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7784A - 통합 메시징 서비스의 인터워킹 방법 - Google Patents

통합 메시징 서비스의 인터워킹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7784A
KR20090087784A KR1020080013238A KR20080013238A KR20090087784A KR 20090087784 A KR20090087784 A KR 20090087784A KR 1020080013238 A KR1020080013238 A KR 1020080013238A KR 20080013238 A KR20080013238 A KR 20080013238A KR 20090087784 A KR20090087784 A KR 200900877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pm
service
sip
cont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3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8638B1 (ko
Inventor
이경탁
오재권
박성진
이승용
이지혜
김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80013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8638B1/ko
Publication of KR20090087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7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8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8638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합 메시징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임의의 단말기가 사용자 입력에 따라 메시지를 구성하여 통합 메시징 서버로 송신하고, 통합 메시징 서버가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메시지의 수신자에 대응하는 프레즌스 정보를 프레즌스 서버로 요청하고, 프레즌스 서버가 상기 통합 메시징 서버의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수신자에 대응하는 프레즌스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통합 메시징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통합 메시징 서버가 상기 전송된 프레즌스 정보를 근거로 상기 메시지에 대한 인터워킹을 결정하고, 인터워킹할 메시징 서비스의 종류를 결정하고, 상기 통합 메시징 서버가 상기 결정된 메시징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IWF로 상기 메시지 를 전송하고, 상기 IWF가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결정된 메시징 서비스에 대응하여 상기 메지를 변환하여 상기 수신자에게 전송한다
CPM

Description

통합 메시징 서비스의 인터워킹 방법{INTERWORKING METHOD IN CONVERGED IP MESSAGING SERVICE}
본 발명은 통합 메시징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합 메시징 서비스와 다른 메시징 서비스 간에 인터워킹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메시징 서비스로는 SMS(short message service), MMS(Multimedia Messaging System), 이메일 서비스(email SERVICE), IM(Instant Messaging) 서비스 등이 있다. 각 메시징 서비스는 각자 다른 기술을 바탕으로 제공이 되지만, 사용자 경험 측면(user experience)으로 C볼 때는 상기한 메시징 서비스들이 서로 중복되는 부분들이 많다. 예를 들어, 모든 메시징 서비스들을 통해 텍스트 메시지를 보낼 수 있고, SMS를 제외한 나머지 서비스들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 경험이 중복 된다는 점을 고려해서 최근에 OMA(Open Mobile Alliance)에서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과 IP(Internet Protocol)를 기반으로 하는 통합 메시징 서비스(Converged IP Messaging Service, 이하, 'CPM 서비스'라 함.)라는 새로운 서비스를 규격하고 있다. CPM 서비스의 목 적은, 기존의 메시징 서비스들의 주요 특징을 단일 메시징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CPM 서비스만 이용하더라도 기존의 모든 메시징 서비스에서 제공했던 사용자 서비스를 체험할 수 있으며, 모든 기존 메시징 서비스 사용자들과도 메시지를 서로 주고 받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CPM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대략적인 구성은 도1과 같다. 도1을 참조하여, CPM 시스템은 CPM 클라이언트(10), IWF(인터워킹 기능)(20), 메시지/미디어 저장부(message media storage)(30), 통합 주소 저장부(converged address book)(40), 사용자 선호도 저장부(50), CPM 서버(60), SIP/IP코어 네트워크(Session Initiation Protocol/Internet Protocol Core netword)(70) 등을 포함한다.
CPM 클라이언트(10)는 일반적으로 단말기에 포함되며, CPM 서비스와 사용자 간의 인터페이싱을 제공한다. 즉, CPM 클라이언트(10)는 사용자의 요구를 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콘텐츠를 작성해서 전송을 요청하면, 이 콘텐츠를 CPM 서비스에 맞도록 변환하고 SIP MESSAGE에 포함시켜, SIP/IP 코어 네트워크 (70)로 전송한다. 또는 다른 클라이언트로부터 발신된 콘텐츠를 수신하고, 제대로 수신된 것인지 확인 및 검증한 후,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이와 같이 CPM 클라이언트(10)는 사용자와 CPM 서비스의 접점이라고 볼 수 있다.
CPM 서버(60)는 CPM 클라이언트(10)가 CPM 변환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하는 요구 사항들을 처리해 주는 서버이다. CPM 서버(60)는 CPM 클라이언트(10)로부터 전달된 CPM 콘텐츠들에 서비스 제공자(Service Provider)나 사용자가 설정한 정 책(policy)을 적용한다.
IWF(20)는 발신 CPM 클라이언트가 전송한 메시지 콘텐츠, 즉, CPM 콘텐츠를 CPM 서비스가 아닌 다른 메시징 서비스가 처리할 수 있도록 CPM 콘텐츠를 전환해서 다른 메시징 서비스로 제공하고, 또한 다른 메시징 서비스의 콘텐츠를 수신하면 CPM 서비스가 처리할 수 있도록 콘텐츠의 포맷을 변경한다. IWF(20)는 CPM-IW 인터페이스를 통해 CPM 서버에 연결 되고, 다른 메시징 서비스들과는 해당 메시징 서비스들이 제공해주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다.
메시지/미디어 저장부(30)는 사용자가 부재중이거나 사용자의 설정에 의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메시지들을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통합 주소 저장부(40)는 일종의 폰북(phonebook)으로써 접속 리스트(contact list)를 포함하고 각 접속 정보에 대해 프레즌스(presence) 정보를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SIP/IP 코어 네트워크(70)는 필요한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과 IP(Internet Protocol)를 지원해 주는 하위 레벨의 네트워크로서, 위에서 설명한 모든 구성 요소들 사이에 존재하며, 모든 메시지들의 라우팅을 담당한다. SIP/IP 코어 네트워크(70)의 일 예로, IMS(IP Multimedia Subsystem)가 있다.
CPM 서비스는 기존의 메시징 서비스들과 인터워킹(interworking)하여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CPM 서비스환경에서 발신자는 수신자가 가입한 메시징 서비스의 종류 또는 수신자의 선호도(preference)에 대한 고려 없이 CPM 콘텐츠를 발신하고, CPM 시스템이 인터워킹 여부 및 인터워킹할 메시징 서비스의 종류 등을 파악하여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렇게, CPM 시스템이 인터워킹 여부를 결정하거나, 인터워킹할 메시징 서비스의 종류를 파악하거나, 수신 네트워크와 발신 네트워크 중 어느 네트워크에서 인터워킹을 수행할지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CPM 시스템이 수신 네트워크와 수신자에 대한 프레즌스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근거로 모든 결정을 내리기 위한 여러 기준(criteria)이 사용될 수 있고, 각 기준 별로 다양한 적용 알고리즘이 존재할 수 있다.
그러므로, 가장 적절한 인터워킹이 이루어지기 위한 적절한 기준에 대한 정의와, 각 기준 별로 존재할 수 있는 적용 알고리즘에 대한 규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인터워킹에 필요한 결정을 내리기 위해 요구되는 기준들과, 그 기준들을 근거로 인터워킹을 결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인터워킹 결정 후 기준들을 참조하여 인터워킹을 처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CPM 서비스 같은 환경에서 전달해야 할 내용을 받은 경우, 내용을 인터워킹 기능(인터워킹 기능)을 통해 내용을 전환할 필요가 있는지, 그리고 필요한 경우 발신측 인터워킹 기능에서 전환이 이루어져야 할지 수신측 네트워크에서 이루어져야 할지 결정할 수 있는 시스템을 설명했다. 본 시스템으로 인해, 발신자는 수신자가 어느 서비스에 가입했고 무슨 서비스를 이용하고 싶은지 알 필요 없이, CPM 콘텐츠만 보내면 본 시스템이 자동으로 알아서 수신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점이 본 발명의 장점이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 및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CPM 서비스가 다른 메시징 서비스와 인터 워킹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기준( criteria )들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기준들은 공급자들간에 서비스 레벨 어그리먼트(Service Level Agreement, SLA), 수신자에 대한 프레즌스 정보, 수신자 주소와 관련된 SIP URI, iFC(초기 필터 기준), XDMS(XML Document Management Server) 정보, 서비스 공급자 정책 등이 있다.
발신 네트워크와 수신 네트워크 간에 콘텐츠를 주고 받기 위해서는 우선 각 네트워크의 서비스 공급자들간에 서비스 레벨 어그리먼트(Service Level Agreement, SLA)가 이루어 져야 한다. 여기서 발신 네트워크는 콘텐츠 발신시 사용되는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이고, 수신 네트워크는 콘텐츠 수신자가 사용하는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이다. 두 네트워크 간에 SLA가 이루어져 있다면, 두 네트워크는 동등한 레벨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각각의 네트워크에 대응 구성 요소 또는 대응 기능을 존재하는 구성 요소가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CPM 사용자가 콘텐츠를 발생시키는 경우, CPM 시스템은 수신자가 등록되어 있는 메시징 서비스의 네트워크, 즉, 수신 네트워크와 CPM 서비스와 서비스 레벨 어그리먼트가 맺어 져 있는지 알게 되면, 수신 네트워크에서도 CPM 서비스를 공급한다는 점을 알게 된다. 이에 따라 수신측 네트워크에서도 인터워킹이 가능하다는 것도 알 수 있다.
프레즌스 정보는 사용자의 의해 설정되는 정보로서, 사용자의 상태(status)정보 외에도 인터워킹 결졍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한다. 즉, 프레즌스 정보는 사용자가 가입한 메시징 서비스의 종류, 사용자 선호도(preference)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가입한 메시징 서비스의 종류는 예를 들어, CPM서비스, MMS, POC, IM 서비스 등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선호도는 사용자의 인터워킹 허용 여부 및 인터워킹할 메시징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즉, 선호도는 인터워킹시 사용할 하나 이상의 메시징 서비스의 종류, 인터워킹시 사용할 메시징 서비스 각각의 우선 순위등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CPM 서비스에 가입한 경우, 사용자의 가입한 서비스의 종류는 CPM 서비스가 된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인터워킹할 메시징 서비스로 SMS, MMS, POC 서비스가 설정될 수 있고, 각각, 1, 0.5, 0.2의 우선 순위가 할당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즌스 정보를 가지는 사용자에게 CPM 콘텐츠를 전송하는 경우 CPM 콘텐츠는 우선 적으로 SMS로 변횐되어 전송된다. 따라서 발신 메시징 시스템은 프레즌스 정보를 이용하면 인터워킹 여부와 인터워킹할 메시징 서비스의 종류를 알 수 있다.
한편, 수신 주소를 범용적으로 라우팅 가능한 SIP URI로 변경(Address translation to a globally routable SIP URI)하는 방법이 있다. 어느 내용이 SIP/IP 코어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이 되려면, SIP 프로토콜에 맞게 내용이 생성되어야 한다. 내용을 생성할 때 Request-URI라는 필드가 있는데, 이 필드는 본 내용을 어디로 전달 해야 하는 주소를 가리킨다.(즉 메시지 경우 수신자 주소를 가리킨다) 이 필드에 범용적으로 라우팅이 가능한 SIP 주소(globally routable SIP URI)를 입력해야 지만 SIP/IP 코어 네트워크를 통해 내용이 전달될 수 있다. 그런 주소가 입력되어 있지 않은 경우(TEL URI), SIP/IP 코어 네트워크는 DNS/ENUM 룩업(DNS/ENUM lookup)라는 방법을 통해 그 주소에 매치(match)가 되는 SIP URI 가 있는지 확인한다. 하지만 수신자가 CPM, PoC, SIMPLE IM 같은 SIP기반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 그런 SIP URI는 없기 때문에, SIP/IP 코어 네트워크가 수행 한 DNS/ENUM 룩업을 통해 아무 SIP URI를 찾을 수 없게 된다. 이런 경우, SIP URI없이 SIP/IP 코어 네트워크가 제공하는 네트워크를 통해서 내용을 전달하지 못함으로, 발신측 시스템은 내용을 바로 발신측에 있는 인터워킹 기능으로 전달해 내용을 수신자가 받을 수 있도록 전환할 수 있게 된다.
다른 방법으로는 초기 필터 기준(iFC)이 있다. 어느 SIP 기반 내용(예: SIP 프로토콜 기반으로 생성된 CPM Message)이 SIP/IP 코어 네트워크에 전달 될 때, SIP/IP 코어 네트워크는 우선 이 내용의 특성과 저장해 둔 초기 필터 기준이라는 표를 비교해, 본 내용을 어느 서버(Application Server)로 전달할 수 있는지 파악한다. 이를 예시하면 다음과 같다.
CASE method=MESSAGE AND header=Accept-Contact = +g.oma.cpm
THEN: ROUTE request to the specified CPM Conversation Server Terminating Port Address
CASE method=MESSAGE AND header=Accept-Contact = +g.oma.cpm-iw
THEN: ROUTE request to the specified CPM 인터워킹 기능 Terminating Port Address
CASE method=MESSAGE AND header=Accept-Contact = +g.poc.talkburst
THEN: ROUTE request to the specified PoC Server Terminating Port Address
상기 예시의 첫 라인은, 본 내용이 "MESSAGE"라는 request이고, "Accept-Contact" header가 "+g.oma.cpm"일 경우, 같은 네트워크에 있는 CPM 컨버세이션 서 버(CPM Conversation Server) 주소로 전달ㄴ하라는 뜻이다. 이처럼 "Accept-Contact" header가 "+g.oma.cpm-iw"이면 CPM 인터워킹 기능으로 전달이 될 것이고, "g.poc.talkburst"일 경우, Poc 서버로 전달될 것이다. 각 사용자마다 해당하는 iFC가 따로 있다. SIP/IP 코어 네트워크가 발신측 네트워크에 있을 때는 발신자의 iFC, 수신측 네트워크에 있을 때는 수신측 iFC를 사용한다.
서비스 공급자가 이 iFC를 어떻게 설정함에 따라서 라우팅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워킹 기능으로 전달할 때 사용하는 "g.oma.cpm-iw"같은 기준을 설정했을 경우, 인터워킹 필요시 CPM 콘텐츠를 수신측 네트워크으로 보내지 않고 대신 발신측 네트워크에 있는 인터워킹 기능으로 보낼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XML 문서 관리 서버(XML Document Management Server, XDMS)의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이 방법은 CPM 콘텐츠가 수신측 CPM 컨버세이션 서버(CPM Conversation Server)까지 전달되면, XML 문서 관리 서버는 XML 문서 관리 서버가 공급하는 서비스에 가입된 수신자의 선호도(preferences)와 기타 정보를 알아야 수신자에게 내용을 제대로 전달할 수 있다. 특히, 수신자는 자기 선호도에 CPM 서비스에 가입했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서비스(예를 들면, SMS)를 통해 CPM 콘텐츠가 전환되어서 수신되기를 요구할 수 있다. 사용자의 선호도 및 서비스 정책 등을 저장하는 XDM 서버를 접속해서 얻을 수 있다. 그렇게 얻은 정보에 따라서 수신측 네트워크에서 인터워킹을 수행해야 하는 지를 판단한다.
마지막으로 서비스 공급자의 정책(policies)에 따른 방법이 있다. 어느 경우에는 상기에 설명한 방법들과 기준을 적용해도 여러 개의 선택이 주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터워킹이 필요한 양측(발신측 및 수신측) 네트워크에서 모두 인터워킹이 가능한 경우) 추가 방법이나 기준없이 어느 선택이 더 좋은지 알 수 없는 경우. 서비스 공급자가 설정한 정책에 따라서 어느 선택을 할 지 판단한다.
이하에서는, 인터워킹을 결정하는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상기에 설명한 방법들과 기준들을 바탕으로, 도 1에서 나온 CPM 구조에 나온 요소들 중 어느 CPM 콘텐츠를 받았을 때 인터워킹의 여부를 결정하는 CPM 컨버세이션 서버(CPM Conversation Server)와 그 결정에 따라 라우팅을 하는 SIP/IP 코어 네트워크의 동작을 설명한다.
CPM 콘텐츠를 받는 CPM 컨버세이션 서버의 기본 동작은 다음과 같다.
스텝 203에서는 CPM 컨버세이션 서버가 수신자 주소에 해당하는 수신측 서비스 공급자와 발신측 서비스 공급자 사이에 서비스 레벨 어그리먼트가 있는지 확인한다. 서비스 레벨 어그리먼트가 있으면 수신측 네트워크에서도 CPM 콘텐츠를 공급한다는 것을 알 수 있고, 수신측 네트워크에서 또한 인터워킹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 테스트를 위해 스텝 203에서 SLA가 없으면 CPM 콘텐츠를 수신측 네트워크에서는 받을 수 없다는 이다.이다. 그리고 스텝 207로 넘어간다.
스텝 205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수신자에 대한 프레즌스 정보를 이용하는 방법을 이용해 수신자가 이용 가능한 서비스들과 특히 어느 서비스로 CPM 콘텐츠를 수신하고 싶은지를 알아본다. 이 내용들을 알 수 있으면, 다음 테스트를 위해 스텝 207로 넘어간다. 이 내용들을 알 수가 없는 경우, 수신자에 대한 정보가 전혀 없기 때문에 인터워킹이 필요한 지의 여부와, 필요하다면 발신측 네트워크에서 인터워킹 을 수행해야하는지 수신측 네트워크에서 해야 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가 없다. 따라서 스텝 214에서 CPM 컨버세이션 서버에 연결된 Originating SIP/IP 코어 네트워크로 보내서 인터워킹에 필요성을 추후에 알아볼 수밖에 없다.
스텝 207에서는 프레즌스 방법을 이용해 CPM 콘텐츠를 어느 서비스(타겟 서비스, Target Service)를 중심으로 수신자에게 전달해야 하는지 알 수 있다. CPM 컨버세이션 서버는 이 타겟 서비스가 CPM인지 아닌지를 확인한다. 타겟 서비스가 CPM인경우, 따로 인터워킹으로 통해 받은 CPM 콘텐츠를 전환할 필요가 없다; 전환 없이 Originating SIP/IP 코어 네트워크로 보낸다. 타겟 서비스가 CPM이 아닌 경우 내용 전환이 필요한데, 스텝 201에서 수신측 네트워크에서도 인터워킹이 가능하다고 이미 확인이 되었으므로, 양측 네트워크에서 전환은 가능하다. 이런 경우 서비스 공급자 정책에 따라서 발신측에서 전환할 지 수신측에서 변환할 지를 결정할 수 있다. 정책에 따라 발신측에서 전환할 경우 스텝 207로 넘어간다.
스텝 211에서는 받은 CPM 콘텐츠를 발신측 네트워크에서 전환해야 한다는 결정을 내린 상황이다. 따라서 CPM 컨버세이션 서버는 받은 CPM 콘텐츠를 Originating 인터워킹 기능으로 보내도록 표시해 줘야 한다. 예를 들어, CPM session을 열기 위한 SIP 명령(e.g. SIP INVITE) 를 보낼경우, "<SIP 명령> <Request-URI> SIP/2.0" 명령이 포함된다. 여기서 Request-URI는 본 SIP 명령을 어디로 전달해야 처리될 수 있는지 알려주고, "SIP/2.0"은 SIP 버전이다. 발신 CPM 클라이언트가 이런 명령을 보낼 때 "SIP 명령 <수신자 주소> SIP/2.0"을 보내게 되는데, 대신 Originating 인터워킹 기능(Orig. IWF)으로 전달해야 될 경우 CPM 컨버 세이션 서버가 "INVITE <Orig. IWF 주소> SIP/2.0"로 변경할 수 있다. 서비스 공급자가 초기 필터 기준에서 설명한 iFC 테이블에 Orig. IWF로 전달하는 엔트리가 있다고 가정하자. 예를들어,
CASE method="INVITE" AND header="Accept-Contact"= "g.oma.cpm-iw"
THEN: ROUTE request to the specified Originating IWF Terminating Port Address
상기와 같이, originating CPM 컨버세이션 서버가 "Accept-Contact" 헤더를 "g.oma.cpm-iw"로 변경한 후 보내면 상기 iFC 기준과 맞기 때문에 CPM 콘텐츠를 Originating IWF로 보내게 될 것이다.
스텝 213에서는 CPM 컨버세이션 서버가 받은 CPM 콘텐츠를 originating SIP/IP 코어 네트워크로 전달한다.
이하에서 추가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설명한 동작은 인터워킹의 필요성을 판단하기 위한 동작이고, 필요하다고 결정이 되면 발신측 네트워크에 있는 인터워킹 기능으로 전달하도록 설정한다. 이 부분을 인터워킹 결정(interworking decision) 기능이라고 부를 수 있다. 하지만 추가적으로 인터워킹이 필요한 경우 어느 비 CPM 서비스(non-CPM 서비스)(SMS, MMS, IMPS, 등) 포맷으로 내용을 전환 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지 정해야 한다. 이 부분을 인터워킹 선택(interworking selection) 기능이라고 부를 수 있다. 인터워킹 선택 기능은 다양한 요소들(CPM 컨버세이션 서버, 인터워킹 기능 등)이 수행할 수 있지만, CPM 컨버세이션 서버가 수행할 경우, 다음 추가 동작이 필요하다.
스텝 201에서 수신측 네트워크과 CPM SLA가 없는 것이 확인이 되어도 CPM 컨버세이션 서버는 수신자의 타겟 서비스가 무엇인지 프레즌스 방법을 이용해 찾아본다. 수신자의 타겟 서비스를 알게 되면 스텝 209으로 넘어가고, 알지 못하면 인터워킹 선택에 대한 결정을 내릴 수 없기 때문에 상기에 설명한 기존 스텝 211로 넘어간다.
스텝 209에서는 타겟 서비스 표시(target service indication), 즉 수신자의 타겟 서비스가 무엇인지를 CPM 콘텐츠에 포함한다. 나중에 인터워킹 기능이 본 표시를 보고 그 타겟 서비스에 맞춰 CPM 콘텐츠를 전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스텝 207 내지 스텝 209에서는 상기와 같이, CPM SLA가 있고 프레즌스 방법을 이용해 수신자의 타겟 서비스를 알 수 있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타겟 서비스 표시를 CPM 콘텐츠에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스텝 205에서, 수신자의 타겟 서비스를 알 수 없는 경우는 주로 발신측 네트워크에서 프레즌스 방법을 애초에 지원/사용 하지 않거나, 아니면 프레즌스 방법을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수신자 타겟 서비스에 대한 내용을 얻을 수 없다는 뜻인데,(예: 수신자가 자기 타겟 서비스를 조회 허용 안 함) 후자인 경우 타겟 서비스를 못 찾는다 하더라도, 못 찾았다는 점에 대한 표시도 CPM 콘텐츠에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스텝 202과 스텝207 사이와 스텝 203과 스텝 209 사이에도 이러한 표시가 들어간다.(예: "Target service not found") 나중에 이런 표시를 발신측 인터워킹 기능이 받으면, 프레즌스 방법으로는 타겟 서비스를 알 수 없다는 점을 미리 알고 타겟 서비스를 찾아내기 위해 프레즌스 방법을 또 다시 사용하지 않 는다.
상기 동작에서는 프레즌스 방법을 이용해 수신자의 타겟 서비스를 얻을 수 있다고 언급했는데, 프레즌스 방법이 아니더라도 타겟 서비스를 알 수 있는 어느 다른 방법을 이용하더라도 타겟 서비스 표시를 CPM 콘텐츠에 포함할 수 있다.
다음에서는 Originating SIP/IP 코어 네트워크의 동작을 설명한다.
CPM 콘텐츠를 이어 받은 originating SIP/IP 코어 네트워크는 도 3과 같이 수행한다. 스텝 301에서는 CPM 콘텐츠의 헤더와 위에서 설명한 iFC 테이블을 비교해 맞는 기준가 있는지 찾는다.(단 CPM 콘텐츠를 보내준 엔티티에 해당하는 기준은 검토 대상이 아니다) 맞는 기준을 찾았으면 스텝 303으로 넘어가고, 못 찾았으면 스텝 305으로 넘어간다.
스텝 303에서는 iFC 테이블에 CPM 콘텐츠에 맞는 기준을 찾았으면, 거기에 해당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로 전달한고 동작을 종료한다.
스텝 305에서는 iFC 테이블에 CPM 콘텐츠에 맞는 기준을 못 찾은 경우, CPM 콘텐츠에 있는 Request-URI(Request-URI 설명: 스텝 207 설명 참조)가 SIP 주소(SIP URI)인지 확인한다. SIP 주소인 경우 스텝 311로 넘어간다. SIP 주소가 아니면(예: TEL URI) 스텝 307로 넘어간다.
스텝 307에서는 SIP 주소가 아니면 SIP/IP 코어 네트워크가 제공하는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 쪽으로 전달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ENUM/DNS라는 엔티티를 접속해서 본 주소에 맵핑(mapping)이 되는 SIP 주소가 있는지 알아본다. 맵핑이 되는 SIP 주소를 찾으면 스텝 311로 넘어간다. 해당되는 SIP 주소가 없는 경우 스텝 309로 넘어간다.
스텝 309에서는 이 스텝까지 왔으면 수신자가 SIP 주소가 없다는 점이 확인 되었기 때문에 더 이상 SIP/IP 코어 네트워크가 제공하는 네트워크를 통해 CPM 콘텐츠를 전달할 수가 없다. SIP/IP 코어 네트워크는 Originating 인터워킹 기능이 본 내용을 전환 할 수 있도록 CPM 콘텐츠를 전달하고 동작을 종료한다.
스텝 311에서는 이 스텝까지 왔으면 수신자가 SIP 주소가 있다는 점이 확인 되었기 때문에 SIP/IP 코어 네트워크가 제공하는 네트워크을 통해 CPM 콘텐츠를 전달할 수 있다. SIP 주소에 해당되는 라우트(route)로 전달한다. 수신자가 다른 네트워크에 있으면, 그 네트워크로 전달하게 된다. 여기서 주의해야 될 점은 상기 스텝 20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CPM 컨버세이션 서버가 Request-URI를 Originating 인터워킹 기능 주소로 변경하는 경우, SIP/IP 코어 네트워크는 이어서 Originating IWF로 전달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Originating 인터워킹 기능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텝 401: CPM 코텐츠에 수신자의 타겟 서비스가 무엇인지 알려주는 타겟 서비스 표시가 있는지 검토한다. 있으면 스텝 405으로 넘어가고, 없으면 스텝 403으로 넘어간다.
스텝 403: 타겟 서비스 표시가 없기 때문에 인터워킹 기능이 가능한 방법 (프레즌스, XDMS 등)으로 통해 타겟 서비스를 찾을 수 있는지 찾아본다. 이런 방법을 통해 타겟 서비스를 찾으면 스텝 409로 넘어가고, 못 찾으면 스텝 405로 넘어간다.
스텝 405: 인터워킹 기능이 타겟 서비스 표시의 값을 확인한다. 표시 값이 "Not found"와 같은 내용이면, CPM 컨버세이션 서버가 가능한 방법 (프레즌스, XDMS, 등)으로 통해 타겟 서비스를 찾아 보았지만 못 찾았다는 의미다. 따라서 인터워킹 기능은 다시 가능한 방법을 (Presence, XDMS, 등) 중복으로 사용하지 않고 바로 스텝 407로 넘어간다. 만약 Indication값이 "Not found" 값이 아니고 어느 서비스를 가리키는 값이면 (예: SMS) 스텝 409로 이동한다.
스텝 407: Presence나 XDMS같은 방법으로 target service를 알 수 없기 때문에 CPM 내용에 있는 Content-Type필드 의 값을 통해 target service가 무엇인지 Interworking Function이 자체적으로 설정한다. 예를 들어, "Content-type: application/text" target service를 SMS로 설정할 수 있겠고, "Content-type: application/image" target service를 MMS로 설정할 수 있겠다.
Target service를 어떻게 설정함은 서비스 공급자의 정책에 따라 다를 수 있다. Target service를 설정 후 스텝 409로 이동한다.
스텝 409에서는 상기에 받거나 설정한 타겟 서비스 포맷에 맞게 CPM 콘텐츠를 전환하고, 스텝 411으로 넘어간다.
그리고 스텝 411에서는 전환한 내용을 해당하는 비 CPM 서비스(타겟 서비스 표시값에 해당하는 서비스)로 전달하고 동작을 마친다.
이하에서는 Terminating SIP/IP 코어 네트워크의 동작을 설명한다.
위 Originating 인터워킹 기능 동작을 이어서 CPM 콘텐츠가 수신자 네트워크 (Terminating SIP/IP 코어 네트워크)까지 전달되었다고 가정하자. Terminating SIP/IP 코어 네트워크에 동작은 상기 도 3에 설명한 Originating SIP/IP 동작과 동일하다. 단, 몇가지 주의해야 될 점들은 아래와 같다.
스텝 301 및 스텝 303에서 CPM 콘텐츠와 iFC을 비교해 해당되는 기준을 찾으면, Terminating SIP/IP 코어 네트워크는 그 기준에 맞는 애플리케이션 서버로 전달한다고 했다. 여기서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CPM을 지원하는 경우 terminating CPM 컨버세이션 서버가 될 수 있지만, 서비스 공급자가 iFC 테이블을 어떻게 설정하는 가에 따라 terminating 인터워킹 기능도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자가 CPM을 사용하지 않지만, 다른 SIP서비스를 사용하는 경우 (PoC, SIMPLE IM, ...) CPM 콘텐츠를 CPM 컨버세이션 서버로 우선 전달한 다음, CPM사용자가 아닌 경우 IWF로 반사할수 있겠지만, CPM 컨버세이션 서버에서 거칠 필요 없이 SIP/IP 코어 네트워크 에서 IWF로 바로 전달할 수도 있다.
스텝 305에서 iFC를 통해서 해당 기준이 없는경우, Terminating SIP/IP 코어 네트워크는 Request-URI가 SIP주소 인지 확인한다고 했는데, Terminating SIP/IP 코어 네트워크는 본 CPM 콘텐츠를 Originating SIP/IP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받았기 때문에, Terminating SIP/IP 코어 네트워크까지 전달이 가능 하기 위해선 반드시 SIP 주소일 수밖에 없다. 따라서, 스텝 305에는 언제나 스텝 311로 이어지고, 수신측 네트워크에서는 스텝 307 및 스텝 309는 적용 되지 않는다.
스텝 311에서 SIP 주소에 해당되는 라우트로 전달하는데, SIP 주소가 수신자 주소인 경우 같은 네트워크에 있으니, 해당 수신자에게 바로 전달된다. 하지만 사전에 수신측 서버나 IWF를 거치지 않고 바로 수신 단말기로 전달되었다면, 수신 단 말기가 CPM 콘텐츠를 못 알아 들을 우려가 있고 에러 메시지를 발신측 네트워크로 돌려 보내게 된다. 이런 경우 에러 메시지가 발신측 네트워크까지 전달되고, 그것을 확인한 originating CPM 컨버세이션 서버는 발신자에게 에러 메시지를 전할 수 있지만, 발신측에 있는 originating IWF로 전달해서 CPM 콘텐츠를 전환할 수도 있다.(서비스 공급자 정책에 따름)
이하에서는 Terminating CPM 컨버세이션 서버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동작을 이어서 terminating CPM 컨버세이션 서버로 전달되는 경우 동작은 아래 도 5 와 같다. Terminating CPM 컨버세이션 서버 동작은 도 2 에서 설명한 originating CPM 컨버세이션 서버와 비슷하게 보이지만, 다음과 같은 차이점을 두고 있다.
Originating CPM 컨버세이션 서버의 경우, 스텝 201에 설명한 SLA를 통해서 수신측 네트워크이 CPM을 공급하는지 안 하는지를 파악할 수 있는데, terminating CPM 컨버세이션 서버에 경우 CPM을 공급한다는 점을 이미 알고 있기 때문에 따로 SLA를 이용할 필요가 없다.
스텝 253에서는 Originating CPM 컨버세이션 서버의 경우, 스텝 203에 설명한 프레즌스 정보를 이용해서 수신자가 이용 가능한 서비스들과 특히 어느 서비스로 CPM 콘텐츠를 수신하고 싶은지 알아본다. 하지만 프레즌스 방법은 타 사용자나 수신자와 직접 연관이 없는 타 서버가 수신자의 정보를 알고 싶을 때 사용하는 방법이다. 발신측이나 수신측 네트워크에서 프레즌스 방법을 지원하지 않거나, 수신자가 자기 프레즌스 정보를 보여주지 않기로 결정하면 받을 수 없는 정보들이다. 하지만 Terminating CPM 컨버세이션 서버의 경우, 수신자에게 직접 CPM 서비스를 지원해 주는 서버라서 수신자의 선호도나 서비스 용량(service capabilities)등 을 반드시 알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프레즌스 방법보다 앞서 설명한 XML 문서 관리 서버에 접속해 수신자에 대한 정보를 받고 수신자의 타겟 서비스를 알아본다.
스텝 259 및 스텝 261에서는 도 2에 설명한 스텝 303과 스텝 305와 동일하다. 단, 수신측 네트워크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스텝 259에서는 terminating 인터워킹 기능으로 다음 홉 엔티티(hop entity)로 설정하고, 스텝 261에서는 terminating SIP/IP 코어 네트워크로 보내게 된다. Terminating 인터워킹 기능으로 설정하는 방법의 예시는 스텝 207에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다.
이하에서는 추가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텝 257에서는 상기 발신측 CPM 컨버세이션 서버 동작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신측 CPM 컨버세이션 서버가 인터워킹 결정 기능뿐만 아니라 인터워킹 선택 기능도 수행할 경우, 타겟 서비스에 대한 표시를 CPM 콘텐츠에 포함한다. 이런 표시를 통해 수신측 인터워킹 기능은 그 타겟 서비스에 맞춰 CPM 콘텐츠를 전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terminating 컨버세이션 서버로 이어 받은 후의 Terminating SIP/IP 코어 네트워크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CPM 콘텐츠를 이어 받은 terminating SIP/IP 코어 네트워크의 동작은 상기 도 3에 설명한 동작과 동일하다. 단, 몇가지 주의해야 될 점들은 아래와 같다.
스텝 301에서는 terminating 컨버세이션 서버로부터 받은 내용이니까, terminating 컨버세이션 서버에 해당하는 기준은 검토 대상이 아니다.(즉, terminating 컨버세이션 서버로 내용을 다시 보내지 않는다)
스텝 303에서는 스텝 301에 iFC를 서비스 공급자가 어떻게 설정하는가에 따라 terminating 인터워킹 기능에 맞는 기준을 찾을수 있다.(자세한 설명: 스텝 207 설명 참조). 이런 경우, 스텝 303에서 terminating 인터워킹 기능으로 전달될 수 있다.
스텝 305에서는 SIP을 지원하는 네트워크을 통해서 CPM 콘텐츠를 받은 내용이니, Request-URI는 SIP 주소일수 밖에 없다. 따라서, 스텝 307과 스텝 309은 적용되지 않는다.
스텝 311에서는 이 시점에서 전달이 가능한 엔티티는 수신 단말기나 terminating 인터워킹 기능이다. 상기 스텝 259에서 CPM 컨버세이션 서버가 terminating 인터워킹 기능으로 전달하게 SIP주소를 변경한 경우 그쪽으로 전달하고, 아니면 기존에 표시 되었던 SIP 주소에 따라 수신 단말기로 전달한다.
마지막으로 Terminating 인터워킹 기능의 동작을 설명한다. CPM 콘텐츠가 Terminating 인터워킹 기능으로 전달되는 경우, 동작은 앞서 설명한 Originating 인터워킹 기능의 동작과 동일하다.
다음으로 인터워킹 시나리오의 적용 예시를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몇 가지 시나리오를 중심으로 상기에 설명한 시스템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볼 수 있다. 다음 각 시나리오를 살펴본다.
1. 수신측 네트워크에서 SIP 네트워크를 미지원/SIP을 지원하지만 CPM 서비스를 공급하지 않는 경우의 시나리오.
2. 수신측 네트워크에서 CPM 서비스를 공급하고, 프레즌스 방법으로 수신자 정보를 받을 수 있고, 수신자가 CPM 가입자가 아닌 경우의 시나리오.
3. 수신측 네트워크에서 CPM 서비스 공급하지만, 프레즌스 방법으로 수신자 정보를 받을수 없고, 수신자가 CPM 가입자가 아닌 경우의 시나리오, 이런 경우에는 2 서브 케이스(sub-cases)로 나눌 수 있음.
A. 수신자가 Non-CPM & Non-SIP 서비스 가입자 (예: SMS 사용자)
B. 수신자가 Non-CPM & SIP 서비스 가입자 (예: PoC, SIMPLE IM 사용자)
4. 수신측 네트워크에서 CPM 서비스를 공급하고, 프레즌스 방법으로 수신자 정보를 받을수 없고, 수신자가 CPM 가입자 이지만 다른 비 CPM 서비스로 CPM 콘텐츠를 받고 싶은 경우의 시나리오.
5. 수신측 네트워크에서 CPM 서비스를 공급하고, 수신자가 CPM 가입자이고 일반 CPM 서비스로 CPM 콘텐츠를 받고 싶은 경우의 시나리오.
여기서 각 해당되는 시나리오는 다음에 나오는 플로우(flows)를 통해 설명한다. 각 플로우 안에 표시된 숫자들은 상기에 설명된 동작들 중 본 플로우와 관련된 동작 ID들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CPM(207, 209)"는?상기에 본 originating CPM 컨버세이션 서버의 동작중에 스텝 207과 스텝209를 통해 본 플로우가 이루어진다는 의미이다.
첫번째 시나리오는 수신측 네트워크에서 SIP을 미지원, 혹은 SIP을 지원하지만 CPM 서비스를 공급하지 않는 경우의 플로우로서 다음과 같다.
501-503: CPM 콘텐츠가 CPM 서버 A로 전달된다.
505-507: CPM 서버 A는 SLA를 통해 수신측 네트워크이 CPM을 지원하지 않다는 것을 확인하고, 다음 전달 엔티티를 IWF A로 설정하고 SIP/IP 코어 네트워크 A로 보낸다. CPM 서버 A가 인터워킹 선택 기능도 수행하는 경우 수신자의 타겟 서비스 표시도 CPM 콘텐츠에 포함한다.
509-511: SIP/IP 코어 네트워크 A는 iFC또는 Request-URI에 CPM서버가 표시한 SIP URI를 따라서 IWF A로 전달한다.
513-515: IWF A는 CPM 콘텐츠를 비 CPM 콘텐츠으로 전환후 수신 단말기 B로 전달한다. 수신자의 타겟 서비스 표시가 CPM 콘텐츠에 포함 되어 있는 경우 그 service 포맷에 맞춰 전환하고, 타겟 서비스 표시가 없는 경우 인터워킹 기능이 직접 타겟 서비스를 알기 위한 정보를 가능한 방법(예: 프레즌스, XDMS, Content-Type)으로 획득하고 그 타겟 서비스에 맞춰 CPM 콘텐츠를 전환한다.
두번째 시나리오는 수신측 네트워크에서 CPM 서비스를 공급하고, 프레즌스 방법으로 수신자 정보를 받을수 있고, 수신자가 CPM 가입자가 아닌 경우의 플로우로서 다음과 같다.
601-603: CPM 콘텐츠가 CPM 서버 A로 전달 된다.
605-607: CPM 서버 A는 SLA를 통해 수신측 네트워크이 CPM을 지원하지 않다는 것을 확인했지만, 프레즌스정보를 통해 수신자의 target 서비스가 CPM이 아닌지 확인한다.(즉, CPM 콘텐츠를 전환해야 된다는 뜻이다) 다음 전달 엔티티 A로 설정하고 SIP/IP 코어 네트워크 A로 보낸다. CPM 서버 A가인터워킹 선택 기능도 수행하는 경우 수신자의 타겟 서비스 표시도 CPM 콘텐츠에 포함한다.
609-611: SIP/IP 코어 네트워크 A는 iFC또는 Request-URI에 CPM서버가 표시한 SIP URI를 따라서 IWF A로 전달한다.
613-615: IWF A는 CPM 콘텐츠를 비 CPM 콘텐츠으로 전환후 수신 단말기 B로 전달한다. 수신자의 타겟 서비스 표시가 CPM 콘텐츠에 포함 되어 있는 경우 그 service 포맷에 맞춰 전환하고, 타겟 서비스 표시가 없는 경우 인터워킹 기능이 직접 타겟 서비스를 알기 위한 정보를 가능한 방법(예: 프레즌스, XDMS, Content-Type)으로 획득하고 그 타겟 서비스에 맞춰 CPM 콘텐츠를 전환한다.
세번째 시나리오는 수신측 네트워크에서 CPM 서비스 공급하지만, 프레즌스 방법으로 수신자 정보를 받을 수 없고, 수신자가 CPM 가입자가 아닌 경우의 플로우이다. 이런 경우는 2 서브 케이스로 나눌 수 있다.
A. 수신자가 Non-CPM & Non-SIP 서비스 가입자 (예: SMS 사용자)
B. 수신자가 Non-CPM & SIP 서비스 가입자 (예: PoC, SIMPLE IM 사용자
비 CPM & Non-SIP 서비스 가입자인 경우 (예 SMS 사용자), 다음 플로우가 수행이 된다. 플로우 설명은 다음과 같다.
701-703: CPM 콘텐츠가 CPM 서버 A로 전달된다.
705-707: CPM 서버 A는 SLA를 통해 수신측 네트워크이 CPM을 지원하지 않다는 것을 확인했지만, 프레즌스 정보를 통해 수신자의 target 서비스를 확인할 수가 없다. (즉, CPM 콘텐츠를 전환해야 하는지 아닌지 알 수가 없다) 따라서 인터워킹 관련 동작에 관해서는 받은 CPM 콘텐츠를 SIP/IP 코어 네트워크 A로 보낸다. CPM 서버 A가 인터워킹 선택 기능도 수행하고, 프레즌스 방법을 사용할 수 있음에도 불 구하고 수신자의 타겟 서비스를 얻을 수 없는 경우, "Target service not found" 같은 표시를 CPM 콘텐츠에 포함한다.
709-711: SIP/IP 코어 네트워크 A는 iFC에 맞는 기준을 찾을수 없고, Request-URI필드에 나오는 주소가 SIP주소가 아니기 때문에 ENUM/DNS에 접속해서 본 주소에 매치가 되는 SIP주소를 요청해 보지만, SIP주소를 받지 못한다. 따라서 수신자는 SIP사용자가 아닌 점을 확인이 되었고, SIP 네트워크로 전달 할 수 없는 것을 알게 된다. 따라서, CPM 콘텐츠를 전환하기 위해 IWF A로 CPM 콘텐츠를 전달한다.
713-715: IWF A는 CPM 콘텐츠를 비 CPM 콘텐츠으로 전환 후 수신 단말기 B로 전달한다. 수신자의 타겟 서비스 표시가 CPM 콘텐츠에 포함 되어 있는 경우 그 service 포맷에 맞춰 전환하고, 타겟 서비스 표시가 없는 경우 인터워킹 기능이 직접 타겟 서비스를 알기 위한 정보를 가능한 방법(예: 프레즌스, XDMS, Content-Type)으로 획득하고 그 타겟 서비스에 맞춰 CPM 콘텐츠를 전환한다.
다음의 비 CPM & SIP 서비스 가입자인 경우(예: PoC, SIMPLE IM 사용자) 다음 플로우가 수행이 된다.
801-803: CPM 콘텐츠가 CPM 서버 A로 전달된다.
805-807: CPM 서버 A는 SLA를 통해 수신측 네트워크이 CPM을 지원하지 않다는 것을 확인했지만, 프레즌스정보를 통해 수신자의 target 서비스를 확인할 수가 없다 (즉, CPM 콘텐츠를 전환해야 하는지 아닌지 알 수가 없다). 따라서 인터워킹관련 동작에 관해서는 받은 CPM 콘텐츠를 SIP/IP 코어 네트워크 A로 보낸다. CPM 서버 A가 인터워킹 선택 기능도 수행하고, 프레즌스 방법을 사용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수신자의 타겟 서비스를 얻을 수 없는 경우, "Target service not found 같은 표시를 CPM 콘텐츠에 포함한다.
809-811: SIP/IP 코어 네트워크 A는 iFC에 맞는 기준을 찾을 수 없지만, Request-URI필드에 나오는 주소가 SIP주소이나 ENUM/DNS에 접속해서 본 주소와 매치가 되는 SIP주소를 받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수신자는 SIP사용자인 점을 확인이 되었고, SIP 네트워크로 전달할 수 있는 것을 알게 된다. 따라서, CPM 콘텐츠를 SIP/IP 코어 네트워크 B로 전달한다.
813-815: SIP/IP 코어 네트워크 B는 서비스 공급자가 iFC 표를 설정함에 따라서 IWF B와 매치되는 기준을 찾을 수 있다. 이런 경우, SIP/IP 코어 네트워크 B는 IWF B로 CPM 콘텐츠를 전달한다.
817-819: IWF B는 CPM 콘텐츠를 비 CPM 콘텐츠으로 전환 후 수신 단말기 B로 전달한다. 수신자의 타겟 서비스 표시가 CPM 콘텐츠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그 서비스 포맷에 맞춰 전환하고, 타겟 서비스 표시가 없는 경우 인터워킹 기능이 직접 타겟 서비스를 알기 위한 정보를 가능한 방법(예: 프레즌스, XDMS, Content-Type)으로 획득하고 그 타겟 서비스에 맞춰 CPM 콘텐츠를 전환한다.
Alternative Flow 1 설명은 다음과 같다.
813b-815b는 서비스 공급자가 상기 스텝 7-8과 같이 iFC 테이블에 IWF B로 전달하는 기준을 설정하지 않고, 다른 매치가 되는 기준을 찾을수 없는 경우. SIP/IP 코어 네트워크 B는 Request-URI에 있는 주소를 확인하고 바로 수신 단말기 B로 CPM 콘텐츠를 전달한다.
817b-825b는 수신 단말기 B가 수신한 CPM 콘텐츠를 알아듣지 못하는 경우 Error message를 보내고, 발신자까지 전달된다.
Alternative Flow 2 설명은 다음과 같다.
823c는 CPM Server A가 상기 9b-11b에 설명한 error message를 받게 되면, CPM 콘텐츠를 전환해야 한다는 점을 알게 되고 IWF A로 CPM 콘텐츠를 전달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 과정은 Scenario 1 에서 본 4-8 과정과 동일하다.
네번째 시나리오는 수신측 네트워크에서 CPM 서비스를 공급하고, 프레즌스 방법으로 수신자 정보를 받을수 없고, 수신자가 CPM 가입자 이지만 다른 non-CPM 서비스로 CPM 콘텐츠를 받고 싶은 경우의 플로우로서 다음과 같다.
901-903: 상기 Scenario 3b에 설명한 flow와 동일하다.
913-915: SIP/IP 코어 네트워크 B가 iFC를 확인하여 CPM 콘텐츠를 CPM 서버 B로 전달한다.
917-919: CPM 서버 B는 CPM 콘텐츠과 XDM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수신자에 대한 정보 (e.g. user 선호도)를 검토한 결과, CPM이 아닌 다른 메시지 서비스 (예: SMS)로 본 CPM 콘텐츠를 받고 싶어 하는걸 확인하게 된다. 따라서, 본 내용을 IWF B로 전달 하도록 설정하고 SIP/IP 코어 네트워크 B로 다시 보낸다. CPM 서버 B가 인터워킹 선택 기능도 수행하는 경우 수신자의 타겟 서비스 표시도 CPM 콘텐츠에 포함한다.
921-923: SIP/IP 코어 네트워크 B는 iFC또는 Request-URI에 CPM서버 B가 표 시한 SIP URI를 따라서 IWF B로 전달한다.
925-927: IWF B는 CPM 콘텐츠를 비 CPM 콘텐츠으로 전환후 수신 단말기 B로 전달한다. 수신자의 타겟 서비스 표시가 CPM 콘텐츠에 포함 되어 있는 경우 그 service 포맷에 맞춰 전환하고, 타겟 서비스 표시가 없는 경우 인터워킹 기능이 직접 타겟 서비스를 알기 위한 정보를 가능한 방법(예: 프레즌스, XDMS, Content-Type)으로 획득하고 그 타겟 서비스에 맞춰 CPM 콘텐츠를 전환한다.
마지막 시나리오는 수신측 네트워크에서 CPM 서비스를 공급하고, 수신자가 CPM 가입자이고 일반 CPM 서비스로 CPM 콘텐츠를 받고 싶은 경우의 플로우이다.
1001-1015: 상기 Scenario 4에 설명한 flow와 동일하다.
1017-1019: CPM 서버 B는 CPM 콘텐츠과 XDM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수신자에 대한 정보 (e.g. 사용자 선호도)를 검토한 결과, CPM서비스로 본 CPM 콘텐츠를 받고 싶어 하는걸 확인하게 된다. 따라서 인터워킹 관련 동작에 관해서는 받은 CPM 콘텐츠를 변경 없이 SIP/IP 코어 네트워크 B로 보낸다.
1021-1023: SIP/IP 코어 네트워크 B는 일반 과정을 따라, Request-URI에 표시된 SIP URI를 따라서 수신 CPM단말기로 전달한다.
도 1은 일반적인 CPM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PM 서버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IP/IP 코어 네트워크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워킹 기능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PM 서버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6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나리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Claims (1)

  1. 통합 메시징 서비스에서 인터워킹 방법에 있어서,
    임의의 단말기가 사용자 입력에 따라 메시지를 구성하여 통합 메시징 서버로
    송신하는 과정과,
    통합 메시징 서버가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메시지의 수신자에 대응
    하는 프레즌스 정보를 프레즌스 서버로 요청하는 과정과,
    프레즌스 서버가 상기 통합 메시징 서버의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수신자에
    대응하는 프레즌스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통합 메시징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통합 메시징 서버가 상기 전송된 프레즌스 정보를 근거로 상기 메시지
    에 대한 인터워킹을 결정하고, 인터워킹할 메시징 서비스의 종류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통합 메시징 서버가 상기 결정된 메시징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IWF로
    상기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IWF가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결정된 메시징 서비스에 대응하여
    상기 메지를 변환하여 상기 수신자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워킹 방법.
KR20080013238A 2008-02-13 2008-02-13 통합 메시징 서비스의 인터워킹 방법 KR1014586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13238A KR101458638B1 (ko) 2008-02-13 2008-02-13 통합 메시징 서비스의 인터워킹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13238A KR101458638B1 (ko) 2008-02-13 2008-02-13 통합 메시징 서비스의 인터워킹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7784A true KR20090087784A (ko) 2009-08-18
KR101458638B1 KR101458638B1 (ko) 2014-11-05

Family

ID=41206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13238A KR101458638B1 (ko) 2008-02-13 2008-02-13 통합 메시징 서비스의 인터워킹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8638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2464B1 (ko) * 2004-04-14 2006-04-18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통합 메시징 서비스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방법
KR100548429B1 (ko) * 2004-04-14 2006-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메시지의 호환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8315190B2 (en) * 2005-01-28 2012-11-2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working between push-to-talk over cellular (PoC) systems and instant messaging (IM) systems
KR101126765B1 (ko) * 2005-12-13 2012-03-29 주식회사 케이티 단말기, 프레즌스 정보를 이용한 통합 메시지 서비스 제공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8638B1 (ko) 2014-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80915B2 (en) WV-IMS relay and interoperability methods
US8799373B2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message interworking
US7526563B2 (en) Interworking gateway and method
US8626850B2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rworking converged messaging service
KR101720989B1 (ko) 통합 메시지 서비스에서 인터워킹을 위한 세션 제어 방법과 장치 및 시스템
US2004014841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ssaging between a client of an sip-based network and a client of a wireless village network
US8767543B2 (en) Terminal and method for storing and retrieving messages in a converged IP messaging service
US7512118B1 (en) CODEC negotiation considering quality and costs
US9641479B2 (en) Interworking between messaging service domains
US20100185740A1 (en) Method for delivering message based on cpm service and server thereof
US20080240117A1 (en) System, Method, and Interworking Function for Interfacing MMS and IMS Messaging Systems
JP2007533245A (ja) 移動通信端末間のメッセージ連動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JP5444003B2 (ja) 分散ハッシングテーブルを使用したimsアーキテクチャ
US9391930B2 (en) CPM service provisioning system and method for interworking with non-CPM service
US20100112985A1 (en)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ier mapping to service capability
KR100922953B1 (ko)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에서 호 변경 요청의 처리 방법 및 시스템
US2011014534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abling communications between users
KR101458638B1 (ko) 통합 메시징 서비스의 인터워킹 방법
US20120221655A1 (en) System and Method for Routing Instant Messages
US20070266085A1 (en) S-CSCF selection for application server originated requests
WO2009054614A1 (en) Method for interworking between a cpm service and a non-cpm service
WO2009045061A2 (en) Procedure for forwarding stored messages and/or media in a converged ip messaging service and terminal therefor
KR20090119513A (ko) 통합메시징 서비스에서 인터워킹 시 메시지 라우팅을 위한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