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3080A - 테트라 보드 - Google Patents

테트라 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3080A
KR20090083080A KR1020080009029A KR20080009029A KR20090083080A KR 20090083080 A KR20090083080 A KR 20090083080A KR 1020080009029 A KR1020080009029 A KR 1020080009029A KR 20080009029 A KR20080009029 A KR 20080009029A KR 20090083080 A KR20090083080 A KR 200900830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plate
handle
assembly
tetra
wheel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9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2715B1 (ko
Inventor
최종연
Original Assignee
최종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종연 filed Critical 최종연
Priority to KR1020080009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2715B1/ko
Publication of KR20090083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30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27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27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5/0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62K5/003Cycles with four or more wheel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riders, e.g. personal mobility type vehicles with four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3/00Rider-operated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i.e. means for initiating control operations, e.g. levers, grips
    • B62K23/02Rider-operated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i.e. means for initiating control operations, e.g. levers, grips hand actuated
    • B62K23/06Le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LBRAKE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 B62L1/00Brakes; Arrangements thereof
    • B62L1/02Brakes; Arrangements thereof in which cycle wheels are engaged by brake elements
    • B62L1/04Brakes; Arrangements thereof in which cycle wheels are engaged by brake elements the tyre surfaces being enga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LBRAKE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 B62L3/00Brake-actuating mechanisms; Arrangements thereof
    • B62L3/02Brake-actuating mechanisms; Arrangements thereof for control by a hand le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트라 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땅을 지치거나 비트는 등의 동작으로 주행하기 위하여, 탑승자의 발이 거치되는 몸체 플레이트; 상기 몸체 플레이트 상에 장착되는 핸들 조립체; 상기 몸체 플레이트 양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지면과 구름 접촉하는 주 바퀴조립체; 및 상기 몸체 플레이트 하부측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주행 방향의 전, 후방측이 지면과 구름 접촉하는 보조 바퀴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 플레이트 상에 일측 발을 거치하고 타측 발로 땅을 지치면서 주행하거나, 상기 핸들 조립체를 파지하고 양측 발을 거치한 상기 몸체 플레이트를 비틀면서 주행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하여 노면의 상태와 상관없이 주행, 방향전환, 제자리 회전 및 정지 등의 다양한 동작이 가능함은 물론, 안전성을 높인 테트라 보드에 관한 것이다.
테트라 보드, 몸체 플레이트, 주 바퀴조립체, 보조 바퀴조립체

Description

테트라 보드{Tetra board}
본 발명은 테트라 보드에 관한 것으로, 핸들 조립체가 장착된 몸체 플레이트 양측의 주 바퀴조립체와, 상기 몸체 플레이트 하부측의 보조 바퀴조립체로 이루어진 구성을 채택함으로써 노면의 상태와 상관없이 주행, 방향전환, 제자리 회전 및 정지 등의 다양한 동작이 가능함은 물론, 안전성을 높인 테트라 보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레저에 관심을 가지는 인구의 증가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여가를 선용하고자 하는 수요자의 요구에 부응하여 다양한 놀이 기구 및 방법 등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 중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킥보드 또한 널리 보급되어 있다.
킥보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 후방에 각각 휠(4, 5)이 장착된 발판(1)의 전방측에 경사각 조절구(6)와 결합되어 탑승자가 손으로 파지 가능한 손잡이(3)를 구비한 지지대(2)로 이루어지며, 탑승자의 일측 발을 상기 발판(1)에 올린 채 타측 발로 땅을 지치면서 주행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킥보드는 그 주행 방법이 지극히 단순하여 탑승자가 쉽게 싫증을 느끼게 되며 노면 상태가 고르지 못한 도로에서는 주행이 힘들고, 회전 반경이 넓어 급격한 방향 선회 등의 동작을 수행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10-2003-0024307호의 "삼륜 비클", 미국 특허 US4,540,192A1호의 "삼륜 스쿠터형 차량", 미국 특허 US6,220,612B1호의 "캠버링 차량 및 그 메커니즘", 대한민국 실용신안 출원 제20-2002-0000991호의 "추진력을 갖는 킥보드", 실용신안 출원 제20-2005-0001790호의 "트라이씨클", 실용신안 출원 제20-2005-0030410호의 "추진식 트라이보드" 및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7-0007141호의 "승물용 전륜조립체"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도 2는 상기 선행기술 중 "삼륜 비클"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행기술의 삼륜 비클(101)은 조타 휠(505)을 장착한 전방 기둥(103), 후륜(701, 702)을 각각 장착한 좌, 우 후미 암(104, 105)을 가지는 삼륜 골조(102)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삼륜 비클"을 포함한 선행기술들은 공히 탑승자가 전방 기둥(103) 상단부의 핸들을 파지하고 좌, 우 후미 암(104, 105) 후방측에 장착된 발판에 양발을 각각 거치한 상태에서 상기 좌, 우 후미 암(104, 105)을 상호 인접시키고 이격시키는 동작을 반복하여 추진력을 얻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들은 역시 전술한 바와 같은 좌우 발판을 상호 인접시키고 이격시키는 동작만 수행할 수밖에 없으며, 땅을 지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없으므로 주행 방법이 단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선행기술들은 핸들과 발판 사이의 거리가 일정 정도 이격된 상 태이므로, 곡률이 심한 도로를 회전하거나 방향 전환을 시도할 경우에 탑승자가 무게 중심을 잃고 넘어져 부상을 입을 우려가 있을 뿐 아니라, 커브 주행시 회전 반경이 그만큼 커지는 한계 또한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노면의 상태와 상관없이 주행, 방향전환, 제자리 회전 및 정지 등의 다양한 동작이 가능함은 물론, 안전성을 높인 테트라 보드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땅을 지치거나 비틀면서 주행하는 보드에 있어서, 탑승자의 발이 거치되는 몸체 플레이트; 상기 몸체 플레이트(100) 상에 장착되는 핸들 조립체; 상기 몸체 플레이트 양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지면과 구름 접촉하는 주 바퀴조립체; 및 상기 몸체 플레이트 하부측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주행 방향의 전, 후방측이 지면과 구름 접촉하는 보조 바퀴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 플레이트 상에 일측 발을 거치하고 타측 발로 땅을 지치면서 주행하거나, 상기 핸들 조립체를 파지하고 양측 발을 거치한 상기 몸체 플레이트를 비틀면서 주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핸들 조립체는 상기 주 바퀴조립체 사이의 몸체 플레이트를 통하여 상기 보조 바퀴조립체와 결합하여 일체로 회동 가능하며, 상기 핸들 조립체에는 상기 주 바퀴조립체의 회전을 각각 또는 동시에 제한하는 제동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핸들 조립체는 상기 몸체 플레이트 상에 형성된 통공을 통하여 상기 보조 바퀴조립체와 결합되어 일체 연동하며 상기 몸체 플레이트와 일정각도 경사를 이루는 핸들 지지대; 및 상기 핸들 지지대의 단부에서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주 바퀴조립체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동수단이 장착되는 파지 가능한 핸들 바;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주 바퀴조립체는 상기 몸체 플레이트 양측에서 각각 연장 형성된 지지 브라켓; 및 상기 지지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되며 상기 제동수단에 의하여 회전이 제한되는 주 바퀴;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동수단은 상기 핸들 바에 장착되는 브레이크 레버; 및 상기 브레이크 레버와 작동 와이어로 연결되어 상기 브레이크 레버 조작에 연동하여 상기 주 바퀴를 가압 접촉 또는 가압 해제하는 브레이크 어셈블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보조 바퀴조립체는 상부측이 상기 핸들 지지대와 결합하여 일체로 회동하는 회동 바; 및 상기 회동 바 양단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장착되는 방향성 캐스터인 보조 바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보조 바퀴조립체에는 상기 회동 바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회동 바를 기준으로 상기 보조 바퀴의 비틀림을 허용하는 탄성 복원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탄성 복원수단은 금속재의 플레이트를 복수개 적층 형성하여 비틀림을 허용하는 것으로, 상기 보조 바퀴 상부측과 상기 회동 바 양단을 상호 연결하는 토션바; 및 상기 토션바 상을 왕복 이동하면서 상기 토션바의 비틀림을 조정하는 조절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테트라 보드는 상기 핸들 조립체를 상기 주 바퀴조립 체 상의 몸체 플레이트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보조 바퀴조립체와 별개로 상기 몸체 플레이트와 일체 연동하며, 상기 핸들 조립체에는 상기 주 바퀴조립체의 회전을 각각 또는 동시에 제한하는 제동수단이 더 구비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주 바퀴조립체는 상기 몸체 플레이트 양측에서 각각 연장 형성되며 상부측에 상기 핸들 조립체가 장착되는 지지 브라켓; 및 상기 지지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되며 상기 제동수단에 의하여 회전이 제한되는 주 바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핸들 조립체는 상기 지지 브라켓 상부측에 각각 장착되어 지면과 수직 또는 일정 각도를 이루는 핸들 지지대; 및 상기 핸들 지지대 단부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주 바퀴조립체의 회전을 제한하는 상기 제동수단이 장착되는 파지 가능한 핸들 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보조 바퀴조립체는 상부측이 상기 몸체 플레이트에 형성된 통공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회동 바; 및 상기 회동 바 양단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장착되는 방향성 캐스터인 보조 바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몸체 플레이트 양측의 주 바퀴에 대하여 몸체 플레이트 하부측에서 주행 방향의 전, 후방측이 지면과 구름 접촉하는 회동 바 양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 장착되는 보조 바퀴를 구비한 구조로써 땅을 지치면서 추진력을 발생함은 물론, 보 조 바퀴조립체와 일체 회동하는 핸들 조립체를 파지하고 몸체 플레이트에 양발을 거치하여 핸들 조립체를 비틀면서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주행, 방향전환, 제자리 회전 및 정지 등의 다양한 동작을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즐길 수 있는 특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핸들 바 각각에 장착된 브레이크 레버와 주 바퀴조립체의 회전을 제한하는 브레이크 어셈블리로 이루어진 제동수단을 구비한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브레이크 레버의 각각 또는 동시 조작에 의하여 급격한 방향 선회 및 회전 동작이 원활하게 수행 가능함은 물론, 보조 바퀴조립체의 구조적 특징에 의하여 급정지 시에도 탑승자가 넘어져 부상을 입는 일이 없으므로, 탑승자의 안전 또한 고려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땅을 지치며 추진력을 발생하는 기존의 킥보드와 발판을 상호 이격 또는 인접시키며 추진력을 발생하는 보드 두 가지 기구의 효용을 거둘 수 있다는 점에서 경제적인 면에서뿐만 아니라, 다양하고 까다로운 수요자의 요구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는 면에서도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테트라 보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테트라 보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측면에서 바라본 테트라 보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테트라 보드는 크게 몸체 플레이트(100), 핸들 조립체(200), 주 바퀴조립체(300) 및 보조 바퀴조립체(400)로 이루어진 것임을 알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테트라 보드'라 함은 상기 몸체 플레이트(100) 양측의 주 바퀴조립체(300)에 대하여 상기 몸체 플레이트(100) 하부측에 구비된 주행 방향의 전, 후방측이 구름 접촉하는 보조 바퀴조립체(400)로써 총 네 개의 지점이 지면과 구름 접촉하는 것에 기인하여 붙인 명칭으로, 이하에서 테트라 보드라 명명하기로 한다.
상기 몸체 플레이트(100)는 탑승자의 발이 거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일정 면적을 지닌 것이며, 상기 핸들 조립체(200)는 상기 몸체 플레이트(100) 상에 장착되며, 상기 주 바퀴조립체(300)는 상기 몸체 플레이트(100) 양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지면과 구름 접촉하고, 상기 보조 바퀴조립체(400)는 상기 몸체 플레이트(100) 하부측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주행 방향의 전, 후방측이 지면과 구름 접촉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핸들 조립체(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 플레이트(100) 상의 지지관(110, 도 3 참고)을 통하여 상기 보조 바퀴조립체(400) 상부측과 결합되어 일체 회동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핸들 조립체(200)에는 상기 주 바퀴조립체(300)의 회전을 각각 또는 동시에 제한하는 제동수단(500)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테트라 보드는 상기 몸체 플레이트(100) 상에 일측 발을 거치하고 타측 발로 땅을 지치면서 주행하거나, 상기 핸들 조립체(200)를 파지하고 양측 발을 거치한 상기 몸체 플레이트(100)를 비틀면서 주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의 도면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트라 보드의 주요부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테트라 보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 플레이트(100)는 상부면에 지지관(110, 도 3 참고)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관(110)과 연통하여 관통 형성된 통공(102)이 구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 조립체(200)는 상기 보조 바퀴조립체(400)와 결합하는 핸들 지지대(210) 및 후술할 제동수단(500)의 브레이크 레버(510)가 장착되는 핸들 바(220)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핸들 지지대(210)는 상기 몸체 플레이트(100) 상에 형성된 통공(102)을 통하여 상기 보조 바퀴조립체(400)와 결합되어 일체 연동하며 상기 몸체 플레이트(100)와 일정각도 경사를 이루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핸들 지지대(210)는 특별히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통공(102)에 장착된 부시 베어링과 같은 회동 보조수단으로 원활한 회동을 도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핸들 바(220)는 상기 핸들 지지대(210)의 단부에서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주 바퀴조립체(300)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동수단(500)이 장착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 바퀴조립체(300)는 상기 몸체 플레이트(100) 양측에서 각각 연장 형성된 지지 브라켓(310)과, 상기 지지 브라켓(310)에 중심축(321)이 볼트(302)로 마감되어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되며 상기 제동수단(500)에 의하여 회전이 제한되는 주 바퀴(320)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주 바퀴(3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자전거의 휠과 같은 것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후술할 방향성 캐스터와 같은 것 또한 채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노면의 상태에 관계없이 안정적인 주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제동수단(500)은 상기 핸들 바(220)와 주 바퀴(320)에 각각 장착되는 브레이크 레버(510) 및 브레이크 어셈블리(520)로 구성된다.
상기 브레이크 레버(510)는 핸들 지지대(210) 단부에서 양측으로 연장 형성된 상기 핸들 바(220)에 장착되어 후술할 브레이크 어셈블리(520)와 작동 와이어(502)로 상호 연결된다.
상기 브레이크 어셈블리(520)는 상기 브레이크 레버(510)와 작동 와이어(502)로 연결되어 상기 브레이크 레버(510) 조작에 연동하여 상기 주 바퀴(320)를 가압 접촉 또는 가압 해제하며 상기 주 바퀴(320)의 회전을 제한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클램프(522) 및 브레이크 패드(524)로 이루어진다.
상기 클램프(522)는 상기 지지 브라켓(310) 상부측에 상기 작동 와이어(502)와 연결되어 상기 브레이크 레버(510)를 당기면 상기 주 바퀴(320)측으로 단부가 인접 또는 이격되는 것이며, 상기 브레이크 패드(524)는 상기 클램프(522) 단부에 장착되어 주 바퀴(320)에 직접 가압 접촉 또는 접촉 해제하면서 상기 주 바퀴(320)의 회전을 제동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바퀴조립체(400)는 상부측이 상기 핸들 지지대(210)와 결합하여 일체로 회동하는 회동 바(410)와, 상기 회동 바(410) 양단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장착되는 방향성 캐스터인 보조 바퀴(42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회동 바(410)에는 상기 핸들 지지대(210)의 단부가 몸체 플레이트(100)의 통공(102)을 통하여 상호 결합되도록 체결구(412)가 형성되며, 상기 핸들 지지대(210)의 단부에는 상기 체결구(412)에 대응되는 형상의 체결편(21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편(212)에는 핸들 지지대 체결공(211)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체결구(412)에는 상기 체결편(212)이 체결구(412)에 체결시 상기 핸들 지지대 체결공(211)과 대응하는 위치에 회동 바 체결공(411)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각 체결공(211, 411)이 볼트(413)로 체결 고정되게 된다.
상기 보조 바퀴(4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지면과 일정 각도를 이루는 방향성 캐스터이며, 상부측이 상기 회동 바(410)와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추진력을 발생시키며 회전 및 방향 전환 등의 동작을 수행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보조 바퀴조립체(400)에는 도 6과 같이 상기 회동 바(41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회동 바(410)를 기준으로 상기 보조 바퀴(420)의 비틀림을 허용하는 탄성 복원수단(600)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탄성 복원 수단(600)은 크게 토션바(610) 및 조절자(620)로 이루어진다.
상기 토션바(610)는 금속재의 플레이트를 복수개 적층 형성하여 비틀림을 허용하는 것으로, 상기 보조 바퀴(420) 상부측과 회동 바(410) 양단을 상호 연결하며 외부는 하우징(602)으로 보호되도록 한다.
상기 조절자(620)는 상기 토션바(610) 상을 왕복 이동하면서 상기 토션바(610)의 비틀림을 조정하는 역할을 하는 상기 토션바(610)의 외면 형상에 대응하는 고리 형상의 것이다.
여기서, 상기 조절자(620)는 상기 보조 바퀴(420)의 보다 유연한 비틀림을 허용하기 위하여 편의상 생략하고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은 탄성 복원수단(600)은 본 출원인이 기출원한 특허 출원 제10-2006-0021387호의 '스케이트 보드' 및 등록 실용신안 제20-0435436호의 '스케이트 보드'에 상세한 구성과 작동 메커니즘이 기재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탄성 복원수단(600)과 대동소이한 바,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 바퀴조립체(300)는 도 7과 같은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주 바퀴조립체(300)는 일반적인 자전거의 타이어와 같은 것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바퀴조립체(400)의 보조 바퀴(420)와 동일한 종류의 방향성 캐스터를 적용하여 주행을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주 바퀴조립체(300)는 몸체 플레이트(100) 양측에 상기 주 바퀴조립체(300)를 각각 장착하고, 핸들 조립체(200)와 회 동 바(410)를 상기 몸체 플레이트(100)을 통하여 일체 결합하고 상기 핸들 조립체(200)를 진행하고자 하는 방향을 향하여 회전시킴에 따라 주행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별개로, 본 발명의 주요부인 보조 바퀴조립체(400)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조합의 보조 바퀴를 적용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참고로, 도면 상의 좌측을 전방, 우측을 후방이라 각각 정의하기로 한다.
보조 바퀴조립체(400)의 보조 바퀴(420)는 도 8(a)와 같이 몸체 플레이트(100)를 기준으로 회동 바(410)의 전, 후방측에 각각 장착되도록 할 수 있으며, 도 8(b) 및 도 8(c)와 같이 후방 또는 전방에 한 쌍의 보조 바퀴(420', 420")를 각각 장착하고, 전방 또는 후방에 한 개의 보조 바퀴(420)를 장착할 수 있다.
그리고, 보조 바퀴조립체(400)는 도 8(d)와 같이 상기 회동 바(410)의 전, 후방에 각각 한 쌍의 보조 바퀴(420", 420')를 장착할 수도 있다.
또한, 보조 바퀴조립체(400)는 도 9와 같이 회동 바(410)의 전방 또는 후방측에만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 바퀴(420, 420', 420")를 장착하여 적용하는 것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몸체 플레이트와 핸들 조립체의 결합관계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참고로, 도 10에 도시되지 않은 도면 부호는 도 3 내지 도 5를 참고로 하면 될 것이며 도면의 좌측을 전방, 도면의 우측을 후방으로 정의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테트라 보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몸체 플레이트(100) 상에 일측 발을 거치하고 타측 발로 땅을 지치면서 주행할 경우, 상기 몸체 플레이트(100) 양측에 장착된 주 바퀴(320)의 중심선(C)과 일치하는 상기 몸체 플레이트(100) 상에서 핸들 조립체(200)가 장착되어지되, 도 10(a)와 같이 상기 핸들 조립체(200)는 상기 몸체 플레이트(100)와 일정 각도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핸들 조립체(200)가 주 바퀴(320)의 중심선(C)과 일치하는 상기 몸체 플레이트(100) 상에서 지면, 즉 상기 몸체 플레이트(100)와 수직을 이루면, 탑승자가 발로 땅을 지칠 때 상기 몸체 플레이트(100)는 핸들 조립체(200) 및 보조 바퀴조립체(400)의 회전 방향과는 관계없이 헛도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종래 킥보드와 같은 역할을 원활히 수행할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이에 비하여, 상기 핸들 조립체(200)가 도 10(b) 또는 도 10(c)와 같이 상기 주 바퀴(320)의 중심선(C)과 어긋나는 위치의 몸체 플레이트(100) 상에 위치할 경우, 즉 상기 몸체 플레이트(100) 전방측으로 치우치게 배치될 경우에는 상기 몸체 플레이트(100)와 상기 핸들 조립체(200)가 이루는 각도에 관계없이 주행이 가능하다.
이는, 탑승자가 도 10(b) 또는 도 10(c)와 같이 몸체 플레이트(100) 상에 일측 발을 거치하고 상기 핸들 조립체(200)를 파지한 상태에서 타측 발로 땅을 지치면서 주행을 하게 되면, 상기 핸들 조립체(200)와 결합한 보조 바퀴조립체(400)의 전방측 보조 바퀴(420)에 대하여 후방측 보조 바퀴(420) 및 주 바퀴(320)는 상기 전방측 보조 바퀴(420)를 뒤따르게 되는 후방측 바퀴로서의 역할, 즉 세 발 자전거와 같은 형상으로 주행할 수 있게 되는 원리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테트라 보드는 도 11과 같이 핸들 조립체(200)를 주 바퀴조립체(300) 상부측에 각각 장착하는 실시예를 적용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트라 보드는 몸체 플레이트(100)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주 바퀴조립체(300), 더욱 상세히는 상기 몸체 플레이트(100) 양측의 지지 브라켓(310) 상부측에 핸들 조립체(200)의 핸들 지지대(210')를 장착하고, 상기 핸들 지지대(210') 단부에서 연장하여 절곡 형성되는 핸들 바(220')에 제동수단(500)인 브레이크 레바(510)를 장착하여 작동 와이어(502)와 연결한다.
상기 작동 와이어(502)는 상기 지지 브라켓(310)에 장착되는 브레이크 어셈블리(520)와 연결되어 상기 브레이크 레버(510) 조작에 연동하여 상기 주 바퀴조립체(300)의 주 바퀴(320) 회전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주 바퀴(320)의 회전 제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브레이크 어셈블리(520), 더욱 상세히는 단부에 브레이크 패드(524)를 장착하여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하는 클램프(522)에 의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테트라 보드의 작동 실시예에 관하여 도 12 및 도 13을 참고로 설명하고자 하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트라 보드(도 3 내지 도 5 참고)의,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트라 보드(도 11 참고)의 작동 실시예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참고로, 탑승자가 땅을 지치면서 추진력을 발생시켜 주행하는 것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가 대동소이한 관계로 그 설명을 생략하여도 무방할 것이며, 도면 상의 좌측을 좌측, 우측을 우측이라 하고, 도면의 상측을 전방, 하측 을 후방이라 정의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 상에서 미표기된 부호는 도 3 내지 도 5 및 도 11을 참고하기로 하고, 또한 도면의 설명은 그 주행 방향에 따라 도면의 하부측에서 상부측, 즉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행하고자 하며 도면 상에서 탑승자의 양발 및 양손 등의 도시는 생략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우선, 탑승자는 도 12와 같이 몸체 플레이트(100)에 양발을 거치하고 양손으로 핸들 바(220) 양단을 각각 파지하고, 주행 방향의 좌측 또는 우측(본 발명에서는 좌측부터 시작)으로 상기 핸들 바(220)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후, 상기 회동 바(410)의 전방측은 상기 핸들 바(220)의 회전에 연동하여 좌측을 향하게 되며, 상기 회동 바(410) 전단의 보조 바퀴(420) 및 후단의 보조 바퀴(420)는 각각 주행 방향에 대하여 우측 및 좌측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몸체 플레이트(100) 좌측의 주 바퀴(320)를 회전축(T)으로 하여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탑승자는 상기 핸들 바(220) 좌측의 브레이크 레버(510)를 우측의 브레이크 레버(52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세게 파지하면, 상기 몸체 플레이트(100) 좌측의 주 바퀴(320)의 회전을 제한하면서 상기 회전축(T)을 중심으로 한 회전의 보조를 도모할 수 있다.
탑승자는 상기와 같은 조작으로 좌측으로 구부러진 곡선 도로의 주행을 실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계속하여 탑승자는 상기 핸들 바(220)를 주행방향의 우측으로 회전시키면 도 12의 최상단 도면과 같이 상기 회동 바(410) 전단의 보조 바퀴(420) 및 후단의 보 조 바퀴(420)는 각각 주행 방향에 대하여 좌측 및 우측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몸체 플레이트(100) 우측의 주 바퀴(320)를 회전축(T')으로 하여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탑승자는 상기 핸들 바(220) 우측의 브레이크 레버(510)를 좌측의 브레이크 레버(52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세게 파지하면, 상기 몸체 플레이트(100) 우측의 주 바퀴(320)의 회전을 제한하면서 상기 회전축(T')을 중심으로 한 회전의 보조를 도모할 수 있다.
탑승자는 상기와 같은 조작으로 우측으로 구부러진 곡선 도로의 주행을 실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탑승자는 상기와 같은 동작을 반복하면서 도 12의 후방에서 전방측을 향하여 사행(蛇行) 형상으로 표시한 화살표와 같은 곡선 주행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탑승자는 경우에 따라 빠른 속도로 주행을 실시하는 도중에 상기 핸들 바(220)의 좌측 또는 우측의 브레이크 레버(510)를 급격하게 파지하여 좌측 또는 우측의 주 바퀴(320)를 제동시킨 채 상기 각 회전축(T, T')을 중심으로 제자리에서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의 회전을 실시하는 동작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탑승자는 도 13과 같이 몸체 플레이트(100)에 양발을 거치하고 양손으로 상기 몸체 플레이트(100) 양측의 핸들 바(220') 각각을 파지하고, 주행 방향의 좌측 또는 우측(본 발명에서는 좌측부터 시작)으로 상기 몸체 플레이트(100)를 회전시키게 된다.
여기서, 탑승자는 상기 몸체 플레이트(100) 좌측의 핸들 바(220')를 후방측 으로 우측의 핸들 바(220')를 전방측으로 미는 힘을 가하면서 상기 몸체 플레이트(100)를 주행 방향에 대하여 좌측으로 회전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후, 상기 몸체 플레이트(100)는 주행 방향에 대하여 좌측으로 회전하게 되며, 상기 회동 바(410)의 전방측은 상기 몸체 플레이트(100)의 회전에 연동하여 좌측을 향하게 되며, 상기 회동 바(410) 전단의 보조 바퀴(420) 및 후단의 보조 바퀴(420)는 각각 주행 방향에 대하여 우측 및 좌측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몸체 플레이트(100) 좌측의 주 바퀴(320)를 회전축(T)으로 하여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탑승자는 상기 몸체 플레이트(100) 좌측의 핸들 바(220')에 구비된 브레이크 레버(510)를 우측 핸들 바(220')의 브레이크 레버(52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세게 파지하면, 상기 몸체 플레이트(100) 좌측의 주 바퀴(320) 회전을 제한하면서 상기 회전축(T)을 중심으로 한 회전의 보조를 도모할 수 있다.
탑승자는 상기와 같은 조작으로 좌측으로 구부러진 곡선 도로의 주행을 실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계속하여 탑승자는 상기 몸체 플레이트(100)를 주행방향의 우측으로 회전시키면 도 13의 최상단 도면과 같이 상기 회동 바(410) 전단의 보조 바퀴(420) 및 후단의 보조 바퀴(420)는 각각 주행 방향에 대하여 좌측 및 우측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몸체 플레이트(100) 우측의 주 바퀴(320)를 회전축(T')으로 하여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탑승자는 상기 몸체 플레이트(100) 우측의 핸들 바(220')에 구비된 브레이크 레버(510)를 좌측 핸들 바(220')의 브레이크 레버(520)에 비하여 상대적 으로 세게 파지하면, 상기 몸체 플레이트(100) 우측의 주 바퀴(320) 회전을 제한하면서 상기 회전축(T')을 중심으로 한 회전의 보조를 도모할 수 있다.
탑승자는 상기와 같은 조작으로 우측으로 구부러진 곡선 도로의 주행을 실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탑승자는 경우에 따라 빠른 속도로 주행을 실시하는 도중에 좌측 또는 우측 핸들 바(220')의 브레이크 레버(510)를 급격하게 파지하여 좌측 또는 우측의 주 바퀴(320)를 제동시킨 채 상기 각 회전축(T, T')을 중심으로 제자리에서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의 회전을 실시하는 동작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노면의 상태와 상관없이 주행, 방향전환, 제자리 회전 및 정지 등의 다양한 동작이 가능함은 물론, 안전성을 높인 테트라 보드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보드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테트라 보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측면에서 바라본 테트라 보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테트라 보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보조 바퀴조립체에 장착된 탄성 복원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주 바퀴조립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보조 바퀴조립체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
도 10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몸체 플레이트와 핸들 조립체의 결합관계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테트라 보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테트라 보드의 작동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몸체 플레이트 200...핸들 조립체
300...주 바퀴조립체 400...보조 바퀴조립체
500...제동수단 600...탄성 복원수단

Claims (15)

  1. 땅을 지치거나 비틀면서 주행하는 보드에 있어서,
    탑승자의 발이 거치되는 몸체 플레이트(100);
    상기 몸체 플레이트(100) 상에 장착되는 핸들 조립체(200);
    상기 몸체 플레이트(100) 양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지면과 구름 접촉하는 주 바퀴조립체(300); 및
    상기 몸체 플레이트(100) 하부측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주행 방향의 전, 후방측이 각각 지면과 구름 접촉하는 보조 바퀴조립체(400);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 플레이트(100) 상에 일측 발을 거치하고 타측 발로 땅을 지치면서 주행하거나, 상기 핸들 조립체(200)를 파지하고 양측 발을 거치한 상기 몸체 플레이트(100)를 비틀면서 주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트라 보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조립체(200)는,
    상기 주 바퀴조립체(300) 사이의 몸체 플레이트(100)를 통하여 상기 보조 바퀴조립체(400)와 결합하여 일체로 회동 가능하며,
    상기 핸들 조립체(200)에는 상기 주 바퀴조립체(300)의 회전을 각각 또는 동시에 제한하는 제동수단(50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트라 보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조립체(200)는,
    상기 몸체 플레이트(100) 상에 형성된 통공(102)을 통하여 상기 보조 바퀴조립체(400)와 결합되어 일체 연동하며 상기 몸체 플레이트(100)와 일정각도 경사를 이루는 핸들 지지대(210); 및
    상기 핸들 지지대(210)의 단부에서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주 바퀴조립체(300)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동수단(500)이 장착되는 파지 가능한 핸들 바(2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트라 보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주 바퀴조립체(300)는,
    상기 몸체 플레이트(100) 양측에서 각각 연장 형성된 지지 브라켓(310); 및
    상기 지지 브라켓(310)에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되며 상기 제동수단(500)에 의하여 회전이 제한되는 주 바퀴(3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트라 보드.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수단(500)은,
    상기 핸들 바(220)에 장착되는 브레이크 레버(510); 및
    상기 브레이크 레버(510)와 작동 와이어(502)로 연결되어 상기 브레이크 레 버(510) 조작에 연동하여 상기 주 바퀴(320)를 가압 접촉 또는 가압 해제하는 브레이크 어셈블리(5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트라 보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바퀴조립체(400)는,
    상부측이 상기 핸들 지지대(210)와 결합하여 일체로 회동하는 회동 바(410); 및
    상기 회동 바(410) 양단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장착되는 방향성 캐스터인 보조 바퀴(4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트라 보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바퀴조립체(400)에는,
    상기 회동 바(41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회동 바(410)를 기준으로 상기 보조 바퀴(420)의 비틀림을 허용하는 탄성 복원수단(60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트라 보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복원수단(600)은,
    금속재의 플레이트를 복수개 적층 형성하여 비틀림을 허용하는 것으로, 상기 보조 바퀴(420) 상부측과 상기 회동 바(410) 양단을 상호 연결하는 토션바(610); 및
    상기 토션바(610) 상을 왕복 이동하면서 상기 토션바(610)의 비틀림을 조정하는 조절자(6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트라 보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조립체(200)는,
    상기 주 바퀴조립체(300) 상의 몸체 플레이트(100)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보조 바퀴조립체(400)와 별개로 상기 몸체 플레이트(100)와 일체 연동하며,
    상기 핸들 조립체(200)에는 상기 주 바퀴조립체(300)의 회전을 각각 또는 동시에 제한하는 제동수단(50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트라 보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주 바퀴조립체(300)는,
    상기 몸체 플레이트(100) 양측에서 각각 연장 형성되며 상부측에 상기 핸들 조립체(200)가 장착되는 지지 브라켓(310); 및
    상기 지지 브라켓(310)에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되며 상기 제동수단(500)에 의하여 회전이 제한되는 주 바퀴(3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트라 보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조립체(200)는,
    상기 지지 브라켓(310) 상부측에 각각 장착되어 지면과 수직 또는 일정 각도를 이루는 핸들 지지대(210'); 및
    상기 핸들 지지대(210') 단부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주 바퀴조립체(300)의 회전을 제한하는 상기 제동수단(500)이 장착되는 파지 가능한 핸들 바(2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트라 보드.
  12.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수단(500)은,
    상기 핸들 바(220')에 장착되는 브레이크 레버(510); 및
    상기 브레이크 레버(510)와 작동 와이어(502)로 연결되어 상기 브레이크 레버(510) 조작에 연동하여 상기 주 바퀴(320)를 가압 접촉 또는 가압 해제하는 브레이크 어셈블리(5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트라 보드.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바퀴조립체(400)는,
    상부측이 상기 몸체 플레이트(100)에 형성된 통공(10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회동 바(410); 및
    상기 회동 바(410) 양단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장착되는 방향성 캐스터인 보조 바퀴(4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트라 보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바퀴조립체(400)에는,
    상기 회동 바(41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회동 바(410)를 기준으로 상기 보조 바퀴(420)의 비틀림을 허용하는 탄성 복원수단(60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트라 보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복원수단(600)은,
    금속재의 플레이트를 복수개 적층 형성하여 비틀림을 허용하는 것으로, 상기 보조 바퀴(420) 상부측과 상기 회동 바(410) 양단을 상호 연결하는 토션바(610); 및
    상기 토션바(610) 상을 왕복 이동하면서 상기 토션바(610)의 비틀림을 조정하는 조절자(6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트라 보드.
KR1020080009029A 2008-01-29 2008-01-29 테트라 보드 KR1010027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9029A KR101002715B1 (ko) 2008-01-29 2008-01-29 테트라 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9029A KR101002715B1 (ko) 2008-01-29 2008-01-29 테트라 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3080A true KR20090083080A (ko) 2009-08-03
KR101002715B1 KR101002715B1 (ko) 2010-12-21

Family

ID=41204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9029A KR101002715B1 (ko) 2008-01-29 2008-01-29 테트라 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27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75205A (zh) * 2016-10-12 2017-01-04 李青平 一种多功能代步车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18076U (ko) * 1976-03-03 1977-09-07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75205A (zh) * 2016-10-12 2017-01-04 李青平 一种多功能代步车
CN106275205B (zh) * 2016-10-12 2020-01-31 江苏童医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多功能代步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2715B1 (ko) 2010-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98510B2 (en) Multi-wheeled vehicle
JP5005546B2 (ja) 装軌全地勢走行車
JP3853654B2 (ja) キャンバリング車両およびその機構
US6402174B1 (en) Recumbent tricycle with controlled wheel and body lean
US3504934A (en) Tricycle wheel and frame arrangement
US8128109B2 (en) Side movement propelled recreational device having extended rear support
JP5265581B2 (ja) 後輪操舵三輪スクータ
US6902177B2 (en) Mobility assistance vehicle
US7976046B2 (en) Lean to steer recumbent vehicle
US20090289437A1 (en) Vehicle with three wheels
US20150054252A1 (en) Vehicle having positional control function
JP2012011168A (ja) スケータ
US6588786B2 (en) Chain driven front wheel drive and rear wheel steering bicycle
US8746723B2 (en) Sparking device for a personal mobility vehicle
US7871095B2 (en) Two wheel steering bicycle with each wheel having its own steering control operated by rider's left and right hand respectively and rider positioned facing an angle greater than zero and less than ninty degrees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of motion
KR102310165B1 (ko) 구형 바퀴를 구비한 차량
KR101002715B1 (ko) 테트라 보드
WO2006009958A2 (en) Cambering vehicle with improved handlebar, footboard ergonomics, heel support, and cambering joint
US20030052471A1 (en) Three-wheeled scooter apparatus
US4186935A (en) Three-wheeled vehicle
KR20070077467A (ko) 승물용 전륜조립체
JP2017013662A (ja) 自転車用操向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三輪自転車
JP7413182B2 (ja) 前2輪型車両
KR20120000593A (ko) 이륜 보드
JP3226854U (ja) 車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