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8692A - 이동통신단말기의 지역화 서비스 정보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의 지역화 서비스 정보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8692A
KR20090088692A KR1020080014119A KR20080014119A KR20090088692A KR 20090088692 A KR20090088692 A KR 20090088692A KR 1020080014119 A KR1020080014119 A KR 1020080014119A KR 20080014119 A KR20080014119 A KR 20080014119A KR 20090088692 A KR20090088692 A KR 200900886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localized
local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4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7264B1 (ko
Inventor
오승환
선용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Priority to KR1020080014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7264B1/ko
Publication of KR20090088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86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7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72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02B60/50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위치 등록 과정을 생략하여 시스템의 부하를 줄이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지역화 서비스 정보 관리 방법이 개시된다. 이동통신망 내의 현재 접속된 셀로부터 서비스 그룹 아이디, 서비스 아이디 및 지역화 서비스 값을 수신하는 서비스 정보 수신 단계, 저장된 지역화 서비스 그룹 아이디 및 지역화 서비스 아이디를 독출하여 수신된 서비스 그룹 아이디 및 서비스 아이디와 비교하는 지역화 서비스 판별 단계 및 저장된 지역화 서비스 그룹 아이디 및 지역화 서비스 아이디와 수신된 서비스 그룹 아이디 및 서비스 아이디가 동일한 경우에는 수신된 지역화 서비스 값을 이용하여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을 설정하는 지역화 서비스 기능 설정 단계를 포함하여 이동통신단말기의 지역화 서비스 정보 관리 방법을 구성한다. 따라서, 지역화 서비스 셀에 진입하거나, 지역화 서비스 셀을 벗어날 경우에 반복되는 위치 등록 과정을 생략함으로써 시스템의 부하를 줄이고, 이동통신단말기의 과도한 배터리 소모를 방지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동통신단말기, 프리존, 지역화 서비스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의 지역화 서비스 정보 관리 방법{METHOD OF MANAGING LOCALIZED SERVICE INFORMATION IN MOBILE TELEPHONE}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지역화 서비스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과도한 위치 등록의 반복을 방지함으로써 시스템의 과도한 부하를 줄이고 이동통신단말기의 급격한 전류 소모를 줄일 수 있는, 지역화 서비스(localized service)에 필요한 지역화 서비스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네트워크에서는 특정 지역 내에서 지역화된 서비스(localized service)를 제공하는 표준들(예컨대, 3GPP TS 23.073)이 존재한다. 또한, 이동통신사업자들은 이와 같은 지역화 서비스들에 다양한 명칭들을 부여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예컨대, 국내 이동통신사업자들이 '프리존(free-zone)' 등의 이름으로 제공하는 지역화 서비스는 미리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들에 대해서 사용자들의 이동통신단말기가 미리 약정한 특정 지역 내에 위치할 경우에 요금, 기타 서비스 및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 제한 등을 포함한 차별화된 정책을 가져가는 것이다.
특정 지역이라 하면, 대학 캠퍼스나 특정 기업체의 사업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지역화된 서비스라 하면, 대학 캠퍼스나 특정 기업체의 산업단지, 연구소 내에 서 이동통신단말기에 장착된 내장 카메라의 기능을 차단하거나, 전화접속 네트워킹 기능, 영상통화 발신 기능 등을 제한하거나, 요금 정책을 다양하게 구성하는 것 등을 의미한다. 예컨대, 기업의 공장이나 연구 단지 등에서의 보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특정 지역 내에서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 및 전화 접속 어댑터와 같은 기능을 제한시키기도 하고, 음성 통화의 요금을 저렴하게 책정하는 대신에 영상 통화 등의 고급 기능을 제한하는 등의 서비스 정책과 관련되어 있는 서비스이다.
이때, 특정 지역 내에서 허용되거나 허용되지 않는 서비스에 관한 정보는 3GPP 표준에 따른 GMM(GSM Mobility Management) information 메시지내의 LSA(Localized Service Area) 아이디의 몇 개 비트를 통하여 전달된다. 예를 들어, LSA의 상위 5개 비트로서 단말기의 카메라 기능, 전화접속 네트워크 기능, 영상통화 발신 기능, 서비스 메뉴 설정 기능 등의 허용 및 차단 여부(On/Off)를 결정하고 있다. 즉, 지역화 서비스에 가입된 단말기가 지역화 서비스 대상 지역에 진입되면, 위치 등록 이후에 최종적으로 GMM information 메시지를 수신하여 GMM information 메시지내의 LSA 아이디의 몇 개 비트를 통하여 허용되는 서비스와 허용되지 않는 서비스를 결정하여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을 제한하거나 제한을 해지하게 된다.
지역화 서비스에 가입한 이동통신단말기가 지역화 서비스 셀에서 파워 온(power-on)되거나 지역화 서비스 셀이 아닌 셀에서 지역화 서비스 셀로 진입하는 경우에는 이동통신단말기가 자신이 지역화 서비스 영역에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고, 서비스 내용을 받기 위하여 위치 등록을 수행하게 된다. 지역화 서비스 영역에서 공용 영역으로 나올 때에도 마찬가지로 위치 등록을 수행하고 이동통신망으로부터 GMM information 메시지를 수신하여 지역화 서비스 내용을 정상 상태로 업데이트하게 된다. 따라서, 지역화 서비스에 가입된 이동통신단말기는 지역화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기 위하여 지역화 서비스 영역에 진입할 때와 벗어날 때에 위치 등록 과정(routing area updating procedure)을 반복하게 된다. 이러한 위치 등록 과정은 단말기와 이동통신망 간의 메시지 전송과 처리 과정으로 인하여 시스템에 많은 부하를 줄 수 있으며,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 소모량도 급격하게 증가시킨다.
특히, 공용 망과 지역화 서비스 영역이 인접한 경계지역에서는 위치 등록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이동통신단말기의 불안정한 동작을 초래하기도 하고, 오버 플로우로 인하여 이동통신망의 시스템 운영에 차질을 가져올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역화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이동통신단말기가 지역화 서비스 지역에 들어오거나 지역화 서비스 지역을 벗어나는 경우에 반복되는 위치 등록 과정을 줄일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지역화 서비스 정보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지역화 서비스 정보 관리 방법에 있어서, 이동통신망 내의 현재 접속된 셀로부터 서비스 그룹 아이디, 서비스 아이디 및 지역화 서비스 값을 수신하는 서비스 정보 수신 단계, 저장된 지역화 서비스 그룹 아이디 및 지역화 서비스 아이디를 독출하여 상기 서비스 그룹 아이디 및 서비스 아이디와 비교하는 지역화 서비스 판별 단계 및 상기 저장된 지역화 서비스 그룹 아이디 및 지역화 서비스 아이디와 상기 수신된 서비스 그룹 아이디 및 서비스 아이디가 동일한 경우에는 상기 현재 접속된 셀이 지역화 서비스 셀인 것으로 판정하고 상기 수신된 지역화 서비스 값을 이용하여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을 설정하는 지역화 서비스 기능 설정 단계를 포함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지역화 서비스 정보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상기 지역화 서비스 정보 수신 단계에서, 상기 지역화 서비스 그룹 아이디, 지역화 서비스 아이디 및 지역화 서비스 값은 이동통신단말기가 아이들(idle) 상태인 경우는 SIB(System Information Block) 메시지를 통하여 전달되도 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동통신단말기가 연결 상태(connected)인 경우는 액티브 셋 업데이트(Active Set Update) 메시지를 통하여 전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지역화 서비스 판별 단계에서 상기 저장된 지역화 서비스 그룹 아이디 및 지역화 서비스 아이디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 내부의 불 휘발성 메모리 내에 저장되거나,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장착된 사용자 식별 모듈(SIM) 카드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지역화 서비스 값은 상기 현재 접속된 셀에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의 기능 제한 여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전화 접속 어댑터 기능 제한 여부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영상 통화 발신 기능 제한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지역화 서비스 기능 설정 단계를 거친 이동통신단말기는 해당 지역화 서비스 지역 내에서 음성호 또는 영상호 발신 시, 음성호 또는 영상호 셋업(setup) 메시지 내에 소정의 지시값을 포함시켜 이동통신망에 지역화 서비스 중의 음성 또는 영상 전화 발신임을 알려주고, 해당 지역화 서비스 지역 내에서 데이터 서비스 요청 시, PDP 컨텍스트 활성화 요청(Packet Data Protocol context activation request) 메시지 내에 소정의 지시값을 포함시켜 이동통신망에 지역화 서비스 중의 음성 또는 영상 전화 발신임을 알려주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소정의 지시값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저장된 지역화 서비스 그룹 아이디 및 지역화 서비스 아이디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지역화 서비스 정보 관리 방법을 이용할 경우에는 지역화 서비스에 가입한 이동통신단말기가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지역화 서비스 제어 정보를 내려 받기 위하여 수행하는 위치등록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지역화 서비스에 가입한 이동통신단말기가 지역화 서비스 셀과 지역화 서비스 셀이 아닌 셀을 반복하여 진입하고 탈출할 경우에 위치 등록이 과도하게 반복되는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위치 등록 반복에 의한 배터리의 급격한 소모를 방지하고, 이동통신망의 부하를 줄이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 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지역화 서비스 정보 관리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지역화 서비스 정보 관리 방법은 서비스 정보 수신 단계(S110), 지역화 서비스 판별 단계(S120) 및 지역화 서비스 기능 설정 단계(S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지역화 서비스 정보 관리 방법을 구성하는 각 단계들을 단계별로 상술한다.
1) 서비스 정보 수신 단계
서비스 정보 수신 단계(S110)는 이동통신망 내에 존재하는 이동통신단말기가 현재 접속된 셀로부터 서비스 그룹 아이디, 서비스 아이디 및 지역화 서비스 값을 수신하는 단계이다.
이때, 이동통신망은 2세대 및 3세대 이후의 이동통신망을 의미한다. 도 1을 통하여 설명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지역화 서비스 정보 수신 방법의 일 실시예는 3세대 이동통신망 중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의 표준(3GPP)에 기초하여 설명되나, 기타 표준을 따르는 이동통신망들의 경우에도 상응하는 구성요소들을 통하여 동일하게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지역화 서비스 정보 관리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 그룹 아이디, 서비스 아이디 및 지역화 서비스 값 수신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이동통신단말기(210)가 대기(idle)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이동통신망(220)으로부터 시스템 정보 블록(SIB: System Information Block) 메시지(230)를 통하여 상기 서비스 그룹 아이디, 서비스 아이디 및 지역화 서비스 값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단말기(210)가 연결(connected)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액티브 셋 업데이트 메시지(Active Set Update Message; 240)를 통하여 상기 서비스 그룹 아이디, 서비스 아이디 및 지역화 서비스 값을 수신할 수 있다.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지역화 서비스 정보 관리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 그룹 아이디, 서비스 아이디 및 지역화 서비스 값의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표이다.
여기에서 서비스 그룹 아이디(service group ID; 251)와 서비스 아이디(service ID; 252)가 별도로 존재하는 것으로 설명된 것은 각각의 기능을 분리하여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서비스 그룹 아이디와 상기 서비스 아이디를 하나의 아이디로 연결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하나의 아이디 내에 서비스 그룹 아이디(251)와 서비스 아이디(252) 부분이 각각 존재하는 것으로 설명 가능하 다.
도 2b를 참조하면, 서비스 그룹 아이디(251)는 현재 접속된 셀이 지원 가능한 부가 서비스를 알려주기 위한 것으로, 예컨대 8비트의 값으로 규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부가 서비스들에 대하여 고유한 서비스 그룹 아이디를 정의하는 이유는 다양한 부가 서비스들이 존재하는 경우에 해당 셀이 지원 가능한 부가 서비스의 종류를 지정하기 위해서이다.
예컨대, 해당 이동통신단말기가 가입 가능한 부가 서비스의 예로는 하나의 단말기에서 두 개의 전화번호를 이용할 수 있는 속칭 '투폰(two-phone)' 서비스, 본 발명의 대상이 되는 지역화 서비스(localized service)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앞서 언급된 '투폰' 서비스의 경우에는 서비스 그룹 아이디 '3'을 부여하고, 뒤에 언급된 지역화 서비스의 경우에는 서비스 그룹 아이디 '4'를 부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서비스 아이디(252)는 해당 셀에서 해당 서비스 그룹 아이디를 통해 지정된 부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단말기를 지정하기 위해서 정의되는 아이디로서, 예컨대 8비트의 값으로 규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셀이 지원하는 부가 서비스를 지정하는 서비스 그룹 아이디와는 별도로, 서비스 아이디를 지정하는 이유는 특정 셀에서 지원하는 부가 서비스를 특정 단말기들에 대해서만 적용하고 기타 단말기들에 대해서는 제한하여야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상기 부가 서비스가 본 발명의 목적이 되는 지역화 서비 스(localized service)에 대응되는 경우를 상정하면, A 대학 캠퍼스 내에서만 적용되는 지역화 서비스에 가입한 이동통신단말기라면 다른 지역에 위치한 B 회사 구내의 지역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도록 제한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한편, 상술된 서비스 그룹 아이디와 서비스 아이디의 역할은 도 3을 통하여 다시 후술된다.
마지막으로, 지역화 서비스 값(253)은 기능 제한 여부를 조절하여야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에 대응하여 구성 비트수가 결정될 수 있으며, 지역화 서비스 값이 이동통신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의 기능 제한 여부, 전화 접속 어댑터 기능 제한 여부, 영상 통화 발신 기능의 제한 여부, 지역화 서비스 기능 설정 여부 등을 포함할 경우에는 4비트 내지 5비트의 비트 열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지역화 서비스 값(253)은 종래 기술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위치등록 이후에 최종적으로 수신되는GMM/MM information 메시지내의 LSA(Localized Service Area) 아이디의 역할을 대신하기 위한 것이다. 도 2b에서는 지역화 서비스 값(253)이 5비트로 구성되어 이동통신단말기에 존재하는 다섯 가지 기능에 대하여 기능 제한 여부를 조절하는 것을 상정하고 있다.
또한, 도 2b에서 예시하고 있는 서비스 그룹 아이디(251), 서비스 아이디(252) 및 지역화 서비스 값(253)를 구성하는 비트 수는 일 실시예의 구성을 예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실시예에 따라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2) 지역화 서비스 판별 단계
지역화 서비스 판별 단계(S120)는 저장된 지역화 서비스 그룹 아이디 및 지역화 서비스 아이디를 독출하여 상기 수신된 서비스 그룹 아이디 및 서비스 아이디를 비교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지역화 서비스 판별 단계(S120)는 현재 접속되어 있는 셀에서 이동통신단말기가 지역화 서비스의 적용 대상이 되는지를 판별하는 단계이다.
저장된 지역화 서비스 그룹 아이디와 지역화 서비스 아이디는 해당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가 지역화 서비스에 가입할 경우에, OTA(Over the Air) 메시지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단말기에 내려 받아질 수 있다.
지역화 서비스 그룹 아이디와 지역화 서비스 아이디는 이동통신단말기 내부에 구비된 불 휘발성 메모리 내(NV memory)에 저장될 수 있으며, 이동통신단말기에 별도로 장착되는 사용자 식별 모듈(USIM: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등에 저장될 수도 있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수신된 서비스 그룹 아이디를 저장된 지역화 서비스 그룹 아이디와 비교하고, 수신된 서비스 아이디를 저장된 지역화 서비스 아이디와 비교하여 현재 접속되어 있는 셀에서 이동통신단말기가 지역화 서비스의 적용 대상이 되는지를 판별하는 개념은 도 3을 통하여 후술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지역화 서비스 정보 관리 방법에서 지역화 서비스 판별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동통신단말기 A(310), 이동통신단말기 B(320), 이동통신단말기 C(330)가 셀(340)에 접속하여 지역화 서비스 대상 여부를 판별하는 개념이 예시된다.
여기서, 셀(340)은 지역화 서비스를 지원하는 셀로서, 지역화 서비스를 지정하는 지역화 서비스 그룹 아이디(예컨대, 4)를 가지며, 해당 셀에서 지역화 서비스의 대상이 되는 단말기들을 지역화 서비스 아이디(예컨대, 2)로서 지정하고 있다. 즉, 셀(340)은 이동통신단말기들에 대해서 SIB 메시지나, ActiveSet Update 메시지 등을 통하여 셀(340)이 지원하는 서비스와 서비스의 대상이 되는 이동통신단말기들을 지역화 서비스 그룹 아이디와 지역화 서비스 아이디로 지정하여 전송한다.
첫번째로, 이동통신단말기 A(310)는 서비스 그룹 아이디(5)를 가지며 서비스 아이디(3)를 가진다. 따라서, 이동통신단말기 A(310)는 셀(340)이 보내온 서비스 그룹 아이디(4)와 자신의 서비스 그룹 아이디(5)가 상이하므로 지역화 서비스에 가입된 대상이 아님을 알 수 있다.
두번째로, 이동통신단말기 B(320)는 서비스 그룹 아이디(4)를 가지며 서비스 아이디(3)를 가진다. 이 경우는 셀(340)이 보내온 서비스 그룹 아이디(4)와 이동통신단말기의 서비스 그룹 아이디(4)가 동일하므로 이동통신단말기 B(320)는 일단 지역화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단말기임은 알 수가 있다. 그러나, 해당 셀(340)의 서비스 아이디(2)와 이동통신단말기 B(320)의 서비스 아이디(3)가 상이하므로 해당 이동통신단말기 B(320)는 셀(340)의 지역화 서비스 적용 대상이 아닌 것으로 판정된다. 예를 들면,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 B(320)는 다른 지역에 한정적인 지역화 서비스에 가입하였기 때문에 셀(340)에 대응해서는 지역화 서비스 적용 대상이 되지 않는 경우를 상정할 수 있다.
세번째로, 이동통신단말기 C(330)는 서비스 그룹 아이디(4)를 가지며 서비스 아이디(2)를 가진다. 이 경우는 이동통신단말기 C(330)가 지역화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고 셀(340)이 지원하는 지역화 서비스의 적용 대상도 되는 것임을 의미한다. 즉, 현재 접속되어 있는 셀(340)에서 이동통신단말기 C(330)는 지역화 서비스의 적용 대상이 되는 것으로 판별되며, 이후에 지역화 서비스 기능 설정 단계(S130)로 진행되는 대상이 된다.
3) 지역화 서비스 기능 설정 단계
마지막으로, 지역화 서비스 기능 설정 단계(S130)는 상기 저장된 지역화 서비스 그룹 아이디 및 지역화 서비스 아이디와 상기 수신된 서비스 그룹 아이디 및 서비스 아이디가 동일한 경우에 상기 현재 접속된 셀이 지역화 서비스 셀인 것으로 판정하고 상기 수신된 지역화 서비스 값을 이용하여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을 설정하는 단계이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지역화 서비스 값은 이동통신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의 기능 제한 여부, 전화 접속 어댑터 기능 제한 여부, 영상 통화 발신 기능의 제한 여부, 지역화 서비스 기능 설정 여부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지역화 서비스에 따라서 기능 제한 여부가 되는 기능들은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이상과 같이 지역화 서비스 기능 설정 단계(S130)에 의하여 지역화 서비스가 적용되는 이동통신단말기는 음성호(audio call) 또는 영상호(video call)를 발신하거나, 데이터서비스를 요청할 경우에 지역화 서비스 중에 있는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음성호, 영상호, 데이터서비스임을 이동통신망에 알려줄 필요가 있다.
즉, 지역화 서비스 중인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의 음성호, 영상호 및 데이터서비스의 경우는 가입된 지역화 서비스의 서비스 정책에 따라서 과금 체계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동통신망에서 이를 파악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동통신단말기는 음성호 또는 영상호를 발신하거나, 데이터서비스를 요청할 경우에 이동통신망에 지역화 서비스 중인 상태의 음성호, 영상호 또는 데이터서비스임을 통보할 필요가 있다.
예컨대, 지역화 서비스 중인 이동통신단말기가 음성호 또는 영상호를 발신할 경우는 음성호 또는 영상호 셋업(setup) 메시지 내에 소정의 지시값을 포함시켜서 이를 MSC(Mobile Switching Center)에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지역화 서비스 중인 이동통신단말기가 데이터서비스를 요청할 경우에는 PDP 컨텍스트 활성화 요청(Packet Data Protocol context activation req.) 메시지 내에 소정의 지시값을 포함시켜서 이를 예컨대, SGSN(Serving GPRS Support Node)에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소정의 지시값으로는 바람직하게는, 해당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된 서비스 그룹 아이디와 서비스 아이디를 포함시켜서 전송할 수 있다. 상술된 방법에 의하여 소정의 지시값을 수신한 MSC 또는 SGSN은 해당 정보를 과금 서버 또는 해당 부가 서비스(지역화 서비스)를 제어하는 핵심 망(CN: Core Network) 엔티티(entity)에 전송하여 사업자의 서비스 정책을 따르도록 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와 같은 제 3세대 이상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규정하고 있는3GPP 표준에 근거한 용어에 기준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지역화 서비스 정보 관리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지역화 서비스 정보 관리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 그룹 아이디, 서비스 아이디 및 지역화 서비스 값 수신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지역화 서비스 정보 관리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 그룹 아이디, 서비스 아이디 및 지역화 서비스 값의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표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지역화 서비스 정보 관리 방법에서 지역화 서비스 판별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Claims (9)

  1. 이동통신단말기의 지역화 서비스 정보 관리 방법에 있어서,
    이동통신망 내의 현재 접속된 셀로부터 서비스 그룹 아이디, 서비스 아이디 및 지역화 서비스 값을 수신하는 서비스 정보 수신 단계;
    저장된 지역화 서비스 그룹 아이디 및 지역화 서비스 아이디를 독출하여 상기 서비스 그룹 아이디 및 서비스 아이디와 비교하는 지역화 서비스 판별 단계; 및
    상기 저장된 지역화 서비스 그룹 아이디 및 지역화 서비스 아이디와 상기 수신된 서비스 그룹 아이디 및 서비스 아이디가 동일한 경우에는 상기 현재 접속된 셀이 지역화 서비스 셀인 것으로 판정하고 상기 수신된 지역화 서비스 값을 이용하여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을 설정하는 지역화 서비스 기능 설정 단계를 포함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지역화 서비스 정보 관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화 서비스 정보 수신 단계에서, 상기 지역화 서비스 그룹 아이디, 지역화 서비스 아이디 및 지역화 서비스 값은 아이들(idle) 상태에서 SIB(System Information Block) 메시지를 통하여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지역화 서비스 정보 관리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화 서비스 정보 수신 단계에서, 상기 지역화 서비스 그룹 아이디, 지역화 서비스 아이디 및 지역화 서비스 값은 연결 상태(connected)에서 액티브 셋 업데이트(Active Set Update) 메시지를 통하여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지역화 서비스 정보 관리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화 서비스 판별 단계에서 상기 저장된 지역화 서비스 그룹 아이디 및 지역화 서비스 아이디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 내부의 불 휘발성 메모리 내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지역화 서비스 정보 관리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화 서비스 판별 단계에서 상기 저장된 지역화 서비스 그룹 아이디 및 지역화 서비스 아이디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장착된 사용자 식별 모듈(SIM) 카드 내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지역화 서비스 정보 관리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화 서비스 값은 상기 현재 접속된 셀에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의 기능 제한 여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전화 접속 어댑터 기능 제한 여부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영상 통화 발신 기능 제한 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지역화 서비스 정보 관리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화 서비스 기능 설정 단계를 거친 이동통신단말기는 해당 지역화 서비스 지역 내에서 음성호 또는 영상호 발신 시, 음성호 또는 영상호 셋업(setup) 메시지 내에 소정의 지시값을 포함시켜 이동통신망에 지역화 서비스 중의 음성 또는 영상 전화 발신임을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지역화 서비스 정보 관리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화 서비스 기능 설정 단계를 거친 이동통신단말기는 해당 지역화 서비스 지역 내에서 데이터 서비스 요청 시, PDP 컨텍스트 활성화 요청(Packet Data Protocol context activation request) 메시지 내에 소정의 지시값을 포함시켜 이동통신망에 지역화 서비스 중의 음성 또는 영상 전화 발신임을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지역화 서비스 정보 관리 방법.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지시값은 상기 저장된 지역화 서비스 그룹 아이디 및 지역화 서비스 아이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지역화 서비스 정보 관리 방법.
KR1020080014119A 2008-02-15 2008-02-15 이동통신단말기의 지역화 서비스 정보 관리 방법 KR1013872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4119A KR101387264B1 (ko) 2008-02-15 2008-02-15 이동통신단말기의 지역화 서비스 정보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4119A KR101387264B1 (ko) 2008-02-15 2008-02-15 이동통신단말기의 지역화 서비스 정보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8692A true KR20090088692A (ko) 2009-08-20
KR101387264B1 KR101387264B1 (ko) 2014-04-18

Family

ID=41207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4119A KR101387264B1 (ko) 2008-02-15 2008-02-15 이동통신단말기의 지역화 서비스 정보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7264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4239B1 (ko) * 2004-06-09 2006-05-26 천재욱 메시지에 의하여 입출력장치의 작동을 제한 할 수 있는이동통신 단말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출력장치작동 제한 방법 및 시스템
KR20070057349A (ko) * 2005-12-02 2007-06-07 주식회사 팬택 이동 통신 단말기의 기능 제한 방법
KR100747979B1 (ko) 2006-11-14 2007-08-08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가 기능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이동통신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7264B1 (ko) 2014-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2156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up communication connection
RU2381632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связи, обеспечивающие запрет вызова для пользователя роуминга после активизации контекста pdp
JP5072963B2 (ja) デュアルsim無線通信装置を動作させる方法
US7944914B2 (en) Default subscription profile for a roaming terminal device in a packet data base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JP5841566B2 (ja) 電気通信ネットワークおよび時間に基づくネットワーク・アクセス方法
US8688076B2 (en) Subscriber identifier and method for subscriber authentication
EP3487196B1 (en) Privacy managing entity selection in communication system
US8010150B2 (en) Technique for negotiating on behalf of a mobile ambient network within a multi-operat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525938B2 (en) Session control in a communication system
US2022033799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ubscription data to non-subscriber registered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659621B2 (en) Selection of IP version
RU2463710C2 (ru) Упрощенный способ для ims-регистрации при экстренных вызовах
EP2276279A1 (en) User device validation method, device identification register and access control system
US20220110023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Managing Background Data Transfer Policy
US20180098264A1 (en) Blocked Device Checking in Roaming Scenarios
KR20170127520A (ko) 통신 시스템, 기지국, 판정 방법, 통신 단말 및 접속 방법
EP2604053B1 (en) Method, public land mobile network, user equipment, and program
CN103517383A (zh) 移动终端接入家庭网络的方法和设备
KR101809239B1 (ko) Apn 변경 장치 및 방법과 apn 변경을 위한 무선 단말 장치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JP2022174023A (ja) ネットワークスライスアドミッション制御(nsac)発見及びローミング強化
US20220232382A1 (en) Controlling provision of access to restricted local operator services by user equipment
KR101387264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지역화 서비스 정보 관리 방법
KR101514328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송수신 데이터의 저장 장치 및 방법
JP2004521562A (ja) サービス提供モードが指定されたデータサービスを実施する装置及び方法
JP2012503348A (ja) ホーム基地局のための信号伝送トラフィック最小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