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9118Y1 - 저압용 다단자 커넥터 - Google Patents

저압용 다단자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9118Y1
KR200219118Y1 KR2020000029768U KR20000029768U KR200219118Y1 KR 200219118 Y1 KR200219118 Y1 KR 200219118Y1 KR 2020000029768 U KR2020000029768 U KR 2020000029768U KR 20000029768 U KR20000029768 U KR 20000029768U KR 200219118 Y1 KR200219118 Y1 KR 2002191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ranch
low voltage
low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97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숙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20200000297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91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91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9118Y1/ko

Links

Landscapes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좁은 공간의 맨홀 또는 핸드홀내에서 저압케이블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분기할 수 있고, 케이블의 배치를 하향시공으로 통일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기 접속장치를 일원화할 수 있는 지중 저압선로용 저압 다단자 커넥터를 제공한다. 그 저압 다단자 커넥터는 일정길이를 갖는 모선도체; 상기 모선도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분기단자; 및 상기 각각의 분기단자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저압케이블이 연결되는 접속단자로 구성된다. 모선도체, 분기단자 및 접속단자는 고강도 폴리에틸렌 절연수지와 같은 고분자 합성수지 재질로 절연 피막되며, 모선도체의 단면은 각각의 모서리가 라운딩 처리되고, 분기단자의 개수는 연결될 분기회로 수에 따라 설정되며 상기 모선도체의 단면보다 직경이 작은 원형단면을 이루며, 상기 각각의 분기단자의 하단부에는 볼록부가 형성된다.

Description

저압용 다단자 커넥터{Multi-connector for low voltage}
본 고안은 저압용 다단자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저압 지중선로용 맨홀이나 핸드홀내에서 3회선 이상의 저압케이블을 분기할 때 사용하며, 지중 저압분기장치를 각각의 상별로 구분하여 시설함으로써 회선구분이 용이하고 설치방법이 간단하며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는 저압 다단자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형적인 도시주택 및 상가지역에서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압케이블 접속장치를 지중 저압계통에서 고객측의 인입용 핸드홀(1a)에 연결되는 저압용 핸드홀(1)내 벽면에 분기회선 수 만큼 설치함으로써, 분기회선이 많은 경우 더 이상의 추가 설치공간을 확보하기가 곤란한 경우가 있다. 또한, 전기 공급방식별로 규격이 상이하여 7종류의 다양한 저압케이블 접속장치가 설치되어 미관이 깨끗하지 못할 뿐 아니라 설비관리에 곤란함이 많았다.
또한, 이와 같은 저압케이블 접속장치의 설치방식에 의하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압케이블 접속장치(2)의 지지대를 벽면에 앵커볼트로 고정시킨 후 그 위에 본체를 부착시킨 다음 지지대 덮개(3)를 덮고 볼트(4)로 견고하게 조인다. 그리고 방수 및 절연용도의 접속탭(5)을 사용규격에 맞게 절단하고, 내장된 그리스를 접속탭에 바른 다음 해당 저압케이블에 삽입한다.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압케이블을 접속길이에 맞춰 절단한 후 도체 끝부분의 외피를 벗긴 다음 접속 슬리브(6)를 압축기로 압축하여 압축부(6a)를 형성한다. 이후, 본체 방수캡(7)을 분리하고, 접속 슬리브(6)가 취부된 저압케이블을 본체에 끼워 L형 렌치를 사용해서 고정볼트를 견고하게 조인 다음 접속탭(5)과 방수캡(7)을 밀어 삽입하여 접속장치를 설치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회로별로 설치하는 종래의 접속장치는 도심지에서 회선수가 많을 경우 다수의 추가 접속장치가 필요하고, 접속슬리브를 삽입한 상태에서 조임볼트의 가압력에 의해 접속하는 도체연결방식은 조임볼트 이완시 케이블이 쉽게 이탈되거나, 접촉면적이 줄어 전기적 저항이 증가함으로써 접속개소의 과열이 발생한다.
최근에는, 이와 같은 결점을 보완하기 위해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발된 접속슬리브(6)의 경우 볼트와 접하는 압착면에 홈(8)이 형성된 접속슬리브를 사용함으로써, 볼트의 이완시 케이블이 이탈되는 것을 다소 방지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 방식은 또한 볼트이완에 따른 접속불량을 피할 수 없다. 또한, 기존의 단상 고객이 3상으로 전기공급방식을 변경할 경우, 기설 단상용 저압케이블 접속장치를 철거하고 3상용으로 재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여전히 존재하는 결점이 있다.
또한, 3상용 접속장치를 추가로 분기접속하는데 따른 추가 접속장치가 요구되는 문제는, 도 16a 및 16b의 구조물용 접속장치(9)에 의해 다소간 해소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와 마찬가지로 접속함 내에서 볼트 압착방식의 도체연결방식을 그대로 적용하고 있어, 볼트 결합방식에 비하여 완전한 결합력을 기대하기 곤란하고 접속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분기 접속장치를 벽에 고정해야 하므로 소규모 핸드홀에서는 설치작업이 곤란하고, 원활한 작업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때때로 구조물의 위치가 먼거리에 설치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기존 핸드홀에 시설된 대부분의 저압케이블 접속장치의 시설위치는 상황에 따라 편리한 위치에 불규칙적으로 시설되므로 신규 저압케이블이 기설 케이블과 꼬이는 현상이 발생되어 맨홀내 케이블 배치가 복잡하여 관리 및 보수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일반적인 맨홀이나 핸드홀에 시설된 대부분의 종래의 저압케이블 접속장치에서는 작업성의 저하는 물론, 자재의 호환성과 추가 자재 발생 등 지속적인 문제가 초래되고 있다. 또한 구조물용으로 개발된 접속장치의 접속방식과 접속상태의 적정성 여부에 대한 직관적인 판단 또는 예상이 곤란하여 유지보수의 원활성 및 합리성을 기대하기 곤란한 결점이 있다.
이밖에도, 기존의 지중 저압선로는 저압케이블 접속장치에 의한 부하전환이 곤란하여 무정전공법을 적용할 수 없어 선로작업에 따른 정전이 불가피하므로, 작업할 때 마다 고객의 양해를 구해야 하며, 이로 인한 피해를 회피하기 위해 심야에 작업을 시행해야하는 불편함이 초래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전술된 문제점 및 단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저압케이블의 추가 분기가 용이하도록 각 상별로 저압 다단자 커넥터를 설치하여 전기공급방식에 상관없이 간편하게 분기할 수 있는 저압용 다단자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작업의 간편성 및 용이성을 통해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기존의 저압케이블 접속장치보다 설비의 신뢰성과 활용도가 향상된 저압용 다단자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기존의 저압케이블 분기용 맨홀이나 핸드홀의 규모를 축소하거나 매우 소규모 규격으로 제작할 수 있어 경제성과 시공성은 물론 지리적 여건으로 대규모 구조물을 불가피하게 먼 거리에 설치하여 분기하는 것이 회피될 수 있는 저압용 다단자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분기 접속단자 와 도체 터미널간의 볼트결합을 변화시켜 완벽한 결합력을 기대할 수 있고 결합상태를 직접 육안으로 판단할 수 있어 유지 및 보수작업이 원활하며, 컴팩트한 분기장치의 구조로 구조물 내부 작업공간을 더욱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는 저압용 다단자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추가적인 분기작업이 필요할 경우에도 추가 접속장치가 요구되지 않으며, 저압케이블의 도체 터미널을 분기 접속단자와 볼트로만 간단하게 결합하여 이룰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는 저압용 다단자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저압 다단자 커넥터를 지중 저압선로에 적용할 때, 이동용 변압기차나 발전기차와 같은 이동용 전원단자를 여유단자에 손쉽게 접속할 수 있어 무정전공법 적용이 가능하며, 임시전원을 필요로 할 때 별도의 추가 자재의 사용이 생략될 수 있는 저압용 다단자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a, 1b 는 본 고안에 따른 저압 다단자 커넥터로서 6회로용 커넥터와 4회로용 커넥터를 각각 보여주는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유노출형 저압 다단자 커넥터가 핸드홀내에 적용된 실시예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고정설치형 저압 다단자 커넥터가 핸드홀내에 설치된 실시예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4a는 자유노출형 저압 다단자 커넥터의 사시도.
도 4b는 고정형 저압 다단자 커넥터의 접속탭의 사시도.
도 4c는 저압 다단자 커넥터의 측면도.
도 4d 및 4e는 저압 다단자 커넥터의 이면도 및 접속단자 너트 삽입홈의 확대사시도.
도 4f는 접속탭의 부분 절취 사시도.
도 5는 저압케이블의 도체 터미널을 보여주는 평면도 및 측면도.
도 6은 접속탭의 저압케이블 삽입 및 케이블 절연체의 제거방식을 보여주는 측면도.
도 7a 및7b 는 지지대를 매입 시공하는 측면도 및 정면도.
도 8a,8b 및 8c는 저압 다단자 커넥터의 설치측면도, 정면도 및 사시도.
도 9a는 각도조절형 지지대의 부분 확대 사시도.
도 9b는 각도조절형 지지가대.
도 9c는 각도조절형 지지대에 설치된 지지가대의 정면도.
도 10은 각도조절형 지지대에 설치된 저압 다단자 커넥터의 측면도.
도 11은 도 10에 적용된 방진용 고무의 사시도.
도 12는 상부지지대의 사시도.
도 13은 전형적인 도시 주택 및 상가지역의 지중 저압선로의 하나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계통도.
도 14는 종래의 3상 4선식과 단상 3선식 저압케이블 접속장치의 정면도.
도 15a 및 15b는 종래의 구조물용 소형 및 대형 저압케이블 접속장치의 정면도.
도 16a 및 16b는 종래의 저압케이블 접속장치의 개선전 및 개선후의 접속슬리브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다단자 커넥터 12: 모선도체
14: 분기단자 16: 접속단자
18: 저압케이블 20: 도체 터미널
22: 접속탭 40: 지지대
58: 방진고무 62: 각도조절용 지지대
이 같은 목적들은 지중 배전계통의 맨홀이나 핸드홀에서 저압케이블을 분기하기 위한 접속장치로 사용하는 자유형 저압 다단자 커넥터 또는 고정형 저압 다단자 커넥터와 같은 저압용 다단자 커넥터에 있어서, 일정길이를 갖는 모선도체; 상기 모선도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개의 분기단자; 및 상기 각각의 분기단자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저압케이블이 연결되는 접속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용 다단자 커넥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저압용 다단자 커넥터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저압용 다단자 커넥터(10)는 예컨대 직선형의 모선 도체(12)를 구비한다. 모선 도체(12)는 완전한 절연 뿐 아니라 외부 충격에 견딜 수 있도록 예컨대, 고강도 폴리에틸렌 절연수지 등으로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선 도체(12)에는 선로분기 회로수에 따라 6회로용(도 1a) 또는 4회로용(도 1b)으로 구성되거나 도시되지 않은 8회로용과 같이 복수개로 분기되는 분기단자(14)가 일체로 형성된다. 각각의 분기단자(14)의 단부에는 접속단자(16)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저압 다단자 커넥터의 모선도체(12)와 각각의 분기용 접속단자(16)는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전도성이 우수한 동(Cu)과 같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현재 한국의 지중 배전 계통에 사용하는 지중 배전용 변압기의 최대 용량이 단상 200kVA와 3상 500kVA의 2차전류 크기인 것을 감안하여 모선도체(12)의 허용전류는 1000A로 설정되며, 각 분기단자(14)의 허용전류는 최상위 규격인 325㎟ 저압케이블의 최대 허용전류인 630A가 기준으로 설정될 수 있다. 물론, 이 같은 기준은 적용되는 배전계통의 정격전류에 따라 규격 조정이 가능함은 당연하다.
각각의 분기단자(14)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압케이블(18)과의 접속이 이루어지는 접속단자(16)를 제외한 부분까지 모선 도체(12)와 함께 절연피막되며, 접속단자(16) 부분은 저압케이블 도체 터미널(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절연되지 않는 대신 접속탭(22)을 끼워 절연한다. 접속탭(22)은 절연성능과 방수성능이 우수하고 내화학성을 갖는 재질로 성형(moldimg)한 구조이다. 한편, 접속탭(22)의 상단부에는 오목하게 수축된 탄성부(24)가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24)의 하부에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며 내부로 돌출되는 예컨대, 3개의 탄성 고무링(26)이 형성된다. 또한, 접속탭(22)의 하단부에는 각각 다른 직경을 갖는 복수개의 탭(28)이 형성된다. 각각의 탭(28)의 단부에는 상호 일정한 간격을 이루는 2개의 내부 고무링(30)이 형성되어 있어, 케이블이 곡률을 이룰 때 분기단자(14) 및 저압케이블(18)의 접촉부분에서 완전하게 밀봉 및 방수되는 구조를 이루게 된다. 설혹, 접속탭(22)에 대한 작업성이나 재활용성이 저하된다 하더라도, 보다 영구적인 방수와 절연을 위해 열수축형 튜브(heat shrinkable tube) 또는 열수축형 시트(heat shrinkable sheat)로 성형하거나, 자기융착 절연테이프와 방수테이프를 병행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본원에서는 작업성을 고려하여 접속탭(22)을 사용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저압 다단자 커넥터(10)의 분기단자(14)가 지면을 항하는 방향일 때는 각각의 분기단자(14)의 하단부(30)의 직경은 상단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접속탭(22)이 삽입되는 경우 그 접속탭(22)이 쉽게 이탈되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한다.
각각의 접속단자(16)는 저압케이블(18)의 도체터미널(20)을 볼트로 결합할 때 분기단자(14)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체터미널(20)을 접속단자(16)에 결합했을 때, 그 부분의 외접원 지름이 분기단자(14) 하단부(30)의 지름보다 커지지 않도록 접속단자(16)와 도체터미널(20)이 결합되는 접속단자(16) 부분을 도체터미널(20)의 두께와 길이 만큼 절취한 구조로 한다. 또 접속단자(16)에는 결합볼트(34)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하 2개의 볼트구멍(34)이 형성된다. 또한, 접속단자(16)의 도체터미널(20)이 결합되는 반대측에는 볼트(32)가 헛돌지 않도록 하기 위해 약7∼8㎜ 정도 깊이의 6각 삽입홈(36)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압케이블(18)을 분기하고자 할 때, 구조물의 규격에 따라 소규모 핸드홀인 경우에는 자유노출형 저압 다단자 커넥터(10')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도 2), 작업자의 출입이 가능하고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크기의 맨홀이나 핸드홀의 경우에는 고정형 저압 다단자 커넥터(10')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유노출형 저압 다단자 커넥터(10')를 사용할 경우에는 그림 2와 같이 지상에서 분기 접속작업이 가능하도록 저압케이블(18)에 여유를 확보한 다음, 각 분기단자(14)에 설치된 접속탭(22)을 벗겨 사용 규격의 저압케이블(18) 굵기에 맞는 위치의 탭(22)을 자른 뒤 내부 표면에 그리스를 발라 저압케이블(18)에 삽입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압케이블(18)의 도체(38) 끝으로부터 절연체를 벗기고, 도체터미널(20)을 압축 취부하여 모선도체(12)의 접속단자(16)에 결합볼트(32)를 사용하여 연결한다. 저압케이블(18)에 삽입된 접속탭(22)은 도체터미널(20) 위로부터 분기단자 하단부(30)의 볼록부를 지나 모선도체(12) 부분까지 압입함으로써 완전한 방수와 절연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접속작업이 마무리된 후에는 핸드홀내에 여유 케이블과 함께 그림 2와 같이 시설하여 운전한다.
그리고, 고정형 저압 다단자 커넥터(10')의 경우에는 도 3 및 도 7a 와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맨홀이나 핸드홀 내부에 지지대(40)를 이용하여 구조물 벽체(42)에 취부하는 구조로 사용하는 점이 자유노출형 분기장치와 구분된다. 고정형 분기장치에 사용하는 지지대(40)는 구조물 벽체(42)에 고정하되, 모선 도체(12)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ㄷ형 채널형태로 형성하고, 도 7b와 같이 내부에 볼트(44)의 헤드(46)를 삽입했을 때 볼트(44)의 좌우이동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ㄷ형 채널구조의 지지대(40)는 버스바(bus bar)와 같은 모선도체(12)가 적절한 위치에 원활히 설치될 수 있도록 모선도체(12)보다 길게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모선도체(12)의 장력을 지탱할 수 있도록 겹침부(48)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대(40)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양쪽에 앵커볼트(50)에 의해 구조물 벽체(42)에 취부되며, 도 8a 및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물 벽체(42)에 매입되거나 돌출되어 시공된다. 지지대(40)를 벽체(42)에 고정하는 앵커볼트(50) 부분은 그 앵커볼트(50)가 취부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 홈(52)에 별도로 넓게 고정홈(54)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고정홈(54)을 통해 지지대(40)를 매입시공한 후에도 지지용 볼트(44)의 헤드(46)와 지지용 와셔(56)을 삽입하는 위치는 지지대(40)를 매입시공하는 경우 앵커볼트(50)의 타설위치, 그리고 노출시공하는 경우에는 앵카볼트(50)의 타설위치 및 지지대(40) 양쪽단의 개방된 곳으로 편리한 쪽을 택해 삽입할 수 있도록 한다.
모선도체(12)의 설치방법은 지지용 볼트(44)의 헤드(46)와 와셔(56)를 지지대(40)에 삽입한 후 절연 및 방진용도로 이용되며 가이드홈(59)이 형성된 장방형 방진고무(58)를 그 위에 설치함으로써, 도로상의 진동을 흡수하고 절연을 도모하며 구조물 벽체(42)와 접속단자(16)와의 이격 거리를 확보하여 볼트 조임 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방진고무(58)는 절연확보를 위해 절연강도가 우수하고 내열화성과 내화학성을 겸비한 고분자 중합체의 내구성을 지닌 재질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대(40)의 설치위치를 적절히 조정할 수 있게 지지용 볼트(44)의 좌우이동이 가능하도록 지지대(40)와 마찬가지로 길이 방향의 홈(52)을 만든다.
방진고무(58)상의 적절한 위치에 분기장치 본체(12)를 설치하고, 그 위에 분기단자(14)에 지지용 와셔(56)와 너트(57)를 지탱할 수 있도록 분기단자(14)간에 걸쳐서 상부 지지대(60)를 덮은 다음, 분기단자(14)간의 빈 공간을 이용하여 양쪽 2개소에서 지지용 너트(57)로 견고하게 조인다.
상부지지대(60)는 모선도체(12)의 절연피막에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일정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고강도 탄소섬유 플라스틱과 같은 소재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부지지대(60)의 길이는 2개의 분기단자(14)사이에 걸쳐 사용할 수 있는 최소한의 크기로 설정되거나, 모선도체(12)의 길이 또는 방진고무(58)와 거의 동일한 길이로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후, 저압케이블(18) 접속작업은 전술된 바와 같이, 도체터미널(20)을 사용하여 접속단자(16)에 결합용 볼트(32)로 연결한다. 이 때 접속탭(22)은 자유노출형 저압 다단자 커넥터(10')와 달리 분기단자(14)의 볼록부(30)를 지나 상부지지대(60)에 눌리지 않는 위치까지 밀어 올려, 접속부 점검 등 필요할 때 상부지지대(60)와 관계없이 접속탭(22)을 벗겨낼 수 있는 것이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도 조절용 지지대(62)의 경우에는 모선도체(12)의 설치각도를 상하로 조정하여 저압케이블(18)의 접속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각도조절용 지지대(62)는 구조물의 벽체(42)에 앵커볼트(50)를 사용하여 고정하고, 그 지지대 (62)의 양단에 부채꼴 모양의 수직형 연결고리대(64)를 일체로 형성하여 편리한 작업각도에서 모선도체(12)를 설치할 수 있도록 예컨데, 6∼8개의 볼트구멍(66)을 일정한 간격으로 천공한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b 및 9c에 있어서, 각도조절용 지지대(62)에 설치되는 지지가대(68)는 연결고리대(64)의 볼트구멍(68)과 상호 관통할 수 있도록 양쪽에 2개씩의 삽입구멍(70)을 천공하고, 결합용 볼트(72)를 사용하여 연결고리대(64)에 지지하며 충분한 지탱력을 받도록 지지대(62)의 길이에 맞춰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가대(68)의 내부에도 길이 방향의 흠(74)이 형성되어 적절한 위치에 모선도체(12)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각도조절용 지지대(62)는 저압케이블(18)의 연결작업이 용이하도록 구조물 벽면(42)과의 이격 거리를 확보하는 역할의 연결고리대(64)가 있으므로 모선도체(12)는 방진고무(58)를 생략하고 지지가대(62) 위에 직접 설치하거나, 방진고무(58)를 설치한 다음 그 위에 설치할 수도 있다. 도선모체(12)의 분기단자(14)위에는 지지용 와셔(56)와 너트(57)를 지탱할 수 있도록 상부지지대(60)를 올려놓고 너트(57)로 견고하게 조인다. 즉, 각도조절용 지지대(62)의 연결고리대(64) 위에 적절한 각도로 지지가대(68)를 설치하고, 필요하면 그 위에 방진고무(58)를 추가로 설치한 다음 상부지지대(60)를 이용하여 모선도체(12)를 지지용 볼트(44)와 너트(57)로 고정하게 된다.
??형 채널구조 및 각도조절형 지지대를 비롯한 지지가대와 볼트·너트 등 저압케이블 분기 접속장치의 시설에 필요한 모든 금구류는 항상 습기와 화학성분이 접촉될 수 있는 지하 구조물내에 시설되므로 아연도금 및 산화방지 처리된 금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과적으로, 본 고안에 따른 저압용 다단자 커넥터에 의하면, 좁은공간의 맨홀 또는 핸드홀 내에서 저압케이블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분기할 수 있고, 케이블의 배치를 하향시공으로 통일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기 접속장치를 일원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제적으로 그 다단자 커넥터 사용으로 저압케이블 분기용 구조물의 내부규격 0.8 ×0.8 ×0.8m 또는 1.0 ×1.0 ×1.0m로 최소화할 수 있어, 현 조립식 핸드홀의 내부(1.5×2.0×1.8m) 체적기준으로 10% 또는 20%이하 크기로 시설할 수 있다. 따라서 구조물의 설치위치에 크게 제약받지 않으며, 개소당 약 ₩1,500,000에 달하는 기존 조립식 핸드홀의 설치비용을 체적기준으로 볼 때 약 20% 수준(₩300,000)으로 공사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저압케이블의 설치는 모두 하향시공으로 통일되어 많은 회선의 케이블 배치에 따른 미관이 개선되고, 저압케이블이 각 상별로 구분되므로 저압선로의 부하불평형 시정 등 설비관리가 용이해 진다. 추후 단상이나 3상으로 전기공급방식을 변경할지라도 분기장치의 철거와 신설공사가 수반되지 않고, 추가 분기선로를 구성할 경우에도 별도의 자재가 요구되지 않아 매우 경제적이며, 자재의 규격이 단순화되어 자재관리가 용이해 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저압 다단자 커넥터는 국내의 경우 생산실적이 없어 직접적인 경제성 비교는 곤란하지만, 국내 제작업체에서 제시한 비공식 단가가 현수준으로 볼 때 예컨대 약 ₩60,000이므로 기존 저압케이블 접속장치(3상4선식, 대형)의 가격 ₩180,000과 비교할 때 약 1/3 수준이므로 2회선 이상 분기개소의 경우에는 약 ₩120,000의 자재비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선수 증가에 따른 추가 공사비가 발생하지 않아 다회선의 경우 경제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분기장치의 접속단자와 도체 터미널을 볼트결합으로 바꿈으로써, 기계적 강도가 높아지고 도체 접촉면적이 증가하여 접촉저항을 줄일 수 있으므로 기존의 저압케이블 접속장치에서 간혹 나타나는 접촉불량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접속부의 결합상태를 쉽게 판정할 수 있고 완벽한 결합력을 기대할 수 있어, 불필요한 유지보수작업이 요구되지 않으며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중 배전용 변압기의 교체나 지중 저압선로의 정전작업이 필요한 때, 이동용 변압기차나 발전기차와 같은 전원의 단자를 본 저압 다단자 커넥터의 여유단자에 접속하여 부하에 손쉽게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그동안 지중 저압선로에서 부하전환 곤란으로 무정전 공법을 적용할 수 없어 야기된 심야 정전작업 등 다양한 문제를 간단히 해소할 수 있다. 그리고 인근지역에서 임시전원이 필요할 때, 본 고안의 여유단자에서 전원을 용이하게 확보하여 전력을 공급할 수 있어 설비의 활용도가 매우 높아지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Claims (10)

  1. 지중 배전계통의 맨홀이나 핸드홀에서 저압케이블을 분기하기 위한 접속장치로 사용하는 자유형 저압 다단자 커넥터 또는 고정형 저압 다단자 커넥터와 같은 자압용 다단자 커넥터에 있어서,
    일정길이를 갖는 모선도체;
    상기 모선도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분기단자; 및
    상기 각각의 분기단자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저압케이블이 연결되는 접속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용 다단자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선도체, 분기단자 및 접속단자는 고강도 폴리에틸렌 절연수지와 같은 고분자 합성수지 재질로 절연 피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용 다단자 커넥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선도체의 단면은 각각의 모서리가 라운딩 처리되고, 분기단자의 개수는 연결될 분기회로 수에 따라 설정되며 상기 모선도체의 단면보다 직경이 작은 원형단면을 이루며, 상기 각각의 분기단자의 하단부에는 볼록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용 다단자 커넥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단자의 볼록부에는 저압케이블의 터미널 단자를 상기 접속단자에 접속시킬 때 저압케이블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접속탭이 이탈 방지되도록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용 다단자 커넥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탭으로 열수축형 절연튜브(heat shrinkable tube), 절연시트(heat shrinkable sheat), 자기 융착 절연테이프 및 방수테이프 중 하나로 선택되는 경우, 상기 분기단자의 하단부는 균일한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용 다단자 커넥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는, 저압케이블 도체터미널을 결합용 볼트로 접속할 때, 분기단자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도체터미널의 크기만큼 절취되며, 절취에 위해 형성된 외접원의 직경은 분기단자 하단부의 볼록부의 직경보다 작으며, 도체터미널이 연결되는 접속단자의 반대쪽에는 상기 볼트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 다단자 커넥터.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탭에는, 상기 모선도체의 각각의 접속단자에 저압케이블의 도체터미널이 접속되고 상기 접속탭이 외삽되는 경우, 상단부에서 탄성력을 구비하도록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의 하부에 내측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탭이 형성되며, 하단부에서 저압케이블에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각각 다른 직경을 지니고 내부로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탭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용 다단자 커넥터.
  8. 제 1항에 있어서, 지지용 볼트의 헤드에 의해 벽체에 삽설되며, 모선도체에 의해 장력이 인가되는 부분에는 겹치기 구조로 형성되는 ??채널형 구조의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용 다단자 커넥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에는 상기 모선도체를 지지하기 위한 볼트의 위치가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내부에 길이방향의 홈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와 모선도체 사이에는 방진고무가 삽설되며, 상기 지지대와 방진고무의 길이는 모선도체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용 다단자 커넥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선도체를 작업각도에 맞추어 설치할 수 있도록 양단부에 다수의 볼트구멍이 천공된 수직 부채꼴의 연결고리대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고리대에는 양단부에 상기 볼트구멍들 중 2개의 구멍에 볼트에 의해 선택적으로 고정될 고정공이 천공 형성된 지지가대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각도조절형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용 다단자 커넥터.
KR2020000029768U 2000-10-25 2000-10-25 저압용 다단자 커넥터 KR2002191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9768U KR200219118Y1 (ko) 2000-10-25 2000-10-25 저압용 다단자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9768U KR200219118Y1 (ko) 2000-10-25 2000-10-25 저압용 다단자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9118Y1 true KR200219118Y1 (ko) 2001-04-02

Family

ID=73059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9768U KR200219118Y1 (ko) 2000-10-25 2000-10-25 저압용 다단자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911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588B1 (ko) * 2008-02-01 2010-07-08 하주영 지중배전설비 보수용 무정전 바이패스장치 및 이를 이용한바이패스공법
KR100981975B1 (ko) 2008-07-18 2010-09-14 한국전력공사 지상설치형 저압케이블 접속장치
CN110571751A (zh) * 2019-09-30 2019-12-13 江苏华侃核电器材科技有限公司 核电站用异形电缆中间接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588B1 (ko) * 2008-02-01 2010-07-08 하주영 지중배전설비 보수용 무정전 바이패스장치 및 이를 이용한바이패스공법
KR100981975B1 (ko) 2008-07-18 2010-09-14 한국전력공사 지상설치형 저압케이블 접속장치
CN110571751A (zh) * 2019-09-30 2019-12-13 江苏华侃核电器材科技有限公司 核电站用异形电缆中间接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73884B (zh) 电汇流通道法兰端插头
US20170338633A1 (en) Quick connect and disconnect cable junction box
US20150340850A1 (en) 7-Way Crab Joint
JP2008187814A (ja) 分岐用部材および分岐ケーブルの接続方法
KR100322053B1 (ko) 전선 케이블의 점퍼선 지지용 애자
KR100647489B1 (ko) 가로등용 단자함
KR200219118Y1 (ko) 저압용 다단자 커넥터
KR102315996B1 (ko) 변전소의 송배전 선로 연결장치
CN200976477Y (zh) 地埋式高压电缆分接箱
US20150280439A1 (en) Apparatus for grounding interconnected electrical components and assemblies
KR100769715B1 (ko) 감전방지용 지중배전함의 절연구조
KR100522854B1 (ko) 도로 시설물용 전원 분전기
CN101496119B (zh) 用于安装在安全壳体内的连接件
KR102277042B1 (ko) 지하 매립형 이중전원 저압 분전함 및 이의 운영방법
KR100882568B1 (ko) 배전 전주용 접지판
CN210326200U (zh) 一种低压配电网便捷式接线装置
JPH11150838A (ja) ビル等の建築物用幹線ユニット・ケーブル
KR100759291B1 (ko) 배전용 주상변압기 활선 분기고리
KR20080034266A (ko) 전주용 피뢰기 설치구조
CN2354281Y (zh) 中空风冷封闭式插接母线
KR102415573B1 (ko) 케이블 연결장치
HUT66224A (en) Electrical-energy distribution system
CN201310851Y (zh) 一种地埋式路灯电缆接线装置
CN2468199Y (zh) 组合式母线槽
CN211605938U (zh) 一种电缆快速连接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1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