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2060A - 탁도 측정용 프로브와 이를 이용한 탁도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탁도 측정용 프로브와 이를 이용한 탁도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2060A
KR20090082060A KR1020080009827A KR20080009827A KR20090082060A KR 20090082060 A KR20090082060 A KR 20090082060A KR 1020080009827 A KR1020080009827 A KR 1020080009827A KR 20080009827 A KR20080009827 A KR 20080009827A KR 20090082060 A KR20090082060 A KR 200900820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emitting
turbidity
lamp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9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7067B1 (ko
Inventor
이종일
손옥재
형기우
김병섭
Original Assignee
동양하이테크산업주식회사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하이테크산업주식회사,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양하이테크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9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7067B1/ko
Publication of KR20090082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20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7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70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G01N15/0205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by optical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1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biological cells, e.g. blood ce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G01N15/0205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by optical means
    • G01N15/0211Investigating a scatter or diffraction patter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10Investigating individual particles
    • G01N15/14Optical investigation techniques, e.g. flow cytometr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62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 G01N21/63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optically excited
    • G01N21/64Fluorescence; Phosphoresce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 Investigating, Analyzing Materials By Fluorescence Or Luminesc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탁도 측정용 프로브와 이를 이용한 탁도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료수에 함유되어 있는 미생물이나 초미립자까지도 검출이 가능하여 정밀하게 탁도를 측정할 수 있는 탁도 측정용 프로브와 이를 이용한 탁도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탁도 측정용 프로브는 통형의 하우징과, 하우징에 내장되며 시료수 중에 함유되어 있는 미생물을 검출하기 위한 자외선 광을 발산하는 제 1램프를 가지는 발광부와, 발광부로부터 하우징 외부로 출사되어 시료수에 의해 산란된 광또는 형광을 검출하는 광검출기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탁도 측정용 프로브와 이를 이용한 탁도 측정장치에 의하면 프로브에 자외선 다이오드와 적외선 다이오드 및 레이저 다이오드를 내장함으로써 수중의 다양한 크기의 입자 및 미생물들을 하나의 프로브로 정밀하게 검출할 수 있어 측정이 간편하고 정확한 다이오드 기반의 탁도 시스템을 제공한다.
탁도, 초미립자, 미립자, 미생물, 레이저, 근적외선, 프로브

Description

탁도 측정용 프로브와 이를 이용한 탁도 측정장치{Turbidity mesuring probe and turbidity mesuring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탁도 측정용 프로브와 이를 이용한 탁도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료수에 함유되어 있는 미생물이나 초미립자까지도 검출이 가능하여 정밀하게 탁도를 측정할 수 있는 탁도 측정용 프로브와 이를 이용한 탁도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심각한 환경오염으로 인해 수질이나 대기 오염원에 대한 측정과 제거에 대한 연구가 필수불가결하며, 또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 중 인간과 모든 생명체의 근원이 되는 물의 오염정도의 측정과 개선이 무엇보다 중요한데, 수질 오염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수질환경의 생물학적 특성, 부유물 내의 미량원소와 같은 화학적 특성 그리고 물의 색깔, 냄새, 탁도 등의 물리적 특성이 고찰되어야 한다.
이 중, 특히 탁도는 물의 흐린 정도를 정량적으로 나타낸 지표로서 수중에 부유하는 입자들의 빛에 의한 산란과 흡수로 표현된다. 이러한 탁도는 여러 가지 부유물질에 의해 발생하며 수질 내 부유하는 입자의 크기는 콜로이드 분산에서 굵 은 분산질까지 다양하다. 여기에는 나노수준의 초미립자도 포함된다.
탁도는 호수와 같이 비교적 정체된 상태에 있는 물에서는 대부분 콜로이드 분산 등과 같은 극히 미세한 분산질에 의해 발생되며, 하천수와 같이 흐르는 상태의 물에서는 대부분 굵은 분산질에 의해 생겨난다.
침전물 또는 부유물질을 이루는 미립자는 수원지나 호수와 같은 환경에 영향을 주는 주요 오염원으로써, 이러한 미립자는 수도 공급관 내부로 흘러들어 파이프 내부를 침식시키거나 퇴적되는 등의 문제를 유발한다. 또한 금속 파이프로 이루어진 수도관 표면 부식에 의해 금속 미립자가 생성되어 파이프 내부의 부식과 동시에 침식을 유발하여 파이프의 손상을 유발시키기도 한다. 그리고 파이프 안의 미립자는 파이프 내부 표면에 스케일을 형성하여 파이프 내부의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고, 또한 탁도를 유발하는 64 ㎛ 이하의 미립자는 직접적으로 생물학적 활성(biological activity)에 손상을 입히거나 유해한 화학제의 전달수단이 되기도 한다.
그리고 콜로이드이나 분산질에 의해 수질이 오염되었을 때는 물의 투명도가 변화하여 오염정도를 쉽게 알 수 있지만, 나노 수준의 초미립자가 수질 내에 분산되어 있을 경우 물의 오염정도를 판단하기가 쉽지 않다.
이러한 초미립자에는 여러 가지 금속성분, 유기물질, 바이러스, 조류 및 곰팡이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 PAH) 등의 발암성 물질이 포함되어 있다. 특히 초미립자의 경우 중금속 등의 금속원소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측정방법 및 모니터링 기술 개발이 시급 하다.
그리고 유기물이 수질 내로 유입되어 미생물의 개체수가 증가하여 생물학적 오염을 일으키는데, 이러한 경우 특히 음용수 관리에서는 미생물의 모니터링 역시 매우 중요한 측정 변수이다.
따라서 수질을 평가하기 위한 탁도 측정 시 수중의 부유물질 중 초미립자나 미생물까지도 정확하게 검출될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종래의 탁도 측정장치들은 광원으로 텅스텐 필라멘트 램프 또는 적외선 LED를 사용하여 탁도를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랭의 광원은 자외선 대역의 파장의 빛만을 발산하여 수중에 존재하는 다양한 크기의 입자들을 선택적으로 검출할 수 없을뿐더러 적외선 LED와 같이 낮은 에너지의 빔으로는 6㎛이하의 미립자의 검출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텅스텐램프의 경우 수명이 2000시간 정도로 매우 짧아 자주 교체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탁도 측정장치로는 수중에 존재하는 미생물은 전혀 검출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수질을 정밀하게 분석할 수 있도록 수중 내의 초미립자나 미생물까지도 검출할 수 있는 탁도 측정용 프로브와 이를 이용한 탁도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중 내의 부유물질이나 미생물을 하나의 프로브에서 선택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일체형 프로브와 이를 이용한 탁도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탁도 측정용 프로브는 통형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며 시료수 중에 함유되어 있는 미생물을 검출하기 위한 자외선 광을 발산하는 제 1램프를 가지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로부터 상기 하우징 외부로 출사되어 상기 시료수에 의해 산란된 광 또는 형광을 검출하는 광검출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램프는 330 내지 350nm의 파장의 광을 발산하는 자외선 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광부는 상기 시료수중에 함유된 미립자를 검출하기 위해 레이저광을 발산하는 제 2램프와, 일반 탁도를 검출하기 위해 적외선광을 발산하는 제 3램프를 더 구비하며, 상기 발광부는 상기 램프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램프는 830nm의 파장의 광을 발산하는 레이저 다이오드이고, 상기 제 3램프는 820 내지 900nm의 파장의 광을 발산하는 근적외선 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광부에서 출사되는 광을 상기 하우징 외부에 위치하는 상기 시료수로 광을 전달하는 발광용 광섬유와; 상기 시료수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입사되는 광을 상기 광검출기로 전달하는 수광용 광섬유;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의 저면 일측에는 상기 발광용 광섬유의 단부에서 출사되는 광이 상기 시료수로 투광되는 발광창과, 상기 발광창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축에 대하여 직각으로 광이 투광되어 상기 수광용 광섬유의 단부로 입사되며 상기 하우징의 저면 타측에 형성되는 수광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발광창 및 수광창을 닦을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저면 외측에 설치되는 와이퍼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탁도 측정장치는 통형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며 시료수 중에 함유되어 있는 미생물을 검출하기 위한 자외선 광을 발산하는 제 1램프와 초미립자를 검출하기 위한 레이저광을 발산하는 제 2램프 및 일반 탁도를 검출하기 위한 적외선광을 발산하는 제 3램프를 가지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로부터 상기 하우징 외부로 출사되어 상기 시료수에 의해 산란된 광 또는 형광을 검출하는 광검출기를 구비하는 탁도 측정용 프로브와; 상기 발광부의 램프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구동하기 위한 조작부와; 상기 램프들을 제어하며 상기 광검출기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연산 및 처리하여 일정한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탁도 측정용 프로브와 이를 이용한 탁도 측정장치에 의하면 시료수에 자외선광을 조사하여 미생물의 대사 과정에서 발생하는 NADH나 NADPH에 의해 발행하는 형광을 검출함으로써 시료수 중에 함유된 미생물의 양을 정확히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높은 에너지를 갖는 레이저광을 시료수에 조사함으로써 시료수 중에 함유된 초미립자들을 정밀하게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의 내부에 자외선 다이오드와 적외선 다이오드 및 레이저 다이오드를 내장함으로써 수중의 다양한 크기의 입자 및 미생물들을 하나의 프로브로 정밀하게 검출할 수 있어 측정이 간편하고 정확한 다이오드 기반의 탁도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탁도 측정용 프로브와 이를 이용한 탁도 측정장치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탁도 측정용 프로브의 내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들에 따른 프로브의 내부를 나 타내는 일부 발췌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탁도 측정장치의 구성블록도이고, 도 5는 시료수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NADH에 자외선 광을 조사시 발생하는 형광을 3차원 스펙트럼으로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탁도 측정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탁도 측정장치에 의해 NADH의 농도에 따른 형광 검출량을 측정한 그래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탁도 측정장치에 의해 미생물의 농도에 따른 형광 검출량을 측정한 그래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탁도 측정장치에 의해 시료수에 존재하는 초미립자의 농도에 따른 산란광 검출량을 측정한 그래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탁도 측정장치에 적용되는 레이저 광원의 포르마진 표준용액에서의 영향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도 11은 본 발명의 탁도 측정장치에 의해 포르마진 표준용액에서 농도에 따른 산란광 검출량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탁도장치는 크게 조작부 및 제어부와 표시부를 가지는 본체(미도시)와, 본체와 케이블(15)로 연결되는 탁도 측정용 프로브(10)로 이루어진다.
탁도측정용 프로브(10)는 하우징(20)과, 하우징(20)에 내장되어 광을 발산하는 발광부(30) 및 광을 검출하는 광검출기(40)와, 발광부(30)의 광을 하우징(20)의 하부에 위치하는 시료수로 전달하는 발광용 광섬유(50)와, 시료수에서 산란된 광 또는 형광을 광검출기(40)로 전달하는 수광용 광섬유(60)를 가진다.
하우징(20)은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을 가지며, 탁도 측정을 위해 하부가 시료수에 잠기거나 시료수와 접촉하게 된다. 하우징(20)은 상부 하우징(21)과 하부 하우징(23)이 상호 나사결합된 구조를 가지며, 상부하우징(21)과 하부하우징(23)의 사이에는 기밀 유지를 위한 환형의 패드(24)가 장착된다. 이러한 하우징(20)의 상하부 결합구조에 의해 하우징(20) 내의 구성부품 등의 교체 및 보수관리가 용이하다.
하우징(20)의 내부에는 발광부(30) 및 광검출기(40), 발광 및 수광용 광섬유(50)(60)가 설치된다. 그리고 탁도를 측정하기 위해 시료수로 광을 조사하는 광학면, 즉 하우징(20)의 저면은 내측으로 인입된 오목한 원뿔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하우징(20)의 저면의 단면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가 90°각도로 상호 대향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저면의 중앙은 평평하게 형성되어 후술할 모터가 장착될 장착부(80)가 마련된다.
상호 대향하는 하우징(20)의 저면의 일측과 타측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는 광이 투광되는 발광창(25)과 수광창(27)이 각각 설치된다. 발광창 (25)및 수광창(27)은 유리나 투명아크릴로 형성된다.
발광부(30)는 시료수에 광을 조사하기 위한 광원으로서, 본 발명의 탁도 측정용 프로브(10)를 구성하는 발광부(30)는 시료수 중에 존재하는 미생물을 검출하기 위해 자외선 광을 발산하는 제 1램프(31)와, 미립자를 검출하기 위해 레이저광을 발산하는 제 2램프(33)와, 일반탁도를 검출하기 위해 근적외선 광을 발산하는 제 3램프(35)를 구비한다.
상기의 미립자는 6㎛ 미만의 크기를 가지는 부유물질을 의미하며, 여기에는 나노수준의 크기를 가지는 초미립자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의 일반탁도는 종래의 탁도검출장치에 의해 검출할 수 있는 부유물질들을 의미하는 것으로, 6㎛ 이상의 크기를 가지는 입자들로부터 굵은 분산질까지의 부유물질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 제 1램프(31)는 330 내지 350nm의 파장의 광을 발산하는 자외선 다이오드이고, 제 2램프(33)는 830nm의 파장의 광을 발산하는 레이저 다이오드이고, 제 3램프(35)는 820 내지 900nm의 파장의 광을 발산하는 적외선 다이오드를 이용한다.
작은 미립자는 긴 파장 대역보다 짧은 파장 대역에서 더 강하게 산란하며, 큰 미립자는 넓은 파장 대역에서 더 강하게 산란한다. 860 nm 대역의 광원은 작은 미립자의 감도가 떨어지므로 적합한 측정영역(미립자의 크기)를 고려해야 한다. 820 내지 900nm 대역의 파장에서는 6㎛이상의 크기 이상의 입자검출에 용이하다. 그러나 그 이하의 크기를 가지는 입자의 경우 빛이 입자에 조사되었을 때 반사광의 양이 증가하고 탁도검출을 위해 필요로 하는 90도 위치의 산란광은 줄어들게 된다. 6㎛ 이한의 초미립자의 검출을 위해서는 레이저 광원과 같이 강한 에너지를 지니는 광원이 필요하다. 특히 830nm 파장 대역을 가지는 레이저는 10nm 이하의 직경을 가지는 나노입자까지 검출이 가능하다.
제 1 및 제 2, 제 3램프(31)(33)(35)는 광검출기(40)와 함께 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17)상에 설치된다. 이때 각 램프들은 상호 광이 간섭되지 않도록 각각의 원기둥 형상의 램프삽입관(71)에 의해 삽입되어 설치되며, 램프삽입관(71)의 단부는 발광용 광섬유(30)로 광이 전달될 수 있도록 발광용 광섬유(30)의 일단이 연결된다. 이 경우 램프(31)와 발광용 광섬유(51) 사이의 램프삽 입관(71)에는 램프(31)에서 발광된 광이 평행하게 투광될 수 있도록 렌즈(73)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탁도 측정용 프로브(10)는 서로 다른 파장을 가지는 세개의 광원을 이용해 시료수 중에 존재하는 미생물이나 미립자, 그리고 입자가 비교적 큰 일반 부유물질을 검출하여 정확한 수질분석의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제 1램프(31)의 자외선 광은 미생물을 검출하는 데 사용한다. 이는 수중에 존재하는 미생물은 대사과정에서 NADH나 NADPH를 생산하는 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NADH나 NADPH는 자외선 광이 조사될 때 형광을 방출하는 특성을 이용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330 내지 350nm의 자외선 광을 이용한다. 특히, 440nm의 형광을 방출하는 340nm의 자외선 광이 조사하는 게 바람직하다.
따라서 미생물에서 방출되는 형광을 90°각도에서 측정하여 시료수 중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양을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램프(33) 및 제 3램프(35)는 미생물 외에 시료수 중에 존재하는 초미립자부터 굵은 분산질까지의 부유물질을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 시료수 중에 입자들에 의해 산란되는 광을 90°각도에서 측정하여 입자들의 양을 검출하는 것이다.
발광용 광섬유(50)는 상기 제 1 및 제 2, 제 3램프에서 발산하는 광을 하우징의 저면에 형성된 발광창(25)으로 전달하는 수단으로, 각 램프들(31)(33)(35)의 광원을 전달할 수 있도록 제 1 및 제 2, 제 3발광용 광섬유(51)(53)(55)로 구성된다. 발광용 광섬유(50)는 일단이 발광부(30)의 램프삽입관(71)에 연결되어 발광 창(25)까지 연장된다.
따라서 발광부(25)에서 발산되는 광은 발광용 광섬유(50)를 통해 발광창(25)으로 투광되어 하우징(20)의 저면 외측에 위치하는 시료수에 입사되고, 시료수에 입사된 광의 일부는 시료수 중에 함유된 부유물질에 의해 산란된다. 이 중 90°각도로 산란된 광은 수광창(27)으로 입사되어 수광용 광섬유(60)를 통해 광검출기(40)로 전달된다.
본 발명의 발광용 및 수광용 광섬유(50)(60)로는 유리광섬유나 플라스틱 광섬유를 이용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유리광섬유보다 광학적 특성과 가공성이 우수한 플라스틱광섬유를 이용한다. 플라스틱 광섬유는 단면적 대비 Core의 비율이 매우 크다. 예를 들면, 1mm Out-dia규격의 광섬유 Core dia는 0.98mm, Clad dia는 0.02mm이므로 광섬유 단면적 대비 Core 비율은 98%이다. 이는 플라스틱 광섬유의 빛 전달 효율이 매우 높음을 의미한다. 또한, 플라스틱 광섬유는 저가격화가 가능하고 뛰어난 벤딩(Bending)특성으로 인해 설치가 용이하고 외부충격에도 강한 장점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플라스틱 광섬유는 고순도 아크릴 레진(PMMA : Polymethyl methacrylate)으로 된 코어와 특수 불소 폴리머(F-PMMA : Fluorine Polymethyl methacrylate)로 만들어진 얇은 클래드층으로 이루어진다. 클래드의 굴절율(refractive index)이 코어보다 낮으므로 광섬유의 일측 종단으로부터 들어온 광은 코어와 클래드의 접속면에서 전반사(Total-Reflection)를 일으켜 코어를 통하여 타측 종단으로 전달되어 나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발광부(30)에서 발산되는 광을 광섬유(50)(60)를 통해 전달함으로써 프로브(10)의 부피를 줄이고 광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프로브(10)의 형상에 구애받지 않으므로 비교적 다양한 형태의 프로브를 설계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광검출기(40)는 시료수에서 산란된 광량을 검출하는 것으로 광증배관(Photo-multiplication Tube: PMT)를 이용한다. 광증배관은 입력되는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화시켜 증폭기(110)로 보내게 된다. 이외에도 광검출기(40)로는 포토다이오드를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광검출기(40)는 발광부에서 발광된 광이 바로 입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원기둥 형상의 삽입관(75)에 삽입되어 인쇄회로기판(17)상에 설치된다. 삽입관(75)의 단부(77)에는 렌즈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20)의 저면에는 발광창(25)과 수광창(27)의 외측 표면에 시료수의 오염물질에 의해 더럽혀지는 경우 발광창(25) 및 수광창(27)을 닦을 수 있도록 와이퍼(87)가 설치된다. 와이퍼(87)는 하우징(20)의 저면에 마련된 장착부(80)에 장착된 모터(81)에 의해 구동된다. 모터의 구동축(83)은 하우징(20)의 외측으로 관통되며, 하우징(20)의 외측으로 돌출된 구동축(83)의 단부에는 일정 길이의 암(85)이 결합되고, 암(85)의 단부에 와이퍼(87)가 설치된다. 와이퍼(87)는 암(85)과 이루는 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암(85)의 단부에 핀(86)에 의해 결합되는 프레임(89)과, 프레임(89)의 하부에 결합되며 선단이 하우징(20)의 저면에 밀착되는 고무소재의 블레이드(88)로 이루어진다.
와이퍼(87)는 모터(81)의 작동으로 1회전 이상 회전하며 발광창(25)과 수광 창(27)의 세정작업을 수행하며, 정지시에는 발광창(25)과 수광창(27)에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멈춰지도록 하여 광이 시료수로 입사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한다.
이는 와이퍼(87)는 와이퍼 구동회로(170)를 통하여 제어부(130)에 연결되어 있어 일정시간이 경과되거나 발광창(25) 또는 수광창(27)이 더럽혀져 비정상적인 탁도가 측정되는 경우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해 세정 작업을 행하게 된다. 따라서 발광창(25) 및 수광창(27)의 표면을 항상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어 정확한 탁도 측정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발광부(30) 및 모터(81)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으로는 하우징(20)의 내부에 내장된 배터리(미도시)를 이용하거나 본체와 연결된 케이블(15)을 통하여 공급받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탁도 측정용 프로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의 저면에 직각으로 절곡된 ㄱ형상의 절곡부가 형성되고, 절곡부의 일측에 발광용 광섬유(50)의 단부에서 나오는 광이 입사되는 발광창(25)이 마련되고, 발광창(25)과 직각으로 대향되는 절곡부의 타측에는 산란광이 입사되는 수광창(27)이 마련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탁도 측정용 프로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용 및 수광용 광섬유(50)(60)의 단부가 하우징(20)의 저면을 관통하여 하우징(20)의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탁도 측정용 프로브(10)에 적용되는 발광부(30)는 도시된 바와 달리 미생물을 검출하기 제 1램프 단독으로 구성되거나, 미립자를 검출하기 위한 제 2램프 단독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램프 및 제 2, 제 3램프 중 두 개의 램프로 조합되어 발광부를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탁도측정용 프로브(1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탁도를 측정하고자 하는 시료수에 하우징(20)의 하부가 잠기도록 한 상태에서 발광부(30)의 제 1램프(31)에 전원이 인가되면 제 1발광용 광섬유(51)를 통해 340nm의 파장을 가지는 자외선 광이 발광창(25)으로 투광되어 하우징(20)의 하부에 위치한 시료수로 입사된다. 시료수로 입사된 자외선 광은 시료수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NADH나 NADPH에 의해 여기되어 450nm의 형광으로 방출된다. 이때 방출되는 형광은 수광창(27)으로 입사되어 수광용 광섬유(60)를 통해 광검출기로 전달된다.
그리고 발광부(30)의 제 2램프(33)나 제 3램프(35)에 전원이 인가되면 제 2 발광용 광섬유(53)또는 제 3발광용 광섬유(55)를 통해 광이 시료수로 입사된다. 시료수로 입사된 광은 시료수에 존재하는 입자들에 의해 산란되고, 이 중 90°각도로 산란되어 수광창(27)을 통해 입사된 광은 수광용 광섬유(60)를 통해 광검출기(40)로 전달된다.
프로브(10)와 케이블(15)로 연결되어 광검출기(40)를 통해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는 본체는 대략 사각 형상으로 구성되며, 전면에는 전자적으로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160)가 형성되고, 표시부(160)의 일측에는 각종 셋팅 및 조작을 위한 조작부(140)가 마련되고, 내부에는 제어부(130)가 위치한다. 그리고 본체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미도시)가 더 마련된다. 전원부는 본체의 내부에 내장된 배터리를 이용하거나 외부에서 전선을 통해 인입되는 전원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에는 통상의 증폭기(110) 및 A/D컨버터(120)가 연결됨으로써, 광검출기(40)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증폭하고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 제어부(130)에 입력된다.
제어부(130)는 입력된 신호를 연산 및 처리하여 표시구동회로(150)를 통해 표시부(160)로 전기적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130)는 발광부(30)의 램프들(31)(33)(35)을 조작부(140)에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동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와이퍼 구동회로(170)로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여 모터(81)를 구동시킨다.
조작부(140)는 본 발명의 탁도 측정장치에 전원을 인가하고 각종 기기의 조작을 하며, 발광부(30)의 램프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조작부(140)는 모드선택버튼, 업버튼, 다운버튼, 셋버튼, 전원버튼 등으로 구성된다.
표시부(160)는 측정된 탁도를 소정의 수치로 표시하거나 현재 설정된 모드를 표시한다.
이하, 실시 예 및 실험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탁도측정용 프로브의 특성을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하기의 실시 예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탁도센서는 발광부의 광원으로 미생물 검출을 위한 자외선 다이오드(SEOUL OPTO DEVICE Co., S8D28, 340 nm)와, 초미립자(나노입자) 검출을 위한 레이저 다이오드(Hamamatsu Co., Japan, L8414-41, 830 nm)와, 일반탁도의 검출을 위해 근적외선 다이오드(WI3311-H, 860 nm, Wonsemiconductor Co., Korea)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발광부로부터의 발산되는 광을 프로브 하단에 위치하는 시료수에 전달하기 위해 직경 2 mm의 플라스틱 광섬유(Mitsubishi Co., Japan, SH-8001)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광검출기로는 광증배관(PMT, H5783, Hamamatsu Co., Japan)을 사용하였다.
도 5는 탁도센서의 실험 구성도를 보여주고 있으며, 발광부로부터 조사되어진 광을 발광용 광섬유를 통하여 프로브 하단부의 시료접촉면에 입사되어지며, 시료수 내 미립자 등의 부유물질에 의해 발생되는 산란광 및 미생물에 의해 발생되어진 형광을 90°각도에서 측정하도록 수광용 광섬유에 의해 광증배관으로 전달되도록 하였다. 광증배관에서는 전달된 산란광 및 형광을 증폭하여 전압으로 표시하도록 하였다.
1. 제 1실험예: 미생물 검출실험
먼저 수중 내 미생물을 검출하기 위해 미생물의 대사과정에서 생산되는 NADH를 본 발명의 프로브를 이용한 탁도 측정장치로 검출실험을 수행하였다. 검출 실험을 위해 β-nicotinamide adenine dinucleotide(NADH)은 씨그마사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시료수는 상기의 NADH를 3차 증류수에 희석하여 제작하였고, 시료수에 340 nm의 파장대역을 가지는 자외선 광을 조사하였다. 이와 함께 형광분광광도계(F-4500, Hitachi Co., Japan)를 사용하여 NADH에 대한 검출성능을 비교하여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을 참조하면, 시료수 중 NADH의 농도가 0에서 0.5 mM로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형광방출량도 함께 증가하였으며, 검출 신호의 차는 약 2 V로 매우 높은 감도를 보였다. 그리고 형광분광광도계에 의해 측정된 결과와 비교할 경우 높은 선형성을 나타냈다.
다음으로 시료수 중 실제 미생물 검출실험을 위해 미생물로 E. coli DH5α와 Bacillus subtilis type NCT 3601를 이용하였다. E. coli DH5α와 Bacillus subtilis type NCT 3601를 진탕배양기를 이용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고 원심분리 한 후 증류수로 세척하여 재 원심분리한 다음 미생물만을 취한 후, 3차 증류수에 미생물을 희석하여 시료수를 제조하였다. 미생물 검출 실험은 각각 대장균 및 바실러스를 0 ~ 2.5×103 CFU로 개체수를 달리하여 검출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8에 나타내었다.
도 8을 참조하면, 미생물 개체수의 증가에 따라 탁도측정장치에 감지되는 신호도 함께 선형적으로 증가하였다. 미생물 검출에 있어서 대장균의 경우보다 바실러스의 경우 높은 감도를 나타내었으며, 이러한 현상은 바실러스가 많은 양의 NADH 또는 NADPH를 생산함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2. 제 2실험예: 초미립자 검출 실험
초미립자의 검출을 위해 10~20 nm의 입자크기 분포를 가지는 Fe3O4 나노입자를 합성하여 검출실험을 수행하였다.
Fe3O4 나노입자를 합성하기 위해 ferric ammonium sulfate와 iron(Ⅲ) chloride를 1:2 몰비율로 혼합한 후 80 ℃에서 교반과 동시에 28 % 암모늄 수용액을 첨가하여 30분 동안 반응시켜 나노입자를 합성하였다. 이때 반응용액의 pH는 10을 유지하였으며,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Fe2 + + 2Fe3 + + 8OH- → Fe3O4 + 4H2O
또한 반응 후 증류수와 에탄올을 사용하여 세척한 후 6×103 Gauss의 자석을 이용하여 나노입자와 용액을 분리 한 후 70 ℃에서 진공건조 하였다. 시료수로는 0.45 ㎛의 공극을 가진 셀룰로오스 멤브레인을 사용하여 여과한 3차 증류수에 Fe3O4 나노입자를 희석하여 제조하여 830 nm의 파장대역을 가지는 레이저광을 조사하였다.
도 9는 0에서 0.5 ppm으로 Fe3O4 나노입자의 농도를 달리하여 레이저다이오드에 의한 산란광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레이저 광원을 이용한 수질 내 초미립자의 검출에 있어서 높은 선형성과 1.0×10-4 이하의 유의수준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일반탁도 용액에 대한 레이저 광원의 영향성을 조사하기 위해 4000 NTU의 표준 포르마진용액(HACH Co., USA)을 3차 증류수에 희석시킨 시료수에 레이저 광을 조사하여 그 결과를 도 10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10에서와 같이 0에서 10 NTU의 농도로 시료수의 탁도를 변화시켰 을 때 상기 도 9의 0 ppm의 초미립자 농도에서와 같은 신호가 검출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레이저광원이 일반탁도에 대하여 영향을 받지 않아 초미립자 검출에 있어서 높은 선택성을 지님을 보여준다.
3. 제 3실험예
일반탁도 검출을 위해 상기의 포르마진 표준용액을 사용하여 탁도검출 실험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4000 NTU의 표준 포르마진용액(HACH Co., USA)을 3차 증류수에 희석시킨 시료수에 860 nm의 파장대역을 가지는 근적외선 LED광을 조사하여 그 결과를 도 11에 나타내었다.
도 11을 참조하면, 포르마진 표준용액을 사용하여 시료수의 탁도 변화를 0에서 1.0 NTU의 농도로 변화시켰을 때, 낮은 농도의 탁도 변화에서 99 % 이상의 높은 선형성을 보였다. 그리고 0.3 NTU 이상에서도 높은 선형성을 보였으나 센서의 감도는 다소 낮아졌다. 이러한 현상은 포르마진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용액 중 탁도가 높아져 광원으로부터 조사되어진 입사광이 현탁물질에 부딪쳐 산란되고 그 산란된 빛이 검출기로 도달하는 과정에서 현탁물질에 방해를 받음으로써 탁도측정장치의 감도가 낮아진 것으로 보인다.
상기의 결과들로부터 본 발명의 탁도측정용 프로브를 이용한 탁도측정장치는 일반 탁도뿐만 아니라 초미립자나 미생물까지도 정밀하게 검출할 수 있어 탁도측정을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수중에 존재하는 부유물질 중 크기에 따른 각 입자와 미생물의 검출을 산란광을 일으키는 각각 다른 광원을 채택하여 선택성을 부여한 본 발명의 탁도측정용 프로브에 의해 실현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탁도 측정용 프로브의 내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들에 따른 프로브의 내부를 나타내는 일부 발췌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탁도 측정장치의 구성블록도이고,
도 5는 시료수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NADH에 자외선 광을 조사시 발생하는 형광을 3차원 스펙트럼으로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탁도 측정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탁도 측정장치에 의해 NADH의 농도에 따른 형광 검출량을 측정한 그래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탁도 측정장치에 의해 미생물의 농도에 따른 형광 검출량을 측정한 그래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탁도 측정장치에 의해 시료수에 존재하는 초미립자의 농도에 따른 산란광 검출량을 측정한 그래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탁도 측정장치에 적용되는 레이저 광원의 포르마진 표준용액에서의 영향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탁도 측정장치에 의해 포르마진 표준용액에서 농도에 따른 산란광 검출량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프로브 20: 하우징
25: 발광창 27: 수광창
30: 발광부 31: 제 1램프
33: 제 2램프 35: 제 3램프
40: 광검출기 50: 발광용 광섬유
60: 수광용 광섬유 81: 모터
87: 와이퍼 130: 제어부
140: 조작부 160: 표시부

Claims (6)

  1. 통형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며 시료수 중에 함유되어 있는 미생물을 검출하기 위해 자외선 광을 발산하는 제 1램프와, 미립자를 검출하기 위해 레이저광을 발산하는 제 2램프와, 일반 탁도를 검출하기 위해 적외선광을 발산하는 제 3램프를 가지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로부터 상기 하우징 외부로 출사되어 상기 시료수에 의해 산란된 광 또는 형광을 검출하는 광검출기;를 구비하며,
    상기 발광부는 상기 램프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도 측정용 프로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램프는 330 내지 350nm의 파장의 광을 발산하는 자외선 다이오드이고, 상기 제 2램프는 830nm의 파장의 광을 발산하는 레이저 다이오드이고, 상기 제 3램프는 820 내지 900nm의 파장의 광을 발산하는 근적외선 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도 측정용 프로브.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에서 출사되는 광을 상기 하우징 외부에 위치하는 상기 시료수로 광을 전달하는 발광용 광섬유와;
    상기 시료수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입사되는 광을 상기 광검출기로 전 달하는 수광용 광섬유;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도 측정용 프로브.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저면 일측에는 상기 발광용 광섬유의 단부에서 출사되는 광이 상기 시료수로 투광되는 발광창과, 상기 발광창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축에 대하여 직각으로 광이 투광되어 상기 수광용 광섬유의 단부로 입사되며 상기 하우징의 저면 타측에 형성되는 수광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도 측정용 프로브.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발광창 및 수광창을 닦을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저면 외측에 설치되는 와이퍼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도 측정용 프로브.
  6. 통형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며 시료수 중에 함유되어 있는 미생물을 검출하기 위한 자외선 광을 발산하는 제 1램프와 초미립자를 검출하기 위한 레이저광을 발산하는 제 2램프 및 일반 탁도를 검출하기 위한 적외선광을 발산하는 제 3램프를 가지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로부터 상기 하우징 외부로 출사되어 상기 시료수에 의해 산란된 광 또는 형광을 검출하는 광검출기를 구비하는 탁도 측정용 프로브와;
    상기 발광부의 램프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구동하기 위한 조작부와;
    상기 램프들을 제어하며 상기 광검출기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연산 및 처리 하여 일정한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도 측정장치.
KR1020080009827A 2008-01-30 2008-01-30 탁도 측정용 프로브와 이를 이용한 탁도 측정장치 KR1009770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9827A KR100977067B1 (ko) 2008-01-30 2008-01-30 탁도 측정용 프로브와 이를 이용한 탁도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9827A KR100977067B1 (ko) 2008-01-30 2008-01-30 탁도 측정용 프로브와 이를 이용한 탁도 측정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8209A Division KR100972454B1 (ko) 2008-01-25 2008-01-25 미생물 형광특성을 이용한 수질 내 미생물 측정용 프로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2060A true KR20090082060A (ko) 2009-07-29
KR100977067B1 KR100977067B1 (ko) 2010-08-20

Family

ID=41293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9827A KR100977067B1 (ko) 2008-01-30 2008-01-30 탁도 측정용 프로브와 이를 이용한 탁도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706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858Y1 (ko) * 2009-11-19 2010-05-27 김대연 부유물질 측정용 렌즈방식센서의 구조
KR100959788B1 (ko) * 2009-11-19 2010-05-28 김대연 부유물질 측정용 레이저광을 이용하는 광섬유방식센서의 구조 및 측정방법
KR101160676B1 (ko) * 2010-01-05 2012-06-28 (주)동양화학 초저농도 탁도 측정 장치
KR101410525B1 (ko) * 2013-12-27 2014-06-30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가동용 블록을 포함하는 광진단 프로브
US10478821B2 (en) 2017-04-20 2019-11-19 Biomerieux, Inc. Optical density instrument and systems and methods us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4010B1 (ko) * 2020-06-05 2020-06-17 주식회사 유앤유 탁도 측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3269Y1 (ko) 2002-07-12 2002-10-30 주식회사 아이이아이 미생물 활성측정장치
US7106442B2 (en) 2003-04-29 2006-09-12 Silcott David B Multi-spectral optical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and classifying biological and non-biological particles
KR100580312B1 (ko) * 2004-01-14 2006-05-16 남창우 탁도 측정용 자외선 스펙트로포토메터 및 이를 이용한실시간 탁도 측정 방법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858Y1 (ko) * 2009-11-19 2010-05-27 김대연 부유물질 측정용 렌즈방식센서의 구조
KR100959788B1 (ko) * 2009-11-19 2010-05-28 김대연 부유물질 측정용 레이저광을 이용하는 광섬유방식센서의 구조 및 측정방법
KR101160676B1 (ko) * 2010-01-05 2012-06-28 (주)동양화학 초저농도 탁도 측정 장치
KR101410525B1 (ko) * 2013-12-27 2014-06-30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가동용 블록을 포함하는 광진단 프로브
US10478821B2 (en) 2017-04-20 2019-11-19 Biomerieux, Inc. Optical density instrument and systems and methods using the same
US10625265B2 (en) 2017-04-20 2020-04-21 Biomerieux, Inc. Optical test platform
US11141733B2 (en) 2017-04-20 2021-10-12 Biomerieux, Inc. Optical density instrument and systems and methods using the same
US11148144B2 (en) 2017-04-20 2021-10-19 Biomerieux, Inc.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controlling components of a detection device
US11192112B2 (en) 2017-04-20 2021-12-07 Biomerieux, Inc. Optical test platform
US11285487B2 (en) 2017-04-20 2022-03-29 Biomerieux, Inc. Tip resistant optical testing instrument
US11673141B2 (en) 2017-04-20 2023-06-13 Biomerieux, Inc.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controlling components of a detection device
US11779931B2 (en) 2017-04-20 2023-10-10 Biomerieux Inc. Optical density instrument and systems and methods using the same
US11938483B2 (en) 2017-04-20 2024-03-26 Biomerieux, Inc. Optical test platfor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7067B1 (ko) 2010-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2454B1 (ko) 미생물 형광특성을 이용한 수질 내 미생물 측정용 프로브
KR101004450B1 (ko) 소수성 졸-겔로 개질된 고분자막을 갖는 탁도 측정용 프로브
KR100977067B1 (ko) 탁도 측정용 프로브와 이를 이용한 탁도 측정장치
US6045756A (en) Miniaturized integrated sensor platform
TW201221937A (en) Scattering light source multi-wavelength photometer
JP5632529B2 (ja) 化学化合物用の検出器
US20090191092A1 (en) Optical probe
US10203283B2 (en) Fluorescent substance detection system
US20020054288A1 (en) Automatic water quality measurement system based on a high performance optical fiber probe
US20240094124A1 (en) Fluorescence and scatter and absorption spectroscopic apparatus with a sapphire tube and method for analyzing inline low level hydrocarbon in a flow medium
JPH05256760A (ja) 懸濁物中の物質の大きさ及び又は濃度の測定方法
KR101466384B1 (ko) 탁도센서
JPWO2004095009A1 (ja) 光学検査装置
CN108426836B (zh) 水质监测装置
EP2051063A3 (en) Fluorescence sensor and method for producing thin metal film with apertures to be used by the fluorescence sensor
CN105771668B (zh) 一种中空纤维膜组件完整性检测装置及其检测方法
JP5891990B2 (ja) 光学式検体検出装置
JP2006317270A (ja) 濁度計
CN201028995Y (zh) 多光束悬浮物浓度测量装置
CN100362336C (zh) 水中絮体形态红外光比率脉动检测方法
CN109540842B (zh) 基于led光源的双荧光信号与水质监测探头及使用方法
CN111548788A (zh) 一种基于荧光法检测氧气的复合传感膜及其使用方法
KR101160676B1 (ko) 초저농도 탁도 측정 장치
WO2021013774A1 (en) Total organic carbon sensor
US9933350B2 (en) Atmospheric particle coun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10