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4418A - 지중배전설비 보수용 무정전 바이패스장치 및 이를 이용한바이패스공법 - Google Patents

지중배전설비 보수용 무정전 바이패스장치 및 이를 이용한바이패스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4418A
KR20090084418A KR1020080010602A KR20080010602A KR20090084418A KR 20090084418 A KR20090084418 A KR 20090084418A KR 1020080010602 A KR1020080010602 A KR 1020080010602A KR 20080010602 A KR20080010602 A KR 20080010602A KR 20090084418 A KR20090084418 A KR 200900844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ypass
uninterruptible
cable
connector
bypass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0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8588B1 (ko
Inventor
하주영
박준
Original Assignee
하주영
박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주영, 박준 filed Critical 하주영
Priority to KR1020080010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8588B1/ko
Publication of KR20090084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44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8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85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2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radiation, e.g. from the sun
    • F26B3/3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radiation, e.g. from the sun from infrared-emitt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9/00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 B05C9/08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and performing an auxiliary operation
    • B05C9/14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and performing an auxiliary operation the auxiliary operation involving heating or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9/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 F26B9/0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 F26B9/06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the products to be dried being disposed on one or more containers, which may have at least partly gas-previous walls, e.g. trays or shelves in a st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배전설비 보수용 무정전 바이패스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바이패스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도심지 내에서 전기 공급자가 전기 사용자에게 지상이 아닌 지중으로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사용하는 지중배전설비(저압케이블, 지중접속함 등)을 정전시키지 않고 보수하기 위한 지중배전설비 보수용 무정전 바이패스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바이패스공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기 공급자의 설비와 사용자의 설비 간을 병렬 연결하는 바이패스 케이블과,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과 지중배전 저압설비(지상변압기의 2차측 저압단자, 저압접속함, 사용자와 공급자 간의 접점)를 연결시키는 커넥터와; 각 회선을 여러회로로 나누어 주고 회로 간의 운전상태를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이 내재된 무정전제어장치와; 각 바이패스 케이블의 커넥터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보호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지중배전설비 보수용 무정전 바이패스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바이패스공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지중배전설비, 바이패스 케이블장치, 바이패스 케이블, 커넥터, 무정전제어장치, 보호커버

Description

지중배전설비 보수용 무정전 바이패스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바이패스공법{Uninterrupted power supply bypass device for repairing underground power lines and equipment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지중배전설비 보수용 무정전 바이패스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바이패스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심지 내에서 전기 공급자가 전기 사용자에게 지상이 아닌 지중으로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사용하는 지중배전설비(저압케이블, 지중접속함 등)을 정전시키지 않고 보수하기 위한 지중배전설비 보수용 무정전 바이패스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바이패스공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 우리나라의 경우 수력, 화력, 원자력 등을 이용하여 발전된 전기는 약 1 ∼ 5만 볼트 정도의 전압을 가지는데, 이러한 전기는 고압변전소에서 15만 4천 볼트 혹은 34만 5천 볼트로 승압된 후 저압변전소로 보내지게 되며, 저압변전소에서는 이를 2만 2천 ∼ 6만 6천 볼트로 감압하여 사용자 인근의 변압기로 송전하게 된다.
사용자 인근의 변압기로 송전된 전기는 다시 220볼트로 감압되어 사용자에 공급된다.
발전소에서 사용자에게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경로 상에는 철탑 등을 통해 연결된 가공선 구간과 전선을 땅속에 묻어 연결하는 지중선 구간이 존재하게 되는데, 최근 들어 도시개발 등을 통해 새로운 도시를 설계하는 경우에는 대부분 지중선 방식을 채택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도시미관을 위해 기존의 가공선 구간을 지중선 방식으로 교체하는 경우도 많아지고 있다.
그런데, 가공선을 이용한 송전방식을 채택하는 경우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355492호, 407376호와 같은 무정전배전공법을 사용하여 사용자에게 계속 전기를 공급하면서 변압기의 수리나 전봇대의 교체 등 각종 다양한 전기 공사를 행할 수 있지만, 지중선을 이용한 송전방식을 채택하는 경우에는 사용자 인근의 지상변압기에서 지중선 케이블을 제거하는 것이 매우 위험하여 정전을 예고하고 전기를 차단한 상태에서 각종 전기공사를 할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지중선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와 같은 무정전 공법을 사용하지 못하는 대표적인 문제점으로는, 지상변압기의 구조가 가공선 변압기와 달라 가공선 방식의 무정전 공법의 적용이 곤란할 뿐만 아니라, 육안으로 식별이 가능한 가공배전설비와는 다르게 지중배전설비는 지중으로 매설되어 있어 이에 대한 확인절차 없이 지중기기에서 활선 상태의 지중선 케이블을 분리해 내는 것 자체가 곤란한 점을 들 수 있다.
따라서, 지하에 매설되어 있는 지중배전설비의 보수 및 유지 관리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는 저압선이 고압선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덜 중요하게 여겨지지만 실제로는 저압선의 누전이나 저압선 관리의 부실로 인하여 고압선에 비하여 사고나 고장이 훨씬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일례로 저압 접속함이 협소하거나 접속함 내 설비가 복잡하여 유지 보수가 소홀한 상태에서 누전이 발생할 경우, 우천 시 행인이 감전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위험성을 전력회사의 설비 담당자나, 전기 안전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인지하고 있더라도 그 불량 개소를 보수하기 위하여, 그 접속함으로부터 전기를 공급받는 사용자와 정전협의를 한 후, 작업시간 동안 전기의 공급을 중단한 상태에서 접속함을 넓히는 동시에 접속함 내부의 저압케이블을 정비하여야 하는 번거로움 및 불편함이 있다.
그러나, 이는 현실적으로 어려움에 봉착하게 되는데, 특히 지중배전선로를 이용하여 전기를 공급받는 사용자는 대부분 4차선 이상의 도로에 인접한 건축물로서, 내부에 PC방이나 유흥업소 등이 영업을 하고 있어 그들과의 마찰을 피할 수 없다.
따라서, 현재는 영업을 하지 않는 새벽이나 휴일에 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추가 공사비가 발생하게 되며, 이것마저 불가능할 경우, 불량 개소가 장기간 방치되어 누전이 지속적으로 발생되는 결과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특허등록 제10-769583호의 "무정전 공법에 의한 지중배전선로의 지상 변압기 교체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는 비록 지중배전설비에 적용되는 무정전공법이나 지중변압기의 교체에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지중배전선로의 저압접속함 및 그 접속함을 통과하는 저압선의 보수에는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바이패스 케이블 적용공법을 이용하여 활선상태로 지상 변압기에 전원을 연결하는 방법으로 가정이나 사무실, 공장 등과 같은 사용자에 지속적으로 전원을 공급는 무정전 상태에서 지중배전설비를 보수 또는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지중배전설비 보수용 무정전 바이패스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바이패스공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설비 보수용 무정전 바이패스장치는, 전기 공급자의 설비와 사용자의 설비 간을 병렬 연결하는 바이패스 케이블(10)과;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10)과 지중배전 저압설비(지상변압기의 2차측 저압단자, 저압접속함, 사용자와 공급자 간의 접점)를 연결시키는 커넥터(20)와; 각 회선을 여러회로로 나누어 주고 회로 간의 운전상태를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이 내재된 무정전제어장치(30)와; 각 바이패스 케이블(10)의 커넥터(20)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보호커버(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설비 보수용 무정전 바이패스장치를 이용한 바이패스공법은, 무정전 공사구간 내 지상변압기(100)의 지중 저압배선케이블 회선을 탐사하여 경과지 및 사용자 사항을 파악하고 작업방법을 결정하는 제1단계와;
바이패스 할 회선의 부하전류 측정 후 작업구간 내 바이패스 케이블(10)의 포설수 또는 포설 구간을 결정하고 포설하는 제2단계와;
무정전제어장치(30)의 온/오프 스위치(33) 작동 상태가 off인가를 확인하고 상기 무정전제어장치(30)에 바이패스 케이블(10)을 커넥터(20)를 통해 연결하는 제3단계와;
지상변압기(100), 저압접속함(110), 사용자 인입 개소 등에 바이패스 케이블(10)을 연결하는 제4단계와;
상기 무정전제어장치(30)를 통해 활선 및 결상 상태를 확인 후 회선확인 스위치(35)를 작동시켜 정상적인 회로가 구성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온/오프 스위치(33)를 작동시켜 병렬 운전하는 제5단계와;
작업장소의 부하측 저압케이블(120)을 절단하고 절연캡을 설치한 다음, 사용자의 인입점에서 전압을 측정하는 제6단계와;
작업장소의 전원측 저압케이블(120)을 절단 후 절연캡을 설치한 다음, 작업구간방향의 케이블을 검전하고 사선상태를 확인하는 제7단계와;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10)의 전류 측정 후 이상이 없을 시에 지중배전설비의 보수 작업을 시행하는 제8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설비 보수용 무정전 바이패스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바이패스공법에 의하면, 커넥터를 사용하여 접점 간의 연결 분리를 용이하게 하고, 각기 다른 개소에 적합한 커넥터를 바이패스 케이블에 조합하여 사용하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기설치된 설비의 외부 영향을 최소화하여 또 다른 고장 발생 요인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설비 보수용 무정전 바이패스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설비 보수용 무정전 바이패스장치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설비 보수용 무정전 바이패스장치의 무정전제어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설비 보수용 무정전 바이패스장치의 보호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설비 보수용 무정전 바이패스장치의 정상적인 병렬 운전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b는 도 7a의 운전상태에서의 폐회로를 나타내며,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설비 보수용 무정전 바이패스장치의 비정상적인 병렬 운전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b는 도 8a의 운전상태에서의 폐회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공급자의 설비와 사용자의 설비 간을 병렬 연결하는 바이패스 케이블(10)과;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10)과 지중배전 저압설비(지상변압기(100)의 2차측 저압단자, 저압접속함(110), 사용자와 공급자간의 접점)를 연결시키는 커넥터(20)와; 각 회선을 여러회로로 나누어 주고 회로 간의 운전상태를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이 내재된 무정전제어장치(30)와; 각 바이패스 케이블(10)의 커넥터(20)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보호커버(40)를 포함하여 구 성된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10)은 실리콘 고무의 특징을 그대로 발휘하는 실리콘 고무재질의 절연 전선으로 이루어지며, 고인열, 난열, 고전압, 고강도, 초내열성을 갖는다.
또한, 유연성이 매우 우수하여 배선 및 설치가 용이한 케이블이다.
상기 커넥터(2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상변압기용 커넥터(21), 전기 공급자와 사용자간의 접점용 커넥터인 인입용 커넥터(22), 저압접속함용 커넥터(23)로 구성되는 바, 상기 지상변압기용 커넥터(2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212)에 체결공(211)이 형성된 지상변압기(100)의 저압단자대(210)와, 바이패스 케이블(10)과 고정핀(미도시)을 사용하여 탈착이 용이하도록 연결되며 그 상측에 상기 저압단자대(210)에 형성된 체결공(211)과 매칭되는 체결공(216)을 갖는 도체부(215)와, 상기 저압단자대(210) 및 도체부(215)에 형성된 체결공(211,216)에 체결되는 체결볼트(230)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 저압단자대(210)의 체결공(211)에 도체부(215)의 체결공(216)을 일치시킨 다음, 상기 체결볼트(230)를 통해 체결하여 무정전제어장치(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인입용 커넥터(2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패스 케이블(10)과 고정핀을 사용하여 탈착이 용이하도록 연결되며 사용자측과 접속되는 저압종단접속재(225)와 연결되는 도체부(220)와, 상기 도체부(220)가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연결부(226)를 다수개 갖는 저압종단접속재(225)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저압접속함용 커넥터(2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패스 케이블(10)과 고정핀을 사용하여 탈착이 용이하도록 연결되며 그 상측에 저압케이블(120)이 연결되도록 클램프(clamp)형으로 이루어진 도체부(230)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이와 같은 커넥터(20)들은 다른 종류의 커넥터들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무정전제어장치(30)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패스 케이블(10)의 활선 여부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활선확인램프(31)와, 분기 회로 간의 결상 여부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결상확인램프(32)와, 무정전제어장치(30)의 작동 여부를 제어하는 온/오프 스위치(33)와, 각 회선을 여러회로로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10)과 일체 결합된 도체부가 연결되는 연결부(34)와, 병렬 운전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회선확인 스위치(35)를 포함하고 있다.
각 바이패스 케이블(10)의 커넥터(20)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보호커버(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상변압기용, 종단접속재용, 저압접속함용, 바이패스 케이블용 보호커버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무정전제어장치(30)는 첨부한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적인 바이패스 병렬 운전상태에서 도 7b의 폐회로를 구성하게 되는 바, 이러한 폐회로의 구성 여부는 정상적인 바이패스 구간이 형성되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는 중요한 매개체이다.
이때, 상기 무정전제어장치(30)에 구비된 회선확인 스위치(35)는 접점에 일 정한 크기로 송신된 DC전류가 폐회로를 통해 귀로하여 회선확인램프(36)의 점등이 이루어질 경우, 이를 통해 폐회로의 구성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반면에,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정상적인 운전상태에서 병렬운전을 할 경우,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회로가 형성되지 않게 되어 상기 회선확인램프(36)가 점등되지 않게 되므로, 이를 검출하여 오류를 확인하고 이를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만일, 이러한 오류를 발견하지 못하고 병렬운전을 지속할 경우 다른 지상변압기 사이에서 병렬운전이 이루어져 변압기의 소손, 정전고객 발생 등,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을 이용한 지중배전설비의 보수 또는 교체작업 공정을 시행하기에 앞서 작업 구간의 회선탐사를 수행하게 하는데, 이때 얻게 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바이패스 회로를 구성하게 된다.
그러나, 병렬운전을 하기 전에 본 발명의 기능을 활용하여 정확한 회로가 형성되어 있는지 확인하지 않으면 많은 문제가 발생되므로 본 발명은 이 기능을 내재하여 지중배전설비의 무정전 바이패스 공정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설비 보수용 무정전 바이패스장치를 이용한 무정전 바이패스 공정을 도 9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① 작업자는 무정전 공사구간 내 지상변압기(100)의 지중 저압배선케이블 회선을 탐사하여 경과지 및 사용자 사항을 파악하고 작업방법을 결정한다.
② 바이패스 할 회선의 부하전류 측정 후 작업구간 내 바이패스 케이블(10)의 포설수 또는 포설 구간을 결정하고 포설한다.
③ 무정전제어장치(30)의 온/오프 스위치(33) 작동 상태가 off인가를 확인하고 상기 무정전제어장치(30)에 바이패스 케이블(10)을 커넥터(20)를 통해 연결한다.
④ 지상변압기(100), 저압접속함(110), 사용자 인입 개소 등에 바이패스 케이블(10)을 연결한 후 각 구조물별로 보호커버(40)를 설치한다.
⑤ 상기 무정전제어장치(30)에 구비되어 있는 활선확인램프(31) 및 결상확인램프(32)를 통해 활선 및 결상 상태를 확인후 회선확인 스위치(35)를 작동시켜 정상적인 회로가 구성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온/오프 스위치(33)를 작동시켜 병렬 운전한다.
⑥ 작업장소의 부하측 저압케이블(120)을 절단하고 절연캡을 설치한 다음, 사용자의 인입점에서 전압을 측정한다.
⑦ 가압되어 있는 바이패스 케이블(10)의 부하를 측정하고 이상 유무를 확인한다.
⑧ 작업장소의 전원측 저압케이블(120)을 절단 후 절연캡을 설치한 다음, 작업구간방향의 케이블을 검전하고 사선상태를 확인한다.
⑨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10)의 전류 측정 후 이상이 없을 시에 지중배전설비의 보수 작업을 시행한다.
⑩ 보수 작업의 완료 후에 철거는 설치의 역순으로 시행한다.
위와 같은 보수 작업을 통해 지중배전설비에 의하여 전원을 공급받는 수많은 가정이나 기업체 등과 같은 사용자의 불편이나 경제적 손실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바, 이를 통해 협소한 저압접속함(110) 확장, 저압접속함(110) 내부 복잡설비 보수, 지중배전 간선 케이블 교체, 저압접속함(110)에서 인입점까지 인입케이블 교체, 누전케이블 교체, 인입 개소 정비, 지상변압기(100) 교체, 뱅크간 부하조정 등이 가능한 새로운 지중배전설비 보수용 무정전 바이패스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바이패스공법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설비 보수용 무정전 바이패스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설비 보수용 무정전 바이패스장치의 지상변압기용 커넥터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설비 보수용 무정전 바이패스장치의 인입용 커넥터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설비 보수용 무정전 바이패스장치의 저압접속함용 커넥터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설비 보수용 무정전 바이패스장치의 무정전제어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및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설비 보수용 무정전 바이패스장치의 보호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설비 보수용 무정전 바이패스장치의 정상적인 병렬 운전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b는 도 7a의 운전상태에서의 폐회로,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설비 보수용 무정전 바이패스장치의 비정상적인 병렬 운전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b는 도 8a의 운전상태에서의 폐회로,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설비 보수용 무정전 바이패스장치의 작업 공 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바이패스 케이블 20 : 커넥터
30 : 무정전제어장치 40 : 보호커버

Claims (7)

  1. 전기 공급자의 설비와 사용자의 설비 간을 병렬 연결하는 바이패스 케이블(10)과;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10)과 지중배전 저압설비(지상변압기의 2차측 저압단자, 저압접속함, 사용자와 공급자 간의 접점)를 연결시키는 커넥터(20)와; 각 회선을 여러회로로 나누어 주고 회로 간의 운전상태를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이 내재된 무정전제어장치(30)와; 각 바이패스 케이블(10)의 커넥터(20)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보호커버(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배전설비 보수용 무정전 바이패스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10)의 커넥터(20)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보호커버(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배전설비 보수용 무정전 바이패스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20)는 플레이트(212)에 체결공(211)이 형성된 지상변압기(100)의 저압단자대(210)와, 바이패스 케이블(10)과 고정핀을 사용하여 탈착이 용이하도 록 연결되며 그 상측에 상기 저압단자대(210)에 형성된 체결공(211)과 매칭되는 체결공(216)을 갖는 도체부(215)와, 상기 저압단자대(210) 및 도체부(215)에 형성된 체결공(211,216)에 체결되는 체결볼트(230)로 이루어진 지상변압기용 커넥터(21)와;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10)과 고정핀을 사용하여 탈착이 용이하도록 연결되며 사용자측과 접속되는 저압종단접속재(225)와 연결되는 도체부(220)와, 상기 도체부(220)가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연결부(226)를 다수개 갖는 저압종단접속재(225)로 이루어진 인입용 커넥터(22)와;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10)과 고정핀을 사용하여 탈착이 용이하도록 연결되며 그 상측에 저압케이블(120)이 연결되도록 클립형으로 이루어진 도체부(230)로 이루어진 저압접속함용 커넥터(2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배전설비 보수용 무정전 바이패스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정전제어장치(30)는 바이패스 케이블(10)의 활선 여부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활선확인램프(31)와, 분기 회로 간의 결상 여부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결상확인램프(32)와, 무정전제어장치(30)의 작동 여부를 제어하는 온/오프 스위치(33)와, 각 회선을 여러회로로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10)과 일체 결합된 도체부가 연결되는 연결부(34)와, 병렬 운전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회 선확인 스위치(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배전설비 보수용 무정전 바이패스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선확인 스위치(35)는 접점에 일정한 크기로 송신된 전류가 폐회로를 통해 귀로하여 감지될 경우, 그 폐회로의 구성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점등되는 회선확인램프(3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배전설비 보수용 무정전 바이패스장치.
  6. 무정전 공사구간 내 지상변압기(100)의 지중 저압배선케이블 회선을 탐사하여 경과지 및 사용자 사항을 파악하고 작업방법을 결정하는 제1단계와;
    바이패스 할 회선의 부하전류 측정 후 작업구간 내 바이패스 케이블(10)의 포설수 또는 포설 구간을 결정하고 포설하는 제2단계와;
    무정전제어장치(30)의 온/오프 스위치(33) 작동 상태가 off인가를 확인하고 상기 무정전제어장치(30)에 바이패스 케이블(10)을 커넥터(20)를 통해 연결하는 제3단계와;
    지상변압기(100), 저압접속함(110), 사용자 인입 개소 등에 바이패스 케이블(10)을 연결하는 제4단계와;
    상기 무정전제어장치(30)를 통해 활선 및 결상 상태를 확인 후 회선확인 스위치(35)를 작동시켜 정상적인 회로가 구성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온/오프 스위치(33)를 작동시켜 병렬 운전하는 제5단계와;
    작업장소의 부하측 저압케이블(120)을 절단하고 절연캡을 설치한 다음, 사용자의 인입점에서 전압을 측정하는 제6단계와;
    작업장소의 전원측 저압케이블(120)을 절단 후 절연캡을 설치한 다음, 작업구간방향의 케이블을 검전하고 사선상태를 확인하는 제7단계와;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10)의 전류 측정 후 이상이 없을 시에 지중배전설비의 보수 작업을 시행하는 제8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배전설비 보수용 무정전 바이패스장치를 이용한 바이패스공법.
  7. 제6항에 있어서,
    제6단계 및 제7단계는 그 사이에 바이패스 케이블(10)의 부하를 측정하고 이상 유무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배전설비 보수용 무정전 바이패스장치를 이용한 바이패스공법.
KR1020080010602A 2008-02-01 2008-02-01 지중배전설비 보수용 무정전 바이패스장치 및 이를 이용한바이패스공법 KR1009685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0602A KR100968588B1 (ko) 2008-02-01 2008-02-01 지중배전설비 보수용 무정전 바이패스장치 및 이를 이용한바이패스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0602A KR100968588B1 (ko) 2008-02-01 2008-02-01 지중배전설비 보수용 무정전 바이패스장치 및 이를 이용한바이패스공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8610A Division KR20100029809A (ko) 2010-03-02 2010-03-02 지중배전설비 보수용 무정전 바이패스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바이패스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4418A true KR20090084418A (ko) 2009-08-05
KR100968588B1 KR100968588B1 (ko) 2010-07-08

Family

ID=41204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0602A KR100968588B1 (ko) 2008-02-01 2008-02-01 지중배전설비 보수용 무정전 바이패스장치 및 이를 이용한바이패스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858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611B1 (ko) * 2010-02-24 2011-09-28 유정철 무정전 변압기용 시험기
KR101126214B1 (ko) * 2010-06-04 2012-03-22 주식회사 건영종합전기 배전계통 송전선로상의 무정전 변압기 변경 연결방법
KR101487396B1 (ko) * 2011-02-18 2015-01-28 한국전력공사 드럼 장치, 임시 송전 장치 및 임시 송전 방법
KR101704613B1 (ko) * 2016-03-30 2017-02-08 미래전기기술단(주) 활선 상태에서의 배전선로 교체장치
CN115864071A (zh) * 2022-12-01 2023-03-28 江苏卓胜微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旁路接头、加工设备以及维护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7193B1 (ko) 2011-08-16 2012-06-20 (주)번계전 무정전 바이패스 장치
KR20230013838A (ko) 2021-07-20 2023-01-27 서현경 바이패스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9118Y1 (ko) * 2000-10-25 2001-04-02 한국전력공사 저압용 다단자 커넥터
KR20020059107A (ko) * 2000-12-31 2002-07-12 양재신 스핀들 헤드의 칩 비산방지장치
KR200259107Y1 (ko) * 2001-09-24 2001-12-29 최종석 이동용 무정전 변압기
KR100434657B1 (ko) * 2002-02-19 2004-06-04 한국가상현실 (주) 가상현실을 기반으로 한 3차원 주택인테리어 가공방법 및 기록매체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611B1 (ko) * 2010-02-24 2011-09-28 유정철 무정전 변압기용 시험기
KR101126214B1 (ko) * 2010-06-04 2012-03-22 주식회사 건영종합전기 배전계통 송전선로상의 무정전 변압기 변경 연결방법
KR101487396B1 (ko) * 2011-02-18 2015-01-28 한국전력공사 드럼 장치, 임시 송전 장치 및 임시 송전 방법
KR101704613B1 (ko) * 2016-03-30 2017-02-08 미래전기기술단(주) 활선 상태에서의 배전선로 교체장치
CN115864071A (zh) * 2022-12-01 2023-03-28 江苏卓胜微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旁路接头、加工设备以及维护方法
CN115864071B (zh) * 2022-12-01 2023-09-26 江苏卓胜微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旁路接头、加工设备以及维护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8588B1 (ko) 201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8588B1 (ko) 지중배전설비 보수용 무정전 바이패스장치 및 이를 이용한바이패스공법
US8076923B2 (en) Dead-line phase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US7611366B2 (en) Meter socket bypass disconnect device
CN101563824B (zh) 用于确定已断开电力设施的阻抗的系统和方法
US7345489B2 (en) Arc fault and ground fault circuit interrupter tester apparatus and method
KR101566069B1 (ko) 부스덕트용 분기장치
KR20100054948A (ko) 단상변압기장치(이동용)를 이용한 주상변압기 (단상 또는 삼상) 무정전교체공법
Wiles Photovoltaic system grounding
KR20100029809A (ko) 지중배전설비 보수용 무정전 바이패스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바이패스공법
CN108459230B (zh) 电气高压设备故障检测方法
KR100676225B1 (ko) 활선 저압 배전선로의 누전여부 탐지 및 보수 방법
US7302752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n extended test switch
CN110501658A (zh) 一种便携式用于直流试验电源绝缘监测与故障查找仪
KR100757730B1 (ko) 지중선의 무정전 공법
Selkirk et al. Why neutral-grounding resistors need continuous monitoring
JP6411830B2 (ja) 電力システム、小出力発電ユニット、および、蓄電ユニット
KR20040003931A (ko) 단로기가 내장된 옥외용 케이블접속함 및 이를 이용한전력케이블의 고장 검출방법
JP2010217019A (ja) 絶縁地絡監視装置
CN104198952A (zh) 核电站6.6kV移动应急电源的可靠性验证方法
CN102611019B (zh) 带负荷更换隔离开关的方法及其引流装置
KR200291146Y1 (ko) 단로기가 내장된 옥외용 케이블접속함
Ylä-Outinen Techno-economic Feasibility of Novel On-Line Condition Monitoring Methods in Low Voltage Distribution Networks
Hunt Electrical planning and design for geothermal power project
Achleitner et al. Earth fault localization in isolated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PS) networks-a new approach
Field PART 2-PRODU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