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4800A - 다색분광필터부가 내장된 농작물 병충해제거장치 - Google Patents

다색분광필터부가 내장된 농작물 병충해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4800A
KR20090084800A KR1020090065245A KR20090065245A KR20090084800A KR 20090084800 A KR20090084800 A KR 20090084800A KR 1020090065245 A KR1020090065245 A KR 1020090065245A KR 20090065245 A KR20090065245 A KR 20090065245A KR 20090084800 A KR20090084800 A KR 200900848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light source
spectroscopic
unit
cro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5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선화
Original Assignee
이선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선화 filed Critical 이선화
Priority to KR1020090065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84800A/ko
Publication of KR20090084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4800A/ko
Priority to CN2009102080936A priority patent/CN101953331A/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01M1/04Attracting insects by using illumination or colou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2Killing insects by electric means
    • A01M1/226Killing insects by electric means by using waves, fields or rays, e.g. sound waves, microwaves, electric waves, magnetic fields, light 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9/00Elements for modifying spectral properties, polarisation or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e.g. filt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색분광필터부가 내장된 농작물 병충해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훼류나 채소류 과일류 등과 같이 시설재배단지에서 재배되는 각종 농작물에 기생하는 해충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계열의 파장을 가진 광선 중 그 해충의 유인에 적합한 근(近) 적외선 파장대역(540~584nm)과 유인된 해충의 퇴치에 적합한 근(近) 자외선 파장대역(350~ 400nm) 및 농작물의 엽록소 작용과 광합성 작용을 촉진시키는 모든 녹색계열의 파장대역(410nm~500nm)을 일정 주기로 교번시켜 조사(照射)함으로써, 각종 농작물에 기생하는 여러종류의 해충을 동시에 퇴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당 농작물의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는 다색분광필터부가 내장된 농작물 병충해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광원부, 다색분광필터부, 분광필터 수납부, 동력전달부

Description

다색분광필터부가 내장된 농작물 병충해제거장치 { THE EXCLUSION SYSTEM OF CROPS DAMAGES BY BLIGHT AND HARMFUL INSECTS WITH POLYGENETIC SPECTRAL FILTER PLATE }
본 발명은 다색분광필터부가 내장된 농작물 병충해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훼류나 채소류 과일류 등과 같이 시설재배단지에서 재배되는 각종 농작물에 기생하는 해충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계열의 파장을 가진 광선 중 그 해충의 유인에 적합한 근(近) 적외선 파장대역(540~584nm)과 유인된 해충의 퇴치에 적합한 근(近) 자외선 파장대역(350~ 400nm) 및 농작물의 엽록소 작용과 광합성 작용을 촉진시키는 모든 녹색계열의 파장대역(410nm~500nm)을 일정 주기로 교번시켜 조사(照射)함으로써, 각종 농작물에 기생하는 여러종류의 해충을 동시에 퇴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당 농작물의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는 다색분광필터부가 내장된 농작물 병충해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충은 인간을 포함하여 각종 동,식물과 함께 기생하거나 주변에 서식하면서 사람이나 각종 동,식물의 정상적인 성장활동을 방해하고 각종 전염병을 전파시키는 유해한 곤충을 통칭하는데, 해충의 퇴치법으로는 각종 해충의 종류에 따 라 화학물질에 의한 살충제 퇴치법과 먹이사슬에 의한 천적퇴치법과 전기에 의한 충격퇴치법 및 빛의 파장에 의한 광 퇴치법 등 다양한 퇴치법이 개발되어 왔다.
먼저 살충제퇴치법의 경우, 호흡장애가 유발되는 화학물질을 해충에 접촉시켜 해충을 박멸하는 방법으로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해충퇴치법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위 살충제퇴치법은 해충의 호흡장애만을 유발하는 것이 아니라 해충이 서식하는 주변의 사람이나 동물에게도 호흡장애가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화학물질이 함유된 살충제가 대량으로 살포된 과일류나 채소류와 같은 농작물을 사람이 섭취할 경우, 인체의 각 장기(臟器)에는 상기 농작물에 남아있는 잔류 화학물질이 축적되어 치명적인 손상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농작물의 해충퇴치법으로 제시된 천적 퇴치법의 경우, 농작물에 기생하는 유해한 해충을 먹이사슬로 하는 천적에 의하여 농작물에 기생하는 해충의 제거는 가능하게 되었으나, 먹이사슬의 인위적인 변화에 의하여 자연적인 생태환경을 교란시키게 되는 심각한 문제점이 나타나게 되었다.
한편 농작물에 기생하는 대부분의 해충들은 불빛에 의해 유인되어 밝은 불빛 주위로 모이는 양성 주광성(走光性)의 성질을 지니고 있다는 점은 선 등록된 다수의 실용신안등록공보 및 등록특허공보에서 널리 알려져 있다(실용신안등록 제 425825호, 제 425859호, 제 431952호, 특허등록 제 795435호 참조).
따라서 전기 충격퇴치법에 의한 농작물의 해충퇴치법은 태양광이 없는 어두운 야간에 불빛이 밝은 조명기구를 설치하고 그 조명기구와 인접한 위치에 도전(導電)체가 구비된 포집기구를 설치하여, 조명기구의 밝은 불빛에 의해 유인되어 포집기구로 모이는 해충을 도전(導電)체로 전기적인 충격으로 사멸시켜 왔다.
그런데 위와 같은 전기충격 퇴치법은 농작물의 주변에 서식하면서 조명기구에 유인되어 포집기구로 모이는 해충들을 사멸시킬 수는 있었으나, 농작물에 기생하고 있는 해충들은 조명기구로 유인되기 위한 날개와 같은 비상(飛上)수단이 없으므로 위 전기충격 퇴치법에 의하여서는 제거되지 못함으로써 해충의 제거효율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던 것이다.
다른 한편 위 실용신안등록 제 425859호 및 특허등록 제 795435호의 각 등록공보에 의하면, 농작물에 기생하는 대부분의 해충들이 유인되는 불빛의 파장은 해충들의 종류에 따라 가시광선 파장대역 중 근(近) 자외선(청색계열의 파장 내지 녹색계열의 파장)의 파장대역(350~ 400nm)과 근(近) 적외선(황색계열의 파장 내지 주황색 계열의 파장)의 파장대역(540~584nm)으로 구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농작물에 기생하는 해충들 중 멸구, 이화명충, 등과 같은 해충은 근(近) 자외 선(청색계열의 파장 내지 녹색계열의 파장)의 파장대역(350~ 400nm)에서 쉽게 유인되어 사멸되는 성질이 나타나고 있고, 온실가루이나 굴파리 등과 같은 해충은 근(近) 적외선(황색계열의 파장 내지 주황색 계열의 파장)의 파장대역(540~584nm)에서 쉽게 유인되어 사멸되는 성질을 지니고 있다는 점이 널리 알려져 있는 것이다.
따라서 근래에는 농작물에 기생하는 해충의 퇴치법으로 인체에 무해하면서 자연환경을 훼손하지 않는 빛의 파장에 의한 광 퇴치법을 이용한 다양한 형태의 해충제거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 다른 한편 시설재배단지 등에서 주로 재배하고 있는 하훼류나 채소류 과일류에서 기생하는 해충은 근(近) 자외선의 파장대역에서 쉽게 유인되는 멸구, 이화명충 등을 포함하여 근(近) 적외선의 파장대역(540~584nm)에서 쉽게 유인되는 온실가루이나 굴파리 등의 해충들도 함께 공존하고 있다.
그런데 광 퇴치법에 의한 종래의 해충제거장치는 광원에서 조사되는 파장의 대역이 근(近) 자외선의 파장대역(350~ 400nm)에 한정되어 있거나 근(近) 적외선의 파장대역(540~584nm)에 한정되어 있으므로, 시설재배단지의 농작물에 공존하고 있는 여러종류의 해충들 중 특정한 파장계열에 의하여 사멸되는 해충들만이 제거됨으로써, 위 특정한 파장계열에 의해 사멸되지 않는 해충들은 농작물에 계속적으로 기생하여 피해를 입히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일부 농가에서는 근(近) 자외선 계열의 광원이 조사되는 살충램프와, 근(近) 적외선계열의 광원이 조사되는 살충램프를 각각 설치하여 농작물에 기생하는 대부분의 해충들을 제거할 수 있었으나, 이는 광원이 서로 다른 두 종류 이상의 살충램프를 설치하여야 함으로써 설치비용이 많이 들어갈 뿐만 아니라, 소모되는 전력량이 현저히 늘어나는 등 경제적으로 많은 부담을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시설재배단지에서 재배되는 농산물의 발육증대를 위하여 농산물에 조사되는 광원에 분리접속이 가능한 다색분광필터부를 구비하여, 각종 농작물에 기생하는 여러 종류의 해충을 동시에 퇴치함은 물론이고 농작물의 엽록소 작용과 광합성 작용을 활성화시켜 해당 농작물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다색분광필터부가 내장된 농작물 병충해제거장치는,
상면이 개방되고 외표면 테두리에 체결공(111)이 형성되고 내표면이 반사체로 이루어진 반사갓(110)의 내부 중심부로 수용되면서 농산물의 발육증대를 위하여 농산물에 가시광선 파장대역을 가진 광원(120)이 조사되는 광원부(100)와;
내부가 관통된 틀체(201)의 전면 테두리에 다수개의 체결공(20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틀체(201)의 내주면에는 상기 광원부(100)의 광원(120)으로부터 조사되는 가시광선영역의 파장대역 중 농작물에 기생하는 해충의 유인에 적합한 근(近) 적외선 파장대역(540~584nm)의 광원(121)만을 투과하는 근 적외선분광필터(210)와, 상기 유인된 해충의 사멸에 적합한 근(近) 자외선 파장대역(350~ 400nm)의 광원(122)만을 투과하는 근 자외선분광필터(220) 및 농작물의 엽록소 작용과 광합성 작용을 촉진시키는 모든 녹색계열의 파장대역(410nm~500nm)의 광원(123)만을 투과하는 녹색파장분광필터(230) 중 어느 하나의 분광필터를 선택적으로 수용 가능한 필터홈(203,204,205)이 각각 형성된 다색분광필터부(200)와;
상면 중앙과 양단부에는 상기 필터홈(203,204,205)과 밀착되게 끼워 결합되는 분광필터연결부(310)와 상기 다색분광필터부(200)와 분리 결합되는 걸림턱(320)이 차례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다색분광필터부(200)의 필터홈(203,204,205)과 결합되면서 내부에 상기 근 적외선분광필터(210), 근 자외선분광필터(220), 녹색파장분광필터(230)와 각 분광필터(210,220,230)를 지지하면서 선택적으로 승하강하는 승강바(331)를 수납하는 공간부(332)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332)의 좌우 측면에는 상기 승강바(331)를 승하강시키는 안내레일(333)이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332)와 인접한 위치에 상기 공간부(332)의 상면을 통과하면서 상기 승강바(331)와 연결된 로프형태의 승강수단(334)이 지나가는 승강홈(335)을 형성시킨 필터수용부(330)와, 상면에 는 상기 분광필터연결부(310)를 밀폐시키는 덮개(340)가 구비된 분광필터 수납부(300)와;
상기 분광필터 수납부(300)의 필터수용부(330)와 결합되면서 상기 승강바(331)를 지탱하는 완충재(411)가 상부 표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승강바(331)와 연결된 승강수단(334)을 각각 통과시키는 관통부(412)가 형성된 완충수단(410)과, 상기 승강바(331)와 각각 연결된 승강수단(334)을 권회시켜 승하강시키는 권취수단(420,430,440)과, 안정된 직류전원(502)이 공급되면서 상기 권취수단(420,430,440)을 회전축에 장착시킨 직류모터(450,460,470)가 구비되어 상기 분광필터 수납부(300)의 하부 바닥면에 끼워 결합되는 받침판(480)으로 구성된 동력전달부(400)와;
입력 교류전원(501)을 안정된 직류전원(502)으로 변환하는 정류회로(510)와, 상기 입력 교류전원(501)의 온/오프 작동구간에서 안정된 직류전원(502)을 동력전달부(400)에 일정주기로 반복하여 공급 또는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제어회로(520)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입력 교류전원(501)이 온/오프 작동구간 및 휴지구간을 가지면서 일정구간동안 반복적으로 상기 광원부(100)로 공급되게 하는 제어부(500)와;
상기 광원부(100)의 반사갓(110) 하부를 내부로 수용하면서 외표면 테두리에는 상기 틀체(201)의 체결공(202)에 대응되는 체결공(611)이 형성되어 있고, 전면 중앙에 각 분광필터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램프(612,613,61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반사갓(110)의 외주면과 밀착되게 고정되는 본체커버(610)와, 일면에 전원입력단자(601)와 직류전원 출력단자(602)가 형성된 내부에 제어부(500)를 수용하면서 상면 일측으로 상기 본체커버(610)와 함께 걸이용 행거(620)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커버(610)의 일측 단부를 축으로 힌지부(630)가 구비된 본체(600)와;
상기 다색분광필터부(200)의 틀체(201)와 결합되면서 투과율이 높은 투명재질로 된 외표면 테두리에는 별도의 상기 틀체의 체결공(202)과 상기 본체커버(610)의 체결공(611)에 대응되는 체결공(710)이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결로방지공(720)이 뚫린 투명캡(7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다색분광필터부(200)에 일정주기를 가지면서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근 적외선분광필터(210), 근 자외선분광필터(220), 녹색파장분광필터(230)를 통하여, 근(近) 자외선의 파장대역에서 쉽게 유인되는 멸구, 이화명충 등을 박멸함과 동시에 근(近) 적외선의 파장대역(540~584nm)에서 쉽게 유인되는 온실가루이나 굴파리 등의 해충들도 동시에 제거하여 으로써 농작물에 기생하는 여러종류의 해충들을 제거할 수 있는 잇점이 있고, 녹색계열의 파장대역(410nm~500nm)의 광원(123)만을 투과하는 녹색파장분광필터(230)를 통하여 농작물의 엽록소 작용과 광합성 작용을 활성화시킴으로써 해당 농작물의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는 일석 삼조의 매우 큰 효과가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효과를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결합상태를 도시한 전개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분광필터 수납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전개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광필터 수납부와 동력전달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결합단면도이고, 도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수용부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며,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전기결선도이고, 도 6a는 본 발명의 전원공급주기를 나타낸 타이밍챠트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제어회로에서 작동되는 입력교류전원의 운동주기를 나타낸 타이밍챠트이며, 도 6c는 본 발명의 입력교류전원의 운동주기에 대한 각 직류모터의 작동주기를 나타낸 타이밍챠트이다.
본 발명에 의한 다색분광필터부가 내장된 농작물 병충해제거장치에 대한 전체적인 결합구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500)가 내장된 본체(600)의 상부에 광원부(100)와 다색분광필터부(200) 및 투명캡(700)이 차례로 결합된 구성으로 되어 있고, 상기 다색분광필터부(200)의 하부에는 분광필터연결부(310)가 구비된 분광필터 수납부(300)와 동력전달부(400)가 결합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광원부(100)는 백색램프로 구성되는 광원(120)이 반사체로 이루어진 반사갓(110)의 내표면 중심부에 끼워 본체(600)에 내장되어 있는 제어부(500)의 교류전원(50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반사갓(110)은 상기 반사갓(110) 의 외표면 테두리에 형성시킨 체결공(111)과, 이에 대응되는 본체커버(610), 다색분광필터부(200), 투명캡(700)의 각 체결공(611, 202,710)과 체결부재(730)로 서로 밀접하게 고정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색분광필터부(200)는 틀체(201)가 상기 광원부(100)의 반사갓(110)과 투명캡(700)의 사이에 결합되면서 상기 분광필터 수납부(300)에 각각 수용되어 있는 근 적외선분광필터(210)와 근 자외선분광필터(220) 및 녹색파장분광필터(230)들 중, 어느 하나의 분광필터를 선택적으로 탈,부착하는 각 필터홈(203,204,205)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색분광필터부(200)의 각 필터홈(203,204,205)에는 상기 근 적외선분광필터(210)와 근 자외선분광필터(220) 및 녹색파장분광필터(230)들이 10분을 운전주기로 순차적으로 탈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분광필터수납부(300)의 상부에는 상면 양단부에 형성시킨 걸림턱(320)이 상기 다색분광필터부(200)의 틀체(201)에 끼워 결합되면서, 분광필터연결부(310)가 상기 다색분광필터부(200)의 필터홈(203,204,205)과 서로 긴밀하게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고, 내부에는 승강바(331)와 결합된 각 분광필터(210,220,230)를 수납하는 필터수용부(330)와, 상기 승강바(331)를 지탱하는 완 충수단(410)과, 동력전달부(400)가 차례로 결합된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각 승강바(331)에는 승강수단(334)이 로프형태로 결속되어 있고, 각 분광필터(210,220,230)가 긴밀하게 끼워 고정된 구조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동력전달부(400)는 상기 필터수용부(330)에 수용되는 상기 승강바(331)를 지지하는 완충수단(410)과, 상기 완충수단(410)을 통과한 각 승강수단(334)을 권회시키는 권취수단(420,430,440)과, 상기 제어부(400)로부터 공급되는 안정된 직류전원(502)을 인가받아 회전하는 직류모터(450,460,470)가 결합된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완충수단(410)은 필터수용부(330)와 일체로 결합된 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승강바(331)와 연결된 각 승강수단(334)은 상기 완충수단(410)의 관통부(412)를 통하여 권취수단(420,430,440)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권취수단(420,430,440)은 상기 직류모터(450,460,470)의 회전축과 결합된 구조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어부(500)는 상기 전원입력단자(601)에서 공급된 입력교류전원(501)을 안정된 직류전원(502)로 변환하는 정류회로(510)와, 상기 광원부(100)의 백색광원(120)과 동력전달부(400)의 직류모터(450,460,470)에 대한 운전시간과 운전주기 및 표시램프(612,613,614)의 작동상태를 조절하는 제어회로(520)로 구성되 어 있다.
여기서 백색광원(120)은 제어부(500)의 정류회로(510)와 제어회로(520)를 통하여 일정주기를 가지면서 일정구간동안 온/오프 작동구간과 휴지구간을 가지면서 인가되는 교류전원(501)으로 작동되고, 동력전달부(400) 및 표시램프(612,613,614)는 상기 교류전원(501)의 온/오프 작동구간에서 일정주기로 반복하여 선택적으로 서로 교번하여 인가되는 안정된 직류전원(502)에 의하여 작동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500)의 제어회로(520)는 상기 광원(120)의 전력원으로 인가되는 교류전원(501)이 일정구간동안 온/오프 작동구간과 휴지구간으로 구분되어 인가되는 교류전원(501) 인가주기와, 상기 직류모터(450,460,470)의 동력원으로 되는 안정된 직류전원(502)이 일정주기로 상기 직류모터(450,460,470)를 교번하여 선택적으로 인가되는 직류전원(502) 인가주기를 가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교류전원(501)의 인가주기는 도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12시간[일몰(오후6시)에서부터 다음날 일출(오전6시)]의 전원공급주기를 가지면서 10분 운전 60분 휴지를 12시간동안 반복하는 운전주기를 가지되, 그 운전주기에 의한 광원의 온/오프 작동은 1초/4초를 작동주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직류전원(501)의 인가주기는 도5b에 도시 한 바와 같이, 12시간[일몰(오후6시)에서부터 다음날 일출(오전6시)]의 전원공급주기를 가지면서, 각 직류모터(450,460,470)에 교차적으로 인가되는 운전주기는 10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본체(600)는 일면에 전원입력단자(601)와 직류전원 출력단자(602)가 구비되어 있고, 내부에 제어부(500)가 구비되어 있으며, 테두리의 일 측면으로 형성된 힌지부(630)를 축으로 상면을 개폐하면서 제어회로(520)의 신호에 따라 각 분광필터에 대응되는 광원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램프(612,613,614)가 구비된 본체커버(610)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커버(610)는 상기 광원부(100)의 백색광원(120)이 수용된 반사갓(110)의 하부를 본체(600)로 안내하는 안내공(615)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투명캡(700)은 상기 다색분광필터부(200)의 틀체(201)와 체결부재(730)로 결합되면서 광원부(100)의 백색광원(120)이 근 적외선분광필터(210)와 근 자외선분광필터(220) 및 녹색파장분광필터(230)들 중, 어느 하나의 분광필터(210,220,230)를 투과하여 특정 대역의 파장만을 가진 광원이 외부로 발산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때 상기 투명캡(700)의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결로방지공(720)을 형성시켜 투명 캡(700)의 내표면과 외표면의 사이에 발생되는 온도차이에 의하여 투명캡(700)의 내표면에 발생 가능한 결로현상을 방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에 의하여 본 발명의 작동상태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해충제거장치는 하훼류나 채소류 과일류 등과 같이 시설재배단지에 설치하여 재배되는 각종 농작물에 기생하는 여러종류에 해충들을 박멸함과 동시에 그 농작물의 성장을 촉진하기 위하여, 상기 농작물에 해충을 쉽게 유인하는 근 적외선대역의 파장만을 투과되는 근 적외선 광원과, 유인된 해충을 쉽게 박멸하는 근 자외선대역의 파장만을 투과되는 근 자외선 광원과, 농작물의 엽록소 작용 및 광합성 작용을 촉진시키는 녹색계열의 파장만을 투과하는 광원을 순차적으로 조사(照査)하기 위한 장치에 해당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해충제거장치에 의하여 각종 농작물에 기생하는 여러종류에 해충들을 박멸과 해당 농작물의 성장촉진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해충제거장치에 공급되는 입력교류전원(501)은 도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500)의 제어회로(520)에 의하여 태양광과 같은 자연광원이 공급되지 않는 일몰(구체적으로 18시 전후)부터 다음날 일출(구체적으로 6시 전후)에만 공급되고, 10분 운전 60분 휴지를 12시간동안 반복하는 운전주기를 가지되, 그 운전주기에 의한 광원의 온/오프 작동은 1초/4초를 작동주기로 공급되어 진다.
상기 입력교류전원(501)이 제어부(500)의 정류회로(510)를 통하여 변환된 안정된 직류전원(502)은 상기 분광필터수납부(300)의 필터수용부(330)에 승강바(331)과 함께 수용되어 있는 근 적외선분광필터(210)와 근 자외선분광필터(220) 및 녹색파장분광필터(230)들 중, 근 적외선분광필터(210)를 승강시키는 직류모터(450)에 최초 10분 동안 인가되어진다.
이때 상기 근 적외선분광필터(210)에 대응되는 직류모터(450)가 구동하게 되면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직류모터(450)에 축설된 권취수단(420)이 회전을 하면서 상기 권취수단(420)과 결속된 승강수단(334)을 아래쪽 방향으로 권회시키게 된다. 상기 승강수단(334)이 아래쪽 방향으로 권회되기 시작하면 필터수용부(300)의 승강홈(335)과 공간부(332)를 따라 ‘측면 S자’ 형상으로 된 승강경로를 통하여 상기 승강수단(334)와 결속되어 있는 승강바(331)는 위쪽방향으로 승강하게 되며, 상기 승강바(331)와 연결된 근 적외선분광필터(210)가 분광필터수납부(300)의 분광필터연결부(310)을 통하여 다색분광필터부(200)의 필터홈(203)부착되어 지게 된다.
이후 최초 10분이 경과되면, 상기 근 적외선분광필터(210)에 대응되는 직류모터(450)에는 직류전원(502)의 공급이 차단됨과 동시에, 제어부(500)의 제어회로(520)에 의하여 안정된 직류전원(502)은 상기 분광필터수납부(300)의 필터수용부(330)에 수용되어 있는 근 자외선분광필터(220)를 승강시키는 직류모터(460)에 같은 시간(10분)동안 인가되어진다.
그 후 20분이 경과된 이후의 10분 동안에는 상기 근 자외선분광필터(220)에 대응되는 직류모터(460)에는 직류전원(502)의 공급이 차단됨과 동시에, 제어부(500)의 제어회로(520)에 의하여 안정된 직류전원(502)은 상기 분광필터수납부(300)의 필터수용부(330)에 수용되어 있는 녹색파장분광필터(230)를 승강시키는 직류모터(470)에 같은 시간(10분)동안 인가되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안정된 직류전원(502)는 제어부(500)의 제어회로(520)에 의하여 각 직류모터(450,460,470)들 중 어느 하나의 직류모터에 10분을 주기로 12시간 동안 순차적으로 인가되어지는 것이다.
한편, 최초 10분 동안 회전하고 있던 직류모터(450)에 인가된 직류전원(502)이 최초 10분을 경과하여 차단되면, 상기 근 적외선분광필터(210)를 밀접되게 끼워 결합시킨 승강바(331)의 자중(자체무게)에 의하여 필터수용부(330)의 안내레일(333)을 따라 하강하면서 공간부(332)에 수용되어 지는 것이고, 근 자외선분광필 터(220)와 녹색파장분광필터(230)도 역시 동일한 작용에 의하여 승하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해충제거장치는 교류입력전원(501)이 광원부(100)의 광원(120)에 인가될 때, 최초 10분 동안에는 백색광원(120)이 다색분광필터부(200)의 필터홈(203)에 부착되어 있는 근 적외선분광필터(210)를 통하여 근 적외선대역의 파장만이 투과되는 근 적외선 광원(121)이 5초 간격으로 1초 동안 발광되고 4초 동안 소등을 초기 10분이 경과되는 120회 동안 점등과 소등을 반복하면서 해당 농작물에 기생하는 여러종류의 해충들을 유인하게 되는 것이고, 초기 10분이 경과된 이후 60분 동안에는 해당 광원(121)은 소등 상태를 유지는 등 70분을 주기로 상기와 같은 운전을 반복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광원부(100)의 광원(120)은 70분을 주기로 점등과 소등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다색분광필터부(200)의 필터홈(203,204,205)에 부착되는 각 분광필터는 10분을 주기로 근 적외선분광필터(210)와 근 자외선분광필터(220) 및 녹색파장분광필터(230)가 순차적으로 교체됨에 따라, 본 발명의 해충제거장치가 설치된 해당 농작물에는 근 적외선 광원(121)과 근 자외선 광원(122) 및 녹색파장 광원(123)이 70분을 주기로 10분 동안 발관되어 지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원이 최초로 점등되는 초기 10분동 안에는 근 적외선분광필터(210)에 의한 근 적외선 광원(121)이 발광된 후 60분의 휴지기간을 거친 후, 초기 70분에서 80분에 광원이 점등되는 기간에는 근 자외선분광필터(220)에 의한 근 자외선 광원(122)이 발광되어 지며, 그 후 또 60분의 휴지기간을 거친 후, 초기 140분에서 150분에 이르는 광원의 점등되는 기간에는 녹색파장분광필터(230)에 의한 녹색파장 광원(123)이 발광됨으로써, 해당 농작물에는 초기 70분 동안 여러종류의 해충이 근 적외선 광원(121)으로 쉽게 유인된 후, 초기 70분에서 140분에 동안에는 유인된 해충들이 근 자외선 광원(122)에 의하여 신속하게 박멸될 뿐만 아니라, 초기 140분에서 210분에 이르기까지는 녹색파장 광원(123)에 의하여 농작물의 엽록소 작용과 광합성 작용이 촉진되어 농작물의 성장을 촉진하게 되는 것이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의 실시예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는 얼마든지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결합상태를 도시한 전개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분광필터 수납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전개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광필터 수납부와
동력전달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결합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수용부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전기결선도
도 6a는 본 발명의 전원공급주기를 나타낸 타이밍챠트
도 6b는 본 발명의 제어회로에서 작동되는
입력교류전원의 운동주기를 나타낸 타이밍챠트
도 6c는 본 발명의 입력교류전원의 운동주기에 대한
각 직류모터의 작동주기를 나타낸 타이밍챠트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광원부
110 : 반사갓 120 : 광원
121 : 근 적외선 광원 122 : 근 자외선 광원
123 : 녹색계열의 광원
200 : 다색분광필터부
201 : 틀체 202,611,710 : 체결공
203,204,205 : 필터홈 210 : 근 적외선분광필터
220 : 근 자외선분광필터 230 : 녹색파장 분광필터
300 : 분광필터 수납부
310 : 분광필터연결부 320 : 걸림턱
330 : 필터수용부
331 : 승강바 332 : 공간부
333 : 안내레일 334 : 승강수단
335 : 승강홈 340 : 덮개
400 : 동력전달부
410 : 완충수단 411 : 완충재
412 : 관통부 420,430,440 : 권취수단
450,460,470 : 직류모터 480 : 받침판
500 : 제어부
501 : 교류전원 502 : 직류전원
510 : 정류회로 520 : 제어회로
600 : 본체
601 : 전원입력단자 602 : 직류전원출력단자
610 : 본체커버 612,613,614 : 표시램프
615 : 안내공 620 : 걸이용행거
630 : 힌지부
700 : 투명캡 720 : 결로방지공
730 : 체결부재

Claims (1)

  1. 통상의 농작물 병충해제거장치에 있어서,
    상면이 개방되고 외표면 테두리에 체결공(111)이 형성되고 내표면이 반사체로 이루어진 반사갓(110)의 내부 중심부로 수용되면서 농산물의 발육증대를 위하여 농산물에 가시광선 파장대역을 가진 광원(120)이 조사되는 광원부(100)와;
    내부가 관통된 틀체(201)의 전면 테두리에 다수개의 체결공(20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틀체(201)의 내주면에는 상기 광원부(100)의 광원(120)으로부터 조사되는 가시광선영역의 파장대역 중 농작물에 기생하는 해충의 유인에 적합한 근(近) 적외선 파장대역(540~584nm)의 광원만을 투과하는 근 적외선분광필터(210)와, 상기 유인된 해충의 사멸에 적합한 근(近) 자외선 파장대역(350~ 400nm)의 광원만을 투과하는 근 자외선분광필터(220) 및 농작물의 엽록소 작용과 광합성 작용을 촉진시키는 모든 녹색계열의 파장대역(410nm~500nm)의 광원만을 투과하는 녹색파장분광필터(230) 중 어느 하나의 분광필터를 선택적으로 수용 가능한 필터홈(203,204,205)이 각각 형성된 다색분광필터부(200)와;
    상면 중앙과 양단부에는 상기 필터홈(203,204,205)과 밀착되게 끼워 결합되는 분광필터연결부(310)와 상기 다색분광필터부(200)와 분리 결합되는 걸림턱(320)이 차례 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다색분광필터부(200)의 필터홈(203,204,205)과 결합되면서 내부에 상기 근 적외선분광필터(210), 근 자외선분광필터(220), 녹색파장분광필터(230)와 각 분광필터(210,220,230)를 지지하면서 선택적으로 승하강하는 승강바(331)를 수납하는 공간부(332)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332)의 좌우 측면에는 상기 승강바(331)를 승하강시키는 안내레일(333)이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332)와 인접한 위치에 상기 공간부(332)의 상면을 통과하면서 상기 승강바(331)와 연결된 로프형태의 승강수단(334)이 지나가는 승강홈(335)을 형성시킨 필터수용부(330)와, 상면에 는 상기 분광필터연결부(310)를 밀폐시키는 덮개(340)가 구비된 분광필터 수납부(300)와;
    상기 분광필터 수납부(300)의 필터수용부(330)와 결합되면서 상기 승강바(331)를 지탱하는 완충재(411)가 상부 표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승강바(331)와 연결된 승강수단(334)을 각각 통과시키는 관통부(412)가 형성된 완충수단(410)과, 상기 승강바(331)와 각각 연결된 승강수단(334)을 권회시켜 승하강시키는 권취수단(420,430,440)과, 안정된 직류전원(502)이 공급되면서 상기 권취수단(420,430,440)을 회전축에 장착시킨 직류모터(450,460,470)가 구비되어 상기 분광필터 수납부(300)의 하부 바닥면에 끼워 결합되는 받침판(480)으로 구성된 동력전달부(400)와;
    입력 교류전원(501)을 안정된 직류전원(502)으로 변환하는 정류회로(510)와, 상기 입력 교류전원(501)의 온/오프 작동구간에서 안정된 직류전원(502)을 동력전달부(400)에 일정주기로 반복하여 공급 또는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제어회로(520)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입력 교류전원(501)이 온/오프 작동구간 및 휴지구간을 가지면서 일정구간동안 반복적으로 상기 광원부(100)로 공급되게 하는 제어부(500)와;
    상기 광원부(100)의 반사갓(110) 하부를 내부로 수용하면서 외표면 테두리에는 상기 틀체(201)의 체결공(202)에 대응되는 체결공(611)이 형성되어 있고, 전면 중앙에 각 분광필터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램프(612,613,61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반사갓(110)의 외주면과 밀착되게 고정되는 본체커버(610)와, 일면에 전원입력단자(601)와 직류전원 출력단자(602)가 형성된 내부에 제어부(500)를 수용하면서 상면 일측으로 상기 본체커버(610)와 함께 걸이용 행거(620)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커버(610)의 일측 단부를 축으로 힌지부(630)가 구비된 본체(600)와;
    상기 다색분광필터부(200)의 틀체(201)와 결합되면서 투과율이 높은 투명재질로 된 외표면 테두리에는 별도의 상기 틀체의 체결공(202)과 상기 본체커버(610)의 체결공(611)에 대응되는 체결공(710)이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결로방지공(720)이 뚫린 투명캡(700);을 포함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분광필터부가 내장된 농작물 병충해제거장치.
KR1020090065245A 2009-07-17 2009-07-17 다색분광필터부가 내장된 농작물 병충해제거장치 KR2009008480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5245A KR20090084800A (ko) 2009-07-17 2009-07-17 다색분광필터부가 내장된 농작물 병충해제거장치
CN2009102080936A CN101953331A (zh) 2009-07-17 2009-10-27 内置有多光谱滤光部的农作物病害虫消灭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5245A KR20090084800A (ko) 2009-07-17 2009-07-17 다색분광필터부가 내장된 농작물 병충해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4800A true KR20090084800A (ko) 2009-08-05

Family

ID=41205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5245A KR20090084800A (ko) 2009-07-17 2009-07-17 다색분광필터부가 내장된 농작물 병충해제거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90084800A (ko)
CN (1) CN10195333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3062B1 (ko) * 2009-12-09 2011-08-02 최윤나 환경친화적 엘이디 조명
CN103749414A (zh) * 2013-12-26 2014-04-30 宁夏农林科学院 诱杀甘草种子小蜂成虫专用光源及其应用
KR20220006252A (ko) 2020-07-08 2022-01-17 주식회사 알파원 바이오램프를 활용한 해충방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38653B2 (ja) * 2012-05-11 2016-06-2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害虫防除照明システム
JP2013236562A (ja) * 2012-05-11 2013-11-28 Panasonic Corp 害虫防除照明装置
JP6153109B2 (ja) * 2013-04-05 2017-06-2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害虫駆除用照明装置
CN103704035B (zh) * 2013-12-27 2015-09-02 广东药学院 一种提高铁皮石斛多糖类和酚类成分的栽培方法
CN106190797A (zh) * 2016-07-23 2016-12-07 吉林建筑大学 一种用于微藻趋光性研究的装置
CN112293373B (zh) * 2020-10-30 2022-04-19 江西省农业科学院 一种基于多光谱滤光的农作物病害虫消灭装置
CN114208784B (zh) * 2022-01-21 2023-05-23 中国热带农业科学院环境与植物保护研究所 一种基于两种波长光源交替引诱椰心叶甲成虫的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3062B1 (ko) * 2009-12-09 2011-08-02 최윤나 환경친화적 엘이디 조명
CN103749414A (zh) * 2013-12-26 2014-04-30 宁夏农林科学院 诱杀甘草种子小蜂成虫专用光源及其应用
KR20220006252A (ko) 2020-07-08 2022-01-17 주식회사 알파원 바이오램프를 활용한 해충방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953331A (zh) 2011-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84800A (ko) 다색분광필터부가 내장된 농작물 병충해제거장치
RU2671096C2 (ru) Осветитель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борьбы с насекомыми
KR100945366B1 (ko) 친환경 주야간 해충 포획장치
KR100795435B1 (ko) 해충제거장치
CN101589701B (zh) 温室专用杀虫灯
KR102457324B1 (ko) 포충기
KR20060043085A (ko) 종일 점등형 광 방충기
JP2011254714A (ja) 殺虫装置
CN102177878B (zh) 一种生态杀虫器及生态杀虫方法
WO2016136742A1 (ja) 点滅照明による防虫方法および防虫用照明装置
KR101194928B1 (ko) 해충 포집장치
KR20120097077A (ko) 엘이디(led)조명과 페로몬을 이용한 해충 방제장치
KR20190032921A (ko) 살균 효과를 제공하는 uv led 장치
WO2020081031A2 (en) A catcher device developed for harmful flies and insects
CN107926886B (zh) 分时段控制诱虫波段杀虫系统及其控制方法
KR101152776B1 (ko) 흡입식 포충기가 설치된 식물 생육 램프 장치
KR200221535Y1 (ko) 포충기
JP2011072200A (ja) 光を利用したハダニ防除方法
KR101202989B1 (ko) 해충 생리 교란 장치
KR20100079275A (ko) 살충기
CN205357866U (zh) 电击杀虫器
TWM624126U (zh) 防止荔枝細蛾蟲害之照明裝置
CN220044645U (zh) 一种种苗栽培用防虫装置
CN218588037U (zh) 一种大棚用害虫诱捕灯
CN219437985U (zh) 一种蔬菜培育防虫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