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3415A - 장거리 무선 통신용 가상 단거리 인터페이스 방법 - Google Patents

장거리 무선 통신용 가상 단거리 인터페이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3415A
KR20090083415A KR1020097010928A KR20097010928A KR20090083415A KR 20090083415 A KR20090083415 A KR 20090083415A KR 1020097010928 A KR1020097010928 A KR 1020097010928A KR 20097010928 A KR20097010928 A KR 20097010928A KR 20090083415 A KR20090083415 A KR 200900834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brutus
protocol
interface
air inte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0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이클 에프 그린카
Original Assignee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filed Critical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Publication of KR20090083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34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4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s or networks with limited capabilitie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 port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8Protocols for interworking; Protocol conver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통신하는 다수의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정의된 세트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필요로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정의된 세트 내의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 1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한 전송을 위해 제 1 프로토콜에 따라 제 1 정보를 인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방법 또한 제 2 프로토콜에 따른 전송을 위해 제 2 정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2 정보는 제 1 정보를 포함한다. 이 방법은 제 2 프로토콜에 따라 제 2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 2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장거리 무선 통신용 가상 단거리 인터페이스 방법{VIRTUAL SHORT RANGE INTERFACE FOR LONG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본 발명은 전반적으로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거리 무선 인터페이스(short-range air interfaces)는 일반적으로 서로에게 상대적으로 가까운 상태로 유지되는 디바이스들 사이의 통신을 지원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브루투스 근거리 무선 인터페이스는 대략 100 미터에 달하는 거리만큼 떨어진 디바이스들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한다. 예를 들어, 브루투스는 송신 전력 및 디바이스간 거리를 기초로 하여 식별되는 적어도 세 가지의 상이한 클래스의 통신을 지원하는데, 이 때 클래스 3은 대략 3.3 피트(1 미터)에 달하는 거리에 대해서 대략 1 밀리와트의 송신 전력을 지원하고, 클래스 2는 대략 33 피트(10 미터)에 달하는 거리에 대해서 대략 10 밀리와트의 송신 전력을 지원하며, 클래스 1은 대략 328 피트(100 미터)에 달하는 거리에 대해서 대략 100 밀리와트의 송신 전력을 지원한다. 브루투스는 키보드, 컴퓨터 마우스, 헤드폰, 이어폰 및 그 밖의 주변 장치를 포함하는 다양한 디바이스, 셀룰러 전화, 스마트폰, PDA, 노트북 컴퓨터, 데스크톱 컴퓨터 등에서 구현되고 있다.
근거리 무선 인터페이스에는 셀룰러 음성 및/또는 데이터 통신에 사용되는 RF 무선 인터페이스와 같은 장거리 무선 인터페이스보다 많은 이점을 갖는다.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송신기는 실질적으로 적은 전력을 필요로 하며, 수신기는 장거리 무선 인터페이스에 사용되는 해당 디바이스보다 덜 민감할 수 있다. 그러나, 근거리 무선 인터페이스에는 또한 많은 단점을 갖는다.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정의에 따르면, 브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무선 인터페이스는 장거리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한 통신에 사용될 수 있는 것보다 훨씬 더 짧은 거리를 통한 통신을 지원하는 것으로 제한된다.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브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무선 인터페이스의 범위 제한 때문에, 근거리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한 통신은 일반적으로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코어 네트워크와 같은 네트워크에 의해 지원되지 않는다. 따라서, 근거리 무선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디바이스는 기존의(또한 미래의) 네트워크 인프라구조의 대부분을 활용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 중 하나 이상의 문제점의 영향을 해결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다음에서는 본 발명의 몇몇 양상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본 발명의 간략한 개요를 제시한다. 이 개요는 본 발명의 포괄적인 개관이 아니다. 그것은 본 발명의 키 또는 중요한 요소를 식별하거나 본 발명의 범주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그것의 유일한 목적은 이후에 논의되는 보다 상세한 설명에 대한 서두로서 몇 가지 개념을 개략적인 형태로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서로 통신하는 다수의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정의된 세트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필요로 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정의된 세트 내의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 1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한 전송을 위해 제 1 프로토콜에 따라 제 1 정보를 인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방법은 또한 제 2 프로토콜에 따른 전송을 위해 제 2 정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2 정보는 제 1 정보를 포함한다. 이 방법은 제 2 프로토콜에 따라 제 2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 2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서로 통신하는 다수의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정의된 세트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필요로 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제 1 프로토콜에 따라 제 1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되는 제 1 정보를 액세스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제 1 정보는 정의된 세트 내의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 2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한 전송을 위해 제 2 프로토콜에 따라 인코딩된 제 2 정보를 포함한다. 이 방법은 또한 제 1 정보로부터 제 2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동일한 참조 기호가 동일한 요소를 나타내는 첨부 도면과 관련하 여 다음의 설명을 참조하면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예시적인 제 1 실시예를 개념적으로 예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예시적인 제 2 실시에를 개념적으로 예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예시적인 제 3 실시예를 개념적으로 예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수정 및 대안 형태로 받아들여지지만,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가 도면에 실례로서 도시되어 있고 본 명세서에서 세부적으로 설명된다. 그러나, 특정 실시예에 대한 본 명세서에서의 설명은 본 발명을 개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와 반대로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는 모든 수정, 등가 및 대안을 포괄하고자 한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후술된다. 명료성을 위해, 실제 구현의 모든 특징이 이 명세서에서 설명되지는 않는다. 물론, 임의의 그러한 실제 실시예의 개발에 있어서, 하나의 구현으로부터 다른 구현으로 변화할 시스템 관련 및 사업 관련 제약에 따른 응낙과 같은 개발자의 특정 목적을 달성하도록 수많은 구현-특정 결정(numerous implementation-specific decisions)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그러한 개발 노력은 복잡하고 시간 소모적이지만, 당업자에게는 일상적인 작업이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부분 및 대응하는 상세한 설명은 소프트웨어, 또는 컴퓨터 메모리 내의 데이터 비트에 대한 연산의 알고리즘 및 심볼 표현으로 표현된다. 이들 설명 및 표현은 당업자가 그들의 작업 실체를 다른 당업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로서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알고리즘은 바람직한 결과를 이끌어내는 단계들의 자기 일관성 시퀀스(a self-consistent sequence)로 생각된다. 단계는 물리량의 물리적 조작을 필요로 하는 것들이다. 보통,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이들 양은 저장, 전송, 조합, 비교 및 그와 달리 조작될 수 있는 광학, 전기적 또는 자기적 신호의 형태를 취한다. 대체로, 통상적인 용법을 이유로, 이들 신호를 비트, 값, 요소, 심볼, 특성, 용어, 수 등을 지칭하는 것이 때때로 편리함이 입증되었다.
그러나, 이들 용어 및 유사한 용어 모두는 적절한 물리량과 연관되며 단지 그들 양에 적용되는 편리한 라벨일 뿐이라는 점에 유념해야 한다. 그와 다르게 특별히 진술되지 않았다면, 혹은 논의로부터 명백하다면, "프로세싱" 또는 "컴퓨팅" 또는 "계산" 또는 "판정" 또는 "디스플레이" 등과 같은 용어는 컴퓨터 시스템의 레지스터 및 메모리 내의 물리적인 전자량으로 표현된 데이터를 조작하여 컴퓨터 시스템 메모리 또는 레지스터나 그 밖의 그러한 정보 저장, 전송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내의 물리량으로서 유사하게 표현되는 다른 데이터로 변환하는 컴퓨터 시스템 또는 유사한 전자 컴퓨팅 디바이스의 작용 및 프로세스를 지칭한다.
이제, 본 발명의 소프트웨어 구현 양상은 일반적으로 몇몇 형태의 프로그램 저장 매체 상에서 인코딩되거나 몇 가지 유형의 전송 매체를 통해 구현된다는 점에도 유의한다. 프로그램 저장 매체는 자기적(에를 들어, 플로피 디스크 또는 하드드라이브)일 수도 있고 또는 광학적(예를 들어, CD ROM)일 수도 있으며, 판독 전형일 수도 있고 랜덤 액세스형일 수도 있다. 유사하게, 전송 매체는 이중 연선(twisted wire pairs), 동축케이블, 광섬유 또는 본 기술 분야에 알려진 몇몇 다른 적합한 전송 매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임의의 주어진 구현의 양상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다양한 구조, 시스템 및 디바이스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도면에 개략적으로 도시될 뿐,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세부사항으로 본 발명을 모호하게 하지 않게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첨부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례를 기술하고 설명하도록 포함된다.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단어 및 어구를 그러한 단어 및 어구의 이해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이해하고 해석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당업자가 이해하는 일상적이고 통상적인 용어나 어구와는 다르게 그 용어나 어구를 특정하게 정의하지 않은 것은, 그 용어나 관용구를 일관되게 이용하고자 함이다. 용어 또는 어구가 특정 의미, 즉 당업자가 이해하는 것과는 다른 의미를 갖게 한다는 점에서, 그러한 특정한 정의는 그 용어 또는 어구에 대한 특정한 정의를 직접적이고 명확하게 제공하도록 정의하는 방법으로 명세서에서 명백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100)의 예시적인 제 1 실시예를 개념적으로 예시한 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장거리 무선 인터페이스(110, 115)에 의한 통신을 지원하는 코어 네트워크(105)를 포함한다. 장거리 무선 인터페이스는 일반적으로 장거리에 걸쳐 신호를 교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MTS 표준 및/또는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하는 장거리 무선 인터페이스는 대략 10km에 달하는 거리에 걸친 통신을 허용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WiMAX 표준 및/또는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하는 장거리 무선 인터페이스는 20km를 초과하는 거리에 걸친 통화를 허용할 수 있다. 네트워크(105)는 또한 많은 장거리 무선 인터페이스(110, 115)를 실질적으로 지원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105)에 의해 지원될 수 있는 장거리 무선 인터페이스(110, 1115)의 수 및 그러한 인터페이스를 활용하는 특정 디바이스는 정의되지 않아도 된다. 이에 따라, 장거리 무선 인터페이스(110, 115)를 통해 통신할 수 있는 디바이스가 네트워크(105)에 액세스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장거리 무선 통신은,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MTS),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DMA, CDMA 2000), 전 지구적 이동 통신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WiMAX 등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정의된 표준 및/또는 프로토콜에 의해 지원되는 RF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무선 통신 시스템(100)의 제 1 실시예는 또한 하나 이상의 이동 유닛(120(1-3))을 포함한다. 인덱스(1-3)는 개개의 이동 유닛(120(1-3)) 또는 그들의 서브세트를 나타내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인덱스는 이동 유닛(120)을 총괄하여 지칭할 때에는 누락될 수 있다. 이러한 협의사항은 도면 내에서 번호 및 하 나 이상의 식별 인덱스로 나타낸 다른 요소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이동 유닛은, 셀룰러 전화, PDA, 스마트폰, 문자 메시징 디바이스, 호출기, GPS 디바이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노트북 컴퓨터 및 데스크톱 컴퓨터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3개의 이동 유닛(120)이 도 1에 도시되었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이 임의의 특정한 수의 이동 유닛(120)으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동 유닛(120)은 정의된 세트 내의 이동 유닛(120)들 사이에 무선 인터페이스를 설립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정의된 세트 내의 다른 이동 유닛(120)(또는 다른 디바이스)과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정의된 세트의 디바이스에 대하여 이들 유형의 통신 프로토콜은 빌딩 인테리어와 같은 제약된 세팅에서 신뢰할 수 있는 고품질 통신 네트워크를 제공하도록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브루투스 표준은 때때로 피코넷(piconet)이라고 지칭되는 부재 디바이스(member devices)의 정의된 세트를 갖는 단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구현하는 데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브루투스 호환가능 디바이스는 주파수 호핑 기술(a frequency-hopping technique)을 사용하여 대략 2.4 GHz의 공업, 과학 및 의료용(Industrial, Scientific, and Medical: ISM) 주파수 대역에서 무선 인터페이스 또는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해 데이터 및/또는 음성을 전송한다. 부분적으로, 브루투스 표준의 주파수 호핑 특성으로 인해, 브루투스 표준에 따라 형성된 통신 링크는 간섭의 존재 시에 링크 품질을 유지시키는 적당한 기회를 갖는다. 브루투스 표준은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으며, 그에 따라, 본 명세서에서는 명료성을 위해 본 발명과 관련된 브루투스 표준의 양상만이 논의될 것이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이동 유닛(120)은 연계된 피코넷 내에서 다른 이동 유닛(120)과 통신하기 위한 브루투스 인터페이스(125)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이동 유닛(120(1-2))은 피코넷을 형성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무선 인터페이스(130)를 통해 브루투스 프로토콜에 따라 인코딩되었던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통신할 수 있다. 이동 유닛(120(1-2))은 또한 피코넷 내의 다른 디바이스와도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유닛(120(2))은 브루투스 인터페이스(125(2))를 사용하여 무선 이어피스(도시하지 않음)와의 무선 통신 링크를 설립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브루투스 인터페이스(125)로 제한되지 않는다. 대안의 실시예에서, IEEE 802 표준 또는 프로토콜에 의해 정의된 인터페이스와 같이 정의된 세트의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위한 다른 인터페이스(125)가 본 발명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동 유닛(120)은 또한 UMTS, GSM, WiMAX 등과 같은 장거리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하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동 유닛(120)이 브루투스 프로토콜에 따라 인코딩된 정보를 교환하게 하는 가상의 브루투스 인터페이스(135)도 포함한다. 가상의 브루투스 인터페이스(135)는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라면 대안의 실시예에서 이동 유닛(120)이 장거리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하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른 정의된 세트 프로토콜에 따라 인코딩된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다른 가상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가상의 브루투스 인터페이스(135)는 브루투스 프로토콜에 따라 인코딩되는 정보를 액세스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루 투스 프로토콜에 따라 인코딩된 정보는 통상적인 브루투스 인터페이스(125)에 의해 가상의 브루투스 인터페이스(135)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의 브루투스 인터페이스(135)는 브루투스 프로토콜에 따라 인코딩되지 않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그 때문에 이 정보를 브루투스 프로토콜에 따라 인코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상의 브루투스 인터페이스(135) 및 통상적인 브루투스 인터페이스(125)는 추가 보안성을 제공할 수 있는 방화벽(140)에 의해 이격될 수 있다.
가상의 브루투스 인터페이스(135)는 장거리 무선 인터페이스(110, 115)를 통해 전송될 수 있는 신호 또는 정보를 형성하는 데 브루투스-인코딩 정보(bluetooth-encoded information)를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상의 브루투스 인터페이스(135)는 하나 이상의 장거리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에 따라 형성된 하나 이상의 패킷의 바디에서 브루투스-인코딩 정보를 캡슐화할 수 있다. 그러면, 장거리 무선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라 인코딩된 정보(예를 들어, 브루투스-인코딩 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패킷)는 장거리 무선 인터페이스(110, 115)를 통해 네트워크(105)에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유닛(120(3))은 무선 인터페이스(115)를 통해 네트워크(105)로 브루투스-인코딩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을 전송한 후 무선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이동 유닛(120(2))으로 전송하는 데 가상의 브루투스 인터페이스(135(3))를 사용할 수 있다.
가상의 브루투스 인터페이스(135)는 관련된 장거리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에 따라 장거리 무선 인터페이스(110, 115)를 통해 전송되었던 신호 및/또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신호 및/또는 정보는 브루투스 프로토콜(또는 몇몇 다른 정의된 세트의 프로토콜)에 따라 인코딩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가상의 브루투스 인터페이스(135)는 장거리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에 따라 인코딩된 신호 및/또는 정보로부터 브루투스-인코딩 정보를 추출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브루투스-인코딩 정보는 장거리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에 따라 전송된 패킷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상의 브루투스 인터페이스(135)는 패킷을 디코딩할 수 있고, 장거리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에 관련된 임의의 헤더를 제거(strip off)하여 브루투스-인코딩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그러면, 이 정보는 브루투스 프로토콜에 따라 디코딩될 수도 있고 및/또는 이동 유닛(120)에 의해 지원되는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동 유닛(120(2))은 무선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브루투스-인코딩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그러면, 브루투스-인코딩 정보는 가상의 브루투스 인터페이스(135(2))에 의해 추출될 수 있고, 브루투스 인터페이스(125(2))로 제공되어 무선 인터페이스(130)를 통해 이동 유닛(120(1))에 제공될 수 있다.
가상의 브루투스 인터페이스(135)(또는 다른 정의된 세트 프로토콜에 대한 다른 가상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면, 이동 유닛(120)은 통상적인 정의된 세트 프로토콜과 연관된 거리 제한을 극복한다. 예를 들어, 예시된 실시예에서, 가상의 브루투스 인터페이스(135(2-3))를 사용하여 네트워크(105)를 통한 브루투스 통신을 지원하는 것은 모든 이동 유닛(120)이 단독 정의된 세트 또는 피코넷 내에 포함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브루투스 서비스는 장거리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한 네트워크(105)로의 액세스를 허용하는 임의의 지리적 영역 전반에 분포된 이동 유 닛(120)에 제공될 수 있다. 이동 유닛(120)은 또한 네트워크(105)에 의해 서비스되는 지리적 영역에 분포된 다른 브루투스 디바이스의 모뎀으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동 전화(120) 내의 브루투스 애플리케이션은 이동 전화(120)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브루투스 GPS-마우스에 네트워크(105)를 통한 "전화 호출"을 신청(place)할 수 있다. 이 장거리 기능은 회사가 다양한 데이터 수집 서비스를 제공하게 할 것이다. 예를 들어, 회사는 장거리 브루투스 기능을 사용하여, 드라이브 테스트, "RF-인터페이스" 커버 영역(예를 들어, UMTS, CDMA, GSM)으로부터의 플릿 제어 승인(fleet control licenses)의 원격 수집, 또는 다른 브루투스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다.
도 2는 무선 통신 시스템(200)의 예시적인 제 2 실시예를 개념적으로 예시한 것이다. 예시적인 제 2 시스템에서, 시스템(200)은 하나 이상의 이동 유닛(205)을 포함한다(도 2에는 하나만이 도시됨). 이동 유닛(205)은, 정의된 세트 내의 디바이스들 사이에 무선 인터페이스를 설립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정의된 세트 내의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이동 유닛(205)은 관련된 피코넷(220) 내의 디바이스(215(1-3))와 통신하기 위한 브루투스 인터페이스(210)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이동 유닛(205)은 브루투스 인터페이스(210)를 사용하여 무선 헤드셋(215(1)), 무선 마우스(215(2)), 무선 키보드(215(3)) 또는 피코넷(220) 내의 다른 디바이스(도시하지 않음)와 무선 통신 링크를 설립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브루투스 인터페이스(210)로 제한되지 않는다. 대안의 실시예에서, IEEE 802 표준 또는 프로토콜에 의해 정의된 인터페 이스와 같이 정의된 세트의 디바이스와 통신하기 위한 다른 인터페이스(210)가 본 발명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동 유닛(205)은 또한 UMTS, GSM, WiMAX 등과 같은 장거리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하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브루투스 프로토콜에 따라 인코딩된 정보를 이동 유닛(205)이 교환하게 하는 가상의 브루투스 인터페이스(225)를 포함한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대안의 실시예에서, 이동 유닛(205)이 장거리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하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른 정의된 세트 프로토콜에 따라 인코딩된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다른 가상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가상의 브루투스 인터페이스(225)는 브루투스 프로토콜에 따라 인코딩된 정보를 액세스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루투스 프로토콜에 따라 인코딩된 정보는 통상적인 브루투스 인터페이스(210)에 의해 가상의 브루투스 인터페이스(225)에 제공될 수 있다. 대안으로, 가상의 브루투스 인터페이스(225)는 브루투스 프로토콜에 따라 인코딩되지 않은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으며, 그 후에 브루투스 프로토콜에 따라 그 정보를 인코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상의 브루투스 인터페이스(225) 및 통상적인 브루투스 인터페이스(210)는 추가 보안을 제공할 수 있는 방화벽(230)에 의해 이격될 수 있다.
시스템(200)은 또한 하나 이상의 장거리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하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한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네트워크(235)를 포함한다. 네트워크(235)는 네트워크(235)가 장거리 프로토콜(들)에 따라 동작하는 무선 인터페이스(245)를 통해 브루투스 프로토콜(또는 다른 정의된 세트 프로토콜)에 따라 인코딩된 정보를 네트워크(235)가 교환하게 하는 가상의 브루투스 인터페이스(240)를 포함한다. 무선 인터페이스(245)를 통해 브루투스 프로토콜(다른 정의된 세트 프로토콜)에 따라 인코딩된 정보의 교환을 지원하도록 가상의 브루투스 인터페이스(240)를 동작시키는 예시적인 기술이 본 명세서 내의 어디에선가 논의되며, 지금은 명료성을 위해 반복되지는 않을 것이다. 따라서 네트워크(235)는 다양한 브루투스 서비스 및/또는 애플리케이션(250)을 지원할 수 있으며, 이들 서비스를 비교적 큰 지리적 영역에 걸쳐 분포될 수 있는 이동 유닛(205) 및/또는 디바이스(215)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상의 브루투스 인터페이스(240)는 장거리 무선 인터페이스(245)를 통해 브루투스 애드 혹 네트워크를 인터넷 전반의 임의의 다른 네트워크와 계속해서 접속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가상의 브루투스 인터페이스(240)는 또한 임의의 다른 브루투스 디바이스를 인터넷에 접속시키거나 인터넷으로부터의 임의의 다른 브루투스 인터페이스에 접속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루투스 애플리케이션(250)은 브루투스 프로토콜에 따라 음악을 전송하는 음악 청취 서비스일 수 있다. 따라서, 가상의 브루투스 인터페이스(240)는 인터넷을 통해 애플리케이션(250)으로부터 전송된 음악을 나타내는 정보를 액세스하고, 장거리 프로토콜에 따라 브루투스 정보를 인코딩하며, 무선 인터페이스(245)를 통해 이 정보를 이동 유닛(205)에 전송할 수 있다. 가상의 브루투스 인터페이스(225)는 브루투스-인코딩 정보를 무선 헤드셋(215(1))에 전송하여 사용자가 그 전송된 음악을 청취할 수 있게 하는 통상적인 브루투스 인터페이스(210)에 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례로서, 사용자는 무선 마우스(215(2)) 및/또는 무선 키보드(215(3))를 사용하여, 브루투스 인터페이스(210), 가상의 브루투스 인터페이스(225), 장거리 무선 인터페이스(245) 및 가상의 브루투스 인터페이스(240)를 통해 입력을 브루투스 애플리케이션(25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무선 통신 시스템(300)의 예시적인 제 3 실시예를 개념적으로 예시한다. 예시적인 제 3 실시예에서, 시스템(300)은 정의된 세트 내의 디바이스들 사이에 무선 인터페이스를 설립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정의된 세트 내의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305)를 포함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디바이스(305)는 브루투스 프로토콜에 따라 무선 통신 링크를 설립하기 위한 브루투스 인터페이스(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브루투스 인터페이스 및/또는 프로토콜로 제한되지 않는다. 대안의 실시예에서, IEEE 802 표준 또는 프로토콜에 의해 정의된 인터페이스와 같은 정의된 세트의 디바이스와 통신하기 위한 다른 인터페이스가 본 발명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제 3 실시예는, 디바이스(305)가 예시적인 제 1 및 제 2 실시예에서와 같이 양방향 통신 링크를 설립하는 대신에 내부 가상의 브루투스 인터페이스(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단방향 전송을 수신할 수 있다는 점에서 예시적인 제 1 및 제 2 실시예와는 상이하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시스템은 방송국(310)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방송국(310)은 라디오 방송국(terrestrial radio stations), TV 방송국(terrestrial television stations), 및 라디오 및/또는 TV 신호를 제공하는 위성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방송국(310)은 정보를 생성하는 브루투스 애플리케이션(315)과, 전송 및/또는 방송될 단방향 신호를 형성하기 위한 가상의 브루투스 인터페이스(320)를 포함한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전송되는 콘텐츠를 반드시 생성해야 하는 것은 아님을 이해할 것이다. 그 결과, 브루투스 애플리케이션(315)은 선택적이며, 방송국(310)의 모든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방송국(310)은 가상의 브루투스 인터페이스(320)를 사용하여 위성 라디오, TV 또는 일반 라디오와 같은 단방향 비컨형 파일럿 전송(unidirectional beacon-like pilot transmissions)을 디바이스(305)에 제공한다. 예를 들어, 가상의 브루투스 인터페이스(310)가 위성 라디오 방송국(310)에 있다면, 가상의 브루투스 인터페이스(310)는 HiFi 증폭기의 브루투스 입력을 구동할 수도 있고 또는 직접적으로 브루투스 구동 헤드폰을 구동할 수도 있다. 가상의 브루투스 또는 다른 단거리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방송 서비스를 구현하는 것은 브루투스 인에이블링된 디바이스(305)를 소유하는 사용자의 브로드 매스 마켓(a broad mass market)에 TV 또는 라디오 방송국이 도달하게 할 수 있다. 이들 사용자는 그들의 브루투스 헤드폰(305)을 직접 이용하여 TV 또는 라디오 방송국에 의해 제공되는 음악 스트림을 청취할 수 있다. 이 기술은 또한 브루투스 오디오 스트림이 웹라디오(web-radio)와 같은 인터넷을 통해 액세스되는 정보로부터 도출될 수 있는 무선 인터넷 액세스에 대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이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상이하지만 동등한 방법으로 수정 및 실현될 수 있기 때문에 전술한 특정 실시예는 단지 예시에 불과하다. 또한,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서 설명한 바 이외에, 본 명세서에 도시한 구조 또는 설계의 세부사항은 제한하기 위해 설명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전술한 특정 실시예는 변경되거나 수정될 수도 있고 모든 그러한 변화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는 것이 자명하다. 이에 따라 본 명세서에서 추구하는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설명된다.

Claims (10)

  1. 서로 통신하는 다수의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정의된 세트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필요로 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정의된 세트 내의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 1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한 전송을 위해 제 1 프로토콜에 따라 제 1 정보를 인코딩하는 단계와,
    제 2 프로토콜에 따른 전송을 위해 상기 제 1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정보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프로토콜에 따라 제 2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 2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를 인코딩하는 단계는 브루투스 인터페이스와 가상의 에뮬레이트된 브루투스 인터페이스(a virtual emulated Bluetooth interface)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브루투스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제 1 정보를 인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정보를 인코딩하는 단계는 이동 유닛과 코어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제 1 정보를 인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정보를 형성하는 단계는 장거리 무선 통신 프로토콜(a long-range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에 따라 제 2 정보를 인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정보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하는 제 1 인터페이스로부터 상기 제 1 정보를 액세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 2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코어 네트워크와 적어도 하나의 이동 유닛 사이에서 제 2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 2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 2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단방향 통신과 양방향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하는 제 2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 2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6. 서로 통신하는 다수의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정의된 세트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필요로 하는 방법으로서,
    제 1 프로토콜에 따라 제 1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되며, 상기 정의된 세트 내의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 2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한 전송을 위해 제 2 프로토콜에 따라 인코딩된 제 2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정보를 액세스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정보로부터 상기 제 2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를 액세스하는 단계는 장거리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인코딩된 제 1 정보를 액세스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 2 프로토콜에 따라 인코딩된 상기 제 2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 1 정보 를 액세스하는 단계는 브루투스 인터페이스와 가상의 에뮬레이트된 브루투스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브루투스 프로토콜에 따라 인코딩된 제 2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정보를 액세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상기 추출된 제 2 정보를 디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하는 제 2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추출된 제 2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 2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추출된 제 2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정의된 세트 내의 다른 디바이스와 코어 네트워크 중의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정의된 세트 내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 사이에서 제 2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추출된 제 2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제 1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된 상기 제 1 정보를 액세스하는 단계는 단방향 통신과 양방향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하는 제 1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된 상기 제 1 정보를 액세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097010928A 2006-11-28 2007-11-20 장거리 무선 통신용 가상 단거리 인터페이스 방법 KR2009008341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563,963 US20080125039A1 (en) 2006-11-28 2006-11-28 Virtual short range interface for long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S11/563,963 2006-11-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3415A true KR20090083415A (ko) 2009-08-03

Family

ID=39028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0928A KR20090083415A (ko) 2006-11-28 2007-11-20 장거리 무선 통신용 가상 단거리 인터페이스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80125039A1 (ko)
EP (1) EP2092716A1 (ko)
KR (1) KR20090083415A (ko)
CN (1) CN101543007A (ko)
WO (1) WO20080667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35342B1 (en) * 2006-09-15 2012-03-13 Harold Michael D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a wireless cell phone device to create a desktop computer and media center
EP2314021B1 (en) 2008-06-18 2018-09-19 Emerson Process Management LLLP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process communication over distinct networks
KR20100039154A (ko) * 2008-10-07 2010-04-15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루투스 피코 넷에서 마스터 블루투스 단말기의 QoS 제어 방법 및 장치
US8452877B2 (en) * 2010-04-28 2013-05-28 Lenovo (Singapore) Pte. Ltd. Establishing a remote desktop
WO2012127372A1 (en) * 2011-03-18 2012-09-2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ommunication between a client device and a wireless peripheral unit
EP3043575A1 (en) * 2015-01-08 2016-07-13 Giesecke & Devrient GmbH Method of establishing a communication with a Bluetooth Low Energy application running on a mobile station
CN106354445B (zh) * 2016-08-30 2019-10-22 福建联迪商用设备有限公司 基于虚拟蓝牙设备的打印方法及其系统
US10573144B2 (en) * 2016-10-10 2020-02-25 Netgear, Inc. Changing topology in a wireless network
US10686883B2 (en) * 2017-07-07 2020-06-16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Bluetooth low energy devices
CN107493126A (zh) * 2017-08-21 2017-12-19 安徽信息工程学院 大范围蓝牙通信系统及其控制方法
CN110621085B (zh) * 2018-06-19 2021-10-1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数据传输方法及相关产品
CN109166578B (zh) * 2018-08-14 2021-05-1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语音控制方法及相关产品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70843B2 (ja) * 2002-05-27 2007-01-24 ヤマハ株式会社 楽音発生システムおよび音源モジュール
EP1376996A3 (en) * 2002-06-25 2007-05-30 Netcodec Co, Limited Internet cordless phone
IL154235A0 (en) * 2003-01-30 2003-09-17 Wireless Roots Ltd Apparatus for allowing handheld wireless devices to communicate voice and information over preexisting telephone lines
US7406313B2 (en) * 2003-06-25 2008-07-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connecting ad hoc piconets to wide area networks
KR100547133B1 (ko) * 2003-07-11 2006-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종 단말들의 애드-혹 망을 구축하는 장치 및 방법
EP1560385B1 (en) * 2004-02-02 2010-04-14 Sony Deutschland GmbH Method for data transfer in a multi-standard network
US20050287955A1 (en) * 2004-06-23 2005-12-29 Inventec Appliances Corporation System of increasing communication quality of PHS handset by employing bluetooth
US20060217066A1 (en) * 2005-03-25 2006-09-28 Siemens Communications, Inc. Wireless microphone system
US20080028430A1 (en) * 2006-07-28 2008-01-31 Barrett Kreiner Control gateways that control consumer electronic devices responsive to RF command signa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66737A1 (en) 2008-06-05
EP2092716A1 (en) 2009-08-26
US20080125039A1 (en) 2008-05-29
CN101543007A (zh) 2009-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83415A (ko) 장거리 무선 통신용 가상 단거리 인터페이스 방법
Venu et al. Review of Internet of Things (IoT) for Future Generation Wireless Communications
US8019383B2 (en) Techniques to increase coverage of push-to-talk wireless networks
US8364963B2 (en) Method and device for bluetooth pairing
US10827560B2 (en) Dual-mode low-power wide-area network chip, method for data transmission, and terminal
Hunn Essentials of short-range wireless
KR102060434B1 (ko) 휴대 단말기에서 무선 통신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US20150111501A1 (en) Method of managing interferen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080045641A (ko) 무선 억세스 포인트로부터의 미디어 브로드캐스트
CN102377457A (zh) 一种移动通讯终端共享音频信息的方法和装置
KR100713647B1 (ko) 무선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동시 통역 시스템
KR101552830B1 (ko)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블루투스 헤드셋 구현 방법
CN101790177A (zh) 通信控制设备、通信控制方法、程序和通信系统
KR100602851B1 (ko) 휴대통신단말기 간의 비화통신 시스템
CN113660580A (zh) 耳机通信方法和系统、一种耳机及一种电子设备
Singh et al. Securing internet of things in 5G using audio steganography
US11659016B2 (en) Distributed data transmission for internet of things devices
CN113890616B (zh) 光纤-同轴宽带的千兆信息传输处理系统及处理方法
US20040085941A1 (en) Information appliance control system
KR20080011943A (ko)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인증 및 결제 방법
CN112564880B (zh) 数据处理方法及相关设备
KR20000030918A (ko) 셀룰라 무선통신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장치
Rui Smartphones in wireless communication without mobile networks
JPWO2022249821A5 (ko)
KR101729787B1 (ko)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