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6865A - 모니터의 각도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모니터의 각도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6865A
KR20090086865A KR1020080012368A KR20080012368A KR20090086865A KR 20090086865 A KR20090086865 A KR 20090086865A KR 1020080012368 A KR1020080012368 A KR 1020080012368A KR 20080012368 A KR20080012368 A KR 20080012368A KR 20090086865 A KR20090086865 A KR 200900868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onitor
stopper
knob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2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7054B1 (ko
Inventor
김성규
박세훈
홍순욱
정민호
연제성
Original Assignee
엘지엔시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엔시스(주) filed Critical 엘지엔시스(주)
Priority to KR1020080012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7054B1/ko
Publication of KR20090086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6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7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70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06F1/1607Arrangements to support accessories mechanically attached to the display hou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0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18Heads with mechanism for moving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0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s on the outside of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니터의 각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전면에 모니터(80)가 설치되는 힌지플레이트(30)가 구비된다. 상기 힌지플레이트(30)의 배면에는 노브플레이트(40)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노브플레이트(40)에는 상기 모니터(80)의 각도조절을 위한 각도조절턱(38)이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힌지플레이트(30)에는 힌지플레이트(30)에 대해 선단이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플레이트(50)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플레이트(50)에는 상기 각도조절턱(38)에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스토퍼(56)가 구비되고, 상기 스토퍼(56)는 상기 노브플레이트(40)의 이동에 연동하여 회전되어 상기 각도조절턱(38)과의 걸림이 해제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노브플레이트에 가하는 힘이 스토퍼축을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완전하게 전달되므로 힘의 손실이 최소화되고, 각도조절장치의 동작이 보다 부드럽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모니터, 각도조절, 스토퍼

Description

모니터의 각도조절장치{Angle controlling apparatus for monitor}
본 발명은 모니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멀티미디어 교탁 등에 설치되는 모니터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회의실, 강의실 등에서는 강사가 칠판 또는 보드판에 판서하면서 육성으로 강의를 하는 것일 일반적이었으나, 최근 교육장비의 개발과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발전으로 각종 첨단장비를 이용하여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전자강의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강의를 위해 강사가 사용하는 멀티미디어 교탁에는 각종 전자장비와 교육내용을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가 구비된다. 이러한 모니터는 강사가 모니터에 표시된 정보를 잘 볼 수 있도록 적절하게 각도가 조절되도록 설치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모니터의 각도조절장치의 요부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해 모니터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모니터의 각도조절장치에는 힌지플레이트(1)가 구비된다. 도 1 및 도 2는 힌지플레이트(1)의 정면을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힌지플레이트(1)의 전면에는 모니터(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된다. 상기 힌지플레 이트(1)는 대략 납작한 육면체 형상이다. 상기 힌지플레이트(1)의 하단에는 힌지부(2)가 구비된다. 상기 힌지부(2)는 모니터를 바닥면에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지지플레이트(도시되지 않음)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힌지플레이트(1)의 중앙에는 부품장착부(4)가 요입되어 형성된다. 상기 부품장착부(4)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가이드판(6), 랙기어(22) 등이 장착된다.
상기 부품장착부(4)에는 가이드판(6)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판(6)은 체결구(8)에 의해 상기 부품장착부(4)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상기 체결구(8)는 상기 가이드판(6)에 형성된 가이드공(10)을 관통하여 부품장착부(4)에 체결된다. 상기 가이드공(10)은 도 1 및 도 2에 잘 도시되어 있듯이 대략 대각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판(6)의 일측에는 노브(12)가 구비된다. 상기 노브(12)는 상기 힌지플레이트(1)의 이동을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힌지플레이트(1)의 배면으로 노출되게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노브(12)를 손으로 잡고 조작하여 상기 힌지플레이트(1)가 이동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판(6)에는 기어슬롯(13)이 길게 형성된다. 상기 기어슬롯(13)은 아래에서 설명될 기어브라켓(20)의 일측이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기어브라켓(20)의 이동을 안내하는 부분이다.
한편, 상기 가이드판(6)은 상기 부품장착부(4)에 구비된 스프링(14)에 의해 탄성지지된다. 상기 스프링(14)은 아래에서 설명될 기어브라켓(20)이 랙기어(22)와 맞물리는 방향으로 상기 힌지플레이트(1)가 이동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부품장착부(4)에는 가이드슬롯(16)이 길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슬롯(16)은 상기 부품장착부(4)의 전후방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슬롯(16)은 기어브라켓(20)의 이동이 안내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기어슬롯(13)과 나란하게 형성된다.
상기 부품장착부(4)의 배면에는 슬라이딩판(18)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슬라이딩판(18)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면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플레이트(도시되지 않음)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부분이다.
상기 슬라이딩판(18)에는 상기 가이드슬롯(16)을 따라 이동되는 기어브라켓(20)이 설치된다. 상기 기어브라켓(20)의 일측은 상기 기어슬롯(13)에 삽입되므로, 상기 기어브라켓(20)은 상기 가이드판(6)의 이동에 연동하여 이동된다. 결국, 상기 슬라이딩판(18) 및 기어브라켓(20)은 상기 기어슬롯(13) 및 가이드슬롯(16) 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기 기어브라켓(20)의 일측에는 기어부(20')가 구비되고, 상기 기어부(20')는 상기 부품장착부(4)에 설치된 랙기어(22)와 맞물린다. 상기 기어부(20')는 랙기어(22)와 선택적으로 맞물려 상기 슬라이딩판(18)의 이동을 규제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하면, 도 1에 도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노브(12)를 상방으로 당기게 되면 상기 가이드판(6)이 노브(12)와 함께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판(6)은 대각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공(10)을 따라 대각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판(6)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기어브라켓(20)이 이동된 다. 상기 기어브라켓(20)은 상기 기어슬롯(13)에 일측이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판(6)과 함께 이동된다. 상기 기어브라켓(20)이 이동되면서 상기 기어부(20')와 랙기어(22)의 맞물림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제된다. 따라서, 상기 기어브라켓(20)과 슬라이딩판(18)은 상기 가이드슬롯(16) 및 기어슬롯(13)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 슬라이딩판(18)을 이동시켜 모니터의 각도를 조절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노브(12)를 놓게 되면 상기 가이드판(6)은 스프링(14)의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이동되고, 상기 기어부(20')는 랙기어(22)와 맞물려 모니터의 각도를 고정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모니터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노브(12)에 사용자가 힘을 가하면 상기 가이드판(6)은 힘이 가해진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아니고 사용자가 가한 힘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노브(12)에 가하는 힘이 가이드판(6)에 완전하게 전달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판(6)이 대각방향으로 이동되다 보니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기어부(20')와 랙기어(22)는 일반적으로 금속재질로 만들어져 서로 맞물린다. 따라서, 금속재질의 특성상 상기 기어부(20')와 랙기어(22)에서의 마찰이 심하고 서로 맞물림이 부드럽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모니터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자가 가하는 힘의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모니터의 각도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도조절장치의 동작을 보다 원활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면에 모니터가 설치되는 힌지플레이트와; 상기 힌지플레이트의 배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모니터의 각도조절을 위한 각도조절턱이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가 구비되는 노브플레이트와; 상기 힌지플레이트에 대해 선단이 이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각도조절턱에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스토퍼가 구비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노브플레이트의 이동에 연동하여 회전되어 상기 각도조절턱과의 걸림이 해제되는 연결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힌지플레이트에 선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바닥면에 지지되고, 상기 연결플레이트의 후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힌지플레이트에는 경사턱이 배면으로 돌출되어 구비되고, 상기 노브플레이트에는 상기 경사턱이 삽입되는 경사공이 형성되어 상기 노브플레이트는 상기 경사턱에 형성된 경사면을 따라 이동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도조절턱에 형성된 경사면과 상기 경사턱에 형성된 경사면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플레이트의 선단에는 스토퍼축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스토퍼축의 중앙에는 상기 노브플레이트의 일면에 밀착되어 상기 노브플레이트의 이동에 연동하여 회전되는 연동캠이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스토퍼축의 양단에는 상기 스토퍼가 일체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토퍼축은 상기 스토퍼가 상기 각도조절턱에 걸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토퍼 및 각도조절턱은 합성수지 재질로 만들어져 서로 접촉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힌지플레이트의 배면에는 커버가 장착되고, 상기 커버의 내면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이 지지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노브플레이트의 일단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가 직교하게 연장되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조작하는 부분인 노브플레이트가 힌지플레이트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노브플레이트의 이동에 연동하여 스토퍼축이 회전되어 스토퍼의 걸림이 해제된다. 이 상태에서 노브플레이트를 이동시켜 원하는 각도만큼 조절한 후에 스토퍼를 각도조절턱에 걸어 모니터의 각도를 고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노브플레이트에 가하는 힘이 스토퍼축을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완전하게 전달되므로 힘의 손실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각도를 고정하기 위한 스토퍼와 각도조절턱이 서로 합성수지 재질로 만들어져 접촉한다. 따라서, 각도조절장치의 동작이 보다 부드럽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모니터의 각도조절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모니터의 각도조절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의한 모니터의 각도조절장치에서 스토퍼가 걸린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및 단면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모니터의 각도조절장치에는 힌지플레이트(30)가 구비된다. 상기 힌지플레이트(30)는 대략 납작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반적으로 합성수지 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힌지플레이트(30)의 전면에는 모니터(80)(도 6a 참조)가 설치된다. 상기 힌지플레이트(30)의 하부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지지플레이트(60)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힌지부(31)가 양단부에 나란하게 구비된다.
상기 힌지플레이트(30)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노브플레이트(40)가 설치되는 노브안착부(32)가 형성된다. 상기 노브안착부(32)는 상기 힌지플레이트(30)의 배면에 노브플레이트(40)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상기 노브안착부(32)에는 다수 개의 경사턱(34)이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경사턱(34)에는 노브플레이트(40)의 이동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34')이 형성된다. 상기 경사턱(34)은 노브플레이트(40)의 이동방향으로 다수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노브안착부(32)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노브플레이트(40)의 가이드공(44)이 삽입되는 가이드돌기(36)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돌기(36)는 상기 노브안착부(32)에서 노브플레이트(40)의 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노브안착부(32)의 양측에 해당하는 힌지플레이트(30)에는 각도조절턱(38)이 구비된다. 상기 각도조절턱(38)은 모니터(80)의 각도조절을 위해 상기 힌지플레이트(30)의 배면에 구비되는 부분이다. 상기 각도조절턱(38)은 상기 힌지플레이트(3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각도조절턱(38)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스토퍼(56)가 선택적으로 걸어진다. 따라서, 상기 각도조절턱(38)에 걸어지는 스토퍼(56)의 위치에 따라 모니터의 각도가 달라지게 된다. 상기 각도조절턱(38)에는 상기 경사턱(34)의 경사면(34')과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38')(도 4b참조)이 형성된다. 도면부호 39는 모니터(80)의 고정을 위한 스크류가 삽입되는 관통공이다.
상기 힌지플레이트(30)의 노브안착부(32)에는 노브플레이트(40)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노브플레이트(40)는 모니터(80)의 각도조절시에 사용자가 조작하는 부분이다. 이를 위해 상기 노브플레이트(40)의 상단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기 위한 조작부(42)가 구비된다. 상기 조작부(42)는 상기 노브플레이트(40)의 상단에서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노브플레이트(40)에는 상기 가이드돌기(36)에 삽입되는 가이드공(44)이 노브플레이트(40)의 이동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노브플레이트(40)에는 상기 경사턱(38)이 삽입되는 경사공(46)(도 참조)이 형성된다. 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노브플레이트(40)의 하단은 상기 힌지플레이트(30)에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노브플레이트(40)는 모니터(8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상태에서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모니터(80)의 각도가 고정되는 상태로 이동된다.
상기 힌지플레이트(30)의 배면에는 연결플레이트(50)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연결플레이트(50)는 선단이 상기 힌지플레이트(30)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후단은 아래에서 설명될 지지플레이트(60)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플레이트(50)는 지지플레이트(60)에 대해 회전됨과 동시에 힌지플레이트(30)에 대해 이동되면서 모니터(80)의 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 연결플레이트(50)의 선단에는 한 쌍의 이동암(52)이 나란하게 구비된다. 상기 이동암(52)은 상기 연결플레이트(50)의 선단 양측에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이동암(52)은 실질적으로 상기 힌지플레이트(30)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부분이다. 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이동암(52)에는 상기 힌지플레이트(30)에 형성된 슬라이딩홈(53)에 삽입되는 슬라이딩돌기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슬라이딩돌기는 상기 슬라이딩홈(53)에 삽입되어 연결플레이트(50)의 이동을 안내한다.
상기 이동암(52)의 사이에는 스토퍼축(54)(도 4a 참조)이 회전가능하게 설치 된다. 상기 스토퍼축(54)의 양단부에는 상기 각도조절턱(38)에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스토퍼(56)가 구비된다. 상기 스토퍼(56)는 상기 각도조절턱(38)에 걸어져 모니터(80)가 일정 각도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스토퍼(56) 및 각도조절턱(38)은 스토퍼(56)의 부드러운 회전을 위해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토퍼축(54)의 중앙부에는 연동캠(58)이 구비된다. 상기 연동캠(58)은 상기 노브플레이트(40)의 일면에 접촉되는 부분이다. 상기 연동캠(58)은 상기 노브플레이트(40)가 이동되는 과정에서 경사턱(34)을 타고 후방으로 돌출되게 이동되면 상기 노브플레이트(40)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스토퍼축(54)이 회전되도록 한다. 즉, 상기 연동캠(58)은 상기 스토퍼축(54)을 회전시켜 상기 스토퍼(56)가 각도조절턱(38)에서 빠져나오게 한다. 상기 스토퍼(56) 및 연동캠(58)은 상기 스토퍼축(54)과 일체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스토퍼축(54)에는 탄성부재(59)가 스크류(S)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탄성부재(59)의 일단은 상기 스토퍼축(54)에 고정되고 타단은 아래에서 설명될 커버(70)의 내면에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59)는 상기 스토퍼축(54)이 상기 스토퍼(56)가 각도조절턱(38)에 걸리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부재(59)로서 판스프링이 사용된다.
상기 연결플레이트(50)의 후단은 지지플레이트(6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연결플레이트(50)는 상기 지지플레이트(60)의 상면 일측에 요입되게 형성된 연결부(62)에 장착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60)는 실질적으로 바닥면에 지지되는 부분이다. 상기 지지플레이트(60)는 대략 장방형의 플레이트를 곡면으로 형성한 것이다. 상기 지지플레이트(60)의 선단은 상기 힌지플레이트(30)의 힌지부(31)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60)의 일단에는 지지봉(64)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지지봉(64)은 상기 지지플레이트(60)의 양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각도조절장치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힌지플레이트(30)의 배면에는 커버(70)가 장착된다. 상기 커버(70)는 상기 노브플레이트(40), 스토퍼축(54) 등의 구성을 외부로부터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70)의 내면 일측에는 상기 탄성부재(59)의 일단이 지지된다.
다음으로,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모니터가 각도조절되는 것을 보인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힌지플레이트(30)의 전면에는 모니터(80)가 장착된다. 상기 모니터(80)는 관통공(39)을 관통하는 스크류에 의해 상기 힌지플레이트(30)와 결합된다. 상기 모니터(80)는 바닥면에 안착되는 지지브라켓(82)에 모니터힌지(84)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모니터의 각도조절장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모니터의 각도조절장치에 의해 모니터의 각도를 조절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의한 모니터의 각도조절장치에서 스토퍼가 걸린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및 단면사시도이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노브플레이트(40)의 손잡이(42)를 잡고 상방으로 당기 게 된다. 사용자는 상기 노브플레이트(40)의 하단에 지지된 탄성부재(도시되지 않음)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당기게 된다.
상기 노브플레이트(40)가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노브플레이트(40)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턱(34)의 경사면(34')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노브플레이트(40)는 상기 힌지플레이트(30)의 후방으로 돌출되게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노브플레이트(40)에 접촉되어 있던 연동캠(58)이 회전되고, 상기 연동캠(58)과 함께 스토퍼축(54)이 회전된다. 이때, 상기 연동캠(58) 및 스토퍼축(54)은 상기 커버(70)의 내면에 일단이 지지된 탄성부재(59)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회전된다.
이와 같이 상기 스토퍼축(54)이 회전되면 스토퍼축(54)과 일체로 형성되는 스토퍼(56)도 함께 회전된다. 상기 스토퍼(56)가 회전되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56)가 상기 각도조절턱(38)에서 걸린 상태에서 빠져나오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스토퍼(56)의 걸림이 해제됨으로써 상기 연결플레이트(50)는 상기 힌지플레이트(30)에 대해 이동가능한 상태가 된다.
사용자는 상기 연결플레이트(50)를 상기 힌지플레이트(30)에 대해 이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지지플레이트(60)에 대해 회전시키면서 모니터(80)의 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노브플레이트(40)의 조작부(42)를 놓게 된다. 그러면, 상기 노브플레이트(40)의 하단에 구비된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노브플레이트(40)가 원래의 상태로 돌아가게 된다.
그리고, 이에 연동하여 상기 스토퍼축(54)도 상기 탄성부재(59)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회전되고 상기 스토퍼(56)는 상기 각도조절턱(38)에 걸어지게 된다(도 4b 참조). 이와 같이 상기 조작부(42)를 조작하여 모니터(80)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이 도 6a 및 도 6b에 잘 도시되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사용자가 노브플레이트(40)의 이동을 위해 가하는 힘은 모두 상기 스토퍼축(54)을 회전시키도록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모니터(80)의 각도조절을 최소한의 힘으로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스토퍼(56) 및 각도조절턱(38)은 합성수지 재질로 만들어져 접촉하므로 각도조절장치가 보다 부드럽고 원활하게 동작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모니터의 각도조절장치의 요부를 보인 정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해 모니터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모니터의 각도조절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의한 모니터의 각도조절장치에서 스토퍼가 걸린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및 단면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의하 모니터의 각도조절장치에서 스토퍼의 걸림이 해제된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및 단면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모니터가 각도조절되는 것을 보인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 힌지플레이트 31 : 힌지부
32 : 노브안착부 34 : 경사턱
36 : 가이드돌기 38 : 각도조절턱
40 : 노브플레이트 42 : 조작부
44 : 가이드공 46 : 경사공
50 : 연결플레이트 52 : 이동암
54 : 스토퍼축 56 : 스토퍼
58 : 연동캠 59 : 탄성부재
60 : 지지플레이트 62 : 연결부
64 : 지지봉 70 : 커버
80 : 모니터

Claims (9)

  1. 전면에 모니터가 설치되는 힌지플레이트와;
    상기 힌지플레이트의 배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모니터의 각도조절을 위한 각도조절턱이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가 구비되는 노브플레이트와;
    상기 힌지플레이트에 대해 선단이 이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각도조절턱에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스토퍼가 구비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노브플레이트의 이동에 연동하여 회전되어 상기 각도조절턱과의 걸림이 해제되는 연결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각도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플레이트에 선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바닥면에 지지되고, 상기 연결플레이트의 후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각도조절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플레이트에는 경사턱이 배면으로 돌출되어 구비되고, 상기 노브플레이트에는 상기 경사턱이 삽입되는 경사공이 형성되어 상기 노브플레이트는 상기 경사턱에 형성된 경사면을 따라 이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각도조절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턱에 형성된 경사면과 상기 경사턱에 형성된 경사면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각도조절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플레이트의 선단에는 스토퍼축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스토퍼축의 중앙에는 상기 노브플레이트의 일면에 밀착되어 상기 노브플레이트의 이동에 연동하여 회전되는 연동캠이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스토퍼축의 양단에는 상기 스토퍼가 일체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각도조절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축은 상기 스토퍼가 상기 각도조절턱에 걸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각도조절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및 각도조절턱은 합성수지 재질로 만들어져 서로 접촉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각도조절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플레이트의 배면에는 커버가 장착되고, 상기 커버의 내면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이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각도조절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플레이트의 일단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가 직교하게 연장되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각도조절장치.
KR1020080012368A 2008-02-11 2008-02-11 모니터의 각도조절장치 KR1014170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2368A KR101417054B1 (ko) 2008-02-11 2008-02-11 모니터의 각도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2368A KR101417054B1 (ko) 2008-02-11 2008-02-11 모니터의 각도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6865A true KR20090086865A (ko) 2009-08-14
KR101417054B1 KR101417054B1 (ko) 2014-07-09

Family

ID=41206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2368A KR101417054B1 (ko) 2008-02-11 2008-02-11 모니터의 각도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70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4091B1 (ko) * 2020-09-17 2021-04-01 대호 (주) 작업기용 마운팅장치 및 그 장착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7308A (ja) 2002-11-06 2004-06-03 Pioneer Electronic Corp 高さ調整装置、支持装置、および、表示装置
TWI241141B (en) * 2003-11-03 2005-10-01 Coretronic Corp Display stand
CN2716888Y (zh) * 2004-06-25 2005-08-10 Ge塑料上海有限公司 电脑支架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4091B1 (ko) * 2020-09-17 2021-04-01 대호 (주) 작업기용 마운팅장치 및 그 장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7054B1 (ko) 2014-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04051U (ja) ディスプレイ支持装置
US10415743B2 (en) Elevation-adjustable display screen support arm
US7630195B2 (en) Electronic apparatus
TWI450586B (zh) 用來固定螢幕之螢幕固定機構與其顯示裝置
US10686268B2 (en) Quick release connecting device
US7758134B2 (en) Drawer fixing apparatus
TWI548371B (zh) 抽屜滑軌組件及其安裝裝置
US11047407B2 (en) Quick release connecting device
US20210091489A1 (en) Quick release connecting device
WO2022121995A1 (zh) 电子设备支架及自行车手机支架
JP7037564B2 (ja) チルト機構体
US20150325219A1 (en) Pivotal supporting structure for fallboard of keyboard musical instrument
KR20090086865A (ko) 모니터의 각도조절장치
KR20120027938A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칠판
JP2013028975A (ja) 支持部材付き扉開閉装置及び扉開閉装置用の支持部材
WO2022143703A1 (zh) 操作简便的介入器械操控辅件及介入式医疗系统
JP2009015677A (ja) 電子機器および回動可能な表示部のロック装置
US11109675B2 (en) Connectors, and systems including connectors in addition to drawers, cabinets and/or drawer movement guide assemblies
KR20020009960A (ko) 컴퓨터시스템의 액정모니터 각도조절장치
JP2018204209A (ja) 扉体開閉装置並びにこの扉体開閉装置を備えた各種キャビネット
KR200364211Y1 (ko) 강의용 디스플레이장치의 힌지기구
CN217402151U (zh) 电子设备支架
KR100947886B1 (ko) 멀티미디어강의대용 디스플레이 각도조절장치
JP3136366U (ja) テレビ取付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収納棚
KR200212515Y1 (ko) 컴퓨터시스템의 액정모니터 각도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