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7443A - 일회용 팬티형 기저귀의 제조 방법 및 그 팬티형 기저귀 - Google Patents

일회용 팬티형 기저귀의 제조 방법 및 그 팬티형 기저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7443A
KR20090087443A KR1020097009344A KR20097009344A KR20090087443A KR 20090087443 A KR20090087443 A KR 20090087443A KR 1020097009344 A KR1020097009344 A KR 1020097009344A KR 20097009344 A KR20097009344 A KR 20097009344A KR 20090087443 A KR20090087443 A KR 200900874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er
sheet piece
region
center line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9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7185B1 (ko
Inventor
도시후미 오츠보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87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74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7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71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707Mechanical treatment, e.g. notching, twisting, compressing, shaping
    • A61F13/15747Folding; Pleating; Coiling; Stacking; Packa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0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ultrasonic vib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10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cross-sections
    • B29C66/11Joint cross-sections comprising a single joint-segment, i.e.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comprising a single joint-segment in the joint cross-section
    • B29C66/112Single lapped joints
    • B29C66/1122Single lap to lap joints, i.e. overlap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20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lines, e.g. of the weld lines
    • B29C66/21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lines, e.g. of the weld lines said joint lines being formed by a single dot or dash or by several dots or dashes, i.e. spot joining or spot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40General aspects of 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plates, sheets or web-like materials;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Joining single elements to substantially flat surfaces
    • B29C66/41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9C66/43Joining a relatively small portion of the surface of sai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40General aspects of 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plates, sheets or web-like materials;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Joining single elements to substantially flat surfaces
    • B29C66/41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9C66/43Joining a relatively small portion of the surface of said articles
    • B29C66/431Joining the articles to themse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40General aspects of 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plates, sheets or web-like materials;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Joining single elements to substantially flat surfaces
    • B29C66/41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9C66/43Joining a relatively small portion of the surface of said articles
    • B29C66/433Casing-in, i.e. enclosing an element between two sheets by an outlined s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48Wearing apparel
    • B29L2031/4871Underwear
    • B29L2031/4878Diapers, napk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55/00Personal care
    • B32B2555/02Diapers or napki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10T156/1002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permanent bending or reshaping or surface deformation of self sustaining lamina
    • Y10T156/1043Subsequent to assembly
    • Y10T156/1049Folding on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10T156/1002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permanent bending or reshaping or surface deformation of self sustaining lamina
    • Y10T156/1051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permanent bending or reshaping or surface deformation of self sustaining lamina by fold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변이 피부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일회용 팬티형 기저귀의 제공. 일회용 팬티형 기저귀(1)가 팬티형의 피부 피복부(10)의 내면과 기저귀 착용자의 피부 사이에 개재하여 변으로 피부가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세퍼레이터(20a)를 갖는다. 세퍼레이터(20a)는, 기저귀(1)의 가랑이 영역(6)의 바닥부로부터 앞몸통 둘레 영역(7)과 뒤몸통 둘레 영역(8)을 향해 연장되어 있고 가랑이 영역(6)의 양측 가장자리부에 고정되는 시트 조각으로 형성된다. 그 시트 조각은, 가랑이 영역(6)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적으로 신장ㆍ수축 가능한 전단 가장자리부(21)와 후단 가장자리부(22)를 갖는다. 이들 전단 가장자리부(21)와 후단 가장자리부(22)는, 가랑이 영역(6)의 폭 방향의 중앙 부분에서 피부 피복부(10)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되고 또한 서로 분리 불가능하게 일체화된다.

Description

일회용 팬티형 기저귀의 제조 방법 및 그 팬티형 기저귀{METHOD OF PRODUCING DISPOSABLE PANTS-TYPE DIAPER AND THE PANTS-TYPE DIAPER}
본 발명은 일회용 팬티형 기저귀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팬티형 기저귀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변이 피부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팬티형 기저귀의 제조 방법 및 그 팬티형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종래 변이 피부에 접촉하여 그 피부를 더럽히는 일이 없도록 하는 기능을 갖춘 일회용 기저귀는 공지이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공개 2002-11044호 공보(특허문헌 1)에 개시된 팬티형 기저귀는, 톱시트의 위에 스킨 컨택트 시트를 가지며, 그 스킨 컨택트 시트의 가랑이 영역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개구부를 둘러싸도록 탄성 부재가 신장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그 개구부를 기저귀 착용자의 항문과 일치시켜 둠으로써, 변이 배설되면, 그 변은 개구를 통과하여 스킨 컨택트 시트의 아래쪽으로 진입하여 피부와 접촉하지 않는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공개 2002-11044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기저귀는, 스킨 컨택트 시트에 형성된 개구부와 항문이 일치하지 않으면, 변이 피부와 스킨 컨택트 시트와의 사이에 침입하여 피부를 현저하게 더럽힐 가능성이 있다는 문제를 갖고 있다. 즉, 이 기저귀에서는, 그것을 착용시킬 때 스킨 컨택트 시트의 개구부를 항문에 일치시키는 것이 불가결하다. 그러나, 착용시킨 기저귀에서의 개구부와 항문이 일치하는지의 여부는 기저귀의 외측에서 확인할 수 없다. 또, 스킨 컨택트 시트에는, 뇨를 직접 흡수체에 흡수시키기 위한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지만, 절결부를 통과한 뇨가 흡수체의 표면상에서 변과 혼합되는 것을 피하기 어렵다. 그리고, 뇨와 변이 혼합되었을 때에는 변의 유동성이 높아져, 변에 의해 피부가 더러워질 가능성이 높아진다.
종래의 기저귀에서의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본 발명이 과제로 하는 것은, 기저귀 착용자의 항문과 기저귀에서의 변수용부와의 위치 맞춤이 용이하고, 변에 의해 피부를 더럽히지 않는 신규 일회용 팬티형 기저귀의 제조 방법의 제안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1, 제2, 제3 발명으로 구성된다. 이들 중의 제1, 제2 발명이 대상으로 하는 것은, 가랑이 영역과 상기 가랑이 영역의 전방에 형성된 앞몸통 둘레 영역과 상기 가랑이 영역의 후방에 형성된 뒤몸통 둘레 영역을 갖는 기저귀 기체의 상기 앞몸통 둘레 영역과 상기 뒤몸통 둘레 영역의 측가장자리부끼리가 접합하여 팬티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기저귀 착용자의 피부와 마주 보는 상기 기저귀 기체의 내면측에는, 피부와 변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는 세퍼레이터가 형성되어 있는 일회용 팬티형 기저귀의 제조 방법이다.
이러한 제조 방법에서 상기 제1 발명이 특징으로 하는 것은 이하와 같다. 상기 세퍼레이터는, 상기 기저귀 기체의 상기 내면측에서 상기 가랑이 영역의 전후 방향 중앙부로부터 상기 앞몸통 둘레 영역과 상기 뒤몸통 둘레 영역을 향해 넓어지고 또한 상기 가랑이 영역의 폭 방향의 치수를 이등분하는 전후 방향 중심선에 걸쳐 상기 가랑이 영역의 폭 방향으로 넓어지는 시트 조각으로 형성된다. 상기 시트 조각은, 상기 시트 조각의 상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측 가장자리부를 상기 전후 방향 중심선의 양측에서 상기 내면에 고정하는 한편, 상기 시트 조각의 상기 양측 가장자리부의 사이의 부분을 상기 내면으로부터 이격시킨 후에, 상기 기저귀 기체의 상기 전후 방향의 치수를 이등분하는 폭 방향 중심선을 따르며 또한 상기 시트 조각이 내측이 되도록 하여 상기 기저귀 기체를 상기 전후 방향으로 접어 포갠다. 그 후에, 상기 시트 조각의 전방에서 상기 폭 방향 중심선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전단 가장자리부와 상기 시트 조각의 후방에서 상기 폭 방향 중심선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후단 가장자리부를 상기 전후 방향 중심선상에서 일체화한다. 그와 함께, 서로 겹치는 상기 기저귀 기체의 상기 앞뒤 몸통 둘레 영역의 측가장자리부끼리를 접합함으로써, 상기 시트 조각으로부터 상기 세퍼레이터가 형성된다.
제1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하나에 있어서, 상기 시트 조각의 상기 전단 가장자리부와 상기 후단 가장자리부를, 이들 양단 가장자리부 중의 한쪽에 접착제 및 점착제 중 어느 하나의 접합제에 의해 미리 형성되어 있는 접합 영역에서 일체화시킨다.
제1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다른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접합 영역은, 상기 접합제가 한면에 도포되어 있는 시트형 연결 부재를 상기 접합제가 외측이 되도록 상기 폭 방향 중심선에 평행한 절곡선을 따라 접어 포개어, 상기 연결 부재가 서로 겹치는 부분의 한쪽을 상기 접합제를 통해 상기 양단 가장자리부의 한쪽에 접합함으로써 형성한다.
제1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다른 하나에 있어서, 상기 시트 조각의 상기 전단 가장자리부와 상기 후단 가장자리부를 초음파 용착 및 열용착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일체화시킨다.
제1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또 다른 하나에 있어서, 상기 시트 조각의 상기 양측 가장자리부의 사이를 부분적으로 상기 기저귀 기체에서의 상기 폭 방향 중심선의 근방에 접합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상기 제2 발명이 특징으로 하는 것은 이하와 같다. 상기 세퍼레이터는, 상기 기저귀 기체의 상기 내면측에서 상기 기저귀 기체의 전후 방향의 치수를 이등분하는 폭 방향 중심선보다 상기 앞몸통 둘레 영역 쪽으로 위치하는 제1 반쪽 부재와 상기 뒤몸통 둘레 영역 쪽으로 위치하는 제2 반쪽 부재를 갖고 있고 상기 가랑이 영역의 폭 방향의 치수를 이등분하는 전후 방향 중심선에 걸쳐 상기 가랑이 영역의 상기 폭 방향으로 넓어지는 제1 시트 조각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시트 조각은, 상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제1 시트 조각의 양측 가장자리부에서 상기 내면에 고정하는 한편, 상기 양측 가장자리부의 사이의 부분을 상기 내면으로부터 이격시킨 후에, 상기 제1, 제2 반쪽 부재 중의 하나의 반쪽 부재의 내면에 상기 하나의 반쪽 부재의 크기를 초과하지 않는 제2 시트 조각을 겹친다. 상기 하나의 반쪽 부재와 상기 제2 시트 조각은, 상기 전후 방향 중심선상에서 접합하고 또한 상기 전후 방향 중심선의 양측에서 이격시켜 둔다. 이어서, 상기 제2 시트 조각에서의 상기 하나의 반쪽 부재와의 접합면의 반대면에 접착제를 도포한다. 그 후에, 상기 기저귀 기체를 상기 제1 시트 조각이 내측이 되도록 상기 폭 방향 중심선을 따라 상기 전후 방향으로 접어 포개어 상기 하나의 반쪽 부재에 대한 다른 하나의 반쪽 부재를 상기 접착제를 통해 상기 제2 시트 조각에서의 상기 반대면에 접합하고 또한 서로 겹치는 상기 기저귀 기체의 상기 앞뒤 몸통 둘레 영역의 측가장자리부끼리를 접합하여 상기 제1 시트 조각으로부터 상기 세퍼레이터가 형성된다.
제2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시트 조각은, 상기 하나의 반쪽 부재에 상기 제2 시트 조각을 미리 접합하고, 그 후에 상기 기저귀 기체의 내면에 고정한다.
제3 발명이 대상으로 하여 특징으로 하는 것은, 세퍼레이터를 갖는 일회용 팬티형 기저귀가 제1, 제2 발명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어 있는 것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 중의 제1 발명에 따른 일회용 팬티형 기저귀의 제조 방법에서는, 기저귀 기체의 내면에 가랑이 영역의 전후 방향과 폭 방향으로 넓어지는 시트 조각의 양측 가장자리부를 고정한 후에, 기저귀 기체를 가로 방향 중심선을 따라 접어 포개고, 그 때 서로 겹치는 기저귀 기체의 앞뒤 몸통 둘레 영역의 측가장자리부끼리를 접합함과 동시에 시트 조각의 전단 가장자리부와 후단 가장자리부를 기저귀 기체의 세로 방향 중심선상에서 분리 불가능하게 일체화시키기 때문에, 기저귀 기체가 팬티형상이 되어, 기저귀 기체에서의 가랑이 영역의 전방 부분과 시트 조각 사이에는 기저귀 착용자가 배설하는 뇨를 유입시키는 것이 가능한 포켓형의 배설물 수용부를 만들 수 있고, 기저귀 기체에서의 가랑이 영역의 후방 부분과 시트 조각 사이에는 변을 유입시키는 것이 가능한 포켓형의 배설물 수용부를 만들 수 있다. 이들 배설물 수용부에서는, 전후 방향 중심선상에서 일체화되어 있는 시트 조각의 전단 가장자리부와 후단 가장자리부가 기저귀 착용자의 다리 둘레의 내측 부분과 맞닿는 한편, 기저귀 기체의 가랑이 영역은 이들 전단 가장자리부와 후단 가장자리부로부터 이격되기 때문에, 기저귀의 착용 상태에 관계없이 각각의 포켓형의 배설물 수용부는 입구가 열려, 뇨와 변의 유입이 확실해진다. 이와 같은 배설물 수용부를 형성하는 시트 조각은, 피부가 뇨나 변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세퍼레이터로서 기능한다.
시트 조각의 전단 가장자리부와 후단 가장자리부 중의 한쪽에 미리 접합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형태의 본 발명에서는, 기저귀 기체를 접어 포개면 시트 조각의 전단 가장자리부와 후단 가장자리부가 그 접합 영역을 통해 분리 불가능하게 일체화되기 때문에, 세퍼레이터와 그것에 의한 배설물 수용부의 형성이 용이해진다.
그 접합 영역이 접어 포갠 시트형 연결 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형태의 본 발명에 의하면, 연결 부재의 폭 방향의 치수를 크게 함으로써, 세퍼레이터를 형성하는 시트 조각의 전단 가장자리부와 후단 가장자리부의 접합이 용이해진다. 또, 연결 부재의 전후 방향의 치수를 적절한 크기로 조정함으로써, 분리 불가능하게 일체화시키는 부위에서의 시트 조각의 전단 가장자리부와 후단 가장자리부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시트 조각의 전단 가장자리부와 후단 가장자리부를 초음파 용착 및 열용착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일체화시키는 형태의 본 발명에서는, 전단 가장자리부와 후단 가장자리부를 접착제에 의해 일체화시키는 경우에 비하여, 일체화시킨 부위에 의한 피부에 대한 자극을 완화하는 경우가 있다.
시트 조각에서의 양측 가장자리부의 사이의 부분을 기저귀 기체에서의 폭 방향 중심선의 근방에 접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형태의 본 발명에서는, 앞몸통 둘레 영역측의 배설물 수용부와 뒤몸통 둘레 영역측의 배설물 수용부를 전후로 분리하여, 배설물 수용부 중에서 뇨와 변이 혼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 중의 제2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에 의하면, 제1 시트 조각의 하나의 반쪽 부재에 제2 시트 조각을 접합하고, 기저귀 기체를 접어 포갰을 때에 다른 하나의 반쪽 부재를 그 제2 시트 조각에 접합함으로써, 제1 반쪽 부재와 제2 반쪽 부재를 제2 시트 조각을 통해 일체화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시트 조각에 치수가 큰 것을 사용하면, 제1 반쪽 부재와 제2 반쪽 부재의 일체화가 용이해진다.
본 발명 중의 제3 발명에 따른 팬티형 기저귀가 나타내는 효과는 이하에서 설명된다.
도 1은 팬티형 기저귀의 부분 파단 사시도.
도 2는 팬티형 기저귀를 분해하여 전개한 상태의 기저귀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1의 III-III선 단면도.
도 4는 도 3의 IV-IV선의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
도 5는 전개한 기저귀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 2와 동일한 도면.
도 6은 도 5의 기저귀에 관한 도 3과 동일한 도면.
도 7은 연결 부재의 사시도.
도 8은 전개한 기저귀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 2와 동일한 도면.
도 9는 전개한 기저귀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 2와 동일한 도면.
도 10은 전개한 기저귀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 2와 동일한 도면.
도 11은 전개한 기저귀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 5와 동일한 도면.
도 12는 도 11의 전개한 기저귀로부터 제조되는 팬티형 기저귀에 관한 도 6과 동일한 도면.
(부호의 설명)
1 : 팬티형 기저귀
6 : 가랑이 영역
7 : 앞몸통 둘레 영역
7a : 앞몸통 둘레 영역 측가장자리부
8 : 뒤몸통 둘레 영역
8a : 뒤몸통 둘레 영역 측가장자리부
10 : 피부 피복부
10a : 기저귀 기체
12 : 다리 둘레 개구
13 : 둘레 가장자리부
20 : 시트 조각(제1 시트 조각)
20a : 세퍼레이터
21 : 전단 가장자리부
22 : 후단 가장자리부
71 : 제1 반쪽 부재
72 : 제2 반쪽 부재
161 : 제2 시트 조각(연결 부재)
C-C : 전후 방향 중심선
D-D : 폭 방향 중심선
X : 폭 방향
Y : 전후 방향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팬티형 기저귀의 제조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진 일회용 팬티형 기저귀(1)에 관한, 그것이 착용 상태일 때의 부분 파단 사시도이다. 팬티형 기저귀(1)는, 투액성의 내면 시트(2)와, 불투액성의 외면 시트(3)와, 이들 양 시트(2, 3) 사이에 개재하는 체액 흡수성 코어재(4)에 의해 형성된 팬티형의 피부 피복부(10)를 갖는 다. 피부 피복부(10)는, 가랑이 영역(6)과, 가랑이 영역(6)의 전방에 형성된 앞몸통 둘레 영역(7)과, 가랑이 영역(6)의 후방에 형성된 뒤몸통 둘레 영역(8)을 가지며, 앞뒤 몸통 둘레 영역(7, 8)의 측가장자리부(7a, 8a)끼리 합장형으로 서로 겹치고, 도면의 상하방향으로 간헐적으로 나열된 접합 영역(9)에서 서로 용착하여, 몸통 둘레 개구(11)와 한쌍의 다리 둘레 개구(12)가 형성되어 있다. 몸통 둘레 개구(11)의 둘레 가장자리부(11a)에서는, 내외면 시트(2, 3)의 사이에 있고 몸통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몸통 둘레 탄성 부재(14a)가 내외면 시트(2, 3)의 적어도 한쪽에 신장 상태로 접합되어 있다. 또, 다리 둘레 개구(12)의 둘레 가장자리부(13)에서는, 내외면 시트(2, 3)의 사이에 있고 다리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다리 둘레 탄성 부재(14b)가 내외면 시트(2, 3)의 적어도 한쪽에 신장 상태로 접합되어, 다리 둘레 탄성 부재(14b)와 내외면 시트(2, 3)의 삼자가 다리 둘레를 따르는 환상의 탄성 영역(41)을 형성하고 있다.
도 2는, 도 1의 팬티형 기저귀(1)의 앞뒤 몸통 둘레 영역(7, 8)을 접합 영역(9)에서 박리하여, 팬티형 기저귀(1)의 전체를 쌍두 화살표 X로 나타내는 폭 방향과, 쌍두 화살표 X에 직교하는 쌍두 화살표 Y로 나타내는 전후 방향으로 전개한 상태에 있는 전개 기저귀(1a)의 부분 파단 평면도로서, 도면에는 그 전개 기저귀(1a)의 내면측이 나타나 있다. 전개 기저귀(1a)에서는, 팬티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도 1의 피부 피복부(10)가 모래시계형의 기저귀 기체(10a)로 되어 나타나 있다. 도 1에서의 몸통 둘레 개구(11)의 둘레 가장자리부(11a)는, 기저귀 기체(10a)의 전단 가장자리부(7b)와 후단 가장자리부(8b)로 되어 나타나 있고, 다리 둘레 개 구(12)의 둘레 가장자리부(13)는, 기저귀 기체(10a)의 가랑이 영역 측가장자리부(13b)로 되어 나타나 있다. 가랑이 영역 측가장자리부(13b)는, 기저귀 기체(10a)의 폭을 이등분하는 전후 방향 중심선(C-C)을 향해 만곡되어 있지만, 앞뒤 몸통 둘레 영역(7, 8)의 측가장자리부(7a, 8a)의 각각은, 전후 방향 중심선(C-C)에 거의 평행하게 전후 방향(Y)으로 연장되어 있다. 코어재(4)도 또한 모래시계형이며, 분쇄 펄프와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혼합물(4a)이 티슈 페이퍼를 일례로 하는 체액의 흡수성과 확산성이 우수한 피복 시트(4b)에 의해 덮여짐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기저귀 기체(10a)에서, 그 내면을 형성하고 있는 내면 시트(2)의 가랑이 영역(6)에는, 세퍼레이터(20a)(도 3 참조)를 형성하기 위해, 소수성의 시트 재료, 보다 바람직하게는 소수성이며 불투액성인 시트 재료로 형성된 시트 조각(20)이 부착되어 있다.
시트 조각(20)은, 각각의 가랑이 영역 측가장자리부(13b)에 핫멜트 접착제(24)를 통해 고정되어 있는 측가장자리부(23)와, 가랑이 영역(6) 중의 앞몸통 둘레 영역(7) 쪽의 부분에서 폭 방향(X)으로 연장되어 있고 각각의 가랑이 영역 측가장자리부(13b)까지 미치는 전단 가장자리부(21)와, 가랑이 영역(6) 중의 뒤몸통 둘레 영역(8) 쪽의 부분에서 폭 방향(X)으로 연장되어 있고 각각의 가랑이 영역 측가장자리부(13b)까지 미치는 후단 가장자리부(22)를 갖는다. 측가장자리부(23)를 제거한 시트 조각(20)의 대부분은, 내면 시트(2)에 대하여 이격가능한 비접합 상태이고, 내면 시트(2)와의 사이에 전단 가장자리부(21)에서 후단 가장자리부(22)까지 연장되는 터널형 또는 포켓형의 배설물 수용부(31)를 형성하고 있다. 전단 가장자 리부(21)와 후단 가장자리부(22)는, 시트 조각(20)을 되접음으로써 형성된 슬리브(21a와 22a)를 갖는다. 이들 슬리브(21a, 22a)는, 각각의 내측에 전방 탄성 부재(21b)와 후방 탄성 부재(22b)가 신장 상태로 부착되어 있고, 가랑이 영역 측가장자리부(13b)끼리의 사이에 연장되는 전방 탄성 영역(42)과 후방 탄성 영역(43)을 형성하고 있다. 이들 탄성 영역(42, 43)은, 기저귀 기체(10a)에서 다리 둘레 탄성 부재(14b)가 내외면 시트(2, 3)와 함께 형성하고 있는 탄성 영역(41)과 교차하고 있다. 전단 가장자리부(21)와 후단 가장자리부(22)는, 또한 기저귀 기체(10a)를 전후 방향(Y)에서 이등분하는 폭 방향 중심선(D-D)으로부터 거의 등거리에 있고, 이들 양단 가장자리부(21, 22)에는 전후 방향 중심선(C-C)상에 가상선으로 나타낸 전방 접합 영역(27)과 후방 접합 영역(28)이 포함되어 있다.
이와 같이 시트 조각(20)이 기저귀 기체(10a)에 부착되어 있는 전개 기저귀(1a)로부터 팬티형 기저귀(1)를 얻는 순서는 다음과 같다. 즉, 시트 조각(20)의 전방 접합 영역(27) 및/또는 후방 접합 영역(28)에 접착제나 점착제 등의 접합제를 도포한다. 다음으로, 전개 기저귀(1a)를 폭 방향 중심선(D-D)을 따라 내측에 접어 포갠다. 그 때, 전방 접합 영역(27)과 후방 접합 영역(28)은 서로 부합하는 위치에 있기 때문에, 접합제를 통해 서로 접합시켜 기저귀(1)에서의 접합부(35)(도 3 참조)를 형성시킨다. 또, 기저귀 기체(10a)에서의 앞몸통 둘레 영역(7)의 측가장자리부(7a)와 뒤몸통 둘레 영역(8)의 측가장자리부(8a)도 서로 부합하는 위치에 있고, 이들 양측 가장자리부(7a, 8a)는, 도 1에 나타낸 접합 영역(9)에서 접합시키기 위해, 예를 들어 초음파로 용착한다.
얻어진 팬티형 기저귀(1)에서는, 기저귀 기체(10a)가 팬티형의 피부 피복부(10)를 형성하고, 시트 조각(20)이 기저귀 기체(10a)와 협동하여 배설물 수용부(31)를 형성하는 동시에, 피부가 뇨나 변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세퍼레이터(20a)를 형성하고 있다(도 3 참조). 도 2의 기저귀 기체(10a)에서, 내면 시트(2)와 외면 시트(3) 사이에 개재하고 있는 코어재(4)는, 가랑이 영역(6)의 바닥부(6a)로부터 전후 방향(Y)으로 연장되어 있고, 바람직하게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트 조각(20)의 전단 가장자리부(21)와 후단 가장자리부(22)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단, 팬티형 기저귀의 제조 방법에 따른 본 발명에서, 기저귀 기체(10a)가 코어재(4)를 포함하는지의 여부, 및 코어재(4)가 어떠한 형태의 것인지는, 필수 요건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도 1의 III-III선 단면도이고, III-III선은 도 2의 전후 방향 중심선(C-C)과 서로 겹치는 위치에 있다. 팬티형의 피부 피복부(10)에서는, 앞몸통 둘레 영역(7)과 뒤몸통 둘레 영역(8)이 서로의 측가장자리부(7a, 8a)에서 접합되어 있다. 도 2의 가랑이 영역(6)이 도 3에서는 U자형으로 만곡되어 있고, 가랑이 영역 측가장자리부(13b)는 다리 둘레 개구(12)를 구획하는 둘레 가장자리부(13)로 되어 나타나 있다. 시트 조각(20)은, 전단 가장자리부(21)와 후단 가장자리부(22)가 핫멜트 접착제나 점착제 등의 접합제(32)를 통해 분리 불가능하게 접합되어 있는 접합부(35)를 갖는 세퍼레이터(20a)로 되어 나타나 있다. 세퍼레이터(20a)와 기저귀 기체(10a)의 내면 시트(2)가 형성하는 배설물 수용부(31)는, 전단 가장자리부(21)와 내면 시트(2)에 의해 구획되는 전방부 개구(33)와, 후단 가장자리부(22)와 내면 시트(2)에 의해 구획되는 후방부 개구(34)를 갖는다. 가랑이 영역(6)의 최하부인 바닥부(6a)에서는, 내면 시트(2)와 세퍼레이터(20a)가 매우 접근한 상태에 있거나 또는 접촉한 상태에 있다.
도 4는, 도 3의 IV-IV선의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으로, 도 1의 기저귀(1)를 몸통 둘레 개구(11)의 위쪽에서 본 도면이기도 하다. 세퍼레이터(20a)에서의 전단 가장자리부(21)는, 폭 방향(X)의 치수가 접합부(35)에 의해 이등분됨으로써, 기저귀 착용자(도시하지 않음)의 우측 다리에 밀착가능한 우측 다리용 전단 가장자리부(21R)와 좌측 다리에 밀착가능한 좌측 다리용 전단 가장자리부(21L)로 분리되어 있고, 이들 단가장자리부(21R, 21L)가 도 4에서는 V자형을 그리고 있다. 후단 가장자리부(22)도 폭 방향(X)의 치수가 접합부(35)에 의해 이등분되어 있다. 그 후 단가장자리부(22)는, 기저귀 착용자의 우측 다리에 밀착가능한 우측 다리용 후단 가장자리부(22R)와 좌측 다리에 밀착가능한 좌측 다리용 후단 가장자리부(22L)로 분리되어 있고, 이들 단가장자리부(22R, 22L)가 도 4에서는 V자형을 그리고 있다. 피부 피복부(10)에서의 다리 둘레 개구(12)의 둘레 가장자리부(13)에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측 다리용 둘레 가장자리부(13R)와 좌측 다리용 둘레 가장자리부(13L)가 포함되어 있고, 각각의 둘레 가장자리부(13R, 13L)가, 세퍼레이터(20a)에서의 측가장자리부(23)에 대하여 접합되지 않은 위쪽 부분(15a)과, 측가장자리부(23)에 대하여 접합되어 있는 아래쪽 부분(15b)으로 분리되어 있고(도 3을 함께 참조), 도면에서 는 위쪽 부분(15a)과 아래쪽 부분(15b)에 해당하는 범위의 각각이 쌍두 화살표 A와 B에 의해 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어 있는 팬티형 기저귀를 착용할 때의 순서와 팬티형 기저귀(1)의 거동은 다음과 같다. 우선, 피부 피복부(10)의 앞뒤 몸통 둘레 영역(7, 8)을 전후 방향(Y)으로 이격시켜, 몸통 둘레 개구(11)를 도 1, 4와 같이 크게 벌리면, 세퍼레이터(20a)에서의 전단 가장자리부(21)는 우측 다리용 전단 가장자리부(21R)와 좌측 다리용 전단 가장자리부(21L)가 접합부(35)를 중앙으로 하여 V자형을 그리도록 변형되고, 동일하게 후단 가장자리부(22)는 우측 다리용 후단 가장자리부(22R)와 좌측 다리용 후단 가장자리부(22L)가 V자형을 그리도록 변형된다. 이러한 변형에 따라, 전방부 개구(33)와 후방부 개구(34)가 자동적으로 크게 입구를 벌린다(도 3 참조). 또, 우측 다리용 전단 가장자리부(21R)와 우측 다리용 후단 가장자리부(22R)가 전후 방향(Y)으로 크게 이격되는 동시에, 좌측 다리용 전단 가장자리부(21L)와 좌측 다리용 후단 가장자리부(22L)도 전후 방향으로 크게 이격된다. 다음으로, 기저귀 착용자(도시하지 않음)는, 다리 둘레 개구(12)에서의 우측 다리용 둘레 가장자리부(13R) 중의 위쪽 부분(15a)과 세퍼레이터(20a)에서의 우측 다리용 전단 가장자리부(21R)와 세퍼레이터(20a)에서의 우측 다리용 후단 가장자리부(22R)가 구획하는 우측 다리용 개구부(41R)에 우측 다리를 진입시킨다. 이어서, 그 우측 다 리를 우측 다리용 둘레 가장자리부(13R)의 위쪽 부분(15a)과 아래쪽 부분(15b)이 구획하는 다리 둘레 개구(12)에 진입시킨다. 이어서, 좌측 다리를 좌측 다리용 둘레 가장자리부(13L) 중의 위쪽 부분(15a)과 좌측 다리용 전단 가장자리부(21L)와 좌측 다리용 후단 가장자리부(22L)가 구획하는 좌측 다리용 개구부(41L)에 진입시킨다. 그 좌측 다리를 또한 좌측 다리용 둘레 가장자리부(13L)의 위쪽 부분(15a)과 아래쪽 부분(15b)이 구획하는 다리 둘레 개구(12)에 진입시킨다.
이렇게 하여 착용한 팬티형 기저귀(1)에 있어서, 각각의 다리 둘레 개구(12)의 둘레 가장자리부(13), 즉 우측 다리용 둘레 가장자리부(13R)와 좌측 다리용 둘레 가장자리부(13L)는, 개구(12)의 둘레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신장ㆍ수축 가능하고, 세퍼레이터(20a)의 전단 가장자리부(21)와 후단 가장자리부(22)는 폭 방향(X)으로 탄성적으로 신장ㆍ수축 가능하기 때문에, 우측 다리의 가랑이 근방에서는, 우측 다리용 둘레 가장자리부(13R)의 위쪽 부분(15a)과 우측 다리용 전단 가장자리부(21R)와 우측 다리용 후단 가장자리부(22R)가 다리 둘레에 탄성적으로 밀착하여, 우측 다리 둘레에서 체액이 새는 것을 방지하는 제1차 시일(51R)을 형성한다(도 4 참조). 제1차 시일(51R)의 아래쪽에서는, 우측 다리용 둘레 가장자리부(13R)의 아래쪽 부분(15b)과 위쪽 부분(15a)이 일체가 되어 우측 다리 둘레에서 체액이 새는 것을 방지하는 제2차 시일(52R)(도 4 참조)을 형성하여, 이 제2차 시일(52R)이, 종래의 팬 티형 기저귀에서의 다리 둘레의 시일과 동일하게 작용한다. 좌측 다리도 마찬가지로, 좌측 다리의 가랑이 근방에서는, 좌측 다리용 둘레 가장자리부(13L)의 위쪽 부분(15a)과 좌측 다리용 전단 가장자리부(21L)와 좌측 다리용 후단 가장자리부(22L)가 다리 둘레에 탄성적으로 밀착하여, 좌측 다리용 제1차 시일(51L)을 형성한다. 제1차 시일(51L)의 아래쪽에서는, 좌측 다리용 둘레 가장자리부(13L)의 아래쪽 부분(15b)과 위쪽 부분(15a)이 일체가 되어 좌측 다리 둘레에서의 제2차 시일(52L)을 형성한다. 착용한 팬티형 기저귀(1)를 신체에 대하여 충분히 끌어올림으로써, 세퍼레이터(20a)에서의 전단 가장자리부(21)와 후단 가장자리부(22)는, 접합부(35)의 근방이 착용자의 외성기와 항문 사이에서 가랑이부에 접촉한다. 착용후의 팬티형 기저귀(1)에서도, 세퍼레이터(20a)에서의 전단 가장자리부(21)와 후단 가장자리부(22)는, 내면 시트(2)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전방부 개구(33)와 후방부 개구(34)가 여전히 크게 벌어져 있다.
이러한 착용 상태에 있는 팬티형 기저귀(1)에서는, 세퍼레이터(20a)가 기저귀 착용자의 가랑이부를 전방 부분과 후방 부분으로 명확하게 구분하고 있고, 그 전방 부분에 형성된 전방부 개구(33)에는 기저귀 착용자의 외성기가 면하고, 후방 부분에 형성된 후방부 개구(34)에는 항문이 면하기 때문에, 외성기로부터의 뇨는 전방부 개구(33)로부터 확실하게 포켓형의 배설물 수용부(31)에 진입하고, 항문으로부터의 변은 후방부 개구(34)로부터 확실하게 배설물 수용부(31)에 진입한다. 그 렇기 때문에, 세퍼레이터(20a)에 의해 뇨와 피부의 접촉 및 변과 피부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배설물 수용부(31)내의 뇨와 변은, 가랑이 영역(6)의 바닥부(6a)에서 내면 시트(2)와 세퍼레이터(20a)가 접근 내지 접촉하고 있는 것에 의해, 서로의 혼합이 방해된다. 따라서, 팬티형 기저귀(1)에서는, 뇨와 변의 혼합에 의해 변의 유동성이 높아지면 변에 의해 피부가 쉽게 더러워지는 문제도 잘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 뇨나 변은, 가령 배설물 수용부(31)의 내부로 향하지 않고 다리를 타고 흐르는 경우가 있더라도, 양다리 각각에는 제1차 시일(51R, 51L)과 제2차 시일(52R, 52L)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쉽게 팬티형 기저귀(1)로부터 새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지는 팬티형 기저귀(1)에서, 내면 시트(2)로는 투액성의 부직포나 개공 플라스틱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외면 시트(3)로는, 불투액성의 플라스틱 필름이나 부직포, 이들 플라스틱 필름과 부직포의 적층 시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코어재(4)에서는, 흡액성 재료로서 분쇄 펄프와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쇄 펄프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분쇄 펄프와 고흡수성 폴리머 섬유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 피복 시트(4b)로는 티슈 페이퍼 대신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시트 조각(20)을 얻기 위한 시트 재료로는, 소수성 또는 소수성이면서 불투액성인 부직포나 플라스틱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그 시트 재료는, 탄성 부재(21b, 22b)의 탄성적인 신장에 따라 탄성적으로 또는 비탄성적으로 신장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내외면 시트(2, 3)나 시트 조각(20) 등의 시트 재료가 열용융성의 플라스틱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는, 이들 시트 재료를 초음파 등의 수단에 의해 용착할 수 있다.
도 2에서의 기저귀 기체(10a)의 시트 조각(20)에 관해 부언해 두면, 시트 조각(20)은, 폭 방향 중심선(D-D)으로부터 전방 접합 영역(27)까지의 거리(Hf)와 후방 접합 영역(28)까지의 거리(Hr)가 같아지도록, 기저귀 기체(10a)에 대하여 부착된다. 팬티형 기저귀(1)가 영유아용의 것인 경우의 바람직한 시트 조각(20)에서는, 거리(Hf, Hr)가 20∼150 ㎜, 보다 바람직하게는 40∼80 ㎜의 범위이다. 또한, 바람직한 시트 조각(20)에서의 전방 접합 영역(27)과 후방 접합 영역(28)의 폭 방향(X)의 치수는 3∼50 ㎜, 보다 바람직하게는 10∼30 ㎜의 범위이고, 전후 방향(Y)의 치수는 적어도 3 ㎜이다.
도 2의 기저귀 기체(10a)에서는 또한, 폭 방향(X)에서 코어재(4)의 외측에 내외면 시트(2, 3)에 의해 사이드 플랩(25)이 형성되어 있다. 사이드 플랩(25)은 폭 방향(X)에서의 굽힘 강성이 코어재(4)의 그것보다 낮아 변형이 용이한 부분이며, 다리 둘레의 탄성 영역(41)을 포함하고 있다. 그 때문에, 기저귀 기체(10a)로부터 얻어지는 팬티형 기저귀(1)가 도 1의 상태에 있고, 가랑이 영역(6)이 U자형으로 만곡되어 있으면, 사이드 플랩(25)은 탄성 영역(41)이 수축됨에 따라 폭 방향 중심선(D-D)의 근방, 즉 가랑이 영역(6)의 바닥부(6a)에서, 코어재(4)의 측가장자리 부분(4c)을 기단으로 하여 팬티형 기저귀(1)의 위쪽을 향해 기립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한편, 시트 조각(20)은 측가장자리부(23)가 접착제(24)를 통해 탄성 영역(41)의 내면에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도 2에서는 직선형으로 연장되어 있는 시트 조각(20)의 전단 가장자리부(21)와 후단 가장자리부(22)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V자형을 그리도록 변형되면, 그 사이드 플랩(25)이 이들 전단 가장자리부(21)와 후단 가장자리부(22)에 의해 전후 방향 중심선(C-C)에 접근하도록 팬티형 기저귀(1)의 내측으로 인장되고, 그 결과 사이드 플랩(25)은 위쪽을 향해 기립하는 경향을 강화한다. 이러한 경향을 갖는 사이드 플랩(25)은, 착용자의 다리 둘레에 대하여 팬티형 기저귀(1)의 아래쪽으로부터 잘 밀착하여, 다리 둘레로부터 체액이 새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5, 6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전개 기저귀(1a)의 일례와, 그 전개 기저귀(1a)로부터 얻어지는 팬티형 기저귀(1)에 관한 도 2, 3과 동일한 도면이다. 전개 기저귀(1a)에서, 시트 조각(20)에서의 후단 가장자리부(22)에는, 후단 가장자리부(22)와 전단 가장자리부(21)를 일체화하기 위한 연결 부재(61)가 부착되어 있다. 연결 부재(61)는, 도 2에서의 접합 부위(27, 28)를 접합제로 접합하여 접합부(35)를 얻는 대신 사용되는 것이며, 도 6에는 그 연결 부재(61)의 사용 형태가 나타나 있다. 도 6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연결 부재(61)는, 단면 형상이 역 V자형이며, 전단 가장자리부(21)에 접합제(62)를 통해 접합하는 전방부(63)와, 후단 가장자리부(22)에 접합제(62)를 통해 접합하는 후방부(64)와, 이들 양쪽 부분(63, 64) 사이에 개재하는 중간부(65)를 갖는다.
도 7은 연결 부재(61)의 사시도이다. 연결 부재(61)는, 부직포나 직포, 종이, 플라스틱 필름 등의 시트 재료를 중간부(65)에서 접어 포갬으로써 형성되어 있고, 전방부(63)와 후방부(64)의 외면에는 접착제나 점착제 등의 접합제(62)가 도포되어 있다. 전방부(63)와 후방부(64)는, 연결 부재(61)의 폭 방향(X)의 중앙 부 분(63a, 64a)에서 중간부(65)를 통해 연결되어 있지만, 폭 방향(X)의 양측 부분(63b, 63c, 64b, 64c)에서는 연결 부재(61)에 형성된 슬릿(66, 67)에 의해 분리되어 있다. 연결 부재(61)의 치수에 각별한 규정은 없지만, 폭 방향(X)에서 양측 부분(63b, 63c, 64b, 64c)의 치수를 크게 하면, 도 5의 전개 기저귀(1a)에서, 기저귀 기체(10a)를 접어 포개어 시트 조각(20)의 전단 가장자리부(21)와 후단 가장자리부(22)를 접합할 때의 작업이 용이해진다. 또한 그 때, 중간부(65)의 폭 방향(X)에서의 치수를 쓸데없이 크게 하는 일이 없으면, 전단 가장자리부(21)와 후단 가장자리부(22)를 연결 부재(61)를 사용하여 일체화하더라도, 이들 양단 가장자리부(21, 22)의 자유로운 움직임을 연결 부재(61)에 의해 방해하는 경우가 없다. 연결 부재(61)는 또한, 슬릿(66, 67)의 전후 방향(Y)에서의 폭을 크게 함으로써, 중간부(65)에서의 전후 방향(Y)의 치수를 크게 할 수 있다. 환언하면, 전후 방향(Y)에서의 중간부(65)의 치수를 조정함으로써, 팬티형 기저귀(1)에서의 세퍼레이터(20a)의 전단 가장자리부(21)와 후단 가장자리부(22)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전개 기저귀(1a)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 2와 동일한 도면이다. 도 5의 기저귀 기체(10a)에서는, 도 2의 기저귀 기체(10a)에서의 시트 조각(20)보다 전후 방향(Y)의 치수가 큰 시트 조각(20)이 사용되고 있다. 이 시트 조각(20)은, 전단 가장자리부(21)가 앞몸통 둘레 영역(7)에 있고, 측가장자리부 7a와 7a 사이에 연장되어 있다. 또, 후단 가장자리부(22)가 뒤몸통 둘레 영역(8)에 있고, 측가장자리부 8a와 8a 사이에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시트 조각(20)은, 그 양측 가장자리부(23)가 핫멜트 접착제(24)를 통해 기저귀 기체(10a) 에서의 가랑이 영역 측가장자리부(13b)와 앞뒤 몸통 둘레 영역(7, 8)에서의 양측 가장자리부(7a, 8a)에 접합되어 있고, 또한 전후의 접합 영역 27과 28이 접합되면 세퍼레이터(20a)를 형성한다. 그 세퍼레이터(20a)는, 폭 방향 중심선(D-D)을 따라 가랑이 영역(6)을 횡단하는 부분, 즉 양측 가장자리부(23) 사이의 부분이 핫멜트 접착제(24)를 통해 내면 시트(2)에 접합되어 있고, 세퍼레이터(20a)와 내면 시트(2)로 형성하는 배설물 수용부(31)가 전방 수용부(31a)와 후방 수용부(31b)로 이분되어 있다. 도 5와 같이 형성되어 있는 기저귀 기체(10a)를 폭 방향 중심선(D-D)을 따라 접어 포개어 측가장자리부 7a와 8a를 접합하고, 세퍼레이터(20a)에서의 전단 가장자리부(21)의 접합 영역(27)과 후단 가장자리부(22)의 접합 영역(28)이 핫멜트 접착제에 의한 접착 또는 초음파에 의한 용착에 의해 접합부(35)(도 2 참조)를 형성한 상태의 팬티형 기저귀(1)에서는, 다리 둘레 탄성 부재(14b)를 포함하는 가랑이 영역 측가장자리부(13b)가, 도 1, 3에 나타내는 다리 둘레 개구(12)의 둘레 가장자리부(13)를 형성하여, 도 3에서의 제2차 시일(52R, 52L)로서 기능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세퍼레이터(20a)에서의 전단 가장자리부(21)와 후단 가장자리부(22)는, 폭 방향 중심선(D-D)으로부터의 거리(Hf, Hr)가 같기 때문에, 기저귀 기체(10a)의 측가장자리부 7a와 8a가 접합되면, 그 접합된 측가장자리부(7a, 8a)로부터 전단 가장자리부(21)와 후단 가장자리부(22)의 접합부(35)에 이르는 동안의 우측 다리용 전단 가장자리부(21R)와 우측 다리용 후단 가장자리부(22R) 사이에 우측 다리를 진입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좌측 다리용 전단 가장자리부(21L)와 좌측 다 리용 후단 가장자리부(22L) 사이에 좌측 다리를 진입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우측 다리용 전단 가장자리부(21R)와 우측 다리용 후단 가장자리부(22R)는 우측 다리의 다리 둘레에 탄성적으로 밀착하고, 좌측 다리용 전단 가장자리부(21L)와 좌측 다리용 후단 가장자리부(22L)는 좌측 다리의 다리 둘레에 탄성적으로 밀착하여, 우측 다리용 및 좌측 다리용의 제1차 시일(51R, 51L)로서 기능한다. 단, 도 5의 기저귀 기체(10a)로부터 형성되어야 하는 제1차 시일(51R, 51L)과 제2차 시일(52R, 52L)은 도 4의 경우와 달리 서로 교차하지 않는다. 또, 이 기저귀 기체(10a)로부터 형성되는 팬티형 기저귀(1)에서는, 세퍼레이터(20a)가 내면 시트(2)에 대하여 접착제(24)를 통해 폭 방향 중심선(D-D)의 근방에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뇨와 변의 혼합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세퍼레이터(20a)의 가랑이 영역(6)을 횡단하는 부분이 내면 시트(2)에 대하여, 폭 방향 중심선(D-D) 근방이기는 해도, 폭 방향 중심선(D-D)보다 전방에서 접합되고, 폭 방향 중심선(D-D)보다 후방에서는 접합에 있어서는 접합되지 않은 형태에서는, 세퍼레이터(20a)와 내면 시트(2)의 접합에 의해 전방 수용부(31a)의 내용적을 작게 하는 경우가 있더라도, 후방 수용부(31b)의 내용적을 작게 하는 경우가 없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도 5의 기저귀 기체(10a)와 세퍼레이터(20a)도 도 2에서의 전개 기저귀(1a)와 동일한 순서로 처리하여, 세퍼레이터(20a)를 갖는 팬티형 기저귀(1)를 제조한다.
도 9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전개 기저귀(1a)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 2와 동일한 도면이다. 단, 도 9의 전개 기저귀(1a)에서의 시트 조각(20)에는, 도 2에 나타낸 전방 탄성 부재(21b)와 후방 탄성 부재(22b)가 사용되지 않는다. 도 9의 시트 조각(20)은, 탄성적으로 신장ㆍ수축 가능한 부직포나 플라스틱 필름 등의 탄성 시트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비탄성 시트 재료로 형성되는 경우도 있다. 탄성 시트 재료로 시트 조각(20)이 형성되는 경우의 세퍼레이터(20a)에는 주름이 잘 생기지 않아, 피부와 세퍼레이터(20a)의 주름과의 사이에서 체액이 예상하지 않은 방향으로 흐르는 경우가 없다. 도 9의 시트 조각(20)은 또한, 전후 방향(Y)으로 긴 거의 마름모꼴의 접합 영역(27, 28)을 가지며, 전방의 접합 영역(28)에는, 점착성의 접합제(28a)가 도포되어 있다. 전개 기저귀(1a)를 폭 방향 중심선(D-D)을 따라 접어 포개면, 전후의 접합 영역 27과 28이 부합하여 접합되고, 시트 조각(20)의 전후단 가장자리부(21, 22)가 일체화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 기저귀 기체(10a)와 시트 조각(20)을 갖는 전개 기저귀(1a)도 도 2의 전개 기저귀(1a)와 동일한 순서로 처리하여, 세퍼레이터(20a)를 갖는 팬티형 기저귀(1)를 제조한다.
도 10도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전개 기저귀(1a)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 2와 동일한 도면이다. 도 10의 기저귀 기체(10a)에서의 시트 조각(20)에서는, 폭 방향(X)에서의 치수가 도 2의 그것보다 짧게 만들어져 있다. 세퍼레이터(20a)에서의 전단 가장자리부(21)나 후단 가장자리부(22)를 다리 둘레의 넓은 범위에 걸쳐 밀착시킬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이와 같이 폭 방향(X)의 치수가 짧은 시트 조각(20)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이 전개 기저귀(1a)도 도 2에서의 전개 기저귀(1a)와 동일한 순서로 처리하여 팬티형 기저귀(1)를 제조한다.
도 11, 12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전개 기저귀(1a)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 5, 6과 동일한 도면이다. 도 11의 전개 기저귀(1a)에서는, 도 5의 연결 부재(61) 대신 연결 부재(161)가 사용되고 있다. 기저귀 기체(10a)에는 시트 조각(20)이 부착되어 있다. 그 시트 조각(20)은, 폭 방향 중심선(D-D)보다 앞몸통 둘레 영역(7) 쪽으로 위치하는 제1 반쪽 부재(71)와, 폭 방향 중심선(D-D)보다 뒤몸통 둘레 영역(8) 쪽으로 위치하는 제2 반쪽 부재(72)로 구성되어 있다. 제2 반쪽 부재(72)의 내면에는, 전후 방향 중심선(C-C)에 관해 대칭인 시트 조각으로 형성된 연결 부재(161)가 접착제(73)를 통해 분리 불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접착제(73)는, 전후 방향 중심선(C-C)의 근방에서만 제2 반쪽 부재(72)에 존재하고, 폭 방향(X)에서의 접착제(73)의 양측, 즉 전후 방향 중심선(C-C)의 양측에서는, 제2 반쪽 부재(72)와 연결 부재(161)가 비접착 상태로 있고 서로 이격되어 있다. 그 연결 부재(161)의 내면(162)에는 접착제(163)가 도포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전개 기저귀(1a)는, 폭 방향 중심선(D-D)을 따라, 시트 조각(20)이 내측이 되도록 접어 포개어, 시트 조각(20)에서의 제1 반쪽 부재(71)와 연결 부재(161)를 접착제(163)를 통해 분리 불가능하게 접합하고, 기저귀 기체(10a)의 앞뒤 몸통 둘레 영역(7, 8)의 측가장자리부(7a, 8a)끼리 합장형으로 접합함으로써 팬티형 기저귀(1)가 된다. 도 12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연결 부재(161)가 접착제(73)를 통해 시트 조각(20)에서의 제2 반쪽 부재(72)에 접합되고 또한 접착제(163)를 통해 제1 반쪽 부재(71)에 접합됨으로써, 시트 조각(20)이 도 6의 시트 조각(20)과 마찬가지로 세퍼레이터(20a)를 형성하고 있다.
도 11의 전개 기저귀(1a)에서, 시트 조각(20)은, 그것에 연결 부재(161)를 부착하고 나서 기저귀 기체(10a)에 고정할 수도 있고, 기저귀 기체(10a)에 고정한 후에 연결 부재(161)를 부착할 수도 있다. 그 연결 부재(161)는, 제2 반쪽 부재(72) 대신 제1 반쪽 부재(71)에 부착해 둘 수도 있다. 연결 부재(161)는 또한, 그것에 미리 접착제(163)를 도포해 둘 수도 있고, 제2 반쪽 부재(72)에 부착한 후에 접착제(163)를 도포할 수도 있다. 전개 기저귀(1a)에서의 연결 부재(161)는, 그 크기가 제1, 제2 반쪽 부재(71, 72)의 크기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다. 그러나, 기저귀 기체(10a)의 가랑이 영역(6)이 폭 방향 중심선(D-D)에 관해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폭 방향(X)에서 연결 부재(161)의 치수를 기저귀 기체(10a)의 치수에 맞춰, 그 연결 부재(161)를 가랑이 영역 측가장자리부(13b)에 접합할 수 있다. 연결 부재(161)는 연결 부재(61)와 동일한 시트 재료로 만들 수 있다.
도시예와 같이 연결 부재(161)를 사용하여 제1 반쪽 부재(71)와 제2 반쪽 부재(72)를 접합시키는 팬티형 기저귀(1)에서는, 연결 부재(161)를 크게 해 둠으로써, 시트 조각(20)을 접어 포개었을 때의 제1 반쪽 부재(71)와 제2 반쪽 부재(72)를 접어 포개는 방식을 엄격하게 제어하지 않더라도, 이들 제1, 제2 반쪽 부재(71, 72)를 쉽게 접합할 수 있다. 또, 도 12의 팬티형 기저귀(1)에서는, 연결 부재(161)가 제1 반쪽 부재(71)에는 큰 면적으로 접합되는 한편, 제2 반쪽 부재(72)에는 작은 면적으로 접합되고 있는 것에서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면적이 큰 연결 부 재(161)를 사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1, 제2 반쪽 부재의 접합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도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팬티형 기저귀의 제조 방법은, 개별적인 기저귀 기체(10a)와 그것에 부착되는 개별적인 시트 조각(20)을 사용하여 개별적인 팬티형 기저귀(1)를 제조하는 것이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기저귀 기체(10a)가 폭 방향(X) 또는 전후 방향(Y)에서 분리 불가능하게 연속되어 있는 웨브나, 복수의 시트 조각(20)이 폭 방향(X) 또는 전후 방향(Y)에서 분리 불가능하게 연속되어 있는 웨브를 사용하여, 팬티형 기저귀(1)의 연속체를 제조하는 경우에도 실시할 수 있다. 그 경우의 팬티형 기저귀(1)의 연속체는, 기저귀 제조의 최종 공정에서 개개로 절단되어 개별적인 팬티형 기저귀(1)가 된다.

Claims (8)

  1. 가랑이 영역과 상기 가랑이 영역의 전방에 형성된 앞몸통 둘레 영역과 상기 가랑이 영역의 후방에 형성된 뒤몸통 둘레 영역을 갖는 기저귀 기체(基體)의 상기 앞몸통 둘레 영역과 상기 뒤몸통 둘레 영역의 측가장자리부끼리가 접합되어 팬티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기저귀 착용자의 피부와 마주 보는 상기 기저귀 기체의 내면측에는, 피부와 변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는 세퍼레이터가 형성되어 있는 일회용 팬티형 기저귀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세퍼레이터는, 상기 기저귀 기체의 상기 내면측에서 상기 가랑이 영역의 전후 방향 중앙부로부터 상기 앞몸통 둘레 영역과 상기 뒤몸통 둘레 영역을 향해 넓어지고 또한 상기 가랑이 영역의 폭 방향의 치수를 이등분하는 전후 방향 중심선에 걸쳐 상기 가랑이 영역의 폭 방향으로 넓어지는 시트 조각으로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시트 조각은, 상기 시트 조각의 상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측 가장자리부를 상기 전후 방향 중심선의 양측에서 상기 내면에 고정하는 한편, 상기 시트 조각의 상기 양측 가장자리부의 사이의 부분을 상기 내면으로부터 이격시킨 후에, 상기 기저귀 기체의 상기 전후 방향의 치수를 이등분하는 폭 방향 중심선을 따르며 또한 상기 시트 조각이 내측이 되도록 하여 상기 기저귀 기체를 상기 전후 방향으로 접어 포개고, 그 후에 상기 시트 조각의 전방에서 상기 폭 방향 중심선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전단 가장자리부와 상기 시트 조각의 후방에서 상기 폭 방향 중심선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후단 가장자리부를 상기 전후 방향 중심선상에서 일체화 하고, 또한 서로 겹치는 상기 기저귀 기체의 상기 앞뒤 몸통 둘레 영역의 측가장자리부끼리를 접합하여 상기 시트 조각으로부터 상기 세퍼레이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조각의 상기 전단 가장자리부와 상기 후단 가장자리부를, 이들 양단 가장자리부 중의 한쪽에 접착제 및 점착제 중 어느 하나의 접합제에 의해 미리 형성되어 있는 접합 영역에서 일체화시키는 제조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영역은, 상기 접합제가 한면에 도포되어 있는 시트형 연결 부재를 상기 접합제가 외측이 되도록 상기 폭 방향 중심선에 평행한 절곡선을 따라 접어 포개고, 상기 연결 부재가 서로 겹치는 부분의 한쪽을 상기 접합제를 통해 상기 양단 가장자리부의 한쪽에 접합함으로써 형성하는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조각의 상기 전단 가장자리부와 상기 후단 가장자리부를 초음파 용착 및 열용착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일체화시키는 제조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조각의 상기 양측 가장자리부의 사이를 부분적으로 상기 기저귀 기체에서의 상기 폭 방향 중심선의 근방에 접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
  6. 가랑이 영역과 상기 가랑이 영역의 전방에 형성된 앞몸통 둘레 영역과 상기 가랑이 영역의 후방에 형성된 뒤몸통 둘레 영역을 갖는 기저귀 기체의 상기 앞몸통 둘레 영역과 상기 뒤몸통 둘레 영역의 측가장자리부끼리가 접합하여 팬티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기저귀 착용자의 피부와 마주 보는 상기 기저귀 기체의 내면측에는, 피부와 변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는 세퍼레이터가 형성되어 있는 일회용 팬티형 기저귀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세퍼레이터는, 상기 기저귀 기체의 상기 내면측에서 상기 기저귀 기체의 전후 방향의 치수를 이등분하는 폭 방향 중심선보다 상기 앞몸통 둘레 영역 쪽으로 위치하는 제1 반쪽 부재와 상기 뒤몸통 둘레 영역 쪽으로 위치하는 제2 반쪽 부재를 갖고 있고 상기 가랑이 영역의 폭 방향의 치수를 이등분하는 전후 방향 중심선에 걸쳐 상기 가랑이 영역의 상기 폭 방향으로 넓어지는 제1 시트 조각을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제1 시트 조각은, 상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제1 시트 조각의 양측 가장자리부에서 상기 내면에 고정하는 한편, 상기 양측 가장자리부의 사이의 부분을 상기 내면으로부터 이격시킨 후에, 상기 제1, 제2 반쪽 부재 중의 하나의 반쪽 부재의 내면에 상기 하나의 반쪽 부재의 크기를 초과하지 않는 제2 시트 조각을 겹치게 하여, 상기 하나의 반쪽 부재와 상기 제2 시트 조각을 상기 전후 방향 중심선상에서 접합하고 또한 상기 전후 방향 중심선의 양측에서 이격시켜 두고, 이어서 상기 제2 시트 조각에서의 상기 하나의 반쪽 부재와의 접합면의 반대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그 후에 상기 기저귀 기체를 상기 제1 시트 조각이 내측이 되도록 상기 폭 방향 중심선을 따라 상기 전후 방향으로 접어 포개어 상기 하나의 반쪽 부재에 대한 다른 하나의 반쪽 부재를 상기 접착제를 통해 상기 제2 시트 조각에서의 상기 반대면에 접합하고 또한 서로 겹치는 상기 기저귀 기체의 상기 앞뒤 몸통 둘레 영역의 측가장자리부끼리를 접합하여 상기 제1 시트 조각으로부터 상기 세퍼레이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제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트 조각은, 상기 하나의 반쪽 부재에 상기 제2 시트 조각을 미리 접합하고, 그 후에 상기 기저귀 기체의 내면에 고정하는 제조 방법.
  8. 제1항 내지 제4항, 제6항 또는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팬티형 기저귀.
KR1020097009344A 2006-11-15 2007-10-17 일회용 팬츠형 기저귀의 제조 방법 및 그 팬츠형 기저귀 KR1012671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309653A JP4871097B2 (ja) 2006-11-15 2006-11-15 使い捨てのパンツ型おむつ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パンツ型おむつ
JPJP-P-2006-309653 2006-11-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7443A true KR20090087443A (ko) 2009-08-17
KR101267185B1 KR101267185B1 (ko) 2013-05-24

Family

ID=39368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9344A KR101267185B1 (ko) 2006-11-15 2007-10-17 일회용 팬츠형 기저귀의 제조 방법 및 그 팬츠형 기저귀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7803243B2 (ko)
EP (1) EP2082711A4 (ko)
JP (1) JP4871097B2 (ko)
KR (1) KR101267185B1 (ko)
CN (1) CN101534772B (ko)
AU (1) AU2007320642B2 (ko)
BR (1) BRPI0717210A2 (ko)
CA (1) CA2668753A1 (ko)
CO (1) CO6180491A2 (ko)
EA (1) EA014042B1 (ko)
EG (1) EG25345A (ko)
MA (1) MA30986B1 (ko)
MX (1) MX2009005214A (ko)
MY (1) MY180498A (ko)
TW (1) TW200836703A (ko)
UA (1) UA93591C2 (ko)
WO (1) WO20080596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23438B2 (en) 2010-07-15 2016-04-26 Apple Inc. Media-editing application with live dragging and live editing capabilities
US9251855B2 (en) 2011-01-28 2016-02-02 Apple Inc. Efficient media processing
US9997196B2 (en) 2011-02-16 2018-06-12 Apple Inc. Retiming media presentations
US11747972B2 (en) 2011-02-16 2023-09-05 Apple Inc. Media-editing application with novel editing tools
GB2519291A (en) * 2013-10-15 2015-04-22 Concepts For Success C4S E K Article with foreshortened topsheet forming a crotch flap
JP5579334B1 (ja) * 2014-01-14 2014-08-2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及びその製造方法
GB201814501D0 (en) 2018-09-06 2018-10-24 Concepts For Success C4S Faeces separation sheet
GB202018241D0 (en) 2020-11-19 2021-01-06 Concepts For Success C4S E K Hygiene article with sustained positioning of faeces receiveing opening relative to anu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26189A (en) * 1974-08-05 1975-12-16 Colgate Palmolive Co Selectively positionable diaper assembly
JPS60114258A (ja) 1983-11-24 1985-06-20 大崎衛生材料株式会社 紙おむつ
SE502548C2 (sv) * 1994-03-18 1995-11-13 Moelnlycke Ab Absorberande artikel, såsom en blöja, innefattande sidobarriärer i form av längsgående flikar förbundna med ett inre vätskegenomsläppligt höljeskikt
US5554142A (en) * 1994-11-30 1996-09-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multiple effective height transverse partition
SE512766C2 (sv) * 1997-05-26 2000-05-08 Sca Hygiene Prod Ab Absorberande produkt och sätt att bilda en barriär mellan ett toppskikt och en absorbtionskropp i en sådan produkt
JP3437419B2 (ja) * 1997-09-29 2003-08-1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3406205B2 (ja) * 1997-10-08 2003-05-1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3375282B2 (ja) * 1998-05-08 2003-02-1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US6786895B1 (en) * 1999-07-02 2004-09-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barrier means, and method of its manufacture
JP4480859B2 (ja) * 2000-06-29 2010-06-16 王子製紙株式会社 おむつ
MX2007007141A (es) * 2004-12-29 2007-08-08 Sca Hygiene Prod Ab Articulo absorbente que tiene una cavidad para recibir y almacenar heces y metodo para su fabricacion.
JP4871095B2 (ja) * 2006-04-06 2012-02-0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パンツ型おむ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82711A1 (en) 2009-07-29
EA200900542A1 (ru) 2009-12-30
KR101267185B1 (ko) 2013-05-24
JP2008119405A (ja) 2008-05-29
CO6180491A2 (es) 2010-07-19
AU2007320642A1 (en) 2008-05-22
MX2009005214A (es) 2009-05-27
CN101534772B (zh) 2013-06-05
EG25345A (en) 2011-12-14
JP4871097B2 (ja) 2012-02-08
WO2008059688A1 (fr) 2008-05-22
AU2007320642B2 (en) 2012-05-17
MY180498A (en) 2020-11-30
CN101534772A (zh) 2009-09-16
US7803243B2 (en) 2010-09-28
EA014042B1 (ru) 2010-08-30
TW200836703A (en) 2008-09-16
CA2668753A1 (en) 2008-05-22
UA93591C2 (ru) 2011-02-25
MA30986B1 (fr) 2009-12-01
EP2082711A4 (en) 2010-05-19
BRPI0717210A2 (pt) 2013-09-17
TWI337858B (ko) 2011-03-01
US20080110553A1 (en) 2008-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2809B1 (ko) 일회용 팬츠형 기저귀
KR101238533B1 (ko) 일회용 팬츠형 기저귀의 제조 방법 및 그 팬츠형 기저귀
KR101591139B1 (ko) 일회용 착용 물품
KR101267185B1 (ko) 일회용 팬츠형 기저귀의 제조 방법 및 그 팬츠형 기저귀
JP2003265511A (ja) パンツ型の使い捨ておむつ
JP5185670B2 (ja) 使い捨てのパンツ型おむつ
KR20090104096A (ko) 일회용 팬츠형 기저귀의 제조 방법
KR101246423B1 (ko) 일회용 팬츠형 기저귀의 제조 방법
WO2009090818A1 (ja) パンツ型の使い捨ておむつ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09119136A1 (ja) 使い捨てのパンツ型おむ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