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3766A - 역 지변 구조를 갖는 온수매트용 온수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역 지변 구조를 갖는 온수매트용 온수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3766A
KR20090083766A KR1020080009761A KR20080009761A KR20090083766A KR 20090083766 A KR20090083766 A KR 20090083766A KR 1020080009761 A KR1020080009761 A KR 1020080009761A KR 20080009761 A KR20080009761 A KR 20080009761A KR 20090083766 A KR20090083766 A KR 200900837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water
supply device
hot
check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9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수
Original Assignee
이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수 filed Critical 이명수
Priority to KR1020080009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83766A/ko
Priority to PCT/KR2008/003038 priority patent/WO2009088130A1/en
Publication of KR20090083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37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08Packaged or self-contained boilers, i.e. water heaters with control devices and pump in a single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3/00Electric heating systems
    • F24D13/04Electric heating systems using electric heating of heat-transfer fluid in separate units of the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6Arrangements for water drain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24H9/1818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means
    • F24H9/1827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PTC] resis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08Electric he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50/00Electrical heat generating means
    • F24H2250/04Positive or negative temperature coefficients, e.g. PTC, N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역 지변 구조를 갖는 온수매트용 온수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온수매트 내부로 온수를 순환 공급하는 온수매트용 온수공급장치는 저수 탱크의 출구에 체결된 역 지변 체크밸브를 통하여 이물질 제거와 기포 분쇄 및 소음을 감쇄하여 원뿔 형상의 가열수단 내로 물이 공급되도록 하며 가열수단 외부에 설치된 PTC 히터에 의해 가열되면서 발생하는 높은 팽창 압력에 의해 온수를 압력이 낮은 온수 매트로 순환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온수공급장치, 체크밸브, 가열수단, 다공판, 조절판, 박판

Description

역 지변 구조를 갖는 온수매트용 온수공급장치{Hot-water supply device for hot-water mat}
본 발명은 역 지변 구조를 갖는 온수매트용 온수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온수매트 내부로 온수를 순환 공급하는 온수매트용 온수공급장치는 저수 탱크의 출구에 체결된 역 지변 체크밸브를 통하여 이물질 제거와 기포 분쇄 및 소음을 감쇄하여 원뿔 형상의 가열수단 내로 물이 공급되도록 하며 가열수단 외부에 설치된 PTC 히터에 의해 가열되면서 발생하는 높은 팽창 압력에 의해 온수를 압력이 낮은 온수 매트로 순환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동절기에 사용되는 전기장판이나 전기매트는 실내 바닥을 국부적으로 난방을 하거나, 단시간에 난방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므로 대중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전기장판이나 전기매트는 내부에 전선을 설치하여 사용함으로써 감전사고 위험이 상존하고 있고, 자체의 전기적 특성으로 인하여 유해 전자파가 발생하며 그 전자파가 인체에 유해한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온돌문화에 익숙한 우리나라의 특성에 맞게 고온의 온수를 이용하는 전통적인 온돌방식을 채택한 온수 매트가 시중에 판매되고 있다.
상기 온수매트는 온수를 순환하는 방식으로 크게 물을 가열하여 온수매트로 공급하는 온수공급장치와 온수매트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온수공급장치는 저수탱크에 저장된 물을 전기히터 등으로 가열하여 온수를 형성하고, 이 온수를 순환펌프를 이용하여 온수매트 내부에 지그재그형상으로 설치된 온수 순환관을 통해 온수를 순환공급할 수 있도록 온수매트로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온수공급장치는 대부분 저수탱크 내에 설치된 전기히터를 이용해 저장 탱크 내부에 저장된 물 전체를 가열하여 온수를 온수 매트 내부에 지그재그로 설치된 온수 순환관으로 공급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저수탱크에 저장된 물 전체를 설정온도 이상으로 가열하는 데에 상당한 시간이 요구되며, 그 결과 설정된 난방온도에 도달하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고, 뿐만 아니라, 설정온도에 도달하기까지의 시간이 길어질수록 전기소모량도 많아져 전기요금과 같은 유지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등 비경제적인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온수매트용 온수공급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출원번호 2007-25881 "온수매트용 온수공급장치" 선 출원 되었다.
상기 선 출원된 온수매트용 공급장치는 온수매트의 열효율을 높이기 위해 온수 저장탱크에 저장된 물 전체를 가열하지않고 순환펌프에 의해 히터로 물을 송출한 후 가열하여 순환하는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종래보다는 빠른 시간에 설정된 난 방온도에 도달하는 데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지않아 전기소모량도 적어 전기요금과 같은 유지비용이 적게 소요되어 경제적인 측면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또는 선 출원된 온수매트용 공급장치는 온수 저장탱크에 저장된 물을 온수매트로 강제로 순환공급하기 위해서는 순환펌프를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순환펌프의 작동으로 인해 소음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사용자가 예민한 경우에는 숙면을 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온수매트용 온수공급장치에 순환펌프를 설치하여 사용할 경우 전력 사용량이 많은 것은 물론 고가의 부품인 순환펌프를 설치하기 때문에 제조비용의 상승을 가져오며, 순환펌프의 수명이 반영구적이지 못하기 때문에 추후에 순환펌프를 교체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히터에 의해 가열된 온수에는 기포가 발생하여 온수매트용 공급장치와 온수매트에 설치된 관(管)내 및 저수 탱크에 공기층들이 머물게 되어 그 발생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지 않을 시 그 공기층으로 인해 배관 내에 온수가 잘 순환되지 못하는 방해를 받게 되므로 난방에 지장을 준다.
그러므로 종래에는 공기를 배출할 수 있는 에어 밸브를 배관에 설치한 후 이용자가 주기적으로 그 에어 밸브를 이용하여 공기를 배출시켜주어야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 온수매트용 온수공급장치의 역 지변 구조는 저수탱크에서 체결되어 가열수단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해 체크밸브 내부를 통해 물을 순환하는 과정에서 이물질 제거 및 기포 분쇄와 소음 감 쇄를 하여 유입구와 배출구의 크기를 달리하는 일정한 기울기를 갖는 원뿔형상 가열수단 내의 중공부로 공급되는 물을 PTC히터에 의해 가열하면 체크밸브는 가열수단으로 공급된 물과 압력이 역류하지 못하도록 밀폐 차단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므로 가열팽창된 물은 자연히 압력이 낮은 배출구 쪽으로 빠져나가는 수압이 발생하고 그 힘으로 온수매트 내부로 온수를 순환 공급할 수 있는 역 지변 구조를 갖는 온수매트용 온수공급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역 지변 구조를 갖는 온수매트용 온수공급장치는 공급된 물이 역류하지못하도록 밀폐하고, 가열수단은 상부에 히터를 부착 하므로서 가열시에 상대적으로 기포 발생이 먼저 되는 가열부분을 상측으로 올리는 효과로 발생 된 기포들이 빠져나가는 유속에 가급적 포함되지 아니하고 가열수단의 중공부 내부 기울기를 따라 저수탱크 측으로 이동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 것으로 발생 된 기포들이 온수매트의 내부로 유입되어 머무르면서 온수 순환을 방해하는 요소를 미연에 방지하는 기능으로 낮은 압력으로도 온수의 순환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수탱크와 가열수단을 체크밸브를 사이에 두고 나선결합하기 때문에 분리 결합이 용이하여 이로 인해 고장발생시 수리를 쉽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체크밸브 내에 설치된 개폐수단에 의해 이물질과 소음을 제거하고, 기포를 분쇄함으로써 온수 순환에 장애가 되는 큰 기포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때문에 강제순환을 위한 별도의 순환 펌프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제작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순환펌프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소음이 발생하지 않아 이로 인해 신경이 예민한 사용자도 온수매트 위에서 소음에 방해를 받지 아니하고 숙면을 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잔고장이 많은 순환펌프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전기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온수공급장치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 온수공급장치는 온수매트 내부에 설치된 온수 순환관(11)으로 공급되는 온수를 낮은 압력으로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케이스(16) 내에는 온도 및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5), 저수탱크(3)와 체크밸브(2), 연결관(4) 가열수단(5), 등으로 구성된다.
케이스(16) 내의 상부에 위치하는 저수탱크(3)는 상면에는 물을 보충할 수 있도록 뚜껑과 바닥에는 체크밸브(2)와 연결되어 물을 공급하는 출구(12)와 측면에는 온수매트 내부로 공급되어 순환된 물이 되돌아오는 토출구(13)와, 저수탱크(3)의 수위 또는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14)가 형성된다.
상기 저수탱크(3)의 출구(12)에는 가열수단으로 물을 공급하고 가열수단에 공급된 물은 역류하지못하도록 차단하는 역 지변 구조를 갖는 체크밸브(2)의 상부 가 조임 체결되고, 하부는 가열수단과 연결되도록 연결관(4)이 조임 체결된다.
또한, 상기 연결관(4)의 일측은 일정한 기울기의 원뿔형상을 갖는 가열수단의 유입구(26)와 조임 체결되고, 타측에 형성된 배출구(27)에는 공급관(8)이 조임 체결되며, 공급관(8)의 타측은 케이스에 설치된 접속구(10)와 체결되고, 접속구(10)에는 온수매트 내부에 설치된 온수 순환관(11)이 접속되어 온수를 순환시키며, 케이스의 설치된 다른 접속구(10')에는 저수탱크(3)의 토출구(13)와 입수관(9)으로 연결되어 온수를 순환공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체크밸브(2)를 통해 저수탱크(3)의 물을 가열수단(5)으로 공급하고 가열수단에 설치된 PTC히터(6)에 의해 일정온도로 가열하는 과정에서 내부압력이 팽창할 수 있는 것이고, 체크밸브(2)는 저수탱크(3)로 역류하지 못하게 차단하여 가열팽창된 온수가 압력이 낮은 온수매트 내에 설치된 온수 순환관(11)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이다.
도 2는 본 발명 온수공급장치(1)에서 체크밸브(2)와 가열수단을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온수공급장치(1)에서 체크밸브(2)와 가열수단을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온수공급장치(1)에서 연결관(4)의 양쪽에 각각 설치되는 체크밸브(2)와 가열수단(5)을 분리 결합 것으로서 체크밸브(2)는 관 형상으로 상부 내주면에는 저수 탱크(3)와 조임 결합할 수 있도록 나사산과 개폐차단부재(18)를 거치할 수 있도록 하부에는 단턱이 형성된다.
상기 체크밸브(2)의 하부에는 저수탱크(3)의 출구(12)와 체결되는 상부보다 는 내경이 더 작은 연결구(17)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은 물론 연결관(4)의 내부로 삽입하여 조임 체결할 수 있도록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구조이다.
또한, 체급밸브(2)에 내설 되는 개폐차단부재(18)는 이물질 제거 및 기포분쇄, 소음 감쇄를 하기 위해 수세미와 같은 조직 구조를 갖는 미세다공판(19)을 갖는다.
상기 미세다공판(19)의 하부에 위치한 역지변마개판(20)은 중앙 하부측에 밸브판(21)을 끼우고 결합하기 위한 나사축(24)이 연장 형성되고, 나사축(24)을 중심으로 연결관(4)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게 방사 형상으로 다수의 통공(2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역지변마개판(20)의 하부 나사축(24)에 너트(25)로 조임 체결되는 밸브판(21)은 중앙에 끼움 고정된 상태에서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일정간격으로 부분 절개된 날개(31)를 형성하여 통공(22)을 개폐하도록 박판의 형상과 모양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개폐차단부재(18)를 체크밸브(2)의 단턱에 설치할 때에는 밸브판(21)의 날개(31)가 접혀지고 펼쳐질 수 있도록 역지변마개판(20)을 거치하도록 설치하여만 밸브판(21)의 날개(31)가 상ㆍ하로 동작하여 역지변마개판(20)의 통공(22)을 막아주거나 열어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체크밸브(2)와 연결된 연결관(4)에 조임 체결되는 가열수단(5)은 일정한 기울기를 갖는 원뿔형상으로 일측 끝단은 물이 공급되는 유입구(26)와 타측 끝단은 배출구(27)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유입구(26)를 통해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여 배출구(27)로 이동할 수 있도록 중공부(7)를 형성한다.
상기의 유입구(26)보다 배출구(27)의 내경 크기를 더 작게 형성하여 기울기를 갖도록 하는 것은 물을 가열할 때 발생하는 압력이 더 커지도록 하고 이로 인해 온수의 유속 흐름이 더 빨라져 온수매트로 온수를 원활히 순환공급 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또한, 상기 가열수단(5)의 상부에는 P.T.C히터(6)를 부착하여 중공부(7)로 공급된 물을 가열하게 되는데, 이때 P.T.C히터(6)와 가장 가까운 상측부에서 가열에 의한 기포들이 발생하도록 함으로서 중공부(7)의 내주면에 발생되는 기포들이 내주면의 기울기를 따라 상측으로 이동되면서 물의 유입구(26)쪽으로 밀려서 체크밸브(2)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구성된 것이며, 가열팽창된 물이 배출구(27)로 통해 토출될 때 가급적 기포들이 온수순환관(11)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 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로 인해 온수와 함께 순환되는 기포를 최소화함으로써 온수매트에 설치된 온수 순환관(11)의 내부에 공기가 최소화되어 낮은 압력으로도 온수를 원활히 순환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유입구(26)의 내주면과 배출구(27)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을 각각 다르게 형성하여 연결관(4)과 공급관(8)에 조립이 되도록 구성하여 물의 흐름에 방해를 받지 아니하도록 구성한다.
도 4는 본 발명 온수공급장치(1)를 도시해 보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온수공급장치(1)에서 개폐차단부재(18)의 작동상태를 도시해 보인 단면도면으로 저수탱크(3)에서 출구를 통해 물이 체크밸브(2)로 공급되면 미세다공판(19)에서 이물 질 제거와 소음을 감쇄함과 동시에 가열수단(5)에서 발생한 기포들은 물이 통공(22)을 통해 통과할 때 다른 부분의 통공(22)으로 빠져나가는 것이며, 물은 압력에 의해 통공(22)을 밀폐하고 있는 박판의 날개(31)가 하부로 접혀지면서 연결관(4)을 지나 가열수단(5)의 중공부(7)로 공급된다.
그러면 제어부에 미리 설정된 온도에 따라 PTC 히터(6)는 중공부의 상측에 있는 물을 가열하기 시작하여 내부의 압력이 팽창하고, 그러면 체크밸브(2)의 밸브판(21)은 가열수단(5)에서 역류하는 물과 압력에 의해 통공(22)을 밀폐하게 되는 것이며, 더 이상 저수탱크(3)로 상승하지 못하도록 차단한 상태에서 중공부내의 물이 가열팽창되면 온수가 토출될 수 있는 공간을 최소화하면서 압력이 팽창되기 때문에 압력이 낮은 가열수단의 배출구(27)를 통해 높은 압력을 갖는 온수가 토출되고 이때 밸브판(21)이 동시에 열리면서 밀도가 높은 물이 반복적으로 공급되는 것이며, 토출되는 가열팽창된 물은 공급관(8)을 지나 온수매트에 설치된 온수 순환관(11)으로 지속적으로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 가열수단을 통해 공급되는 온수는 온수매트를 순환하여 저수탱크(3)로 유입되고, 저수탱크(3)의 물은 출구(12)와 연결된 체크밸브(2)로 유입된 양만큼 물의 압력이 가해지면 역지변마개판(20)의 통공(22)을 밀폐하는 박판의 날개(31)가 하부로 접혀져 가열수단(5)의 중공부(7)로 물을 공급하고 가열수단의 팽창압력이 더 세지면 박판의 날개는 상승하여 역지변마개판(20)의 통공(22)에 밀착되어 밀폐하는 방식으로 순환펌프를 설치하지않고도 온수매트에 원활하게 물을 순환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 온수공급장치(1)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면으로, 도면에 미 도시하였으나 온수매트가 2인용일 때는 상기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하게 하나의 저수탱크(3)에 체크밸브(2)와 가열수단(5)을 각각 2개씩 설치하여 분리난방을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 온수공급장치(1)에서 역지변마개판(20)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해 보인 분해사시도로서 저수탱크(3)에서 공급되는 물의 유입속도를 높이기 위해 역지변마개판(20)의 하단으로 별도의 스크류(28)를 설치하여 역지변마개판(20)의 통공(22)으로 공급되는 물에 와류가 발생할 수 있도록 일 방향으로 비틀린 경사면을 갖는 나선모양으로 형성한다.
도 8은 상기 도7의 조립단면을 도시한 도면으로 저수 탱크(3)의 출구(12)를 통해 체크밸브(2)의 상부가 삽입되면 링 형상의 고정캡(30)으로 조임 체결하고, 체크밸브(2)의 하부에는 가열수단(5)의 유입구(26)가 끼움 체결되며, 가열수단(5)의 배출구(27)에는 유속의 흐름을 증가시키기 위해 니플(29)이 체결되어 토출 압력을 극대화시킨다.
한편 저수탱크(3)에서 연결관(4)로 공급되는 물은 스크류(28)의 경사면을 타고 흐르면서 발생하는 와류에 의해 가열수단(5)으로 유입되는 물의 유속을 높이는 효과를 갖도록 하며, 이를 위하여 스크류(28)의 외주면을 나사산으로 형성하여 체크밸브(2)의 내측으로 끼움 결합 되도록 구성하고 한다.
또한 역지변마개판(20')은 외주면이 조금 더 연장되어 내측으로는 통공(22)의 상측에 위치하는 미세다공판(19)이 삽입되도록 구성하되, 외주면 끝단으로는 플 랜지부를 구성하여 상측으로 안착되게 구성시킨다. 이때 역지변마개판(20')을 조이거나 풀어주기 위한 지그를 사용하도록 플랜지부에 별도의 홈을 구성한다.
도 9는 본 발명 온수공급장치의 또 다른 역지변마개판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역지변마개판(20')의 하단부로 또 다른 역지변마개판(20'')을 더 추가로 구성하여 2단의 밸브판(21)의 작동으로 저수탱크(3)쪽으로 역류하는 물을 더 효과적으로 차단하도록 하며 사용도중 어느 한쪽의 밸브판(21)이 손실되더라도 나머지 하나의 밸브판(21)의 기능만으로도 역류하는 물을 차단하여 안전하게 사용하도록 하는 구성을 부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온수공급장치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온수공급장치에서 체크밸브와 가열수단을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온수공급장치에서 체크밸브와 가열수단을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온수공급장치를 도시해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온수공급장치에서 개폐차단부재의 작동상태를 도시해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온수공급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온수공급장치에서 역지변마개판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해 보인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온수공급장치의 도7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 온수공급장치의 또 다른 역지변마개판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온수매트용 온수공급장치 2: 체크밸브
3: 저수 탱크 4: 연결관
5: 가열수단 6: PTC 히터
7: 중공부 8: 공급관
9: 입수관 10: 접속구
11: 온수 순환관 12: 출구
13: 토출구 14: 센서
15: 제어부 16: 케이스
17: 연결구 18: 개폐차단부재
19: 미세다공판 20: 역지변마개판
21: 밸브판 22: 통공
23: 유입공 24: 나사축
25: 너트 26: 유입구
27: 배출구 28: 스크류
29: 니플 30: 고정캡
31: 날개

Claims (7)

  1. 온수매트 내부에 온수를 순환공급하는 온수매트용 온수공급장치(1)에 있어서, 케이스 내부에는 저수탱크(3)의 바닥에 형성된 출구(12)와 조임 체결되어 이물질 제거 및 기포분쇄, 소음 감쇄를 하여 공급되는 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개폐차단부재(18)가 구비된 체크밸브(2)와;
    상기 체크밸브(2)의 타측과 조임 체결되어 가열수단으로 저수탱크(3)의 물을 공급하는 연결관(4)과;
    상기 연결관의 타측에는 유입구(26)가 조임 체결되어 중공부로 공급된 물을 P.T.C 히터(6)에 의해 적정온도로 가열하는 과정에서 체크밸브(2)는 팽창압력에 의해 역류를 차단하여 밀폐하며 내부압력이 팽창하여 타측에 형성된 유입구(26)보다 좁은 배출구(27)를 통해 온수를 토출하는 원뿔형상의 가열수단과;
    상기 가열수단의 배출구(27)와 일측이 조임 체결되는 공급관(8)과;
    상기 공급관(8)의 타측은 케이스에 부착된 접속구(10)에 체결되어 온수 매트 내부에 설치된 온수 순환관(11)을 통해 저수탱크(3)로 입구를 통해 유입되어 순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 지변 구조를 갖는 온수매트용 온수공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2)에 설치된 개폐차단부재(18)는 상부에 수세미와 같은 조직 구조를 갖는 미세다공판(19)과;
    상기 미세다공판(19)의 하부에는 중앙에 체결된 체결축(24)을 중심으로 물을 연결관(4)으로 공급할 수 있게 방사 형상으로 다수의 통공(22)이 형성된 역지변마개판(20)과;
    상기 역지변마개판(20)의 하부에는 중앙이 체결축(24)에 고정되어 통공(22)을 개폐하도록 막 형상의 날개(31)가 일체로 형성된 밸브판(21)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 지변 구조를 갖는 온수매트용 온수공급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2)는 저수탱크(3)에서 물이 공급되면 배출 부재의 통공(22)을 개폐하는 밸브판이 하부로 접혀져 연결관(4)으로 물을 공급하고, 가열수단으로 공급된 물이 체크밸브(2) 내로 역류하면 밸브판의 날개는 역류하는 물과 압력에 의해 상승하여 통공(22)을 밀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 지변 구조를 갖는 온수매트용 온수공급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은 상부에만 PTC 히터(6)가 설치되며 내부 중공부에는 일정 기울기를 갖는 원뿔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 지변 구조를 갖는 온수매트용 온수공급장치.
  5. 제 1항 내지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역지변마개판(20)의 하부에는 통공(22)으로 공급되는 물에 와류가 발생할 수 있도록 일 방향으로 비틀린 경사면을 형성한 스크류(28)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 지변 구조를 갖는 온수매트용 온수공급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의 배출구(27)에는 유속의 흐름을 증가시키기 위해 니플(29)이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 지변 구조를 갖는 온수매트용 온수공급장치.
  7. 제 1항 내지 제2항에 있어서, 역지변마개판(20')의 하단부로 또 다른 역지변마개판(20'')을 더 추가로 구성하여 2단의 밸브판(21)의 작동으로 역류하는 물을 더 효과적으로 차단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 지변 구조를 갖는 온수매트용 온수공급장치.
KR1020080009761A 2008-01-08 2008-01-30 역 지변 구조를 갖는 온수매트용 온수공급장치 KR2009008376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9761A KR20090083766A (ko) 2008-01-30 2008-01-30 역 지변 구조를 갖는 온수매트용 온수공급장치
PCT/KR2008/003038 WO2009088130A1 (en) 2008-01-08 2008-05-30 Hot water supply device for hot water ma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9761A KR20090083766A (ko) 2008-01-30 2008-01-30 역 지변 구조를 갖는 온수매트용 온수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3766A true KR20090083766A (ko) 2009-08-04

Family

ID=41204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9761A KR20090083766A (ko) 2008-01-08 2008-01-30 역 지변 구조를 갖는 온수매트용 온수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83766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1624B1 (ko) * 2010-10-26 2011-07-14 주식회사 삼국 온수순환장치
WO2012057481A2 (ko) * 2010-10-25 2012-05-03 Park Hoo Bong 무동력 간이 난방 보일러 및 무동력 간이 난방 보일러용 역류방지장치
KR101230543B1 (ko) * 2010-10-25 2013-02-06 정문식 역류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무동력 간이 난방용 보일러
KR101302438B1 (ko) * 2012-05-24 2013-09-05 강혜인 온열매트용 온수순환장치
KR200470923Y1 (ko) * 2013-01-14 2014-02-07 온상돈 기포방출 및 이물질 제거수단을 구비하는 난방용 온수공급장치
KR101367266B1 (ko) * 2013-07-08 2014-02-27 송진호 원활한 순환수 공급을 위한 온수 공급장치
KR20140032108A (ko) * 2012-09-06 2014-03-14 코웨이 주식회사 온수배출구조
KR101524710B1 (ko) * 2014-03-21 2015-06-02 김중필 기포분쇄 방식을 이용하여 소음을 저감시킨 온수보일러를 구비한 온수매트
KR20160026106A (ko) * 2014-08-29 2016-03-09 주식회사 이벨리 온수매트용 수조하우징과 히터하우징의 결합구조
KR20160109034A (ko) 2015-03-09 2016-09-21 나경인터내셔날 주식회사 급수 조절기능을 구비한 온수매트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57481A2 (ko) * 2010-10-25 2012-05-03 Park Hoo Bong 무동력 간이 난방 보일러 및 무동력 간이 난방 보일러용 역류방지장치
WO2012057481A3 (ko) * 2010-10-25 2012-07-26 Park Hoo Bong 무동력 간이 난방 보일러 및 무동력 간이 난방 보일러용 역류방지장치
KR101230543B1 (ko) * 2010-10-25 2013-02-06 정문식 역류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무동력 간이 난방용 보일러
KR101041624B1 (ko) * 2010-10-26 2011-07-14 주식회사 삼국 온수순환장치
KR101302438B1 (ko) * 2012-05-24 2013-09-05 강혜인 온열매트용 온수순환장치
KR20140032108A (ko) * 2012-09-06 2014-03-14 코웨이 주식회사 온수배출구조
KR200470923Y1 (ko) * 2013-01-14 2014-02-07 온상돈 기포방출 및 이물질 제거수단을 구비하는 난방용 온수공급장치
KR101367266B1 (ko) * 2013-07-08 2014-02-27 송진호 원활한 순환수 공급을 위한 온수 공급장치
KR101524710B1 (ko) * 2014-03-21 2015-06-02 김중필 기포분쇄 방식을 이용하여 소음을 저감시킨 온수보일러를 구비한 온수매트
KR20160026106A (ko) * 2014-08-29 2016-03-09 주식회사 이벨리 온수매트용 수조하우징과 히터하우징의 결합구조
KR20160109034A (ko) 2015-03-09 2016-09-21 나경인터내셔날 주식회사 급수 조절기능을 구비한 온수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83766A (ko) 역 지변 구조를 갖는 온수매트용 온수공급장치
KR20090094896A (ko) 온수매트용 온수공급장치의 역 지변 밸브판
US5526538A (en) Water circulation and heating system for spas
WO2010047535A3 (ko) 난방용 자연순환식 보일러
KR100899652B1 (ko) 증기압력을 이용한 온수매트용 온수순환장치
JP4648430B2 (ja) 温水生成装置
KR101195436B1 (ko) 온수보일러
CN110906029A (zh) 用于热水器的换向阀、混水装置和热水器
KR100918936B1 (ko) 온수매트용 온수공급장치
WO2009088130A1 (en) Hot water supply device for hot water mat
JP2017008967A (ja) フロート式スチームトラップ
CN110906556B (zh) 用于热水器的混水装置、热水器和热水器的混水方法
KR100891575B1 (ko) 온수 순환 시스템
KR20100004510A (ko) 온수매트용 온수공급장치의 역 지변 밸브
KR200440739Y1 (ko) 온수 매트용 보일러
KR101169604B1 (ko) 동결 방지장치를 가지는 양변기
KR200442500Y1 (ko) 전기 스팀보일러
KR20100006610A (ko) 와류되는 유체를 이용한 온수 가열장치
KR20130106057A (ko) 온수 난방장치용 체크밸브
KR100619159B1 (ko) 온수역류가 방지되는 냉온정수기용 온수조
KR20090020822A (ko) 순간가열식 난방시스템
KR200467215Y1 (ko) 온수 보일러용 물통
KR20090025738A (ko) 온수 자연 순환 난방장치
KR101160598B1 (ko) 냉온수 혼합 밸브
KR101573798B1 (ko) 온수 매트용 보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