후보단어 업데이트부(220)는 터치점을 포함하는 인식 영역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철자를 인식하고(S420), 상기한 동작을 반복 수행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데이터 베이스(230)에 신규 단어를 추가하는 단계는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데이터 베이스(230)에 신규 단어를 추가하는 단계는 어떤 단계 중에 수행되어도 무관하다.
제한된 휴대 단말기의 크기에서 사용자에게 보다 넓은 화면을 제공하기 위해서,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휴대 단말기의 사용은 점차 확대되는 추세이다. 이러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휴대 단말기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자 입력 시스템 또는 방법을 도입할 경우, 인터넷에서의 포스팅, 문자 전송등과 같은 인터렉티브한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문자 입력 시스템 및 방법은 복잡한 알고리즘을 요구하는 것이 아니라 간단한 프로그래밍을 통해 휴대 단말기에 내장될 수 있다. 복수의 키버튼 각각의 인식 영역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하나의 세부 인식 영역에 하나의 철자가 대응되는 기준 방식으로도 기기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인식 영역을 설정함으로써, 산업상 이용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 키보드가 적용된 기기의 문자 입력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 키보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가상 키보드 중 일부 키버튼을 부분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 키보드가 적용된 기기의 문자 입력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Claims (24)

  1. 터치에 의해 작동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철자와 대응하는 복수의 키버튼을 포함하는 가상 키보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키버튼 중 제1 키버튼이 제1 인식 영역을 갖도록 설정하고, 상기 제1 인식 영역에 제1 철자를 할당하는 단계,
    상기 제1 키버튼에 인접한 제2 키버튼이 상기 제1 인식 영역과 일부 겹쳐지도록 제2 인식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제2 인식 영역에 제2 철자를 할당하는 단계,
    상기 제1 인식 영역과 상기 제2 인식 영역이 겹쳐지는 제3 인식 영역에 상기 제1 철자 및 상기 제2 철자를 동시에 할당하는 단계, 그리고
    터치되는 인식 영역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철자를 순서대로 표시하며, N번째 터치에서 상기 제3 인식 영역이 터치된 경우, N-1번째 터치된 인식 영역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철자를 N-1번째 철자로 포함하는 복수의 후보단어 중 N번째 철자가 상기 제1 철자 또는 상기 제2 철자인 단어를 새로운 복수의 후보단어로 업데이트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상 키보드가 적용된 기기의 문자 입력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키버튼과 인접한 제3 키버튼이 상기 제1 및 제2 인식 영역과 일부 겹쳐지도록 제4 인식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제4 인식 영역에 제3 철자를 할당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인식 영역과 겹쳐지는 제5 인식 영역에 상기 제1 내지 제3철자를 동시에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상 키보드가 적용된 기기의 문자 입력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후보단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후보단어 중 사용자가 원하는 단어를 선택하는 단계, 그리고
    선택된 상기 단어를 최종 단어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상 키보드가 적용된 기기의 문자 입력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N번째 터치 이후 단어 입력 완료를 나타내는 완료 신호가 입력될 경우, N번째 터치된 인식 영역에 대응하는 복수의 철자를 N번째 철자로 포함하는 복수의 후보단어 중 N개의 철자를 갖는 단어만을 상기 복수의 후보단어로 표시하는 가상 키보드가 적용된 기기의 문자 입력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N개의 철자를 갖는 상기 복수의 후보단어 중에서 우선 순위를 계산하여 우선 순위가 높은 순으로 상기 복수의 후보단어를 표시하는 가상 키보드가 적용된 기기 의 문자 입력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 순위는 후보단어의 철자 수, 자주 사용되는 단어, 문법, 자주 사용되는 문장에 따라 결정되는 가상 키보드가 적용된 기기의 문자 입력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N번째 터치시 검색된 상기 복수의 후보단어의 개수가 1개이고 단어 입력 완료를 나타내는 완료 신호가 입력될 경우, 1개의 상기 후보단어를 최종 단어로 표시하는 가상 키보드가 적용된 기기의 문자 입력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N번째 터치시 검색된 상기 복수의 후보단어의 개수가 0개일 경우, 상기 복수의 후보단어의 개수가 0개임을 실시간 표시하는 가상 키보드가 적용된 기기의 문자 입력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N번째 터치시 검색된 상기 복수의 후보단어의 개수가 0개일 경우, 상기 복수의 키버튼을 통해 인식 가능한 모든 철자를 N번째 철자로 인식하는 가상 키보드가 적용된 기기의 문자 입력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키보드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경우, 상기 인식 영역은 하나 이상의 픽셀로 구성된 가상 키보드가 적용된 기기의 문자 입력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후보단어는 상기 가상 키보드가 적용된 기기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단어이고, 외부로부터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새로운 후보단어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가상 키보드가 적용된 기기의 문자 입력 방법.
  12. 터치에 의해 작동되는 복수의 키버튼을 포함하는 가상 키보드,
    상기 복수의 키버튼 중 제1 철자에 대응하는 제1 키버튼이 제1 인식 영역을 갖도록 설정하고, 상기 제1 키버튼과 인접하고 제2 철자에 대응하는 제2 키버튼이 상기 제1 인식 영역과 일부 겹치도록 제2 인식 영역을 설정하는 인식 영역 설정부, 그리고
    N번째 터치에서 상기 제1 인식 영역과 상기 제2 인식 영역이 겹쳐지는 제3 인식 영역이 터치될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철자를 동시에 인식하고, N-1번째 터치된 인식 영역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철자를 N-1번째 철자로 포함하는 복수의 후보단어 중 N번째 철자가 상기 제1 철자 또는 상기 제2 철자인 단어를 새로운 복수의 후보단어로 업데이트하는 후보단어 업데이트부를 포함하는 가상 키보드 가 적용된 기기의 문자 입력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 영역 설정부는,
    상기 제1 및 제2 키버튼과 인접한 제3 철자에 대응하는 제3 키버튼이 상기 제1 및 제2 인식 영역과 일부 겹쳐지도록 제4 인식 영역을 설정하는 가상 키보드가 적용된 기기의 문자 입력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단어 업데이트부는,
    상기 제1, 제2 및 제4 인식 영역이 겹쳐지는 제5 인식 영역이 터치될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3 철자를 동시에 인식하는 가상 키보드가 적용된 기기의 문자 입력 시스템.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키보드는 입력 완료를 나타내는 완료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후보단어 업데이트부는 N번째 터치 이후 상기 완료 버튼이 인식될 경우 N번째 터치된 인식 영역에 대응하는 복수의 철자를 N번째 철자로 포함하는 복수의 후보단어 중 N개의 철자를 갖는 단어만을 상기 복수의 후보단어로 업데이트하는 가상 키보드가 적용된 기기의 문자 입력 시스템.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단어 업데이트부는,
    상기 복수의 후보단어 중에서 우선 순위를 계산하여 우선 순위가 높은 순으로 상기 복수의 후보단어를 업데이트하는 가상 키보드가 적용된 기기의 문자 입력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 순위는 상기 후보단어의 철자 수, 자주 사용되는 단어, 문법, 자주 사용되는 문장에 따라 결정되는 가상 키보드가 적용된 기기의 문자 입력 시스템.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단어 업데이트부로부터 상기 복수의 후보단어를 입력받아 표시하는 제1 표시부, 그리고
    상기 복수의 후보단어 중 사용자가 선택한 최종 단어를 표시하는 제2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가상 키보드가 적용된 기기의 문자 입력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표시부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후 보단어를 상기 최종 단어로 결정하여 상기 제2 표시부에 전송하는 최종단어 결정부를 더 포함하는 가상 키보드가 적용된 기기의 문자 입력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단어 업데이트부는,
    N번째 터치시 검색된 상기 복수의 후보단어의 개수가 1개이고 단어 입력 완료를 나타내는 신호가 입력될 경우, 1개의 상기 후보단어를 상기 최종단어 결정부로 전송하는 가상 키보드가 적용된 기기의 문자 입력 시스템.
  21.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단어 업데이트부는,
    N번째 터치시 검색된 상기 복수의 후보단어의 개수가 0개일 경우, 상기 복수의 후보단어의 개수가 0개임을 알리는 신호를 실시간으로 상기 제1 표시부로 전달하는 가상 키보드가 적용된 기기의 문자 입력 시스템.
  22.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단어 업데이트부는,
    N번째 터치시 검색된 상기 복수의 후보단어의 개수가 0개일 경우, 상기 가상 키보드를 통해 인식 가능한 모든 철자를 N번째 철자로 인식하는 가상 키보드가 적용된 기기의 문자 입력 시스템.
  2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키보드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경우, 상기 인식 영역은 하나 이상의 픽셀로 구성된 가상 키보드가 적용된 기기의 문자 입력 시스템.
  24. 제12항에 있어서,
    복수의 단어가 저장되고 외부로부터 새로운 상기 후보단어를 추가 받을 수 있는 데이터 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가상 키보드가 적용된 기기의 문자 입력 시스템.
KR1020080015008A 2008-02-19 2008-02-19 가상 키보드가 적용된 기기의 문자 입력 시스템 및 방법 KR1009428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5008A KR100942825B1 (ko) 2008-02-19 2008-02-19 가상 키보드가 적용된 기기의 문자 입력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5008A KR100942825B1 (ko) 2008-02-19 2008-02-19 가상 키보드가 적용된 기기의 문자 입력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9700A true KR20090089700A (ko) 2009-08-24
KR100942825B1 KR100942825B1 (ko) 2010-02-18

Family

ID=41207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5008A KR100942825B1 (ko) 2008-02-19 2008-02-19 가상 키보드가 적용된 기기의 문자 입력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2825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9681A (ko) * 2009-09-16 2011-03-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1249796B1 (ko) * 2010-12-21 2013-04-03 김동철 데이터 입력 방법
CN107179835A (zh) * 2016-03-11 2017-09-19 北京搜狗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输入方法和装置、一种用于输入的装置
CN107219932A (zh) * 2016-03-21 2017-09-29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输入方法、装置和智能终端
CN107340881A (zh) * 2016-05-03 2017-11-10 北京搜狗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输入方法及电子设备
CN107643833A (zh) * 2016-07-22 2018-01-30 北京搜狗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输入方法和装置、一种用于输入的装置
CN107665046A (zh) * 2016-07-29 2018-02-06 北京搜狗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输入方法和装置、一种用于输入的装置
CN107688399A (zh) * 2016-08-05 2018-02-13 北京搜狗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输入方法和装置、一种用于输入的装置
CN107977089A (zh) * 2016-10-21 2018-05-01 北京搜狗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输入方法和装置、一种用于输入的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8035B1 (ko) 2012-10-26 2014-10-08 민병준 가상 키보드
KR101542862B1 (ko) 2014-09-16 2015-08-07 국방과학연구소 인체공학적 터치스크린 키 인식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15896B2 (en) * 1998-01-23 2006-03-21 Digit Wireless, Llc Keyboards with both individual and combination key output
DE60043008D1 (de) * 1999-05-27 2009-11-05 Tegic Comm Inc Tastatursystem mit automatischer korrektur
JP2002062968A (ja) 2000-08-16 2002-02-28 Masatoshi Hakojima 効率的なキー入力装置
KR100580146B1 (ko) 2005-10-21 2006-05-16 은익수 문자입력버튼을 갖는 전자기기의 문자입력방법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9681A (ko) * 2009-09-16 2011-03-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1249796B1 (ko) * 2010-12-21 2013-04-03 김동철 데이터 입력 방법
CN107179835A (zh) * 2016-03-11 2017-09-19 北京搜狗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输入方法和装置、一种用于输入的装置
CN107219932A (zh) * 2016-03-21 2017-09-29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输入方法、装置和智能终端
CN107340881B (zh) * 2016-05-03 2021-11-30 北京搜狗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输入方法及电子设备
CN107340881A (zh) * 2016-05-03 2017-11-10 北京搜狗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输入方法及电子设备
CN107643833A (zh) * 2016-07-22 2018-01-30 北京搜狗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输入方法和装置、一种用于输入的装置
CN107665046A (zh) * 2016-07-29 2018-02-06 北京搜狗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输入方法和装置、一种用于输入的装置
CN107665046B (zh) * 2016-07-29 2023-03-10 北京搜狗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输入方法和装置、一种用于输入的装置
CN107688399A (zh) * 2016-08-05 2018-02-13 北京搜狗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输入方法和装置、一种用于输入的装置
CN107688399B (zh) * 2016-08-05 2022-04-12 北京搜狗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输入方法和装置、一种用于输入的装置
CN107977089A (zh) * 2016-10-21 2018-05-01 北京搜狗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输入方法和装置、一种用于输入的装置
CN107977089B (zh) * 2016-10-21 2021-12-14 北京搜狗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输入方法和装置、一种用于输入的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2825B1 (ko) 2010-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2825B1 (ko) 가상 키보드가 적용된 기기의 문자 입력 시스템 및 방법
US11379663B2 (en) Multi-gesture text input prediction
US10489508B2 (en) Incremental multi-word recognition
US10191654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putting text into electronic devices
EP2987055B1 (en) Text suggestion output using past interaction data
US9152323B2 (en) Virtual keyboard providing an indication of received input
US8782550B1 (en) Character string replacement
EP2987054B1 (en) Consistent text suggestion output
US9552080B2 (en) Incremental feature-based gesture-keyboard decoding
US20090193334A1 (en) Predictive text input system and method involving two concurrent ranking means
EP2109046A1 (en) Predictive text input system and method involving two concurrent ranking means
EP2954398B1 (en) Gesture keyboard input of non-dictionary character strings
CN102119375B (zh) 单词输入方法
KR20130037484A (ko) 터치스크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 및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전자장치
KR20090049903A (ko) 가상키보드가 적용된 기기의 퍼지 터치를 이용한 문자 입력시스템 및 방법
KR100950797B1 (ko) 가상 키보드가 적용된 기기의 문자 입력 방법
JP2009526293A (ja) 表意文字を識別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2502846B1 (ko) 터치펜을 이용한 겹벌식 문자 입력 장치
Bhatti et al. Mistype resistant keyboard (NexKey)
CN103309595A (zh) 一种用错别字输入汉字的显示屏软键盘
JP2011054000A (ja) 情報表示装置及び情報表示プログラム
KR20150105877A (ko) 스마트폰의 다국어 문자 입력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