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5342A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이종 망을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지원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이종 망을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지원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5342A
KR20090085342A KR1020080011179A KR20080011179A KR20090085342A KR 20090085342 A KR20090085342 A KR 20090085342A KR 1020080011179 A KR1020080011179 A KR 1020080011179A KR 20080011179 A KR20080011179 A KR 20080011179A KR 20090085342 A KR20090085342 A KR 200900853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location
location estimation
termin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1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정재
샤오유 리우
김영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11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85342A/ko
Publication of KR20090085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5342A/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다른 망들이 혼재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위치 추정에 관한 것으로, 단말은, 서빙(serving) 망이 아닌 망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추정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처리부와, 상기 위치 추정 요청 메시지를 상기 서빙 망으로 송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식별 정보와 대응되는 망을 통해 위치 추정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단말이 서빙 망 외의 다른 망으로 위치 추정을 요청 및 수행함으로써, 단말은 자신의 상황에 최적화된 망 및 위치 추정 기법을 선택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위치 추정 성능이 증가 될 수 있다.
Figure P1020080011179
위치 추정, 이종 망, MIH(Media Independent Handover), LBS(Location Based Service)

Description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이종 망을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지원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DHOD FOR SUPPORTING LOCATION BASED SERVICE USING OTHER NETWORK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이종 망을 이용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통신 시스템이 점차 발전함에 따라, 고속, 대용량의 전송률을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들이 가능하게 되었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뿐만 아니라 광대역의 데이터 통신, 화상 전화 등 광대역을 요구하는 서비스들이 제공 가능하게 되었다. 무선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서비스의 다양화를 위해, 이동 단말의 위치를 추정하고, 추정된 위치를 이용한 서비스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동 단말의 위치를 이용한 서비스를 위치 기반 서비스(LBS : Location Based Service)라 하며,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서비스들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자는 단말의 위치에 따라 최적 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단말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거나, 수신자까지의 경로를 안내하는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위치 기반 서비스가 제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기 위해서, 위치 추정의 정확도가 요구된다. 이에 따라, 단말의 위치를 정확히 추정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연구되고 있다. 따라서, 무선통신 망은 설계 시 설정된 위치 추정 기법에 따라 단말의 위치를 추정하고, 단말은 자신이 속한 무선통신 망에서 제공되는 위치 추정 기법을 이용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만일, 서로 다른 종류의 무선통신 망들이 혼재한 경우, 망들 간 특성이 다르고, 서로 다른 설계자에 의해 설계되었기 때문에, 서로 다른 위치 추정 기법을 제공하게 된다. 서로 다른 종류의 무선통신 망들이 동일한 위치 추정 기법을 제공하더라도, 단말과 각 망 간의 채널 상태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즉, 단말의 입장에서 살펴보면, 다양한 위치 추정 기법들 중 단말의 상황에 가장 적절한 기법 및 가장 적절한 망을 통해 위치 추정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서로 다른 종류의 무선통신 망들이 혼재된 환경에서, 각 망에 의해 제공되는 위치 추정 기법들을 선택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대안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 다른 망들이 혼재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위치 추정 시 각 망에 의해 제공되는 위치 추정 기법들을 선택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서로 다른 망들이 혼재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각 망에서 제공 가능한 위치 추정 기법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서로 다른 망들이 혼재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서빙 망 외의 다른 망을 이용한 위치 추정을 요청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서로 다른 망들이 혼재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장치는, 서빙(serving) 망이 아닌 망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추정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처리부와, 상기 위치 추정 요청 메시지를 상기 서빙 망으로 송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식별 정보와 대응되는 망을 통해 위치 추정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견지에 따르면, 서로 다른 망들이 혼재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이종 망 연동 장치는, 자신의 망에 접속된 단말 로부터 수신되는 망 내(intra-network) 위치 추정 요청 메시지를 통해 상기 단말에 의해 선택된 망을 확인하는 제어부와, 상기 선택된 망으로 상기 단말의 위치 추정을 요청하는 망 간(inter-network) 위치 추정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처리부와, 상기 망 간 위치 추정 요청 메시지를 상기 선택된 망의 이종 망 연동 장치로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견지에 따르면, 서로 다른 망들이 혼재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이종 망 연동 장치는, 타 망으로부터 상기 타 망에 접속된 단말의 위치 추정을 요청하는 망 간(inter-network) 위치 추정 요청 메시지를 확인하는 처리부와, 자신의 망의 LBS(Location Based Service) 서버로 상기 단말에 대한 위치 추정을 요청하는 제어부와, 상기 LBS 서버로부터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견지에 따르면, 서로 다른 망들이 혼재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위치 추정 방법은, 서빙 망이 아닌 망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추정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위치 추정 요청 메시지를 상기 서빙 망으로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식별 정보와 대응되는 망을 통해 위치 추정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5 견지에 따르면, 서로 다른 망들이 혼재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이종 망 연동 장치의 동작 방법은, 자신의 망에 접속된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망 내 위치 추정 요청 메시지를 통해 상기 단말에 의해 선택된 망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망으로 상기 단말의 위치 추정을 요 청하는 망 간 위치 추정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망 간 위치 추정 요청 메시지를 상기 선택된 망의 이종 망 연동 장치로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6 견지에 따르면, 서로 다른 망들이 혼재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이종 망 연동 장치의 동작 방법은, 타 망으로부터 상기 타 망에 접속된 단말의 위치 추정을 요청하는 망 간 위치 추정 요청 메시지를 확인하는 과정과, 자신의 망의 LBS 서버로 상기 단말에 대한 위치 추정을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LBS 서버로부터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서로 다른 망들이 혼재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서빙 망 외의 다른 망으로 위치 추정을 요청 및 수행함으로써, 단말은 자신의 상황에 최적화된 망 및 위치 추정 기법을 선택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위치 추정 성능이 증가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 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무선통신 망들에서 제공되는 위치 추정 기법들을 선택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기술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망 객체(network entity)의 개략적인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서로 다른 망들이 혼재된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망정보제공서버(110)는 다수의 무선통신 망들의 정보를 각 망에 종속된 기지국들(120-1 내지 120-3) 및 단말(140)에게 제공한다. 여기서, 사익 무선통신 망들의 정보는 각 망에서 제공되는 위치 추정 기법 정보, 각 망에 접속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 등을 포함한다.
다수의 LBS(Location Based Service)서버들(120-1 내지 120-3)은 종속된 무선통신 망에서 제공되는 위치 추정 기법에 따라 단말의 위치를 추정한다. 즉, 상기 다수의 LBS서버들(120-1 내지 120-3) 각각은 자신의 망에 포함된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에 대한 위치 추정이 요청되면, 상기 단말의 위치를 추정한다. 예를 들어, 상기 다수의 LBS서버들(120-1 내지 120-3) 각각은 위치 추정을 위해 필요한 기준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도록 자신의 망에 포함된 기지국들을 제어하고, 기지국들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의 위치를 추정한다. 여기서, 상기 다수의 LBS 서버들(120-1 내지 120-3)은 자신의 망에 포함된 기지국들 중 하나에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다수의 기지국들(130-1 내지 130-3)은 서로 다른 무선통신 망에 포함되며, 자신의 망에 접속가능한 단말(140)과 무선채널을 통해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단말(140)이 위치 추정을 요청하면, 상기 다수의 기지국들(130-1 내지 130-3) 각각은 자신의 망에 포함된 LBS서버에게 상기 단말(140)에 대한 위치 추정을 요청한다. 단, 상기 단말(140)이 다른 망을 통한 위치 추정을 요청하는 경우, 상기 다수의 기지국들(130-1 내지 130-3) 각각은 해당 망의 기지국으로 상기 단말(140)에 대한 위치 추정을 요청한다.
상기 단말(140)은 사용자의 망 접속 장비로서, 상기 다수의 기지국들(130-1 내지 130-3)과 무선채널을 통해 통신을 수행한다. 즉, 상기 단말(140)은 상기 다수의 기지국들(130-1 내지 130-3)이 종속된 무선통신 망들 각각의 규격에 따르는 물리적 신호 및 MAC(Media Access Control) 계층의 메시지를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다.
상기 단말(140)이 제1망ASN(Access Service Network)(130-1)에 접속 중인 상황을 가정한다. 즉, 상기 단말(140)의 서빙 망은 상기 제1망(130-1)이다. 상기 단말(140)은 상기 제1망ASN(130-1)에 접속 중 위치 기반 서비스를 사용하고자하는 사용자의 요구를 인지한다. 이에 따라, 상기 단말(140)은 현 상황에서 접속 가능한 다른 무선통신 망들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 여기서, 상기 다른 무선통신 망들에 대한 정보 획득은 위치 기반 서비스를 위해서뿐만 아니라 이종 망 간 핸드오 버(handover)를 위해 수행될 수 있으며, 또한, 주기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단말(140)은 수집된 무선통신 망들의 정보를 통해 접속 가능한 망들 각각으로부터 제공되는 위치 추정 기법들을 확인하고, 어느 망을 통해 위치를 추정할지 결정한다. 이때, 상기 단말(140)은 각 망과의 채널 상태, 또는, 미리 정해진 우선 순위에 따라 위치 추정을 수행할 망을 선택한다.
상술한 과정을 통해 상기 단말(140)이 제3망을 선택한 경우, 이에 따른 메시지 교환 예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단말(140)은 서빙(serving) 기지국인 상기 제1망ASN(130-1)으로 제1위치 추정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201단계). 여기서, 상기 제1위치 추정 요청 메시지는 상기 단말(140)에 의해 선택된 제3망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제1위치 추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제1망ASN(130-1)은 제3망ASN(130-3)으로 제2위치 추정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203단계). 여기서, 상기 제2위치 추정 요청 메시지는 상기 단말(14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제2위치 추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제3망ASN(130-3)은 제3망LBS서버(120-3)로 제3위치 추정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205단계). 여기서, 상기 제3위치 추정 요청 메시지는 상기 단말(14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제3위치 추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제3LBS서버(120-3)는 상기 단말(140)이 위치 추정 서비스를 제공받을 자격을 가지는지 여부를 확인, 즉, 인증 절차를 수행한 후, 상기 제3망ASN(130-3)으로 위치 추정 지시 메시지(207)를 송신한다(207단계). 여기서, 상기 위치 추정 지시 메시지(207)는 위치 추정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개수만큼의 기지국들에게 송신된다. 예를 들어, TDoA(Time Difference of Arrival) 기법을 사용하는 경우, 3개 이상의 기지국들이 필요하다.
상기 위치 추정 지시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제3망ASN(130-3)은 상기 단말(140)과 위치 추정을 위한 기준 신호를 교환한다(209단계). 여기서, 상기 기준 신호의 형태 및 기준 신호의 교환 방법은 구체적인 위치 추정 기법에 따라 달라진다.
이후, 상기 제3망ASN(130-3)은 상기 제3망LBS서버(120-3)로 위치 추정 지시 응답 메시지를 송신한다(211단계). 여기서, 상기 위치 추정 지시 응답 메시지는 상기 209단계에서 교환된 기준 신호에 대한 측정 결과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TDoA 기법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측정 결과는 기준 신호의 수신 시간 정보이다.
상기 위치 추정 지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제3망LBS서버(120-3)는 상기 측정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140)의 위치를 추정한 후, 제3위치 추정 응답 메시지를 송신한다(213단계). 여기서, 상기 제3위치 추정 응답 메시지는 상기 단말(140)의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이어, 상기 제3망ASN(130-3)은 제2위치 추정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고(215단계), 상기 제1망ASN(130-1)은 상기 단말(140)로 제1위치 추정 응답 메시지를 송신한다(217단계). 여기서, 상기 제2위치 추정 응답 메시지 및 상기 제1위치 추정 응답 메시지는 상기 단말(140)의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 예에서, 상기 단말(140)은 서빙 망의 기지국인 제1망ASN(130-1)으로부터 위치 추정 결과를 수신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단말(140)은 위치 추정을 수행한 망의 기지국인 상기 제3망ASN(130-3)으로부터 위치 추정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21 MIH(Midia Independent Handover) 규격에 따르는 시스템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은 방식에 따르는 위치 추정 수행 시 각 망의 PoS(Point of Service)들 및 단말 간 교환되는 메시지, MIH 유저(user) 및 MIHF(Media Independent Handover Function) 간 교환되는 프리미티브는 도 3과 같다. 상기 각 망의 PoS 및 상기 단말 등 각 객체(entity)는 논리적으로 MIH 유저 및 MIHF로 구분되며, MIH 유저는 MIH 규격에 따른 제어를 수행하는 블록이며, MIHF는 다른 객체와 MIH 메시지를 교환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하는 블록이다.
먼저, 단말의 MIH 유저(310)는 IS(Information Service) 서버로부터 하기 <표 1>과 같은 IE(Information Element)를 포함하는 망 정보를 획득한다.
TYPE=TYPE_IE_LIST_SUPPORTED_LCP
Supported LCP #1
Supported LCP #2(optional)
.....
Supported LCP #k(optional)
여기서, 상기 'Supported LCP(Location Configuation Protocol)' 필드는 하기 <표 2>와 같이 구성된다.
Syntax Length note
Supported LCP 1 octet Values represent LCPs: 0 : Null 1 : LLDP 2 : LbyR with LLDP 3-10 : Reserved 11 : LLDP-MED 12 : LbyR with LLDP-MED 13-20 : Reserved 21 : U-TDoA 22 : D-TDoA 23-30 : Reserved 31 : DHCP 32 : LbyR with DHCP 33-40 : Reserved 41 : OMA SUPL 42-50 : Reserved 51 : HELD 52 : LbyR with HELD 53-225 : Reserved
그리고, 상기 단말의 MIH 유저(310)는 단말의 MIHF(316)로 하기 <표 3>과 같은 정보를 포함하는 MIH_MN_Location.Request 프리미티브(primitive)(301)를 전달한다.
name type description
Destination Identifier MIHF_ID This indentifies a remote MIHF which will be the destination of this request.
Current Link Identfier LINK_TUPLE_ID This identifies the current link.
Candidate Link List LIST(LINK_POA_LIST) A list of PoAs, identifying candidate network to which LCP needs to be initiated. The list is sorted from most preferred first to least preferred last.
LCP List LCP_LIST List of LCP to be operated at candidate network.
상기 <표 3>에서, 상기 'Destiniation Identifier'는 요청 수신자의 식별 정보, 상기 'Current Link Identifier'는 서빙 망의 식별 정보, 상기 'Cadidate Link List'는 위치 추정을 제공받고자하는 망들의 식별 정보, 상기 'LCP List'는 제공받고자하는 위치 추정 기법들의 정보를 나타낸다.
이에 따라, 상기 단말의 MIHF(316)는 상기 MIH_MN_Location.Request 프리미티브에 포함된 정보들을 포함하는 MIH_MN_Location.Request 메시지(303)를 서빙 망 PoS의 MIHF(326)로 송신한다.
상기 MIH_MN_Location.Request 메시지(303)를 수신한 상기 서빙 망 PoS의 MIHF(326)는 하기 <표 4>와 같은 정보를 포함하는 MIH_MN_Location.Indication 프리미티브(305)를 상기 서빙 망 PoS의 MIH 유저(320)로 전달한다.
name type description
Source Identifier MIHF_ID This indentifies the invoker of this primitive which is a remote MIHF.
Current Link Identifier LINK_TUPLE_ID This identifies the current link.
Candidate Link List LIST(LINK_POA_LIST) A list of PoAs, identifying candidate network to which LCP needs to be initiated. The list is sorted from most preferred first to least preferred last.
LCP List LCP_LIST List of LCP to be operated at candidate network.
상기 <표 4>에서, 상기 'Source Identifier'는 프리미티브 송신자의 식별 정보, 상기 'Current Link Identifier'는 서빙 망의 식별 정보, 상기 'Cadidate Link List'는 위치 추정을 제공받고자하는 망들의 식별 정보, 상기 'LCP List'는 제공받고자하는 위치 추정 기법들의 정보를 나타낸다.
상기 MIH_MN_Location.Indication 프리미티브(305)를 제공받은 상기 서빙 망 PoS의 MIH 유저(320)는 하기 <표 5>와 같은 정보를 포함하는 MIH_N2N_Location.Request 프리미티브(307)를 상기 서빙 망 PoS의 MIHF로 전달한다.
name type description
Destination Identifier MIHF_ID This indentifies a remote MIHF which will be the destination of this request.
Current Link Identfier LINK_TUPLE_ID This identifies the current link.
Candidate Link List LIST(LINK_POA_LIST) A list of PoAs, identifying candidate network to which LCP needs to be initiated. The list is sorted from most preferred first to least preferred last.
LCP List LCP_LIST List of LCP to be operated at candidate network.
상기 <표 5>에서, 상기 'Destiniation Identifier'는 요청 수신자의 식별 정보, 상기 'Current Link Identifier'는 서빙 망의 식별 정보, 상기 'Cadidate Link List'는 위치 추정을 제공받고자하는 망들의 식별 정보, 상기 'LCP List'는 제공받고자하는 위치 추정 기법들의 정보를 나타낸다.
상기 MIH_N2N_Location.Request 프리미티브(307)를 제공받은 상기 서빙 망 PoS의 MIHF(326)는 상기 <표 5>와 같은 정보를 포함하는 MIH_N2N_Location.Request 메시지(309)를 타겟 망 PoS의 MIHF(336)로 송신한다.
상기 MIH_N2N_Location.Request 메시지(309)를 수신한 상기 타겟 망 PoS의 MIHF(336)는 하기 <표 6>과 같은 정보를 포함하는 MIH_N2N_Location.Indication 프리미티브(311)를 상기 타겟 망 PoS의 MIH 유저(330)로 전달한다.
name type description
Source Identifier MIHF_ID This indentifies the invoker of this primitive which is a remote MIHF.
Current Link Identifier LINK_TUPLE_ID This identifies the current link.
Candidate Link List LIST(LINK_POA_LIST) A list of PoAs, identifying candidate network to which LCP needs to be initiated. The list is sorted from most preferred first to least preferred last.
상기 <표 6>에서, 상기 'Source Identifier'는 프리미티브 송신자의 식별 정보, 상기 'Current Link Identifier'는 서빙 망의 식별 정보, 상기 'Cadidate Link List'는 위치 추정을 제공받고자하는 망들의 식별 정보를 나타낸다.
상기 MIH_N2N_Location.Indication 프리미티브(311)를 제공받은 상기 타겟 망 PoS의 MIH 유저(330)는 하기 <표 7>과 같은 정보를 포함하는 MIH_N2N_Location.Response 프리미티브(313)를 상기 타겟 망 PoS의 MIHF(336)로 전달한다.
name type description
Destination Identifier MIHF_ID This indentifies a remote MIHF which will be the destination of this request.
Current Link Identifier LINK_TUPLE_ID This identifies the current link.
Candidate Link List LIST(LINK_POA_LIST) A list of PoAs, identifying candidate network to which LCP needs to be initiated. The list is sorted from most preferred first to least preferred last.
Available LCP Result Set LIST(LCP_List) List of available result for each LCP.
Status STATUS Status of operation.
상기 <표 7>에서, 상기 'Destiniation Identifier'는 요청 수신자의 식별 정보, 상기 'Current Link Identifier'는 서빙 망의 식별 정보, 상기 'Cadidate Link List'는 위치 추정을 제공받고자하는 망들의 식별 정보, 상기 'Available LCP Result Set'은 사용 가능한 위치 추정 기법들의 정보, 'Status'는 절차의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MIH_N2N_Location.Response 프리미티브(313)를 제공받은 상기 타겟 망 PoS의 MIHF(336)는 상기 <표 7>과 같은 정보를 포함하는 MIH_N2N_Location.Response 메시지(315)를 상기 서빙 망 PoS의 MIHF(326)로 송신한다.
상기 MIH_N2N_Location.Response 메시지(315)를 수신한 상기 서빙 망 PoS의 MIHF(326)는 하기 <표 8>과 같은 정보를 포함하는 MIH_N2N_Location.Confirmation 프리미티브(317)를 상기 서빙 망 PoS의 MIH 유저(320)로 전달한다.
name type description
Source Identifier MIHF_ID This indentifies the invoker of this primitive which is a remote MIHF.
Candidate Link List LIST(LINK_POA_LIST) A list of PoAs, identifying candidate network to which LCP needs to be initiated. The list is sorted from most preferred first to least preferred last.
Available LCP Result Set LIST(LCP_List) List of available result for each LCP.
Status STATUS Status of operation.
상기 <표 8>에서, 상기 'Source Identifier'는 프리미티브 송신자의 식별 정보, 상기 'Cadidate Link List'는 위치 추정을 제공받고자하는 망들의 식별 정보, 상기 'Available LCP Result Set'은 사용 가능한 위치 추정 기법들의 정보, 'Status'는 절차의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MIH_N2N_Location.Confirmation 프리미티브(317)를 제공받은 상기 서빙 망 PoS의 MIH 유저(320)는 하기 <표 9>와 같은 정보를 포함하는 MIH_MN_Location.Response 프리미티브(319)를 상기 서빙 망 PoS의 MIHF(326)로 전달한다.
name type description
Destination Identifier MIHF_ID This indentifies a remote MIHF which will be the destination of this request.
Current Link Identifier LINK_TUPLE_ID This identifies the current link.
Candidate Link List LIST(LINK_POA_LIST) A list of PoAs, identifying candidate network to which LCP needs to be initiated. The list is sorted from most preferred first to least preferred last.
Available LCP Result Set LIST(LCP_List) List of available result for each LCP.
Status STATUS Status of operation.
상기 <표 9>에서, 상기 'Destiniation Identifier'는 요청 수신자의 식별 정보, 상기 'Current Link Identifier'는 서빙 망의 식별 정보, 상기 'Cadidate Link List'는 위치 추정을 제공받고자하는 망들의 식별 정보, 상기 'Available LCP Result Set'은 사용 가능한 위치 추정 기법들의 정보, 'Status'는 절차의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MIH_MN_Location.Response 프리미티브(319)를 제공받은 상기 서빙 망의 MIHF(326)는 상기 <표 9>와 같은 정보를 포함하는 MIH_MN_Location.Response 메시지(321)를 상기 단말의 MIHF(316)로 송신한다(317단계).
상기 MIH_MN_Location.Response 메시지(321)를 수신한 상기 단말의 MIHF(316)는 하기 <표 10>과 같은 정보를 포함하는 MIH_MN_Location.Confirmation 프리미티브(323)를 상기 단말의 MIH 유저(310)로 전달한다.
name type description
Source Identifier MIHF_ID This indentifies the invoker of this primitive which is a remote MIHF.
Current Link Identifier LINK_TUPLE_ID This identifies the current link.
Candidate Link List LIST(LINK_POA_LIST) A list of PoAs, identifying candidate network to which LCP needs to be initiated. The list is sorted from most preferred first to least preferred last.
Available LCP Result Set LIST(LCP_List) List of available result for each LCP.
Status STATUS Status of operation.
상기 <표 10>에서, 상기 'Source Identifier'는 프리미티브 송신자의 식별 정보, 상기 'Current Link Identifier'는 서빙 망의 식별 정보, 상기 'Cadidate Link List'는 위치 추정을 제공받고자하는 망들의 식별 정보, 상기 'Available LCP Result Set'은 사용 가능한 위치 추정 기법들의 정보, 'Status'는 절차의 상태를 나타낸다.
MIH 규격에 따르는 시스템에서 상술한 메시지들을 이용하여 위치 추정을 수행하는 경우, 단말 및 각 망 간의 메시지 교환 예는 도 4와 같다. 여기서, 상기 각 망은 접속 노드 및 제어 노드로 구성된다. 상기 접속 노드는 망의 종류에 따라 BS(Base Station), RAS(Radio Access Station), Node B 등으로 표현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 노드는 망 종류에 따라 ACR(Access Control Router), ASN_GW(Access Service Network GateWay), SGW 등으로 표현되며, MIHF 및 MIH 유저를 포함한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단말의 제1망처리부(420)는 제1망의 접속 노드(440)와 트래픽을 교환한다(401단계). 즉, 단말은 제1망을 통해 통신을 수행 중이다.
이때, 단말이 위치 추정의 수요 발생을 인지하고, 이에 따라, 상기 단말의 MIHF(410)는 접속 가능한 망에서 제공되는 LCP 정보를 요청하기 위해 MIH_Get_Information.Request 메시지를 IS서버(490)로 송신한다(403단계).
상기 MIH_Get_Information.Request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IS서버(490)는 상기 <표 1>과 같은 IE를 포함하는 MIH_Get_Information.Response 메시지를 상기 단말의 MIHF(410)로 송신한다(405단계).
상기 MIH_Get_Information.Response 메시지를 통해 각 망에서 제공되는 LCP를 확인한 상기 단말은 위치 추정을 제공받고자하는 망을 선택하고, 이에 따라, 상기 단말의 MIHF(410)은 MIH_MN_Location.Request 메시지를 서빙 망인 제1망의 제어 노드(450)로 송신한다(407단계). 이때, 상기 단말은 제2망을 선택했다고 가정한다.
상기 MIH_MN_Location.Request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제1망의 제어 노드(450)는 MIH_N2N_Location.Request 메시지를 단말에 의해 선택된 제2망의 제어 노드(470)로 송신한다(409단계).
상기 MIH_N2N_Location.Request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제2망의 제어 노드(470)는 자신의 망을 통한 위치 추정의 요청을 확인하고, 이에 따라, 제2망의 LBS서버(480)로 위치 추정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411단계).
상기 위치 추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제2망의 LBS서버(480)는 위치 추정 지시 메시지를 상기 제2망의 제어 노드(470)로 송신한다(413단계).
상기 위치 추정 지시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제2망의 제어 노드(470)는 위치 추정을 위한 신호 측정 동작을 요청하기 위한 측정 지시 메시지를 상기 제2망의 접속 노드(460)로 송신한다(415단계). 이때, 상기 측정 지시 메시지는 적어도 하나의 접속 노드로 송신되며, 구체적인 위치 추정 기법에 따라 상기 측정 지시 메시지를 수신하는 접속 노드의 개수는 달라진다. 예를 들어, TDoA 기법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측정 지시 메시지는 적어도 3개의 접속 노드들로 송신된다.
상기 측정 지시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제2망의 접속 노드(460)는 상기 단말의 제2망처리부(430)와 위치 추정을 위한 기준 신호를 교환한다(417단계). 이때, 상기 기준 신호의 송신자는 단말 또는 접속 노드가 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위치 추정 기법의 실시 방법에 따라 달라진다.
이후, 상기 제2망의 접속 노드(460)는 상기 기준 신호 교환을 통해 측정된 측정 정보를 포함하는 측정 결과 메시지를 상기 제2망의 제어 노드(470)로 송신한다(419단계). 여기서, 상기 측정 정보의 내용은 사용되는 위치 추정 기법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TDoA 기법이 사용되는 경우, 상기 측정 정보는 상기 기준 신호의 수신 시간 정보이다.
상기 측정 결과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제2망의 제어 노드(470)는 상기 측정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추정 지시 응답 메시지를 상기 제2망의 LBS서버(480)로 송신한다(421단계).
상기 위치 추정 지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제2망의 LBS서버(480)는 상기 측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의 위치를 추정한 후,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추정 응답 메시지를 상기 제2망의 제어 노드(470)로 송신한다(423단계).
상기 위치 추정 응답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 상기 제2망의 제어 노드(470)는 상기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MIH_N2N_Location.Response 메시지를 상기 제1망의 제어 노드(450)로 송신한다(425단계).
상기 MIH_N2N_Location.Response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제1망의 제어 노드(450)는 상기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MIH_MN_Location.Response 메시지를 상기 단말의 MIHF(410)로 송신한다(427단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5는 2개의 서로 다른 망에 접속 가능한 단말을 예로 들어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은 제1망통신부(502), 제2망통신부(504), 제1망메시지처리부(506), 제2망메시지처리부(508), 망연동처리부(510), 제어부(5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망통신부(502)는 제1망의 규격에 따른 물리 계층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상기 제1망통신부(502)는 송신 비트열을 제1망의 규격에 따라 신호로 변환 및 송신하고, 수신 신호를 제1망에 규격에 따라 비트열로 변환한다. 상기 제2망통신부(504)는 제2망의 규격에 따른 물리 계층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상기 제2망통신부(504)는 송신 비트열을 제2망의 규격에 따라 신호로 변환 및 송신하고, 수신 신호를 제2망에 규격에 따라 비트열로 변환한다. 상기 제1망메시지처리부(506)는 제1망 규격에 따른 제어 메시지를 생성 및 해석한다. 상기 제2망메시지처리부(508)는 제2망 규격에 따른 제어 메시지를 생성 및 해석한다.
상기 망연동처리부(510)는 타 망과 교환되는 제어 메시지를 생성 및 해석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망연동처리부(510)는 타 망을 통한 위치 추정을 요청하기 위한 망 내(intra-network) 위치 추정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타 망을 통해 추정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망 내 위치 추정 응답 메시지를 해석한다. 또한, 상기 망연동처리부(510)는 각 망에서 제공 가능한 위치 추정 기법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해석한다. 예를 들어, 상기 망 내 위치 추정 요청 메시지는 상기 <표 3>과 같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망 내 위치 추정 응답 메시지는 상기 <표 10>과 같은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단말이 MIH 규격에 따르는 경우, 상기 망연동처리부(510)는 MIHF와 대응되는 구성이다.
상기 제어부(512)는 상기 단말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512)는 상기 제1망메시지처리부(506), 상기 제2망메시지처리부(508), 상기 망연동처리부(510)로 메시지 생성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제1망통신부(502), 상기 제2망통신부(504)로 신호 구성을 위한 제어 정보(예 : 자원 할당 정보)를 제공한다.
특히, 위치 추정의 수요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512)는 상기 망연동처리부(510)에 의해 확인된 각 망에서 제공 가능한 위치 추정 기법 정보를 참조하여 위치 추정을 제공받을 망 및 위치 추정 기법을 선택한다. 여기서, 상기 위치 추정의 수요의 발생은 상기 단말의 사용자에 의해 위치 정보를 필요로 하는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되거나, 단말 외부로부터 위치 정보에 대한 요청이 발생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망의 선택 및 상기 위치 추정 기법의 선택은 각 망의 접속 노드와의 채널 상태 또는 미리 정해진 우선 순위에 따라 수행된다.
만일, 서빙 망이 선택된 경우, 상기 제어부(512)는 위치 추정을 요청하기 위한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상기 제1망메시지처리부(506) 또는 상기 제2망메시지처리부(508) 중 서빙 망에 대응되는 하나를 제어한다. 반면, 서빙 망 외의 망이 선택된 경우, 상기 제어부(512)는 서빙 망으로 선택된 망을 이용한 위치 추정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상기 망연동처리부(51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상기 망연동처리부(510)는 선택된 망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망 내 위치 추정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제1망메시지처리부(506) 또는 상기 제2망메시지처리부(508) 중 서빙 망에 대응되는 하나는 상기 망연동처리부(510)에 의해 생성된 상기 망 내 위치 추정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 예를 들어, 상기 망 내 위치 추정 요청 메시지는 상기 <표 3>과 같은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12)는 선택된 망을 통해 위치 추정을 수행하기 위한 절차를 제어한다. 다시 말해, 상기 제어부(512)는 상기 선택된 망의 기지국들과 위치 추정을 위한 기준 신호를 교환하도록 상기 제1망메시지처리부(506) 또는 상기 제2망메시지처리부(508) 중 선택된 망에 대응되는 하나를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기준 신호의 형태 및 기준 신호의 교환 방법은 구체적인 위치 추정 기법에 따라 달라진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이종 망 연동 장치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이종 망 연동 장치란 이종 망 간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MIH 기반의 시스템의 경우, 상기 이종 망 연동 장치는 MIHF를 포함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상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종 망 연동 장치는 통신부(602), 메시지처리부(604), 망연동처리부(606), 제어부(60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통신부(602)는 상기 이종 망 연동 장치가 속한 접속 서비스 망(ASN : Access Service Network) 내에 존재하는 다른 노드 및 타 망의 이종 망 연동 장치와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메시지처리부(604)는 상기 이종 망 연동 장치가 속한 망의 규격에 따른 제어 메시지를 생성 및 해석한다.
상기 망연동처리부(606)는 타 망과 교환되는 제어 메시지를 생성 및 해석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자신의 망에 접속된 단말의 위치 추정을 타 망으로 요청하는 경우, 상기 망연동처리부(606)는 자신의 망에 속한 단말로부터의 타 망을 통한 위치 추정을 요청하는 망 내 위치 추정 요청 메시지를 해석하고, 상기 타 망으로 상기 단말의 위치 추정을 요청하는 망 간(inter-network) 위치 추정 요청 메시지를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망연동처리부(606)는 상기 타 망으로부터의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망 간 위치 추정 응답 메시지를 해석하고,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달하기 위한 망 내 위치 추정 응답 메시지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타 망에 접속된 단말의 위치를 추정하는 경우, 상기 망연동처리부(606)는 타 망으로부터 상기 타 망에 접속된 단말의 위치 추정을 요청하는 망 간 위치 추정 요청 메시지를 해석하고, 상기 타 망으로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망 간 위치 추정 응답 메시지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망 내 위치 추정 요청 메시지는 상기 <표 3>과 같은 정보를, 상기 망 간 위치 추정 요청 메시지는 상기 <표 6>과 같은 정보를, 상기 망 간 위치 추정 응답 메시지는 상기 <표 8>과 같은 정보를, 상기 망 내 위치 추정 응답 메시지는 상기 <표 10>과 같은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이종 망 연동 장치가 MIH 규격에 따르는 경우, 상기 망연동처리부(606)는 MIHF와 대응되는 구성이다.
상기 제어부(608)는 상기 이종 망 연동 장치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자신의 망에 접속된 단말의 위치 추정을 타 망으로 요청하는 경우,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위치 추정 요청 메시지를 통해 상기 단말에 의해 선택된 망이 확인되면, 상기 제어부(608)는 타겟 망으로 상기 단말의 위치 추정을 요청하기 위한 망 간 위치 추정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상기 망연동처리부(606)를 제어하고, 상기 망 간 위치 추정 요청 메시지를 상기 타겟 망의 이종 망 연동 장치로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602)를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타겟 망으로부터 수신되는 망 간 위치 추정 응답 메시지를 통해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로 상기 위치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망 내 위치 추정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상기 망연동처리부(606)를 제어하고, 상기 망 내 위치 추정 응답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602)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타 망에 접속된 단말의 위치를 추정하는 경우, 타 망으로부터 수신되는 망 간 위치 추정 요청 메시지를 통해 상기 타 망에 접속된 단말의 위치 추정 요청이 확인되면, 상기 제어부(608)는 자신의 망에 포함된 LBS 서버로 상기 단말에 대한 위치 추정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상기 메시지처리부(604)를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LBS 서버로부터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608)는 상기 타 망으로 상기 위치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망 간 위치 추정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상기 망연동처리부(606)를 제어하고, 상기 망 간 위치 추정 응답 메시지를 상기 타 망의 이종 망 연동 장치로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602)를 제어한다. 또는, 상기 위치 정보 전달에 대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608)는 상기 단말로 상기 위치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망 내 위치 추정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상기 망연동처리부(606)를 제어하고, 상기 망 내 위치 추정 응답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602)를 제어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이종 망을 이용하여 위치를 추정하는 단말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단말은 701단계에서 통신 가능한 망들로부터 제공되는 위치 추정 기법의 정보를 획득한다. 예를 들어. 상기 위치 추정 기법의 정보는 망들의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로부터 상기 <표 1>과 같은 IE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확인된다.
이후, 상기 단말은 703단계로 진행하여 위치 추정의 수요가 발생하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의 사용자에 의해 위치 정보를 필요로 하는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되거나, 단말 외부로부터 위치 정보에 대한 요청이 발생하는지 확인한다.
상기 위치 추정의 수요가 발생되면, 상기 단말은 7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701단계에서 획득한 정보를 참조하여 위치 추정을 제공받을 망 및 위치 추정 기법을 선택한다. 이때, 상기 망의 선택 및 상기 위치 추정 기법의 선택은 각 망의 접속 노드와의 채널 상태 또는 미리 정해진 우선 순위에 따라 수행된다.
상기 망 및 위치 추정 기법이 선택되면, 상기 단말은 707단계로 진행하여 선택된 망이 서빙 망인지 확인한다.
상기 선택된 망이 서빙 망이면, 상기 단말은 709단계로 진행하여 서빙 망으로 서빙 망을 이용한 위치 추정을 요청한다.
이어, 상기 단말은 711단계로 진행하여 서빙 망을 통해 위치 추정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 상기 단말은 서빙 망의 기지국들과 위치 추정을 위한 기준 신호를 교환한다. 여기서, 상기 기준 신호의 형태 및 기준 신호의 교환 방법은 구체적인 위치 추정 기법에 따라 달라진다.
상기 위치 추정을 수행한 후, 상기 단말은 713단계로 진행하여 서빙 망의 접속 노드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707단계에서, 상기 선택된 망이 서빙 망이 아니면, 상기 단말은 715단계로 진행하여 서빙 망으로 선택된 망을 이용한 위치 추정을 요청한다. 즉, 상기 단말은 선택된 망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망 내 위치 추정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 예를 들어, 상기 위치 추정 요청 메시지는 상기 <표 3>과 같은 정보를 포함한다.
이어, 상기 단말은 상기 선택된 망을 통해 위치 추정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 상기 단말은 상기 선택된 망의 기지국들과 위치 추정을 위한 기준 신호를 교환한다. 여기서, 상기 기준 신호의 형태 및 기준 신호의 교환 방법은 구체적인 위치 추정 기법에 따라 달라진다.
상기 위치 추정을 수행한 후, 상기 단말은 713단계로 진행하여 서빙 망의 접속 노드 또는 상기 선택된 망의 접속 노드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이종 망으로 위치 추정을 요청하는 이종 망 연동 장치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이종 망 연동 장치란 이종 망 간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MIH 기반의 시스템의 경우, 상기 이종 망 연동 장치는 MIHF를 포함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이종 망 연동 장치는 801단계에서 자신의 망에 접속되어 있는 단말로부터 타 망을 이용한 위치 추정이 요청되는지 확인한다. 다시 말해, 상기 이종 망 연동 장치는 자신의 망에 접속되어 있는 단말로부터 타 망을 이용하여 위치 추정을 수행하고자 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망 내 위치 추정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상기 망 내 위치 추정 요청 메시지는 상기 <표 3>과 같은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단말로부터 타 망을 이용한 위치 추정이 요청되면, 상기 이종 망 연동 장치는 803단계로 진행하여 타겟 망, 즉, 상기 단말이 이용하고자 하는 망으로 상기 단말에 대한 위치 추정을 요청한다. 다시 말해, 상기 이종 망 연동 장치는 상기 단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망 간 위치 추정 요청 메시지를 상기 타겟 망의 이종 망 연동 장치로 송신한다. 예를 들어, 상기 망 간 위치 추정 요청 메시지는 상기 <표 5>와 같은 정보를 포함한다.
이후, 상기 이종 망 연동 장치는 8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타겟 망으로부터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다시 말해, 상기 이종 망 연동 장치는 상기 타겟 망의 이종 망 연동 장치로부터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망 간 위치 추정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상기 망 간 위치 추정 응답 메시지는 상기 <표 7>과 같은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이종 망 연동 장치는 8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위치 정보를 상기 단말로 송신한다. 즉, 상기 이동 망 연동 장치는 상기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망 내 위치 추정 응답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 송신한다. 예를 들어, 상기 망 내 위치 추정 응답 메시지는 상기 <표 9>와 같은 정보를 포함한다. 단, 상기 위치 정보 전달에 대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위치 정보가 상기 타겟 망에서 상기 단말로 직접 전달되는 경우, 상기 807단계는 생략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이종 망으로부터 위치 추정을 요청받는 이종 망 연동 장치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이종 망 연동 장치란 이종 망 간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MIH 기반의 시스템의 경우, 상기 이종 망 연동 장치는 MIHF를 포함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상기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이종 망 연동 장치는 901단계에서 타 망으로부터 상기 타 망에 접속된 단말에 대한 위치 추정이 요청되는지 확인한다. 다시 말해, 상기 이종 망 연동 장치는 상기 단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망 간 위치 추정 요청 메시지가 상기 타 망으로부터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상기 망 간 위치 추정 요청 메시지는 상기 <표 5>와 같은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타 망에 접속된 단말에 대한 위치 추정이 요청되면, 상기 이종 망 연동 장치는 903단계로 진행하여 자신의 망의 LBS 서버로 상기 단말의 위치 추정을 요청한다. 다시 말해, 상기 이종 망 연동 장치는 자신의 망의 LBS 서버로 상기 단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망 내 위치 추정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망 내 위치 추정 요청 메시지는 망에 종속적인 형태를 갖는 메시지이다. 이때, 위치 추정 기법 및 망의 구성에 따라, 상기 이종 망 연동 장치가 위치 추정 절차에 참여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이종 망 연동 장치는 9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LBS 서버로부터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다시 말해, 상기 이종 망 연동 w아치는 상기 LBS 서버로부터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망 내 위치 추정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망 내 위치 추정 응답 메시지는 망에 종속적인 형태를 갖는 메시지이다.
상기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이종 망 연동 장치는 9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타 망으로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를 송신한다. 또는, 상기 위치 정보 전달에 대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이종 망 연동 장치는 상기 단말로 상기 위치 정보를 송신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서로 다른 망들이 혼재된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이종 망을 이용한 위치 추정 시 메시지 교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21 MIH(Midia Independent Handover) 기반의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이종 망을 이용한 위치 추정 시 사용되는 메시지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IEEE 802.21 MIH 기반의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이종 망을 이용한 위치 추정 시 메시지 교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이종 망과의 연동을 담당하는 장치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이종 망을 이용하여 위치를 추정하는 단말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이종 망으로 위치 추정을 요청하는 이종 망 연동 장치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이종 망으로부터 위치 추정을 요청받는 이종 망 연동 장치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Claims (26)

  1. 서로 다른 망들이 혼재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장치에 있어서,
    서빙(serving) 망이 아닌 망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추정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처리부와,
    상기 위치 추정 요청 메시지를 상기 서빙 망으로 송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식별 정보와 대응되는 망을 통해 위치 추정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접속 가능한 망들 중 위치 추정을 제공받을 망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망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를 통해 접속 가능한 망들에서 제공 가능한 위치 추정 기법의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추정 요청 메시지는, 상기 식별 정보, 서빙 망의 식별 정보, 제공받고자하는 위치 추정 기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서빙 망으로부터 수신되는 위치 추정 응답 메시지를 해석함으로써, 추정된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망으로부터 수신되는 위치 추정 응답 메시지를 해석함으로써, 추정된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서로 다른 망들이 혼재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이종 망 연동 장치에 있어서,
    자신의 망에 접속된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망 내(intra-network) 위치 추정 요청 메시지를 통해 상기 단말에 의해 선택된 망을 확인하는 제어부와,
    상기 선택된 망으로 상기 단말의 위치 추정을 요청하는 망 간(inter-network) 위치 추정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처리부와,
    상기 망 간 위치 추정 요청 메시지를 상기 선택된 망의 이종 망 연동 장치로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망 간 위치 추정 요청 메시지는, 요청 수신자의 식별 정보, 메시지 송신자의 식별 정보, 제공받고자하는 위치 추정 기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선택된 망으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망 내 위치 추정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망 내 위치 추정 응답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서로 다른 망들이 혼재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이종 망 연동 장치에 있어서,
    타 망으로부터 상기 타 망에 접속된 단말의 위치 추정을 요청하는 망 간(inter-network) 위치 추정 요청 메시지를 확인하는 처리부와,
    자신의 망의 LBS(Location Based Service) 서버로 상기 단말에 대한 위치 추정을 요청하는 제어부와,
    상기 LBS 서버로부터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망 간 위치 추정 응답 메시지를 상기 타 망으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망 간 위치 추정 요청 메시지는, 요청 수신자의 식별 정보, 메시지 송신자의 식별 정보, 제공받고자하는 위치 추정 기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서로 다른 망들이 혼재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위치 추정 방법에 있어서,
    서빙(serving) 망이 아닌 망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추정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위치 추정 요청 메시지를 상기 서빙 망으로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식별 정보와 대응되는 망을 통해 위치 추정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접속 가능한 망들 중 위치 추정을 제공받을 망을 선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망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를 통해 접속 가능한 망들에서 제공 가능한 위치 추정 기법의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추정 요청 메시지는, 상기 식별 정보, 서빙 망의 식별 정보, 제공받고자하는 위치 추정 기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서빙 망으로부터 수신되는 위치 추정 응답 메시지를 해석함으로써, 추정된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망으로부터 수신되는 위치 추정 응답 메시지를 해석함으로써, 추정된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서로 다른 망들이 혼재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이종 망 연동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자신의 망에 접속된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망 내(intra-network) 위치 추정 요청 메시지를 통해 상기 단말에 의해 선택된 망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망으로 상기 단말의 위치 추정을 요청하는 망 간(inter-network) 위치 추정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망 간 위치 추정 요청 메시지를 상기 선택된 망의 이종 망 연동 장치로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망 간 위치 추정 요청 메시지는, 요청 수신자의 식별 정보, 메시지 송신자의 식별 정보, 제공받고자하는 위치 추정 기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망으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망 내 위치 추정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망 내 위치 추정 응답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 송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서로 다른 망들이 혼재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이종 망 연동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타 망으로부터 상기 타 망에 접속된 단말의 위치 추정을 요청하는 망 간(inter-network) 위치 추정 요청 메시지를 확인하는 과정과,
    자신의 망의 LBS(Location Based Service) 서버로 상기 단말에 대한 위치 추정을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LBS 서버로부터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 송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망 간 위치 추정 응답 메시지를 상기 타 망으로 송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6.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망 간 위치 추정 요청 메시지는, 요청 수신자의 식별 정보, 메시지 송신자의 식별 정보, 제공받고자하는 위치 추정 기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80011179A 2008-02-04 2008-02-04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이종 망을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지원 장치 및 방법 KR200900853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1179A KR20090085342A (ko) 2008-02-04 2008-02-04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이종 망을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지원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1179A KR20090085342A (ko) 2008-02-04 2008-02-04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이종 망을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지원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5342A true KR20090085342A (ko) 2009-08-07

Family

ID=41205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1179A KR20090085342A (ko) 2008-02-04 2008-02-04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이종 망을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지원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8534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95792A (zh) * 2018-01-29 2019-08-06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定位终端的方法及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95792A (zh) * 2018-01-29 2019-08-06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定位终端的方法及装置
CN110095792B (zh) * 2018-01-29 2022-05-20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定位终端的方法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91062B1 (en) Provision of location information
KR101651120B1 (ko) 계층적 셀 구조의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기지국 간의 연동 방법 및 장치
WO2020156470A1 (zh) 一种通信方法及装置
WO2016145735A1 (zh) 基于终端直连通信的数据共享方法、装置和终端
JP2006505223A (ja) ワイヤレスローカルエリア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加入者のための位置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CN101883427B (zh) 一种长期演进技术的后续演进系统中的定位方法
RU2011111933A (ru)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обслуживания между сетями, система связи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ие устройства
WO2015139184A1 (zh) 定位方法和装置
JP2022526253A (ja) 装置およびユーザ機器測位方法
WO2022120538A1 (zh) 确定终端设备位置的方法和设备
KR101510730B1 (ko)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위치 기반 착신 전환 서비스 방법 및 장치
US7471953B2 (en) Location services for unlicensed mobile access
KR101537212B1 (ko) 셀의 무선 커버리지 구역 내의 이동국의 측위 방법 및 시스템과 이 시스템을 구현하는 무선 셀룰러 네트워크
CN101213790A (zh) 执行快速切换的装置和方法
US2010027345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Terminal Positioning Operations
KR101845914B1 (ko) 위치 측위 방법과 그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WO2015042825A1 (zh) 一种信息确定方法及相关设备
JP2009049922A (ja) ハンドオーバ方法、無線端末装置、無線基地局装置およびハンドオーバ情報提供サーバ
WO2012097710A1 (zh) 一种请求获取HeNB的定位信息的方法、装置及系统
KR101730429B1 (ko) 지역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EP189728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fast handover
KR20090085342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이종 망을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지원 장치 및 방법
TWI618423B (zh) 使用者裝置、行動熱點裝置、後端裝置及其路徑損耗模型資料庫建立方法
JP2007267074A (ja) 情報転送装置
JP2018098699A (ja) 通信制御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