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2978A - 음향 시스템, 음향 재생 장치, 음향 재생 방법, 스피커장착 모니터, 스피커 장착 휴대폰 - Google Patents

음향 시스템, 음향 재생 장치, 음향 재생 방법, 스피커장착 모니터, 스피커 장착 휴대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2978A
KR20090082978A KR1020080008874A KR20080008874A KR20090082978A KR 20090082978 A KR20090082978 A KR 20090082978A KR 1020080008874 A KR1020080008874 A KR 1020080008874A KR 20080008874 A KR20080008874 A KR 20080008874A KR 20090082978 A KR20090082978 A KR 200900829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rce
sound
source signal
speake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8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0835B1 (ko
Inventor
김양한
최정우
장지호
박진영
이찬희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080008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0835B1/ko
Priority to US12/671,493 priority patent/US8369536B2/en
Priority to PCT/KR2008/006691 priority patent/WO2009096657A1/en
Publication of KR20090082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29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0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08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 H04S7/30Control circuits for electronic adaptation of the sound fie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3/00Systems employing more than two channels, e.g. quadraphon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 H04S7/30Control circuits for electronic adaptation of the sound field
    • H04S7/302Electronic adaptation of stereophonic sound system to listener position or orientation
    • H04S7/303Tracking of listener position or orient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향 시스템, 음향 재생 장치, 음향 재생 방법, 스피커 장착 모니터, 스피커 장착 휴대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음향 시스템은 제1 스피커와 제2 스피커와 조절 수단을 포함한다. 제1 스피커에는 제1 음원 신호가 입력되고, 제2 스피커에는 제2 음원 신호가 입력된다. 조절 수단은 청취 영역으로 선택된 영역에서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와 상기 제1 음원 신호 및 상기 제2 음원 신호의 에너지의 합과의 비가 최대가 되도록 제1 음원 신호 및 제2 음원 신호의 크기와 위상을 조절한다. 본 발명의 음향 시스템은 청취자가 위치하는 영역, 즉 청취 영역으로 선택된 영역에서의 음압 레벨을 청취자가 위치하지 않는 영역, 즉, 청취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의 음압 레벨보다 크게 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그 음향 시스템을 이용하는 사람만이 음향을 즐기는 음향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Figure P1020080008874
음향 시스템, 음원 신호, 음압 레벨

Description

음향 시스템, 음향 재생 장치, 음향 재생 방법, 스피커 장착 모니터, 스피커 장착 휴대폰{Sound System, Sound Reproducing Apparatus, Sound Reproducing Method, Monitor with Speakers, Mobile phone with Speakers}
본 발명은 음향 시스템, 음향 재생 장치, 음향 재생 방법, 스피커 장착 모니터, 스피커 장착 휴대폰에 관한 것이다.
다수의 음원을 사용한 음향 제어 기술은 전통적으로 몇 개의 지점에서의 음향 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청취자가 위치하는 특정 공간에 대하여 음향 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개발되고 있다.
다수의 음원을 사용한 음향 제어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지는데, 하나는 다수의 능동 음원(active source, 예를 들어 음원)을 사용하여 공간의 소리 크기를 감소시키고자 하는 능동 소음 제어이며, 다른 하나는 특정 형상으로 배열한 음원 사이의 간격을 변화시키거나[R. C. Jones, 'On the theory of the directional patterns of continuous source distributions on a plane surface,' J. Acoust. Soc. Am.16(3), 147-171(1945)], 각 음원 간의 시간 지연과 크기를 변화시킴으로써 특정 각도로 방사되는 음향 파워를 증대시키는 제어[R. L. Prichard, 'Maximum directivity index of a linear point array,' J. Acoust. Soc. Am. 26, 1034-1039(1954)]이다. 이러한 제어는 주로 능동 소나(active sonar)를 위하여 연구되었는데, 대표적으로는 Dolph[C. L. Dolph, 'A current distribution for broadside arrays which optimizes the relationship between beamwidth and sidelobe level,' Proc. IRE 34(6), 335-348 (1946)]에 의해 제안된 바와 같이, 음원으로부터 특정한 방향각 내로 방사되는 음향 파워 외의 성분, 즉 부엽(side lobe)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일정한 크기의 부엽을 발생시키는 음원 어레이의 가중치 함수를 갖는 수학적인 해(수식해)에 대해 연구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특정 음원 어레이에 대한 수식해는 임의의 음원에 대해 적용하기 어려웠고, 그래서 임의의 음원 배열을 가정하여 특정 방향으로의 최대 방향성을 갖도록 하는 최적화 연구가 Streit[Roy L. Streit, 'Optimization of discrete array of arbitrary geometry,'J. Acost. Soc. Am. 69(1), 199-212 (1981)]에 의해 수행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연구 역시 음원 배열만을 임의로 가정하였을 뿐, 다양한 음원의 방사 형태 및 반사와 흡음을 갖는 일반적인 청취 공간에 적용하기는 적합하지 않은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방사 패턴을 최적화 하는 연구와는 달리, 청취자가 위치하는 공간에 대해 음압 레벨을 제어하는 기술은 능동 소음 제어[P. Lueg 1936 Process of silencing sound oscillations. US Patent No. 2,043,416]에서 연구되었다.
능동 소음 제어 방법은 배경 소음원이 형성하는 음향 위치 에너지 혹은 음향 파워를 2차 음원을 사용하여 능동적으로 소음을 제어하는 방법으로, 저 주파수 대역에서 청취자를 중심으로 혹은 전 공간에 대하여 정숙성을 획득하는 방법이다. 이 때, 소음이 성공적으로 제어되어 정숙성을 획득한 공간을 정숙 공간(quiet zone)이라 한다.
그리고, 미국특허 제5,802,190호(Linear speaker array)에는 청취자까지의 거리 혹은 반사를 무시하는 등의 제한된 가정을 사용하여 방향성과 같은 간접적인 특성을 제어하는 기술에 대해 공지되어 있다. 또한, 미국특허 제5,910,990호(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equalization of personal multi-channel audio system)에는 전달 함수를 사용하여 왜곡 없이 신호를 재생하는 방법에 대해 공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다수의 음원을 이용한 공간의 소리 제어 방법은 단순히 음원 사이의 시간 지연과 그 입력 크기를 변화시키는 것에 그쳤으며, 제한된 형태의 음원 배열을 사용하여 음원의 방향성만을 변화시켰을 뿐, 가변적인 청취자의 위치 혹은 청취자가 위치할 수 있는 공간에 대한 고려를 하지 않았다. 또한, 종래의 방법은 대부분 자유 공간의 경우만을 고려하여, 반사나 흡음 등 청취 공간의 특성을 고려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음향 공간 내의 영역별로 음압 레벨의 상대적인 차이를 증대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음향학적 밝기(brightness)에 해당하는 음압 레벨의 크기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두 영역 사이의 음향학적 대비(contrast)를 증대시키는 제어를 수행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인 음향 시스템은, 제1 스피커와 제2 스피커와 조절 수단을 포함한다. 제1 스피커에는 제1 음원 신호가 입력되고, 제2 스피커에는 제2 음원 신호가 입력된다. 조절 수단은 청취 영역으로 선택된 영역에서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와 제1 음원 신호 및 제2 음원 신호의 에너지의 합과의 비가 최대가 되도록 제1 음원 신호 및 제2 음원 신호의 크기와 위상을 조절한다.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인 음향 시스템은, 조절 수단이 각 스피커에 입력되는 음원 신호의 크기와 위상을, 청취 영역으로 선택된 영역에서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 와 제1 음원 신호 및 제2 음원 신호의 에너지의 합과의 비가 최대가 되도록 조절한다. 여기서 제1 스피커, 제2 스피커로만 기재하고 있지만, 이는 스피커의 순서를 기재하고 있는 것일뿐이므로 2개의 스피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제로는 스피커 어레이로서 구현되는 것이다. 음향 시스템을 이용하는 청취자는 음향 시스템과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가 바뀔 수 있다. 또한, 음향 시스템을 이용하지 않는 사람은 음향 시스템으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을 들을 필요가 없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음향 시스템을 이용하는 청취자가 위치하는 영역, 즉 청취 영역으로 선택된 영역에서만 그 음향 시스템에 의한 음향이 크게 들리고, 그 이외의 영역에서는 잘 안 들리도록 음원 신호의 크기와 위상을 조절하여 청취 영역과 비 청취 영역을 생성하고 있다.
따라서,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인 음향 시스템은 청취자가 위치하는 영역, 즉 청취 영역으로 선택된 영역에서의 음압 레벨을 청취자가 위치하지 않는 영역, 즉, 청취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의 음압 레벨보다 크게 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그 음향 시스템을 이용하는 사람만이 음향을 즐기는 음향 환경으로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인 음향 시스템은,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에 있어서, 제3 음원 신호가 입력되는 제3 스피커를 더 구비하고, 제1 스피커와 제2 스피커와 제3 스피커가 차례대로 배열되고, 청취 영역이 제2 스피커에 대향하는 위치에 선택된 경우에 있어서, 조절 수단은, 청취 영역이 제2 스피커와의 선분이 길어지는 방향으로 멀어짐에 따라, 제2 음원 신호는, 크기를 작게, 위상을 크게 조절하며, 제1 음원 신호 및 제3 음원 신호는, 크기를 크게, 위상을 크게 조절한다.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인 음향 시스템은, 청취자가 스피커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즉 청취 영역이 스피커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각 스피커에 입력되는 음원 신호의 크기와 위상을 조절하여 멀어진 위치에 청취 영역을 생성하기 위하여, 제1, 제2, 제3 스피커 중 청취자에게 상대적으로 가까운 스피커인 제2 스피커에 입력되는 음원 신호에 대해서는 크기를 작게, 위상을 크게 조절하며, 청취자에게 상대적으로 먼 스피커인 제1 및 제3 스피커에 입력되는 음원 신호에 대해서는 크기를 크게, 위상을 크게 조절하여 청취자의 멀어짐에 따라 청취 영역도 그 멀어진 위치에 생성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적용하여 청취자가 음향 시스템으로부터 멀어지는 경우(청취자가 전후로 이동하는 경우)에 청취 영역을 먼 위치에 생성하기 위한 각 스피커에 입력되는 음원 신호가 어떻게 제어되어야 하는 지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고찰 결과, 스피커 어레이 중 청취자와 상대적으로 가까운 스피커에 입력되는 음원 신호의 크기는 청취자가 멀어질수록 작게 되어야 하고, 스피커 어레이 중 청취자와 상대적으로 먼 스피커에 입력되는 음원 신호의 크기는 청취자가 멀어질수록 크게 되어야 하며, 위상은 모든 음원 신호에 있어서 전반적으로 증가되어야 하는 경향을 파악하였다.
따라서,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인 음향 시스템은, 청취자가 스피커로부터 점점 멀어지더라도 그에 따라 멀어진 위치에 청취 영역을 생성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그 음향 시스템을 이용하는 사람만이 음향을 즐기는 음향 환경으로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관한 발명인 음향 시스템은,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에 있어서, 청취 영역이 제1 스피커에 가깝게 선택된 경우이고, 청취 영역이 제2 스피커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조절 수단이 제1 음원 신호의 크기 및 위상은 작게, 제2 음원 신호의 크기 및 위상은 크게 조절한다.
청구항 3에 관한 발명인 음향 시스템은, 청취자가 어느 한 쪽 스피커로부터 다른 쪽 스피커로 이동함에 따라, 즉 청취 영역이 어느 한 쪽의 스피커에 가깝게 선택된 후 다른 스피커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각 스피커에 입력되는 음원 신호의 크기와 위상을 조절하여 변경된 위치에 청취 영역을 생성하기 위하여, 청취자와 상대적으로 멀어지는 스피커인 제1 스피커에 입력되는 제1 음원 신호에 대해서는 크기 및 위상을 작게, 청취자와 상대적으로 가까워지는 스피커인 제2 스피커에 대해서는 크기 및 위상을 크게 조절하여 청취자가 이동함에 따라 청취 영역도 그 변경된 위치에 생성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적용하여 청취자가 음향 시스템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또는,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하는 경우(청취자가 좌우로 이동하는 경우)에 청취 영역을 변경된 위치에 생성하기 위한 각 스피커에 입력되는 음원 신호가 어떻게 제어되어야 하는 지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고찰 결과, 스피커 어레이 중 청취자와 상대적으로 멀어지는 스피커에 입력되는 음원 신호의 크기 및 위상은 청취자가 멀어질수록 작게 되어야 하고, 스피커 어레이 중 청취자와 상대적으로 가까워지는 스피커에 입력되는 음원 신호의 크기 및 위상은 청취자가 가까워질수록 크게 되어야 하는 경향을 파악하였다.
따라서, 청구항 3에 관한 발명인 음향 시스템은, 청취자가 음향 시스템의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그에 따라 변경된 위치에 청취 영역을 생성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그 음향 시스템을 이용하는 사람만이 음향을 즐기는 음향 환경으로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관한 발명인 음향 재생 장치는 제1 스피커와 제2 스피커를 가지고 있고, 제1 스피커에는 제1 음원 신호가 입력되고, 제2 스피커에는 제2 음원 신호가 입력되며, 제1 음원 신호 및 제2 음원 신호는 음향 재생 장치의 전방의 소정 영역에서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와 제1 음향 신호와 제2 음향 신호의 에너지의 합과의 비가 최대가 되도록 크기와 위상이 조절되어 있다.
청구항 4에 관한 발명인 음향 재생 장치는 크기와 위상이 조절된 음원 신호를 스피커에 입력하여 그 전방의 소정 영역에서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와 제1 음향 신호와 제2 음향 신호의 에너지의 합과의 비가 최대가 되도록 하고 있다. 전방의 소정 영역이란 그 음향 시스템을 이용하는 청취자가 통상적으로 위치하는 영역을 말한다. 예를 들어, 그 음향 시스템이 일반적인 텔레비전이라면 대략 전방 1m~2m 정도의 영역이 될 것이고, 그 음향 시스템이 미니 텔레비전이라면 대략 전방 20cm~40cm 정도의 영역이 될 것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전방의 소정 영역에서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와 제1 음향 신호와 제2 음향 신호의 에너지의 합과의 비가 최대가 되도록 크기와 위상이 조절된 음원 신호를 각 스피커에 입력시켜, 전방의 소정 영역에서의 음압 레벨이 그 이외의 영역보다 크게 되도록 한다.
따라서, 청구항 4에 관한 발명인 음향 재생 장치는 이를 이용하는 청취자만 이 음향을 즐기는 음향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관한 발명인 스피커 장착 모니터는 제1 스피커와 제2 스피커를 가지고 있고, 제1 스피커에는 제1 음원 신호가 입력되고, 제2 스피커에는 제2 음원 신호가 입력되며, 제1 음원 신호 및 제2 음원 신호는 모니터의 전방의 소정 영역에서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와 제1 음향 신호와 제2 음향 신호의 에너지의 합과의 비가 최대가 되도록 크기와 위상이 조절되어 있다.
청구항 5에 관한 발명인 스피커 장착 모니터는 크기와 위상이 조절된 음원 신호를 스피커에 입력하여 그 전방의 소정 영역에서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와 제1 음향 신호와 제2 음향 신호의 에너지의 합과의 비가 최대가 되도록 하고 있다. 전방의 소정 영역이란 그 모니터를 이용하는 청취자가 통상적으로 위치하는 영역을 말한다. 예를 들어, 그 모니터가 일반적인 컴퓨터 모니터라면 대략 전방 30cm~50cm 정도의 영역이 될 것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전방의 소정 영역에서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와 제1 음향 신호와 제2 음향 신호의 에너지의 합과의 비가 최대가 되도록 크기와 위상이 조절된 음원 신호를 각 스피커에 입력시켜, 전방의 소정 영역에서의 음압 레벨이 그 이외의 영역보다 크게 되도록 한다.
따라서, 청구항 5에 관한 발명인 스피커 장착 모니터는 이를 이용하는 사람만이 음향을 즐기는 음향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관한 발명인 스피커 장착 휴대폰은 제1 스피커와 제2 스피커를 가지고 있고, 제1 스피커에는 제1 음원 신호가 입력되고, 제2 스피커에는 제2 음원 신호가 입력되며, 제1 음원 신호 및 제2 음원 신호는 휴대폰의 전방의 소정 영역에 서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와 제1 음향 신호와 제2 음향 신호의 에너지의 합과의 비가 최대가 되도록 크기와 위상이 조절되어 있다.
청구항 6에 관한 발명인 스피커 장착 휴대폰은 크기와 위상이 조절된 음원 신호를 스피커에 입력하여 그 전방의 소정 영역에서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와 제1 음향 신호와 제2 음향 신호의 에너지의 합과의 비가 최대가 되도록 하고 있다. 전방의 소정 영역이란 그 휴대폰을 이용하는 청취자가 통상적으로 위치하는 영역을 말한다. 예를 들어, 소정 영역은 보통 대략 전방 30cm~50cm 정도의 영역이 될 것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전방의 소정 영역에서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와 제1 음향 신호와 제2 음향 신호의 에너지의 합과의 비가 최대가 되도록 크기와 위상이 조절된 음원 신호를 각 스피커에 입력시켜, 전방의 소정 영역에서의 음압 레벨이 그 이외의 영역보다 크게 되도록 한다.
따라서, 청구항 6에 관한 발명인 스피커 장착 휴대폰은 이를 이용하는 사람만이 음향을 즐기는 음향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관한 발명인 음향 재생 장치는 음원부와 감지부와 신호 발생부와 신호 분석부를 포함한다. 음원부는 복수의 스피커와 이들을 구동하는 다채널 오디오 앰프로 이루어지고, 음원 신호가 입력되어 음향을 발생시킨다. 감지부는 그 일부분은 청취 영역으로 선택된 영역에, 나머지는 청취 영역 이외의 영역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마이크로폰으로 이루어지고, 음원부로부터의 음향 신호를 감지한다. 신호 발생부는 복수의 스피커에 각각 동기화된 개별 음원 신호를 부여하는 다채널 신호 발생기로 이루어진다. 신호 분석부는, 음원부에 입력되는 음원 신호와 감지부 에서 감지되는 음향 신호 사이의 전달함수를 계측하고, 전달함수를 이용하여 청취 영역에서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와 음원부에 입력되는 음원 신호의 에너지의 총합과의 비가 최대가 되도록 음원부에 입력되는 음원 신호의 크기와 위상을 결정하고 이 정보를 다채널 신호발생기에 전달하는 다채널 신호 분석기로 이루어진다.
청구항 7에 관한 발명인 음향 재생 장치는, 음원부가 입력된 음원 신호에 따라 음향을 발생시키고, 감지부가 음원부로부터의 음향 신호를 감지하며, 신호 분석부에서 음원 신호와 음향 신호 사이의 전달함수를 계측하고, 이를 이용하여 청취 영역에서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와 음원부에 입력되는 음원 신호의 에너지의 총합과의 비가 최대가 되도록 음원 신호의 크기와 위상을 결정하며, 신호 발생부에서 이에 따라 음원 신호를 발생시켜, 음원부가 이러한 음원 신호를 재생하게 되어, 청취 영역과 비 청취 영역이 생성되게 된다.
따라서, 청구항 7에 관한 발명인 음향 재생 장치는, 이를 이용하는 청취자만이 음향을 즐기는 음향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8에 관한 발명인 음향 재생 방법은, 음원 신호가 입력되어 음향을 발생시키는 음원부와, 음원부로부터의 음향 신호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음원부에 입력되는 음원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 발생부와, 음원부에 입력되는 음원 신호와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음향 신호를 분석하는 신호 분석부를 포함하는 음향 재생 장치를 이용하는 음향 재생 방법이고, 전달함수 계측 단계, 음원 신호 결정 단계, 음원 신호 재생 단계를 포함한다. 전달함수 계측 단계는, 신호 분석부가 음원부에 입력되는 음원 신호와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음향 신호 사이의 전달함수를 계측한다. 음 원 신호 결정 단계는, 신호 분석부가 계측된 전달 함수를 이용하여 청취 영역으로 선택된 영역에서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와 음원부에 입력되는 음원 신호의 에너지의 총합과의 비가 최대가 되도록 음원부에 입력되는 음원 신호의 크기와 위상을 결정한다. 음향 재생 단계는, 신호 발생부가 결정된 크기와 위상에 따라 음원부에 입력되는 음원 신호를 발생시키고, 음원부가 이 음원 신호를 입력 받아 음향을 발생시킨다.
청구항 8에 관한 발명인 음향 재생 방법은, 음원부가 입력된 음원 신호에 따라 음향을 발생시키고, 감지부가 음원부로부터의 음향 신호를 감지하며, 신호 분석부에서 음원 신호와 음향 신호 사이의 전달함수를 계측하고, 이를 이용하여 청취 영역에서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와 음원부에 입력되는 음원 신호의 에너지의 총합과의 비가 최대가 되도록 음원 신호의 크기와 위상을 결정하며, 신호 발생부에서 이에 따라 음원 신호를 발생시켜, 음원부가 이러한 음원 신호를 재생하게 되어, 청취 영역과 비 청취 영역이 생성되게 된다.
따라서, 청구항 8에 관한 발명인 음향 재생 방법은, 이를 이용하는 청취자만이 음향을 즐기는 음향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9에 관한 발명인 음향 시스템은, 제1 스피커와 제2 스피커와 조절 수단을 포함한다. 제1 스피커에는 제1 음원 신호가 입력되고, 제2 스피커에는 제2 음원 신호가 입력된다. 조절 수단은 청취 영역으로 선택된 영역에서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와 상기 청취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의 비가 최대가 되도록 제1 음원 신호 및 제2 음원 신호의 크기와 위상을 조절한다.
청구항 9에 관한 발명인 음향 시스템은, 조절 수단이 각 스피커에 입력되는 음원 신호의 크기와 위상을, 청취 영역으로 선택된 영역에서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와 상기 청취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의 비가 최대가 되도록 조절한다. 여기서 제1 스피커, 제2 스피커로만 기재하고 있지만, 이는 스피커의 순서를 기재하고 있는 것일뿐이므로 2개의 스피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제로는 스피커 어레이로서 구현되는 것이다. 음향 시스템을 이용하는 청취자는 음향 시스템과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가 바뀔 수 있다. 또한, 음향 시스템을 이용하지 않는 사람은 음향 시스템으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을 들을 필요가 없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음향 시스템을 이용하는 청취자가 위치하는 영역, 즉 청취 영역으로 선택된 영역에서만 그 음향 시스템에 의한 음향이 크게 들리고, 그 이외의 영역에서는 잘 안 들리도록 음원 신호의 크기와 위상을 조절하여 청취 영역과 비 청취 영역을 생성하고 있다.
따라서, 청구항 9에 관한 발명인 음향 시스템은 청취자가 위치하는 영역, 즉 청취 영역으로 선택된 영역에서의 음압 레벨을 청취자가 위치하지 않는 영역, 즉, 청취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의 음압 레벨보다 크게 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그 음향 시스템을 이용하는 사람만이 음향을 즐기는 음향 환경으로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10에 관한 발명인 음향 시스템은, 청구항 9에 관한 발명에 있어서, 제3 음원 신호가 입력되는 제3 스피커를 더 구비하고, 제1 스피커와 제2 스피커와 제3 스피커가 차례대로 배열되고, 청취 영역이 제2 스피커에 대향하는 위치에 선택된 경우에 있어서, 조절 수단은, 청취 영역이 제2 스피커와의 선분이 길어지는 방 향으로 멀어짐에 따라, 제2 음원 신호는, 크기를 작게, 위상을 크게 조절하며, 제1 음원 신호 및 제3 음원 신호는, 크기를 크게, 위상을 크게 조절한다.
청구항 10에 관한 발명인 음향 시스템은, 청취자가 스피커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즉 청취 영역이 스피커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각 스피커에 입력되는 음원 신호의 크기와 위상을 조절하여 멀어진 위치에 청취 영역을 생성하기 위하여, 제1, 제2, 제3 스피커 중 청취자에게 상대적으로 가까운 스피커인 제2 스피커에 입력되는 음원 신호에 대해서는 크기를 작게, 위상을 크게 조절하며, 청취자에게 상대적으로 먼 스피커인 제1 및 제3 스피커에 입력되는 음원 신호에 대해서는 크기를 크게, 위상을 크게 조절하여 청취자의 멀어짐에 따라 청취 영역도 그 멀어진 위치에 생성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적용하여 청취자가 음향 시스템으로부터 멀어지는 경우(청취자가 전후로 이동하는 경우)에 청취 영역을 먼 위치에 생성하기 위한 각 스피커에 입력되는 음원 신호가 어떻게 제어되어야 하는 지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고찰 결과, 스피커 어레이 중 청취자와 상대적으로 가까운 스피커에 입력되는 음원 신호의 크기는 청취자가 멀어질수록 작게 되어야 하고, 스피커 어레이 중 청취자와 상대적으로 먼 스피커에 입력되는 음원 신호의 크기는 청취자가 멀어질수록 크게 되어야 하며, 위상은 모든 음원 신호에 있어서 전반적으로 증가되어야 하는 경향을 파악하였다.
따라서, 청구항 10에 관한 발명인 음향 시스템은, 청취자가 스피커로부터 점점 멀어지더라도 그에 따라 멀어진 위치에 청취 영역을 생성할 수 있고, 이에 의하 여, 그 음향 시스템을 이용하는 사람만이 음향을 즐기는 음향 환경으로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11에 관한 발명인 음향 시스템은, 청구항 9에 관한 발명에 있어서, 청취 영역이 제1 스피커에 가깝게 선택된 경우이고, 청취 영역이 제2 스피커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조절 수단이 제1 음원 신호의 크기 및 위상은 작게, 제2 음원 신호의 크기 및 위상은 크게 조절한다.
청구항 11에 관한 발명인 음향 시스템은, 청취자가 어느 한 쪽 스피커로부터 다른 쪽 스피커로 이동함에 따라, 즉 청취 영역이 어느 한 쪽의 스피커에 가깝게 선택된 후 다른 스피커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각 스피커에 입력되는 음원 신호의 크기와 위상을 조절하여 변경된 위치에 청취 영역을 생성하기 위하여, 청취자와 상대적으로 멀어지는 스피커인 제1 스피커에 입력되는 제1 음원 신호에 대해서는 크기 및 위상을 작게, 청취자와 상대적으로 가까워지는 스피커인 제2 스피커에 대해서는 크기 및 위상을 크게 조절하여 청취자가 이동함에 따라 청취 영역도 그 변경된 위치에 생성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적용하여 청취자가 음향 시스템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또는,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하는 경우(청취자가 좌우로 이동하는 경우)에 청취 영역을 변경된 위치에 생성하기 위한 각 스피커에 입력되는 음원 신호가 어떻게 제어되어야 하는 지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고찰 결과, 스피커 어레이 중 청취자와 상대적으로 멀어지는 스피커에 입력되는 음원 신호의 크기 및 위상은 청취자가 멀어질수록 작게 되어야 하고, 스피커 어레이 중 청취자와 상대적 으로 가까워지는 스피커에 입력되는 음원 신호의 크기 및 위상은 청취자가 가까워질수록 크게 되어야 하는 경향을 파악하였다.
따라서, 청구항 11에 관한 발명인 음향 시스템은, 청취자가 음향 시스템의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그에 따라 변경된 위치에 청취 영역을 생성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그 음향 시스템을 이용하는 사람만이 음향을 즐기는 음향 환경으로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12에 관한 발명인 음향 재생 장치는 제1 스피커와 제2 스피커를 가지고 있고, 제1 스피커에는 제1 음원 신호가 입력되고, 제2 스피커에는 제2 음원 신호가 입력되며, 제1 음원 신호 및 제2 음원 신호는 음향 재생 장치의 전방의 소정 영역에서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와 상기 소정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의 비가 최대가 되도록 크기와 위상이 조절되어 있다.
청구항 12에 관한 발명인 음향 재생 장치는 크기와 위상이 조절된 음원 신호를 스피커에 입력하여 그 전방의 소정 영역에서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와 상기 소정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의 비가 최대가 되도록 하고 있다. 전방의 소정 영역이란 그 음향 시스템을 이용하는 청취자가 통상적으로 위치하는 영역을 말한다. 예를 들어, 그 음향 시스템이 일반적인 텔레비전이라면 대략 전방 1m~2m 정도의 영역이 될 것이고, 그 음향 시스템이 미니 텔레비전이라면 대략 전방 20cm~40cm 정도의 영역이 될 것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전방의 소정 영역에서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와 상기 소정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의 비가 최대가 되도록 크기와 위상이 조절된 음원 신호를 각 스피커 에 입력시켜, 전방의 소정 영역에서의 음압 레벨이 그 이외의 영역보다 크게 되도록 한다.
따라서, 청구항 12에 관한 발명인 음향 재생 장치는 이를 이용하는 청취자만이 음향을 즐기는 음향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13에 관한 발명인 스피커 장착 모니터는 제1 스피커와 제2 스피커를 가지고 있고, 제1 스피커에는 제1 음원 신호가 입력되고, 제2 스피커에는 제2 음원 신호가 입력되며, 제1 음원 신호 및 제2 음원 신호는 모니터의 전방의 소정 영역에서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와 상기 소정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의 비가 최대가 되도록 크기와 위상이 조절되어 있다.
청구항 13에 관한 발명인 스피커 장착 모니터는 크기와 위상이 조절된 음원 신호를 스피커에 입력하여 그 전방의 소정 영역에서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와 상기 소정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의 비가 최대가 되도록 하고 있다. 전방의 소정 영역이란 그 모니터를 이용하는 청취자가 통상적으로 위치하는 영역을 말한다. 예를 들어, 그 모니터가 일반적인 컴퓨터 모니터라면 대략 전방 30cm~50cm 정도의 영역이 될 것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전방의 소정 영역에서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와 상기 소정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의 비가 최대가 되도록 크기와 위상이 조절된 음원 신호를 각 스피커에 입력시켜, 전방의 소정 영역에서의 음압 레벨이 그 이외의 영역보다 크게 되도록 한다.
따라서, 청구항 13에 관한 발명인 스피커 장착 모니터는 이를 이용하는 사람 만이 음향을 즐기는 음향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14에 관한 발명인 스피커 장착 휴대폰은 제1 스피커와 제2 스피커를 가지고 있고, 제1 스피커에는 제1 음원 신호가 입력되고, 제2 스피커에는 제2 음원 신호가 입력되며, 제1 음원 신호 및 제2 음원 신호는 휴대폰의 전방의 소정 영역에서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와 상기 소정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의 비가 최대가 되도록 크기와 위상이 조절되어 있다.
청구항 14에 관한 발명인 스피커 장착 휴대폰은 크기와 위상이 조절된 음원 신호를 스피커에 입력하여 그 전방의 소정 영역에서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와 상기 소정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의 비가 최대가 되도록 하고 있다. 전방의 소정 영역이란 그 휴대폰을 이용하는 청취자가 통상적으로 위치하는 영역을 말한다. 예를 들어, 소정 영역은 보통 대략 전방 30cm~50cm 정도의 영역이 될 것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전방의 소정 영역에서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와 상기 소정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의 비가 최대가 되도록 크기와 위상이 조절된 음원 신호를 각 스피커에 입력시켜, 전방의 소정 영역에서의 음압 레벨이 그 이외의 영역보다 크게 되도록 한다.
따라서, 청구항 14에 관한 발명인 스피커 장착 휴대폰은 이를 이용하는 사람만이 음향을 즐기는 음향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15에 관한 발명인 음향 재생 장치는 음원부와 감지부와 신호 발생부와 신호 분석부를 포함한다. 음원부는 복수의 스피커와 이들을 구동하는 다채널 오디오 앰프로 이루어지고, 음원 신호가 입력되어 음향을 발생시킨다. 감지부는 그 일부분은 청취 영역으로 선택된 영역에, 나머지는 청취 영역 이외의 영역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마이크로폰으로 이루어지고, 음원부로부터의 음향 신호를 감지한다. 신호 발생부는 복수의 스피커에 각각 동기화된 개별 음원 신호를 부여하는 다채널 신호 발생기로 이루어진다. 신호 분석부는, 음원부에 입력되는 음원 신호와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음향 신호 사이의 전달함수를 계측하고, 전달함수를 이용하여 청취 영역에서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와 상기 청취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의 비가 최대가 되도록 음원부에 입력되는 음원 신호의 크기와 위상을 결정하고 이 정보를 다채널 신호발생기에 전달하는 다채널 신호 분석기로 이루어진다.
청구항 15에 관한 발명인 음향 재생 장치는, 음원부가 입력된 음원 신호에 따라 음향을 발생시키고, 감지부가 음원부로부터의 음향 신호를 감지하며, 신호 분석부에서 음원 신호와 음향 신호 사이의 전달함수를 계측하고, 이를 이용하여 청취 영역에서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와 상기 청취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의 비가 최대가 되도록 음원 신호의 크기와 위상을 결정하며, 신호 발생부에서 이에 따라 음원 신호를 발생시켜, 음원부가 이러한 음원 신호를 재생하게 되어, 청취 영역과 비 청취 영역이 생성되게 된다.
따라서, 청구항 15에 관한 발명인 음향 재생 장치는, 이를 이용하는 청취자만이 음향을 즐기는 음향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16에 관한 발명인 음향 재생 방법은, 음원 신호가 입력되어 음향을 발생시키는 음원부와, 음원부로부터의 음향 신호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음원부에 입력되는 음원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 발생부와, 음원부에 입력되는 음원 신호와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음향 신호를 분석하는 신호 분석부를 포함하는 음향 재생 장치를 이용하는 음향 재생 방법이고, 전달함수 계측 단계, 음원 신호 결정 단계, 음원 신호 재생 단계를 포함한다. 전달함수 계측 단계는, 신호 분석부가 음원부에 입력되는 음원 신호와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음향 신호 사이의 전달함수를 계측한다. 음원 신호 결정 단계는, 신호 분석부가 계측된 전달 함수를 이용하여 청취 영역으로 선택된 영역에서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와 상기 청취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의 비가 최대가 되도록 음원부에 입력되는 음원 신호의 크기와 위상을 결정한다. 음향 재생 단계는, 신호 발생부가 결정된 크기와 위상에 따라 음원부에 입력되는 음원 신호를 발생시키고, 음원부가 이 음원 신호를 입력 받아 음향을 발생시킨다.
청구항 16에 관한 발명인 음향 재생 방법은, 음원부가 입력된 음원 신호에 따라 음향을 발생시키고, 감지부가 음원부로부터의 음향 신호를 감지하며, 신호 분석부에서 음원 신호와 음향 신호 사이의 전달함수를 계측하고, 이를 이용하여 청취 영역에서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와 상기 청취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의 비가 최대가 되도록 음원 신호의 크기와 위상을 결정하며, 신호 발생부에서 이에 따라 음원 신호를 발생시켜, 음원부가 이러한 음원 신호를 재생하게 되어, 청취 영역과 비 청취 영역이 생성되게 된다.
따라서, 청구항 16에 관한 발명인 음향 재생 방법은, 이를 이용하는 청취자만이 음향을 즐기는 음향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17에 관한 발명인 음향 시스템은, 제1 스피커와 제2 스피커와 조절 수단을 포함한다. 제1 스피커에는 제1 음원 신호가 입력되고, 제2 스피커에는 제2 음원 신호가 입력된다. 조절 수단은 청취 영역으로 선택된 영역에서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와 상기 청취 영역과 상기 청취 영역 이외의 영역을 합친 전체 영역에서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의 비가 최대가 되도록 제1 음원 신호 및 제2 음원 신호의 크기와 위상을 조절한다.
청구항 17에 관한 발명인 음향 시스템은, 조절 수단이 각 스피커에 입력되는 음원 신호의 크기와 위상을, 청취 영역으로 선택된 영역에서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와 상기 청취 영역과 상기 청취 영역 이외의 영역을 합친 전체 영역에서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의 비가 최대가 되도록 조절한다. 여기서 제1 스피커, 제2 스피커로만 기재하고 있지만, 이는 스피커의 순서를 기재하고 있는 것일뿐이므로 2개의 스피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제로는 스피커 어레이로서 구현되는 것이다. 음향 시스템을 이용하는 청취자는 음향 시스템과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가 바뀔 수 있다. 또한, 음향 시스템을 이용하지 않는 사람은 음향 시스템으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을 들을 필요가 없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음향 시스템을 이용하는 청취자가 위치하는 영역, 즉 청취 영역으로 선택된 영역에서만 그 음향 시스템에 의한 음향이 크게 들리고, 그 이외의 영역에서는 잘 안 들리도록 음원 신호의 크기와 위상을 조절하여 청취 영역과 비 청취 영역을 생성하고 있다.
따라서, 청구항 17에 관한 발명인 음향 시스템은 청취자가 위치하는 영역, 즉 청취 영역으로 선택된 영역에서의 음압 레벨을 청취자가 위치하지 않는 영역, 즉, 청취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의 음압 레벨보다 크게 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그 음향 시스템을 이용하는 사람만이 음향을 즐기는 음향 환경으로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18에 관한 발명인 음향 시스템은, 청구항 17에 관한 발명에 있어서, 제3 음원 신호가 입력되는 제3 스피커를 더 구비하고, 제1 스피커와 제2 스피커와 제3 스피커가 차례대로 배열되고, 청취 영역이 제2 스피커에 대향하는 위치에 선택된 경우에 있어서, 조절 수단은, 청취 영역이 제2 스피커와의 선분이 길어지는 방향으로 멀어짐에 따라, 제2 음원 신호는, 크기를 작게, 위상을 크게 조절하며, 제1 음원 신호 및 제3 음원 신호는, 크기를 크게, 위상을 크게 조절한다.
청구항 18에 관한 발명인 음향 시스템은, 청취자가 스피커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즉 청취 영역이 스피커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각 스피커에 입력되는 음원 신호의 크기와 위상을 조절하여 멀어진 위치에 청취 영역을 생성하기 위하여, 제1, 제2, 제3 스피커 중 청취자에게 상대적으로 가까운 스피커인 제2 스피커에 입력되는 음원 신호에 대해서는 크기를 작게, 위상을 크게 조절하며, 청취자에게 상대적으로 먼 스피커인 제1 및 제3 스피커에 입력되는 음원 신호에 대해서는 크기를 크게, 위상을 크게 조절하여 청취자의 멀어짐에 따라 청취 영역도 그 멀어진 위치에 생성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적용하여 청취자가 음향 시스템으로부터 멀어지는 경우(청취자가 전후로 이동하는 경우)에 청취 영역을 먼 위치에 생성하기 위한 각 스피커에 입력되는 음원 신호가 어떻게 제어되어야 하는 지에 대 하여 고찰하였다. 고찰 결과, 스피커 어레이 중 청취자와 상대적으로 가까운 스피커에 입력되는 음원 신호의 크기는 청취자가 멀어질수록 작게 되어야 하고, 스피커 어레이 중 청취자와 상대적으로 먼 스피커에 입력되는 음원 신호의 크기는 청취자가 멀어질수록 크게 되어야 하며, 위상은 모든 음원 신호에 있어서 전반적으로 증가되어야 하는 경향을 파악하였다.
따라서, 청구항 18에 관한 발명인 음향 시스템은, 청취자가 스피커로부터 점점 멀어지더라도 그에 따라 멀어진 위치에 청취 영역을 생성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그 음향 시스템을 이용하는 사람만이 음향을 즐기는 음향 환경으로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19에 관한 발명인 음향 시스템은, 청구항 17에 관한 발명에 있어서, 청취 영역이 제1 스피커에 가깝게 선택된 경우이고, 청취 영역이 제2 스피커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조절 수단이 제1 음원 신호의 크기 및 위상은 작게, 제2 음원 신호의 크기 및 위상은 크게 조절한다.
청구항 19에 관한 발명인 음향 시스템은, 청취자가 어느 한 쪽 스피커로부터 다른 쪽 스피커로 이동함에 따라, 즉 청취 영역이 어느 한 쪽의 스피커에 가깝게 선택된 후 다른 스피커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각 스피커에 입력되는 음원 신호의 크기와 위상을 조절하여 변경된 위치에 청취 영역을 생성하기 위하여, 청취자와 상대적으로 멀어지는 스피커인 제1 스피커에 입력되는 제1 음원 신호에 대해서는 크기 및 위상을 작게, 청취자와 상대적으로 가까워지는 스피커인 제2 스피커에 대해서는 크기 및 위상을 크게 조절하여 청취자가 이동함에 따라 청취 영역도 그 변경된 위 치에 생성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적용하여 청취자가 음향 시스템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또는,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하는 경우(청취자가 좌우로 이동하는 경우)에 청취 영역을 변경된 위치에 생성하기 위한 각 스피커에 입력되는 음원 신호가 어떻게 제어되어야 하는 지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고찰 결과, 스피커 어레이 중 청취자와 상대적으로 멀어지는 스피커에 입력되는 음원 신호의 크기 및 위상은 청취자가 멀어질수록 작게 되어야 하고, 스피커 어레이 중 청취자와 상대적으로 가까워지는 스피커에 입력되는 음원 신호의 크기 및 위상은 청취자가 가까워질수록 크게 되어야 하는 경향을 파악하였다.
따라서, 청구항 19에 관한 발명인 음향 시스템은, 청취자가 음향 시스템의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그에 따라 변경된 위치에 청취 영역을 생성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그 음향 시스템을 이용하는 사람만이 음향을 즐기는 음향 환경으로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20에 관한 발명인 음향 재생 장치는 제1 스피커와 제2 스피커를 가지고 있고, 제1 스피커에는 제1 음원 신호가 입력되고, 제2 스피커에는 제2 음원 신호가 입력되며, 제1 음원 신호 및 제2 음원 신호는 음향 재생 장치의 전방의 소정 영역에서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와 상기 소정 영역과 상기 소정 영역 이외의 영역을 합친 전체 영역에서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의 비가 최대가 되도록 크기와 위상이 조절되어 있다.
청구항 20에 관한 발명인 음향 재생 장치는 크기와 위상이 조절된 음원 신호 를 스피커에 입력하여 그 전방의 소정 영역에서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와 상기 청취 영역과 상기 청취 영역 이외의 영역을 합친 전체 영역에서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의 비가 최대가 되도록 하고 있다. 전방의 소정 영역이란 그 음향 시스템을 이용하는 청취자가 통상적으로 위치하는 영역을 말한다. 예를 들어, 그 음향 시스템이 일반적인 텔레비전이라면 대략 전방 1m~2m 정도의 영역이 될 것이고, 그 음향 시스템이 미니 텔레비전이라면 대략 전방 20cm~40cm 정도의 영역이 될 것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전방의 소정 영역에서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와 상기 소정 영역과 상기 소정 영역 이외의 영역을 합친 전체 영역에서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의 비가 최대가 되도록 크기와 위상이 조절된 음원 신호를 각 스피커에 입력시켜, 전방의 소정 영역에서의 음압 레벨이 그 이외의 영역보다 크게 되도록 한다.
따라서, 청구항 20에 관한 발명인 음향 재생 장치는 이를 이용하는 청취자만이 음향을 즐기는 음향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21에 관한 발명인 스피커 장착 모니터는 제1 스피커와 제2 스피커를 가지고 있고, 제1 스피커에는 제1 음원 신호가 입력되고, 제2 스피커에는 제2 음원 신호가 입력되며, 제1 음원 신호 및 제2 음원 신호는 모니터의 전방의 소정 영역에서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와 상기 소정 영역과 상기 소정 영역 이외의 영역을 합친 전체 영역에서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의 비가 최대가 되도록 크기와 위상이 조절되어 있다.
청구항 21에 관한 발명인 스피커 장착 모니터는 크기와 위상이 조절된 음원 신호를 스피커에 입력하여 그 전방의 소정 영역에서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와 상기 소정 영역과 상기 소정 영역 이외의 영역을 합친 전체 영역에서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의 비가 최대가 되도록 하고 있다. 전방의 소정 영역이란 그 모니터를 이용하는 청취자가 통상적으로 위치하는 영역을 말한다. 예를 들어, 그 모니터가 일반적인 컴퓨터 모니터라면 대략 전방 30cm~50cm 정도의 영역이 될 것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전방의 소정 영역에서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와 상기 소정 영역과 상기 소정 영역 이외의 영역을 합친 전체 영역에서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의 비가 최대가 되도록 크기와 위상이 조절된 음원 신호를 각 스피커에 입력시켜, 전방의 소정 영역에서의 음압 레벨이 그 이외의 영역보다 크게 되도록 한다.
따라서, 청구항 21에 관한 발명인 스피커 장착 모니터는 이를 이용하는 사람만이 음향을 즐기는 음향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22에 관한 발명인 스피커 장착 휴대폰은 제1 스피커와 제2 스피커를 가지고 있고, 제1 스피커에는 제1 음원 신호가 입력되고, 제2 스피커에는 제2 음원 신호가 입력되며, 제1 음원 신호 및 제2 음원 신호는 휴대폰의 전방의 소정 영역에서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와 상기 소정 영역과 상기 소정 영역 이외의 영역을 합친 전체 영역에서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의 비가 최대가 되도록 크기와 위상이 조절되어 있다.
청구항 22에 관한 발명인 스피커 장착 휴대폰은 크기와 위상이 조절된 음원 신호를 스피커에 입력하여 그 전방의 소정 영역에서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와 상기 소정 영역과 상기 소정 영역 이외의 영역을 합친 전체 영역에서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의 비가 최대가 되도록 하고 있다. 전방의 소정 영역이란 그 휴대폰을 이용하 는 청취자가 통상적으로 위치하는 영역을 말한다. 예를 들어, 소정 영역은 보통 대략 전방 30cm~50cm 정도의 영역이 될 것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전방의 소정 영역에서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와 상기 소정 영역과 상기 소정 영역 이외의 영역을 합친 전체 영역에서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의 비가 최대가 되도록 크기와 위상이 조절된 음원 신호를 각 스피커에 입력시켜, 전방의 소정 영역에서의 음압 레벨이 그 이외의 영역보다 크게 되도록 한다.
따라서, 청구항 22에 관한 발명인 스피커 장착 휴대폰은 이를 이용하는 사람만이 음향을 즐기는 음향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23에 관한 발명인 음향 재생 장치는 음원부와 감지부와 신호 발생부와 신호 분석부를 포함한다. 음원부는 복수의 스피커와 이들을 구동하는 다채널 오디오 앰프로 이루어지고, 음원 신호가 입력되어 음향을 발생시킨다. 감지부는 그 일부분은 청취 영역으로 선택된 영역에, 나머지는 청취 영역 이외의 영역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마이크로폰으로 이루어지고, 음원부로부터의 음향 신호를 감지한다. 신호 발생부는 복수의 스피커에 각각 동기화된 개별 음원 신호를 부여하는 다채널 신호 발생기로 이루어진다. 신호 분석부는, 음원부에 입력되는 음원 신호와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음향 신호 사이의 전달함수를 계측하고, 전달함수를 이용하여 청취 영역에서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와 상기 청취 영역과 상기 청취 영역 이외의 영역을 합친 전체 영역에서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의 비가 최대가 되도록 음원부에 입력되는 음원 신호의 크기와 위상을 결정하고 이 정보를 다채널 신호발생기에 전달하는 다채널 신호 분석기로 이루어진다.
청구항 23에 관한 발명인 음향 재생 장치는, 음원부가 입력된 음원 신호에 따라 음향을 발생시키고, 감지부가 음원부로부터의 음향 신호를 감지하며, 신호 분석부에서 음원 신호와 음향 신호 사이의 전달함수를 계측하고, 이를 이용하여 청취 영역에서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와 상기 청취 영역과 상기 청취 영역 이외의 영역을 합친 전체 영역에서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의 비가 최대가 되도록 음원 신호의 크기와 위상을 결정하며, 신호 발생부에서 이에 따라 음원 신호를 발생시켜, 음원부가 이러한 음원 신호를 재생하게 되어, 청취 영역과 비 청취 영역이 생성되게 된다.
따라서, 청구항 23에 관한 발명인 음향 재생 장치는, 이를 이용하는 청취자만이 음향을 즐기는 음향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24에 관한 발명인 음향 재생 방법은, 음원 신호가 입력되어 음향을 발생시키는 음원부와, 음원부로부터의 음향 신호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음원부에 입력되는 음원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 발생부와, 음원부에 입력되는 음원 신호와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음향 신호를 분석하는 신호 분석부를 포함하는 음향 재생 장치를 이용하는 음향 재생 방법이고, 전달함수 계측 단계, 음원 신호 결정 단계, 음원 신호 재생 단계를 포함한다. 전달함수 계측 단계는, 신호 분석부가 음원부에 입력되는 음원 신호와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음향 신호 사이의 전달함수를 계측한다. 음원 신호 결정 단계는, 신호 분석부가 계측된 전달 함수를 이용하여 청취 영역으로 선택된 영역에서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와 상기 청취 영역과 상기 청취 영역 이외의 영역을 합친 전체 영역에서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의 비가 최대가 되도록 음원부에 입력되는 음원 신호의 크기와 위상을 결정한다. 음향 재생 단계는, 신호 발생 부가 결정된 크기와 위상에 따라 음원부에 입력되는 음원 신호를 발생시키고, 음원부가 이 음원 신호를 입력 받아 음향을 발생시킨다.
청구항 24에 관한 발명인 음향 재생 방법은, 음원부가 입력된 음원 신호에 따라 음향을 발생시키고, 감지부가 음원부로부터의 음향 신호를 감지하며, 신호 분석부에서 음원 신호와 음향 신호 사이의 전달함수를 계측하고, 이를 이용하여 청취 영역에서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와 상기 청취 영역과 상기 청취 영역 이외의 영역을 합친 전체 영역에서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의 비가 최대가 되도록 음원 신호의 크기와 위상을 결정하며, 신호 발생부에서 이에 따라 음원 신호를 발생시켜, 음원부가 이러한 음원 신호를 재생하게 되어, 청취 영역과 비 청취 영역이 생성되게 된다.
따라서, 청구항 24에 관한 발명인 음향 재생 방법은, 이를 이용하는 청취자만이 음향을 즐기는 음향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음향 시스템이 설치되는 음향 공간의 특성을 고려한 전달 함수를 파악하여 청취 영역 생성에 최적화된 음원 신호를 얻어내고 있으므로, 음향 공간 내의 영역별로 음압 레벨의 상대적인 차이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음향학적 밝기(brightness)에 해당하는 음압 레벨의 크기를 제한된 입력 총 크기 하에서 최대로 하는 제어를 하여, 청취 영역에서의 음압 레벨을 최대로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청취자가 위치하는 영역에서만 크게 들리는 음향 환경을 만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청취 영역과 비 청취 영역 사이의 음향학적 대비(contrast) 를 증대시키는 제어를 하여, 청취 영역과 비 청취 영역 사이의 음압 레벨의 차이를 크게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청취자가 위치하는 영역에서만 크게 들리는 음향 환경을 만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청취 영역과 전체 음향 공간 사이의 음향학적 대비(contrast)를 증대시키는 제어를 하여, 청취 영역과 전체 음향 공간 사이의 음압 레벨의 차이를 크게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청취자가 위치하는 영역에서만 크게 들리는 음향 환경을 만들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 해결 수단, 효과 외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먼저, 본 발명에 관련된 이론적인 배경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된 이론적인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은 음향 공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는데, 이 음향 공간에는 음원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제1 스피커 및 제2 스피커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음향 공간은 청취자가 위치하는 청취 영역으로 선택된 영역(이하, ‘청취 영역’이라 한다)과 청취자가 위치하지 않는 청취 영역 이외의 영역(이하, ‘비 청취 영역’이라 한다)으로 나누어진다. 다만, 도 1에서는 청취 영역과 비 청취 영역을 도식화하여 점선의 원 호로써 구별하고 있다. 따라서, 실제로 비 청취 영역은 음향 공간 내에서 청취자가 위치하는 영역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 해당하는 개념이다.
음향 공간에 제1 내지 제n 음원이 있을 때, 제1 내지 제n 음원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음향 공간 내에 있어서의 임의의 지점(
Figure 112008007300316-PAT00001
, 마이크로폰이 설치되는 지점)에서의 음압(
Figure 112008007300316-PAT00002
, 마이크로폰에 의하여 검지되는 신호)은 다음의 수학식 1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08007300316-PAT00003
여기서
Figure 112008007300316-PAT00004
Figure 112008007300316-PAT00005
의 위치에 있는 i번째 음원(sound source)에 입력되는 신호이며,
Figure 112008007300316-PAT00006
Figure 112008007300316-PAT00007
Figure 112008007300316-PAT00008
의 관계를 표현하는 전달함수이다.
상기 수학식 1을 음원이 2개이고, 지점이 2개인 경우에 대해 행렬의 형태로 표현하면 다음의 수학식 2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08007300316-PAT00009
그런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원이 2개이고(즉, i=1, 2), 마이크로폰이 설치되는 지점이 청취 영역(audible zone)에 2개(즉, j=1, 2), 비 청취 영역(inaudible zone)에 2개인 경우에 대한 행렬식 표현은 다음의 수학식 3, 4와 같다. 수학식 3, 4에서의 하첨자 a, u는 각각 audible zone, inaudible zone을 의미한다.
Figure 112008007300316-PAT00010
Figure 112008007300316-PAT00011
또한, 청취 영역과 비 청취 영역을 모두 포함하는 음향 공간에 대한 행렬식 표현은 다음의 수학식 5와 같다. 수학식 5에서의 하첨자 t는 total zone을 의미한다.
Figure 112008007300316-PAT00012
다음으로는, 어떤 영역에서의 음향 특성을 표현하는 대표적인 물리량을 정해야 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그 물리량을 공간평균음향에너지로 정의하였으며, 이는 다음의 수학식 6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08007300316-PAT00013
공간평균음향에너지를 어떤 영역에서의 음향 특성을 표현하는 대표적인 물리량으로 정한 이유는 각 지점에서의 음압 레벨만으로는 어떤 영역에서의 음향 특성을 표현하는데 있어 부족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청취 영역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 비 청취 영역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 음향 공간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를 각각의 영역에서의 음압 레벨이라고 생각하기로 한다.
또한, 수학식 6에서 행렬
Figure 112008007300316-PAT00014
은 어떤 영역에서 각 음원이 만들어내는 간섭 정도를 나타내는 상관행렬이다. 그리고 2라는 숫자는 어떤 영역에서 마이크로폰이 설치된 지점의 개수를 나타낸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수학식 6은 지점의 개수가 2인 간단한 경우에 대하여 표현한 것이지만, 이는 어떤 영역 내부에 마이크로폰이 설치된 지점의 개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수학식 6을 사용하여 청취 영역과 비 청취 영역과 음향 공간 각각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 즉 각 영역의 음압 레벨은 다음의 수학식 7, 8, 9로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08007300316-PAT00015
Figure 112008007300316-PAT00016
Figure 112008007300316-PAT00017
다음은 상기 수학식 7 내지 9로 정의된 각 영역에서의 음압 레벨을 이용하여 본 발명이 행하고자 하는, 음향 공간 내에서 청취 영역과 비 청취 영역을 생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제1 음원 신호 및 제2 음원 신호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이 결정 방법에는 3가지를 들 수 있다. 첫번째는 청취 영역에서의 음압 레벨과 입력의 총 크기와의 대비를 최대로 하는 음원 신호를 결정하는 것, 두번째는 청취 영역의 음압 레벨과 비 청취 영역의 음압 레벨의 대비를 최대로 하는 음원 신호를 결정하는 것, 세번째는 청취 영역의 음압 레벨과 음향공간의 음압 레벨의 대비 를 최대로 하는 음원 신호를 결정하는 것이다. 다만, 이상에서 들고 있는 3가지 결정 방법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다른 결정 방법이 존재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그럼, 각각의 결정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1. 청취 영역에서의 음압 레벨과 입력의 총 크기의 대비를 최대로 하는 음원 신호의 결정
입력의 총 크기는 제1 음원 신호의 복소 크기의 절대치와 제2 음원 신호의 복소 크기의 절대치의 합으로 정의되고, 이를 제어 노력(control effort)의 총 크기라고 부를 수 있다. 입력의 총 크기는 다음의 수학식 10으로 표현된다.
Figure 112008007300316-PAT00018
여기서,
Figure 112008007300316-PAT00019
은 입력의 총 크기, 즉 제어 노력을 공간평균음향에너지의 차원(dimension)으로 변화시키는 정규화 상수이다.
이제, 청취 영역에서의 음압 레벨과 입력의 총 크기와의 대비는 수학식 7 및 10을 이용하여 다음의 수학식 11과 같이 되며, 이를 “음향 밝기(acoustic brightness)”로 정의한다.
Figure 112008007300316-PAT00020
따라서, 청취 영역에서의 음압 레벨과 입력의 총 크기의 대비를 최대로 하는 음원 신호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수학식 11에서
Figure 112008007300316-PAT00021
의 값을 최대로 하는 음원 신호를 구하는 문제로 된다.
상기 수학식 11은 수학적으로 레일레이 몫(Reyleigh quotient)
Figure 112008007300316-PAT00022
를 최대로 하는 문제로 정식화할 수 있으며, 이는 다음의 수학식 12와 같이 표현된다.
Figure 112008007300316-PAT00023
상기 수학식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Figure 112008007300316-PAT00024
의 값을 최대로 하는 음원 신호를 구하는 것은 일반화된 고유치 문제의 최대 고유치를 구하는 것과 동일하게 된다. 그리고 최대 고유치에 해당하는 고유 벡터가 제1 음원 신호와 제2 음원 신호가 된다.
2. 청취 영역의 음압 레벨과 비 청취 영역의 음압 레벨의 대비를 최대로 하는 음원 신호의 결정
청취 영역의 음압 레벨과 비 청취 영역의 음압 레벨의 대비는 수학식 7과 8을 이용하여 다음의 수학식 13과 같이 되며, 이를 “음향 대조 1(acoustic contrast 1)”로 정의한다.
Figure 112008007300316-PAT00025
따라서, 청취 영역에서의 음압 레벨과 비 청취 영역의 음압 레벨의 대비를 최대로 하는 음원 신호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수학식 13에서
Figure 112008007300316-PAT00026
의 값을 최대로 하는 음원 신호를 구하는 문제로 된다.
상기 수학식 13은 수학적으로 레일레이 몫(Reyleigh quotient)
Figure 112008007300316-PAT00027
를 최대로 하는 문제로 정식화할 수 있으며, 이는 다음의 수학식 14와 같이 표현된다
Figure 112008007300316-PAT00028
상기 수학식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Figure 112008007300316-PAT00029
의 값을 최대로 하는 음원 신호를 구하는 것은 일반화된 고유치 문제의 최대 고유치를 구하는 것과 동일하게 된다. 그리고 최대 고유치에 해당하는 고유 벡터가 제1 음원 신호와 제2 음원 신호가 된다.
3. 청취 영역의 음압 레벨과 음향공간의 음압 레벨의 대비를 최대로 하는 음원 신호의 결정
청취 영역의 음압 레벨과 음향 공간의 음압 레벨의 대비는 수학식 7과 9를 이용하여 다음의 수학식 15과 같이 되며, 이를 “음향 대조 2(acoustic contrast 2)”로 정의한다.
Figure 112008007300316-PAT00030
따라서, 청취 영역의 음압 레벨과 음향 공간의 음압 레벨의 대비를 최대로 하는 음원 신호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수학식 15에서의
Figure 112008007300316-PAT00031
값을 최대로 하는 음원 신호를 구하는 문제로 된다.
상기 수학식 15는 수학적으로 레일레이 몫(Reyleigh quotient)
Figure 112008007300316-PAT00032
를 최대로 하는 문제로 정식화할 수 있으며, 이는 다음의 수학식 16과 같이 표현된다
Figure 112008007300316-PAT00033
상기 수학식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Figure 112008007300316-PAT00034
의 값을 최대로 하는 음원 신호를 구하는 것은 일반화된 고유치 문제의 최대 고유치를 구하는 것과 동일하게 된다. 그리고 최대 고유치에 해당하는 고유 벡터가 제1 음원 신호와 제2 음원 신호가 된다.
이상의 이론적인 내용을 정리하면, 본 발명은 종래의 방법들이 청취자와 음원 사이의 관계를 제한적인 형태로 반영하였던 것에 비해, 전달 함수를 모두 파악 하여 최적의 음원 신호를 얻어내는 방법을 사용한 것이다. 그로 인해, 본 발명은 음압 레벨을 줄이기만 하는 능동 소음 제어 등과 달리, 음향 공간 내의 영역별로 음압 레벨의 상대적인 차이를 증대시키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음향학적 밝기(brightness)에 해당하는 음압 레벨의 크기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두 영역 사이의 음향학적 대비(contrast)를 증대시키는 제어를 수행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향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음향 시스템은 음원부(100), 감지부(200), 신호발생부(300), 신호분석부(400)로 이루어진다. 음원부(100)는 다수의 음원에 해당하는 복수의 스피커(110)와 이 복수의 스피커를 구동할 수 있는 다채널 오디오 앰프(120)로 이루어지며, 감지부(200)는 청취 영역과 비 청취 영역에 설치된 복수의 마이크로폰(210)으로 이루어지고, 신호 발생부(300)는 음원부의 다채널 오디오 앰프를 통해 각각의 스피커에 동기화된 개별 음원 신호를 부여할 수 있는 다채널 신호 발생기(310)로 이루어지며, 신호분석부(400)는 음원부(100)에 입력되는 음원 신호(q)와 감지부(200)에서 감지되는 음향 신호(p)와의 전달함수를 계측하여, 상기 수학식 11의 음향 밝기(
Figure 112008007300316-PAT00035
)를 최대로 하거나(음향 밝기 제어), 상기 수학식 13의 음향 대조 1(
Figure 112008007300316-PAT00036
)을 최대로 하거나(음향 대조 1 제어), 또는, 상기 수학식 15의 음 향 대조 2(
Figure 112008007300316-PAT00037
)를 최대로 하는(음향 대조 2 제어) 음원 신호를 결정하여 그 정보를 신호 발생부(300)의 다채널 신호 발생기(310)에 전달하는 다채널 신호 분석기(410)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음향 시스템을 이용하여 음향 공간에서 청취 영역과 비 청취 영역을 생성하는 과정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음향 시스템을 이용하여 음향 공간에서 청취 영역과 비 청취 영역을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먼저, 신호 분석부(400)에서 음원부의 음원 신호와 감지부의 음향 신호와의 사이의 전달 함수를 계측한다(단계 S1). 그런데, 전달 함수를 계측함에 있어서, 스피커의 수와 마이크로폰의 수에 따라 많은 양의 측정을 필요로 하므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다음과 같은 간단한 방법으로 전달 함수 계측에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 이 간단한 방법은, 다수의 스피커에 입력되는 음원 신호로서 각각 상관성이 없는 백색 잡음을 입력시킨 후, 각각의 마이크로폰에서 감지된 음향 신호에서 각각의 음원의 기여도를 분리해냄으로써 한 번의 측정으로 음원부의 음원 신호와 감지부의 음향 신호와의 사이의 전달 함수를 계측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신호 분석부(400)에서 단계 S1에서 측정된 전달 함수를 이용하여 상기 수학식 11의 음향 밝기(
Figure 112008007300316-PAT00038
)를 최대로 하거나, 상기 수학식 13의 음향 대조 1(
Figure 112008007300316-PAT00039
)을 최대로 하거나, 또는, 상기 수학식 15의 음향 대조 2(
Figure 112008007300316-PAT00040
)를 최대로 하는 음원 신호를 결정하고, 이 정보를 신호 발생부(300)에 전달한다(단계 S2). 여기서, 단일의 주파수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으나, 복수의 주파수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각각의 주파수에 대한 음원 신호를 결정하는 것으로 이해하면 무방하다. 또한, 여기서 결정된 음원 신호는, 후술하는 단계 S3에서, 원음 신호(청취 영역에 들리게 하고자 하는 임의의 소리)를 필터링하는 필터링 계수로 기능한다.
다음으로, 신호 발생부(300)에서 신호 분석부(400)로부터 전달 받은 정보에 기초하여 원음 신호를 단계 S2에서 결정된 음원 신호로 필터링하여, 청취영역 생성에 최적화된 음원 신호(필터링된 음원 신호)를 발생시키고, 이를 청취 영역 생성에 최적화된 음원 신호를 발생시켜 음원부(100)에 전달한다(단계 S3). 여기서, 단일의 주파수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으나, 복수의 주파수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각각의 주파수에 있어서, 원음 신호를 결정된 음원 신호로 필터링하고, 최적화된에 대한 음원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이해하면 무방하다.
다음으로, 음원부(100)는 신호 발생부(300)로부터의 최적화된 음원 신호를 앰프 및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하고(단계 S4), 이에 따라 음향 공간에는 청취 영역과 비 청취 영역이 생성되게 된다(단계 S5).
이러한 일 실시예의 음향 시스템은 음향 공간의 크기 등과, 그 음향 공간 내에서 다수의 스피커가 설치되는 위치, 청취자의 위치 등의 가변 변수들이 임의로 결정될 수 있는 경우에 대응하는 것을 염두에 둔 것이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변수들이 달라질 때마다 전달함수가 달라지게 되므로, 전달함수의 계측을 위하여 감지부와 신호 분석부가 포함되어 있다.
그런데, 본 발명의 음향 시스템이 실제의 음향 제품에 적용되는 경우를 생각해본다. 예를 들어, 음향 시스템이 스피커 부착 모니터라면 사람이 이 모니터를 보게 되는 위치는 통상적으로 결정되어 있는 것이기 때문에(보통 모니터 전방 30~50cm 정도), 청취 영역으로 만들어야 하는 영역의 위치가 결정되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그리고, 스피커는 모니터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음원부와 이 청취 영역과의 상대 위치 관계가 설정되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그렇다면, 이런 경우에는, 전달함수가 결정되어 있는 것이고, 전달함수가 결정되어 있다면 청취 영역 생성에 최적화된, 각 스피커에 입력되는 음원 신호도 결정되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음향 시스템에 감지부와 신호 분석부가 포함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본 발명이 실제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음향관련 제품을 생각해보면, 상술한 스피커 부착 모니터 이외에도 스피커가 달린 어떠한 제품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휴대폰, PDA 등의 소형 모바일 기기서부터 TV 등의 중형 기기, 나아가, 길거리의 광고전광판 등의 대형 기기까지 전부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기기들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청취자와의 상대 위치 관계가 결정되어 있는 경우라면 청취 영역 생성에 최적화된 음원 신호는 정해져 있는 것이므로, 감지부와 신호 분석부 없이 음향 시스템이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는, 본 발명을 실험적으로 적용하여 그 작용 효과를 살펴본 내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음향 공간을 실험적으로 구현한 개략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의 앞면에 다수의 음원을 일렬로 장착하여 음원 어레이를 형성하고, 모니터를 보고 있는 사용자의 머리 주변의 영역을 청취 영역으로, 그 이외의 영역을 비 청취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도 4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다채널 오디오 앰프, 다채널 신호 발생기, 다채널 신호분석기 등이 음원 및 마이크로폰에 물론 연결되어 있다. 도 4에 있어서, ‘bright’로 표시된 영역이 청취 영역이고, ‘dark’로 표시된 영역이 비청취 영역이다.
도 4의 음향 공간에 적용된 구체적인 실험 장비들을 나열하면, 스피커 유닛(Speaker unit)은 Daelim audio circular speaker (Φ30) 9EA를, 사운드 카드(Sound card)는 Audiofire12 12ch를, 파워 앰플리파이어(Power amplifier)는 DBB16100 16ch. digital amp를, 마이크로폰(Microphone)은 B&K 4935(upper 5kHz, dynamic range 140dB) 23 EA를, 오실로스코프(Oscilloscope)는 흥창 model 6502 analogue oscilloscope 1EA를, 디지털 멀티미터(Digital multimeter)는 Tektronix TX3 1EA를, 데이터 어퀴지션(Data acqusiton)은 NI PXI-4472, 24ch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음향 공간에 상술한 세가지의 방법을 각각 적용하여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실험 절차에 관하여 간략히 기술하면, 마이크로폰 보정(magnitude, phase calibration)을 행하고, 스피커와 마이크로폰의 위치를 고정하고, 배경잡음(background noise)을 측정하고, 신호의 정상적 입력 확인 및 SNR 확인을 행하였으며, 입력 신호로서는 3kHz로 단일 가진을 하였으며, 각 스피커 입력 신호와 마이크로폰 입력 신호 동시 측정 및 신호처리를, 샘플링 레이트(Sampling rate)는 16.384kHz로, 기록 길이(Record length)를 10 sec로, 주파수 레졸류션(Frequency resolution)을 1Hz / 50% overlap (19회 평균)으로 하였다.
도 5는 3kHz 가진시에 청취 영역이 생성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의 (a)는 음향 밝기 제어를 행한 것이고, (b)는 음향 대조 1 제어를 행한 것이며, (c)는 음향 대조 2 제어를 행한 것이다. 도 5에 있어서 빨간색일수록 잘 들리는 것이고, 파란색일수록 잘 안들리는 것을 의미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향 공간에 본 발명을 적용하면 청취 영역과 비 청취 영역의 구별이 가능하게 된다. 다만, 음향 밝기 제어, 음향 대조 1 제어, 음향 대조 2 제어, 각각의 제어방법에 따라 그 결과가 약간식 달라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음향 밝기 제어는 같은 입력 크기에 대해 청취 영역에서 최대 읍압 레벨을 갖도록 하는 것이므로, 입력의 크기를 크게 해줄 수 없는 경우, 입력의 크기가 제한 되어 있는 경우에 더욱 유용하다. 그러나, 음향 밝기 제어는 청취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 음향 대조 1 제어 및 음향 대조 2 제어보다 상대적으로 소리가 크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청취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 소리가 매우 작지 않아도 무방한 경우에 더욱 효율적이고 효과적이다.
음향 대조 1 제어 및 음향 대조 2 제어는 입력의 크기가 지나치게 제한되어 있지 않는 한 음향 밝기 제어보다 더 우수한 청취 영역 생성 결과를 보여준다. 또한, 음향 대조 1 제어 및 음향 대조 2 제어는 청취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 소리가 매우 작아지게 되므로, 음향 시스템의 크기가 소형, 중형, 대형의 모든 경우에 대해서 음향 밝기 제어보다 더 우수하다.
음향 대조 1 제어와 음향 대조 2 제어는 대부분의 경우에 서로 비슷한 결과를 보이고 있으나, 저주파수 대역에 대한 제어에 있어서는 그 결과가 조금 차이를 보인다. 음향 대조 2 제어는, 청취 영역으로 선택되는 영역, 그 이외의 영역이 어떻게 설정되느냐에 따라 청취 영역 생성 결과의 변화가 음향 대조 1 제어보다 심하다.
또한, 본원의 발명자는 청취자가 스피커로부터 멀어지는 경우 즉, 청취 영역이 스피커로부터 멀어지는 경우에 각 스피커에 입력되는 음원 신호의 크기 및 위상이 어떻게 제어되는 지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도 6은 청취 영역이 모니터로부터 멀어지는 경우, 각 스피커에 입력되는 음원 신호의 크기와 위상이 어떻게 달라지는 지 그 경향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 경우도 마찬가지로 3kHz로 가진하였다. 또한, 음원 신호의 변화 경향을 보기 위하여 각 음원 신호의 위상은 배열 음원의 정 가운데에 있는 신호의 위상을 기준(zero)으로 하여 그래프를 표현하였고, 음원 신호의 크기의 전체 함은 1이 되도록 표현하였다. 도 6의 (a)는 음향 밝기 제어를 행한 것이고, (b)는 음향 대조 1 제어를 행한 것이며, (c)는 음향 대조 2 제어를 행한 것이다. 도 6에서 알수 있는 바와 같이, 청취 영역이 멀어짐에 따라, 스피커 어레이의 중심에서 멀리 있는 스피커에 입력되는 음원 신호의 크기는 점점 커지고, 스피커 어레이의 중심에서 가까이 있는 스피커에 입력되는 음원 신호의 크기는 점점 작아진다 또한, 위상의 경우에는 청취 영역이 멀어짐에 따라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또한, 본원의 발명자는 청취자가 스피커 어레이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즉, 청취 영역이 스피커 어레이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각 스피커에 입력되는 음원 신호의 크기 및 위상이 어떻게 제어되는 지에 대하여 고찰 하였다. 도 7은 청취 영역이 스피커 어레이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각 스피커에 입력되는 음원 신호의 크기와 위상이 어떻게 달라지는 지 그 경향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 경우도 마찬가지로 3kHz로 가진하였다. 도 7의 (a)는 음향 밝기 제어를 행한 것이고, (b)는 음향 대조 1 제어를 행한 것이며, (c)는 음향 대조 2 제어를 행한 것이다. 도 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청취 영역이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좌측에 있는 스피커에 입력되는 음원 신호의 크기 및 위상은 점점 작아지고, 우측에 있는 스피커에 입력되는 음원 신호의 크기 및 위상은 점점 커지고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음향 기기에는 어디에도 적용가능하다. 이 음향 기기에는 휴대폰, PDA 등의 소형 모바일 기기서부터 TV 등의 중형 기기, 나아가, 길거리의 광고전광판 등의 대형 기기까지를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이 적용된 음향 기기는 그것을 이 용하는 사람에게만 잘 들리고, 다른 사람들에게는 그 음향 기기로부터 나오는 소리가 들리지 않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따라서, 개인적인 음향 공간의 생성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유무선 이어폰, 헤드폰 등 개인적인 청취를 목적으로 하는 부속품은 필요 없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된 이론적인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향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음향 시스템을 이용하여 음향 공간에서 청취 영역과 비 청취 영역을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음향 공간을 실험적으로 구현한 개략도이다.
도 5는 3kHz 가진시에 음향 밝기 제어(a), 음향 대조 1 제어(b), 음향 대조 2 제어(c)를 행한 경우의 청취 영역이 생성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청취 영역이 모니터로부터 멀어지는 경우, 각 스피커에 입력되는 음원 신호의 크기와 위상이 어떻게 달라지는 지 그 경향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청취 영역이 스피커 어레이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각 스피커에 입력되는 음원 신호의 크기와 위상이 어떻게 달라지는 지 그 경향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Claims (24)

  1. 제1 음원 신호가 입력되는 제1 스피커,
    제2 음원 신호가 입력되는 제2 스피커,
    청취 영역으로 선택된 영역에서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와 상기 제1 음원 신호 및 상기 제2 음원 신호의 에너지의 합과의 비가 최대가 되도록 상기 제1 음원 신호 및 상기 제2 음원 신호의 크기와 위상을 조절하는 조절 수단
    을 포함하는 음향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제3 음원 신호가 입력되는 제3 스피커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스피커와 상기 제2 스피커와 상기 제3 스피커가 차례대로 배열되고, 상기 청취 영역이 상기 제2 스피커에 대향하는 위치에 선택된 경우에 있어서,
    상기 조절 수단은, 상기 청취 영역이 상기 제2 스피커와의 선분이 길어지는 방향으로 멀어짐에 따라, 상기 제2 음원 신호는, 크기를 작게, 위상을 크게 조절하며, 상기 제1 음원 신호 및 상기 제3 음원 신호는, 크기를 크게, 위상을 크게 조절하는,
    음향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취 영역이 상기 제1 스피커에 가깝게 선택된 경우에 있어서,
    상기 조절 수단은, 상기 청취 영역이 상기 제2 스피커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 음향 신호는, 크기 및 위상을 작게 조절하고, 상기 제2 음원 신호는, 크기 및 위상을 크게 조절하는,
    음향 시스템.
  4. 제1 음원 신호가 입력되는 제1 스피커와 제2 음원 신호가 입력되는 제2 스피커를 가진 음향 재생 장치이고,
    상기 제1 음원 신호 및 상기 제2 음원 신호는 상기 음향 재생 장치의 전방의 소정 영역에서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와 상기 제1 음원 신호 및 상기 제2 음원 신호의 어네지의 합과의 비가 최대가 되도록 크기와 위상이 조절되어 있는,
    음향 재생 장치.
  5. 제1 음원 신호가 입력되는 제1 스피커와 제2 음원 신호가 입력되는 제2 스피커가 장착된 모니터이고,
    상기 제1 음원 신호 및 상기 제2 음원 신호는 상기 음향 재생 장치의 전방의 소정 영역에서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와 상기 제1 음원 신호 및 상기 제2 음원 신호의 에너지의 합과의 비가 최대가 되도록 크기와 위상이 조절되어 있는,
    스피커 장착 모니터.
  6. 제1 음원 신호가 입력되는 제1 스피커와 제2 음원 신호가 입력되는 제2 스피커가 장착된 휴대폰이고,
    상기 제1 음원 신호 및 상기 제2 음원 신호는 상기 음향 재생 장치의 전방의 소정 영역에서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와 상기 제1 음원 신호 및 상기 제2 음원 신호의 에너지의 합과의 비가 최대가 되도록 크기와 위상이 조절되어 있는,
    스피커 장착 휴대폰.
  7. 복수의 스피커와 상기 복수의 스피커를 구동하는 다채널 오디오 앰프로 이루어지고, 음원 신호가 입력되어 음향을 발생시키는 음원부,
    일부분은 청취 영역으로 선택된 영역에, 나머지는 상기 청취 영역 이외의 영역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마이크로폰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음원부로부터의 음향 신호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복수의 스피커 각각에 동기화된 개별 음원 신호를 부여하는 다채널 신호 발생기로 이루어지는 신호 발생부,
    상기 음원부에 입력되는 음원 신호와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음향 신호 사이의 전달함수를 계측하고, 상기 전달함수를 이용하여 상기 청취 영역에서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와 상기 음원부에 입력되는 음원 신호의 에너지의 총합과의 비가 최대가 되도록 상기 음원부에 입력되는 음원 신호의 크기와 위상을 결정하고, 이 정보를 상기 다채널 신호발생기에 전달하는 다채널 신호 분석기로 이루어지는 신호 분석부,
    를 포함하는 음향 재생 장치.
  8. 음원 신호가 입력되어 음향을 발생시키는 음원부와, 상기 음원부로부터의 음향 신호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음원부에 입력되는 음원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 발생부와, 상기 음원부에 입력되는 음원 신호와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음향 신호를 분석하는 신호 분석부를 포함하는 음향 재생 장치를 이용하는 음향 재생 방법이고,
    상기 신호 분석부가 상기 음원부에 입력되는 음원 신호와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음향 신호 사이의 전달함수를 계측하는 전달함수 계측단계,
    상기 신호 분석부가 상기 전달 함수 계측 단계에서 계측된 전달 함수를 이용하여 청취 영역으로 선택된 영역에서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와 상기 음원부에 입력되는 음원 신호의 에너지의 총합과의 비가 최대가 되도록 상기 음원부에 입력되는 음원 신호의 크기와 위상을 결정하는 음원 신호 결정 단계,
    상기 신호 발생부가 상기 음원 신호 결정 단계에서 결정된 크기와 위상에 따라 상기 음원부에 입력되는 음원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음원부가 이 음원 신호를 입력받아 음향을 발생시키는 음향 재생 단계
    를 포함하는 음향 재생 방법.
  9. 제1 음원 신호가 입력되는 제1 스피커,
    제2 음원 신호가 입력되는 제2 스피커,
    청취 영역으로 선택된 영역에서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와 상기 청취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의 비가 최대가 되도록 상기 제1 음원 신호 및 상기 제2 음원 신호의 크기와 위상을 조절하는 조절 수단
    을 포함하는 음향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제3 음원 신호가 입력되는 제3 스피커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스피커와 상기 제2 스피커와 상기 제3 스피커가 차례대로 배열되고, 상기 청취 영역이 상기 제2 스피커에 대향하는 위치에 선택된 경우에 있어서,
    상기 조절 수단은, 상기 청취 영역이 상기 제2 스피커와의 선분이 길어지는 방향으로 멀어짐에 따라, 상기 제2 음원 신호는, 크기를 작게, 위상을 크게 조절하며, 상기 제1 음원 신호 및 상기 제3 음원 신호는, 크기를 크게, 위상을 크게 조절하는,
    음향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청취 영역이 상기 제1 스피커에 가깝게 선택된 경우에 있어서,
    상기 조절 수단은, 상기 청취 영역이 상기 제2 스피커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 음향 신호는, 크기 및 위상을 작게하고, 상기 제2 음원 신호는, 크기 및 위상을 크게 조절하는,
    음향 시스템.
  12. 제1 음원 신호가 입력되는 제1 스피커와 제2 음원 신호가 입력되는 제2 스피커를 가진 음향 재생 장치이고,
    상기 제1 음원 신호 및 상기 제2 음원 신호는 상기 음향 재생 장치의 전방의 소정 영역에서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와 상기 소정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의 비가 최대가 되도록 크기와 위상이 조절되어 있는,
    음향 재생 장치.
  13. 제1 음원 신호가 입력되는 제1 스피커와 제2 음원 신호가 입력되는 제2 스피커가 장착된 모니터이고,
    상기 제1 음원 신호 및 상기 제2 음원 신호는 상기 음향 재생 장치의 전방의 소정 영역에서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와 상기 소정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의 비가 최대가 되도록 크기와 위상이 조절되어 있는,
    스피커 장착 모니터.
  14. 제1 음원 신호가 입력되는 제1 스피커와 제2 음원 신호가 입력되는 제2 스피커가 장착된 휴대폰이고,
    상기 제1 음원 신호 및 상기 제2 음원 신호는 상기 음향 재생 장치의 전방의 소정 영역에서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와 상기 소정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의 공간평 균음향에너지의 비가 최대가 되도록 크기와 위상이 조절되어 있는,
    스피커 장착 휴대폰.
  15. 복수의 스피커와 상기 복수의 스피커를 구동하는 다채널 오디오 앰프로 이루어지고, 음원 신호가 입력되어 음향을 발생시키는 음원부,
    일부분은 청취 영역으로 선택된 영역에, 나머지는 상기 청취 영역 이외의 영역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마이크로폰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음원부로부터의 음향 신호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복수의 스피커 각각에 동기화된 개별 음원 신호를 부여하는 다채널 신호 발생기로 이루어지는 신호 발생부,
    상기 음원부에 입력되는 음원 신호와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음향 신호 사이의 전달함수를 계측하고, 상기 전달함수를 이용하여 상기 청취 영역에서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와 상기 청취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의 비가 최대가 되도록 상기 음원부에 입력되는 음원 신호의 크기와 위상을 결정하고, 이 정보를 상기 다채널 신호발생기에 전달하는 다채널 신호 분석기로 이루어지는 신호 분석부,
    를 포함하는 음향 재생 장치.
  16. 음원 신호가 입력되어 음향을 발생시키는 음원부와, 상기 음원부로부터의 음향 신호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음원부에 입력되는 음원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 호 발생부와, 상기 음원부에 입력되는 음원 신호와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음향 신호를 분석하는 신호 분석부를 포함하는 음향 재생 장치를 이용하는 음향 재생 방법이고,
    상기 신호 분석부가 상기 음원부에 입력되는 음원 신호와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음향 신호 사이의 전달함수를 계측하는 전달함수 계측단계,
    상기 신호 분석부가 상기 전달 함수 계측 단계에서 계측된 전달 함수를 이용하여 청취 영역으로 선택된 영역에서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와 상기 청취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의 비가 최대가 되도록 상기 음원부에 입력되는 음원 신호의 크기와 위상을 결정하는 음원 신호 결정 단계,
    상기 신호 발생부가 상기 음원 신호 결정 단계에서 결정된 크기와 위상에 따라 상기 음원부에 입력되는 음원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음원부가 이 음원 신호를 입력받아 음향을 발생시키는 음향 재생 단계
    를 포함하는 음향 재생 방법.
  17. 제1 음원 신호가 입력되는 제1 스피커,
    제2 음원 신호가 입력되는 제2 스피커,
    청취 영역으로 선택된 영역에서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와 상기 청취 영역 및 상기 청취 영역 이외의 영역을 합친 전체 영역에서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의 비가 최대가 되도록 상기 제1 음원 신호 및 상기 제2 음원 신호의 크기와 위상을 조절하는 조절 수단
    을 포함하는 음향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제3 음원 신호가 입력되는 제3 스피커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스피커와 상기 제2 스피커와 상기 제3 스피커가 차례대로 배열되고, 상기 청취 영역이 상기 제2 스피커에 대향하는 위치에 선택된 경우에 있어서,
    상기 조절 수단은, 상기 청취 영역이 상기 제2 스피커와의 선분이 길어지는 방향으로 멀어짐에 따라, 상기 제2 음원 신호는, 크기를 작게, 위상을 크게 조절하며, 상기 제1 음원 신호 및 상기 제3 음원 신호는, 크기를 크게, 위상을 크게 조절하는,
    음향 시스템.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청취 영역이 상기 제1 스피커에 가깝게 선택된 경우에 있어서,
    상기 조절 수단은, 상기 청취 영역이 상기 제2 스피커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 음향 신호는, 크기 및 위상을 작게하고, 상기 제2 음원 신호는, 크기 및 위상을 크게 조절하는,
    음향 시스템.
  20. 제1 음원 신호가 입력되는 제1 스피커와 제2 음원 신호가 입력되는 제2 스피 커를 가진 음향 재생 장치이고,
    상기 제1 음원 신호 및 상기 제2 음원 신호는 상기 음향 재생 장치의 전방의 소정 영역에서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와 상기 소정 영역 및 상기 소정 영역 이외의 영역을 합친 전체 영역에서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의 비가 최대가 되도록 크기와 위상이 조절되어 있는,
    음향 재생 장치.
  21. 제1 음원 신호가 입력되는 제1 스피커와 제2 음원 신호가 입력되는 제2 스피커가 장착된 모니터이고,
    상기 제1 음원 신호 및 상기 제2 음원 신호는 상기 음향 재생 장치의 전방의 소정 영역에서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와 상기 소정 영역 및 상기 소정 영역 이외의 영역을 합친 전체 영역에서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의 비가 최대가 되도록 크기와 위상이 조절되어 있는,
    스피커 장착 모니터.
  22. 제1 음원 신호가 입력되는 제1 스피커와 제2 음원 신호가 입력되는 제2 스피커가 장착된 휴대폰이고,
    상기 제1 음원 신호 및 상기 제2 음원 신호는 상기 음향 재생 장치의 전방의 소정 영역에서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와 상기 소정 영역 및 상기 소정 영역 이외의 영역을 합친 전체 영역에서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의 비가 최대가 되도록 크기와 위 상이 조절되어 있는,
    스피커 장착 휴대폰.
  23. 복수의 스피커와 상기 복수의 스피커를 구동하는 다채널 오디오 앰프로 이루어지고, 음원 신호가 입력되어 음향을 발생시키는 음원부,
    일부분은 청취 영역으로 선택된 영역에, 나머지는 상기 청취 영역 이외의 영역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마이크로폰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음원부로부터의 음향 신호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복수의 스피커 각각에 동기화된 개별 음원 신호를 부여하는 다채널 신호 발생기로 이루어지는 신호 발생부,
    상기 음원부에 입력되는 음원 신호와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음향 신호 사이의 전달함수를 계측하고, 상기 전달함수를 이용하여 상기 청취 영역에서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와 상기 청취 영역 및 상기 청취 영역 이외의 영역을 합친 전체 영역에서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의 비가 최대가 되도록 상기 음원부에 입력되는 음원 신호의 크기와 위상을 결정하고, 이 정보를 상기 다채널 신호발생기에 전달하는 다채널 신호 분석기로 이루어지는 신호 분석부,
    를 포함하는 음향 재생 장치.
  24. 음원 신호가 입력되어 음향을 발생시키는 음원부와, 상기 음원부로부터의 음향 신호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음원부에 입력되는 음원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 호 발생부와, 상기 음원부에 입력되는 음원 신호와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음향 신호를 분석하는 신호 분석부를 포함하는 음향 재생 장치를 이용하는 음향 재생 방법이고,
    상기 신호 분석부가 상기 음원부에 입력되는 음원 신호와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음향 신호 사이의 전달함수를 계측하는 전달함수 계측단계,
    상기 신호 분석부가 상기 전달 함수 계측 단계에서 계측된 전달 함수를 이용하여 청취 영역으로 선택된 영역에서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와 상기 청취 영역 및 상기 청취 영역 이외의 영역을 합친 전체 영역에서의 공간평균음향에너지의 비가 최대가 되도록 상기 음원부에 입력되는 음원 신호의 크기와 위상을 결정하는 음원 신호 결정 단계,
    상기 신호 발생부가 상기 음원 신호 결정 단계에서 결정된 크기와 위상에 따라 상기 음원부에 입력되는 음원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음원부가 이 음원 신호를 입력받아 음향을 발생시키는 음향 재생 단계
    를 포함하는 음향 재생 방법.
KR1020080008874A 2008-01-29 2008-01-29 음향 재생 장치 KR1009308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8874A KR100930835B1 (ko) 2008-01-29 2008-01-29 음향 재생 장치
US12/671,493 US8369536B2 (en) 2008-01-29 2008-11-13 Sound system, sound reproducing apparatus, sound reproducing method, monitor with speakers, mobile phone with speakers
PCT/KR2008/006691 WO2009096657A1 (en) 2008-01-29 2008-11-13 Sound system, sound reproducing apparatus, sound reproducing method, monitor with speakers, mobile phone with speake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8874A KR100930835B1 (ko) 2008-01-29 2008-01-29 음향 재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2978A true KR20090082978A (ko) 2009-08-03
KR100930835B1 KR100930835B1 (ko) 2009-12-10

Family

ID=40912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8874A KR100930835B1 (ko) 2008-01-29 2008-01-29 음향 재생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369536B2 (ko)
KR (1) KR100930835B1 (ko)
WO (1) WO2009096657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19974B2 (en) 2010-07-13 2015-12-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imultaneously controlling near sound field and far sound field
WO2017188685A1 (ko) * 2016-04-29 2017-11-02 주식회사 에스큐그리고 차량 내 음향 공간 보정 시스템
WO2018012890A1 (ko) * 2016-07-13 2018-01-18 주식회사 에스큐그리고 차량 내 사운드 제어방법 및 차량용 avn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66183B1 (en) * 2010-10-07 2013-10-22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Auditing of electronic device and packaging
KR101089108B1 (ko) 2010-11-03 2011-12-06 한국과학기술원 음향 재생 장치
US20130089220A1 (en) * 2011-10-10 2013-04-11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Sound reproducing appartus
KR101179876B1 (ko) * 2011-10-10 2012-09-06 한국과학기술원 음향 재생 장치
US9277322B2 (en) * 2012-03-02 2016-03-01 Bang & Olufsen A/S System for optimizing the perceived sound quality in virtual sound zones
EP2826264A1 (en) * 2012-03-14 2015-01-21 Bang & Olufsen A/S A method of applying a combined or hybrid sound -field control strategy
US9532153B2 (en) * 2012-08-29 2016-12-27 Bang & Olufsen A/S Method and a system of providing information to a user
WO2014032709A1 (en) * 2012-08-29 2014-03-06 Huawei Technologies Co., Ltd. Audio rendering system
US9529431B2 (en) 2012-09-06 2016-12-27 Thales Avionics, Inc. Directional sound systems including eye tracking capabilities and related methods
US8879760B2 (en) * 2012-09-06 2014-11-04 Thales Avionics, Inc. Directional sound systems and related methods
EP2755405A1 (en) * 2013-01-10 2014-07-16 Bang & Olufsen A/S Zonal sound distribution
CA2905330A1 (en) * 2013-03-15 2014-09-25 Thx Ltd Method and system for modifying a sound field at specified positions within a given listening space
JP6186878B2 (ja) * 2013-05-17 2017-08-30 沖電気工業株式会社 集音・放音装置、音源分離ユニット及び音源分離プログラム
US9761217B2 (en) * 2013-06-28 2017-09-12 Rakuten Kobo, Inc. Reducing ambient noise distraction with an electronic personal display
US9635483B2 (en) * 2014-02-17 2017-04-25 Bang & Olufsen A/S System and a method of providing sound to two sound zones
EP3425925A1 (en) * 2017-07-07 2019-01-09 Harman Becker Automotive Systems GmbH Loudspeaker-room system
FR3081662A1 (fr) * 2018-06-28 2019-11-29 Orange Procede pour une restitution sonore spatialisee d'un champ sonore audible selectivement dans une sous-zone d'une zone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43416A (en) 1933-01-27 1936-06-09 Lueg Paul Process of silencing sound oscillations
JP3547813B2 (ja) * 1994-10-31 2004-07-28 パイオニア株式会社 音場生成装置
US5802190A (en) 1994-11-04 1998-09-01 The Walt Disney Company Linear speaker array
JPH08221081A (ja) 1994-12-16 1996-08-30 Takenaka Komuten Co Ltd 音伝達装置
KR0185021B1 (ko) 1996-11-20 1999-04-15 한국전기통신공사 다채널 음향시스템의 자동 조절장치 및 그 방법
US6996244B1 (en) * 1998-08-06 2006-02-07 Vulcan Patents Llc Estimation of head-related transfer functions for spatial sound representative
JP2000333289A (ja) 1999-05-19 2000-11-30 Oki Electric Ind Co Ltd 音響制御方法
JP4382922B2 (ja) 1999-09-20 2009-12-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騒音制御装置
IL134979A (en) 2000-03-09 2004-02-19 Be4 Ltd A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ing three-dimensional hearing
US7623114B2 (en) * 2001-10-09 2009-11-24 Immersion Corporation Haptic feedback sensations based on audio output from computer devices
JP2003230190A (ja) 2002-02-05 2003-08-15 Mechanical Research:Kk スピーカ装置
KR100519052B1 (ko) * 2003-07-28 2005-10-06 한국과학기술원 다수의 스피커를 이용한 밝고 어두운 소리 공간 형성방법
US8280076B2 (en) * 2003-08-04 2012-10-02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audio system configuration
KR20050060789A (ko) 2003-12-17 2005-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상 음향 재생 방법 및 그 장치
US7970144B1 (en) * 2003-12-17 2011-06-28 Creative Technology Ltd Extracting and modifying a panned source for enhancement and upmix of audio signals
US7720237B2 (en) * 2004-09-07 2010-05-18 Audyssey Laboratories, Inc. Phase equalization for multi-channel loudspeaker-room responses
JP4285492B2 (ja) 2006-03-10 2009-06-24 ヤマハ株式会社 信号処理装置
KR100788702B1 (ko) * 2006-11-01 2007-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빔 형성 스피커 배열을 이용한 프론트 서라운드 시스템 및서라운드 재생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19974B2 (en) 2010-07-13 2015-12-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imultaneously controlling near sound field and far sound field
WO2017188685A1 (ko) * 2016-04-29 2017-11-02 주식회사 에스큐그리고 차량 내 음향 공간 보정 시스템
US10506360B2 (en) 2016-04-29 2019-12-10 Sqand Co. Ltd. System for correcting sound space inside vehicle
WO2018012890A1 (ko) * 2016-07-13 2018-01-18 주식회사 에스큐그리고 차량 내 사운드 제어방법 및 차량용 avn 시스템
US11878639B2 (en) 2016-07-13 2024-01-23 Sqand Co. Ltd. Method for controlling sound inside vehicle and vehicle AV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284544A1 (en) 2010-11-11
KR100930835B1 (ko) 2009-12-10
WO2009096657A1 (en) 2009-08-06
US8369536B2 (en) 2013-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0835B1 (ko) 음향 재생 장치
KR100930834B1 (ko) 음향 재생 장치
JP5654513B2 (ja) 音識別方法および装置
JP5705980B2 (ja) 空間における、音響イメージのエンハンスされた生成のための、システム、方法および装置
US8675880B2 (en) Device for and a method of processing data
EP0165733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and correcting acoustic characteristic in sound field
KR101791843B1 (ko) 차량 내 음향 공간 보정 시스템
EP349355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utputting audio signal,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180018464A (ko) 입체 영상 재생 방법, 입체 음향 재생 방법, 입체 영상 재생 시스템 및 입체 음향 재생 시스템
KR101179876B1 (ko) 음향 재생 장치
KR101089108B1 (ko) 음향 재생 장치
KR100519052B1 (ko) 다수의 스피커를 이용한 밝고 어두운 소리 공간 형성방법
KR101207274B1 (ko) 음향 재생 장치
KR102121860B1 (ko) 디지털 사이니지용 독립 음장 형성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KR101269873B1 (ko) 음향 재생 장치
KR101271013B1 (ko) 음향 재생 장치
KR101271014B1 (ko) 음향 재생 장치
KR101152224B1 (ko) 청취 공간 기반의 지향성 음원 제어 방법 및 장치
US20130089220A1 (en) Sound reproducing appar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