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8984A - Box pallet for through process - Google Patents

Box pallet for through proces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8984A
KR20090088984A KR1020080014261A KR20080014261A KR20090088984A KR 20090088984 A KR20090088984 A KR 20090088984A KR 1020080014261 A KR1020080014261 A KR 1020080014261A KR 20080014261 A KR20080014261 A KR 20080014261A KR 20090088984 A KR20090088984 A KR 200900889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side wall
frame
coupled
sta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42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960702B1 (en
Inventor
박종민
서석봉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14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0702B1/en
Publication of KR20090088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898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0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070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B7/03Drying raw potato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4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 A23B7/0408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the material being transported through or in the apparatus with or without shaping, e.g. in the form of powder, granules or flakes
    • A23B7/0416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the material being transported through or in the apparatus with or without shaping, e.g. in the form of powder, granules or flakes with packages or with shaping in the form of blocks or por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65D19/44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articles on plat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Abstract

A box pallet for continuous operation capable of effectively preventing product loss by bruise is provided to facilitate a task and handling, and to prevent product loss by bruise. A box type palette for the integrated work comprises a loading member(20) put on floor, and a side wall member(40) forming a loading space in which product is adopted, and a ventilation member(110) in which the air is circulated to the center of inside domain of the loading space. The ventilation member comprises a perforated tube(115) in which the respective combined supporting ring(120) and through-hole(118) are formed in the sidewall member, and is combined in the supporting ring and in which the either side is supported in the location putting the loading space. The loading member comprises A perforated plate to circulate the air to the loading frame and loading space. A sidewall member comprises a net body(44) which circulates the air to a sidewall frame(42) and the loading space in and out.

Description

일관작업용 상자형 파렛트{Box Pallet for Through Process}Box Pallet for Assembly Process {Box Pallet for Through Process}

본 발명은 일관작업용 상자형 파렛트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품(대표적으로 농작물)을 생산(수확)하는 과정부터 판매를 위한 마지막 과정(포장)까지 대상 제품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고, 처음 수용된 상태로 출하를 위해 이루어지는 일련의 처리과정을 연속적으로 처리(일관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일관작업용 상자형 파렛트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x-type pallet for the assembly line, more specifically, to accommodate the target product from the process of producing (harvesting) the product (typically a crop) to the final process (packaging) for sa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inuous pallet box for allowing continuous processing (consistent processing) of a series of processing procedures for shipment in a received state.

특히, 본 발명은 양파와 같이 수확(생산)단계부터 출하를 위한 선별·포장단계까지 제품이 부패 및 압상 등과 같은 이유로 손상되므로써 일련의 처리과정에서 수시로 선별작업을 통해 손상된 제품을 처리해야 하는 부담(양파의 경우 통상 3회의 선별과정과 망포장과정을 거치고 있다)을 경감시킬 수 있도록 하고, 수확(생산)단계부터 이루어지는 처리과정에서 각 단위과정{예컨대, 양파의 경우 수확, 예건(큐어링), 망포장, 운반, 저장, 선별, 포장, 출하의 단계를 거치고 있다}과의 연계성을 확보하여 보관용기의 단일화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하며, 일련의 과정에서 취급이 용이하고 사용의 편리함을 갖도록 하는 일관작업용 상자형 파렛트에 관한 것이 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such as onions from the harvest (production) stage to the sorting and packaging stage for shipment, such as damage due to decay and rolling, such as the burden of having to process the damaged product through the screening process from time to time in the series of processing ( In general, onions undergo three screening and net packing processes), and each unit process (for example, onions, harvesting, curing (cure), It is connected to the network packaging, transportation, storage, sorting, packing, and shipping stages} so that the unification of the storage container can be established and the handling is easy and the convenience of use in a series of processes. It is about working pallet pallets.

양파는 다른 농작물에 비해 단위 면적당 수익성이 높은 고소득 작물로서 건강식품으로 생식뿐만 아니라 가공용으로도 소비가 확대되고 있으며, 특히 대한민국의 양파는 품질면에서 우수하여 국제경쟁력을 갖추고 있다.Onion is a high-income crop with high profitability per unit area compared to other crops, and is being consumed not only for reproduction but also for processing as a health food.

이와같이 양파를 비롯해 감자, 고구마, 당근 등은 수확단계부터 출하단계까지 다양한 과정을 거치게 된다. 예컨대, 일반적으로 양파의 처리공정은 수확, 예건(큐어링), 망포장, 운반, 저장, 선별·포장, 출하의 단계를 거치게 된다. 그리고, 산지처리과정에서 망포장된 상태로 혹은 망포장을 적재용기(파렛트)에 적재하여 유니트로드하여 건조나 저장과정을 거치게 된다. In this way, onions, potatoes, sweet potatoes, carrots, etc. go through a variety of processes from the harvest stage to the shipment stage. For example, in general, the onion treatment process is a step of harvesting, curing (curing), net packing, transportation, storage, sorting, packaging, shipping. In the mountain processing, the net packed or net packed in a loading container (pallet) unit is loaded and dried or stored.

그러나, 이와 같은 과정에서 망포장되어 적재용기에 적재된 제품(양파)은 공기와의 원활한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아 발생되는 부패로 인한 품질보호에 어려움(특히, 저장과정에서 발생)이 있어, 중간 선별과정을 통해 부패 등으로 손상된 제품을 제거하고 새롭게 망포장하는 과정이 최소 3회이상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내에서 농산물중 저장율이 가장 높은 작목이 양파로 알려져 있는데, 저장중의 양파는 약 30% 정도 손실되고, 그 원인은 불합리한 적재방법과 저장조건, 저장전 처리기술의 낙후 등이 가장 큰 원인으로 보고되고 있다(대한민국 농림부·농 협중앙회, 양파 수확후 관리기술 매뉴얼. 2007).However, the product (onion) packed in the loading container in the net packing in this process is difficult to protect the quality due to corruption caused by the lack of smooth contact with the air (especially during the storage process), intermediate screening At least three times, the process of removing the damaged products due to corruption and packaging the new net is done. In addition, onions are known to have the highest storage rate among agricultural products in Korea, and onions in storage are lost about 30%, and the causes are irrational loading methods, storage conditions and deterioration of processing technology before storage. It is reported as a major cause (Ministry of Agriculture, Forestry and National Agricultural Cooperative Federation, Onion Harvesting Management Manual. 2007).

한편, 양파와 같은 구근류의 수확단계부터 출하단계까지의 과정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제안되어 있다. 즉,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389701호의 "구근류 채굴장치"는 구근류의 채굴 및 수집을 기계화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안하고 있고,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실1994-0005735호의 "양파 탈피기의 양파 이송 콘베어"는 양파 뿌리 및 껍질 제거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는 기술을 제안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304458호의 "건조겸 냉장창고"는 하나의 창고내에서 건조 후에 냉장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기술 외에도 구근류의 세척, 선별, 계수, 포장 등의 공정을 자동화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various techniques have been proposed to effectively carry out the process from the harvest stage to the shipping stage of bulbs such as onions. That is, the "bulb-type mining device" of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0389701 proposes a technology to mechanize the mining and collection of bulbs, the "onion peeler of the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1994--0005735 Onion Transfer Conveyor "proposes a technology to automate the removal of onion roots and peels," dry and cold storage "of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0304458 No. It is proposing a technique to make it possible. In addition to these techniques, various techniques for automating the process of washing, sorting, counting, and packaging bulbs have been proposed.

그러나, 이와 같은 기술들은 특정처리과정을 위해 필요한 장치들에 대한 제안으로서, 현재까지도 양파와 같이 수확(생산) 후 출하시까지 가장 문제점으로 제기되고 있는 부패 등으로 인한 중간선별 및 재포장과정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은 제안되지 않고 있다. However, these techniques are proposals for the devices needed for a specific treatment process, and effectively prevent the middle sorting and repackaging process due to decay, which is still the biggest problem from the time of harvest (production) to shipping, such as onion. No technique has been proposed that allows for reduction.

특히, 양파와 같이 저장과정 중에서 부패가 쉽게 발생되는 제품의 산지물류과정은 노동력중심의 전통적인 방법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양파는 산지에서 생산(수확) 후, 최종 출하되기 전까지의 단계에서 최소 3회 이상의 망포장을 한 다음 박스형 용기(통상, '파렛트'로 지칭된다)에 적재되어 각 단계별로 이송되고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보면, 양파는 산지에서 수확될 때 망포장되고, 이 망포장단위로 건조가 이루어지거나 혹은 망포장을 파렛트에 적재하여 유니트로드로 만든다음 건조와 저장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부패된 양파를 선별해 내기 위해 망포장을 해체하고 다시 망포장하는 과정을 여러번 거치게 되며, 특히 저장중에는 망포장한 양파중 한 개만 부패하더라도 망포장된 건전한 양파들도 함께 쉽게 부패가 진행되며 이는 또 파렛트내 다른 망포장 양파의 부패를 촉진하게 되어 큰 손실로 이어지게 된다. 따라서 저온창고에 저장중인 양파를 대상으로 부패한 양파를 선별하기위해서는 창고내 전체 양파를 이동해야하는 엄청난 불편을 감당해야 하며, 부패율이 더욱 증가될 경우는 조기출하를 해야하므로 농가에 큰 손해를 안겨주고 있다. In particular,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products, such as onions, which are easily rotted during the storage process, have not escaped from the traditional labor-oriented method. In other words, onions are net-packed at least three times at the stage of production (harvesting) and before final shipment, and then loaded into box-type containers (commonly referred to as 'pallets') and transported at each stage. Specifically, onions are net-packed when harvested in a mountainous area, dried by this net-packing unit, or loaded into a pallet to make unit rods, which are then dried and stored. In order to sort out the onions, the net packing is dismantled and repackaged several times. Especially during storage, even if only one of the net onions is decaying, the net healthy onions are easily decayed together. It will accelerate the decay of my other net-packed onions, leading to huge losses. Therefore, in order to screen the damaged onions in the cold storage warehouse to deal with the enormous inconvenience of having to move the whole onion in the warehouse, if the corruption rate further increases the damage to the farms are causing great damage.

이와 같은 이유로 종래 부패가 쉽게 발생되는 양파와 같은 제품은 수확단계부터 출하단계까지 많은 노동력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고, 제품의 손실율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로 인해 출하시까지 이루어지는 처리공정에서 일련처리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For this reason, conventional products such as onions, which easily cause corruption, require a lot of labor from the harvest stage to the shipment stage, and have a problem of increasing the loss rate of the product, and thus are not processed serially in the processing process until shipment. There is a problem.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양파와 같이 수확(생산) 후 출하시까지 가장 문제점으로 제기되고 있는 부패 등으로 인한 중간선별 및 재포장과정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일관작업용 상자형 파렛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effectively reduce the intermediate screening and repackaging process due to corruption, etc., which has been raised as the most problematic until the harvest (production), such as onion. The aim is to provide a new type of box pallet for the assembly line.

특히, 본 발명은 양파와 같이 수확단계부터 출하단계까지 부패하기 쉽고, 적재되는 자체하중에 의해 제품이 손상되기 쉬운 제품을 망포장과 같은 작업을 하지 않고, 산물상태로의 일관처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일관작업용 상자형 파렛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decay from the harvesting stage to the shipping stage, such as onions, the product is easy to damage the product due to the self-loading load does not have to work, such as net packaging, to be consistently processed in the product stat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new type of assembly pallet box.

또한, 본 발명은 수확, 예건(큐어링), 망포장, 운반, 저장, 선별·포장, 출하의 단계 등 수확(생산)단계부터 출하단계에서 사용되는 장치 및 시설과의 작업 연계성을 갖도록 하여, 작업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일관작업용 상자형 파렛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have a work linkage with the equipment and facilities used in the harvesting (production) stage, such as harvesting, pre-cure (cure), net packaging, transportation, storage, sorting, packaging, shipping stages, shipping stage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ox-type pallet for a new type of assembly line that can provide convenience of work.

또한, 본 발명은 일관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그 일련의 처리과정에서 압상 등에 의해 발생되는 제품의 손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일관작업용 상자형 파렛트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new type of work box pallet for effectively preventing the loss of the product caused by the rolling in the series of processing and at the same time to perform the work.

또한, 본 발명은 일련의 처리과정에서 취급이 용이하고 사용의 편리함을 갖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일관작업용 상자형 파렛트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new type of assembly box pallet for easy handling and convenience of use in a series of processes.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바닥에 놓이는 적재부재(20) 및; 상기 적재부재(20)상에 결합되어 둘레 측벽을 형성하므로써, 제품이 수용되는 적재공간(12)을 형성하는 측벽부재(40)를 포함하되; 상기 적재부재(20)는 상기 적재공간(12)에 대해 내외로 개구되면서 받침대 골격을 이루는 적재 프레임(22) 및, 상기 적재 프레임(22)의 개구를 덮도록 상기 적재 프레임(22)에 결합되되, 통공(25)이 형성되어 상기 적재공간(12) 내외로 공기가 유통되도록 하는 타공 플레이트(24)을 구비하고, 상기 측벽부재(40)는 상기 적재공간(12)에 대해 내외로 개구되면서 골격을 이루는 측벽 프레임(42) 및, 상기 측벽 프레임(42)의 개구를 덮도록 상기 측벽 프레임(42)에 결합되되, 상기 적재공간(12) 내외로 공기가 유통되도록 하는 망체(44)를 구비한다.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loading member 20 placed on the floor; A side wall member 40 coupled to the loading member 20 to form a peripheral side wall, thereby forming a loading space 12 in which a product is accommodated; The loading member 20 is coupled to the loading frame 22 so as to cover the opening of the loading frame 22 and the loading frame 22 forming a pedestal skeleton while opening in and out with respect to the loading space 12. And a perforated plate 24 having a perforated plate 24 to allow air to flow in and out of the loading space 12, and the side wall member 40 opens and closes in and out of the loading space 12. And a mesh 44 coupled to the side wall frame 42 to cover the opening of the side wall frame 42, and allowing air to flow into and out of the loading space 12. .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일관작업용 상자형 파렛트는 상기 측벽부재(40)에 지지되고, 상기 적재공간(12)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상기 적재공간(12)의 내부 중심영역으로 공기가 유통되도록 하는 통기부재(110)를 더 포함하되; 상기 통기부 재(110)는 상기 적재공간(12)을 두고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서 상기 측벽부재(40)에 각각 결합되는 지지링(120) 및, 양단으로 개구되는 중공(116)을 갖고, 둘레면상에 관통되는 통공(118)이 형성되어 양측이 상기 지지링(120)에 결합되어 지지되는 타공관(115)을 구비할 수 있다. Such a box for palletizing 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upported on the side wall member 40, is installed to cross the loading space 12 to allow air to flow to the inner center region of the loading space 12. Further comprising a vent member 110; The vent member 110 has a support ring 120 coupled to each of the side wall member 40 at positions facing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loading space 12, and a hollow 116 opened at both ends. A through hole 118 penetrated on the surface may be formed to have a perforated tube 115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support ring 120 to be supported.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일관작업용 상자형 파렛트에서 상기 적재부재(20)와 측벽부재(40)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전체적으로 사각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측벽부재(40)는 각각 상기 측벽 프레임(42) 및 망체(44)를 가지면서 서로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전면, 후면 및 양측면을 이루는 4개의 측벽(50, 60, 70, 80)을 구비하되, 상기 4개의 측벽(50, 60, 70, 80)은 상기 적재부재(20)와 각각의 힌지블록(52, 62, 72, 82)으로 결합되므로써, 상기 적재부재(20)에 대해 펼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적재부재(20)에 직립된 상태에서 록킹유니트(90)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므로써, 상기 적재공간(12)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The stacking member 20 and the side wall member 40 ar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s a whole when viewed from a plane in the box-type pallet for the integrated 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ide wall members 40 are the side wall frames 42, respectively. And four sidewalls 50, 60, 70, and 80 which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have a mesh 44 to form a front, rear, and both sides, wherein the four sidewalls (50, 60, 70, and 80). Is coupled to the stacking member 20 and each of the hinge blocks 52, 62, 72, and 82, so that the stacking member can be unfolded with respect to the stacking member 20, and locked in the upright position of the stacking member 20. By being fixed by the unit 90, it is possible to form the loading space 12.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일관작업용 상자형 파렛트에서 상기 측벽부재(40)에서 전면을 이루는 측벽(50)은 각각 상기 측벽 프레임(42) 및 망체(44)를 가지면서 서로 분리되어 상하로 결합되는 상부 전면 측벽(54)과 하부 전면 측벽(56)을 구비하되, 상기 상부 전면 측벽(54)과 하부 전면 측벽(56)은 힌지블록(58)으로 결합되므로써, 상기 하부 전면 측벽(56)에 대해 상기 상부 전면 측벽(54)을 펼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ide wall 50 forming the front surface of the side wall member 40 in the box-type pallet for assembly work has the side wall frame 42 and the mesh body 44 and is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A front sidewall 54 and a lower front sidewall 56, the upper front sidewall 54 and the lower front sidewall 56 being joined by a hinge block 58 so that the The upper front sidewall 54 can be unfolded.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일관작업용 상자형 파렛트에서 상기 록킹유니트(90)는 상기 4개의 측벽(50, 60, 70, 80) 중 적어도 2개의 측벽(50, 60)에 고정되는 브라켓(94)에 슬라이딩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핀(96) 및, 상기 핀(96)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핀(96)이 설치되지 않는 나머지의 측벽(70, 80)에 고정되어 설치되고, 일단이 상기 핀(96)이 설치된 측벽(50, 60)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록킹 플레이트(98)를 구비하여, 상기 핀(96)을 상기 록킹 플레이트(98)에 결합시키므로써 상기 4개의 측벽(50, 60, 70, 80)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The locking unit 90 is a bracket 94 fixed to at least two side walls 50, 60 of the four side walls (50, 60, 70, 80) in the assembly box box pal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in 96 is slidably coupled to the pin 96, and the pin 96 is fixed to the remaining side walls 70 and 80 where the pin 96 is not install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in 96, and one end of the pin 96 is fixed. ) Is provided with a locking plate (98) formed to extend to the side walls (50, 60) are installed, by coupling the pin 96 to the locking plate (98) by the four side walls (50, 60, 70, 80) can be fixed.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받침대 골격을 이루는 적재 프레임(22)과, 상기 적재 프레임(22)에 결합되는 타공 플레이트(24)를 구비하여 바닥에 놓이는 적재부재(20) 및; 상기 적재부재(20)상에 결합되어 둘레 측벽을 형성하므로써, 제품이 수용되는 적재공간(12)을 형성하는 측벽부재(40)를 포함하되; 상기 적재부재(20)의 적재 프레임(22)은 상기 적재공간(12)에 대해 내외로 개구되면서 외측 테두리를 이루는 제 1 적재 프레임(22a) 및, 상기 적재공간(12)에 대해 내외로 개구되면서 상기 제 1 적재 프레임(22a)의 내측에 삽입되어 위치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1 적재 프레임(22a)과 일측이 힌지블록(32)으로 결합되고, 타측이 바텀 록킹유니트(34)에 의해 상기 제 1 적재 프레임(22a)에 고정되므로써, 상기 바텀 록킹유니트(34)의 해제를 통해 상기 제 1 적재 프레임(22a)에 대해 펼침이 가능한 제 2 적재 프레임(22b)을 구비하고, 상기 적재부 재(20)의 타공 플레이트(24)는 상기 제 2 적재 프레임(22b)의 개구를 덮도록 상기 제 2 적재 프레임(22b)에 결합되되, 통공(25)이 형성되어 상기 적재공간(12) 내외로 공기가 유통되도록 하며, 상기 측벽부재(40)는 상기 적재공간(12)에 대해 내외로 개구되면서 골격을 이루는 측벽 프레임(42) 및, 상기 측벽 프레임(42)의 개구를 덮도록 상기 측벽 프레임(42)에 결합되되, 상기 적재공간(12) 내외로 공기가 유통되도록 하는 망체(44)를 구비한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loading frame 22 forming a pedestal skeleton and a perforated plate 24 coupled to the loading frame 22 to be placed on the floor. Member 20; A side wall member 40 coupled to the loading member 20 to form a peripheral side wall, thereby forming a loading space 12 in which a product is accommodated; The stacking frame 22 of the stacking member 20 opens in and out with respect to the stacking space 12 to form a first stacking frame 22a having an outer edge, and opens in and out of the stacking space 12. It is formed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first stacking frame (22a), the first stacking frame (22a) and one side is coupled to the hinge block 32, the other side by the bottom locking unit 34 The second loading frame 22b, which is secured to the first loading frame 22a and which can be unfolded with respect to the first loading frame 22a by releasing the bottom locking unit 34, is provided. The perforated plate 24 of 20 is coupled to the second stacking frame 22b to cover the opening of the second stacking frame 22b, and a through hole 25 is formed to allow air into and out of the stacking space 12. Is distributed to the side wall member 40 with respect to the loading space (12) A mesh body coupled to the side wall frame 42 to cover the opening of the side wall frame 42 and opening and closing the side wall frame 42 to allow air to flow in and out of the loading space 12. 44).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일관작업용 상자형 파렛트에서 상기 바텀 록킹유니트(34)는 상기 힌지블록(32)의 반대측 방향에서 상기 제 1 적재 프레임(22a)에 고정되는 제 1 브라켓(35)과, 상기 제 1 브라켓(35)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제 2 적재 프레임(22b)에 고정되는 제 2 브라켓(36) 및, 상기 제 1 브라켓(25)과 제 2 브라켓(26)에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핀(38)을 구비하여, 상기 핀(38)을 상기 제 1 브라켓(25)과 제 2 브라켓(26)에 결합시키므로써 상기 제 2 적재 프레임(22b)이 상기 제 1 적재 프레임(22a)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In the box pallet for the integrated 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locking unit 34 is the first bracket 35 is fixed to the first stacking frame 22a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hinge block 32, and the A second bracket 36 fixed to the second stacking frame 22b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bracket 35,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bracket 25 and the second bracket 26. A pin 38 is provided to couple the pin 38 to the first bracket 25 and the second bracket 26 so that the second stacking frame 22b is connected to the first stacking frame 22a. Can be fixed.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일관작업용 상자형 파렛트는 상기 측벽부재(40)에 지지되고, 상기 적재공간(12)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상기 적재공간(12)의 내부 중심영역으로 공기가 유통되도록 하는 통기부재(110)를 더 포함하되; 상기 통기부재(110)는 상기 적재공간(12)을 두고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서 상기 측벽부재(40)에 각각 결합되는 지지링(120) 및, 양단으로 개구되는 중공(116)을 갖고, 둘레면상에 관통되는 통공(118)이 형성되어 양측이 상기 지지링(120)에 결합되어 지지되는 타공관(115)을 구비할 수 있다. Such a box for palletizing 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upported on the side wall member 40, is installed to cross the loading space 12 to allow air to flow to the inner center region of the loading space 12. Further comprising a vent member 110; The vent member 110 has a support ring 120 coupled to the side wall member 40 and a hollow 116 open at both ends, respectively, at positions facing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loading space 12. A through hole 118 is formed therein so that both sides may be provided with a perforated tube 115 coupled to the support ring 120 and supported.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일관작업용 상자형 파렛트에서 상기 적재부재(20)와 측벽부재(40)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전체적으로 사각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측벽부재(40)는 각각 상기 측벽 프레임(42) 및 망체(44)를 가지면서 서로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전면, 후면 및 양측면을 이루는 4개의 측벽(50, 60, 70, 80)을 구비하되, 상기 4개의 측벽(50, 60, 70, 80)은 상기 적재부재(20)와 각각의 힌지블록(52, 62, 72, 82)으로 결합되므로써, 상기 적재부재(20)에 대해 펼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적재부재(20)에 직립된 상태에서 록킹유니트(90)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므로써, 상기 적재공간(12)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The stacking member 20 and the side wall member 40 ar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s a whole when viewed from a plane in the box-type pallet for the integrated 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ide wall members 40 are the side wall frames 42, respectively. And four sidewalls 50, 60, 70, and 80 which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have a mesh 44 to form a front, rear, and both sides, wherein the four sidewalls (50, 60, 70, and 80). Is coupled to the stacking member 20 and each of the hinge blocks 52, 62, 72, and 82, so that the stacking member can be unfolded with respect to the stacking member 20, and locked in the upright position of the stacking member 20. By being fixed by the unit 90, it is possible to form the loading space 12.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일관작업용 상자형 파렛트에서 상기 측벽부재(40)에서 전면을 이루는 측벽(50)은 각각 상기 측벽 프레임(42) 및 망체(44)를 가지면서 서로 분리되어 상하로 결합되는 상부 전면 측벽(54)과 하부 전면 측벽(56)을 구비하되, 상기 상부 전면 측벽(54)과 하부 전면 측벽(56)은 힌지블록(58)으로 결합되므로써, 상기 하부 전면 측벽(56)에 대해 상기 상부 전면 측벽(54)을 펼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ide wall 50 forming the front surface of the side wall member 40 in the box-type pallet for assembly work has the side wall frame 42 and the mesh body 44 and is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A front sidewall 54 and a lower front sidewall 56, the upper front sidewall 54 and the lower front sidewall 56 being joined by a hinge block 58 so that the The upper front sidewall 54 can be unfolded.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일관작업용 상자형 파렛트에서 상기 록킹유니 트(90)는 상기 4개의 측벽(50, 60, 70, 80) 중 적어도 2개의 측벽(50, 60)에 고정되는 브라켓(94)에 슬라이딩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핀(96) 및, 상기 핀(96)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핀(96)이 설치되지 않는 나머지의 측벽(70, 80)에 고정되어 설치되고, 일단이 상기 핀(96)이 설치된 측벽(50, 60)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록킹 플레이트(98)를 구비하여, 상기 핀(96)을 상기 록킹 플레이트(98)에 결합시키므로써 상기 4개의 측벽(50, 60, 70, 80)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The locking unit 90 is a bracket 94 fixed to at least two sidewalls 50 and 60 of the four sidewalls 50, 60, 70, and 80 in the assembly type box pal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in 96 slidably coupled to the pin 96, and the pin 96 is fixed to the remaining side walls 70 and 80 where the pin 96 is not install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in 96. And a locking plate 98 formed to extend to the side walls 50 and 60 with the 96 installed therein, thereby engaging the pins 96 with the locking plate 98 so that the four side walls 50, 60, 70 , 80) can be fixed.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바닥에 놓이는 적재부재(20)와; 상기 적재부재(20)상에 결합되어 둘레 측벽을 형성하므로써, 제품이 수용되는 적재공간(12)을 형성하는 측벽부재(40) 및; 상기 측벽부재(40)에 지지되고, 상기 적재공간(12)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상기 적재공간(12)의 내부 중심영역으로 공기가 유통되도록 하는 통기부재(110)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loading member 20 placed on the floor; A side wall member 40 coupled to the loading member 20 to form a peripheral side wall, thereby forming a loading space 12 in which a product is accommodated; It is supported by the side wall member 40, and installed to cross the loading space 12 includes a ventilation member 110 to allow air to flow to the inner central region of the loading space (12).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일관작업용 상자형 파렛트에서 상기 통기부재(110)는 상기 적재공간(12)을 두고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서 상기 측벽부재(40)에 각각 결합되는 지지링(120) 및, 양단으로 개구되는 중공(116)을 갖고, 둘레면상에 관통되는 통공(118)이 형성되어 양측이 상기 지지링(120)에 결합되어 지지되는 타공관(115)을 구비할 수 있다. In the box-like pallet for assembly 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entilation member 110 is supported by the support ring 120 and the both ends, respectively, at the position facing each other leaving the loading space 12, and both ends, It has a hollow 116 to be opened, the through hole 118 is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may be provided with a perforated tube 115, both sides are coupled to the support ring 120 is supported.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일관작업용 상자형 파렛트에서 상기 적재부재(20) 는 상기 적재공간(12)에 대해 내외로 개구되면서 받침대 골격을 이루는 적재 프레임(22) 및, 상기 적재 프레임(22)의 개구를 덮도록 상기 적재 프레임(22)에 결합되되, 통공(25)이 형성되어 상기 적재공간(12) 내외로 공기가 유통되도록 하는 타공 플레이트(24)을 구비하고, 상기 측벽부재(40)는 상기 적재공간(12)에 대해 내외로 개구되면서 골격을 이루는 측벽 프레임(42) 및, 상기 측벽 프레임(42)의 개구를 덮도록 상기 측벽 프레임(42)에 결합되되, 상기 적재공간(12) 내외로 공기가 유통되도록 하는 망체(44)를 구비할 수 있다. In the box-type pallet for the integrated 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ading member 20 is opened and closed with respect to the loading space 12 to form a pedestal frame, and an opening of the loading frame 22. Is coupled to the loading frame 22 to cover the through-hole 25 is provided with a perforated plate 24 to allow air to flow into and out of the loading space 12, the side wall member 40 is It is coupled to the side wall frame 42 which forms a skeleton while opening in and out of the loading space 12, and the side wall frame 42 to cover the opening of the side wall frame 42, into and out of the loading space 12 It may be provided with a mesh 44 to allow air to flow.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일관작업용 상자형 파렛트에서 상기 적재부재(20)와 측벽부재(40)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전체적으로 사각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측벽부재(40)는 각각 상기 측벽 프레임(42) 및 망체(44)를 가지면서 서로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전면, 후면 및 양측면을 이루는 4개의 측벽(50, 60, 70, 80)을 구비하되, 상기 4개의 측벽(50, 60, 70, 80)은 상기 적재부재(20)와 각각의 힌지블록(52, 62, 72, 82)으로 결합되므로써, 상기 적재부재(20)에 대해 펼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적재부재(20)에 직립된 상태에서 록킹유니트(90)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므로써, 상기 적재공간(12)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The stacking member 20 and the side wall member 40 ar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s a whole when viewed from a plane in the box-type pallet for the integrated 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ide wall members 40 are the side wall frames 42, respectively. And four sidewalls 50, 60, 70, and 80 which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have a mesh 44 to form a front, rear, and both sides, wherein the four sidewalls (50, 60, 70, and 80). Is coupled to the stacking member 20 and each of the hinge blocks 52, 62, 72, and 82, so that the stacking member can be unfolded with respect to the stacking member 20, and locked in the upright position of the stacking member 20. By being fixed by the unit 90, it is possible to form the loading space 12.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일관작업용 상자형 파렛트에서 상기 측벽부재(40)에서 전면을 이루는 측벽(50)은 각각 상기 측벽 프레임(42) 및 망체(44)를 가지면서 서로 분리되어 상하로 결합되는 상부 전면 측벽(54)과 하부 전면 측벽(56)을 구 비하되, 상기 상부 전면 측벽(54)과 하부 전면 측벽(56)은 힌지블록(58)으로 결합되므로써, 상기 하부 전면 측벽(56)에 대해 상기 상부 전면 측벽(54)을 펼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ide wall 50 forming the front surface of the side wall member 40 in the box-type pallet for assembly work has the side wall frame 42 and the mesh body 44 and is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A front sidewall 54 and a lower front sidewall 56 are provided, wherein the upper front sidewall 54 and the lower front sidewall 56 are joined by a hinge block 58 to the lower front sidewall 56. The upper front sidewall 54 may be extended.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일관작업용 상자형 파렛트에서 상기 록킹유니트(90)는 상기 4개의 측벽(50, 60, 70, 80) 중 적어도 2개의 측벽(50, 60)에 고정되는 브라켓(94)에 슬라이딩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핀(96) 및, 상기 핀(96)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핀(96)이 설치되지 않는 나머지의 측벽(70, 80)에 고정되어 설치되고, 일단이 상기 핀(96)이 설치된 측벽(50, 60)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록킹 플레이트(98)를 구비하여, 상기 핀(96)을 상기 록킹 플레이트(98)에 결합시키므로써 상기 4개의 측벽(50, 60, 70, 80)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The locking unit 90 is a bracket 94 fixed to at least two side walls 50, 60 of the four side walls (50, 60, 70, 80) in the assembly box box pal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in 96 is slidably coupled to the pin 96, and the pin 96 is fixed to the remaining side walls 70 and 80 where the pin 96 is not install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in 96, and one end of the pin 96 is fixed. ) Is provided with a locking plate (98) formed to extend to the side walls (50, 60) are installed, by coupling the pin 96 to the locking plate (98) by the four side walls (50, 60, 70, 80) can be fixed.

본 발명에 의한 일관작업용 상자형 파렛트에 의하면, 적재부재(20)와 측벽부재(40)로 이루어지는 적재공간(12)내외로 공기의 유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므로, 양파와 같이 부패하기 쉬운 제품을 망포장을 하지 않도록 하면서도 저장 및 처리시 부패를 최소화하여 수확단계부터 출하단계까지 일련의 물류과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적재공간(12)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타공관(115)을 통해 적재공간(12)내에 수용되는 제품의 적재하중을 분산시키는 효과를 갖도록 하므로, 일련의 처리과정에서 압상 등에 의해 발생되는 제품의 손실을 효과 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적재공간(12)의 중심영역에 적재되어 수용되는 제품에도 효과적으로 공기가 유통되도록 할 수 있어 부패 등에 의한 제품의 손상을 더욱 방지한다. 또한, 측벽부재(40)를 분할하여 구성하여 펼칠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수확단계부터 출하단계에서 사용되는 장치 및 시설과의 작업 연계성을 갖도록 하여 작업의 편리성을 제공한다. 특히, 적재부재(20)와 측벽부재(40)는 구성요소별로 분리가 가능하므로, 일련의 처리과정에서 취급이 용이하고 사용의 편리함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the box-type pallet for assembly 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configured to smoothly distribute the air into and out of the loading space 12 consisting of the loading member 20 and the side wall member 40, products that tend to rot like onions. This system minimizes corruption in storage and processing, while avoiding net packing, so that a series of logistics processes can be easily performed from the harvesting stage to the shipping stage. In particular, through the other hole pipe 115 is installed across the loading space 12 to have the effect of dispersing the load load of the product accommodated in the loading space 12, the product generated by the rolling process in a series of processes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loss of the air, and also to effectively distribute the air to the product that is loaded and accommodated in the center area of the loading space 12 to further prevent damage to the product due to corruption. In addition, since the side wall member 40 is configured to be divided and spread, the side wall member 40 is provided so as to have a work connection with the devices and facilities used in the harvesting step from the shipping step to provide convenience of work. In particular, since the loading member 20 and the side wall member 40 can be separated for each component, it provides easy handling and convenience of use in a series of processes.

도 1 내지 도 4b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관작업용 상자형 파렛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도 1은 가장 기본적인 일관작업용 상자형 파렛트의 기술적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a 내지 도 4c는 도 1에서 보인 일관작업용 상자형 파렛트의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적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1 to 4b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box-type pallet for assembly work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technical configuration for improving the function of the assembly type pallet pallet shown in FIG. 1.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관작업용 상자형 파렛트{10, 이하, '파렛트(10)'라 지칭한다}는 바닥에 놓이는 적재부재(20) 및, 이 적재부재(20)상에 결합되어 둘레 측벽을 형성하므로써 양파와 같은 농작물이 수용되는 적재공간(12)을 형성하는 측벽부재(4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Referring to FIG. 1, a box-type pallet for an integrated work according to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allet 10) is a loading member 20 placed on the bottom, and the loading member 20. It is provided with a side wall member 40 that is coupled to form a circumferential side wall to form a loading space 12 for receiving crops such as onions.

이때, 적재부재(20)는 적재 프레임(22)과 타공 플레이트(24)를 구비한다. 여기서, 적재 프레임(22)은 적재공간(12)에 대해 내외로 개구되면서 받침대 골격을 이룬다. 그리고, 타공 플레이트(24)는 적재 프레임(22)의 개구를 덮도록 적재 프레임(22)에 결합되되, 통공(25)이 형성되어 적재공간(12) 내외로 공기가 유통되도록 한다. 그리고, 측벽부재(40)는 적재공간(12)에 대해 내외로 개구되면서 골격을 이루는 측벽 프레임(42)과, 이 측벽 프레임(42)의 개구를 덮도록 측벽 프레임(42)에 결합되되, 적재공간(12) 내외로 공기가 유통되도록 하는 망체(44)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At this time, the loading member 20 has a loading frame 22 and the perforated plate 24. Here, the loading frame 22 forms a pedestal skeleton while opening and closing with respect to the loading space 12. And, the perforated plate 24 is coupled to the loading frame 22 to cover the opening of the loading frame 22, a through hole 25 is formed to allow air to flow into and out of the loading space (12). The side wall member 40 is coupled to the side wall frame 42 to cover the opening of the side wall frame 42 and the side wall frame 42 forming a frame while being opened in and out of the loading space 12. And a net 44 to allow air to flow in and out of the space 12.

본 발명에 따른 파렛트(10)에서 적재부재(20)와 측벽부재(40)에 사용되는 적재 프레임(22)과 측벽 프레임(42)은 통상 장치 또는 기기의 외형을 이루고, 설치되는 다른 요소들을 지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이 분야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종류{봉재, 각재, 앵글, 프로파일 등}가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적재부재(20)의 타공 플레이트(24)는 적재공간(12)에 수용되는 제품의 무게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강성을 갖는 제품이 사용된다. 물론, 타공 플레이트(24)은 바람직하게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고 있는 타공판(바람직하게는 금속재이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타공 플레이트(24)를 적재 프레임(22)과 측벽 프레임(42)에 결합시키는 방법은 용접(사용되는 타공판이 금속재인 경우), 볼트 등의 체결구 등의 통상적인 다양한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측벽 프레임(42)에 결합되는 망체(44)는 PE망과 같이 충분한 강성을 갖는 통 상의 망제품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이고, 이 망체(44)의 결합방법도 통상의 다양한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In the pallet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ading frame 22 and the side wall frame 42 used for the loading member 20 and the side wall member 40 generally form the appearance of an apparatus or device, and support other elements to be installed. As a configuration for the purpose, various kinds (bars, angles, angles, profiles, etc.) used in this field may be used. The perforated plate 24 of the loading member 20 is a product having rigidity capable of stably supporting the weight of the product accommodated in the loading space 12. Of course, the perforated plate 24 may be applied to a perforated plate (preferably, but not limited to, a metal material) provided in various forms. In addition, the method of coupling the perforated plate 24 to the stacking frame 22 and the side wall frame 42 may include various conventional techniques such as welding (when the perforated plate used is made of metal), fasteners such as bolts, and the like. will be. In addition, the mesh 44 coupled to the side wall frame 42 may apply a tubular net product having sufficient rigidity, such as PE mesh, and the joining method of the mesh 44 may also be applied to various conventional techniques. It is.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렛트(10)는 바닥측에 설치되는 타공 플레이트(24)와 측벽측에 설치되는 망체(44)를 통해 제품이 수용되는 적재공간(12)내로의 공기의 유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부패 등에 의한 제품의 손상을 최소화시키므로써, 양파와 같이 통상 수확, 예건(큐어링), 망포장, 운반, 저장, 선별, 포장, 출하의 단계로 이루어지는 농산물을 수확단계부터 출하전 단계까지 망포장에 의하지 않고 산물상태로 일관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양파의 경우 종래에는 수확후부터 출하되기 전까지 최소 3차례 이상의 망포장 작업이 필요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파렛트(10)는 수확시부터 망포장없이 제품을 수용시켜서 추후 이루어지는 처리과정을 일련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pallet 10 smoothly distributes air into the loading space 12 in which the product is received through the perforated plate 24 installed on the bottom side and the mesh 44 installed on the side wall. By minimizing damage to the product due to decay, it is possible to produce agricultural products such as onion harvesting, cure, net packaging, transportation, storage, sorting, packaging, and shipping. This is to ensure that the product can be consistently processed without product packaging. That is, in the case of onion conventionally required at least three times the net packing before shipping from the harvested, but the pallet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ceive the product without the net packing from the harvest at the time of subsequent processing To make it possibl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파렛트(10)는 측벽부재(40)에 지지되고, 적재공간(12)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적재공간(12)의 내부 중심영역으로 공기가 유통되도록 하는 통기부재(110)가 더 구비되도록 하여, 제품이 적재공간(12)내에 적재되었을 때, 바닥측에 위치되는 제품이 압상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감소시키도록 하고, 적재공간(12)내에서 중심영역에 위치되는 제품에도 공기가 원활하게 유통되도록 할 수 있다. Meanwhile, the pallet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upported by the side wall member 40 and is installed to cross the loading space 12 so that the air flows to the inner central region of the loading space 12. ) Is further provided to reduce the damage of the product placed on the bottom side by the pressure when the product is loaded in the loading space 12, and the product located in the center area in the loading space 12 Even air can be smoothly circulated.

이와 같은 통기부재(110)는 타공관(115)과 지지링(120)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지지링(120)은 적재공간(12)을 두고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서 측벽부재(40)에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결합된다. 그리고, 타공관(115)은 양단으로 개구되는 중공(116)을 갖고, 둘레면상에 관통되는 통공(118)이 형성되어 양측이 지지링(120)에 결합되어 지지된다. 이때, 타공관(115)은 제품이 적층되는 적재공간(12)내에 위치되므로, 제품의 하중이 작용하는 점을 고려하여 충분한 강성을 갖는 타공판을 말아서 형성한 것을 사용한다. 물론, 여기에 사용되는 타공판은 전술한 타공 플레이트(24)에 적용하는 타공판과 동일한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지지링(120)은 다수의 타공관(115)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충분한 강성을 갖는 재질(통상 금속재 링)을 적용하고, 측벽 프레임(42)에 용접과 같은 방법으로 고정된다. Such a vent member 110 is provided with a perforated tube 115 and the support ring 120. Here, the support ring 120 is coupled to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other on the side wall member 40 in a position facing each other with the loading space 12. In addition, the other hole 115 has a hollow 116 that is open at both ends, a through hole 118 is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is formed so that both sides are coupled to the support ring 120 is supported. At this time, since the perforated pipe 115 is located in the loading space 12 in which the products are stacked, the perforated plate having sufficient rigidity is used in consideration of the effect of the load of the product. Of course, the perforated plate used herein can apply the same technique as the perforated plate to be applied to the perforated plate 24 described above. The support ring 120 applies a material (usually a metal ring) having sufficient rigidity to support the plurality of perforated pipes 115 and is fixed to the side wall frame 42 by welding.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통기부재(110)는 타공관(115)에 의해 적재공간(12)에 적층되는 제품의 하중이 중심영역에 집중되는 현상을 완화하여, 하측에 적층되는 제품이 압상되어 발생되는 제품의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그리고, 타공관(115)은 적재공간(12)의 중심영역에 적층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제품에도 효과적으로 외부 공기가 유통되게 하므로, 공기유통의 부족으로 인한 제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Ventilation member 11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to mitigate the phenomenon that the load of the product laminated in the loading space 12 by the other hole pipe 115 is concentrated in the center area, the product is stacked on the lower side is generated Effectively prevent damage to the product. In addition, since the perforated pipe 115 is stacked in the center area of the loading space 12 to effectively distribute the outside air to the product that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damage to the product due to lack of air flow can be prevented.

도 2a 내지 도 2c는 도 1에서 보인 일관작업용 상자형 파렛트(10)를 구성함 에 있어서, 도 2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적재부재(20)에 대해 측벽부재(40)를 펼칠 수 있도록 하는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Figures 2a to 2c is in the configuration of the box-shaped pallet 10 for the integrated work shown in Figure 1, as shown in Figure 2c, to form a form that can be extended to the side wall member 40 with respect to the loading member 20 It is a figure for description.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파렛트(10)의 사용을 더욱 편리하게 하기 위해 측벽부재(40)를 펼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적재부재(20)와 측벽부재(40)는 평면(통상 평면도의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전체적으로 사각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측벽부재(40)는 각각 측벽 프레임(42) 및 망체(44)를 가지면서 서로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전면, 후면 및 양측면을 이루는 4개의 측벽(50, 60, 70, 80)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4개의 측벽(50, 60, 70, 80)은 적재부재(20)와 각각의 힌지블록(52, 62, 72, 82)으로 결합되므로써, 적재부재(20)에 대해 펼칠 수 있도록 하고, 적재부재(20)에 직립된 상태에서 록킹유니트(90)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므로써, 적재공간(12)을 형성하도록 한다. 그리고, 여기서 록킹유니트(90)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구성을 갖는 형태가 있지만, 통상 잠금과 해제를 위해 사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잠금기구가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2A to 2C, the side wall member 40 may be extended to further facilitate the use of the pallet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o this end, the loading member 20 and the side wall member 40 ar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s a whole when viewed in a plane (usually in the direction of a plan view). The side wall member 40 has four side walls 50, 60, 70, and 80 which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have a side wall frame 42 and a mesh 44 to form a front side, a rear side, and both sides. Is done. At this time, the four side walls (50, 60, 70, 80) are coupled to the loading member 20 and each hinge block (52, 62, 72, 82), so that it can be unfolded with respect to the loading member 20, It is to be fixed by the locking unit 90 in a state standing up to the loading member 20, thereby forming a loading space (12). In addition, although the locking unit 90 has a form having a technical configura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types of locking mechanisms that are usually used for locking and releasing may be used.

이와 같은 측벽부재(40)의 구성은 파렛트(10)의 조립 및 해체를 편리하게 하고, 제품을 파렛트(10)에 넣거나 꺼낼 때 작업의 용이성을 제공한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파렛트(10)는 기본적으로 벨트컨베이어나 콘백으로 산물상태로 파렛트에 바로 넣을 수 있도록 하는것이지만, 인력작업시에도 작업의 편리성을 주기위해 측벽부재를 1/2로 접을 수 있고, 또한 한쪽 측벽을 완전히 제거후 사용할 수도 있도록 한다. The configuration of the side wall member 40 facilitates the assembly and disassembly of the pallet 10 and provides ease of operation when the product is put into or taken out of the pallet 10. For example, the pallet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allows the product to be put directly into the pallet as a product as a belt conveyor or a cone bag, but the side wall member can be folded in half for convenience of work even when manpower is used. It can also be used after removing one side wall completely.

특히, 본 발명은 이와 같이 구성되는 측벽부재(40)에서 전면을 이루는 측벽(50)이 각각 측벽 프레임(42) 및 망체(44)를 가지면서 서로 분리되어 상하로 결합되는 상부 전면 측벽(54)과 하부 전면 측벽(56)로 구성되도록 하므로써, 수확시 또는 각 처리과정에서 컨베이어 등의 자동화 기계를 사용하여 제품을 넣을 때, 상부 전면 측벽(54)를 도 2b와 같은 상태로 하여 더욱 편리한 작업이 가능하도록 한다. 즉, 이와 같은 상부 전면 측벽(54)과 하부 전면 측벽(56)은 힌지블록(58)으로 결합되므로써, 하부 전면 측벽(56)에 대해 상부 전면 측벽(54)을 펼칠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도 2b와 같이 상부 전면 측벽(54)를 연 상태에서 컨베이어를 적재공간(12)까지 연장위치되도록 하여 제품이 바로 적재공간(12)으로 투입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ide wall 50 forming the front side of the side wall member 4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the side wall frame 42 and the mesh 44, respectively, and is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is coupled to the upper front side wall 54. And the lower front side wall 56, the upper front side wall 54 as shown in Fig. 2b for more convenient operation when the product is put at the time of harvesting or using an automated machine such as a conveyor during each processing. Make it possible. That is, since the upper front side wall 54 and the lower front side wall 56 are coupled to the hinge block 58, the upper front side wall 54 is configured to extend the upper front side wall 54 with respect to the lower front side wall 56, FIG. 2B. As described above, the conveyor is extended to the loading space 12 while the upper front sidewall 54 is opened, so that the product can be directly introduced into the loading space 12.

도 3 내지 도 4c는, 도 2에서 보인 측벽부재(20)의 작용을 더욱 발전시켜, 적재공간(12)내에 수용된 제품을 한꺼번에 비울 수 있도록 하는 적재부재(20)의 기술적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때, 도 3은 파렛트(10)의 상측방향에서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a는 파렛트(10)의 하측방향에서 구성요소들을 분해하여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4b는 도 4a의 상태에서 하측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4c는 도 4b의 상태에서 하측이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3 to 4C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loading member 20 to further develop the action of the side wall member 20 shown in FIG. 2 so that the products contained in the loading space 12 can be emptied at once. admit. At this time,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from the upper side of the pallet 10, Figure 4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mponents disassembled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pallet 10, Figure 4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ower side in the state of Figure 4a 4C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wer side is opened in the state of FIG. 4B.

도 3 내지 도 4b를 참조하면, 이와 같은 적재부재(20)는, 도 1 및 도 2를 통해 전술한 바와 같이, 받침대 골격을 이루는 적재 프레임(22)과, 이 적재 프레임(22)에 결합되는 타공 플레이트(24)를 구비하여 바닥에 놓이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적재부재(20)의 적재 프레임(22)은 제 1 적재 프레임(22a)과 제 2 적재 프레임(22b)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 1 적재 프레임(22a)은 적재공간(12)에 대해 내외로 개구되면서 외측 테두리를 이룬다. 그리고, 제 2 적재 프레임(22b)은 적재공간(12)에 대해 내외로 개구되면서 제 1 적재 프레임(22a)의 내측에 삽입되어 위치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 2 적재 프레임(22b)은 제 1 적재 프레임(22a)과 일측이 힌지블록(32)으로 결합되고, 타측이 바텀 록킹유니트(34)에 의해 제 1 적재 프레임(22a)에 고정된다. 이때, 적재부재(20)의 타공 플레이트(24)는 제 2 적재 프레임(22b)의 개구를 덮도록 제 2 적재 프레임(22b)에 결합되되, 통공(25)이 형성되어 적재공간(12) 내외로 공기가 유통되도록 하는 점은 전술한 바와 같다. 그리고, 여기서 바텀 록킹 유니트(3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구성을 갖는 형태가 있지만, 통상 잠금과 해제를 위해 사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잠금기구가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3 to 4B, the stacking member 20 is coupled to the stacking frame 22 and the stacking frame 22, which form a pedestal skeleton,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Perforated plate 24 is provided to be placed on the floor. At this time, the stacking frame 22 of the stacking member 20 includes a first stacking frame 22a and a second stacking frame 22b. Here, the first loading frame 22a forms an outer edge while opening in and out of the loading space 12. In addition, the second stacking frame 22b is formed to be inserted into and positioned inside the first stacking frame 22a while being opened in and out of the stacking space 12. In addition, the second stacking frame 22b is coupled to the first stacking frame 22a by a hinge block 32, and the other side is fixed to the first stacking frame 22a by the bottom locking unit 34. At this time, the perforated plate 24 of the stacking member 20 is coupled to the second stacking frame 22b to cover the opening of the second stacking frame 22b, and a through hole 25 is formed to allow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stacking space 12. Furnace air is circulated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although the bottom locking unit 34 has a form having a technical configura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types of locking mechanisms that are usually used for locking and releasing may be used.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적재 프레임(22)은, 도 4c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텀 록킹유니트(34)의 해제를 통해 제 1 적재 프레임(22a)에 대해 열림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파렛트(10)는 비움작업을 더욱 용이하게 하여 작업 의 효율성을 높이도록 한다. 특히, 이와 같은 적재부재(20)의 구성은 공정간의 연계성을 높이는 것으로, 세척, 선별, (망)포장 등의 자동화가 실현된 공정에서 자동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rough such a configuration, the loading frame 22 can be opened with respect to the first loading frame 22a by releasing the bottom locking unit 34 as shown in FIG. 4C. Pallet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o facilitate the emptying operation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work. In particular, the configuration of such a loading member 20 is to increase the linkage between the process,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implement a system that can automatically move in the process realized automation, such as washing, sorting, (network) packagin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5 내지 도 7d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 도 1 내지 도 7d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한다. 한편 각 도면에서 일반적인 기술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과 그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도시하였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S. 5 to 7D, and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in FIGS. 1 to 7D. Meanwhile, the drawings and detailed descriptions of configurations, operations, and effects that can be eas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general technology in each drawing are briefly or omitted, and are illustrated based on part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관작업용 상자형 파렛트의 사시도들이고, 도 7a 내지 도 7d는 도 5에서 보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관작업용 상자형 파렛트를 구성하는 요소들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5 and 6 are perspective views of an assembly box type palle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7a to 7d is a component constituting the assembly box type palle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Figures for explain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m.

도 5 내지 도 7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파렛트는 바닥에 놓이는 적재 프레임(22)과 타공 플레이트(24)를 갖는 적재부재(20), 측벽 프레임(42)과 망체(44)을 갖는 측벽부재(40) 및 통기부재(11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파렛트(10)는,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적재부 재(20)와 측벽부재(40)가 전체적으로 결합되었을 때 평면방향에서 보는 것으로 기준으로 사각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적재부재(20)는 바텀 록킹유니트(34)에 의해 하측을 개방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측벽부재(40)는 전면, 후면 및 양측면을 이루고, 록킹유니트(90)에 의해 서로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는 4개의 측벽(50, 60, 70, 80)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Referring to Figures 5-7D,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llet is a loading member 20, a side wall frame 42 and a net 44 having a loading frame 22 and a perforated plate 24 lying on the floor. It is provided with a side wall member 40 and a vent member 110 having a. At this time, the pallet 10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ures 5 and 6, when the loading member 20 and the side wall member 40 is formed in a square shape on the basis of what is seen in the planar direction when combined as a whole. do. And, the loading member 20 is configured to open the lower side by the bottom locking unit 34, the side wall member 40 forms the front, rear and both sides, so as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the locking unit (90). With four side walls 50, 60, 70, and 80 joined.

좀 더 구체적으로 보면, 적재부재(20)의 적재 프레임(22)은 제 1 적재 프레임(22a)과 제 2 적재 프레임(22b)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 1 적재 프레임(22a)은 적재공간(12)에 대해 내외로 개구되면서 외측 테두리를 이룬다. 그리고, 제 2 적재 프레임(22b)은 적재공간(12)에 대해 내외로 개구되면서 제 1 적재 프레임(22a)의 내측에 삽입되어 위치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 2 적재 프레임(22b)은 제 1 적재 프레임(22a)과 일측이 힌지블록(32)으로 결합되고, 타측이 바텀 록킹유니트(34)에 의해 제 1 적재 프레임(22a)에 고정된다. 이때, 적재부재(20)의 타공 플레이트(24)는 제 2 적재 프레임(22b)의 개구를 덮도록 제 2 적재 프레임(22b)에 결합되되, 통공(25)이 형성되어 적재공간(12) 내외로 공기가 유통되도록 한다. 그리고, 타공 플레이트(24)는 적재공간(12)에 수용되는 제품을 지지하는 기능을 하게 되고, 제품에 물리적 손상을 주지않으면서 저장과정시 바닥에서의 냉기가 파렛트(10) 안으로 잘 침투되는 구조이어야 하므로 개구율이 40% 이상되도록 한다.More specifically, the stacking frame 22 of the stacking member 20 includes a first stacking frame 22a and a second stacking frame 22b. Here, the first loading frame 22a forms an outer edge while opening in and out of the loading space 12. In addition, the second stacking frame 22b is formed to be inserted into and positioned inside the first stacking frame 22a while being opened in and out of the stacking space 12. In addition, the second stacking frame 22b is coupled to the first stacking frame 22a by a hinge block 32, and the other side is fixed to the first stacking frame 22a by the bottom locking unit 34. At this time, the perforated plate 24 of the stacking member 20 is coupled to the second stacking frame 22b to cover the opening of the second stacking frame 22b, and a through hole 25 is formed to allow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stacking space 12. To allow air to flow. In addition, the perforated plate 24 has a function of supporting a product accommodated in the loading space 12, a structure in which cold air from the bottom penetrates into the pallet 10 during the storage process without causing physical damage to the product. The opening ratio should be at least 40%.

한편, 제 2 적재 프레임(22b)의 개폐를 조절하는 바텀 록킹유니트(34)은 제 1 브라켓(35), 제 2 브라켓(36) 및 핀(38)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도 7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1 브라켓(35)은 힌지블록(32)의 반대측 방향에서 제 1 적재 프레임(22a)에 고정된다. 제 2 브라켓(36)은 제 1 브라켓(35)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제 2 적재 프레임(22b)에 고정된다. 그리고, 핀(38)은 제 1 브라켓(25)과 제 2 브라켓(26)에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된다. On the other hand, the bottom locking unit 34 for adjust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econd stacking frame 22b includes a first bracket 35, a second bracket 36, and a pin 38. Here, as shown in FIG. 7B, the first bracket 35 is fixed to the first stacking frame 22a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hinge block 32. The second bracket 36 is fixed to the second stacking frame 22b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bracket 35. In addition, the pin 38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bracket 25 and the second bracket 26.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실시예에 따른 파렛트(10)에서 적재부재(20)는 바텀 록킹유니트(34)의 핀(38)을 제 1 브라켓(25)과 제 2 브라켓(26)에 결합시키므로써, 제 2 적재 프레임(22b)이 제 1 적재 프레임(22a)에 닫히도록 하고, 핀(38)을 제거하여 제 1 적재 프레임(22a)으로부터 힌지블록(32)에 지지되어 개방되도록 하는 것이다. Through such a configuration, the loading member 20 in the pallet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ouples the pins 38 of the bottom locking unit 34 to the first bracket 25 and the second bracket 26. The second stacking frame 22b is closed to the first stacking frame 22a and the pin 38 is removed to support and open the hinge block 32 from the first stacking frame 22a.

한편, 측벽부재(40)는 적재공간(12)에 대해 내외로 개구되면서 골격을 이루는 측벽 프레임(42)과, 이 측벽 프레임(42)의 개구를 덮도록 측벽 프레임(42)에 결합되되, 적재공간(12) 내외로 공기가 유통되도록 하는 망체(44)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측벽부재(40)는 펼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파렛트(10)의 사용을 더욱 편리하게 한다. 이를 위해 측벽부재(40)는 각각 측벽 프레임(42) 및 망체(44)를 가지면서 서로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전면, 후면 및 양측면을 이루는 4개의 측벽(50, 60, 70, 80)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On the other hand, the side wall member 40 is coupled to the side wall frame 42 to cover the opening of the side wall frame 42 and the side wall frame 42 forming a skeleton while opening in and out with respect to the loading space 12, And a net 44 to allow air to flow in and out of the space 12. In particular, the side wall member 4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to be expanded to make the use of the pallet 10 more convenient. To this end, the side wall member 40 has four side walls 50, 60, 70, and 80 which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have a side wall frame 42 and a mesh 44, respectively, to form a front side, a rear side, and both sides. Is done.

이때, 4개의 측벽(50, 60, 70, 80)은 적재부재(20)와 각각의 힌지블록(52, 62, 72, 82)으로 결합되므로써, 적재부재(20)에 대해 펼칠 수 있도록 하고, 적재부재(20)에 직립된 상태에서 록킹유니트(90)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므로써, 적재공간(12)을 형성하도록 한다. 여기서, 록킹유니트(90)는 4개의 측벽(50, 60, 70, 80) 중 적어도 2개의 측벽(50, 60)에 고정되는 브라켓(94)에 슬라이딩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핀(96)과, 핀(96)이 설치되지 않는 나머지의 측벽(70, 80)에 고정설치되어 핀(96)이 결합되는 록킹 플레이트(98)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본 실시에예는 전면을 이루는 측벽(50)과 후면을 이루는 측벽(60)에 핀(96)을 설치하고, 양측의 측벽(70, 80)에 록킹 플레이트(98)를 고정설치하였다.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록킹 플레이트(98)는 고정되는 양측 측벽(70, 80)에 부착되는 고정부(100)와 전면 및 후면을 이루는 측벽(50, 60)으로 연장되는 연장부(104)가 힌지(102)에 의해 연결되는 형태{힌지블록의 형태를 갖는다}로 형성되고, 연장부(104)에 핀(96)이 삽입되는 홀(106a)이 형성된 결합부(106)가 형성된다. 그리고, 핀(96)은 수평바(96a)에 손잡이(96b)를 설치하여 구성한다. At this time, the four side walls (50, 60, 70, 80) are coupled to the loading member 20 and each hinge block (52, 62, 72, 82), so that it can be unfolded with respect to the loading member 20, It is to be fixed by the locking unit 90 in a state standing up to the loading member 20, thereby forming a loading space (12). Here, the locking unit 90 includes a pin 96 slidably coupled to a bracket 94 fixed to at least two side walls 50 and 60 of the four side walls 50, 60, 70 and 80, and a pin. It is provided with a locking plate 98 is fixed to the remaining side wall (70, 80) is not installed 96 is coupled to the pin 96. In this embodiment, the pin 96 is installed on the side wall 50 forming the front side and the side wall 60 forming the rear side, and the locking plates 98 are fixed to the side walls 70 and 80 on both sides. The locking plate 98 applied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ixing part 100 attached to both side walls 70 and 80 to be fixed, and an extension part 104 extending to the side walls 50 and 60 forming the front and rear surfaces. A coupling part 106 is formed in the form of being connected by the hinge 102 (having a shape of the hinge block), and the hole 106a into which the pin 96 is inserted into the extension part 104 is formed. The pin 96 is configured by installing a handle 96b on the horizontal bar 96a.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록킹유니트(90)는, 도 7e에서 보는 바와 같이, 4개의 측벽(50, 60, 70, 80)을 조립할 때 핀(96)을 록킹 플레이트(98)에 결합시키므로써 4개의 측벽(50, 60, 70, 80)이 고정되도록 한다. Locking unit 9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ure 7e, by assembling the pin 96 to the locking plate 98 when assembling the four side walls (50, 60, 70, 80) The side walls 50, 60, 70, and 80 are fixed.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파렛트(10)는 전면을 이루는 측벽(50)이 각각 측벽 프레임(42) 및 망체(44)를 가지면서 서로 분리되어 상하로 결합되는 상부 전면 측벽(54)과 하부 전면 측벽(56)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상부 전면 측벽(54)과 하부 전면 측벽(56)은 힌지블록(58)으로 결합되므로써, 하부 전면 측벽(56)에 대해 상부 전면 측벽(54)을 일정한 각도로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pallet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front side wall 50 and a lower front side, in which the side walls 50 constituting the front side have a side wall frame 42 and a mesh 44, respectively,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coupled up and down. It consists of side walls 56. The upper front sidewall 54 and the lower front sidewall 56 are coupled to the hinge block 58, thereby opening the upper front sidewall 54 with respect to the lower front sidewall 56 at a constant angl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파렛트(10)는 측벽부재(40)에 지지되고, 적재공간(12)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적재공간(12)의 내부 중심영역으로 공기가 유통되도록 하는 통기부재(110)가 더 구비되도록 하여, 구근류 등의 제품이 적재공간(12)내에 적재되었을 때, 바닥측에 위치되는 제품이 압상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감소시키도록 하고, 적재공간(12)내에서 중심영역에 위치되는 제품에도 공기가 원활하게 유통되도록 할 수 있다. Meanwhile, the pallet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upported by the side wall member 40 and is installed to cross the loading space 12 so that the air flows to the inner central region of the loading space 12. ) Is further provided to reduce the damage of the product placed on the bottom side by the pressure when the product, such as bulbs, etc. are loaded in the loading space 12, and to the central area within the loading space 12 It is possible to smoothly distribute air to the products placed.

한편, 통기부재(110)는 타공관(115) 및 지지링(120)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지지링(12)은 적재공간(12)을 두고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서 측벽부재(40)의 양측의 측벽(70, 80)에 각각 결합되고,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된다. 그리고, 이 지지링(120)은, 도 7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깥측에 스톱퍼(122)가 형성되도록 하여, 타공관(115)이 결합된 후, 그 위치가 지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타공관(115)은 양단으로 개구되는 중공(116)을 갖고, 둘레면상에 관통되는 통공(118)이 형성된다. 그리고, 타공관(115)은 적재공간(12)에 수용되는 제품의 하중이 미치게 되므로, 제품에 물리적 손상을 주지않으면서 저장과정시 외부의 냉기가 적재공간(12)내로 잘 침투되도록 개구율이 40% 이상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타공관(115)은, 도 7e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측이 지지링(120)에 끼워져 결합되어 지지된다. On the other hand, the vent member 110 is provided with a perforated tube 115 and the support ring 120. Here, the support ring 12 is coupled to the side wall (70, 80) of both sides of the side wall member 40 in the position facing each other with the loading space 12, respectively, and are coupled to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other. Then, the support ring 120, as shown in Figure 7a, the stopper 122 is formed on the outside, so that the other hole pipe 115 is coupled, so that the position is supported. The other hole 115 has a hollow 116 that is open at both ends, and a through hole 118 penetrating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is formed. In addition, since the perforated pipe 115 has a load of the product accommodated in the loading space 12, the opening ratio is 40 so that external cold air penetrates into the loading space 12 well during the storage process without causing physical damage to the product. Allow more than% As shown in FIG. 7E, the perforated tube 115 is coupled to and supported by the support ring 120.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렛트(10)는 수거 및 운반(수송)과정의 측면에서 적재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적재(채움) 및 비움의 작업 및 이송을 용이하도록 한다. 그리고, 예건(건조)과정의 측면에서 공기의 유동성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압상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도록 한다. 그리고, 저장과정의 측면에서 냉각속도, 공기유동성, 온도의 균일성, 압상방지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처리과정간의 연계성 측면에서 제품의 채움 및 비움작업을 편리하게 하도록 하고, 선별포장라인 및 강제통풍건조와의 연계가 가능하도록 한다. Pallet 1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o increase the loading efficiency in terms of the collection and transport (transport) process, and facilitates the operation and transfer of loading (filling) and emptying. In addition, in terms of preliminary (drying) process, the fluidity of air is effectively achieved, and the effect of preventing rolling is obtained. In addition, in terms of storage process, it is possible to expect the effect of cooling rate, air flowability, temperature uniformity and anti-rolling. In addition, the filling and emptying of the product is convenient in terms of the linkage between the processing processes, and the linkage with the sorting packaging line and forced ventilation drying is possible.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관작업용 상자형 파렛트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box-type pallet for the assembly lin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llustrated according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various changes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도 1 내지 도 4b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관작업용 상자형 파렛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도 1은 가장 기본적인 일관작업용 상자형 파렛트의 기술적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a 내지 도 4c는 도 1에서 보인 일관작업용 상자형 파렛트의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적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1 to 4b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box-type pallet for assembly line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most basic box-type pallet for assembly line, Figure 2a to 4c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drawings for explaining the technical configuration for improving the function of the box-type pallet for the assembly line shown in FIG.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관작업용 상자형 파렛트의 사시도들;5 and 6 are perspective views of an assembly box palle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a 내지 도 7d는 도 5에서 보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관작업용 상자형 파렛트를 구성하는 요소들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7a to 7d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elements constituting the assembly box palle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구근류의 운반, 건조(예냉) 및 저장의 일관작업용 상자형) 파렛트10: (Box type for assembly work of transporting, drying (precooling) and storing bulbs) pallet

12 : 적재공간 20 : 적재부재12: loading space 20: loading member

22 : 적재 프레임 22a : 제 1 적재 프레임22: loading frame 22a: first loading frame

22b : 제 2 적재 프레임 24 : 타공 플레이트22b: second stacking frame 24: perforated plate

25, 118 : 통공 34 : 바텀 록킹유니트25, 118: through hole 34: bottom locking unit

35 : 제 1 브라켓 36, 96 : 제 2 브라켓35: first bracket 36, 96: second bracket

38 : 핀 40 : 측벽부재38: pin 40: side wall member

42 : 측벽 프레임 44 : 망체42: side wall frame 44: mesh

50, 60, 70, 80 : 측벽 52, 58, 62, 72, 82 : 힌지블록50, 60, 70, 80: side walls 52, 58, 62, 72, 82: hinge block

54 : 상부 전면 측벽 56 : 하부 전면 측벽54: upper front sidewall 56: lower front sidewall

90 : 록킹유니트 94 : 브라켓90: locking unit 94: bracket

98 : 록킹 플레이트 110 : 통기부재98: locking plate 110: ventilation member

115 : 타공관 116 : 중공115: piercing pipe 116: hollow

120 : 지지링120: support ring

Claims (9)

바닥에 놓이는 적재부재(20)와;A loading member 20 placed on the bottom; 상기 적재부재(20)상에 결합되어 둘레 측벽을 형성하므로써, 제품이 수용되는 적재공간(12)을 형성하는 측벽부재(40) 및;A side wall member 40 coupled to the loading member 20 to form a peripheral side wall, thereby forming a loading space 12 in which a product is accommodated; 상기 측벽부재(40)에 지지되고, 상기 적재공간(12)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상기 적재공간(12)의 내부 중심영역으로 공기가 유통되도록 하는 통기부재(1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관작업용 상자형 파렛트.It is supported by the side wall member 40,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ventilation member 110 is installed to cross the loading space 12 to allow air to flow to the inner central region of the loading space 12 Assembly box pallets.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통기부재(110)는 상기 적재공간(12)을 두고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서 상기 측벽부재(40)에 각각 결합되는 지지링(120) 및,The vent member 110 is a support ring 120 is respectively coupled to the side wall member 40 in a position facing each other with the loading space 12, 양단으로 개구되는 중공(116)을 갖고, 둘레면상에 관통되는 통공(118)이 형성되어 양측이 상기 지지링(120)에 결합되어 지지되는 타공관(11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관작업용 상자형 파렛트.It has a hollow 116 opening at both ends, the through-hole 118 is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is formed for both of the integrated work, characterized in that the other side is provided with a perforated tube 115 coupled to the support ring 120 is supported Box pallet.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적재부재(20)는 상기 적재공간(12)에 대해 내외로 개구되면서 받침대 골격을 이루는 적재 프레임(22) 및,The loading member 20 is a loading frame 22 forming a pedestal skeleton while opening in and out with respect to the loading space 12, 상기 적재 프레임(22)의 개구를 덮도록 상기 적재 프레임(22)에 결합되되, 통공(25)이 형성되어 상기 적재공간(12) 내외로 공기가 유통되도록 하는 타공 플레이트(24)을 구비하고, It is coupled to the loading frame 22 so as to cover the opening of the loading frame 22, the through hole 25 is provided with a perforated plate 24 to allow air to flow into and out of the loading space 12, 상기 측벽부재(40)는 상기 적재공간(12)에 대해 내외로 개구되면서 골격을 이루는 측벽 프레임(42) 및,The side wall member 40 is a side wall frame 42 forming a skeleton while opening in and out with respect to the loading space 12, 상기 측벽 프레임(42)의 개구를 덮도록 상기 측벽 프레임(42)에 결합되되, 상기 적재공간(12) 내외로 공기가 유통되도록 하는 망체(4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관작업용 상자형 파렛트.And a mesh 44 coupled to the side wall frame 42 so as to cover the opening of the side wall frame 42 and allowing air to flow into and out of the loading space 12.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적재부재(20)와 측벽부재(40)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전체적으로 사각형태로 형성되고, The stacking member 20 and the side wall member 40 ar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s a whole when viewed in plan, 상기 측벽부재(40)는 각각 상기 측벽 프레임(42) 및 망체(44)를 가지면서 서로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전면, 후면 및 양측면을 이루는 4개의 측벽(50, 60, 70, 80)을 구비하되, The side wall member 40 has four side walls 50, 60, 70, and 80, which are coupled to each other with the side wall frame 42 and the mesh 44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forming a front side, a rear side, and two side surfaces. , 상기 4개의 측벽(50, 60, 70, 80)은 상기 적재부재(20)와 각각의 힌지블록(52, 62, 72, 82)으로 결합되므로써, 상기 적재부재(20)에 대해 펼칠 수 있도록 하고, The four side walls (50, 60, 70, 80) are coupled to the stacking member 20 and each hinge block (52, 62, 72, 82), so that it can be unfolded with respect to the stacking member (20) , 상기 적재부재(20)에 직립된 상태에서 록킹유니트(90)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므로써, 상기 적재공간(12)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관작업용 상자형 파렛트.Box-shaped pallet for assembly work,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the loading space (12) by being fixed by the locking unit (90) in an upright position on the loading member (20). 제 4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측벽부재(40)에서 전면을 이루는 측벽(50)은 각각 상기 측벽 프레임(42) 및 망체(44)를 가지면서 서로 분리되어 상하로 결합되는 상부 전면 측벽(54)과 하부 전면 측벽(56)을 구비하되,The side wall 50 which forms the front surface in the side wall member 40 has the side wall frame 42 and the mesh 44, respectively, and is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side walls 54 and the lower front side wall 56. Provided with 상기 상부 전면 측벽(54)과 하부 전면 측벽(56)은 힌지블록(58)으로 결합되므로써, 상기 하부 전면 측벽(56)에 대해 상기 상부 전면 측벽(54)을 펼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관작업용 상자형 파렛트.The upper front sidewall 54 and the lower front sidewall 56 are joined by a hinge block 58 so that the upper front sidewall 54 can be unfolded relative to the lower front sidewall 56. Work pallets. 제 4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록킹유니트(90)는 상기 4개의 측벽(50, 60, 70, 80) 중 적어도 2개의 측벽(50, 60)에 고정되는 브라켓(94)에 슬라이딩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핀(96) 및,The locking unit 90 has a pin 96 slidably coupled to a bracket 94 fixed to at least two side walls 50 and 60 of the four side walls 50, 60, 70 and 80, and 상기 핀(96)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핀(96)이 설치되지 않는 나머지의 측벽(70, 80)에 고정되어 설치되고, 일단이 상기 핀(96)이 설치된 측벽(50, 60)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록킹 플레이트(98)를 구비하여, 상기 핀(96)을 상기 록킹 플 레이트(98)에 결합시키므로써 상기 4개의 측벽(50, 60, 70, 80)이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관작업용 상자형 파렛트. The pin 96 is fixedly installed on the remaining side walls 70 and 80 where the pin 96 is not install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in 96, and one end thereof extends to the side walls 50 and 60 on which the pin 96 is installed. And a locking plate 98 formed so that the four side walls 50, 60, 70, and 80 are fixed by coupling the pin 96 to the locking plate 98. Assembly box pallets. 받침대 골격을 이루는 적재 프레임(22)과, 상기 적재 프레임(22)에 결합되는 타공 플레이트(24)를 구비하여 바닥에 놓이는 적재부재(20) 및;A loading member (20) placed on the floor with a loading frame (22) forming a pedestal skeleton and a perforated plate (24) coupled to the loading frame (22); 상기 적재부재(20)상에 결합되어 둘레 측벽을 형성하므로써, 제품이 수용되는 적재공간(12)을 형성하는 측벽부재(40)를 포함하되;A side wall member 40 coupled to the loading member 20 to form a peripheral side wall, thereby forming a loading space 12 in which a product is accommodated; 상기 적재부재(20)의 적재 프레임(22)은 상기 적재공간(12)에 대해 내외로 개구되면서 외측 테두리를 이루는 제 1 적재 프레임(22a) 및, The stacking frame 22 of the stacking member 20 has a first stacking frame 22a that forms an outer edge while opening in and out of the stacking space 12, and 상기 적재공간(12)에 대해 내외로 개구되면서 상기 제 1 적재 프레임(22a)의 내측에 삽입되어 위치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1 적재 프레임(22a)과 일측이 힌지블록(32)으로 결합되고, 타측이 바텀 록킹유니트(34)에 의해 상기 제 1 적재 프레임(22a)에 고정되므로써, 상기 바텀 록킹유니트(34)의 해제를 통해 상기 제 1 적재 프레임(22a)에 대해 펼침이 가능한 제 2 적재 프레임(22b)을 구비하고, It is formed to be inserted into and positioned inside the first loading frame 22a while opening in and out of the loading space 12, and the first loading frame 22a and one side are coupled to the hinge block 32. Since the other side is fixed to the first stacking frame 22a by the bottom locking unit 34, the second stacking frame can be unfolded with respect to the first stacking frame 22a by releasing the bottom locking unit 34. 22b, 상기 적재부재(20)의 타공 플레이트(24)는 상기 제 2 적재 프레임(22b)의 개구를 덮도록 상기 제 2 적재 프레임(22b)에 결합되되, 통공(25)이 형성되어 상기 적재공간(12) 내외로 공기가 유통되도록 하며, The perforated plate 24 of the stacking member 20 is coupled to the second stacking frame 22b to cover the opening of the second stacking frame 22b, and a through hole 25 is formed so that the stacking space 12 ) To allow air to flow in and out, 상기 측벽부재(40)는 상기 적재공간(12)에 대해 내외로 개구되면서 골격을 이루는 측벽 프레임(42) 및,The side wall member 40 is a side wall frame 42 forming a skeleton while opening in and out with respect to the loading space 12, 상기 측벽 프레임(42)의 개구를 덮도록 상기 측벽 프레임(42)에 결합되되, 상기 적재공간(12) 내외로 공기가 유통되도록 하는 망체(4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관작업용 상자형 파렛트.And a mesh 44 coupled to the side wall frame 42 so as to cover the opening of the side wall frame 42 and allowing air to flow into and out of the loading space 12. . 제 7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바텀 록킹유니트(34)는 상기 힌지블록(32)의 반대측 방향에서 상기 제 1 적재 프레임(22a)에 고정되는 제 1 브라켓(35)과,The bottom locking unit 34 includes a first bracket 35 fixed to the first stacking frame 22a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hinge block 32, 상기 제 1 브라켓(35)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제 2 적재 프레임(22b)에 고정되는 제 2 브라켓(36) 및,A second bracket 36 fixed to the second stacking frame 22b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bracket 35; 상기 제 1 브라켓(25)과 제 2 브라켓(26)에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핀(38)을 구비하여, 상기 핀(38)을 상기 제 1 브라켓(25)과 제 2 브라켓(26)에 결합시키므로써 상기 제 2 적재 프레임(22b)이 상기 제 1 적재 프레임(22a)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관작업용 상자형 파렛트. A pin 38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bracket 25 and the second bracket 26 to couple the pin 38 to the first bracket 25 and the second bracket 26. And the second loading frame (22b) is fixed to the first loading frame (22a). 바닥에 놓이는 적재부재(20) 및; A loading member 20 placed on the floor; 상기 적재부재(20)상에 결합되어 둘레 측벽을 형성하므로써, 제품이 수용되는 적재공간(12)을 형성하는 측벽부재(40)를 포함하되; A side wall member 40 coupled to the loading member 20 to form a peripheral side wall, thereby forming a loading space 12 in which a product is accommodated; 상기 적재부재(20)는 상기 적재공간(12)에 대해 내외로 개구되면서 받침대 골격을 이루는 적재 프레임(22) 및, The loading member 20 is a loading frame 22 forming a pedestal skeleton while opening in and out with respect to the loading space 12, 상기 적재 프레임(22)의 개구를 덮도록 상기 적재 프레임(22)에 결합되되, 통공(25)이 형성되어 상기 적재공간(12) 내외로 공기가 유통되도록 하는 타공 플레이트(24)을 구비하고, It is coupled to the loading frame 22 so as to cover the opening of the loading frame 22, the through hole 25 is provided with a perforated plate 24 to allow air to flow into and out of the loading space 12, 상기 측벽부재(40)는 상기 적재공간(12)에 대해 내외로 개구되면서 골격을 이루는 측벽 프레임(42) 및, The side wall member 40 is a side wall frame 42 forming a skeleton while opening in and out with respect to the loading space 12, 상기 측벽 프레임(42)의 개구를 덮도록 상기 측벽 프레임(42)에 결합되되, 상기 적재공간(12) 내외로 공기가 유통되도록 하는 망체(4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관작업용 상자형 파렛트. And a mesh 44 coupled to the side wall frame 42 so as to cover the opening of the side wall frame 42 and allowing air to flow into and out of the loading space 12. .
KR1020080014261A 2008-02-18 2008-02-18 Box Pallet for Through Process KR10096070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4261A KR100960702B1 (en) 2008-02-18 2008-02-18 Box Pallet for Through Proces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4261A KR100960702B1 (en) 2008-02-18 2008-02-18 Box Pallet for Through Proces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8984A true KR20090088984A (en) 2009-08-21
KR100960702B1 KR100960702B1 (en) 2010-05-31

Family

ID=41207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4261A KR100960702B1 (en) 2008-02-18 2008-02-18 Box Pallet for Through Proces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0702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3043B1 (en) * 2018-02-02 2018-05-31 박은진 Packing box
KR200490368Y1 (en) * 2018-05-11 2019-11-04 최종환 Safety palate for freight transport
KR20200073382A (en) 2018-12-14 2020-06-24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oronous working palette equipped with wireless power receiving coi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6147B1 (en) * 2010-09-29 2013-02-25 이명규 The crops storage box
KR102019156B1 (en) * 2018-11-16 2019-09-09 주식회사 중선 Waste material transfer frame and box for trasferring waste material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8527A (en) * 1996-01-19 1997-08-12 카오 지-추안 Freshness keeping device of agricultural products
JP2002046741A (en) * 2000-08-07 2002-02-12 Suehiro Kogyo:Kk Mesh palle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3043B1 (en) * 2018-02-02 2018-05-31 박은진 Packing box
KR200490368Y1 (en) * 2018-05-11 2019-11-04 최종환 Safety palate for freight transport
KR20200073382A (en) 2018-12-14 2020-06-24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oronous working palette equipped with wireless power receiving coi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0702B1 (en) 2010-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0702B1 (en) Box Pallet for Through Process
US4168597A (en) Lettuce processing apparatus
US7146914B2 (en) Identity preserved container
KR101232758B1 (en) Storage sack for agricultural products
US5675905A (en) Dryer system for vegetables
KR101770526B1 (en) An agricultural storage device equipped with masonry and ventilation functions
Uebersax et al. Harvesting, postharvest handling, distribution, and marketing of dry beans
RU2073468C1 (en) Method for production, storage and preparing of food products made from plant raw material, preferably vegetables, cucurbits and legume crops and mushrooms for realization, and method for stocking, storage and preparing for realization and transportation of vegetables, cucurbits and legume crops, mushrooms and food products manufactured from such raw material
US20090145870A1 (en) Collapsible support apparatus and methods
EP1345820B1 (en) Method and device for packaging cocoa beans and such natural products
KR101040679B1 (en) Multipurpose box for keeping agriculture products
CN204811113U (en) Multi -functional peasant household granary
KR101236147B1 (en) The crops storage box
CN211568568U (en) Storage rack for fruit tree nursery stock refrigeration house
CN210311463U (en) A packing box for fruit vegetables transportation
US4433513A (en) Storage and shipping unit
US20100209224A1 (en) Seed cart
US9936640B2 (en) Method for harvesting, handling and packing berries picked directly from the plant
KR102590300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spoilage during bulk storage of onions and onion storage method using the same
WO2018129126A1 (en) Crop retention systems, containers, and associated methods
CN212971634U (en) Foldable multipurpose cigarette frame
KR102118969B1 (en) Laver Bag Combining Apparatus for Moving Separately Water Laver
KR20160003600U (en) Container for onion storage
US2809072A (en) Fruit or vegetable harvesting cart
KR20190128417A (en) Ton Bag with Upper and Lower Open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