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7357A - 침입감지용 고정형 노드의 가시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침입감지용 고정형 노드의 가시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7357A
KR20090087357A KR1020080012750A KR20080012750A KR20090087357A KR 20090087357 A KR20090087357 A KR 20090087357A KR 1020080012750 A KR1020080012750 A KR 1020080012750A KR 20080012750 A KR20080012750 A KR 20080012750A KR 20090087357 A KR20090087357 A KR 200900873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node
node information
map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2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5700B1 (ko
Inventor
이창우
정영식
송은하
한원희
김성원
백성진
한성국
설덕환
Original Assignee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12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5700B1/ko
Publication of KR20090087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73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5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57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22Electrical actu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nfrared-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9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exact location of child or item using a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g. GP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7Communication between units on a local network, e.g. Bluetooth, piconet, zigbe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입감지용 고정형 노드의 가시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특정 지역으로의 침입을 감지한 노드의 위치정보와 상태정보를 좌표계에 독립적으로 해당 영역에 가시화하기 위한 침입감지용 고정형 노드의 가시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침입감지용 고정형 노드의 가시화 시스템은 침입감지센서가 구비된 노드의 식별정보, 위치정보 및 상태정보를 포함하는 노드정보를 확보하기 위한 노드정보처리부; 상기 노드가 위치하는 영역의 지도정보를 확보하기 위한 지도정보처리부; 상기 노드정보 및 지도정보를 해당 심볼에 사상시켜 기준좌표계 영역에 가시화시키기 위한 가시화처리부; 및 상기 노드정보를 누적저장관리하기 위한 노드정보저장부를 포함한다.
침입감지, 가시화, 노드정보, 좌표계

Description

침입감지용 고정형 노드의 가시화 시스템{Fixed node visualization system for intrusion detection}
본 발명은 침입감지용 고정형 노드의 가시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특정 지역으로의 침입을 감지한 노드의 위치정보와 상태정보를 좌표계에 독립적으로 해당 영역에 가시화하기 위한 침입감지용 고정형 노드의 가시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가정이나 회사 등 사용자가 위치하는 곳이라면 어디든지 외부침입에 대한 보안이 요구된다. 특히, 댁내의 홈네트워크 환경에서 침입에 대한 보안솔루션들이 산학연구단체들에 의해 많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외부침입에 대한 보안으로서 기본이 되는 것이 센싱장비를 이용한 보안솔루션일 것이다. 즉, 외부침입이 예상되는 지역에 각종 센서들을 설치하고, 설치된 센서들을 통해 수집한 정보들을 확보하며, 확보된 정보들을 분석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한편, 보안솔루션들을 통해 확보한 정보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 다양한 방안들이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방안들은 사용자에게 확보된 침입정보를 제공함에 있어, 보다 정확한 위치에 보다 정확한 상태로서 확보된 침입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즉, 센서가 구비된 노드의 위치와 상태를 보다 정확히 표현할 수 있는 방안들이 요구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가시화의 지연 없이 노드정보를 가시화하기 위한 침입감지용 고정형 노드의 가시화 시스템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과거 사건을 시간에 의존적이고 좌표계에 독립적으로 가시화하기 위한 침입감지용 고정형 노드의 가시화 시스템을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노드정보의 등록 및 수정 등 갱신을 가상으로 수행하기 위한 침입감지용 고정형 노드의 가시화 시스템을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침입감지센서가 구비된 노드의 식별정보, 위치정보 및 상태정보를 포함하는 노드정보를 확보하기 위한 노드정보처리부; 상기 노드가 위치하는 영역의 지도정보를 확보하기 위한 지도정보처리부; 상기 노드정보 및 지도정보를 해당 심볼에 사상시켜 기준좌표계 영역에 가시화시키기 위한 가시화처리부; 및 상기 노드정보를 누적저장관리하기 위한 노드정보저장부를 포함하는 침입감지용 고정형 노드의 가시화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은 노드정보를 누적저장관리함으로써 노드정보를 시간지연 없이 가시 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노드정보 및 지도정보의 좌표계에 독립적으로 노드정보를 가시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노드에 대한 로그정보를 관리제공함으로써 해당 노드에 대한 과거 침입사건의 흐름을 가시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노드정보의 등록 및 수정 등 갱신을 가상 시뮬레이션으로 제공함으로써 가시화 시스템의 성능개선을 시간 및 비용에 구애받지 않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시화 시스템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가시화 시스템은 노드정보를 확보하기 위한 노드정보처리부(100), 노드가 위치하는 영역의 지도정보를 확보하기 위한 지도정보처리부(200), 노드정보 및 지도정보를 가시화시키기 위한 가시화처리부(300) 및 노드정보를 누적저장관리하기 위한 노드정보저장부(400)를 포함한다.
먼저, 노드정보처리부(100)는 침입감지센서가 구비된 노드의 노드정보를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부노드정보수집부(130), 최근노드정보수집부(110), 임의노드정보수집부(140), 로그노드정보수집부(120) 및 노드정보분석부(150)를 포함한다.
한편, 노드정보는 GPS와 각종 침입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침입 탐지용 노드에 대한 정보로서, 노드의 식별정보, 위치정보 및 상태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태정보는 센서를 포함하는 노드의 온오프상태 및 침입감지여부 등 침입감지 서비스 제공을 위해 활용할 수 있는 노드의 다양한 상태정보를 의미한다.
외부노드정보수집부(130)는 유무선통신을 통해 노드의 실시간노드정보를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서, 침입 또는 감시가 요구되는 실제 공간상에 설치되어 있는 노드의 식별정보, 위치정보 및 상태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확보한다. 여기서, 유무선통신은 기본 유선통신을 비롯하여 RF, 적외선, 지그비, UTP 등 다양한 통신수단이 활용될 수 있다.
최근노드정보수집부(110)는 노드정보저장부(400)에 저장관리되는 정보들 중 최근노드정보를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서, 최근노드정보를 실시간노드정보를 확보하 기 전까지의 노드정보로서 활용함으로써 실시간노드정보를 확보하기까지의 노드 가시화 지연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지원한다.
임의노드정보수집부(140)는 실제 공간상에 설치되는 노드의 정보가 아닌, 사용자가 가상으로 설정한 가상노드에 대한 정보를 확보한다. 즉, 임의노드정보수집부(140)는 사용자에 의해 가시화 시스템에 가상으로 설정된 가상노드정보를 확보함으로써, 가상환경(소프트웨어 시뮬레이터) 속에서 노드의 등록 및 수정이 원활히 이루어지는지, 노드의 상태가 심볼과 명확히 사상되는지 등에 대한 시뮬레이션이 가능하도록 지원한다.
로그노드정보수집부(120)는 노드의 위치변경정보 및 상태변경정보를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서, 노드정보저장부(400)에 누적저장관리되는 노드정보를 확보하여 과거 침입사건 등을 가시화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즉, 로그노드정보수집부(120)는 노드정보저장부(400)에 저장관리되는 정보들 중 노드의 위치변경정보, 또는 센서의 감지에 따른 사건발생노드정보, 사건발생시간정보 및 사건발생내용정보인 노드의 상태변경정보를 확보한다. 물론, 이들 정보들은 누적정보일 수 있다. 여기서, 변경정보들은 외부노드정보수집부(130)에서 확보된 노드정보의 누적으로 확보될 수 있다.
노드정보분석부(150)는 가시화에 필요한 데이터를 확보하여 노드정보저장부(400) 및 가시화처리부(300)로 전달한다. 즉, 노드정보분석부(150)는 실시간노드정보, 최근노드정보 및 가상노드정보에 포함된 정보들 중 가시화에 필요한 위치정보 및 상태정보를 확보하고, 확보된 위치정보 및 상태정보를 노드정보저장부(400) 및 가시화처리부(300)로 전달하여 노드정보가 가시화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물론, 노드정보분석부(150)는 로그노드정보수집부(120)를 통해 확보된 노드의 위치변경정보 및 상태변경정보를 노드정보저장부(400) 및 가시화처리부(300)로 전달하여 노드정보의 가시화를 지원한다.
다음으로, 지도정보처리부(200)는 노드가 위치하는 영역의 지도정보를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도정보수집부(210), 지도포맷정보분석부(220) 및 지도요소추출부(230)를 포함한다.
지도정보수집부(210)는 노드가 위치하는 영역의 지도정보를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시화 시스템 내외로부터 노드가 위치하는 영역의 지도정보를 검색 및 확보한다. 즉, 지도정보수집부(210)는 가시화 시스템 내외 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지도정보를 검색하여 확보한다.
지도포맷정보분석부(220)는 확보한 지도정보의 파일포맷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도정보의 파일포맷이 지리정보시스템(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을 표현하기 위한 SHP(Shapefile), GML(Geography Markup Language) 및 DXF(Drawing Exchange Format) 등과 같은 파일포맷들 중 어떠한 파일포맷으로 구성되어 있는지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지도요소추출부(230)는 파일포맷정보가 확인된 지도정보로부터 지도정보를 가시화하기 위한 기하학적 요소를 추출하는 것으로서, 지도요소추출부(230)는 지도포맷정보분석부(220)를 통해 확보된 파일포맷을 기반으로 하여 다각형(Polygon, Polyline) 및 다분기점(Multi point) 등과 같은 지도를 이루는 기하학적 요소를 추 출하여 가시화처리부(300)로 전달한다.
다음으로, 가시화처리부(300)는 노드정보 및 지도정보를 해당 심볼에 사상시켜 기준좌표계 영역에 가시화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좌표계설정부(310), 가시화출력부(320) 및 음성출력부(330)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 가시화처리부(300)는 각기 다른 좌표표준을 따를 수 있는 노드의 GPS좌표계와 지도좌표계를 통일된 하나의 좌표계로 변환시킴으로써 가시화의 정확성을 보장한다. 또한, 가시화처리부(300)는 유동적으로 변화하는 노드의 상태정보들을 각 상태에 맞게 화면에 변환하여 출력시키고, 침입상황에 따라 음성출력도 병행하여 처리한다.
좌표계설정부(310)는 지도정보처리부(200)와 노드정보처리부(100)를 통해 처리된 정보를 수신하여 가시화 시스템에서 기준이 될 좌표계를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준좌표계를 설정하고, 지도정보처리부(200)와 노드정보처리부(100)로부터 전달받은 노드정보와 지도정보를 설정된 기준좌표계로 변환시킨다. 또한 좌표계설정부(310)는 노드정보 및 지도정보를 가시화할 가시영역의 설정을 지원한다.
가시화출력부(320)는 좌표계설정부(310)를 통해 기준좌표계로 변환된 노드정보 및 지도정보를 해당 심볼에 사상시켜 가시영역에 가시화시킨다.
음성출력부(330)는 노드정보를 가시영역에 가시화시킴과 아울러 노드의 위치정보 또는 상태정보를 음성으로 출력시킨다.
마지막으로, 노드정보저장부(400)는 노드정보를 누적저장관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본노드정보저장부(410) 및 로그노드정보저장부(420)를 포함한다.
기본노드정보저장부(410)는 가시화 시스템이 가동 중일 때 노드로부터 노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노드정보를 등록하거나 기존 노드정보를 수정하여 갱신한다.
로그노드정보저장부(420)는 노드의 위치정보 및 상태정보의 변화에 따라 발생하는 일련의 사건들을 시간 기준으로 저장관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로그노드정보저장부(420)는 노드의 위치변경정보 또는 상태변경정보를 누적저장관리한다. 여기서, 상태변경정보는 센서의 감지에 따른 사건발생노드정보, 사건발생시간정보 및 사건발생내용정보인 노드의 상태변경정보를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노드정보분석부의 운용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노드정보분석부(150)는 외부노드정보수집부(130), 최근노드정보수집부(110), 임의노드정보수집부(140) 및 로그노드정보수집부(120)를 포함하는 노드정보수집부로부터 가시화하기 위한 노드정보를 확보한다.
노드정보분석부(150)는 확보한 노드정보에서 가시화에 필요한 정보를 추출한다. 가시화에 필요한 정보는 노드의 ID와 같은 식별정보를 비롯하여 위치정보 및 상태정보일 수 있다.
이어, 노드정보분석부(150)는 추출한 노드의 식별정보와 기본노드정보저장부(410)로부터 확보한 노드의 식별정보를 상호비교하여 해당 노드의 존재여부를 확인한다. 확인결과, 노드정보수집부로부터 확보한 노드가 노드정보저장부(400)에 관리되고 있는 노드가 아닐 경우, 노드정보분석부(150)는 해당 노드를 노드정보저장부(400)에 등록하고, 화면에 가시화하며, 로그노드정보저장부(420)에 기록한다.
이후, 노드의 위치정보 및 상태정보가 기본노드정보저장부(410)에 존재하는 정보와 차이가 있을 경우, 기본노드정보저장부(410)에 차이가 있는 정보를 전달하여 수정하고, 이를 로그노드정보저장부(420)에 기록한다.
마지막으로 노드정보분석부(150)는 수정된 정보를 가시화처리부(300)로 전달하여 가시화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시화처리부의 운용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가시화처리부(300)는 노드정보처리부(100)에서 처리된 노드정보와 지도정보처리부(200)에서 처리된 지도정보를 확보한다.
여기서, 노드정보와 지도정보는 화면에 표시해야할 대응 심볼과 심볼을 표시할 위치정보를 포함한다. 하지만, 노드의 위치정보는 노드에 설치된 GPS 수신기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좌표계로 이루어진다. 지도 역시 그 타입에 따라 사용되는 좌표계의 종류가 다양하다. 이러한 다양한 좌표계를 좌표계에 독립적으로 가시화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기준이 되는 좌표계를 설정하여 다른 좌표계를 기준좌표계로 변환시켜주는 과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가시화처리부(300)는 확보한 노드정보와 지도정보의 좌표계를 분석하여야한다.
이에, 가시화처리부(300)는 좌표계설정부(310)를 통해 확보한 정보들의 좌표계를 추출하고, 이들 정보들의 기준좌표계로 변환시킨다. 여기서, 기준좌표계는 노드정보의 좌표계와 지도정보의 좌표계 중 가시화처리부(300)의 좌표계설정부(310)에 먼저 수신된 정보의 좌표계로 정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가시화처리부(300)에 입력된 정보의 좌표계가 기준좌표계와 다를 경우, 좌표계 변환 공식을 이용하여 입력된 정보의 좌표계를 기준좌표계로 변환하여야 한다.
화면의 가시영역을 설정할 때에도 먼저 수신된 정보를 기준으로 가시영역을 설정함이 바람직하다. 즉, 먼저 수신된 정보가 노드정보일 경우 노드의 좌표를 기준으로 가시영역을 설정하고, 지도정보일 경우 지도 전체영역이 가시영역으로 설정되도록 한다.
이렇게 가시영역이 설정되고 나면, 가시화처리부(300)는 가시화출력부(320)를 통해 노드정보와 지도정보 각각을 해당 심볼로 사상하여 화면에 가시화시키고, 노드가 센서일 경우 그 상태에 따라 음성출력을 지원한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시화 시스템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노드정보분석부의 운용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시화처리부의 운용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노드정보처리부 110: 최근노드정보수집부
120: 로그노드정보수집부 130: 외부노드정보수집부
140: 임의노드정보수집부 150: 노드정보분석부
200: 지도정보처리부 210: 지도정보수집부
220: 지도포맷정보분석부 230: 지도요소추출부
300: 가시화처리부 310: 좌표계설정부
320: 가시화출력부 330: 음성출력부
400: 노드정보저장부 410: 기본노드정보저장부
420: 로그노드정보저장부

Claims (7)

  1. 침입감지센서가 구비된 노드의 식별정보, 위치정보 및 상태정보를 포함하는 노드정보를 확보하기 위한 노드정보처리부;
    상기 노드가 위치하는 영역의 지도정보를 확보하기 위한 지도정보처리부;
    상기 노드정보 및 지도정보를 해당 심볼에 사상시켜 기준좌표계 영역에 가시화시키기 위한 가시화처리부; 및
    상기 노드정보를 누적저장관리하기 위한 노드정보저장부
    를 포함하는 침입감지용 고정형 노드의 가시화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정보처리부는,
    유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노드의 식별정보, 위치정보 및 상태정보를 포함하는 실시간노드정보를 확보하기 위한 외부노드정보수집부;
    상기 노드정보저장부에 저장관리되는 정보들 중 최근노드정보를 확보하기 위한 최근노드정보수집부;
    상기 시스템에 가상으로 설정된 노드의 가상노드정보를 확보하기 위한 임의노드정보수집부; 및
    상기 실시간노드정보, 최근노드정보 및 가상노드정보에 포함된 정보들 중 가 시화에 필요한 위치정보 및 상태정보를 확보하고, 확보된 위치정보 및 상태정보를 상기 노드정보저장부 및 상기 가시화처리부로 전달하기 위한 노드정보분석부
    를 포함하는 침입감지용 고정형 노드의 가시화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정보처리부는,
    상기 노드정보저장부에 저장관리되는 정보들 중 노드의 위치변경정보, 또는 센서의 감지에 따른 사건발생노드정보, 사건발생시간정보 및 사건발생내용정보인 노드의 상태변경정보를 확보하기 위한 로그노드정보수집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노드정보분석부는 상기 위치변경정보 또는 상기 상태변경정보를 상기 노드정보저장부 및 상기 가시화처리부로 전달하는 것인 침입감지용 고정형 노드의 가시화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도정보처리부는,
    상기 시스템 내외부로부터 상기 노드가 위치한 영역의 지도정보를 확보하기 위한 지도정보수집부;
    확보한 상기 지도정보의 파일포맷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지도포맷정보분석부; 및
    파일포맷정보가 확인된 상기 지도정보로부터 상기 지도정보를 가시화하기 위한 기하학적 요소를 추출하여 상기 가시화처리부로 전달하는 지도요소추출부
    를 포함하는 침입감지용 고정형 노드의 가시화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시화처리부는,
    상기 기준좌표계를 설정하고, 상기 노드정보 및 지도정보를 설정된 상기 기준좌표계로 변환시키기 위한 좌표계설정부; 및
    상기 기준좌표계로 변환된 상기 노드정보 및 지도정보를 해당 심볼에 사상시켜 가시화시키기 위한 가시화출력부
    를 포함하는 침입감지용 고정형 노드의 가시화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가시화처리부는,
    상기 노드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기 위한 음성출력부
    를 더 포함하는 침입감지용 고정형 노드의 가시화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정보저장부는,
    상기 침입감지센서의 관련 정보를 등록 및 수정하여 갱신하기 위한 기본노드정보저장부; 및
    상기 노드의 위치변경정보, 또는 센서의 감지에 따른 사건발생노드정보, 사건발생시간정보 및 사건발생내용정보인 노드의 상태변경정보를 누적저장관리하기 위한 로그노드정보저장부
    를 포함하는 침입감지용 고정형 노드의 가시화 시스템.
KR1020080012750A 2008-02-12 2008-02-12 침입감지용 고정형 노드의 가시화 시스템 KR1009857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2750A KR100985700B1 (ko) 2008-02-12 2008-02-12 침입감지용 고정형 노드의 가시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2750A KR100985700B1 (ko) 2008-02-12 2008-02-12 침입감지용 고정형 노드의 가시화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7357A true KR20090087357A (ko) 2009-08-17
KR100985700B1 KR100985700B1 (ko) 2010-10-06

Family

ID=41206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2750A KR100985700B1 (ko) 2008-02-12 2008-02-12 침입감지용 고정형 노드의 가시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57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3719B1 (ko) 2012-09-05 2014-05-14 주식회사 에슬론통신 카메라와 물체 감지센서를 이용한 칩입자 감시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4164B1 (ko) * 2004-11-24 2007-02-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유비쿼터스 서비스를 위해 상황정보를 통합 관리하기 위한방법 및 시스템
KR100707146B1 (ko) * 2005-04-12 2007-04-13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실내 위치 추적 방법 및 시스템
KR100874343B1 (ko) * 2006-02-28 2008-12-17 한국전력공사 맨홀 감시용 무선시스템
KR100788606B1 (ko) * 2006-10-23 2007-12-26 주식회사 케이티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침입 탐지 및 화재감지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5700B1 (ko) 2010-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26891B2 (ja) 地理情報システム及び地理情報管理方法
EP3432245B1 (en) Data-flow control device and data-flow control method
US10504365B2 (en) Naviga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US9104917B2 (en) Metering information collection
US9652562B2 (en) Proximal equipment data capture
US20120220274A1 (en) Position information analysis device and position information analysis method
JPWO2016052379A1 (ja) 情報処理装置、棚札管理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4090263B (zh) 基于rfid技术的定位方法、系统
CN107220308B (zh) Poi的合理性的检测方法及装置、设备及可读介质
CN111210201B (zh) 职业标签建立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6599674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相関関係情報データ、記憶媒体、相関関係情報の生成方法
KR20190029115A (ko) 복수종류의 시설물 관리를 위한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환경정보수집 방법
CN107133689B (zh) 一种位置标记方法
KR101760930B1 (ko) 사물 인터넷 시스템에서 외부 데이터를 가상 게이트웨이를 이용해서 입력받는 방법
EP3432145B1 (en) Data-flow control device and data-flow control method
KR20130071755A (ko) 사용자 행동의 예측에 기반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서버 및 단말
US10264420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descriptive location of a user device
KR100985700B1 (ko) 침입감지용 고정형 노드의 가시화 시스템
KR20110058089A (ko) 백터 기반 gis를 이용한 객체 및 이벤트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170122443A (ko) 공간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모바일 기기
EP3591481B1 (en) Device configuration management apparatus, system, and program
CN116057594A (zh) 数据发送装置、数据发送方法、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和程序
CN111125272B (zh) 一种区域特征获取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介质
JP5470016B2 (ja) 集客地分析装置及び集客地分析方法
JP6489400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